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Joseon white porcelain (한국 백자)

- 상징적 의미

백자는 조선 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던 도자기로 조선의 개국이념인 성리학적 이념이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백자는 고려시대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 흐름이 지속적인 연속성이 있는 것은
아니며, 새로운 유교사회를 기반으로 한 조선왕조의 성립 후에 선택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 왕조는 전시대를 통해서 백자제작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서 일찍부터 어기(御器), 왕실용기, 제사 의기 등으로 사용되어 졌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 초기의
관리였던 성현(成俔 ; 1439~1504)의 <용재총화(慵齋叢話)>에 보면 알 수 있는데, 아직 백자의 제작이
초기 단계였음에도 불구하고 세종의 어기로 백자만을 썼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백자의 제작은
관영 수공업 체제로서 국가가 관리하는 관요를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그러나 점차 시대가 내려 갈수록
국가의 관리가 느슨해지자 많은 지방의 가마에서 그 지역의 특색을 담은 다양한 백자를 제작하였다.
백자에는 아무런 무늬가 없는 순백자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그림이 그려졌는데 그 소재는 사군자,
산수풍경이나 당초무늬 외에도 한국인의 재치와 익살스 러움이 넘치는 주제들로 장식된 작품이 많이
남아 전한다. 한국의 백자 제작은 중국 명나라의 백자 제작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지만, 달항아리 등
절묘한 균형과 아름다운 곡선을 지니고 더불어 넉넉한 품을 가진 우리만의 특색을 듬뿍 담은 자기로
발전을 거듭해 나아갔다. 그리고 현재에 이르러서도 백자는 시대에 따른 많은 변모를 거쳐 왔으나,
가장 한국적인 미감이 담긴 유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백자의 아름다움은
해외에도 널리 알려져 있어, 세계적으로 한국을 상징하는 아름다운 유산으로 인식되어 있다.

- 상용화 방안

○ 현황
백자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며 저술활동과 학회 등을 통해 여러 의견들이 활발하게 교환하고 있다.
백자는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변화하여 왔는데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요즘 백자의
은은한 아름다움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그러한 관심은 광주조선관요박물관의 '
사기장의 혼 500 년-관요(官窯)의 맥을 찾아' 와 같은 백자 관련 전시회를 찾는 많은 인파들과 다양한
백자관련 행사에 참가하는 사람들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아울러 광주요 등에서는 백자가 지닌
아름다움을 현대화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각광을 받는 제품을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온라인 판매는
물론, 오프라인 매장을 판매하고 있다. 또한 얼마 전에 있었던 조선 왕조의 유물들만을 전담하는
고궁박물관의 첫 전시가 바로 달항아리였다는 것은 이러한 백자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잘 대변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정부 주관 사업

백자문양 디지털화 사업 협조
백자에 문양은 청자나 분청사기와는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상징성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백자에 주류를 이루는 문양뿐 아니라 백자에 사용된 문양을 모두 모아 디지털화한다면 학술적
가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백자색 표준화 작업 협조
백자의 색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단순히 ‘희다’라고는 표현할 수 없는 다양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백자의 색을 표준화하는 작업을 통해 흰색 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역사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백자를 재현하는 일에서는 물론이고 이를 바탕으로 한 벽지, 포장지 등 다양한
아이템으로의 원용이 가능하도록하는 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

- 지방자치단체 주관 사업

광주왕실도자기축제 협조
광주는 조선시대 왕실에서 쓰는 도자기를 관리하던 사옹원의 분원이 있었던 곳으로 이 일대의 마을
이름 중에는 분원리가 많이 있어 그 역사를 가늠하게 해준다. 이러한 광주지역에서 벌써 9 회째
광주왕실도자기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경기도와 광주지역에서 도자와 관련한 축제들과 사업들이
많아서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더불어 각 축제간의 차별화가 부족하여 행사들이 중복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광주왕실도자기축제만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며, 진상행
사나 왕실다례시범 등에 직접 왕실과 관련한 사람을 초청하여 행사를 주관하도록하는 것도 한 방법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분원의 도자기에는 중앙의 화원이 직접 내려가 그림을 그리는 일이 있었는데,
그러한 행사를 재현하는 등의 다양한 프로그 램을 개발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각종 진찬의례 등의 재현을 통해서 도자기의 제작뿐만이 아니라 왕실에서 직접적으로
도자기를 어떤 식으로 사용하였는지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축제를 통해서 현존하는
왕실에서 이 행사에 참여하여 도자기축제로서는 물론이고 단절된 왕실과의 일반인들과의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것이다.
또한 홈페이지를 좀 더 내실 있게 보강하고, 광주왕실도자기축제를 상징할 수 있는 CI 를 개발하여
보다 뚜렷한 이미지를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해외에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서 도자기가
단지 하나의 물건이 아니라 그 배경엔 역사와 전통이 있다는 것을 홍보해서 해외의 판로를 개척하고 그
하나의 교두보로서 이 축제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관요투어 개발 및 협조
광주와 그 주변 지역에는 과거 조선의 어기를 구웠던 관요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으며 한 분원에는
폐교를 이용한 작은 박물관도 만들어져 있다. 그러나 홍보가 부족하여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분원의 흔적들을 하나로 묶는 투어 프로그램을 마련해서 재현이나, 설명보다는
직접적으로 유적을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제공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이를 활성화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 기업 주관 사업

백자 용기 개발
이미 화장품 업계에서는 전통적인 문양을 이용한 화장품 용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개중에는
국적이 불명인 문양이나 기형도 심심치 않게 발견되어 더욱 많은 연구를 통해 우리 문화를 잘 담아낸
문양이나 용기의 제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화장품등의 제품을 담는 그릇으로 백자나 그 문양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백자의 직접적인 원용도 좋지만 백자의 질감을 재현한 용기를
개발한다면, 편리성과 아름다움 두 가지를 모두 구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예산안
- Symbolic meaning.
White porcelain is a pottery that was very popu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can be
said to contain the Neo-Confucian ideology, the founding ideology of Joseon. Of course,
white porcelain seems to have exis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the flow is not
continuous, and it seems to have been selectively u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a new Confucian society. The Joseon Dynasty tried to maintain a
high level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through exhibitions, and through these efforts, it was
used as a fishing tool, royal courage, and ritual flag from an early on. This fact can be seen
from "Yongjae Chonghwa" by Seonghyeon (1439-1504), a government officia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re is a record that only white porcelain was used as the fishing gear
of King Sejong, even though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was still in the early stages.
The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was centered on the government-managed customs as a
state-run handicraft system. However, as the times gradually progressed, the management
of the state became loose, and many local kilns produced various white porcelain co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There are pure white porcelain with no patterns on it, but in
most cases, paintings were painted, and in addition to the Four Gracious Plants, landscape,
and original patterns, many works decorated with themes full of Korean wit and humor
remain. Korea's white porcelain production develop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white
porcelain production of the Ming Dynasty of China, but it has continued to develop into a
porcelain that contains our own characteristics with exquisite balance and beautiful curves
such as moon jars. And even today, white porcelain has undergone many transformations
according to the times, bu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the most Korean heritage.
And this beauty of white porcelain is widely known abroad, and is recognized as a beautiful
heritage symbolizing Korea worldwide.

- Commercialization plan.

current situation

Research on white porcelain is very active, and various opinions are actively exchanged
through writing activities and conferences. The meaning of white porcelain has changed with
the times, and these days, when interest in our culture is increasing, the subtle beauty of
white porcelain is inspiring many people, and such interest is the Gwangju Joseon Pavilion.It
can be seen through many crowds visiting white porcelain-related exhibitions such as 500
Years of the Spirit of the Fraud-Finding the Macs of the Government, and people
participating in various white porcelain-related events, and Gwangjuyo is modernizing the
beauty of white porcelain to create products in the spotlight. It also sells offline stores as well
as online sale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first exhibition of the Palace Museum dedicated
to relics of the Joseon Dynasty was a moon jar represents people's perception of white
porcelain well.
White porcelain Digitization of white
Governme pattern porcelain patterns
digitalization Standardization of
white porcelain

White Local Cooperation with the


Reproducing the

porcelai governmen Gwangju Royal Ceramic


imperial event

n t Festival
Production of a program
to explore the historical

Developing a Manufacture of
Corporati white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 containers using

Government-sponsored project.

Cooperation in digitization of patterns.


White porcelain pattern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eladon and buncheong ware
and are characterized by various symbolism. If all the patterns used in white porcelain are
collected and digitized, as well as those mainstream in white porcelain, i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as well as academic value.

Cooperation in standardizing white purple.


The color of white porcelain has changed with the times and has various aspects that cannot
be simply expressed as "white." Therefore, the government's cooperation is needed to
standardize the color of white porcelain so that it can express various historical properties
existing in white and to reproduce white porcelain as well as to use it as various items such
as wallpaper and wrappers.

Projects supervised by local governments.

Cooperation with the Gwangju Royal Ceramic Festival.


Gwangju is the place where there was a branch of Saongwon, which used to manage
ceramics used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re are many Bunwon-ri
among the names of the villages in this area, which gives a sense of its history. The ninth
Gwangju Royal Ceramic Festival has already been held in Gwangju, and there are many
ceramic-related festivals and projects in Gyeonggi-do and Gwangju, showing a very complex
pattern, and events tend to overlap due to lack of differentiation between each festival.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reviv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Gwangju Royal Ceramic Festival, and it may be one way to invite peopl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to host the event in person for truth events or royal tea demonstrations. In addition, in
the pottery of the branch, a central flower garden went down and painted, and various
programs such as reproducing such events can be developed.
In addition,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inform not only the production of ceramics but also
how the royal family directly used them through reproduction of various rituals such as
praise. Through this festival, it will be possible to participate in this event by the existing royal
family and use it as a venue to narrow the distance from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ceramic festival.
In addition, efforts are needed to reinforce the homepage more substantially and develop a
CI that can symbolize the Gwangju Royal Pottery Festival to deliver a clearer image. In
addition, through active promotion abroa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at ceramics are not
just an object, but have history and tradition in the background, pioneering overseas markets
and using this festival as a bridgehead.

Development and cooperation of the official tour.


In Gwangju and its surrounding areas, there are many traces of Gwanyo, where Joseon's
fishing flag was baked in the past, and a small museum using a closed school is also built in
one branch. However, due to the lack of publicity, many people did not know. Efforts should
be made to revitalize the traces of these branches through various efforts, such as preparing
a tour program that combines them and providing them a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remains directly rather than reproducing or explaining them.

A project organized by a company-sponsored business.

Developing a white porcelain container


The cosmetics industry has already developed and used cosmetics containers using
traditional patterns, but patterns and deformities of unknown nationality have been found
among them, so it is time to produce patterns or containers that capture our culture well
through further researc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white porcelain or its pattern as a
bowl containing products such as cosmetics, and the direct use of white porcelain is good,
but if a container that reproduces the texture of white porcelain is developed, both
convenience and beauty can be provide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