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3

9

L E S S O N

유형자산
들어
가기
오늘의 문제상황
학습목표
학습목차
To d a y ’ s I s s u e

오늘의 문제상황
[기사] 일 년 전 백만원에 구매한 커피머신 90만원에 팔아…

동네 커피숍을 창업한 김대박은 최근 늘어나는 매출액과 가게 오픈


일주년 기념으로 기존의 커피머신을 처분하고 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형의 커피머신을 구매하기로 결정하였다. 일 년 전에 구매한
커피머신은 5년 정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계이고, 5년 사용
후에는 처분가치가 없다. 김대박은 기존의 커피머신을 백만원에
구매하였고 1년 동안 열심히 커피머신을 사용하였다. 현재, 처분하려는
커피머신은 시가 90만원에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김대박은 커피머신을
팔고 90만원을 손에 움켜쥐었다…
To d a y ’ s I s s u e

오늘의 문제상황
[기사] 일 년 전 백만원에 구매한 커피머신 90만원에 팔아…

동네 커피숍을 창업한 김대박은 최근 늘어나는 매출액과 가게 오픈


일주년 기념으로 기존의 커피머신을 처분하고 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형의 커피머신을 구매하기로 결정하였다. 일 년 전에 구매한

Q
커피머신은이5년
가상의정도 무리 없이 사용할
사례에서 수 있는
김대박은 일년기계이고, 5년 사용
전 백만원에
후에는 처분가치가 없다. 김대박은
구매한 커피머신을 기존의 커피머신을
90만원에 백만원에
판매하였습니다.
구매하였고 1년 동안 열심히 커피머신을 사용하였다. 현재, 처분하려는
회계학적인 관점에서 김대박은 커피머신을
커피머신은 시가 90만원에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김대박은 커피머신을
처분함으로써 10만원 만큼 손해를 본 것일까요?
팔고 90만원을 손에 움켜쥐었다…
학습 1 유형자산의 정의를 알고 취득원가를
올바로 계산할 수 있다.
목표
OBJECTIVE 2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회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3 감가상각방법에 따른 세금효과 및 감가상각의


추가적 논의 사항을 이해하고 있다.

4 유형자산의 취득 후 지출에 관한 회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5 유형자산 처분 시, 유형자산 처분손익을


계산하고 회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학습
1 유형자산의 의의와 취득원가
목차
CONTENTS
2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3 유형자산의 추가적 논의 사항

4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5 유형자산의 처분
CHAPTER

유형자산의 의의와 취득원가


1 유형자산의 정의와 분류
기업이 영업활동에 ‘① 장기간 ② 사용’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유형자산
③ 물리적 형체가 있는 자산

[유형자산의 분류]
유형자산 항목 포함 범위
토지
건물 본 건물 및 건물부속설비(냉난방, 엘리베이터 등)
구축물 교량, 갱도, 주차장, 기타 토목설비
기계장치 기계, 운송설비(컨베이어, 기중기 등), 기타 부속설비
건설 중인 자산 자체 사용할 목적으로 현재 건설 중에 있는 유형자산
기타 유형자산 차량운반구, 선박, 항공기, 비품, 공기구 등
1 유형자산의 정의와 분류
기업이 영업활동에 ‘① 장기간 ② 사용’하기 위하여 보유하는
유형자산
③ 물리적 형체가 있는 자산

[유형자산의 분류]
유형자산 항목 포함 범위
토지 예 공장 건물을 신축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보유
건물 본 건물 및 건물부속설비(냉난방, 전기통신설비 등)
(유형자산)
구축물 교량,부동산
갱도, 주차장,
개발회사가기타택지로
토목설비판매하기 위하여 보유
기계장치 기계,(재고자산)
운송설비(컨베이어, 기중기 등), 기타 부속설비
건설 중인 자산 자체토지의
사용할시세차익을
목적으로 현재얻기건설위하여중에보유(투자부동산)
있는 유형자산
기타 유형자산 차량운반구, 선박, 항공기, 비품, 공기구 등
2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당해 자산을 그 의도된 목적에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 때까지
직접 소요된 모든 지출을 포함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 구입가격 + 취득부대비용

취득부대비용의 구성
✓ 소유권 취득에 소요된 지출 : 등기비, 취득세, 중개인 수수료
✓ 사용할 장소로 운반, 설치 : 운송 및 보험료, 설치비
✓ 성능 테스트 : 시운전비
✓ 토지 취득 시 : 낡은 건물의 철거비
CHAPTER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1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유형자산(예: 기계)=미래에 경제적 효익(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 자원
감가상각
• 기계 사용 : (a) 수익창출 and (b)경제적 자원의 소비(=비용)
• 수익비용대응의 원칙에 따라 수익이 창출된 기간에 비용 인식

감가상각비 감가상각에 의해 인식한 비용

감가상각 •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간이 제한적(Finite)


대상 자산 • 토지와 건설 중인 자산을 제외한 모든 유형자산
1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예 트럭을 900만원에 취득, 3년간 사용가능
시간적으로 균등하게 사용된다고 가정

취득 유형자산 사용기간 폐기

1년 2년 3년
취득원가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
900 300 300 300

사용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
1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12월 31일(보고기간 말) : (차)감가상각비 xxx (대)감가상각누계액 xxx
수정분개
재무상태표
기계장치 9,000,000
(감가상각누계액) (3,000,000)

감가상각비는 현금 유출을 동반하지 않음

유형자산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움


➡ 체계적, 합리적인 방법으로 감가상각비를 측정
1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 감가상각의 3대 요소

내용연수
감가상각대상금액
(Useful Life) 잔존가치
: 사용가능 기간 (Residual Value)
취득원가 - 잔존가치
혹은 생산 가능 수량

감가상각대상금액을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


1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감가상각 방법
• 감가상각방법의 세 가지 형태
정액법 가속상각법 생산량비례법
연간 감가상각비 연간 감가상각비 연간 감가상각비

시간 시간 시간
2 정액법(직선법)
예 고속복사기에 대한 감가상각 관련 자료
취득일 : 2X20년 1/1일 취득원가 : ₩2,000,000
내용연수 : 4년 잔존가치 : ₩200,000
• 유형자산의 가치 감소가 시간적으로 균등하게 일어난다고 가정
➡ 연간 감가상각비는 매년 동일 금액(정액)

연간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내용연수


연도 연간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누계액 연말 장부가액
취득시점
2,000,000
1차 연도 (2,000,000 - 200,000)÷4년 = 450,000
450,000 1,550,000
2차 연도 (2,000,000 - 200,000)÷4년 = 450,000
900,000 1,100,000
3차 연도 (2,000,000 - 200,000)÷4년 = 450,000
1,350,000 650,000
4차 연도 (2,000,000 - 200,000)÷4년 = 450,000
1,800,000 200,000
합계 1,800,000
3 가속상각법
정률법
내용연수의 초기 연도에 더 많은 감가상각비를 인식하고
후기 연도로 갈수록 감가상각비를 적게 인식하는 가속상각법

연간 감가상각비 = 연초 장부가액 × 상각률


= (취득원가 - 전년 말까지의 감가상각누계액) × 상각률

• 연초 장부가액에 매년 동일한 상각률(정률)을 곱하여 그 연도의


감가상각비를 계산
• 상각률은 매년 동일하나, 연초 장부가액은 매년 감소하기 때문에
후기 연도로 갈수록 연간 감가상각비가 적게 인식됨
3 가속상각법
정률법 예 고속복사기에 대한 연도별 감가상각비 : 정률법 적용, 상각률 = 0.438
연도 연간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누계액 연말 장부가액
취득시점 2,000,000
1차 연도 연초 장부가액 2,000,000×0.438 = 876,000 876,000 1,124,000
2차 연도 연초 장부가액 1,124,000×0.438 = 492,312 1,368,312 631,688
3차 연도 연초 장부가액 631,688×0.438 = 276,679 1,644,991 355,009
4차 연도 연초 장부가액 1,800,000 200,000
합계 1,800,000
• 상각률은 매년 0.438로 동일하게 적용
• 1차 연도에는 취득원가에 상각률을 곱하기 때문에 감가상각비가 가장 많아짐
• 그 이후 연도에는 연초 장부가액이 매년 감소하기 때문에 후기 연도로 갈수록 감가상각비를 적게 인식
• 마지막 4차 연도 : 상각률 적용하는 대신,「연초 장부가액 - 잔존가치」로 계산
(반올림으로 인한 차이를 조정하기 위해)
3 가속상각법
연수합계법
초기 연도에 더 많은 감가상각비를 인식하는 가속상각법

연간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연초 기준 잔여내용연수 / 연수 합계

예 내용연수가 3년인 경우
연수 합계 = 1 + 2 + 3 = 6
연도별 상각률 : 1차 연도 ➡ 3/6
2차 연도 ➡ 2/6
3차 연도 ➡ 1/6
초기 연도에 상각률이 높고, 후기 연도로 갈수록 상각률이 낮아짐
3 가속상각법
연수합계법 예 고속복사기에 대한 연도별 감가상각비 : 연수합계법 적용(연수 합계 = 10)
연도 연간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누계액 연말 장부가액
취득시점 2,000,000
1차 연도 (2,000,000 - 200,000) × (4/10) = 720,000 720,000 1,280,000
2차 연도 (2,000,000 - 200,000) × (3/10) = 540,000 1,260,000 740,000
3차 연도 (2,000,000 - 200,000) × (2/10) = 360,000 1,620,000 380,000
4차 연도 (2,000,000 - 200,000) × (1/10) = 180,000 1,800,000 200,000
합계 1,800,000
• (2,000,000 - 200,000)
➡ 감가상각 대상금액(= 취득원가 - 잔존가치)은 매년 동일하게 적용
• 연도별 상각률이 4/10, 3/10, 2/10, 1/10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초기 연도에 감가상각비가 많이 인식되고, 후기 연도로 갈수록 감가상각비를 적게 인식
4 생산량비례법
유형자산의 수명을 물리적 단위(사용량, 사용시간)로 측정하는 경우에
적용

• 연간 감가상각비 계산방법
단위당 감가상각비 = (취득원가 - 잔존가치) ÷ 예상수명사용량
연간 감가상각비 = 단위당 감가상각비 × 연간 실제 사용량

• 사용시간을 기준으로 감가상각비를 계산할 때는


사용시간 비례법이라고 부름
4 생산량비례법
예 2X20. 4. 5 기계 ₩2,200,000 취득
총 4,000개의 제품 생산에 사용가능, 잔존가치 = ₩200,000
2X20년에 이 기계를 사용하여 600개의 제품을 생산하였다면,
단위당 감가상각비
= (2,200,000 - 200,000)÷4,000개 = ₩500
2X20년도 감가상각비
= ₩500 × 600개 = ₩300,000
5 감가상각방법 선택과 세금 효과
연간 감가상각비는 감가상각방법에 따라 다르게 계산됨

➡ 연도별 세전이익이 달라짐


➡ 연도별 세금(법인세)이 달라짐
5 감가상각방법 선택과 세금 효과
예 매출액 : 매년 ₩1,000,000 세율 : 세전이익의 30%로 가정
(감가상각비 이외의 다른 비용이나 수익은 없다고 가정) (단위: 천원)
정액법 적용한 경우 정률법 적용한 경우
매출액
연도 감가 세전이익 세금 순이익 감가 세전이익 세금 순이익
(A)
상각비(B) (C=A-B) (C×0.3) (세후) 상각비(B) (C=A-B) (C×0.3) (세후)
1차 연도 1,000 450 550 165 385 876 124 37 87
2차 연도 1,000 450 550 165 385 492 508 152 356
3차 연도 1,000 450 550 165 385 277 723 217 506
4차 연도 1,000 450 550 165 385 155 845 254 591
합계 4,000 1,800 2,200 660 1,540 1,800 2,200 660 1,540
• 초기 연도의 세금 부담이 적은 정률법이 기업에 유리(자금 활용 가능)
• 기업에 따라서는 세금 혜택보다 회계상 순이익의 크기를 더 중요시하는 경우가 있음
CHAPTER

감가상각에 대한 추가적 논의
6 감가상각에 대한 추가적 논의
[CASE1] 연중에 취득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예 6/11일에 유형자산 취득한 경우


➡ 첫 회계연도의 감가상각비는 사용한 기간에 맞추어 계산
① 일단위계산법 : 연간 감가상각비 × (204/365)
② 월단위계산법 : 연간 감가상각비 × (7/12)

• 위의 방법 중 선택 가능
• 선택한 방법은 매년 계속적으로 적용해야 함
연중에 취득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예제 9-1]
2X20년 중에 기계장치 취득 (회계연도 1/1 ~ 12/31)
기계 취득일: 2X20년 10/5일 취득원가: 260만원
내용연수: 2년으로 추정 잔존가치: 20만원으로 추정

정액법 적용, 월단위계산법(월할계산) 사용할 경우의


20X20년 감가상각비?
연중에 취득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예제 9-1]
2X20년 중에 기계장치 취득 (회계연도 1/1 ~ 12/31)
기계 취득일: 2X20년 10/5일 취득원가: 260만원
내용연수: 2년으로 추정 잔존가치: 20만원으로 추정

연수합계법 적용, 월단위계산법(월할계산) 사용할 경우의


20X20년 감가상각비?
6 감가상각에 대한 추가적 논의
[CASE2] 내용연수, 잔존가치를 변경한 경우의 감가상각
- 유형자산을 취득할 때 추정한 내용연수와 잔존가치는 추후 매 연도 말에
재검토하여 필요하면 새로운 추정치가 사용되어야 함

- 유형자산을 개량(주요 부분품 교체)하거나 자산의 시장가치가 변동하면


내용연수 또는 잔존가치가 변동

→ 당초의 내용연수 추정치 또는 잔존가치 추정치를 변경하는 것을 회계추정의 변경이라고 부름

[회계처리]

ㆍ 과거에 인식한 감가상각비 및 감가상각누계액은 수정 불필요


ㆍ 변경시점 이후부터는 변경 후의 감가상각 대상금액과
변경 후의 잔여내용연수를 이용하여 감가상각비를 새로이 계산
→ 전진적 조정법(prospective method)
연중에 취득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예제 9-2]
차량 취득일: 2X18년 1/1일
취득원가: 1,800만원 내용연수: 5년으로 추정
잔존가치: 300만원으로 추정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적용

취득 후 2년이 지난 2X20년 초에 내용연수를 5년에서 7년으로 변경,


잔존가치도 3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변경

2x20년부터 연간 감가상각비를 얼마로 인식해야 하나?


CHAPTER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1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증설, 개량을 하면 유형자산의 생산능력이 증대하거나 내용연수가 연장

자본적 지출 수익적 지출
(Capital Expenditures) (Revenue Expenditures)

증설, 개량을 위한 지출 원상회복, 성능 유지를 위한 지출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 비용(수선유지비)으로 처리


1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의 예
지출의 목적 지출의 예 회계처리
자산의 원상회복 건물 도색, 유리 교체 수익적 지출로 처리
소모성 부품 교체,
당초 성능수준 유지 수익적 지출로 처리
윤활유 주입
개량(또는 주요 수선) 주요 부분품 교체 자본적 지출로 처리
증설 건물 증축, 설비 부착 자본적 지출로 처리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예제 9-3]
기계 취득일: 2X19년 1/1일
취득원가: 1,100만원 내용연수: 5년으로 추정
잔존가치: 100만원으로 추정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적용

Q1. 2X21년 1/1일(취득 후 2년 경과)에 기계를 개량하기 위하여


450만원을 현금 지출하였으면 이에 대한 분개는? 또한 개량
직후의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얼마인가?

[풀이] 개량을 위한 지출은 자본적 지출이므로 취득원가에 가산


(차) 기계장치 450 (대) 현 금 450
개량 직후의 기계장치 취득원가 =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예제 9-3]
Q2. 개량 직후의 감가상각대상금액과 2X21년 부터의
연간 감가상각비는?
[풀이] 개량 직후의 장부가액 =
개량 직후의 감가상각 대상금액 ?

2X21년 부터의 연간 감가상각비 ?


CHAPTER

유형자산의 처분
1 유형자산의 처분
유형자산의 처분
매각 등을 통하여 유형자산의 소유권이 외부로 이전

회계처리

01 처분한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와 감가상각누계액을 계정에서 제거

02 처분에 따른 손익을 인식

유형자산처분손익 = 처분대가 - 처분 당시의 장부가액


1 유형자산의 처분
예1 취득원가 100만원, 처분 당시 감가상각누계액이 45만원인
유형자산을 70만원 받고 처분
유형자산처분손익 = 70 - [100 - 45] = 15 (만원)
➡ 처분이익 (포괄손익계산서에서 ‘기타수익’으로 분류)

예2 위의 유형자산을 50만원 받고 처분하였다면?


유형자산처분손익 = 50 - [100 - 45] = -5 (만원)
➡ 처분손실(포괄손익계산서에서 ‘기타비용’으로 분류)
유형자산의 처분[예제 9-4]
차량 취득일: 2X18년 1/1일 취득원가: 3,000만원
내용연수: 5년으로 추정 잔존가치: 500만원으로 추정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Q1. 취득 후 2년 9개월이 지난 2X20년 9/30일에 현금 1,800만원을 받고
차량을 처분하였으면 유형자산처분손익은?

[풀이]
유형자산의 처분[예제 9-4]
차량 취득일: 2X18년 1/1일 취득원가: 3,000만원
내용연수: 5년으로 추정 잔존가치: 500만원으로 추정
감가상각방법: 정액법

Q2. 차량 처분에 대한 분개는?

[풀이] 1단계: 2X20년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간의 감가상각비를 먼저 인식


(차) 감가상각비 375 (대) 감가상각누계액 375

2단계: 차량 처분의 분개
(차) 현 금 1,800 (대) 차량운반구 3,000
감가상각누계액 1,375 유형자산처분이익 175
유형자산의 처분[예제 9-4]
Q3. 만약 1,500만원을 받고 차량을 처분하였다면 필요한 분개는 ?

[풀이]
유형자산처분손익 = 처분대가 - 처분 당시의 장부가액
= 1,500 - 1,625 = -125 (만원)

→ 유형자산처분손실 125만원 발생

처분한 차량의 취득원가 3,000을 계정에서 제거 (대변)


처분한 차량의 감가상각누계액 1,375도 제거 (차변)
처분대가로 받은 현금 1,500의 유입을 기록 (차변)
유형자산처분손실 125 인식 (차변)

(차) 현 금 1,500 (대) 차량운반구 3,000


감가상각누계액 1,375
유형자산처분손실 125
To d a y ’ s I s s u e

오늘의 문제해결

[기사] 일 년 전 백만원에 구매한 커피머신 90만원에 팔아…

Q
동네 커피숍을 창업한 김대박은 최근 늘어나는 매출액과 가게 오픈
이 가상의 사례에서 김대박은 일 년 전 백만원에
일주년 기념으로 기존의 커피머신을 처분하고 한층 업그레이드된
구매한 커피머신을 90만원에 판매하였습니다. 회계학적인
최신형의 커피머신을 구매하기로 결정하였다. 일 년 전에 구매한
커피머신은관점에서
5년 정도김대박은 커피머신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처분함으로써
기계이고, 5년 10만원
사용 만큼
손해를 본
후에는 처분가치가 것일까요(정액법)?
없다. 김대박은 기존의 커피머신을 백만원에
구매하였고 1년 동안 열심히 커피머신을 사용하였다. 현재, 처분하려는

A
커피머신은 시가 90만원에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김대박은 커피머신을
손해를손에
팔고 90만원을 보지 않았다. (∵유형자산 처분이익 100,000)
움켜쥐었다…
커피머신 1년 사용 감가상각비 1,000,000/5 = 200,000
커피머신 1년 후, 장부금액 = 800,00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