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https://doi.org/10.21186/IPR.2020.5.3.

089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김보기*, 박유미**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심리상담학과 졸업**

A Study on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Applying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Bo-Ki Kim*, Yu-Mi Park**
Professor, Daehan Theological University*,
Department of Psychology Counseling, Graduate School Psychology, Hansei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연구하여 거기에서 도출된 상담이론을 토대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을 연구
하고자 하였다. 아들러의 상담과정의 진행은 첫째, 관계형성단계는 상담자와 내담자 상호 간의 합의된 목표를 향해
적극적인 파트너로서 일하는 평등하고 상호 협력적인 관계를 추구하는 단계이다. 둘째, 생활양식 탐색단계는 생활양식
을 이해하고 생활양식이 삶의 과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하는 단계이다. 셋째,
통찰단계는 통찰력을 가지는 단계이다. 넷째, 재정향(행동 전환)단계로 진행된다. 아들러의 상담기법은 일반적기법과
특수기법이 있는데, 일반적 기법으로는 즉시성, 충고하기, 격려하기, 역설적 의도, 시법보이기, 역할놀이 등이 있다. 특
수기법으로는 초인종 누르기, 내담자의 수프에 침 뱉기, 마이더스 기법, 타인을 즐겁게 하기, 저질의 아이 피하기, 스
스로 억제하기 등이 있다. 결론적으로 개인심리상담은 의학적 모델이 아니라 성장모델에 기초하며, 치료한다는 측면
보다는 건강한 개인과 사회를 재교육하고 재조명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아동지도센터, 부모
-아동상담, 부부상담, 가족상담, 집단상담과 치료, 아동과 청소년의 개인상담, 문화적 갈등, 정신건강 운동 등 다양
한 영역에 적용된다.

주제어 : 개인심리학, 개인심리상담, 열등감, 아들러, 상담기법


Abstract This study is to study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nd to study the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based on the counseling theory derived there. The progress of Adler's consultation process is first, and the
relationship formation phase is the phase of seeking equal and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 working as active partners
toward agreed objectives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ounsellor. Second, the lifestyle search phase is an important
goal to understand lifestyle and how lifestyle affects life's task. Third, the insight phase is the one that has insight.
Fourth, it is carried out in the financial direction (transformation of behavior). Adler's counseling techniques include
general techniques and special techniques, and general techniques include promptness, advice, encouragement, paradoxical
intentions, demonstration of poetry, and role play. Special techniques include pressing a doorbell, spitting on a physician's
soup, Midas technique, entertaining others, avoiding low-quality children and self-restraint. In conclusion, individual
psychological counseling is based on growth model, not medical model, and has more interest in re-education and
re-lighting healthy individuals and societies than on the aspect of treatment. Therefore, it applies to various areas such as
child guidance centers, parent-child counseling, marital counseling, family counseling, group counseling and treatment,
personal counsel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ultural conflicts and mental health campaigns.
Key Words : Individual Psychology, Individual Psychological Counseling, Inferiority, Adler, Counseling
Received 13 June 2020, Revised 21 June 2020 Ⓒ Industrial Promotion Institu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Accepted 15 July 2020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rresponding Author: Bo-Ki Kim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
D
( aehan Theological University) 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Email: skk33333@naver.com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ISSN: 2466-1139(Print)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ISSN: 2714-013X(Online)

Industry Promotion Research❙ 89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1. 서론 회 존재 보았 령
적 로 [] 다(강진 , 2013b: 64) 7 .

러 그 러므로 아들 형 는 인간을 성장 모 에 근거하고 있


아들 러 (A. Adler)는 프 트로이 와 같이 인생 초 기 5년 기때 신 태 목표
문에 가치, 념, 도 , 관심, 개인의 현실적
동안의 경 험 에 의해 삶이 결정된다고 보았 만 학지 , 생물 지각과 같은 내적 결정인자를 강조한 사람으로서, 심리
적이고 결정론적인 관 점을 비판하고 인간을 전 체 적인 학 에 있어 접 총체 회 목표
근의 선구자로 적, 사 적, 지향적,
관 점 에서 보 려고 하 였 다. 또한 개인이 자 신 떻 을어 게주 인본 주의적 척 접 할근의 개 가라고 수 있다.
관적으로 지각하 느냐 따 에 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보았 기 점 본 본 네
개인심리상담의 관 설 에서 인간 성 가지로
에, 자 신의 이론을 ‘개인심리 학
(Individual psychologie, 명하 였 즉 회 존재 총체 존재 창 존재
다. , 사 적 , 적 , 조적 ,
Individual Psychology)’이라고 명명하 였 신 다( 기원 외, 주관적 존재 영 [] 영
등이다(노안 외, 2016: 19-20 9 정서
[]
;

2016: 169) 1 . []
외, 2018: 87-88 6 ).
아들 러 는 개인의 독 자적 전 체 성을 강조하면서 인간

을 움직이는 최대의 동기로 ‘우월에 대한 욕 구’를 꼽았 2.2 열등감과 보상


다. 프 트 로이 가 인간의 기 본 적인 동기를 생물 학 적 성적
러 완 긍
본 점 설 반
아들 는 열등감을 정적이며 자기 성을 위한 필
능으로 간주하고 결정론적인 관 으로 명한 면,
보았 떻 처 느
회 학 목
수요인으로 다. 개인이 열등감을 어 게 리하
그는 인간이 사 심리 적이며, 적론적인 동기에 의
냐 따 건 콤플렉
움 보았 영 []
에 라 심리적 강에 이르기도 하고 열등감
해 직인다고 다(정서 외, 2020: 80-81) 2 .
신증 빠 먼저
불 러식 러
스라고 하는 경 에 지기도 한다. , 개인이 열등
개인심리상담으로 리는 아들 상담은 아들 의
완 추 건
학 초 료체
감을 자기 성을 위한 우월성 구를 위해 사용하면
개인심리 을 기 로 하여 개발된 상담치 계이다.
설 활 식 갖 건 달
프 트 식 식 초 초
적생 양 을 게 되어 심리적 강을 성한다. 이
로이 가 인간을 의 , 무의 , 원 아, 자아, 자아
러 건 배
류 본데반 러 더
한 사람은 심리적 강을 위해 열등감을 지 하고 있
로분 해서 하여, 아들 는 인간을 이상 분
할 반 잡혀
류 ․ 할할 체 완 체
다고 수 있다. 면, 개인이 열등감에 사로 열등
하거나 분리 분 수 없는 그 자 로, 전한 전

볼것 였 김충 ․ 봉 []
감의 노예가 된다면 열등감이 우리를 지 하게 되고, 결
로서 을 강조하 다( 기 강 규, 2003: 151) 3 .
콤플렉 빠 김
본 러 학
국 우리의 삶은 열등감 스에 지게 된다( 종운,
연구는 아들 의 개인심리 을 연구하여 거기에
[ ]
출 토
2013: 149) 10 .
서 도 된 상담이론을 대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을
러아들 콤플렉
는 열등감 스의 원인을 동기에 부모 등
연구하고자 한다.
의미 타 있는 작인들과의 상호 타난 것 용에 의해 나 다는

견했
을 발 콤플렉
다. 그는 열등감 스의 세 가지 원인을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잉보
기관열등감(inferior physical organs), 부모의 과 호

육태만
(parental overindulgence), 부모의 양 (parental
2.1 인간관
보았
negligence)이라고 [ ] 다(Adler, 1956) 11 .
아들 러 이론에서 보면, 인간은 단 순 유 형
히 전 질이나

환 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 도 아니며, 또 어 떻 태 났 게 어 는
2.3 생활양식
가 하는 것 이 중요한 것 이 아니라, 단지 우리가 가진 능
활 식 란 독특 존재 특
력으로 무 엇 떻 느냐 것 을어 것게하 하는 이 중요한 이라


양 (Life style)이 개인의

식즉 목
성과 를

고 믿 권육었다( 학 불
상, 2008: 167). 개인심리 이라고 리는
정지우는

활 략
으로 삶에 대한 개인의 방

태 것 목
, 삶의 적,

아들 러 유
의 이론은 인간을할 일하고, 분해 수 없으며, 자


의전 , 가치,


도 등을 포함하는

러 활 식
으로 삶의

아일치적이고 통 합 체 보았 울러 된실 창 로 다. 아 인간은
를 향해 나아가는 방

독특 극복
이다. 이 한생

프 트
양 은 우리

조적인 능력이 있기 때 목표 달 할 문에 인생의 를 성 수있



한 열등감을

틀 형
하기 위한 노력이며, 로이

유 석
고, 현실과 세상을 고 만 눈 하게 해 하는 자기 의 을가
의 향으로 6세경에


이 성되어 그 후에는 거의 변

확 만
지고 있으며, 목 식 택
적과 가치에 일치되는 삶의 방 을선
화하지 않고 기


구조 위에 수정이나

험 형 건
대 이루어진

할 합 존재 즉 회 할
수 있는 리적인 , 사 에 기여 수 있는 사
다. 가 내에서의 경 이나 제관계, 사 에 대한 개인

90 ❙Industry Promotion Research 2020 Jul; 5(3): 89-96


A Study on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Applying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의태 더 영 도가 미친 활 식 큰 향력을 다. 생 양 의 진정한 2.5 우월 추구


형태 활 접
는생 과제에태 따 근하고, 이를 해결하는 도에 아들 러는 우월에 대한 추 구가 인간 생 활 의기 초라고
라구별 였 러
된다고 하 다. 아들 는 인생의 과업을 직업, 우 결론을 내리고 있다. 즉, 모든 사람은 위대한 향상의 동
랑 혼 보았
정, 사 과 결 으로 다. 즉마 너
기(great upward motive), 플러 이 스(-)에서 스
태 신 활
이 세 가지 인생과업에 대한 도인 자 의 동수준 미완 완
(+)로, 아래에서 위로, 성에서 성으로 나아가는 동
과사회 두
적 관심이라는 대인관계의 가지 차원을 통하 기를 공 유 러 완
하고 있다. 이 추 한 우월이나 성을 향한 구
여네 활 식
가지 생 였 데H & Z
양 을 구분하 는 ( jelle iegler, 의 동기는 선 천 타 난 적으로 [ ] 러 고 다(Adler, 1964) 16 . 그
[ ] 배형 획득형 회피형 회형
1992) 12 , 지 , , , 사 이 있다. 나 우월에 대한 추 천 타 난것 긴 구가 선 적으로 고 이 하지

만 달
인생발 절 신 야만 출
단계에서 적 히 장되어 한다. 생

2.4 사회적 관심 시그 것 닌 잠재 존재
은 실제가 아 잠재 력으로 하며, 이 력

아들 러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공동 체 을 자기 나 름 것


으로 현실화하는 달 은 각 개인에게 려있

G
감( emeinschaftsgefiihl)은 각 사람의 삶은 세상의 일부 다(권 돈 중 [ ]
, 2014: 259-260) 17 .

분이며 다른 모든 사람과 함 께 가치 있는 존재 느낌 라는 러이 목표
한 우월의 회 달 는 인간 사 발 에 기여하는 측

을 의 미 한다. 이 개념을 직 역 하면 공동 체 감(community 면에서 긍 타날


정적인 경향과 부정적인 경향으로 나 수

feeling)에 더 가까워 이 개념이 미 국으로 들어오면서 있는 데긍 , 회


정적인 경향은 사 적인 관심이나 다른 사람

‘사 회 적 관심(Social interest)’으로 번역 되었다 의 행복 타 목표


을 지향하는 이 적 이며, 부정적인 경향은

(Ansbacher & Ansbacher, 1982) 13 . [ ] 개인적인 우월성을 추 존 권 구하는 자기 중, 력, 개인적인

사 회적 관심은 아들 러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개념으 허 세와 같은 목표 권육


이기적인 들이다( 상, 2008:

로 인간은 태어나는 그 날 회 맥락
부터 사 살 적 속에서 게 [ ]
168) 18 .

된다는 것이다. 아들 러 말 회
가 란하는 사 적 관심이 각개

인이 이상적인 공동사 회 목표 달
의 할때 를 성하고자 사 2.6 가족구도와 출생순위
회 에 공 헌 하려는 성향을 의 미 한다(장성화 외, 2016: 아들 러는 가 족 구도(family constellation)와 출 순 생 위

[ ]
85) 14 . (birth order)가 우리의 생 활 식형양 성에 중요하다는 것
일 반 적으로는 사 족 및 회 적인 관심은 가 관계 다른 아 였
을 강조하 다. 가정에서 부모를 중심으로 자 녀 와의 가

동기 경험 맥락 달 의 데특 협 에서 발 하게 되는 , 히 동심이 족 떠
관계가 어 한가 족 구도를 형 성하고 있는가는 자 녀 의

나 연대의식 료 식 회
또는 동 달 의 같은 사 적 관심의 발 에 생활 식 형
양 을 성하는 데 []
중요하다(Sweeny, 2015) 4 . 부

가장 큰영 머 버
향을 주는 사람은 바로 어 니이다. 아 지는 모를 중심으로 한 가 족 구도 속에서 부모가 민 주적으로

어머 음 회
니 다 영 미
으로 사 적 관심에 향을 치는 사람으 모든 자 녀 에게 대등한 관계에서 자 녀 를 양 육 못할
하지

버 배
로서, 아 회지가 긍 태우자나 직업, 사 에 대해 정적 도 경우 어 떤 녀 자 는 심리적 상 처 받
를 을 수 있다(노안 영․
로 성숙 회 보
된 사 적 관심을 회 여 준다면, 아동이 사 적 강영신 [ ]
, 2011: 98) 19 .

관심을 발달 데 보 쉽 긍 시키는 달 있어 다 고, 정적으로 발 러 출순 족


그 므로 생 위와 가 내 위치에 대한 해 은, 어석
시킬 김청 ․
수 있다( [ ] 자 정진선, 2006: 156-157) 15 . 때
른이 되었을 작 세상과 상호 용하는 방 식 영
에큰 향을

러 회
아들 는사 응
적 관심을 개인의 장래에 모든 적 이 미친 다.

달린 회
중요한 문제로 간주하여, 그는 개인의 사 적 관심

건 추
에 대한 수준을 가지고 그 개인의 심리적 강을 정하 3. 상담과정
는척 랑 였 도로 사 회 족
하 으며, 사 적 관심이 부 한 사람은

적응 렵 이 어 였 [ ]
다고 주장하 다(Adler, 1956) 11 . 아들 러의 개인심리상담의 과정은 4단계로 형 성된다

(Sweeny, 2015) 4 .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91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3.1 관계형성단계 3.3 통찰단계


첫 번째 단계로 아들 러학파 에서는 상담자와 내담자 세 번째 단계는 통 것 찰 찰 력을 가지는 이다. 통 은 장

상호 간의 합
목표 극 파트너
의된 를 향해 적 적인 로서 일 기 변화의 필수 조건 찰 획득 파괴
이다. 통 을 하면 자기 적


하는 평등하고 상호 추 력적인 관계를 구한다. 행동 패턴 알 재 육
을 아 할 교 찰을 통해 수정 수 있다. 통

본 것
상담에서 가장 기 받 적인 은 상담자와 강요 은내 을 획득 석
하게 하기 위한 가장 주요한 방법이 해 이다.


담자 간의 치 형 것 적 동맹을 성하는 이다. 1단계에서 이 단계에서 상담자는 내담자의 생 활 식 재 양 , 현 의 심리

술 참 청 목표 확
주로 사용하는 상담기 은 여, 경 , 의 인과 구 적 문제,잘못 신 파괴
된 닫
념, 자기 적 행동을 깨 게 하여

체 마찬
화, 공감이다. 다른 상담과 가지로 내담자와의 치 그것 떻이 어 석
게 내담자에게 문제가 되는지 해 해 준다.

료 엇보
적 관계는 무 것 다 내담자에게 관심을 가지는 과 해석할 때 보 목 설보 것 작
에는 원인 다는 적, 명 다는 그 이

주의깊 청 은경절 청 이다. 적 한 관심과 경 은 상담관계에 유


용하는 방향, 소 것보 재 활
하고 있는 다는 현 용하고 있

신뢰 존
서 상호 데와 러 경을 개발하는 필수적이다. 이 한 식 초점 둔 석
는방 에 을 신 처
다. 해 을 통해 내담자 자 이 대

분위기는 내담자로 하여금 분명히 이해되고 수용되는 할 식 볼


방 을 록 것
수 있도 러 해 주는 이다. 그 면서 동시

변화와 움 직임에 대해 상담자가 강조하는 가정에 잠재 에 내담자의 언 불 행 불


일치, 이상과 현실 간의 일치 등에

력을 증 킨
강시 다. 내담자를 무조 건적으로 수용하고, 내 직면시 켜 신 자 찰 얻
에 대하여 통 록 을 을 수 있도 한다.

담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이해를 함 께 달 발 시키며, 내담 신


상담자는 내담자가 자 닌 식 의 사적인 논리가 아 상

자의 강 점 알 과 능력을 려 주고 스스로가 원한다면 변화 으로서 자신 목표 할 의 록


를 조준 목표 수 있도 그들의 와

할 것 믿 록격
수 있다는 을 도 려한다. 내담자들은 그들 생각에 도전할 재
수도 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현 제시

자신 힘
이 변화의 믿 신뢰
을 가지고 있다고 는 상담자의 한 문제들이 자신 활식 떻 떨 의생 방 에어 게 맞아 어지는지

를 알 러 믿음
아차리게 된다. 이 한 은 내담자로 하여금 그 를 내담자가 알 록돕 도 게 된다.


들이 종종 ‘ 것 보았던 식
수 없는’ 이라고 방 이 실은 ‘하

지않 았던 것 ’ 닫 록 돕 것 입증
이라는 사실을 깨 도 는 으로 3.4 재정향(행동 전환)단계
된다. 또한 아들러 본 했던
상담의 기 개념에서 강조 인간 네 번째 단계는 해 석을 통해 획득 된 내담자의 통 찰 이
행동의 목 초
적성 이해는 상담타난 기부터 나 다. 실제 행동으로 전 환되게 하는 단계로 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다양한 능동적(적 극 적) 기 술이 사용된다.


3.2 생활양식 탐색단계 이 단계에서는 실제로 한 사람의 행동과 관계들이 어

두 번째 활식
단계는 생 양 을 이해하고 생 활식 양 이삶 떻게 그 사람의 의도와 신 련 본
념과 관 이 있는지를 다. 상

의 과업에 어 떠 영 미
한 향을 치는지를 이해하는 것 이중 담자는 내담자에게 어 떻 유 목
게 그들 고 의 적과 의도를

요한 목표 다. 택 것
선 하는지, 그리고 그 들이 그들의 모든 행동, 느낌 ,생

생활 식 양 신 타
은 자기 자 과 인, 세계, 현실에 대한 주 활과제를 해결하는 데 떤영 미
어 반영
향을 치는지를 해

관적인 인 식 신 롯
이나 활 식
념에서 비 된다. 생 양 은 자아 준다. 아들 러 상담과정에서 상담자와 내담자는 그들의

개념, 자아이상, 세계상, 윤 확신 설 할 리적 으로 명 수 있 목적을 제시하고, 가능한 대안과 결과를 고려하며, 이 러


다. 생 활식
양 쓰
에 관한 조사에서 주로족 이는 기법은 가 한 대안들이 내담자를 어 떻 게 도와서 목적을 성 취 하게

구도사정, 초회 꿈석 초 기 상, 분 석 , 기 적인 실수에 관한 분 하는지를 평가하고, 그 러 고 나서 행동의 과정을 취 함으

등이 있다. 아들 러 체 는 내담자를 전 적으로 사정하기 위 로써 재 설방향 정을 한다. 이 때 상담자는 자기 패배 적이

해 구조화된 면 접 했 을 사용접 다. 구조화된 면 을 통해 그 고 잘못 식된인 이 내담자가 효


과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는 내담자들이 삶의 이 야 것 기 중에서 놓치는 (고의이거 있어서 얼마 나 방해가 되는지를 생각해 보록 도 도와 야
나 아니거나)을 빠뜨 했 리지 않으려 노력 다. 한다.

92 ❙Industry Promotion Research 2020 Jul; 5(3): 89-96


A Study on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Applying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4. 상담기법 록 하는 기법이다. 반암 시 또는 부정적 연 습 기법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을 미 만 루기 하고 끝 못 내지 하
러아들 의 개인심리상담의 기법은 다 음과 같다( 김충 는 내담자에게는 일을 더미 록
루도 요구한다. 시간의 대
기․ 봉 강 규, 2003: 160-165) 3 . [] 부분을 걱 보 정으로 온
내는 내담자에게는 하루를 통 모

든것 걱 데 을 정하는록 소비하도 하는 과제를 준다. 이


4.1 상담 초기에 요구되는 기법 절 쓸때
차를 험 엇 배
는 내담자가 그 실 으로부터 무 을 우

상담의 쓰 초 기에목 청이는 주요 기법은 주 하기, 경 , 는가를 알 록 수 있도특 떤


하기 위해 정한 시간 동안 어

목표 확 체
의 인과 구 목 화, 공감의 제공 등이다. 주 하기는 행동 유형 록 야
을 과장하도 해 한다.

내담자와 눈 추 을 맞 고, 내담자를 심리적으로 인정하는 러


내담자로 하여금 이 얼마 석 한 행동이 나 어리 은가


행동이다. 경 언 ․ 언 메
은 내담자의 어적 비 어적 시지를 를명 확 식 록 하게 인 만족 러 활 식
하도 함으로써 스 운생 양

포착 듣 것
하기 위해 목 청는 이다. 주 하기와 경 은 내담자 으로 유 도하게 되면 내담자는 그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의목 표 몸 저 말투
소리, 자세, 안면 정, 짓, 주 하는 등에서 포기하게 될것 이다.

전달 메 되는 울 것
시지에 주의를 기 이는 이다. 공감적 이 범보
(5) 시 이기

해는 내담자의 주관적 세계를파악 런 하고 이 이해를 내 회


상담자는 내담자에 대해 사 표 적 관심의 대 자로서,

담자에게 전달 말 러
하는 상담자의 능력을 한다. 이 한기 완
그리고 ‘진실한 인간(being for real)’, 전한 인간이 아

법들은 대부분의 효 두 과적인 상담기법에서 모 강조하고 닌 할 실수 보 수 있는 역할 보


통의 인간으로서의 을 여주

있는 것 들이다. 어야 할
한다. 결국 상담자는 내담자가 모방하려 가치를

행동으로 나 타 보 야 내 여 한다.

4.2 일반적 기법 역할놀


(6) 이

(1) 즉시성 신
상담자들은 내담자가 자 이 원하는 자기가 되어 있

재 순 엇
이는 현 이 간에 무 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다루 는 것 렇
으로 상상하고 그 록 역할놀 게 행동하도 이(role

는 기법이다. 이것 은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시간에 일어 황 설


play) 상 을 “만약 ∼ 할
정한다. 내담자가 내가 을 수

나는 것 활
이 일상생 것 표본 에서 일어나는 의 이라는 점 있다면’’이라고말 환
하면 최소한 일주일 동안 그 상 속의

을 닫 록돕 것
깨 도 는 이다. 역할 보 슨
을 실제로 행동해 났 보 고무 일이 일어 는지를


(2) 고하기 고하도 록 한다.


여기서는 존
고를 사용하되 내담자의 의 성을 부 추
기지 않도 록 야 해 한다. 그리고 내담자의 자기지도력과 4.3 특수기법
자립 격 록
능력을 충려하도 야 조심하면서 고를 해 한다. (1) 초 인종 누르기


(3) 려하기 초 인종 누르기(push button techni ue) 기법은 내담 q
격 려(encouragement)는 전 상담과정을 통해 적용되 자가 유쾌 한경 험 유쾌
과 하지 않은 경 험 번갈
을 아 가면

는 기본 적인 기법이다. 서 생각하도록 험 련 하고 각 경 과관 된 감정에 관심을 가


내담자가 느 료 힘
자가 아니라고 끼고, 치 자의 과 유 지도록 것 하는 목 이다. 이 기법의 적은 내담자에게 그들

능성에서 안전감을 느 긍 것 확 끼며, 정적인 을 대하고 부 엇 할


이 무 을 생각신 지를 결정하여 자 이 원하는 감정은

정적인 것 희망
을 제거하면서 것 을 가지게 되는 은모 두 무엇 만 낼
이든지 들어 것 수 있다는 사실을 가르치려는

낙 쇄 켜
담을 상 시 믿음 표
준다. 내담자에 대한 을 현하고, 이다.초 러
인종 누르기 기법을 통해서 아들 상담자는 내

그를 비난 하지 않고, 그리고 그에게 과다한 요구를 하지 담자가 자신 울 택했 울


이우 을 선 으며, 우 은 자기 생각의

않는 것 희망
등은 내담자에게 할 을 제공 수 있다. 산물임을 인식 록 하도 도와준다.

역설
(4) 적 의도 즐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아주 건 회 거운 사 을 상하도

플랭클 [ ] 활
(Frankl, 1967) 20 이 용한 기법으로서 내담 록 음
하고, 다 불쾌 건 회 에 아주음 한사 을 상하고, 그 다

자가 두 려워하는 행동이나 사고를 의도적으로 과장하도 건 신


에는 또 사 식 이자 이 바라는 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Industry Promotion Research❙ 93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것을 상상하게 하는 선 택 적 과정을 사용 할 수도 있다. 이 내담자에게 큰 격 려가 될 수 있다. 때 로는 자기 자 신


내담자에게 마 막 건 재
지 사 을 현하고, 사고의 산물로 창 이 아무런즐 움 거 이 없기 때 문에 다른 사람을 즐겁 게하

출된 감정을 덧붙이라고 한다. 는 것 불 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 럴 경

상담자는 그 사람에게 두 가지 초 인종, 즉 울초‘우 ’ 인 우에는 실제로타 즐겁 인을 게 하는 일을 하기 보 다는 어

종과 ‘행복초 ’ 집
인종을 가지고 에 가라고 하며, 그에게 떻게 하면즐겁 만 게 들 수 있을까 생각해 보 록 청할
도 요

앞 겪 될 건 느초 쓸것
으로 게 사 에어 인종을 인지는 자기 수도 있다.

가 통제 할 말 수 있다고 한다. (5) 저


질의 아이 피 하기

프 침뱉
(2) 내담자의 수 에 기 내담자는 일상생 활 에서 사용하는 자기 패배 적인 행동

상담자는목표 떤 식
를 정해서 어 행동을 종 시키며, 내 유형 을 상담상 황 에 가져 온 다. 그는 왜곡 된 지각이 없어

담자의 눈앞 떤 유
에서 어 킴
행동의 용성을 감소시 으로써 질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기 때 문에 잘못 된 가정에 집착
게임을 망 러야
치게 하기도 한다. 그 행동을 함으로써 치 할지도 모른다. 예를 들어, 어 떤 내담자는 아무도 그를

할 대가를 그에게 보 것 여 주는 이다. 돌보 아 주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 문에 다른 사람

내담자의 자기 패배 추 밝혀
적 행동에 감 어진 동기를 이 그에게 하는 것처럼 반응 하려고 한다. 상담자는 그 런
냄으로써 상담자는 접 회피 황 설 근- 상 을 정하게 된다. 내 덫에 걸리지 않도 록 야
조심해 하며, 그 런 오래된 행동

담자의 행동(수 프 침 뱉음 )에 을 (spitting in the soup)으 유형 을 계속 지키려는 내담자의 행동을 강화하지 않도

로써 상담자는 극 존재 히 거슬리는 가 된다. 내담자는 여 록 주의해 야 한다(avoiding the tar baby).

전히 그 수 프 먹 를 만 으려고 하지 (그 행동을 수행하려고 그대 신 에 상담자는 보 다 심리적인 성 숙 으로 이 끄 는

하지만 코 맛
), 이제는 결 그 약 이 이전과 같지 않다. 요 하 그런 행동을 격려하도 록 야해 한다.

면, 상담자가 내담자의 수 프 식 못먹 록만 (행동방 )를 도 (6) 스스로 억 제하기

드 것
는 이다. 이는 내담자가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하고 있는 순 간에

마 더
(3) 이 스 기법 자신 의 모 습이나 행동을 억제하게 하는 방법(catch

마더 이 q 신증
스 기법(Midas Techni ue)은 내담자의 경 oneself)이다. 억머 몰 숨
제하기의 결과는 마 치어 니가 래

적 요구를 과장하는 것 황 미
이다. 이 기법은 금에 대한 겨 음식
놓은 훔쳐 먹 켰 때 할
을 아이가 다가 들 을 어찌 줄

칠 욕망듯한 것
과 그가 원하는 모든 을 가질 수 있는 능 모르고 당황 움 못 꼼짝 하여 직이지 하고 없이 서 있는 경

력이 곧 복 축 저 이 아니라, 것 견했던 주가 된다는 을 발 러 억


우와 같다. 이 반복 습 보
한 제하기를 연 하다 면 부적

마 더
이 스 야 왕의 이두 것
기에 근거를 고 있는 이다. 응 좋
행동의 지 않은 결과가 상상이 되고 그래서 행동을

이 기법에서는 내담자의 욕 충족 켜 구를 시 주기 위하 변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여 상담자가 과 잉 응 것 대 렇 을 하는 이다. 이 게 하면 내 신 추
내담자가 자 목 이 구하는 가공적 적을 이해하게

담자가 자 신 욕 덜추 의 구를 재 구하게 된다. 이 기법은 된후그 것 련 떤것 에관 할때 된어 을 하고자 상담자는

치 있게 하며 웃음 신
거리의 대상이 내담자 자 이 아니라, 정신 억 신
적인 ‘ 목록 제 러 억
호’들의 을 제공한다. 이 한 제

내담자의 부질없는 행동이라는 것 닫 을 깨 게 해준다(강 신 난 죄책


호는 내담자로 하여금 비 이나 감 없이 행동수

갑원, [ ]
2015: 122) 21 . 행과정 중에말 신 억 할 록 불
로써 자 을 제 수 있도 하여,

타 즐겁
(4) 인을 게 하기 합 킨
리한 행동을 중지시 체 처음 다. 이 기법은 대 로 시도

회사 망
적 관심의 상실은 내담자를 실 시키는 주요 요 할때 신 억
에는 내담자가 자 것 너 늦 을 제시키는 이 무 기

인 중의 하나이기 때 밖
문에,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으로 때 습
문에 연 러 습
이 필요하다. 그건 나연 을 계속하면 사

나가 다른 사람을 위해 ‘ 좋 은 일(Pleasing someone)’을 할


을 예상 것 수 있게 되어 그 킬 이 일어나기 전에 중지시

하라고 지시한다. 이 방 식 회 흐름
은 내담자를 사 적인 주 수 있게 된다.

속으로 되돌아오도 록촉 울 태 진한다. 항상 우 한상 에있

는 사람에게 때 즐겁
로는 다른 사람들을 게 하는 일을 시

도해 보 록 도 긍 피드백
하면, 그들에게서 돌아오는 정적

94 ❙Industry Promotion Research 2020 Jul; 5(3): 89-96


A Study on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Applying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5. 결론 [ ] 김충 봉
3 기·강 규(2003). 『 현대상담이론과 실제 』 . 서

울 육 학: 교 과 사.
본 연구는 아들 러 의 개인심리 학 을 연구하여 거기에 []
4 Sweeny, T. J.(2015). Adlerian counseling: A
서 도 출 된 상담이론을 토대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을 practical approach for a new decade(5th ed.).
연구하고자 하 였 다. Routledge. 노안 영 역 외 (2012). 『 러
아들 상담이론
개인심리상담으로 불 리는 아들 러식 상담은 아들 러 의 과 실제 』 울학
. 서 : 지사.
개인심리 초 학 을 기 료체
로 하여 개발된 상담치 계이다. []
5 Neukrug, E. S.(2010). Counseling Theory and
아들 러 더
는 인간을 류 ․ 할할
이상 분 하거나 분리 분 수 Practice. Brooks Cole.

없는 그 자 체 완 체 볼것 로, 였
전한 전 로서 을 강조하 다. [ ]]
6 정서 영 외(2018). 『 상담심리 학』 파 . 주. 경기: 양

정신병 입 리적 신 증
장을 거부하며, 경 적 문제가 있는 사 성원.

람들을 병 린 에 걸 보 낙 사람이라기 다 ‘ 담한’ 사람이라고 []


7 강진 령 (2013b). 『집 단상담과 치 료』 울 학. 서 : 지사.

본 다. []
8 Adler, A.(1927, 2018). Menschenkenntnis.


아들 음
의 상담과정의 진행은 다 과 같다. H FISC ER E-Books.

첫째 형 , 관계 합
성단계는 상담자와 내담자 상호 간의 [] 영
9 노안 외(2016). 『 개임심리 학 상담 원리와 적용 』 .

의된 목표 극 파트너
를 향해 적 적인 로서 일하는 평등하 울학 서 : 지사.

고 상호 협 추 력적인 관계를 구하는 단계이다. [ ]김


10 종운(2013). 상담심리 학 의 이론과 실제. 서 울:

둘째 활 식 탐색 활 식 동문사.

[ ]
, 생 양 단계는 생 양 을 이해하고 생

활 식 양 떠 영 미
이 삶의 과업에 어 한 향을 치는지를 이해
11 Adler, A.(1956).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것 목표 Alfred Adler: A Systematic Presentation in


H &
하는 을 중요한 로 하는 단계이다.

셋째 찰 찰 Selections from His Writings. . L. Ansbacher R.

Y
, 통 단계는 통 력을 가지는 단계이다.

넷째 재 , 환 정향(행동 전 )단계로 진행된다.


[ ]H
R. Ansbacher(Eds.). New

&Z D
ork: Basic Books.


아들 반
의 상담기법은 일 특 적기법과 수기법이 있는
12 jelle, L. A.

Y G H
iegler, . J.(1992). Personality

데 반 , 일 즉 충
적 기법으로는 격 역 시성, 고하기, 려하기,
[ ]
theories. N. .: Mc raw- ill, INC.

H &
설 보 역할놀
적 의도, 시법 특
이기, 이 등이 있다. 수기법으
13 Ansbacher, . L. Ansbacher, R. R.(1982).

로는 초 프 침뱉 마 더
인종 누르기, 내담자의 수 에 기, 이 스
Alfred Adlers Individualpsychologie. Reinhardt

기법, 타 즐겁 인을 저 피게 하기, 질의 아이 하기, 스스로


[ ]
Miinchen/ Basel.


억 제하기 등이 있다.
14 장성화 외(2016).


상담의 이론과 실제. 주. 경

결론적으로 개인심리상담은 의 학 델 적 모 이 아니라


기: 정

[ ] 김청 ․
사.

델 초 료
성장모 에 기 하며, 치 한다는 측면 다는보 건 강한 개
15

자 정진선(2006).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

회 재육 재 데더
: 동문사.
인과 사 를 교 하고 조명하는 많은 관심을 가
[ ]
러 센
16 Adler, A.(1964a).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A
지고 있다. 그 므로 아동지도 터, 부모-아동상담, 부부상
H &
족 집 료 청
Collection of Later Writings. . L. Ansbacher R. R.
담, 가 상담, 단상담과 치 , 아동과 소년의 개인상담,
Ansbacher(Eds.). Evanston: Northwestern
문화적 갈 신건 등, 정 영역 강 운동 등 다양한 에 적용된다. University Press.

[
17]권 돈 『 회환 』 울 학
중 (2014). 인간행동과 사 경 .서 : 지사.
References [
18] 권육 『 회환 』 울 유풍출
상(2008). 인간행동과 사 경 .서 : 판사.

[ ]신 『 회환 』 [ ] 영 영신 『 격 학』 울 학
19 노안 ·강 (2011). 성 심리 . 서 : 지사.
1 기원 외(2016).


인간행동과 사 경 . 고양. 경
[
20] V Frankl, . E.(1967). Psychotherapy and

[]
기: 공동


.

『 』 울 x E istentialism: A Selected Papers on Logotherapy.


2 정서


외(2020). 상담이론과 실제 . 서 : 하나
Y W
New q ork : ashington S uare Press.
의 사.
[ ] 『
21 강갑원(2015).학』 파 상담심리 . 주. 경기: 양서원.

Industry Promotion Research❙ 95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적용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김 보 기(Kim, Bo Ki)
․ 균 학 신 송학 학
성 관대 교 문방 과 부,
석 박사, 사과정
․ 울 독 학 신학 박 D
서 기 대 교 사(Ph. )
․ 울 독 학 회복 학박 D
서 기 대 교사 지 사(Ph. )
․울독학
서 기 대 교 교수
․ 신학 학 학
대한 목회신
대 원대 교 교수,
학학 대 원장
․ 학
KICU 교수, 대 원장
․재현 회복 천 책학회
: 한국사 지실 정
회 장
․ 야 독 회복 회
관심분 : 기 교사 지, 사
복 책 데지정 , 이 올로기

․ E-mail : skk33333@naver.com

박 유 미(Park, Yu Mi)
ㆍ 학 학
한세대 교 심리상담대 원 심리
학 석
상담 과 사
ㆍ 회복 체 마
사 지단 가나 을 노인상담
팀 장
ㆍYW 폭
CA 가정 력상담소 상담원
ㆍ칼빈신학 상담연구원 연구위원
ㆍ재현 : 휴심리상담연구소 소장
ㆍ재현 회복 천 책학회
: 한국사 지실 정
책 임연구위원
ㆍ 야 족
관심분 러
: 가 상담, 아들 개인
심리상담
ㆍ E-mail : ymp8934@daum.net

96 ❙Industry Promotion Research 2020 Jul; 5(3): 89-9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