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유명한 일반인’의 신화

SNS와 인플루언서

14 정재우, 16 이 현
열 연애인 안 부러운 일반인들

인플루언서의 대두
일반인이지만 연예인급의 파급력

#인싸템 #맛집 #스트리머


#K-POP # K-뷰티
#유튜버 #인플루언서 #SNS스타
인플루언서는 누구?

500 14.5k 14.5k


게시물 팔로워 팔로잉

프로필 수정
+
인플루언서 influencer

#콘텐츠 #걸어_다니는_광고판 #뷰티 #패션 #식품


인플루언서의 대두
정보의 신뢰도 SNS 쇼핑 증가
influencer influencer

양띵, 대도서관 님 외 200명이 좋아합니다 벤쯔, 이사베 님 외 200명이 좋아합니다

#유튜버 #인플루언서 #뷰티 #의류 #IT #게임 #SNS #SNS쇼핑 #블로그 #유튜브 #페이스북마켓플레이스
유명한 일반인, 친숙한 유명인

인플루언서의 특징
이들은 팬들의 동경을 한 몸에 받는 인기인이면서, 동시에 친근한 존재다.
연예인에 비견되는 인기와 명성을 누리지만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도 만날 수
있고 길거리에서 우연히 만났을 때 가볍게 인사를 나눌 수 있는 일반인

인스타그램에 댓글을 달거나 DM을 보내도 답을 받을 수 있다. 라이브 방송이나 스토리


에 질문을 던져도 전부는 아닐지언정 연예인보다는 친절하게 응대

다소 거리감이 있는 전통적인 미디어 스타들


인플루언서: 나랑 크게 다르지 않은 일반인, 좀더 친근하고 믿을만한 사람

연예인보다 인플루언서가 제공하는 정보의 신뢰성이 더 높다

출처: 기업들도 공들이는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사인>


https://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4257
친숙한 유명인, 평등의 신화

현대사회에서 행복의 신화는 ‘평등의 신화’를 집대성하고 구체화 한 것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자연주의적 인간학”은 보편적이 평등을 약속

기존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연예인


-> Idol 추구하고, 되고는 싶지만, 너무나도 나와 동떨어진 존재, 번접할 수 없는 존재

인플루언서
-> 우리와 비슷한 존재이면서, 추구하고 싶은 존재, 충분히 실현가능할 거 같은 존재
(이중적인 존재)
비우상화된 우상
대기업들의 마케팅

기업은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기 위해 폴로어 수가 적은 인플루엔서와 협력(마이크로 인플루엔서)

1. 폴로어 수가 많은 인플루엔서보다 폴로어 수가 적은 사람들이 더 진실돼 보이기 때문이다.


친근함, 평등의 신화
2. 폴로어 수가 적은 인플루엔서와 손을 잡는 것은 브랜드가 전달하는 메시지가 인위적이지 않고
더 '자연스럽게' 퍼질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신화의 근본 원칙
출처 : 기업이 메가 인플루엔서 대신 마이크로 인플루엔서를 찾는 이유는?<매일 경제>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339396?lfrom=kakao
<신화론>

신화의 근본원칙은,
의도가 너무 노골적이어서도 안되고 너무 숨겨서도 안된다는 것이다.

너무 노골적이면 개념이 명백히 폭로되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너무 숨기면 사람들이 개념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효과가 없다.
따라서 신화는 사람의 주목을 끌지 않으면서도 명백하게 보이는 것이어야 한다.
이것이 '자연화'이다.

롤랑 바르트, 신화론 (정현 역, 1995, 현대미학사)


문제점
토론

인플루언서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고 스스 기업에 종속된 또다른 마


로 컨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케팅 수단
창조적인 주체 VS
연예인의 또다른 형태
현재의 문제들은 과도기적 문제
THANK YOU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