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현대사회와 인권> 2020 - 2 학기 기말시험

<문제 1> 인권의 목록을 작성해주세요.

 노동자의 인권
1. 일 할 권리

일 할 권리란 모든 노동자가 근로기준법을 적용 받고 안전한 근로 조건에서 일 할


권리를 말하는 것입니다. 요즘 같은 코로나 19 사태에 제대로 일 할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에 정당하게 돈을 받고 일할 권리가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근로시간에 따른 휴식시간과 건강한 근로조건을 보장받아야
합니다.

2. 결사의 자유

노조 할 권리가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적이 있는 다수가 함께 모여


논의하고 활동을 하는 데에 특정한 권력이 이를 막는다면, 그 어떤 사회적 목적도
추진할 수 없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결사의 자유를 보장받고 부당한 상황에
대해 집회하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직업에 따라 외면 받지 않을 권리

얼마 전 아침에 쓰레기차 주변을 지나간 적이 있었습니다. 쓰레기를 버리시는


아저씨들이 저를 보자 마자 쓰레기를 빠르게 들고서는 다른 쪽으로 치우시는 걸
봤습니다. 그걸 보자 마자 아 사람들의 인식이 그렇구나. 하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습니다. 모든 직업이든 우리에게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직업에 따라 외면 받지 않고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또한 인식 뿐만 아니라 우리가 임의로 나눈 직업의 계급제에서 하위권인 사람들은
정당한 복지조차 못 누리고 있습니다. 화장실에서 밥을 먹는 다거나 휴식을 할 만한
곳이 아예 없다거나 이런 일에 대해서 보장받을 권리가 성립되어야 합니다.

 여성 인권
1. 보호 받을 권리

여성을 상대로 한 범죄가 많은 만큼 여성이 보호받을 권리가 성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체적으로 여성은 힘이 약한 것은 사실이므로 우리는 이를 인지하고
이것을 이용해서 여성을 범죄 대상으로 삼는 것을 멈춰야 합니다. 여성이 보호 받을
권리에 대해서 걱정하지 필요없이 안전한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2. 정치에 참여할 권리

1
아직 우리 사회에는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겉으로는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여성이 정치에 참여하기에는 인식적으로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따라 정치인에 여성의 수가 남성에 비해 적은 것이 확연히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사회적 인식 뿐만이 아니라 여성이 정치에 참여할 권리를
갖도록 제대로 된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3. 사회에 차별 받지 않을 권리

아직도 유리천장이라는 말이 존재합니다. 이는 여성이 직장에서 승진하는 데 기업을


포함한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고위직 진출을 막는 보이지 않는 장벽을 말하는
것입니다. 남성과 공평하게 임금을 지급받고 자신의 능력에 따라 고위직으로 진출이
가능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 장애 인권
1. 사회적으로 보장받을 권리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사회적 참여에 제한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는 우리가 장애를


차별하는 것이므로 이에 제대로 된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인식 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어디든 장애인은 절대 뽑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그들은 태어났다는
이유로 처별받고 있습니다. 이에 제대로 된 사회적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2. 교육받을 권리

학창시절 장애인 친구과 같은 학교였다면 제대로 된 교육 커리큘럼이 없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에 학교 시설이 교육을 받기에 적합하도록 바뀌어야 하고
같은 학우들이 차별하지 않도록 인식 개선 교육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차별 받지 않을 권리

장애라는 이유로 놀림 대상이 되거나 지나갈 때 수군거리는 일이 잦습니다. 또한


불필요한 동정을 보낸다던지 이런 인식에 대해서 우리는 제대로 배우고 그들을
같은 사람으로서 대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장애로 인해 차별 받지 않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 아동 인권
1. 교육을 받을 권리

현재 아동이 교육을 받을 권리는 어느정도 보장이 되어있지만 아직도 그


사각지대에는 제대로 보장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한 무수한 가능성을 가진 아동에
대해서는 그에 걸 맞는 교육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머리가 비상한
아동을 일반 아동과 똑 같은 커리큘럼으로 교육을 시킨다면 잠정적으로 그 아이의
가능성은 없어질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동이 교육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2
한다고 생각합니다.

2. 학대를 받지 않을 권리

아동 학대에 대한 뉴스나 기사를 자주 접한 기억이 있을 것입니다. 아동은 성인보다


힘이 약한 것을 빌미로 폭력에 쉽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또한 인지적으로 성인만큼
발달이 되어있지 않은 상황으로 아동이 혼자 신고를 한다거나 그에 따른
대처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 더욱 학대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이나 권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3. 참여할 권리

아동과 청소년은 우리 구성원 중 하나로, 아동은 아동의 시각에서 느끼는 것이 있을


것 이므로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방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투표나 조사에서 투표참여 나이에 해당되지 않는 아동이나 청소년들이
많습니다. 이에 그들이 참여할 권리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이주민 인권
1. 이주 노동자의 권리

국적이 다르다는 이유로 근로보장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그들을


대하는 대우와 인식 뿐만 아니라 급여에서도 차별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그들이 정당하게 일 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2. 복지를 받을 권리

의료, 교육 등등 이주민들은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된 복지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의료 같은 분야에서는 이주민이 기본적으로 건강 보험이
가입되지 않기 때문에 병원 진료에 거부당하거나 수술 비용이 훨씬 많이나와
제대로 된 치료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따라서 그들이 복지를 받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 문화를 보장받을 권리

이주민들이 문화를 보장받을 권리가 기본적으로 박탈당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할랄 문화를 지키는 사람은 우리나라에서 그것을 지키기 힘들고 또한, 결혼 이주를
온 사람들의 경우에 한국식 생활 방식을 강요받으며 그들의 문화가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주민이 문화를 보장받을 권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문제 2> 유엔(국제사회)의 권고안 소개 및 의미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1에서 2018 년 3 월 12 일 대한민국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1
유엔 여성 차별 철폐 위원회(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는 유엔 인권 시스템 하의 인권 기구이다.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에 관한 협약에
3
부당 처우에 관련해서 12 일 권고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성폭력 피해자에 대해 2 차가해 등 부당 처우에 관련해서 성폭력 피해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권고안을 보내왔습니다. 또한 가해자에 대한 처벌 부족도 지적하였습니다. 2012~2015 년
사이에 보고된 직장내 성폭력 1600 여 건의 사례 중 오직 83 건만이 법적 처벌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좀 더 강력한 처벌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설명이었습니다.
또한 권고안에서 “성폭력 피해를 경찰에 신고하면 피해자가 명예훼손으로 기소되고
피해자의 성적 배경이 사법 절차의 증거로 사용되는 현실은 결국 2 차피해와 피해자의
침묵을 낳게 한다”고 우려했습니다. 따라서 위원회는 성폭력 피해자를 무고죄로 처벌하는
사례가 남발되지 않도록 하고 피해자의 성적 배경이 성폭력 사건의 사법 절차에서 증거로
사용되는 것을 막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 당시 미투 운동이 발생함에 따라 여성의 직장내 성폭력이 크게 대두되었고, 이에 따라서


직장 내 성희롱, 성폭력에 관한 실태와 신고를 해도 피해자에게만 피해가 가는 구조에
대해서 성폭력 피해자의 2 차 피해에 대해 우려와 제대로 된 조치를 위해서 권고안을
보내왔다는 것에 대해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2 차 가해를 하지않도록
유의 해야 하며 여태까지 암묵적으로 처리해왔던 직장 내 성적 문제에 대해서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게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의해 창설되었다. 이 위원회는 협약 당사국 회의에서 뽑힌 임기 4 년의 여성 문제 전문가 23 명으로


구성되며, 매년 2 차례 개최되는 회의에서 각국 정부의 이행 보고서를 심의하고 권고하며 유엔
총회에 보고하는 위원회이다.
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