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제3편 상품시장과 경쟁

INTRODUCTORY ECONOMICS
제3편 상품시장과 경쟁 INTRODUCTORY ECONOMICS

제6장 완전경쟁시장
6.1 시장의 형태

6.2 완전경쟁시장의 요건

6.3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와 공급곡선

6.4 장기균형

6.5 완전경쟁시장은 어떤 점에서 바람직한가?


6.1 시장의 형태

• 시장의 형태
(1) 완전경쟁(perfect competition)

(2) 독점(monopoly)

(3) 과점(oligopoly)

(4) 독점경쟁(monopolistic competition)

INTRODUCTORY ECONOMICS
시장형태의 특성

(1) 판매자 수
• 완전경쟁시장 : 다수의 판매자

• 독점시장 : 유일한 판매자

• 과점시장 : 소수의 판매자

• 독점경쟁시장 : 판매자 수 측면에서는 완전경쟁시장과 유사

• 일반적으로 구매자의 수는 충분히 크다고 전제

• 구매자가 하나인 시장 : 수요독점(monopsony)

INTRODUCTORY ECONOMICS
시장형태의 특성

(2) 개별 기업이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


• 완전경쟁시장
• 개별 기업이 가격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 없음
• 독점기업
• 가격에 상당한 영향력

(3) 상품의 동질성 여부


• 완전경쟁시장
• 완전히 동질적
• 독점경쟁시장
• 상품차별화(product differentiation) INTRODUCTORY ECONOMICS
시장형태의 특성

(4) 진입장벽(entry barrier)의 존재


• 잠재적인 경쟁자가 시장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 장치
• 기술상의 이유로 인한 것은 자연발생적 성격
• 정부의 규제로 인한 것은 인위적 성격
• 완전경쟁시장, 독점경쟁시장
• 진입장벽 존재하지 않음
• 독점시장
• 진입의 기회가 거의 완벽하게 봉쇄
• 과점시장
• 진입장벽이 상당한 정도로 존재
INTRODUCTORY ECONOMICS
시장형태의 특성

(5) 비가격경쟁(non-price competition)의 존재


• 상품의 질, 서비스, 광고 등을 통해 기업들 사이에서 벌이는 경쟁
• 완전경쟁시장
• 비가격경쟁이 존재하지 않음
• 독점경쟁시장
• 상품차별화를 특징으로 하는 시장이므로 매우 흔함
• 과점시장
• 가격 경쟁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광고 등 가격 이외의 수단으로 경쟁하는 것이
안전

INTRODUCTORY ECONOMICS
각 시장형태의 특징

INTRODUCTORY ECONOMICS
6.2 완전경쟁시장의 요건

• 완전경쟁시장이 되기 위한 조건
• 많은 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있어, 모두가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어야 함
• 모든 상품이 동질적이어야 함
• 자원의 완전한 이동성(mobility)이 보장되어야 함
• 시장 진입과 이탈의 자유로움
•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경제주체가 완전한 정보 보유

• 비현실적인 시장형태인 완전경쟁시장에 관심을 갖는 이유


• 이상적인 시장형태로서의 하나의 기준 역할

INTRODUCTORY ECONOMICS
6.3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와 공급곡선

• 기업의 이윤극대화
•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
• 완전경쟁시장에서 결정된 가격 수준에서 그은 수평선
• 시장 전체의 수요곡선은 우하향하는 모양을 갖더라도, 개별 기업의 수요곡선은
수평선이 된다는 점에 주의
• 수평선의 높이 = 가격 = 한계수입
• 따라서 수요곡선 = 한계수입곡선
• 이윤극대화의 조건
• 한계수입(MR) = 한계비용(MC)
• 위 조건은 시장의 형태와 상관없이 언제나 충족되어야 함

INTRODUCTORY ECONOMICS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
෡ 의 생산량에서 이윤극대화, 이윤은 노랑색으로
• MR = MC 가 성립하는 𝑸
표시한 사각형

INTRODUCTORY ECONOMICS
공급곡선의 도출

• 가격을 나타내는 수평선과 한계비용곡선의 교차점에서 생산량 결정

→ 한계비용곡선이 바로 공급곡선이 된다고 생각할 수 있음

• 그러나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별도의 고려 필요


• 만약 가격이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보다 더 낮으면 손실이 발생
• 이때 MR = MC 는 손실극소화 조건에 지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
할 수도 있음
• 손실이 날 경우 생산을 중단하기로 결정(생산을 중단해 손실을 0으로 줄이는 것이 더 나음)

• 생산중단가격(shutdown price)은 생산이 중단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가격인데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
INTRODUCTORY ECONOMICS
공급곡선의 도출

• 개별기업의 공급곡선 도출
• 가격 <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
• 공급량이 0, 따라서 공급곡선은 원점 위의 수직선분

• 가격 >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


• 기업은 가격을 나타내는 수평선이 한계비용곡선과 교차하는 곳에서 생산수준 선택

• 한계비용곡선이 바로 그 기업의 공급곡선

• 시장 전체의 공급곡선
• 개별 기업의 공급곡선을 수평방향으로 더하면 시장 전체의 공급곡선이 도출됨

(산업 전체의 생산량 늘어나도 투입요소의 가격 불변 가정) INTRODUCTORY ECONOMICS


6.4 장기균형

• 장기조정(long-run adjustment)
• 시장 내 기업들이 (+)의 이윤을 얻는 경우
• 신규 기업 진입 → 공급 증가 → 가격 하락

• 이윤이 0으로 떨어져 새로운 기업이 진입할 유인이 없어질 때까지 조정

• 시장 내 기업들이 이윤을 얻지 못하는 경우


• 한계 기업 이탈 → 공급 감소 → 가격 상승

• 이러한 장기조정과정은 장기균형 상태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

INTRODUCTORY ECONOMICS
장기균형

• 장기균형(long-run equilibrium)
• 시장 안의 모든 기업들이 0의 이윤만을 얻고 있어 더 이상의 진입이나 이탈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

• 장기균형의 성립 조건
• 각 기업의 이윤이 극대화되어 있어야 함 : P = LMC
• 극대화된 이윤 = 0이어야 함 : P = LAC
• (시장 전체의) 수요량 = (시장 전체의) 공급량

• 시장에서 형성된 균형가격이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의 높이와 같을 때


이 세 조건이 모두 충족
INTRODUCTORY ECONOMICS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INTRODUCTORY ECONOMICS
장기균형

• ‘0의 이윤’의 의미
• 경제적 이윤(economic profit) = 수입 − 기회비용 = 0

• 정상이윤(normal profit)
• 투하된 자본에 대한 정상적인 수익은 기회비용의 일부로 포함

• 경제 전체에서 사용되는 자본의 평균적 수익률

• (경제적) 이윤이 0 이라는 것은 정상이윤만을 얻는 상태 의미

• 정상이윤을 얻는 기업들이 도태되어야 할 이유 없음

INTRODUCTORY ECONOMICS
6.5 완전경쟁시장은 어떤 점에서 바람직한가?

•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됨


• 경쟁의 압력으로 인한 기업의 효율성 추구
• P = MC → MB = MC
• 장기비용곡선의 최저점에서 생산
• 가장 낮은 생산단가에서 그 상품을 생산한다는 의미

• 완전경쟁시장의 한계
• 완전경쟁시장을 위한 전제조건 충족의 어려움
• 공평한 분배 측면에서의 한계
• 완전경쟁시장의 강점은 효율적 자원배분에 국한
• 다른 형태의 시장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시장이라고 평가받는 것임
INTRODUCTORY ECONOMIC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