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23.

○○역사 시설물 변형 검토(지반침하 보강공법)

23. ○○역사 시설물 변형 검토(지반침하 보강공법) 1

■ 일반현황
1.1 과업목적 : ○○역사 지반침하에 대한 안정검토
1.2 대상시설물 : ○○역사 굴착공사 현장 인근 지반침하구간
1.3 과업내용 : - 관련자료 수집 및 분석
- 현장조사 및 시험
- 지반침하 원인분석 및 안정성 평가
- 보수·보강방안 및 유지관리방안 제시
1.4 과업수행 내역 : 1) 자료검토 및 지반조사계획 수립, 통보
2) 지반조사
3) 계측 및 현장 변위조사
4) 에스컬레이터 임시보강실시
5) 수치해석을 위한 계획 작성, 1단면 해석 수행
6) 계측 및 현장 변위조사 보완
7) 지반조사 자료분석
8) 역사 준공자료 및 인근 건설현장 굴착자료 분석
9) 수치해석 수행완료 및 결과 검증, 보완 실시
10) 지반침하 원인 규명
11) 합리적인 보수·보강(안) 마련
12) 최종 보고서 제출, 과업 종료
1.5 손상 및 변형 현황 :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계단 등 변형 발생

191
제 2편 터널시설

■ 과업대상 현황 요약

○ 현장 현황 요약
- 본 지반침하 발생 현장에는 승강장 6개소, 에스컬레이터 12기, 계단 12기, 엘리베이터 6기 존재
- 2번∼5번 승강장 사이에서 주로 침하가 발생된 것으로 조사됨
- 중앙 연결통로를 기준으로 남측으로 침하 현상이 주로 발견됨
- 변형이 발생된 구조물로는 2번, 3번, 4번 승강장 엘리베이터와 3번, 4번 승강장(남측) 에스컬레
이터 그리고 3번, 4번 계단(남측)으로 조사됨
- 이중 2번, 4번 승강장 엘리베이터와 3번, 4번 승강장(남측) 에스컬레이터는 변형이 크게 발생
되어 사용이 중지됨
- 열차이용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3번, 4번 승강장(남측) 에스컬레이터는 마이크로 시멘트 주입
공법을 실시하여 현재 운행 중에 있음
- 일반적으로 굴착공사시, 흙막이 벽체의 변형에 따른 인근 지반의 침하는 다음장의 그림과 같
이 흙막이 벽체의 변형에 대한 인근 지반의 변형은 벽체에 가까울수록 크게 발생하고 벽체에
서 멀어질수록 감소함
- 그러나 본 현장은 굴착현장에 가까운 5, 6번 승강장 부근보다 3, 4번 승강장 부근에서 큰 변형
이 발생되었으며, 일반적인 영향 반경보다도 크게 발생된 것으로 조사됨
192
23. ○○역사 시설물 변형 검토(지반침하 보강공법)

- 따라서 본 지반침하는 흙막이 벽체 변형에 의한 영향보다는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발생


하였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됨
- 지반침하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 지반조사와 기존 자료(역사 설계
자료 및 인근 공항철도 건설공사 자료) 분석을 실시
■ 지반조사
조 사 항 목 수 량 비 고
시추조사 13공, 433.1m 연암 2.0∼13.7m 확인
표준관입시험 327회 1.0m 간격 / KS F 2307
지하수위측정 13공 2008. 1. 20 ∼ 현재 측정중
현장조사 현장투수시험 33회 B-1, 2, 3, 4, 5, 7, 8, 9, 10, 11, 12, 13
및 현장수압시험 2회 B-10, 11
시험 공내 유향·유속시험 3공, 10개소 B-4, 8, 12
공내재하시험 19회 B-2, 6, 8, 9, 12, 13
공내전단시험 13회 B-2, 6, 12, 13
물리탐사 GPR탐사 48단면, 1,223m 1∼6번 승강장
실내토질 토질물성시험 14회 B-1, 4, 8, 11, 12, 13
시험 직접전단시험 4회 B-1, 2, 4, 13
실내암석 암석물성시험 2회 B-8, 11
시험 삼축압축/인장강도시험 3회 B-1, 4, 5
○ 지형 및 지질 : 실트, 모래, 자갈로 구성된 하상퇴적층과 기반암인 호상 흑운모 편마암
분포함
○ 기반암의 공학적 특성 : 엽리의 발달로 풍화에 약하고, 공학적 및 수리적 이방성이 큼
○ 지형적으로는 저지대의 시가지역으로 동서쪽으로 구릉 및 산을 끼고 있는 계곡부 지형
이며, 근래에 복개된 천이 남북으로 흐름.
○ 시추조사 및 지층단면 위치도

193
제 2편 터널시설

- 상부로부터 매립층 / 퇴적층 / 풍화토 / 풍화암 / 연암 순으로 분포


- 최상부의 매립층은 평균 5.3m 층후로 평탄한 분포를 보이며 그 하부의 퇴적층은 서측
에서 4.5m, 동측에서 3.2m. 층후로 분포
- 풍화토, 풍화암은 B-13에서 각각 8.8m와 0.5m 층후로 분포하고, 동측으로 갈수록 깊어
져 B-5에서는 22.0m와 6.5m 층후로써 GL.-33.5m 까지 분포

○ 시추공을 활용한 지하수위 계측 결과

- 1번 승강장에서 6번 승강장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최근에 급격한 하강추세를 보이고 있어 인근 현장의 작업공정과의 연관성 검토 필요

194
23. ○○역사 시설물 변형 검토(지반침하 보강공법)

○ 승강장 매립층 공동 분포 현황
승강장 공동구간 폭

1번 6개 소 3.7~ 5.2㎝

2번 14개 소 3.8~ 7.1㎝

3번 1개 소 4.1㎝

4번 5개 소 3.8~ 5.9㎝

5번 2개 소 7.6㎝

6번 - -

- 탐사결과 6번 승강장을 제외한 전 승강장에서 공돈구간이 탐사되었으며, 분포밀도 및


규모는 2번승강장 > 1번 승강장 > 4번 승강장 순으로 3.7∼7.6㎝폭으로 탐사됨.

■ 자료분석

- 시공당시 장애인관련법 개정으로 인하여 무빙워크대신 E/V, E/S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


계 변경되었으나 구조물 변경에 따른 새로운 기초공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됨.
195
제 2편 터널시설

- 역사 인근 굴착공사는 Downward 공법을 적용하여 지하 52m까지 굴착을 수행하였으며


인접지역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중연속벽 및 앵커를 설치하고 계측을 실시함
- 본 공사로 인하된 지하수위는 초기 4∼6m에서 현재 16∼20m 정도로 저하된 것으로 조
사됨.
■ 수치해석

- 굴착공사 현장의로의 투수조건을 고려한 침투해석결과는 현재 지하수위 계측결과와 유


사한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지하수위 저하는 인근 굴착공사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

196
23. ○○역사 시설물 변형 검토(지반침하 보강공법)

■ 지반침하 원인분석
- 역사 인근 굴착공사가 실시되기 이전까지는 별다른 침하 현상 및 시설물의 변형이 발생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 침하는 인근 굴착공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인근 건설공사 중 흙막이 벽체 변형, 지하수위 저하, 암 절취시 진동 등의 영향 요인이
있으나 이중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지반침하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약 퇴적층의 침하 두
께가 2∼6㎝ 발생됨에 따라 이를 큰 영향요소로 판단
- 역사 기초공사 당시 무빙워크 설치에 맞게 기초(마이크로 파일, JSP)가 시공되었으나
에스컬레이터는 설계 변경 후, 적절한 기초공사가 이루어 지지 않았음.
- 따라서, 본 현장에 발생한 지반 침하 및 시설물의 변형은 인근 굴착공사로 인한 지하수
위 저하와 예상치 못한 지반침하에 대한 시설물 기초의 지지 기능 살실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됨.
■ 보수·보강 방안
○ 에스컬레이터 보강방안

- 연휴기간 열차 이용 승객 증가에 대비하여 원활한 여객 수송을 위해 에스컬레이터 하부


지반을 보강하여 운영
- 에스컬레이터 기초하부 지반에 초미립자 혼화재를 주입하여 지반내 공극을 충전, 고
격시켜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킴

197
제 2편 터널시설

○ 엘리베이터 보강방안
- 변형이 발생된 2 ,3, 4번 승강장 엘리베
이터에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파일반력
공법 을 적용하여 원상태 복원 및 기초의
지지력 향상을 제안함

○ 계단 보강방안
- 변형이 발생된 3, 4번 통로 남측 계단
하부 지지 기초에도 파일반력 공법을 적용
하여 부등침하에 대한 복원 및 지지력 향
상을 제안함
- 통로와 계단상부 연결부 및 중간기둥과
계단연결부에 대해서도 파일 반력 공법 적
용 후에 접합 보강을 새로 실시할 것을 제
안함

○ 승강장 및 선로 보수·보강 방안
- 승강장 복원은 현실적으로 여러 현장여건상 불가능하여 침하가 발생되어 미관을 크게
해치는 구간에 대하여 바닥 슬라브 보수 및 재시공하며 GPR 탐사시 공동규모가 큰것에
대하여 시멘트 주입공법 적용을 제안함.
- 선로는 보수공사 후 추가변형이 크게 발생하지 않고 있어 추가 보강방안은 필요치 않
은 것으로 판단됨.
■ 향후 유지관리 방안
- 계측결과, 현재 추가적인 지반 침하 및 시설물 변형은 발견되고 있지 않으나, 지반의
불확실성·시설물 기초의 영향·향후 진행될 인근 건설공사의 영향 등에 따라 변형 발생가능
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계측과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하여 이상상황 발생시
적절한 대처를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19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