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6

4세대 알루미늄 산업 육성 전략수립

및 타당성조사 용역

2017. 06

㈜동우이엔지
제 출 문

경상북도지사 귀하

4세대 알루미늄 산업 육성 전략수립 및 타당성조사를 위한 연구용역에


따른 결과보고서를 제출합니다.

2017. 06

수 행 기 관 : ㈜동우이엔지
대 표 이 사 : 우 정 미
기획자문위원 : 한국나노기술원 전영진 센터장
용인디지털산업진흥원 김혜영 센터장
성균관대학교 윤정일 교수
(재)경북테크노파크 정민재 선임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박준표 센터장
< 목차 >
Ⅰ. 국내외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생태계 현황 ·
··
··
··
··
··
··
··
··
··1

1. 알루미늄 소재의 정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산업에서의 알루미늄 소재의 활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

3. 알루미늄 산업의 시장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4. 선진국가 및 국내 알루미늄 산업 육성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63

Ⅱ. 경상북도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의 필요성 ·


··
··
··
·67

1. 경북도 북부권 제조산업 여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2. 경북도 알루미늄 산업 현황 및 관련기업 수요조사 ·


··
··
··
··
··
··
··
··
··
··
··
··
··
··
··
··76

3. 경북도의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 부품산업 발전 잠재력 ·


··
··
··
··
··100

4. 4세대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산업육성 관련 정부정책 연계성·


··
··
··
··
··108

5. 기존사업과의 중복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2

6. 경북지역 산업과의 부합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5

7. 4세대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산업육성을 통한 경북도 산업 활성화 및

균형발전 필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

- 1 -
Ⅲ. 경상북도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전략 ·
··
··
··
··129

1.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목표 수립 ·


··
··
··
··
··
··
··
··129

2. 이종접합소재 개발 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5

3.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9

4. 스마트 팩토리 기반 양산화 테스트베드 구축 ·


··
··
··
··
··
··
··
··
··
··
··
··
··
··
··
··
··
··
··155

5. 선도기술 이식 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3

6. 코일 물류단지 조성 지원사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0

Ⅳ. 사업 타당성 및 기대효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2

Ⅴ.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9

- 2 -
< 표 목차 >

<표 Ⅰ-1> 알루미늄 합금 종류별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표 Ⅰ-2> 중요 알루미늄 합금의 성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표 Ⅰ-3> 중요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표 Ⅰ-4> 시대별 항공기재료 요구 특성 및 사용 알루미늄 합금 ·


··
··
··
··
··
·20
<표 Ⅰ-5> 항공기 부품별 구조용 알루미늄 적용 합금과 형태 ·
··
··
··
··
··
··
··
··
·23

<표 Ⅰ-6> 차량 경량화에 따른 향상 성능지표 ·


··
··
··
··
··
··
··
··
··
··
··
··
··
··
··
··
··
··
··
··
··
··
·26

<표 Ⅰ-7> 알루미늄 합금 제조 자동차 부품과 공정 ·


··
··
··
··
··
··
··
··
··
··
··
··
··
··
··
··
··
·32

<표 Ⅰ-8> 북미와 EU의 차량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 채용 현황 ·


··
··
··
··
··
··
··39

<표 Ⅰ-9> 차체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의 기계적 특성 ·


··
··
··
··
··
··
··
··
··
··
··
··
··
··
··
·40

<표 Ⅰ-10> EU의 알루미늄 차량적용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표 Ⅰ-11> 북미의 알루미늄 차량적용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42

<표 Ⅰ-12> 일본의 알루미늄 차량적용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Ⅰ-13> 국내 알루미늄 산업구조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표 Ⅰ-14> 2015년 국가별 산업내 알루미늄의 활용 분야 ·


··
··
··
··
··
··
··
··
··
··
··
··
·45

<표 Ⅰ-15> 국내 알루미늄 산업체와 주요 해외 경쟁사 ·


··
··
··
··
··
··
··
··
··
··
··
··
··
··
·46

<표 Ⅰ-16> 세계 비철 경량금속 시장규모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표 Ⅰ-17> 세계 주요 알루미늄 업체 및 사업내용 ·


··
··
··
··
··
··
··
··
··
··
··
··
··
··
··
··
··
··
·52

<표 Ⅰ-18> 자동차용 고기능성 합금의 세계 시장현황 및 전망 ·


··
··
··
··
··
··
··
·53

<표 Ⅰ-19> 국내 알루미늄 소재산업의 지역별 사업체와 종사자수 ·


··
··
··
··
·59

<표 Ⅰ-20> 국내 알루미늄 알루미늄 소재 시장 규모 및 향후 전망 ·


··
··
··
·60

<표 Ⅰ-21> 국내 주요 알루미늄 업체 및 사업내용 ·


··
··
··
··
··
··
··
··
··
··
··
··
··
··
··
··
··
··
·62

<표 Ⅰ-22>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소재기술관련 주요국 연구개발 프로

그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 3 -
<표 Ⅰ-22> 수요조사 대상 기업 세부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표 Ⅰ-22> 알루미늄 용접분야 장비 필요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 Ⅰ-23> 알루미늄 용접분야 장비 활용 용도 ·


··
··
··
··
··
··
··
··
··
··
··
··
··
··
··
··
··
··
··
··
··
··
·65

<표 Ⅰ-24> 알루미늄 주조분야 장비 필요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Ⅰ-25> 알루미늄 주조분야 장비 활용 용도 ·


··
··
··
··
··
··
··
··
··
··
··
··
··
··
··
··
··
··
··
··
··
··
·68

<표 Ⅰ-26>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필요도 ·


··
··
··
··
··
··
··
··
··
··
··
··
··
··
··71

<표 Ⅰ-27>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활용 용도 ·


··
··
··
··
··
··
··
··71

<표 Ⅰ-28> 외부 사용 장비 현황 (n=4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표 Ⅰ-29> 경북소재 알루미늄 소재활용 관련 주요기업 정보 ·


··
·
···
··
··
··
··
··
·
···81

<표 Ⅱ-1> 경북 북부권 시․군에 있어서의 산업별 GRDP ·


··
··
··
··
··
··
··
··
··
··
··
··
··73

<표 Ⅱ-2> 영주시 농공단지 및 산업단지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74

<표 Ⅱ-3> 2013년 영주시 12대 제조기업의 매출액 ·


··
··
··
··
··
··
··
··
··
··
··
··
··
··
··
··
··
··
·74

<표 Ⅱ-4> 수요조사 대상 기업 세부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표 Ⅱ-5> 알루미늄 용접분야 장비 필요도(단위 : n, %) ·


··
··
··
··
··
··
··
··
··
··
··
··
··
··
·81

<표 Ⅱ-6> 알루미늄 용접분야 장비 활용 용도 ·


··
··
··
··
··
··
··
··
··
··
··
··
··
··
··
··
··
··
··
··
··
··
··
·81

<표 Ⅱ-7> 알루미늄 주조분야 장비 필요도(단위 : n, %) ·


··
··
··
··
··
··
··
··
··
··
··
··
··
··
·84

<표 Ⅱ-8> 알루미늄 주조분야 장비 활용 용도 ·


··
··
··
··
··
··
··
··
··
··
··
··
··
··
··
··
··
··
··
··
··
··
··
·84

<표 Ⅱ-9>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필요도(단위 : n, %) ·


··
··
··
·87

<표 Ⅱ-10>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활용 용도 ·


··
··
··
··
··
··
··
··87

<표 Ⅱ-11> 외부 사용 장비 현황 (n=4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표 Ⅱ-12> 경북소재 알루미늄 소재활용 관련 주요기업 정보 ·


··
·
···
··
··
··
··
··
·
···96

<표 Ⅱ-13> 경북 북부권 시․군에 있어서의 제조업 GRDP ·


··
··
··
··
··
··
··
··
··
··
··
··101

<표 Ⅱ-14> 경북 북부권 4대 시․군의 주요 제조 산업 ·


··
··
··
··
··
··
··
··
··
··
··
··
··
··
··102

<표 Ⅱ-15> 경북 북부권 시․군에 있어서의 주요 제조업 ·


··
··
··
··
··
··
··
··
··
··
··
··
··103

<표 Ⅱ-16> 국내 알루미늄 사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5

- 4 -
<표 Ⅱ-17> 2012년 전국 알루미늄 품목별 제조업체수 및 생산액 ·
··
··
··
··
·106

<표 Ⅱ-18> 경상북도 연구개발 활동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7

<표 Ⅱ-19> 미래유망 부품의 최고기술 보유국 및 국내 기술수준 분포 ·


··
··
··
··110

<표 Ⅱ-20> 제안사업의 중복성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4

<표 Ⅱ-21> 경북의 1차 비철금속 제조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116

<표 Ⅱ-22> 사업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7

<표 Ⅱ-23> 지역별 사업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표 Ⅱ-24> 알루미늄 관련사업 해당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8

<표 Ⅱ-25> 지역별 해당 사업분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표 Ⅱ-26> 소재와 신성장동력 간 연관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124

<표 Ⅲ-1> 세부사업별 사업예산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4

<표 Ⅲ-2> 공정기술 개발을 통한 생산 효율성 극대화 방안 ·


··
··
··
··
··
··
··
··
··
··
·143

<표 Ⅲ-3> 신뢰성 인증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4

<표 Ⅲ-4> 신뢰성 인증 시스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5

<표 Ⅲ-5>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사업내 구축 장비목록 ·


··
··
··
··
··
··
··
··
··
··
··
··
··
·146

<표 Ⅲ-6> 스마트 팩토리 5대요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5

<표 Ⅲ-7> 산업별 표준화를 통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구축 ·


··
··
··
··
··
··
··
·161

<표 Ⅳ-1> 알루미늄 산업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


··
··
··
··
··
··
··
··
··
··
··
··
··
··
··
··
··
·172

<표 Ⅳ-2> 경북 도내 알루미늄 소재가공 대표기업의 투자계획 ·


··
··
··
··
··
··
·173

- 5 -
< 그림목차 >

<그림 Ⅰ-1> 순 알루미늄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 ·


··
··
··
··
··
··
·
···
··
··
··
··
··
·1

<그림 Ⅰ-2> 알루미늄의 친환경적 라이프 사이클 ·


··
··
··
··
··
··
··
··
··
··
··
··
··
··
··
··
··
··
··
··
·2

<그림 Ⅰ-3> 알루미늄 잉곳제조와 제품에 따른 가공공정 개요 ·


··
··
··
··
··
··
··
··
·3

<그림 Ⅰ-4> 첨가원소 및 열처리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분류 ·


··
··
··
··
··
··
··
··
··
·5

<그림 Ⅰ-5> 2017년형 Audi Q7 SUV 차체 적용 소재 ·


··
··
··
··
··
··
··
··
··
··
··
··
··
··
··
··
·13

<그림 Ⅰ-6>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테슬라 모델S의 알루미늄 차체

및 배터리 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그림 Ⅰ-7> 다 이 캐 스 팅 공 정 에 의 해 제 조 된 쉐 보 레 5.7L 알 루 미 늄

엔진블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그림 Ⅰ-8> 알루미늄 박판과 이를 이용한 캐피시터와 식품 포장용기 ·


· 17

<그림 Ⅰ-9> 가변 단면 압출재를 이용한 일체형 Audi A8 프레임 형상 ·


··
·18

<그림 Ⅰ-10> 시대별 항공기용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 변화(위)와 적용 부

품별 합금의 강도와 인성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그림 Ⅰ-11> Airbus사 A380기체의 동체 부위별 요구 특성 ·


··
··
··
··
··
··
··
··
··
··
·22

<그림 Ⅰ-12>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Airbus사 A380(2008년) A350XWB(2015

년)기체의 적용소재 변화 (무게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그림 Ⅰ-13>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Boeing사 B787 Dreamliner (2015년)의

적용소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그림 Ⅰ-14> 차량의 안전과 편의에 대한 요구 증대 ·


··
··
··
··
··
··
··
··
··
··
··
··
··
··
··
··
·27

<그림 Ⅰ-15> 미국, 캐나다의 자동차 차체 및 범퍼 등의 소재 구성비 ·


··28

<그림 Ⅰ-16> 미국, 캐나다의 자동차 구성 소재 중 알루미늄 구성비 ·


··
··29

- 6 -
<그림 Ⅰ-17> 국내 알루미늄 부품에 의한 차량 경량화 ·
··
··
··
··
··
··
··
··
··
··
··
··
··
··
·30

<그림 Ⅰ-18>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의 주요제조 공정 적용비율, 유럽 ·


··34

<그림 Ⅰ-19> 미국, 캐나다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의 제조 공정별 적용

비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Ⅰ-20> 2017년형 Audi TT coupe 차체 적용 소재 및 종류 ·


··
··
··
··
··
··36

<그림 Ⅰ-21> 2017년 Audi A8의 알루미늄 판재와 압출재를 이용한

BIW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Ⅰ-22> Alcoa사의 마이크로 밀 공정(좌)과 신 알루미늄 합금 판재적

용 Ford사 F 150(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그림 Ⅰ-23> 세계 재료별 시장 점유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그림 Ⅰ-24> 국가별 알루미늄 시장 점유율 ·


··
··
··
··
··
··
··
··
··
··
··
··
··
··
··
··
··
··
··
··
··
··
··
·50

<그림 Ⅰ-25> 차량 1대당 사용 알루미늄 합금량 ·


··
··
··
··
··
··
··
··
··
··
··
··
··
··
··
··
··
··
··
··
·51

<그림 Ⅰ-26> 국내 알루미늄 부품소재산업 생산액 ·


··
··
··
··
··
··
··
··
··
··
··
··
··
··
··
··
··
··
·55

<그림 Ⅰ-27> 국내 알루미늄 부품소재산업 부가가치액 ·


··
··
··
··
··
··
··
··
··
··
··
··
··
··
·56

<그림 Ⅰ-28> 2015년 국내 알루미늄 Value chain ·


··
··
··
··
··
··
··
··
··
··
··
··
··
··
··
··
··
··
··
·57

<그림 Ⅰ-29> 국내 알루미늄 부품소재산업의 (가) 사업체수 및 (나) 종

업원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그림 Ⅰ-30> 알루미늄 분야의 연도별 신규 연구개발 지원 현황(좌)과 지

식경제부 연구과제 지원 중 알루미늄 분야의 사업별 지원 현황(우) ·


··
··
··63

<그림 Ⅰ-31> 알루미늄 분야의 지원과제 주관기관별 지원현황 ·


··
··
··
··
··
··
··
·64

<그림 Ⅰ-32> 알루미늄 분야 정부 연구과제의 적용 공법별(좌), 최종 적용

분야별(우) 지원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그림 Ⅱ-1> 경상북도 시 군 및 권역 구분 ·


··
··
··
··
··
··
··
·
···
··
··
··
··
··
··
··
··
··
··
··
··
··
··
··
··
·67

<그림 Ⅱ-2> 영주시의 산업별 GRD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

- 7 -
<그림 Ⅱ-3> 노벨리스코리아(주)의 알루미늄 압연 전경 ·
··
··
··
··
··
··
··
··
··
··
··
··
··
··75

<그림 Ⅱ-4> 영주 소재 아시아 최대 음료 캔 재활용 시설 ·


··
··
··
··
··
··
··
··
··
··
··
·75

<그림 Ⅱ-5> 소재지(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그림 Ⅱ-6> 업종(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그림 Ⅱ-7> 종업원 수(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그림 Ⅱ-8> 매출액(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그림 Ⅱ-9> 기업형태(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그림 Ⅱ-10> R&D 조직형태 및 R&D 인력 수(단위 : %) ·


··
··
··
··
··
··
··
··
··
··
··
··
··
··79

<그림 Ⅱ-11> 설립연도(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9

<그림 Ⅱ-12> 성장단계(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그림 Ⅱ-13> 역량유형(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

<그림 Ⅱ-14> 센터 장비 활용 의사(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Ⅱ-15> 연간 활용 횟수(단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

<그림 Ⅱ-16> 연간 외부장비 이용 횟수(단위 : %) ·


··
··
··
··
··
··
··
··
··
··
··
··
··
··
··
··
··
··
··
··91

<그림 Ⅱ-17> 외부장비의 성격(중복응답, 단위 : %) ·


··
··
··
··
··
··
··
··
··
··
··
··
··
··
··
··
··
··
·91

<그림 Ⅱ-18> 외부장비 이용 이유(중복응답, 단위 : %) ·


··
··
··
··
··
··
··
··
··
··
··
··
··
··
··
·93

<그림 Ⅱ-19> 관심 정부지원사업(중복응답, 단위 : %) ·


··
··
··
··
··
··
··
··
··
··
··
··
··
··
··
··
·93

<그림 Ⅱ-20> 신규 양산 제품/설비 계획 여부(단위 : %) ·


··
··
··
··
··
··
··
··
··
··
··
··
··
··
·94

<그림 Ⅱ-21> 신규 양산 제품/설비 계획 시 애로사항(중복응답, 단위 : %) ·


··
··
·94

<그림 Ⅱ-22> 기업지원기관에서 지원받고 싶은 분야(중복응답, 단위 : %) ·


··
··
··95

<그림 Ⅱ-23> 본사 소재지 이전/양산 공장 확충 계획(단위 : %) ·


··
··
··
··
··
··
··
··95

<그림 Ⅱ-24>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9

<그림 Ⅱ-25> 경상북도의 산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그림 Ⅲ-1> 경북도내 지역별 육성산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129

- 8 -
<그림 Ⅲ-2> 경상북도 권역별 부품소재산업 밀집지역 ·
·
···
··
··
··
··
··
··
··
··
··
··
··
··
·130

<그림 Ⅲ-3> 경상북도 북부권 주요산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131

<그림 Ⅲ-4> 경상북도 영주시 제조산업 관련 기반현황 ·


··
··
··
··
··
··
··
··
··
··
··
··
··
·131

<그림 Ⅲ-5> 소재부품 육성관련 주요 국가전략 ·


··
··
··
··
··
··
··
··
··
··
··
··
··
··
··
··
··
··
··
··
·132

<그림 Ⅲ-6> 2010년 및 2030년 자동차 분야 소재 전망 ·


··
··
··
··
··
··
··
··
··
··
··
··
··
··
·135

<그림 Ⅲ-7> 경상북도 지역산업 연계 파급효과 ·


··
··
··
··
··
··
··
··
··
··
··
··
··
··
··
··
··
··
··
··
·136

<그림 Ⅲ-8> 알루미늄 응용소재·부품 양산화 지원센터 ·


··
··
··
··
··
··
··
··
··
··
··
··
··
·142

<그림 Ⅲ-9>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사업 로드맵 ·


··
··
··
··
··
··
··
··
··
··
··
··
··
··
··
··
··
··
··
··
·142

<그림 Ⅲ-10> 신뢰성평가 기술 주요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4

<그림 Ⅲ-11> 양산화 인프라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6

<그림 Ⅲ-12> 반연속주조법과 연속주조법에 의한 알루미늄 판재 제조 공정 ·


··
· 151

<그림 Ⅲ-13> 트윈 롤 주조기와 트윈벨트 주조기 ·


··
··
··
··
··
··
··
··
··
··
··
··
··
··
··
··
··
··
·152

<그림 Ⅲ-14> 양산공정 최적화 기술개발사업의 내용과 목표 ·


··
··
··
··
··
··
··
··
·154

<그림 Ⅲ-15> 스마트 팩토리 기반 양산화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로드맵 ·


··
··
·158

<그림 Ⅲ-16>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추진 현황 ·


·
···
··
··
··
··
··
··
··
··
··
··
··
··
··
··
··
··
··
·159

<그림 Ⅲ-17> 스마트 공장 보급 성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0

<그림 Ⅲ-18> 스마트 팩토리의 빅데이터 구축 ·


··
··
··
··
··
··
··
··
··
··
··
··
··
··
··
··
··
··
··
··
··
·162

<그림 Ⅲ-19> 선도기술 이식 지원센터 프로세스 ·


··
··
··
··
··
··
··
··
··
··
··
··
··
··
··
··
··
··
··
·163

<그림 Ⅲ-20> 선도기술 이식 지원사업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167

<그림 Ⅲ-21> 선도기술 이식 지원사업 연차별 주요내용 ·


··
··
··
··
··
··
··
··
··
··
··
··
··
·167

<그림 Ⅲ-22> 선도기술 이식 지원센터구축 ·


··
··
··
··
··
··
··
··
·
···
··
··
··
··
··
··
··
·
···
··
··
··
··
··
·168

<그림 Ⅳ-1> 경상북도 경량소재 산업 클러스터 조성 ·


··
··
··
··
··
··
··
··
··
··
··
··
··
··
··
·174

<그림 Ⅳ-2> 주요 비철금속 글로벌 수급 추이 ·


··
··
··
··
··
··
··
··
··
··
··
··
··
··
··
··
··
··
··
··
··
·178

- 9 -
- 10 -
Ⅰ. 국내외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생태계현황

1. 알루미늄 소재의 정의

q 알루미늄의 개요

❍ 알루미늄은 비중이 2.7로 대표적인 경량금속이면서, 철강 소재 대비


1/3 수준의 낮은 밀도로 철강소재를 제외한 금속 중 가장 많이 사용되
는 소재

❍ 전연성이 풍부하고, 내식성이 우수하며 열 및 전기전도도가 동소재의


60% 이상으로 높고, 무자성, 무취, 무독성 등 인체에 무해한 금속으로
건축 기자재, 자동차 부품, 우주항공부품, 식음료 포장재료, 스포츠 레
저, 전기 전자및 IT부품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

<그림Ⅰ-1> 순 알루미늄의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성질

- 1 -
❍ 알루미늄은, 최종제품에 대해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서 기계적 가공을
필요로 하는 전신재(가공재) (wrought alloy)와 액상에서 고상으로의 상
변태를 이용하기 때문에 후가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주조재(casting
alloy)로 분류할 수 있음.

❍ 알루미늄은 원광석인 보크사이트(Bauxite)를 정제하여 알루미나


(Alumina, Al2O3)로 만든 후에 다시 전해 공정을 거쳐서 알루미늄 잉곳
을 만들게 되며, 이러한 알루미늄 잉곳을 이용하여 압연과 압출에 의
해 판, 관 봉 등의 반제품을 우선 생산 후 가공하여 제품을 제조하거
나, 중력주조 또는 가압주조를 통해 제품 형상을 직접 구형하는 공정
등이 있음.

❍ 목적 제품으로 제조, 사용 후 리사이클링을 통해 완벽히 새로운 제품


으로 제조될 수 있는 라이프 사이클이 무한반복이 가능한 친환경적
소재임. 특히, 리사이클링 시 최초 알루미늄 잉곳(Ingot)을 제조하기 위
한 에너지의 5%만 사용.

<그림Ⅰ-2> 알루미늄의 친환경적 라이프 사이클

- 2 -
<그림Ⅰ-3> 알루미늄 잉곳제조와 제품에 따른 가공공정 개요

❍ 국내의 알루미늄 소비량은 전 세계 생산량의 6%로 세계 6위이나, 보


크사이트로부터 생산된 알루미늄 1차 잉곳을 생산하지 않고, 전량 수
입에 의존하고 있음. 그러나, 순 알루미늄을 이용한 합금 또는 리사이
클링에 의한 2차 잉곳을 이용하여 주조재, 판재, 압출재 및 단조재 생
산 공정으로, 수송기계, 건축기자재, 패키징/소비재, 송전케이블, 모터
코어, 용접봉 및 탈산제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서 폭넓은 제품을 제조,
활용하고 있음.

❍ 국내 알루미늄 소재의 주요 시장은 자동차 주조 부품, 창틀용 압출 프


로파일, 자동차 차체용 압출재, 건설용 판재 및 압출재 임.

❍ 주조재는 액체에서 고체로의 상변태 현상을 이용하며, 중력만의 힘으


로 형상을 구현하는 비가압공정과 외부에서 힘을 가해 복잡한 형상
부품 제조가 가능한 가압주조로 구분. 국내에서는 대량 생산에 적합하

- 3 -
며, 복잡한 형상의 제품주조가 가능한 다이캐스팅 공정이 매우 발달.

❍ 판재는 두께에 따라서 후판, 판재, 박 등으로 구분되며 클래드재 복합


재도 포함 가능. 사용 목적에 따라 주방용 알루미늄박, 건축용 판재,
열교환기용 브레이징재, 자동차용 판재, 항공기용 판재 등으로 구분
가능.

❍ 6000계 판재 클래드재 등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고강도 제품은


전량 수입

❍ 압출재는 봉재, 형재 등이 중요 생산, 소비품으로 국내 다수의 생산업


체가 있으며 그 수요도 산업용, 건설용, 소비재용 등 다양하게 존재.

q 알루미늄 합금 종류

❍ 알루미늄 합금은 적용 목적에 따라 첨가하는 합금 원소의 종류와 양이


다르며, 전신재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에 마그네슘(Mg)과 실리콘
(Si), 구리(Cu), 아연(Zn)을 주로 첨가하고, 절삭성이 우수하고 높은 강
도와 연신율을 나타내며, 주로 압연, 압출, 단조 등 소성가공과 절삭가
공 등을 통해 부품으로 제조.

❍ 주조재 알루미늄 합금은 주로 실리콘을 첨가한 합금을 많이 사용하며,


주조성이 좋아 복잡한 형상의 부품 제조가 가능.

❍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 협회(Aluminum association)의 표기 방법에


따라 첨가원소에 따라 분류되며, 열처리에 의한 기계적 특성 향상과
관련하여 열처리형 합금과 비열처리형 합금으로 분류.

- 4 -
<그림Ⅰ-4> 첨가원소 및 열처리에 따른 알루미늄 합금 분류

❍ Al-Cu계 합금: 공정온도에서 Al은 5.7% Cu를 고용. 온도가 강하함에


따라 용해도는 감소하여 400 oC에서 1.5%, 200 oC에서 0.5% Cu를 고
용. 따라서 4% Cu 합금을 500 oC 부근까지 가열한 후, 급랭하면 과포
화상태의 고용체를 상온에서 획득. 이러한 과포화상태는 대단히 불안
하므로 제2상을 석출하려는 경향이 크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도,
강도가 증가 (상온 시효(natural aging)). 상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
(100~150 oC)로 가열하여 경도, 강도 증가 (인공시효(artificial aging))

❍ Al-Si계 합금: 유동성이 좋고 응고시에 수축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열


간 취성이 적고 내식성이 양호하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 대표적인 주
물용 알루미늄 합금.

- 5 -
<표Ⅰ-1> 알루미늄 합금 종류별 특성

합금 종류 합금 특성 

순 Al 로서, 내식성이 좋고, 빛의 반사성, 열의 전도성이 우수.


1000 계 
강도는 낮지만 용접 및 성형가공이 용이. 

주첨가 원소는 Cu이며, Mg 등을 함유한 열처리 합금.


용체화 열처리에 의해 강도는 높지만 내식성 및 용접성이 낮은
2000 계 
합금이 다수. Rivet 접합에 의한 구조물, 특히 항공기재로서
이용

주첨가 원소는 Mn. 냉간가공에 의해 제품 생산하는 비열 처리


3000 계  합금. 순 Al에 비해 강도는 약간 높고, 용접성, 내식성, 성 형
가공성 등이 우수. 

주첨가 원소는 Si. 비열처리 합금으로 높은 Si함량에 의한 낮은


4000 계 
융점으로 용접 와이어 용가재 등으로 이용. 

주첨가 원소는 Mg. 고강도 비열처리 합금. 용접성이 양호하나,


5000 계 
냉간가공이 어려움. 해수 분위기에서도 내식성이 우수. 

주첨가 원소는 Mg 와 Si. 고강도 열처리 합금이다. 가공성,


6000 계 
성형성, 용접성, 내식성이 양호. 형재 및 관 등 구조물에 이용. 

주첨가 원소는 Zn이며, Mg을 첨가한 고강도 열처리 합금.


7000 계 
운송기기 등 고강도 부품에 활용. 

❍ Al-Si-Mg계 합금:
Al-Si계 합금의 강도 증가를 위해 Mg를 첨가. 같은


목적으로 Cu를 첨가 하기도 하며, 열처리하면 Mg2Si, CuAl2와 같은 단
단한 석출물이 생성에 기인하여 특성아 향상.

❍ Al-Mg계 합금: Mg를 함유하는 Magnalium, Hydonalium 이라고 하며, 대표적


인 내식성 Al 합금. 단조용 재료로도 쓰이며 주조용으로는 Mg 12% 이하의
것이 사용. 그러나 균일한 조직 획득이 어렵고, 편석이 유발되므로 400 oC 까
지 가열하여 균질화 처리 필요. Mg의 고용 농도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
므로 Mg가 상당히 있는 것은 열처리에 의하여 기계적 성질 향상 가능.

- 6 -
<표Ⅰ-2> 중요 알루미늄 합금의 성분 (wt%)

합금 Si  Fe  Cu  Mn  Mg  Zn  Cr  Ti   Al

0.05~
1100 1 0.05 -  0.1 -  -  Bal. 
0.20 

2011 0.4 0.7 5.0~ 6.0  -  -  0.3 -  -  Bal.

0.50 ~ 3.9 ~ 0.40 ~ 0.20 ~


2014 0.7 0.25 0.1 -  Bal.
1.2  25.0  1.2  0.8 
3.8 ~ 0.30 ~ 1.2 ~
2024 0.5 0.5 0.25 0.1 -  Bal.
4.9  0.9  1.8 
5.8 ~ 0.20 ~ 0.02 ~
2219 0.2 0.3 0.02 0.1 -  Bal.
6.8  0.40  0.10 
0.05~ 1.0 ~
3003 0.6 0.7 -  0.1 -  -  Bal.
0.20  1.5 
1.0 ~ 0.8 ~
3004 0.3 0.7 0.25 0.25 -  -  Bal.
1.5  1.3 
1.0 ~ 0.20 ~
3005 0.6 0.7 0.3 0.25 0.1 0.1 Bal.
1.5  0.6 
11.0 ~ 0.50 ~ 0.8 ~
4032 1 -  0.25 0.1 -  Bal.
13.5  1.3  1.3 
4.5 ~
4043 0.8 0.03 0.05 0.05 0.1 -  0.2 Bal.
6.0 
0.5 ~
5005 0.3 0.7 0.2 0.2 0.25 0.1 -  Bal.
1.1 
2.2 ~ 0.15~
5052 0.25 0.4 0.1 0.1 0.1 -  Bal.
2.8  0.35 
0.40 ~ 4.0 ~ 0.05~
5083 0.4 0.4 0.1 0.25 0.15 Bal.
1.0  4.9  0.25 
4.0 ~
5082 0.2 0.35 0.15 0.15 0.25 0.15 0.1 Bal.
5.0 
0.40 ~ 0.15~ 0.8 ~ 0.04~
6061 0.7 0.15 0.25 0.15 Bal.
0.8  0.40  1.2  0.35 
0.20 ~ 0.45 ~
6063 0.35 0.1 0.1 0.1 0.1 0.1 Bal.
0.6  0.9 
0.20~ 0.15~ 0.40 ~
6951 0.8 0.1 0.2 -  -  Bal.
0.50  0.40  0.8 
0.50 ~ 5.0 ~
7003 0.3 0.35 0.2 0.3 0.2 0.2 Bal.
1.0  6.5 
0.8 ~
7072 0.7 0.1 0.1 0.1 -  -  Bal.
1.3 
1.2 ~ 2.1 ~ 0.18 ~
7075 0.4 0.5 0.3 5.1~ 6.1  -  Bal.
2.0  2.9  0.35 

- 7 -
<표Ⅰ-3> 중요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

내응력 용접성
합금 열처리 내식성 부식균 성형성 절삭성 납땜성 알코올 단조성
열성 가스 저항
아르곤
1050 H24 A A A D A A A A -
O A A A E A A A B A
1100 H24 A A A D A A A A A
H18 A A C D A A A A A
T D C C B D D B B C
2014
T6 D C D B D D B B C
2017 T4 D C C B D D B B -
2024 T4 D C C B D D B B -
O A A A B A A A B A
3003 H24 A A B D A A A A A
H18 A A C D A A A A A
4032 T6 C B - - D D B C -
O A A A E B A A B -
5005 H34 A A B D B A A A -
H38 A A C D B A A A -
O A A A D C A A B -
5052 H34 A A B C C A A A -
H38 A A C D C A A A -
O A B A D D C A B -
5056
H38 A C C C D C A A -
T4 B B B C A A A A D
6061
T6 B A C C A A A A -
T5 A A C C A A A A -
6063
T6 A A C C A A A A -
7075 T6 C C D B D D C B D
T4 B B C B D D A A B
7N01 T5 B B C B D D A A D
T6 B C C B D D A A

(A: 매우 좋음, B: 좋음, C: 보통, D: 나쁨, E: 매우 나쁨)

- 8 -
❍ Al-Cu-Si계 합금: Al-Si계 합금에서 Si과 함게 많은 양의 Cu를 첨가하
여 기계적 특성을 향상하고 가공표면의 거칠음을 없앤 것으로 Cu
3~4.5%, Si 5~6%를 함유한 것이 많이 사용. 높은 강도 요구시 Si 첨가
량을 늘리고, 높은 조도의 표면을 원할시 Cu 첨가량을 증대. 압출재
와 단조재에 사용되고, 주조용에도 사용. 주로 피스톤, 기계 부속품에
적용.

- 9 -
2. 산업에서의 알루미늄 소재의 활용

q 알루미늄 활용 개요

❍ 알루미늄 경량소재는 국가 기반 산업인 자동차, 철도, 조선, IT 등의


산업과의 연계성이 높아 전방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큰 산업. 알루미
늄 소재는 수송기기 경량화의 핵심소재로 정밀성형성, 인성, 용접성,
강도, 도장성 등의 특성 향상과 함께 공정비용 저감을 위한 기술 개발
이 필요.

❍ 알루미늄 경량소재는 국민소득에 비례하여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어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 수요가 많음. 자동차, 철도 부품,
선박 및 해양플랜트 재료, 건축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알루미늄
합금은 환경 친화적이며 재활용이 용이하고, 고강도 대비 중량비가 뛰
어나며, 내식성과 가공성이 우수.

❍ 국내 경제 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알루미늄 가공제품은 꾸준한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으며, 가공용이, 경량성, 높은 열전도성, 무독성, 저
온 특성, 재생 용이, 연료절감 및 환경오염 감소 등의 다양한 특성 때
문에 그 사용 용도가보다 포괄적으로 증가

❍ 자동차뿐 아니라 고강도, 경량화 소재로서 선박 및 해양플랜트 등 기


타 수송 기기에도 활용. 알루미늄 경량소재는 수송기기, IT 융합 등의
핵심기반소재로서 신시장 창출 및 신성장 동력원으로 핵심 기술력 확
보가 필요.

❍ 알루미늄의 경우 중소/중견기업 중심 산업 재편으로 기업 자체 R&D가


미진한 상태였으나, 최근 자동차용 소재 개발, 주조 불량 저감, 생산성

- 10 -
향상기술, 원가 절감 등의 연구 진행

❍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소성 및 절삭가공이 우수하기 때문에 판,


봉, 관, 등의 각종 형태 및 제품으로 성형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을
산업용 소재로 다양한 합금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표Ⅰ-4> 알루미늄 제품분류 관점의 기술

제품분류 관점 세부 기술

알루미늄 잉곳 순 알루미늄 잉곳, 재활용 잉곳, 알루미늄 합금 주조

Direct chill 공정 판재, 연소주조 판재, 후판재, IT 판재,


압연 판재
차량용 판재

압연 박판 알루미늄 박, 포장재, 공조기

압출재 자동차, 가전 및 기계부품용 봉, 건축기자재

다이캐스팅 부품, 사형주조재, 금형주조재, 파워트레인 등


주조재
수송기기 부품

- 11 -
q 알루미늄 판재 활용

❍ 알루미늄 압연 판재는 대규모 장치 산업군에 속하며, 두께의 균일성


유지 때문에 기술의 축적과 경험이 필요하며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으로, 알루미늄 판재 산업은 박판의 호일과 패키징 분야가 안정적
인 시장규모를 바탕으로 성장을 하고 있으며, 특히 IT 분야의 프레임
및 자동차 분야와 같은 고부가가치 판재 산업은 일본 및 유럽 등의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

❍ 현재 수송기계 분야의 알루미늄 판재의 점유율은 22%를 차지하고 있


으며, 향후 세계적인 연비규제 강화에 따른 차량경량화를 위한 알루미
늄 판재의 지속적인 성장이 필요하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
특성 알루미늄 합금 판재 개발이 필요.

❍ 알루미늄 판재의 경우 자동차 경량화 이슈에 따라 자동차 분야를 중


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등의 프레임, 스마트
폰 외장 등 꾸준한 수요가 요구.

❍ 특히, 고부가가치 판재 산업은 일본 및 유럽 등의 기술 선진국을 중심


으로 지속적인 성장하며 박판의 호일과 패키징 분야는 안정적인 시장
규모를 바탕으로 성장.

❍ 2015년 미국 포드사는 픽업트럭 F-150의 Full Body 소재로 알루미늄


판재 적용에 따라 70년대 알루미늄 맥주캔 적용과 유사한 알루미늄
업계의 최대 희소식으로 받아들여짐.

- 12 -
<그림Ⅰ-5> 2017년형 Audi Q7 SUV 차체 적용 소재

❍ 2017년 Audi Q7의 경우 차체 무게의 약 41%를 알루미늄 소재로 제조


하였으며, 이 중 차체 대부분을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제작하였
음.

❍ 과거에는 성형성 및 강도가 우수한 고가격의 알루미늄 합금 판재를


개발하여 기존 스틸용 판재 성형라인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
어 왔으나, 최근에는 특성이 다소 저하되더라도 가격이 저렴한 판재를
이용하여 특수 성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판재의


생산에 대한 연구가 일부 대형 알루미늄 압연회사를 중심으로 수행.

- 13 -
<그림Ⅰ-6>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테슬라 모델S의 알루미늄 차체 및 배터리 팩

q 알루미늄 주조재 활용

❍ 알루미늄 주조 산업은 자동차 및 기계분야의 근간이 되는 산업으로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2013
년 현재 연간 45만톤 정도의 시장을 확보하고 있으 며, 자동차 및 기

- 14 -
계분야 산업의 규모에 맞추어서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으나, 대부
분 영업 이익율이 낮은 중소기업의 산업 영역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으
로의 변환이 필요.

❍ 알루미늄 주조재의 가장 큰 적용 분야는 수송기계 산업이 유럽의 경


우 70% 이상을 차지하며, 하우징류를 비롯한 차체, 샤시 및 파워트레
인 분야로 확대되어 수송기계 분야 점유율 확대.

❍ 알루미늄 주조공정의 핵심 과제는 주조 결함을 감소시켜 신뢰성을 확


보하는데 있음.

❍ 알루미늄 주조의 경우에는 기존의 적용 소재를 부품의 특성에 맞추어


서 개량하는 정도의 기술이 대부분이었지만, 다이캐스팅 설비가 금형
의 진공을 제어하는 전자기펌프 및 제어기술의 발전으로, 다이캐스팅
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받던 기공을 제어할 수 있는 고압, 고진공
다이 캐스팅 기술이 개발 됨.

<그림Ⅰ-7>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쉐보레 5.7L 알루미늄 엔진블럭

- 15 -
❍ 또한, 고압 고진공 다이캐스팅 설비에 적합한 알루미늄 합금 소재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독일의 Rheinfelden사는 알루미늄 합금에서
내식성 및 연신율을 저하시키는 첨가물인 Fe 함량을 제어하고, 대신
Mn과 Be을 첨가하여, 특성을 향상시킨 소재들로 기존의 저급한 하우
징 부품이 아니라 열처리 및 용접이 가능하여 자동차 차체 부품에 경
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여 자동 차 선진메이커를 중
심으로 적용.

❍ 알루미늄 주조산업은 대표적인 중소기업형 산업으로 전통적인 정형가


공법 중의 하나인 중력중공주조를 비롯한 정밀주조, 다이캐스팅, 열간
단조 등의 제조공정이 주류를 이루며 대부분 장비는 수입에 의존하나,
금형설계, 주조방안 및 공정제어 등으로 자체기술 개발로 인해 불량
저감, 생산성 향상기술 등을 확보 필요.

❍ 알루미늄 주조는 다양한 프로세스가 개발 되었으며, 사형, 금형, 정밀


주형 등의 다양한 주형적용 외에 중력주조, 저압주조, 고압주조 등의
가압방법, 저속충전, 고속충전, 분위기 제어, 진공 등의 용탕 충전 방
법, 반용융 가공 등 여러 가지 프로세스와 이를 조합한 공법이 개발.
각 공법은 각기 장단점이 있지만, 개발된 주된 목적은 주조 결함 감
소.

❍ 이를 위해서는, 프로세스 개발뿐만 아니라, 제품 형상의 검토, 용탕,


금형, 주조설비 등 관련된 요소 기술의 개선, 재료를 포함한 주조 결
함 발생 메커니즘의 해석도 필요. 이후 알루미늄 주물, 다이캐스팅 부
품의 사용 확대와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서 비용 절감이 더욱 요구.

❍ 한국형 고속전철 객차 차체에 알루미늄이 적용 중, 항공기의 경우 일


부 주조 및 단조품이 개발 적용 중. 선박의 경우, 일부 구조체 및

- 16 -
LNG선 탱크, LNG 추진선박 LNG 저장용기 등에 적용. 자동차의 경우
기존에는 주조 및 단조재 위주로 적용이 되어왔으나, 최근 압출재 및
판재 적용 분야가 확대되는 중.

q 알루미늄 박판 활용

❍ 알루미늄 박판은 열전도성, 가공성, 방습성 및 광택이 좋은 특성 때문


에 전기, 전자 및 자동차산업 에서 식품, 제과, 연초 등의 포장재산업
및 공조기 및 열교환기의 핀재, 통신용 케이블의 피복용 등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사용.

❍ 최근 종이와 맞붙이거나, 박의 표면에 그라비어 인쇄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어 포장용으로서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축용 용도
로서도 열 차단 효과 가 뛰어나 건축물의 천정 ·벽 등에 넣거나 광
열의 반사용으로 판에 붙여서 사용

<그림Ⅰ-8> 알루미늄 박판과 이를 이용한 캐피시터와 식품 포장용기

- 17 -
<그림Ⅰ-9> 가변 단면 압출재를 이용한 일체형 Audi A8 프레임 형상

q 알루미늄 압출재 활용

❍ 알루미늄 압출 산업은 건축 기자재에 적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


문에 건축 산업에 영향을 많이 받아왔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및 수송
기기 분야에서의 경량화요구 증대와 IT 가전산업에 서의 프레임 부품
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안정적인 30만 톤 정도의 시장 규
모 확보 와 연간 10% 이상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나, 고부가가치의
압출소재는 수입에 의존.

❍ 수송기계분야의 알루미늄 압출재 점유율은 17%를 차지하고 있으며,


알루미늄 소재 중에서 가장 빠르게 자동차에 적용 확대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

- 18 -
❍ 알루미늄 주조산업과 유사하게 저부가가치의 중소기업 산업영역이기
때문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알루미늄 합금 및 이에 필요한
경제적인 성형 기술이 확보되어야 함.

❍ 고부가가치 압출 기술로 최근 가변 단면 압출 기술을 적용한 부품이


생산 되고 있음. 가변단면 압출공정은 일반적인 압출 공정과 다르게
가변형상에 따른 개구면적의 변화를 통해 하나의 제품에 여러 형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용접을 통해 여러 형상의 부품을 만드는 것이 아닌,
일체화를 통해 기계적 특성 향상이 가능함.

- 19 -
q 알루미늄을 이용한 항공기 경량화 개요

❍ 경량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엔진을 장착하여 만든 최초의 비행기로 라


이트 형제가 비행에 성공한 이후 항공기용 소재는 지속적인 발전이
진행.

❍ 세계대전과 냉전시기를 거치면서 더 가볍고 튼튼한 소재들로 여러 종


류의 알루미늄 합금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 제작되는 항공기의 기체
는 50% 이상이 복합재료로 구성될 만큼 지난 100년간 항공기용 소재
의 발전은 매우 혁신적 과정임.

<표Ⅰ-4> 시대별 항공기재료 요구 특성 및 사용 알루미늄 합금

시대 소재 요구 특성 재료 특성 사용 합금

2017,2024,
1903~1950년대 경량 고강도
7075-T6, 7178-T6

7075-T76,T74,T73,
7175, 7475, 2124,
고강도, 내식성,
인성 및 내충격성, 7050-T74,
1950년대~1980년대 내피로성,
후육부 안정성 7150-T6,
고파괴인성
2324-T39, 2224-
T3511

고강도, 내식성,
경량, 인성 및 내피로성, 7150-T77, 7055-
1980년대~1990년대
내충격성 고파괴인성 등의 T77, 2524-T3
요구특성 균일성

고강도, 내식성,
경량 및 가격
내피로성, 2026,
6013,
효율성, 공급
1990년대~현재 고파괴인성 등의 2324-T39 II,
안정성, 고강도,
요구특성 균일성 및 C433-T351, 7085
장기 신뢰성
가격 경쟁력

- 20 -
❍ 항공기용소재는 기체 구조재료와 엔진용 재료로 구분. 기체 구조용 재
료는 알루미늄, 타이타늄, 강 등의 금속재료와 고분자 복합재료 등 경
량화를 기본으로 고강도 및 우수한 피로 저항성을 가진 소재가 주축.

<그림Ⅰ-10> 시대별 항공기용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 변화(위)와 적용


부품별 합금의 강도와 인성 특성 (Ref: 기계와재료, Vol27 n2)

- 21 -
❍ 1917년에 처음으로 항공기의 경량화를 위한 주요 구조용 소재로 적용
된 알루미늄 합금은 최근까지도 대부분의 항공기 기체 구조물에 가장
많이 사용.

❍ 2차 대전 이후에도 알루미늄 합금은 동체 주구조물 소재로 2000계 Al-


Cu-Li합금과 7000계 Al-Zn-Mg-Li합금을 중심으로 피로저항성, 내식성,
응력부식균일 저항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기계적 물성의 이방성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소재가 진보. 손상허용설계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부분의 알루미늄 합금은 T7 열처리를 적용하여 파괴인성을 향상시
킴으로써 항공기의 안전성을 향상 시키는 데 기여.

<그림Ⅰ-11> Airbus사 A380기체의 동체 부위별 요구 특성


(CYS(compressive yield strength ): 압축강도, E(elastic modulus): 탄성계수,
TS(tensile strength): 인장강도, DT (damage tolerance properties (fatigue,
fatigue crack growth, fracture toughness)): 손상허용특성 (Ref: N. Eswara
Prasad and R.J.H. Wanhill
Aerospace Materials
and Material Technologies,
Indian Institute of Metals Series)

- 22 -
<표Ⅰ-5> 항공기 부품별 구조용 알루미늄 적용 합금과 형태

알루미늄 제조 공정
알루미늄 합금 적용 부품
및 제품
2024-T3,
동체(외피), 동체(승객석)
2524-T3/351
2024-T351,
2324-T39,
하부날개 덮개
2624-T351,
2624-T39

2024-T62 동체판넬

압연 (판재) 2124-T851 동체칸막이

7050-T7451,
동체내부 구조재료
7X75-T7XXX
7150-T7751,
7055-T7751,
상부날개덮개
7055-T7951,
7255-T7951

7050-T7451 날개보, 리브, 내부구조재료

7175-T7351,
단조 (단조재) 날개/동체 부착부품
7050-T7452

2024-T3511,
2026-T3511, 하부날개칸막이, 동체(외피),
2024-T4312, 동체(승객석) 칸막이
6110-T6511

압출 (압출재) 7075-T73511,
7075-T79511,
7150-T6511, 동체칸막이, 동체구조재료, 상부날개
7175-T79511, 칸막이, 승객석 하부, 의자 프레임
7055-T77511,
7055-T79511

(Ref: N. Eswara Prasad and R.J.H. Wanhill
Aerospace Materials
and Material


Technologies, Indian Institute of Metals Series)

- 23 -
❍ 기존의 항공용 알루미늄 합금은 거의 100년에 가까운 이력을 가진 것
에 비해 Al-Li합금은 1998년에 발사된 우주 왕복선의 연료탱크에 적용
되면서 최근 항공기에 적용이 급격히 증가.

❍ Li은 금속 중 가장 가벼운 원소로 알루미늄 합금의 추가적인 경량화가


가능하며 합금원소로써 강도, 인성, 내식성 뿐만 아니라 성형성을 동
시에 향상시키는데에 효과적. 또한 피로균열전파속도를 획기적으로 낮
추어 손상허용 특성 향상으로 항공기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매우 주목됨.

<그림Ⅰ-12>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Airbus사 A380(2008년)과


A350XWB(2015년)기체의 적용소재 변화 (무게비)
(Ref: N. Eswara Prasad and R.J.H. Wanhill
Aerospace Materials
and Material
Technologies, Indian Institute of Metals Series)

- 24 -
❍ 최근, 항공유의 가격 상승과 대기오염 감소를 위해 엔진 효율을 극대
화 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 이를 위해 항공기 소재를 기존 단일
알루미늄에서 카본섬유복합재료를 활용하여, 기존보다 약 10%이상 무
게 감소시킨 항공기 제작이 매우 활발.

❍ 그러나, 항공기용 알루미늄 소재 적용은 저비용, 용이한 제작공정, 장


기간의 운영경험 및 온도변화에 따른 낮은 변형으로 항공용 소재로
매우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대륙내 이동 항공기에 있어서는 고
강도 고특성 알루미늄 합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그림Ⅰ-13> 엔진효율 향상을 위한 Boeing사 B787 Dreamliner (2015년)의


적용소재 (무게비) (기존 B777 적용소재: 알루미늄 50%, 복합재료 12%)
(Ref: Boeing homepage www.boeing.com)

- 25 -
q 알루미늄을 이용한 차량 경량화 개요

❍ 지난 1세기 동안 자동차 산업은 계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여 현재는 각


국가의 기간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초기의 단순한
운송수단으로의 자동차에서 현재는 전자, 통신, 재료 및 기계 등 각종
구성기술들의 총아로 그 자리매김을 하였으며, 각 부품의 유기적인 구
성과 기능은 자동차 생산국가의 전체 기술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

❍ 자동차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각 국가의 경제력 성장은 기존의 특정 계


층에 한정되었던 자동차에 대한 구매력을 확대시킴으로서 현대인에게
자동차는 필수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자동차 구매자는 생활수준 향
상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더욱 안전한 고성능의 자동차를 소유하고자
하며, 이러한 소비자의 고급화 지향으로 자동차는 그 기능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형화, 고급화되어 자동차의 크기와 중량은 증가 추
세.

<표Ⅰ-6> 차량 경량화에 따른 향상 성능지표

성능지표 향상선응

연비성능 8.8% 향상

가속성능 8% 향상 (0~100 km/h 도달시간


승용차 중량
10% 경량화 제동정지거리 5% 단축
결과
조향성능 핸들 조향능력 6% 향상

내구성 샤시 내구수명 1.7배 증가

배기가스 CO:4.5%감소, HC:2.5%감소, NOx:8.8%감소,

Ref: Toyota Technical review

- 26 -
<그림Ⅰ-14> 차량의 안전과 편의에 대한 요구 증대

❍ 한편, 지구의 환경오염으로 인해 발생되는 지구 온난화와 이로 인한


각종 자연재해 등을 배경으로 세계 각국은 환경오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전 세계적으로 오염 물질 배출에 대해 종량제 개념의 교토
의정서 체결 등 지속적인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한 각종
법안들을 제안, 실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자동차 산업에도 그
파급효과를 미쳐 유럽의 경우 자동차 운행 중 배출되는 CO2의 양의
지속적인 규제 강화.

❍ 자동차 제작업체는 연비향상과 함께 자동차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


기 위해 연료사용의 효율 증대, 동력전달시 소모감소, 운행 중 공기저
항에 의한 마찰을 줄이기 위한 디자인 개발 등 많은 연구들을 진행하
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중 자동차 경량화는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냄.

- 27 -
<그림Ⅰ-15> 미국, 캐나다의 자동차 차체 및 범퍼 등의 소재 구성비
Ref: Ducker worldwide 2015

❍ 일반적으로 10%의 차체 중량 감소는 8-10% 정도의 연비향상에 기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
경량금속인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합금 등으로 단순한 기존재료의 대
체 즉, 철강재료 대체의 개념이 아닌 재료 설계와 공정 최적화를 통한
디자인 자유도(Flexibility)를 확대시킴으로 경량화를 촉진하는 자동차
부품제조가 진행.

❍ 차량경량화를 위한 알루미늄 합금 경량소재의 적용은 1차 도입기로 분


류될 수 있는 차량구성 부품의 경량화에 대해 실제적용에 도달한 후,
2차 도입기인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자동차 구성 Panel 제작,
BIW(Body in White, 차체) 제작 등이 시도되어 이미 유럽과 북미 그리
고 일본에서는 상용차에 적용 확대를 적극 검토.

- 28 -
<그림Ⅰ-16> 미국, 캐나다의 자동차 구성 소재 중 알루미늄 구성비
Ref: Ducker worldwide 2015

❍ 자동차 차체는 차량의 골격을 구성하는 바디(BIW, Body In White)와 도


어(Door), 후드(Hood), 트렁크(Trunk)와 같은 무빙파트(Moving Parts)로
구성되며 차량 중량의 30% 내외를 차지하는 고중량 부품으로 연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친환경 자동차 실현을 위해서는 차체 중량 감
소가 필수적 임.

❍ 알루미늄과 합금 판재를 이용한 자동차 Panel과 차체 제조는 경량화


면에서 매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

❍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 제조는 강도와 성형성이 우수한


합금개발과 함께 성형공정과 접합, 표면처리 등의 가공주변 기술을 확
립할 필요가 있음.

❍ 판재를 이용한 부품제조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성형성과 강도 측면에


서 기존 합금은 그 특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이에 새로운 합금개발이
요구.

- 29 -
<그림Ⅰ-17> 국내 알루미늄 부품에의한 차량 경량화

- 30 -
q 국내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차량 경량화

❍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자동차 경량화의 경우, 국내에서도 현대자동


차, 기아자동차 등에서 이미 1990년대 시작되었으며, Hood, Fender 등
이 일부 단순한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증단계에서 성형시험에 성공
후 고급 세단형 차량에 대해 일부 적용 생산.

❍ 자동차 경량화와 관련하여 엔진 블럭 및 샤시에 적용되는 알루미늄 주


조 및 압출 부품은 개발이 기진행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자동차 차체
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압연판재를 국내에서 생산하지 못하고 전량 수
입에 의존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국내 기술 기반이 취약함. 따라서 알
루미늄 압연산업을 자동차 차체용 판재생산과 같은 고부가가치산업
구조로 전환하고 기타 관련 부품 산업을 육성하기위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함.

❍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알루미늄 판재는 요구되는 필요 특성을 만족시


키기 위한 합금설계 연구가 전무한 상태로 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한
기본특성, Stamping, Deep drawing, Hemming 등 소성가공에 대한 조
건과 이 후 Bake hardening시의 열처리 특성 등 자동차 공정 전체와
관련된 금속조직학적 해석 및 설계가 필요.

❍ 현재, 판매되는 합금계는 Al-Mg-Si가 주성분인 6111, 6016 합금과


5182, 5754 등 Al-Mg 가 주성분이 판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Alcan, Alcoa 등 세계적인 알루미늄 생산업체와 자동차 제작 업체가
연합하여 계속적인 합금들을 개발중이나 국내의 경우 자동차 업체와
의 실질적인 협력 등을 통해 합금개발이 이루어지거나 생산된 예는
없음.

- 31 -
<표Ⅰ-7> 알루미늄 합금 제조 자동차 부품과 공정

공정 주요 생산 부품 국내수준

기술
후드, 트렁크 리드, 펜더, 루프, 바닥재,
압연 수준
열교환기 등
미약

엔진, 실린더 헤드, 인테이크 매니폴더, 실린더


주조
블록, 모터몸체, 피스톤, 트랜스미션, 휠 등

상위
열교환기, 좌석 레일, 범퍼 보강재, 도어 임팩트바,
압출 기술
써스팬션, 크로스 멤버, 외부장식 등
수준

upper arm, lower arm, 커넥팅로드, steering,


단조
nuckle 등

❍ 최근 현대,기아자동차의 경우 아이오닉, 니로 등의 자동차에 적용한


판재의 경우, 세계 최대 알루미늄 판재 메이커인 노벨리스에서 개발한
'노벨리스 어드밴즈(Novelis Advanz)'를 전량 수입하여 적용

❍ 경량화 위한 판재 적용에 적극적 의지를 보이나 자동차 차체용 알루미


늄 판재를 제조하는 국내 알루미늄 기업이 없는 관계로 향후 자동차
차체에 대한 알루미늄 판재의 적용이 본격화 될 경우 소재수급에 있
어 문제점을 안고 있음.

❍ 이미 해외는 차량 경량화를 위한 알루미늄 경량소재의 적용이 1차 도


입기로 분류될 수 있는 차량구성 부품의 경량화에 대해 실제적용에
도달한 후, 2차 도입기인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자동차 구성 Panel
제작, BIW(Body in white, 차체) 제작 등이 완성되어 이미 유럽과 북미

- 32 -
그리고 일본에서는 상용차에 적용,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음.

q 국외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한 차량 경량화

❍ 알루미늄 합금의 자동차 적용 비율은 최근 5년간 약 80% 이상의 성장


을 나타내고 있다. 1996년 차량 1대당 알루미늄 합금 적용 중량은 약
110kg으로, 2015년에는 약 300kg 정도가 적용되었으며, 향 후 계속 증
가 될 것으로 예상. 현재 알루미늄 판재 자동차 부품 은 주로 Hood,
Fender 그리고 Door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일부 차량은 차량 Body 전
체를 알루미늄 합금 판재를 적용하여 자동차 경량화를 달성.

❍ 알루미늄에 의한 자동차 부품은 크게 주조에 의한 단일부품과 압출재


및 판재를 성형가공 한 Panel 혹은 Fram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
럽에서 2015년 현재 자동차에 적용되는 약 800 kton의 알루미늄 부품
중 65%가 주조공정을 통해 부품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주요 생산품은
Intake manifold, Cylinder head 등임.

❍ 가공주변기술 발달과 더불어 차량 경량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알


루미늄 판재 적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알루미늄 판
재를 통해 제조되는 부품이 전체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의 20%를 차
지. 이러한 알루미늄 판재 사용은 Monocoque 또는 Space frame type
의 BIW의 제조, Closures 혹은 Hang-ones로 구분되는 Hood, Door,
Roof, Trunk-lid, Fender 등의 제조 등에 매우 활발히 적용되고 있으며
향 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 2015년 유럽에서 사용되어진 알루미늄 판재는 약 160kton으로, 이중


Hang-ones 부품이 8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32%의 판재가 BIW

- 33 -
<그림Ⅰ-18>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의 주요제조 공정 적용비율, 유럽
Ref: Ducker Worldwide, 2015


제조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Hang-ones 부품의 경우 현재 생산차량에


대해 추가 적용이 가능하지만 BIW의 경우 개발되어지는 차량에 한해
모두 적용될 수 있기 때문.

❍ 알루미늄 판재 적용 자동차 부품은 Hood가 Hang-one 부품 중 60%로


많은 비율을 점하고 있으며, Fender와 Door가 각각 22%와 35%를 차
지.

❍ 경량화 효과가 비교적 큰 Door의 경우 내부 Panel의 성형이 까다롭고


높은 안전도가 요구되나 그 적용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BIW 제
조시 알루미늄 판재는 주로 Front module에 적용되며, 2015년 BMW 5
series와 2017년의 7 series의 경우 알루미늄 판재를 이용하여 Front
end, Hood, Door 등 많은 부품에 적용.

- 34 -
<그림Ⅰ-19> 미국, 캐나다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의 제조 공정별 적용비율
(자동차 1대당 무게비, Ref: Ducker Worldwide, 2015)

❍ 북미의 경우 2015년 차량당 평균 179Kg에서 2025년 248Kg정도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Alcoa와 Novelis는 각각 미국과 중국에 자동
차용 알루미늄 합금판재 생산을 위한 대규모의 시설투자 완료 


❍ 특히 자동차 차체용 알루미늄 판재의 경우 알루미늄 전체 사용량대비


2012년 6%정도에서 2025년까지 31%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그
수요시장 성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됨.

- 35 -
<그림Ⅰ-20> 2017년형 Audi TT coupe 차체 적용 소재 및 종류

❍ 2017년형 Audi TT coupe의 경우, 차체 결합은 Alcan에서 개발한 AVT


(Aluminum Vehicle Technology)를 기반으로 구조용 접착제 접합과
Spot 용접 기술을 이용, 조립하여 결합부의 피로 저항성을 현저히 개
선하므로 320kg 정도의 차량 경량화를 이루었으며, 270kg의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고 이중 45%인 약 120kg의 판재를 사용.

- 36 -
<그림Ⅰ-21> 2017년 Audi A8의 알루미늄 판재와 압출재를 이용한 BIW

❍ Alcoa의 경우 최근 알루미늄 판재 생산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연속제조공정인 '마이크로밀(Micromill)' 기술을 개발하여 적극 홍보하
고 있음. 알코아에 따르면 기존 20일이 소요되는 알루미늄합금 판재
제조 공정이 20분으로 대폭 단축되었음. 또한 유명 완성차 메이커인
포드사와 공동연구를 통하여 뉴 F-150의 테일게이트에 신공정으로 개
발된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였으며, 추후 플로어 팬 터널과 휠하우스
도 개발된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작될 예정임.

❍ 자동차용 판재 합금으로 본격적으로 개발된 것은 Reynold사에 의한


2036-T4와 5182-O이며 2036-T4는 5182-O보다 강도는 높지만 성형성
은 낮다. 5182-O는 Stamping시 특유한 Stretcher strain mark가 발생되
므로, 이것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강도도 높은 2036-T4를 외부 Panel
에, 5182-O는 내부 Panel에 적용.

- 37 -
<그림Ⅰ-22> Alcoa사의 마이크로 밀 공정(좌)과
신 알루미늄 합금 판재적용 Ford사 F 150(우)

❍ 5182 합금의 제조법 개량에 의해 SS mark의 발생을 억제한 5182-SSF


가 개발되어 외부 Panel에 사용하였고 2036 합금이나 5182 합금은 성
형 후 Paint baking 과정에 의해 강도가 약간 저하하는 문제점이 제기
되어, 향 후 Paint baking 과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효경화 시킴
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Bake hardening 특성을 보이는 합금 및 조직
제어 기술이 요구.

❍ Alcoa사에서는 Paint baking 과정 중 강도가 현저히 상승되는 Al-Mg-Si


계 합금인 6009 및 6010을 개발. 이들 합금은 2036 합금이나 5182 합
금보다 강도, 성형성이 우수하여, 외부 Panel에는 2036 합금대신 6010
합금을, 내부에는 6009 합금을 적용함으로 판재 두께를 줄이고 내, 외
부 Panel이 모두 비슷한 조성의 Al-Mg-Si 합금이므로 차량 폐차시
Recycling에 대한 경제성이 우수.

❍ Alcan사에서는 6009, 6010계 합금의 특성에 대해 첨가원소인 Cu, Mg,


Fe, Si의 영향을 검토하여 6111 합금을 개발. 6111 합금은 6010 합금
과 비슷한 강도와 함께 우수한 성형성, 특히 양호한 굽힘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

- 38 -
❍ 현재 북미의 경우 외부 Panel은 6111 합금, 내부 Panel은 6111, 5182,
2008, 구조용 Sheet는 5754 합금을 주로 적용하며 유럽의 경우 Cu 첨
가량이 매우 낮은 6016, 6022 합금을 외부 Panel에, 5051, 5182, 6181
합금 등을 내부 Panel에 주로 적용.

❍ 일본의 경우 정확한 합금계는 알려지고 있지 않지만 Hood 제조시 Cu


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Cu의 함량이 거의 없는 6000계(6022,
6016) 합금을 적용.

<표Ⅰ-8> 북미와 EU의 차량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 채용 현황

Europe North America


Outer panels
Alloy 6016-T4 6111-T4
Surface texture EDT or EBT MF
pickling +
Pre-treatment none
Zr/Ti conversion
Lubrication oil or dry lubricant oil
Inner panels
Alloy 5051 / 5182 / 6181 6111 / 2008 / 5182
Surface texture EDT or EBT MF
pickling +
Pre-treatment none
Zr/Ti conversion
Lubrication oil or dry lubricant oil
Structure / sheet
Alloy 6xxx-T4 5754
Surface texture EDT MF
pickling +
Pre-treatment conversion
Zr/Ti conversion
Lubrication oil or dry lubricant oil
Structure / extrusion
Alloy 6xxx 6xxx

- 39 -
<표Ⅰ-9> 차체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의 기계적 특성
2008 2008 5182 5754 6111 6111
-T4 -T62 -O -O -T4 -T41
Ultimate Tensile Strength
250 300 275 220 280 270
(MPa)
Tensile Yield Strength 1)
125 240 130 100 150 150
(MPa)
Elongation in 50mm
28 13 24 26 26 26
(%)
Ultimate Shear Strength
145 180 165 130 175 160
(MPa)
Modulus of Elasticity
70 70 71 70 69 69
average 2)(GPa)
(Notes : [1] Offset = 0.2%, [2] Average for tensile and compressive loading)

❍ 유럽의 British Leyland사에서는 1930년대 Rober의 Hood, Door,


Trunk-lid 에 5154 합금, 1970년 이후 Rober 2000/3500에는 2117 합금
이 사용.

❍ 상기의 내용을 정리하면, 자동차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에는 주로 5000


계(Al-Mg계) 합금과 6000계 (Al-Mg-Si계)합금을 주로 사용.

❍ 5000계 알루미늄 합금은 고용강화원소인 Mg의 첨가로 가공경화 효과


를 증대함으로서 고강도 및 고성형성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
그러나 차체성형시 표면에 스트레쳐 스트레인 마크(stretcher strain
mark)가 발생하므로 주로 내판에 적용되며, 강성과 내덴트성이 요구되
는 차체의 외판으로는 비교적 강도와 성형성이 높고 도장소부 경화처
리 후 강도가 향상되는 6000계 합금이 사용.

❍ 최근에는 소부경화성과 표면도장성이 우수한 6xxx계 알루미늄합금이


차체 외판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재활용성을 위해 내판까지도 적용
되는 추세 임.

- 40 -
<표Ⅰ-10> EU의 알루미늄 차량적용 현황

Car maker Models Parts


A8 All aluminum body
A2 All aluminum body
AUDI
A6 Hood, Fender
TT Hood
BENZ E Hood, Trunk-lid, Fender
DAIMLER BENZ E Hood
BENZ E Hood, Roof
7 series Hood, Fender
6 series Hood, Fender
BMW
5 series Hood, Fender
Z4 Hood
LUPO Hood, Fender, Door
VW TOUAREG Hood, Fender
PHAETON Hood, Trunk-lid, Door
LAGUNA Hood
RENULT
VEL SATIS Hood, Door
307 Hood
PEUGEOT 607 Hood
807 Roof
C5 Hood
CITOROEN
C8 Roof
S60 Hood, Trunk-lid
VOLVO V70 Hood, Backdoor
S80 Hood
SAAB 9-3 Hood

JAGUAR XJ All aluminum body

LAND ROVER RANGE ROVER Hood, Fender, Door

ASTON MARTIN DB9 All aluminum body

- 41 -
<표Ⅰ-11> 북미의 알루미늄 차량적용 현황

Car maker Models Parts


LINCOLN LS Hood, Fender, Trunk-lid
TOWN CAR Hood
F150 Hood
FORD
RANGER Hood
EXPLORER Hood, Fender
EXPEDITION Hood, Tailgate
CONCORDE Hood
CHRYSLER LHS Hood
PROWLER Hood, Door, Trunk-lid
AURORA Hood
PARK AVENUE Hood
LE SABRE Hood
DEVILLE Hood
DEVILLE Hood
BONNNEVILLE Hood
SILHOUETTE Hood
GM VENTURE Hood
MONTANA Hood
CADILAC-CTS Hood
RENDEZVOUS Hood
SUBURBAN Lift-gate
YUKON Lift-gate
TAHOE Lift-gate
ESCALADE Lift-gate

- 42 -
<표Ⅰ-12> 일본의 알루미늄 차량적용 현황

Car maker Models Parts


CROWN Hood
TOYOTA PRIUS Hood, Back door
SOAREW Hood, Roof
FUGA Hood, Door, Trunk-lid
CIMA Hood, Trunk-lid
NISSAN
SKYLINE Hood
FZ Hood
LEGACY Hood, Back door
SUBARU IMPREZA Hood
FORESTER Hood
LEGEND Hood, Fender, Trunk-lid
HONDA INSIGHT All aluminum body
NSX All aluminum body
RX-8 Hood, Door
MAZDA
ROADSTER Hood
MITSUBISHI LANCER Evolution Hood, Fender, Roof
DAIHATSU COPEN Hood, Roof, Trunk-lid

- 43 -
3. 알루미늄 산업의 시장 동향

q 알루미늄의 산업의 구조

❍ 알루미늄 경량소재의 경우 원소재 가격 비율이 높고 경기 변동에 민


감한 산업구조를 갖고 있으며 국내 전방 산업의 기반이 되는 산업

❍ 전방산업은 국가 기반 산업인 자동차, 조선, 가전,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을 비롯하여 우주항공, 신재생에너지, 반위, 건축 등 다양한 분야로
존재

❍ 북미 알루미늄 수요 시장의 경우 2015년 금액 기준으로 수송기기 분


야가 35.8%로 가장 높으며 포장재(캔 포함)가 18.2%, 건축 12.1%, 전자
전기 6.8% 순으로 비중을 차지

❍ 국내 수송기기 분야의 경우, 2013년 기준 31%로 가장 높으며, 건설


18%, 캔 12%, 기계장비 9%, 전자전기 9%, 소배내구재 7%, 포장재 5%
순으로 비중을 차지

❍ 후방산업은 원광석, 소재, 재활용 지금 등의 분야로 구성

<표Ⅰ-13> 국내 알루미늄 산업구조 분석

후방산업 알루미늄 경량소재 분야 전방산업

자동차, 조선, 항공,


순수 알루미늄, 합금 방위산업,
원광석, 잉곳, 리사이클링
판재, 주조재, 판재, 압출재 가전제품, 디스플레이,
반도체, 건축

- 44 -
<표Ⅰ-14> 2015년 국가별 산업내 알루미늄의 활용 분야

구분 수송기기 포장재 건축 전자전기 기계장비 일반소비재 기타

미국 35.8 18.2 12.1 6.8 6.6 6.3 14.1

유럽 39 17 24 13 - 7 -

일본 40 11 13 - 5 12 19

한국 31 17 18 9 9 7 9

Ref: The aluminum association (2015), European aluminum activity report


(2015), Japan aluminum association (2015)

❍ 알루미늄 산업은 주로 대규모 장비 투자가 필요한 분야로 북미/일본


등 선진업체 위주로 투자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 Alcoa는 아이오와(3억 달러)와 테네시(2.75억 달러) 공장 증설을 위해


5.75억 달러 투자하였으며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 공략
을 위하여 사우디아라비아에 3.8억 달러를 투자

❍ Novelis는 뉴욕주 Oswego 공장을 포함, 독일 및 중국공장 개선을 위해


5.5억 달러 투자하는 등 자동차용 알루미늄 생산을 위한 대규모 시설
투자에 착수

❍ GM의 경우 2018년까지 알루미늄 차체를 전면 적용한 픽업트럭을 개


발하기 위해 Alcoa 및 Novelis와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주력모델인
쉐보레 실버라도와 GMC 시에라 2019년형에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

- 45 -
❍ 일본은 KOBE STEEL, 도요타 통상 등과 합작으로 미국 내 자동차용
알미늄 판재공장 설립을 검토 하고 있으며 ’13년 6월 유럽 알루미늄
메이커인 Hydro사와 자동차 알루미늄 판재에 관한 기술협 력 협의,
’13년 9월 중국 텐진에 알루미늄 판재 제조/판매회사 설립 결정 등
사업화를 진행 중

<표Ⅰ-15> 국내 알루미늄 산업체와 주요 해외 경쟁사

구분 경쟁환경

기술분류 알루미늄 판재 알루미늄 압출재 알루미늄 주조재

주요 품목 및 고강도 알루미늄 판재, 고성형성 알루미늄 판재, 고강도 압출재, 대형


기술 주조재, 고성능 다이캐스팅재, 표면처리 향상 다이캐스팅재

Aloca(미국),
Novelis(미국),
Hindalco(인도), Hydro(독일),
Alcoa(미국),
Novelis(미국), Aleris(유럽), Alcoa(미국),
해외기업 ATEK(미국),
UACJ(일본), 고베철강(일본), Constellium(유럽),
RCM(미국), Texas
Chinalco(중국), Zhongwang(중국)
Die casting(미국)
Kaiser(미국)

성훈엔지니어링,
노벨리스, 조일 알루미늄, 알루코, 남섬알미늄,
동남정밀, 인지
대호에이엘, 대창 AT, 롯데 신양, 새서울, 동양
국내기업 A&T, 삼기기공,
알루미늄, 동원 알루미늄, AK, 고강,
깁스코리아,
삼아알루미늄, 동일알루미늄 알코아코리아
대신금속

- 46 -
❍ 국내 알루미늄 판재 제조사는 DC Casting 및 Strip Casting 공정으로
양분되어 생산 및 기술개발 중이며, 대부분 일반재, 식음료, 건축용 및
전자기기용 소재로 1000, 3000, 5000 및 6000계 합금을 생산

❍ Mg 함량이 높거나 Mg2Si 석출강화 효과가 큰 고강도 소재의 경우에는


대부분 수입이 의존하고 있으며, 현재는 1000계, 3000계, 5000계의
A5052 및 6000계의 A6061 정도의 저/중강도 소재를 위주로 양산

❍ 국내 알루미늄 경량소재 분야에서 가공재의 경우 주로 중견기업 이상


의 업체에서 생산 중이며, 주조재의 경우 중소기업 위주로 제품 생산

❍ 알루미늄 합금 판재는 노벨리스코리아, 조일알미늄, 대창AT에서 주로


생산하고, 압출재는 알루코, 신양, 동양AK, 남선알미늄 등 다수의 업체
에서 생산

❍ 롯데알미늄, 동원알미늄, 동일알루미늄, 삼아알미늄 등에서 알루미늄


호일 생산

❍ 주조재의 경우 동남정밀, 인지A&T 등의 업체를 비롯한 소규모 다수


업체에서 생산


- 47 -
q 알루미늄의 산업의 세계시장 분석

❍ 알루미늄 산업에서 전체적인 소비 규모 및 성장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신흥국가들이 주도 중이며, 다른 경량 비철금속 중 시장 성
장률이 9% 이상으로 가장 높음. 향 후 지속적인 성장 잠재력이 가장
우수한 소재로 인식.

❍ 2015년 기준 알루미늄 순 지금 생산량은 중국 31.7백만톤이며, (전 세


계 56백만톤), 2015년 기준 세계 알루미늄 시장 규모는 408억불.

❍ 2010년~2015년 동안 알루미늄의 세계 평균 소비는 5.3%씩 증가, 2015


년 기준으로 세계 알루미늄 시장은 약 5,700만톤으로, 수송재(27%,
1,540만 톤), 건설재(25%, 1,430만 톤), 포일재(16%, 910만 톤), 전기제
품(13%, 740만 톤), 기계 및 장비(9%, 510만톤), 소비재(5%, 290만톤),
기타(5%, 280만 톤)임

<표Ⅰ-16> 세계 비철 경량금속 시장규모 (단위: 백만달러)

2013년도 2014년도 2015년도 2016년도 성장률 평균

알루미늄 34,274 37,408 40,850 44,608 9.2%

마그네슘 2,405 2,576 2,732 3,005 8.0%

타이타늄 7,892 8,371 8,893 9,459 6.3%

합계 44,571 48,355 52,475 57,072

(Ref: Lightweight Materials Market_Global trends and Forcasts to 2019 (Markets and
Markets, 2014)

- 48 -
<그림Ⅰ-23> 세계 재료별 시장 점유율
(Ref: Lightweight Materials Market_Global trends and Forcasts to 2019 (Markets and
Markets, 2014)

❍ 세계 알루미늄 시장은 수송기기가 선진국 중심의 연비 규제로 인한


자동차 경량화 소재 수요 증가로 2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그 다
음으로는 건설 분야로 중국 등 개발도상국의 도시화와 산업 발전에
따른 수요로 25%를 차지.

❍ 2015년 기준 경량소재의 경쟁관계에 있는 마그네슘 시장규모와 비교


시 약 15배를 나타내고 있으며, 성장률에 따른 향 후 시장 규모는 지
속적으로 차이가 날 것으로 추정.

❍ 최근 수송기기 경량화 요구 힘입어 자동차, 철도, 선박 등 다양한 분


야에 응용 확대가 기대되 며 고급, 대형, 친환경 등 프리미엄 제품 선
호 소비 트렌트에 따른 프리미엄 소재로 각광받아 급속한 시장 확대
전망.

- 49 -
<그림Ⅰ-24> 국가별 알루미늄 시장 점유율
(Ref: Lightweight Materials Market_Global trends and Forcasts to 2019 (Markets and
Markets, 2014)

❍ 수송기기용 알루미늄 시장은 향후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 국외 수송기기용 알루미늄 시장은 연평균 11.6%의 성장률을 보이며,


2015년 377억 달러에서 2021년 727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
으로 전망 (출처 : ‘Lightweight Materials in Transportation, BCC
Research, 2015)

❍ Toyota, Volkswagen 등 글로벌 자동차업체들은 연비 향상을 위한 자체


적인 경량화 플랜을 설정 하고 관련 기술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알루미늄을 비롯한 비철 금속 등 차량 경량화 소재의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

- 50 -
<그림Ⅰ-25> 차량 1대당 사용 알루미늄 합금량
(Ref: Ducker World wide & The Aluminum Association, Kotra 해외시장뉴스, 2015)

❍ 대표적인 수송기기인 자동차에 활용되고 있는 알루미늄합금 부품이


엔진/ 변속기 케이스 및 횔 등 에서 차체 판넬류 등으로 급속히 확대
되고 있는 추세

❍ 세계적인 연비규제, 환경규제 등으로 후드, 도어, 테일게이트, 펜더, 루


프를 비롯한 모든 차체 (BIW)와 구조물에 알루미늄 적용 확대

❍ 알루미늄 판재는 박판의 호일과 패키징 분야가 안정적 인 시장규모를


바탕으로 성장을 하고 있으며, 특히 IT 분야의 프레임및자동차분야와
같은고부가가치판재산업은일본 및 유럽 등의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음.

- 51 -
<표Ⅰ-17> 세계 주요 알루미늄 업체 및 사업내용

업체명 주요 생산품 및 사업내용

- 항공 산업용 알루미늄 고력 합금 압출 및 단조제품


- 방위 산업용 알루미늄 합금 제품, 승용차 및 소형트럭
ALCOA
- 냉연 및 압출 알루미늄 제품, 전기/통신/수송장비 부품
및 레저용품 생산

- 재활용 재료를 사용한 음료 패키징(캔)


- 자동차, 트럭 및 고속 철도용 알루미늄 제품
Novelis
- 건축용 알루미늄 제품, 알루미늄 인쇄판
- 전자제품 소비재 및 산업/가정용 알루미늄 제품 생산

- 알루미늄 압연판, 알루미늄 박, 알루미늄 클래드 판 및


박, 고강도 알루미늄 압출재
UACJ
- 알루미늄 캔용 소재, 자동차 차체용 고성형성 판재
- 대형 수송기기용 압출형재 및 산업용 부품 제작

- 유럽 대표 알루미늄 생산 전문기업
- 자동차 차체용 알루미늄 합금 판재
Hydro - 수송기기용 알루미늄 고력 합금 압출 및 단조제품
- 승용차용 냉연 및 압출 알루미늄 제품
- 전기/통신/ 수송장비 부품 및 레저용품

- 중국 최대 알루미늄 생산 전문기업

- 알루미늄 신지금 생산,
Chinalco - 순알루미늄계 합금 판재 및 형재,
- 건축용 알루미늄 압출재 및 형재,
- 고속전철용 고강도 압출형재, 알루미늄 포장재 등

❍ 알루미늄 후판은 전체 알루미늄 판재시장에서 점유율이 10% 내외임에


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는 이유는 소품종 소량생
산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항공 및 국방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
면서도 고부가가치산업이기 때문임.

- 52 -
❍ 미국 Alcoa의 경우 알루미늄 후판제품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항공
기용 소재 중심으로 기술개발 진행

❍ 일본의 UACJ는 조선용 후판의 경우 열연판 기준으로 폭 2m를 일본


내에 공급하고 있으며, 항공용 후판재(열처리)를 생산하여 전 세계에
공급

❍ 알루미늄 압출재 분야는 건축 기자재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있으나, 판재와 유사하게 자동차, 가전 및 기계 부품을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부품 분야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음.

<표Ⅰ-18> 자동차용 고기능성 합금의 세계 시장현황 및 전망


(단위: 백만달러, kt)

2013년도 2014년도 2015년도 2020년도

1,336 1,377 1,420 1,708


알루미늄
234 238 244 260

204 209 215 251


마그네슘
36 37 38 46

229 257 265 320


타이타늄
40 42 43 48

(Ref: Lightweight Materials Market_Global trends and Forcasts to 2019 (Markets and
Markets, 2014)

- 53 -
❍ 알루미늄 주조재의 가장 큰 적용 분야는 수송기계 산업이 유럽의 경
우 70% 이상을 차지하며, 이러한 적용 분야별 점유율은 대부분의 국
가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 알루미늄 주조산업은 기존의 수송
기계에서 단순 하우징류에 적용되던 것에서 벗어나서 차체, 샤시 및
파워트레인 부품까지 다양하게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수송기계 분야의 높은 점유율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자동차의 연비규제 및 이산화탄소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


라 자동차 경량화의 요구는 증가하고 있으며 부품 및 모듈을 경량화
할 수 있는 소재/부품 개발이 주요 이슈로 부상.

❍ 자동차의 경량화를 위해서 기존의 철강소재를 대체할 알루미늄, 플라


스틱 등 신소재 적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알루미늄을 위주로 마그네
슘, 고장력강, 플라스틱복합재료 등이 경량화 부품/소재로 적용하는 시
도가 진행.

❍ 전기차를 위주로 한 친환경 미래형자동차, 차세대 고속철도, 조선, 항


공분야의 고성능 경량소재로 알루미늄이 각광받고 있으며, 각종 수송
기기의 고성능 경량화 추세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알
루미늄 소재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현재 자동차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대당 140Kg 정도로 경량화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그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차체 및 샤
시부품의 경우 13%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차체경량화에 대한 지속적
인 수요증가에 따라 그 사용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54 -
q 알루미늄의 산업의 국내시장 분석

<그림Ⅰ-26> 국내 알루미늄 부품소재산업 생산액


(Ref: 통계청 산업정보통계 재가공, 2002~2012년)

❍ 국내 알루미늄 시장은 세계시장 대비 성장률이 다소 높은 편이며, 원


소재 가격 변동에 따른 시장 변동이 클 것으로 예상

❍ 알루미늄관련 부품소재산업의 생산액은 1993년 1조 4천억 원 규모에


서 연평균 12.7%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2012년에 약 13조원 규모
로 대폭 성장.

❍ 알루미늄 부품소재 산업은 2012년을 기준으로 제조업의 0.82% 매출액


인 약 13조원 정도의 매출액을 차지하고 있으며, 1차 비철금속산업의
38%를 차지하고 있음.

- 55 -
<그림Ⅰ-27> 국내 알루미늄 부품소재산업 부가가치액
(Ref: 통계청 산업정보통계 재가공, 2002~2012년)

❍ 2015년 기준 국내의 알루미늄 소재 시장은 2조 6천억 원 규모로


2013~2015년 12%의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유지시 향
후 2020년 소재시장만으로도 약 4조 6천억 원 규모로 성장 예측.

❍ 알루미늄 경량소재분야 선진 업체들은 생산량을 유지하면서 고기능


합금제품을 개발하는데 집중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의 경우 소재를 수
입하여 가공하는 중소형 가공업체들로 구성.

❍ 알루미늄 판재의 경우, 2015년을 기준으로 약 829천톤의 수요가 있었


으며, 알루미늄 부품소재 산업 매출액의 절반 수준인 6조원 정도를 차
지하고 있지만,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자동차, 조선, 반도체 및 IT 분
야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는 일본 및 유럽에서 80천톤 정도를 전량 수
입하여, 해외 메이커에 시장을 내주고 있는 상황임.

- 56 -
<그림Ⅰ-28> 2015년 국내 알루미늄 Value chain

❍ 2015년 알루미늄 합금의 Value chain을 확인해보면, 국내 생산 알루미


늄 총량은 약 1,600천톤이며, 이 중 52%인 829천톤이 압연공정에 의해
생산된 판재가 대부분을 차지. 국내 알루미늄 자동차 경량화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주조에 의한 알루미늄 부품이 28%인 450천톤이 생
산 및 소비.

- 57 -
<그림Ⅰ-25> 국내 알루미늄 부품소재산업의
(가) 사업체수 및 (나) 종업원 수
(Ref: 통계청 산업정보통계 재가공, 2002~2012년)

❍ 알루미늄 압출재는 판재에 비하여 핵심소재에 대한 수입이 거의 없으


며, 2010년을 기준으로 약 280천톤 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던 건축 기자재의 수요는 감소하고, 전기전자, 조선
및 자동차 등의 고부가가치 분야의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
며, 이러한 시장동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58 -
<표Ⅰ-19> 국내 알루미늄 소재산업의 지역별 사업체와 종사자수

주조 압연, 압출, 연신재 잉곳제조 전 체

사업체수 종사자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사업체수 종사자수


(개) (명) (개) (명) (개) (명) (개) (명)

전  국 492 4,838 715 12,677 253 3,587 1,460 21,102

서  울 39 85 38 363 6 43 83 491

부  산 28 150 23 168 6 48 57 366

대  구 65 572 31 707 11 86 107 1,365

인  천 56 650 63 693 18 134 137 1,477

광  주 2 39 9 112 1 5 12 156

대  전 4 13 9 307 4 20 17 340

울  산 5 52 8 784 11 238 24 1,074

세  종 1 5 4 155 - - 5 160

경  기 208 2,008 328 4,980 73 906 609 7,894

강  원 2 24 6 16 - - 8 40

충  북 7 117 30 477 15 234 52 828

충  남 4 118 40 957 22 478 66 1,553

전  북 3 98 19 397 11 410 33 905

전  남 4 26 5 22 10 289 19 337

경  북 22 212 59 1,839 27 325 108 2,376

경  남 42 669 42 699 37 369 121 1,737

제  주 - - 1 1 1 2 2 3

(Ref: 통계청 산업정보통계 재가공, 2014년)

- 59 -
<표Ⅰ-20> 국내 알루미늄 알루미늄 소재 시장 규모 및 향후 전망
(단위: 천억원)

2014 2015 2016 2017 2018 2020 CAGR %

23.1 25 29 32.5 36.5 46.1 12.1

(Ref: Lightweight Materials Market_Global trends and Forcasts to 2019


(Markets and Markets, 2014)

❍ 알루미늄 주조재 시장은 압출재와 비슷하게 핵심소재에 대한 수입이


거의 없으며, 대부분 KS 규격 소재를 수입한 원소재를 이용하여 국내
에서 합금화하여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2010 년을 기준으로 약 500
천톤 정도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고, 알루미늄 주조재 시장의 가장 큰
전방산업이 자동차 산업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국내 생산량이 늘어남
에 따라서 자동차 산업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알루미늄 경량화 소재의 자동차 분야의 활용은 알루미늄 All-body 상


용화가 추진되면서 차체 위주의 적용 확대가 예상되고, 완성차 업체들
의 안정적 조달체계 구축으로 관련분야 기업의 시 장진입이 점차 증
가할 것으로 판단

❍ 초경량 부품 및 차체개발에 있어서 비용과 경량화 측면에서 새로운


소재의 선정이 고려되고 있으며, 경량화를 최대화하면서도 비용 상승
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Multi-Materials 개념의 소재개발에 역점

❍ 주조-전신재 양방향 대응을 통한 재활용성 소재개발 중으로 경제적으


로 알루미늄 차체 및 샤시 부품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60 -
❍ 알루미늄 경량화 소재 시장은 도입기에 있는 시장으로서 선점 기업의
시장 영향력이 높아 초기 진입장벽은 다소 높은 것으로 판단

❍ 자동차 부품시장 측면에서 국내외 시장 모두 시장의 포화가 진행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는 성숙기 시장이라 볼 수 있으나 자동차 부품
의 경량화 추세 관련된 소재부품(경량화 알루미늄 소재 등)시장의 경
우 향후 신 합금 기술개발 및 상용화 추세를 고려하면 도입기 시장으
로 판단

❍ 정부는 2016년 11월 친환경 LNG선 도입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항만시


설 사용료 감면 등 선박 유 인 제도를 시행 중

❍ 현행 국제 가스운반선 기준(IGC Code)은 LNG 연료탱크 및 파이프는


니켈합금강, 스테인리스강, 9% 니켈강, 알루미늄합금 등 4가지 소재만
사용하도록 규정 


❍ 국제가스운반선기준에 부합하는 저가, 경량, 동급품질의 Al합금 개발이


요구되며 극저온 사용 및 형상 성형이 가능한 저가, 경량 품질의 Al합
금 개발을 통한 세계 시장 선점 기대 


- 61 -
<표Ⅰ-21> 국내 주요 알루미늄 업체 및 사업내용

업체명 주요 생산품 및 사업내용

- 알루미늄 압연재 제조/보관/가공/판매


조일알루미늄 (슬라브, 플레이트, 시트, 코일 제조)
- 주로 연속주조방식의 국내외 대표기업

- 알루미늄 압연재 제조/보관/가공/판매


뉴알텍
(슬라브, 플레이트, 시트, 코일 제조)

- 자동차, 선박, 고속전철 등 수송기계 경량화 소재/부품


알루코 - 650mm 산업용 압출형재,
- 전자/통신용 각종 소재부품, 건축 자재 개발 및 생산

- 자동차 및 각종 산업기기 부품 제조용 알루미늄 합금


동남 잉곳 생산
- 각종 주물용 코아 및 주형제조용 주물사 생산

- 엔진 및 자동차변속기 부품, 하이브리드 자동차 부품


인지 AMT
- 고속전철용 마그네슘제 등 경량소재 부품 생산

- 62 -
4. 선진국가 및 국내 알루미늄 산업 육성 사례

q 국내의 알루미늄 소재 산업 지원 현황

❍ 지난 20년간 지식경제부를 통하여 지원된 연구개발지원은 총 106건이


며, 매년 5건 정도의 알루미늄 관련 연구개발 신규지원이 이루어졌고,
대부분의 과제가 2-3년의 연구개발 기간으로 연간 10건의 이상의 연
구개발 지원.

❍ 지식경제부 사업 중에서 알루미늄과 관련된 사업은 부품소재 기술개


발 사업이 가장 많은 40건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통핵심 기술개발 사
업과 청정생산기반기술개발사업 및 첫걸음부품소재 기술개발사업 수
행되었으며,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과 ATC 사업은 지원이 미미.

<그림Ⅰ-30> 알루미늄 분야의 연도별 신규 연구개발 지원 현황(좌)과


지식경제부 연구과제 지원 중 알루미늄 분야의 사업별 지원 현황(우)
(Ref: 1990년~2011년, NTIS)

- 63 -
<그림Ⅰ-31> 알루미늄 분야의 지원과제 주관기관별 지원현황
(Ref: 1990년~2011년, NTIS)

❍ 알루미늄 관련 지원과제의 주관기관에서 대기업의 비중은 타분야에


비하여 낮은 12% 정도이며, 연구소 및 조합 비율도 대기업 정도의 수
준이지만, 중소기업은 지원과제의 75% 이상을 차지, 국내의 알루미늄
산업이 중소기업형 산업임을 반영.

❍ 국내의 알루미늄 산업은 중소기업이 주도하고 있지만, 생산제품의 최


종적용 분야는 국내 산업의 주력 분야인 전기전자, 자동차 및 기계분
야 등에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서는 단
발성의 과제지원이 아니라 장기간의 원천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도 필
요한 상황

❍ 결국, 국내의 알루미늄 부품소재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소재 및 설비의 원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현재 정부지원 과제의 86% 이상이 부품단위로 지원되고 있는 것이 현
실이며, 원천기술이 아니라 제품의 설계, 시작품 제작 및 평가 등의
과정으로 그 부품이 적용되는 최종 대기업으로 수혜가 집중되는 결과
를 보이고 있음.

- 64 -
<그림Ⅰ-32> 알루미늄 분야 정부 연구과제의 적용 공법별(좌),
최종 적용 분야별(우) 지원 현황 (Ref: 1990년~2011년, NTIS)

q 국외의 알루미늄 소재 산업 지원 현황

❍ 미국: 에너지성 주관으로 알루미늄 소재 산업 확장과 차량 경량화 목


표 달성을 위해 "Vehicle Technology Program(VTP)"의 소재 연구 개
발을 통하여 차량 경량화 목표를 현재의 50%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목
표 설정.

❍ 유럽연합(EU): 9개국 38개 기관의 컨소시엄(EUCAR) 구성하고 슈퍼라


이트카(SuperLIGHT-CAR, SLC) 프로젝트('05∼'09)를 수행하여, 알루미
늄 및 마그네슘 등의 경량금속 및 이종/혼합소재 (Multi-Materials
Integration) 적용기술 개발로 차체중량 및 원소재 각각 30% 감소, 제
조원가는 5 EUR/kg 이내의 목표를 달성.

- 65 -
<표Ⅰ-22>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소재기술관련 주요국 연구개발 프로그램

국가 주요 연구 내용

Vehicle Technology Program, Lightweight Materials의 3대


중점 추진 분야
미국 – 소재 및 제조공정 : 특성향상 및 low-cost 공정 개발

- 모델링 및 전산재료과학 : 접합, 방식 및 특성예측

- 이종/혼합소재 적용(Multi-material Enabling)

SuperLIGHT-CAR 프로젝트 Phase I 수행('05∼'09)



- 경량소재 및 이종/혼합소재 적용에 의한 차체중량 감소
European Green Car Initiative 기획 중

유럽
- 경량금속소재, 중공형 소재, 이종소재 개발 및 차체
경량화 관련 부품제조 공정, 평가기술, 모델링 기술개발
추진

혁신적 신구조재료기술개발 프로젝트 수행 중


- 수송기기 경량화를 위하여 새로운 고비강도 철강,
일본
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타이타늄합금, CFRP 소재
개발 및 접합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

❍ 유럽연합(EU): 2012년부터 유럽그린카프로젝트(European Green Car


Initiative FP7)을 통하여 차세대 환경친화형 전기자동차용 첨단 경량소
재 및 부품개발을 수행 중이며, 이를 통하여 SLC 프로젝트에서 달성
한 차체중량 감소의 20% 이상을 추가로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일본: 2013년부터는 일본 경제산업성 주관으로 미래파이오니어 프로젝


트의 일부로서 "혁신적 신구조재료기술개발”을 수행. 자동차를 중심
으로 한 수송기기 경량화를 위하여 새로운 고비강도 철강, 알루미늄합
금, 마그네슘합금, 타이타늄합금,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 개
발 및 접합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

- 66 -
Ⅱ. 경상북도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의
필요성

1. 경북도 북부권 제조산업 여건


가. 경북 북부권의 정의
❍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던 경북도청이 이전되는 안동시 예천군 경
계지역을 중심으로 한 경북 북부권의 정의는 다소 유동적이었으나,
2012년 경상북도 종합계획(2012∼2020)에서는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봉화군, 영양군 및 청송군의 8개 시 군으로 정의한 바
있어, 본 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북부자원권인 이들 8개 시군을 경북
북부권으로 정의함.

자료 : 경상북도 종합계획(2012∼2020)
<그림 Ⅱ-1> 경상북도 시 군 및 권역 구분

- 67 -
나. 경북 북부권 산업의 일반현황
❍ 경북 북부권 시·군의 산업 현황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각 시군에서
산출되는 특용작물, 연고 자원 및 차별화 되어 가고 있는 산업의 특색
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음.

❍ 영주시의 산업
1) 관동지방의 지하자원을 영남지방으로 연결하는 수송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산지가 많은 편이지만, 침식분지도 발달해 경지율은 21.9%로
논농사와 밭농사 모두 활발함.
2) 주요 농산물은 쌀·보리 등이며, 하수오·도라지·인삼 등 특용작물
의 재배가 활발함. 특히, 풍기에서 산출되는 인삼에 대한 가공 산업
기반이 견고히 구축되어 있으며, 사과·배·복숭아 등 과실류의 생산
도 증가하고 있음.
3) 장수면에서는 질 좋은 화강암이 산출되어 광구수가 35개까지 늘었으
며, 이를 재료로 한 석재 가공업이 발달함.
4) 또한, 1934년부터 시작된 풍기읍을 중심으로 인조견 직조공업도 활
발하여 전국 80%의 인견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5)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는 조성된 가흥농공단지, 봉현농공단지, 적서
농공단지, 장수농공단지, 반구전문농공단지 및 휴천농공단지 등지에
동양최대의 알루미늄 압연사업체인 노벨리스코리아㈜와 반도체 세정
액 제조업체인 OCI머티리얼즈㈜, 베어링 제조업체인 ㈜베어링아트 및
㈜KT&G영주공장, 인삼가공 및 인견관련제조업체 등이 소재해 있어
경북 북부권에서는 산업기반이 가장 잘 구축되어 있는 지역으로 판
단됨.

❍ 안동시의 산업
1) 안동시는 임야가 전체 면적의 71%를 차지해 경지율은 16%에 불과하
나, 관광과 보건 외에는 특별한 산업이 발달한 것이 없어서 주민들

- 68 -
은 주로 농업에 종사함.
2) 총 식량생산량 가운데 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어서 감자와 고구
마·콩·보리 등의 순으로 생산됨. 쌀은 낙동강과 반변천 주변에서
많이 생산하며, 북후는 산약의 특구로 지정되어 안동산약을 생산하
며, 북후농협에서 가공 산업의 주역을 하고 있음. 그 외 지역에는 참
깨·고추·담배·마와 같은 밭작물을 많이 재배함.
3) 특히, 마의 주요 생산지로 이로부터 생산한 안동포는 안동소주와 안
동 간고등어와 함께 안동의 대표브랜드임.
4) 수산업은 댐 건설로 생긴 안동호와 임하호에서 소규모의 내수면 어업
이 이루어지고 있음.
5) 경북 북부권에서는 가장 의료·보건 산업이 발달한 곳으로 안동병
원·성서병원 등이 규모적으로도 시설적으로도 경북 북부권의 의료
산업을 대표하면서 발전하고 있음.
6)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의 입주로 바이오산업의 기반을 닦아오며 풍산
지구에 경북바이오산업단지를 구축하고, 고부가가치 창출의 기업을
입주시키고 있음. 2014년 공장을 완성한 SK케미칼 안동 백신공장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GMP 적격 승인을 받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글로벌 백신 제품화지원단’등의 지원으로 고부가 산업인 백신제
조 산업을 대표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음.

❍ 문경시의 산업
1) 산악지대가 발달되어 경지율은 약 14.7%에 지나지 않음. 주요 농산물
은 쌀·보리·콩 등의 잡곡과 담배·참깨·들깨·땅콩 등의 특용작
물과 오미자·작약·지황 등의 약용작물도 생산하는데, 오이·수박·
참외·호박 등의 채소류와 사과·배·복숭아·포도·감 등의 과실류
의 생산량 증가가 두드러짐.
2) 많은 지하자원을 갖고 있는 천혜의 보고로 광업은 오랫동안 이 고장
의 경제를 선도해 온 주종산업으로, 매장되어 있는 광물로는 철·

- 69 -
동·아연·납·창연·휘수연·중석 등의 금속광물과 석회석·형석·
활석·규석·장석·석탄 등의 비금속광물이 있으며, 평안계와 대동계
에 각각 수매의 협탄층이 발달되어 있음.
3) 농공단지로는 산양농공단지, 마성농공단지, 가은농공단지 및 영순농
공단지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전통제조업으로 도자기·한지·호산춘
(술)·청려장(지팡이) 제조 등이 있음.

❍ 예천군의 산업
1) 논농사 위주의 농업을 하는 지역으로 경지율은 29.5%임. 쌀생산량이
경상북도 내에서 수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으며, 품질이 좋음. 주요
농산물로는 고추·담배·누에고치·닥나무·호두 등이 많이 생산됨.
예천 우시장은 그 규모가 도내에서 김천 다음으로 상위급에 속함.
2) 특산물로는 전국최대 잠업단지인 예천에서 생산 가공한 누에제품이
있으며, 공업은 자연 지하자원이 부족하고 경제적으로 이를 뒷받침할
여건이 부적합해 2차 산업은 별로 발달하지 못하였으나 식료품·비
금속 광물제품·화학제품을 제조하는 업체가 일부 소재해 있음. 전통
제조업으로는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궁장이 만드는 예천국궁이 유명
함.

❍ 봉화군의 산업
1) 경상북도 제1의 산악지대로서 경지율은 11.4%에 불과하다. 쌀 생산
은 적은 편이고, 주요 농작물은 고구마·감자·조·옥수수·콩 등의
잡곡임. 그밖에 고랭지채소를 비롯해 인삼·산수유·당귀 등의 약용
작물이 많이 생산됨.
2) 특산물로는 송이버섯·사과·딸기·수박·대추·고추 등이 있으며,
1996년부터 고랭지에 시설화훼농업을 개척해 백합·국화·안개꽃·
거베라 등을 생산하고 있음.
3) 임야면적이 넓어 2004년 현재 입목축적량은 약 932만 4,760㎥로 풍

- 70 -
부한 산림자원을 가지고 있음. 산림자원은 입목 외에도 무성한 임야
내에서 밤·호두·잣·대추·도토리·섬유원료·유지원료·버섯 등
의 임산물이 생산되며, 춘양목을 활용한 목재가공 산업 및 관광자원
도 개발하고 있음.
4) 광공업으로 석포면과 소천면에서 산출되는 납과 아연광은 국내 생산
량 제1위를 차지하고, 소천면의 옥방중석광산은 한국 제1의 질 좋은
중석광이었으나 폐광이 되었음. 석회석과 고령토가 산출됨.
5) 제1·제2 농공단지에서는 식품가공업과 섬유, 전기전자부품공업이
가동되고 있으며, 전통제조업으로는 전통한과와 전통주 및 반상기·
제기 등의 유기산업 등이 있음.

❍ 의성군의 산업
1) 경지율은 18.7%이며, 주요 농산물에 쌀·보리·콩 등의 식량 작물과
무·배추·오이·참외·수박 등 채소 및 과일·마늘·고추·참깨·
잎담배·인삼 등이 재배되고 있음.
2) 마늘은 질이 좋기로 유명하며 작약과 함께 경상북도 제일의 생산고
를 올리고 있으며, 지황·천궁·홍화도 재배하고 있음.
3) 의성과 다인면에 조성된 농공단지(의성·봉양·다인)에서는 섬유공업
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인삼·고추·마늘 등 소규모 식품가공업도
발달해 있음.

❍ 청송군의 산업
1) 경지율은 11%이나, 농업이 주된 산업으로 고추·쌀·사과·담배·
콩 등이 주생산물이며, 그밖에 참깨도 많이 재배함. 특히 사과는 당
도가 높고 과즙이 많아 지역 특산물로서, 사과수출단지가 조성되어
있음.
2) 산지가 많아 임야는 전체면적의 82%를 차지하며, 대추·상황버섯·
표고버섯 등이 많이 생산됨. 양봉을 하는 농가가 많은 편임.

- 71 -
3) 제조업은 미미하며 광업도 일부 행해지고 있는데 납석·석회석·고
령토 등이 주요 광산임. 저수량 1,020만톤, 최대발전량 600MW의 양
수발전소가 가동되고 있음.

❍ 영양군의 산업
1) 태백산맥이 종주하는 깊은 산간지역이기 때문에 경지율은 9.6%로 매
우 낮으나 농업 외에는 별다른 생산이 없음.
2) 밭작물 중에서도 고추와 잎담배는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특히 고추
재배면적은 쌀 재배면적의 약 2배에 달하며, 최근에는 사과와 약초
(천궁)의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음.
3) 축산은 한우와 염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염소 사육이 계
속 증가하고 있음. 임야가 86%를 차지하여 각종 임산물의 생산이 많
은데, 특히 대추·산나물·송이버섯 등이 많이 생산됨.

다. 경북 북부권의 주력산업
❍ 경북 북부권역 각 시․군의 산업구조를 보면 전국과 경북 북부권의 차
이만큼 큰 격차를 보여줌. 안동시는 의료업부문의 비중이 높은 반면,
영주시는 제조업부분의 비중이 다른 시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음.

- 72 -
<표 Ⅱ-1> 경북 북부권 시․군에 있어서의 산업별 GRDP

❍ 경북 북부권 시․군 중에서 제조업 비중이 월등히 높은 영주시에 대해


산업별 GRDP를 비교해보면 <그림>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조업 부
분의 GRDP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Ⅱ-2> 영주시의 산업별 GRDP

- 73 -
❍ 이것은 6개의 농공단지와 4개의 산업단지에 노벨리스코리아㈜, KT&G
영주공장, ㈜베어링아트, ㈜OCI머티리얼즈 등의 중견기업이 소재해 있
기 때문이며, 이외에도 인삼제조업, 인견직조업 등의 산업이 활성화되
어 있는 등 비철, 화학, 식품, 건기능 식품, 섬유 등의 폭넓게 산업기
반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됨.
<표 Ⅱ-2> 영주시 농공단지 및 산업단지 현황

<표 Ⅱ-3> 2013년 영주시 12대 제조기업의 매출액

- 74 -
<그림 Ⅱ-3> 노벨리스코리아(주)의 알루미늄 압연 전경

<그림 Ⅱ-4> 영주 소재 아시아 최대 음료 캔 재활용 시설

- 75 -
2. 경북도 알루미늄 산업현황 및 관련기업 수요조사

q 수요조사 개요

❍ 조사목적
- 경상북도에서는 경북 북부권 제조산업 육성을 위해 기획 중인 “4세대
알루미늄 산업육성 전략수립” 기획을 위해 경북기업 대상으로 수요조사 실시
- 이를 통해 4세대 알루미늄 산업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계획을 수
립하고, 기업지원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획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조사내용
- 본 수요조사는 기업 일반현황, 장비 수요조사,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
합 양산화 관련 지원 수요 등 3가지 유형으로 이루어짐.

❍ 조사대상
- 지역 범위 : 경북지역 알루미늄 소재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 실시
- 관련 기업 약 4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107개 기업 자료 회수

<표 Ⅱ-4> 수요조사 대상 기업 세부지역

조사 지역 세부지역
북부자원권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동부해양권 포항시, 경주시, 울진군, 영덕군, 울릉군
서부산업권 김천시, 구미시, 상주시
남부도시권 영천시, 경산시, 군위군, 칠곡군,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 조사방법 및 조사기간
- 조사방법 : 방문조사와 함께 회수율을 높이고자 이메일 조사 병행 실시
- 조사기간 : 2017년 6월 1일 ~ 2017년 6월 12일

- 76 -
q 수요조사 결과 및 분석

 기업 일반현황
❍ 소재지
- 조사기업의 소재지로 서부산업권(43.0%)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남
부도시권(26.2%), 북부자원권(23.4%), 동부해양권(7.5%) 순임.

43.0%

23.4% 26.2%

7.5%

북부자원권 동부해양권 서부산업권 남부도시권

<그림 Ⅱ-5> 소재지(단위 : %)

❍ 업종
- 조사기업의 업종으로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이 31.8%로 가장 높았
으며, 다음으로 금속가공제품(16.8%), 1차 금속(15.0%), 전자/전기(14.0%),
자동차 및 트레일러(9.3%) 제조업 등의 순임.
- 알루미늄 소재기반 제조업체이므로 대체적으로 다양한 업종에 분포되어 있음.

31.8%

15.0% 16.8%
14.0%
9.3% 10.3%
2.8%

1차 금속 금속가공제품 전자/전기 기타 기계 자동차 기타 제조 기타


/장비 /트레일러

<그림 Ⅱ-6> 업종(단위 : %)

❍ 종업원 수
- 조사기업의 종업원 수는 10~30명 미만이 33.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
으로 30~100명 미만(32.7%), 10명 미만(28.0%), 100명 이상(5.6%) 순으로
100명 이상의 중기업은 상대적으로 적음.

- 77 -
33.6% 32.7%
28.0%

5.6%

10명 미만 10~30명 미만 30~100명 미만 100명 이상

<그림 Ⅱ-7> 종업원 수(단위 : %)

❍ 매출액
- 조사기업의 2016년 매출액은 20억 미만(35.5%)과 20~100억 미만(34.6%)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00~300억 미만(17.8%), 300억 이상(12.1%) 순임.
- 알루미늄 소재기반 업체의 산업분야 및 업종 범위가 넓어 종업원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출액이 높음.

35.5% 34.6%

17.8%
12.1%

20억 미만 20~100억 미만 100~300억 미만 300억 이상

<그림 Ⅱ-8> 매출액(단위 : %)

❍ 기업형태
- 조사기업의 65.4%가 법인사업자이며, 개인사업자는 34.6%로 나타남.

개인사업자
34.6%

법인사업자
65.4%

<그림 Ⅱ-9> 기업형태(단위 : %)

- 78 -
❍ R&D 조직형태 및 R&D 인력 수
- 조사기업의 R&D 조직형태로 부설연구소 보유기업이 33.6%, 연구부서
보유기업이 9.3%, TFT(임시조직)이 2.8%로 나타나 R&D 조직을 보유하
고 있는 기업이 45.7%임.
- R&D 인력 수는 3~4명이 4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5~10명 미만
(24.5%), 1~2명(14.3%), 10명 이상(10.2%) 순이며, R&D 총 인력 수는 245
명, 기업당 평균 5.2명임.

54.2% 평균 5.2명
46.9%
합계 245명
33.6%
24.5%
14.3%
9.3% 10.2%
2.8% 4.1%

부설연구소 연구부서 TFT(임시조직) 없음 1~2명 3~4명 5~10명 미만 10명 이상 무응답

< R&D 조직형태 > < R&D 인력 수 >


<그림 Ⅱ-10> R&D 조직형태 및 R&D 인력 수(단위 : %)

❍ 설립연도
- 설립연도는 2000~2009년이 42.1%, 2000년 이전이 36.4%, 2010년 이후가
21.5%임.
- 2000년도 이후, 알루미늄 소재산업의 필요성 대두 및 발달로 인해 업체
수가 꾸준하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음.

2000~2009년
42.1%

2010년 이후
21.5%

2000년 이전
36.4%

<그림 Ⅱ-11> 설립연도(단위 : %)

- 79 -
❍ 성장단계
- 조사기업의 성장단계로 자립성장형이 33.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성장보육형(21.5%), 정체형(20.6%), 성숙형(15.0%), 창업형(9.3%) 순임.
- 자립성장형 및 정체형 기업이 성숙기를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전환점
으로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됨.

33.6%

21.5% 20.6%
15.0%
9.3%

창업형 성장보육형 자립성장형 성숙형 정체형

<그림 Ⅱ-12> 성장단계(단위 : %)

❍ 역량유형
- 조사기업의 역량유형으로 기술반응형이 49.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
로 기술추격형(24.3%), 단순생산형(16.8%), 기술선도형(9.3%) 순임.

49.5%

24.3%
16.8%
9.3%

단순생산형 기술반응형 기술추격형 기술선도형

<그림 Ⅱ-13> 역량유형(단위 : %)

 장비 수요조사
❍ 알루미늄 용접분야
- 알루미늄 용접분야 장비 중 용접 자동화장치 제작 시스템(2.83점)과 용
접품 시험생산 system(2.82점), Laser cutter(2.81점)에 대한 필요도가 가
장 높았으며, 플라즈마 아크 용접기(2.75점)도 상대적으로 높았음.

- 80 -
<표 Ⅱ-5> 알루미늄 용접분야 장비 필요도(단위 : n, %)

필요도 장비 필요도
구분
(점) 매우 불필요 불필요 보통 필요 매우 필요 무응답
1) 용접공정 해석 S/W 107 2.55 3 2.8% 63 58.9% 18 16.8% 15 14.0% 4 3.7% 4 3.7%
2) 용접 시제품설계 S/W 107 2.65 2 1.9% 58 54.2% 19 17.8% 22 20.6% 2 1.9% 4 3.7%
3) 용접품 시험생산 system 107 2.82 1 0.9% 56 52.3% 14 13.1% 27 25.2% 6 5.6% 3 2.8%
4) 용접 자동화장치 제작 시스템 107 2.83 1 0.9% 56 52.3% 12 11.2% 27 25.2% 7 6.5% 4 3.7%
5) Laser cutter 107 2.81 1 0.9% 54 50.5% 17 15.9% 28 26.2% 4 3.7% 3 2.8%
6) 마찰교반용접기 107 2.43 3 2.8% 68 63.6% 19 17.8% 13 12.1% 1 0.9% 3 2.8%
7) 플라즈마 아크 용접기 107 2.75 2 1.9% 60 56.1% 9 8.4% 28 26.2% 5 4.7% 3 2.8%
8) 전자빔 용접장치 107 2.40 1 0.9% 73 68.2% 17 15.9% 11 10.3% 1 0.9% 4 3.7%
9) 오비탈 용접장치 107 2.33 1 0.9% 77 72.0% 15 14.0% 10 9.3% 4 3.7%

※ 필요도 점수(5점 Likert 척도) : 5점(매우 필요) ← 3점(보통) → 1점(매우 불필요), 이하동일

- 알루미늄 용접분야의 장비 필요도가 높은 기업의 장비별 활용 용도는


다음과 같음.

<표 Ⅱ-6> 알루미늄 용접분야 장비 활용 용도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1) 용접공정 경안농기계 제작 ㈜신호 제작
해석 S/W 구일파인텍 제작 에스티㈜
(19) 덕우전자㈜ 검토 영남산업기계 제작
동원엔지니어링 제작 ㈜영주산업 생산제조
㈜메인텍 제작 옥해전자㈜ 제작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우주정밀 양산
㈜삼성텍 양산 이화산업사 제작
㈜선우엠앤원 양산 자원산업사 제작
세진알미늄 진성공업 양산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2) 용접 시제품 경북산업 검토 수형산업개발㈜ 제작
설계 S/W 경안농기계 제작 ㈜신호 신뢰성 평가
(24) 구일파인텍 검토 에스티㈜
금용기계㈜ 양산 영남산업기계 제작
덕우전자㈜ 검토 옥해전자㈜ 양산
동원엔지니어링 검토 ㈜우림테크 검토, 제작
㈜메인텍 제작 우주정밀 양산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부강기계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삼성텍 검토 진성공업 양산
㈜선우엠앤원 양산 ㈜포인트 제작

- 81 -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합)소백산업 검토 ㈜합동전자 제작
3) 용접품 경북산업 검토 수형산업개발㈜ 제작
시험생산 경안농기계 검토 ㈜신호 제작
system 구일파인텍 검토 안동방화문 제작
(33) 금용기계㈜ 양산 에스티㈜
나노믹아트㈜ 제작 영남산업기계 제작
대성산업 제작 ㈜영주산업 생산제조
덕우전자㈜ 검토, 제작 예봉미크론 검토
동원엔지니어링 신뢰성 평가 옥해전자㈜ 양산
㈜메인텍 제작 ㈜우림테크 검토, 제작
미래기술 제작 우주정밀 양산
㈜미래인더스 신뢰성 평가 이화산업사 제작
부강기계 제작 제이에스산업 알루미늄 용접
㈜삼성텍 양산 진성공업 양산
㈜선우엠앤원 양산 ㈜티에스스틸 ARC 스켈프 연결용
성방산업㈜ 제작 ㈜피엠에스 양산
(합)소백산업 제작 ㈜화동전자 검토
㈜소백이앤지건설
4) 용접 경북산업 검토 에스티㈜
자동화장치 경안농기계 제작 영남산업기계 제작
제작 시스템 구일파인텍 양산 ㈜영주산업 생산제조
(34) 나노믹아트㈜ 제작 예봉미크론 검토
다함㈜ 제작 ㈜오리온테크놀리지 제작
4) 용접 대성산업 제작 옥해전자㈜ 양산
자동화장치 덕우전자㈜ 검토 ㈜우림 제작
제작 시스템 ㈜메인텍 제작 ㈜우림테크 검토, 제작
(34)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우주정밀 양산
부강기계 제작 ㈜우진플랜트 제작
㈜삼성텍 검토 이화산업사 제작
㈜선우엠앤원 양산 자원산업사 제작
성방산업㈜ 제작 제이에스산업 JIG 제작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제작 진성공업 양산
㈜소백이앤지건설 ㈜피엠에스 양산
㈜신기산업 용접 ㈜화동전자 검토
㈜신호 제작 효자정공 양산
5) Laser cutter 경북산업 검토 에스지스틸㈜ 제작
(32) 경안농기계 양산 에스티㈜
나노믹아트㈜ 제작 영남산업기계 제작
대성산업 제작 ㈜영주산업 생산제조
대성이엔지 제작 옥해전자㈜ 양산
㈜대영금속 철판가공 우주정밀 양산
덕우전자㈜ 검토, 제작 ㈜우진플랜트 제작
동원엔지니어링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동화하우징산업 절단,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 82 -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메인텍 제작 제이에스산업 양산
부강기계 제작 ㈜제이에스테크 제작
㈜삼성텍 검토 중수테크 검토
㈜선우엠앤원 양산 ㈜포인트 제작
㈜성윤하이텍 제작 ㈜피엠에스 양산
(합)소백산업 검토, 신뢰성 평가 혁신ENG 제작
수형산업개발㈜ 제작 효자정공 신뢰성 평가
6) 마찰교반용접기 경안농기계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14) 경창건설기계 제작 자원산업사 신뢰성 평가
㈜메인텍 제작 중수테크 제작
에스지스틸㈜ 제작 풍산산업 제작
영남산업기계 신뢰성 평가 ㈜피엠에스 양산
옥해전자㈜ 양산 ㈜한일플랜트 제작
우주정밀 양산 후지산업㈜ 제작
7) 플라즈마 경북산업 검토 ㈜신호 제작
아크 용접기 경창건설기계 제작 안동방화문 제작
(33) 나노믹아트㈜ 제작 에스지스틸㈜ 제작
대성이엔지 제작 에스티㈜
덕우전자㈜ 검토 영남산업기계 시제품 생산
㈜메인텍 제작 옥해전자㈜ 양산
미래기술 제작 우주정밀 양산
㈜미래인더스 신뢰성 평가 ㈜우진플랜트 제작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부강기계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삼성텍 양산 제이에스산업 검토
7) 플라즈마 ㈜선우엠앤원 양산 중수테크 제작
아크 용접기 성방산업㈜ 제작 진성공업 양산
(33) ㈜성윤하이텍 제작 풍산산업 제작
세진알미늄 제작 ㈜피엠에스 양산
㈜소백이앤지건설 혁신ENG 제작
수형산업개발㈜ 제작
8) 전자빔 덕우전자㈜ 검토 ㈜오리온테크놀리지 신뢰성 평가
용접장치 동원엔지니어링 검토 옥해전자㈜ 양산
(12) ㈜메인텍 제작 우주정밀 양산
㈜선우엠앤원 검토 자원산업사 제작
에스티㈜ 제이에스산업 검토
영남산업기계 시제품 생산 현대샤인건업 제작
9) 오비탈 나노믹아트㈜ 제작 ㈜선우엠앤원 검토
용접장치 대성이엔지 제작 영남산업기계 시제품 생산
(10) 덕우전자㈜ 검토 옥해전자㈜ 양산
㈜메인텍 제작 우주정밀 양산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 83 -
❍ 알루미늄 주조분야
- 알루미늄 주조분야 장비 중 3D프린터(2.53점)에 대한 필요도가 가장 높
았으며, 다음으로 주조 용해로(2.37점), 주조 시제품설계 S/W(2.31점), 주
조공정 해석 S/W(2.25점), 마이크로 쇼트 블라스터(2.23점) 등의 순으로
나타나 주조분야에 대한 장비 필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음.

<표 Ⅱ-7> 알루미늄 주조분야 장비 필요도(단위 : n, %)


필요도 장비 필요도
구분
(점) 매우 불필요 불필요 보통 필요 매우 필요 무응답
1) 주조공정 해석 S/W 107 2.25 1 0.9% 86 80.4% 5 4.7% 8 7.5% 2 1.9% 5 4.7%
2) 주조 시제품 설계 S/W 107 2.31 1 0.9% 82 76.6% 6 5.6% 10 9.3% 2 1.9% 6 5.6%
3) 3D프린터 107 2.53 1 0.9% 69 64.5% 13 12.1% 15 14.0% 4 3.7% 5 4.7%
4) 고진공 유도용해로 107 2.16 1 0.9% 89 83.2% 7 6.5% 5 4.7% 5 4.7%
5) 합금설계용 성형기 107 2.17 1 0.9% 87 81.3% 8 7.5% 5 4.7% 6 5.6%
6) 경동식 중력주조기 107 2.15 1 0.9% 90 84.1% 5 4.7% 4 3.7% 1 0.9% 6 5.6%
7) 주조 용해로 107 2.37 1 0.9% 80 74.8% 8 7.5% 11 10.3% 3 2.8% 4 3.7%
8) 멀티 게이트 저압주조기 107 2.13 1 0.9% 90 84.1% 6 5.6% 4 3.7% 6 5.6%
9) 다기능 고압주조기 107 2.18 1 0.9% 87 81.3% 7 6.5% 6 5.6% 6 5.6%
10) 고강도 후육 주조성형기 107 2.16 1 0.9% 86 80.4% 11 10.3% 3 2.8% 6 5.6%
11) 대면적 박육 고진공 성형기 107 2.13 1 0.9% 89 83.2% 8 7.5% 3 2.8% 6 5.6%
12) 마이크로 쇼트 블라스터 107 2.23 1 0.9% 85 79.4% 8 7.5% 5 4.7% 2 1.9% 6 5.6%

- 알루미늄 주조분야의 장비 필요도가 높은 기업의 장비별 활용 용도는


다음과 같음.

<표 Ⅱ-8> 알루미늄 주조분야 장비 활용 용도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1) 용접공정 경안농기계 제작 ㈜신호 제작
해석 S/W 구일파인텍 제작 에스티㈜
(19) 덕우전자㈜ 검토 영남산업기계 제작
동원엔지니어링 제작 ㈜영주산업 생산제조
㈜메인텍 제작 옥해전자㈜ 제작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우주정밀 양산
㈜삼성텍 양산 이화산업사 제작
㈜선우엠앤원 양산 자원산업사 제작
세진알미늄 진성공업 양산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2) 용접 시제품 경북산업 검토 수형산업개발㈜ 제작
설계 S/W 경안농기계 제작 ㈜신호 신뢰성 평가

- 84 -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24) 구일파인텍 검토 에스티㈜
금용기계㈜ 양산 영남산업기계 제작
덕우전자㈜ 검토 옥해전자㈜ 양산
동원엔지니어링 검토 ㈜우림테크 검토, 제작
㈜메인텍 제작 우주정밀 양산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부강기계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삼성텍 검토 진성공업 양산
㈜선우엠앤원 양산 ㈜포인트 제작
(합)소백산업 검토 ㈜합동전자 제작
3) 용접품 경북산업 검토 수형산업개발㈜ 제작
시험생산 경안농기계 검토 ㈜신호 제작
system 구일파인텍 검토 안동방화문 제작
(33) 금용기계㈜ 양산 에스티㈜
나노믹아트㈜ 제작 영남산업기계 제작
대성산업 제작 ㈜영주산업 생산제조
덕우전자㈜ 검토, 제작 예봉미크론 검토
동원엔지니어링 신뢰성 평가 옥해전자㈜ 양산
㈜메인텍 제작 ㈜우림테크 검토, 제작
미래기술 제작 우주정밀 양산
㈜미래인더스 신뢰성 평가 이화산업사 제작
부강기계 제작 제이에스산업 알루미늄 용접
㈜삼성텍 양산 진성공업 양산
㈜선우엠앤원 양산 ㈜티에스스틸 ARC 스켈프 연결용
성방산업㈜ 제작 ㈜피엠에스 양산
(합)소백산업 제작 ㈜화동전자 검토
㈜소백이앤지건설
4) 용접 경북산업 검토 에스티㈜
자동화장치 경안농기계 제작 영남산업기계 제작
제작 시스템 구일파인텍 양산 ㈜영주산업 생산제조
(34) 나노믹아트㈜ 제작 예봉미크론 검토
다함㈜ 제작 ㈜오리온테크놀리지 제작
4) 용접 대성산업 제작 옥해전자㈜ 양산
자동화장치 덕우전자㈜ 검토 ㈜우림 제작
제작 시스템 ㈜메인텍 제작 ㈜우림테크 검토, 제작
(34)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우주정밀 양산
부강기계 제작 ㈜우진플랜트 제작
㈜삼성텍 검토 이화산업사 제작
㈜선우엠앤원 양산 자원산업사 제작
성방산업㈜ 제작 제이에스산업 JIG 제작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제작 진성공업 양산
㈜소백이앤지건설 ㈜피엠에스 양산
㈜신기산업 용접 ㈜화동전자 검토
㈜신호 제작 효자정공 양산
5) Laser cutter 경북산업 검토 에스지스틸㈜ 제작
(32) 경안농기계 양산 에스티㈜
나노믹아트㈜ 제작 영남산업기계 제작
대성산업 제작 ㈜영주산업 생산제조

- 85 -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대성이엔지 제작 옥해전자㈜ 양산
㈜대영금속 철판가공 우주정밀 양산
덕우전자㈜ 검토, 제작 ㈜우진플랜트 제작
동원엔지니어링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동화하우징산업 절단,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메인텍 제작 제이에스산업 양산
부강기계 제작 ㈜제이에스테크 제작
㈜삼성텍 검토 중수테크 검토
㈜선우엠앤원 양산 ㈜포인트 제작
㈜성윤하이텍 제작 ㈜피엠에스 양산
(합)소백산업 검토, 신뢰성 평가 혁신ENG 제작
수형산업개발㈜ 제작 효자정공 신뢰성 평가
6) 마찰교반용접기 경안농기계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14) 경창건설기계 제작 자원산업사 신뢰성 평가
㈜메인텍 제작 중수테크 제작
에스지스틸㈜ 제작 풍산산업 제작
영남산업기계 신뢰성 평가 ㈜피엠에스 양산
옥해전자㈜ 양산 ㈜한일플랜트 제작
우주정밀 양산 후지산업㈜ 제작
7) 플라즈마 경북산업 검토 ㈜신호 제작
아크 용접기 경창건설기계 제작 안동방화문 제작
(33) 나노믹아트㈜ 제작 에스지스틸㈜ 제작
대성이엔지 제작 에스티㈜
덕우전자㈜ 검토 영남산업기계 시제품 생산
㈜메인텍 제작 옥해전자㈜ 양산
미래기술 제작 우주정밀 양산
㈜미래인더스 신뢰성 평가 ㈜우진플랜트 제작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이화산업사 제작
부강기계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삼성텍 양산 제이에스산업 검토
7) 플라즈마 ㈜선우엠앤원 양산 중수테크 제작
아크 용접기 성방산업㈜ 제작 진성공업 양산
(33) ㈜성윤하이텍 제작 풍산산업 제작
세진알미늄 제작 ㈜피엠에스 양산
㈜소백이앤지건설 혁신ENG 제작
수형산업개발㈜ 제작
8) 전자빔 덕우전자㈜ 검토 ㈜오리온테크놀리지 신뢰성 평가
용접장치 동원엔지니어링 검토 옥해전자㈜ 양산
(12) ㈜메인텍 제작 우주정밀 양산
㈜선우엠앤원 검토 자원산업사 제작
에스티㈜ 제이에스산업 검토
영남산업기계 시제품 생산 현대샤인건업 제작
9) 오비탈 나노믹아트㈜ 제작 ㈜선우엠앤원 검토
용접장치 대성이엔지 제작 영남산업기계 시제품 생산
(10) 덕우전자㈜ 검토 옥해전자㈜ 양산
㈜메인텍 제작 우주정밀 양산
보운건설기계정비 제작 자원산업사 제작

- 86 -
❍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중 3차원 접촉식 측정기(3.13점)
에 대한 필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재료물성시험기세트(2.68점), 시제품
시편가공세트(2.67점)도 상대적으로 필요도가 높았음.

<표 Ⅱ-9>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필요도(단위 : n, %)


필요도 장비 필요도
구분
(점) 매우 불필요 불필요 보통 필요 매우 필요 무응답
1) 미소초점 3차원 CT 시스템 107 2.58 1 0.9% 65 60.7% 16 15.0% 16 15.0% 4 3.7% 5 4.7%
2) 3차원 접촉식 측정기 107 3.13 46 43.0% 15 14.0% 23 21.5% 18 16.8% 5 4.7%
3) 분위기하 피로시험기 107 2.41 2 1.9% 67 62.6% 25 23.4% 8 7.5% 1 0.9% 4 3.7%
4) 시제품 시편가공세트 107 2.67 1 0.9% 60 56.1% 17 15.9% 22 20.6% 3 2.8% 4 3.7%
5) 재료물성시험기세트 107 2.68 1 0.9% 60 56.1% 16 15.0% 23 21.5% 3 2.8% 4 3.7%
6) 부식시험기 107 2.59 2 1.9% 58 54.2% 25 23.4% 16 15.0% 2 1.9% 4 3.7%
7) 초음파 탐상기 107 2.56 2 1.9% 61 57.0% 24 22.4% 15 14.0% 2 1.9% 3 2.8%
8) 용접품 탐사 내시경 107 2.43 2 1.9% 66 61.7% 26 24.3% 7 6.5% 2 1.9% 4 3.7%
9) FE-SEM 107 2.41 3 2.8% 70 65.4% 18 16.8% 9 8.4% 3 2.8% 4 3.7%
10) 용접부 잔류응력 시험기 107 2.54 2 1.9% 64 59.8% 21 19.6% 14 13.1% 3 2.8% 3 2.8%

-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필요도가 높은 기업의 장비별


활용 용도는 다음과 같음.

<표 Ⅱ-10> 알루미늄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 활용 용도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1) 미소초점 경북산업 검토 우주정밀 양산
3차원 CT 시스템 금영ENG 기술측정 인터테크㈜ 분석
(20) ㈜금영피앤티 기술측정 자원산업사 신뢰성 평가
대화금속㈜ 양산 중수테크 신뢰성 평가
㈜매직테크 검토 ㈜코바텍 제작
㈜메인텍 제작 한국차폐기술㈜ 양산, 신뢰성 평가, 품질검사
1) 미소초점 ㈜선우엠앤원 검토 ㈜합동전자 측정
3차원 CT 시스템 ㈜성윤하이텍 신뢰성 평가, 양산, 제작 ㈜행성디지털 신뢰성 평가
(20) (합)소백산업 검토, 신뢰성 평가 ㈜협성테크 제작
옥해전자㈜ 양산 ㈜화동전자 검토
2) 3차원 접촉식 경북산업 검토 ㈜오리온테크놀리지 신뢰성 평가
측정기 구일파인텍 기술측정 옥해전자㈜ 기술측정
(41) 금영ENG 신뢰성 평가 우주정밀 양산
㈜금영피앤티 기술측정 유성기계 제작

- 87 -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나노믹아트㈜ 제작 이화산업사 측정
다함㈜ 제품측정 인터테크㈜ 측정
대화금속㈜ 양산 일산정공왜관공장 제작
덕우전자㈜ 검토, 신뢰성 평가 ㈜제이에스테크 검토, 신뢰성 평가
㈜디엠에스 제품측정 중수테크
㈜디와이 신뢰성 평가 ㈜코마텍 신뢰성 평가
㈜매직테크 검토 ㈜탑런몰드텍 양산
㈜메인텍 제작 태백전자㈜ 신뢰성 평가
삼우정밀 측정 프로테크 제품측정
㈜선우엠앤원 양산 한국차폐기술㈜ 치수측정
㈜세원알미늄 제품치수측정 ㈜합동전자 측정
세현정밀㈜ 제작 혁신ENG 제작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현대샤인건업 제작
시온테크 ㈜협성테크 제품측정
신광금형 제작 ㈜화동전자 검토
㈜에스디엠 제품측정 효자정공 신뢰성 평가
에스티㈜
3) 분위기하 경북산업 검토 신형조각사 제작
피로시험기 덕우전자㈜ 검토, 신뢰성 평가 옥해전자㈜ 기술측정
(9) 동원엔지니어링 신뢰성 평가 우주정밀 양산
㈜메인텍 제작 중수테크
㈜선우엠앤원 검토
4) 시제품 ㈜경동프로폰 신뢰성 평가 수형산업개발㈜ 제작
시편가공세트 경북산업 검토 시온테크
(25) 경창건설기계 제작 에스티㈜
금영ENG 신뢰성 평가 옥해전자㈜ 기술측정
㈜금영피앤티 신뢰성 평가 우주정밀 양산
대성주물공업㈜ 양산 일산정공왜관공장 제작
동원엔지니어링 신뢰성 평가 제일씨앤피㈜ 분석평가
㈜디와이 양산 중수테크 제작
㈜메인텍 제작 풍산산업 제작
부강기계 제작 한국차폐기술㈜ 품질검사
㈜선우엠앤원 검토 혁신ENG 제작
㈜성우하이테크 제작 효자정공 신뢰성 평가
㈜세원알미늄 알루미늄 시편제작
5) 재료물성 경북산업 검토 세광산업㈜ 기술분석
시험기세트 경북진공열처리 신뢰성 평가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26) 금영ENG 신뢰성 평가 수형산업개발㈜ 제작
㈜금영피앤티 신뢰성 평가 시온테크
5) 재료물성 노벨리스코리아㈜ 검토 에스티㈜
시험기세트 대성주물공업㈜ 양산 옥해전자㈜ 기술분석
(26) 덕우전자㈜ 검토, 신뢰성 평가 우주정밀 양산
㈜디와이 양산 인터테크㈜ 제작

- 88 -
장비명 기업명 활용 용도 기업명 활용 용도
㈜메인텍 제작 제일씨앤피㈜ 분석평가
㈜미래인더스 신뢰성 평가 중수테크
㈜선우엠앤원 검토 한국차폐기술㈜ 품질검증
㈜성우하이테크 제작 ㈜행성디지털 신뢰성 평가
㈜성윤하이텍 신뢰성 평가 효자정공 신뢰성 평가
6) 부식시험기 나노믹아트㈜ 제작 수형산업개발㈜ 제작
(18) 대화금속㈜ 양산 시온테크
덕우전자㈜ 검토, 신뢰성 평가 ㈜신기산업 용접시험
동원엔지니어링 신뢰성 평가 신형조각사 제작
㈜메인텍 제작 에스티㈜
㈜선우엠앤원 검토 옥해전자㈜ 기술측정
㈜성윤하이텍 신뢰성 평가 우주정밀 양산
세광산업㈜ 기술측정 중수테크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혁신ENG 제작
7) 초음파 경북산업 검토 에스지스틸㈜ 제작
탐상기 금용기계㈜ 양산 옥해전자㈜ 기술측정
(17) 대화금속㈜ 양산 우주정밀 양산
동원엔지니어링 신뢰성 평가 ㈜우진플랜트 검토
㈜메인텍 제작 중수테크
㈜선우엠앤원 검토 한국차폐기술㈜ 검사
(합)소백산업 신뢰성 평가 ㈜한일플랜트 제작
수형산업개발㈜ 제작 후지산업㈜ 제작
시온테크
8) 용접품 경북산업 검토 옥해전자㈜ 기술측정
탐사 내시경 구일파인텍 기술측정 우주정밀 양산
(9) 금용기계㈜ 양산 중수테크
㈜메인텍 제작 한국차폐기술㈜ 검사
㈜선우엠앤원 검토
9) FE-SEM 나노믹아트㈜ 제작 에스티㈜
(12) 대성주물공업㈜ 검토 에이스씨엔텍㈜ 표면검사
덕우전자㈜ 검토, 신뢰성 평가 옥해전자㈜ 기술분석
㈜메인텍 제작 우주정밀 양산
㈜미래인더스 신뢰성 평가 중수테크
㈜선우엠앤원 검토 한국차폐기술㈜ 검사
10) 용접부 경북산업 검토 안동방화문
잔류응력 시험기 금영ENG 기술측정 에스지스틸㈜ 제작
(17) ㈜금영피앤티 기술측정 에스티㈜
금용기계㈜ 양산 옥해전자㈜ 기술분석
대성이엔지 제작 우주정밀 양산
㈜디와이 양산 이화산업사 제작
㈜메인텍 제작 중수테크
㈜선우엠앤원 검토 혁신ENG 제작
(합)소백산업 제작, 검토

- 89 -
❍ 센터 장비 활용 의사
- 경북 북부권 지역에 “융‧복합부품 양산화 지원센터”에서 알루미늄 용
접 및 주조분야, 시험‧측정 및 분석 관련 장비들을 구축한다면 활용할
의사가 있는 기업이 조사기업의 71.0%인 76개 업체로 나타나 장비 활
용 의사가 다소 높은 편임.

활용할 의사가 없다
29.0%
활용할 의사가 있다
71.0%

<그림 Ⅱ-14> 센터 장비 활용 의사(단위 : %)

❍ 연간 활용 횟수
- 장비 활용 희망 기업들은 연간 10회 미만(39.5%) 활용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0~30회 미만(30.3%), 30~50회 미만(13.2%),
50~70회 미만(6.6%), 90회 이상(3.9%), 70~90회 미만(2.6%) 순임.

39.5%
30.3%

13.2%
6.6%
2.6% 3.9% 3.9%

10회 미만 10~30회 미만 30~50회 미만 50~70회 미만 70~90회 미만 90회 이상 무응답

※ 장비 활용 희망 기업에 한해
<그림 Ⅱ-15> 연간 활용 횟수(단위 : %)

❍ 연간 외부장비 이용 횟수
- 조사기업의 연간 외부장비 이용 횟수로 10회 미만이 60.7%로 가장 높
았으며, 다음으로 10~30회 미만(19.6%), 30~50회 미만(12.5%), 50~70회
미만(3.6%), 70~90회 미만, 90회 이상(각 1.8%) 순으로 나타나 외부장비
활용 빈도는 다소 낮은 수준임.

- 90 -
60.7%

19.6%
12.5%
3.6% 1.8% 1.8%

10회 미만 10~30회 미만 30~50회 미만 50~70회 미만 70~90회 미만 90회 이상

※ 외부장비 활용 기업에 한해
<그림 Ⅱ-16> 연간 외부장비 이용 횟수(단위 : %)

❍ 외부장비의 성격
- 외부장비 이용 시 장비의 성격으로 시험‧측정장비가 50.0%로 활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공정장비(시험생산장비)(32.1%), 분석장비
(26.8%) 등의 순임.

50.0%

32.1%
26.8%

3.6%

공정장비 시험·측정장비 분석장비 기타

※ 외부장비 활용 기업에 한해
<그림 Ⅱ-17> 외부장비의 성격(중복응답, 단위 : %)

❍ 외부 사용 장비
- 외부장비 사용 기업 중 43개 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장비의 현황은
다음과 같음.

<표 Ⅱ-11> 외부 사용 장비 현황 (n=43)

No 기업명 주생산품 사용 장비
1 건우CNC조각 부품(금형, 안경) 금속분석기
2 경북진공열처리 열처리 비커스 경도기
3 구일파인텍 자동차부품 장비테스트기
4 금영ENG 방산부품 3차원 측정기, 성분분석기

- 91 -
No 기업명 주생산품 사용 장비
5 ㈜금영피앤티 자동차부품 성분분석기
6 다함㈜ 스마트폰케이스 금형 연마장비
7 대성이엔지 파이프가공 레이져 컷팅
8 동원엔지니어링 자동화장비, 물류장비 가공기(밀링, M/C, 선반)
9 ㈜디엠에스 금형시제품 5축가공(정밀)
10 ㈜디와이 자동차 리어콤비램프 배광시험테스트장비
11 ㈜미래인더스 히트싱크, 프로파일 화학성분분석기, 재료의물리실험기, 구조역학분석
12 부강기계 - 레이즈커터기
13 ㈜선우엠앤원 프레스금형, 전자부품(휴대폰) 시험‧측정장비
14 ㈜성우하이테크 금형, 기계부품 3차원 측정기
15 세광산업㈜ 섬유 호제 시험‧측정장비, 분석장비(대학교 실험실)
16 세현정밀㈜ 하드페라이트, 절삭공구 금형 성분분석, 재료시험
17 (합)소백산업 자동차부품, 보일러 연관 신뢰성 평가장비
18 ㈜소백이앤지건설 휀스, 창호, 난간대 공정장비
19 수형산업개발㈜ 가드레일 시편가공, 물성시험, 부식시험
20 시온테크 기계부품 원재료시험(KTR)
21 ㈜신창에프에이 공장자동화 공정장비
22 ㈜에스디엠 프레스금형 제조 프레스
23 에스지스틸㈜ 플랜지 외 밸브부품 레이즈 플라즈마
24 에스티㈜ 스마트폰 실린드앤 인장기, 3차원 측정기
25 에이스씨엔텍㈜ Chopped Carbon Fiber DSC, TGA, SEM, FT-IR
26 영남산업기계 기계부품, 건설기계 부분정비 츄레라, 크레인
27 예봉미크론 반도체금형부품 W/C, D/G
28 옥해전자㈜ Choke Coil 전자현미경 Sem/edx, 네트워크분석기
29 ㈜우림 전자부품 3D프린터
30 ㈜우진플랜트 철구조물 생산 MT, UT
31 ㈜유니몰드 사출금형 시험‧측정장비
32 유성기계 반도체, LCD부품 연마기
33 이화산업사 농기계, 정미기 용접기
34 인터테크㈜ 자동차부품, 진공증착기 분석장비
35 자원산업사 플라스틱 자동차부품 금속가공, 특수용접
36 제이에스산업 산업기계 미그용접
37 중수테크 정밀부품 사금형
38 진성공업 농기구 제작 레이저절단기
39 ㈜탑런몰드텍 금형 공정장비
40 ㈜한일플랜트 냉동판넬 원액측정
41 ㈜합동전자 사출물(방열판, 멤브린스위치) 분석장비
42 ㈜협성테크 써보스텟 하우징 분석장비
43 후지산업㈜ 크린룸판넬 원액측정

- 92 -
❍ 외부장비 이용 이유
- 외부장비를 이용하는 이유 또는 장비를 보유하지 못한 이유로 고가의
장비라는 응답이 76.8%로 나타났으며, 낮은 사용 빈도가 44.6%로 나타
나 비용 문제로 인해 외부장비를 이용하는 기업이 많았음.

고가의 장비 76.8%

낮은 사용 빈도 44.6%

※ 외부장비 활용 기업에 한해

<그림 Ⅱ-18> 외부장비 이용 이유(중복응답, 단위 : %)

❍ 관심 정부지원사업
- 정부지원사업 참여 시 가장 관심있는 분야로 장비이용(59.8%)을 꼽고
있으며, 다음으로 기술교육(23.4%), 국가과제 공동지원(19.6%), 밀착형
R&D 사업(17.8%), 애로기술 지도(8.4%), 플랫폼형 R&D 사업(3.7%) 순으
로 관심도가 높았음.

59.8%

23.4% 19.6% 17.8%


8.4% 3.7%

장비이용 애로기술 지도 기술교육 국가과제 밀착형 플랫폼형


공동지원 R&D 사업 R&D 사업

<그림 Ⅱ-19> 관심 정부지원사업(중복응답, 단위 : %)

- 93 -
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 부품 양산화관련 지원 수요
❍ 신규 양산 제품/설비 계획 여부
- 현재나 향후 5년 이내에 알루미늄 소재기반 부품의 새로운 양산 제품
및 설비를 계획하고 있거나 검토중인 기업이 47.6%(51개)로 나타났고,
그 중 계획하고 있는 기업이 11.2%(12개), 검토중이나 구체적 계획은 없
다는 기업이 36.4%(39개)임.

계획 있음&검토 검토중이나 구체적


47.6% (51) 계획은 없다
36.4%

계획이 있다
11.2% 계획이 없다
52.3%

<그림 Ⅱ-20> 신규 양산 제품/설비 계획 여부(단위 : %)

❍ 신규 양산 제품/설비 계획 시 애로사항
- 새로운 양산 제품 및 설비를 계획할 경우 기업입장의 애로사항으로 양
산 설비 문제(43.1%)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양산 제품 시장성
분석(33.3%), 양산 기술력 부재(29.4%) 등을 꼽고 있음.

양산 기술력 부재 29.4%
양산 설비 문제 43.1%
양산 제품 시장성 분석 33.3%
수요처 요구사항 대응 15.7%

양산 설비의 타부품 연계 확장성 15.7%


기타 3.9%

※ 신규 양산 제품/설비 계획 및 검토기업에 한해

<그림 Ⅱ-21> 신규 양산 제품/설비 계획시 애로사항(중복응답, 단위 : %)

- 94 -
❍ 기업지원기관에서 지원받고 싶은 분야
-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정부를 비롯한 지역내 기업지원기관에서 지원받
고 싶은 지원내용으로 양산 설비 관련 기술지도(29.9%)를 가장 많이 꼽
았고, 다음으로 관련 제품 기술 및 시장성 조사분석과 유관기업 산업
클러스터 및 네트워크 구성(각 25.2%), R&D 연계 사업기획 지원(18.7%),
양산 대상품 신뢰성 평가지원(15.9%) 등을 희망함.

양산 설비 관련 기술지도 29.9%

양산 대상품 신뢰성 평가지원 15.9%

관련 제품 기술 및 시장성 조사분석 25.2%

R&D 연계 사업기획 지원 18.7%

유관기업 산업 클러스터 및 네트워크 구성 25.2%

기타 3.7%

<그림 Ⅱ-22> 기업지원기관에서 지원받고 싶은 분야(중복응답, 단위 : %)

❍ 본사 소재지 이전/양산 공장 확충 계획
- 경북 북부권에 알루미늄 소재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부품 양산화 지원
센터가 설립되고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경북 북부권으로 본사
소재지 이전 혹은 양산 공장을 확충할 계획이 있거나 검토중인 기업이
42.9%(46개)로 나타남.
- 본사 소재지 이전/양산 공장 확충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이 6.5%(7개),
검토중이나 구체적 계획은 없다는 기업이 36.4%(39개)임.

계획 있음&검토 검토중이나 구체적


42.9% (46) 계획은 없다
36.4%

계획이 있다 계획이 없다
6.5% 57.0%

<그림 Ⅱ-23> 본사 소재지 이전/양산 공장 확충 계획(단위 : %)

- 95 -
<표 Ⅱ-12> 경북소재 알루미늄 소재활용 관련 주요기업 정보

No 기업명 소재지 주요 생산품 활용분야


1 건화이엔지 경북 경산시 알루미늄주물 주조
2 타스 경북 경산시 표면처리 가공
3 한융금속 경북 경산시 알루미늄 합금 압출
4 조일알미늄 경북 경산시 알루미늄 코일 압출
5 아벡테크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가공품 가공
6 천우산업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파렛트 가공
7 제이캐스트 경북 경주시 자동차용 알루미늄 커버 가공
8 디에스메탈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주물 주조
9 삼정공업사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가공
10 금호하이테크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판절삭 가공
11 제일금속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다이케스팅 주조
12 신우텍 경북 고령군 알루미늄고트 압출
13 부국주철 경북 고령군 알루미늄 주물 주조
14 한국다이케스팅 경북 고령군 알루미늄다이케스팅 주조
15 장명프로폰 경북 고령군 알루미늄 도색 가공
16 한성금속 경북 고령군 알루미늄 주조
17 보성기전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프로파일 가공
18 럭키알텍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파이프 주조
19 하이엠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브라켓 가공
20 화인알텍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프레임 가공
21 제욱화확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가방 가공
22 ㈜동양전자화학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표면처리 가공
23 화신알미늄 경북 군위군 알루미늄튜브, 프로파일 가공
24 대동알미늄 경북 군위군 알루미늄 파이프 주조
25 금성테크 경북 군위군 알루미늄 압연 주조
26 남일엔피아이 경북 성주군 알루미늄 주조 주조
27 케이텍 경북 성주군 알루미늄 제련, 합금 가공
28 동화하우징산업 경북 안동시 알루미늄 샤시 가공
29 세진 알미늄 경북 영주시 알루미늄 사다리 가공
30 노벨리스코리아 경북 영주시 알루미늄 압연품 압연
31 디에스리퀴드 경북 영주시 알루미늄 재활용 재활용
32 월광금속 경북 영천시 알루미늄 합금 가공
33 대흥테크 경북 칠곡군 알루미늄 압출 압출
34 광명금속 경북 칠곡군 알루미늄 주물 주조

- 96 -
35 경동프로폰 경북 칠곡군 알루미늄 단열 가공
36 세융산업 경북 칠곡군 알루미늄 괴 주조
37 남연산업사 경북 칠곡군 알루미늄 샤시 가공
38 제일씨앤피 경북 칠곡군 알루미늄 PS판 가공
39 포스코강판 경북 포항시 알루미늄 도금강판 압연
40 삼양환경산업(주) 경북 영천시 알루미늄 제조 가공
41 대미산업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파이프 가공
42 세원기공(주)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산업기계 주조
43 ㈜큐렉스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소재부품 가공
44 ㈜형제케미칼 경북 영천시 알루미늄 폐기물 처리 재활용
45 태원금속(주)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자동차 부품 주조
46 일정금속(주)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엔진부품 가공
47 ㈜제욱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소재 가공 가공
48 ㈜서일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진공증착 가공
49 ㈜코람에스티 경북 문경시 알루미늄 휠 도장 가공
50 삼양환경산업(주) 경북 영천시 알루미늄 도금강판 가공
51 ㈜웅성메탈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자동차부품 가공
52 ㈜일지테크 경북 경산시 알루미늄 자동차부품 가공
53 ㈜금강 경북 경주시 자동차 샤시부품 가공
54 ㈜금창 경북 영천시 자동차 내외장재 가공
55 ㈜신영 경북 영천시 자동차 차체부품 가공
56 아진산업(주) 경북 경산시 자동차 경량 샤시부품 가공
57 ㈜우신산업 경북 경산시 자동차 엔진부품 가공
58 ㈜테크트랜스 경북 경산시 알루미늄 표면처리 가공
59 광성테크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인코드 제조
60 삼일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리벳 제조
61 유원금속 경북 경주시 알루미늄 원재료 제조
62 남선알미늄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압연 압연
63 금영ENG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가공 가공
64 성지FA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프로파일 제조
65 다린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프레임 제조
66 진안알미늄 경북 구미시 알루미늄 가공
67 티앤비 경북 영천시 알루미늄 박판 제조
68 월광금속 경북 영천시 알루미늄 합금 가공
69 명진RND 경북 영천시 알루미늄 합금 가공
70 삼우리싸이클 경북 고령군 알루미늄 괴 재제조
71 태화금속 경북 성주군 알루미늄 괴 제조

- 97 -
q 결론

❍ 국내 알루미늄 소비량은 세계 5위이지만 알루미늄 원소재는 전량 수입


에 의존하고 있음. 또한, IMF 이후 대형 알루미늄 산업체가 해외로 매
각되어 그 이후 중견/중소기업 중심으로 산업이 재편됨으로써 알루미늄
소재기반 산업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고 이에 대한 정부 정책
수립이 필요한 실정임.

❍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수립을 위


해 알루미늄 소재기반 제조 기업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시행함으로
써 기존 보유 자원의 업데이트와 새로운 자원에 대한 발굴 및 DB화함.
또한, 4세대 알루미늄 소재산업 발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비 수요를 조사하여 기업체 니즈를 파악함.

❍ 대상 기업체는 소재산업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업종 범위가 다양하게 고


루 분포되어 있으며, 기업체 규모 및 종업원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
출액이 높음.

❍ 또한, 기업체의 성장단계를 살펴보면 성장보육형, 자립성장형, 성숙형


기업체가 약 70% 이상을 차지하며, 단순생산형이 아닌 기술반응형, 기
술추격형, 기술선도형 기업체가 약 80% 이상을 차지함.

❍ 이와 같은 결과는 알루미늄 소재산업에 대한 핵심적 기업지원 및 기술


개발에 대한 사업을 통해 기업체를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기업체 소재·기술개발 및 성장 의지가 높은 것으로 보임.

❍ 알루미늄 소재·부품 개발에 있어서 신뢰성 평가, 측정, 검토, 제작, 양


산 등의 과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장비가 필요함. 알루미늄 용접분

- 98 -
야·주조분야·시험/측정분야 장비에 대한 필요도를 분석한 결과, 용접
및 주조분야 장비를 통한 제품 제작·양산에 대한 필요도가 상대적으
로 높아 원소재를 활용한 양산에 대한 지원 필요성이 높음을 알 수 있
으며, 시험/측정/분석분야 장비는 소재 물성에 대한 정밀 측정을 통해
신뢰성 평가 또는 품질 검증, 양산에 대한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알루미늄 소재기반 제조업체는 정부지원사업 참여 시 장비이용을 가장


관심있는 분야로 꼽았으며, 경북 북부권 지역에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양산화 지원센터” 내 장비 구축 시 활용할 의사가 약 70%
이상, 연간 이용 횟수 및 연간 예상 활용 횟수는 10회 미만이 가장 높음.

❍ 기업체는 장비 도입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외부장비를 활용하며, 산


업 저조로 인해 R&D 필요성에 비해 투자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일부
지원이 수반된다면 활용할 가능성이 충분히 높다고 판단됨.

❍ 조사 기업체 중 향후 5년 이내에 알루미늄 소재기반 부품의 신규 양산


제품 및 설비를 계획하고 있거나 검토중인 기업은 약 47.6%로 새로운
양산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구체적인 계획 수립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임.

❍ 애로사항 해결을 위해 기업지원기관에서 지원을 희망하는 분야로 양산


설비관련 기술지도, 제품 기술 및 시장성 조사분석, 유관기업 산업 클러
스터 및 네트워크 구성, R&D 연계 사업기획 지원 및 양산 대상품 신뢰성
평가지원을 고루 응답하였으며, 양산 공정에 대한 최적화, 양산 공정 기술
개발 및 양산 제품 시장성 분석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결론적으로, 알루미늄 소재기반 제조업체 및 산업 성장을 위해 기업체


수요에 따라 양산화 테스트베드 구축, 양산화 솔루션 제공에 대한 지원
이 필요하며,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함.

- 99 -
3. 경북도의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 부품산업 발전 잠재력
지역의 성장이나 발전을 기획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이 가진 경제적 잠재
력의 분석이 필요함. 성장 또는 발전 잠재력은 경제학적으로도 정의하기 어
려운 개념으로, 정의에 대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을 것이나, 본 조사에 있어
서는 입지계수와 변화 할당량 분석을 통해 지역의 전문화 정도를 찾아보고,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지역의 선도 산업
이 차지하는 비중에 의해 지역의 발전 잠재력을 검토함. 이러한 개념으로
기 발표된 연구자료에서 분석한 경북 북부권의 입지계수의 결과를 보면 다
음과 같음.

❍ 경상북도 남부지역은 제조업 특히 제1차 금속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전기 및 전자기기, 화학제품 등에서 전문화되어 있음.

❍ 이에 반해 경상북도 북부지역은 농수산품, 광산품 등 1차 산업과 음식


점 및 숙박업, 통신 및 방송업, 공공행정 및 국방, 교육 및 보건 등 서
비스업 분야에서 특화되어 있음을 보여줌.

❍ 경북 북부권에서 특화를 보여주는 업종들은 대부분 산업연관효과가 낮


고, 소규모로 운영되며 경기에 따라 영향을 받는 업종들임. 또한, 경북
북부권의 2005년에서 2010년까지의 산업별 변화할당분석 결과를 보면,
경북지역은 화학제품, 비금속광물제품, 전기 및 전자기기 제조업 부문에
서 경쟁우위를 보이며, 경북 북부권은 1차 산업과 2차 산업에서 음식료
품 제조업, 비금속광물제조업에 전문화 및 경쟁우위가 있음을 보여줌.

❍ 경북 북부권 투입산출분석 결과를 보면, 후방연쇄효과는 제조부문이 1


차 산업이나 서비스업에 비해 대체로 높게 나타남. 즉, 제조업분야 주
력산업의 수요증가로 인한 지역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일반적으로
크게 나타난다는 의미함.

- 100 -
❍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조업의 GRDP에
서 큰 편차를 보이는 경북 북부권 8개 시․군의 제조업의 GRDP를 평균
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제조업이 가장 발달한 영주시를 표본
으로 했을 경우는 경북 남부권과 비슷한 분석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됨.

<표 Ⅱ-13> 경북 북부권 시․군에 있어서의 제조업 GRDP

❍ 동양최대의 알루미늄 압연업체, 국제 규모급의 베어링 제조업체, 세계


굴지의 반도체 세정액 제조업체, 연초 제조공장, 인삼가공업체 및 인
견 산업체 등 다수의 제조업체가 구축되어 있는 영주시가 가지고 있
는 잠재력은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업지원이 보장된다면, 지역산업구
조의 고도화를 실현하여 신도청시대의 조기 안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판단됨.

- 101 -
❍ 특히, 경금속을 포함한 금속산업은 원자재 생산을 최상위 산업으로 하
여 전개되는 가공 산업중심의 하위산업 간의 산업생태계 구축이 용이함.

❍ 북부권에서 제조업 부문의 GRDP가 가장 높은 4대 시․군의 산업을 정


리하면 <표>와 같음.
<표 Ⅱ-14> 경북 북부권 4대 시․군의 주요 제조 산업

❍ <표>에 열거한 경북 북부권의 주요 제조 산업으로부터 신도청 시대


안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파급효과가 큰 제조업의 도출 조건으로
다음의 항목을 고려할 수 있음.
1) 지역 내 제조 산업생태계 구축으로 선순환적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제조업
2) POSCO와 같이 원재료 생산에 따라 하위 피리미드식 제조 산업의 창
출을 촉진할 수 있는 제조업
3) 현재의 단계에서 지원과 그에 대한 관리에 의해 고용창출 증가율,
매출 증가율 및 신규 산업창출 효과가 높은 제조업

❍ 앞서 도출한 조건을 고려하여 판단할 때, 안동시에 구축중인 바이오산


업에 있어서는 SK케미컬 안동백신공장이 가동을 시작하여 고부가 산
업으로서는 기대되고 있으나, 주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지 않
아 경북 북부권 산업생태계 구축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됨.

- 102 -
❍ 위의 항목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산업은 영주시에 구축되어 있는 세
계 최대의 알루미늄 압연 산업과 베어링제조 산업 등의 금속 성형가
공산업으로 산업생태계 구축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서 경북 북부권
의 대표산업으로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국가 창조경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자연적으로 구축된


제조업 중에서 상위 산업에 해당하는 산업 기반을 구축하여 하위 산
업의 구축을 지원하는 것이 뿌리산업으로의 발전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됨.

❍ 경상북도 지역주력산업육성사업과 경북 북부권의 제조 산업을 비교


및 검토하면 <표>와 같음.

<표 Ⅱ-15> 경북 북부권 시․군에 있어서의 주요 제조업

❍ <표>에 의해 경북 북부권의 주요산업인 알루미늄 압연산업과 베어링


제조 산업이 경상북도의 주력산업 중 성형가공산업에 해당하는 것을
알 수 있음. 따라서, 경북의 주력산업인 성형가공산업을 경북 북부권
의 대표산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음.

- 103 -
❍ 금속 원재료 생산 산업인 알루미늄 압연산업은 원재료 생산을 최상위
산업으로 하고, 그 원자재를 가공하는 산업을 하위 산업으로 하는 북
부권의 대표산업으로 성장시킬 시, 경상북도의 주력산업에 해당하는
성형가공 산업에 해당되어 그 파급효과는 대단히 클 수 있음.

❍ 알루미늄은 가볍고 열전도도와 전기전도도가 뛰어나며, 쉽게 오염이


되지 않으며 내 부식성이 좋고, 합금을 통해 인장강도나 경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범위가 대단히 넓어 주방기기, 전기
전자 및 자동차 부품, 레저 상품 등 산업으로서 성장 가능성이 큼.

❍ 주변 필요기술로는 성형기술, 열처리기술, 표면처리기술, 합금기술, 용


접기술 등을 들 수 있음.

❍ 구축되어 있는 알루미늄 원자재제조 산업을 상위기반 산업으로 하고,


그 자재를 이용하는 하위가공 산업군을 구축해 나가는 것이 타당함.

가. 알루미늄 산업의 비전
❍ 알루미늄은 지구상에서 산소, 규소 다음으로 많이 존재하는 금속임.
알루미늄은 비중이 2.7로 가벼워 대표적인 경금속으로 무자성, 무취,
무독 등 인체에 무해한 금속임.

❍ 알루미늄은 경량성 내식성 전연성 가공성 전도성 미관성이 우수하며,


열전도도와 전기전도도가 클 뿐 아니라 사용한 제품의 리사이클링에
의한 자원 절약효과가 큰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여러 산업분야에
대해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서 전후방 파급효과가 큼. 그러나
원자재 가격이 차지하는 비율이 제품가격의 70%정도 매우 높음.

- 104 -
❍ 알루미늄은 건축기자재, 자동차 부품, 우주항공부품, 식음료 포장재료,
주방기기, 스포츠 레저, 가전 및 IT 부품 등의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
고 있음.

❍ 알루미늄의 가장 큰 특징은 재활용성인데, 차체 폐기 시 알루미늄 스


크랩의 비중은 5%에 불과하나 가격은 50%를 차지할 정도로 재활용성
이 높음.

❍ 알루미늄 가공은 표준산업분류상 1차 금속산업에 속하고 있으며, 가공


산업은 순 알루미늄을 용해 및 주조 후에, 정련, 용해, 합금처리, 주조,
압출, 압연, 단조 및 금속표면처리와 기타 공정을 거쳐서 각종 제품을
제조함. 압연부문은 장치 산업형으로 소수 기업인들에게 과점되어 있
으며, 압출과 주물 산업은 소규모 자본에 의한 중소기업형 구조를 가
지고 있음.

<표 Ⅱ-16> 국내 알루미늄 사업 현황

- 105 -
<표 Ⅱ-17> 2012년 전국 알루미늄 품목별 제조업체수 및 생산액

❍ 알루미늄 제조 산업은 전국 제조업체수 315개 업체, 총생산액 9.23조


원으로 제조업체 수는 전체의 0.49%, 생산액은 전체의 0.63%를 점하고
있으나,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증가에 따라 전체적인 수요는 증가하고
있음. 이 중 영주시에는 세계최대의 알루미늄 압연회사인 노벨리스코
리아㈜가 소재하고 있으며, 연간 생산량인 “450만톤”의 알루미늄 압
연코일 중 70%는 수출하고 30%는 국내에 유통되어 제관(製罐)을 중심
으로 한 알루미늄 제품 성형가공에 사용되고 있어, 향후 알루미늄 원
자재를 공급하는 지역으로서 경량화 추세 등으로 알루미늄 제품에 대
한 수요증가와 함께 성형가공산업에 대한 잠재력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음.

- 106 -
□ 연구개발 인프라

❍ 경상북도는 알루미늄 관련 연구기관, 대학, 특화센터를 골고루 보유하


고 있다. 먼저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는 알루미늄 열간․냉간 압연판
재 제조공정 연구를 비롯하여 경량 알루미늄합금 열간성형성 연구, 의
료용 알루미늄 기술개발 방향 및 시장조사, 특히, 첨단산업 전략소재
부품 시험인증기반구축사업(2015~2020년, 사업비 150억원)은2020년 첨
단산업용 전략 소재부품 국산화와 수출산업화 실현을 위한 글로벌 수
준의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과 기업지원을 목표로 현재 사업이 진행
중임.

<표 Ⅱ-18> 경상북도 연구개발 활동현황

- 107 -
4. 4세대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산업육성 관련 정부정책 연계성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13~17)」(2013.7, 미래부)
- (융․복합을 통한 부품 명품화) 본질이 크게 다른 이종소재의 복합
화를 통하여 부품의 성능 및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본 과제의
정책전략과 부합함.
- (성장견인형 소재․부품생태계 구축) 미래형 제조 산업의 쌀로 예상
되는 경량합금소재·부품의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시제품 생산 기
반을 구축한 본 과제의 본 과제의 정책내용과 부합함.
- (국내 기업 주도형 글로벌 사업화 촉진) 대표적인 미래 유망산업분
야인 친환경 자동차 산업에서 경량 알루미늄 적용을 확대하여 이
산화탄소 배출을 저감, 화석에너지 사용 감소 혹은 에너지 다변화
및 경량 알루미늄 기반 부품의 수출 경쟁력을 확보를 목표하는 본
과제의 정책목표와 부합함.

❍ 「제4차 소재·부품발전 기본계획」(2016. 12, 산업부)


- 소재·부품 산업은 부가가치의 원천으로서 선진국 도약의 기준이
되는 산업이며, 핵심 소재·부품 개발 성공시 장기간 시장지배가
가능한 특성을 가지는 고부가 산업이라는 정책내용과 부함함.
- 우리 정부도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주력산업을 고
도화할 수 있도록 제4차 소재·부품발전 기본계획을 아래와 같이
추진전략과 부합함.
- 그간 소재·부품 산업은 catch-up 전략을 통해 외형적으로 성장했
으나,‘10년 이후 수출증가세 둔화, 여전히 낮은 핵심 기술경쟁력
은 문제점이라는 분석내용과 부합함.

❍ 지난 2016년 8월 10일 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


대에 국가 과학기술의 잠재력을 높이기 위해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가 선정됨.

- 108 -
❍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는 과학기술계와 각 부처의 의견을 수렴 후
경제성장기여도 및 삶의 질 향상 기여도, 전략적 필요성, 경쟁우위 가
능성 등을 고려하여 9개 분야가 후보산업으로 선정 됨.

<그림 Ⅱ-24>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는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자율주행차, 경


량소재, 스마트시티 등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울 수 있는 5개 분야가
선정됨.

❍ 5개 분야는 기술진입 장벽이 높고 기술개발 위험이 크지만, 우리의


강점을 살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는 분야임.

❍ 정부가 발표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우선순위에 둔


것은 경량 소재로서 올해 30억원을 시작으로 향후 7년간 민관이 합동
을 R&D 투자를 진행할 계획임.

- 109 -
❍ 경량소재 분야는 현재 철강소재의 공급과잉과 글로벌 경기침체의 여
파로 철강재를 기반으로 한 전통 산업의 한계성이 고려된 부가가치가
높고 지속성장이 가능한 미래형 산업 분야임.

❍ 세계적으로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자동차 산업에서는 경량화를 통한


CO2 배출감소 와 연비 향상을 요구되고 있어 알루미늄 합금 및 초경
량 마그네슘 소재 부품산업 육성이 시급함.

❍ 미래 선도 新산업 관련 최고기술이 부족하고 대응도 미흡함.


- 전체 소재·부품분야 미래 유망기술에 대한 우리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68.6%

<표 Ⅱ-19> 미래유망 소재·부품의 최고기술(553개) 보유국 및 국내 기술수준 분포

국가별 최고기술 수 기술 수준별 기술 수 국내


구분 한국 일본 미국 EU 중국 계 후발 추격 선도 계 기술
수준
그룹 그룹 그룹 (%)
1차금속 4 10 17 15 1 47 5 32 10 47 75.5
화합물·화학 1 19 26 11 3 60 35 17 8 60 60.3

소 고무·플라스틱 - 7 2 - - 9 - 5 4 9 80.6
재 섬유 - 7 5 12 - 24 18 3 3 24 49.0
비금속광물 2 25 11 7 - 45 11 25 9 45 69.9
소계 7 68 61 45 4 185 69 82 34 185 66.0
전자 4 9 44 13 - 70 5 36 29 70 79.8
수송기계 - 15 36 50 - 101 32 55 14 101 70.0
일반기계 1 9 21 14 - 45 8 33 4 45 68.8
부 전기기기 23 13 22 - 59 8 50 1 59 69.7
품 1
조립금속 - 13 16 17 - 46 11 28 7 46 69.7
정밀기기 - 10 28 9 - 47 26 21 - 47 56.1
소계 6 79 158 125 - 368 90 223 55 368 69.8
전체 13 147 219 170 4 553 159 305 89 553 68.6
* 15개 소재·부품 관련 연구소 및 18개 산업분야별 PD 등 설문결과
(’16.10~11)

- 110 -
❍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은 새로운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성장동력 창출 기반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기술보급을 통한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낙후된 산업 체계를 재편성하고 부항 할 것으로
예상됨.

❍ 차세대 차량융합부품 제품화 지원 기반조성사업과 철도차량부품산업


기술지원센터 구축 사업이 진행 중으로 중소기업에서 개발한 마그네
슘 합금소재 부품을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어 산업
전반에 빠르게 확대 가능하며 차세대 차량융합부품 제품화 지원과 철
도차량부품산업기술지원이 종료 후에도 활성화 가능함.
- 차세대 차량융합부품 제품화 지원 기반조성사업
(2014 ~ 2018, 359억, 경산)
- 철도차량부품산업기술지원센터(2016 ~ 2018, 200억, 경산)

❍ 영주에 기구축하는 경량 알루미늄 기반을 베이스로 초경량 마그네슘 소


재 부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반 구축을 한다면 중복 투
자 없이 지역 내 경량함금소재 산업을 육성 기반 구축 가능

❍ 지역 내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육성은 독립적인


센터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 알루미늄 기반구축의 확장 형태 추진하면
기반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기존의 인프라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장점
이 있음.

- 111 -
5. 기존사업과의 중복성

❍ 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서 융합소재센터 구축사업을 추진 진행함.


- 슈퍼섬유복합사 가공기 외 32종 도입 및 융합소재 설비 구축
- 열가소성 복합재료 함침용 연속식 압축성형 설비, 산자용 단사가하
고, 시트절단 장비 등 섬유 소재 관련된 사업이므로 경량 소재 사업과
연관성이 없음.

❍ 한국화학연구원에서는 화학소재 종합 솔루션 센터를 구축 하여 골든


소스 및 고부가가치 소재 정보를 중심으로 한 물성 정보 수집 가공
생성 및 DB구축을 시행 하였으나 화학소재로 경량 소재와는 연관성이
없음.

❍ 한국세라믹기술원에서는 세라믹 소재 종합솔루션 센터구축을 추진 진행함.


- 만능경도시험기 및 일부 경량 소재와 유사한 시험 장비를 구축
- 세라믹소재 물성정보 DB 구축 및 운영
- 일부 유사한 장비는 도입하였지만 세라믹소재 전용으로 경량소재
및 알루미늄 사업과의 연관성은 없음.

❍ 한국기계연구원부설재료연구소에서는 금속소재종합솔루션센터를 구
축 진행함.
- 열간압연시뮬레이터 외 2종 장비 구축 및 금속소재 정보 DB 구축
- 금속소재 정보 보급체계 구축 및 전산해석 기업지원
- 경량소재 및 알루미늄 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금속소재
자체를 연구 경량 소재 및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과는 차별성이
있음.

- 112 -
❍ 다이텍에서는 고분자 재료와 관련된 섬유소재 종합솔루션 센터를 구축함.
- 섬유소재와 관련되어 알루미늄 사업과는 연관성이 없음.

❍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금속재료 및 공정기술 기반 구축


- 희소성금속산업 육성 인프라 기반 구축
- 고온만능시험기 외 49종
- 희소금속산업 기반구축
- 희소금속 전문기업 지원 등 희소 금속관련 기반 구축 사업임.
- 일부 장비가 본 사업과 연관성이 있거나 유사한 장비이나 사업 본
질 자체는 희소 금속과 경량소재로서 차별성이 있음.

❍ 재료연구소에는 소재부품 손상원인분석 센터를 구축 함.


-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 분석기 등 장비 도입
- 부품에서 제조 또는 상용 중 발생되는 기술적 문제 해결
- 문제점 규명에 따른 제조기술 및 제조공정 개선 유도
- 물성 평가 및 손상진단을 위한 기반산업으로 경량 소재 및 알루미
늄합금과는 관련성이 없음.

❍ 경량 Al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시생산 기반구축사업


- 알루미늄 시생산 기반 구축 사업으로 시생산 관련 장비 도입
- 시제품 제작 지원등 양산전 단계 지원
- 본 기획 사업과 유사하나 시제품 기반구축 후 양산화 지원센터가
구축 된다면 시너지 효과가 기대 됨.
- 장비도입 계획을 사전에 파악 후 중복을 회피 한다면 장비 활용성
도 높을 것으로 예상

- 113 -
<표 Ⅱ-20> 제안사업의 중복성 검토

사업
과제명 주관기관명 사업분류명 수행기간
지역

한국섬유개발 20130601~
융합소재센터구축사업 슈퍼소재융합제품산업화 대구
연구원 20170531
부품소재신뢰성향상기반구축사업 20120501~
한국화학연구원 신뢰성평가기반구축 대전
(화학소재분야) 20170430
분리막 소재 평가 표준화 및 공 20160601~
한국화학연구원 산업융합기반구축사업 대전
정 실증화 기반구축 20201231
소재종합솔루션센터 구축 20170501~
세라믹소재 종합솔루션 센터구축 한국세라믹기술원 경남
사업 20180228
한국기계연구원 소재종합솔루션센터 20170501~
금속소재 종합솔루션 센터구축 경남
부설재료연구소 구축사업 20180228
부품소재신뢰성평가기반구축사업 에프아이티아이 20120501~
신뢰성평가기반구축 대구
(섬유소재분야) 시험연구원 20170430
부품소재신뢰성평가기반구축사업 자동차부품 20120501~
신뢰성평가기반구축 천안
(자동차부품분야) 연구원 20170430
경량 Al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시 (재)경북 20160401~
산업융합기반구축사업 영주
생산 기반구축사업 테크노파크 20201231
진공기술기반 고청정 합금소재 (재)경남 20130901~
산업융합기반구축사업 경남
부품 생산기반구축사업 테크노파크 20180831
부품소재신뢰성평가기반구축사업 20120501~
한국기계연구원 신뢰성평가기반구축 대전
(기계류부품분야) 20170430
자동차부품 글로벌 품질인
자동차부품 글로벌 품질인증 20131201~
한국기계연구원 증 부산
기술기반구축 20180531
기술기반구축
(재)경북 철도차량 핵심부품 시험인
철도차량 핵심부품 시험인증 20161201~
테크노파크 증 경산
기반구축 20191130
그린카 기반구축
항공기 복합재 부품 시험생산기 (재)경남 20081101~
공동연구기반구축 경남
반 구축 테크노파크 20130831
친환경 자동차부품 클러스터 광주 20161229~
산업융합기반구축사업 광주
조성사업 그린카진흥원 20211231
첨단소재부품 가공시스템 기술지 한국생산 첨단소재부품 가공시스템 20160401~
광주
원 기반조성 사업 기술연구원 기술지원 기반조성 사업 20201231
나노금형기반 맞춤형 융합
나노금형기반 맞춤형 융합제품 (재)경남 20161201~
제품 경남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 테크노파크 20211130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

- 114 -
6. 경북지역 산업과의 부합성

❍ 경북지역은 철강(포항), 전자・통신(구미) 산업과 기계(창원), 완성차


(울산) 등 연관 산업이 주변지역에 발달한데다 양질의 노동력과 편리
한 교통 등에 힘입어 경주, 경산, 영천을 중심으로 국내 3위의 기계
및 자동차부품 집적지가가 형성되어 있음.

❍ 2014년 통계청 자료를 참조하면 국내 자동차부품 부가가치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8.9%로 수도권(28.9%), 부산・울산・경남권(28.1%)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함.

❍ 종업원 10명 이상 기업을 기준으로 경북이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은


전국 대비 6.0%, 월 평균 종사자 수 8.4%, 출하 액 8.8%, 부가가치
8.8%를 차지하며,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제조업은 경북
이 전국 대비 기업체 수에서 6.0%, 월 평균 종사자 수 5.6%, 출하액
5.5%, 부가가치 5.7%임.

❍ 경북은 경량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소재가공, 부품기업과 전략소재/부


품을 활용하여 신규시장 창출을 원하는 수요가 많은 지역임.

❍ 경북지역에는 자동차부품, 항공부품, 첨단산업 가공부품을 위한 기술력


을 확보한 기업들도 분포하고 있음.

❍ 경북 지역에 자동차부품산업과 전자 통신 산업이 주력산업으로 육성되


면서 전통 철강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철강 제조 산업과 함께 비철금
속 제조 산업이 함께 육성되어 있음.
- 경북지역의 1차 비철금속 제조업은 전국 생산액의 15.4%를 담당하고
있음.(2014년 통계청자료 참조)

- 115 -
<그림 Ⅱ-25> 경상북도의 산업 현황

❍ 자동차부품, 항공부품, 첨단산업의 부품소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산


업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고 지역 1천명 이상의 연구 인력과 우수
한 연구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국내 어느 지역보다 경쟁력 있는 연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음.

<표 Ⅱ-21> 경북의 1차 비철금속 제조업 현황

1차 비철금속 제조업

항목 단위 전국 경북 비율

사업체수 개 646 60 9.3%

종사자수 명 30,380 4,137 13.6%

출하액 백만원 35,740,301 5,514,563 15.4%

자료 : 2014년 기준, 통계청

- 116 -
❍ 경북지역에는 경량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소재가공, 반가공재, 부품기
업과 전략소재/부품을 활용하여 신규시장 창출을 원하는 수요가 많은
자동차 부품산업과 전자제품산업이 형성되어 있음.

❍ 경량소재 및 알루미늄기업의 사업분야로 금속가공 기술 분야가 55.1%


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성형(18.7%), 표면처리 기술(11.1%), 비철
금속합금 제조/응용기술(6.6%), 주조(5.6%) 등의 순으로 나타남.

<표 Ⅱ-22> 사업분야 (단위 : %)

55.1%

18.7%
11.1%
5.6% 6.6%
3.0%

성형 주조 금속가공 기술 비철금속 표면처리 기술 기타


합금 제조
/응용기술

❍ 기업 특성에 상관없이 금속가공 기술 분야가 높은 비중이 차지한 가


운데, 동남권(28.2%), 1차 금속 제조업(45.5%), 압출(57.9%)과 압연
(57.1%), 원소재(50.0%) 분야는 성형 분야, 대경권(15.4%), 금속가공제품
제조업(35.1%)은 표면처리 기술 분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117 -
<표 Ⅱ-23> 지역별 사업분야 (단위 : n, %)

사업분야
구분 비철금속
금속가공 표면처리
성형 주조 합금 제조/ 기타
기술 기술
응용기술
전체 198 37 18.7% 11 5.6% 109 55.1% 13 6.6% 22 11.1% 6 3.0%
대경권 143 23 16.1% 9 6.3% 76 53.1% 9 6.3% 22 15.4% 4 2.8%
지역 수도권 16 3 18.8% 1 6.3% 10 62.5% 2 12.5%
동남권 39 11 28.2% 1 2.6% 23 59.0% 2 5.1% 2 5.1%
1차 금속 33 15 45.5% 5 15.2% 4 12.1% 8 24.2% 1 3.0%
금속가공제품 37 2 5.4% 1 2.7% 16 43.2% 3 8.1% 13 35.1% 2 5.4%
기타 기계/장비 62 8 12.9% 5 8.1% 47 75.8% 1 1.6% 1 1.6%
업종
자동차/트레일러 46 9 19.6% 32 69.6% 1 2.2% 2 4.3% 2 4.3%
기타 운송장비 6 1 16.7% 4 66.7% 1 16.7%
기타 업종 14 2 14.3% 6 42.9% 5 35.7% 1 7.1%
원소재 20 10 50.0% 1 5.0% 5 25.0% 4 20.0%
리사이클링 2 1 50.0% 1 50.0%
압출 19 11 57.9% 6 31.6% 1 5.3% 1 5.3%
해당 압연 7 4 57.1% 1 14.3% 2 28.6%
분야 다이캐스팅 8 1 12.5% 2 25.0% 4 50.0% 1 12.5%
기타 주조재 27 1 3.7% 5 18.5% 21 77.8%
기타 40 2 5.0% 1 2.5% 18 45.0% 1 2.5% 15 37.5% 3 7.5%
무응답 75 8 10.7% 1 1.3% 53 70.7% 5 6.7% 5 6.7% 3 4.0%

❍ 알루미늄 기업의 원자재, 가공재, 주조재 등의 해당분야는 기타 분야


를 제외하면, 기타 주조재가 13.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원소재
(10.1%), 압출(9.6%), 다이캐스팅(4.0%), 압연(3.5%) 등의 순으로 나타남.

<표 Ⅱ-24> 알루미늄 관련사업 해당분야 (단위 : %)

37.9%

20.2%
13.6%
10.1% 9.6%
3.5% 4.0%
1.0%

원소재 리사이클링 압출 압연 다이캐스팅 기타 주조재 기타 무응답

- 118 -
❍ 업종별로는 1차 금속 제조업은 원소재(30.3%)나 압출(27.3%), 기타 기
계 및 장비 제조업은 기타 주조재(35.5%)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

❍ 사업분야별로는 주조 분야(45.5%)는 기타 주조재, 비철금속합금 제조/


응용기술 분야(30.8%)는 원소재, 성형 분야(29.7%)는 압출 비율이 가장
높았음.
<표 Ⅱ-25> 지역별 해당 사업분야 (단위 : n, %)

해당분야
구 분 기타
원소재 리사이클링 압출 압연 다이캐스팅 기타 무응답
주조재
전체 198 20 10.1% 2 1.0% 19 9.6% 7 3.5% 8 4.0% 27 13.6% 40 20.2% 75 37.9%
대경권 143 12 8.4% 1 .7% 11 7.7% 4 2.8% 6 4.2% 27 18.9% 38 26.6% 44 30.8%
지역 수도권 16 2 12.5% 2 12.5% 1 6.3% 1 6.3% 10 62.5%
동남권 39 6 15.4% 1 2.6% 6 15.4% 2 5.1% 1 2.6% 2 5.1% 21 53.8%
1차 금속 33 10 30.3% 1 3.0% 9 27.3% 2 6.1% 4 12.1% 1 3.0% 3 9.1% 3 9.1%
금속가공제품 37 1 2.7% 4 10.8% 3 8.1% 15 40.5% 14 37.8%
기타 기계/장비 62 5 8.1% 1 1.6% 3 4.8% 1 1.6% 3 4.8% 22 35.5% 13 21.0% 14 22.6%
업종
자동차/트레일러 46 3 6.5% 1 2.2% 2 4.3% 1 2.2% 7 15.2% 32 69.6%
기타 운송장비 6 1 16.7% 1 16.7% 4 66.7%
기타 업종 14 2 14.3% 1 7.1% 1 7.1% 2 14.3% 8 57.1%
성형 37 10 27.0% 11 29.7% 4 10.8% 1 2.7% 1 2.7% 2 5.4% 8 21.6%
주조 11 1 9.1% 1 9.1% 2 18.2% 5 45.5% 1 9.1% 1 9.1%
사업 금속가공 기술 109 5 4.6% 1 .9% 6 5.5% 1 .9% 4 3.7% 21 19.3% 18 16.5% 53 48.6%
분야 비철금속합금 제조/응용기술 13 4 30.8% 1 7.7% 2 15.4% 1 7.7% 5 38.5%
표면처리 기술 22 1 4.5% 1 4.5% 15 68.2% 5 22.7%
기타 6 3 50.0% 3 50.0%

❍ 경북의 경량소재 및 알루미늄, 마그네슘 부품 제조 기업들은 주된 수요


처인 대기업의 2∼3차 협력업체로 볼 수 있으며 대부분의 업체들은
대기업의 1차 협력기업으로 납품을 하여 최종 대기업으로 공급하는
시장구조를 보이고 있음.

❍ 경량금속소재 산업은 대부분이 가공소재 중심의 저부가가치 구조를 갖


고 있는 상태로 신소재/신제품을 대상으로 고부가가치화 및 원재료 자급
화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

- 119 -
❍ 경량합금 소재를 이용하여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용기술은 철강재와
비교하여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경량합금 소재의 성형, 용접·
접합, 표면처리 등은 고도의 전문성 및 장비 투자를 필요함.

❍ 지역의 대학과 연구기관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우수 연구인력 확보하고


있어 향후 연구기반을 잘 갖춘다면 고기능 경량화 제품을 개발해 선진
국의 기술역량 추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경북지역 내 고급인력의 지속적 공동연구를 통한 고기능성 신제품개발


로 기술경쟁력 강화하여 대규모 R&D인력 확보 및 체계적인 인력양성-
기업지원 운영을 통한 장비 활용 제고 및 성과 극대화 유도가 필요함.

- 120 -
7. 4세대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을 통한 경북도 산업
활성화 및 균형발전 필요성

❍ 경북은 대구광역시와 울산광역시에 접해 있어 자동차, 조선, 항공, IT


산업 등의 근간이 되는 후방산업으로 부품소재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해
왔고, 국가 지역 전략산업에서 ‘전자정보기기, 신소재부품, 생물한방,
문화관광’을 담당하고 있듯이 기존의 제조 산업을 기반으로 경북도내
4개 권역별 특성화 및 연계화 추진으로 환동해 산업기술의 전략적 중심
지화를 추진하고 있음.

❍ 이것은 현재 부품소재산업의 경북 영남권 몰림 현상으로 경북 권역별


경제성장의 불균일에 따른 경북도의 전략적 해결 방안임.

❍ 지역혁신의 다양화와 탁월화, 지역산업의 특성화와 연계화, 군역별 혁신


역량의 극대화와 권역간 혁신격차를 최소화를 위해 신산업 동력에 대한
투자와 지역별 산업생태계 연계 산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

❍ 경북도 내 지역의 역할분담 및 기능적 연계를 통한 초광역 공동사업추


진으로 시너지효과의 극대화를 이뤄야 할 시점인 것임.

전략산업 주요사업
․디스플레이 지술지원센터 설립
전자․정보기기산업
․임베디드 시스템 핵심 기술 개발
․나노소재 산업화 기술 개발
신소재․부품산업
․자동차용 신소재 및 금형기술 개발
․한방치료제 및 기능성제품 연구개발
생물․한방산업
․해양생명체 유래 유용 신물질 연구개발
․신라천년 문화체험관 건립
문화․관광산업
․명상문화컨텐츠 종합개발원 조성

- 121 -
❍ 경북지역의 산업 경제 활성화와 균형발전을 위해선 경북지역의 중심 산
업인 소재산업의 새로운 동력화가 중요함.

❍ 경북은 비철금속, 금속분말, 전자 및 구조세라믹, 탄소섬유, 이차전지


관련 소재, 기능성 섬유 등의 분야에 다수의 부품소재 관련 업체가 존재
하고 있으며 국가 신성장 동력인 경량화와 관련된 비철금속 업체인 조
일알미늄, 남선알미늄, KPC, KPCM 등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다양한
소재 관련 기업들이 경북지역에 자리 잡고 있음.

❍ 소재산업은 다른 제조 가공 기반의 사업과 달리 소재 개발에 장시간 소


요가 되며 새로운 신소재가 개발 되었을 시 국가경제에 미치는 파급효
과 매우 큼.

❍ 또한, 소재산업은 경량합금과 복합소재와 같이 원천기술 개발이 특히


중요시 되며, 첨단기술 융복합인 전기자동차, 스마트 섬유, 지능형 로봇,
홈 네트워크, 인공장기 등과 같이 첨단 신소재 수요도 지속적으로 확대
될 전망임.

- 122 -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재산업은 전방산업의 근간이 되는 뿌리산업
으로 자동차, 조선, 항공, IT 등 국가 주력산업의 성능, 품질, 가격 경쟁
력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핵심소재의 확보 여부가 산업
경쟁력의 출발점 역할을 하고 있음.

❍ 이렇듯, 국가 산업 경제 발전의 뿌리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바로 경북지


역의 제조산업이며, 이러한 제조산업의 신성장 동력과 활성화 역할을 하는
것이 4세대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신소재와 융복합 부품산업임.

- 123 -
<표 Ⅱ-26> 소재와 신성장동력 간 연관관계

❍ 경상북도가 고부가가치 소재부품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점검하고, 지역


전략산업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
산업 육성이 필요함.

- 124 -
가. 4세대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 부품산업 발전을 위한 고찰
❍ 산업 및 기술적 특성
- 원천 소재 및 가공기술로 고부가가치화
1) 유럽, 북미 및 일본 등의 경우는 신규시장의 성장은 거의 없으나 기술
적인 차별성을 갖고 있는 원천소재 및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고부가 가
치를 창출하고 있음.
2) 반면, 중국 및 아시아 등의 후발 국가에서는 저부가가치의 원소재 제련
및 주조재를 중심으로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중간 위치에 있는 한
국으로서는 원천적 기술 확보를 위한 지원이 필요함.
3) 생산․수요업계 간 공동개발, 생산기술 및 규모의 국제화를 위해 가장 큰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판재에 대해서는 준 양산 가능한 Pilot 규
모의 연구개발 설비의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이 절실히
요구됨.
4) 핵심적 기술개발 내용

- 소요원자재의 경쟁력 있는 수급 방안 마련
1) 순 알루미늄 원소재 생산이 전혀 없이 수입에만 의존해야하기에 알루미
늄 인고트의 구매제도 개선, 알루미늄 재활용의 효율화, 제품의 표준화,
수요업계 및 관련 업계와의 긴밀한 체제 구축, 해외선물 및 환율관리 체
계화 등을 통하여 소요 원자재의 구매단가 절감 및 안정적 수급 확보
- 원가절감 등 수익구조 개선 및 수요증대 방안 강구
1) 수익구조 개선, 수요증대, 기술 Know-How 자산화, 소재간 경쟁에서 알루
미늄의 우월성 홍보 등을 통하여 업계 수익성 확보 및 산업발전 도모

- 125 -
- 영주시 소재 노벨리스코리아(주), 베어링 아트 등을 최상위 산업으로 한하
위 산업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기업지원을 통한 클러스터 구축 경쟁력
강화
1) 연간 알루미늄 압연 생산량 “450만톤”으로 세계최대 알루미늄 압연공
장인 노벨리스코리아㈜가 소재해 있어 이를 최상위 산업으로 한 하위
산업인 알루미늄 성형가공 클러스터를 영주시에 구축하여 경쟁과 협력
을 통한 경쟁력 확보 지원
2) 상위(TOP STREAM) 산업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압연에 관계된 협력업체
들의 유치 또는 창업지원으로 협력체계 구축
· 에너지(도시가스 또는 LNG) 공급업체
· 압연유, 윤활유 생산업체
· 세척제, 방청유, 탈지제 등의 생산업체
· Coating 도료 및 전후처리 Chemicals 생산업체
· Packing용 목재 가공업체
· Coil 생산용 지관생산업체 등
· 재활용 알루미늄 캔 수집 공급 업체

- 알루미늄 산업의 하위 산업인 성형가공 산업은 99%가 소량 다품종을 가


공하는 중소기업이므로, 우선적으로 자재의 1차 가공에 해당하는 절단
(Slitter, Circular Breaking 포함) 및 절곡 등의 관련 업체를 지원하는 형
태의성형가공의 기본체계를 구축해야 함.

- 알루미늄 관련단체의 흡수 통합 또는 사업화 연계화, B2B 네트워크 구축


으로 업계 경쟁력 강화, 신뢰성 인증제도, 시제품 제작 및 양산화 지원
등을 통하여 알루미늄 성형가공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함.

- 126 -
❍ 정책적 특성
- 「창조경제 기반 글로컬 첨단산업 육성계획」
· 신규 신성장 동력산업을 발굴하여 지역의 특성에 부합하는 차별화 및
전문화 기술개발 추진전략이 본 사업의 정책목표와 부합
· 특성화와 융합화 연계화를 통한 융복합 사업추진 내용이 대표산업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까지 지원하는 본 사업의 내용과 부합

- 「전후방연계의 동반성장 선상(線像)벨트 조성계획」


· 전후방 연계형 산업육성체계 구축으로 주력 및 연계산업과 연계한 기
업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이 본 사업의 정책목표와 부합
· 산학연 연계형 기업지원을 통한 뿌리산업에 대한 종합인프라 구축이
클 러스터 구축을 지원하는 본 사업의 내용과 부합
· 타킷지향형 기술개발을 통한 선진국 수준의 기술 확보가 수출 경쟁력
을 강화하는 본 사업의 내용과 부합

- 「2015 경북지역산업진흥계획」
· 경북 북부권의 주요산업인 알루미늄 압연산업과 베어링제조 산업이 성
형가공산업에 해당하므로, 이들 대표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국제 경쟁력
을 강화하는 것이 본 사업의 정책목표와 부합
· 지역 대표산업의 하위(Down Stream) 산업 육성을 통한 창조적 산업
기업지원이 본 사업의 내용과 부합
· 인프라 활용연계를 통한 광역경제권 거점산업 육성이 대표 산업을 육
성하고자하는 본 사업의 정책목표와 부합

-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현재 경부 북부권의 경제적·산업적


현황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 지역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급속한 고령화 진행
· 지역의 저소득, 저소비, 저생산의 악순환 구조

- 127 -
· 지발재정의 취약
· 농업 부문의 높은 비중과 제조업 부분의 낮은 비중의 지역산업구조

- 산업간 연계효과가 낮은 1차 산업 및 서비스 위주의 산업구조를 탈피하


고, 일자리 창출 및 부가가치 창출을 높이는 산업구조로 변화가 필요함.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생산 및 소비를 견인할 수 있는 전후방 연쇄 효
과가 큰 지역의 기반산업의 발굴 육성이 필요

- 영주에 기구축된 경량 알루미늄 시생산 기반을 베이스로 4세대 알루미늄


및 경량합금 소재부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생산 및 제조 연계형
기반 구축’을 추진한다면 중복투자 없이 지역 내 경량함금소재 산업
육성이 가능할 것임.

- 128 -
Ⅲ. 경상북도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전략

1. 4세대 알루미늄 소재 및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목표 수립

q 경상북도 제조산업 기반의 장점

❍ 철강(포항), 전자 및 통신(구미), 기계(창원), 완성차(울산) 제조산업과 관


련하여 지역 내외적으로 알루미늄 소재관련 전후방산업이 잘 발달됨.
❍ 경북도내 경주, 경산, 영천은 국내 3위의 기계 및 자동차부품 집적지
❍ 자동차부품산업, 전자통신산업을 주력산업으로 육성되어 자연스레 철강
제조산업과 함께 비철금속 제조산업이 발달됨.
❍ 우수한 연구인력 및 연구장비 확보로 타 시·도에 비해 경쟁력있는 연구
인프라가 조성되어 있음.

<그림 Ⅲ-1> 경북도내 지역별 육성산업 현황

- 129 -
q 경상북도 제조산업 불균형 및 해결방안 모색
❍ 경북의 소재부품을 비롯한 제조산업 기반은 구미, 경산을 중심으로 영
남권에 집중되어 도내 균형발전의 필요성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음.
❍ 2장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경북 북부권역 각 시․군의 산업구조를 보면 전
국과 경북 북부권의 차이만큼 큰 격차를 보여줌. 안동시는 의료업부문의
비중이 높은 반면, 영주시는 제조업부분의 비중이 다른 시군에 비해 월등
히 높은 비중을 보이고 있음.
❍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산업은 영주시에 구축되어 있는 세계 최대의
알루미늄 압연 산업과 베어링제조 산업 등의 금속 성형가공산업으로
산업생태계 구축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서 경북 북부권의 대표산업
으로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또한, 영주시에서는 국내 유일의 “경량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
부품 시생산 기반구축”을 통해 알루미늄 소재기반의 MMI(Multi
Materials Integration) 기술 및 시생산 지원을 수행하고 있어 사업성과
확산 및 연계방안 극대화를 위해서 경북 영주시에서 소재부품 제조산
업 기반을 확립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됨.

<그림 Ⅲ-2> 경상북도 권역별 부품소재산업 밀집지역

- 130 -
<그림 Ⅲ-3> 경상북도 북부권 주요산업 현황

q 경상북도 4세대 알루미늄 기반 산업육성 전략수립


❍ 영주시는 소재부품 제조산업의 육성을 위한 산학연 인프라가 타 북부권
지역보다 우수함.

<그림 Ⅲ-4> 경상북도 영주시 제조산업 관련 기반현황

- 131 -
❍ 알루미늄 제조 산업은 전국 제조업체수 315개 업체, 총생산액 9.23조
원으로 제조업체 수는 전체의 0.49%, 생산액은 전체의 0.63%를 점하고
있으나,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증가에 따라 전체적인 수요는 증가하고
있음. 이 중 영주시에는 세계최대의 알루미늄 압연회사인 노벨리스코
리아㈜가 소재하고 있으며, 연간 생산량인 “450만톤”의 알루미늄 압
연코일 중 70%는 수출하고 30%는 국내에 유통되어 제관(製罐)을 중심
으로 한 알루미늄 제품 성형가공에 사용되고 있어, 향후 알루미늄 원
자재를 공급하는 지역으로서 경량화 추세 등으로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수
요증가와 함께 성형가공산업에 대한 잠재력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음.
❍ 따라서, 현정부의 소재부품 육성을 위한 국가전략 프로젝트에 부합하
여 차별성 있고, 사업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알루미늄” 기반의
국가전략사업을 다음과 같이 제안함.

<그림 Ⅲ-5> 소재부품 육성관련 주요 국가전략

- 132 -
- 133 -
<표 Ⅲ-1> 세부사업별 사업예산 계획

예산(억원)
추진과제
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총계
알루미늄 기반 MMI 국비 30 30 30 30 30 - 150
부품 개발지원 300
(2019~2023년) 지방비 30 30 30 30 30 - 150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 국비 25 25 25 25 25 - 125


250
(2019~2023년) 지방비 25 25 25 25 25 - 125
스마트 팩토리 기반
국비 30 30 30 30 30 - 150
양산화 테스트베드
300
구축
지방비 30 30 30 30 30 - 150
(2019~2023년)
선도기술 국비 - - 25 25 15 10 75
이식지원센터 구축 150
지방비 - - 25 25 15 10 75
(2021~2024년)
코일 물류단지
국비 20 30 30 10 10 - 100
조성지원 200
지방비 20 30 30 10 10 - 100
(2019~2023년)
Al 용탕 직접 압연에
국비 - 15 14 14 - - 43
의한 고용질, 광폭
60
판재용 원천소재 개발
민자 - 6 5.5 5.5 - - 17
(2020~2022년)
Al 용탕 직접 압연에
의한 고용질, 광폭 국비 - 20 15 15 - - 50
판재제조 공정기술 70
개발 민자 - 8 6 6 - - 20
(2020~2022년)
Al 고용질 광폭 판재
제조를 위한 용탕 국비 - 20 15 15 - - 50
직접 압연장치 70
기술개발 민자 - 8 6 6 - - 20
(2020~2022년)
계 210 307 341.5 301.5 220 20 1,400 1,400

- 134 -
2. 이종접합소재 개발 지원사업

q 국가적 필요성

❍ 최근 CO2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나 화석 연료인 석유의 고갈 등의


환경 문제가 부각되어 여러 분야에서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도, 차체 경량화와 전기 자동차, 연료 전지 차 등의 개발로,
연비를 향상시키고 CO2발생량을 억제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지
금까지 경제적인 철강 재료가 사용되어온 자동차 구조 부품에 대해서
경량화를 위해 철강 재료의 고강도화에 따른 경량화 구조의 개발과
병행하여 알루미늄, 마그네슘, CFRP등 이 확대 적용(아래그림 참조)되
고 있다. 이와 같이 소재의 고강도 경량화의 요구는 세계적인 추세이
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중소재의 일체화기술은 단순기술이 아니라
혁신적인 구조재료의 경제적 양산을 위한 신자원화 전략산업으로 육
성이 필요함.

<그림 Ⅲ-6> 2010년 및 2030년 자동차 분야 소재 전망

- 135 -
q 경북의 필요성

❍ 경북은 비철금속, 금속분말, 전자 및 구조세라믹, 탄소섬유, 이차전지


관련 소재, 기능성 섬유 등의 분야에 다수의 부품소재 관련 업체가 존
재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국가 신성장 동력인 경량화와 관련된 비
철금속 업체인 조일알미늄, 남선알미늄, KPC, KPCM 등 4세대 알루미
늄 소재 및 다양한 소재 관련 기업들이 경북지역에 자리 잡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대구광역시와 울산광역시에 접해 있어 자동차, 조선, 항
공, IT 산업 등의 근간이 되는 후방산업으로 부품소재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해 왔음(아래그림 참조). 따라서 경북지역의 중심 산업인 소재산
업을 기반으로 가장 경제적인 경량화 방법인 경량소재 융복합(ex. 다
중소재일체화) 기술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신산업 동력에 대한 투자
와 지역별 산업생태계 연계 산업을 활성화함으로서 경북도 내 지역의
역할분담 및 기능적 연계를 통한 초광역 공동사업추진으로 시너지효
과의 극대화를 이뤄야 할 시점인 것임.

<그림 Ⅲ-7> 경상북도 지역산업 연계 파급효과

- 136 -
q 사업 최종 목표

❍ MMI 부품제조기술 Platform 구축


❍ 이종재료 시작품 인증 및 평가시스템 개발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MMI D/B 시스템구축

q 주요 사업내용

❍ MMI 부품제조기술 Platform 구축


- 수송기기용 Al 압출재, 압연재 및 고장력강의 융복합화를 위한 제조
공정기술 개발
- 수송기기용 Al기반 이종소재 부품화를 위한 부/방식 표면처리 기술개발
- Al기반 융복합 경량화 부품군에 대한 성형/접합/표면처리 등의 요소
기술 개발

❍ 이종재료 시작품 인증 및 평가시스템 개발


- 경량소재 융복합부품 시작품 인증 및 기법개발
- 철강/비철 이종소재 경량화부품 평가시스템 구축
- 경량소재/CFRP 이종소재 부품 공정 및 평가시스템 개발

❍ 4차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MMI D/B 시스템구축


- 차체경량화를 위한 MMI 부품 최적화 D/B 개발
- MMI 부품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모델링/해석
- 수요기반의 MMI Data Bank 구축

- 137 -
❍ 사업비

예산(억원)
추진과제
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계 총계
알루미늄 기반 MMI
국비 30 30 30 30 30 150
부품 개발지원
지방비 30 30 30 30 30 150 300
(2019~2023년)
계 60 60 60 60 60 300

❍ 분류별 추진전략
- MMI 부품제조기술 Platform 구축

MMI Platform

장비 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
-이종 접합시스템 -시제품 생산기술 -시작품 제작평가
-MMI 부품 성형가공 장비 -기업제품 및 공정기술 -신뢰성 향상기술
-경량 융복합부품 평가 -양산화 공정기술 -불량원인 분석

- MMI 제조기반 Platform 구축을 통하여 이종재료 시작품인증 및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고 보완함으로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수 있는
MMI 부품D/B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고 이를 최적화 연계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

q 기대효과
❍ 저가형 고합금 경량화 융복합부품의 고품질 제조 공정기술 개발을 통
한 초경량 수송기기용 부품 제조기술의 고도화

❍ 고부가가치 소재/공정기술 개발을 통한 국내 Al 기업의 시장선점 및


수요확대로 전・후방 산업의 기술경쟁력 제고

❍ MMI 부품의 최적화 D/B 구축을 통한 국제경쟁력 비교우위 확보

- 138 -
3.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사업

3.1. 알루미늄 응용 소재·부품 양산화 지원센터

q 국가적 필요성

❍ 기존 철강 대비 알루미늄은 활용기술의 성장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군에 폭넓게 적용되지만,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화 특수소재에 대한
지원 인프라는 전무한 실정임.

❍ 최근 소재부품 제조산업 시장에서 큰 비중으로 성장하고 있는 알루미늄


소재부품은 아직까지 민간에서 적극적인 투자로 결실을 맺기까지 많은
난제들이 있음. 특히, 자동차/항공/의료 등 국가 전략적인 미래산업 분
야에서는 양산화 지원을 통한 신뢰성 평가 및 인증지원 등이 필요한
고난이도 분야임.

❍ 다양한 어려움과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는 알루미늄을 기반으로 한


“경량화 융복합 부품산업”은 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및 계획을 통해
중점적으로 지원할 계획임을 공표함.

- 139 -
q 경북의 필요성

❍ 경북 권역별로 고른 경제성장 동력원 확보 및 제조산업 성장불균형을


해소하여 권역간 균형발전 달성

❍ 현재 수행중인 “경량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시생산 기반구축


사업”의 성과확산 및 “시제품 양산화 지원사업”을 통한 개발제품의
전주기적 지원체계를 통해 경북내 소재부품기업들이 개발제품을 빠르게
상품화할 수 있음.

❍ 국내 유일의 “경량 알루미늄 소재기반 융·복합부품 시생산 기반구


축”을 통해 알루미늄 소재기반의 MMI(Multi Materials Integration) 기
술적용 부품 양산 및 전주기적인 지원의 수행을 통해 사업성과 확산
및 연계방안 극대화

q 사업수행 목표

❍ 4차 산업혁명 대응기반 양산화 지원센터 구축

❍ 시생산 기반 연계를 통한 양산화 지원 솔루션 제공 시스템 구축

❍ 생산공정 시스템의 지능화 및 안정성 확보 기술지원

❍ 양산화 제품의 선순환 Biz 라인 확보 및 산업간 연계방안 추진

❍ 기업 타겟제품 관련 공정 및 양산기술 고도화 지원

- 140 -
q 주요 사업내용

❍ 사업비

예산(억원)
추진과제
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총계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 국비 25 25 25 25 25 - 125


(2019~2023년) 지방비 25 25 25 25 25 - 125 250

계 50 50 50 50 50 250

❍ 기반 소재부품 평가 기반 구축
- 특성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신뢰성 평가 및 해설기술 개발, 내구성
평가 요소기술 개발을 통하여 물성평가 기술 데이터베이스 확보

❍ 소재부품 개발 및 최적 공정 설계
- 멀티-머티리얼 융·복합 부품화를 위해 Al 소재 응용 기초기술 확보,
다종금속소재 및 복합소재 개발을 통해 고성능 및 초경량화 미래형 부품
제조를 지향하여 4차산업에 대응 가능한 기술을 개발

❍ 소재부품 시험생산 지원
- 시험생산 지원을 통한 시생산 및 산업 연계를 통한 생산 프로세스 구
축, 제품 규격화, 품질관리, 신뢰성 검증을 통하여 양산화 솔루션을 제
공하고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을 통해 알루미늄 소재산업 경쟁력을 고
도화함. 미래형 수송기기용 초경량 부품개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세계시장 첨단소재 역수출을 가능토록 함.

- 141 -
<그림 Ⅲ-8> 알루미늄 응용소재·부품 양산화 지원센터

<그림 Ⅲ-9>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사업 로드맵

- 142 -
❍ 생산 효율성(생산공정) 향상지원
- 경량소재 시제품 생산기술, 기업제품 개발, 공정 적용기술 및 생산 공
정기술 장비활용을 통하여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고품질의 제품
생산과 최적 양산화 공정 시스템화를 구축함.
- 경량소재 시제품 생산기술, 기업제품 개발, 공정 적용기술 및 생산 공
정기술 장비활용을 통하여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고품질의 제품
생산과 최적 양산화 공정 시스템화를 구축함.

<표 Ⅲ-2> 공정기술 개발을 통한 생산 효율성 극대화 방안

기술개발 계획 상세 내용

경량 소재 적용 - 시제품 생산 공정 프로세스 지원
시제품 생산 - 4차산업 연계 스마트 팩토리 공정 시스템
기술 개발 설계 및 모니터링 기술지원

기업 제품개발
- 경량합금 적용 제품 설계 및 개발지원
및 공정적용
- 개발품 생산 적용 기술 및 공정 최적화
기술개발

- 합금화설계/개발-고강도 합금 성형기
- 중간재생산-판재 압연기, 온간 성형기
생산공정기술 - 주조/성형-타이캐스팅(빌렛,정밀성형)
장비활용 - 가공/접합-자동/스팟/판재용접, 버핑기
- 소재융복합-복합모듈 사출기
- 열처리/표면처리-경량합금 PEO처리기

❍ 양산제품 신뢰성평가 및 인증시험 체계 구축


- 목표된 수명기간동안 제품의 최초품질을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평가하고 내구수명 또는 고장률을 예측, 검증하는 핵심기술임.

- 143 -
- 시험평가, 신뢰성 인증, 국제 인증 및 성능/안정성 시험을 통한 양산화
제품의 신뢰성 확보

❍ 신뢰성 인증 시스템을 통해 신뢰성 요구조건에 만족함을 신뢰성 평가기준 및


규격에 의해 시험평가를 수행하고 신뢰성에 대한 객관적 품질 보증으로 알루
미늄 소재기반 제품의 품질향상과 국제시장 경쟁력 강화

<그림 Ⅲ-10> 신뢰성평가 기술 주요내용

<표 Ⅲ-3> 신뢰성 인증시험


시험 종류 내용
- 수명 시험 조건 설계
수명 시험 - 요구수명 입증을 위한 보증시험
- 가혹한 조건에서 시험하는 가속시험법

- MIL-STD-810G 기반의 내환경성 시험


내환경성 시험
- 진동, 온도, 가속도, 충격등의 내환경성 시험
- 인장 압축기를 이용한 인장, 압축, 피로시험
성능/안전성 시험 - 충격 시험 및 내압 시험
- 알루미늄 소재기반 부품의 성능 시험
- 진직도, 진원도 측정
정밀 측정 - 3차원 정밀 형상 측정
- 부품의 평탄도, 표면조도 측정

- 144 -
❍ 기술지원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기업들에게 경량소재 기초 물성
데이터, 양산 금형 및 공정 기술 지원 및 다양한 환경과 성분 제어 기술
을 지원함.

<표 Ⅲ-4> 신뢰성 인증 시스템

지원내용 상세내용

- 합금 설계 비율 데이터 제공
경량소재 기초
- 물성평가시험(인장시험, 정·동 압축시험,
물성 D/B 구축
굽힘시험 등) 데이터 제공

양산 금형 및
- 생산용 금형설계 기술 지원
공정 기술
- 생산 제조 공정 기술 지원
개발

- 생산 환경 및 각종 변수의 제어 기술 지원
환경, 공정
- 경량 소재 양산공정 변수에 따른 소재별
변화 제어
성분 및 조성 분석 제어 기술 지원
기술 개발

❍ 인프라구성

- 알루미늄 응용소재·부품 양산화 지원센터를 통해 기관-기업 간 경량소


재 양산화 지원체제를 구축하고 소재부품 기업지원 전문센터, 제품의 멀
티-멀티리얼 솔루션평가, 소재부품 기업지원 전문센터 역할을 하며 시생
산 및 양산화 솔루션 제공

- 영주의 지역적 잠재력을 이용, 다양한 경량 머티리얼 제조산업의 인프


라를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의 경량화를 추진 4차산업 성장동
력 확보와 삶의 질 향상 추구

- 145 -
<그림 Ⅲ-11> 양산화 인프라 체계

<표Ⅲ-5> 양산공정 최적화 지원사업내 구축 장비목록

장치명 목적 가격(억원) 적용연차


합금 설계용 Phase
J Mat Pro 1 1차년도~3차년도
control 프로그램
용해로 알루미늄 용해 25 1차년도~5차년도

보온로 용탕 유지 25 1차년도~5차년도

용탕 직접 압연기 판재 제조 40 1차년도~5차년도

냉간 압연기 판제 두께 제어 40 1차년도~5차년도

연속식 열처리로 용질 균질화 20 1차년도~5차년도

- 146 -
q 기대효과

❍ 알루미늄을 중심으로 한 경량소재 부품개발의 전주기적 지원을 통한 강


소기업 육성 및 이를 통한 전후방 연관산업의 구조 고도화 실현

❍ 미래 경량소재 수요기반의 고도화 제품개발에 필요한 소재 솔루션 기술


확보로 자동차, 항공, 에너지 등 미래산업의 소재-부품-시스템 협업
생태계 기반 확보

❍ 구축장비를 활용한 유무형적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연구 및 시험평가


를 위한 시설투자 부담경감

❍ 경량소재 시제품 생산기술, 기업제품 개발, 공정 적용기술 및 생산 공정


기술 장비활용을 통하여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

- 147 -
3.2. 용탕 압연 기술개발

q 국가적 필요성

❍ 국내의 알루미늄 소재 산업은 기업의 99% 이상이 중소기업으로 저부


가가치의 주조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압출 및
단조 등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판재를
생산하고 있는 대기업의 경우에도 설비에 특화된 부품만을 생산하며,
선진국의 고부가가치 소재 및 부품은 전량 수입에 의존.

❍ 특히, 순알루미늄 원소재 생산은 전혀 없이 수입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국내 알루미늄 소재 산업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지기 위하여
서는 전략적인 지원과 이를 바탕으로 원천적인 기술을 확보해야 함.

❍ 이를 위해, 초기 산업 투자에 대한 위험요소를 개별 업체에 전가하지


않고, 국가 혹은 지역 정부 주도의 기초, 기반기술 요소 개발을 우선
진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물을 공유한 후 확장시키는 방안의 연구개발
이 수행되어왔음.

❍ 국내의 알루미늄 부품소재 산업의 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은 고부가


가치의 알루미늄 판재 및 압출재 등의 전신재를 생산할 수 있는 실질
적인 능력이 없기 때문에, 소재단위로만 공급 받거나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단순히 기존의 소재를 개량하는 것도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준양산이 가능한 pilot 규
모의 연구개발 설비를 원하는 중소기업에서 자유롭게 활용하고 연구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혁신적인 원천소
재의 실적용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함.

- 148 -
q 경북의 필요성

❍ 국내 최대 알루미늄 판재 제조 회사인 ‘조일 알루미늄’이 위치. 핵


심 기술 보유에 대한 지역적 개발 동력으로 작용가능. 기 보유 기술
upgrade를 통한 생산 효율성 확보

❍ 국내 최대 알루미늄 판재 소비 분야인 자동차 부품 생산지가 밀집되


어 생산, 소비에 대한 운송 효율이 높고, 타 지역과의 연계성이 우수

q 사업수행 목표

❍ 고용질, 광폭 판재용 원천소재  설계 및 개량


1) 기 개발 신합금 벤치마킹
2) 적용 제품별 목표 Spec 설정
3) 원천 소재 설계 및 개량

❍ 고용질, 광폭 용탕 압연 기술 개발
1) 공정 중요 parameter 설정
2) 변수별window 테스트
3) 목표 Spec 달성 위한 공정 제어

❍ 고용질, 광폭 판재 제조를 위한 용탕 직접압연 장치 개발


1) 장치 설계 탐색
2) 고용질, 광폭 판재 제조 적합 설비 구축
3) 공정 평가 결과에 의한 장치 개량

- 149 -
q 주요 사업내용

❍ 사업비

세부 예산(억원)
추진과제
분야 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총계

양산공정 국비 - 15 14 14 - 43
소재 60
민자 - 6 5.5 5.5 - - 17
최적화 지원
국비 - 20 15 15 - - 50
연구 기술개발 공정 70
민자 - 8 6 6 - - 20
사업
국비 - 20 15 15 - - 50
(2019~2023년) 장치 70
민자 - 8 6 6 - - 20
계 30 60 50 40 20 200 200

q 주요 내용

❍ 알루미늄 압연판재는 반연속주조법이라고 불리는 DC (Direct Chill) 주


조에 의해 10-25톤 정도의 슬라브를 주조 한 후, 균질화 처리, 면삭,
열간압연, 냉간압연, 중간열처리, 2차 냉간압연, 최종 열처리 등의 여
러 공정에 의해 생산 되는 것이 보편적임.

❍ 공정단가를 절약하기 위하여 용탕으로부터 직접 판재를 주조하는 용탕


압연 기술이 순알루미늄 계열을 중심으로 적용.

❍ 용탕 직접 압연은 최종제품에 이르기까지 공정 단계가 대폭 감소되어


공정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장치 투자비가 작고, 판
재를 직접 주조하기 때문에 생산시간이 단축되며, 소규모 의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량 다품종의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량을 조절하기
가 용이하다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음.

- 150 -
❍ 주조 시 냉각속도가 크기 때문에 기존 잉곳 주조 및 열간압연 공정에
서는 곤란하였던 주조조직의 미세 화 및 정출상의 미세 균일분포 등
조직제어적인 관점에서의 장점

❍ 알루미늄 합금 판재의 용탕 직접 압연은 생산되는 방식에 따라 그림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구분. 먼저 Hunter 방식을 근간으로 한 트윈 롤
주조기(Twin roll strip caster)가 있으며 Hazellet 방식을 근거로 한 트
윈벨트 주조기(Twin belt caster)가 있음.

<그림 Ⅲ-12> 반연속주조법과 연속주조법에 의한 알루미늄 판재 제조 공정

- 151 -
❍ 트윈벨트주조기의 경우 10 mm – 25 mm 두께로 알루미늄 합금 판재
를 생산할 수 있으며, 용탕 직접 압연 중 가공열처리가 필요한 고합금
계의 생산 가능성이 높아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연구.

❍ 현재, 노벨리스 (Novelis) 등에서는 트윈벨트를 이용하여 고합금계인


5754판재 등을 제조하는 공정이 연구.

❍ 트윈롤 주조의 경우 냉각되는 두개의 롤 사이에서 용탕이 롤과 접촉하


여 응고되기 때문에 공정제어가 까다로워 서 순알루미늄 계열의 생산
에 적용.

<그림 Ⅲ-13> 트윈 롤 주조기와 트윈벨트 주조기

- 152 -
❍ 생산되는 알루미늄 판재의 두께가 5mm 이하로서 박판제조시의 생산
성이 높아 가장 경제적인 박판주조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합금계
에 적용할수록 용질원자 또는 첨가합금의 편석 또는 박판재 표면에
주조균열이 발생

❍ 트윈롤 캐스터의 경우 응고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주 조립의 미세


화 뿐만 아니라 응고시의 정출물의 미세화 또는 Fe 화합물의 미세화
가 가능하여 최근에는 판재 물성 향상을 위한 신합금 및 신공정 개발
에 대한 연구가 진행.

❍ 현재, 모든 알루미늄 합금을 박판주조하여 생산하기 곤란한 이유는 박


판주조 시 고액계면의 대칭구조로 인한 중심 편석, 내부와 표면의 응
고속도차이에 의한 표면결함의 발생, 롤과의 용탕간의 안정한 윤활제
미개발

❍ 합금의 함량이 높을수록 고액공존 온도구간의 증가로 인하여 고액계면


제어가 난해.

❍ 고 합금계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박판주조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공정 설계를 통하여 결함 없는 판재의 생산과 아울러 박판주조시의
빠른 냉각속도를 이용하여 판재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합금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

q 기대효과

❍ 알루미늄판재의 산업 전분야 적용 확대: 운송, 기계, 생활, 보건 등 ->


다목적 판재: 파급효과 극대화

- 153 -
❍ 고가소재의 경쟁력 증대 위해, 제조 공정 경쟁력 선점 및 확대가 매우
절실.

❍ 자동차, 항공 등의 수송기계 적용과 전기, 전자 분야의 융복합 다목적


판재 설계, 제조 필요.

❍ 소재, 공정, 설비 등 일관제조(一貫製造)전체에 대한 원천기술 소유 가


능성 충족.

❍ 고용질에 의한 특성 다양화 요구 충족, 광폭에 의한 경제성 확보 및


적용 가능 분야 확대

<그림 Ⅲ-14> 양산공정 최적화 기술개발사업의 내용과 목표

- 154 -
4. 스마트 팩토리 기반 양산화 테스트베드 구축

q 국가적 필요성

❍ 독일, 미국 등을 포함한 제조강국을 중심으로 세계는 지금 제4차 산업


혁명시대를 맞아 이에 걸맞은 스마트공장 설립에 박차
❍ 우리나라는 이런 선진국의 제조업 부활과 신흥국의 추격 속에 수출
여 건 악화로 제조업 전반에 걸쳐 위기감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

<표 Ⅲ-6> 스마트 팩토리 5대요소

❍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제 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


해 국내 제조업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이 시급. 이를 위한 새로운 돌파
구가 바로 '스마트공장' 임.

q 경북의 필요성

❍ 대기업 중심으로 ICT 적용 제조현장 혁신을 위한 시도가 일부 진행되


고 있으나, 외산솔루션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국내 기술의 한계로 민
간투자는 시작 단계

- 155 -
❍ POSCO: ’17년까지 국내 제철소 대상 설비, 품질, 조업, 에너지, 안전
관리 등의 분야에 스마트 공장 적용 프로젝트 추진 중

❍ 스마트 공장 구축을 위한 ICT 요소기술적용: 빅데이터 활용한 제품불


량 및 고장 사전예측, GPS·블루투스 및 센서를 활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공장 신설·증설시 가상 현실을 통한 검증

❍ 기술 선점에 따른 시너지 효과에 있어, 생산기반 기술이 취약한 경북


지역에 스마트 패토리 기반 양산화 테스트베드 구축함으로서 생산기
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많은 기업유치와 생산 효율성 극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

q 사업수행 목표

❍ 가공, 제조, 조립 산업별 스마트 팩토리 관리표준화 기법 개발


1) 장치별 네트워크 설정 및 제어 변수 선정 
2) 산업별, 공정별 관리 표준화 선정
3) 표준화 플랫폼에 의한 D/B활용 

❍ 지역별,산업별 지능형 설비 및 시스템 구축에 의한 빅데이터 구성


1) 장치별 네트워크 설정 및 제어 변수 선정 
2) 산업별, 공정별 관리 표준화 선정

❍ 최적화,고효율 생산 위한 인공지능 공정관리 기법 개발


1) 산업별, 공정별 인공지능 요소 설계
2) 관리기법 및 In-out 방안 도출
3) 표준화 플랫폼에 기반한 인공지능 활용

- 156 -
q 주요 사업내용

❍ 사업비

예산(억원)
추진과제
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총계

스마트 패토리 기반
국비 30 30 30 30 30 - 150
양산화 테스트베드
구축 300
지방비 30 30 30 30 30 - 150
(2019~2023년)

계 60 60 60 60 60 - 300

q 주요 내용

❍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발적 확산'이란 원칙하에 민관합동으로 다양한


지원을 추진 중.

❍ 2014년도 시범 사업을 거쳐 2015년까지 총 1,240개의 중소기업 및 중


견기업에 스마트공장을 구축, 지원했으며 2016년 말 기준 총 2,800개
사에 스마트공장을 보급

❍ 2016년 말까지 구축 완료된 1,861개 사의 성과를 비교해봤을 때 평균


46% 불량률이 줄었고, 16%의 원가 절감, 35%의 납기 단축과 같은 긍
정적인 결과가 도출. 평균 23%의 생산성 향상, 수출확대 및 신사업발
굴 등 다양한 성과가 확인

- 157 -
<그림 Ⅲ-15> 스마트 팩토리 기반 양산화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로드맵

❍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구축 분위기도 점차 확산. 스마트공장 구


축이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중소기업 및 중견기
업 비율이 2014년 말 57%에서 2016년 5월에는 86.3%, 12월에 는
91.9%로 크게 증가하는 등 스마트공장 구축에 관한 인식이 크게 확대

❍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민관합동으로 구성된 스마트공장 추진단에서


는 2020년까지 1만 개의 스마트공장 을 구축하고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

❍ 스마트 공장 표준 및 인증기업을 추진중이며, 기업에 적합한 솔루션을


도출 할 수 있도록 업종별, 제조 공정별 스마트공장 구축 전문가인 코
디네이터 풀을 구성하고 스마트공장 사업 성과 확산에 힘쓰고 있음.

- 158 -
<그림 Ⅲ-16>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추진 현황

❍ 더불어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이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대표 스마트공


장 구축과 함께 설명회, 견학 프로그램 등을 진행하며 맞춤형 홍보를
다각적으로 추진

❍ 스마트공장의 보급 유형도 다양화해 에너지 신산업 기술을 적용한 '클


린에너지 스마트공장' 구축을 진행하고, 지역간, 업종간 연계를 통해
제조업의 연결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형 스마트 공장'을
구축할 계획

❍ 전문가 컨설팅, R&D 교육, 금융 지원 등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스마


트 공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고도화를 지원

❍ 스마트공장 아카데미, 실무과정 등을 통한 교육 및 훈련도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스마트공장 전문인재 양상 예정.

- 159 -
<그림 Ⅲ-17> 스마트 공장 보급 성과

- 160 -
4.1. 산업별 스마트 팩토리 관리 표준화 기법 개발

q 유사 산업별 표준화를 통하여 스마트 팩토리 기반 양산화 테스트베드를 구축.

❍ 가공, 제조, 조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낭비 요소를 원천 제거하고, 최적의 양


산화 공정 시스템 구축 및 시스템의 지역별, 산업별 통합 관리가 가능해짐.

<표 Ⅲ-7> 산업별 표준화를 통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구축

∙ 4M+1E의 각 요소(Man, Machinery, Material, Method


and Environment)들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값을
‘4M+1E’의 인지해야함.
디지털화
∙ 측정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통신을 통해
대화가 가능해야 함.

∙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 등의 솔루션을 이용하여


지능화
최적해 또는 예측 가능한 해를 제공해야 함.

∙ 사회망 및 가치사슬을 통해 단대단(End-to-end)의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평적 통합이
필요함.
통합

∙ 최하위 수준인 기계장치에서부터 기업의 비즈니스


수준까지 수직적 통합을 지향함.

∙ 지속적으로 정보를 확보하고 저장한 후에 이를


엔지니어링
바탕으로 자동화를 위한 제조 지식을 점진적으로
지식의 창출
창출할 수 있어야 함.

스마트 시스템과의 ∙ 향후에 발전할 스마트 제품들과 통신표준에 의거하여


연결 연결이 가능해야 함.

- 161 -
4.2. 빅테이터 구성 및 인공지능 공정관리 기법 개발

q 빅데이터 구성과 인공지능 공정 관리

❍ 생산, 자원, 에너지 등 모든 재화 정보의 지역별, 유사 산업별로 네트


워크 구성 및 빅데이터 화를 통하여 시너지 효과 극대화함.

❍ 공장의 모든 공정 관리에 인공지능을 활용함으로써 제품의 공정 효율


및 생산성을 높이고 그에 따라 기업이윤을 최대화함.

빅데이터 화 인공지능 제어 공정, 생산, 이윤 극대화


<그림 Ⅲ-18> 스마트 팩토리의 빅데이터 구축

- 162 -
5. 선도기술 이식 지원사업

q 국가적 필요성

❍ 세계경제는 고도의 전문서비스업과 지식 및 기술이 집약된 첨단 산업


사회로 급속도로 전환되고 있으며, 새로운‘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고
있는 현재의 기술은 가속적으로 고도화 되어가고 기술개발규모와 체계
는 점차 거대화 복잡화 해가고 있음

❍ 또한 국가간의 기술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어 이를 추격하기 위해서


는 기술협력 방향의 모색이 절실히 요구되며, 기술협력의 증진과 효율
성제고를 위해서 기술협력 활동을 체계화함이 필요함.

❍ 다선도기술 이식 지원센터는 선도기술 공정 교체를 통한 생산성 극대


화 및 선도기술화를 통한 기업의 국제적 경쟁력 및 신뢰성 확보에 큰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담됨.

<그림 Ⅲ-19> 선도기술 이식 지원센터 프로세스

- 163 -
q 경북의 필요성

❍ 경북의 산업은 현재 제조기반 중심으로 자동차부품업체들이 주를 이루


고 있으며, 특히 경북 북부지역은 농수산물, 광산품 등 1차 산업과 서비
스업 중심으로 산업이 형성되어 있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핵심 기술
이 부재한 상태

❍ 현재 영주에는 구축중인 시생산기반 알루미늄 융·복합 센터를 베이스


로, 이를 받쳐줄 양산화지원 센터를 기반구축 한다면 중복 투자없이 지
역 내 경량 알루미늄 산업을 육성이 가능하며 이와 병행하여 선도기술
이식 지원센터를 운용한다면 성장속도가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됨.

❍ 선도기술 이식 지원센터는 선도기술 공정 교체를 통한 생산성 극대화


및 선도기술화를 통한 기업의 국제적 경쟁력 및 신뢰성 확보에 큰 교두
보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담됨.

q 사업수행 목표

❍ 선도기술이식전략수립
- 기술협력수요조사
- 국내외기술이전관련 현황 및 전망 분석
- 외국의 기술협력대상별 기술 수준 평가
- 기술이전 전략 및 중장기 계획 수립

❍ 기존 양산화 공정/장비에 선동적 생산기술을 접목하여 기술상용화 가속

❍ 생산공정 선도화 및 생산 신기술 개발, 신장비, 기업 생산시설에 신기술


적용 및 이식지원

- 164 -
❍ 선도기술 공정 교체를 통한 생산성 극대화

❍ 선도기술화를 통한 기업의 국제적 경쟁력 및 신뢰성 확보

- 165 -
q 주요 사업내용

❍ 사업비

예산(억원)
추진과제
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계 총계
선도기술 국비 - - 25 25 15 10 75
이식지원센터 구축
(2019~2023년) 지방비 - - 25 25 15 10 75 150

계 0 0 50 50 30 20 150

❍ 알루미늄 소재 선도국가 은퇴 기술자 초빙 및 정착도움을 통해 기술력


확보가 우선시 되어야 함.
- 은퇴기술자 및 파견 기술자 모집
- 은퇴기술자를 통한 전문 인력 양성 교육시스템 구축
- 은퇴기술자와 산학연 연계를 통한 전문 연구원, 기술자 양성

❍ 공정개선, 장비 개량등의 선도기술 지도 및 기업이 필요한 애로사항을


지원 하고자 함.
- 하이테크 공정 및 장비 기술 개발 지도
- 개발품의 상용화를 위한 기술지도
- 애로기술 공동대응

❍ 신제품 초기 단계부터 참여하여 오류치 최소화 및 제품 고부가 가치화를


실현
- 오류 최소화를 위한 초기 공동작업 진행
- 신제품 품질향상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 166 -
<그림 Ⅲ-20> 선도기술 이식 지원사업 개요

<그림 Ⅲ-21> 선도기술 이식 지원사업 연차별 주요내용

- 167 -
q 선도기술 이전 전략수립

❍ 기술협력수요조사를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로 기술별 국내 Needs 파악


이 우선시 되어야 하겠으며, 국내 기술이전 수요조사가 병행

❍ 국내외 경량 알루미늄 판재, 압연, 주조 및 단조, 용접 기술의 조사 분류


와 핵심요소 기술 선정

❍ 국내외기술이전 관련현황 및 전망 분석을 위해 국내 기술개발, 정책 및


제도 현황 및 동향, 조사 분석이 필요

❍ 해외 기술개발 정책 및 제도현황 및 동향을 분석하는 벤치마킹이 필요

❍ 외국의 기술협력대상별 기술수준 평가를 통해 앞으로 필요한 유망 선도


기술을 정의하여 이식

❍ 선진기술 이전전략 및 대응책 수립 및 중장기 국제기술협력계획을 수립


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계획 수립

<그림 Ⅲ-22> 선도기술 이식 지원센터구축

- 168 -
q 기대효과

❍ 국내 경량 알루미늄 소재분야의 기술협력 needs를 체계적으로 파악함에


의하여 기술협력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 이러한 기술협력 needs에 따라서 협력 대상국과 협력방식을 대응시킴으


로써 기술 협력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으며, 산·학·연·관 협력관계를
체계화하는데 기여 가능함.

❍ 주요 선진국의 기술개발동향과 기술협력형태를 파악함으로써 기술협력 정


책수립과 기술경쟁에 대처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공 가능함.

❍ 강소기업의 기술 needs를 파악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함에 의하여 개


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글로벌 경쟁력 확보로 국제 시장 진출의 경
제적 효과를 제고 할 수 있음.

❍ 또한 경량 알루미늄, 판재, 압연, 주조, 접합 기술이 2025년까지 세계 정


상수준의 기술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의 국제화 전략 수립이 요
구되며, 그 일환으로 선도기술협력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조직적
체계적으로 추진함에 의하여 연구개발의 국제화를 효율적으로 달성 할
수 있음.

- 169 -
7. 코일 물류단지 조성 지원

q 국가적 필요성

❍ 전세계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류 최적화는 필수요


건이 되어가고 있으며 각 산업군별로 필요소재를 적기에 공급할 수 있
는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음.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대응하여 국가경
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업별 그룹화를 통하여 공통으로
필요한 소재를 집중화하고 수요가에 최적화된 소재 및 부품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

q 경북의 필요성

❍ 경북은 한반도 허리경제권의 중심에 위치하여 지리적으로 유리한 위


치에 있으나 주변의 산업군이 남부권에 위치해 있고 경량소재를 생산
하는 기업과 이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C Belt를 형성하
고 있음. 이러한 소재기업과 생산기업을 연결해 주는 경량소재 융복합
부품의 고부가가치화 및 생산품의 경쟁력 제고와 제품의 확산 공급을
위한 Supply chain 구축을 통해 최적의 수익구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반도 허리 경제권의 중심에 위치한 지역에 특화된 소재 물류시스템
을 통한 공급거점이 필요함.

q 사업 최종 목표

❍ 경량 융·복합 소재 물류시스템 구축 및 부품 물류단지 생태계 조성

q 주요 사업내용

❍ 경량 융·복합 소재 부품의 가공, 제조, 조립산업별 물류자동화 시스템 개발

- 170 -
❍ 주문/생산/출하 자동화 기반의 지능형 설비 시스템 개발

❍ IoT 기반 소재D/B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물류관리 최적화

❍ 사업비

예산(억원)
추진과제
재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계 총계
코일 물류단지 국비 20 30 30 10 10 100
조성지원사업
(2019~2023년) 지방비 20 30 30 10 10 100 200

계 40 60 60 20 20 200

❍ 분류별 추진전략

경량융복합 소재 물류시스템

물류시스템 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


-소재별 자동화 시스템
-소재별 물류창고 시스템 -맞춤형 소재지원
-주문/생산/출하 One Stop
-소재조합 물류자동화 -Just in time 공급
지능형 설비시스템 개발
-Big Data 기반 AI 물류관리 -Product Mix 지원
-AI물류관리 최적화기술

※ 경량소재 물류시스템 구축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시스템 개발과 IoT,


Big Data 기반 주문/생산/출하 one stop service를 위한 AI 물류관리 최
적화 시스템 확보

q 기대효과
❍ 경량 융복합 소재 최적화와 물류시스템 확보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및 국가/지방 산업 단지의 활성화

❍ 기존산업의 고부가 가치화 실현과 소재산업간 연계를 통한 경북 북부권 제


조산업 인력 유치 및 이에 따른 제조산업 성장 모멘텀 확립

- 171 -
Ⅳ. 기대 및 파급효과

❍ 소재산업은 기본적으로 산업간 전후방 연계효과가 커서 알루미늄 소재


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 부품산업 육성은 자동차, 전자전기 분야를 비롯
하여 다양한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함.

❍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의 성장동력 확보과제 분야로 지정된 경량


소재의 기본인 알루미늄 기반 부품산업 육성은 4만불 시대 창조경제의
핵심산업인 소재 및 MMI(Multi Materials Integration) 부품의 시장 경쟁
력을 확보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임.

❍ 본 보고서에서 수립한 전략사업(이종접합소재 개발지원, 양산공정 최적


화 지원, 코일 물류단지 조성 등)을 통해 국외 선진기술 수준을 추격하
고, 나아가 차세대 제조산업의 수요기반의 고도화 제품개발에 필요한 솔
루션을 확보하여 기술을 선도하는 역할로 글로벌 시장을 주도

<표 Ⅳ-1> 알루미늄 산업의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선진국 대비
구분 국내 기술수준 국외 기술수준
기술수준
Ÿ 주조용 합금설계 기술개발
Ÿ 저압주조방식 위주 Ÿ 고압주조, 반용융 주조
Ÿ 다이캐스팅에 의한
부품 제조기술 법 등 선진 주조기술 개
주조산업 발 및 확보 80%
Ÿ 주조기술 개발보다 Ÿ 주조제품의 단가를 낮추
는 장비수입을 통
한 부품생산 위주 기 위한 주조기술 개발
에 중점
Ÿ 비열처리형 소재에
국한 Ÿ 고강도 알루미늄 판재
Ÿ 열처리형 고강도재
압연산업 의 생산은 거의 없음. 합금설계 기술 확보 50%
Ÿ 열처리 및 비열처리형
Ÿ 알루미늄 호일, 건 고강도 제품생산
축용 판재위주로
생산
Ÿ 저합금계 위주로 생산 Ÿ 압출용 고강도 알루미늄
압출산업 Ÿ 건축용 소재에 주 소재 합금 개발기술 확보 70%
로 사용 Ÿ 첨단 압출기술 개발

<출처 : 신소재 경제, 재료연구소 발간 소재기술백서>

- 172 -
❍ 초경량 금속 소재인 알루미늄의 성형·제조·가공을 비롯한 제품화
산업을 지원하고, 경량소재 융·복합 기술 네트워크 구축 및 전후방
연관 산업의 구조 고도화를 지원함으로써, 초경량 소재 분야를 경북지
역 주력사업으로 육성 및 강화

❍ 비철금속산업이 시작된지 80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는 2016년 기준으


로 알루미늄, 아연 등 6대 비철금속의 생산규모는 245만톤으로 세계 9
위, 소비는 352만톤으로 세계 5위의 수준으로 도약함. 또한, 부존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연간 90억달러에 달하는 수출상품으로 자리매김하였는
데, 본 육성전략을 적절히 활용하여 중소기업 주도의 금속 가공 산업의
진화를 통한 1차 소재-부품가공-시스템산업간 연계 고도화 실현 및
대·중·소 상생 생태계 확산

❍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소형화, 경량화, 다품종 소량생산 등이 진행되면


서 이에 핵심소재인 알루미늄을 비롯한 비철금속산업이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여 소재개발에 집중되어 있던 기술을 상용화 지원기반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적용 확대

<표 Ⅳ-2> 경북 도내 알루미늄 소재가공 대표기업의 투자계획

기업명 주요 투자활동

Ÿ 울산공장 압연생산 능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일본 고베제


노벨리스 코리아 강과 합작법인(울산 알루미늄) 설립 협약을 체결하고, 지분 50%(3
억1,500만달러)를 2017년 9월까지 매각하여 공동운영 계획

Ÿ 이탈리아 Mino사와 신규 냉간압연설비 도입계약(220억원)을 통해


조일 알미늄 생산능력을 기존 연간 16만톤에서 20만톤으로 증대해 2018년까지
정상가동을 완료할 예정

<2017년 6월 기준>

- 173 -
❍ 경북 북부권의 신성장 동력소재인 알루미늄을 활용한 융·복합 부품산
업 육성은 알루미늄 소재 생산기업에서부터 알루미늄 기자재 생산기업,
나아가 알루미늄 적용제품 생산기업에 이르기까지 전주기적인 기술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됨.

❍ 경북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소재산업 진흥정책에 맞추어 범경북 소


재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창출할 수 있음.
· 경북의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및 경쟁력 구축
· 경량소재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침체가 우려되는 국가 및 지방 산업
단지의 활성화
· 기존산업의 고부가 가치화 실현 및 소재산업간 연계를 통한 경북 북부권
제조산업인력 유치 및 이에 따른 제조산업 성장 모멘텀 확립
· 타 경북산업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북부권의 균형발전 달성

<그림 Ⅳ-1> 경상북도 경량소재 산업 클러스터 조성

- 174 -
1. 기술적 파급효과
q 알루미늄 판재 기술적 파급효과
❍ 알루미늄판재를 비롯한 금속판재는 수송기기, 건축물, 방위산업 등의 분
야에서 그 수요를 나열하기 불가능할 정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
며 봉재, 선재 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응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금속판재의 제조기술은 각국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반기술 중의 하나
이며, 박판주조공정은 이러한 알루미늄판재를 제조하는 신 주조공정으로
서 미래지향의 산업적 기반기술임.

❍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판재는 용융금속을 잉곳이나 슬라브 형태로 주조한


후 필요한 열연과 냉연의 소성가공공정을 거쳐 최종 제품을 얻게 된다.
그러나 오일쇼크 이후 에너지 절감의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어 용융
금속에서 직접 최종제품에 가까운 박판을 제조하는 이른바 박판주조기
술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이 신 주조공법은 제조공정 생략이라는 경제
적 측면과 함께 급속응고효과로 인한 재료의 특성개선과 신소재개발이
라는 재질적 측면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판재제조공
정을 대체할 획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산업
에서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짐.

❍ 비평형합금 판재는 21세기의 수송기기, 군수물품, 핵관련설비 등의 다양


한 분야에 핵심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미래형 재료이며 향후 엄청난 잠
재적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집중적이고 창의적인 연구수행
이 요구됨. 현재 비평형합금의 박판주조기술은 다른 기술선진국에서 아
직 개발에 성공하지 못하였고 본 연구실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기술이기
때문에 향후 4~5년간 이에 대한 집중적이고 창의적인 연구수행이 이루
어진다면 핵심기술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가 가능.

- 175 -
❍ 비평형합금의 판재제조에 있어서는 응고거동의 면밀한 분석을 통한 임계
공정조건의 확립과 이에 근거한 “박판주조 제어기술”과 “응고조직
제어기술”이 필수 핵심요소임.

❍ 박판주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판재는 2차적인 압연이나 열처리를 통해 효


과적인 조직제어가 가능하며, 본 연구실에서는 박판주조공정에 의해 비
평형합금 판재 제조 후 연속공정으로 열처리/압연하여 나노결정상의 형
상과 크기를 제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신개념의 획기적인
기술로 집중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통해 시급한 개발이 요구되며 향후
고기능성 비평형합금 판재 제조에 있어 핵심기술이 될 것임.

❍ 기술의 개발로 기대되는 가장 큰 성과는 비평형합금판재 제조를 위한 핵


심 요소기술을 확보하여 고효율 고부가가치의 비평형합금판재 제조의
실용화방향을 제시 가능함.

❍ 본 기술이 적용되어 제조되는 알루미늄판재를 이용하는 방위산업, 핵발


전 설비, 항공산업, 자동차 산업 및 가전산업 등의 관련산업에 미치는
기술적인 파급효과는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확
립된 기술은 박판주조공정 뿐만 아니라 다른 응고공정에서 응고조직제
어 기술로 응용될 수 있으며, 비정질합금판재의 In-situ 나노결정화의 방
향을 제시하는 등 부과적인 효과가 기대됨.

❍ 연구의 기술개발로 알루미늄위주의 알루미늄판재산업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는 전 산업에 미치는 기술적 파급효과는 상당히 크게 될 것임.

❍ 엄청난 시장 수요를 가지는 자동차 산업에서 상당부분의 철강판재를 대


체하며 동력전달부품 및 외장용 박판 소재제조에 있어 혁신적인 기술로
서 이용될 전망임.

- 176 -
❍ 비정질합금 판재의 경우 단기적으로 부식방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Nuclear Waste Storage 분야, 초고강도와 경량성을 요구하면서도 가격에
민감하지 않는 전투용 Vehicle 등에 우선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
며, 장기적으로는 효율적인 박판주조공정에 의해 대량 생산 공정기술이
개발되면 타이타늄이나 스테인레스강을 대체하고, 생산규모가 확대되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Cycle이 만들어지면 향후 비평형
합금의 박판주조 기술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 경제적 파급효과

❍ 제련업과 가공업을 포함한 국내 알루미늄 및 경량금속산업의 시장규모는


연간 36조원(2013년 1차비철금속 제조업 출하액 기준) 내외로 비교적 큰
편임. 이는 비철금속산업의 전방산업이 전기, 전자, 자동차, 기계 화학,
철강등으로 다양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각종 산업분야에서 기초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임.

❍ 비철금속산업은 공장 건설에 대규모 자본이 소요되는 자본집약적 장치


산업이며, 안정된 품질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장기간
기술축적이 필요함. 이와 같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장치산업의 특성
은 신규진입자에게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함.

❍ 특히 비철금속산업 내에서 후방산업에 해당하는 제련업은 대규모 설비


를 바탕으로 한 규모의 경제를 통해 독과점적 산업구조를 형성하고 있
는 가운데, 가공업에 비해 소수의 수요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물량을 판
매하고 있어 영업활동에 의존하는 정도가 낮은 수준임. 반면, 전방산업
인 가공업은 다수의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며 단위 판매물량도 비교적
소규모인 관계로 정확한 수요 예측이 힘들고 이에 따라 영업활동의 중
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이 있음.

- 177 -
❍ 알루미늄 및 비철금속은 물리적, 기계적으로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용융점이 낮고, 전성과 연성이 뛰어나 가공이 쉽기 때문에 단일금속 혹
은 합금/도금의 형태로 전기, 전자, 자동차. 기계, 화학, 철강, 조선, 건설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기초소재로 사용되고 있음.

❍ 전방산업 연관효과가 높아 경기 변동에 따라 소속 기업들의 영업실적이


좌우되는 특성이 있으나, 수요산업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특정 수요산업
의 경기 등락에 따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이는 한편, 비철
금속 설비는 초기 예열에 소요되는 높은 에너지비용 부담 때문에 수요
침체기에도 생산량을 탄력적을 축소시키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공급 탄
력성이 낮은 특성을 보임.

출처 : NICE 신용평가
ㅇㄹㄴㄹㄴㄹㄴㄹ

<그림 Ⅳ-2> 주요 비철금속 글로벌 수급 추이

- 178 -
Ⅴ. 참고문헌

1) 한국은행 국제경제리뷰, ‘세계 비철금속의 현황 및 전망’, 2013.08.14


2) 김희국(한국산업기술평가원), ‘알루미늄 소재 산업의 정부지원과제 현
황’, 한국주조공학회지 Vol31, n6, p326-331
3) (재)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경량합금 소재부품진흥 기반구축계획수립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2016.08
4)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미래형 수송기기용 알루미늄 기술연구 최종보고
서’, 2010.05
5)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www.kosis.kr, ‘국내 알루미늄 산업 통계 분석’
6) www.visualcapitalist.com, by Jeff Desjardins, ‘What’s it made of? The
TESLA Model S’, 2016.03
7) 중소기업청,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 2017-2019’, 금속소재편,
2017.01
8) 산업연구원 산업경제, ‘산업패러다임에 따른 미래 제조업의 발전전략’,
2016.04
9) LG Business Insight, LGERI 리포트, ‘자동차 소재의 진화 혁신의 동력
은 기술의 융복합’, 2014.01
10) SM Trading, LME team 레포트, ‘2016년 3월 비철금속 전망 보고서’,
2016.02
11) NICE 신용평가, ‘2017 Industry Risk Rating’, 2017.01
12)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6년 수출입 평가 및 2017년 전망’,
2016.11
13) 조달청 원자재시장분석센터, ‘주간 경제, 비철금속 시장동향’, 2016.10
14) 김형욱 외 3명, ‘저비용 고강도 용탕직접압연 기술’, 재료마당, Vol23,
n1, p16-22, 2010.01
15) 김형욱 외 3명, ‘자동차 차체 경량화 및 차체용 알루미늄 합금판재의
개발동향’, 기계와 재료, Vol27, n2, p6-18, 2015.07

- 179 -
16) 지식경제프론티어기술개발 최종보고서, 포항공과대학교, ‘고강도 나노
공정 합금의 스트립 캐스팅 기술개발’, 2011.07
17) 한국산업기술평가원, www.keit.re.kr,‘정부주관 알루미늄 수행과제 분석’
18) 친환경 자동차용 저비용/고특성 경량금속소재 기술 개발 보고서, 한국
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2016.01
19) E. KRSTI VUKELJA, I. DUPLAN, B. LELA, ‘CONTINUOUS ROLL
CASTING OF ALUMINIUM ALLOYS– CASTING PARAMETERS ANALYSIS’,
METABK Vol 49, n2, p115-118, 2010
20) S. Sahoo,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solidification of Al-33Cu
strip in high speed twin roll strip casting- A numerical study’, 4th
National Conference on Process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terials,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75, pp1-9, 2015
21) 김홍규 외 3명, ‘쌍롤 박판주조법 및 이속압연으로 제조한 고성형성
6000계 Al 합금 판재’, 한국금속재료학회지 Vol50, n7, p503-509, 2012
2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술기초보고서, ‘알루미늄 합금’, 2007.07
23)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공장추진단, ‘4차 산업혁명 스마트공장에서 답
을 찾다’, 2017.01
24) LG 경제연구원 리포트, ‘스마트 팩토리 삼국지’, 2017.03
25)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기획시리즈리포트, ‘스마트팩토리
국내외 추진 동향과 대응방안’, 2016.09
26) 스마트공장 추진단, www.smart-factory.kr/,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개요
27) 동양대학교, “경북 북부권 기업지원거점센터 유치기본계획”, 2015
28) 대구경북연구원, “경상북도 타이타늄산업 발전 방안”, 2016
29) DGB 금융그룹, “비철금속산업, 경북 북부권에 도약의 key 있다.”, 2016
30) (재)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경량합금 소재부품진흥 기반구축계획수립
연구용역”, 2016
31) 산업연구원, “중국 타이타늄 금속재료 시장동향”, 2015

- 18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