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5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KIBSE) 기술나눔톡

주요국가 구조설계기준의 위상과 개정 절차


-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중심으로 -
2022년 12월 15일

조 재 열, Ph.D.
교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1/34
주제선정배경

조재열(趙在悅) – 콘크리트구조전공
 한국교량및구조공학회(KIBSE)
설계기준위원회 위원장 (KDS 24 00 00 교량설계기준)
콘크리트구조위원회 위원장 (KDS 24 14 21 콘크리트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 한국콘크리트학회(KCI)
구조기준위원회 부위원장(토목담당) (KDS 14 20 00 콘크리트구조 설계(강도설계법)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ISO 19338인증, 콘크리트구조기준 영문화, 콘크리트구조 설계


기준(한계상태설계법),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콘크리트구조기준 해설집, 콘크
리트구조기준 예제집………

2/34
주제선정배경

근년에 경험한 사례
 10여년 전 시공한 00구조물이 당시의 설계기준의 요구조건에 미달되는 철
근량이 배근되었음을 발견함.
 다행이 지난 10년간 아무런 문제 없이 사용해왔고 문제점의 징후도 없었음.
 최근 개정된 설계기준의 요구조건에는 만족을 함.
 이 00구조물을 어떻게 해야 할까?
국회의원실, 국토교통부, 00공사, 설계엔지니어, 대학교수

3/34
주제선정배경

그동안 기준관련 업무를 하면서 가지게 된 궁금증???


 우리나라 엔지니어(관산학연 모두 포함)들은 설계기준의 위상(?)을 무엇이
라고 생각할까? 법? 참고서?
 우리나라 엔지니어들은 설계기준이 만들어지고 개정되는 과정을 어느 정도
알고 있을까?
 우리나라 설계기준과 기술선진국의 설계기준과 비교할 때 차이점은?

4/34
주제선정배경

2022년 현재 그리고 미래의 설계기준은?


 새로운 재료/공법의 개발과 해석/설계기술의 발전으로 설계기준의 제개정
업무는 지속적으로 유지/증가
 변함없이 돈은 안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됨
 변함없는 대학교수 주도의 제개정 업무
 변함없는 관주도의 행정절차
우리 설계기준이 지속가능하게 진화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는가?

5/34
목 차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 우리나라
- 미국
- 유럽
- 일본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 맺음말

6/34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7/34
용어의 정리 (기준, 지침, 코드, 시방서…)
우리나라의 건설기준코드 (Construction Standard Code)
• 설계기준 - Design Standard
KDS 14 20 00
• 표준시방서 - Construction Specification
KCS 14 20 00

c.f.)KDS 10 10 00 General Provisions


(공통편 설계기준총칙)
• 설계기준 - Design Standard
• 표준시방서 - Standard Specification
Specification ≠ 시방서

# 시방서(示方書) - 표준국어대사전
공사 따위에서 일정한 순서를 적은 문서. 제품 또는 공사에 필요한 재료의 종류와 품질, 사용처, 시공 방법, 제품의 납기, 준공 기일 등
설계 도면에 나타내기 어려운 사항을 명확하게 기록한다.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8/34


용어의 정리 (미국의 경우)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9/34


용어의 정리 (미국의 경우)
Building Codes /Specifications/ Standards
• Specify minimum design loads
• Provide detailed design rules for different types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load-resisting
systems (often by reference to design specifications)
• Provide building height limitations, requirements for fire protection, means of egress (exit), and
similar provisions
• Main purpose is to protect the public
• Usually become the legal document to be used in design at a given locality

# Examples - State (e.g., Wisconsin) and Major City Codes (e.g., Chicago, New York) – legal doc.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0/34


용어의 정리 (미국의 경우)
Building Codes /Specifications/ Standards
The International Code Council was established in 1994,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single set of national model construction codes. It brought
together three different organizations that had developed three
separate sets of model codes throughout the U.S.

• BOCA National Building Code (BOCA/NBC) by the Building Officials


Code Administrators International (BOCA) - East Coast and Midwest
• Uniform Building Code (UBC) by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Building Officials (ICBO)- West Coast to Midwest
• Standard Building Code (SBC) by the Southern Building Code
Congress International (SBCCI)-Southeast

ICC International Building Code 첫 버전이 2000. Model Code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1/34


용어의 정리 (미국의 경우)
Building Codes /Specifications/ Standards
• Design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published by recognized engineering societies or
institutes:
- American Concrete Institute (ACI) - Concrete Structures
-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AISC) - Steel Structures
-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 - Highway Structure

# Examples – ACI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is the recognized specification for the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ACI 318 is not a legal document, but it is the basis (by reference) of
the design provisions for RC in IBC and local (State) building codes.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2/34


용어의 정리 (미국의 경우)
Building Codes /Specifications/ Standards
•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material classification, material testing, and for computing
design loads
• Standards are not legal documents, but they are referenced in specifications and in building
codes

# Examples –ASCE 7 Minimum Design Loads and Associated


Criteria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Specifies minimum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Specify dimensions,
chemical composi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steel
reinforcing bars, structural steel,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Also specify testing methods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3/34


용어의 정리

그래서………하고 싶은 이야기가……?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4/34


용어의 정리
설계기준의 종류/구분 (Building Codes, Specifications & Standards)

(Building) Code Specification Standard

최소 설계 하중 설계 가이드라인 건설 재료 정의/분류
내용/특징 각 상세 설계 규칙 설계 지침(Recommendations) 재료 시험 방법
건물 층고, 내화설계 등 각 분야 학회에서 출간 설계 하중
법적구속력 有 無 無
International Building Code Amer. Concrete Institute (ACI) Amer. Society for Testing
State and major city Code Amer. Assoc. of State Highway and and Materials(ASTM)
종류 Transp. Officials (AASHTO) American Society of Civil
Amer. Institute of Steel Const.(AISC) Engineers (ASCE)

우리나라 KDS/KCS 00 00 00 는 모두 정부발간 > 법적구속력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5/34
설계기준의 역할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중심으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은 법적으로 채택된 building code의
일부로 사용되고자 함이며, 따라서 상세한 규격, 권장 사례,
완전한 설계 절차 또는 설계 보조 자료를 제공하는 문서와는
형식과 내용이 달라야 한다.
이 코드는 크고 작은 일반적인 유형의 모든 건물을 대상으로
한다. 비정상적인 시공의 경우 이 코드조항보다 더 엄격한
요건이 요구된다. 코드와 해설은 온전한 엔지니어링 지식, 경
험 및 판단을 대체할 수 없다.
building code에는 공공 보건 및 안전을 위해 필요한 최소
요건만 명시되어 있다. 이 코드는 이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어떤 구조물에 대하여, 소유자 또는 면허를 가진 설계 전문
가는 재료 및 시공의 품질을 이 코드에 명시된 일반인을 보
호하는 데 필요한 최소 요건보다 높게 요구할 수 있다. 그러
나 낮은 표준은 허용되지 않는다.
이 코드는 구조물 설계와 시공을 규제할 경찰권을 가진 정부
기관에 의해 채택되지 않는 한 법적 지위를 갖지 않는다. 이
코드가 채택되지 않은 경우, 법적 지위가 없더라도 모범 사
례에 대한 참조가 될 수 있다.
16/34
설계기준의 역할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중심으로)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7/34


설계기준의 역할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 중심으로)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8/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우리나라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의 변천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콘크리트구조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구조계산규준 설계기준 (2016~)
(1962~1999) (1972~1999) (1999~2016) 한국콘크리트학회
대한토목학회 대한건축학회 한국콘크리트학회 &국토교통부
&건설부 &건설부 &국토교통부 (국가건설기준센터)

1962 제정 1972 제정 1999 제정 2016 코드화


1968 개정 1975 개정 2003 개정 2020 개정
1977 개정 1977 개정 2007 개정 2021 개정
1983 개정 1982 개정 2012 개정
1988 개정 1988 개정
1996 개정 1994 개정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19/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우리나라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의 변천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0/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우리나라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의 발전사
대한토목학회 (KSCE) 대한건축학회 (AIK)
1951 대한토목학회(KSCE) 창립 1945 대한건축학회(AIK) 창립
1962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제정 (ASD) 1972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제정 (ASD)
1968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1차 개정 (ASD, appx. USD) 1975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1차 개정
1977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2차 개정 1977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2차 개정
1983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3차 개정 (USD) 1982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3차 개정
1988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4차 개정 (USD, appx. ASD) 1988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4차 개정 (USD)
1996 콘크리트 표준시방서 5차 개정 1994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5차 개정
1999 ‘설계편’은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으로 통합 1999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으로 통합

한국콘크리트학회 (KCI)
1989 한국콘크리트학회(KCI) 창립 2012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3차 개정
2016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코드화 (KDS 14 20 00)
1999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제정
2017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 제정
2003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1차 개정
2020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4차 개정
2007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2차 개정
2021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5차 개정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1/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우리나라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특징
(KDS 14 20 00)
법적 효력 有
• 건물, 교량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은 콘크리
트 설계기준을 따라야 함
다양한 측면에서 기준 제시
• 건물콘크리트 구조물과 부재의 안전성
• 사용성, 내구성, 구조적 거동
ACI 318을 기반
• 설계 철학, 설계 개념, 기준 조항, 형식 등
• 현재 약 20% 이상 우리나라의 현실과 연구결과 반영
별도의 콘크리트공사 시방서(KCS 14 20 00) 발간
• 재료, 품질 관리, 시공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2/34


국내외 주요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주요국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의 종류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설계
기준

발간 국제콘크리트학회(fib) 일본토목학회(JSCE)
(작성) 한국콘크리트학회(KCI) 미국콘크리트학회(ACI)
주체 유럽표준화위원회(CEN) 일본건축학회(AIJ)
Building Regulations for the CEB-FIP ModelCode (1978) JSCE-SSCS (1931)
최초 콘크리트표준시방서 Use of Reinforced Concrete
발간 (1962) Eurocode 2 (2004) AIJ Standard (1933)
(1910)
개정 3회 9회 이상
10회 22회
횟수 0회 14회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3/34
국내외 주요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주요국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의 위상


미국(ACI-318) 유럽(Eurocode2)

70개국에서 채택(그 중 30개국 이상에서 국가 코드로 31개국에서 채택 (EU 27개국 + 비EU 4개국)
채택) ☞ 세계 GDP 약 45%, 세계 인구 30% 해당 - 12개국에서 채택 준비 중
ACI 인증(Certification)은 ACI 을 채택하지 않은 국 기존 EU 각국의 국가 코드를 모두 대체
가에서도 콘크리트 전문가 역량 평가 필수 도구로 인식 EU 국가에서 입찰된 모든 공공사업 시 표준 설계기준
https://www.concrete.org/news/newsdetail.aspx?f=51700829 https://eurocodes.jrc.ec.europa.eu/en-eurocodes/use-outside-
https://www.concrete.org/publications/standards/standardsadoption.aspx euefta-member-states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4/34
국제공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국제 공인 설계기준 (ISO 인증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주관
국제표준화기구/기술위원회71: ISO/TC71

Title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and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P-Members(32 Countries) O-Members(62 Countries)
Chairman Tamon Ueda
Secretariat JISC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Committee)
Activities Plenary meeting & 7 Sub-Committee meetings
https://www.iso.org/committee/49898.html

역할
•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관련 국제 설계기준 발간
• 기존 국가 기준(National codes)의 승인(Approve) 및 인증(Certify)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5/34


국제공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국제 공인 설계기준
국제표준화기구/기술위원회71: ISO/TC71

ISO/TC71 Subcommittees https://www.iso.org/committee/49898.html

SC1 (Secretariat : Israel) SC3 (Secretariat : Norway)


Concrete Production & Execution
Test Methods for Concrete
for Concrete Structures

SC4 (Secretariat : Russia) SC5 (Secretariat : Korea)


5.1 General
Harmonization of Performance Requirements Simplified Design Standard
5.2 Structural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for Concrete Structures for Concrete Structures
5.3 Serviceability limit states
5.4 Durability limit state
SC6 (Secretariat : Japan) SC7 (Secretariat : Korea)
5.5 Fire resistance limit state
Non-traditional Reinforcing Materials Maintenance and Repair
5.6 Fatigue limit state
for Concrete Structures for Concrete Structures

SC8 (Secretariat : Japan)


Environmental management
of Concrete and Concrete Structures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6/34


국제공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국제 공인 설계기준
ISO/TC71/SC4
• 각국의 설계 기준이 ISO 19338에 부합하는지 조사
• “Performance and assessment requirements for design
standards on structural concrete”

국제표준화기구/기술위원회71: ISO/TC71

ISO/TC71 Subcommittees

SC4 (Secretariat : Russia)


Harmonization of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Concrete Structures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7/34


국제공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국제 공인 설계기준
ISO 19338 Requirements
1. Scope 2. Normative reference 3. Terms and definition
4. General Requirements 6. Loadings and actions 7. Assessment
4.1 Overall structural concept 6.1 General 7.1 Materials
5.1 General
4.25.2
Structural
Structuralintegrity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6.2 Load factors 7.2 Analysis of concrete structures
4.35.3
Design approach
Serviceability limit states 6.3 Action combination 7.3 Strength calculations
5.1 General
4.4 Design
5.15.4 service
Durability
General life
limit state 6.4 Permanent loads 7.4 Partial safety factors for materials
5.5 Fire resistance limit ultimate
state and 5.2 Structural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4.5
5.2Workmanship,
Structural safety materials
and limitquality
states 6.5 Variable loads 7.5 Resistance factors
5.1 General
assurance
5.6 Fatigue limit state 5.3 Serviceability limit states
5.3 Serviceability limit states 6.6 Accidental loads 7.65.2
Resistance criteria
5.4 Durability limit state Structural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5.4 Durability limit state 6.75.5
Construction loads 7.75.3
Stability
Fire resistance limit state Serviceability limit states
5.55. Performance
Fire Requirements
resistance limit state
6.85.6
Impact load
Fatigue limit state 7.85.4 Durability
Precast limit state
concrete and composite action
5.1
5.6General
Fatigue limit state
6.9 Earthquake forces 7.95.5 Fire resistance
Prestressed limit state
concrete
5.2 Structural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5.6Design
Fatigue for
limitearthquake
state
6.10 Wind forces 7.10 resistance
5.3 Serviceability limit states
6.11 Environmental actions 7.11 Detailing requirements
5.4 Durability limit state
8. Construction and quality control 7.12 Fire and durability
5.5 Fire resistance limit state
8.1
5.1Construction
General requirements
5.6 Fatigue limit state
8.25.2 Structural
Quality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control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8/34
국제공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국제 공인 설계기준
1. 미국콘크리트학회 설계기준 ACI 318, ACI 343
2. 유럽 설계기준 Eurocode 2
3. 일본 설계기준 AIJ standard, JSCE standard
4. 오스트레일리아 설계기준 AS 3600
5. 콜롬비아 설계기준 Colombian code
6. 사우디 아라비아 설계기준 SB 304
7. 브라질 설계기준 NBR 6118
8. 이집트 설계기준 ECP 203
9. 한국 설계기준 (2010년) KCI Structural Concrete Design Code

1.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현황 29/34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0/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DS 14 20 00)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을 위한 위원회 구성
하위 전문위원회 (45개)
한국콘크리트학회
KCI 101 철근상세위원회 KCI 112 FRP 구조위원회
연구전문위원회 KCI 102 휨-압축위원회 KCI 113 콘크리트원자력구조물위원회

KCI 103 전단-비틀림위원회 KCI 114 콘크리트아치위원회

집필위원회 KCI 104 정착-이음위원회 KCI 115 수중콘크리트구조위원회

KCI 105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위원회 KCI 116 콘크리트부유식구조위원회

KCI 106 슬래브-벽체위원회 KCI 201 레미콘품질관리위원회


구조기준위원회
KCI 107 지하구조물위원회 KCI 202 경량콘크리트위원회

KCI 108 프리캐스트콘크리트위원회 KCI 203 특수환경콘크리트위원회

국가건설기준센터 KCI 109 합성구조위원회



KCI 110 내진설계위원회 ∙
KCI 111 콘크리트전산해석위원회 ∙

https://www.kci.or.kr/board/?_0000_method=view&ncode=a001&category_cd=&num=6324&page=1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1/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DS 14 20 00) 개정 절차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2/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DS 14 20 00) 개정 절차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3/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DS 14 20 00) 개정 절차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4/34


우리나라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KDS 14 20 00) 개정 절차

정부의 국가건설기준 개정 절차
제·개정(안) 학회 소관 부서 국가건설 기준센터 중앙위 기준분과위원장

제·개정(안) 마련 제·개정(안) 접수및 중앙위 요청 소관부서 요청 제


및 관련단체 검토 제·개정추진결정 ·개정(안) 접수

제·개정검토전문위
/기준위자문검토
검토결과 통보
검토(안) 접수
검토결과조치및최 조치결과 및 최종
종심의(안) 작성 심의(안) 협의 최종심의(안) 제출
최종심의(안) 접수

중앙위 심의결과 통보 중앙건설기술심의


중앙위심의결과조 중앙위 위원회 심의
치및최종본마련 심의결과 조치 조치결과 제출
건설기준 제 ·개정
승인
승인결과 통보
고시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5/34


미국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ACI 318)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 이력
Standard Building Regulations for the Use of Reinforce Concrete
1910 Standard No.4 (1st) ☜ It is based on the ultimate strength theory
1920 Standard No.23 (2nd)
Building Regulations for Reinforced Concrete
1936 ACI 501-36T (3rd)
1941 ACI 318-41 (4th) ☜ ACI Building Code is renamed “ACI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Reinforced Concrete


1947 ACI 318-47 (5th)
1951 ACI 318-51 (6th)
1956 ACI 318-56 (7th)
1963 ACI 318-63 (8th) ☜ Commentary and a chapter on prestressed concrete are published
1971 ACI 318-71 (9th) ☜ Ultimate strength design philosophy is adopted and seismic design provisions are published
1977 ACI 318-77 (10th)
1983 ACI 318-83 (11th)
1986 ACI 318-83(Revised 1986) (12th)
1989 ACI 318-89 (13th) ☜ Code and Commentary are published as a single document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6/34
미국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ACI 318)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 이력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1992 ACI 318-89(Revised 1992) (14th)
1995 ACI 318-95 (15th) ☜ Revised and expanded chapter on precast concrete is included
1999 ACI 318-99 (16th)
2002 ACI 318-02 (17th) ☜ A unified design approach based on strain compatibility is used as a basis in the code
ISO recognizes ACI 318-02 as satisfying ISO 19338:2003
2005 ACI 318-05 (18th) ☜ The first time it is published as a PDF and Spanish and Chinese translations are published
2008 ACI 318-08 (19th) ☜ It includes new contents; headed shear stud, headed deformed bars, enhanced structural
integrity reinforcement, new seismic design, expanded provisions on anchoring
2011 ACI 318-11 (20th)
2014 ACI 318-14 (21st) ☜ It is published in a reorganized format; more tables and charts, consistent structure for each
member chapter, fewer cross references, a dedicated chapter on construction requirements
2019 ACI 318-19 (22nd) ☜ It includes new and updated code provisions along with updated color illustration
2022 ACI CODE 318-19(22) (23rd) ☜ ACI update its product designations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7/34


미국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ACI 318)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을 위한 위원회 구성
https://www.concrete.org/committees/directoryofcommittees.aspx

Committees Technical Committees Subcommittees

301 Specifications for 318-0A General, Concrete and Construction


Board Level
100 General 318-0B Anchorage and Reinforcement
Committees Concrete Construction
318-0C Safety, Serviceability, and Analysis
∙ 318-0D Members
Certification
Committees
200 Materials and Properties of ∙ 318-0E Section and Member Strength
Concrete General
∙ 318-0F Foundations
318-0H Seismic Provisions
Technical 300 Design and 318 Structural Concrete
318-0I International Workshop
Committees Construction Building Code
318-0J Joints and Connections
∙ 318-0L International Liaison
Technical
318-0S Spanish Translation
Activities 400 Concrete Reinforcement ∙
and Structural Analysis 318-0T Post-Tensioned Concrete
Committees ∙ 318-1P Precast and Prestressed Concrete
Student and Young 500 Specialized Applications 380 Structural Plain 318-1R Resolution of Anchorage and Development Provisions
Professional Activities and Repair Concrete 318-1W Wind Provisions
Committee 318-2N Sustainability
318-SC Steering Committee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8/34
미국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ACI 318) 개정 절차

설계기준 제개정 절차
ACI TCM-22
Is this ‘Technical Committee Manual’
document to be 90-05 - TAC Construction * ANS : American National Standard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proposed as an Standards Committee TAC : Technical Activities Committee
ANS
PINS : Provisional Improvement Notices

Proposal ACI staff or TAC

Yes Staff submits Submission of the


New standard A 45-day public discussion period
a PINS to ANSI committee-approved
through ACI and ANSI
document for TAC review

Revising No Letter balloting Submission of committee-approved Submission to Standards


Revision of the document in
existing of the draft response to comments received Board and ANSI
response to TAC comments
documents document during the public discussion period for final approval

Committees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39/34


미국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ACI 318) 개정 절차
설계기준 제개정 절차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0/34


미국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ACI 318) 개정 절차

1.2 lack of Dominance, 1.3 Balance, 1.4 Coordination and harmonization, 1.5 Notification
of standards development 1.6 Consideration of views and objections, 1.7 Consensus Vote,
1.8 Appeals ……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1/34


미국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ACI 318)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을 위한 위원회 구성
https://www.concrete.org/committees/directoryofcommittees.aspx

Committees Technical Committees Subcommittees

301 Specifications for 318-0A General, Concrete and Construction


Board Level
100 General 318-0B Anchorage and Reinforcement
Committees Concrete Construction
318-0C Safety, Serviceability, and Analysis
∙ 318-0D Members
Certification
Committees
200 Materials and Properties of ∙ 318-0E Section and Member Strength
Concrete General
∙ 318-0F Foundations
318-0H Seismic Provisions
Technical 300 Design and 318 Structural Concrete
318-0I International Workshop
Committees Construction Building Code
318-0J Joints and Connections
∙ 318-0L International Liaison
Technical
318-0S Spanish Translation
Activities 400 Concrete Reinforcement ∙
and Structural Analysis 318-0T Post-Tensioned Concrete
Committees ∙ 318-1P Precast and Prestressed Concrete
Student and Young 500 Specialized Applications 380 Structural Plain 318-1R Resolution of Anchorage and Development Provisions
Professional Activities and Repair Concrete 318-1W Wind Provisions
Committee 318-2N Sustainability
318-SC Steering Committee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2/34
Voting Members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Subcommittee Members
기타 기타
13% 6%
대학
38% 대학
기업 47%
기업 47%
49%

Non-
P.E. Non-
18% P.E.
30%

P.E.
P.E.
70%
82%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3/34


ACI 318 vs. KDS 14 20 00

기타 기타
9% 8%
기업
12%

대학
기업 44%
48% 대학
80%

ACI 318 KDS 14 20 00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4/34


유럽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Eurocode 2)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 이력
Model Code
1978 CEB-FIP Model Code (1st)
1990 CEB-FIP Model Code (2nd)
2010 fib Model Code (3rd)
2022 fib Model Code (4th)

Eurocode 2
2004 Eurocode 2 (1st)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5/34


유럽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Eurocode 2)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을 위한 위원회 구성(Eurocode 2)


Kuhlmann et al. (2021) Update on the Revision of Eurocode 3, Eurosteel 2021
Management Group
CEN/Technical committee 250 CEN/TC 250 Coordinate Group
Chairman’s Advisory Panel
Structural Eurocode
Horizontal Group Bridges

Horizontal Group Fire


CEN/TC 250 Subcommittees
WG 1 Policy and guidelines
SC 10 SC 4 SC 8
– EN 1990 Basis – EN 1994 Composites – EN 1998 Seismic design

SC 1 SC 5 Other Tier 1 WG’s


– EN 1991 Actions – EN 1995 Timber SC 9
– EN 1999 Aluminum WG 2 Existing Structures
SC 2 SC 6
– EN 1992 Concrete – EN 1996 Masonry WG 3 Fibre reinforced polymer
SC 3 SC 7 SC 9
– EN 1993 Steel – EN 1997 Geotechnics – EN Structural Glass WG 4 Membrane Structures

WG 5 Robustness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6/34
유럽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fib MC)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을 위한 위원회 구성(fib Model Code) https://www.fib-international.org/commissions.html

Commissions Task Groups


COM 1 Concrete Structures TG 2.1– Serviceability Models
TG 2.2 – Ultimate Limit State Models
COM 2 Analysis & Design
TG 2.3 – Fire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COM 3 Existing Concrete Structures ∙

5.1COM 4 Concrete & Concrete Technology
General 5.1 General

TG 2.13 – Design and Assessment for Tsunami Loading
5.2 Structural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5.2 Structural safety and ultimate limit states
COMlimit
5.3 Serviceability 5 Reinforcements
states TG 5.3
7.1Serviceability
– Sustainable limit Concrete-General
states Framework
5.4 Durability limit state 5.4 Durability limit state
COM 6 Prefabrication TG 5.5
7.2Fire
– Concrete
5.5 Fire resistance limit state resistance Mad with Recycled Materials
limit state
5.6 Fatigue limit
COM state7 Sustainability TG 5.6
7.3Fatigue limit state Civil Structures
– Sustainable

COM 8 Durability



COM 9 Dissemination of Knowledge TG 7.8 – Recycled Materials and Industrial Byproducts

COM 10 Model Codes TG 10.1 – Model Code 2020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47/34


일본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 이력(JSCE)
콘크리트표준시방서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ncrete Structures)
1931 ☜ First version published



1986 ☜ Introduced the limit state design method
1996 ☜ Introduced the performance-based design method in its seismic design part
1999
2000
2001 ☜ Fully implemented the performance-based design
2002
2007
2012
http://www.jsce.or.jp/committee/concrete/e/newsletter/std2007/history.html
2017 Ueda, Tamon & Takewaka, Koji. (2007). Performance-based Standard Specification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oncrete Structures in Japan. Structural Engineering International. 17. 359-366.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10.2749/101686607782359119. 48/34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 이력(AIJ)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Standard for Structural Calc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1933
1937
1947
1949
1958
1962 ☜ 구조용 경량 골재 콘크리트 도입
1971 ☜ 콘크리트 및 철근 종류 확장
1975
1979 ☜ 기초편 개정
1982 ☜ 건축 기준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개정
1988
1991 ☜ SI 단위계 사용
1999
2010
2018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AIJ Standard for Structural Calcula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49/34
일본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설계기준 위원회 구성(JSCE-콘크리트 표준시방서)


Research Committees Subcommittees
100-a 콘크리트위원회
Structural Engineering 제1종 위원회
100-b 상임위원회

∙ 101 시방서 개정 소위원회


∙ ∙


∙ 115 영문판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 소위원회

201 콘크리트 교육 연구 소위원회


Concrete 제 2종 위원회
202 영문 라이브러리 간행 편집 소위원회
∙ ∙


∙ 234 탄소 중립을 위한 콘크리트 분야의 신기술 활용에 대한 연구 소위원회

301 구성 모델 소위원회
Steel Structures 제 3종 위원회 ∙


365 화해를입은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손상과성능평가에관한조사연구소위원회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50/34


일본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설계기준 개정 절차(JSCE-콘크리트 표준시방서)
Research
Committees
Structural Engineering ∙ ∙ ∙ Concrete ∙ ∙ ∙ Steel Structures

Sub 100-a 101 301


Committees 콘크리트위원회 ∙ ∙ ∙ 시방서개정위원회 ∙ ∙ ∙ 구성 모델 소위원회

WG
1 WG (기술적문제정리) 시방서 개정을 위한 심의 미완료 과제 및 향후 도입 필요 과제 등의 정리 자체 논의 가능

2 WG (설문조사) 토목 분야 기술자 대상 시방서의 이해 현황 및 또한 관련 요구 사항 조사 (1년 이내 完) 자체 논의 가능

3 WG (구성검토) 시방서의 구성 및 내용의 구성과 기술 내용의 무결성 검토


각 WG 업무의
4 WG (공통편) 각 분야별로 제정된 시방서의 전체적인 틀과 그 내용을 전망할 수 있는 공통편의 작성 유기적 관계로
3~5 WG 간 합동
5 WG (환경) 지속 발전 가능 사회 건설을 위해 시방서로 다루어야 할 내용 검토 논의 필요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http://www.jsce.or.jp/committee/concrete/report.pdf 51/34


일본의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설계기준 위원회 구성(AIJ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Research Committees Managing Committees Subcommittees
Applied Mechanics
Building Materials and RC규준개정 소위원회
Construction Procedure Loads and Actions on Buildings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프리캐스트지침개정 소위원회
∙ Building Foundations
∙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응답 스펙트럼에 의한 내진 설계법 개정
Timber Structures
Structures 소위원회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Steel Structures RC보유수평내력계산표준개정검토
∙ 소위원회
∙ Shell & Spatial Structures
∙ Engineering Seismology and Structural Dynamics
RC구조성능평가법검토 소위원회
Temporary Structures
Environmental
Engineering Box-Shaped Wall Structures 기존 중층RC건물 내진성능 평가지침 작성
Nuclear Power Facilities 소위원회

2. 국내외 콘크리트구조 설계기준 개정 절차 https://www.aij.or.jp/gakujutsushinko.html 52/34


3. 맺음말

53/34
맺음말

 우리나라 (콘크리트)설계기준은 공인된 국제수준의 설계기준으로 일본도 부러워


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음.
 이것은 그 동안 많은 전문가가 헌신적인 봉사를 한 결과임.
 그러나, 산업계의 실무자 그리고 발주처 공무원들의 설계기준 제개정 작업 참여도
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며, 조속히 개선되어야 할 심각한 문제임.
 설계기준 제개정은 민간에 전적으로 믿고 맡기어 설계기준이 생동감있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해야함.
 정부는 Building Code와 같이 법조항에 준하는 주요사항만을 자체적으로 제개
정 관리해야 함.

54/34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Special thanks to
박자민 박사
안혁준 군, 황도영 군
Prof. Jose A Pincheira (Univ. of Wisconsin-Madison)
Prof. Tamon Ueda (JSCE President)

55/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