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孔子)ㅣ (曾子)려 닐러 샤 몸이며 얼굴이며 머리털이며

 부모(父母) 받온 거시라 감(敢)히 헐워 오디 아니홈이 효도


비르소미오.
몸을 셰워 도(道) (行)야 일홈을 후셰(後世)예 베퍼  부모(父母)
현뎌케홈이 효도 이니라.(소학언해 2: 28-29)

Traduzione:
Confucio disse a Zhengzi così: il primo dovere della pietà filiale è quello di
non sciupare (ledere) il nostro corpo, volto, capelli e carne, poiché li abbiamo
ricevuti dai genitori.
Invece, l’ultimo dovere della pietà filiale è, avendo avuto successo e
praticando la virtù, quello di tramandare i propri nomi ai posteri, così da
rendere distinti i gentori.

공자께서 증자에게 일러 말씀하시기를 몸과 형체와 머리털과 살은 부모께 받은 것이라 감히 헐게 하여


상하게 하지 아니함이 효도의 시작이고,
출세하여 도를 행하며 이름을 후세에 날려 이로써 부모를 드러나게 함이 효도의 끝마침이니라.

• 증 + 려: 증자에게
려: 더러, 에게 (부사격 조사, complemento di moto a luogo)
• 닐러: 닐(다) + 어
닐다: 이르다, 책에 쓰여 있거나 예부터 그렇게 말하여지다. 가라사대
• 샤: (다) +  + 샤 + 대 ⟹ 말씀하시기를
다: 말하다 (dire)
대: ‘~다고 해’. si usa quando cita le parole altrui
• 몸이며
이며: 접속조사 와/과
• : ㅎ +  (particellla ausiliare)
• 부모: 부모 +  (객체높임 부사격조사, complemento di origine/provenienza)
• 받온:
받(다) +  (FO riferita a terza persona) + 
cfr. 받(XV sec.) ⟶ sparizione di ‘ㅸ’
• 거시라: scritto a liaison (이어적기) come nel XV sec.
• 敢: 굳세다, 용맹스럽다 감(baldanzoso, spavaldo)
• 헐워: 헐(다) + 우 + 어 (헐게 하여)
헐다: 헐다, 무너뜨리다 (sciupare, rovinare)
우: 사동 접미사(suffissi passivanti)
• 오디: (다) + 이 + 오디
다: 썩다(decomporre, andare male)
이: 사동 접미사(suffissi passivanti)
오디: desinenza avverbiale
• 아니홈이: 아니(다) + 옴 + 이
• 비르소미오: 비릇(다) + 옴 + 이오
비릇다: 비롯하다 (avere inizio, provenire)
• 몸을: distruzione dell’armonia vocalica
• 셰다: 세우다(rizzare, raddirizzare, prefiggersi)
• 일홈을: distruzione dell’armonia vocalica
일홈: 이름
• 베퍼: 베프(다) + 어
베프다: 베풀다, 펴다(offrire, distendere)
• 立身揚名(입신양명): 출세하여 세상에 이름을 들날림. Essersi reso illustre dopo aver
fatto carriera
• : (다) + 어 ☞ 이로써 (traduzione alla lettera del carattere cinese ‘以’; a causa di o
tramite il quale
• 현뎌케함이: 현뎌(다) + 게 + (다) + ㅁ + 이
현뎌다: 현저하다(essere distinto)
• 마이니라: (다) +  + 이니라
(다): 마치다, 끝내다 (finire, terminare)
유익 이 세 가짓 벋이오, 해로온 이 세 가짓 벋이니 / 딕(直) 이 벋
며 신실 이 벋며 들온 것 한 이 벋면 유익고, / 거만 니근
이 벋며 아기 잘 이 벋며 말만 니근 이 벋면 해로
온이라. (소학언해 2: 66-67)

Traduzione:
Vi sono tre tipi di amici utili e altri tre tipi nocivi: si deve fare amicizia con
uno che è onesto, con uno che è affidabile e con uno che ha tanta esperienza
alle spalle. Invece, è controproducente se si fa amicizia con uno che è
avventato, con uno che è ruffiano e con uno che parla troppo.

유익한 벗이 셋이고, 해로운 벗이 셋이니 정직한 이를 벗하며 믿음직한 이를 벗하며 들은 것이 많은 이


를 벗하면 유익하고; 행동만 익은 이를 벗하고 아첨을 잘하는 일을 벗하며 말만 많은 이를 벗하면 해로
우니라.

• 유익: 유익 + (다) + ㄴ
• 이: 사람, 의존 명사(sostantivo subordinato)
• 세가짓: 세가지 + ㅅ (gentitivo)
• 벋: 벗, 친구(amico)
• 해로온: 해롭(다) +  (sparizione di ‘ㅸ’)
cfr. 해로 (XV sec.)
• 딕(直): 정직한
直: 곧다, 바르다 직(onesto, retto)
• 신실: 믿음직한(affidabile, leale)
신실(信實): 믿음직하고 착실함
• 들온: 들은 (sentito)
• 한: 하(다) + ㄴ ☞ 많은
• 거: 행동(comportamento, atteggiamento)
• 니근: 닉(다) + 은
닉다: 익다(assuefarsi, abituarsi), 익숙하다
• 아기: 아(다) + 기(desinenza nominale)
아다: 아부하다, 아첨하다(adulare, lusingare)
• 말: 말, 언어(lingua, loquela) cfr. 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