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미국, 대중과 과학자의 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과학기술기반과
미국의 비영리 조사기관인 The Pew Research Center에서 발표한 미국
대중과 과학자의 과학에 대한 인식 조사 보고서* 내용을 보고함
* PUBLIC PRAISES SCIENCE; SCIENTISTS FAULT PUBLIC, MEDIA, 2009.7
※ 본 내용은 KISTEP(정책기획실)에서 정리·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임
1. 개요

□ 와 미국과학진흥협회
는 일반인과 과학자의
The Pew Research Center (AAAS, American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9.4~6)

※ 설문내용 : ①대중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 ②과학자의 본인 전공분야에


대한 인식, ③연구비 지원에 대한 인식, ④과학자의 정치, 종교에 대한 인
식, ⑤진화론, 기후변화 및 기타 이슈에 대한 인식, ⑥과학자의 직업에 대한
인식, ⑦대중의 과학에 대한 관심 및 지식 수준
○ 일반적으로 미국인은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며 특히 의학 생명과학의 사회기여를 긍정적으로 평가
,

○ 일부 사항에 대해서는 대중과 과학자들 간에 인식 차이를 보임


일반인은 미국의 과학적 업적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다고
보는 반면 과학자들은 높게 평가
-

일반인은 과학자를 긍정적으로 보는 반면 과학자는 일반인의


과학에 대한 무지가 과학발전의 장애로 작용한다고 생각
- ,

○ 연구비 부족을 연구활동의 가장 큰 장애로 지적하였으며


정부가 연구비 지원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과학
,

기술분야 투자가 장기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인식


○ 과학자들은 민주당 지지자가 더 많으며 오바마 정권이 과학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

○ 일반인과 과학자 모두 사회적 논란이 있는 과학적 이슈에


관한 토론에 과학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
- 1 -
2. 설문조사 결과

대중의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인식
○ 대다수 가 과학의 사회에 대한 기여를 긍정적으로 평가
(84%)

는 과학이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왔다고 응답 반대


- 83% , 10%

○ 응답자의 가 과학자의 사회기여도가 높다고 평가


70%

고학력 고소득 집단일수록 과학자의 사회기여도를 높게 평가


-

○ 미국인의 만이 미국의 과학적 업적을 세계최고로 평가


17%

하며 는 평균 이상으로 인식
, 47%

구분 응답률
기여도가 높은 의학 우주탐사 환경 기후변화 연구
과학분야 컴퓨터 통신기술
(52%), (7%), (7%),

사회에 대한 (6%)

기여 긍정적 영향을 준 보건 식량 환경
과학분야 (85%), (66%), (66%)

과학자의 사회 직업군별 군인 교사 과학자


기여도 사회기여도 의사 엔지니어
(84%), (77%), (70%),

(69%), (64%)

미국의 과학적 분야별 세계최고 군사력 생활수준 정치제도


업적 수준 평가 비중 과학적 업적 의료 서비스 경제
(42%), (22%), (19%),

(17%), (15%), (12%)

과학자의 본인 전공분야에 대한 인식
○ 과학자의 는 지금이 과학분야에 종사하기 좋은 시기이며
76% ,

는 지금이 본인의 전공분야에 종사하기 좋은 시기로 평가


73%

○ 일반인들의 낮은 평가와 달리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미국의 ,

과학적 업적이 세계최고 평균이상 라고 응답 (49%), (45%)

생의학 보건분야의 과학적 업적을 최고로 꼽은 사람이


- 55%,

인간게놈프로젝트를 답한 사람이 를 차지 39%

○ 과학자들은 대중과의 소통 및 교육을 문제점으로 인식


- 와 신문 의 과학보도 기사의 질이 낮다고 평가
TV(83%) (63%)

과학자의 는 대중의 과학에 대한 낮은 이해도를 심각한


- 85%

문제로 꼽음
- 2 -
○ 과학자의 는 비과학자 집단과 소통의 기회를 갖는다고
77%

응답하였고 사회적 논란이 되는 연구주제에 대한 공공토론회가


,

대중 정책입안자
(88%), 과학자 에게 유용하다고 인식
(87%), (83%)

 연구비 지원에 대한 인식
○ 과학자들은 연구비 부족 과 비자 이민문제 를 질 높은
*
(87%) (56%)

연구 수행에 심각한 장애로 꼽음


* 기초분야(89%), 응용분야(84%)에 관계없이 이러한 견해를 보임
○ 과학자들은 위험부담이 낮으면서 성과도 작은 과제 (Low-risk,

에 연구비가 많이 할당된다는 견해를 가지고


Low-return project)

있으며 연구비를 쉽게 받을 수 있는 분야 를 연구하려는


, (76%)

경향이 연구방향에 큰 영향을 준다고 응답


구분 응답률
기초연구비 부족 외국인 과학자 학생의
연구활동에 대한 장애요소 비자 이민문제 동물실험규제
(87%),

기술수출 통제
(56%), (27%),

(21%)

과학자들의 ․대체로 위험부담은 작으면서 성과도 작은 연구가


연구비 지원을 받음
연구비 할당에
과학자들의 대한 견해 ․대체로 위험부담은 크지만 성과가 큰 연구가 연구비
(59%)

연구비 지원 지원을 받음 (5%)

문제에 대한 연구방향에 ․연구비 지원을 잘 해주는 분야 선택 경향


인식 큰 영향을 주는 ․성과가 빨리 나오는 과제에 집중하는 경향
(76%)

요소 ․정치 집단 및 정치가의 영향
(66%)

․연구결과의 상품화에 대한 강조
(50%)

(40%)

○ 약 절반의 과학자들 은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면


(47%)

돈이 되는 연구과제를 수행할 것이라고 응답


○ 대부분 의 과학자들은 본인의 연구분야에서 연구비를
(84%)

제공하는 가장 중요한 주체로 정부를 꼽음


○ 일반인의 는 과학발전을 위해 정부 지원이 반드시 필요
60%

하며 정부의 기초과학연구 와 공학 기술 에 대한
, (73%) (74%)

지원이 장기적으로 투자 가치가 있다고 평가


- 3 -
과학자 정치 종교에 대한 인식 , ,

○ 의 과학자들은 정부 입장에 반대되는 연구결과에 대해 부시


85%

행정부가 발표를 억압했다는 얘기를 접했고 의 과학자는 , 77%

이를 사실로 믿음
○ 대부분의 일반인 과 과학자들 은 사회적으로 민감한 (76%) (97%)

과학주제 와 관련해 과학자의 활발한 정치 참여를 긍정적으로 평가


*

* 배아줄기세포 연구, 동물사용 연구, 원자력발전소 건설, 어린이 예방접종 등


○ 과학자들이 응답한 정치적 성향은 진보 중립 보수 56%, 42%, 2%

○ 일반인의 가 신을 믿는데 반해 과학자는 에 불과


83% 33%

 진화론 기후변화 및 기타 이슈에 대한 인식


,

○ 일반인의 가 진화론을 믿는데 반해 과학자의 가 믿음


61% , 97%

○ 일반인 가 지구온난화를 알고 있으나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85% ,

인간활동이라고 생각하는 일반인은 인 반면 과학자는 49% , 84%

과학자의 는 지구온난화를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는


- 70%

반면 일반인은 만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


, 47%

공화당 지지자의 는 지구온난화가 자연적인 현상이라는데 반해


- 67%

민주당 지지자의 는 인간활동에 의한 인위적 현상으로 생각


64%

 과학자의 직업에 대한 인식
○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과학자의 는 지금이 과학자라는 67%

직업을 선택하기에 좋은 시기라고 응답


○ 과학자라는 직업을 선택한 중요한 이유로 지적 호기심의 만족과
사회 기여 및 중요 업적 배출 등을 꼽았으며 금전적 보상은 ,

별로 중요치 않다고 응답 (66%)

구분 응답률
과학자라는 직업 선택시 경제적 측면 일자리 교육
고민되는 사항 개인 희생 비전 창의성 부족 등
(56%), (36%), (12%),

(9%), (7%)

과학자라는 직업을 ․과학적 문제 해결을 통한 지적 호기심의 만족


․사회 기여를 통해 얻는 보람
(99%)

선택한 이유 ․중요한 과학적 발견 ․금전적 보상 (74%),


(81%)

(34%)

- 4 -
○ 과학자의 는 자신의 전공분야가 학제적 특성을 띄며 는
81% , 95%

자신의 전공 이외 분야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


- 자신의 전공분야가 학제적 성격을 띈다고 답한 과학자일수록
본인 전공 이외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는 응답이 많음
 대중의 과학에 대한 관심 및 지식 수준
○ 일반인의 는 최신 과학뉴스를 확인한다고 답하였으며
76% ,

고학력 고연령일수록 과학에 대한 관심이 높음


○ 명의 일반성인을 대상으로 문항의 온라인 과학상식
1,005 12

퀴즈를 실시한 결과 평균정답률은 퀴즈는 별첨 참조 65% ( < 1> )

3. 정책적 시사점

□ 국민이 필요로 하고 재미있게 즐기는 과학기술문화의 확산을


통해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 과학관 확충 과학방송 활성화 방과후 생활과학교실 확대
, ,

등을 통해 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소양 함양
※ 국민의 과학기술 관심지수 : 한국 48.8점(’06), 미국 67.5점(’01), EU 54점(’05)
○ 과학기술과 타 분야 전문가 사이의 교류 사회적 논란이 되는 ,

과학적 이슈에 대한 공공토론회 개최 확대 등을 통해 과학


기술계와 사회와의 소통 강화
□ 공동체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한 국민요구가
증대하면서 대중에게 지지와 신뢰를 기반으로 한 과학기술인의
올바른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개념 정립 및 홍보활동 필요
○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국민의 ‘

연구개발 이해 사업의 확대 및 출연 연 정부연구비 지원


*
(PUR )' ( ),

대학 등 국공립 연구개발기관의 홍보활동 강화


* PUR : Public Understanding of Research

- 5 -
< 별첨 1> 온라인 과학상식 퀴즈 문항 및 정답률 (12 문항 )

No 과학상식 퀴즈 문항 정답 정답률
1 심장마비를 예방하기 위한 약은 ? 아스피린 91%

2 는
GPS 에 의해 작동한다
( ) . 위성 82%

3 쓰나미는 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 . 지진 77%

4 대륙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이동하고 있다 . 사실


True( ) 76%

과학자들은 가 기온 상승을 초래한다고 이산화탄소


생각한다
( )
5 65%
. (CO2)

6 모든 방사능은 인공적으로 발생한다 . 거짓


False( ) 63%

7 화성에서는 최근 이 발견되었다 ( ) . 물 61%

태양계의 는 더 이상 행성으로 취급하지 명왕성


않는다
( )
8 60%
.

9 항생제는 바이러스를 죽인다 . 거짓


False( ) 54%

줄기세포가 다른 세포랑 다른 이유는 여러 가지


10 ?
세포로 성장 52%

11 레이저는 음파를 집중시켜 발생시킨다 . 거짓


False( ) 47%

12 전자는 원자보다 크기가 작다 . 사실


True( ) 46%

※ 성인 1,005명 대상, 2009년 6월 실시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