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6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23006-200000007828

석사학위논문


기 승압기능을 갖는 모듈형 3상 무정전
능 전원장치(UPS)의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Technique for Modular
모 Three-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UPS)
듈 With Boost Converter

3








(UPS)










2
0
1 인천대학교 대학원
8 전기공학과
진 성 민



석사학위논문

승압기능을 갖는 모듈형 3상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Technique for Modular
Three-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UPS) With
Boost Converter

인천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진 성 민
석사학위청구논문

승압기능을 갖는 모듈형 3상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Technique for Modular
Three-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UPS) With
Boost Converter

지도교수 김 준 석

이 논문을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8 년 2 월

인천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진 성 민
4
국 문 초 록

승압기능을 갖는 모듈형 3상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승압기능을 갖는 모듈형 3상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제어기법에

관한 제어 알고리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산업화 시대의 발전에따라

상시 전원을 유지해야 하는 부하가 증가하고 이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수요를 증

가시켰다. 또 고용량의 부하를 만족시키기 위해 병렬구조의 모듈형 무정전 전원

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발전소용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UPS는 입력전원이 직

류 250V의 전압을 사용해야 이를 사용해서는 원하는 출력전압을 부하에 인가하기

가 어렵다. 따라서 UPS를 발전소용 시스템에 적합한 모듈에 대한 설계가 필요하

다. 3상 교류전압을 부하에 인가하기 위한 UPS는 일반적으로 3상 인버터와 출력

L-C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발전소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인버터 입력단에

부스트 컨버터를 적용해 입력전압을 승압시켜 인버터에 정전압을 공급하는 형태

의 단일 모듈에 대한 전력변환장치 구성 및 제어가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단

일모듈을 병렬로 연결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병렬운전 제어기

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전소용 단일모듈 UPS에 대한 구성 및

설계 그리고 병렬운전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과 실험 결과를 통하여 우수한 성능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제어: 무정전전원장치, 발전소용 단일 모듈 전력변환장치, 병렬운전 제어

1
목 차

국문초록 ‥‥‥‥‥‥‥‥‥‥‥‥‥‥‥‥‥‥‥‥‥‥‥‥‥‥‥‥‥‥‥ i

목 차 ‥‥‥‥‥‥‥‥‥‥‥‥‥‥‥‥‥‥‥‥‥‥‥‥‥‥‥‥‥‥‥ ii

표 목 차 ‥‥‥‥‥‥‥‥‥‥‥‥‥‥‥‥‥‥‥‥‥‥‥‥‥‥‥‥‥‥‥ vi

그림목차 ‥‥‥‥‥‥‥‥‥‥‥‥‥‥‥‥‥‥‥‥‥‥‥‥‥‥‥‥‥‥‥ v

제 1 장 서 론 ‥‥‥‥‥‥‥‥‥‥‥‥‥‥‥‥‥‥‥‥‥‥‥‥‥‥‥‥‥ 8

1.1 연구배경 ‥‥‥‥‥‥‥‥‥‥‥‥‥‥‥‥‥‥‥‥‥‥‥‥‥‥‥ 8

1.2 논문의 구성 ‥‥‥‥‥‥‥‥‥‥‥‥‥‥‥‥‥‥‥‥‥‥‥‥‥ 11

제 2 장 모듈형 중대용량 UPS ‥‥‥‥‥‥‥‥‥‥‥‥‥‥‥‥‥‥‥‥‥‥ 12

2.1 UPS ‥‥‥‥‥‥‥‥‥‥‥‥‥‥‥‥‥‥‥‥‥‥‥‥‥‥‥‥ 12

2.2 기존의 UPS 제어 방법 ‥‥‥‥‥‥‥‥‥‥‥‥‥‥‥‥‥‥‥‥ 16

2.2.1 단일 UPS 제어방법 ‥‥‥‥‥‥‥‥‥‥‥‥‥‥‥‥‥‥‥ 16

2.2.2 모듈형(병렬형) UPS 제어 방법 ‥‥‥‥‥‥‥‥‥‥‥‥‥‥‥ 17

2.3 제안하는 모듈형(병렬형) UPS 제어 방법 ‥‥‥‥‥‥‥‥‥‥‥‥ 25

2.3.1 모듈 구성 ‥‥‥‥‥‥‥‥‥‥‥‥‥‥‥‥‥‥‥‥‥‥‥‥ 27

제 3 장 단일 모듈 UPS 제어 ‥‥‥‥‥‥‥‥‥‥‥‥‥‥‥‥‥‥‥‥‥‥ 30

3.1 모듈 구성 ‥‥‥‥‥‥‥‥‥‥‥‥‥‥‥‥‥‥‥‥‥‥‥‥‥ 30

2
3.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32

3.2.1 전압제어 알고리즘 ‥‥‥‥‥‥‥‥‥‥‥‥‥‥‥‥‥‥‥ 33

3.2.2 전류제어 알고리즘 ‥‥‥‥‥‥‥‥‥‥‥‥‥‥‥‥‥‥‥ 42

3.3 3 상 인버터 ‥‥‥‥‥‥‥‥‥‥‥‥‥‥‥‥‥‥‥‥‥‥‥‥ 46

3.3.1 전압제어 알고리즘 ‥‥‥‥‥‥‥‥‥‥‥‥‥‥‥‥‥‥‥ 46

3.3.2 전류제어 알고리즘 ‥‥‥‥‥‥‥‥‥‥‥‥‥‥‥‥‥‥‥ 53

제 4 장 시뮬레이션 결과 및 검토 ‥‥‥‥‥‥‥‥‥‥‥‥‥‥‥‥‥‥‥‥ 61

4.1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 62

4.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시뮬레이션 ‥‥‥‥‥‥‥‥ 68

4.3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시뮬레이션 ‥‥‥‥ 71

제 5 장 실험 결과 및 검토 ‥‥‥‥‥‥‥‥‥‥‥‥‥‥‥‥‥‥‥‥‥‥‥ 82

5.1 실험 구성 ‥‥‥‥‥‥‥‥‥‥‥‥‥‥‥‥‥‥‥‥‥‥‥‥‥‥ 82

5.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모듈 실험 ‥‥‥‥‥‥‥ 84

5.3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실험 ‥‥‥‥‥‥‥ 88

제 6 장 결 론 ‥‥‥‥‥‥‥‥‥‥‥‥‥‥‥‥‥‥‥‥‥‥‥‥‥‥‥‥‥ 92

참고문헌 ‥‥‥‥‥‥‥‥‥‥‥‥‥‥‥‥‥‥‥‥‥‥‥‥‥‥‥‥‥‥‥ 93

Abstract ‥‥‥‥‥‥‥‥‥‥‥‥‥‥‥‥‥‥‥‥‥‥‥‥‥‥‥‥‥‥‥ 98

3
표 목 차

표 4.1. 단일모듈 시뮬레이션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표 4.2. 병렬모듈 시뮬레이션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4
그 림 목 차
그림 2.1. 기존 UPS 인버터 제어 블록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그림 2.2. 중앙제어 블록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2.3. 평균부하 분담제어 블록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2.4. 환형 연결제어 제어 블록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그림 2.5. 링 형태의 환형 연결제어 구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2.6. 주종제어 제어 블록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그림 2.7. 드룹제어 제어 블록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그림 2.8. 주종제어 기반의 병렬운전 제어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27

그림 2.9. 주종제어 기반의 병렬운전 제어 구조-2 ·


··
··
··
··
··
··
··
··
··
··
··
··
··
··
··
··
··
··
··
··28

그림 3.1.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 ·


··
··
··
··
··
··
··
··
··
··
··
··
··
··
··
··
··31

그림 3.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구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32

그림 3.3. 부스트 컨버터 제어 전체 구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그림 3.4. 전압제어기의 기본 구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그림 3.5. PI 형 전압제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3.6. PI 형 전압제어기의 개루프 전달함수 보드선도 ·


··
··
··
··
··
··
··
··
··
··
··
··
··
··38

그림 3.7. PI 형 전압제어기의 실용적인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40

그림 3.8.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전류제어계 구조도 ·


··
··
··
··
··
··
··
··
··
··
··
··
··
··42

5
그 림 목 차
그림 3.9. PI 형 전류제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그림 3.10. PI 형 전류제어 + 항과적분제어 루프 구조도 ·


··
··
··
··
··
··
··
··
··
··
··
··
··
··
··45

그림 3.11. 3 상 인버터 제어 전체 구조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6

그림 3.12. IP 형 전압제어기 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그림 3.13. 2 차 LPF 의 보드-선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그림 3.14. IP 형 전압제어기의 실제 응용구조 ·


··
··
··
··
··
··
··
··
··
··
··
··
··
··
··
··
··
··
··
··
··
··
··
··52

그림 3.15. PI 제어기를 사용한 R-L 부하 전류제어루프 ·


··
··
··
··
··
··
··
··
··
··
··
··
··
··
··
·53

그림 3.16. 근사된 PI 전류제어루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그림 3.17. 제한 요소를 갖는 PI 전류제어루프 ·


··
··
··
··
··
··
··
··
··
··
··
··
··
··
··
··
··
··
··
··
··
··
··
·57

그림 3.18. 궤환형 항과적분 제어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그림 4.1.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회로도 ·


··
··
··
··
··
··
··
··
··
··
··
··
··
··62

그림 4.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결과 ·


··
··
··
··
··
··
··
··
··
··
··
··
··
··
··
··64

그림 4.3.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결과 (부하 인가) ·


··
··
··
··
··66

그림 4.4.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시뮬레이션 회로도 ·


··
··
··
··
··68

그림 4.5.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시뮬레이션 결과 ·


··
··
··
··
··
··
··69

그림 4.6.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운전 회로도 ·


··
··
··
··
··
··
··71

그림 4.7. 출력전력 50kW 2 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 ·


··
··
··
··
··
··
··
··
··
··
··
·73

6
그 림 목 차
그림 4.8. 출력전력 50kW 2 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2 ·
··
··
··
··
··
··
··
··
··
·75

그림 4.9. 출력전력 50kW 4 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 ·


··
··
··
··
··
··
··
··
··
··
··
·76

그림 4.10. 출력전력 50kW 4 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2 ·


··
··
··
··
··
··
··
··
·78

그림 4.11. 출력전력 100kW 4 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 ·


··
··
··
··
··
··
··
··
··
·79

그림 4.12. 출력전력 100kW 4 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2 ·


··
··
··
··
··
··
··
·81

그림 5.1.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 모듈 ·


··
··
··
··
··
··
··
··
··
··
··
··
··
··
··
··
··
··
··
··
··
··
··
··82

그림 5.2.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 컨트롤러 ·


··
··
··
··
··
··
··
··
··
··
··
··
··
··
··
··
··
··
··
··83

그림 5.3.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모듈 실험 결과 ·


··
··
··
··84

그림 5.4.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모듈 실험 결과-2 ·


··
··86

그림 5.5.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실험 결과 ·


··
··
··
··89

그림 5.6.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실험 결과-2 ·


··
··91

7
제 1 장 서 론

1.1. 연구 배경

최근 고성능 기기의 사용증가, 상시 동작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증가에 따라 이를

만족하기 위해 부하에 항상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시스템인 무정전 전원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UPS)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UPS는 일반 계통의

전원에 비해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점차 UPS의

출력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 용량의 증가에 따라 UPS 자체의 신뢰성에 대한 관

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부하에도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또 큰 용량의 부하를 만족하기 위해 리던던시(Redundancy)

개념이 UPS에 적용되어 병렬운전 시스템을 적용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

다.[1],[3],[4],[5],[7] 병렬구조의 UPS 사용은 하나의 UPS가 부담하고 있던 부하의 용량을

1/N으로 나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모듈의 수명증가와 더불

어 사용도중 고장이 났을 때 전체 시스템을 종료시키는 것이 아닌 고장난 UPS에

대해 교체를 하는 형태로 모듈형 UPS(Modular UPS)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

8
다. 모듈형 UPS를 병렬로 운전하는 것이 용량의 확장성, 안정성 측면에서 단일로

운전 하는 것에 비해 유리하다. 하지만 UPS를 병렬로 운전했을 때 나타나는 단점도

분명 존재한다. 각 모듈별 출력전압의 크기, 주파수, 위상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리고 라인 등에서 나타나는 어쩔수 없는 임피던스 오차로 인해 순환전류가 발생

한다. 필연 적으로 나타나는 순환전류를 억제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의 병렬운전

제어기법이 있다.

현재 한전 등의 발전소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UPS는 단독 모듈로 구성되어 부하

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는 운전 중 고장이 났을 경우 UPS 뿐만아니라 부하에도 악

영향을 주기에 시스템을 망가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발전소용 모둘형 UPS에 적용할 수 있는 단일 모듈 전력변환장치에 대한 설계

와 최적 제어기법을 적용했다. 발전소 시스템 특성상 입력으로 DC 250V의 전원이

사용된다. 부하에 출력해야 하는 AC전압은 현재 상전압 120[Vrms], 선간전압

208[Vrms]이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 입력전원 250V를 그대로 사용해 인버터의 입

력전압으로 사용할 경우 부하에 원하는 전압을 인가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

해 인버터 앞단에 인터리브드 형태의 부스트 컨버터를 구성하고 입력전압을 승압시

켜 인버터에 원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했다.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9
는 병렬구조의 부스트 컨버터로 단일로 구성했을 때와 비교하면 인덕터의 리플전류

를 1/N으로 감소시켜 출력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출력 커패시터가 부담하는 리플

전류에 대한 용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버터는 일반적으로 많

이 사용하는 3상 인버터와 출력단 L-C필터로 구성하였고 각각의 컨버터, 인버터에

대하여 시스템에 맞는 최적의 제어기법을 적용하였다.

둘째, 단일 모듈로 설계한 전력변환장치를 병렬구조로 구성해 병렬운전을 했다. 이

때 병렬구조에서 나타나는 순환전류에 대한 억제를 위해 기존의 병렬운전 제어 기

법들을 고찰하고 시스템에 적합한 제어기법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능동부하분담 제

어방식에서 주종제어를 기반으로 하고 중앙제어의 장점을 합친 제어기법을 사용하

여 출력전압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균등한 부하분담을 통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위 두가지 연구에 대한 검증은 PSIM시뮬레이션과 실제 실험을 통해 그 결과를 확인

하고 알고리즘의 타당성과 성능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10
1.2 논문의 구성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논문의 구성에 대해 서

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모듈형 중대용량 UPS에 관하여 기존의 제어기법과 본 연

구에서 제안하는 제어기법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제 3 장에서는 UPS 모듈의

내부 구조인 인터리브트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형태의 단일 모듈에 대한구성과

각각에 대한 고성능 전압제어, 전류제어 알고리즘에 대한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

시한다. 제 4 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제어기법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기 위

해 PSIM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 5 장에서는 제 4

장에서 수행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실제 인버터 시스템 환경을 구성하여 실

험을 진행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제 6 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에 대

해 서술하였다.

11
제 2 장 모듈형 중대용량 UPS

2.1 UPS

산업화 시대의 발전은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 첨단 의료장비, 첨단 가전시설 및 비

상 전원시스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보다 효율적인 전원 공급과 신뢰성을 요구

하고 있다. 이런 부하들은 전원의 이상현상(고조파, 과전압 등)에 큰 영향을 받기 때

문에 계통의 전력 품질 및 신뢰성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는 비상 전원시

스템의 요구에 대한 성장을 만들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무정전 전원장치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UPS)의 사용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UPS는 일반적으로 사무실의 PC, FA(Factory Automation) 시스템, 데이터 센터의 서

버(Server), 통신기기 같은 전원 환경에 민감한 부하(Critical Power Load)들에 대해

서 전원계통의 고장시에 대비하여 높은 신뢰성과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널리

쓰이고 있으며, 1970년대 대형 컴퓨터 시스템에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처

음 시장에 등장했다. 최근들어 순간적인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부하가 점차 증가하

12
고 있고 이는 더욱더 고품질의 전력을 요구한다.

특히, 전력 계통의 수준이 아무리 높다고 하더라도 낙뢰나 사고에 의한 순간정 전

은 피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압강하(Sag)와 전압상승(Swell)과 같은 순시적인 전

압 변동 및 외부 노이즈는 부하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들 부하에는

UPS의 채용이 필수적이나, UPS도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고장으로 인한 정전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UPS 자체의 신뢰성 확보도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신뢰성 확

보와 더불어 큰 용량의 부하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으로 리던던시(Redundancy) 개념

이 적용되어 UPS 병렬운전이 확산되고 있다. 병렬구조의 UPS 사용은 하나의 UPS가

부담하고 있던 부하의 용량을 1/N으로 나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

문에 모듈의 수명증가와 더불어 사용도중 고장이 났을 때 전체 시스템을 종료시키

는 것이 아닌 고장난 UPS에 대해 교체를 하는 형태로 모듈형 UPS(Modular UPS)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모듈형 UPS를 병렬로 운전하는 것이 용량의 확장성,

안정성 측면에서 단일로 운전 하는 것에 비해 유리하다. 하지만 UPS를 병렬로 운전

했을 때 나타나는 단점도 분명 존재한다. 각 모듈별 출력전압의 크기, 주파수, 위상

등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리고 라인 등에서 나타나는 어쩔수 없는 임피던스 오

차로 인해 순환전류가 발생한다.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순환전류를 억제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의 병렬운전 제어기법이 있다.[6],[8],[9],[10],[12]

13
UPS 병렬운전 제어기법에는 크게 통신선 유무에 따라 통신선이 있는 Active

Load-Sharing기법과 통신선이 없는 Droop Control 기법이 있다. Active

Load-Sharing은 중앙제어(Centralized Control), 주종제어(Master-Slave Control), 평균

전류 분담제어(Average Current Control), 환형 연결제어(Circular Chain Control) 등

이 있다. 병렬로 구성된 모듈간 불평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순환전류를 억제하는 가

장 좋은 방법은 각 모듈이 동일한 위상과 크기의 전압, 전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서는 전류제어는 고성능의 전류제어는 필수적이다.

이미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UPS 병렬운전 개념이 적용되어 병렬구조를 구성해 운전

하는 것과 달리 현재 한전등의 발전소 시스템은 아직 UPS를 단독으로 운전하고 있

다. 이는 운전 중 고장이 났을 경우 UPS 뿐만아니라 부하에도 악영향을 주기에 시

스템을 망가트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독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UPS 구조를 병렬형태로 바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기본적으로 안정성에서 유리한 측면을 가져갈 수 있다. 그렇다면 병렬구조의 UPS

시스템을 구축하기 전 먼저 단일 모듈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

로 UPS 모듈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DC전원의 경우 약 310V정도의 전원을 사용해

인버터를 운전한다. 하지만 발전소 같은 경우 입력으로 사용되는 DC전원이 125V,

혹은 250V의 전원을 사용한다. 이 전원들을 사용해서는 부하에 공급해야하는 일반

14
적인 출력전압 220V[rms]를 만족하기 어렵다. 이에 발전소용 UPS 모듈로 적용할 수

있는 전력변환장치가 필요하다. 인버터 출력전압, 즉 부하에 공급하는 출력 AC전압

220V[rms]를 만족하기 위해 보통 인버터 직류 전압은 약 380V정도가 필요하다. 이

를 만족하기 위해선 입력으로 받는 250V 직류전압을 승압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

하다. 승압을 위한 컨버터 시스템으로 부스트 컨버터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스트 컨버터는 인덕터, 커패시터, 다이오드,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어 인덕터의 평

균전압을 제어하는 형태로 입력전압을 승압시켜 출력을 내보낸다. 부스트 컨버터를

인버터 앞단에 구성해 250V의 입력전압을 380V로 승압시켜 인버터에 정전압을 공

급하는 형태로 단일 모듈을 구성할 경우 발전소용 시스템에 적합한 UPS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분명 단점도 존재한다. 중대용량 UPS 시스템에서 부스트 컨버터를

일반적인 형태로 구성할 경우 인덕터 사이즈가 굉장히 커야하기 때문에 모듈의 사

이즈가 굉장히 커지고 리플전류 또한 크기 때문에 출력단 커패시터 용량도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리브드 형태의 부스트 컨버터

를 많이 채용하고 있다.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는 부스트 컨버터를 병렬구조로

하여 예를들어 2개의 병렬형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했을 때 인덕터에 인

가되는 전류를 둘로 나누어 제어하는 형태이다. 이 때 각 스위칭 소자의 시점을 쉬

프트 시켜 동작해 입,출력단 리플전류를 두배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인터

15
리브드 형태의 부스트 컨버터와 인버터로 구성된 전력변환장치를 이용하여 UPS 단

일 모듈을 사용할 경우 발전소용 시스템에 적합한 UPS를 적용할 수 있다.

2.2 기존 UPS 제어 방법

2.2.1 단일 UPS 제어 방법
3상 UPS 시스템의 일반적인 제어는 원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그림 2.1 기존 UPS 인버터 제어 블록도

양질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UPS 인버터의 출력전압은 크기와 주파수가 일정

하고, 파형이 왜형 없는 정현파 형태의 전압을 요구한다.[13] 출력전압 파형의 개선을

위해 대부분의 전류 제어루프가 구성되어 있고 외부 전압제어루프가 있는 2중 제어

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림 2.1의 구조를 보면 외부 전압루프에서 원하는 전

16
압 기준값에 대하여 3상 전압에 대한 정보를 받아 감해 그 오차를 전압제어기에 인

가하고 그 출력은 전류제어기의 전류 기준값으로 한다. 전류제어기는 전압제어기로

부터 전류 기준값을 받고 3상 전류 정보를 가져와 그 오차를 감하여 전류제어기로

인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전류제어기의 출력값은 원하는 전압을 출력하기

위해 PWM 신호를 인버터로 인가하고 인버터의 출력은 L-C필터를 거쳐 부하로 전

력을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14],[15]

2.2.2 모듈형(병렬형) UPS 제어 기법


UPS 시스템을 병렬로 구성했을 때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점은 이상적인 경우에

는 각각의 UPS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하지만 실제로는 라인 임피던스 차이, 필터의

저항 성분과 인덕턴스 성분의 차이 등에 의해 생기는 임피던스 불균형으로 인해 시

스템 간의 순환전류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고장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순환전류를 억제하는 기술은 필수적이다. 기존의

다양한 방식의 병렬운전 제어방법들이 연구되어 왔고 크게 통신선 유무에 따라 두

가지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통신선 방식 : 능동부하 분담방식(Active Load-Sharing)

- 중앙 제어(Centralized Control), 주종 제어(Master-slave Control), 평균 전류

17
분담 제어(Average Current Control), 환형 연결 제어(Circular Chain Control)

- 비통신선 방식 : 드룹제어(Droop Control)

다음 설명은 통신선 유무에 따른 제어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능동부하 분담방식(Active-Load Sharing)


- 중앙제어

집중제어(Concentrated Control)라고도 알려진 중앙제어 기법은 그림 3.3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전체 부하전류 을 모듈 개수(N)으로 나눈 값으로 나누는 형태로

동작하며, 이는 개별 모듈의 전류 기준값(  )이 된다.[16],[17]


   for     (2-1)

그림2.2 중앙제어 블록도

18
각 모듈로 전달된 전류 기준값은 실제 각 모듈의 전류와 감하여 그 오차 ∆ 를

얻고, 이는 전류제어기로 인가되어 그 출력을 PWM으로 발생시킨다. 전류제어기 밖

의 외부 루프는 부하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19],[20]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인

버터가 병렬로 연결된 공통 UPS 장비에 사용된다. 중앙제어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서는 전체 부하전류 의 값을 알아야 하므로 대형 분산 시스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중앙제어 컨트롤러가 필수적이다.

- 평균부하 분담 제어

평균부하 분담 제어는 일반적으로 활성화된 모든 모듈의 평균전류를 추적하는

방식의 평균적인 제어 방식이다.[22],[23] 아래 그림 2.3와 같이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

여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모든 단일 모듈의 전류 센서에 연결된 저항에

의해 계산된 평균 전류 정보를 이 선을통해 전달하는 방식이다. 또한 저항을 적절

한 값으로 조절하면 다른 전력을 가진 컨버터를 병렬화 할 수 있다. 모든 모듈의

전류는 공통 전류 버스를 통해 평균화되고, 모든 모듈의 평균 전류는 각 개별 모듈

의 기준값이 된다. 개별 모듈의 전류 기준값은 다음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for     (2-2)

19
이 제어방식은 내부 또는 외부 전류 루프를 사용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루프를 사용할 때의 문제점은 전압 루프가 좁은 대역폭을 가지며, 이와 같은

불안정성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류 루프에 보상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전압 루프의

대역폭 감소는 전류 동특성이 매우 느려지며, 과도상태에서 전류분담 성능이 안좋

아지는 결과를 야기한다.

그림 2.3 평균 전류 분담 제어 블록도

20
- 환형 연결 제어

그림2.4 환형 연결제어 제어 블록도

그림2.4은 환형 연결제어 방식의 제어 구조도를 나타낸다. 개별 모둘의 전류 기

준값은 앞의 모듈로부터 받은, 예를들어 UPS2는 UPS1으로부터 전류 기준값을 받고

UPS1은 마지막 UPS인 UPSn의 전류 기준값을 받아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아래 그림 2.5와 같은 링 형태의 제어구조를 형성한다.[24],[25]

21
그림 2.5 링 형태의 환형 연결제어 구조도

수식적으로 표현하면 아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2-3)
     for    

환형 연결제어를 다른 이름으로 전류제한 제어라고도 부를 수 있다. 모듈 중

하나는 마스터로서 부하전압을 제어하고 마스터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슬레이브 모

듈의 전류 기준값은 이전 모듈에 의해 생성되고 그 피크값은 이전의 전류 기준값에

의해 제한되는 형태이다. 환형 연결 형태를 가진 위 구조에서는 모든 모듈이 마스

터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운전중 마스터 모듈이 고장나더라고 다른 모듈이 마

스터로 대체할 수 있다.

22
- 주종 제어

주종제어 방식에서 마스터 모듈은 부하전압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마

스터 전류  은 다른 슬레이브 모듈의 전류 기준값이 된다. 결과적으로, 그림 3.5와

같이 마스터는 전압형 인버터(Voltage source inverter : VSI), 반면 슬레이브는 전류

형 인버터(Current source inverter : CSI)처럼 동작한다.[11],[21]

그림 2.6 주종제어 제어 블록도

23
- 드룹제어

드룹 제어는 유효전력의 출력에 대해서 주파수를 가변하며 무효전력은 전압에

따라 변동하게 하는 제어방식으로 통신선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통신에 대한 지연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및 시스템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다. 하지만 드룹

제어는 UPS 모듈의 출력 임피던스와 병렬로 연결했을 때 선간 임피던스 불균형 때

문에 무효전력의 분담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순환전류가 발생한다. 아

래 그림 2.7은 일반적인 드룹제어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 유효 전력과 무효

전력을 아래 수식으로 표현된다.[2],[18],[26]

 
   ∅ ≈  ∅   인버터 출력전압   교류 라인전압 
 
(2-4)
  ∅    
   ≈      ∅  전압간 위상차   출력 리액턴스
 

24
그림 2.7 드룹제어 제어 블록도

2.3 제안하는 모듈형 UPS 제어 방법


본 연구에서는 능동부하 분담방식에서 주종제어 기법을 기반으로 하고 중앙제어

기법의 장점을 이용한 제어기법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주종제어

기법은 하나의 마스터 UPS와 나머지 슬레이브 UPS로 구성되어 마스터 UPS는 부하

에 대한 전압제어를 하고 그 결과값을 슬레이브의 전류 지령값으로 전달하는 역할

25
을 한다. 하지만 이는 모듈형 UPS에서 마스터가 고장났을 경우 나머지 슬레이브

UPS들이 제대로된 지령값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

해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UPS모듈들은 모두 슬레이브 UPS로 사용하고 상위에 하나

의 마스터 컨트롤러를 두고 마스터는 부하에 대한 전압, 전류 정보를 얻어 제어를

수행한다. 그 결과값은 아래 슬레이브 UPS들의 전류 지령값으로 사용되고 또 동일

한 위상의 전류를 출력하기 위해 상위에서 부하에 대한 위상을 추종해 그 값을 아

래 슬레이브 UPS로 전달한다. 슬레이브 UPS는 상위 마스터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지령값을 기준으로 전류제어를 수행함으로써 그 출력값을 부하로 전달할 경우 병렬

구조에서 나타나는 순환전류를 억제시켜 안정적인 제어와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이

와 같은 주종제어 기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UPS 상호간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

어야 한다. 통신선이 있을 때 나타나는 문제는 통신에 의한 노이즈, 마스터에서 슬

레이브로 지령 전달시 발생할 수 있는 지연 등으로 통신선이 없는 제어에 비해 신

뢰성과 확장성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최근 DSP의 발달은 통신

을 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억제시킬 수 있고 이는 주종제어 기법의 빠른 과도

상태에서의 응답특성과 균등한 전력분담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모두 들고 제어를

수행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종제어 기법을 이용한 UPS 병렬운전

제어를 수행한다.

26
2.3.1 모듈 구성

그림 2.8 주종제어 기반의 병렬운전 제어 구조

위 그림 2.8은 UPS 모듈 구성도를 나타낸다. 하위는 부스트 컨버터와 인버터로


구성된 슬레이브 모듈과 그 위에 마스터 컨트롤러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아래

27
그림은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제어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2.9 주종제어 기반의 병렬운전 제어 구조-2

주종제어 기법으로 UPS 병렬운전을 수행했을 때의 장점은 상위 마스터에서 전

체적인 운전 지령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부하량에

따라서 병렬 UPS 모듈 모두를 운전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운전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 부하가 50kW이고 UPS가 25kW 모듈 4개가 병렬로 구성되어

28
있다고 할 때 4개 모듈을 각각 12.5kW씩 운전하는 것이 아닌 2개 모듈이 25kW씩

분담하고 2개 모듈은 운전을 멈추는 식으로 UPS 운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시간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으로 모듈별 운전시간이 과도하게 치중되어 있을 때

운전 중이던 UPS의 동작을 멈추고 대기중인 UPS를 동작시켜 운전시간을 고르게 가

져갈 경우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주종제어 기법의 제어는 앞서 제 2장에서 설명한 인버터의 전압제어, 전류제어

알고리즘을 토대로 구성한다. 상위 마스터는 부하 전압에 대한 정보를 이용 전압제

어기(Voltage Controller)에서 전압제어를 수행한다. 전압제어는 IP 전압제어기를 사

용한다. 전압제어기의 출력으로 나온 전류지령값은 슬레이브 UPS 모듈의 개수에 따


라  으로 나누어 각 슬레이브 UPS 모듈에 전달된다. 전류 지령값을 받은 슬레이

브 UPS 모듈은 전류 지령값을 기준으로 전류제어기(Current Controller)에서 전류제

어를 수행하여 그 값을 부하로 인가한다. 위와 같이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정확한

임무 분담을 통해 상위 마스터로부터 동일한 전류 지령값을 받아 전류제어를 수행

하였을 때 선로간 임피던스 차이가 존재 한다 하더라고 동일한 전류지령에 대한 제

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순환전류를 거의 억제시킬 수 있는 형태로 동작

한다.

29
제 3 장 단일모듈 UPS 제어

3.1 모듈 구성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은 그림 2.1과 같은 구조로 인버터 DC

링크 전압에 대하여 정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승압형 듀얼구조의 부스트 컨버터와 3

상 인버터, 출력단 L-C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3상 인버터 운전을 위한 안정적인 직

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부스트 컨버터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병렬로 구

성하고 각 스위치의 PWM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고주파 리플의 저감이 가능하고 유

효 스위칭 주파수의 2배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는 인터리브드 제어기법을 적용한

형태의 부스트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위 구조와 같은 형태로 부스트 컨버터를

구성할 경우 하나의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를 2개의 인덕터로 전류를 흐르게 구성하

여 인덕터 용량 선정에 유리할 뿐 아니라 출력 리플 전류의 저감에 따른 입출력 커

패시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전체 모듈 시스템 크기와 신뢰성을 향

상시킬 수 있다.

30
3상 인버터는 전형적인 스위치 6개로 구성된 인버터 시스템의 구조이며 그 출력

은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 L-C 정현파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UPS시스템은

입력 전원의 영향과 부하의 종류에 상관없이 고조파가 없는 깨끗한 정현파 전압을

부하에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를 만족하기 위해 인버터 출력 임피던스가 부하

에 상관없이 `0`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림 3.1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

31
3.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그림 3.2와 3.3은 인터리브드 형태의 부스트 컨버터의 토폴로지와 전체 제어 구

조도를 나타낸다. 입력에 두 개의 인덕터를 병렬로 구성함으로써 인덕터 크기를 줄

일 수 있고 인터리브드 스위칭 에 의한 전류 리플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입

력전류 은      의 합으로 나타나고 병렬 구조의 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했

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은 인덕터 전류간 쏠림현상으로 인해 한쪽으로 과도한 전류

가 흐를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막기위해 인덕터 전류를 각각 개별제어 해야하고

이를위해 전류제어는 필수적이다. 또한 부스트 컨버터 본연의 목적인 승압형 컨버

터로 이용하기 위해서 정전압 제어가 필요하다. 본 절에서는 원하는 정전압 제어를

위한 전압제어와 그 출력값을 이용한 전류제어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그림 3.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구조도

32
그림 3.3 부스트 컨버터 제어 전체 구조도

3.2.1 부스트 컨버터 전압제어 알고리즘

부스트 컨버터는 입력 dc 전압을 더 높은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

이므로 제어의 대상은 출력전압이 된다. 통상적으로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기는PI

(Proportional-Integral) 혹은 IP(Integral Proportional) 제어구조가 사용되고 제어기의

출력은 커패시터에 유입되는 전류명령이 된다. 아래 그림 3.4(a)는 전압 제어기의

기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33
그림 3.4 전압제어기의 기본 구조도


커패시터의 전압   는 커패시터로 유입되는 전류를  라고 할 때    
  

의 동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커패시터 전압을 제어할 때는 커패시터의 전류를 제어

요소 혹은 상태변수로 사용한다. 그림과 같이 전압제어기는 출력전압 명령    과

   를 입력으로     의 전달함수를 갖는 제어기로 구성되며 커패시터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커패시터로 유입되는 전류의 양  를 조정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전압제어기와 커패시터 사이에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    의 전달함수를

갖는 전력단(Actuator)이 존재한다. 그림3.4(b)는 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하기 위한

s도메인 상의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전력단은 지연성분을 갖는 1차 저역통과필터

34
   
      로 모델링하였다. 커패시터는 전압모델    
        

 

 

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림 3.5. PI형 전압제어기

그림 3.5 은 PI형 전압제어기의 기본 제어구조도를 나타낸다. 제어블록도에서 

성분은 외란으로 간주하고 이를 전향보상하여 제거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의

개루프 전달함수를 구하면 다음 식 3-1과 같다.



        

  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압제어기의 차단주파수를  라고 가정할 때, 전력단의 전달함수  에서
  

 ≫ 가 성립한다면 전력단의 전달함수를 1로 근사화할 수 있다. 이때의 개루프

35
전달함수는 다음 식 2-2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3-2)

   

따라서 폐루프 전달함수는 식 2-3으로 구해진다.

 
   
   

  
 (3-3)
   
  
       

 


위와 같은 형식의 전달함수는 폴과 제로를 임의의 값으로 지정하기가 불가능 하므


로 원하는 성능의 제어기를 설계하기가 매우어렵다. 제어대상이  등과 같이 원점


에 폴이 1개 존재하는 형태인 경우 PI제어기로는 만족할 만한 성능의 제어기를 구

성하기 위한 이득 설정이 매우 어렵다.이러한 경우에는 `개루프 전달함수를 이용한

근사이득 결정방식’을 사용하여 이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방식은 ‘1차 항으로

이루어진 혹은 1차 항으로 근사할 수 있는 개루프 전달함수의 절점주파수

(Cross-overFrequency)가 폐루프 전달함수의 차단주파수(Cut-off frequency)와 동일

하거나 혹은 유사한 값을 갖는다’ 라는 단순한 명제를 이용한 이득 결정방식이다.

36
참고로 절점주파수란 개루프 전달함수에서 이득이 1이 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예


를 들어  라는 개루프 전달함수에서
  



 이 되는 주파수는 이므로 가

절점주파수가 된다. 이때 폐루프 전달 함수는 다음 식3-4 와 같다.


 
      (3-4)
   
 

따라서 폐루프 전달함수의 차단주파수 역시  가 된다. 이와 같은 단순한 명제를

바탕으로 식2-4와 같은 형태의 폐루프 전달함수에서 차단주파수를 근사적으로

결정하는 이득을 선정할 수 있다.

식(2.2.1-1)의 개루프 전달 함수의 로그스케일 기준 함수는 다음식 2-5와 같다.

   

 
   

 
    log   log   log      log   (3-5)

이를 보드선도에 그리면 다음과 같다.


그림에서L1은 log  의 선을 나타내며 로그스케일에서 –20dB의 감쇄를 갖는



직선으로 나타난다. L2는 log  의 선도로서 이득1(0dB)을 유지하다가
  

에서부터 -20dB의 감쇄를 갖는 성분으로 나타난다.

37
 
L3는 log    를 나타낸 것으로 낮은 주파수영역에서는   가 크게
 


 
나타나므로 20dB의 감쇄를 갖는 도선으로 나타나다가     인 주파수

이상부터는  가 크게 작용하므로 log 의 일정 이득을 갖는 직선으로 나타난다.

그림 3.6 PI형 전압제어기의 개루프 전달함수 보드선도

L1, L2, L3성분을모두합하여주파수축에나타내면그림의  와 같은 도선이

나타난다. 그림에서  의 이득이 1이 되는 절점주파수는 로 표시하였다.

38

 
    인 주파수를 PI의 절곡주파수(Banding Frequency)  라 할 때,  는

다음 식 2-6으로 구해진다.


  

      
   (3-6)

∴    


이 때, 그림과 같이   ≪  ≪ 의 관계가 성립한다면 개루프 전달함수의

절점주파수가 폐루프 전달함수의 차단주파수와 근사한 값을 갖는다는 명제에

의하여 가 폐루프 전달함수의 차단주파수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을

수식화 하면 다음 식 2-7과 같다.


 ≪  ⇒   ≅  

 (3-7)

∴  ≅   단   
  


또한,   ≪  ≪  가정하에 의 주파수 근처에서는    는 1의 값을
  


갖고     는 근사적으로  의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의 주파수에서

식 2-8과 같은 개루프 전달함수 근사식이 성립한다.

39



          

    

(3-8)

≅     


따라서, 절점주파수 에서의 이득이 1임을 감안하면 다음 식 2-9가 성립한다.

   ≅  






(3-9)
∴   

위 식을 정리하여 이득을 결정하면 다음 식 2-10과 간다.

  
 (3-10)
  
    
    단   
    

식에서 n은 통상적으로 5~10정도의 값을 사용한다.

실용적으로 전압제어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그림과 같이 전력단의 전류제한을

고려하여 항과적분 제어기를 포함한 구조로 제어기를 설계해야 한다.

그림 3.7 PI형 전압제어기의 실용적인 구조

40
통상적으로 모든 제어기는 출력의 제한이 없다고 가정하고 동작에 대한 설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모든 전력회로는 전력 혹은 전압, 전류에 대한 최대용량이 결

정되어 있으므로 무한대의 명령에 대하여 동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전압 제어기

의 경우 출력은 단상인버터에 대한 전류명령이 되며, 단상 인버터의 경우 스위칭소

자 혹은 인터페이스 인덕터의 전류 정격에 의한 전류 제한이 존재한다. 따라서, 위

그림과 같은 비선형 동작을 하는 제한요소가 부가 되어야하며 이 요소로 인하여 제

어기가 이상동작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즉, 단상 인버터의 전류가 10A로

제한 되었다고 가정할 때 전압 제어기의 출력이 20A인경우, 실제 전류는 10A로 제

어되지만 전압 제어기는 20A로 동작한다고 오판을 하게 되고 계산된 만큼 DC전압

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적분기가 과도한 적분을 행하게 되는 과적분(Wind-Up) 상

태로 진입한다. 이 경우 적분기의 출력이 과도한 값을 유지함으로써 정상적인 제어

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과적분 동작을 억제하는 알고리즘을 항

과적분(Anti-Windup) 제어기라고 부르며 위 그림의 제어 블록도에 많이 사용되는

항과적분 제어기 구조를 도시 하였다. 항과적분 제어기의 이득  는 통상적으로 1/

 ~ 2/  의 값을 사용한다.

41
3.2.2 부스트 컨버터 전류제어 알고리즘

병렬로 구성된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 전압제어기


로부터 받은 출력 기준값은  되어 각각 인덕터 전류에 인가되어야 한다. 전류 제

어기는 2개의 인덕터 전류를 각각 제어해야 하므로 2개의 전류제어기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인터리빙 동작을 위해 SW1은 0°로 SW2는 180°위상 지연된 PWM 반

송파를 생성해야 한다. 2상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의 전류제어는, 전압제어기로

부터 생성된 전류지령을 상수로 나누어 주고 (2상의 경우 1/2, N상의 경우 1/N) 실

제 전류를 받아 그 오차를 제어기로 인가하는 형태이다.

2상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의 전류제어기는 상위의 전압제어기로부터 인덕터

에 대한 전류 명령을 받아 1/2로 나누어 실제 전류가 인덕터에 같은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Actuator`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림 3.8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전류제어계 구조도

42
그림 3.8은 전압제어기로부터 받은 전류 지령값을 각각  ,  으로 나눠 각각

의 제어기에 인가한 형태의 전류제어 구조도를 나타낸다. 특이점은 PWM 반송파가

 에 대한 전류제어기는 0도,  에 대한 전류제어기는 180도의 위상 지연된 PWM

반송파와 비교된다. 각각의 제어기는 위상차를 갖는 PWM 반송파와 비교되어 출력

으로 내보내지만 내부 제어계 구조는 동일한 형태로 제어를 하기 때문에 아래 설명

할 내용에 대해서는 하나의 제어기를 가지고 설명한다.

그림 3.9 PI형 전류제어기

그림 3.9는 인덕터 전류 제어를 위한 PI형 전류제어기 구조를 나타낸다. 전압

제어기로부터 받은 전류 기준값  을 1/2로 한 전류 지령값을 각각의 인덕터전류의

차이를 PI제어기로 인가한다. 전류제어 루프의 개루프 전달함수 및 폐루프 전달함수

43
를 구하면 다음 식 3-12와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3-12)
     
     
         

3.2.1 장에서 설명한 형태의 `근사이득 설정방식`을 이용한 제어 이득을 구하면

다음 식 3-13과 같다.

  
 (3-13)
  
    
    단   
    

식에서 n은 통상적으로 5~10정도의 값을 사용한다. 위의 이득을 사용하는

경우의 폐루프 전달함수는 다음 식 3-14와 같다.

 
       
 
      (3-14)
 
           
 

한편 제어대상이 되는 인덕터 전류  는   의 값을 갖는다. 커패시터 전

압 를 제어하는 전압제어기의 출력값을 전류 지령값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실제

로 커패시터 전류는     을 갖고 에 대한 성분을 보상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외란은 전향보상을 통해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

44

지 않지만 전압제어기의 성능을 위해 외란을      의 형태로 보상한다.


전압제어기와 마찬가지로 전류제어기에서도 출력전압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리미터

(Limiter)에 의한 과적분 동작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항과적분 제어

기가 포함되어야 한다.

그림 3.10 PI형 전류제어 + 항과적분제어 루프 구조도

45
3.3 3상 인버터

그림 3.11 3상 인버터 전체 제어 구조도

그림 3.11은 3상 인버터의 전체 제어 구조도를 나타낸다. 출력단 L-C필터의 커

패시터 전압을 원하는 전압으로 출력하기 위한 전압제어기와 전압제어기 출력으로

부터 받은 전류 기준값을 이용해 전류제어를 수행하는 전류제어기로 구성되어 있

다. 각각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서 제시한다.

3.3.1 전압제어 알고리즘

인버터의 출력전압을 위해 다양한 방식의 제어기가 사용되고 있고, 비교적 구조

가 간단하고 성능이 좋은 PI전압제어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PI전압제어기

46
는 부하전력의 순시적인 변동 시 출력전압의 변동이 크고 과도상태에서 안정화되기

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는 특성을 나타낸다. 즉 부하의 전력 변화가 외란으로 작

용하여 전압제어기의 성능을 저하 시킨다. 이와 같은 부하 변동에 민감한 제어기의

성능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P형태의 전압제어기를 사용하였다. 구조적으

로 PI전압제어기는 지령값과 측정값의 오차 및 오차의 적분값에 비례하는 출력을

발생한다. 반면에 IP전압제어기는 지령값과 측정값의 오차의 적분값과 측정값에 비

례하는 출력을 발생한다. PI전압제어기의 경우 전달함수에 영점(zero)이 존재하므로

영점에 의해 오버슈트(overshoot)가 크게 발생하고 제어기의 이득설정이 다소 어렵

다. 그에비해 IP전압제어기는 전달함수에 영점이존재하지 않으므로 오버슈트 및 안

정화 시간(settlingtime) 등을 원하는 특성이 되도록 제어이득을 설정하기가 용이 하

며, 동일한 크기의 오버슈트를 기준으로 할 때 PI제어기보다 이득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즉 대역폭을 크게 할 수 있어 외란에 대해 더 좋은 응답 특성을 갖게 된다.

아래 그림은 IP형 전압제어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47
그림 3.12 IP형 전압제어기 구조

PI제어기와 다른점은 비례이득 제어기가 오차에 대하여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일종

의 상태궤환 제어와 같이 전압 피드백에 대하여 동작하며, 적분 제어기 출력에서

비례 제어기 출력을 감하는 형태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PI제어기에서와 마찬가지로 Actuator의 동특성을 무시하여 이득 1로 간주하고 부하

전류   는 서로 상쇄된다 가정할 때 다음의 식 3-15가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3-15)




 

∴           

48
위 식을 정리하면 다음 식 3-16의 폐루프 전달함수를 얻을 수 있다.


  

       (3-16)

 
      
    
 

IP제어기의 적용한 경우의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은 2차 저역통과필터의 전달함

수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     (3-17)
   

는 댐핑상수를 의미하며 =1인 경우를 임계댐핑이라 한다. 댐핑은 `제동`의 의

미로 >1인 경우 `과제동`상태가 되어 차단주파수 대역에서 주파수 응답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갖으며 <1인 경우에는 저제동(under-damping)’ 상태로 차단 주

파수 대역에서 주파수 응답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다  은 자연진동 주파

수(natural resonance frequency)를 의미하며 필터의 차단 주파수에 관계한다.

그림 2.13에 2차 저역통과필터의  의 변동에 따른 주파수 응답 특성이 도시되어

있다.

49
그림 3.13 2차 LPF의 보드-선도

IP제어기의 폐루프 전달함수는 2차 저역통과 필터의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2차

저역통과 필터의 응답 특성을 이용하여 이득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  
 (2-18)
  
    
    단   
    

50
 


  

∴ 
  
(2-19)


  


  

일반적으로 댐핑 상수가 1보다 크면 과제동 상태가 되어 오버슛이 발생하지 않는데

매우 안정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댐핑상수를0.707 값으로 설정하면 버터워스

(Butterworth) 필터와 동일한 특성이 되도록 제어기를 설계할 수 있다.

IP제어기는 PI제어기에 비해 이득설정 과정이 매우 정확하고 이득이 매우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한가지 치명적인 약점이있다. PI제어기의 경우 차단

주파수 근처에서 위상지연이 –45도 정도에 그친다. 그러나, 위의 2차 저역통과 필터

의 보드 선도를 관찰하면 차단주파수 근처에서 위상지연이 –90도에 육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댐핑계수가 1이상인 경우 위상지연 효과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제

어의 응답 성능이 매우 나쁘게 보이는, 즉 위상지연이 크게 보이는 결과로 나타난

다. 이러한 이유로 댐핑계수를 가급적 1이하로 사용해야 하며, 제어주기가 매우 작

은경우에는 위상 지연으로 인한 제어의 불안정성이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제어주기

가 큰 경우에는 불안정성이 급격히 커지는 문제가있다. 따라서, 전류제어기와 같이

제어주기가 작은 루프에서 IP제어기를 사용할 경우 큰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51
전압제어루프와 같은 상위제어기에서는 제어주기가 커지므로 IP제어기의 적용에 상

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림 3.14 IP형 전압제어기의 실제 응용구조

IP제어기 역시 PI제어기와 마찬가지로 적분제어기의 과적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위 그림과 같은 항과적분제어기를 별도로 구성해야 한다. 이 경우에도 항과

적분제어기의 이득  는 통상적으로 1/  ~ 2/  의 값을 사용한다.

52
3.3.2 전류제어 알고리즘

UPS 부하에 원하는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성능의 전류제

어기가 필수적이다. 전류제어기는 그림 3.15와 같이 R-L부하에 대한 전압방정식에

기초하여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제어 구조가 간단하고 성능이 우수한 PI(Proportional

Integral) 제어기를 사용한다.

그림 3.15 PI 제어기를 사용한 R-L부하 전류제어루프

그림 2.15는 R-L부하를 가지는 PI 전류제어기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다. 시스템의

입력으로 전류명령   가 입력되면 실제전류  의 오차를 PI 전류제어기의 입력으

로 사용한다. PI 전류제어기는 시스템의 전압 모델에 근거하여 구성되며 전압을 제

어의 전달요소로 이용하기 위해 전압명령   를 출력한다. 전압명령은 PWM(Pulse

53
Width Modulation) 알고리즘에 의해 전력용 반도체 소자로 구성된 인버터(Inverter)

에 전달되어 R-L부하에 인가된다. 제어 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해 선형적인 동작을

가정하여 그림 3.15와 같이 크기가 1이며 시지연 성분이 존재하는 저역통과 필터로

모델링한다.  의 경우 외란으로 간주하고 모델링한다.

그림 2.15의 PI 전류제어 시스템의 개루프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3-21)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 2-21과 같이 R-L부하에 대한 PI 제어기의 개루프 전달함수는 리드래그

(Lead-Lag) 형태에 영점(Zero)와 극점(Pole)이 하나 추가된 전달함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    ,     일 경우 개루프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3-22)
       

위 식의 개루프 전달함수를 이용하여 폐루프 전달함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54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  일 경우 폐루프 전달함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3-24)

∴        
       
 

위 식과 같이 R-L부하에 대한 PI 전류제어기의 페루프 전달함수는 가장 안정된

형태를 갖는 1차 저역통과필터와 동일한 동특성을 갖게 되며, 여기서  는 차단주

파수를 나타낸다. 그림 3.9는 1차 저역통과필터로 근사된 PI 전류제어루프를 나타내

며, 본 연구에서는 차단주파수  = 3000 rad/s를 적용하였다.

55
그림 3.16 근사된 PI 전류제어루프

전류제어 시스템의 경우 실제 환경에서 유한한 DC전원과 스위치 및 커패시터의

내전압 용량 등으로 인하여 전류제어기 출력에 제한이 발생한다. 따라서 그림 3.17

과 같이 전류제어루프는 전압 제한기를 포함하므로 선형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56
그림 3.17 제한 요소를 갖는 PI 전류제어루프

이 경우 전류제어기의 적분제어기 출력은 제한기의 동작으로 인하여 실제 전류

와 기준값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적분제어기는 이 구간에도 전류 오차를 적분하

여 과도한 전압을 출력하는 과적분(Over-Windup)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어불능상

태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적분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궤환형 항과적

분(Anti-Windup) 제어기를 사용하였다

57
그림 3.18 궤환형 항과적분 제어기

그림 3.18은 궤환형 항과적분 제어기를 나타내며, 제한기의 입출력 차이에 궤환

이득   을 연산하여 적분제어기 입력에 궤환하는 형태를 가진다. 제한기가 동작하

지 않는 경우 적분제어기 입력의 궤환은 0이고 제한기가 동작하는 경우 PI 전류제

어기의 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위의 식 3-25와 같이 전류제어기 출력   는  에 대하여 리드레그 형태의

전달함수를 가지고 제한기 출력   는  에 대하여 1차 지연함수 형태의 전달함

수를 가진다. 과도상태에서 안정적인 전류제어를 위해서는 PI 전류제어기 출력 

과 제한기 출력   이 동일한 값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    일 때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방정식과 같이 제한기가 동작할 경우 PI 전류제어기 출력   는  에 대하

여 P 제어기로만 동작하여 과적분 동작을 방지하며, 1차 저역필터의 지연요소를 거

친   의 성분을 가진다.    는 PI 전류제어기의 특성주파수를 나타내며

59
     ,     의 이득을 사용할 경우      이며 일반적인 전동

기에서는 수천 Rad/s의 값을 가지므로 1차 저역통과필터의 동특성은 1로 근사할 수

있다. 과도상태에서 보다 빠른 동특성을 위해 저역통과 필터의 수렴속도를 높이기

위해      의 값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1~5의 값을 사용한다.  가 과

도한 값을 가질 경우 과도상태에서 PI 전류제어기가 P 제어기 형태로만 동작하지

않으므로 항과적분 제어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 = 2의 값을 사

용하였다.

60
제 4 장 시뮬레이션

본 장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의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시뮬레이션은 PowerSim의 시뮬

레이션 프로그램인 PSIM을 이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성하였다. 시뮬레

이션은 각각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인버터 모듈 개별 시뮬레이션, 그리고

두 모듈이 결합된 단일모듈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61
4.1.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그림 4.1은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를 PSIM 으로 구현한 시뮬레이션 회로도

이다. 부스트 컨버터의 전압제어, 전류제어는 PSIM의 C-블럭을 이용하여 C언어로

구현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은 표4.1과 같다.

그림 4.1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회로도

62
파 라 미 터 값

스위칭 주파수  

전류제어기 샘플링 주기  

전압제어기 샘플링 주기  

전류제어기 차단주파수  

전압제어기 차단주파수  


전압제어기 기준값   

부스트 컨버터 - 인덕터 소자 용량   

부스트 컨버터 - 커패시터 소자 용량  

출력 전력  

표 4.1 단일모듈 시뮬레이션 조건

시뮬레이션은 저항부하에 대한 출력전력 기준 25kW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부하 변동에 따른 전압 변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이용

부하를 가변해가며 전압변동폭을 확인하였다.

63
그림 4.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결과

64
그림 4.2는 제안하는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기준   의 기본


동작 시뮬레이션이다. 첫 번째 파형은 전압제어기로부터 받은 출력값을  로 나눈

전류명령에 대하여 각각의 인덕터 전류  ,  의 동작파형이다. 전류명령에 대하여

거의 오차없이 평균값의 전류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파형은 출력


전압  으로 전압제어기 기준값으로 설정한     에 대하여 거의 정확

하게 전압값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파형은 출력전압 에 대한

출력전류 파형으로 출력전압과 마찬가지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류

값을 출력함을 보인다. 네 번째 파형은 출력전력 으로 출력기준 25kW 부하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한 전력을 출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65
그림 4.3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시뮬레이션 결과 (부하 인가)

66
그림 4.3은 출력기준 25kW 부하를 임의의 시점에 인가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

과 파형이다. 위 시뮬레이션의 목적은 부하를 임의로 인가했을 때 출력전압의 변동


폭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첫 번째 파형은 전압제어기로부터 받은 출력값을  로 나

눈 전류명령에 대하여 각각의 인덕터 전류  ,  의 동작파형으로 초기 부하가 인

가되었을 때 과도상태에서 부족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전류 기준값이 증가하여

인덕터 전류가 약간 튀는 파형을 볼 수 있으나 비교적 빠르게 정상상태로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파형은 출력전압 으로 부하가 인가되는 순간

순간 전압 변동폭이 약 20V가량 빠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25kW부하를 한번에

인가하는 악조건 상황을 시뮬레이션 한 것으로 이 또한 비교적 빠르게 전압제어기


기준값인    에 다시 도달함을 볼 수 있다. 세 번째 파형과 네 번째 파

형은 출력전류와 출력전력 파형으로 부하가 인가되는 순간에 전류와 전력또한 빠지

는 것을 확인했으나 곧바로 정상상태로 도달해 원하는 전류, 전력을 출력함을 확인

했다.

67
4.2.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 시뮬레이션

그림 4.4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시뮬레이션 회로도

68
그림 4.5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4.5는 출력전력    에 대하여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첫 번째 파형은 부스트 컨버터의 인덕터 전류

69

  로 초기 출력 기준전압    에 대한 충전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고

그 뒤에 인버터의 출력에 대하여 서서히 전류가 증가함을 보인다. 두 번째 파형은

부스트 컨버터의 출력전압, 즉 인버터의 직류단 커패시터 전압으로 부스트 컨버터

에서 출력 기준전압을 비교적 정확하게 공급함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파형은

인버터의 전압제어기 전압 명령값 VdseRef와 실제 3상전압에 대하여 동기좌표계

변환을 한 값인 Vdse값이다. 현재 시뮬레이션 출력 기준값 VdseRef = 170V에 대하

여 전압 명령을 따라가는 형태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부하에 전압이 급

격하게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압 명령값을 소프트 스타팅 형태로 천천히

증가시킨 것에 대하여 네 번째 파형인 3상 출력 상전압은 점차 증가하며 결국 명령

값인 170V로 비교적 깔끔한 전압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 번 째 파형은

전압제어기 출력값인 전류 명령값 IdseRef와 실제 3상 전류에 대해 동기좌표계 변

환을 한 값인 Idse으로, 이 역시 IdseRef에 대하여 실제 전류인 Idse가 제대로 추종

함을 보인다. 그에 따라 여섯 번 째 파형은 3상 출력 상전류로 이 역시 출력 상전

압에 대하여 깔끔한 전류파형이 출력됨을 보인다. 일곱 번 째 파형은 출력전력으로

천천히 전력이 증가하다가 출력 전압과 전류가 원하는 지령치에 도달했을 때 25kW

부하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한 전력을 공급함을 확인할 수 있다.

70
4.3.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시뮬레이션

그림 4.6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운전 회로도

71
그림 4.6은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로 구성된 단일모듈에 대해 4개 모듈을 병렬

로 연결한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회로도이다. 시뮬레이션은 출력전력 50kW, 100kW

2가지에 대하여 2개 모듈만 동작시켰을 때와 4개 모듈 모두를 동작시켰을 때의 시

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조건은 표4.2과 같다.

파 라 미 터 값

스위칭 주파수  

전류제어기 샘플링 주기  

전압제어기 샘플링 주기  

전류제어기 차단주파수  

전압제어기 차단주파수  


전압제어기 기준값   

부스트 컨버터 - 인덕터 소자 용량   

부스트 컨버터 - 커패시터 소자 용량  

인버터 - 인덕터 소자 용량   

인버터 - 커패시터 소자 용량   

출력 전력   , 

표 4.2 병렬모듈 시뮬레이션 조건

72
그림 4.7 출력전력 50kW 2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

73
그림 4.7는 출력전력    에 대하여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2개 모듈을 운전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첫 번째 파형은 인버터의 전압제

어기 전압 명령값 VdseRef와 실제 3상전압에 대하여 동기좌표계 변환을 한 값인

Vdse값이다. 현재 시뮬레이션 출력 기준값 VdseRef = 170V에 대하여 전압 명령을

따라가는 형태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파형은 전압 명령값에 따른 3

상 부하 상전압 Vas, V bs, Vcs에 대한 파형이다. 출력 기준값 170V에 대하여 피크

170V로 출력됨을 보인다. 세 번째 파형과 네 번째 파형은 동작중인 두 모듈의 출력

상전류 파형으로 각 모듈의 전류가 동일한 위상과 크기를 갖는 전류를 출력함을 보

인다. 다섯 번째 파형은 출력 A상 상전류와 각 모듈별 A상 상전류를 나타낸다. 부

하로 출력되는 전류에 대하여 각 모둘별 전류가 동일한 위상을 갖는지 확인한 파형

으로 정확하게 동일한 위상과 단일 모듈에 비해 2배 큰 전류가 출력됨을 보인다.

마지막 여섯 번째 파형은 출력전력에 대한 파형으로 원하는 전력   가 비

교적 정확하게 출력됨을 보인다.

74
그림 4.8 출력전력 50kW 2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2

그림 4.8은 2개 모듈을 운전했을 때 부하분담을 확인하기 위해 출력전력 파형이

다. 첫 번째 파형인 총 부하전력    에 대하여 두 번째 파형과 세 번째 파형

인 운전 중인 모듈에 대한 출력이 25kW씩 정확하게 분담하여 부하에 전력을 인가하

는 것을 확인했다. 이 때 운전하고 있지 않은 네 번째 파형과 다섯 번째 파형은 출력

전력이 0임을 확인했다.

75
그림 4.9 출력전력 50kW 4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

76
그림 4.9는 출력전력    에 대하여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4개 모듈을 운전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첫 번째 파형은 인버터의 전압제

어기 전압 명령값 VdseRef와 실제 3상전압에 대하여 동기좌표계 변환을 한 값인

Vdse값이다. 현재 시뮬레이션 출력 기준값 VdseRef = 170V에 대하여 전압 명령을

따라가는 형태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파형은 전압 명령값에 따른 3

상 부하 상전압 Vas, V bs, Vcs에 대한 파형이다. 출력 기준값 170V에 대하여 피크

170V로 출력됨을 보인다. 네 번째 파형과 다섯 번째 파형은 각 UPS 모듈별 출력

상전류로서 출력전압에 대하여 두 모듈 동일한 크기와 위상을 가진 전류가 출력됨

을 보인다. 여섯 번째 파형은 출력 A상 상전류와 각 모듈별 A상 상전류를 나타낸

다. 부하로 출력되는 전류에 대하여 각 모둘별 전류가 동일한 위상을 갖는지 확인

한 파형으로 정확하게 동일한 위상과 단일 모듈에 비해 2배 큰 전류가 출력됨을 보

인다. 마지막 일곱 번째 파형은 출력전력에 대한 파형으로 원하는 전력   

가 비교적 정확하게 출력됨을 보인다.

77
그림 4.10 출력전력 50kW 4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2

그림 4.10은 4개 모듈을 운전했을 때 부하분담을 확인하기 위해 출력전력 파형이

다. 첫 번째 파형인 총 부하전력    에 대하여 나머지 출력파형 결과 값을 보

면 각 모듈이 비교적 정확하게 12.5kW씩 분담하여 부하에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확

인했다.

78
그림 4.11 출력전력 100kW 4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

79
그림 4.11는 출력전력    에 대하여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

터 4개 모듈을 운전했을 때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첫 번째 파형은 인버터의 전

압제어기 전압 명령값 VdseRef와 실제 3상전압에 대하여 동기좌표계 변환을 한 값

인 Vdse값이다. 현재 시뮬레이션 출력 기준값 VdseRef = 170V에 대하여 전압 명령

을 따라가는 형태로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파형은 전압 명령값에 따른

3상 부하 상전압 Vas, V bs, Vcs에 대한 파형이다. 출력 기준값 170V에 대하여 피크

170V로 출력됨을 보인다. 네 번째 파형과 다섯 번째 파형은 각 UPS 모듈별 출력

상전류로서 출력전압에 대하여 두 모듈 동일한 크기와 위상을 가진 전류가 출력됨

을 보인다. 여섯 번째 파형은 출력 A상 상전류와 각 모듈별 A상 상전류를 나타낸

다. 부하로 출력되는 전류에 대하여 각 모둘별 전류가 동일한 위상을 갖는지 확인

한 파형으로 정확하게 동일한 위상과 단일 모듈에 비해 4배 큰 전류가 출력됨을 보

인다. 마지막 일곱 번째 파형은 출력전력에 대한 파형으로 원하는 전력

   가 비교적 정확하게 출력됨을 보인다.

80
그림 4.12 출력전력 100kW 4개 모듈 운전 시뮬레이션 결과-2

그림 4.12는 4개 모듈을 운전했을 때 부하분담을 확인하기 위해 출력전력 파형이

다. 첫 번째 파형인 총 부하전력    에 대하여 나머지 출력파형 결과 값을

보면 각 모듈이 비교적 정확하게 25kW씩 분담하여 부하에 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확

인했다.

81
제 5 장 실험 결과 및 검토

본 장에서는 시뮬레이션을 결과를 기반으로 실험을 통해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

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의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실험은

25kW 부스트컨버터 – 인버터 단일 모듈에 대한 실험과 단일 모듈 4개를 병렬로 연

결하여 구성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실험 2가지를 진행하였다.

5.1 실험 구성

그림 5.1은 실제 실험에 사용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 모듈에 대한 그림

이다.

그림 5.1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모듈

82
그림 5.2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모듈 컨트롤러

83
5.2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모듈 실험

(a)

(b)

그림 5.3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모듈 실험 결과

84
그림 5.3은 출력전력이    일 때 부스트 컨버터 출력파형을 나타낸다.

(a)는 각각 인덕터 전류  ,  와 전류제어기 기준명령  를 나타낸다. 인덕터

전류를 보면 약간의 옵셋이 존재하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나타나는 임피던스

불균형을 감안하면 전류명령  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전류를 출력함을

보인다. (b)는 출력전압 과 출력전류 으로 현재 전압제어 기준값인


    에 대하여 380V를 출력하고 있고 그에 따른 출력전류는  =

63A로 출력전력 약 24kW를 전력으로 공급하고 있다. 이를 전체 효율을 계산했을


경우    ×    으로 풀부하에서 96% 효율을 보인다.


85
(a)

(b)

그림 5.4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단일모듈 실험 결과-2

86
그림 5.4는 3상 인버터 출력 상전압      와 출력 상전류      를 나

타낸다. (a)는 출력 상전압      로 시뮬레이션 결과와 같이 출력 전압 기준

값인 VdseRef = 170V에 대하여 피크 170V의 동일한 위상을 갖는 전압을 출력하고

있음을 보인다. (b)는 출력 상전류      로 부하 전력    에 대하여 피

크전류 약 94A로    ×  ×    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87
5.3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실험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실험은 출력 상전압 피크 110V와 170V 2가

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부하전력 최대 30kW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

였고 아래 파형은 각각 출력 상전압 110V일 때 그리고 170V일 때의 출력파형을 보

인다.

(a)

88
(b)

그림 5.5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실험 결과

그림 5.5는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4병렬모듈에 대하여 출력상전압 피크 170V

일 때의 실험결과로 (a)는 실제 출력 상전압  와 DAC로 읽은 상전압     

를 나타낸다. 실제 출력 상전압에 대하여 거의 오차없는 DAC로 읽은 전압을 출력

함을 보이며, 나머지 상전압도 안정된 출력을 보인다. 이 때 (b)에서 A상에 대한 출

력 상전류  는 약 110A의 동일한 위상을 갖는 파형으로 이를 전력으로 계산하면

   ×  ×    의 전력을 부하에 안정적인 출력을 하고 있다.

89
(a)

(b)

90
(c)

그림 5.6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 병렬모듈 실험 결과-2

그림 5.6은 출력상전압 피크 110V일 때의 출력파형으로 각각 (a),(b),(c)는 출력

상전압      과 출력 상전류      , 그리고 병렬로 연결된 모듈 중 슬레

이브 모듈 1의 출력 상전류      를 나타낸다. 각 상에 대하여 위상

차 없는 전압과 전류를 출력함을 보이고 있으며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은

   ×  ×   을 공급하고 있음을 보인다.

91
제 6 장 결 론

본 연구에서는 3상 모듈형 무정전 전원장치 운전을 위한 모듈구조 설계 및 병렬

운전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단독으로 운전 가능한 인터리브드 부스트 컨버터 – 인버터가 결합된 모듈에 대

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최적 제어기를 적용하였다. 단독 모듈에

사용되는 제어기는 총 4개로 각각의 제어기에 최적 제어기를 적용하기 위해 시뮬레

이션을 통해 단독 모듈에 적합한 최적 제어기법을 적용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또한 무정전 전원장치 자체의 확장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리던던

시 개념의 병렬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병렬운전 제어기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

다. 병렬운전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순환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기존의 제어기법중

주종제어 기법과 중앙제어 기법의 장점들을 합쳐 주종제어 기반의 제어기법을 적용

해 병렬운전 시스템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모듈의 균등한 전력분담을

통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함을 확인하고 제어기법에 대한 검증을 했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단독모듈 그리고 병렬운전 시스템을 활용하여 더 큰 용량에서도 적용 가

능할거라 예상된다.

92
참 고 문 헌

[1] 박성열, 김주하, 정아진, 최세완, 2016.6,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에너지 저장시스

템을 위한 무순단 절체 기능을 갖는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병렬운전 제어기법”, 전

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 200-206

[2] 김현섭, 한정호, 송중호, 2013.4, “Droop Control을 이용한 3상 4선식 UPS의 병

렬운전”, 한국조명ㆍ설비학회, 조명ㆍ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7권, 제4호, pp.

88-95

[3] 김동욱, 김연풍, 신현주, 백병산, 류승표, 민병권, 1999, “UPS 4 병렬운전 시스

템 개발”,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술대회논문집, pp. 192-195

[4] 이우철, 현동석, 2004, “다른 정격용량을 가진 3상 UPS 시스템의 병렬운전을

위한 주종제어 기법”,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pp.

341-349

[5] 성병모, 강필순, 박성준, 김철우, 2002.4, “병렬 제어기법을 이용한 UPS 출력 전

압의 개선”,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 158-164

[6] 김선태, 지준근, 2016.10, “저항성 수하 제어를 적용한 3상 모듈형 UPS 인버터

93
의 비통신선 방식 병렬 운전”, 대한전기학회, 전기학회논문지, 제65권, 제10호, pp.

1672-1681

[7] 이동주, 백석민, 홍정조, 김창범, 오봉록, 이인성, 2013.7, “단상 모듈형 UPS의

병렬 운전”, 대한전기학회,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 975-976

[8] 김경환, 오성진, 김태훈, 2005.7, “입력단에 PWM 컨버터를 이용하는 3상 병렬

UPS의 공통배터리 운전”,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술대회논문집, pp. 302-304

[9] Peng Liu, Changsong Chen, Jiuqing Cai, Shanxu Duan, 2015, “Stability analysis

of instantaneous average current sharing control strategy for parallel operation of

UPS modules ”, 2015 IEEE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ECCE) ,

IEEE Conference Publications, pp. 1238-1242

[10] R. Krishnan, and S. Srinivas, 1993.6, “Topologies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Industrial Electronics, pp. 122-127

[11] 이태영, 조영훈, 2016.7, “모듈형 3상 무정전 전원장치의 병렬 운전을 위한 주

종 제어 알고리즘”,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술대회논문집, pp. 479-480

[12] 김경환, 현동석, 2005.10, “3상 무정전 전원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구조의 동기

좌표계 전압제어기”, 전력전자학회학회, 전력전자학회논문지, 제10권, 제5호, pp.

508-517

94
[13] 김병진, 최재호, 2000.8, “UPS 인버터의 제어기술”,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

회지, 제5권, 제4호, pp. 18-24

[14] 김민규, 김재식, 방상석, 최재호, 2003.7, “정지좌표계를 이용한 3상 UPS용

PWM-VSI제어”,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술대회논문집, pp. 965-968

[15] 박지호, 노태균, 김춘삼, 안인모, 우정인, 2003.4, “UPS 인터버의 성능 개선을

위한 강인한 2중 디지털 제어기의 설계”, 전력전자학회, 전력전자학회논문지, 제8

권, 제2호, pp. 116-127

[16] Josep M. Guerrero; Lijun Hang; Javier Uceda , 2008, “Control of

Distribut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s ”,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 vol 55, no 8, pp. 2845-2859

[17] S. B. Bekiarov and A. Emadi, 2002,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Classification, operation, dynamics, and control”, IEEE APEC, pp. 597–604.

[18] M. Prodanovi큓, T. C. Green, and H. Mansir, 2000.9, “A survey of control

methods for parallel three-phase inverters connection”, IEE PEVD Conf.(IEE Conf.

Publ. No. 475), pp. 472–477.

[19] A. P. Martins, A. S. Carvalho, and A. S. Araújo, 1995,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rrent controller for the parallel operation of standard

95
UPSs,”, IEEE IECON, pp. 584–589.

[20] H. van der Broeck and U. Boeke, 1998, “A simple method for parallel

operation of inverters,”, IEEE INTELEC Conf., pp. 143–150.

[21] Y. Pei, G. Jiang, X. Yang, and Z. Wang, 2004, “Auto-master–slave control

technique of parallel inverters in distributed AC power systems and UPS”, IEEE

PESC, pp. 2050–2053.

[22] X. Sun, Y.-S. Lee, and D. Xu, 2003.5, “Modeling,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parallel multi-inverter system with instantaneous

average-current-sharing scheme,”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18, no. 3,

pp. 844–856

[23] H.-M. Hsieh, T.-F. Wu, H.-S. Nien, Y.-E. Wu, and Y.-K. Chen, 2005, “A

compensation strategy for parallel inverters to achieve precise weighting current

distribution”, IEEE IAS Annu. Meeting, pp. 954–960.

[24] T. F. Wu, Y.-K. Chen, and Y.-H. Huang, 2000.4, “3C strategy for inverters

in parallel operation achieving an equal current distribution,” IEEE Trans. Ind.

Electron., vol. 47, no. 2, pp. 273–281

[25] M. C. Chandorkar, D. M. Divan, and R. Adapa, 1993.2, “Control of parallel

96
connected inverters in standalone AC supply systems,” IEEE Trans. Ind. Appl.,

vol. 29, no. 1, pp. 136–143

[26] F. Zanxuan and Q. Wenlong, 2004, “A current share method for parallel

singlephase DC/AC inverter without control interconnection” , IEEE IPEMC, pp.

953–955.

97
ABSTRACT

A Study on The Control Technique for Modular Three-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UPS) With Boost Converter

Jin, Seongmin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proposes a control algorithm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for the control method of the modular three phas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with boost f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ag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load required to maintain the constant power source,

which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n

addition, a parallel typ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of a modular type is

widely used to satisfy a load of a high capacity It is difficult to apply a desired

output voltage to a load by using a 250V DC voltage as the input power source

of a UPS used in a power plant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

module suitable for UPS system for power plant. A UPS for applying 3-phase

AC voltage to a load is generally composed of a 3-phase inverter and an output

L-C filter.

98
In order to apply this to the power plant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d control a power converter for a single module that boosts the input voltage

by applying a boost converter to the input of the inverter to supply the

constant voltage to the inverter. In addition, a parallel operation control

technique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connecting such a single module

in parall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udy on the configuration, design and

parallel operation control technique for single module UPS for power plant was

conducted. The proposed algorithm proved its superior performance and

feasibility through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Key word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ingle module power converter for

plant, parallel operation control

99
감 사 의 글

항상 미흡하고 부족했던 석사생활의 마침표를 찍을 수 있게 도와주신 모든 분들

에게 비록 다 표현할 순 없지만 이 글을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항상 행복

가득하길 바라겠습니다.

먼저 지난 2년간 부족했던 저에게 많은 지도편달 해주신 지도교수님, 김준석 교

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때로는 강하게, 때로는 따듯하게 항상 진

심으로 대해주신 교수님의 가르침이 있었기에 2년의 석사생활을 보람차게 보냈습니

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항상 어디에 있던 열심히 하라고 말씀하시던 교수님 말

씀 따라 부끄럽지 않은 제자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더불어 항상 진심어린 조언과

귀감이 되는 행동으로 석사생활의 버팀목이 되어주신 김용하 교수님꼐 감사드립니

다. 항상 열정적인 모습으로 제자들을 위해 노력하시는 학과 교수님들이신 정영식

교수님, 이병하 교수님, 김학만 교수님, 김준동 교수님, 허진 교수님, 윤주형 교수님,

안덕주 교수님, 이우찬 교수님, 이병훈 교수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아무것도 몰랐던 4학년 대학원 연구실 체험이라는 기회를 통해 대학원을 접하게

하고 무사히 석사생활을 마칠 수 있게 항상 힘이 되어준 윤대식, 추대혁 선배님께

100
감사의 말 전하겠습니다. 더불어 연구실 모임 때마다 항상 유익하고 진심어린 조언

해주시는 졸업한 전력전자 연구실의 모든 선배님들께도 감사의 말씀 이 글을 빌어

드리겠습니다. 지난 2년간 연구실에서 함께 고생한 동기 김현근과 후배 이수형, 이

상희, 문태양에게도 고맙다는 인사를 전합니다. 남은 기간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면 좋겠습니다. 또, 학부, 석사 생활을 하며 많은 선,후배님들의 도움이 있었

기에 무사히 석사생활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또, 이젠 가족이나 다름없는 친구들 경남, 오석, 병하, 용민, 정근, 시우, 정규, 원

호, 동희에게도 이 글을 빌어 고맙다는 말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항상 끈임없는 신뢰와 믿음으로 지지하고 끝까지 지켜봐주신 사랑하

는 부모님과 누나, 그리고 매형에게도 감사의 말씀 전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보답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의 노력과 도움이 있었기에 지금 이 마지막 감사의 글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노력하고 성실한 자세로 도와주신 노력과 도움이 헛되지 않게 하

겠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2017년 12월

진 성 민 올림

10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