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9

ISO 14001:2015

개정표준 해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목 차

l 표준 개정의 배경
l 개정 표준 전환일정
l ISO 14001:2015 개정판 주요 변경내용
§ 2015년 개정의 핵심개념
§ ISO 14001:2015 용어 정의
§ HLS(High Level Structure)
l ISO 14001:2015 개정된 요구사항 상세 해설
§ 개요 및 서문 중심으로
§ 요구사항 중심으로
§ 부속서(Annex) 중심으로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개 정 이 력

ISO 14001: 1996


8 years
ISO 14001 : 2004
11 years
ISO 14001 : 2015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개 정 이 력

1996 2004 2015


ISO 14001 ISO 14001 ISO 14001
P-D-C-A Minor Change Annex SL based
Continual improvement Context of Org
Leadership
Life cycle thinking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2015년 개정의 배경

규격 자체의 적절성 및 타당성 유지 위해


정기개정 정기적 개정

ISO14001 사용자들의 다양성 증대


사용자 이용자 친화적 규격(설문조사 실시)
고객만족 하는 조직의 능력 증대

개정되는 모든 ISO 경영규격은 HLS(High


Level Structure) 적용 다른 경영 시스템 통합
HLS 적용
용이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2015년판 개정사유

► 표준 사용자의 요구

► 경영시스템 표준의 일관성 및 병용성 제고

► 이해관계자 기대 증가

► HLS Rule 적용시작

► 환경보호의 강화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개정 표준 전환일정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2015년 개정 표준 일정

2013 2014 2015

May 2013
CD(Committee ISO 14001:2015 IS판 2015년
Draft) 9월15일 발간 : IS발간이후
인증기업 3년 이내 (2018년 8월
May 2014 DIS 이내)에 전환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July 2015 FDIS


(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15th September 2015 Published


IS
(International Standard)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인증 전환

• IAF 및 CASCO는 ISO 9001:2015 및 ISO 14001:2015 공표일로 부터 3년의


인증 전환기간을 가지기로 합의 함.

• 기존의 ISO 9001:2008 / ISO 14001:2004 인증은 3년의 전환기간 이후


유효하지 않음.

• 전환기간 내에 ISO 9001:2008 / ISO 14001:2004 인증을 유지하고 있다면


전환기간 내에 ISO 9001:2015 / ISO 14001:2015로 전환하여야 함.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개정판 주요 변경내용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2015년판 개정의 핵심개념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2015년판 핵심개념

리더쉽

전략적 환경경영

환경보호

Life cycle thinking

의사소통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2015년판 핵심개념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용어정의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1조직 및 리더십과 관련된 용어

3.1.1 경영시스템
목표 달성을 위한 방침 및 목표 (3.2.5) 그리고 프로세스 (3.3.5) 수립을 위해 조직
(3.1.4)의 상호 관련되거나 상호 작용하는 요소의 집합

Note 1 to entry: 경영 시스템은 단수 하나의 분야 또는 여러 분야를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 환경,


안전보건, 에너지, 재정관리)
Note 2 to entry: 시스템요소는 조직의 구조, 역할, 책임, 기획 및 운영, 성과평가 그리고 개선을 포함한다.
Note 3 to entry: 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는 조직전체, 특정한 또는 식별된 조직의 기능 그리고 조직의 식
별된 분야 또는 조직의 그룹을 넘어선 1개 이상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1.2 환경경영시스템
환경측면 (3.2.2) 관리, 준수의 (3.2.9) 의 충족 및 리스크와 기회 (3.2.11) 를 다루기
위해 사용되는 경영시스템 (3.1.1) 의 일부

3.1.3 환경방침
최고 경영자 (3.1.5) 에 의해 공식적으로 표명된 환경성과 (3.4.11) 와 관련된 조직
(3.1.4) 의 의도 및 방향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1.4 조직
목표 (3.2.5) 달성을 위해 책임, 권한 및 상호관계의 자체적인 기능을 갖춘 인원 또
는 집단
Note 1 to entry: 조직의 개념은 다음 (개인사업자(sole-trader), 회사(company), 법인(corporation), 기업
(firm), 업체 (enterprise), 기관(authority), 합작(partnership), 자선단체(charity) 또는 협회 (institution), 또
는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형태로 법인체 또는 비법인체, 또는 공공기업 또는 개인기업) 을 포함하나 제
한하지는 않는다.

3.1.5 최고경영자
최고 계층에서 조직 (3.1.4) 을 지휘하고 관리하는 사람 또는 그룹
Note 1 to entry: 최고경영자는 조직내에서 권한을 위임하고 자원을 제공하는 권한을 가진다.
Note 2 to entry: 만약 경영시스템 (3.1.1) 의 적용범위가 조직의 일부일 경우,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일부
를 지휘하고 관리하는 사람을 말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1.6 이해관계자
결정 또는 활동에 의해 영향을 주거나 받고 또는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인지되는 개
인 또는 조직 (3.1.4)
Note 1 to entry: “영향에 대한 자가 감지”는 자각을 조직에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예) 고객, 커뮤니티, 공급자, 규제자, 비정부조직, 투자가 및 직원

3.2 기획과 관련된 용어

3.2.1 환경
공기, 물, 토양, 천연자원, 식물군, 동물군, 사람 및 이들간의 상호관계를 포함하여
조직 (3.1.4) 이 운영되는 주변여건
Note 1 to entry: 주변여건은 조직내로부터 지역, 지방, 국제적인 시스템으로 확대된다.
Note 2 to entry: 주변여건은 생물다양성, 생태계, 기후 및 기타 특성의 조건과 관련해서 표현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2.2 환경측면
환경 (3.2.1) 과 상호작용 하거나 할 수 있는 조직 (3.1.4) 의 활동 또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요소
Note 1 to entry: 환경측면은 환경 영향 (3.2.4) 의 원인일 수 있다. 중대한 환경측면은 하나 또는 그 이상
의 중대한 환경영향을 가지거나 가질 수 있다.
Note 2 to entry: 중대한 환경 측면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는 조직에 의해 결정된다.

3.2.3 환경조건
어떤 특정시점에서 결정된 것으로 환경 (3.2.1 ) 의 상태 또는 특성

3.2.4 환경영향
조직 (3.1.4) 의 환경측면 (3.2.2) 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좋은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 (3.2.1) 변화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2.5 목표
달성될 결과
Note 1 to entry: 목표는 전략적, 전술적 또는 운영적일 수 있다.
Note 2 to entry: 목표는 각각 다른 원칙과 연관될 수 있다. (예 재정, 안전보건, 환경목적) 그리고 각기 다
른 수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 전략, 조직 전반, 프로젝트, 제품, 서비스 및 프로세스 (3.3.5)
Note 3 to entry: An 목표는 다른 방식으로 표명될 수 있다. (예, 의도하는 결과물, 목적, 운영 기준, 환경
목표 (3.2.6), 또는 유사한 의미 (aim, goal 또는 target)을 내포하는 다른 단어 사용)

3.2.6 환경목표
조직의 환경방침 (3.1.3) 과 일관된 조직 (3.1.4) 에 의해 설정된 목표 (3.2.5)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2.7 오염예방
부정적인 환경영향 (3.2.4) 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형태의 오염물질 또는 폐
기물의 발생, 방출 또는 배출의 회피, 저감 또는 관리 (분리 또는 조합하여) 를 위
한 프로세스 (3.3.5), 관행, 기술, 재료, 제품, 서비스 또는 에너지의 활용

Note 1 to entry: 오염예방에는 발생원의 감소 또는 제거, 프로세스, 제품 또는 서비스의 변경, 자원의 효


율적인 활용, 재료 및 에너지의 대체, 재사용, 회수, 재활용, 재생이용 또는 처리가 포함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2.8 요구사항
명시적인 요구 또는 기대, 일반적으로 묵시적이거나 의무적인 요구 또는 기대

Note 1 to entry: “ ‘일반적으로 묵시적인’은 요구 또는 기대가 묵시적으로 고려되는 조직 (3.1.4) 과 이해


관계자 (3.1.6) 의 관습 또는 일상적인 관행을 의미한다.
Note 2 to entry: A 특정한 요구사항은 언급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서화된 정보 (3.3.2)
Note 3 to entry: 조직이 법적 요구사항 이외의 요구사항을 준수하기로 결정하였을 경우, 법적 요구사항
이외의 요구사항은 의무사항이 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2.9 준수의무 (선호된 용어)


법적 요구사항 및 다른 요구사항 (공인된 용어)
조직 (3.1.4) 이 준수하여야 하는 법적 요구사항 (3.2.8) 그리고 조직이 준수하여야
하는 또는 준수하기로 선택한 다른 요구사항

Note 1 to entry: 준수의무는 환경경영시스템 (3.1.2) 과 관련된다.


Note 2 to entry: 준수의무는 조직적인 그리고 산업적인 표준, 계약적관계, 직업규약 그리고 비정부조직
또는 커뮤니티 그룹과 협정과 같은 적용 가능한 법 및 규제사항 또는 자발적인 의지와 같이 의무적인 요
구사항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2.10 리스크
불확실한 영향
Note 1 to entry:
영향은 예상 (긍정적-부정적) 으로부터의 편차이다.
Note 2 to entry: 불확실성은 어떤 업무의 결과 또는 가능성의 이해 또는 지식과 관련된 정보의 불완전
또는 부족을 말한다.
Note 3 to entry: 리스크는 잠재적인 “사건”(ISO Guide 73:2009, 3.5.1.3 정의)과 “결과”(ISO Guide
73:2009, 3.6.1.3 정의) 또는 이러한 것들의 복합적 형태에 따라 종종 특정 지어진다.
Note 4 to entry: 리스크는 (상황의 변화를 포함) 사건의 결과 그리고 연관된 “가능성”(ISO Guide
73:2009,3.6.1.1 정의) 의 결합과 관련하여 종종 표현된다.

3.2.11 리스크와 기회
잠재적인 부정적인 영향 (위협) 그리고 잠재적인 유익한 영향 (기회)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3 지원 및 운영과 관련된 용어

3.3.1 적격성
의도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지식 및 기략을 적용하는 능력

3.3.2 문서화된 정보
조직 (3.1.4) 이나 포함되는 매체에 의한 관리 및 유지를 위해 요구되어지는 정보
Note 1 to entry:
문서화된 정보는 어떤 양식이나 미디어 그리고 자원으로부터 있을 수 있다.
Note 2 to entry: 문서화된 정보는 하기를 말한다.
- 관련된 프로세스 (3.3.5) 를 포함한 환경경영시스템 (3.1.2)
- 조직이 운영하기 위하여 생성된 정보 (문서화로서 표현될 수 있다)
- 달성된 결과의 증거 (기록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3.3 전과정
천연자원으로부터 원료의 획득 및 생성에서 최종처분까지 제품 (또는 서비스) 시
스템의 연속 또는 연결된 단계
Note 1 to entry: 전 과정 단계는 원재료의 획득, 설계, 생산, 운송/인도, 사용, 최종사용 및 처리를 포함한
다.

3.3.4 외주처리 하다
조직의 기능 또는 프로세스 (3.3.5) 의 일부를 외부 조직 (3.1.4) 이 수행하도록 계
약하는 것을 말한다.
Note 1 to entry: 외주처리 된 기능 또는 프로세스가 범위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조직은 경영시스
템 (3.1.1) 의 범위 밖이다.

3.3.5 프로세스
입력을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상호 관련되거나 상호 작용하는 활동의 집합
Note 1 to entry: 프로세스는 문서화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4 성과평가와 개선에 관련된 용어

3.4.1 심사
심사기준에 충족되는 정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심사증거를 수집하고 평가하기 위
한 체계적이고 독립적이며 문서화된 프로세스 (3.3.5)
Note 1 to entry: 내부심사는 조직 (3.1.4)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Note 2 to entry: An 심사는 결합된 심사일 수 있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규정 결합)
Note 3 to entry: 독립성은 심사활동의 책임으로부터의 자유와 편견 및 이해상충으로부터의 자유에 의해
증명될 수 있다.
Note 4 to entry: “Audit “심사증거”는 증명할 수 있는 기록, 사실의 표명 또는 심사기준과 관련된 정보로
구성되며, “심사기준”은 방침, 절차 또는 ISO 19011 3.3 및 3.2에서 정의된 심사증거의 비교에 대한 참고
로 사용되는 요구사항 (3.2.8) 이다.

3.4.2 적합성
요구사항 (3.2.8) 의 충족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4.3 부적합
요구사항 (3.2.8) 의 불충족
Note 1 to entry: 부적합은 이 국제규격 내에 요구사항과 조직 (3.1.4) 자체적으로 수립한 추가적인 환경
경영시스템 (3.1.2) 요구사항과 관련된다.

3.4.4 시정조치
부적합 (3.4.3) 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재발을 방지하는 조치
Note 1 to entry: 하나의 부적합은 하나 이상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3.4.5 지속적 개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복되는 활동 (3.4.10)
Note 1 to entry: 성과의 향상은 조직 (3.1.4) 의 환경방침 (3.1.3) 과 일관된 환경성과 (3.4.1) 를 증진시키
기 위해 환경경영시스템 (3.1.2) 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
Note 2 to entry: The 활동은 동시에 또는 중단 없이 모든 분야에서 일어날 필요는 없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의 용어정의

3.4.6 효과성
계획된 활동이 실현되어 계획된 결과가 달성되는 정도

3.4.7 지표
조건 또는 운영, 관리 또는 조건의 측정 가능한 표시

3.4.8 모니터링
시스템, 프로세스 (3.3.5) 또는 활동의 상황을 결정하는 것
Note 1 to entry: 상황을 결정하기 위해 점건, 감독 또는 정밀한 관찰이 필요할 수 도 있다.

3.4.9 측정
값을 판단하는 프로세스 (3.3.5)

3.4.10 성과
측정 가능한 결과
Note 1 to entry:성과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 발견사항과 관련된 수 있다.
Note 2 to entry: 성과는 활동관리, 프로세스 (3.3.5), 제품 (서비스 포함), 시스템 또는 조직 (3.1.4) 의 경영
과 관련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3.4.11 환경성과
환경측면 (3.2.2) 의 관리와 관련된 성과 (3.4.10)

Note 1 to entry: 환경경영시스템 (3.1.2) 에 대하여, 결과는 조직 (3.1.4) 의 환경방침 (3.1.3), 환경목표
(3.2.6) 또는 지표 (3.4.7) 를 사용한 다른 기준에 대하여 측정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HLS (High Level Structure)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ISO 9001 의 제정 이후, 경영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사건이다’ (영국 IRCA)

우리가 이 진술을 처음 했을 때는 작은 의견이었지만,

오늘날에는 경영시스템 표준 분야에 관계된


사람 대부분이 동의하고 있음.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ISO 9001 의 제정 이후, 경영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사건이다’

(영국 IRCA)

ISO 의 문제 –> ISO 의 해결책

Annex SL = ‘경영시스템 작성자(writer)의 표준

Annex SL 은 ISO/IEC Directives (Part 1)의 부속서 임.

Annex SL 은 ISO/IEC Directives (Part 1)의


부속서 순서에 따른 명칭 임(Annex SK – Annex SL – Annex SM)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appendix 2 mandates

• High Level Structure Clause 1 - 범위


Clause 2 - 인용표준
Clause 3 - 용어 및 정의
Clause 4 - 조직의 상황
Clause 5 - 리더십
Clause 6 - 기획
Clause 7 - 지원
Clause 8 - 운영
Clause 9 - 성과평가
Clause 10 - 개선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appendix 2 mandates

• High Level Structure 5. 리더십

• Identical Core Text 5.1 리더십 및 의지

최고경영자는 XXX 경영시스템에 관한 리더십


및 의지를 실증하여야 한다.

- XXX방침과 XXX목표의 수립 및 조직의


전략적 방향과 조화됨을 보장

- XXX 경영시스템 요구사항이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로 통합됨을 보장

- XXX 경영시스템에 필요한 자원의 가용성


보장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appendix 2 mandates

조직 이해관계자
• High Level Structure 요구사항 경영시스템
• Identical Core Text 최고경영자 효과성
• Common Terms and De 방침 목표
finitions 리스크 적격성
프로세스 성과
아웃소스 모니터링
측정 심사
적합성 부적합
시정조치 지속적 개선
문서화된 정보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현재 표준의 구조

ISO 9001 ISO 14001


품질경영시스템 환경경영시스템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유사하면서도 서로 다른…

ISO 9001 ISO 14001


중첩
요구사항 요구사항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공통적인 부분...

Annex
SL
ISO 9001 HLS ISO 14001
동일한 핵심
특정 요구사항 내용 특정 요구사항
공통적인 용어
및 정의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공통적인 부분...

70% 30%

Annex
ISO 9001 SL ISO 14001
HLS
특정 요구사항 동일한 핵심 내용 특정 요구사항
공통적인 용어 및
정의

ISO 9001:2015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공통적인 부분...
55% 45%

Annex
ISO 9001 SL ISO 14001
HLS
특정 요구사항 동일한 핵심 내용 특정 요구사항
공통적인 용어 및
정의

ISO 14001:2015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

공통적인 부분...

70% 30%

Annex
ISO 9001 SL ISO/IEC 27001
특정 요구사항 HLS
동일한 핵심 내용 특정 요구사항
공통적인 용어 및
정의

ISO/IEC 27001:2013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SL의 이점

용이한 중복으로 인한 인증시스템


경영시스템 통합 노력 감소 운영 비용 절감
: 효율성 증대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HLS(High Level Structure)

1. Scope 7 Support
2. Normative references 7.1 Resources
3. Terms and definitions 7.2 Competence
4 Context of the organization 7.3 Awareness
4.1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 7.4 Communication
and its context 7.5 Documented information
4.2 Understanding the needs and 7.5.1 General
expectations of interested parties 7.5.2 Creating and updating
4.3 Determining the scope of 7.5.3 Control of documented
the XXX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4.4 XXX management system 8 Operation
5 Leadership 8.1Operational planning and control
5.1 Leadership and commitment 9 Performance evaluation
5.2 Policy 9.1Monitoring, measurement, analysis
5.3 Organizational roles, responsibilities and evaluation
and Authorities 9.2 Internal audit
6 Planning 9.3 Management review
6.1 Actions to address risks and 10 Improvement
opportunities 10.1 Nonconformity and corrective
6.2 XXX objectives and planning to action
achieve them 10.2 Continual improvement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HLS와 경영시스템 표준과의 관계

ISO 9001
ISO 14001
ISO 27001
ISO 39001
ISO 22301

H
L
S

HLS : 몸통
MS표준 : 가지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기존 Annex SL 도입에
ISO 14001:2004 따른 변경사항
추가 변경사항
요구사항
HLS
동일한 핵심 내용
공통적인 용어 및 정의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HLS and the new ISO 14001:2015 structure

4 Context of the 9 Performance


5 Leadership 6 Planning 7 Support 8 Operation 10 Improvement
organization and Evaluation

4.1 9.1 Monitoring, 10.1


6.1 Actions to 8.1 Operational
Understanding 5.1 Leadership 7.1 Resources measurement, Nonconformity
address risk and planning and control
the organization and commitment analysis and and corrective
opportunity
and its context evaluation action

4.2 7.2 Competence


Understanding 6.2 XX objectives
the needs and and planning to 9.2 Internal audit 10.2 Continual
5.2 XX Policy improvement
expectations of achieve them
Interested parties
7.3 Awareness

4.3 Determining 5.3


the Scope of the Organizational 9.3 Management
XX management Roles, review
responsibilities 7.4 Communication
system
and authorities

4.4 XX 7.5 Documente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Plan Do Check Act
4 9
5 6 7 8 10
Context of Performance
Leadership Planning Support Operation Improvement
organization evaluation

4.1 6.1 7.1 8.1 9.1


Understanding the 5.1 Actions to address Resources Operational Monitoring, 10.2
organization and its Leadership and risk and planning and measurement, Nonconformity and
context commitment opportunity control analysis and corrective action
7.2 evaluation
Competence
4.2
Understanding the 8.2 Emergency 10.3
needs and 5.2 6.1.1 General 7.3 preparedness and 9.1.1 General
response Continual
expectations of XX policy Awareness improvement
Interested parties
6.1.2 7.4
9.1.2 Evaluation
4.3 5.3 Environmental Communication of compliance
aspects 10.3 Continual
Determining the Organizational improvement
scope of the XX roles,
management responsibilities and 7.4.1 General
syst,m authorities 6.1.3 Compliance 9.2
obligations
Internal audit
7.4.2 Internal
communication
4.4 9.3
XX management 6.1.4 Planning
action 7.4.3 External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review

6.2 7.5
XX objectives and Documented
planning to achieve information
them

6.2.1 7.5.1 General


Environmental
objectives
7.5.2 Creating and
updating
6.2.2 Planning
action to achieve
environmental 7.5.3 Control of
objectives document
information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개정된 요구사항 상세해설

- 요구사항 중심으로 -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 조직의 상황

4.1 조직과 그 조직 상황의 이해


조직은 목적과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능력에 영향과 관련 있는 내부 및
외부의 이슈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슈들은
조직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줄 수 있는 환경적인
조건들을 포함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2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기대의 이해
조직은 다음을 결정하여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에 관련된 이해관계자

이해관계자들과 관련된 요구와 기대(예: 요구사항)

이들 요구와 기대 중 어떤 것이 준수의무가 될 것인가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3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조직은 적용 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환경경영시스템의 경계와
적용가능성을 결정하여야 한다.

적용범위를 결정할 때, 조직은 다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a) 4.1조항의 외부 및 내부의 이슈

b) 4.2조항의 준수의무

c) 조직의 단위, 기능 및 물리적 경계

d)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

e) 조직의 관리 및 영향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 및 능력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3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결정 (계속)
적용범위가 정의되었을 경우 범위 안에서의 조직의
모든 활동, 제품 및 서비스는 환경경영시스템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적용범위는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해관계자들에게도 이용가능 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1 일반 요구사항
4.4 환경경영시스템 조직은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따
라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문서
환경성과의 증대를 포함한 목표로 세운 결과를 이루기
화, 실행, 유지 및 지속적으로 개

위해서 조직은 이 국제표준의 요구사항에 만족하며 선하여야 하며 어떻게 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것인지 결정하
요구되는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간의 상호작용을 여야 한다.

포함하는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이행, 유지하고 조직은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의 적용범위를 정하고 문서화하
지속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여야 한다.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을 설립하고 유지할 때 4.1과


4.2에서 얻은 지식을 고려해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5. 리더십
5.1 리더십과 의지
최고경영자는 환경경영시스템에 관해서 리더십과
의지를 아래와 같이 증명하여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책임
b) 환경 방침 및 환경 목표가 수립되었고 전략적
방향과 조직상황에 적절함을 보장
c) 조직의 사업 프로세스에 환경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이 통합되었음을 보장
d) 환경경영시스템의 이용 가능함을 위해 필요한
자원이 가용함을 보장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4.1 자원, 역할, 책임 및 권한
5. 리더십 경영자는 환경경영시스템의 수립, 실행, 유지
및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자원의 가용성을 보장
5.1 리더십과 의지
하여야 한다. 자원은 인적 자원, 특수 기능, 내
최고경영자는 환경경영시스템에 관해서 부 기반구조, 기술 및 재정 자원을 포함한다.
리더십과 의지를 아래와 같이 증명하여야 환경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역할, 책
한다. 임 및 권한이 규정되고 문서화 및 의사소통되어
a)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책임 야 한다.
조직의 최고 경영자는 다른 책임과는 무관하게
b) 환경 방침 및 환경 목표가 수립되었고
다음 사항에 대한 역할, 책임 및 권한을 갖는 특
전략적 방향과 조직상황에 적절함을
정의 경영대리인(들)을 지명하여야 한다.
보장
a) 환경경영시스템이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따
c) 조직의 사업 프로세스에 라 수립, 실행 및 유지됨을 보장
환경경영시스템의 요구사항이 b) 개선을 위한 제안사항을 포함하여, 검토를
통합되었음을 보장 위해 최고경영자에게 환경경영시스템의 성과를
d) 환경경영시스템의 이용 가능함을 위해 보고
필요한 자원이 가용함을 보장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2 환경방침
5.2 환경방침 최고 경영자는 조직의 환경방침을 정하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의 규정된 고 조직이 정한 환경경영시스템의 적

적용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환경방침을 수립하고, 용범위 내에서 환경방침이 다음과 같


음을 보장하여야 한다.
실행하며 유지하여야 한다: a)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특성,
a) 그것은 조직의 목표와 상황에 적합해야 하며 규모, 환경영향에 적합할 것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특성, 규모 그리고 b) 지속적인 개선과 오염예방에 대한


의지를 포함할 것
환경적 영향에 대해서도 포함하여야 한다. c) 조직의 환경측면과 관련하여 적용되
b) 환경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것. 는 법규 요구사항 및 조직이 동의한
그 밖의 요구사항을 준수하겠다는
c) 오염예방 및 기타 조직의 상황에 특정한 사항을 의지를 포함할 것
포함한 환경 보호에 대한 의지(a)를 포함할 것. d)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를 설정하고

비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다른 특정한 의지는 지속 검토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것


e) 문서화되어 실행되고 유지될 것
가능한 자원의 사용,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그리고 f) 조직에서 근무하거나 조직을 대신해
생물의 다양성과 생태계 보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인원에게 의
사소통 될 것
g) 일반 대중이 접할 수 있을 것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5.2 환경방침 (계속)
d) 준수의무를 이행할 것이라는 의지를 포함
e) 환경성과를 강화하기 위한 환경 경영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에 대한 의지를 포함

환경방침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될 것
- 조직의 관리 하에 근무하는 인원을 포함하여,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 될 것
- 이해관계자가 이용가능 할 것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5.2 환경방침 (계속)
d) 준수의무를 이행할 것이라는 의지를 포함
e) 환경성과를 강화하기 위한 환경 경영 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에 대한 의지를 포함

환경방침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될 것
- 조직의 관리 하에 근무하는 인원을 포함하여,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 될 것
- 이해관계자가 이용가능 할 것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6. 기획
6.1 리스크 및 기회와 연관된 위험성을 설명하기
위한 활동
6.1.1 일반
조직은 6.1.1에서 6.1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들을 수립, 이행 그리고 유지해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을 기획할 때 조직은 아래의 상황들을
고려해야 한다.
- 4.1과 관련된 이슈
- 4.2와 관련된 요구사항
- 환경경영시스템의 범위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2004 표준 비교
2015 2004
6.1.1 일반(계속)
조직은 다음의 문서화된 자료를 유지해야 한다.
- 다루어져야 할 리스크와 기회
- 6.11부터 6.14에서 필요한 프로세스, 프로세스가
계획대로 수행되는지 확신이 필요한 정도까지.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4.3.1 환경측면
6.1.2 중대한 환경측면 조직은 다음에 대한 절차를 수립, 실행
환경경영시스템 범위 안에서, 전과정의 관점을 고려하여 및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조직이 통제 할 수 있고 또 영향을 줄 수 있는 a) 계획된 개발이거나 신규 개발, 또는


신규이거나 변경된 활동, 제품, 서비스
그리고 제품, 활동 및 서비스와 연관된 환경적 영향과 를 고려하여 조직이 관리가능하고 정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측면을 결정해야 한다. 해진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용범위 내에

환경 측면을 식별할 때, 조직은 다음을 고려해야 한다. 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직의 활동,


제품 및 서비스의 환경측면을 파악하
a) 계획된 혹은 새로운 개발들을 포함한 변화 그리고 는 절차

새로운 혹은 수정된 활동, 제품 그리고 서비스. b) 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거


나 미칠 가능성이 있는 환경측면(즉 중
b) 비정상적인 상황 그리고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대한 환경측면)을 결정하는 절차
있는 비상상황 조직은 이러한 정보를 문서화하고 최
신의 정보로 유지하여야 한다.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실행
및 유지할 때 중대한 환경측면이 고려
된다는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6.1.2 중대한 환경측면 (계속)
조직은 중요한 환경영향을 줄 수 있는 즉 설정된 기준을
이용한 중요한 환경측면들을 결정해야 한다.
조직은 조직의 다양한 계층과 기능에서 중요한
환경측면을 의사소통 해야 한다.
조직은 다음의 정보들을 문서화된 정보로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 환경측면과 관련된 환경영향
- 중대한 환경측면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 중대한 환경측면
비고. 중대한 환경측면은 나쁜 환경 영향(위협) 또는
좋은 환경 영향(기회) 모두와 연관된 리스크와 기회를
야기할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6.1.3 준수의무 4.3.2 법규 및 그 밖의 요구사항
조직은 다음에 대한 절차를 수립, 실
조직은 다음을 하여야 한다: 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a) 조직의 환경측면과 연관된 준수의무를 a) 환경측면과 관련하여 조직에 적
식별하고 결정 용되는 법규 요구사항 및 조직이 동

b) 이러한 준수의무를 어떻게 조직에 적용할 의한 그 밖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것인지 결정 활용하기 위한 절차
b) 조직의 환경측면에 이러한 요구
c)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이행, 유지
사항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결
그리고 지속적으로 개발할 때 준수의무를
정하기 위한 절차
고려해야 한다.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을 수립, 실
행 및 유지할 때 적용되는 법규 요구
조직은 조직의 준수의무에 관한 문서화된 정보를 사항 및 조직이 동의한 그 밖의 요구

유지하여야 한다. 사항이 고려된다는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비고. 준수의무는 조직에 리스크와 기회를 줄 수 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6.1.4 실행 기획
조직은 다음을 기획하여야 한다.
a) 다음을 다루기 위한 조치
1) 조직의 중대한 환경적 측면
2) 조직의 준수의무
3) 6.1.1에서 확인된 리스크와 기회
b) 어떻게 :
1) 조치를 환경경영시스템 프로세스 또는 다른
경영프로세스에 통합하고 실행
2) 이러한 조치의 효과성을 평가
이러한 조치를 계획할 때, 조직은 조직의 기술적인
선택과 재정적 그리고 활동적 그리고 사업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6.2 환경 목표 및 환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획 4.3.3 목표, 세부목표 및 추진계획
조직은 내부의 관련 기능과 계층별로 문서화된 환경
6.2.1 환경 목표 목표 및 세부목표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목표 및 세부목표는 가능한 경우 측정되어야 하며, 오
조직은 조직의 중대한 환경적 측면과 준수의무,
염예방, 적용되는 법규 요구사항 및 조직이 동의한 그
그리고 조직의 리스크와 기회를 고려하여 관련된
밖의 요구사항 준수, 그리고 지속적 개선에 대한 의지
기능 및 계층에서 환경 목표를 수립하여야 한다. 가 포함된 환경방침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환경목표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조직은 목표 및 세부목표를 수립하고 검토할 때, 법규
요구사항 및 조직이 동의한 그 밖의 요구사항, 조직의
a) 환경방침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중대한 환경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조직은 조
b) 측정 가능하여야 한다(가능한 한). 직의 기술적 대안과 재정적, 운영적 및 사업상의 요구

c)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사항, 그리고 이해 관계자의 견해를 고려하여야 한다.


조직은 조직의 목표 및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
d) 의사소통 되어야 한다.
진계획을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추진계획에
e) 적절히 갱신 되어야 한다. 는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a) 조직의 관련 기능과 계층별로 목표 및 세부목표 달
성을 위한 책임 지정
조직은 환경목표에 관한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하여야 b) 목표 및 세부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 및 일정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6.2.2 환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 기획
조직의 환경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지 기획할 때, 조직은
다음을 결정하여야 한다:
a) 무엇이 실행될 것인가
b) 어떤 자원이 요구될 것인가
c)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
d) 그러한 목표는 언제 달성될 것인가
e) 측정 가능한 환경목표(9.1.1 참조)의 달성에 대한
진행 모니터링의 지표를 포함하여, 그에 대한
결과는 어떻게 평가될 것인가
조직은 조직의 환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치들이
조직의 경영 프로세스에 어떻게 통합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7. 지원 4.4.1 자원, 역할, 책임 및 권한
경영자는 환경경영시스템의 수립, 실행, 유지 및
7.1 자원 개선을 위해 필수적인 자원의 가용성을 보장하
여야 한다. 자원은 인적 자원, 특수 기능, 내부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의 수립, 실행, 유지,
기반구조, 기술 및 재정 자원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속적 개선을 위해 필요한 자원들을 환경경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역할, 책
결정하고 제공해야 한다. 임 및 권한이 규정되고 문서화 및 의사소통되어
야 한다.

조직의 최고 경영자는 다른 책임과는 무관하게


다음 사항에 대한 역할, 책임 및 권한을 갖는 특
정의 경영대리인(들)을 지명하여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이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따라 수립, 실행 및 유지됨을 보장
b) 개선을 위한 제안사항을 포함하여, 검토를 위
해 최고경영자에게 환경경영시스템의 성과를
보고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조직은 환경측면 및 조직의 환경경
7.2 적격성 영시스템에 연계되는 교육훈련의
필요성을 파악하여야 한다. 조직은
조직은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
여 교육훈련을 제공하거나 그 밖의
a) 환경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의 통제 하에 있는 조치를 취하고 관련 기록을 보유하
여야 한다.
직원들(인원)에게 필요한 적격성과 조직의 능력이
준수 의무를 이행하는지를 결정하라. 조직은 조직에 근무하거나 조직을
대신해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 다
b) 조직의 직원들이 적합한 교육과 훈련 혹은 경험을 음 사항을 인식하기 위한 절차를 수
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통해 적격함을 보장하라.
a) 환경방침 및 절차 그리고 환경경
c) 환경적 측면과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교육의 영시스템 요구사항에 대한 적합
의 중요성
필요성을 결정하라.
b) 그들의 업무와 연관된 중대한 환
d) 해당되는 경우, 필요한 적격성을 획득하기 위한 경측면 및 관련된 실제적 또는 잠
조치를 취하고 그 조치의 효과성을 평가해라. 재적 영향, 그리고 개인적 성과
개선에 의한 환경적 이득

c)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에 적합
함을 달성하기 위한 역할 및 책임

d) 규정된 절차로부터 벗어날 때의


잠재적 결과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7.2 적격성 (계속)
비고 : 실행 가능한 조치에는 예를 들면, 현 종업원에
대한 교육훈련 및 멘토링 제공, 재배치와 또는 새로운
인재(적격 인원) 채용이나 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조직은 역량/적격성에 대한 증거로 적절한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해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7.3 인식
조직은 조직의 통제 하에 업무를 수행하는 인원이
다음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
- 환경방침
- 중대한 환경측면과 그들의 업무와 관련된 실제적
또는 잠재적 영향
- 향상된 환경적 성과(환경성과)로부터 오는 이익을
포함하여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에 대한 그들의
기여도
- 조직의 준수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여 환경경영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이것이 초래할 수 있는 결과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7.4 의사소통 4.4.3 의사소통
조직은 환경측면 및 환경경영시스템
7.4.1 일반사항 과 관련하여 다음에 대한 절차를 수

조직은 다음을 포함하여 환경경영시스템에 관한 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내외부 의사소통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기획하고 a) 조직 내 여러 계층과 기능간의 내

수립하고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부 의사소통


b) 외부 이해 관계자와의 적절한 의사
a) 의사소통의 주제
소통을 위한 접수, 문서화 및 회신
b) 의사소통의 시기 조직은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에 대
c) 의사소통의 참여자 해 외부와 의사소통 할 것인지를 결

d) 의사소통의 방법 정하고 결정을 문서화하여야 한다.


외부와 의사소통 하는 것으로 결정한
조직은 그 의사소통 과정을 기획할 때, 다음을
경우, 조직은 이 외부 의사소통을 위
실행해야 한다.
한 방법을 수립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 준수의무에 대해 고려
- 의사소통 과정에서 의사소통 되는 환경 정보가 환경경영시스템
내에서 생성된 정보와 일치하고, 정보의 신뢰성이 있는지 보장
-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관련된 의사소통에 회신
- 조직은 의사소통에 대한 증거로 적절하게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
7.4.2 내부 의사소통
조직은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a) 환경경영시스템의 변화에 관한 내용을 적절히 포함하며
조직의 다양한 계층과 기능 안에서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정보에 대해서 내부적인 의사소통
b) 의사소통 프로세스가 조직의 통제 하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원이 지속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보장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7.4.3 외부 의사소통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과 관련된 정보에 대해 의사소통
프로세스에서 결정되고 준수의무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외부 의사소통 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7.5 문서화된 정보 4.4.4 문서화
환경경영시스템 문서화에는 다음을
7.5.1 일반 사항 포함하여야 한다.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은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a) 환경방침, 목표 및 세부목표


b) 환경경영시스템 적용 범위의 기
a) 이 국제표준에서 요구되는 문서화된 정보

b)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을 위해 조직에 의해
c) 환경경영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
필요하다고 결정된 문서화된 정보 그들의 상호관계 및 관련 문서의
비고 :환경경영시스템을 위한 문서화된 정보의 참조에 대한 기술
범위는 다음에 기인하여 조직별로 상이할 수 있다. d) 기록을 포함하여, 이 규격에서 요

- 조직의 규모, 활동,프로세스,제품 및 서비스의 구하는 문서

형태 e)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에 관련


된 프로세스의 효과적인 기획, 운
- 조직의 준수 의무의 이행을 보여줄 필요
영 및 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기
- 프로세스의 복잡성 및 그 상호작용 록을 포함하여 조직에서 필요하
- 조직의 통제하에서 일하는 직원의 적격성 다고 결정한 문서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7.5.2 생성과 갱신 4.4.5 문서관리
환경경영시스템 및 이 표준에서 요구하는
문서화된 정보를 생성하거나 갱신할 경우 조직은 문서는 관리되어야 한다. 기록은 문서의 특
다음을 적절히 수행함을 보장하여야 한다. 별한 형식으로서 4.5.4항의 요구사항에 따
a) 문서 식별 및 서술 (예: 제목, 날짜, 작성자, 라 관리되어야 한다.
문서 번호) 조직은 다음에 대한 절차를 수립, 실행 및

b) 형식(예: 언어, 소프트웨어 버전, 그래픽)과 유지하여야 한다.

매개체(예: 서면, 전자) a) 문서를 발행하기 전 적정함을 승인


b) 문서의 검토 및 필요시 갱신, 그리고 재
c) 적절성과 충분성의 검토 및 승인
승인
c) 문서의 변경 및 최신 개정 상태의 식별
을 보장
d) 적용되는 문서의 해당본이 사용되는 장
소에서 이용 가능함을 보장
e) 문서가 읽을 수 있게 유지되고 쉽게 식
별됨을 보장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7.5.3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 f) 환경경영시스템의 기획 및 운
영을 위해 필요하다고 조직이 결
환경경영시스템과 그 국제 표준에서 요구되는 문서화된 정한 외부출처 문서의 식별 및
정보는 다음을 보장할 수 있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배포가 관리됨을 보장
a) 필요한 장소와 시간에 사용을 위해 가용하고 g) 효력이 상실된 문서의 의도되
적절함 지 않은 사용을 방지하며 어떤

b) 충분히 보호됨 (예: 기밀 유출, 오용, 문서의 목적을 위해 보유할 경우에는

온전성 훼손 방지) 적절한 식별을 적용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5.4 기록관리
7.5.3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계속)
조직은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및
문서화된 정보의 관리를 위해 조직은 적용가능 하다면 이 표준의 요구사항에 대한 적합성
다음의 활동을 명시하고 시행해야 한다. 과 달성된 결과를 실증하기 위해 필
요한 기록을 작성하고 유지하여야
- 문서의 배포, 접근, 회수와 활용 한다.

- 가독성 보존을 포함한 보관과 보존 조직은 기록의 식별, 보관, 보호, 검


색, 보유 및 폐기에 대한 절차를 수
- 변경 관리 (예: 버전 관리) 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 문서의 보유와 처분 기록은 읽을 수 있고, 식별 및 추적


이 가능해야 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의 기획 및 운영에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외부출처의 문서화된 정보는 적절히 식별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비고 : 열람은 단지 문서화된 정보의 검토 허용 또는
문서화된 정보의 열람 및 변경 허용에 대한 결정을
포함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4.4.6 운영관리
8 운영 조직은 다음 사항들의 실행을 통해
규정된 조건하에서 운영함을 보장
8.1 운영 기획과 관리 하기 위하여, 환경방침, 목표 및 세
부목표와 일관성을 가지는 식별된
환경경영시스템요구사항에 적합하고 6.1항과 6.2항에 중대한 환경측면과 연계된 조직의
운영사항을 파악하고 계획하여야
명시된 조치사항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한다.
다음과 같이 계획, 수립, 실행하고 관리 및 유지해야 a) 문서화된 절차가 없음으로 인해
한다. 환경방침, 목표 및 세부목표와
어긋나게 될 수 있는 상황을 관
- 프로세스에 대한 기준 수립 리하기 위해 문서화된 절차를 수
립, 실행 및 유지
- 판단 기준에 따르는 프로세스 관리의 실행
b) 절차서에 운영기준을 명시
비고 : 이 관리에는 공학적인 관리와 절차를 포함할 수
c) 조직이 사용하는 물품 및 서비스
있다. 이들은 다음의 체계(예: 제거, 대체, 행정))에 따라 의 식별된 중대한 환경측면에 관
련된 절차를 수립, 실행 및 유지
실행될 수 있으며 따로, 혹은 조합하여 실행 될 수 있다. 하며, 계약자를 포함하여 공급자
에게 적용되는 절차 및 요구사항
을 의사소통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8.1 운영 기획과 관리 (계속)
조직은 계획된 변경을 관리하고 의도치 않은 변경의
결과를 검토하며, 부정적인 결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조직은 외부 처리된 프로세스가 관리되고 조직의
영향력 하에 있음을 보장해야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
적용되는 형태와 관리수준 또는 영향력은 형태는
환경경영시스템 내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8.1 운영 기획과 관리 (계속)
전과정(수명주기)에 대한 관점과 일관되게, 조직은
다음을 시행해야 한다.
a) 전과정의 각 단계를 고려하여 조직의 환경적
요구사항이 제품과 서비스를 위한 설계 및 개발
프로세스에 반영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적절한 관리체계를 수립
b) 제품과 서비스의 적절한 조달을 위한 환경적
요구사항을 결정해라.
c) 조직의 적절한 환경적 요구사항을 계약직을
포함한 외부 공급자들과 소통해라.
d) 제품과 서비스의 운반이나 배달, 사용, 사용기간이
지난 제품의 처리 그리고 최종적 폐기와 관련된
잠재적인 중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에 대해서 고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8.1 운영 기획과 관리 (계속)
조직은 프로세스가 기획된 대로 실행되었다는 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기 위하여 필요한 정도까지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8.2 비상 사태 대비 및 대응 4.4.7 비상사태 대비 및 대응
조직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
조직은 6.1.1에서 확인된 잠재적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는 잠재적 비상상황 및 사고를
준비하고 대응하는 지에 관한 필요한 프로세스를 수립,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이행 그리고 유지해야 한다. 절차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

조직은 다음과 같이 행동해야 한다. 야 한다.


조직은 실제 비상상황 및 사고에 대
a) 비상상황에 부정적 환경적 영향을 예방하거나 응하고 관련되는 나쁜 환경영향을
완화하기 위해서 조치를 계획함으로써 대응을 예방 또는 완화하여야 한다.
준비하여야 한다. 조직은 비상사태에 대한 대비 및 대

b) 실제적 위기 상황에 대응한다. 응 절차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필


요시 개정하여야 하며, 특히 사고 또
c) 위기와 잠재적 환경적 영향의 규모와 관련된 위기
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후에는 반드
상황의 결과를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행동을 시 그리하여야 한다.
취한다. 조직은 또한 비상사태에 대한 대비
d) 실행 가능할 경우 계획된 대응조치를 주기적으로 및 대응 절차를 실행 가능한 방법으

훈련 로 주기적으로 시험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8.2 비상 사태 대비 및 대응(계속)
e) 특히, 비상상황의 발생이나 훈련 이후에는
프로세스와 계획된 대응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개정하라.
f) 비상시 대비 및 대응과 관련한 정보와 훈련을
조직의 통제하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을 포함하여
관련된 이해관자에게 제공하라.
조직은 프로세스가 계획된 대로 실행되었다는 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기 위하여 필요한 정도까지 문서화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9 성과 평가 4.5.1 모니터링 및 측정
조직은 중대한 환경영향을 줄
9.1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
수 있는 조직 운영의 주요 특성
9.1.1 일반 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및 측

조직은 조직의 환경적 성과를 모니터, 측정, 분석 그리고 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립, 실행
평가해야 한다. 및 유지하여야 한다. 절차에는

조직은 다음을 결정해야 한다. 성과, 적용 가능한 운영관리 그


리고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와의
a) 모니터링 및 측정대상
적합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에 대
b) 적용 가능하다면 유효한 결과를 보장하기 위한
한 정보의 문서화를 포함하여야
모니터링, 측정, 분석 및 평가의 방법
한다.
c) 조직의 환경성과를 평가할 것에 대비한 인자와 적절한
조직은 교정 또는 검증된 모니
지표
터링 장비 및 측정 장비가 사용
d) 모니터링 및 측정이 수행되어야 하는 시기
및 유지된다는 것을 보장하고 관
e) 모니터링과 측정의 결과가 분석되고 평가되어야 할 시기 련기록을 보유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9.1.1 일반 (계속)
적용 가능하다면, 조직은 교정 또는 검증된 모니터링
장비 및 측정 장비가 적절히 사용 및 유지된다는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조직은 조직의 환경성과와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을
평가해야 한다.
조직은 조직의 의사소통 프로세스에 확인된 대로,
그리고 조직의 준수의무에 의하여 요구되는 대로 내.
외부적으로 관련된 환경성과 정보를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조직은 모니터링, 측정, 분석 그리고 평가 결과의
증거로서 적절한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해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9.1.1 일반 (계속)
적용 가능하다면, 조직은 교정 또는 검증된 모니터링
장비 및 측정 장비가 적절히 사용 및 유지된다는 것을
보장하여야 한다.
조직은 조직의 환경성과와 환경경영시스템의 효과성을
평가해야 한다.
조직은 조직의 의사소통 프로세스에 확인된 대로,
그리고 조직의 준수의무에 의하여 요구되는 대로 내.
외부적으로 관련된 환경성과 정보를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조직은 모니터링, 측정, 분석 그리고 평가 결과의
증거로서 적절한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해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9.1.2 준수 평가 4.5.2 준수 평가

조직은 의무준수의 이행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4.5.2.1 준수에 대한 조직의 의지


와 일관되게 조직은 적용되는
프로세스를 수립, 실행 그리고 유지한다.
법규 요구사항의 준수여부를 주
조직은 다음사항을 수행해야 한다.
기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절차를
a) 준수여부에 대한 평가 빈도를 결정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야 한다.
b) 필요하다면 준수여부를 평가하고 조치. 조직은 주기적 평가의 결과에
c) 조직의 준수여부 상태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대한 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유지 4.5.2.2 조직은 조직이 동의한 그 밖
조직은 준수 평가 결과의 증거로서 문서화된 정보를 의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여부를 평

보유해야 한다. 가하여야 한다. 조직은 4.5.2.1에 언


급한 법규 준수여부에 대한 평가와
통합하여도 되고, 별도의 절차를 수
립하여 평가하여도 된다.
조직은 주기적 평가의 결과에 대한
기록을 유지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9.2 내부심사 4.5.5 내부심사
조직은 다음을 위한 환경경영시스템에
9.2.1 일반사항 대한 내부심사가 계획된 주기에 따라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이 다음과 같은지에 관한 수행됨을 보장하여야 한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계획된 주기로 내부심사를 a) 환경경영시스템이 다음 사항을 만족

실행하여야 한다: 하는지의 결정


1) 이 표준의 요구사항을 포함하여 환
a) 다음에 적합한지:
경경영을 위해 계획된 결정사항에
1)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조직의 고유 적합하여야 한다.
요구사항 2) 적절하게 실행되고 유지되어야 한다.
2) 국제 표준의 요구사항 b) 경영자에게 심사 결과에 대한 정보

3) 효과적으로 실행되고 유지되는지 제공


심사 프로그램은 관련 운영의 환경적
중요성 및 이전의 심사결과를 고려하
여 계획, 수립, 실행 및 유지되어야 한
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심사 절차는 수립, 실행 및 유지되어
9.2.2 내부심사 프로그램 야 하며 다음 사항을 다루어야 한다.
- 심사기획, 심사수행, 결과보고 및
조직은 빈도, 방법, 책임, 기획 요구사항 그리고 내부 기록보유에 대한 책임 및 요구사항
- 심사 기준, 적용범위, 주기 및 방법
심사의 리포트를 포함한 내부심사 프로그램을 계획, 의 결정
수립, 이행 그리고 유지해야 한다. 심사원의 선정 및 심사의 수행시 심
사 프로세스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내부 심사 프로그램을 수립할 때, 조직은 연관된


프로세스의 환경적 중요성, 조직에게 영향을 준 변화
그리고 이전 심사의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4.6 경영검토
9.3 경영검토 최고경영자는 지속적인 적절성, 충족성 및 효과
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계획된 주기로 환경경영
최고경영자는 조직의 지속적인 적절성, 시스템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 검토에는 개선을
충족성 그리고 효과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위한 기회평가 그리고 환경방침과 환경목표 및
세부목표를 포함한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변
계획된 주기로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을 경 필요성을 포함하여야 한다. 경영검토의 기록
은 보유되어야 한다.
검토해야 한다. 경영검토의 입력에는 다음을 포함하여야 한다.
경영검토는 다음의 고려사항들을 포함해야 a) 내부심사 결과와 법규 요구사항 및 조직이 동
의한 그 밖의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평가의 결과
한다. b) 불만사항을 포함하여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들)
a) 이전의 경영 검토의 조치시항 c) 조직의 환경성과
b) 다음과 같은 변화 d) 목표 및 세부목표 달성 정도
e)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의 현황
1) 환경경영시스템에 관련한 외부와 f) 이전 경영검토의 후속 조치
g) 조직의 환경측면과 관련된 법규 및 그 밖의
내부의 이슈 요구사항의 변경을 포함하여 변화하는 주변여
2) 준수의무를 포함한 건
h) 개선을 위한 제언
이해관계자들의 니즈와 기대 경영검토의 출력에는 지속적 개선에 대한 의지
와 일관성이 있도록 환경방침, 목표 및 환경경영
3) 조직의 중대한 환경측면 시스템의 기타 요소의 가능한 변경에 관련된 결
4) 리스크와 기회 정과 조치를 포함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9.3 경영검토 (계속)
c) 환경 목표가 달성했는지의 정도
d) 다음에서의 경향을 포함한 조직의 환경성과에
관한 정보
1) 부적합과 시정조치
2) 모니터링 및 측정 결과
3) 조직의 준수의무의 충족
4) 심사결과
e) 자원의 충족
f) 불만을 포함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적절한 의사소통
g)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기회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9.3 경영검토 (계속)
경영검토의 출력은 다음을 포함하여야 한다:
- 환경경영시스템의 지속적인 적절성, 충족성
그리고 효과성에 대한 결론
- 지속적인 개선 기회와 연관된 결정
- 자원을 포함하는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모든
변동 요구사항에 관련한 결정
- 환경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 필요한 경우의
조치
- 필요할 경우 환경경영시스템과 다른 경영
프로세스와 통합으로 개선할 기회
- 조직의 전략적인 방향에 대한 모든 암시
조직은 경영검토 결과의 증거로써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10 개선
10.1 일반
조직은 개선을 위한 기회를(9.1, 9.2, 9.3참고) 결정하며
환경경영시스템의 의도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를 수행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04
2015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4.5.3 부적합,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조직은 실제적, 잠재적 부적합을 다루고, 시정조치 및 예
부적합이 발생했을 시, 조직은 다음과 방조치를 취하기 위한 절차(들)를 수립, 실행 및 유지하여
같이 수행하여야 한다. 야 한다. 절차에는 다음을 포함하여야 한다.
a) 부적합에 대응하며 적용 가능한 a) 부적합의 식별 및 시정 그리고 부적합으로 인한 환경영
경우 다음과 같이 대응하여야 한다. 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의 실행

1) 부적합을 관리하고 시정하기 b) 부적합에 대한 조사, 원인 규명 및 재발방지를 위한 조

위한 즉각적인 조치 치의 실행
c) 부적합 예방을 위한 조치의 필요성 평가 및 부적합 발
2)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완화하는
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의 실행
것을 포함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d) 취해진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의 결과에 대한 기록
포함한 결과 처리
e) 취해진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의 효과성 검토
취해진 조치는 문제의 크기 및 직면한 환경영향에 적절하
여야 한다.
조직은 환경경영시스템 문서에 필요한 변경이 이루어졌음
을 보장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계속)
b) 부적합이 재발하거나 다른 곳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부적합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조치에 대한 필요를 다음을 통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1) 부적합을 검토
2) 부적합의 원인을 결정
유사한 부적합이 존재하거나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결정하는 것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10.2 부적합 및 시정조치 (계속)


c) 필요한 조치를 실행.
d) 취해진 모든 시정조치의 효과성에 대함 검토
e) 필요하다면 환경경영시스템을 변경
시정조치는 환경영향을 포함하여 당면한 부적합의
중대한 영향에 적합하여야 한다.
조직은 다음의 증거로써 문서화된 정보를 보유하여야
한다.
- 부적합과 취해진 모든 시정조치의 본질
- 모든 시정조치의 결과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과 ISO 14001:2004 표준 비교

2015 2004
10.3 지속적 개선
조직은 환경적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환경경영시스템의 적절성, 충족성 및 효과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야 한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개정된 요구사항 상세해설

- 부속서(Annex) 중심으로-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A (informative)

A.2 구조와 용어의 명확화

ü 이표준의 조항구조 및 일부 용어는 다른 경영시스템 표준과 배열을 개선시키기 위해 변경

ü 조직의 환경경영시스템 문서화 구조를 어떻게 하라는 요구사항은 없음

ü 조직이 사용하는 용어를 ISO 14001의 용어로 변경할 필요는 없음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A (informative)

A.3 개념의 명확화

ü 용어 “적절한” (appropriate)과 “적용 가능한”(applicable) 은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적절한” 은 무언가에 대한 적당한 을 의미하며 자유의 정도를 암시하지만, “적용 가능한”
은 관련되거나 적용하기에 가능한 그리고 할 수 있다면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ü 용어 “고려하다” (consider)는 어떠한 토픽에 대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으나 배제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에, “고려하다”(take into account) 는 어떠한 토픽에 대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으나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ü 용어 “보증하다” 는 책임 (accountability) 이 아닌, 위임될 수 있는 책임 (responsibility)을


의미한다.

ü 이 국제표준에서 “이해관계자” (interested party) 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용어 “이해관계자”


(stakeholder) 는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동의어이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Annex A (informative)

A.3 개념의 명확화

ü “외부 공급자(external provider)” 라는 용어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공급


조직(supplier organization)” (계약자 contractor 포함) 을 의미한다.

ü “식별하다 (identify)” 에서 “결정하다(determine)” 으로의 변경은 표준화된 경영시스템


용어와의 조화를 의도한 것이다.

ü 이 국제표준의 이전 버전에서 사용된 “목표 (target)” 의 개념은 “환경목표 (environmental


objective)” 내에 포함되었다.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04 vs ISO14001:2015 변경사항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개정 표준 비교

ISO 14001 : 2004 ISO 14001 : 2015


4 Context of organization
4.1 General requirement
5 Leadership
4.2 Environmental policy
6 Planning
4.3 Planning
7 Support
4.4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8 Operation
4.5 Checking
9 Performance evaluation
4.6 Management review
10 Improvement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vs ISO 14001:2004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ISO 14001:2015 vs ISO 14001:2004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개정 규격에 대한 조직의 대응방안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CEO 및 이사 수준의 대표자에 미치는 영향

‘경영자 의지’는 ‘리더십’과 ‘의지’로 대체되었음.

3.05 - ‘최고경영자(Top management)’ – 최고 수준의 레벨에서 지휘, 통제하는 사람


또는 그룹

최고경영진(Top managers) – 조직을 대표하는 기능이 아니라 스스로 수행해야 하는


임무를 가짐. ‘보장(ENSURING)’ vs ‘참여(ENGAGING)’/ ‘촉진(PROMOTING)’/
‘지원(SUPPORTING)’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경영시스템 관리자에 미치는 영향

• 경영시스템을 ‘business as usual’로 통합하는 기회의 증가

• 최고경영자를 포함한 많은 조직원의 경영시스템에 관여

• 경영시스템의 통합에 따른 공통된 요구사항의 평가로 내부심사 프로그램


감소의 기회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경영시스템 관리자에 미치는 영향

• 경영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관리 자원의 감소

• 많은 공통적인 요소로 인한 필요한 경영시스템 교육 감소

• 중요한 것에 집중 할 시간 확보

• 통합된 외부 심사 / 심사 일수의 증감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인증 유지

• 통합 = 중복 감소 -> 맞춤형 자원 절감
• 경영시스템과 XMS와의 효과적인 정렬(alignment)
• 내부심사 프로그램 감소
• 경영시스템 문서 감소
• 경영시스템 교육 감소 – 공통적 적용
• 통합외부 심사 / 심사일수의 증감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인증전환 - 조직

• 새로운 요구사항에 부합하기 위하여 조직의 현황과 요구사항의 Gap은 확인


되어야 함

• 실행계획의 개발 및 공유

• 전환에 영향을 받는 모든 조직(원)은 필요한 교육을 받아 인증전환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음

• 개정된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경영시스템으로 업데이트 하여야 함

• 내부심사와 경영검토 수행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인증전환 - 잘못될 수 있는 요인

• 새로운 요구사항을 만족을 잘못 이해하여 초래되는 오적용

• 변경된 요구사항의 규모를 과소평가

• 노력할 가치가 없다는 최고경영자의 판단

• 인증전환 계획 수립에 대한 충분치 않은 노력

• 인증전환에 집중하는 동안 ‘정상 업무 수행(business as usual)’에 발생하는


혼란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인증전환 - 잘못될 수 있는 요인

• 컨설턴트 및 인증기관의 잘못된 권고 수용 및 적용

• 조직원의 참여 실패

• 의도하는 바에 대한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 실패

• 너무 늦은 인증전환 – 인증전환을 즉시 고려해야 함

• 인증전환에 필요한 자원이 충분치 않음 (인원 및 예산)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개정 규격에 대한 조직의 대응방안 수립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10 (REV.1)


조직 대응 방안

l HLS를 도입하여 환경 매뉴얼의 전면 개정


l PDCA접근방법으로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표준 재 정비
l 전과정을 고려한 환경측면 파악/결정
l 위협 및 기회와 연관된 위험성(Risk)를 고려
l 개정된 표준으로 직원교육
l 개정된 표준으로 내부심사 및 경영검토 실시

117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Thank You !

Copyright ⓒ Korean Foundation for Quality 201509 (REV.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