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자연과학의발달사

1부 강의계획서 & 과학이란 무엇인가


정동욱 (철학과)
➤ 연구분야 : 과학철학, 서양근대철학

➤ 연구실 : 101동 418호 (055-772-1154)

➤ 이메일 : zolaist@gmail.com

➤ 홈페이지 : http://zolaist.gnu.ac.kr / http://zolaist.org/wiki


1부의 수업 목표
➤ 자연과학의발달사 1부는 소위 ‘과학혁명(The Scientific Revolution)’이라고 부
르는 사건을 이해하는 데 할애된다. 16, 17세기 유럽에서는 자연에 대한 이해 방
식과 탐구 방식이 급진적으로 변화했는데, 2천년 동안 우주의 중심에 있던 지구는
태양이라는 별의 여러 행성들 중 하나로 전락하고, 저마다의 목적을 지향하는 존
재로 간주되었던 자연물들은 한낱 수동적인 물질 또는 기계로 취급되며, 자연을
탐구하기 위해 수학과 실험이 적극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변화는 어떻
게 일어날 수 있었으며, 왜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 이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자연에 대한 유럽의 표준적인 이해 방식이 정착된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할 것이다. 그로부터 우리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
레스에 의해 창안된 지식 체계가 얼마나 강력한 설명력을 갖추고 있었는지 이해하
고, 그 강력한 체계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얼마나 힘든 일이었는지, 그럼에도 그렇
게 힘든 일이 일어나기 위해 어떤 일들이 필요했는지에 대해 깨닫고, 그 결과 형성
된 근대 과학이 얼마나 창조적인 노력의 결과물이었는지 이해하게 될 것이다.
수업 일정
➤ 1주 (03/02) 오리엔테이션 : 과학이란 무엇인가

➤ 2주 (03/09) 세상 만물을 설명하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3주 (03/16) 하늘의 수학자, 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

➤ 4주 (03/23) 태양숭배자 케플러와 선동가 갈릴레오

➤ 5주 (03/30) 보편 법칙을 제안하다, 데카르트와 뉴턴 [1차 시험]


참고도서
➤ 데이비드 우튼, 『과학이라는 발명』, 정태훈 옮김 (김영사, 2020)

➤ 로런스 M. 프린시프, 『과학혁명』, 노태복 옮김 (교유서가, 2017)

➤ 토머스 쿤, 『코페르니쿠스 혁명』, 정동욱 옮김 (지만지, 2016)

➤ 피터 디어, 『과학혁명 : 유럽의 지식과 야망, 1500~1700』, 정원


옮김 (뿌리와이파리, 2011)
과학이란 무엇인가
➤ 지식으로서의 과학 : 법칙, 방정식, 교과서, 논문 …

➤ 방법으로서의 과학 : 실험, 측정, 입증, 수학적 분석 …

➤ 제도로서의 과학 : 학교, 연구소, 학회, 저널, 동료 평가 …

➤ 과학은 언제 시작?

➤ ‘scientia'라는 라틴어는 과학보다는 지식 일반을 가리키던 말

➤ 16,17세기 과학자들은 자신을 ‘자연철학자’,‘실험철학자’ 등으로 부름

➤ ‘과학자(scientist)’라는 말은 19세기 휴얼이라는 학자가 만든 신조어

➤ 한자어 ‘과학(科學)’은 일본 학자들이 ‘science’를 번역하면서 만든 말

➤ 그럼에도 자연에 대한 이해 노력은 모든 시대와 모든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


재했으며, 그러한 노력들은 현대의 과학과 연속성을 가짐
과학의 기원
왕비 카시오페아
➤ 에티오피아(Ethiopia)의 아름다운 왕비 카시오
페아는 허영심이 강해 어느 날 바다의 요정 네레
이드(Nereid)들보다 자신이 더 아름답다고 자랑
했다.

➤ 화가 난 네레이드들은 바다의 신 포세이돈


(Poseidon)에게 복수를 해달라고 요청했고 포세
이돈은 바다괴물을 보내 에티오피아를 황폐하게
만든다. 신탁에서 그녀의 딸 안드로메다를 괴물
의 제물로 바쳐야 이 재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여 안드로메다는 고래의 제물로 바쳐지는데,

➤ 이때 메두사를 처치하고 돌아가던 페르세우스는


그녀를 보고 내려와 이런 사연을 알게 되고 괴물
고래와 사투를 벌여 처치하고 안드로메다를 구해
낸다.

➤ 후에 포세이돈은 하늘에 그녀를 거꾸로 앉아있


는 모습으로 별자리를 만들고 일년 내내 보이게
해서 사람들에게 창피를 당하게 했다고 한다.
우주는 거대한 현금

피타고라스의 우주관
자연에 대한 관찰과 상상에 기초한 설명
➤ 세계에 대한 일종의 ‘그림’

➤ 재현(再現, representation)

➤ 세계에 대한 그럴듯한 설명

➤ 자연에 의미 부여

➤ 자연에 대한 관찰은 때로 실용적


자연에 대한 설명은 대부분 신화적 세계관의 일부
자연철학의 탄생
기원전 600~300년, 고대 그리스
탈레스(기원전 624?-548?)
➤ 최초의 자연철학자?
➤ 지식 자체를 위한 지식 탐구
➤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된 설명
지구는 물 위에 나무토막이나 배처
럼 떠 있으며, 지진은 물의 움직임 때
문에 발생한다.
➤ 수학적 증명에 대한 관심

➤ 새로운 과학적 질문
세계는 무엇으로 이루어졌는가?
물질의 기초와 변화에 대한 논쟁

물(water)
탈레스 ∞ 무한자(apeiron)
아낙시만드로스

공기(pneuma) 4원소
아낙시메네스 엠페도클레스

합리적 비판과 논쟁의 전통


(C.f. 피타고라스 : 수, 데모크리토스 : 원자)
특징
➤ 비실용적인 근본적인 문제에 관심
➤ 자연에 대한 탈신비화된 설명
➤ 보편적 현상에 대한 일반적 해명
➤ 합리적 비판과 논쟁의 전통

➤ 왜 이런 특징이 그리스에서?
➤ 법률적 활동과의 관련성
➤ 다양한 정치 체제의 경험
➤ 철학자의 주된 수입은 국가의 후
원이 아닌 제자들의 수업료
➤ 명성을 쌓기 위해서는 경쟁 철학
자와의 논쟁에서 승리해야
Thank you!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