You are on page 1of 8

음운의 변동/ 탈락/ 자음군 단순화

(1) 자음군 단순화


→ 음절 끝의 겹받침 가운데 하나가 탈락하고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

앞에 것 발음
넋[넉], 앉다[안따], 여덟[여덜], 외곬[외골/웨골], 핥다[할따], 값[갑]
예외) 밟자[밥:자], 밟소[밥:쏘]
넓죽하다[넙쭈카다], 넓둥글다[넙뚱글다]

뒤에 것(ㄹㄱ, ㄹㅁ, ㄹㅍ) 발음


닭[닥], 맑다[막따], 삶[삶:], 젊다[점:따], 읊다[읍따]
예외) 맑게[말께], 묽고[물꼬], 얽거나[얼꺼나]
음운의 변동/ 탈락/ ‘ㄹ’탈락, ‘ㅎ’탈락

(2) ‘ㄹ’ 탈락
→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 자음 ‘ㄹ’이 몇몇 어미 앞에서 탈락
하는 현상

놀다 : 노니, 논, 놉니다, 노시다, 노오


둥글다 : 둥그니, 둥근, 둥급니다, 둥그시다, 둥그오

(3) ‘ㅎ’ 탈락
→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 자음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낳다 : 낳아[나아], 낳은[나은]
좋다 : 좋아[조:아], 좋은[조:은]
음운의 변동/ 탈락/ ‘ㅡ’탈락

(4) ‘ㅡ’ 탈락
→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 모음 ‘ㅡ’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

아프다 : 아파서, 아팠다

(5)동음탈락(ㅏ/ㅓ)
→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 모음 ‘ㅏ/ㅓ’가 같은 모음 ‘ㅏ/ㅓ’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탈락하는 현상

가다 : 가
사다 : 사서
음운의 변동/ 첨가/ ‘ㄴ’첨가

(1)‘ㄴ’첨가
→ 합성어나 파생어가 될 때
앞 말 끝이 자음이고 뒷말 첫음절 모음이 ‘l,ㅑ,ㅕ,ㅛ,ㅠ’인 경우에
‘ㄴ’소리를 첨가해 [니,냐,녀,뇨,뉴]로 발음하는 현상

솜이불[ ], 물약[ ]→[ ], 집안일[ ],


맨입[ ], 한여름[ ], 막일[ ]→[ ]

삯일[ ]→[ ]→[ ]


꽃잎[ ]→[ ]→[ ]
홑이불[ ]→[ ]→[ ]
콩엿[ ] 한 일[ ]→[ ]
들일[ ]→[ ] 먹을 엿[ ]→[ ]
음운의 변동/ 첨가/ 사잇소리 현상

(2) 사잇소리 현상(발음) 사이시옷(표기)


→ 합성어가 될 때, 뒷말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거나,
‘ㄴ’또는 ‘ㄴㄴ’소리가 첨가되는 현상.
이때 합성어의 앞 말이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
그 모음의 받침에 사이시옷(ㅅ)을 넣어 표기한다.

▶ 된소리로 나는 경우: 초 + 불 → 촛불[초뿔/촏뿔],


(울림소리+안울림소리) 밤 + 길 → 밤길[밤/낄]
-> 된소리 되기로 볼 수 있음.

▶ ‘ㄴ’첨가: 코 + 날 → 콧날[콘날], 이 + 몸 → 잇몸(잇몸)


▶ ‘ㄴ,ㄴ’첨가: 나무 + 잎 → 나뭇잎[나문닙], 후 + 일 →훗일[훈닐]
음운의 변동/ 첨가/ 반모음 첨가

(3) 반모음 첨가(표준발음×)


→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형용사 어간 뒤에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반모음‘ㅣ’가 덧나는 현상. 단모음이 이중모음
이 된 것.

되- + -어 → 되어[되어/되여] 단모음‘ㅓ’→ 반모음‘ĭ’ + 단모음‘ㅓ’


피- + -어 → 피어[피어/피여]

[펴]일 경우는 교체.


어간의 단모음이 어미의 단모음과 만나 이중모음이 된 것.
단모음‘ㅣ’ + 단모음‘ㅓ’ → 반모음‘ĭ’ + 단모음‘ㅓ’
음운의 변동/ 축약/ 거센소리 되기

(1)자음 축약/ 거센소리 되기


→ ‘ㄱ,ㄷ,ㅂ,ㅈ’과 ‘ㅎ’이 만나 ‘ㅋ,ㅌ,ㅍ,ㅊ’로 발음되는 현상

좋고 → [ ] 먹히다 → [ ]
놓다 → [ ] 닫히다 → [ ] → [ ]
쌓지 → [ ] 좋고 → [ ]

(2)모음 축약
→ 단모음과 단모음이 만나 단모음이 되는 현상

사이→새, 보이다→뵈다, 고이다→괴다


음운의 변동

꽃밭 → [ ] 밟지 → [ ]
깎아 → [ ] 읊어 → [ ]
값을 → [ ] 겉옷 → [ ]
굳이 → [ ] 직행열차 → [ ]
색연필 → [ ] 식용유 → [ ]
불여우 → [ ] 않은 → [ ]
옷 한 벌 → [ ] → [ ]
늑막염 → [ ] → [ ]
핥네 → [ ] → [ ]
많아도 → [ ] → [ ] 닭을 → [ ]
겉옷 → [ ] → [ ] 아비 → [ ]
헛웃음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