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2023년 2학기 CU리더십 (분반: 1, 2)

본 자료를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할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조치합니다.

9강. 리더의 정서 역량
( ) 팀 / 팀장(이름) : / 팀원(이름):

2번째 팀장을 하면서!


: 팀장만 작성하시오. (팀장은 LMS에 팀원 4명의 댓글을 모두 확인한 후 작성하고, LMS에 아래
항목을 댓글로 작성)

: Q1. 피드백을 받은 내용은 무엇이며?

: Q2. 피드백을 받은 소감은 어떠한가?

→ 팀원들은 매차시 팀장에게 피드백을 작성해주어야 합니다.


→ LMS 각 차시별로 팀 프로젝트에 댓글로 팀원들이 작성해주어야 합니다.
→ 피드백은 팀장으로서 잘한 점을 중심으로 적고, 3차시에 리더십 개발과 관련한 다짐이 잘 실천되고 있는지를
알려주어야 합니다.

팀원별 [첨부 1. 정서 인식: 분노], [첨부 2. 정서 조절: 분노]를 작성 후


각자 발표하고 소감을 나누시오.

→ ‘정서 인식, 정서 표현, 정서 조절’ 중 ‘정서 표현’은 차후 ‘의사소통’ 강의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 원활한 팀 활동을 위해 본 강의와 관련이 없는 사람/경우를 작성하고 발표해야 합니다.
→ 이 활동에 대한 내용은 비밀 엄수

※ (팀원 각자가 작성한) 전원의 ‘첨부 1과 첨부 2’를 제출하면 됩니다.

- 1 -
2023년 2학기 CU리더십 (분반: 1, 2)
본 자료를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할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조치합니다.

[첨부 1] 정서 인식: 분노 알아차림


( ) 팀 / 팀장(이름) : / 팀원(이름):

‣ 분노 상황에서 경험하는 ‘신체증상-대처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최근에 날 자주 화나게 하는 사람이 있으면 한 명 떠올려보세요.

※ 원활한 팀 활동을 위해 본 강의와 관련이 없는 사람/경우를 작성하고 발표해야 합니다.


※ 이 활동에 대한 내용은 비밀 엄수!!!

2) 그 사람과 있었던 화가 나는 상황을 눈을 감고 생생하게 떠올려 보세요.

3) 그 때의 ‘상황: 신체증상-대처행동 / 실제로 하고 싶었던 행동’을 써보세요.

상황

신체증상

대처행동
(그 당시)

실제로 하고
싶었던 행동

- 2 -
2023년 2학기 CU리더십 (분반: 1, 2)
본 자료를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할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조치합니다.

[첨부 2] 정서 조절: 분노 대처

( ) 팀 / 팀장(이름) : / 팀원(이름):

1) 첨부 1의 분노 상황에서 떠오른 ‘자동적 사고’를 작성한 후

2) 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을 찾아 작성하자.

3) 본인이 찾은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 ‘논박 및 적응적 사고’, ‘건설적 행동’을 작성하자.

4) 팀 내에서 자신의 ‘비합리적 신념, 논박 및 적응적 사고, 건설적 행동’을 토의하자.

5) 본인의 작성 내용과 팀원이 제시한 의견을 종합하여 수정· 보완하자.

상황

떠오른
자동적
사고

비합리적
신념

종합·수정·보완:

논박 및
적응적
사고
종합·수정·보완:

건설적
행동

종합·수정·보완:

- 3 -
2023년 2학기 CU리더십 (분반: 1, 2)
본 자료를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할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조치합니다.

[첨부 1] 참고자료

1. 신체적 반응의 예시
- 입을 꽉 다문다 - 얼굴이 붉어진다 - 눈을 부릅뜬다 - 식은 땀이 난다 - 머릿속이 멍해진다
- 두통 - 얼굴 표정이 굳는다 - 신경이 아주 날카로워진다 - 어지럽다
- 심장 박동이 빨라진다 - 입술이나 손, 혹은 몸이 떨린다 - 어깨가 뻐근해진다 - 속이 거북해진다
- 손에 땀이 나서 끈적거린다 - 메스껍거나 토할 것 같다 - 소화가 잘 안 된다 - 한숨이 나온다
- 몸을 가만히 두지 못하고 불안해하고 이리저리 움직인다 - 몸이 굳는다 - 힘이 빠진다
- 목소리가 나도 모르게 커진다 - 속으로 상대방에 대한 악담이나 저주, 야유를 중얼거린다
- 음성이 아주 차가워진다 - 목소리가 떨린다 - 기타 ( )

2. 대처 행동의 예시
- 방에 처박혀 있는다. - 가만히 있는다. - 입술을 깨문다. - 혼자 있을 때 욕을 해댄다.
-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신다. - 잠을 잔다. - 잠을 못 잔다. - 운다. - 닥치는 대로 먹는다.
- 내가 하던 일을 계속한다.(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 TV, 영화, 만화책을 본다.
- 마구 욕설을 퍼붓는다. - 주먹질을 하고 싸운다. - 고함을 지른다. - 물건을 던지거나 부순다. 등

3. 자동적 사고의 예시

자동적 사고란? 분노에 대한 인지적 이해

- 머릿속에 언어/심상의 형태로 갑자기 빠르게 스쳐가고 신중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 자발적으로 발생하고 의도적/심사숙고해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① 잘못되었다.

② 의도적이다. / 통제할 수 있는 일이다.

③ 난 잘못이나 책임이 없다. / 전적으로 남 탓이다.

④ 경멸이나 처벌받아 마땅하다.

# 사례
동아리 모임에 자주 늦는 친구가 있다. 이번에 역시 1시간이나 늦게 왔다. 그래서 모임이 예정보다
많이 지체되었다. 늦게 왔으면서도 미안한 기색도 하나 없다.

“뭐 저런 인간이 다 있나(④). 여러 사람이 함께 갖는 모임인데 어떻게 1시간이나 늦을 수가 있나

(①). 많은 사람한테 이렇게 피해를 주다니 그런 일은 절대 있어서는 안 된다(①). 동아리 사람들을

얼마나 만만하게 보면 저럴까(②). 저런 인간은 단단히 혼나야 한다(③,④). 묻는 말에 대꾸도 하지

말고 인사도 받아주지 말아야지. 상종을 하지 말아야겠다(④).”

- 4 -
2023년 2학기 CU리더십 (분반: 1, 2)
본 자료를 무단으로 전재하거나 복제할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조치합니다.

[첨부 2] 참고자료

학기말 성적이 나왔는데, 내 보고서를 보고 베껴 쓴 친구가 나보다 성적이 더 좋았다.


상황 근데 그 친구는 날 보더니 미안해하기보다는 오히려 싱글벙글 하면서 나를 비웃는 것이
아닌가!
말도 안되는 일이다. 어떻게 내걸 보고 쓴 애가 성적이 더 좋을 수가 있나. 너무 억울한
일이다. 교수님이 보고서를 제대로 안 보게 틀림없다.
떠오른
교수님이 원망스럽다. 내가 도와줬던 녀석이 미안해하지는 않고 오히려 날 보고 비웃을
자동적
수가 있나! 너무 이기적인 녀석이다. 그런 녀석은 한번 혼이 나야 한다.
사고
기분 나쁘다. 다시는 보고서를 보여주나 봐라. 앞으로 말 섞을 일도 없다. 교수님께
다시 가서 보고서를 확인해 달라고 해 봐야겠다.
노력한 만큼 보상을 받아야 한다.
은혜를 저버려서는 절대 안 된다.
비합리적
그런 인간은 반드시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신념
교수님은 아주 엄격하고 정확하게 성적을 주셔야 한다.
학점이 중요한 만큼 한 치의 실수도 용납이 안 된다.
내 성적이 더 잘 안 나온 것은 유감스럽지만 세상일이 기대대로 공정하게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논박 및
교수님도 여러 학생들 보고서를 보다 보면 공정하게 심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적응적
있다. 조교가 했을 수도 있지 않은가?
사고
친구는 날 비웃는다기 보다 성적이 잘 나와서 기분 좋아 웃었는지 모른다.
비록 친구가 날 배려하지는 못했다 해도 그것으로 걔를 나무랄 권리도 내겐 없다
그렇다고 친구가 내 보고서를 베껴 썼다고 고자질 할 수도 없는게 아닌가.
건설적
그러니 잊어버리자. 대신 성적이 잘 나온 친구에게 밥이라도 한 끼 사라고 하자.
행동
내가 그 정도는 얻어 먹을 수 있다.

비합리적 신념의 예시

- 사람들은 항상 바르게(혹은 내가 옳다고 믿는 대로) 행동해야 한다.


- 세상은 공정해야 하며, 사람들은 항상 도덕적이고 친절해야 한다.
- 나는 항상 공정하게 대우받아야 한다(혹은 부당한 대우는 절대 받아서는 안된다.).
- 나는 다른 사람으로 인해서 피해를 받거나 불편을 겪어서는 절대 안된다.
- 누가 나쁜 짓을 했으면, 그는 벌을 받아 마땅한 몹쓸 인간이다.

합리적인 대처 신념 예시

-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와 신념에 따라 행동한다. 그들은 그들이 하고싶은 대로 할 것이다.


- 내가 원하는 대로 반드시 행동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 나는 세상이 항상 공정했으면 좋겠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세상은 그렇지 않다.
- 내가 항상 공정하게 대우 받아야만 한다는 이유가 어디있는가? 그것은 나의 소망일 뿐이다.
- 세상은 부정과 부당함으로 가득 차 있다. 때때로 내 몫을 정당하게 챙길 수 있다.
- 정의는 상당히 주 관적인 것이다.

- 어 사람에게 공정한 것이 다른 이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 사람들은 때로 나 쁘게 행동한다. 나 역 시 그렇다. 그게 현실
이다. 나는 내가 그렇게 살

갈 밖 수 에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