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Principles of Economics

Ki Seong Lee
제1장

경제학의 기초 및
기본원리
l 경제, 경제학의 어원

u Aristoteles(B.C. 384-322)
è 그리스어 ‘Oikonomia’에서 유래
è Oikos(가계) + Nem(경영하다)
è ‘가계를 효율적으로 경영하는 기술’

u 경세제민(經世濟民)
è 동양으로 들어와 ‘경세제민’(경제)으로 번역
è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보살핀다’는 의미
è 중국 수나라때 왕통(王通, 586-617)이 편찬한 ‘문중자
(文中子)’에 등장하는 단어
l 사회과학으로서의 경제학

u Adam Smith(1723-1790)
è 1776년, ‘국부론’(Wealth of Nations)
è 국부의 원천은 이기심(self-interest)
è 자유방임주의(laissez-faire)

u 사회과학으로서의 경제학
è 경제학이 하나의 독립된 사회과학(Social Science)
으로 정착
l 경제용어 및 개념

u 재화(goods)
è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는 물질의 총칭

u 서비스(servies)
è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 주는 비물질의 총칭

u 자유재(free goods)
è 존재량이 많아 사용에 따른 대가가 필요 없는 재화
(예 : 공기, 물, 바람, 구름, 비, 태양광선 등)
l 경제용어 및 개념

u 경제재(economic goods)
è 희소하기 때문에 사용에 따른 대가가 필요한 재화

u 소비재(consumer’s goods)
è 소비에 사용되는 재화

u 생산재(producer’s goods)
è 생산에 사용되는 재화
l 경제용어 및 개념

u 자원(resources)
è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것(재료)
è 생산요소(factors of production) 또는 투입물(inputs)
è 토지(land), 노동(labor), 자본(capital)

u 생산(production)
è 부가가치(value-added)의 창출행위

u 소비(consumption)
è 부가가치(value-added)의 소멸행위
l 경제용어 및 개념

u 경제행위(economic behavior)
è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교환, 분배,
소비하는 행위

u 경제(economy)
è 경제행위가 계속적이고 규칙적으로 이루어져 일정한
사회질서를 형성하는 것
l 경제용어 및 개념

u 경제원칙(economic principle)
è 경제문제의 효율적 해결기준(economic efficiency)
è 최소 비용(자원)으로 최대 만족(목적)을 달성하는 것

u 최소비용의 원칙
è 일정 만족(목적)을 달성하는데 최소 비용(자원)을 사용

u 최대효과의 원칙
è 일정 비용(자원)으로 최대 만족(목적)을 달성
l 경제용어 및 개념

u 경제여건
è 경제적 요인 이외의 요인

u 경제주체(경제행위의 주체)
è 인간 또는 인간집단(가계, 기업, 정부, 해외)

u 경제객체(경제행위의 대상)
è 재화와 서비스
l 경제주체(경제행위의 주체)

u 생산과 소비
è 생산활동의 주체는 기업(firms)
è 소비활동의 주체는 가계(households)
è 경제는 생산과 소비가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현상
l 희소성(scarcity)

u 희소성(scarcity)이란?
è 한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의 유한성(limited
resources)을 의미
è 인간들의 욕망은 무한하지만, 이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자원은 유한함.

u 희소성의 법칙(law of scarcity)


è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데 이를 충족시켜 줄 재화와
서비스는 항상 희소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법칙
l 경제의 3대 기본 과제

u 희소성때문에 선택의 문제(경제문제) 발생


è 욕망의 무한성(unlimited desire),
자원의 희소성(limited resources)

u P.A. Samuelson의 3대 기본 과제
è What and How much to produce?
è How to produce?
è For whom to produce?
è When to produce?
l 경제문제와 경제학

u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