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2

안녕하세요, [221012_03] 페니실린계, 세파계 항생제(윤성혜) 필기를 맡은 구현모입니다.

지금까지는 이형기 교수님이 2교시 수업과 더불어 이 강의도 맡으셨는데, 올해 이 강의만 교수님이 바뀌셨습니다.
그래서 작년 필기와 족보를 참고하진 않았습니다.
올해 필기는 파란색, 필기자 첨언 및 별로 중요하지 않았던 교수님의 말은 회색으로 표시하였으며 교수님이 언급한 부분은
하이라이트치거나 네모 표시했습니다.
필기자 개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교수님이 '기억해라', '기억하면 좋을 거다'라는 식으로 언급한 부분은 빨간색,
슬라이드에 중요한 게 많은 페이지는 특별히 오징어 스탬프를 붙였습니다.
약리학도 진짜 얼마 남지 않았네요! (망했네) 끝까지 화이팅하시고 감염방학을 즐깁시다 ㅎㅎㅎ

페니실린계, 세파계 항생제

Seonghae Yoon, MD PhD


Seoul Nat’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또한, 텍스트가 많은 슬라이드들이 몇몇 있습니다!
대신 그 안에서 교수님이 직접 가리키며 언급하신 부분은 많지 않았습니다.
2022. 10. 12 그래도 내용을 궁금해하실 수 있는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하여
내용을 가리진 않고 언급하신 부분에 표시만 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원문을 읽어보시고, 급하시면 필기 파트와 표시해둔
부분만 보시면 될 거 같아요!
(이렇게 주저리주저리 하는 이유는.. 가독성이 떨어질 거 같아서..)
한 번 쭉 읽으셨습니다.
맨 마지막에 교수님이 이 슬라이드 한 번 더 넣으셨는데,
각 파트 별로 주요 문장이 한 줄 씩 적혀있으니 끝에 가서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학습목표
• 베타락탐 항생제의 개요 및 작용 기전
• 베타락탐 항생제의 저항성 발생 기전
• 베타락탐 항생제의 종류 및 특성
• 베타락탐 항생제의 감수성
• 베타락탐 항생제의 부작용 (과민반응 등)
Introduction:
작용 기전 및 저항성 발생 기전
1929 : Flemming이 세균 연구하다 세균이 죽는 걸 확인했다 - 곰팡이균(penicillium이라는 종)이 같이 배양되니 죽음
이에서 유래해 'penicillin' 탄생
Chain & Florey : 항균 작용 물질 정제를 위해 노력하여 정제 기술 발견
이 셋은 1945년에 이를 공로로 인정받아 노벨상을 타게 된다

History
• 1929, Flemming ; lysis of Staphylococcal colony
by Penicillium mold contamination
• 1940, Chain & Florey ; isolation of bacteriolytic
substance from Penicillium notatum
• 1949, Mass Production of Penicillin G – P. Chrysogenium
 Destruction by beta-Lactamase
 Relatively inactivity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 1957, 6-Aminopenicillanic Acid
; Semi-Synthetic Penicillins

2차 세계 대전 중 : 항생제 필요한 상황이 많아졌다 - 대량 생산을 위한 연구 진행됨


1949 : Penicillin G라는 성분 대량 생산 기술 개발됨
1957 : 화학적으로 성분을 합성할 수 있는 기술 개발됨 - 많은 항생제 나타났다
이번 시간에 배우는 것들은 β-lactam계 항생제인데,
이 항생제는 공통적으로 β-lactam ring 가지고 있다!
-화학적으로 특이하고 약간 불안정한 구조 (네모 구조 가지기가 어려운데 특이하다)

β-Lactam Ring
이러한 구조 가지고 있으면 beta-lactam계의
항생제라고 칭한다
크게 4가지! β-lactam ring의 네모 구조에 쳐진 빨간
β-lactam ring은 모두 공통, 그 옆 구조들이 조금씩 다르다 네모는 강의록에 쳐져있던 것들입니다.
구조까지 기억하란 건 아니고, 옆이 달라짐에 따라 특성이 달라진다 정도만!

β-Lactam Antibiotics
Beta-lactam ring

이름 외우세요! 이 강의록
끝까지 반복됩니당

R: unique side chain

Har D, Solensky R. Penicillin and Beta-Lactam Hypersensitivity.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17;37(4):643-662.

Penicillin
Cephalosporin
Monobactam
Carbapenem
박테리아를 크게 그람양성, 그람음성으로 나누고
둘을 구분해야 하는 이유?
(나누는 기준 : 세포벽 구성 성분이 달라 나타나는 그람 염색 양상의 차이)
항생제들이 잘 듣는 게 다르다!
지금은 잘 안 와닿겠지만 나중에 감염병 치료에 있어
공통 : plama membrane / peptidoglycan 층
구분이 중요함! - 감수성 부분을 잘 기억해둬야 한다
그람양성 : peptidoglycan 층이 좀 더 두꺼움
그람음성 : outer membrane 존재
필기자 첨언 : 얘네는 아주
마아니 반복한 애들이라..

outer membrane이 하나 더 있음
-> gram negative에는 beta lactam이 작동하기 어려움
peptidoglycan 층의 역할
1)구조 유지
2)세포 내 osmotic pressure가 높은데, 이로 인해 세포가 터지지 않도록 유지

중요한 역할 하지만, peptidoglycan 층이 뭔가에 의해 약해지면 세포 융해되고 재생 못하는 상황 온다,


peptidoglycan 층 생성 억제가 β-lactam계 항생제의 중요한 기전이다!
-항생제 없을 때
peptidoglycan 각각의 층이 있는데
이를 연결해주는 게 'transpeptidase'
여기에 β-lactam이 붙어 transpeptidase가 작동하지 못하게 하는 게 β-lactam계 항생제 기전

*transpeptidase
=PBP(penicillin binding protein)의 일종

이걸 막아준다. 세포벽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한다


아까 잠깐 나왔듯이, 크게 4종류로 구분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감염증에 주로 사용되는지를 기억하자!

이 페이지를 두고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앞으로 강의하시는 파트가 각 네모의 세세한 파트입니다
분류 나중에 다 보고 나서 확인용으로 돌아오는 게 더 좋을 것 같아요
세세한 분류 전에 항생제 저항성 발생 기전을 먼저 이야기하겠다!
먼저 하는 이유? 항생제 구분 시 어떤 기전에 의해 박테리아들이 저항성 갖는지 이해하면 구분을 이해하는 데 좀 더 도움이 되기 때문

1. Porin : outer cell membrane에 존재 / 물질 통과를 위한 구멍


구멍이 작아서 큰 항생제는 이 구멍 통과 못함
ex) vancomycin - 상당히 많이 쓰는 항생제 (오늘 강의에 나오진 않지만)
근데 분자가 커서 porin으로 들어가지 못함
-어떤 박테리아는 porin 구조 바꿔 크기가 작은 β-lactam, carbapenem 등도 못 들어오게 할 수 있다

항생제 저항성 발생 기전
1. Porins
 Gram-negative bacteria have an outer cell membrane that restricts drug access to the peptidoglycan cell
wall to passage through porin channels peptidoglycan cell wall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준다

 The opening in porins is too small to allow diffusion of large molecules, such as vancomycin (resulting in an
inherent or intrinsic form of gram-negative resistance against glycopeptide antibiotics) 큰 것들은 들어가기 힘들다
 Some gram-negative bacteria express porins having an altered pore structure that does not permeation of
smaller drugs (such as beta-lactams or carbapenems).

2. Pumps
 Gram-negative bacteria can express P-glycoprotein-like ABC transporters in the inner plasma membrane
that function as efflux pumps to transport antibiotics out of the cell, thereby protecting the organism from
antibiotics having intracellular sites of action (e.g. topoisomerase or ribosomal subunits) (which is not a
mechanism terribly relevant for cell wall synthesis inhibitors). 약물을 자꾸 밖으로 퍼내는 역할-> 약이 작용하기 어려워진다

2. Pump : 에너지 써서 억지로 밖으로 퍼낸다 - 항생물질을 외부로 퍼냄으로써 저항성 가짐


3. Penicillinase - 항생제 저항성 갖는 가장 흔한 기준
-β-lactamase가 ring 끊어서 항생제 역할 제대로 못하게끔
(Penicillinase는 β-lactamase의 일종)

그람양성균 : 세포 안에서 효소 생성 & 밖으로 분비 - 막 퍼진다


그람음성균 : membrane 사이에 penicillinase 존재하게 됨 - 제대로 작용하여 세포 보호 가능

so 그람음성균이 양성균보다 항생제 저항성을 더 갖게 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Penicillinase

항생제 저항성 발생 기전
beta lactam ring을 분해하는 enzyme을 가지고 있음
3. Penicillinases -> 항생제가 들어왔을 때 구조를 바꿔버리면서 항생제가 작동하지 못하게 해준다
 The most common mechanism for drug resistance to β-
lactam antibiotics is bacterial synthesis of β-lactamases
(Hall et al, 2003).
 Many bacteria synthesize beta-lactamases that degrade
beta-lactam antibiotics before they reach the cell wall.
 Gram-positive bacteria that make beta-lactamase
excrete the enzyme into the extracellular space. Gram-
negative bacteria excrete beta-lactamase into the
periplasmic space located between the cytoplasmic
membrane & the outer membrane, where the cell wall is
located. (Major resistance mechanisms in Gram-
negative bacteria)
Penicillinase에 약이 끊어지지 않도록 개발 - 'Methicillin'
근데 나중에 또 이 methicillin에 저항성 가지는 균 나타나서 치료에 어려움

항생제 저항성 발생 기전
3. Penicillinases
 Penicillinase is a specific subtype of β-lactamase (the first β-lactamase to be identified in 1940).
It has a very limited specificity for inactivating penicillins. Resistance to penicillin due to
expression of “penicillinase” led to the development of “penicillinase-resistant” beta-lactams,
such as methicillin. Then some bacteria “struck back” and now “Methicillin Resistant Staph
MRSA의 형성이 있다
aureus (MRSA)(or ORSA) is relatively common.
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s (ESBLs) are enzymes produced by several types of
gram-negative bacteria (E coli, Klebsiella, Enterobacter, Proteus) that endow bacteria with
resistance to all penicillins, cephalosporins, and monobactams, but do not affect sensitivity to
carbapenems (e.g. meropenem or imipenem)(CDC: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ESBL (여러 항생물질에 작용하는 lactamase) 가 등장했다


-carbapenem 말고는 대부분의 균에 작용하는 애라, ESBL 가진 균 있으면 치료 어려워짐

methicillin, carbapenem가 있음
4. PBP : 항생제가 protein에 붙어야 작용하는데, 다른 모양으로 생겨 원래 붙어야 하는 자리가 변형됨
-항생제가 붙지 못하고 항생제가 작동 못함
-균마다 PBP 변형의 양상이 다름

ex) MRSA (지금도 병원에서 감염증 환자 증 흔히 나타나는 균) - PBP2a라는 부분의 변형

항생제 저항성 발생 기전
약이 PBP에 붙어서 작용하는데, PBP 자체의 구조를 바꾸는 것이 있음 PBP 자체의 구조가 바뀌는 현상을 PBP 세번째라고
4. PBPs -> 작용을 잘 못하게 만들어준다

 Bacteria can express a mutated PBP that still has enzymatic activity for cell wall
synthesis, but does not bind β-lactam antibiotics. These bacteria are drug-insensitive.
This is a mechanism of resistance used by S. aureus (MRSA), which expresses the
penicillin-insensitive PBP2a (expressed by the mecA gene. The mecA gene is found
within a transferable genetic element called mec. The mec containing mobile cassette
has spread rapidly through the S. aureus population via horizontal gene transfer and
selection from widespread antibiotic use (Bhattacharyya et al, 2015).
5. Peptidoglycan is absent
 Some bacteria (e.g. mycobacteria)
lack a cell wall, and can multiply in the
presence of β-lactam antibiotics,
potentially resulting in serious
infection (e.g. atypical pneumonia).
5. 드물게 어떤 균들은 peptidoglycan 층이 아예 없다
-β-lactam계 항생제가 듣지 않음
일부는 peptidoglycan wall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위가 정상, 아래가 PBP 변형
beta lactam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다
P 모양의 노랑 쇠막대기처럼 생긴
게 항생제
여기부터 이제 항생제의 사용 시작

Penicillins
주요 특징
• Bactericidal 세포벽 약하게 - 세포를 터뜨리거나 분열 못하게 해서 아예 죽여버린다

• Bind to Penicillin Binding Proteins (PBPs)


to Penicillinase & other classes of β-
• Vulnerable
lactamases 얘네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 Renal excretion (antagonized by probenecid)


신 기능이 좋지 않은 환자에 대해서는 주의해서 사용이 필요함
주로 신장으로 배설된다
크게 4개의 계열로 나뉜다

Natural Penicillins
(β-lacatamases 제일 처음 발견된 페니실린 - β-lactamase에 의해 분해되어
현재는 많은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기 어려움 (국한된 감염증에만)
sensitive)
Penicillin G & V
Antistaphylococcal
Penicillins
β-lactamase 저항성 있는 애들이 개발됨
(β-lacatamases
resistant) Nafcillin, Oxacillin, Methicillin & Dicloxacillin

Aminopenicillins 위 두 개는 현재 일부 균에만 작용할 수 있음


좀 더 광범위한 균에 작용할 수 있도록 개발됨
(broad-spectrum)
Ampicillin, Amoxicillin

Extended-Spectrum Pseudomonas에도 작용할 수 있음


(Antipseudomonal)
Penicillins
Piperacillin, Ticarcillin
아래쪽으로 갈수록 더 광범위하게 작동한다
플레밍이 직접 발견한 것에서 정제한, 처음 발견한 그 구조 (필기자 첨언:태초의 페니실린 정도로 표현할 수 있을 듯)
워낙 저항성 가진 균들이 많이 생겨서 쓸 수 있는 감염증이 많지 않다

Natural Penicillins
초기에 발견, 갈수록 광범위한 것을 만들고 있음
Penicillin G & V

•These drugs can be directly purified from cultures of Penicillium mold.


•Despite bacterial resistance, they are still used to treat infections caused by
some gram-positive bacteria, including Treponema pallidum, the causative
agent for syphilis.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해서 치료가 가능하다

일부 그람양성균, Treponema pallidum, syphilis 정도에만 사용되고 있음


필기자 첨언 : 앞으로 다른 종류의 페니실린도 어떤 균에 쓴다 가 언급되는데, 교수님이 얘기하신 걸 들어보니
'어떤 항생제는 어떤 균 치료에 사용된다'가 반복하여 강조되었습니다. 강의록 슬라이드에 이를 정리한 표도
있는만큼, '항생제 무엇무엇은 무엇무엇 치료에 쓰인다' 만큼은 이 강의록에서 확실히 챙겨가야 할 것 같아요.
(어디까지나 필기자의 첨언일 뿐 맹신은.... 하지 않으셨으면...)

일부의 그람 양성균에 대해서 작동이 가능하다

Penicillin G and V가 있다
penicliiin G and V가 있따
Penicillin G and V가 있음
Methicillin이 잘 듣는 MSSA란 균 있었는데, 이마저도 저항성 생기며 MRSA란 이름이 붙게 됨
-β-lactamase 피하려고 만든 얘네에게도 또 저항성이 생기게 된 것

Antistaphylococc
al Penicillins Nafcillin, Oxacillin, Methicillin & Dicloxacillin
여기까지 언급하심

•Also called “Penicillinase-resistant” penicillins


•These analogs have big bulky R-group side chains that prevent the binding of
staphylococcal β-lacatamases, making them (at least initially) useful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MSSA)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but
they later were found to be unable to bind to the mutated PBPs of resistant
strains - e.g.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and S. epidermidis (MRSE)
methicillin resistance S aureus
(Hauser, 2013). 저항성 판단할 때는 oxacillin을 사용한다

•These agents are not effective against enterococci, and streptococci, and
their bulky side groups limits their ability to penetrate many other bacteria, and
hence they are generally only used to treat drug sensitive staphylococcal
infections (Hauser, 2013).
기억해야 할 건, MSSA/MRSA 다 이름에 Methicillin이 붙어있긴 한데, 지금은 항생제 감수성 테스트를 할 때 Methicillin
아닌 Oxacillin 사용하고 있다! 즉, Oxacillin으로 MSSA/MRSA (항생제에 듣는지 안 듣는지) 구별한다

-환자가 열이 나는 등 감염이 있다고 생각되면


1) 혈액 culture로 균 감수성 검사를 해야 한다
2) 처음엔 대부분의 균에 잘 듣는 broad-spectrum 썼다가, 균이 파악이 되면 해당 균에 특별히 잘 듣는 항생제로 바꿈
L. meningitis and Enterococcal infection을 치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Ampicillin and sulbactam


amoxicillin and clavulanic aci

Aminopenicillins 'broad-spectrum'
Ampicillin, Amoxicillin
Ampicillin, AMoxicillin가 있다
Ampicillin and amoxicillin가 있

•These penicillin analogs have an amino side group that increases their
hydrophilicity, allowing them to permeate through porins of some gram-
negative bacteria (e.g. E. coli, P. mirabili & Shigella spp.)
•Commonly used to treat listeria meningitis & enterococcal infections 여기에 사용할 수 있다
•They share the same vulnerability to beta-lactamases as the natural
penicillins, and hence are commonly combined with a beta-lactamase inhibitor,
약들은 beta lactamase inhibitor와 병용해서 사용한다
e.g. beta lactamase를 다시 억제하면서 beta lactam의 구조를 유지하게
•ampicillin + sulbactam (Unasyn ®)
Augmentin 들어봤을 수도 있음!
•amoxicillin + clavulanic acid (Augmentin ®) 중이염 등 간단한 염증에 사용하는 약임
-listeria meningitis / enterococcal infection에 사용됨
-β-lactamase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다, 그래서 보통 β-lactamase inhibitor랑 같이 사용된다!
(거의 항상 붙어다닌다고 생각하면 됨)

Amoxicillin and clauvlanic acid를 합쳐서 사용하기도 한다


Extended-Spectru
m (Antipseudomo 좀 더 광범위하게 많이 균을 죽인다
nal) Penicillins Piperacillin, Ticarcillin
Ticarcillin and Piperacillin가 잇다
Ticarcillin and Piperacillin가 이씅

•The side groups of these penicillin analogs allow for greater penetration into
gram-negative bacteria compared to aminopenicillins.
•These agents are also generally more resistant to many (but not all) gram-
negative beta-lactamases
•They are more active against Pseudomonsa aeruginosa
•These drugs achieve their fullest antimicrobial potential when combined with
β-lactamase inhibitors, and have activity against many aerobic gram-positive,
gram-negative bacteria, and nearly all anaerobic bacteria except C. difficile
•For example, the drug combination of extended spectrum penicillins with β-
lactamase inhibitors are useful in treating infections caused by many β-
lactamase producing strains of E. coli, Klebsiella spp, Bacteroides spp &
Enterobacter spp.
-Pseudomonsa aeruginosa 같은 균이 의심되면 사용
-broad-spectrum (aminopenicillin) 처럼 β-lactamase inhibitor와 같이 쓴다
정리된 표!!

4가지 계열이 있단 거 보면 된다
(근데 앞서 분류한 4개와 순서가 좀 다른데, 이렇게 잘 구분 안 하긴 함)
(필기자 첨언 : 앞선 분류와는 두 번째랑 세 번째 순서가 바뀐 표입니다)

Penicillins: sensitivity

methicillin sensitive에
대해서 잘 듣는다

얘에만 쓰이고 지금으로썬


쓸 수 있는 데가 많지 않은

MSSA + 일부
streptococcus/
enterococcus에 쓸
수 있다

그람음성균 추가됨
& Anaerobes에도 조금 쓸 수 있음
MRSA 제외 광범위하게 다 쓸 수 있다
Cephalosporins
두번쨰 부분이 cephalosporin가 있다
cephalosporin가 있다
cephalosporin가 있다
cephalosporin가 있게 된다
cephalosporin가 있다
주요 특징 하이라이트 친 건 페니실린과 비슷한 특성들입니다.

마찬가지로~ • Bactericidal

• Bind to Penicillin Binding Proteins (PBPs)


to Penicillinase, but vulnerable to other β-
• Resistant
lactamases (e.g. Extended Spectrum Beta-
Lactamases or ESBLs) Penicillinase에는 저항성 있지만, 다른 애들한텐 분해된다
• Renal excretion 신배설이 된다

• ~2% immunologic cross-reactivity to penicillin 언급 안하심

페니실린과의 cross-reactivity 드물단 걸 기억하자!


-Penicillin/Cephalosporin의 약 종류가 많은데 특정 약에 알레르기 반응 있다고 하면,
다른 약과 cross-reactivity 많지 않으니 다른 Penicillin/Cephalosporin 사용 가능!
구분이.. 참.. 많죠..
옛날에 이거 외우는 거 정말 너무 힘들었는데
제가 배울 때보다 더 늘어난 거 같아요..
(기술의 발전은 인류를 건강하게, 의대생을 피폐하게 만듭니다)

generation 별로 나눔
-초기에 개발한 것들은 일부 균에만 작용한다
-가면 갈수록 광범위한 균에 작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즉, 뒷 세대로 갈수록 좀 더 스펙트럼이 넓게 작용한다

그 외에는 3세대랑 거의 비슷하다


*5세대 Ceftaroline은 3세대와 비슷

*이는 next generation이라 부르기도 함


(필기자 첨언 : 여기서 next generation이라 지칭하는 것이 확실치
세대별로의 특징을 기억해두자 않습니다. 예상컨대 마지막 네모일 거 같긴 하지만, 확실한 답변을 얻은
뒤에 다음 버전에 올리겠습니다. 이 메시지는 다음 버전에서 폭발합니다)
1세대) 주로 그람양성균에 잘 듣는다
그래서 그람양성균 감염이 흔한 soft tissue infection / surgical prophylaxis 정도에만 사용됨

수술 시에 예방 요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2세대) 조금 더 그람음성균이 추가됨
지역 사회에서 감염되는 CAP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반대 개념으로 HAP-Hospital acquired...-있다)
및 mild한 infection에 사용할 수 있다

mild CAP에 대해서 작동한다, mild CAI에 대해서 작동하게 된다

2세대에 대해서는 그람 음성균이 추가된다


3세대) 좀 더 확장된 그람음성균의 범위
정맥 주사 필요한 심각한 감염 / meningitis / neutropenic fever 등에 이용됨
4세대 'cefepime') 3세대와 비슷, 대신 Pseudomonas와 Enterobacteriaceae까지 작용할 수 있게 개발됨
여기에 작용할 수 잇는게 중요한 특징이다

cefepime, 이게 P aeruginosa, Enterobacteriaceae family까지 포함한다 cefepime, P aeruginosa가 있음

cefepime, 이게 P aeruginosa, Enterobacteria들을 포함하게 된다


3세대랑 비슷한데 MRSA에 작용이 있다

5세대) 3세대와 비슷, 대신 MRSA에 작용할 수 있게 개발됨

'4세대랑 5세대의 특징을 잘 기억하자'


페니실린과 비슷하게, β-lactamase inhibitor와 함께 사용됨
정리해보면!!
: 4세대, 5세대 특징 표시

한 가지 약물만 Pseudomonas
요거는 그냥.. 엄..
필기자 첨언 : 하나만 있으니 외우시란 뜻 아닐까요..? 차피 하나니깐 이거 외운다고 큰 시간 들지 않으니 숙지하고 갑시당

Cephalosporins: sensitivity
gram positive

그람양성만 그람음성 추가 둘다 둘 다+Pseudomonas Pseudomonas에는 안 듣고


MRSA에는 듣게
표를 다 외울 순 없겠지만, 특징적인 부분은 기억하면 좋을 거 같다!
뭐엔 안 듣는데 뭐엔 잘 듣고 등
주로 잘 듣는 거 위주로 다시 한 번 정리 한 것! (secondary는 언급하지 않으셨습니다)

Cephalosporins: sensitivity

세대가 올라갈수록 coverage가 넓어진다


Monobactam, carbapenem
Monobactam

Carbapenem가 들어간다
safe for use in penicillin allergic patient
Monobactam계열의 Aztreonam
-narrow-spectrum이긴 한데 Pseudomonas에 좀 듣는 약이다
-부작용은 다른 β-lactam계열과 비슷
-중요한 특성! 다른 β-lactam 계열과 교차 반응이 없음
so Penicillin 알레르기 있는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 (꼭 기억해주시고)
얘는 처음부터 쓰지 않고,
중증의 환자에 대해서 다른 약들이 듣지 않을 때
최종적으로 쓰는 형태를 보인다

최종 보스로 사용하는 느낌이다

이름들 다 언급하셨습니다

erta
mero
doripenem가 있다

erta, mero, doripenem가 있다ㄱ 가능하면 아껴둔다

Carbapenem 계열 : 가장 broad-spectrum antibiotics (가장 다양한 균 죽일 수 있다)

근데, 워낙 다양한 놈을 죽일 수 있으니 처음부터 쓰지 않는 걸 추천 (최후의 보루 같은 느낌)


최근 다른 애들을 개발하고는 있지만 지금 개발된 약들은 오래 전에 개발된 것들
그래서 아주 심각한 infection 있을 때 아니면 최대한 아껴두는 게 좋다
부작용이 어떤 게 있는지 살펴보면

Adverse Drug Reactions of


beta-lactam antibiotics
β-Lactams: Adverse Drug Reactions
• Hypersensitivity
• Gastrointestinal intolerance 항생제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부작용

– Nausea, vomiting, diarrhea (e.g., pseudomebraneous


colits) GI에 대한 약을 같이 처방하는 경우가 많다
• Rare adverse reactions
– Interstitial nephritis, renal failure (very rare)
– Hemolytic anemia, neutropenia, eosinophilia, 이런 것(밑줄 친 증상들)들도
있을 수 있다
thrombocytopenia (piperacillin+tazobactam)
– Seizure (w/ imipenem) anemia neutropenia seizure가 있다

제일 흔한 두 가지 : 과민반응 & Gastrointestinal intolerance (구역질, 구토, 설사 등)


-항생제 처방할 때 소화제 등이 함께 꼭 처방되는 이유
nephritis and renal failure
"흔한 게 뭔지 기억하시면 된다"
anemia and neutropenia
seizure가 있다
부작용 중에는 비교적으로

Hypersensitivity by β-Lactams 흔하게 나타난다


but anaphylaxis는 흔하지 않음
(아주 심각한 경우는 드물다)
• 1-5% (rash, most common) 비교적 흔한 것

• Self-reported in ~10% patients


 90% can tolerate penicillin

• Anaphylaxis is very rare (~0.01-


0.04%) anaphylaxis is very rare하다

• Allergy labeling
 ↑resistance, ↑hospital stay, ↑cost

치료받을 정도까진 아니어도 반응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는 10%까지


(대부분은 견딜 수 있는 정도)
심한 부작용은 (anaphylaxis) 매우 드물다
중간중간 잠깐 언급한 cross-reactivity - 항생제 선택에 중요하다!
페니실린 과민 반응은 꽤 흔하기에 서로서로 어떤 걸 쓰면 안되는지 알아야 한다
(과거에 알레르기 있었는데 똑같은 걸 처방해주면 안되니깐, 다른 걸 처방해줘야 하니깐)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은 사용하면 안된다

Cross-Reactivity
• In
general, minimal btw. penicillins and 대부분은 별로 없다!
cephalosporins except:
대체로는 과ㅐㄴ찮은데,
이런 것들은 조심해야 한다
이런 경우에 있을 수 있다

• Minimal btw. penicillins and carbapenems


• Almost zero btw. penicillins and monobactams 둘 사이에는 거의 없다

penicillin과 carbapenem 사이, penicillin과 monobactam 사이엔 거의 없다 (아까 aztreonam 할 때 언급했죠?)

필기자 첨언 : 이 페이지는 엄청 중요하게 언급하시면서 지나가진 않으셨는데, 강의 내내 cross-reactivity가 자주


등장하기도 했고, 다음 슬라이드에서 'cross-reactivity가 어떤 게 있나 정도를 알아두자'라고 얘기하셔서 아마
외워야할지도 모르겠네요ㅠㅠ
penicillin hypersensitivity가 있을 때
monobactam을 사용 가능하다
정리해보자! (앞서 언급했던 학습목표 페이지)

학습목표
peptidoglycan cell wall 만들어지는
• 베타락탐 항생제의 개요 및 작용 기전 과정 중 transpeptidase에 붙어 방해
porin, pump, penicillinase, PBP 변형,
• 베타락탐 항생제의 저항성 발생 기전 드물게 peptidoglycan 층 없음
크게 4종류,
• 베타락탐 항생제의 종류 및 특성 penicillin과 cephalosporin은 좀 더 자세하게

• 베타락탐 항생제의 감수성 각 계열 별 감수성이 어떻게 다른지 특징적인 거 기억하자


• 베타락탐 항생제의 부작용 (과민반응 등)
가장 흔한 건 과민반응
아나팔락시스는 드물다
cross-reactivity가 어떤 게 있는지 정도
Thank
수고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귀여운 오징어 보고 가세용

you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