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다변수 해석학 강의 노트

Sooji Shin ∙ soojishin@live.com

이 노트의 내용은 ‘기초 해석학 강의 노트’의 내용에 이어지는 것 정의 1.1 벡터  ∈ℝ 과 스칼라 ∈ℝ에 대하여 다음과 같
입니다. 기초 해석학에서 다룬 내용과 비슷한 내용은 간단하게 이 정의한다.
다루었습니다.
∙ 합 :           ⋯    
∙ 스칼라곱 :     ⋯  
1. Euclid 벡터공간
∙ 내적 : ⋅       ⋯  
직교 좌표가 주어진 평면 위의 점은 순서쌍  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의 점은 순서쌍     로 나타낼 수 있
특히  를  로 표기한다. 즉
다. 같은 방법으로 차원 공간의 점 는 -순서쌍
         ⋯   .
   ⋯ 
두 벡터 , 의 내적을 ⋅로 쓰는 대신 〈 〉 또는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순서쌍을 의 좌표라고 부르고  ,
〈  〉로 나타내기도 한다. 벡터의 합, 스칼라곱의 결과는 벡터
 ,  , ⋯,  을 차례대로 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
이지만 내적의 결과는 스칼라이다.
번째 성분이라고 부른다. 번째 성분을 번째 좌표라고 부르
기도 한다. 모든 성분이 실수인 차원 공간의 점들의 모임을 벡터합, 스칼라곱, 내적이 주어진 공간 ℝ 을 차원 유클리드

ℝ 으로 나타낸다. 벡터공간이라고 부른다.

ℝ 의 원소, 즉 차원 공간의 점을 벡터라고 부른다. 그리고 ℝ 정리 1.2 벡터의 내적과 관련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의 원소를 스칼라라고 부른다.   일 때에는 ∈ℝ 와
(1) 벡터 에 대하여 ⋅ ≥ .
∈ℝ를 동일한 것으로 생각한다. 즉 ℝ 의 점은 벡터이기도
(2) 벡터 에 대하여 ⋅  일 필요충분조건은   .
하고 스칼라이기도 하다.
(3) 벡터 , 에 대하여 ⋅  ⋅.
벡터를 표시할 때에는 스칼라와 구분하기 위하여 기울이지 않은 (4) 스칼라 와 벡터 , 에 대하여 ⋅  ⋅ .
굵은 글꼴을 사용하여 (5) 벡터 , ,  에 대하여   ⋅  ⋅   ⋅  .

x, y
내적이 주어진 벡터공간을 내적공간이라고 부른다.
와 같이 나타내기도 하고, 화살표를 이용하여
벡터 는 ℝ 의 원점에서 출발하여 점 까지 잇는 화살표 또는

, 
선분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때 가 나타내는 선분의 길이는

로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ℝ과 ℝ 의 공통적인 성

     ⋯ 
질을 주로 살펴볼 것이므로 벡터를 스칼라와 같은 방법으로 나
타낸다. 대신 스칼라와 혼동될 염려가 있는 경우는 스칼라와 벡 이 된다. 이 값을 벡터 의 크기, 노름 또는 절댓값이라고 부르
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명할 것이다. 고  또는 로 나타낸다. 벡터 의 크기는 내적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도 있다.
ℝ 의 점 중에서 모든 좌표가 인 점을 원점 또는 영벡터라고

  〈 〉.
부르고 으로 표기한다. 즉 ∈ℝ 은

      ⋯ 
 
 times
정리 1.3 벡터의 크기에 관련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으로 정의된 벡터이다. (1) 임의의 에 대하여  ≥ 이다.


차원 공간의 점 를 순서쌍으로 나타낼 때에는 (2)   일 필요충분조건은   인 것이다.
(3) 임의의 에 대하여     이다.
     ⋯ 
(4) 임의의 , 에 대하여 ⋅ ≤  이다.
로 표기하는 대신 간단하게 (5) 임의의 , 에 대하여    ≤   이다.
      
노름이 주어진 벡터공간을 노름선형공간이라고 부른다.
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 차원이 혼동될 염려가 없을 때에는 이것
을 더 간단히    또는   이라고 하자. 그리고 와 가 나타내는 선분
    사이의 각을 라고 하자. 그러면
⋅  cos
로 나타낸다.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벡터의 좌표는 그 벡터와 가 성립한다.
동일한 문자에 첨자를 붙여 나타내는 것으로 약속한다.

강의 노트 ∙ ∙ ∙ 1 ∙ ∙ ∙ 다변수 해석학
 ≥ 인 경우에는 두 벡터 , 가 나타내는 선분 사이의 각을 행렬식을 절댓값과 같은 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기하학적으로 정의할 수가 없다. 대신 내적을 이용하여 다음과

 
i j k i  
같이 정의한다.

⋅
cos  
  

 ×        j  
   k  

또한 삼중적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cos  은 cos의 정의역을  로 축소한 함수의 역함

 
수이다.] 이 값을 와 가 이루는 각이라고 부르고 ∠로 나     
타낸다. 임의의 벡터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행렬식의 성질로부터
이므로 ∠는 잘 정의된 값이다.
⋅ ×   ⋅ ×   ⋅ × 
두 벡터 , 에 대하여 ⋅  일 때 와 는 직교한다 또는  ⋅ ×    ⋅ ×   ⋅ × 
수직이다고 말한다. 정의에 의하면 영벡터는 임의의 벡터와 수직
임을 알 수 있다. 즉
이다.
            
두 벡터 , 에 대하여 영 아닌 스칼라 가 존재하여   
또는   를 만족시킬 때 와 는 평행하다고 말한다. 여기 이다. 한편
서 만약 가 양수이면 와 는 같은 방향을 가진다고 말하고   ×  ×  ≠  ×  ×  
가 음수이면 와 는 반대 방향을 가진다고 말한다.
이다.
정의에 의하여 두 벡터 , 과 평행할 필요충분조건은

⋅    정의 1.5 세 벡터 , , 가 일차독립이고

 
인 것이 된다. 또한 영벡터는 임의의 벡터와 평행하다.     
    
  
정의 1.4 벡터  ∈ℝ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이라고 하자.   이면     는 우수계(right-handed system)
∙ 외적 :  ×                   
를 이룬다고 말한다.   이면     는 좌수계(left-handed
∙ 삼중적 :    ⋅ × 
system)를 이룬다고 말한다.

위와 같은 외적과 삼중적은 3차원 벡터에 대해서만 정의된다.


행렬의 두 행을 서로 바꾸면 행렬식의 부호가 바뀌므로 세 벡터
삼중적 ⋅ × 는 반드시 외적부터 계산해야 한다. 왜냐하면
가 우수계를 이루는지 좌수계를 이루는지의 여부를 따질 때에는
스칼라와 벡터의 외적은 정의되지 않기 때문이다.
벡터의 순서가 중요하다.
  는 번째 성분만 이고 다른 성분은 모두 인 벡터로 정의한
다. 즉 정리 1.6 와 가 평행하지 않은 벡터라고 하자.    × 라고
      ⋯    ⋯   하면 ⊥이고 ⊥이다. 이때     는 우수계를 이룬다.
  
  times
 
     times

이다. ℝ 의 모든 점 는
    ⋯         ⋯   2. Euclid 거리공간

과 같이   들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에 거리의 개념은 해석학의 이론 전개를 위한 기본적인 개념이다.

대하여   들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냈을 때 계수  들은 유일하게


정의 2.1 집합  와 함수    ×  → ℝ가 네 조건
결정된다. 즉  는 ℝ 의 기저가 된다. 이때  를 ℝ 의 표
∙ ∀ ∈    ≥ 
준 기저라고 부른다. 특히 ℝ 의 표준 기저는
∙ ∀ ∈      ↔   
i    , j    , k     ∙ ∀ ∈      
로 표기하기도 한다. ∙ ∀  ∈     ≤      

기저와 행렬식을 이용하여 벡터의 외적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를 모두 만족시키면 를  의 거리함수라고 부른다. 거리함수가
주어진 집합  를 거리공간이라고 부르고 〈 〉로 나타내며,
 i j k  i  
  
 ×   det     det j  
    
 혼동할 염려가 없을 때에는 간단히  로 나타낸다.
 k  
노름선형공간에서      로 정의된 함수 는 거리함
수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이러한 의미에서 노름선형공간은
모두 거리공간이다.

강의 노트 ∙ ∙ ∙ 2 ∙ ∙ ∙ 다변수 해석학
정의 2.2 집합의 유계와 거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의 2.6 집합  와 점 가 있다고 하자. 임의의 양수 에 대
하여  ′  ∩ ≠ ∅이면 를  의 집적점이라고 부른다.
(1) 집합  가 유계라는 것은 ∃   ∀∈   ≤  를 만족
시키는 것이다.
정리 2.7  가 ℝ 의 부분집합이고 유계이며 무한집합이면  는
(2) 함수    →  가  ⊆  에서 유계라는 것은  의 상
집적점을 가진다. 이 명제를 Bolzano-Weierstrass 정리라고 부
  가 유계인 것이다.
른다.
(3) 집합  의 지름을
증명  가 유계이므로 양수  이 존재하여  ⊆     을
diam        sup    ∈ ∧  ∈ 
만족시킨다.       이라고 하자.  은 직사각형 모양의
로 정의한다.
닫힌집합이다.  의 각 모서리를 반으로 잘라 만든  개의 직사
(4) 두 집합  ,  의 거리를
각형 모양의 닫힌집합 중에서  의 원소를 무한히 많이 포함하는
     in f    ∈ ∧ ∈ 
것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그 집합을  이라고 하자. 그
로 정의한다.
러면  은 각 모서리의 길이는 모두  이다. 같은 방법으로  의
(5) 점 와 집합  의 거리를        로 정의한다.
각 모서리를 반으로 잘라 만든  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닫힌집
합 중에서  의 원소를 무한히 많이 포함하는 것을  라고 하자.
참고 두 집합 사이의 거리     는 거리 함수가 아니다. 왜냐
이러한 방법으로 계속하여 귀납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닫힌집
하면      일 지라도  ≠  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합들의 모임  ∈ℕ을 구성할 수 있다.

정의 2.3 점 와 실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1) 열린구 :     ∈ℝ        

라고 하면  는 단 하나의 원소만 포함하는 집합이 된다.  의 원


(2) 닫힌구 : 
    ∈ℝ     ≤ 
소를 라고 하자.  의 모서리의 길이는 에 수렴하므로 를
(3) 구멍뚫린 열린구 :  ′    ∈ℝ      ∖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구는 적당한  를 포함한다. 그런데  는 
(4) 구멍뚫린 닫힌구 : 
 ′    ∈ℝ     ≤ ∖
의 원소를 포함하므로 를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구는  의 원소
를 포함한다. 따라서 는  의 집적점이 된다. □
정의 2.4 집합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가  의 내점이라는 것은 ∃       ⊆  를 만족
정의 2.8  의 집적점들의 모임을  의 도집합이라고 부르며  ′
시키는 것이다.
으로 표기한다.  를 덮는 모든 닫힌집합들의 교집합을  의 폐
(2) 가  의 외점이라는 것은 가  의 내점인 것이다.
 로 표기한다.
포라고 부르고 
(3) 가  의 내점도 아니고 외점도 아닐 때 를  의 경계점이
라고 부른다.
(4) 집합  의 내점들의 모임을  의 내부라고 부르고 int  로 정리 2.9 집합  에 대하여 
  ∪ ′ 이다.
표기한다.
(5) 집합  의 외점들의 모임을  의 외부라고 부르고 ext   로 3. 수열의 극한
표기한다. 벡터 수열의 극한은 실수열의 극한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다.
(6) 집합  의 경계점들의 모임을  의 경계라고 부르고  로 표
기한다. 정의 3.1 〈〉이 벡터수열이고  이 벡터라고 하자. 만약 임
(7)   int   일 때 를 열린집합이라고 부른다.
의의 양수 에 대하여 자연수  이 존재하여    인 모든 자
(8)    ℝ∖ 가 열린집합일 때  를 닫힌집합이라고 부른다.
연수 에 대하여      이 성립하면 〈〉은  에 수렴한
(9) 집합  ⊆  가  에서의 상대적 열린집합이라는 것은 ℝ 에서
다고 말하고  을 〈〉의 극한이라고 부른다.
의 열린집합  이 존재하여    ∩ 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10) 집합  ⊆  가  에서의 상대적 닫힌집합이라는 것은    참고 수렴하는 수열의 극한은 유일하다. 그것을 기호로
∖ 가  에서의 상대적 열린집합인 것이다.
lim  
→∞

정리 2.5 열린집합과 닫힌집합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로 표기한다. 실수열과 마찬가지로 수렴하는 벡터수열은 유계이다.

(1) 임의 개수의 열린집합의 합집합은 열린집합이다.


정리 3.2 벡터수열의 수렴은 성분별 수렴과 필요충분조건이다.
(2) 유한 개의 열린집합의 교집합은 열린집합이다.
즉       이고       일 때  →  일 필요
(3) 임의 개수의 닫힌집합의 교집합은 닫힌집합이다.
충분조건은  → ,  → ,   → 인 것이다.
(4) 유한 개의 닫힌집합의 합집합은 닫힌집합이다.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4.4와 동일하다. □

강의 노트 ∙ ∙ ∙ 3 ∙ ∙ ∙ 다변수 해석학
증명 3차원 벡터수열에 대하여 증명하자. 따라서 정리 3.2에 의하여

[⇒] 먼저      →    이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lim⋅   lim′  ′  ′ 
→∞ →∞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자연수  이 존재하 


 lim  lim ′  lim  lim ′  lim  lim ′
→ ∞

→ ∞

→ ∞

→ ∞

→ ∞

→ ∞

여    일 때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일 때마다

 lim ⋅ lim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하므로  → ,  → ,   →  이다.

 lim  ′    ′  lim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다음으로  → ,  → ,   →  이라고 가정하자. 그 →∞

 ′  ′ ′  ′ ′  ′ 


러면 자연수  ,  ,  이 존재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lim  lim   
 →∞ →∞

   ⇒

     


 lim  lim  lim 
→∞

→∞

→∞

           lim


이 성립한다.   max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일 때마다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 →    이다. □ 정의 3.4 〈〉이 정의역  를 갖는 수열이고 〈〉가  로부
터  로의 순증가수열이라고 하자. 이때 두 수열을 합성하여 얻
위 정리는 수열의 극한을 계산할 때 좌표별로 계산할 수 있음을 은 수열 〈〉를 〈〉의 부분수열이라고 부른다.
의미한다. 즉
lim    lim lim lim 〈〉과 점  이 있다고 하자. 만약 〈〉의 적
정의 3.5 수열
→∞ →∞ →∞ →∞

이 성립한다. 위 정리는 3차원 벡터수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당한 부분수열 〈 〉가 존재하여  에 수렴하면  을 〈〉의

벡터수열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이 장에서는 논의를 간단히 하기 집적점이라고 부른다.


위하여 ℝ 대신 ℝ 에서의 수열에 대하여 논의하자.
정리 3.6 Euclid 벡터공간에서 유계인 수열은 집적점을 가진다.
정리 3.3 두 벡터수열 〈〉과 〈〉이 수렴하면 이 명제를 Bolzano-Weierstrass 정리라고 부른다.

lim   lim  lim , 증명 일반성을 잃지 않고 


〈〉이 ℝ 의 수열이라고 하자. 그
→∞ →∞ →∞
리고 〈〉이 유계인 수열이라고 하자.       이라고
lim⋅  lim⋅ lim ,
→∞ →∞ →∞
하자. 그러면 〈〉은 유계인 실수열이므로 수렴하는 부분수열
lim ×   lim×  lim ,
→∞ →∞ →∞ 을 가진다. 〈〉의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 〉라고 하자. 표 

lim  lim 기의 편의를 위하여 부분수열 〈 〉를 〈〉로 표기하겠다.


→∞ →∞ 

이 성립한다. 이때 〈〉는 〈〉의 부분수열이고 유계인 실수열이므로 수


 렴하는 부분수열 〈〉를 가진다. 다시 〈 〉는 〈 〉의
증명 일반성을 잃지 않고 〈〉과 〈〉이 ℝ 의 수열이라고
하자. 부분수열이고 유계인 실수열이므로 수렴하는 부분수열 〈 〉
      ,   ′ ′  ′  를 가진다. 이때 부분수열의 첨수   는 합성
이라고 하자. 그리고 함수이고 , , 는 각각 순증가하는 수열이므로
 →    ,  → ′ ′ ′     ↦ 
도 순증가하는 수열이다. 그리고
이라고 하자. 그러면 정리 3.2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각각 〈〉, 〈〉, 〈〉의 수렴하는 부분수열이다. 따라서


가 성립한다. 정리 3.2에 의하여 〈〉는 수렴한다. □

강의 노트 ∙ ∙ ∙ 4 ∙ ∙ ∙ 다변수 해석학
정의 3.7 수열 〈〉이 Cauchy 수열이라는 것은 임의의 양수 4. 긴밀 집합
에 대하여 자연수  이 존재하여    ,    일 때마다 유클리드 거리공간에서의 긴밀집합은 ℝ에서의 긴밀집합과 동일
    이 성립하는 것이다. 한 성질을 가진다.

정리 3.8 수열 〈〉에 대하여      일 때, 〈〉 정의 4.1 집합  와 열린집합들의 모임    ∈에 대하
이 Cauchy 수열일 필요충분조건은 〈〉, 〈〉, 〈 〉이 모두 여 ⊆  이면  를  의 열린덮개라고 부른다.  의 부분집
∈

Cauchy 수열인 것이다. 합    ∈에 대하여  이  의 열린덮개이면   을 


증명 [⇒] 〈〉이 Cauchy 수열이라고 하자. 그리고 양수 이 의 부분덮개라고 부른다.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자연수  이 존재하여    ,


정리 4.2 집합  가 주어졌다고 하자. 를 덮는 임의의 열린덮
   일 때마다    이 성립한다. 이때
개가 유한인 부분덮개를 가지면  를 긴밀집합이라고 부른다.
  ≤    ,
  ≤    ,
정리 4.3 ℝ 에서 집합 가 긴밀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유계
  ≤    
이고 닫힌집합인 것이다. 이 명제를 Heine-Borel 정리라고 부
이므로 〈〉, 〈〉, 〈〉도 모두 Cauchy 수열이다. 른다.
[⇐] 〈〉, 〈〉, 〈〉이 모두 Cauchy 수열이라고 하자. 그
증명 [⇒]  가 긴밀집합이라고 하자.     라고 하면
리고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자연수  ,  ,
   ∈ℕ은 ℝ 의 열린덮개이고  ⊆ ℝ 이므로  는 
 이 존재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의 열린덮개이다.  는 긴밀집합이므로  는  를 덮는 유한부분

   ∧     ⇒    

, 덮개     ∈를 가진다. 이때   는 유계이므로 도
∈

 유계이다.
   ∧     ⇒     ,

 다음으로  가 닫힌집합임을 보이자. 결론에 반하여  가 닫힌집
   ∧     ⇒     .
 합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 ′∖ 인 점 가 존재한
  max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   일 다.  는 유계이므로  ⊆   인 양수 가 존재한다. 자연
때마다 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은 Cauchy 수열이다. □
    ∖ 
  



이라고 하면    ∈ℕ은  를 덮는 열린덮개가 된다. 
는 긴밀집합이므로 는  를 덮는 유한부분덮개  
정리 3.9 ℝ 에서 수열이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Cauchy 수열
인 것이다.  ∈을 가진다.   max 라고 하자.  의 정의에 의하

증명    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여 
∈
   이다. 그런데 는  의 집적점이므로

〈〉이 Cauchy 수열이다.


⇔ 〈〉, 〈〉, 〈〉이 모두 Cauchy 수열이다.

 

   ∩ ≠ ∅

⇔ 〈〉, 〈〉, 〈〉이 모두 수렴한다.



이다. 즉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이 수렴한다. □ 이것은  ′ 이  의 열린덮개라는 데에 모순이다. 따라서  는


닫힌집합이다.

정의 3.10 임의의 양수  에 대하여 자연수  이 존재하여 [⇐]  가 유계인 닫힌집합이라고 하자. 그리고 결론에 반하여
   일 때마다    이 성립하면 〈〉은 무한대에 발산한  가 긴밀집합이 아니라고 하자. 그러면 유한인 부분덮개를 갖지
다고 말하고 않는  의 열린덮개  가 존재한다.
는 유계이므로  ⊆     인 양수 가 존재한다.
lim  ∞ 
→∞       라고 하자.  는 직사각형 모양의 닫힌집합이다.
로 표기한다. 혼동할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이것을 간단히
 의 각 모서리를 반으로 잘라 만든  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닫
lim  ∞ 힌집합 중에서  와 교집합 했을 때  의 유한 부분덮개에 의해
→∞

로 표기한다. 이때 ∞는 양의 무한대의 의미가 아니라 원점으로 덮이지 않는 것이 적어도 하나 이상 존재한다. 그것을  이라고
부터 한없이 멀리 떨어져 있는 무한대의 의미이다. 하자. 그러면  의 각 모서리의 길이는 모두 이다. 같은 방법으
로  의 각 모서리를 반으로 잘라 만든  개의 직사각형 모양의
닫힌집합 중에서  와 교집합 했을 때  의 유한 부분덮개에 의
해 덮이지 않는 것을  라고 하자. 이러한 방법으로 계속하여 귀

강의 노트 ∙ ∙ ∙ 5 ∙ ∙ ∙ 다변수 해석학
납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의 닫힌집합들의 모임  ∈ℕ을 구 정의 5.5    →  의 정의역이 유계가 아니라고 하자. 가
성할 수 있다. 무한대에서  에 수렴한다는 것은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  가 존재하여    일 때마다      이 성립하는 것
 

 이다.
이라고 하면  는 단 하나의 원소만 포함하는 집합이 된다.  의
원소를 라고 하자.  의 모서리의 길이는 에 수렴하므로 를 정의 5.6    →  의 정의역이 유계가 아니라고 하자. 가
포함하는 임의의 열린구는 적당한  를 포함한다. 그런데  는 무한대에서 무한대에 발산한다는 것은 임의의 양수  에 대하여
양수  가 존재하여    일 때마다    가 성립하는
닫힌집합이므로 ∈ 이다.  는  의 열린덮개이므로  의 적
것이다.
당한 원소  가 존재하여 ∈ 이다.  는 열린집합이므로
∈   ⊆  인 열린구   가 존재한다. 이때   
는 적당한  를 포함한다. 따라서  는 적당한  를 포함한다. 즉 6. 연속함수
 와  의 교집합이  에 의하여 덮인다. 이것은  와  의 교집 연속인 벡터함수의 성질은 연속인 실함수의 성질과 비슷하다.
합이  의 유한 부분덮개에 의하여 덮이지 않는다는 것에 모순
이다. 따라서  는 긴밀집합이다. □ 정의 6.1    →  에 대하여 ∈ 라고 하자. 가 에서 연
속이라는 것은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 일 때마다     이 성립하는 것이다.
5. 함수의 극한
벡터함수의 극한은 좌극한, 우극한, 양의 무한대, 음의 무한대에 정리 6.2    →  가 연속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은  에서의
관련된 개념을 제외하고는 실함수의 극한과 성질이 유사하다.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     가  에서의 열린집합이
되는 것이다.
정의 5.1    →  가 함수이고 가  의 집적점이라고 하
자. 가 에서  에 수렴한다는 것은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9.3의 증명과 동일하다. □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일 때마다      이
정리 6.3 함수    →  와    →  가 연속이면  ∘ 도
성립하는 것이다. 이것을 기호로 lim   로 표기한다.
→
연속이다.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9.4의 증명과 동일하다. □


정리 5.2 함수    → ℝ와  의 집적점 가 주어졌다고 하
자. 가 에서  에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에 수렴하고
정리 6.4 함수    → ℝ 이        
∈∖인 임의의 수열 〈〉에 대하여 수열 〈 〉이
으로 정의되었다고 하자. 이때 가 연속일 필요충분조건은  ,
 에 수렴하는 것이다. 이 명제를 수열판정법이라고 부른다.
 ,  이 모두 연속인 것이다.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8.3의 증명과 동일하다. □
증명 [⇒] 가 연속이라고 가정하자. ∈ 라고 하자. 그리고
정리 5.3 함수 , 가 에서 각각 수렴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양수 가 존재하여
(1) lim    lim  lim.     일 때마다     이 성립한다.
→ → →
이때     이고  ≤  ≤ 일 때
(2) lim⋅  lim⋅lim .
→ → →      ≤     
(3) lim   lim.
→ → 이므로  ,  ,  은 에서 연속이다.
(4) 의 공역이 실수 집합이고  ≠ ,  →  ≠ 일 때
[⇐]  ,  ,  이 모두  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 라고 하
lim   .
→ 자. 그리고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4) , 의 공역이 ℝ 의 부분일 때 그러면  ≤  ≤ 일 때   이 존재하여
lim ×   lim× lim . 
→ → →      ⇒       

증명 수열판정법과 정리 3.3을 이용한다. □
을 만족시킨다. 이제   min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일 때마다
정의 5.4    →  가 함수이고 가  의 집적점이라고 하

자. 가 에서 무한대에 발산한다는 것은 임의의 양수  에 대   ≤       
 
 
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      일 때마다    가
이므로 는 에서 연속이다. □
성립하는 것이다.

강의 노트 ∙ ∙ ∙ 6 ∙ ∙ ∙ 다변수 해석학
정리 6.5 연속함수는 긴밀성을 보존한다. 증명 결론에 반하여   가 연결집합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
러면   에서의 열린집합  ,  가 존재하여 서로소이고 공집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9.6의 증명과 동일하다. □
합이 아니면서     ∪ 를 만족시킨다. 이때      와

정리 6.6 긴밀집합 위에서 연속이면 유계이다.      는 서로소이고 공집합이 아니며  에서의 열린집합이고
     ∪      이다. 즉  는 연결집합이 아니다. 이것은
증명    → ℝ 이  위에서 연속이고  가 긴밀집합이라
모순이므로    는 연결집합이다. □
고 하자. 그러면   는 긴밀집합이므로 유계이다. □

참고 열린연결집합을 영역이라고 부른다.


정리 6.7 긴밀집합 위에서 연속이고 일대일대응인 함수는 그
역함수도 연속이다. 정의 7.4 집합  의 임의의 두 점 , 에 대하여 연속함수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9.8의 증명과 동일하다. □     →  가 존재하여   ,   를 만족시키면 
를 호상연결집합이라고 부른다.
정의 6.8 함수    →  가 균등연속이라는 것은
정리 7.5 호상연결집합은 연결집합이다.
∀   ∃   ∀ ∈       →      
증명  가 호상연결집합이라고 하자. 그리고 결론에 반하여 
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가 연결집합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 에서의 열린집합이
면서 서로소이고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 ,  가 존재하여
정리 6.9 긴밀집합 위에서 연속인 함수는 균등연속이다.
  ∪ 를 만족시킨다. ∈ 와 ∈ 를 택하자.  는 호상연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9.10의 증명과 동일하다. □ 결집합이므로 연속함수     →  가 존재하여   ,
  를 만족시킨다.

7. 연결집합 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자. 는 연속이므로  ,   은  에서 열린집합이
실수 집합의 부분집합이 연결된 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구간인
것이다. 그러나 차원이 높아지면 연결된 집합의 정의는 실수 집 다. 또한  ,   은 공집합이 아니고 서로소이다. 더욱이  

합에서처럼 단순하지 않다. ∪ 이므로    ∪  이다. 이것은  이 연결집합이
라는 데에 모순이다. 따라서  는 연결집합이다. □
정의 7.1 집합  에 대하여 서로소이고 공집합이 아닌 두 열린
집합  ,  가 존재하여 ∩ ≠ ∅,  ∩ ≠ ∅이면  는 분할 참고 일반적으로 위 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ℝ 의 두
되었다고 말한다. 분할되지 않은 집합을 연결집합이라고 부른다. 부분집합

  

      sin      ,     ∈ℝ

정리 7.2  가 연결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 에서의 여닫힌집합
를 생각하자.   ∪ 라고 하면  는 연결집합이지만 호상연
이 ∅과  자신밖에 없는 것이다. [열린집합이면서 동시에 닫
결집합이 아니다.
힌집합을 여닫힌집합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 가 열린집합이라는 조건을 추가하면 역이 성립한다.
증명 [⇒]  가 연결집합이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결론에 반하
여  의 부분집합  가 존재하여 ∅ ≠  ≠  이면서  는  에서
정리 7.6 ℝ 의 부분집합 가 열린집합이라고 하자. 이때 
의 여닫힌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 도  에서의 열린집합
가 연결집합일 필요충분조건은 호상연결집합인 것이다.
이다.    ,   ∖ 라고 하면  ,  는 공집합이 아니고 서
로소이며 모두  에서의 열린집합이고   ∪ 이다. 이것은  증명 가 호상연결집합이면 연결집합이 된다는 것은 이미 앞
가 연결집합이라는 데에 모순이다. 따라서 그러한 여닫힌집합  에서 증명하였다. 이제 역을 증명하기 위하여 가 연결집합이라

는 존재하지 않는다. 고 하자. 가 공집합인 경우에는 는 명백히 호상연결집합이


다. 따라서 가 공집합이 아니라고 하자. 이제 의 두 점 , 
[⇐]  에서의 여닫힌집합이 ∅과  자신밖에 없다고 가정하자.
에 대하여 연속인 함수     → 가 존재하여   ,
그리고 결론에 반하여  가 연결집합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   일 때 인 것으로 표기하자. 즉 와 를 연속인 선
면  에서의 열린집합이면서 서로소이고 공집합이 아닌 집합  , 으로 연결할 수 있을 때 인 것으로 약속하자. 그러면  는
 가 존재하여   ∪ 를 만족시킨다. 그러면   ∖ 이므  위에서의 동치관계가 된다.  에 의한 의 상집합을
로  는  에서의 여닫힌집합이다. 이때 ∅ ≠  ≠  이므로 여닫  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의 모든 원소는 열린집합이다.
힌집합이 ∅과  밖에 없다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 는 연 또한  는 의 분할이다. 따라서  는 의 열린덮개이다. 명백
결집합이다. □ 히  는 공집합이 아니다. 만약  의 원소가 2개 이상이라면 
가 연결집합이라는 데에 모순이다. 따라서  의 원소는 1개이다.
정리 7.3 함수 가 연속이고  가 연결집합이면   도 연결   의 원소가 1개라는 것은 의 점 가 존재하여 의 임의
집합이다. 의 점 에 대하여 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의 모든 점은
와 연결된다. 따라서 는 호상연결집합이다. □

강의 노트 ∙ ∙ ∙ 7 ∙ ∙ ∙ 다변수 해석학
두 점 , 에 대하여 선분  를 모든 성분이 실수인  ×  행렬들의 모임을 Mat  × ℝ 라고
        ≤  ≤  하자. 그러면 Mat  × ℝ 에 행렬 합과 실수 곱이 주어졌을 때
로 정의한다. 또한 열린선분  를
이 공간은 ℝ 과 동형인 벡터공간이 된다. ℝ 으로부터 ℝ 에
            
로의 선형사상들의 모임을 ℒ  ℒℝ ℝ  이라고 하면 대응
로 정의한다. 유한 개의 점  ,  , ⋯,  을 이은 다각선을
   ⋯      ∪  ∪ ⋯ ∪      ↦  

로 정의한다. 에 의하여 ℒ은 Mat  × ℝ 과 동형인 벡터공간이 된다.

노름이 주어진 벡터공간을 노름선형공간이라고 부른다.  와 


정리 7.7  가 영역이면  의 임의의 두 점은  에 포함되는 다
가 노름선형공간이라고 하자. 이때 함수    →  에 대하여
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용소 노름(operator norm)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증명  가 영역이고 ∈ , ∈ 라고 하자.   인 경우에는
 
자명하므로  ≠ 라고 하자. 
   sup  ∈  ≠ 
  
 가 호상연결이므로 연속함수     →  가 존재하여
여기서 ⋅는  에서의 노름을 의미하고 ⋅ 는  에서의 노
  ,   를 만족시킨다.    이라고 하자.
름을 의미한다.
그리고 ∈ 에 대하여   라고 하자.  는 열린집합이
므로 각 ∈ 에 대하여     ⊆ 를 만족시키는 양수  의 작용소 노름은  가  에서 벡터를 얼마나 멀리까지 떨어
 가 존재한다. 이때       ∈ 는  의 열린덮 뜨려 놓는지를 의미한다.

개가 된다.  은 긴밀집합이고 는 연속이므로  는 긴밀집


정리 8.1  와  가 노름선형공간이고    →  가 선형사
합이다. 따라서  는  를 덮는 유한부분덮개을 가진다. 즉
상이라고 하자. 이때 다음은 서로 동치이다.
 의 유한부분집합  가 존재하여       ∈가
(1)    ∞
 의 열린덮개가 된다. 여기서  의 원소들은  들의 순서와 동
(2)  는 균등연속이다.
일한 순서를 갖는 것으로 정의하자. 그리고 그 순서대로  의
(3)  는 연속이다.
원소들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자. (4)  는 원점에서 연속이다.
  ,   ,   , ⋯,   .
증명    ∞라고 하자. 그러면  의 선형성에 의하여 임의의
  의 중심을  이라고 하고   의 중심을  이라고 하자. 그리
, ′ 에 대하여
고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 ∩  ∩ 를 택하자. 그
    ′  ≤     ′
러면 모든 점  는  위의 점이고   ,   이다. 또한 이 성립한다. 따라서 (1)⇒(2)가 성립한다. 또한 (2)⇒(3)⇒(4)
 ≤ 인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이다. 따라서 가 성립함은 자명하다. 이제  가 원점에서 연속이라고 가정하
   ⋯   ⊆  ∪ ∪ ∪ ⋯ ∪  ⊆  자. 그러면   에 대하여 양수 가 존재하여 임의의 ∈ 에
이므로 와 는  에 포함되는 다각선으로 연결된다. □ 대하여   일 때마다    이 성립한다. 이 아닌
∈ 에 대하여   ,   라고 하자. 그러면
    이므로
8. 선형변환
     
    
정의역이 ℝ 이고 공역이 ℝ 인 임의의 선형사상   는 다음과    
같이 표현된다. 가 성립한다. 따라서 (4)⇒(1)이 성립한다. □

 
 
      . (8a)
   함수    →  가 위상동형사상이라는 것은 가 일대일대응이

고 와    이 모두 연속인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    는

  ℝ 의 원소이고   ,   , ⋯,   은 표준

기저이다. 이때   는 다음과 같은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정리 8.2  가 노름선형공간일 때 ℝ 으로부터  에로의 임의

   ⋯   의 선형사상   ℝ →  는 연속이다. 또한 만약  가 벡터공



    ⋮




⋯ 
⋱ ⋮
⋯ 
 간의 동형사상이면  는 위상동형사상(homeomorphism)이다.

증명 ℝ 에서의 노름은 유클리드 노름


   
   ⋯    
이 행렬을   의 표현행렬이라고 부른다. 만약 와  를 열
이고  에서의 노름은 ⋅ 이다.
벡터  와  로 나타낸다면 (8a)는 다음과 같은 행렬 곱
  max     ≤  ≤ 
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라고 하자. 그리고 ∈ℝ 을    로 나타내자.
 

강의 노트 ∙ ∙ ∙ 8 ∙ ∙ ∙ 다변수 해석학
그러면  ≤ 이고 9. 미분의 개념
 
실함수   가 에서 미분계수 ′  를 가진다는 것은 극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9a)
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는 연속이다. →

가 성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벡터변수 함수에 대해서는


 가 동형사상이라고 가정하자.  는 연속이므로 단위구면의 상
이러한 극한이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가 벡터인 경우 로 나
     은  에서 긴밀집합이다.  는 단사이므로  의 중심
누는 것이 정의되지 않기 때문이다. 벡터변수 함수의 미분을 정
은       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수   가 존재하여
의하기 위하여 (9a)와 동치인 명제를 살펴보자. (9a)를 변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이 성립한다. 이제        임을 증명하자. 결론에 반하 → 
여     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       이므 을 얻는다. 고정된 에 대하여 ′  는 고정된 실수이다.
로   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즉     ≤ 이므로      ′  라고 하면 위 식은
은 연속이다. 따라서  는 양방향 연속이고 전단사이므로 위상동       
lim 


→
형사상이다. □
으로 쓸 수 있다. 여기서 는 를 에 대응시키는 선형사상
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벡터변수 함수의
따름정리 유한차원 벡터공간에서 모든 선형사상은 연속이다. 또
미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한 유한차원 벡터공간에서 연속인 모든 선형사상은 위상동형사
상이다.
정의 9.1    → ℝ 의 정의역이 ℝ 에서의 열린집합이고
증명  가 차원 벡터공간이라고 하자. 그러면 동형사상  
∈ 라고 하자. 만약 선형사상   ℝ → ℝ 이 존재하여
ℝ →  가 존재한다. 임의의 선형변환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 ∘  는 ℝ 에서 정의된 선 lim  
→ 
형사상이므로 연속이며  는 위상동형사상이다. 따라서  는 연
속이다. 만약  가동형사상이면  와    의 연속성에 의하여  을 만족시키면 는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말하며  를 에서
는 위상동형사상이 된다. □ 의 미분이라고 부르고  또는   로 표기한다.

정리 8.3 임의의 선형사상    →  ,    →  에 대하 벡터변수 함수의 미분은 다른 방법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9a)
여  ∘   ≤    이다. 에서 함수  가
      ′    
증명 임의의 ∈ 에 대하여
를 만족시키도록 정의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미분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이므로  ∘  의 노름은     보다 크지 않다. □
이 성립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한차원 벡터공간 사이의 선형사상은 행렬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두 선형사상의 합성은 행렬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정의 9.2    → ℝ 의 정의역이 ℝ 에서의 열린집합이고
가  ×  행렬이고  가  ×  행렬이면 행렬의 곱    는 ∈ 라고 하자. 만약 선형사상   ℝ → ℝ 이 존재하고 
 ×  행렬이고, -성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의 적당한 근방에서 정의된 함수  이 존재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9b)

을 만족시키면 는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말하며  를 에서


정리 8.4  ∘    .
의 미분이라고 부르고  또는   로 표기한다.
 
증명 각  ∈ℝ 와  ∈ℝ 에 대하여
  참고 정의 9.2에서  를 Taylor 나머지 항이라고 부른다.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  가 보다 더 빨리 에 다가가기 때문에  을
이 성립한다. 따라서 부분선형(sublinear)함수라고 부른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앞의 정의 9.2에서     일 때 다변수 함수의 미분의 정의
 
는 실수 함수의 미분의 정의와 일치한다. 왜냐하면 ℝ로부터 ℝ
  
   
        
로의 선형사상은 변수에 단순히 ′  를 곱한 것으로 생각하면
가 성립한다. 기저의 값을 동일하게 변환시키는 두 선형사상은 되기 때문이다.
동일하므로 정리의 결과를 얻는다. □

강의 노트 ∙ ∙ ∙ 9 ∙ ∙ ∙ 다변수 해석학
에서 의 미분계수는 선형사상으로 생각할 수도 있고 하나의 앞서 공역이 ℝ인 함수의 편미분을 정의하였다. 이제 일반적인
행렬로 생각할 수도 있다. 에서 의 미분계수를 하나의 값, 즉 다변수 벡터함수의 편미분을 정의하자.
행렬로 생각하는 경우에는 주로 로 표기하고, 에서 의
미분계수를 선형사상으로 생각하는 경우에는 주로   로 표 정의 9.5    ⋯  의 -편미분(partial derivative)을 다

기한다. 음과 같이 정의한다.

  로 표기하는 것은 실수 함수의 미분계수를 ′  와 같이           


      lim 
표기하여 ′ 을 에 대한 함수로 생각하는 것과 비슷하게 다룰  → 
수 있게 해준다. 는 에 대한 함수이지만 는 그 자체 편미분과 구분하기 위하여 를 의 전미분(total derivative)이라
로서 또 하나의 선형사상이므로 와 같이 표기해야 하 고 부르기도 한다.
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에는 변수가 혼동되지 않도록
  로 표기하기도 한다. 정리 9.6 힘수    → ℝ ,  ⊆ ℝ 이 ∈ 에서 미분 가
능하면 는 에서 편미분 가능하다. 또한 에서 의 미분은 
일관성을 위하여 이 노트에서는 에서 의 미분을 로 표
의 편미분들을 성분으로 가진 행렬
기하고 혼동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만   로 표기하겠다.
   ⋯  

정리 9.3 함수 가 에서 미분 가능하면 임의의 ∈ℝ∖


에 대하여 다음 극한이 존재한다.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lim  (9c)
→ 
증명 가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   ⋯  이라고 하고
여기서 는 실수이다. 또한 에서 의 미분은 유일하다.
(9c)에     를 대입하면 미분의 정의에 의해
증명  가 미분의 정의를 만족시키는 선형사상이라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ℝ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고   라고 하자. 그러면 이다. 여기에  → 인 극한을 취하면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는 선형이므로
  
      
를 얻는다.  → 인 극한을 취하면 마지막 항은 에 수렴한다. lim     
→
따라서 등식 (9c)를 얻는다. 이제   가 에서 의 미분이고
가 성립한다. 따라서 의 -편미분이 존재하고 그것은 의
(9b)를 만족시킨다고 하자. 그러면 위 등식에 의하여 임의의 
표현행렬의 -성분이 된다. □
에 대하여      가 성립한다. 따라서     이므로 
에서 의 미분은 유일하다. □
참고 일반적으로 위 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에서
함수 의 모든 편미분이 존재할지라도 는 에서 미분 가능하
참고 위 정리에서 의 공역이 ℝ이고 가 단위벡터일 때 함수
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함수   ℝ → ℝ를
 ↦  를 에서 방향으로의 의 방향도함수라고 부른
i f   


다. 특히 가 기저의 한 원소     일 때  를 에서    
 i f  ≠ 
의   에 대한 편미분계수라고 부르고
으로 정의하면    에서
   
  또는     ,   
   
 

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     에서   ℝ → ℝ의 이지만 는 에서 미분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적절한 조건이 더
 에 대한 편미분계수는 다음과 같다. 해지면 의 편미분 가능성이 의 미분 가능성을 함의하게 된다.

     
 정리 9.7 함수    → ℝ 의 모든 편미분이 존재하고 그 편
      
 lim  미분이 모두 연속이면 는 미분 가능하다.
→ 
           증명 가 에서 편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그리고 에서 의
 lim 
→  편미분들의 행렬을  라고 하자. 또한 행렬  에 의해 표현되는
선형사상을   ℝ → ℝ 이라고 하자. 이제     임
정리 9.4 가 에서 미분 가능하면 는 에서 연속이다. 을 보일 것이다. 즉 Taylor 나머지항

증명 가 에서 미분 가능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부분선형임을 보일 것이다.  가 열린집합이므로 가 에 충

가 성립한다. 이때  → 인 극한을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분히 가까우면 점 로부터     까지 유한 개의 점  들을


     →  □ 이어서 만든 다각선    ⋯  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강의 노트 ∙ ∙ ∙ 10 ∙ ∙ ∙ 다변수 해석학
따라서     이고
 
(4) 의 오차 함수  를 의 Taylor 나머지항  에 대하여 다
         ( ≤  ≤ ) 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은         로부터 

          까지 잇는 선분이 
     
if ≠

된다.   if  
 도 같은 방법으로 정의한다. 그러면  → 일 때   → 임
함수    ∘  에 일변수 함수의 연쇄 법칙과 평균값 정
을 알 수 있다.
리를 적용하면 ∈ 이 존재하여     에 대하여
이제 에서 의 Taylor 전개식과   에서 의 Taylor 전
   개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킨다.       를 를 따라 움직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행렬  ,  는 각각   ,   이다. 그러
 
 

 면 합성함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  이다. 이제 나머지항이 에 대하
를 얻는다. 편도함수가 연속이므로  → 인 극한을 취하면 마
지막 합은 에 수렴한다. 따라서  는 부분선형이고 는 에서 여 부분선형임을 보여야 한다. 먼저
미분 가능하다. □   ≤    
는 부분선형이다. 다음으로
      ≤     
10. 미분의 성질
이다. 따라서
다변함수와 벡터함수의 미분은 선형사상이 되기 때문에 실함수
   ≤    ≤      
의 미분과는 다른 성질을 가진다.
이다.  → 일 때    → 이고,  → 일 때  ↛ 이므로

정리 10.1 두 함수 와 가 미분 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 는 에 대하여 부분선형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
(1) 가 실수일 때        .
(2)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  .
미분 가능한 함수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Leibniz 법칙을
(3) 선형사상  에 대하여       .
증명하려고 한다.
(4) 연쇄법칙 :   ∘    ∘ .
 ⋅  ⋅  ⋅
증명 (1) , 와   에 대한 Taylor 근사식을 쓰면 다음과 이것을 위하여 먼저 ⋅의 의미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 ℝ에
같다. 서 ⋅는 단순히 와 의 곱이다. 하지만 차원이 높아지면
         , 두 벡터의 곱은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

         ,  ,  ,  가 벡터공간이고    ×  →  가 함수라고 하자.


     임의의 ∈ 에 대하여 에 대한 함수  ⋅   → 가
            . 선형이고, 또 임의의 ∈ 에 대하여 에 대한 함수
⋅     →  가 선형이면 를 쌍선형(bilinear)사상이라고
여기서    는 부분선형이므로   는 에서
부른다. 이로써 라이프니츠 법칙은 다음과 같이 진술할 수 있다.
  의 미분이다.

(2)   ℝ → ℝ 이 상수함수   라고 하자. 그리고 영 정리 10.2    → ℝ 와    → ℝ이 에서 미분 가능하
변환을   ℝ → ℝ 으로 표기하자. 그러면 Taylor 나머지항 고   ℝ × ℝ → ℝ 이 쌍선형이면 함수
           는 항등적으로 이다. 따라서  ↦  
   이다. 는 에서 미분 가능하고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3)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는  


항등적으로 이다. 따라서    이다. 특히     일       .
때에는 선형사상은   의 꼴이고 이때 ′   이다. 증명 는 쌍선형이므로 그 노름

  

  sup   ≠   ≠ 
 
은 유한이다.

강의 노트 ∙ ∙ ∙ 11 ∙ ∙ ∙ 다변수 해석학
  ,   라고 하면 정리 10.5 함수    → ℝ 이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하고 선
                   분  가  에 포함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10a)
이다. 그런데 가 성립한다. 역으로 위 등식을 만족시키는 연속 선형사상들

  ≤   , ∈ℒ이 존재하면 는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하며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이 명제를   -평균값 정리라고 부른다.
        ≤         증명 주어진 적분의 피적분함수는 노름공간  ℝ ℝ  에서
값을 취하므로 에 관하여 연속이다. 적분은 Riemann 합의 극
이므로 마지막 세 항은 부분선형이다. 따라서  는 미분

가능하고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 로 계산되는데, 그 값은  에 놓인다. 적분이  의 원소이므로 벡


터   에 작용할 수 있다. 교대로 만약 를 나타내는 행렬의
정리 10.3    → ℝ ,    가 ∈ 에서 미분 가능할 각 성분을 선분 위에서 적분하면 그 값은  를 나타내는 행렬의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 가 에서 미분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 각 성분이 된다. 첨수 를 고정시키고 일변수 함수
의 미분의 번째 성분은 의 번째 성분의 미분이다.    ∘ 

증명 가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그리고  를 번째 좌 에 미적분의 기본정리를 적용하자. 여기서       는

표를 사영시키는 사영사상이라고 하자. 그러면 의 번째 성분 선분  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그러면

은    ∘ 가 된다.  는 선형이므로 미분 가능하다. 연쇄법         



칙에 의하여  는 에서 미분 가능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역이 성립하는 것 또한 이 등식에 의하여 자명하게 증명된   

       

다. □  
 
 

를 얻는데, 이것은    의 번째 성분이 된다.


정리 10.4    → ℝ 이  에서 미분 가능하고 선분  
가  에 포함되면   sup  ∈에 대하여 이제 역을 증명하자. 연속 선형함수들  에 대하여 (10a)가 성
립한다고 가정하자.     라고 하자. 그러면 에서 일차
   ≤    
Taylor 나머지항은
가 성립한다. 이 명제를 평균값 정리라고 부른다.                
증명 ∈ℝ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이다. 이 항은 에 대하여 부분선형이므로    이다. □
 〈     〉
는 미분 가능하다. 따라서 일변수 함수의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참고 위 정리에서  를 선분   위에서 의 평균변화율 또
∈ 이 존재하여 는 평균미분(average derivative)이라고 부른다.
    ′  
를 만족시킨다. 즉 따름정리  가 연결열린집합이고    → ℒ 이 미분 가능하

〈   〉 ′   며 임의의 ∈ 에 대하여   이면 는  에서 상수함


〈       〉≤     수이다.

가 성립한다. 즉 임의의 단위벡터와 내적한 결과가     이 증명 한 점 ∈ 를 택하자.  가 연결열린집합이므로 임의의

하이므로 그러한 벡터의 노름은     이하가 된다. □ ∈ 에 대하여 에서 까지 유한 개의 점  들을 이어서 만든
다각선    ⋯  으로 이을 수 있다. 이때 선분
일변수 함수의 평균값 정리는 부등식이 아니라 등식      위에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      를 얻
    ′     는다. 따라서
이다. 그러나 다변수 함수에 대해서는 항상 등식이 성립하는 것          ⋯    
은 아니다. 단 몇 가지 조건이 추가되면 다음 정리에서처럼 비슷 이므로 는 상수함수이다. □
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강의 노트 ∙ ∙ ∙ 12 ∙ ∙ ∙ 다변수 해석학
다음은 적절한 조건 하에서 미분과 적분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미분 가능하며 이때
는 정리이다.      
로 정의한다. 이계 편미분계수도 일계 편미분계수와 마찬가지로
정리 10.6     ×   → ℝ가 연속이고 정의한다.
 
 
정리 11.2 만약  가 존재하면 에서의 이계 편도함수
가 존재하며 연속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가 존재하며

        

        
는 연속적으로 미분 가능하며  

 
  를 만족시킨다. 역으로 의 한 근방에서 의 모든 이계 편도함


  

 (10b)
수가 존재하고 연속이면 에서 의 이계도함수  가 존재
가 성립한다. 이 명제를 Leibniz의 정리라고 부른다. 한다.

증명 가 충분히 작으면  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증명 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 ↦ 은
  에서 미분 가능하므로 행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안쪽에 있는 적분은 로부터   까지 잇는 선분  
위에서 에 대한 의 평균 편미분이다. 가 연속이므로  →    ⋮ ⋱ ⋮
 
일 때 평균 편미분은  ⋯ 
   
 
  에 의해 표현되는 함수  ↦  도   에서 미분 가능하다.

에 수렴한다. 따라서 등식 (10b)를 얻는다. 행렬  는 벡터 함수로서 모든 성분이   에서 미분 가능하


또한  가 연속이므로 도 연속이다. □ 고 이계도함수가 존재한다. 또한  의 번째 행은   에서
미분 가능한 에 대한 함수이며

11. 고계도함수               

이 장에서는 다변수 함수의 고계도함수를 정의하고 그 성질을             
 lim 
→ 
살펴보자.    → ℝ 이 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이때
이 성립한다. 마지막 식의 분자의 미분은 각각     와 에서
각 에 대하여 가 존재하므로 대응  ↦ 는
 의 번째 편미분이다. 따라서
   →  ℝ ℝ 
인 함수가 된다. 즉 는 열린집합으로부터 차원 벡터공간   
        
에로의 함수이다. 따라서 점 ∈ 에서 의 미분  
  가 성립한다.
를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을 에서 의 이계도함수라고 부르고 역으로 의 한 근방에서 연속인 이계도함수가 존재한다고 하자.
 로 표기한다. 그러면  의 성분들은 의 근방에 있는 에서 편미분을 가지
며 에서 연속이다. 따라서  ↦  는   에서 미분 가능하
정의 11.1 에서 의 이계 도함수를
다. 즉 는 에서 두 번 미분 가능하다. □
    
로 정의한다.
정리 11.3 이계도함수  가 존재하면 그것은 대칭이다.
즉 임의의  ∈ℝ 에 대하여
참고 에서 가 미분 가능할 때 는 에서 두 번 미분 가능
       
하다고 말한다. 각 ∈ℝ 에 대하여  는  에 속하므
가 성립한다. 이 명제를 Clairaut의 정리라고 부른다.
로 ℝ 로부터 ℝ 에로의 선형사상이다. 따라서   
는 쌍선형이고 이것을 증명    ⋯  이라고 하자. 각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로 표기한다. 삼계 도함수와 사계 도함수도 마찬가지로 정의한 가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따라서 일반성을 잃지 않고 의 공역
   
다.  이 ℝ × ℝ 으로부터 ℝ 에로의 선형사상들의 모임이라 을 ℝ라고 하고
고 하자. 만약 가  에서 두 번 미분 가능하면 대응  ↦        
 는 함수 가 성립함을 보이겠다. ∈ 이라고 하고 네 점 ,   ,

  →    ,     를 꼭짓점으로 하는 평행사변형  를 생각하

가 된다. 만약  가 에서 미분 가능하면 는 에서 세 번 자. 그리고 두 점   와   에는 음의 부호를 이름으로 붙

강의 노트 ∙ ∙ ∙ 13 ∙ ∙ ∙ 다변수 해석학
이고 나머지 두 점에는 양의 부호를 이름으로 붙인다. 그러면 앞의 따름정리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즉 가 에서 순서를
바꾸어도 동일한 값을 갖는 이계 편도함수를 가질지라도 는 
     
에서 두 번 미분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이제 고계도함수에 대하여 간단히 논의해 보자.
는  의 꼭짓점에서의 부호 붙은 변화율이다. 명백히 는 , 
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함수 , 가 번 미분 가능할 때 상수 에 대하여   의 미
        분이     이 됨은 자명하다. 또한 가 -선형이고
이다. 이제   이면    ⋯ 의 계 미분은    이다 한
    편   이면    symm이다. 여기서 symm는
     lim 
(11a)
→  의 대칭화(symmetrization)로서   ⋯ 의 치환들의 모임
가 성립함을 보이자. 그러면  의 대칭성이 증명된다. , ,    에 대하여
를 고정시키고 
sym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정의된 함수이다.
로 정의된 에 대하여     이라고 하자. 가 미분
가능하므로 도 미분 가능하다. 일변수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 계 도함수의 연쇄법칙은 약간 복잡하다.

리에 의하여 ∈ 이 존재하여   ′   를 만족시킨다.  ∘     ∘  


연쇄법칙에 의하여 ′   는 의 항들로 표현되며
를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얻는다.   에서  ↦ 의 Taylor 근사식을 구하면
가 된다. 이것을 미분하는 과정을 거듭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ℝ ℝ  은 에 대하여 부분선형
이다.   의 근사식에     를 대입한 것과 를 얻는다. 여기서 의 합은  ⋯ 를 개의 성분으로 분

  를 대입한 것을 비교하면 할하는 모든 분할에 대하여 취해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12. Taylor의 정리
 일반적으로 계 전미분은
            

    →  ℝ × ℝ ×⋯× ℝ ℝ 
           
 times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를 얻는다. 여기서 두 이계도함수의 항을 결합할 때 쌍선형성이     ℝ × ℝ ×⋯× ℝ → ℝ
 
 times
이용되었다.     가 에 대하여 부분선형이므로  → 일
는 각  에 대하여 다중선형이다. 따라서 각  ,  , ⋯,
때 마지막 두 항은 에 수렴한다. 따라서 (11a)가 증명되었다.
 는 대칭인 두 함수 , 의 극한이므로  도 대칭 ∈ℝ 에 대하여

이다. □
    ⋯       ⋯  ∈ℝ

위 정리에서 보다시피 다변수 함수의 경우  는 하나의 극한 이다.   일 때 고계도함수에 관하여 생각하자.  ≥ ,  는

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변수 함수에 대해서는 참 ℝ 에서의 열린집합,    → ℝ라고 하자. 의   계 편도
이 아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함수가  에서 존재하고 에서 미분 가능이면 와  ,  , ⋯,
         ∈ℝ 에서의 계 전미분은
″  ≠ lim 
→   
 
이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에 대하여
따름정리 가 에서 두 번 미분 가능하면 이계 편도함수의 미
분 순서를 바꾸어도 그 값은 동일하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증명 다음 등식에 의하여 자명하다.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강의 노트 ∙ ∙ ∙ 14 ∙ ∙ ∙ 다변수 해석학
  일 때 정의에 의하여 Taylor 정리에서 사용된   를 보다 간단하게 나타내기

 위해 다음 기호를 도입하자.
    




  ∇⋅  
   ⋯  ∈ℝ ,
이므로 의 첫 번째 전미분은 의 전도함수와 밀접한 관계가
   ⋯  ∈ℤ
있다. 만약   이면
이고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 는 열벡터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 ×  행렬이다. 이 행렬을 헤세 행렬(Hessian)이라고 부른다.    ⋯ 

으로 표기하자. 그러면
정리 12.1 가 자연수이고  가 ℝ 에서의 열린집합이며 
 ∈ 이고    → ℝ의   계 편도함수가  에서 존재한
    

  
 


다고 하자. 만약 ∈ , ∈ 를 잇는 선분    이  의


로 쓸 수 있다. 따라서 Taylor의 정리는
부분집합이면 ∈ 이 존재하여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  ,     ⋯ 이다. 이 명제를    

다변함수에 대한 Taylor의 정리라고 부른다. 로 쓸 수 있다.


증명 충분히 작은 양수 가 존재하여 임의의 ∈    
  에 대하여    ⊆  가 성립한다.      라고 13. 함수급수의 미분
하면  는 실수 함수이다. 연쇄법칙을 이용하면 함수 가 번 미분 가능하고 의 계 도함수가 연속이면 는

   급이라고 말한다. 만약 임의의 에 대하여 가   급이면 
 ′      


 
   
는  ∞ 급이다고 말한다.
이며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면     ⋯ 에 대하여
 
  정의 13.1  
〈〉가  급 함수    → ℝ 의 수열이라고
   ⋯ 
 ⋯ 
  
  
  
 ⋯ 
  하자.
임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 는  위에서 미분 가능하다. (1) 만약   급 함수    → ℝ 가 존재하여  ⇉ 이고 
이로써     ⋯ 와 ∈ 에 대하여 이하인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면 〈〉는
      ⋯   , 에   급으로 균등수렴한다고 말한다.

        ⋯   (2)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자연수  이 존재하여  ≥  ,


 ≥  일 때마다 임의의 ∈ 와 보다 작은 임의의 자연수
가 성립한다. 여기서   이다. 기호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을
  ,     ⋯ 일 때    ⋯   를   

만족시키면 〈〉를  급 동정도 Cauchy 수열 또는 간단히
로 나타내자. 함수    → ℝ는  위의 모든 점에서 계 도
  급 Cauchy 수열이라고 부른다.
함수를 가짐을 보였다. 따라서 만약  ⊇  이면 일변수 함
수의 Taylor 정리에 의하여 ∈ 이 존재하여
정리 13.2   급 균등수렴과   급 Cauchy 수열인 것은 서로
        
동치이다.

  



     
 증명 수렴하는 수열은 당연히 Cauchy 수열이다. 이제   급

  Cauchy 수열인 수열이   급으로 균등수렴함을 증명하자. 먼저
       



     

  인 경우를 증명하자.  는 연속인 함수 에 균등수렴하고,


를 만족시킨다.     로 두면 정리의 결과를 얻는다. □ 도함수열  도 연속함수 에 균등수렴함을 알고 있다.
  임을 보이자. ∈ 라고 하고 의 볼록 근방의 점 를
택하자.

강의 노트 ∙ ∙ ∙ 15 ∙ ∙ ∙ 다변수 해석학
  평균값 정리와 균등수렴성에 의하여  → ∞일 때 정리 14.1 함수 가   급( ≤  ≤ ∞)이면   의 한 근
 방과   급 함수 가 존재하여 근방에서 의 그래프가 의 그
       
       
래프와 일치하며 또한   를 만족시킨다. 이 명제를 음함
⇊ ⇊ 수 정리라고 부른다.

           
 증명 일반성을 잃지 않고   가 ℝ × ℝ 의 원점  
이라고 하자. 그리고   가 ℝ 의 원점 이라고 하자.
가 성립한다. 의 적분은 에 대한 연속함수이며   일 때 이
     
적분은   가 된다.   평균값 정리의 역에 의하여 는 미분   
  
가능하고   이다. 따라서 는   급이고  → ∞일 때 
로 정의된  ×  행렬  와 부분선형  가 존재하여 의
는 에   급으로 균등수렴한다. 이로써   일 때 증명이 끝
Taylor 전개가
났다.
        
  로 표현된다. 따라서    을 풀어서   의 꼴로 나타
이제  ≥ 라고 하자. 대응    →  들은 평등  급
Cauchy 수열을 형성한다. 그 극한은,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내는 것은
  
급으로 균등수렴한다. 즉  → ∞일 때 임의의  ≤              (14b)
에 대하여 를 푸는 것과 동치이다. (2)에서 만약  가 에 영향을 받지 않

   ⇉    는다면 (14b)는 에 대해 양적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 가 
에 완전히 영향을 받지 않을 수는 없다. 따라서 이 증명에서는
이다. 따라서  → ∞일 때  는 에   급으로 균등수렴한다.
 가 에 매우 적은 영향을 받음을 보일 것이다.
이로써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정리가 증명되었다. □
(14b)에서 를 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는 것은
   ↦        
참고   급 함수    → ℝ 에 대하여   -노름을
의 부동점을 찾는 것과 같다.  가 축약 사상임을 보이면 이것
  maxsup ∈  ⋯ sup ∈    
이 증명된다. 나머지  은   급 함수이고     이다.
로 정의한다.   ∞인 함수 들의 모임을   ℝ  으로
따라서 충분히 작은 양수 이 존재하여 와 의 값이  이하
표기한다.
일 때마다

따름정리 노름 ⋅ 이 주어진 공간   ℝ  은 완비이다. ‖   


    ≤ 


 ‖
즉 Banach 공간이다. 이 성립한다.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 , 의 값이  이하
일 때마다
따름정리  가 수렴하는 양항 실급수이고 임의의 에 대하
        ≤            
여  ≤  이면   ℝ  에서   는 적당한 함수 에
 

수렴한다. 이때 는 차 이하의 항별 미분을 할 수 있다. 즉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 명제를   급  -판정법이라고 부른다. ≤    

가 성립한다. 가 원점에서 연속이므로 보다 작은 양수 가 존

14. 음함수 정리와 역함수 정리 재하여  ≤ 일 때마다



   → ℝ 의 정의역  가 ℝ × ℝ 에서의 열린집합이라고   ≤ 

하자. 한 점   ∈ 에 대하여       라고 하자. 우
이 성립한다. 따라서     가 ℝ 에서의 열린구이고
리의 목표는   의 한 근방에서 에 대한 방정식
    가 ℝ 에서의 열린구일 때, 임의의 ∈ 에 대하
     (14a) 여  는  를 그 위에 대응시키는 축약사상이 된다. 부동점 정
을 푸는 것이다. 더욱 정확히 말하면,   의 한 근방이 존 리에 의하여  는  에서 부동점 를 가진다. 따라서 원점
재하여 그 근방 내에서      의 그래프가   의 그 근처에서 의 그래프와   의 그래프는 일치하게 된다.
래프와 일치하도록 하는 를 구하는 것이다. 이제 가   급임을 보여야 한다. 먼저 가 원점에서 Lipschitz
적당한 조건이 주어지면 그러한 함수 가 존재하며 는 미분 조건을 만족시킴을 보이자.       이고 가 충분히 작
가능하고, 또한 유일함을 보일 수 있다. 이 절이 끝날 때까지 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행렬          
     
   ≤ Lip      
  
 
≤           
은 가역인 것으로 가정하겠다. 즉  는 ℝ 으로부터 ℝ 에로의 

동형사상이다. ≤     

강의 노트 ∙ ∙ ∙ 16 ∙ ∙ ∙ 다변수 해석학
따라서 는 Lipschitz 조건 증명       라고 하자. 명백히  는   급이고
 ≤       이며  에서 에 대한  의 미분은 이
를 만족시킨다. 즉 는   에서 연속이다. 다. 는 동형사상이므로 와 의 역할을 바꾸어 음함수
만약 가 원점에서 미분 가능하다면 연쇄법칙에 의하여 정리를 적용하면 의 근방  와 의 근방  , 그리고   급
    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우리는 음함수    →  가 존재하여     을 만족시킴을
 알 수 있다. 따라서   이므로  ∘   id  이고 는 
   
의 우역원이 된다.
가 성립함을 보여야 한다. 는  의 부동점이므로
이제 가   ∈ ∈로부터  에로의 일대일대응이
        
고 그 역함수는 이며 는   급인 함수임을 보이자. 이것을
를 만족시킨다. 원점에서 의 Taylor 근사식은 원점에서 에
세 단계로 증명하자.
수렴하는 함수 가 존재하여
는 연속이고  은 열린집합이다. ∈ 이고 ∈ 이므로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은 의 근방이다.
≤     ≤       
∈ 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이고   이므
≤        
로 ∈ 이다. 따라서  ∘ 는 잘 정의된 함수이고
가 된다.  → 일 때  → 이므로    → 이다. 즉
 ∘    ∘   를 만족시킨다. 즉 는  의 우역
나머지 항은 에 대하여 부분선형이며 는 에서 미분 가능하
고      를 만족시킨다. 원이다.

같은 방법으로 ∈ 가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의 정의에 의하여 ∈


    이며  의점 가 유일하게 존재하여     을
   ,    
  만족시킨다. 그런데 가 바로 그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이다.
일 때 원점 근처의 임의의 점  에 대하여 는  에 속하므로  에 속하며,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의 유일성에 의하여
  이다. 즉 는  의 좌역원이다. □
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이로써 는 미분 가능하므로 연속
이고 는   급이며  와   는 에 대하여 연속인 함수가 된
참고 위 정리의 의미는   가 동형사상이면 는 에서 국소
다. Cramer의 법칙을 이용하면   의 역함수    를 양함수로
적으로 미분동형사상이라는 것이다.
서 구할 수 있으며, 이때    도 에 대한 연속함수이다. 따라
서 는   급이다.
15. 차수 정리

이제 가  급임을 보이자.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자. 선형 변환   ℝ → ℝ 의 치역의 차원을  의 차수라고 부
 ≤   ∞라고 하고, 가     급이라고 가정하자. 가   급 른다. 또한  의 핵(kernel)의 차원을  의 퇴화 차수(nullity)라고
일 때 는     급이다.  와   는 이들을 결합하여 얻은 함 부른다.  가 위에로의 함수이면 차수는  이다.  가 일대일 함
 
수이므로 마찬가지로  급이다.    의 행렬성분들은   의 수이면 차수는 이다. 일반적으로
행렬성분들에 대수적인 종속변수이므로    또한     급이다. rank  nullity  
이 성립한다.
따라서 는     급이고 이것은 가   급임을 의미한다.
만약 가  ∞ 급이면 는 임의의 유한값 에 대하여   급이므 미분 가능한 함수    → ℝ 이 임의의 ∈ 에 대하여
로 는  ∞ 이 된다. □   의 차수가 이면 는 상수 차수 를 가진다고 말한다.

차수의 중요한 성질 중 하나는 만약  의 차수가 이고    


함수 가 일대일 대응이고 와   이 모두   급일 때 를   가 충분히 작으면  의 차수는  이상이라는 것이다.  의 차수
급 미분동형사상(diffeomorphism)이라고 부른다. 미분 가능한 함수 는 증가할 수는 있지만 감소할 수는 없다. 따라서 만약 가  
는 연속이므로 임의의 미분동형사상은 위상동형사상이다. 급이고   의 차수가 이면 저절로 의 근방의 모든 에 대
하여   의 차수는  이상이 된다.
정리 14.2   이고    → ℝ 이   급( ≤  ≤ ∞)이
며, 적당한 점 ∈ 가 존재하여   가 동형사상이 된다고 차수 정리는 상수 차수를 갖는 사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상수
차수를 갖는 사상은 국소적으로 선형인 사영사상이 된다는 것이
하자. 그러면 는 의 한 근방으로부터 의 근방에로의  
다.
급 미분동형사상이다. 이 명제를 역함수 정리라고 부른다.

강의 노트 ∙ ∙ ∙ 17 ∙ ∙ ∙ 다변수 해석학
약간의 대수학적 개념을 도입하자. 두 사상    →  , 1단계 ℝ 과 ℝ 의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에 대하여 두 일대일대응    →  ,    →    ℝ → ℝ  ↦   ,

가 존재하여    ∘  ∘  을 만족시킬 때 와 를 서로 동 ′  ℝ → ℝ ′ ↦ ′  .
치라고 부르자. 참고로 임의의 ∈ 에 대하여
이들 변환은 각각 ℝ 과 ℝ 에서의 미분동형사상이다. 는
   ′ ∘  ∘ 와   급 동치이며 ′ ∘  ∘ 은 을 에 대응시키고

가 성립하는 것을 다이어그램 상수 차수 를 가진다. 따라서 가 ℝ 의 원점이고 가 ℝ


의 원점이라고 가정하여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 
2단계   ℝ → ℝ 이 × ℝ   를 의 핵에 대응시
  키는 동형사상이라고 하자. 의 핵의 차원이   이므로
그러한 사상  의 존재성이 보장된다.  ′ ℝ → ℝ 이

  의 상을 ℝ × 에 대응시키는 동형사상이라고 하자.
의 차원이 이므로 그러한 사상  ′ 의 존재성이 보장된
이 교환적이다(commuative)라고 말한다. 또 와 는 변수 변환
다. 그러면  ≈   ′ ∘  ∘  이다. 이 사상은 ℝ 의 원점을
이라고 부른다. 만약 와 가   급이고 , 가   급 미분동
ℝ 의 원점에 대응시키며, 원점에서의 미분의 핵은 × ℝ  
형사상이며  ≤  ≤ ∞이면 와 는   급 동치이다라고 말하
이 되고 상은 ℝ × 이 된다. 따라서 도 그러한 성질을 가
며 이것을  ≈  로 표기한다. 즉   급 사상으로서 와 를
지고 있다고 가정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구별하지 않고 같은 것으로 여긴다는 뜻이다.
3단계  ∈ℝ × ℝ   에 대하여
보조정리   급 동치성은 동치관계이며 차수에 영향을 미치지         ∈ℝ × ℝ  
않는다. 라고 쓰자. 이제  ≈  이면서     을 만족시키는

증명 관계 ≈  가 동치관계임은 정의에 의하여 자명하다. 함수 가 존재함을 보일 것이다. 의 행렬은


 
이제    ∘  ∘   이라고 하자. 그러면 연쇄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 인데, 이 행렬은 가역인  ×  행렬이다. 따라서 역함수 정리에
이다. 와   은 동형사상이므로 와 는 동일한 차수 의하여 함수
를 가진다. □    ↦   

은 ℝ 의 원점의 한 근방  로부터  ′ 에로의 미분동형사상이다.
선형 사영사상   ℝ → ℝ 이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로 정의되었을 때,  의 차수는 이다.  는 ℝ 을 차원 부분 이라고 정의하자. 그러면 는  ′ 으로부터 ℝ   에로의   급

벡터공간 ℝ × 에 대응시킨다.  의 표현행렬은 함수이며     을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정리 15.1 상수차수 를 갖는   급 사상은 국소적으로 차원  ′ ′  ′∈ ′
부분공간 위에로의 선형 사영사상과 동치이다. 이 명제를 차수
이므로 에 의한  × 의 상은 의 그래프이다.
정리라고 부른다.
′ ′ ∈ ′ × ℝ   에 대하여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정의된 근기 사영사상   ℝ∖ → ′ ′     ′  ′  ′ 


  을 생각하자. 이라고 정의하자. 는   급 미분동형사상들의 합성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이 함수는 상수 차수 2를 가지며 국소적으로 ℝ 로부터 -평 도   급 미분동형사상이다. (원점에서 도함수를 직접 계산한 뒤
면에로의 선형 사영사상과 구분되지 않는다. 역함수 정리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함수 를    ∘ 라고 정
의하면  ≈ 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차수정리의 증명    → ℝ 이 상수 차수 를 가지며 ∈     ∘      
라고 하자. 이제 의 적당한 근방에서  ≈   임을 보일 것이
   ∘             .
다. 네 단계로 나누어 증명한다.
따라서     이라고 가정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강의 노트 ∙ ∙ ∙ 18 ∙ ∙ ∙ 다변수 해석학
4단계 앞의 세 단계에서 언급했던 모든 가정을 전제로 증명을 따름정리    → ℝ 이   급이고 의 차수가 이면
계속하자. ℝ 의 원점 근방에서 정의된 국소적 미분동형사상  의 한 근방에서 수준 집합들(level sets) ∈   이
가 존재하여  ∘ 가     으로 정의된 사영사상    차원인 비선형 원판   의 층(stack)을 형성한다.
와 일치함을 증명할 것이다. 방정식
증명 의 근방에서 차수가 감소하지 않으므로 는  근방에서
      
상수차수 을 가진다. ℝ 으로부터 ℝ에로의 사영사상들의 수
은 원점 근방에서    를 음적으로 정의한다. 는 ℝ 으
준 집합들은 평면들의 층을 형성하며 차수 정리에서의 미분동형
로부터 ℝ 로의   급 일대일 함수이며    을 만족시킨 아래에서 의 수준 집합들은 이러한 평면들의 상이다. □
다. 왜냐하면 원점에서 에 대한     의 미분의 표현행
렬은 가역행렬  × 가 되기 때문이다. 따름정리 만약    → ℝ 가 에서 차수 을 가지면  의
      상   는 국소적으로 차원 원판과 미분동형이다.

가 ℝ 의 국소적 미분동형사상이고    ∘ 가  와 일치함을
증명 의 근방에서 차수가 감소하지 않으므로 의 근방에서 
보이자.
는 상수 차수 을 가진다. 차수 정리에 의하여 는 국소적으로
원점에서 에 대한  의 미분은 연쇄법칙에 의하여 계산
 ↦  과   급 동치이다. (사실   이므로 이 사영사상
될 수 있으며
의 좌표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 의 국소 상은 ℝ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원점 근방인 차원 원판과 미분동형이다. □
    
를 만족시킨다. 즉 원점에서 의 표현행렬은 항등행렬이다.
따라서 16. 라그랑주 승수
 × ⋆ 
    미적분학에서는 조건       아래에서 함수    
     ×  
의 최댓값을 찾는 문제를 만난다. 의 기울기(gradient)와 의 기
는 ⋆이 무엇인지에 상관없이 가역이다. 명백히   이다. 울기가 평행하게 되는 점 에서만 는 조건    아래에서 최
역함수 정리에 의하여 는 원점 근방에서 국소적으로   급 미 댓값을 갖게 된다. 즉

분동형사상이며 는 와  급으로 동치이다. 따라서 보조정리 grad    grad   (16a)
에 의하여 는 상수차수 를 가진다. 인 점 에서만 는 조건    아래에서 최댓값을 갖게 된다.
     ∘       이때 를 Lagrange 승수(multiplier)라고 부른다. 이 절에서는 최
            댓값을 갖는 점에서 (16a)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이유를 논리적
으로 설명한다.
이므로     이고 다음을 얻는다.
먼저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 ×  
  



 
 (ⅰ) 와 는 영역  ⊆ ℝ 에서 정의된   급 실함수이다.
(ⅱ) 적당한 상수 에 대하여      는 긴밀집합이고 공
끝으로 가 상수차수 를 가진다는 가정을 사용하자. 이러한
집합이 아니며 임의의 ∈ 에 대하여 grad  ≠ 이다.
꼴의 행렬이 차수 를 가지려면
(ⅲ) 는 최댓값  을 가지며, 만약 ∈ 에 대하여   

 ≡ 이면 가 존재하여 grad   grad 를 만족시킨다.

이 되어야 한다. 도함수가 인 함수는 상수함수이므로 원점의 이제 가정에서와 같은 , 가 주어져 있고 가 최댓값을 갖는
근방에서  는 에 독립적인 함수이다. 따라서 ∈ 를 찾는 문제를 해결해보자.  는 긴밀집합이므로 그러한
            최댓값은 반드시 존재한다. 먼저 와 의 기울기가 일차 종속이
이다. 그런데 ℝ × 에서   이므로 위 식의 값은 이다. 되는 모든 점 ∈ 를 찾아야 한다. 즉 한 함수의 기울기가 다른
따라서  ≈  ,      이다. 즉    이다. 함수의 기울기의 스칼라 배가 되는 점을 찾아야 한다. 그러한 점
이상의 4단계에 보조정리를 결합하면 상수 차수를 갖는 함수  들은 최댓값을 갖는 점이 될 후보들이다. 그 후에 그러한 점들

와 선형 사영사상  가   급 동치라는 결론을 얻는다. □ 위에서 의 값을 계산한 뒤 의 값이 가장 크게 되는 점을 찾


는다. 그러면 문제 해결이 완료된다.

따름정리    → ℝ 이 에서 차수 를 가지면,   급 함수 물론 최솟값을 갖는 점도 같은 방법으로 찾을 수 있다. 즉 최솟


  ℝ → ℝ   와 ∈ℝ 에 대하여        값을 갖는 점이 될 후보들을 찾은 뒤 그러한 점 위에서 함숫값
꼴의 함수 가 존재하여 국소적으로 는 와 동치이다. 을 계산하여 실제로 최솟값을 갖는 점을 찾는다. 사실 후보가 되
는 그러한 점들은 의 임계점(critical point)이다. 여기서 ∈
증명 차수 정리의 증명 과정의 앞부분에서 이미 증명하였다. □
가 의 임계점이라는 것은
  
lim 


→

을 만족시킴을 의미한다.

강의 노트 ∙ ∙ ∙ 19 ∙ ∙ ∙ 다변수 해석학
이제 라그랑주 승수의 방법이 어떻게 유효하게 되는지 설명해보 이 ℝ 의 기저가 된다.    ≤  ≤ 인 에 대하여
자. ∈ 에서     의 기울기(gradient)는     ⋅
로 정의하자. 여기서  ⋅는   와 의 내적이다. 함수
  
grad        ∈ℝ
   
   ↦     ⋯  
로 정의된 벡터이다. (ⅰ)과 (ⅱ)를 가정하고 가 ∈ 에서 최        ⋯  
댓값  을 가진다고 하자. 이제 (ⅲ)을 증명해야 한다. 즉 에서
의 기울기는 에서 의 기울기의 스칼라 배가 됨을 증명해야 는 국소적으로 ℝ 으로부터 그 자신에로의 미분동형사상이다.
한다. 만약 grad   이면 grad   ⋅grad 이므로 증명이 원점에서  의 미분은  ×  행렬

끝난다. 따라서 grad  ≠ 이라고 가정하자.     grad  grad  ⋯ grad 


grad        ⋯  
차수 정리에 의하여 의 기울기가 이 되지 않는 점의 근방에
서 의 수준 곡면은 얇은 막이 겹겹이 쌓여 있는 것과 같은 모 이고 이 행렬의 열벡터들은 일차독립이다. 함수    를
습이 된다. 겹겹이 쌓여 있는 양파 껍질이나 투명 호일로 생각할
ℝ 의 원점의 근방 위에서의 새로운 좌표로서 생각하자. 이러한
수도 있다.
좌표에서 곡면  는 좌표평면 × ℝ   가 되는데, 그러한 좌표
결론에 반하여 grad 가 grad 의 스칼라 배가 되지 않는다고 평면 위에서 좌표  ,  , ⋯,  는 이고 는   번째 좌표
가정하자. 그러면 두 기울기 사이의 각은 이 아니다. 작은 양수 함수   이 된다. 좌표 함수는 좌표 평면 × ℝ   위에서
에 대하여 -수준의 곡면    ± 을 생각하자. -수준 곡면 최댓값을 갖지 않으므로 는 에서 최댓값을 갖지 않는다.
 는 세 곡면    과    ± 를 통과하여 지나간다. -수준
곡면  의 방향은 grad 에 수직이고 -수준의 곡면들은
17. 곡선과 곡면
grad 에 수직이다.  는 의 근처에서 -수준의 각 곡면들을
통과하여 지나가며,  와     의 교집합은 교선이 된다. 교 정의역이 닫힌구간  이고 공역이 ℝ 인 연속함수를 곡선이

선 위에서 의 값은   이 되는데 이것은 가 에서 최댓 라고 부른다. 여기서 당연히   인 것으로 약속한다. 곡선은
함수이므로 미분가능성에 대하여 논할 수 있다.
값을 가진다는 가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grad 는 grad 의 스
칼라 배가 된다. 즉 (ⅲ)이 증명되었다. 만약 ∈ 에서 극한
    
더 높은 차원에서 라그랑주 승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lim 

→
 ⊆ ℝ 이 열린집합이고    → ℝ가   급 함수이며 연립 가 존재하면 는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말한다. 가  에서
방정식 미분 가능하고 그 도함수가 연속이면 를 매끄러운 곡선이라고
   ⋯     부른다.
     ⋯    
    
그러나 곡선에 대한 이러한 정의는 부정확한 면이 있다. 우리는
    ⋮ ⋯    
    
곡선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곡선을 나타내는 함수를 이르기도
하고 그 함수의 상(image)을 이르기도 한다. 그런데 서로 다른 함
에 의하여 정의된 긴밀곡면  ⊆  에 의해 제한되었다고 하자.
수일지라도 그 상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상을 갖는 함
여기서 함수  들은   급이고 그들의 기울기는 일차 독립인 것으 수를 서로 같은 것으로 취급할 수 있는 정의가 필요하다. 단순히
로 가정한다. 이때 라그랑주 승수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술된다. 동일한 상을 가진다고 해서 같은 함수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미분이나 적분과 관련된
가 에서 최댓값을 가지면 grad 는 성질들을 공유할 수 있는 두 함수를 서로 같은 것으로 취급해야

grad  , grad  , ⋯, grad  한다.

의 일차결합이 된다.   급인 두 함수     → ℝ 과     → ℝ 에 대하


여   급인 일대일 대응     →  가 존재하여 임의의
이것이 성립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 일반성을 잃지 않고 가 ∈ 에 대하여     를 만족시킬 때 두 함수 

ℝ 의 원점이고  ,  , ⋯,  , 가 이라고 가정하자. 또 과  를 서로 동치인 것으로 간주한다.
한 grad  ≠ 이라고 가정하자.
동치인 두 함수  과  는 동일한 상을 가진다. 그 상  를 매끄
결론에 반하여 grad 가 grad  , grad  , ⋯, grad  의 일 러운 곡선 또는 간단히 곡선이라고 부르고  과  를 각각  의
차결합이 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벡터    ,    , 매개변수 표현이라고 부른다. 가 증가함수이면  과  는 동일
⋯,   이 존재하여 한 방향을 갖는 매개변수 표현이라고 부르고, 가 감소함수이면
grad  , grad  , ⋯, grad  , grad ,  과  는 반대의 방향을 갖는 매개변수 표현이라고 부른다.

   ,    , ⋯,  

강의 노트 ∙ ∙ ∙ 20 ∙ ∙ ∙ 다변수 해석학
비록 구분적으로   급인 함수의 상을 곡선이라고 부르지만 곡 18. 중적분

선은 단순히 ℝ 에서의 점집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 이 장부터 21장까지 적분에 대하여 논할 때 적분 영역이라 함은
면 동일한 상을 가지면서도 서로 동치가 아닌 매개변수 표현이 열린연결집합을 의미하지 않고 적분 범위가 되는 집합을 의미하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 를 곡선이라고 부를 때에는 는 것으로 약속한다.
항상  에 대응되는 매개변수 표현이 주어진 것으로 생각한다.
    ×  이고  의 분할을     ≤  ≤  ,
사실 엄밀히 말하면 곡선이란 서로 동치인 매개변수 표현들의
 의 분할을     ≤  ≤ 이라고 하자. 이때
동치류로서 정의된다.
   ×        ×    
곡면도 비슷한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곡선에서는 매끄러운
성질을 정의할 때   급이라는 조건만 있었다. 그러나 곡면에서 들의 모임을  의 분할 또는 그물이라고 부르고    ⊗ 로
는 조건이 더 필요하다. 표기한다.  의 원소를 성분이라고 부른다.

  에서 정의된   급 함수     ↦     의 그래        ,       에 대하여


프로 표현되는 곡면을 생각해보자. 이때 고정된 에 대하여
    
 ↦       
로 정의한다. 분할  의 성분들의 지름 중에서 가장 큰 값을 
는 에 대한 함수이므로 매끄러운 곡선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의 노름이라고 부르며  로 표기한다.  는 유한집합이므로
따라서 각 점에서 이 곡선에 접하는 벡터  를 생각할 수 있다.
   maxdiam     ≤  ≤   ≤  ≤ 
또 고정된 에 대하여
은 양수이다. 각 , 에 대하여
 ↦       
  sup ,    in f 
는 에 대한 함수이므로 매끄러운 곡선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따라서 각 점에서 이 곡선에 접하는 벡터  를 생각할 수 있다. 라고 하자. 이때  에서  에 의한 의 하합과 상합을 각각
이때  와  가 평행하지 않으면  ×  는 점  에서 이    

곡면에 수직인 방향을 갖는 벡터가 된다. 그러나  와  가 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 점  에서는 이 곡면에 수직인 방향을 갖는 벡터를 계


로 정의한다. 두 개의 합 기호를 합쳐서 간단하게
산할 수 없다. 따라서 함수     ↦     로 표현되는    
곡면에 대하여 논할 때에는  ×  ≠ 이라는 조건이 필요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정칙이라고 부른다. 즉


    ↦     가 임의의  에 대하여 로 쓴다.

 ×  ≠  명백히  의 임의의 분할  에 대하여     ≤     가


성립한다.
일 때 를 정칙 함수라고 부른다.
  ⊗ 와 ′  ′⊗′ 가 각각  의 분할이라고 하자. 만
  급 정칙 함수     → ℝ ,     → ℝ 에 대하 약  ⊆ ′ ,  ⊆ ′ 이 성립하면 ′ 을  의 세련분할이라고
  
여  급인 일대일 대응     →   가 존재하여 임의 부른다.

의  ∈  에 대하여       를 만족시
′ 이  의 세련분할이면
키면서  ∘ 도 정칙이면 두 함수  과  를 서로 동치인 것으
  ′  ≥     ,   ′  ≤    
로 간주한다.
가 성립한다. 또한  와  가  의 분할일 때
동치인 두 함수  과  는 동일한 상을 가진다. 그 상  를 매끄
러운 곡면 또는 간단히 곡면이라고 부르고  과  를 각각  의     ≤    

매개변수 표현이라고 부른다. 임의의  ∈  에 대하여 가 성립한다.


두 벡터    ×   와  ∘   ×  ∘   는 집합  에서 의 상적분과 하적분을 각각
모두 곡면에 수직인 벡터이다. 이 두 벡터의 방향이 같으면  과

 는 동일한 방향을 갖는 매개변수 표현이라고 부르고, 두 벡터     in f     is a partition of 

의 방향이 반대이면  과  는 반대의 방향을 갖는 매개변수 표
현이라고 부른다.
    sup      is a partition of 


로 정의한다. 그러면 명백히

   ≤ 

   

가 성립한다.

강의 노트 ∙ ∙ ∙ 21 ∙ ∙ ∙ 다변수 해석학
정의 18.1  에서 의 상적분의 값과 하적분의 값이 같을 때   ⊗ 와  ′  ⊗′ 가 각각  의 분할이라고 하자. 만약 각
는  에서 중적분 가능하다고 말하고 에 대하여  ⊆ ′ 가 성립하면  ′ 을  의 세련분할이라고
부른다.  ′ 이  의 세련분할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정의한다. 가 성립한다. 또한  와  가  의 분할일 때

    ≤    
참고 혼동할 염려가 없을 때에는 상적분, 하적분, 적분을 간단히
 가 성립한다.
  , 
  ,  

 
 
 집합  에서 의 상적분과 하적분을 각각
로 표기한다. 이것을 더욱 간단히  를 생략하여


, ,        in f      is a partition of 

  

로 표기하기도 한다.    sup     is a partition of 


이중적분의 개념을 확장하여 다중적분을 정의할 수 있다. 직사각 으로 정의한다. 그러면 명백히
형 집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이 주어졌다고 하자. 각   의 분할을
    ≤  ≤ 
정의 18.2  에서 의 상적분의 값과 하적분의 값이 같을 때
라고 하고,  의 성분 구간을
는  에서 중적분 가능하다고 말하고
       
라고 하자. 이때
 




 

  

로 정의한다. 이 적분을   인 경우 이중 적분,   인 경우
   is an element interval of 
 삼중 적분이라고 부른다.
를  의 그물 또는  의 분할이라고 부르고

  ⊗⊗ ⋯ ⊗  ⊗


19. 중적분의 성질
이제 중적분의 중요한 성질들을 살펴보자.
로 표기한다.

   ∈  정리 19.1 정리. 가  에서 Riemann 적분 가능할 필요충분조


라고 표기하자. 여기서 는 개의 성분을 갖는 다중 첨자이다. 건은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이때  의 노름을           


   maxdiam   ∈ 인 분할  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 명제를 Riemann 판정법이라
고 부른다.
로 정의한다.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12.2의 증명과 동일하다. □
     ×    ×⋯×    

일때 각  에서 점 ∈ 를 하나씩 택하여 구성한 집합을 라고

    ⋯  하자. 이때 함수    → ℝ의 Riemann 합을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정의한다. 각 에 대하여 로 정의한다.


  sup ,    in f 
정의 19.2  가 실수라고 하자. 만약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라고 하자. 이때  에서  에 의한 의 하합과 상합을 각각
그물  가 존재하여  의 세련그물  에 대하여 의 선택 여부
     
∈
 ,      
∈
 
에 관계없이         이 성립하면
로 정의한다. lim      
  →
ℝ 의 부분집합에서와 마찬가지로  의 임의의 분할  에 대하 로 표기한다.
여     ≤     가 성립한다.

강의 노트 ∙ ∙ ∙ 22 ∙ ∙ ∙ 다변수 해석학
정리 19.3 직사각영역  에서 가 Riemann 적분 가능하고 그 여 노름이 보다 작은 임의의 분할  에 대하여     
적분값이  일 필요충분조건은      이 성립한다.  의 각 성분  에 대하여 생각하자.
lim       만약  가  의 점을 내부에 포함하면     ≥ 가 성립
  →

인 것이다. 한다. 어떠한  의 내부에도 포함되지 않는  의 점들은  의


경계에 놓이게 된다. 그런데     이므로 변동이  이상인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12.11의 증명과 비슷하다. □
점들을 포함하는 성분들의 넓이의 합은  이하가 된다. 는
고정된 양수이고 은 임의의 양수이므로  의 측도는 이다.
정리 19.4  위에서 Riemann 적분 가능한 함수들의 모임을
측도가 인 집합의 가산 합집합의 측도는 이므로   으로
ℜ  이라고 하자. 이때 적분은 ℜ   로부터 ℝ에로의 선형
두면   ∪ 의 측도도 임을 알 수 있다.
사상이다.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12.6-(1), (2)의 증명과 비슷하다. □ 역으로 가  에서 유계이고  의 측도가 이라고 가정하자.
  을 고정시킨다. 각 ∈∖ 에 대하여 근방    가
정리 19.5 함수 가   인 상수함수이면 존재하여

sup    in f   
    

를 만족시킨다.  의 측도가 이므로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이다.
가산 개의 열린 사각형들의 집합 가 존재하여  ⊆ ∪
증명 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자명하다. □ 이면서    를 만족시킨다. 근방  와 열린 사각형  들
  

로 이루어진  의 덮개를  라고 하자.  가 긴밀집합이므로 양


정리 19.6 집합  위에서  ≤ 이고 와 가 적분 가능하면
수 가 존재하여  의 부분인 열린구 중에서 반지름이  이하

 ≤ 
 
인 것들은 모두  의 하나의 원소에 의하여 덮이게 된다. 노름이
보다 작은 분할  를 택하자. 이제
이다.
                
증명 기초 해석학 정리 12.6-(3)의 증명과 비슷하다. □
의 값을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적당한 ∈ 에 포
함되는  들에 대해서 위 합을 계산하면   미만이다. 적당
집합  ⊆ ℝ 의 측도가 이라 함은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열
한 ∈ 에 포함되는  들에 대한 합을 계산하여 더하면 그
린 직사각형들의 가산집합    ∈ 가 존재하여
값은  미만이다. 따라서 와 가 충분히 작으면 상합과 하
⊆ 
∈

합의 차는 원하는 만큼 충분히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
이면서

   
∈

이제 일반적인 집합 위에서 중적분을 정의하자.  가 유계인 집
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유계인 직사각형 집합  가 존재하여
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 ⊆  를 만족시킨다.

정리 19.7  가 유계인 사각형 집합이고 가  에서 유계라고 가  위에서 정의된 함수라고 하자. 그리고    → ℝ를
하자. 가  에서 적분 가능할 필요충분조건은  에서 가 불연    i f ∈
속인 점들의 집합의 측도가 인 것이다. 이 명제를 Lebesgue의
 if ∉
정리라고 부른다. 로 정의하자.  의 경계의 측도가 일 때  위에서 의 적분을
증명 점 ∈ 에서 의 변동(oscillation)을
    
 
osc    lim diam  
→ 
로 정의한다.
로 정의하자. 그리고 음이 아닌 실수 에 대하여

  ∈ osc   ≥  20. 반복적분

라고 하자. 그러면 임의의  는 긴밀집합이 된다. 또한 함수    → ℝ가 유계이고,  와  를



 
 




  

  
 , 

 

라고 정의하자. 즉  와   는 각 ∈ 에 대하여 함수
는 가 불연속인 점들을 모두 모은 집합이 된다. 
    로 정의된 함수     → ℝ의 하적분과
먼저 가  에서 적분 가능하다고 하자.   을 고정시키자.
상적분이다.
그리고   도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  이 존재하

강의 노트 ∙ ∙ ∙ 23 ∙ ∙ ∙ 다변수 해석학
정리 20.1 함수 가  에서 Riemann 적분 가능하면  와 
 21. 중적분의 변수변환

도 Riemann 적분 가능하다. 또한 함수    →  가 ℝ 의 열린집합 사이의   급 미분동형사
 
         
  
상이고  ⊆  라고 하자. 또한    → ℝ가 적분 가능하다고
하자. ∈ 에서의 의 야코비안(Jacobian)은
가 성립한다. 이 명제를 Fubini의 정리라고 부른다.
Jac   det  
증명     ×  라고 하자. 그리고   ⊗ 가  의
로 정의된다.
분할이라고 하자.  의 한 성분구간  를 택하자. 만약 ∈ 이면

   in f    ∈ 정리 21.1   ∘  Jac  


  

≤ in f  ∈    

가 성립한다. 따라서
만약  가 ℝ 의 부분집합이고  가 Riemann 적분 가능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는 Riemann 가측이라고 말하고 그 적분 값을  의 넓이로 정의
한다.  가 Riemann 가측일 필요충분조건은  의 경계의 측도가
이므로 0인 것이다. Riemann 가측인 집합  의 부피를

 
 
  ≤    

   vol     

를 얻는다. 다시 양변의 에 대한 합을 구하면 로 표기한다.   인 경우에는 area  로 표기하기도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절에서는   인 경우를 증명하겠다. 변수변환 정리를 증명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조정리가 필요하다.
이다. 따라서
먼저 다음 정리는 변수변환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인 경우이다.
가 성립한다. 같은 방법으로
    ≥   
    보조정리   ℝ → ℝ 가 동형사상이면 Riemann 가측인 임
임을 보일 수 있다. 이로써 의의 집합  ⊆ ℝ 에 대하여     는 Riemann 가측이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et  가 성립한다.
 
가 성립한다.  는  의 임의의 분할이므로
증명  의 표현행렬  는 기본행렬들의 곱
     ⋯ 
  ≤   ≤   ≤ 

 
   의 꼴로 나타난다. 여기서 각  는
 
        
를 얻는다. 그런데 가  에서 적분 가능하므로 , , ,
         

중 하나의 꼴이다. 단 여기서   이다. 처음 세 행렬은   을
    
 
각각  ×  ,  ×  ,   으로 변환시킨다. 각 경우에 넓이는 행렬
가 성립한다. 같은 방법으로 의 행렬식에 비례하여 변한다. 네 번째 행렬은   을 평행사변형

   ∈ℝ  ≤  ≤    and  ≤  ≤ 
    
 
로 변환시킨다. 의 경계의 측도가 이므로 는 Riemann 가
가 성립함을 보일 수 있다. □ 측이다. Fubini의 정리에 의하여
    
즉 Fubini의 정리에 따르면 의 중적분을 계산할 때에는 반복적      

   
     det
분으로 그 값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음 정리
가 성립한다. 를 얻는다. 같은 방법으로  가 기본행렬일 때 임의의 사각형 
에 대하여
따름정리 가 Riemann 적분 가능하면 적분 순서에 관계 없이     det   (21a)
그 값은 같다. 즉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이제 Riemann 가측인 임의의 집합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가 Riemann 가측이고

    det   (21b)


가 성립한다.
가 성립함을 보일 것이다.
증명 양변이 모두 중적분의 값과 동일하다. □

강의 노트 ∙ ∙ ∙ 24 ∙ ∙ ∙ 다변수 해석학
 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  의 분할  를 택하되 증명  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21c)
    

을 만족시키는 것을 택한다. 안쪽의 사각형들의 내부는 서로소이   
므로 각 ∈ℝ 에 대하여 

     Id  

⊆
int   ≤     

가 성립한다. 마찬가지로  에 대해서도 가 성립한다. 따라서  ≤ 일 때  ≤   가 성립한



⊆
int    ≤     다. 즉
    ⊆     
가 성립한다.    는 Riemann 가측이므로 적분의 선형성과 단
이다. □
조성에 의하여

       
⊆ ⊆
int  (21d) 보조정리    → ℝ 가 Lipschitz 함수이고  가 측도 인 집
합이면    도 측도 인 집합이다.
   int  ≤  
⊆
  증명 가 Lipschitz 함수이므로 양수  이 존재하여 임의의
가 성립한다. 비슷하게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의 측도가 
이므로 이므로  를 덮는 가산 개의 열린 사각형들의 집합  ∈가
  존재하여
  ≤     (21e)
∩ ≠ ∅
   

  
∩ ≠ ∅
   
∩ ≠ ∅
   ∈

을 만족시킨다. 각 에 대하여 diam ∩  ≤ diam  이므로


가 성립한다. (21a), (21c), (21d), (21e)에 의하여 diam ∩   ≤  diam  
이다. 따라서 각  ∩ 는 각 변의 길이가  diam  인 열린
det     ≤ det    
⊆
 사각형 ′ 에 의해 덮인다. 이때  ′ 는    를 덮으며
≤    ≤   
 ′ ≤  diam  
 
  ≤  
   
   
≤ det  
∩ ≠ ∅
  ≤ det     ∈ ∈ ∈

을 만족시킨다.   은 양수이고 은 임의의 양수이므로    의


을 얻는다. 상적분과 하적분은 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은 임의 측도는 이다. □
의 양수이므로   는 적분 가능하고 그 값은 det   와 동일
하다. 따라서 (21b)가 증명되었다. 변수변환 정리의 증명    →  는   급 미분동형사상이고
   → ℝ는 Riemann 적분 가능하며  는  에서의 직사각
행렬의 곱의 행렬식은 각 행렬식의 곱과 동일하다.  의 표현행
형 집합일 때
렬은 기본형렬들의 곱이므로,  가 Riemann 가측이면 (21b)에
의하여    도 Riemann 가측이고
  ∘  Jac  
  
 (21f)
      ⋯    detdet ⋯ det 
 det   가 성립함을 증명하자.

먼저 (21f)의 좌변이 잘 정의된 식임을 보이자. 가 불연속인 점


가 성립한다. □
들의 집합을 ′ 이라고 하자. 그러면 ′ 의 측도는 이다. 이때

두 개의 보조정리를 더 증명하자.     ′  은  ∘ 가 불연속인 점들의 집합이다.   평균


값 정리에 의하여   은 Lipschitz 함수이므로  의 측도는 
보조정리    → ℝ 가   급 함수이고 ∈ ,   이 이다. 따라서  ∘ 는 Riemann 적분 가능하다. Jac는 연속
며 양수 이 존재하여 임의의 ∈ 에 대하여 이므로  ∘  Jac는 Riemann 적분 가능하다. 요컨대 (21f)의
좌변은 잘 정의된 식이다.
  Id ≤ 
가 미분동형사상이므로 위상동형사상이며  의 경계를   
이라고 하자. 만약    ⊆  이면
의 경계에 대응시킨다.  의 경계의 측도가 이므로   의 경
    ⊆      계의 측도도 이다. 따라서    는 Riemann 적분 가능하다.

가 성립한다.   를 포함하는 사각형 집합 ′ 을 택하자.

강의 노트 ∙ ∙ ∙ 25 ∙ ∙ ∙ 다변수 해석학
그러면 (21f)의 우변은 그러면 임의의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int   ≤   ≤  
    

로 쓸 수 있다. 가 성립한다. 따라서

이제 (21f)의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는 일이 남았다. ℝ 와 



  ≤   
≤  
 
 
 ℝ  ℝ  에 각각
가 성립한다. 를  로 바꾸어도 (21i)에 의하여 그 오
 max  max ,
차는  를 초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  sup일 때
   max max  max ≤ 

로 정의된 노름이 주어졌다고 하자. 



      ≤   

양수 이 임의로 주어졌다고 하자.  의 분할을   라고


≤ 

      

하고    라고 하자. 가 얼마나 작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논


이다. 좌변과 우변은 각각  ∘  Jac 의 하합과 상합이다. 그
의하자. 각  의 중심을   라고 하고
런데  ∘  Jac는 적분 가능하므로 위 식으로부터
    ,      ,    
라고 하자.  에서 의 Taylor 근사는   ∘ Ja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ac    



이다. 합성함수    
 ∘ 는   를 그 자신에 대응시키며,  
를 얻는다. 여기서 은 임의의 양수이고   는 고정된 양수
에서 의 미분은 항등변환이다.  에서   는 균등연속이므
이므로
로, 충분히 작은 양수 가 존재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
일 때마다    Id  이 성립한다.   ∘  Jac  
  

 를   를 중심으로 하여   배 팽창시킨 집합을   


가 성립한다. □
로 표기하자. 보조정리에 의하여
 
 ∘    ⊆     (21g)
22. 벡터장의 개념
가 성립한다.
3차원 공간에 공기가 가득 차 있다고 상상해 보자. 각 점
같은 방법으로 보조정리를   ∘  에 적용시키고 반지름을 
    에서 공기의 온도를     라고 하면 는 ℝ 으
대신   으로 두면 로부터 ℝ로의 함수가 된다. 즉 는 공역이 스칼라 집합인 함수
  ∘        ⊆  (21h) 가 된다.
를 얻는다. 따라서 (21g)와 (21h)에 의하여
이번에는 3차원 공간에서 공기가 가득 차 흘러가고 있다고 상상
       ⊆      ⊆      해 보자. 물체의 움직임은 속도, 즉 속력과 방향을 가지고 있으
를 얻는다.   Jac일 때 위 식에 의하여  의 넓이는 므로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점     에서 공기의 속도
  를     라고 하면 는 ℝ 으로부터 ℝ 에로의 함수가 된
 ≤  ≤     
   다. 즉 는 공역이 벡터 공간인 함수가 된다. 특히 의 정의역
은 벡터공간의 일부이며, 정의역을 포함한 공간의 차원과 공역의
의 범위에 놓인다. 즉
차원이 동일하다.
 
 ≤  ≤    (21i)
     
정의 22.1 ℝ 의 부분집합으로부터 ℝ 에로의 함수를 ℝ 위
이다. 양수 , 와  ≤  ≤ 인 실수 에 대하여
에서의 벡터장 또는 차원 벡터장이라고 부른다. 또한 ℝ 의 부
 
 ≤  ≤     분집합으로부터 ℝ에로의 함수를 ℝ 위에서의 스칼라장이라고
    
부른다.
이면
   ≤ 
즉 벡터장이란 평면이나 공간에 있는 한 영역의 각 점에 벡터를
가 성립한다. 이 식에 (21i)를 대입하면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예를 들어 3차원 벡터들로 이루어진 벡터
    ≤   (21j) 장은 세 성분함수의 합

를 얻는다. 여기서   supJac  ∈이다.          i      j      k

 에서  ∘ 의 상한과 하한을 각각  ,   라고 하자. 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강의 노트 ∙ ∙ ∙ 26 ∙ ∙ ∙ 다변수 해석학
편평한 지표면 위에 -좌표를 설정하고 각 지점에서의 높이를 하자. 만약 Riemann 합의 극한
 로 나타내면 는 스칼라장이다. 이때 각 점  에서 lim  
   →  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의 기울기를 생각할 수 있다. 가로 방
가 수렴하면, 이 값을  위에서 의 곡선 길이에 대한 선적분
향의 기울기와 세로 방향의 기울기는 각각
이라고 부르고
 
,

    

가 된다. 가로 방향의 기울기를 좌표로 두고 세로 방향의 기울
로 표기한다.
기를 좌표로 둔 함수를 ∇라고 하고 ℝ 의 표준 기저를
i j 라고 하면
정의에 의하면  위에서 의 곡선 길이에 대한 선적분은  의
 f
∇   i   j 모양과 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 의 매개변수표현 에 의해서는
 y
변하지 않는다.
가 된다. 즉 ∇는 ℝ 이 부분영역으로부터 ℝ 에로의 함수인
벡터장이 된다. 이때 ∇를 의 기울기장이라고 부른다.
참고 곡선  의 매개변수표현이 , ∈ 일 때 곡선  
는 매개변수표현        , ∈ 을 갖는 곡선이
정의 22.2 ℝ 위에서의 스칼라장 에 대하여 ∇는

다. 즉   는  와 모양이 같고 방향이 반대인 곡선이다. 곡선

∇  
 

 
 길이에 대한 선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로 정의된 벡터장이다. 이때 ∇를 기울기장이라고 부른다.     


 
 

함수 에 대하여   ′ 일 때 를 의 도함수라고 불렀다. 이와 이다.


비슷하게 스칼라장 와 벡터장  에 대하여   ∇인 관계가
있을 때 를  의 퍼텐셜 함수(potential function)라고 부른다. 또 정리 23.2 만약 가 연속인 스칼라장이고  가    ,
한 벡터장  에 대하여  의 퍼텐셜 함수 가 존재할 때  를 보 ∈ 로 정의된 매끄러운 곡선이면  위에서 의 곡선 길이
존적 벡터장(conservative vector field)이라고 부른다. 에 대한 선적분은

    
 

23. 선적분


    
  
   

이다.
지금까지는 구간 위에서의 적분, 직사각형 영역에서의 적분을 살
펴보았다. 그러나 그런 단순한 영역뿐만 아니라 조금 더 복잡한
영역 위에서 적분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절에서는 평면 예를 들어 가 ℝ 위에서의 스칼라장이고  가
또는 공간에 놓인 매끄러운 곡선 위에서의 적분을 살펴보자.    , ∈ 
실함수의 Riemann 적분 로 정의된 매끄러운 곡선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구간  는 의 정의역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곡선  이다. 곡선  위에서 로부터 까지의 길이를   라고
위에서 함수 를 적분할 때 곡선  는 의 정의역에 놓여 있어 하면
야 한다. 
만약 가 스칼라장이라면 곡선  를 반듯하게 펴서 선분으로 만



    
 


 
   ′ 

들고 하나의 축 위에 올려놓은 뒤 그 위에서 를 적분하면 된 이다. 표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다. 이 경우에는 단순한 실함수의 Riemann 적분과 동일하게 계
산할 수 있다. 그러나 가 벡터장인 경우에는 실함수의
 
 


 
  
    
Riemann 적분과는 다른 적분의 개념이 필요하다. 라고 하자. 그러면
 
즉 선적분을 정의할 때에는 가 스칼라장인 경우와 벡터장인 경
우로 나누어 생각해야 한다.
     ′     
  

로 쓸 수 있다. 만약  가    , ∈ 로 정의된


정의 23.1 가 ℝ 위에서의 스칼라장이고  가 매개변수 선분이면

    , ∈ 
 
 
      

 
로 표현되는 매끄러운 곡선이라고 하자.  의 분할을
  로 표기하고  의 각 성분구간에서 한 점씩 택하여 구성 로서 일변수 함수의 Riemann 적분과 동일하게 된다.

한 수열을  로 표기하자. 또한          이라고

강의 노트 ∙ ∙ ∙ 27 ∙ ∙ ∙ 다변수 해석학
정의 23.3   ℝ → ℝ의 선적분의 정의에서     여기서
   라고 하자. 이때  위에서 의 에 대한 선적분을 r
  r′ 

    lim  
    →  

  이므로 r′  를 간단하게 r로 표기하자. 그러면

로 정의한다. 또한        이라고 하자. 이때  위에서
 Fr⋅r′    F⋅r
 
의 에 대한 선적분을
로 나타낼 수 있다. 즉 다음을 얻는다.
    lim  
    → 

 

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  ℝ → ℝ의 각 좌표에 대한 선적 정리 23.6 F 가 연속인 벡터장이고  가 매개변수표현 r,


분도 같은 방법으로 정의한다. ∈ 를 갖는 매끄러운 곡선이면

참고 에 대한 선적분과 에 대한 선적분은 다음과 같이 계산


 F⋅T    Fr⋅r′    F⋅r
  

된다. 이 성립한다.

∙       ′ 
 
참고 곡선의 방향이 반대가 되면 접벡터의 방향도 반대가 되므로

∙       ′ 
 
 
F⋅r    F⋅r

가 성립한다.
정의 23.4 서로 다른 좌표에 대한 두 개의 선적분의 합
참고 3차원 벡터장 F   i  j   k에 대하여
      
  

를 간단하게  F⋅r   Fr⋅r′ 


 

     





  i  j    k

로 나타낸다. 세 개 이상의 선적분의 합도 같은 방법으로 간단하 ⋅′ i ′ j  ′ k
게 표기한다. 
     ′ 

     ′ 
이번에는 벡터장의 선적분을 살펴보자.
     ′ 
정의 23.5 F 가 차원 벡터장이고  가 매개변수표현          

r   e , ∈ 
 
이다. 따라서
를 갖는 매끄러운 곡선이라고 하자.  의 분할을   로
표기하고  의 각 성분구간에서 한 점씩 택하여 구성한 수열을
 F⋅r          
 

를 얻는다. 일반적으로 F 가 차원 벡터장이고


 로 표기하자. 또 각 점 r 에서  방향으로의 단위접벡터

를 Tti  로 표기하고    r   r   이라고 하자. 만약 F  
 
 

극한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lim Fr ⋅T  
   →  

가 수렴하면, 이 값을  위에서 F 의 방향선적분이라고 부르고


 F⋅r    
   
 

 F⋅T 
 정리 23.7 벡터장 와 매끄러운 곡선  에 대하여
로 표기한다. 여기서 F⋅T는 F 와 T의 내적을 의미한다.
 ∇⋅r  r  r

방향접벡터의 정의에 의하여 가 성립한다. 이 명제를 선적분의 기본정리라고 부른다.


r′  
T  
r′  증명  ∇⋅r   ∇r⋅r′ 
 
이므로  위에서 F 의 방향선적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Fr⋅ r′ r′
  
     
 

  

   
 

 F⋅T   
 
r′ 

  Fr⋅r′ 

   r


 r  r. □

강의 노트 ∙ ∙ ∙ 28 ∙ ∙ ∙ 다변수 해석학
정의 23.8 선적분 경로   에서 는 상수이므로   이다.  ≤  ≤ 인 매개

 F⋅r

변수 를 사용하면 미적분의 기본정리에 의하여
 
가  에서 경로에 독립이라는 것은  와 시점, 종점이 일치하고 

   
      

 에 포함되는 임의의 곡선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F⋅r   F⋅r
 


이다. 비슷한 방법으로


가 성립하는 것이다.  


   
      


정리 23.9 벡터장 F 의 선적분이  에서 경로에 독립일 필요충 
         
분조건은  에서의 임의의 닫힌곡선  에 대하여  

를 얻는다. 따라서
 F⋅r  
  
F   i   j   i   j  ∇
 
인 것이다.
이므로 F 는 보존적이다.
증명 F 의 선적분이  에서 경로에 독립이라고 하자. 그리고 
역으로 F ∇라고 하자.  에 포함되는 점  ,  를 택하고 곡
가  에서의 닫힌곡선이라고 하자.  위의 두 점 , 를 잡아
선  가  와  를 연결하며  에 포함되고 매개변수
 를 에서 출발하여 에서 끝나는 두 단순곡선  ,  로 나눌
수 있다. 이때 r  i  j ,  ≤  ≤ 

 F⋅r   F⋅r   F⋅r


   
로 표현된다고 하자. 그러면

  F⋅r   F⋅r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역으로  에서의 임의의 닫힌곡선  에 대하여 정리의 등
 
 
 ∇⋅  i   j   k
   
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위 등식을 거꾸로 이용하여 F 의 선 r r
 ∇⋅   F⋅ 
적분이  에서 경로에 독립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  

이다. 따라서
정리 23.10 F 가 벡터장이고 영역  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 
r 
 
F⋅r  F⋅r   F⋅ 
 
            
 

가  에서 경로에 독립일 필요충분조건은 F 가  위에서 보존적 이다. 즉 적분값이     와   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경로에
인 것이다. 독립이다. □
증명 논의를 간단히 하기 위해 2차원에 대해서 증명하자.

 에서 F 의 선적분이 경로에 독립이라고 하자. 먼저  의 한 점 24. 면적분


 를 택하고 면적분도 선적분과 마찬가지로 스칼라장의 면적분과 벡터장의
 
면적분을 구분하여 정의한다.
       
F⋅r

라고 정의하자.  가 열린집합이므로     ⊆  인 양수 정의 24.1 가 ℝ 위에서의 스칼라장이고  가  위에서의


가 존재한다.   인 점  ∈   를 택하자. 함수  로 정의된 매끄러운 곡면이라고 하자.  의 분할을
그리고  로부터  까지 잇는 경로   과,  로부   ,        ×     라고 하자. 각  에서
터  까지 잇는 경로   를 연결한 경로를  라고 하자. 그 한 점씩 택하여 구성한 수열을 라고 하자.
러면   
         

    F⋅r   F⋅r 라고 하자. 만약 극한


lim  
 
 
 F⋅r   F⋅r
   →  

   가 수렴하면, 이 값을  위에서 의 넓이에 대한 면적분이라고

이다. 이 적분은 의 선택에 독립적이므로 부르고



     

 F⋅r   

  
로 표기한다.
이다. F  i  j 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F⋅r       .
 

강의 노트 ∙ ∙ ∙ 29 ∙ ∙ ∙ 다변수 해석학
참고 만약 곡면  가    로 표현된다면 면적분의 정의 그러면 면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에 의하여
 F⋅S   F⋅n 
     

 S
 
  i  j  k
 

            
   
  
  i  j   k⋅   

  
이다. 따라서 다음을 얻는다.
이다. 한편 면적소   는
   ×   F⋅S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참고 곡면  가  위에서의 함수  에 의하여 정의되었
다고 하자. 그리고 F 가 3차원 벡터장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다.
 × 
 F⋅S   F⋅ 
  ×  

S  
3차원에 놓인 매끄러운 곡면  가  위에서의 함수  에   × 
  F ⋅   ×  
 
의하여 정의되었을 때   ×     
  
 × 
n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를  의 단위법선벡터라고 부른다. 그리고 n의 방향을 곡면  의
 F⋅S   F⋅ ×  
 
 
방향이라고 부른다.

 가 매끄러운 폐곡면이고  위의 모든 점에서 방향이  에 의 25. 미분형식의 개념


해 둘러싸인 영역의 바깥쪽을 향할 때  는 양의 방향을 가졌다 앞서 구간   위에서 다음이 성립함을 살펴보았다.
고 말한다. 만약  위의 모든 점에서 방향이  에 의해 둘러싸인
  
영약의 안쪽을 향할 때  는 음의 방향을 가졌다고 말한다. 매끄          
  
러운 곡면 위에서  ×  ≠ 이므로  는 양의 방향만 가지거나
음의 방향만 가진다. 여기서 적분 구간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적분 기호를 생략하기로
약속한다면 위 식은
정의 24.2 F 가 3차원 벡터장이고  가 함수  에 의해         
정의된 3차원에 놓인 매끄러운 곡면이라고 하자. F 와 n 의 내적
라고 나타낼 수 있다. 프랑스의 수학자 Élie Joseph Cartan은
 × 
F⋅n  F ⋅  적분 기호와 구간을 생략한 표현으로도 미적분과 관련된 여러
 × 
가지 성질을 증명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렇게 적분에서 적분 기
는 각 점  에 대하여 정의된 스칼라 함수가 된다. 이때 
호와 구간을 제외한 것을 미분형식(differential form)이라고 부른
위에서 F 의 면적분을
다. 이 장에서는 미분형식의 여러 가지 성질을 직관적으로 살펴
 F⋅n 

보자. 미분 형식의 논리적 정의는 다음 장에서 살펴볼 것이다.

로 정의한다. 실수 구간에서의 Riemann 적분



참고 방향 면적소 n  를 간단하게 S로 나타내면 면적분은  

 F⋅n    F⋅S
 
는 점 에서 를 잇는 선분 위에서의 선적분으로 생각할 수 있
다. 마찬가지로 중적분
로 쓸 수 있다.
   

참고 곡면  가  위에서의 함수  에 의하여 정의되었
다고 하자. 그리고 F 가 는  평면에 놓인 방향이 주어진 곡면  위에서의 면적분으로
생각할 수 있다. 만약  가 -평면에서의 본래 방향을 유
F         i     j      k
지하는 미분이라면  는 그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는 미분
로 정의된 3차원 벡터장이라고 하자. 표기의 편의를 위해 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라고 하자. 이다.

강의 노트 ∙ ∙ ∙ 30 ∙ ∙ ∙ 다변수 해석학
삼중적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   ,    ,    라고 하면 앞의 미분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더욱이   ,   ,   라고 하면 위


와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적분에 대해서는
미분형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는   ⋯  이 차원 영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두 미분형식의 합을 자
역  의 방향을 보존하는 경우 양이 되고  의 방향을 보존하지 연스럽게 정의할 수 있다. 3차원 공간에서의 두 미분 2-형식 
않는 경우 음이 된다. 와 가
이와 같은 성질을 미분형식에 적용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미분형식의 합은
임을 알 수 있다. 더욱 일반화시켜 생각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부호는   ⋯  이   ⋯  의 우치환                

인 경우 양이 되며 기치환인 경우 음이 된다. 즉 두 개의 미분을 이 된다. 미분 형식의 합은 반드시 두 미분형식의 차수가 같아야


한 번씩 교환할 때마다 부호가 반대가 된다. 이러한 법칙을 반교 한다.
환 법칙이라고 부른다.
미분형식의 곱을 살펴보자. 5차원 공간에서의 두 미분형식 와
반복적분이 아닌 중적분에서 가

    

       ,         

로 주어졌다고 하자. 이때 미분형식의 곱은 분배법칙을 이용하는


와 같은 표현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것과 같이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일반적으로  ,  , ⋯,  중 서로 같은 것이 존재할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
로 계산한다. 여기서 는 1차이고 는 2차이며  ∧ 는 3차이
미분형식은 미분이 몇 개 붙어 있느냐에 따라 이름이 달라진다.
다. 즉  -형식과 -형식의 곱의 결과는   -형식이 된다.
가 개의 변수  ,  , ⋯,  에 대한 함수일 때
 ∧ 를 와 의 쐐기곱이라고 부른다.
   ⋯ 
일반적으로 미분형식 , , 에 대하여 의 차수를  , 의
을 미분  -형식 또는  차 미분형식이라고 부른다. 물론 위 차수를 이라고 할 때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식에서 각  는  이하인 자연수이다.   인 경우, 즉 만 ∙     
혼자 있는 경우를 특별히 -형식이라고 부른다. ∙           

두 개의 미분 형식에 대하여 한 미분 형식을 반교환법칙에 따라 ∙  ∧       ∧ 


변형하여 다른 미분형식과 동일한 꼴로 만들 수 있을 때 두 미 ∙  ∧  ∧    ∧  ∧ 
분형식은 서로 같은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모든 미분형식은 ∙  ∧      ∧    ∧ 
다음과 같은 유일한 꼴로 쓸 수 있다. 이제 미분형식을 미분해보자. 가 차원 공간에서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정의된  -형식일 때 의 외미분 는


예를 들면 3차원 공간에서의 면적분의 미분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주어졌다고 하자.
으로 정의된다. 단 이러한 외미분은   일 때에만 정의된다.

강의 노트 ∙ ∙ ∙ 31 ∙ ∙ ∙ 다변수 해석학
  이고    인 스칼라 함수일 때의 외미분은
 

  
       ⋯   라고 쓸 수 있다. 고정된  에 대하여 위 적분은 에 대한 함수
  
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고정된 에 대하여 위 적분
이 된다. 은  에 대한 함수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가  -형식이고 가 -형식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마찬가지로 매끄러운 실함수 , 에 대하여 선적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물론   는   일 때에만 정의된다.
는  에 대한 함수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공간에서 정의된 1-형식
이렇게 적분을 적분 영역에 대한 함수로 생각한 것을 미분 형식
          이라고 부른다.
의 외미분은
정의 26.1 곡선을 실수에 대응시키는, 선적분으로 표현될 수

  
          
    있는 함수를 미분 1형식이라고 부른다. 1-형식의 이름을   
 로 정의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1-형식     는 곡선  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 
 
     
  여기서 어떠한 곡선  에 대하여 1-형식     가 정의되는
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이다. 이것은 v i j  k의 회전미분형식 v⋅와 동일
하다. 먼저    ,    인 경우를 살펴보자. 이때


다른 예를 살펴보자. 3차원 공간에서 정의된 2-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이것을 곡선  의 부호 -변동(net  -variation)이라고
의 외미분은
부른다. 따라서 미분형식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함수가 된다. 마찬가지로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 부호 -변동이 된다. 여기서 부호(net)라는 용어는 중요하다.
음의 -변동이 양의 -변동과 만나면 상쇄된다. 마찬가지로 음

  
        
    의 -변동이 양의 -변동과 만나면 상쇄된다.

이다. 이것은 v i j  k의 발산미분형식 div v   미분형식  는 에 만큼의 가중치가 부여된 가중 -변동
이다. 만약 곡선  가 의 값이 큰 부분을 지나면 그것의 -변
와 동일하다.
동은 그만큼 큰 값을 갖게 되고 적분

26. 미분형식의 성질   

앞 절에서는 적분에서 적분 기호와 적분 구간을 제외한 부분을
는 부호 -가중 -변동(net  -weighed  -variation)이 된다. 즉
미분 형식이라고 하였다. 이 절에서는 미분형식을 함수로서 엄밀
미분형식  는
하게 정의하고 그 성질을 논리적으로 살펴보자.
    ↦ net   weighed  variation of  
Riemann 적분
 인 함수가 된다. 같은 방법으로  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1
 
 형식     는 각 곡선  를 두 변동의 합에 대응시키는 함
은    에 대하여 수가 된다.

강의 노트 ∙ ∙ ∙ 32 ∙ ∙ ∙ 다변수 해석학
1-형식은 공간의 곡선을 적분값에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곡선들 즉 가  를  에 대응시키는 순환이면
의 모임 위에서 정의된 함수 중에서는 미분형식인 것도 있고 그
   sgn
렇지 않은 것도 있다. 예를 들어 각 곡선을 그 길이에 대응시키
는 함수는 미분형식이 아니다. 왜냐하면 곡선의 길이는 곡선의 가 성립한다. 특히      이다. 행렬에서 서로 같은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미분형식은 곡선의 방향에 따라 부 행이 존재하면 행렬식의 값은 이 되므로  의 성분 중 같은 것
호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있으면   이 된다. 특히    이다.

 ≥ 일 때 -형식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야코비안(Jacobian)을 평면에서의 선적분에서 곡선은 1-세포이고   ,   이
도입해야 한다. 며  -면적은 부호 -변동이고  -면적은 부호 -변동이
    ⋯  와     ⋯  가 정수들의 -순서 다. 마찬가지로 면적분은 2-세포 위에서의 2-형식의 적분이다.

쌍이고   ℝ → ℝ 이 매끄러운 함수라고 하자. 이때    -면적은 -사영의 부호 면적이다. 또     
을 통해서 -면적의 부호는 -면적의 부호와 반대임을 알
   

 
⋯ 수 있다.
 

  ⋯    
   det ⋮ ⋱ ⋮ 문맥에 따라서 -세포는 함수를 의미하기도 하고 함수의 상을

  ⋯     의미하기도 한다.
 ⋯ 
   
정리 26.3 -세포 위에서 -형식을 적분하면 그 값들은 서로
로 정의한다. 만약   ,    ,    이면   는
동일하거나 부호만 반대가 된다. 여기서 부호는 -세포를 정의
  가 된다.
한 함수가 방향을 보존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서 결정된다.

증명 만약  가   로부터 그 자신에로의 미분동형사상이고 방


정의 26.2 -사각집합      에 대하여 매끄러운 함수
향을 보존하며     이면 야코비안   는 양수이다. 행
    → ℝ 를 ℝ 에서의 -세포( -cell)라고 부른다.
렬식의 곱의 성질과 변수 변환 공식에 의하여
    ⋯  가   ⋯ 에서의 -순서쌍이면 
는 각 -세포 를 그것의  -체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응시키는 함수이다. 여기서 적분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얻는다. 합을 구하면 임의의 ∈ 에 대하여

를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가 ℝ 에서의 매끄러운 함수이면  ∘


  
  는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만약  가 방향을 보존하지 않는다면

    ↦  
  

야코비안의 값은 음수이다. 그런데 변수변환 공식에서 야코비안
의 절댓값을 사용하므로 이 경우 위 적분값의 부호는 반대가 됨
인 함수가 된다. 함수 는  -체적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범함 을 알 수 있다. □
수  를 기본 -형식이라고 부르며   를 단순 -형식이라
고 부른다. 또한 단순 -형식들의 합 위 정리의 특별한 경우로서 선적분의 예를 들 수 있다. 곡선 
위에서 1-형식의 적분은  를 어떻게 매개변수화했는지에 영향
  

  ↦   

 
을 받지 않는다. 만약 변수 ∈ 을 이용하여  를 매개변수
화하고 변수 ∈   를 이용하여  의 길이를 매개변수화했다
를 일반 -형식, 또는 간단히 -형식이라고 부른다.
면  의 방향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때 1-형식의 적분은 다음과
같이 동일하다.
참고 ℝ 에서의 모든 -세포들의 모임을   ℝ  으로 나타낸
  

다.   ℝ  위에서의 모든 범함수들의 모임을  ℝ  으로    
 
        ,


나타낸다. ℝ 위에서의 모든 -형식들의 모임을  ℝ  으로  
  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행렬에서 행교환을 하면 행렬식의 부호가 바뀌기 때문에 -형


식은 가부호교환법칙(signed commutativity)을 만족시킨다.

강의 노트 ∙ ∙ ∙ 33 ∙ ∙ ∙ 다변수 해석학
정의 26.4    ⋯  이면 -순서쌍     ⋯   로 정의된다. 여기서    ⋯  ,    ⋯   그리고
이 상승한다(ascend)라고 말하며 상승하는 -순서쌍을 표준 -
   ⋯   ⋯  
순서쌍이라고 부른다.
이며 합은 모든 표준 순서쌍  ,  에 대하여 취해진 것이다.
보조정리 임의의 -형식은 표준 -순서쌍의 단순 -형식들의 합
보기 예를 들어  ∧     이다.
   

로 유일하게 표현된다. 더욱이 이러한 의 표준 표현의 계수 정리 26.6 쐐기 곱 ∧   ×  →  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 는 에서의 작은 -세포들 위에서의 의 값에 의해 결
(1) 분배법칙 :    ∧   ∧  ∧,
정된다.
 ∧     ∧  ∧.
증명 가부호교환법칙을 이용하여 주어진 미분형식의 순서를 바 (2) 둔감표현법칙 : 일반표현     ,     에
   
꾸어 표준 -순서쌍의 단순 -형식들의 합      로 표 대하여 ∧       .
 
현할 수 있다. 표준 -순서쌍  와 점 ∈ℝ 을 고정시키자.
(3) 결합법칙.  ∧  ∧    ∧  ∧ 
  에 대하여 포함세포(inclusion cell)    를
(4) 부호교환법칙. 가 -형식이고 가  -형식일 때,
   ↦      ∧      ∧ . 특히  ∧    ∧ .

로 정의하자. 여기서  은 ℝ 를  -평면에 대응시키는 선형 포


증명을 위해 다음 보조정리가 필요하다.
함사상이다. 에서 는   를  -평면의 직사각형 집합에 대응
시킨다.  → 인 극한을 취하면 직사각형 집합은 한 점 에 수
보조정리 기본 형식들의 쐐기 곱은  ∧    를 만족시
렴한다. 만약  가 표준 -순서쌍이면 의 야코비안은
킨다.



if  
   증명 만약  와  가 상승하는 순서쌍이면 정의에 의하여 당연히
  if ≠
 ∧    가 성립한다. 이제 와 가 치환이고  와 
가 된다. 따라서  ≠  일 때     이고
가 감소하지 않는 순서쌍이라고 하자.  의 처음 개의 항을 

       


 
 
로 치환하고 다시 나중 개의 항을 로 치환하는 치환을 라고
하자. 그러면 의 부호는 sgnsgn이고
가 성립한다.  는 연속이므로  ∧   sgnsgn  ∧ 

  sgn    


   lim  
→  를 얻는다. □

이다. 이것은 에서의 작은 -세포 위에서 의 값이 계수


 를 결정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수  는 유일하게 결정 정리 26.6의 증명 (1)     와     가 -형식
   

된다. □ 이고     가 -형식이며 세 형식이 모두 표준 표현이라


 

고 하자. 그러면
 
따름정리   이면  ℝ   ∅이다.
   
  
증명   이면   ⋯ 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표준 -
는   의 표준 표현이고
순서쌍은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
   
미분형식은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표준
표현에 의한 이름은 유일하다. 따라서 미분형식에 관련된 정의나
   
          ∧    ∧ 

 
  

성질에 대하여 논의할 때 미분형식의 표준 표현에 의한 이름을


가 성립한다. 따라서 좌분배법칙이 성립한다. 우분배법칙도 같은
사용하면 유용하다.
방법으로 증명된다.
이제 미분형식의 쐐기곱을 살펴보자.
(2)   와      가 , 의 일반적인 표현이라고 하자.

정의 26.5 가 -형식이고 가  -형식이라고 하자. 그리고 분배법칙과 보조정리에 의하여


그들을 표준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를 얻는다.
로 나타내자. 이때 이들의 쐐기 곱(wedge product)은     -형식
∧   
  

강의 노트 ∙ ∙ ∙ 34 ∙ ∙ ∙ 다변수 해석학
(3) 비표준 표현에 대한 결합법칙만 증명하면 충분하다. 정의 27.1  ≥ 이고    가 -형식 의 표준 표현이라
 

고 하자. 의 외미분(exterior derivative)은   -형식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합은 모든 표준 -순서쌍  에 대하여 취해졌다.

  
  
      ∧  ∧ 
표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정의를 모호하지 않게 만든다.

를 얻는다.
참고  가 -형식이고  는 -형식이기 때문에 는 실제
(4) 결합법칙에 의하여  와  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로   -형식이 된다. 예를 들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정리 27.2 외미분    →   은 다음 네 조건을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것은 각  와 의 순서를  번 순환 치환한 것이다. (1) 선형성 :        .

따라서 (2) 둔감표현성 :    가 의 일반 표현이면


 

 ∧       ∧ 


     ∧  .
 

(3) 곱법칙 : 가 -형식이고 가 -형식이면


가 성립한다. 또한 분배법칙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 에 대해  ∧     ∧       ∧ .
서도 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할 수 있다. □
(4)   . 즉 임의의 ∈ 에 대하여   .

증명 (1) 외미분의 정의에 의하여 자명하다.


27. 미분형식의 미분
(2) 가 치환이고  가 표준 순서쌍이라고 하자. 는 선형이고
미분형식을 미분해보자. 기본 아이디어는 다른 미분과 마찬가지
쐐기곱은 결합법칙을 만족시키므로
로 한 점의 근처에서 점이 움직임에 따라 미분형식의 값이 얼마
나 변화하는지를 생각해보는 것이다.     sgn    sgn  ∧ 
   ∧ 
-형식은 매끄러운 함수 이다. 그것의 외미분은 곡선

    → ℝ 가 성립한다. 의 선형성을 이용하면 단순 형식이 아닌 일반적


인 미분 형식에 대해서도 등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에 대한 범함수
(3) Leibniz 법칙을 2변수 함수에 적용시키면
   ↦   
 
로 정의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조정리 는 -형식이며,   일 때 이것은
를 얻는다. 따라서 ℝ 에서의 0-형식에 대하여 정리의 결과를
  얻는다. 더 높은 차원에서의 미분형식에 대해서도 비슷한 방법으
      
 
로 증명된다. 이제     와     가 단순 형식이라고 하
로 표현된다. 특히   이다. 자. 그러면
증명 편미분을 간단하게  ,  로 표기하자. 미분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를 대입하면   ∧      ∧ 

 를 얻는다. 분배법칙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 에 대해서도 등


     




    

  식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를 얻는다. 피적분함수는  ∘ 의 미분이므로 미적분의 기본 (4) 먼저 0-형식인 에 대하여 증명하자. 보조정리에 의하여 
정리에 의하여 의 외미분은 이고 의 외미분은 이다.   ,   
이므로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를 얻는다. □

강의 노트 ∙ ∙ ∙ 35 ∙ ∙ ∙ 다변수 해석학
다음으로   ℝ → ℝ가 매끄러운 함수라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따라서

이다. 따라서    을 얻는다. 더 높은 차원에 대해서도 비슷  
한 방법으로 증명된다. □        


 

는 -형식이 된다. 당김이 선형이라는 사실을 이용하면 이 등식


정리 27.2에 의하면 미분 형식은 오른쪽 결합에 대하여 작용한
이 일반적인 미분 형식에 대해서도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다. 그렇다면 왼쪽에 결합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떨까?
이제      가 성립함을 증명해야 한다. 쐐기곱의 분배
  ℝ → ℝ 이 매끄러운 변환이라고 하자. 그러면 자연스럽
게 두 사상 법칙과 외미분의 정의를 이용하면     ⋯  에 대하여

   ℝ  →  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ℝ  →  ℝ  ,    ↦  ∘ 
     
를 얻을 수 있다. 이때  를  의 밀림(pushforward)이라고 부르
   
  ⋯     
⋯   ∧  ∧ ⋯ ∧ 

며   를  의 당김(pullback)이라고 부른다.
를 얻는다. 첨수  ,  , ⋯,  는 고정되어 있다. 또   ,   , ⋯,
즉 ∈ ℝ  의 당김은  ℝ  위에서의 범함수   중에서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 항의 값은 이므로, 합은 동일

     ↦   ∘   한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순서쌍     ⋯  에 대해서만 취


해진다. 그런데 임의의     ⋯   에 대하여 치환 와 표
이다. 밀림  는  와 같은 방향, 즉 ℝ 으로부터 ℝ 에로의
준 순서쌍     ⋯  가 존재하여
대응인 반면 당김   는  와 반대 방향의 대응이다.
    ⋯     
밀림과 당김의 쌍대성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요약된다.
그리고
      .
 ∧  ∧ ⋯   sgn
정리 27.3 당김은 다음을 만족시킨다.
를 만족시킨다. 따라서
  
(1) 당김은 선형이며   ∘     ∘  이다.
      
sgn 

 
(2) 미분형식의 당김은 미분형식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이고        이다.
 


 

(3) 당김은 쐐기곱을 보존한다. 즉  ∧    ∧  . 이므로       를 얻는다.


(4) 당김은 외미분과 교환가능이다. 즉     .
(3) 0-형식에 대해서는 곱의 당김이 당김의 곱과 같다는 것이
증명 (1) 정의에 의하여 자명하다. 자명하다. 즉
(2) 선형대수학의 Cauchy-Binet 정리를 이용해서 증명하겠다.
     
함수   ℝ → ℝ 와   ℝ → ℝ 가 매끄러운 함수라고 하
이다.     와     가 단순 형식이면  ∧     이
자.    ∘ 의 야코비안에 Cauchy-Binet 정리를 적용하면
고 (2)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를 얻는다. 여기서  는 각 성분이  이하의 자연수인 임의의 표       ∧     ∧  
준 -순서쌍을 의미하며 야코비안   는   에서 계
산된 것이다. 이다. 당김은 분배법칙을 만족시키고 선형이므로 (ⅲ)이 증명된
다.
그러면 ℝ 위에서의 단순 -형식의 당김은  ℝ 에서의 범
함수

강의 노트 ∙ ∙ ∙ 36 ∙ ∙ ∙ 다변수 해석학
(4) 가 0차의 형식이면, 즉   ∈ ℝ  이면 를 간단하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표기하기도 한다. 여기서    ∘     ∘   을 의 번


 

    째 이중극(dipole)이라고 부른다.
       


 
 

 
 

   정리 28.3     이라고 하자. 만약 ∈ ℝ  이고
          

    → ℝ 이 ℝ 에서 항등-포함사상(identity-inclusion)인 -
이다. 그런데  ∘      에 연쇄법칙을 적용하면 세포이면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이 명제를 직사각형 집합에 대한 Stokes의 정리라
 

  고 부른다.
이다. 따라서 0-형식에 대해서는     가 성립한다.

다음으로  ≥ 일 때의 단순 -형식     에 대하여 생각 증명 미분형식 를 다음과 같이 쓰자.



하자. (ⅱ)와 쐐기곱 미분 공식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는 항  가 삭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기호로 약
   ∧      ∧  
속한다. 의 외미분은
   ∧     ∧      

를 얻는다. 따라서 외미분의 선형성에 의하여 (4)를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미분형식의 적분
이다. 따라서
이 절에서는 Stokes의 정리, 즉 ∈ ℝ  과 ∈  ℝ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 번째 뒷면   의 번째 성분을 삭제하면 -
이 성립함을 살펴볼 것이다. 순서쌍   ⋯  를 얻으며, 다른 성분을 삭제하면 에
먼저 스토크스의 정리가 직사각형 집합에서 성립함을 보이고, 이 대하여 상수인 성분만 남게 된다. 번째 앞면   에 대해서
어서 당김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영역에서도 성립함을 보일 것이 도 마찬가지로 성립한다. 따라서 야코비안은
다.
  or    i f     ⋯ 

정의 28.1 실수인 상수  , ⋯,  에 대하여 -세포들의 일차


 

 otherwise   ⋯ 

결합 가 된다.  ≠ 인 경우 의 번째 이중극 적분은 이며,   인


 경우 의 번째 이중극 적분은
      

로 표현되는 를 -쇄( -chain)라고 부른다.  위에서 -형식



    ⋯    
  
  ⋯     ⋯  

의 적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미적분의 기본정리를 이용하면  의 차의 미분과 적분을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Fubini의 정리를 이용하면 적분의 순서
를 바꿀 수 있다. 즉
정의 28.2 -세포 의 경계(boundary)를 -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 과  은 각각 이다. 따라서 교대 이중극 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로 정의된 함수로서, 순서대로    의 후포함 -세포(rear
inclusion  -cell), 전포함 -세포(front inclusion  -cell)라고 부른다.

강의 노트 ∙ ∙ ∙ 37 ∙ ∙ ∙ 다변수 해석학
따름정리 ∈ ℝ  이고 ∈  ℝ 이면 참고 벡터장     의 회전(curl)은 벡터장

          
    
 
이다. 미분형식          에 Stokes의 정리를 적용
가 성립한다. 이 명제는 일반적인 -세포에서의 Stokes의 정리 하면
이다.

증명        → ℝ 과      → ℝ  이 항등 포함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상이라고 하자. 당김의 정의, 그리고 당김이 외미분과 교환 가          



능하다는 성질을 이용하면
가 된다. 여기서  는 닫힌곡선  에 의해 둘러싸인 평면의 영역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좌변의 적분은  를 지나는 전회전(total curl)이고 두 번째
적분은 경계에서의  의 순환(circulation)이다. 이 정리를 Stokes
를 얻는다. □ 의 회전 정리라고 부른다.

참고 Stokes의 정리 외미분이 인 형식을 닫힌 형식(closed form)이라고 부른다. 다른


형식의 외미분이 되는 형식을 완전 형식(exact form)이라고 부른
    

다.   이므로 임의의 완전 형식은 닫힌 형식이다. 즉

에서     ⊆ ℝ ,   라고 두자. -쇄     에서    ⇒     


의 적분은   이다. 이것은  위에서 의 적분이
이 성립한다. 이 명제의 역이 성립하는 것은 언제인가? 즉 닫힌
 형식 에 대하여 미분의 역연산을 할 수 있는 것은 언제인가?
 ′ 
 Poincare의 보조정리에 의하면 ℝ 에서 정의된 임의의 형식에
인 것과 상통한다. 대해서는 미분의 역연산이 항상 가능하다. 그러나 만약 미분 형
식이 ℝ 의 부분집합  에서 정의되었고 ℝ 전체에서 매끄러
참고 Stokes의 정리에서       라고 두고  의 경계가 운 미분형식으로 확장될 수 없다면 그러한 연산이 항상 가능한
곡선  이면 것은 아니며  의 위상적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미적분에서의 친숙한 예를 살펴보자.  가 평면에서의 영역이고


  
           
 경계가 단순닫힌곡선이며       가  위에서 정의된
를 얻는다. 이것을 Green의 정리라고 부른다. 닫힌 1-형식이라고 하자. 그러면 는 완전 형식이다. 왜냐하면
경로  ⊆  를 따라 를 적분한 값은  의 끝점에 의해서 완전

참고     가  ⊆ ℝ 에서 정의된 매끄러운 벡터장일 때 히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 에서 의 적분은 경로에 독립이다.
∈ 를 고정시키고, 에서 ∈ 까지 잇는 경로  에 대하여
 div   flux
    

를 얻는다. 이 정리를 Gauss의 발산정리라고 부른다.  의 발산 라고 정의하자. 그러면 이 적분은 경로의 끝점에 의해서 결정되
(divergence)은 스칼라 함수 므로 는 잘 정의된 함수이다. 한편 등식   ,
  ,   를 이용하여 가 완전 형식이 됨을 확인할
div      
수도 있다.
이다. 가  에서의 -세포이면 적분
만약  ⊆ ℝ 가 연결되지 않은 영역이면  위에서의 1-형식
   ∧     ∧     ∧ 

중에서 닫혀있지만 완전이 아닌 형식이 존재한다. 그러한 미분
형식의 예로
는 를 통과하는  의 유출(flux)이다.  가 -세포들의 긴밀다양     
 
체라고 하자.  를 지나는 전유출은 그것의 -세포들을 지나는    
유출들의 합이다.  가 영역  ⊆  를 감쌀 때 를 들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ℝ∖에서의 미분형식


  div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한 Stokes의 정리는 곧 발산정리가 된다.        
도 그러한 예가 된다.  는 안쪽 반지름이 이고 바깥쪽 반지름
이 ∞인 구 모양의 껍데기로 생각할 수 있다.  가 단순연결 영
역임에도 불구하고 는  위에서 닫혀있으면서 완전이 아닌 형
식이다.

강의 노트 ∙ ∙ ∙ 38 ∙ ∙ ∙ 다변수 해석학
정리 28.4 가 ℝ 에서의 닫힌 -형식이면 는 완전 형식이 이제 함수   ℝ  → ℝ 을
다. 이 명제를 Poincare의 보조정리라고 부른다.
   
증명     이 항등함수가 되는 적분연산자
로 정의하고    ∘  라고 하자. 당김과 외미분은 가환이므로
    ℝ  →    ℝ 
            
이 존재함을 보이자. 즉   가 존재하여 임의의 ∈ ℝ  에
이다. 여기서   의 값을 계산하자. 가 단순 형식
대하여
   ∈ ℝ 
          
이라고 하자.      ⋯  이므로
를 만족시킴을 보이겠다. 이것을 증명하고 나면 Poincare의 보
조정리는 자연스럽게 증명된다. 왜냐하면   인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서 가 완전 형식이 되기 때문이다.    

∧   
먼저 ℝ  에서의 -형식 를 생각하자. 는
     
  
   

 ∧  (28a)
이다. 여기서   는 를 포함하는 항들을 줄여서 간단히 나
의 유일한 형태로 표현된다. 여기서 타낸 것이다. 따라서 (28b)에 의하여

    ,     ,  ∈ℝ   ℝ × ℝ     ∘          

이다. (28a)의 첫 번째 합은 각 성분이  이하의 자연수인 모든 가 성립한다.  과 가 선형이므로 등식


표준 -순서쌍  에 대하여 취해진 것이며, 두 번째 합은 각 성
      
분이  이하의 자연수인 모든 표준   -순서쌍  에 대하여
은 일반적인 -형식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따라서  의 존재성
취해진 것이다. 이제 사상    ℝ   →    ℝ  을
을 증명하였다. □

   



    
 
 가 ℝ 의 부분집합이라고 하자. 만약  의 점 가 존재하여 임
로 정의하자. 임의의 ∈ ℝ   에 대하여 의의 ∈ 에 대하여 와 를 잇는 선분이 ℝ 에 포함되면  를
별모양 집합(star-shaped set)이라고 부른다.
          

   (28b)

가 성립함을 보이자. 여기서 계수  는 (28b)와 동일한 것이다. 따름정리 완전형식에 관련된 다음 명제가 성립한다.

Leibniz의 정리에 의하여 미분과 적분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즉 (1)  가 ℝ 과 미분동형이면  위에서의 닫힌 형식은 완전 형

  식이다.


  

 
∧     ∧ 
 

 (2) 열린집합  ⊆ ℝ 위에서 정의된 국소적으로 닫힌 형식은
 완전 형식이다.
 

 
 ∧ ∧ 

  
(3) 별모양 열린집합  ⊆ ℝ 위에서 정의된 닫힌 형식은 완전

  
 
         ∧ 
    형식이다.
      
      
증명 (1)    → ℝ 이 미분동형사상이고 가  위에서의
  
 
      ∧  닫힌 -형식이라고 하자.       라고 하자. 당김은 와
   
교환 가능하므로 는 ℝ 에서 닫혀있고 ℝ 위에서의 적당한
이다. 따라서   -형식 가 존재하여   를 만족시킨다.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는 완전 형식이다.

이므로 (28b)가 성립한다. (2) 열린집합  는 국소적으로 ℝ 과 미분동형이다.

(3)  는 ℝ 과 미분동형이다. □

강의 노트 ∙ ∙ ∙ 39 ∙ ∙ ∙ 다변수 해석학
따름정리 ℝ 이나 또는 그와 미분동형인 열린집합  위에서 문서정보
정의된 매끄러운 벡터장이 스칼라 함수의 기울기장이 될 필요충 ∙ 만든이 : Sooji Shin, soojishin@live.com ,
분조건은 그것의 회전이 모든 점에서 0이 되는 것이다. http://www.soojishin.com

증명   ∇이면 ∙ 만든날 : 2011년 10월 12일 (1판)


∙ 이 문서를 개인 학습 용도로만 사용하세요. 모든 저작권은 만
      
든이에게 있습니다.
⇒ curl              

이다. 역으로     이면

curl    ⇒          

는 닫힌 형식이므로 완전 형식이다. 따라서   인 함수 는


기울기장  를 가진다. □

따름정리 ℝ 이나 또는 그와 미분동형인 열린집합  위에서


정의된 매끄러운 벡터장의 발산이 모든 점에서 0이 될 필요충분
조건은 그 벡터장이 다른 적당한 벡터장의 회전인 것이다.

증명     이고   curl  이면

            

이므로 의 발산은 0이다. 역으로        의 발산이 0


이면 형식

    ∧     ∧     ∧ 

는 닫힌 형식이고 따라서 완전 형식이다. 만약 형식

         

에 대하여   이면     에 대하여 curl   가


성립한다. □

참고문헌
∙ Charles C. Pugh, Real Mathematical Analysis, Springer,
2001.
∙ Wilfred Kaplan, Advanced Calculus (5ed), Addison
Wesley, 2002.
∙ Martin Lipschutz, Schaum’s Outline of Differential
Geometry, McGraw-Hill, 1969.
∙ James R. Munkres, Topology (2ed), Prentice Hall, 2000.
∙ Murray Spiegel & Seymour Lipschutz, Schaum’s Outline
of Vector Analysis (2ed), McGraw-Hill, 2009.
∙ William R. Parzynski & Philip W. Zipse,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Analysis, McGraw-Hill, 1987.
∙ Walter Rudin,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3ed),
McGraw-Hill, 1976.
∙ Michael Spivak, Calculus on Manifolds, Westview Press,
1971
∙ William R. Wade, An introduction to Analysis (4ed),
Pearson Prentice Hall, 2010.
∙ 김락중 외 3인, 해석학 입문 (2판), 경문사, 2004.

강의 노트 ∙ ∙ ∙ 40 ∙ ∙ ∙ 다변수 해석학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