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1 -

제 21 장 전하

21-1 Coulomb의 법칙

어떤 물리현상을 다루는가?

원자의 구조 그림 21-2에 보어(Bohr)의 원


자모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다음과
◯◯◯◯
같이 설명된다.(원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40 ◯◯◯◯◯
장과 42장에서 취급한다.) ◯◯◯◯
⑴ 원자의 중심에 위치한 원자핵은 그림 ◯ : 원자
21-3과 같이 양성자(proton)와 중성자    
(neutron)로 구성되어 있는데, 핵에 있는
그림 21-1  물질의 일반적인 모습.  원
양성자의 수가 그 원자의 원자번호  이 자적 관점에서 관측한 물질의 구조. 물질은 수많
다. 은 원자들이 모여 구성되어 있다.

⑵ 핵 주위에 위치한 전자(electron)들은 반지름이  인 원 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데, 중성상태


원자의 경우 전자의 수와 양성자의 수가 동일하다.

⑶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전자는 원자에 구속된다.

전자



● ●  


●  
● 핵
●●

● 
◯◯
◯◯

◯ ◯ ◯ : 양성자
◯◯◯



◯ ◯◯◯ ◯
◯◯◯◯

◯◯
◯ ◯ : 중성자
● ◯◯◯◯◯

그림 21-3원자핵의 모습. 원자핵은
그림 21-2 원자의 구조.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
 Si : 질량수가 인 Si (21.1)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2 -

전자(electron)

⑴      ×    C : 여기서 “C ”는 전하의 SI 단위로서 “쿨롱(coulomb)”이라고 읽는다.


전자는 더 이상 쪼갤 수 없으므로 전하의 최소 단위는   ×    C 인데, 이를 “기본전하
 ”라 한다. 즉,     ×    C 이다. 따라서 전자의 전하는     이다.

⑵  ≈   ×    kg

⑶ 전자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그림 13-2와 같이 특정한 원자에 구속되어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구속전자(bound electron)와 특정한 원자 또는 분자에서 떨어져 나와 물
질 내부를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자유전자(free electron)로 구분할 수 있다.

양성자(proton)

⑴    ×   C    : 전자의 전하와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다.

⑵  ≈   ×    kg : 전자 질량에 비해 약 배 큰 값이다.

중성자(neutron)
⑴    :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⑵  ≈   ×    kg : 전자 질량에 비해 약   배 큰 값이다.

전하
●◯◯◯◯ ◯ : 원자

◯ ◯  ● ◯◯◯◯◯ ◯ : 양이온
원자 양이온 자유전자 ◯◯◯◯
● : 자유전자

그림 21-4 전기적으로 중성상태인 그림 21-5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원자가  가 양이온과 자유전자로 분리 일부가  가 양이온과 자유전자로 분리
되는 모습. 되어 있는 모습.

◯ : 원자 ◯ : 양이온 ● : 자유전자


◯◯◯◯


● ●◯◯◯◯ ●
● ◯◯◯◯
● ● ◯◯◯◯


◯◯◯◯◯ ◯◯◯◯◯ ◯◯◯◯◯ ◯◯◯◯◯


◯◯◯◯ ●

◯◯◯◯ ●

◯◯◯◯ ◯◯◯◯

● ●

① ② ① ②
   

그림 21-6  두 물체 모두 전기적으로 중성상태에 있는 모습.  물체  에 있던 자유전자의


일부가 물체  로 이동한 모습.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3 -

대전, 전하의 양자화, 전하보존 그림 21-6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일부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이온화되어 물질 내부에 자유전자와  가 양이온이 생성된 모습이다. 이때 자유전자
의 전하량과  가 양이온의 전하량이 동일하므로 두 물체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두 물체가 적당
한 과정을 통해 그림  와 같이 변한 경우를 생각해 보자. 즉, 물체  에 있던  개의 자유전자가
물체  로 이동한 경우, 물체  의 전하량  과 물체  의 전하량  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21.2)
    (21.3)

이와 같이 물체가 알짜 전하량을 가지는 현상을 “대전(electrification)”이라 한다. 즉, 전기적으로


중성이던 물체가 외부로부터 자유전자를 받아들이거나 외부로 자유전자를 방출하면 대전된다. 이
상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① 그림 21-5 또는 그림 21-6와 같이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일부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


해 이온화 되어 물질 내부에 자유전자와 양이온이 생성된다. 양이온은 격자점에 고정되어 있
지만, 자유전자는 물질 내부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공부하는
동안 이 그림을 잘 기억해 두자.

② 외부로부터 자유전자를 받아들인 물체는 음으로 대전되며, 자유전자를 방출한 물체는 양으로
대전된다. 즉 물체가 대전되는 현상은 자유전자의 교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물체의 알짜
전하 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21.4)

☞ 물체가 가질 수 있는 전하량은 기본전하의 정수배만 허용되는데, 이를 “전하의 양자화”라


한다.

③ 그림 21-6과 같이 물체가 대전되는 현상은 다른 물체와 자유전자를 교환하는 과정이다. 즉,


전하는 스스로 생성되거나 소멸될 수 없는데, 이를 “전하 보존”이라 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4 -

유도전하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해 형성.

그림 21-7

중성 구리막대

음(-)으로 대전된
플라스틱 막대

전기력의 방향

유리막대 유리막대

유리막대 플라스틱막대

그림 21-8

도체, 절연체, 반도체

① 도체 : 금속과 같이 물질내부에서 전하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물질.


② 절연제 : 유리 및 플라스틱 등과 같이 물질 내부에서 전하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물질.
③ 반도체 : 실리콘 및 게르마늄 등과 같이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성질을 가지는 물질.

접지, 방전 그림 21-9와 같이 도선을 이용하여 물체와 지


명주실
표면 사이에 전하의 이동로를 만들어주는 것을 접지시킨다고 한
다. 대전된 물체를 접지시키면 물체에 있던 과잉전하(알짜전하) 
 
가 지표면으로 이동하는데, 이와 같이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도선
과잉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을 방전(electric discharge)이라고 한 지표면

다. 접지된 물체의 알짜전하는 결국   이 된다.   그림 21-9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5 -

라이프세이버 사탕에서 나오는 푸른빛 섬광 그림 21-10은



라이프세이버 사탕을 씹어서 두 조각으로 쪼개질 때 조각  가 조
각  보다 자유전자를 조금 더 가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때 희미한
푸른 빛이 나오는 현상을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보자.

조각  에 있는 자유전자는 조각  에 있는 양이온이 당기는 힘에
의해 조각  로 건너뛸 수 있는데, 이때 자유전자가 질소분자와 충
돌하여 자외선을 방출한다. 자외선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없지만, 사 그림 21-10
탕표면에 붙어있는 윈터그린향 분자가 자외선을 흡수한 후, 우리가
볼 수 있는 푸른 빛을 방출하므로서 사탕을 씹을 때 푸른 빛이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  
Coulomb의 법칙 1735년 Coulomb는 두 점전 
● ●

하  ,  가 그림21-16과 같이 거리  만큼 떨어져 
있을 때  에 작하는 정전기력을 다음과 같이 정리. 그림 21-11

  
    
 (Coulomb의 법칙) (21.5)


   ≈   ×   N ‧ m   C  (21.6)
 
 o ≈   ×    C   N ‧ m  (21.7)

☞   는 자유공간(free space)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또는 유전율(permittivity).


☞ 자유공간 : 아무 것도 없이 완전히 비어있는 공간. 즉, 완전한 진공상태의 공간.

정전기상수 를 고려하면 Coulomb의 법칙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Coulomb의 법칙) (21.8)
 o 

☞ 두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구할 때, 식 (21.8)을 사용하여 크기와 방향을 한 번에


구해도 좋으나, 숙달되기 전까지는 두 점전하의 부호를 고려하여 방향을 결정하고 크기는
다음 식으로 구하여 그 결과들을 결합시켜도 된다.

    
   
(Coulomb의 법칙 : 힘의 크기) (21.9)
 o 

전기력의 중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10)
 
       

 가  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6 -

보기문제 21.01) 전하량이     ×   C ,     ×    C ,        ×   C 인


 개의 점전하가 있다. 이들이 그림 21-12, ,  와 같이 위치해 있을 때,  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시오. 단    m 이고,    o 이다.

그림 의 풀이 :  과  의 부호가 동일하므로 


 는 그림 와 같이  방향이다. 여기서 힘
의 크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따라서 
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N 


그림 의 풀이 : 과  의 부호는 동일하고,  과  의 부호는


서로 다르므로  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그림  와 같다.  
는 앞 문제에서 구했으므로,   의 크기만 다음과 같이 구해보자.


        
      
 o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따라서  에 작용하는 힘 
 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N   ×   
 N 
   ×   
 N 
그림 21-12

그림  의 풀이 : 문제에 제시된 조건에서    ,    이므로    이다. 그리고 전하들
의 부호를 고려하면  에 작용하는 힘을 그림  와 같이 그릴 수 있다. 따라서  가  에 작용하
는 힘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cos 
  sin       ×    cos o
  sino

     
≈   ×      ×   N 

따라서  에 작용하는 힘 
 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7 -

보기문제 21.02) 그림 21-13와 같이  은 원점에 위치해


그림 21-13
있고,  는    인 지점에 있다.   ,    일 때
전하량이  인 양성자를 어떤 위치에 놓을 때 평형(양성자에
작용하는 알짜 힘이 인 상태)을 이룰 수 있는가? 이 평형은
안정한가, 불안정한가?

풀이) 양성자는 양의 전하  를 가지는데(  ), 양성자가


위치하는 영역별로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을 살펴보자.

1) 그림  와 같이 양성자가      영역에 위치할 때.

 이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  과  가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



 가 모두  방향을 향하므로 이들의 합이 이 될 수 없으

므로 이 영역에서 평형을 이룰 수 없다. 

2) 그림  와 같이 양성자가    영역에 위치할 때.

 과  가 각각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은

      


     
   
(a)
 o  o 

        
    
   (b)
 o      o    

인데     이고,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      을


만족하는 평형점은 없다.( 차원 문제이므로, ±부호로   과  방향을 표현했다.)

3) 그림  와 같이 양성자가    영역에 위치할 때.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o 

 
 o    
  

 o  
 
     
 (c)

따라서   을 만족하는 위치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d)

제곱근을 구할 때  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때는      이 된다. 이는 의미가 없는 해이므로


버려야 된다.

    이 안정한 평형점이 되려면 양성자가     에서  방향으로 약간 이동했을 때 식 (c)


로 표현되는 힘이  방향을 향하고,  방향으로 약간 이동했을 때 힘이  방향을 향해야 되
는데, 식 (c)를 보면 힘이 양성자가 평형점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    은 불안정
한 평형점이다.(안정한 평형점이 되려면 물체가 평형점에서 벗어났을 때 작용하는 힘이 복원력 형
태로 작용해야 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8 -

보기문제 21.03) 그림 21-14는 동일한 두 도체공  ,  가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모습이다.


이때 공  에는   의 양전하가 대전되어 있으며 공  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공의 크기에 비
해 가 매우 크다고 생각하고 다음을 답하시오.

         
그림 21-14

(a) 두 도체공을 도선으로 연결했다가 시간이 충분히 경과한 후, 도선을 제거했을 때 두 도체공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두 도체공일 동일한 경우, 그림  와 같이 두 도체공을 도선으로 연결시켜주면 이들이 평


형을 이룰 때까지 방전되어 그림  와 같이 각각의 공에 동일한 전하량이 분포한다. 따라서 이때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o   
o

(b) 다음은 도체공  를 그림  와 같이 접지시켜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은 어떻게 되는가?

풀이) 그림  와 같이 도체공  가 완전히 방전되면 공  의 알짜 전하량이 이므로, 두 공 사이


에 작용하는 정전기력도 이 된다.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9 -

21-2 전하는 양자화되어 있다

전하의 양자화는 21-1절에서 이미 살펴본 바 있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체가 가지고 있던 자유전자를 빼앗기거나 외부로부터 자유전자를 받아들일 때 물체가 대전


된다. 즉 물체가 가지는 알짜 전하량 는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한 결과이므로, 물체의 알짜
전하량은 자유전자 전하량의 정수배만 허용되는데,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21.11)

보기문제 21.04) 철 원자의 핵은 반지름이 약   ×   m 이고,  개의 양성자를 가지고 있다.

(a)   ×    m 떨어져 있는 두 양성자가 서로 밀어내는 정전기력의 크기를 구하시오.

풀이) 양성자의 전하량은      ×    C 이므로, Coulomb의 법칙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


이 두 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a)
 o  
 o    × 

(b) 두 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풀이) 양성자의 질량은     ×   kg이므로, Newton의 법칙을 고려하면 다음과 같이 두
양성자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 (b)
       × 
백종성의 강의노트 21장 전하 - 10 -

21-3 전하는 보존된다.

이미 여러 번 고찰한 바와 같이 물체가 대전되거나 방전되는 현상은 자유전자가 한 물체에서 다


른 물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즉 고립계의 알짜 전하량은 언제나 일정하므로, 고립계의 전하량은
보존된다.

원자핵이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변화하는 원자핵의 방사성 붕괴에서도 전하가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예로서 다음과 같은 방사성 붕괴를 고찰해 보자.

 
U → Th   He (21.12)
입자

우라늄  (질량수가   인 우라늄)은 원자번호가    이므로 양성자 수가  개 이고,


토륨 는 원자번호가   이므로 양성자 수가 개 이다. 그리고 입자는 헬륨의 원자핵인
데 헬륨은 원자번호가   이므로 양성자 수가  개 이다. 따라서 붕괴 전⋅ 후에 양성자 수의 변
화가 없으므로 방사성 붕괴과정에서도 전하가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질량수도 변화가
없다.

전하보존의 또 다른 예로서 반입자들의 쌍생성과 소멸과정을 고찰해 보자. 1928년 Dirac은 전자


(  )와 질량과 스핀은 같으나 전하량이 반대인 입자의 존재를 예언했다. 이와 같이 질량과 스핀은
동일하나 전하량이 반대인 입자를 반입자(antiparticle)라 한다. 전자에 대응되는 반입자를 양전자
(  , positron)라고 한다. 전자  양전자 쌍은 대전된 고에너지 입자나   선이 물질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쌍생성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쌍생성) (21.13)

그리고 쌍생성의 역과정, 즉 전자와 양전자가 두 개의   선으로 변환되는 쌍소멸 과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쌍소멸) (21.14)

식 (21.13)과 (21.14)의   선은 동일한 것이 아니고 에너지가 서로 다른 별개의   선 이다. 이


와 같은 반입자들의 쌍생성과 소멸과정에서도 과정의 전과 후에 알짜전하량이 모두 이므로 전하
가 보존됨을 알 수 있다.

반입자에 대한 내용은 44장에서 공부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