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3) 베이컨

-‘아는 것이 힘이다’ 자연에 관한 지식 활용 강조


-자연 = 인류의 복지를 위한 수단
-인간은 자연을 관찰, 분석해서 이용하여 과학적 힘을 얻을 수 있어야 하며, 물질적 생활을
향상시켜야 함. (정복 지향적 자연관)
-인간 = 영혼 소유, 동물 = 영혼 결여 (쾌고감수능력 없음)

4) 데카르트
-인간과 자연을 구별하는 이분법적 세계관
-인간은 물질적 육체와 비물질적 영혼의 혼합체. 그러나 동물은 영혼이 없기에 의식이 없는 ‘기계’
이자 ‘껍데기’.
-> 동물은 고통을 느끼지 않음. (영혼이 없기에)
-> 자연은 주체적 존재가 아니라 그저 하나의 인식 대상
-> 자연은 이용과 정복의 대상
-인간은 동물보다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다.

5) 칸트
-인간은 오직 인간에 대해서만 직접적 의무를 지니며, 동물에 대한 의무는 간접적 의무.
-> 인간만이 이성적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
-인간은 동물을 폭력적으로 대해서는 안된다. 동물에게 잔인한 사람은 인간을 대할 때도 거칠어질
것이기 때문에.
-동물에 대한 의무 = 인간의 도덕적 완결을 위한 의무

-온건한 인간중심주의:
자연을 도구로 바라보지만 자연 보호 옹호
-> 미래 세대의 권리
->장기적 관점에서 인간의 복지

1) 패스모어:
-인간이 영리하다면 자연을 보호하여 장기간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자연을 존중하며 신중하게 사용
-인간은 다른 존재보다 본질적으로 더 가치 있음. 따라서 장기적으로 생존하고 복지를 누리기 위해
환경 친화적인 삶을 살아야 함.
4. 생태중심주의
: 인간과 자연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기 때문에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
-생태계 전체가 도덕적 고려의 범위
ex) 댐 건설 이후 주변 지역 환경 변화, 아랄 해의 축소

1) 레오폴드
-대지 윤리
-인간은 대지의 구성원일 뿐이며, 자연은 내재적 가치를 지님
-생태계 전체의 유기적 관계와 균형이 중요

2) 네스
-심층 생태주의, 생명 중심적 평등
-모든 생명체는 상호 연결된 평등한 구성원

환경 가능론 문제점:
-환경오염, 기후 문제, 오존층 파괴 등
-> UN WMO 는 2027 년 안에 지구 평균 기온이 19 세기 후반보다 1.5 도 올라갈 것이라고 예측.
-> 1.5 도 기준점을 돌파했다는 사실은 지구 온난화가 가속하고 있다는 신호.

생태중심주의 문제점:
-기술 개발 저해. 삶의 질 저하

도덕적 고려 대상의 범주
1. 인간중심주의
2. 동물중심주의
-동물 또한 직접적 고려의 대상

1) 벤담
-공리주의
premise1: 쾌고감수능력이 있는 존재는 도덕적 고려의 대상
premise2: 동물은 쾌고감수능력이 있다.
-> 동물 또한 도덕적 고려의 대상

2) 피터 싱어
-공리주의 & 쾌고 감수 능력(고통의 최소화)
-이익의 평등한 고려 원칙
-> 이익 평등을 고려해 동물을 차별하는 종차별주의를 (자신이 속한 종의 이익을 위해 다른 종의
이익을 배척하는 태도) 비판
->인간은 동물보다 우월하지 않다 (인간만이 도구를 사용 X, 언어 능력과 지능 또한 동물보다
떨어지는 인간이 있을 수 있기에)
-동물 해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