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Journal of Hotel & Resort

Vol. 21 No. 4(163p∼182p)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Medical Tourism Type on Medical Service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신형섭**
Shin, Hyung-sup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medical service value, behavioral intention,
and medical service value of the type of medical tourism was analyzed. SPSS WIN on a
5-point Likert scale for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tourists from 10 general hospitals in
Seoul. 326 copies (93.1%) of the 24.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ere used as valid sample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it was analyzed that medical tourism-type disease
treatment, cosmetic/plastic treatment, and traditional trea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valuation of medical service value, while recreational treatment did not. Second, the medical
service value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medical tourism-type disease treatment, cosmetic/plastic treatment, and
recreation trea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traditional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ehavioral intention. Fourth, the medical service value, which is
a parameter,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disease treatment, cosmetic plastic treatment, recreation treatment, and traditional treatment,
which are types of medical touris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ttributes of medical tourists, the higher the perceived
medical service value.

key words : Medical Tourist Types, Service Value, Behavioral Intent

*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원광보건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서 수행함


**원광보건대학교 글로벌호텔관광과 교수
Professor. Department of Global Hotel Tourism, Wonkwang Health University. e-mail: hs1392@hanmail.net
164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Ⅰ. 서 론

세계적으로 의료서비스 산업이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최근


차세대 친환경 산업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으며(석수선, 2016)), 헬스케어 산업 중에서
가장 빠르게 지속가능한 성장하는 분야로 가능성을 더 기대할 수 있다(김광용·김선영,
2018). 따라서 의료관광은 기존 치료 위주의 서비스 제공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망산업으로 발전하고 있고 사후치료가 아닌 예방의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전문화된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위희수·박송춘·박지은, 2019). 과거 2009년에
는 6만명을 시작으로 연평균 23.5%의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었고, 2019년에는 49만명을
유치하면서 누적 의료관광객이 276만명을 달성하였으며 진료 수입도 3조원을 육박하고
있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0). 최근 시장경제가 불안정한 가운데에도 전 세계 의료관
광 시장의 규모는 2018년 약 20조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코로나19 펜데믹
현상으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면서 의료관광객이 다소 급감하고 있다(최미선, 2019).
이에 따른 의료관광 산업이 각광을 받는 큰 이유 중 하나는 타 산업과의 시너지효과로
단순히 진료를 받기 위한 맹목적인 방문이 아니라 숙박업, 요식업, 운송업 등 필수적으로
부가적인 소비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조승아ㆍ최승담, 2016). 최근 의료관광객 수요
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국가적 차원에서 관련 제도와 전문인력 양성의 부족 등 인프라
구축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의료관광은 일반관광과 연계할 수 있고 체류
기간이 길기 때문에 진료 수입에 따른 경제유발 효과 및 고용창출 효과 등 경제적 파급효과
가 매우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황재영, 2010). 이와 관련하여 의료관광객의 유형을
추정하거나 그 활용성에 관한 연구의 확대보다는 새로운 의료관광객 중심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측정할 수 있는 의료관광 치료 가치 추정(조구현, 2006; 김유진,
2017: 최미선, 2019; 김동영, 2010), 의료보안 및 정보 소프트웨어 활용 가능성(Reddy,
York & Brannon,2010; 장세경․백종선, 2017; 조승아 ․최승담, 2016)과 주요 의료관광
속성요인 중심(정진수, 2009;신재기·유명희, 2009;서미란, 2015; 최미선, 2019)등 의
료관광객의 심리 행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개념적 요소로 탐색적 기존연
구들이 이어져 왔다. 또한 의료관광객이 인식과 지각하는 의료 서비스가치(Baker, 1990;
Gooding, 1995; 염영희ㆍ이인자, 2010 ;위희수·박송춘·박지은, 2019; 곽동현, 2019)
가 주목을 받고 있는 이 시점에서 의료산업의 경쟁 심화는 관광객 중심의 의료서비스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65

시장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의료기관들의 경쟁우위에 대한 차별화 전략으로 등장하고 있


다. 한편 의료관광객의 행동의도는 이전 및 치료 후 경험의 심리적인 특성 중심(Swan,
1985; 신현식․김창수, 2011; 이걸재, 2020), 권유 및 사후 활동(노진옥, 2002; 윤관호․권
미영, 2010; 이인영, 2010)등 의료관광객에게 제공되는 경험 후에 표출되는 긍정적인
역할을 재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의료관광객 유형에 따라 실행할 수 있도록
의료 서비스가치 제공 측면과 행동의도를 높여줄 수 있는 기능과 역할 측면에서 심도
깊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의료관광 분야의 당면한 과제인
경영적인 면에서 함께 고려해야 하지만 상호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가 성립되는지를
살펴본 기존의 실증적 연구들이 현재 부족하고 단순하게 수행되어왔을 뿐이다. 그러나
현재 의료관광객의 의료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의료관광이 주목을 받고
있는 이 시점에서 시장경쟁 상황의 우위 확보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검정하는 이해와
재고가 바람직한가를 통합적 접근방법을 채택하여 명확히 밝혀야 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의료관광객 유형과 의료 서비스
가치 및 행동의도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상호 간의 변수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의료관광객 유형에 관한 인식과 지각된
척도의 올바른 방향 제시와 차별화된 마케팅 강화 전략 수립방안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고찰

1. 의료관광 유형
의료관광(medical travel)은 환자가 치료 또는 진료를 목적으로 의료서비스를 받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치료목적 및 예방의학 차원과 이문화 체험 차원의 건강서비
스를 받는 일련의 행위를 가리키며(송채운․김병헌, 2015), 관광과 의료서비스라는 결합한
의료에 관광을 접목시킨 것이다(김대건ㆍ김상화, 2020). Medik(1996)은 질병치료 부터
건강과 휴양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다른 장소를 방문하며 여행하는
보건관광이라고 언급하였고, Laws(1996)는 자신의 건강 상태를 증진 시킬 목적으로
가정을 떠나는 모든 관광 활동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였다(손경희·이은연, 2012). 또한
Reddy, York & Brannon(2010)은 다양한 종류의 건강이나 웰니스 관광을 위해 국내·
166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외로 여행하는 행위로서 성형수술과 심장수술, 치아관리, 온천과 마사지요법 등 헬스관광


의 개념도 포함하고 있다고 제시하였고, 이인영(2010)은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하는
목적이거나 정신적 또는 육체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특수한 이익집단이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관광의 형태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Carreara & Bridges(2006)는 심신의 웰빙
을 회복하여 향상시키고 유지를 위하여 다른 지역으로 관광을 떠나 의료서비스를 누리는
것이라고 주장 하였다. 한편 신재기·유명희(2009)는 의료관광의 유형을 의료클러스터
와 의료관광 상품, 의료관광 산업 등 세 가지로 분류하여 언급하였고, 이용재(2011)는
의료관광의 유형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수술 의료관광과 전통 의료관광, 미용 의료관광,
휴양 의료관광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김태영(2008)은 의료관광 상품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첫째, 특정 질병이나 환자들이 치료받는 질병치료 둘째, 미용 관련 서비스
나 성형미용을 받는 미용·성형치료 셋째, 의료서비스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에 체류하는
휴양치료 넷째, 전통 의학으로 치료하는 전통치료로서 전체적으로 모든 관광을 겸하는
상품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초기 의료관광은 과거 선진국의 앞선 의료기술을 통한
질병치료가 주목적이었으나, 현재는 더 나아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웰니스 관광치료
형태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장세경·백종선, 2017). 최근에는 선진국의 비싼 의료비와
오랜 대기시간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한우석ㆍ김진
경, 2018), 메스미디어에 의한 홍보와 인터넷의 발달로 새로운 형태로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서미란, 2015).
이에 따라 의료관광 산업은 국제 수준의 진료 능력, 법제도 개선 등 의료서비스 환경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 되고 있으며 의료관광객이 치료를 잘 받고 힐링할 수 있는 관광목적지
와 숙박시설 등 관광 관련 업계와 밀접한 연관성도 있다고 할 수 있다(이용근, 2019).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의료관광 유형 측정요인으로 질병치료, 미용·성형
치료, 휴양치료, 전통치료 등 네 가지 속성요인을 통합적 접근방법을 채택하여 의료관광객의
인식과 지각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의료 서비스가치
의료 서비스가치(medical service value)는 의료상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기대하는
이익 또는 혜택을 의미한다(위희수·박송춘· 박지은(2019). 즉, 의료관광객이 인지하는
의료 서비스품질과 그 서비스를 얻기 위한 희생 간의 차이로 개념화 할 수 있다(Gooding,
1995; 위희수 외 2019). Zeithaml(1988)은 의료 서비스가치는 저렴한 가격으로 의료관
광객이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며 지불한 비용으로 얻은 의료 서비스가치는 지불한 비용이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67

더 크게 고려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고, 강춘한(2013)은 의료관광객이 획득한 것과 의료


서비스가치를 위해 희생한 것 간의 비율로 판단할 수 있으며 특히, 소비자가 제공 받은
서비스에 부여하는 가치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가치는 고객이 무엇을 주고
받는가에 따른 인식에 근거한 서비스 효용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다(위희수
외, 2019). 따라서 의료관광객들은 비용을 지불한 것 이상의 이익을 얻었다고 지각될
때 의료 서비스가치가 있다고 느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권미영(2010)은 의료관광객이
인지하는 의료 서비스가치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항상 같을 수 없게 되며 의료서비스
가치가 소비자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언급하
였고, 곽동현(2019)은 의료 서비스가치를 두 가지로 제시하여 첫째, 의료 실용적 서비스
가치는 객관적인 판단을 하고, 둘째, 의료 쾌락적 서비스 가치는 주관적인 필요성을 해소해
주는데 가장 큰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관광객이 지불한 비용 이상의
이익을 얻었을 때 의료 소비의 서비스 가치가 있다 (Baker, 1990; 염영희ㆍ이인자,
2010).
이와 같이 의료 서비스가치는 인식된 서비스의 혜택보다 지각된 서비스의 가격이 낮을
때 의료관광객에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형성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관광객의 의료 서비스가치를 심리 행동적 측면에서 인식과 지각 정도를 파악
하고자 한다.

3. 행동의도
행동의도(behavioral intention)는 특정 목적지를 방문한 소비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대상을 통해 특정한 미래행동으로 옮겨질 신념이나 소비자들의 태도로 개인의 의지
를 의미한다(왕영균 ·조용준· 한수정, 2016). 따라서 소비자가 나타내려 하는 소비
행동에 대한 예측요인으로서 그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Zaithaml, Berry, &
Parasuraman, 1988). 즉, 상품에 대한 구전과 재구매 의도 및 가격 민감성 등 만족의
결과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이며 서비스를 경험한 이후 만족이나 불만족을 기반으로
특정한 행동을 취하는 소비자의 심리적 상태라고 할 수 있다(천덕희 ·홍경완, 2018).
따라서 행동의도는 서비스의 결과로 얻어지는 감정으로 재 방문의도와 추천의도, 구전의
도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이걸재, 2020). 특히, 의료서비스를 제공 받은 후 의료인으로
부터 인식과 지각하는 호불호의 정도를 반영하는 태도이고 과거의 경험과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기초로 하고 있다(곽대영,2012). 이걸재(2020)는 개인의 행동과 태도 사이의
중간 변수로 주관적인 태도이며 동기유발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호 간에 미치는 영향 관계
168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가 작용되는 것이라고 언급하였고, 박근영·김근종(2020)은 관광객이 목적지에서 서비


스를 경험한 후 발생하는 만족 또는 불만족 상태를 의미하고 특정한 행동을 위해 가지는
심리 행동적 특성을 갖춘 것이며 만족의 결과변수로 재 방문의도 까지 나타난다고 주장하
였다. 따라서 행동의도는 개인의 행동을 유발하는 선행요인이며 형성된 태도의 개념으로
추후,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는 개인의 신념과 의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신현식(2011)은
특정 장소에서의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내는 것이 심리 행동적 의지에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고, Cronin & Taylor(2000)는 고객 서비스와 행동의도의 상호 간 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재 방문의도 간에도 상관관계가 분명히 존재하고 있다고 주장 하였다.
이에 따라 의료관광객은 구매 결과의 불확실성 때문에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정보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하며 의료관광객 평가에 따른 긍정적인 태도는 의료경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행동적 측면을 설명하는 유용한 변수로서 작용하고 있다(박장열,
2012). 따라서 의료관광객의 행동의도를 심리 행동적 측면에서 인식과 지각 정도를 파악
하고자 한다.

Ⅲ. 연구 설계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본 연구는 의료관광객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파악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연구목적에 부합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를 검증하고자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림 1] 연구모형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69

1) 의료관광 유형과 의료 서비스가치 간의 관계


Gooding(1995)은 의료관광객 선택속성에 따라 의료 서비스가치 간에 미치는 영향관
계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고 언급하였고, 곽동현·이병철(2019)은 의료관광객의 인식과
지각정도에 따른 의료 서비스품질의 속성요인이 의료 서비스가치의 상호 간에 상관관계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H1을 설정하였다.

H1 : 의료관광 유형과 의료 서비스가치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의료 서비스가치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
Georgette et al,.(1997)은 의료관광객의 인식에 따라 의료 서비스가치에 대한 개인적
특성이 크게 달라지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하였고, 이훈영․정기택․오경
석(2008)은 의료관광객의 지각 정도에 따른 의료 서비스품질 가치가 행동의도의 상호
간의 밀접한 관계에서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가설 H2를 설정하였다.

H2 : 의료 서비스가치와 행동의도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의료관광객 유형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
곽대영(2012)은 의료관광 속성 선택속성에 따른 원활한 의사소통과 병원시설, 절차서
비스 및 진료비의 적정성 등이 행동의도 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언급하였고, 김태영(2008)은 의료관광객의 유형 중 질병치료, 미용·성형치료, 전통치료,
휴양치료는 각각의 행동의도 상호 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H3을 설정하였다.

H3 : 의료관광객 유형과 행동의도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의료관광 유형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의료 서비스가치의 매개효과
위희수·박송춘· 박지은(2019)은 의료관광객 인식과 지각하는 선택속성 요인이 의
료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의료 서비스가치는 다시 행동의
도 간에 매개효과를 갖고 있다고 언급하였고, 김대건·김상화(2020)는 의료기관의 선택
속성요인에 따라 의료 서비스가치에 유의미하게 나타나 고객만족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관광 속성요인과 행동의도 상호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매우 존재한다고 주장하였
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H4를 설정하였다.
170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H4 : 의료관광객 유형과 행동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의료 서비스가치의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다.

2. 표본추출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조사지역은 서울 소재에 있는 의료관광객을 진료하고 있는 의료체계 및 양질
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10개소 대형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방문한 국내·외 의료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규정하여 현장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관련의 구조화된 설문
지의 척도 지표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
완하여 의료관광 유형과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 등으로 3개 변수와 일반적 특성
1개 등 총 4개 도구로 구성하여 총 31개 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2일∼5월 12일까지 약 30일간 실시하였다. 설문방법은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였
으며 특히, 코로나 19 펜데믹 현상으로 인하여 사전에 교육받은 관광관련학과 학생 5명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연구자가 설문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후 자기기입식 방식으로 시행하
였으며 참여율과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간단한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총 350부를 배부하여 339부(96.8%)를 회수하였으며 이중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았거
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13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총 326부(93.1%)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
다.
분석방법으로 자료 수집된 통계적 처리는 데이터 코딩 과정을 거쳐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SPSS WIN.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1] 설문지 구성 및 측정 도구
측정변수 항목 수 변수 조작적정의 선행연구 척도
특정 질병이 있는 환자들이 치료의 곽동현·이병철(2019),김대
질병치료 4
관광행위 건·김상화(2020).
미용관련 서비스나 성형 받고 관광을 곽동현·이병철(2019),이용
의료 미용·성형치료 5
겸하는 상품 재(2011).
관광
의료행위의 인프라가 갖추어 휴양을 염영희·이인자(2010),위희
휴양치료 4 Likert
유형 목적으로 체류하는 상품 수·박송춘·박지은(2019).
5점 척도
전통의학으로 치료와 관광목적을 김태영(2008),강춘한·이경
전통치료 4
제공하는 상품 구·강한균(2013).
진료비의 적절성으로 의료 정보 서비스 윤관호·권미영(2010),
의료 서비스가치 4
가치 제공 관계의 상호작용 노진옥(2002)
의료관광객의 심리행동적 특성으로 이훈영·정기택·오경석(200
4
행동의도 만족과 재방문 및 추천의도 8),박근영(2020),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71

이걸재(2020)
일반적 특성 6 명목척도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는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표 2] 일반적 특성(N=326)
요인 구분 빈도(명) 비율(%) 요인 항목 빈도(명) 비율(%)
남자 164 50.3 고졸 이하 72 22.0
성별
여자 162 49.7 전문대졸 75 23.0
학력
20대 91 27.9 대졸 102 31.2
30대 74 22.6 대학원 이상 77 23.6
연령
40대 79 24.2 관광 74 22.6
50대 이상 82 25.1 방문 친지 방문 81 24.8
자영업 63 19.3 목적 교육연수 92 28.2
공무원 67 20.5 출장 79 24.2
직업 회사원 68 20.8 본인 의사 117 35.8
가정주부 58 17.7
방문 주변의 추천 108 33.1
대학생 70 21.4
동기
국내 229 70.2
국적 병원 브랜드 101 30.9
국외 97 29.8
질병치료 87 26.7
1주일 미만 235 76.2
미용·
치료 168 51.5
성형치료
1주 ~ 2주 미만 78 25.4 유형
휴양치료 45 13.8
치료
기간 전통치료 26 8.0
2주 ~ 1개월 미만 9 2.7
의료 1회 156 47.8
관광 2회 92 28.2
1개월 이상 5 1.5 횟수 3회 이상 78 24.0

2.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본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값을 이용
하였다. 하나의 개념에 대하여 여러 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이용할 경우 사용하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일반적으로 .6 이상이면 신뢰
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김대업, 2008). 요인분석은 요인추출법으로 주성분 분석과 회전
방식 Varimax 방식을 이용하였다. 요인 추출과정은 고유치 기준을 활용하여 1.0보다
큰 요인에 대해 요인화로 적용하였으며, 항목의 선정기준은 항목별로 공통성 및 요인
172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적재치 .5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요인 적재량은 모두 .5 이상으로 나타났고, 고유값


은 모두 1을 초과하였으며 총 분산 설명력은 86.265%로 나타나 구성 항목들은 요인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KMO 측도는 .967로
나타났고, Bartlett의 카이제곱 통계량은 유의하게 나타나 요인분석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
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관광객 유형별 질병치료가 .957, 미용·성형치료가 .956, 휴양
치료가 .973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의료 서비스가치 .958, 행동의도 .954로 나타나 모든
변인이 Cronbach’s α 계수 0.60 이상으로 나타나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표 3]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Cronbach’s
변수 요인적재량 공통성 고유값 분산설명력(%)
α
질병치료a1 .698 .819
질병치료a2 .736 .893
4.813 13.871 .957
질병치료a3 .764 .895
질병치료a4 .749 .859
미용·성형치료b1 .716 .834
미용·성형치료b2 .768 .849
미용·성형치료b3 .832 .917 5.956 14.615 .956
의료 미용·성형치료b4 .834 .915
관광 미용·성형치료b5 .798 .894
유형 휴양치료c1 .884 .818
휴양치료c2 .913 .842
4.987 14.684 .973
휴양치료c3 .924 .833
휴양치료c4 .917 .832
전통치료d1 .926 .846
전통치료d2 .839 .828
4.897 12.257 .962
전통치료d3 .842 .839
전통치료d4 .839 .827
서비스가치e1 .776 .874
서비스가치e2 .817 .834
4.628 13.316 .958
서비스가치e3 .794 .889
서비스가치e4 .789 .876
행동의도f1 .729 .837
행동의도f2 .758 .885
3.959 11.615 .954
행동의도f3 .753 .891
행동의도f4 .699 .853
총 분산설명력: 86.265%, KMO=.967, Bartlett’s χ2=12,165.372(df=573, p<.001)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73

2. 확인적 요인분석
본 연구의 척도들이 해당 요인들에 대한 대표성을 갖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AVE(평균분
산추출) 값은 0.5 이상이면 집중 타당성이 있고, CR값은 .7이상 이면 구성개념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김계수, 2007). 분석결과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정
구성요인 모두 사용된 측정항목들이 AVE 값이 .5 이상이고, CR 값이 .7 이상인 것으로
상회하고 있어 충분히 대표성을 가지며 내적일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관광
유형에 관한 확인적 요인 분석결과는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합도 지수 중χ
²=151.326(p=0.000), SRMR=.045, GFI=.918, AGFI=.876, NFI=.943, CFI=
.987, RMSEA=.047로 분석에 적합도 수용기준에 근사한 값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표 4] 의료관광 유형에 관한 확인적 요인분석


변수 설문문항 비표준화 표준화 S.E t-value CR AVE
a1 1.000 .689
질병치료 a2 1.278 .834 .116 11.006***
.940 .724
a3 1.322 .723 .135 9.827***
a4 1.152 .738 .116 9.921***
b1 1.000 .796
b2 1.126 .835 .083 13.634***
미용·성형치료
b3 1.040 .804 .080 13.001*** .948 .784
b4 1.007 .724 .088 11.409***
b5
c1 1.000 .715
c2 1.289 .841 .114 11.322***
.905 .657
휴양의료 c3 1.105 .810 .099 11.160***
c4 1.057 .656 .121 8.728***
d1 1.018 .721
d2 1.325 .852 .125 11.325***
전통치료 .953 .789
d3 1.107 .897 .089 13.235***
d4 1.058 .757 .122 9.982***
CMIN=151.326, p=.000, CMIN/DF=1.527, SRMR=.045, GFI=.918, AGFI=.876 NFI=.943, CFI=.987,
RMSEA=.047
***p<.001

다음은 의료 서비스가치에 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표 5]와 같이, 적합도 지수


중 χ²=4.513(p=.342), SRMR=.017, GFI=.987, AGFI=.983, NFI=.982,
174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CFI=.997, RMSEA=.022로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의료 서비스가치에 관한 확인적 요인분석

변수 측정문항 비표준화 표준화 S.E t-value CR AVE


d1 1.000 .642
의료 d2 1.185 .673 .119 9.978***
서비스가치 .932 .733
d3 1.450 .749 .159 9.245***
d4 1.398 .735 .150 9.423***
CMIN=4.513, p=.342, CMIN/DF=1.100, SRMR=.017, GFI=.987, AGFI=.983,
NFI=.982, CFI=.997, RMSEA=.022
***p<.001

다음은 행동의도에 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표 6]과 같이, 적합도 지수 중 χ


²=41.183(p=0.001), SRMR=.043, GFI=.964, AGFI=.878, NFI=.959, CFI=.986,
RMSEA=.075로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행동의도에 관한 확인적 요인분석

변수 측정문항 비표준화 표준화 S.E t-value CR AVE


e1 1.000 .693
행동 e2 .976 .725 .096 12.718***
의도 .963 .765
e3 1.326 .768 .128 11.475***
e4 1.432 .784 .137 11.681***
CMIN=41.183, p=.001, CMIN/DF=2.357, SRMR=.043, GFI=.966, AGFI=.878, NFI=.959, CFI=.986,
RMSEA=.075
***p<.001

3.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수들 간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질병치료, 미용·성형치료, 휴양치료, 전통치료와 의
료 서비스가치, 행동의도 간 상관관계는 모두 연구가설의 방향(+)과 일치하여 법칙 타당
성을 충족하고 있고 유의확률 .01수준에서 모두 유의하여 일반적으로 .4이상으로 상관관
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75

[표 7]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변수 (1) (2) (3) (4) (5) (6)
질병치료 1
의료 미용·성형치료 .623** 1
관광 유형 휴양치료 .592** .594** 1
전통치료 .641** .615** .631** 1
의료 서비스가치 .436** .324** .359** .361** 1
행동의도 .413** .393** .422** .385** .384** 1
**p<.01

4. 가설검증
가설 1을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3.5%
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52.348, p<.001). 독립변수
별로는 질병치료(β=.432, p<.001), 미용·성형치료(β=.397, p<.001), 전통치료(β
=.384, p<.01)가 의료 서비스가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휴양치료(β=.023, p<.01)는 의료 서비스가치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공선성을 공차한계와 VIF를 기준으로 진단하였다. 그
결과 독립변수의 VIF는 10 이하로 나타났으며, 공차한계는 0.1이상으로 나타나서 독립변
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표 8] 의료관광 유형과 의료 서비스가치 간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공선성 통계량


종속변수 독립변수 t P
B S.E β 공차한계 VIF
(상수) 1.102 .237 4.642 .000
질병치료 .254 .058 .432 4.349*** .000 .708 1.413
의료
미용·성형치료 .295 .059 .397 4.960*** .000 .661 1.514
서비스가치
휴양치료 .121 .046 .023 2.453 .124 .896 1.123
전통치료 .197 .051 .384 3.474** .001 .717 1.394
종속변수 서비스가치 R²=.435, Adj. R²=.406, F=52.348***, p=.000, Durbin-Watson=1.721
**p<.01, ***p<.001

다음은 가설 2를 검정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9%


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43.875, p<.001). 따라서 독
립변수로써 의료 서비스가치(β=.562, p<.001)는행동의도간에 통계적으로유의한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6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표 9] 의료 서비스가치와 행동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공선성 통계량


종속변수 독립변수 t P
B S.E β 공차한계 VIF
(상수) 1.235 .234 5.268 .000
행동의도
의료 서비스가치 .639 .058 .562 11.082*** .000 1.000 1.000
종속변수: 행동의도, R²=.389, Adj. R²=.354, F=143.875***, p=.000, Durbin-Watson=1.851
***p<.001

다음은 가설3을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9.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7.021, p<.001). 따라
서 독립변수별로는 질병치료(β=.283, p<.001), 미용·성형치료(β=.232, p<.01), 전
통치료(β=.259, p<.05)가 행동의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치료(β=.121, p<.01)는 행동의도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 의료관광객 유형과 행동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공선성 통계량


종속변수 독립변수 t P
B S.E β 공차한계 VIF
(상수) 1.248 .282 4.436 .000
질병치료 .206 .069 .283 2.983** .003 .708 1.413
행동의도 미용·성형치료 .267 .071 .232 3.896*** .000 .661 1.514
휴양치료 .235 .072 .218 3.378*** .000 .677 1.521
전통치료 .129 .032 .121 1.454 .124 .912 1.126
R²=.299, Adj. R²=.267, F=27.021***, p=.000, Durbin-Watson=1.638
**p<.01, ***p<.001

본 연구의 의료관광 유형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의료 서비스가치의 매개효과 검정


절차의 1단계는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간의 관계가 유의하고, 2단계는 독립변수와 종속변
수 간의 관계가 유의한지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3단계는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종속변수
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4단계는 2단계의 독립변수 표준화
베타 값과 3단계의 독립변수 표준화 베타 값을 비교하여 2단계의 독립변수 표준화 베타
값이 더 크면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다음 가설4를 검정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료관광 유형과
행동의도 간의 모든 경로에서 1단계와 2단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2단계 독립변수의
표준화 베타 값이 각각 3단계 독립변수의 표준화 베타 값보다 크므로 의료관광 유형의
질병치료와 행동의도, 미용·성형치료와 행동의도, 휴양치료와 행동의도, 전통치료와 행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77

동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있음이 지지되었다(유의수준 p<0.01). 따라서 독립변


수인 의료관광객 유형의 질병치료, 미용·성형치료, 휴양치료는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의료 서비스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p<.001), 2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의료관광객 유형의 질병치료,
미용·성형치료, 휴양치료, 전통치료는 종속변수인 행동의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p<.001).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의료관광객 유형의 질병치료, 미용·성형치료, 휴양치료의 회귀계수가 유의미
하면서 2단계보다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의료 서비스가치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의료관
광객 유형의 질병치료, 미용 성형치료, 휴양치료, 전통치료가 행동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의료관광 유형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의료 서비스가치의 매개효과

매개효과 채택
변수 경로 β t p F R²
검정단계 유무
1단계 질병치료→행동의도 .521 8.917*** .000 79.835*** .257
질병치료→ 2단계 질병치료→행동의도 .452 6.825*** .000 46.563*** .189 부분
행동의도 3단계(독립) 질병치료→행동의도 .157 2.437* .021 매개
65.263*** .375
3단계(매개) 질병치료→행동의도 .532 8.516*** .000
1단계 미용·성형치료→행동의도 .563 9.763*** .000 96.854*** .324
미용·성형 2단계 미용·성형치료→행동의도 .478 7.693*** .000 59.152*** .248 부분
치료→
매개
행동의도 3단계(독립) 미용·성형치료→행동의도 .196 2.743** .005
67.817*** .365
의료관 3단계(매개) 미용·성형치료→행동의도 .485 7.862*** .000
광유형 1단계 휴양치료→행동의도 .478 8.268*** .000 97.789*** .336
휴양치료→ 2단계 휴양치료→행동의도 .389 6.426*** .000 59.366*** .379 부분
행동의도
3단계(독립) 휴양치료→행동의도 .159 2.367* .026 매개
68.878*** .365
3단계(매개) 휴양치료→행동의도 .528 8.749*** .000
1단계 전통치료→행동의도 .578 8.625*** .000 66.247*** .241
전통치료→ 2단계 전통치료→행동의도 .486 6.328*** .000 39.965*** .163 부분
행동의도 3단계(독립) 전통치료→행동의도 .179 2.321* .021 매개
64.971*** .331
3단계(매개) 전통치료→행동의도 .513 8.897*** .000
*p<.01, **p<.01, ***p<.001
178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Ⅴ. 결 론

본 연구는 의료관광객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용한 시사점 제시와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차별
화 마케팅 강화 전략 수립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토대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
스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살펴본 결과, 의료관광 유형 중 질병치료와
미용·성형치료, 전통치료는 의료 서비스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관광객이 인식하는 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지각된 의료
서비스가치가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휴양치료는 의료 서비스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휴양치료를 하는데 있어서 의료관광객이 편의성 추구를
가장 크게 인식과 지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Gooding(1995), 곽동현·이병철
(2019)의 연구한 기존 연구들과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의료 서비스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살펴본 결과, 의료 서비스가치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Georgette et al,.(1997), 이훈영․
정기택․오경석(2008)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지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
관광객이 의료 서비스가치에 인식하는 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지각된 행동의도가 높아지
는 것이다. 셋째, 의료관광 유형 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살펴본
결과, 질병치료와 미용·성형치료, 휴양치료는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관광객이 행동의도에 인식하는 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지각정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의료관광 유형 중 전통치료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
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관광객들이 얻고자 하는 질적인 만족을
더 많이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는 곽대영(2012), 김태영(2008)의 연구한 기존 연구들을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넷째, 의료관광객이 지각한 의료관광 유형과 행동의도의 관계
에서 의료 서비스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의료 서비스가치는 의료관광 유형 중
질병치료, 미용·성형치료, 휴양치료, 전통치료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희수·박송춘· 박지은(2019), 김대건·김상화(2020)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관광객 유형에 따라 추구하는 의료 서비스
가치의 인식과 지각 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행동의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볼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79

수 있다.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졌던 의료관광 유형 4개의 속성 구성요
인(질병치료, 미용·성형치료, 전통치료, 휴양치료)에 따른 의료 서비스가치와 행동의도
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확인됨으로써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후속연구에서 신뢰성과
타당성 기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의료관광 유형과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의료 서비스가
치의 매개효과를 다룬 연구가 많지 않은 연구 풍토 속에서 의료 서비스가치를 그 매개효과
에 대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를 위한 기존 이론들을 뒷받침하고 의료 관광객들
로 부터 선택받고자 하는 차별화된 마케팅 강화전략 수립을 계획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실무적인 측면에서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의료인의 전문지식에 따른 급성
의 치료행위나 의료적 처치기술의 안위증진, 경험습득 등 양호한 의료 첨단 최신 의료
시설 및 장비 등 인프라 구축 매우 중요하다. 둘째, 의료관광 행위의 접점에 따른 전문지식,
신뢰, 믿음, 존중, 약속의 이행 등과 의료기관의 친절한 존중, 배려 등에 따라 공감도를
향상시킬 경우에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전문성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고 커뮤니
케이션에 따른 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역할도 한층 고도화 시켜 타인에게 추천하려는 적극
적인 구전 요인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의료기관의 합리적인 진료
비용 대비에 따른 문제점 등 효과적인 의료행위에 따른 적합한 의료서비스 과정과 진료경
력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의료종사자들이 진료대상자의 차별화 전략을 통한 양질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의사나 간호사, 그 외 의료보조인 등 치료과정에서 충분한
설명 등 원활한 의사결정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의료관광에서 높은 의료교육
및 생활 수준과 선진화된 경제발전, 우수한 품질, 긍정적 사고방식, 세계 의료시장 경쟁력
과 양호한 비즈니스 환경, 세계적 기술력 등 원활한 관광 예약시스템과 통역 지원이 필요하
다. 따라서 주변의 쇼핑 시설과의 연계성 등 병원 관련 시설을 이용하는 접근성과 철저한
위생관리, 편리한 교통 등 부가적인 관광 안내 서비스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선행연구로 진행되었던 연구 결과와 본 연구에서 진행하였던 연구 결과가
같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에 따른 차이점은 다른 연구와는 달리 기존 의료관광객의
의료병원 등의 속성요인 관련 연구와는 다소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고 의료관광객들의
직접 경험을 통해 연구를 시도하여 파악하였다는 점이며, 의료관광객 유형의 의료 서비스
가치 및 행동의도 간을 통합적으로 상관성 관계를 규명을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의료관광 유형에 따른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더 고려하게 되는 중요시
되는 속성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점을 두어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에 따른 강화
수립 방안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의료관광객을 전체 표본으로 선정하지 않았다는 점, 지역에 편중을
180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두어 실시한 점, 다양한 각 변수를 활용하지 않은 점 등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심층적이고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되길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춘한·이경구·강한균(2013). 의료 서비스품질 핵심 요인이 고객의 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 26(9): 2227-2251.
곽대영(2012). 의료관광 상품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의료서비스를 중심으
로. 「호텔리조트학회지 , 11(2): 125-144.
곽동현·이병철(2019). 의료관광객이 인지한 의료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 31(7): 59-79.
김계수(2007).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라출판사.
김대건·김상화(2020). 의료관광객이 지각하는 의료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지 , 9(3): 468-480.
김광용·김선영(2018). 의료관광 비즈니스의 투자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호텔리조트
학회지 , 17(1): 173-192.
김대업(2008). 「AMOS TO Z: 논문작성 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파주: 학현사.
김미녀·정기한·오재신(2009). 의료서비스에서 환자만족의 선·후행변수의 구조적 관계. 「산
업경제연구 22(6): 2955-2984.
김유진(2017). 산업 융합과 미래 유망산업 시리지(3)-의료서비스 산업의 융합. 「하나 산업정
보」, 제3호.
김태영(2008). 「의료관광과 경남의 정책과제」.
노진옥(2002). 의료 서비스가치의 의료 소비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근영·김근종(2020). 호텔 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호텔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외식산업학회지 , 16(2): 133-144.
박장열(2012). 의원급 의료기관의 의료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 및 고객충성도 관계. 부산가톨릭
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미란(2015). 지방 종합병원의 서비스 질이 고객의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19(3): 243-268.
석수선(2016). 한국 의료관광산업의 환자 유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 「디지털디자인학연
구 , 16(1): 1-10.
손경희·이은연(2012). 의료관광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스마트의료기기 제조업체 종사자들의
인식연구: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8(4): 225-238.
송채운·김병헌(2015). 국내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진흥연구 , 3(2):
115-132.
염영희·이인자(2010). 의료서비스 품질, 서비스 가치,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 간의 인과관계.
의료관광 유형이 의료 서비스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형섭 181

「강호행정학회지 , 16(4): 497-506.


위희수·박송춘·박지은(2019). 병원의 의료서비스 품질이 의료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산업경제연구 , 32(6): 2491-2511.
윤관호·권미영(2010). 의료 서비스품질이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 18(1): 37-59.
왕영균·조용준·한수정(2016). 중국인의 한국의료관광 만족과 재방문의도 간의 관계 분석. 「호
텔리조트연구 , 15(2): 221-242.
이걸재(2020). 의료관광 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과 관광행동에 대한 연구 : IPA분석을 활용한
의료관광 서비스품질 척도. 「한국외식산업학회지 , 16(4): 33-39.
이인영(2010). 국외 의료관광 서비스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용근(2019). 헬스관광 통합모델 디자인방안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리뷰 , 10(1): 95-114.
이용재(2011). 의료관광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훈영·정기택·오경석(2008). 의료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병원
부대시설의 서비스 효과를 중심으로. 「서비스마케팅저널 , 1(1): 109-125.
장세경·백종선(2017). 의료관광 전략 수립 및 비즈니스 서비스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
자거래학회지 , 22(3): 43-55.
조승아·최승담(2016).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의 문제점과 정책적 대응에 관한 시론적 연구, 주요
쟁점 도출 및 해외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 40(7): 165-181.
천덕희·홍경완(2018). 의료관광 컨벤션 참가 동기가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2017 부산
국제 의료관광 컨벤션 참가자를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 17(1): 103-115.
최미선(2019). 한국 의료관광 외국인 환자의 국적별 이용 실태 연구. 「무역연구 , 15(2):
533-554.
황재영(2010). 한국의료관광 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의료관광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세미나」.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우석·김진경(2018). 한국 의료관광산업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지 ,
14(3): 157-165.
한국보건산업진흥원(n.d.). Home Page, 2020.
Baker, J.(1990). The effect of retail store environment on consumer perceptions of quality,
price, and value. Rh. D (Doctoral dissertation, dissertation).
Carreara, P. & J. F. P. Bridges(2006). Globalization and healthcare:Understanding health
and medical tourism. Expert Review Pharmaco econamics and Outcomes Research.
6(4): 447-454.
Cronin, J. J. Jr. & S. A. Taylor(2000).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ing, 56(Jul): 55-68.
Zifko-Baliga, G. M. & R. F. Krampf(1997). Managing perceptions of hospital quality.
Marketing health services, 17(1): 28.
Gooding, S. K.(1995). Quality, sacrifice and value in hospital choice.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15(4): 24-31.
Laws, E.(1996). Health Tourism: A Business Opportunity Approach. Ins. Clift & S. J.
182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4호 2022년 8월

Page(eds.). Health and the International Tourist. London: Routledge.


Medik, S.(1996). Dictionary of travel, tourism and hospitality. British Library Cataloguing
in Publication Data(1996).
Parasuraman, A., V. A. Zeithaml & L. Berry(1988).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1988, 64(1): 12-40.
Reddy, S. G., V. K. York & L. A. Brannon(2010). Travel for treatment: students' per-
spective on medical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2(5):
510-522.
Swan, J.(1985). Deeping the Understanding of Hospital Patient Satisfaction; Fulfillment
and Equity Effect. Journal of Health Care Marketing, 5(3): 7-8.

논문 투고일 : 2022년 06월 28일


논문 심사일 : 2022년 07월 20일
게재 확정일 : 2022년 08월 29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