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 04.

일본의 품질경영

1. 일본의 품질 역사
1) 일본의 전후 상황
- 국가 기반 시설의 확립에 필요한 숙련 기술자들의 축적된 노하우가 진가를 발휘
- 절대적 빈곤의 특수상황이 경제발전에 유리한 발판이 됨
(종신고용제도, 연공서열제도, 노동조합 생겨남)
2) 일본의 1960년대 이후 변화
- 일본 품질의 특성

전사적 품질관리
품질에 대한 교육과 훈련

품질분임조 활동
품질감사

통계적 기법의 사용

전국적인 품질진흥 활동

2. 일본 기업의 특성

장기적 시야에 의한 경영 종신고용제

기능별 관리 품의제도

3현주의 연공서열제

인간존중

낭비제거

시간관리

지속적인 개선

합의제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종합적 품질관리(TQM)


[1]
:: 04. 일본의 품질경영

3. 전사적 품질관리

1) 전사적 품질관리란

전사적 •생산성향상, 안전성, 품질보증, 납기준수, 신제품 개발 등


품질관리 모든 부문에 있어서의 관리를 의미함

2) 전사적 품질관리의 특성

1. 고객우선주의

2. 비용감소보다는 품질향상 중시

3. 낭비제거

4. 의사결정과정에 종업원의 참여

5. 과학적인 문제해결기법 사용

6. 설계의 중요성

7. 정보의 공유

8. 품질에 대하 최고경영자들의 각별한 관심

9. 품질교육과 훈련

10. 공급업자와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관계


11. 자주설비보전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종합적 품질관리(TQM)


[2]
:: 04. 일본의 품질경영

4. 품질분임조

품질분임 •직장과 작업장이 소집단을 구성하여 같이 연구하는 것


조 •소집단을 품질분임조라고 함

소집단을 구성하여 직장들로 하여금 책을


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
JUSE의
주장 작업장에서 품질을 향상시켜야 하며,
책을 읽고 배운 통계적 기법을 스스로
현장에 적용시킴

20개의 분임조와 400여명의 분임조원으로


공식적으로 시작된 품질분임조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종합적 품질관리(TQM)


[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