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1

효소

1701 김민서 1705 권태건 1709 김시호 1713 명진우 1717 윤서진
목차
1. 효소의 주요특징
2. 작용 매커니즘
3. 활성화 에너지
4. 반응속도 영향요인
5. 효소 반응속도론
6. 효소 활성의 조절
7. 저해제
8. 효소의 종류
9. 효소의 활용
1. 효소의 주요 특징
효소
- 생체 내 반응을 촉매하는 물질 ( 대부분 단백질 )
- 반응속도를 크게 증가시킴

활성자리
- 효소 내부에 활성자리를 보유
- 기질과 결합 가능
- 효소 기질 복합체를 형성
촉매 효율
- 촉매 없이 진행되는 반응 대비 반응속도 거의 10 배까지 증가
- 전환수 (Kcat) : 효소 분자 1 개에 의해 1 초당 생성물로 전환되는
기질 분자수 , Kcat 이 클수록 촉매 효율이 높음

특이성 (specificity)
- 효소는 특이성이 높음 , 특정 기질과만 반응함
- 한 종류의 반응만이 촉매
-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 종류에 따라 대사 반응이 결정됨
보조인자
- 일부 효소의 경우 효소 이외에 단백질이 아닌 다른 분자가 필요함
- 비단백질 분자가 금속 이온일 경우 , 보조인자 (cofactor) 라고 함
Ex. Zn 2+, Fe 2+ 등등…
- 비단백질 분자가 작은 유기물질인 경우 , 조효소 (coenzyme) 라고
함 ; 대부분의 조효소는 비타민에서 유래함
- 보결단 : 효소와 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보조효소
활성의 조절
- 효소의 촉매 활성은 조절 가능함
( 촉진 또는 억제 )
- 세포 내 반응물 필요에 따라
반응속도 조절함

구획화
- 대부분 효소의 위치는 세포 내
특정 소기관에 제한됨
- 기질 또는 생성물을 다른
반응으로부터 격리 가능함
- 수천 종의 효소 반응의 대사 경로가
정해져있음
* 효소의 명명법
- 일반적으로 기질 이름 뒤에 접미사 ‘ -ase’ 를 붙임
Ex. 수크로오스 (Sucrose) 가수 분해 효소 : 수크라아제 (Sucrase)
- 촉매하는 반응의 성질을 표현
Ex. 알코올의 산화반응 촉매하는 효소 : 알코올 탈수소효소 (alcohol
dehydrogenase)
- 혼동을 피하기 위해 국제 생화학회에서 체계적 명명법 제정
6 가지 대분류 기준 , 재분류 후 4 개의 숫자 기호 부여
Ex. 알코올 탈수소효소 : EC 1.1.1.1.
알코올 : NAD+ 산화환원효소 (alcohol : NAD+ oxidoreduc-
tase)
2. 효소의 작용 메커니즘
활성화 에너지와 전이상태
- 전이 상태 : 반응물이 생성물로 전환되기 전의 고에너지 중간 단계 ,
활성화 에너지 : 반응물과 전이상태 사이의 에너지 차이
- 활성화 에너지 : 기저 상태 ( 안정 , 바닥 상태 ) 에 있는 반응물 1
몰이 전이상태로 전환되기 위해 필요한 자유 에너지
- 반응물들이 만나 생성물 형성 위해서 일시적으로 전이 상태가 되어야
하고 , 이 과정에서 에너지 필요
효소에 의한 활성화 에너지 감소
-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가 낮은 경로로 반응이 일어나게 함 , 반응 속도
증가를 통해
-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자유에너지 차이 변화 X, 반응의 평형 영향
X, 평형 도달 속도만 증가시킴

반응속도
- 단위 시간당 생성물로 전환되는 기질의 몰수
- 반응이 진행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분자 수에 비례하여 증가
3. 활성화 에너지

활성화 에너지란 화학 반응 시 활성화 상태의


에너지와 반응물의 에너지와의 차를 의미

즉 , 화학반응이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이때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반응을 촉진
활성화 에너지의 크기는 오로지 효소의 유무와 종류에 영향을 받음
촉매에는 정촉매와 부촉매가 있는데 정촉매는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어 그 반응을 더 빨리 일어날 수 있게 만듦
부촉매는 그와 반대로 활성화 에너지를 높여 반응을 더 느리게 함
4. 효소 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기질의 농도 / 효소의 농도

농도 높을수록 효소기질복합체 증가
* 한계점에서 포화상태
4. 효소 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2. 온도
온도 높을수록 분자운동 활발 -> 효소기질복합체 증가
적정온도 넘어서면 단백질 변성 (30~40°C 최적온도 )
4. 효소 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pH 농도

최적 pH 는 효소마다 상이
사람 몸 속의 효소는 대부분 중성이 최적 pH

아미노산은 pH 에 따라 (-) 전하 혹은 (+) 전하를 띠며 변성


5. 효소반응속도론
- 기질의 농도가 충분할 때 , 효소 농도를
증가시키면 반응속도는 증가할 것이다 .
- 효소 농도를 고정시키면 기질의 농도가
늘어나도 일정 수준이 지나서 반응속도가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
- 오른쪽의 그래프는 효소 농도가 일정할 때 ,
기질의 농도 변화에 따른 그래프이다 .
- 기질 농도를 계속 높여도 결합할 효소가 없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증가하지 않는 Vmax 에
도달한다 .
- Vmax 에서는 대부분의 기질이 미카엘리스 - 멘텐 모델
효소기질복합체로 존재할 것이고 이 복합체가
생성물과 효소로 분해되는 과정을 효소 반응
속도의 제한 단계라고 가정했다 .
- 효소기질복합체가 빨리 생성물을 만들어야 남는 효소에 기질이
달라붙기 때문이다 .
- X 축의 Km 은 미카엘리스 상수이고 , 효소 반응에서 특정 기질에
대한 속도 상수이다 . 많은 경우 , 미카엘리스 상수는 대응하는
기질에 대한 효소의 친화성을 나타낸다 .
- 아래는 미카엘리스 - 멘텐 방정식이다 . 기질 농도에 따른 효소의 초기
반응속도를 대수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
6. 효소 활성의 조절
효소 합성 유도와 억제 ; 유전적 제어
- 존재하는 효소에 대한 활성 조절 , 효소의 양을 변화시켜서 대사 조절
가능
- 효소의 양 : 효소의 합성 속도를 변화시켜 조절
- 효소 유도 : 대사 요구에 따라 효소 합성 증가
- 효소 억제 : 대사 요구에 따라 효소 합성 감소
Ex. 고혈당으로 인한 인슐린의 분비 -> 글루코오스 대사에 필요한
효소 합성 유도
- 유전적 제어에 의한 효소 합성 유도와 억제는 느리게 일어남
Cf. 공유결합 변형 또는 다른자리 입체성 조절을 빠르게 일어남
7. 저해제
•가역적 저해제는 오직 효소와
일시적인 결합만을 형성한다 .
•가역적 저해제에는 경쟁적 저해제 ,
비경쟁적 저해제 , 무경잭적 저해제가
있다 .
•가역적 저해제는 효소와 비공유결합을
하여 일시적으로 효소 활성을 제한한다 .
경쟁적 저해제 (competitive inhibition)

•경쟁적 저해제는 저해제가 기질과


비슷한 구조를 지니고 있어 기질과
저해제가 효소의 기질 결합 부위를
두고 경쟁을 한다 .
•경쟁적 저해에서 Vmax 는
변화하지 않지만 Km 은 증가한다
•기질 농도 높이면 저해효과 극복
가능하다
비경쟁적 저해제
(Noncompetitive Inhibitor)

•저해제가 기질의 결합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결합한다 . 효소 및 효소 -
기질 복합체와도 결합할 수 있다 .
•Km 이 일정하다 ( ES 만드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 ). 그러나
Vmax 가 감소한다 .
무경쟁적 저해제 (Noncompetitive Inhibitor)

•저해제가 효소 - 기질 복합체에
대해서만 기질 결합 부위 이외의
다른 자리에 결합한다
•S->ES->IES
•S 는 I 에 의해 탈출할 수 없어
생성물을 만들 수 없다 .
•Km 는 감소하고 , Vmax 도
감소한다 .
비가역적 저해제
(Irreversible Inhibito
r)
•비가역적 저해제는
•효소의 활성에 필수적인 기능기와
공유결합을 형성하거나
•특별히 안정된 비공유 결합체를
형성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화합물이다 .
혼합 저해제 (Mixed Inhibitor)

•혼합 저해제는 다른 자리 입체성 부위 ( 알로스테릭 ) 와


결합하며 , 효소 또는 효소 - 기질 복합체와 결합할 수
있다 .
•ESI 가 효소적으로 활성화가 공존할 수 있다 .
•비경쟁적 저해제와의 차이점이다 .
8. 효소의 종류
• 가수 분해 효소
• 산화 환원 효소
• 전이 효소
• 분해 효소
• 이성질화 효소
• 합성효소
가수분해 효소
• 물의 도움을 받아 기질을 분해한다 .
•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과 지질의 에스터 결합 , 인산기를 절단한다 .
• EX) 아밀라제 , 말타아제 , 수크라아제 , ATPase
산화 환원 효소
• 물질의 산화 환원 반응을 촉진시킨다 . 주로 전자를 전달하는 반응을
촉진시킨다 . 세균 , 엽록체 , 미토콘드리아에서 전자전달계를
형성한다 .
• EX) 옥시다아제 , 탈수소 효소 ,
전이 효소
• 기질의 원자단을 다른 기질로 옮긴다 . 인산기 , 메틸기 같은
작용기를 다른 분자로 옮긴다 .
• EX) 크레아틴키나어재 , 아미노기 전이 효소
분해 효소
• 기질을 분해한다 . 화학 결합을 제거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새로운 결합이나 다중 결합을 만드는 반응을 촉진시킨다 .
• EX) 카탈라아제 , 카르복실라아제
이성질화 효소
• 기질 분자 내의 원자 배열을 변화시킨다 .
• EX) 6 탄당 인산 이성질화 효소
합성 효소
• ATP 를 사용하여 물질을 합성한다 . 연결효소 라고도 하며 큰 분자 두
개를 결합시키는 효소이다 .
• EX) 시트르산 합성 효소 글루탐산 합성 효소
9. 효소의 활용
• 빵 , 맥주 , 요구르트 치즈 등 발효식품
• 의료 (ex 암세포의 증식을 막는 효소 )
• 산업 (ex 식음료 가공용 , 바이오 에너지용 )
• 특수 (ex 연구용 , 진단용 , 특수생물 전환용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