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0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은유 치유 양상 연구
- 은유 연상망과 메타폼Metaphorm의 변화를 중심으로 -

2016년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장 서 란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은유 치유 양상 연구
- 은유 연상망과 메타폼Metaphorm의 변화를 중심으로 -

지도교수 김 승 희

이 논문을 문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12월

서강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장 서 란
【목 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 1
1. 연구 목적 및 방향 ․․․․․․․․․․․․․․․․․․․․․․․․․․․․․․․․․․․․․․․․․․․․․․․․․․․․․․․․․․․․․․․․․․․․․․․․․․․․․․․․․․․․․․․․․․․․․․․․․․․․․․․․․․․․․․․․․․․․․․․․․․․․․․․․․․․․․ 1
2. 선행 연구 검토 ․․․․․․․․․․․․․․․․․․․․․․․․․․․․․․․․․․․․․․․․․․․․․․․․․․․․․․․․․․․․․․․․․․․․․․․․․․․․․․․․․․․․․․․․․․․․․․․․․․․․․․․․․․․․․․․․․․․․․․․․․․․․․․․․․․․․․․․․․․․․․․ 5
3. 연구 방법 ․․․․․․․․․․․․․․․․․․․․․․․․․․․․․․․․․․․․․․․․․․․․․․․․․․․․․․․․․․․․․․․․․․․․․․․․․․․․․․․․․․․․․․․․․․․․․․․․․․․․․․․․․․․․․․․․․․․․․․․․․․․․․․․․․․․․․․․․․․․․․․․․․․․․․․․․․․․․ 9

Ⅱ. ‘쓰는 주체 이상’과 자기치유 ․․․․․․․․․․․․․․․․․․․․․․․․․․․․․․․․․․․․․․․․․․․․․․․․․․․․․․․․․․․․․․․․․․․․․․․․․․․․․․․․․․․․․․․․․․․․․․․․․․․․․․․․․․․ 21


1. 저항의 기제로서의 쓰기 ․․․․․․․․․․․․․․․․․․․․․․․․․․․․․․․․․․․․․․․․․․․․․․․․․․․․․․․․․․․․․․․․․․․․․․․․․․․․․․․․․․․․․․․․․․․․․․․․․․․․․․․․․․․․․․․․․․․․․․ 21
2. 백지-연필-잉크의 은유 연상망 ․․․․․․․․․․․․․․․․․․․․․․․․․․․․․․․․․․․․․․․․․․․․․․․․․․․․․․․․․․․․․․․․․․․․․․․․․․․․․․․․․․․․․․․․․․․․․․․․․․․․ 29
3. ‘다시 쓰는 주체’로서의 이상 ․․․․․․․․․․․․․․․․․․․․․․․․․․․․․․․․․․․․․․․․․․․․․․․․․․․․․․․․․․․․․․․․․․․․․․․․․․․․․․․․․․․․․․․․․․․․․․․․․․․․․․․․․․․ 44

Ⅲ. 기독교적 은유와 탈로고스적 치유 ․․․․․․․․․․․․․․․․․․․․․․․․․․․․․․․․․․․․․․․․․․․․․․․․․․․․․․․․․․․․․․․․․․․․․․․․․․․․․․․․․․․․․․․․․․․․․ 56


1.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자가진단과 아이러니한 은유 전환 ․․․․․․․․․․․․․․․․․․․ 56
2. 파토스적 “그리스도”의 형성과 웃음을 통한 해방 ․․․․․․․․․․․․․․․․․․․․․․․․․․․․․․․․․․․․․․․․․․․․․․․․․․․․ 64
3. 육친을 향한 두 시선 : 二父一子의 패러독스 ․․․․․․․․․․․․․․․․․․․․․․․․․․․․․․․․․․․․․․․․․․․․․․․․․․․․․․․․․․․․․․․․ 77

Ⅳ. 진단과 치유의 확장 ․․․․․․․․․․․․․․․․․․․․․․․․․․․․․․․․․․․․․․․․․․․․․․․․․․․․․․․․․․․․․․․․․․․․․․․․․․․․․․․․․․․․․․․․․․․․․․․․․․․․․․․․․․․․․․․․․․․․․․․․․․․․․․․․․․ 90


1. 세계 내 존재에의 “책임의사 이상” ․․․․․․․․․․․․․․․․․․․․․․․․․․․․․․․․․․․․․․․․․․․․․․․․․․․․․․․․․․․․․․․․․․․․․․․․․․․․․․․․․․․․․․․․․․ 90
2. “나”와 “안해”의 은유적 동일화 ․․․․․․․․․․․․․․․․․․․․․․․․․․․․․․․․․․․․․․․․․․․․․․․․․․․․․․․․․․․․․․․․․․․․․․․․․․․․․․․․․․․․․․․․․․․․․․․․․․․ 96
3. 무지의 페르소나에서 패러독스적 질서의 성립으로 ․․․․․․․․․․․․․․․․․․․․․․․․․․․․․․․․․․․․․․․․․․․․․․․ 109

Ⅴ. 결론 ․․․․․․․․․․․․․․․․․․․․․․․․․․․․․․․․․․․․․․․․․․․․․․․․․․․․․․․․․․․․․․․․․․․․․․․․․․․․․․․․․․․․․․․․․․․․․․․․․․․․․․․․․․․․․․․․․․․․․․․․․․․․․․․․․․․․․․․․․․․․․․․․․․․․․․․․․․․․․․․․․․․․․․․․ 130

【참고문헌】․․․․․․․․․․․․․․․․․․․․․․․․․․․․․․․․․․․․․․․․․․․․․․․․․․․․․․․․․․․․․․․․․․․․․․․․․․․․․․․․․․․․․․․․․․․․․․․․․․․․․․․․․․․․․․․․․․․․․․․․․․․․․․․․․․․․․․․․․․․․․․․․․․․․․․․․․․․․․․ 137
【ABSTRACT】

A Study on the Aspects of Metaphor Therapy in Yi Sang's Text:


Focused on Metaphor Associative Matrixes and Changes of Metaphorm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rapeutic aspects in Yi Sang’s text through


metaphor changes and metaphor associative matrixes that are presented in an
ego fragmented into therapist-patient division Yi Sang experienced ceaseless
disharmony between his own divided ego, the oppressive exterior world,
physical illness and the other. However, this thesis emphasizes that this
discord leads not to the utter self-destruction or depression, but a point of
therapy, and this is exposed by metaphor showed in his works.
This study bases on the power of metaphor which reflects and composes
the Real. Within this context, Richard Kopp concentrates on therapeutic effect
from exploring and changing a patient’s personal metaphor, and then suggests
the transformation of early recollections that symbolizes the current problem
as a measure of metaphor therapy. Personal metaphor associative matrix
called ‘Metaphorm’, shows Kopp’s study.
Kopp’s study, which focuses on metaphor’s epistemological view and
changes, agrees with Mauron’s Psychoanalytic literary criticism, in terms of
that a writer’s unconscious is reflected on his/her text, and that it can be
uncovered by metaphor. interactivity between texts, the repeated metaphor
and its changes built on overlapping texts, is a writer’s personal myth. Based
on Kopp’s work that every aspect of repetition or unchanging of metaphor
gives a semantic context, it can be said that alteration of metaphor implies
change in personal the Real and unconsciousness, and therefore provides
clues to trace poetic subject’s desire by constructing metaphor associative
matrixes. Thus,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direction of therapy and its
meaning in Yi Sang’s literature by analyzing the repetition and change of
metaphors.
Chapter II will suggest ‘Yi Sang’ as a ‘subject of writing’ and the
possibilities of self-therapy through writing. In Yi Sang’s literature, ‘writing’ is
a proper mean for the poetic subject to express his ontological perspective,

- i -
and a sole method of self-therapy. In Yi Sang’s texts, Writing bases on poetic
subject’s ontological perspective. Writing is presented metaphorically by the
constant repetition of images of ‘blank paper’, ‘pencil’, ‘ink’, and it builds up
metaphor associative matrix of writing to actualize concepts of life,
oppression, and its overcome in the ego. This is in accordance to his
understanding of writing as a measure for the resistant therapy.
While the metaphorical structure of writing points out transition from
‘written object’ to ‘writing subject’, the aspects of ‘rewriting’ can be clarified
through self-parody. In <Wing>, the self-parody text of <Architectural
illimitable hexahedron daylight-any ESQUISSE->, the "wing" represents a
revival of ‘writing subject’s’ desire for writing,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myth of "re-writing subject". This is in the same manner to the
characteristics of his ‘writing’, which transmutes agents of oppression into
means of resistance.
Chapter III suggests reveal three discords of tuberculosis, which appears
repetitively in Yi Sang’s texts, and investigates the facets of metaphor therapy
by tracing christianomical metaphors that is bound to heal the tuberculosis,
which is the symbol of discords. Yi Sang’s literature might be inferred as ‘a
literature of tuberculosis’, as it appears regularly in his texts, and its first
appears in <The morning of hemoptysis>. In this work, tuberculosis is
suggested as an image of the destiny that coerces him. The cause of this
illness is proposed as traditional and modern constitution, which means that to
Yi Sang, oppression is not a particular issue or an ideology, but the logos of
a symbolic father itself that implies subjugation and forcibleness. Poetic
subject takes escape from logos as an expedient of therapy, which shapes up
self-diagnosis with christianomical symbols. The basic idea of European
medicine is to depurate disease by objectifying and defining it to be evil.
However, is quite theological. This fact indicates Yi Sang’s ironic take on
resistance, which is to detect features of modern medicine and incapacitate it
via christianomical metaphors.
<Internal medicine>, <Untitled about splinters of a bone>, <Cold of road>
make internal intertextuality with <The morning of hemoptysis>. <Internal
medicine> is a self-parody form of <The morning of hemoptysis>, and in this
text appears images of Christ’s transformation into a pathos being. While

- ii -
Christ, described in the Bible, makes his reestablishment into Holy Father’s
logos, Yi Sang’s "Christ" chooses mortal pathos. Furthermore, Yi Sang’s
"Christ", a pathos subject, can be understood as psychoanalytical jouissance.
Jouissance, which does not follow the pleasure principles, which inevitably
orients towards death, therefore death of a jouissance subject is not a target
of expurgation. Also the images of tubercular bacillus turning into the angel of
Annunciation, and myth of tuberculosis giving rise to death and euphoria
connects to double-sidedness of jouissance.
The notion of Yi Sang’s "Christ" forming into beyond-logos subject of desire
who longs beyond discipline of world of symbol, and that this turns out to be
the measure of therapy, also takes form in <Untitled about splinters of a
bone> and <Cold of road>, which has internal intertextuality with <The
morning of hemoptysis>, and these texts try to breakout from oppression of
logos by comical laughter.
Yi Sang’s childhood unavoidably contains the undercurrent of family
relations, and poems which recognizes his kin as object can be characterized
to have an inconsistent subjective perspective and to include metaphors based
on the christian discourse. This christian discourse premises Jesus to be the
son of God as well as a son of man at the same time, and by this we can
interpret multi-level aspects of text through the nodes of christian discussion,
and further explain Yi Sang’s ambivalent emotions towards his family. The
Poetic subject takes form as a subject of opposition against logos suppression
as it reaches <A critical condition of illness-a blood relative-> from <Cutting
destiny-family->. This demonstrates gradual conversion of ego as a patient
who cannot diagnose his own disease, into a therapist who excavates the
origin of illness and establishes direction of healing.
Chapter IV reconnoiters the poetic subject’s resistant metaphoric therapy
reaching not only to himself but also to the realm of others, and how "Doctor
Yi sang", who chooses beyond-logos method over anti-logos method, is
formed. Beginning from the foreword of his first work, <December 12>, Yi
Sang’s poetic subject repeatedly expresses his terror upon the oppressive
outside world. The origin of this terror is not a certain ideology or standard
but logos suppression itself, and poetic subject’s torment is inescapably
destined, as he takes the world around as the cause of disease. Meanwhile,

- iii -
the fact that the cause is the world itself, can possibly expand the patient
group to the other exterior beings besides the poetic subject.
The others in this context who can be object of "Doctor Yi Sang"’s
diagnose, are the ones who share same distress, and in his texts this
similarity is signified as "wife", who is object of love to the poetic subject.
The paradox of “wife” is that she shares agony with him and that in the
same time she is an object of fear as she is a diverse mirror image of him.
This aspect of "wife" is shown in <The spider meets the pig> and <Wing>.
"Doctor Yi sang" pursues cure not by anti-logos method but a beyond-logos
one. The formation of such perspective can be found in <The spider meets
the pig> and <Wing>, for in both "wife" appears, and the world as the reason
for the pain which the protagonist, "I" and "him", and "wife" share, and the
protagonist who selects sloth and weariness as measures to defy suppression
of the world, are suggested. Taking a position opposed to diligence and
sincerity to stray off modern world is an anti-logos act. Nevertheless,
ironically this misophonic abscond turns out to follow method of the very
world he tries to escape. Therefore the therapy appearing in <The spider
meets the pig> fails to work, and the wife cannot help but forever fall down
the stairs.
<Wing> is in contrast to this. To "I", who strays out of the dichotomous
logos, the dichotomy of "aspirin" and "adalin" is also exterminated, and this
illumination is identified by expressing "I" and "wife" as "cripple", which is a
figure excluded from modern society. Correspondingly, designating "cripple", a
metaphor of agony, to be unnecessary to "change", is an establishment of a
new order and also the return of the beings banished from logos structure. A
"cripple" superfluous to change would be the point of therapy for "Doctor Yi
sang", who holds "poetic emotion" earned by straying from mechanical logos
and adopting paradoxes.
Yi Sang tried to be a ‘cripple’ who cracks crevasse upon the dichotomous
world, an ‘ink – pen’ that covers up the neat ‘sketch’, a pathos ‘Christ’, by
accepting the suppressing world and fundamental boundaries of a subject who is
bound to be a vessel of language. As a result, Yi Sang’s literature is
de-constructive, and surreal while not unreal, and holds closer to the real world
than any other texts. Pointing out the aspects of therapy from Yi Sang’s

- iv -
literature, which resist against dichotomous logos through endless trek of
metaphor to diagnose and cure himself, would be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Keywords : Yi sang, metaphor therapy, metaphorm, metaphor associative matrix,


changes of metaphor, (re)writing subject, christianomical metaphor, self-parody,
beyond-logos therapy

- v -
【국문초록】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은유 치유 양상 연구
-은유 연상망과 메타폼Metaphorm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고는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치유의 양상을 의사와 환자로 분열된 자아가 나타


내는 은유 변화 및 은유 연상망을 통하여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은 분열된
자아, 자신을 억압하는 세계, 병든 몸과 타자에 대하여 끊임없는 불화를 겪은 시인이
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그의 불화가 온전한 자기파괴와 우울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
치유의 지점이 존재하며, 이는 그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를 통하여 나타난다는 점
을 밝히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는 실재를 반영하고 구성하는 은유의 힘에 기반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리처드 코프는 내담자의 개인적 은유를 탐구하고 그것을 변형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
는 치유적 효과에 주목하며, 현재의 문제를 은유하는 초기 기억의 변형을 은유 치유
의 방편으로 제시한다. 이는 메타폼Metaphorm이라는 개인적 실재의 은유 구조를 통
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은유의 인식론적 관점과 변화에 초점을 둔 코프의 논의는 작가의 무의식이 텍스트
에 반영되며, 이를 은유를 통하여 밝힐 수 있다는 모롱의 심리 비평과 같은 궤를 지
닌다. 텍스트 겹치기를 통하여 나타나는 반복적인 은유와 그 변화, 즉 텍스트간의 상
호반향성은 작가의 개인 신화이다. 은유의 반복 혹은 불변하는 양상은 모두 의미적
통찰을 제공한다는 코프의 논의와 연결지을 때 은유의 변화는 개인적 실재와 무의식
의 변화를 함의하며, 은유의 반복은 은유 연상망을 구축함으로써 시적 주체의 욕망의
흔적을 추적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은
유의 반복과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이상 문학이 지니는 치유의 방향과 의의를 찾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쓰는 주체’로서의 ‘이상’과 쓰기를 통한 자기치유의 가능성을 제시
한다. 이상 문학에 있어 ‘쓰기’란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관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
이자 유일한 자기치유의 수단이다. 이상 텍스트에 있어 쓰기는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이상 텍스트에 있어 쓰기 은유는 백지, 연필, 잉크라는 은유적
이미지의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쓰기의 은유 연상망을 생성함으로써 삶과
억압, 그에 대한 극복의 자아라는 의미를 구체화한다. 이는 저항적 치유의 기제로 작
동하는 쓰기에 대한 인식과 같은 궤를 지닌다.

- vi -
이러한 쓰기의 은유 구조가 ‘쓰여진 객체’에서 ‘쓰는 주체’로의 이행을 가리킨다면
‘다시 쓰기’의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모습은 자기패러디self-parody를 통하여 밝
힐 수 있다. <건축무한육면각체> 대낮-어떤ESQUISSE-의 자기패러디 텍스트인 <날
개>에서 나타나는 “날개”란 ‘쓰는 주체’가 지니는 쓰기에 대한 욕망의 부활이자 "다시
쓰는 주체"로서의 개인 신화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억압의 기제를 저항의 기제로
변환하는 이상의 ‘쓰기’의 특징과 같은 맥락에 존재한다.
Ⅲ장에서는 이상 텍스트 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결핵이 지니는 세 가지 불화
를 밝히고 불화의 은유인 결핵을 치유하기 위한 기독교적 은유를 추적함으로써 나타
나는 은유 치유의 양상을 규명한다. 이상 문학은 ‘결핵의 문학’이라고 할 수 있을 만
큼 텍스트 안에서 결핵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데, 결핵은 <각혈의 아침>에서 최초로
등장한다. 이 때 결핵은 운명적 질병이자 자신을 억압하는 운명의 은유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핵의 원인은 자신의 삶을 조종하는 전통적 질서와 근대의 질서로 나타나는
데, 즉 이상에게 있어 억압이란 특정한 논의나 이념이 아닌 억압과 강제성을 함의하
는 대타자적 로고스 그 자체인 것이다. 시적 주체는 로고스에서 벗어나는 것을 치유
의 방편으로 택하며, 이는 자가진단 이후에 나타나는 기독교적 은유를 통하여 구체적
으로 제시된다. 이는 서구적 의료의 기본틀, 즉 병을 대상화하고 악으로 규정함으로써
소거하려는 것이 다분히 신학적이라는 사실에 비추어 본다면 근대 의학의 속성을 간
파하고 이를 기독교적 은유로 무력화하는 것은 이상의 아이러니한 저항의 기제를 시
사한다.
<각혈의 아침>과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닌 텍스트는 <내과>, <골편에관한무제>,
<가구의추위>이다. <내과>는 <각혈의 아침>의 자기패러디 텍스트이며, 이 텍스트에
서 나타나는 것은 파토스적 존재로 이행하는 그리스도의 이미지이다. 성경의 그리스
도가 다시 성부의 로고스로 돌아가는 것과 달리 이상의 "그리스도"는 인간의 파토스
를 선택한다. 파토스적 주체인 이상의 "그리스도"는 정신분석학적으로는 주이상스
jouissance와 상통한다. 쾌락 원칙을 따르지 않는 주이상스는 필연적으로 죽음과 연
결되기에 주이상스적 주체에게 죽음이란 소거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또한 결핵균이
수태고지의 천사가 되는 것과 죽음과 다행증多幸症을 유발한다는 결핵의 신화 또한
주이상스가 지닌 양면성과 연결된다.
이상의 "그리스도"가 상징계의 질서 너머를 욕망하는 탈로고스적 욕망의 주체로 형
성되며, 이것이 치유의 방향이 됨은 <각혈의 아침>과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니는
<골편에관한무제>와 <가구의추위>에서도 나타나는데, 두 텍스트는 희극적 웃음을 통
하여 로고스의 억압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상의 경우 유년 시절은 가족관계에 대한 논의를 필연적으로 함의하는데, 혈육을
대상으로 한 시는 시적 주체의 시선이 일정하지 않고 기독교적 담론을 바탕으로 한

- vii -
은유가 나타난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 때 기독교적 담론은 예수가 신의 아들이자 인
간의 아들이라는 점을 전제하는데, 이를 통하여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혈육에 대한
양가감정을 설명하고 기독교 담론과의 연결점을 통하여 텍스트를 중층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적 주체는 <역단> 가정에서부터 <위독> 육친에 이르면서 로고스적 억압
에 저항하는 주체로 형상화된다. 이는 자신을 진단하지 못하는 환자로서의 자아가 점
차 자신을 진단하고 병의 원인과 치유의 방향을 구축하는 의사로서의 자아로 이행하
는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Ⅳ장에서는 앞서 제시된 시적 주체의 저항적 은유 치유가 자신뿐만이 아닌 타자에
게까지 확장되는 양상을 살피며, 반로고스적 방편이 아닌 탈로고스적 방편을 택하는
"책임의사 이상"이 형성되는 양상을 밝힌다. 이상의 첫 작품인 <12월 12일>의 서문
에서부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억압적 세계에 대한 시적 주체의 공포이다. 공포
의 원인은 특정한 이데올로기나 규범이 아닌 로고스적 억압 그 자체이며, 자신을 둘
러싼 세계를 병의 원인으로 상정하였기 때문에 시적 주체의 고통은 숙명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병의 원인을 세계로 두었다는 것은 고통의 대상이 시적 주체 하나뿐만
이 아니라 억압적 세계 내 존재들로 확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때 "책임의사 이상"의 진단 대상이 될 수 있는 타자란 시적 주체와 같은 고통을
공유하는 타자여야 할 것이며, 이상 텍스트에서 시적 주체와 동일성을 획득하는 타자
는 시적 주체의 사랑의 대상인 "안해"이다. "안해"는 나의 고통을 공유하는 존재인 동
시에 나와는 다른 거울상으로서 공포의 대상이라는 패러독스적 존재이며, "안해"의 이
러한 속성은 <지주회시>와 <날개>에서 제시된다.
"책임의사 이상"은 반로고스적 방식이 아닌 탈로고스적 방식을 바탕으로 한 치유를
꾀한다. 이러한 관점이 형성되는 모습은 <지주회시>와 <날개>를 통하여 나타나는데,
두 텍스트에서는 공통적으로 "안해"가 나타나며 주인공인 "나"와 "그", 타자인 "안해"
가 지니는 고통의 원인인 세계의 모습,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를 취하는 주인공이
제시된다. 먼저 <지주회시>에서 주인공인 "그"는 세상에 대한 억압에 대한 대항의 방
편으로 권태와 게으름을 선택한다. 근면·성실함과는 정반대의 위치를 취함으로써 근대
세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반로고스적 행위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벽증적 탈주는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벗어나려는 바로 그 세계의 방식을 따르게 된다. 그러므로
<지주회시>에 나타나는 치유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며, 아내는 계단에서 영원히 구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날개>는 이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이분법적 로고스에서 벗어난 "나"에게는 "아스
피린과아달린"이라는 이분법적 판단 또한 무화되며, 이러한 깨달음은 "나"와 "안해"를
근대 사회에서 배제된 인간상인 "절름발이"로 은유함으로써 증명된다. 또한 고통의 은
유인 "절름발이"가 "변해할필요"가 없는 것으로 명명됨은 새로운 질서의 성립이자 로

- viii -
고스적 질서에서 배제된 존재들의 귀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변해할필요" 없는 "
절름발이"의 은유야말로 기계적 로고스에서 벗어나 패러독스를 받아들임으로써 이루
어지는 "시적인정서"를 지닌 "책임의사 이상"의 치유의 지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은 자신을 억압하는 세계, 언어를 수납할 수밖에 없는 주체의 근본적인 한계와
숙명을 받아들임으로써 정갈한 초草 위를 덮는 ‘잉크-펜’으로, 파토스적 ‘그리스도’로,
이분법적 세계에 균열을 가하는 ‘절름발이’로 존재하려 하였다. 그러므로 이상 문학은
해체적이고 초현실적이되 비현실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어떠한 텍스트보다 현실 가까
이에 존재한다. 끊임없는 은유의 노정을 통하여 이분법적 로고스의 세계에 저항하고
스스로를 진단하며 치유하려는 "시적인정서"를 지닌 "책임의사"로서의 이상 문학이 지
닌 치유 양상에 주목하였다는 것이 이 연구의 의의가 될 것이다.

주제어 : 이상, 은유 치유, 메타폼, 은유 연상망, 은유 변화, (다시) 쓰는 주체, 기독


교적 은유, 자기패러디, 탈로고스적 치유

- ix -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방향

본고는 이상 문학1)에 나타나는 치유의 양상을 의사와 환자로 분열된 자아


가 나타내는 은유 변화 및 은유 연상망을 통하여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인간의 개념 체계와 실재를 구성하는 은유의 특성을 바탕에 둔다. 이상
텍스트에서 은유는 장르와 개별 텍스트를 넘나들며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이
로 인하여 특정한 관계망을 형성함으로써 의미를 구축하고 변화하는 역동적인
양상을 보인다. 은유는 실재를 반영하는 언어적 작용이기에 텍스트에 드러나
는 은유의 양상은 시적 주체의 실재를 형성하고 의미를 구축하는 과정, 즉 개
인적 실재에 대한 시적 주체의 자세와 관점을 시사한다.
이상은 “거울속의나”로 나타나는 분열된 자아와 그에 대한 공포를 비롯하여
“19세기와 20세기 틈사구니에 끼워 졸도하려 드는”2), 완전한 20세기 사람이
되기에는 “혈관에 너무도 많은 19세기의 엄숙한 도덕성의 피”3)가 흐르던 세
계에 대한 중간자적 존재로 나타난다. 이는 자신이 겪은 자아와 타자,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불화를 시사한다. 생전에 인정받지 못한 작품4)과 다방 ‘제비’
의 파산, 동경에서의 고독과 좌절로 이루어진 그의 일생은 그의 문학에 있어
서 실패와 우울, 폐병의 이미지를 떼어낼 수 없었던 주된 이유 중 하나이다.5)

1) 본고에서 다루는 대상 텍스트는 주로 시가 되겠으나, 시에 한정짓지 않고 이상의 소설, 수필 등을 모


두 포함한다. 이는 텍스트에서 반복되는 특정 은유의 의미나 관계가 장르에 따라 구분지어지지 않고,
장르를 넘나들며 공통적인 의미를 지니는 동시에 통시적인 관점에서는 반복을 통하여 강화되거나 변
화함으로써 의미를 구체화하는 이상의 은유가 지닌 특징에 연유한다.
2) 이상 저, 김주현 주해, <私信(七)>, 『(정본) 이상문학전집 3: 수필․기타』, 소명출판사, 2009, 264쪽.
3) 이상 저, 앞의 책, 264쪽.
4) <날개> 이후부터는 다소 작품 세계를 인정받는 경향을 보이나, 조선중앙일보에 <오감도> 연재 중 독
자들의 빗발치는 항의로 인하여 중도에 연재를 그만두어야 했던 사실 등으로 미루어 볼 때 현재에도
완전한 이해에 이르기 어려운 이상의 초현실주의적 작품 세계는 동시대 사람들로부터 이해받기 어려
웠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나름 호평을 받은 <날개>에 대해서도 김문집은 “일본 문단에서 이미 7,
8년 전 유행했던 신심리주의를 모방한 것으로 신인 작품에서는 흔하디 흔하여 조금도 새로울 것이 없
는 것”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김문집, 「‘날개’의 시학적 재비판」, 《문예가》 1, 1937. 2.)
5) “어떤 이상론에서는 그를 통속적인 모럴리스트로 규정하고 그것을 그의 유족의 증언으로 틀림없도록
만들지만 그런 현상은 그의 일대기의 표준치로부터 벗어나고 있다. 이상은 이상異常이다. (……) 무엇
보다도 그는 상식적 건강이 결여되었으며 그의 폐병에 의해서 이상 문학은 근본적으로 병자의 문학이
된다. 따라서 그의 병이야말로 그의 문학적 패덕을 극복해 주는 상징적 우월성이었다.” 고은, 『이상

- 1 -
그러나 본고에서는 그의 불화가 텍스트에서 온전히 자기파괴와 좌절로 이어
진 것이 아니라 이러한 불화를 극복하고 치유하려 했다는 지점이 분명 존재하
며, 이는 ‘의사로서의 자아’가 제시하는 진단을 통하여 그 방향을 규정한다는
점을 밝히려 한다. 의사로서의 자아는 억압적 로고스를 병의 원인으로 상정하
므로 이분법적 로고스에서 구조적․근본적으로 벗어나려는 탈脫로고스는 치유
의 방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언어적 탈로고스의 시도는 ‘쓰는 주
체’로서의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한 은유를 통하여 나타난다.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치유는 크게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
는 ‘쓰는 주체’로서의 극복 의지이며, 이는 쓰기writing의 은유 연상망을 통해
서 규명된다. 이상의 첫 작품인 <12월 12일>의 서문에 나타나는 “펜은 나의
최후의 칼이다.” 라는 언술은 억압적 세계에 대한 저항의 기제로서의 ‘쓰기’를
말한다는 점에서 이상 텍스트 전체를 통괄하는 에피그램이며, <병상이후>에
나타나는 근대 의료를 무력화하는 ‘쓰기’는 “펜”이자 “칼”이 어느 쪽을 향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펜은 ‘쓰기writing’의 제유로 작동하며, ‘쓰기’를 중
심으로 한 은유 연상망은 삶의 은유인 백지, 억압의 은유인 연필, 극복의 자아
의 은유인 잉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쓰기 은유는 일문시에서부터 나타나며 국
문시로 이행할수록 점차 구체화되는데, 운명적 억압(연필)으로 인하여 쓰인 자
신의 삶(백지)을 다시 씀(잉크)으로써 타의에 의한 삶을 쓰기를 통하여 극복하
려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병든 자아’로 규정되었던 이상이 쓰기, 즉
언어를 통한 극복 의지를 함의하고 있었음을 밝힌다. 쓰기의 양태는 ‘다시 쓰
기rewriting'로 나타나며, 이는 자기패러디를 통하여 다시 한 번 강조된다. 이
에 더하여, 자신을 억압하는 기제인 언어를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기제를 이용함으로써 억압에 맞섰다는 사실은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쓰기의
은유 연상망은 단순히 극복 의지의 유무를 증명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그의 시
세계의 메커니즘을 증명하는 역할을 동시에 지닌다.
쓰기 은유 연상망을 통하여 이상 자신의 텍스트가 언어에의 저항으로 구체
화된다는 것은 은유 변화를 통한 치유의 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이러한 치유의 속성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는데, <각혈의 아
침>에서 나타나는 시적 주체의 자가진단은 폐병의 원인을 유년 시절로 상정

평전』, 향연, 2003, 18쪽.

- 2 -
한다. “어릴 적 사진”으로 은유되는 유년 시절은 현재의 문제의 원인으로 작
동하는 초기 기억의 은유이며, 이는 어린 시절 백부 댁에 양자로 입양되었던
사실과 친부모로부터 떨어지게 한 가부장적 질서가 폐병의 원인임을 함의한
다. 이는 백부 댁에 입양됨으로써 받게 된 근대적 교육과 그 세계로의 편입이
병의 원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므로 이를 구성하는 로고스에서 벗어나는 것이
치유의 방편임을 암시한다. 이는 곧 이상 텍스트를 구성하는 탈脫로고스적 방
편, 즉 아이러니와 패러독스의 기저가 된다.
이러한 진단을 바탕으로 이상은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를 통하여
기독교로 은유되는 로고스적 질서에 균열을 가한다. 또한 시적 주체는 스스로
를 그리스도로 은유함으로써 자신의 병을 진단하는 근대 의학의 제유인 의사,
성 피타를 무력화한다. 신이자 인간이라는 중간적 존재인 그리스도는 <각혈의
아침>에서 <내과>로 다시 쓰이며 성부를 대리하는 로고스적 존재가 아닌 파
토스적 존재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살아 있는 육체를 지닌 인간으로서의
그리스도는 주이상스적 주체로 나타나며 이는 시적 주체가 상징계의 질서 너
머에의 욕망, 즉 탈로고스적 욕망의 주체임을 반증한다. 이러한 탈로고스적 욕
망은 신을 희화화하는 웃음으로 그 질서를 뛰어넘으며, 해방의 기제로 작동하
는 기독교 담론은 그리스도의 두 아버지와 삼위일체의 패러독스를 통하여 육
친에 대한 엇갈리는 시선을 두 아버지에 대한 시선으로 나눈다. 유교적․기독교
적 질서의 혼재는 시적 주체가 저항하고자 하는 것이 특정한 이념에 국한된
것이 아닌 이성중심주의를 바탕으로 한 로고스 그 자체임을 밝힌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고통의 은유가 시적 주체인
‘나’를 넘어 타자로 확장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병의 원인이 세계 그 자체이
며, 주체는 세계 내 존재일 수밖에 없기에 시적 주체의 고통은 운명적이다. 시
적 주체는 “책임의사”로서 이러한 고통을 진단하는 의사로 나타나며 치유의
방편이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는 근대 의료의 방식이 아닌 “詩的인情緖”를
바탕으로 형성됨은 수열 사이의 점의 역동성으로 나타난다. <건축무한육면각
체> 진단 0:1에서 <오감도> 시제4호로 다시 쓰이며 “어떤환자”는 “환자”로
확장되며 시적 주체 자신뿐만이 아니라 타인을 포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타자 중 “안해”는 새장 안의 존재, 산탄, 각혈, 거
미와 같은 주체의 고통의 은유를 공유하며, 시적 주체의 또 다른 거울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안해 또한 시적 주체와 마찬가지로 진단의 대상이 됨을 뜻한

- 3 -
다. 시적 주체의 고통의 원인이 질서정연한 세계에 있고, 그 고통의 은유를 타
자인 안해 또한 지닌다는 것은 억압적 세계의 힘을 반증하는 동시에 시적 주
체가 지닌 고통을 개인적인 것이 아닌 사회적인 것으로 확장한다.
“책임의사 이상”이 지니는 치유의 관점은 <지주회시>와 <날개>를 거치며
형성되는 모습을 보인다. <지주회시>에서의 “그”와 <날개>의 “나”는 로고스
의 억압을 회피하기 위하여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를 사용한다. 그러나 <지
주회시>의 “그”와 달리 <날개>의 “나”는 미쓰꼬시 옥상에서의 깨달음을 통하
여 자신의 고통에서 머무르지 않고 안해의 고통에까지 확장하는데, 이를 나타
내는 것이 바로 패러독스적 ‘절름발이’의 은유이다. <날개>에서 절름발이는
비정상, 고쳐져야 할 것에서 “로직을 붙일 필요가 없”고 “변해할 필요도 없”
는 것으로 변모한다. 이는 질서정연한 세계에서 배제되어야 할 장애(절름발이)
를 극복하거나 소거하지 않고 그 자체로 받아들이고 “걸어”감으로써, 즉 세계
내에 ‘존재함으로써 세계에 균열을 가하는 주체’로 형성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절름발이’는 시적 주체의 속성이자 타자인 안해의 속성이며, 백부가 지
닌 속성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절름발이’란 억압적 세계 안의 존
재들이 지닌 “숙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이상의 치유의 범위가 자
신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한다.
이상에게 있어서 병의 원인인 로고스적 억압과 그 결과인 병-억압받는 삶
과 고통-이 모두 쓰기의 은유 체계에 속한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그의
‘쓰기’란 운명적 세계가 자신에게 내린 병증을 도리어 세계에 대한 반격의 기
제로 삼는 자세를 바탕에 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를 이용한 언어에의
저항은 필연적으로 언어적 해체의 욕망을 불러일으키며, 패러독스와 아이러니
를 동반하는 쓰기(삶)를 설명한다. 고정된 질서에 저항하여 끊임없는 역동성과
의미의 지연을 발생시키는 이상의 쓰기는 단번에 제시되지 않고 텍스트의 진
행과 겹침을 통하여 그 의미가 구체화되며, 시적 주체는 환자에서 의사로의
전환을 향해 나아간다. 경직된 질서는 거부되며, 동시에 질서의 구조가 저항의
기제가 되는 아이러니와 패러독스, 언어의 끊임없는 움직임이 치유의 방편으
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이상 텍스트에서의 치유는 ‘완결성’을 지닌 근대적 의
미로서의 치유가 아닌 ‘역동성’에 초점을 맞추는 저항의 치유가 될 것이며, 병
든 주체는 치유하려는 주체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은 텍스트 내부
에서 나타나는 끊임없는 은유의 노정을 통하여 나타나는 동시에 구체화된다.

- 4 -
2. 선행 연구 검토

이상은 장편 소설인 <12월 12일>을 《朝鮮》에 연재하면서부터 작품 활동


을 시작했으며, 1937년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시 100여 편과 소설 16편, 수
필 및 기타 50여 편의 작품을 서술하였다.6)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가 1000
편에 근접7)하며, 현재에도 꾸준히 연구가 진행된다는 사실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이상 문학의 가치를 증명한다.
이상 문학 연구는 전기적 관점8), 정신분석학적 관점9), 텍스트 내적 형식과
구조주의적 관점10), 상호텍스트적 관점11) 뿐만 아니라 문학 외적 분야인 건
축, 수학, 철학, 정치적 관점에서도 다루어졌다는 사실은 열린 텍스트로서의
이상 문학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방대한 연구 중 본고의
논의와 관련하여 살펴볼 주요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김열규12)는 이상 문학을 통하여 언어에 의한 현대 위기의 극복 가능성
에 주목한다. 배타적 에고티즘, 양자택일 강요의 획일주의, 일원론적 통제 메
커니즘 등으로 나타나는 현대의 병적 징후에 대한 구제 수단을 언어에서 찾으

6) 김주현, 『이상소설연구』, 소명출판사, 1999, 서론 참고.


7) 고현혜, 「이상문학의 ‘방법적 정신’으로서의 패러독스」, 《한국현대문학연구》 제 19집, 2006.6, 341
쪽.
8) 임종국, 「이상론」, 《고대문화》 1호, 1955. 12.
고은, 『이상 평전』, 민음사, 1974. (2003년 재출간되었으며, 본고에서는 2003년 판본을 사용한다.)
김윤식, 『이상 연구』, 문학사상사, 1987.
9) 조연현, 「근대정신의 해체」, 《문예》, 1949. 11.
이어령, 「나르시스의 학살-이상의 시와 그 난해성」, 《신세계》, 1956. 10.
정귀영, 「이상문학의 초의식 심리학」, 《현대문학》, 1973. 7-9.
이승훈, 『이상 시 연구』, 고려원, 1987.
김승희, 「이상 시 연구-말하는 주체와 기호성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논문,
1991.
10) 이재선, 「이상 문학의 시간의식」,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정덕준, 「한국 근대소설의 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84.
김옥순, 「은유 구조론-이상의 작품을 모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1989.
명형대,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공간구조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1991.
11) 외적 상호텍스트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로는 오유미, 「이상문학의 외래적 요소 연구」, 《관악어문연
구》 1,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6. 10., 황석숭, 「아쿠타가와 문학과 이상의 소설」, 《상명여
자대학교 논문집》 30, 1992., 고현혜, 「이상문학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2008. 등이 있으며, 텍스트 내적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한 연구로는 김주현, 「이상 시의 내적 상호텍스
트성」,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회, 1997. 등이 있다.
12) 김열규, 「현대의 언어적 구제와 이상문학」, 《지성》, 1972. 2.

- 5 -
며, 이는 언어를 존재의 집으로, 언어의 궁극을 시로 보았던 하이데거의 논의
를 바탕으로 한다. 그는 슈르리얼리즘의 목적이 이율배반의 제한을 뛰어넘음
으로써 인간을 해방하는 데 있다고 보았으며, 모순 어법과 같은 반논리는 양
자택일을 거부하고 인간 가치의 회복을 형상화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상 문
학은 어도단語道斷의 경지에 이른 것으로 이상에게 있어 구원은 관습적인 언
어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자각을 바탕에 둔다고 보며, 이상 문학을 익살과 말
장난으로 포용한다. 그는 이상을 “언어에 반역”함으로써 “세계와 존재에 항거
하는” 적극적인 존재임을 규명했다는 것과 이상 문학의 수사학적 특징인 패러
독스와 아이러니가 세계에 저항하기 위한 수단임을 밝힌다.
김윤식13)은 이상의 첫 장편 소설인 <12월 12일>을 “공포의 근원”으로 상
정하고 그 공포를 이상의 가정사라는 사실관계에 접목시킴으로써 <12월 12
일>을 현실의 백부이며 양부인 김연필에 대한 심리적 복수극이자 최초의 자
기극화라 주장한다. 이는 심리적 갈등을 작품을 통하여 승화하였다는 점에 있
어서 창작이 지닌 근본적인 치유의 가능성을 전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작
품을 작가의 트라우마와 관련지으며 처녀작, 즉 창작을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방편의 일종으로 보았다. 또한 처녀작이 지니는 두 가지 요소 중 하나인
원점회귀형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상 문학의 본질을 구성하는 것을 각혈과
관련된 자살과 죽음의 등가사상으로 보며, 둘 사이에서 나타나는 방황에 본질
이 있다고 보았다.
김승희14)는 크리스테바의 기호론을 바탕으로 하여 말하는 주체가 “과정 중
의 주체”임을 밝히며, 이상 시 텍스트 생산을 저항적이며 혁명적인 것으로 본
다. 이는 전통적 이데올로기, 역사, 종교적 사랑, 주역 등으로 나타나는 상징
질서에의 거부와 리듬, 어조, 아이러니, 패러독스, 반어 등으로 나타나는 상징
계 파괴를 목적으로 하는 발생텍스트적 요소를 제시한다. 또한 이상 문학의
아이러니와 멜랑콜리가 근대적 담론, 유교적 담론, 이성중심주의 등 당대의 억
압적 담론에서 벗어나기 위한 해체적 담론의 방편임을, 즉 미적 대항 담론의
성격을 지님을 밝힌다.15)

13) 김윤식, 앞의 책.
14) 김승희, 앞의 글.
15) 김승희, 「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성의 파놉티콘”과 아이러니, 멜랑콜리」, 비교한국학, Vol. 18 No.
2., 2010.

- 6 -
이상의 논의들은 작가가 인식하는 현실의 문제가 텍스트에 나타나며 언어를
통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는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치유의 지점을 탐색하려는 데에 기반이 되며, 탈로고
스적 언어인 아이러니와 패러독스가 저항의 방편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
시한다.
수사학적인 측면에 있어서 김옥순16)은 리쾨르가 주장하는 언술로서의 은유
입장을 취하여 은유를 상상력의 표현으로 본다. 그는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은유 체계를 화폐 경제의 은유, 기계 문명의 은유, 존재 사슬의 은유로 나누어
분석하고 구조화함으로써 이상이 역사적 상황 하에서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를
과거, 현재, 미래에 걸쳐 사색하고 고민하였으며, 자아와 세계, 타자와의 관계
에서의 은유 구조가 동일하다는 결과를 도출한다.
엄성원17)은 이상 시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와 환유의 특성을 탈식민주의와
연결시킨다. 두 대상 사이의 차이성을 부각하는 은유를 사용함으로써 전통적
연결고리인 제유적 질서에 저항하며, 병치 은유를 이용하여 이질적인 두 대상
을 폭력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는 식민지 근대의 속성을 드러내는데, 엄성원은
이상 시 텍스트에 나타나는 비유의 작동을 제국주의적 세계에 대한 저항으로
보았다.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에 대한 논의는 은유를 단순한 수사학적 차원
이 아닌 인식론적 차원으로 끌어올리며, 이를 통하여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의미를 보다 중층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
나 은유의 전체적이고 통시적인 변화에 접근하였다기보다는 개별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은유에 단편적으로 집중하였다는 점이 아쉽다.
이러한 점에서 김주현18)은 텍스트 사이의 관계망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였는
데, 이상 문학이 지닌 장르적 모호성에 주목하여 내적 상호텍스트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현상 텍스트의 상호 관련성을 통하여 발생 텍스트를 규명함으
로써 이상의 글쓰기를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사
학적 관점과 시적 주체의 인식 변화, 서사와 서정의 장르 교체 등 여러 방면

16) 김옥순, 앞의 글
17) 엄성원, 「이상 시의 비유적 특성과 탈식민적 저항의 가능성」,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36,
2006. 4.
18) 김주현, 앞의 글.

- 7 -
에 대하여 살피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장르 경계 넘나들기, 혹은 경계의 침
입을 이상 문학의 특성이라 해석하면서 텍스트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제
시하였다.
이는 이상 문학을 장르라는 규범 안에서 다루지 않고 텍스트 사이에 존재하
는 유사성과 차이점에 주목하여 시적 주체의 변화를 엿볼 수 있는 논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보이는 텍스트들에 대하여
서 변화에 대한 전체적인 의도나 방향을 규명하기보다는 내적 상호텍스트성의
유무나 미시적인 연구에 그친 점과 몇몇 텍스트에 나타나는 변화에 대하여서
“본질적인 차이를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판단에 그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고는 은유가 시적 주체의 실재를 반영하는 인식론적 기제라는 사실을 바
탕으로 은유의 의미와 변화에 대하여 탐구하려 한다. 이러한 은유의 탐구는
크게 두 가지 기제를 통하여 진행된다. 하나는 반복되는 은유 이미지로 형성
되는 은유 연상망으로, 이는 이상 텍스트에 흐르는 의미의 방향을 규명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은유 이미지의 변화를 통하여 발견되는 은
유 치유적 관점으로, 이는 시적 주체의 변화와 치유의 양상을 증명하는 기반
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은유 탐구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므로 이상 텍
스트의 전체적인 의미 구조와 변화를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를 통하여 발견되는 은유의 양상을 근거로 본고는 당위적으로 제시되었던
‘창작 및 언어가 지닌 치유의 힘’이 이상 문학에서 쓰기 은유를 통하여 나타나
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이상 문학이 지니는 치유적 속성과 더불어 이상 문학을
통하여 나타나는 치유의 지점과 방향을 규명하려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 작용을 통하여 탈로고스를
향하여 진행되는 이상 문학의 치유의 방향을 제시하며, 이러한 방향성을 통하
여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패러독스와 아이러니가 지니는 치유적 의의를 밝힐
것이다. 언어의 역동성과 반어적 표현이 치유의 방편으로 작동한다는 이상 문
학의 방향성은 텍스트에 나타나는 불구의 은유가 부정적 의미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존재로서의 저항의 은유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직된 질서에서 벗어나는 자신을 받아들임으로써 ‘세계에 저항하는
세계 안의 존재’로 변화하는 시적 주체는 타자와 동일한 은유를 공유함으로써
개인적인 고통의 은유를 사회적 고통으로 확장함과 동시에 억압적 세계의 힘
을 반증한다. 억압적 세계의 폭력성을 제시하는 것은 세계에 대한 우회적인

- 8 -
저항으로 작동한다. 이처럼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은유 양상을 통한 논의는
이전의 이상 논의에서 고착화되었던 ‘병든 주체’의 담론에서 벗어나 회복과 세
계에의 진단으로 나아가는 시적 주체의 모습을 제시하며, 치유의 지점과 그
목적의 양상을 밝힘으로써 이상 텍스트를 새로이 읽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이다.

3. 연구 방법

본고는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은유를 겹침으로써 형성되는 은유 연상망과


의사로서의 자아가 이끄는 은유의 변화를 탐구함으로써 이상 문학이 지니는
치유적 지점 및 치유의 방편을 밝히려 한다. 이는 은유를 단순한 수사적 장식
이 아닌 언어의 발전과 진화의 기제이며, 언어를 넘어 실재의 구조가 은유에
근거한다는 관점에 기반한다. 그러므로 수사적인 차원에서 인식론적 차원으로
변화하는 은유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리처드 코프의 은유 치유Metaphor
Therapy 논의와 은유 연상망을 통한 샤를르 모롱의 심리 비평이 텍스트 분석
에 있어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에 대하여 살필 것이다.
은유는 희랍어의 metaphora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넘어로’라는 의미의
meta와 ‘가져가다’라는 의미의 pher-ein에서 연유한다. 즉 은유란 “한 사물의
양상이 다른 하나의 사물로 ‘넘겨가져가’ 지거나 옮겨져 두 번째의 사물이 마
치 첫 번째 사물처럼 서술되는 것”을 가리키며, 궁극적으로는 의미론적 움직
임semantic movement을 의미한다. 은유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나 전이
transference의 일반적인 절차는 변하지 않으며, 이를 바탕으로 호옥스는 큰
의미에서 직유, 제유, 환유를 은유의 한 갈래로 파악한다.19)
고전주의적 입장에서 은유는 인간만이 지니는 언어의 한 기능이자 아리스토
텔레스에 의하여서는 천재의 징표로 파악20)되었는데, 이는 상이한 대상 사이
의 상사성相似性을 발견하는 능력에 가치를 부여하였기 때문이다. 고전주의적
입장에서 은유란 언어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것, 잉여의 차원에 존재하는 것
이다. 이에 반하여 낭만주의적 입장에서는 전체적인 언어에 대한 은유의 유기

19) 테렌스 호옥스, 심명호 역, 『隱喩』, 서울대학교출판부, 1978 참고.


20) 아리스토텔레스, 손명현 역, 『시학』, 박영문고, 1986 참고.

- 9 -
적 관계에 주목하였으며, 상상의 기능을 표현하는 은유의 작용을 강조하는 경
향을 보인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I. A. 리처드는 언어의 사회적인 기능을 은유로 밝혔
다. 또한 그는 언어의 악습 혹은 오해의 원인으로 지적된 모호함이 언어의 근
본적이고 필요한 양상이며, 의미를 진전시키거나 심화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언어의 능력의 일부로 보았다. 언어는 현실을 그 자체의 이미지로 창조함으로
써 다른 종류의 현실을 통하여 한 종류의 현실에 ‘도달함’을 근본적으로 내포
한다고 주장하였다. 무엇보다 은유를 특별한 ‘시적 언어’에 존재하는 것이 아
니라 모든 언어에 ‘편재하는 원리’21)로 보았으며, 은유는 언어가 작용하는 방
법으로 보았다. 그는 은유와 관련된 요소들을 원관념tenor와 보조관념vehicle
으로 구분하고, 둘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은유의 의미를 생성한다고 주장하며
두 대상 사이의 유사성보다는 상호작용과 긴장성에 무게를 두었다. 그는 은유
의 해석에 있어서 전체적 문맥을 고려하는 ‘내적 문맥화’ 뿐만 아니라 ‘외적
문맥화’가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을 시인의 통합적 상상력
의 결과로 보았다.22)
레이코프와 존슨23)은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세계를 이해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서 하나의 정확한 기술記述이 가능하다는 믿음을 지니는 객관주
의와 과학에 대한 상상력의 승리를 주장하며 모든 개인의 개별적 실재를 창출
한다는 주관주의를 배격한다. 그들은 제 3의 선택으로 체험주의를 제시하는
데, 이 관점에서 은유는 언어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개념의 문제이자 삶 전
반에 걸쳐 확산되는 것이다. 레이코프와 존슨에게 있어 은유란 이성과 상상력
을 융합시키는 것으로, 은유를 ‘상상적 합리성’이라고 명명한다. 은유가 단순
히 상상력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 느낌, 미적 경험, 도덕적 실천, 영적 자각과 같은 것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도구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일상적

21) “은유가 언어에 편재하는 원리라는 사실은 단순한 관찰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이 강연에서 보게 될
것이지만, 우리는 일상적인 담론에서 은유 없이는 문장을 세 개 이상 구성하지 못한다.” I. A.
Richard, "The Philosophy of Rhetoric",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Metapho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1, p.50. (이유선, 「은유와 실재」, 《철학》 제 79집, 2004. 5., 186쪽 재인
용.)
22) 윤희억, 「영미시 은유 이론의 유형과 진화」, 《신영어영문학》 57, 2014. 8., 164쪽 참고.
23) 조지 레이코프․마크 존슨, 노양진․나익주 역,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참고.

- 10 -
개념 체계가 근본적으로 은유적 속성을 지닌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개념적 은
유는 은유가 언어의 문제가 아니라 한 정신적 영역이 다른 정신적 영역에 의
해 개념화되고 구조화되는 방식에 있다는 주장에서 비롯되었다. 개념적 은유
란 익숙한 ‘근원 영역’으로부터 낯선 ‘목표 영역’을 개념화하는 인지 전략인
것이다.
이러한 논의에 이어, 레이코프와 터너24)는 은유가 일상적인 수단이며, 무의
식적이고 자동적으로 사용된다고 보았다. 그들은 은유가 모든 사고에 가득 차
있으며, 관습적으로 습득하며 일상의 사고와 언어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부분
일 뿐만 아니라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다른 사고 양식으로 대
체될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은유가 지닌 가치를 재평가하였다. 은유가 너무
나도 자연스럽게 사용되며, 이러한 은유를 연구하고 그 의미를 밝히는 것은
곧 사회의 정신과 문화의 숨은 측면들을 발견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시적 은
유는 장식이 아니라 개념 체계의 중심적이고 불가결한 측면을 다룬다. 이러한
논의에서 보았을 때, 시인은 개념 체계의 기반인 은유적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삶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말하고 그러한 문제들을 해명하는 데에 도움을 주
는 존재로 자리잡는다.
윌라이트25)는 인간이 실재를 탐구함에 있어 언어가 작용하는 국면에 주목한
다. 특히 언어가 가진 생동성으로부터 비롯되는 명석성과 모호성에 주목하여
상상적 언어로서 어느 정도의 개방성을 지닌 긴장성의 언어인 은유에 주목한
다. 그는 은유를 병치은유로서의 교유diaphor와 치환은유로서의 외유epiphor
로 구분26)하여 은유의 본질적 과정인 의미 탐색 및 결합 작용을 새롭게 살핀
다. 한편 윌라이트는 은유가 작용하는 범위를 시뿐만이 아니라 상징과 신화에
까지 넓히고 있으며, 나아가서 이를 실재의 문제에까지 적용한다. 즉 신화를
비롯한 실재의 존재 방식을 파악하면서 이 때 은유가 필수적인 역할을 함을

24) 조지 레이코프․마크 터너, 이기우․양병호 역, 『시와 인지』, 한국문화사, 1996 참고.


25) 필립 윌라이트 저, 김태옥 역, 『은유와 실재』, 문학과지성사, 1982 참고.
26) 외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그 근거를 두는 개념으로,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이미지와의 비교를
근거로 좀 더 모호하고 낯선 것을 향해 이동하는 동작성을 지니고 있다. 외유의 본질적 특징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익숙한 것과 낯선 것 사이의 유사성 표현을 목적으로 한다는 데 있다. 교유란 병치의 원리
에 의하여 새로운 의미를 탄생시키는 작용으로, 비모방성을 그 본질로 가진다. 교유는 다른 요소와의
결합을 통해 효과를 발생시킨다. 외유와 교유의 결합은 흥미롭고 다양한 은유 작용을 만드는데, 이 결
합은 상상력의 허용을 전제할 때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외유의 기능은 암시에 있으며 교유의 기능
은 존재의 창출에 있기에, 두 작용의 결합은 의미심장하고 복합적인 은유를 만들어 낸다.

- 11 -
확인함으로써 결론적으로 은유를 통해 언어에서부터 모든 실재에 이르는 진리
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리쾨르는 언술discourse로서의 은유의 입장을 취한다. 이는 호옥스가 은유
를 문어가 아닌 구어로서, 갓 생성된 상상력의 표현으로 보는 관점과 같은 맥
락이다. 언술로서의 은유는 기호의 차원에서 언술의 차원으로 의미의 기본 단
위를 정하는 의미론의 입장에 선다.27) 리쾨르에게 있어 은유란 즉각적인 창조
행위이자 의미론적 혁신으로, 이미 구축된 언어에서 지위를 가지지 않고 다른
술어의 도움으로만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러므로 은유는 유사성의
원리에 기반한 단순한 연합이 아니라 수수께끼의 해결과 유사하며, 의미론적
불협화음dissonance의 해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정보를 제
공한다는 점에서 은유를 정서적 가치 이상의 것으로 보는데, 이는 은유가 실
재에 대하여 새로운 것을 이야기28)해 준다는 점을 지적한다.29)
은유는 수사학의 차원에서 인식론적 차원으로 그 범위를 넓혔다. 이러한 철
학적 관점에 더하여 은유를 심리적 관점에서 접근한 이는 프로이트이다. 프로
이트30)31)는 과학적 시대에서도 인간은 여전히 비유적으로 느끼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압축과 치환의 예를 통하여 은유와 환유의 심리학적 해석의

27) 김옥순, 『이상 문학과 은유』, 채륜, 2009, 67-68쪽 참고.


28) 리쾨르는 은유는 상징과는 다르지만 우리에게 새로운 조재 지평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는 언어적 범주
에 포함될 수 있다고 본다. 전통적 수사학에서의 은유는 단순히 어떤 것에 대한 다른 방식의 명명 현
상에 불과한 것이었지만, 그에게 있어서는 모순과 일탈을 통한 새로운 지평을 밝혀내는 것이 은유의
본질이다. 그것은 단순히 모순과 일탈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유사성을 밝혀냄으로써 다른 차원의 의
미 관계를 보여준다. 우리가 문학에서 보는 다양한 은유를 통해 우리는 이해의 차원을 높일 수 있으
며, 그 과정은 무한히 반복된다. 따라서 은유가 이해의 지평을 넓힌다는 것은 단순히 인식론적 변화가
아니라, 체험을 통한 존재론적 지평의 변화가 된다. 윤성우, 「리쾨르의 문학론 : 언어와 실재에 대한
탐구」, 《한국하이데거학회》 제 15집, 2007, 333-338쪽 참고.
29) 폴 리쾨르, 김윤성․조현범 역, 『해석이론』, 서광사, 1996 참고.
30)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인순 역, 『꿈의 해석』, 열린책들, 2003 참고.
31) 베틀하임은 프로이트가 정신분석의 본질을 설명하는 데 있어 은유를 자주 사용했다는 세 가지 근거
를 제시한다. 첫째로, 정신분석은 객관적인 사실들을 다루고 있지만 사실 뒤에 숨겨진 원인을 설명하
기 위해 상상의 해석을 사용하여 오직 추측만 할 수 있다. 프로이트가 사용한 은유들은 사실들과 그
사실들의 상상적 설명 사이의 틈을 연결하기 위한 다리였다. 두 번째, “억압의 이유, 혹은 검열의 영향
때문에 무의식은 상징이나 은유 속에 그 자신을 드러내는데, 정신분석은 그 무의식과 관련된 것들을
은유적 언어로 말하려 노력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은유는 사람의 심금을 만지고 인간의 감성을 자
극하며, 어떤 의미에 대한 감정을 전달한다. 또한 베틀하임은 “프로이트는 시인과 다른 훌륭한 예술가
들은 자신의 무의식의 내용을 은유로 말하기 때문에 그(프로이트)가 힘든 작업을 통해 (무의식을) 발
견한다는 것을 줄곧 알고 있었다고 언급했다”고 덧붙였다. Bettelheim, Bruno, Freud and man's
soul, New York: Penguin, 1982, 37-38p.

- 12 -
토대를 마련하였다. 모든 심리학적 체계 중에서도 프로이트 심리학은 시를 인
간의 정신적 구조 자체에 고유한 것으로 본다.32)
이상의 논의에서 알 수 있듯, 은유는 단순히 수사학적 장식물이 아니라 개
념 체계를 구성하는 기제가 될 뿐만이 아니라 실재와 진리 탐구의 도구의 기
능 또한 지닌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리처드 코프는 내담자의 개인적 은
유를 탐구하고 그것을 변형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치유적 효과에 주목한다.
코프의 논의는 개인의 은유는 어떤 이론의 은유적 언어보다 그 자신의 무의식
을 가장 잘 반영한다는 관점33)에 기반한다. 또한 은유가 개인의 실재를 반영
하고 나타낸다면, 그 은유를 바꾸는 것은 곧 실재에 대한 개인의 관점의 변화
를 이끌어내는 방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개인의 은유적 언어가
개인의 은유적 인지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코프는 메타폼
Metaphorm34)이라는 개인적 실재의 은유 구조를 통하여 내부적 은유-인지

32) “20세기에 들어와 철학과 심리학은 맞물려 진화하면서 개인이 이 세상에서 경험하는 실존적 내용,
사물과의 관계에 대한 반응을 중시하는 특징들을 보인다. 현상학적, 존재론적 철학뿐만 아니라 프로이
트와 융의 인간 심리 분석은 이 세계에서의 인간의 실존적 삶을 이해하는 방법에 새로운 통찰을 제공
해 준다.” 윤희억, 앞의 글, 163-164쪽 참고.
33) 이는 은유가 지닌 편재성과 인간의 지닌 근본적인 은유적 능력에서 비롯된다. “은유 치유의 관점은
내담자의 은유적 언어가, 어떤 이론의 은유적 언어보다 그 내담자의 무의식에 가까이 놓여 있다는 것
이다. 따라서 그것은 그 사람에 의해 창조된 은유적 이미지로, 가장 직접적으로 그 사람의 무의식 과
정을 나타낸다. 우리 모두는 우리의 무의식에 내용에 대해 은유로 말하는 시인이다.” Richard R.
Kopp, Metaphor Therapy: Using Client-Generated Metaphors in Psychotherapy,
BRUNNER/MAZEL, 1995, p.115.
34) 코프가 만든 용어로, 은유Metaphor와 구조Form의 합성어로 추측된다. ‘개인적 실재의 은유적 구조’
를 뜻하는 메타폼은 자기 자신, 타인, 삶, 이들 사이의 관계들-말하자면 스스로가 스스로와 맺는 관계,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 자신과 삶의 관계를 나타내는 총 여섯 가지로 나뉘어 있다. 메타폼과 개인의
은유 구조는 실제 삶에서 분리된 정신 내부의 관념이 아니다. 이는 은유가 개인의 상상력이라는 내부
영역에서부터 인간 상호 작용의 외부 세계로 의미를 이어 간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따라서 메타폼과
개인적 실재의 은유적 구조는 실제 사회와 연결된다. 본고에서 메타폼은 개인적 실재와 그 변화를 도
식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쓰인다. Richard R. Kopp, 앞의 책, p.102-103 참고.
개인적 실재의 은유적 구조(메타폼)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p.104)

은유 언어적 은유 지시 대상의 상황

실직으로 인한 압박의 경험
자신 self 자아는 찻주전자가 폭발하는 것이다
내면의 화
타자(개인)
남편은 기관차이다 별거 중인 남편의 무단 침입
other(one)
타자들(그룹) 강압적인 부모의 규칙들
가족은 감옥이다
other(group) 체벌들로 인한 불행한 감정

- 13 -
구조의 재현을 시도한다. 코프의 은유 치유 논의는 이전까지 이론적인 범위
내에서 인정되던 은유의 본질, 즉 인간의 실재의 구조가 은유에 근거함을 현
실적 범위로 확장하고 은유가 지니는 치유적 가치를 재고하고 실제로 적용했
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코프의 이러한 논의를 문학 텍스트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의 고찰
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은유 치유 논의의 주요 사항35)에 대하여 논
의하자면, 첫 번째는 내담자의 은유에 대한 해석이나 외부적 프레임(이론적인
개념화 혹은 상담자의 개인적인 편견 등)이 분석과 변형의 과정에 끼어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내담자가 상담자가 제공한 추가적인 의미와 이미지
만을 찾게 되는 데에 그치게 됨으로써 진정한 은유 변화를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두 번째는 내담자가 생성하는 은유가 개인적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은유는 사회적 담론 안에서 구성되고 동시에 담론을
구성하며, 개인으로 하여금 이를 받아들이게 하지만 개인은 은유를 무조건적
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경험과 문화를 통하여 개
인적 실재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개인의 은유는 자신이 속한 문화에 영향을
받지만 일반화와 전형적인 해석에서 벗어나는 특징을 지닌다. 즉, 내담자가 생
성하는 은유를 해석하고 변형함에 있어서 상담자가 지닐 수 있는 편견이나 선
입견에 대해 주의를 요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항들은 상담자와 내담자가 분리된 실제 임상 치료에서는 유념되어
야 할 것들이나, 문학 텍스트에 있어서 작가는 상담자이자 내담자의 역할을
동시에 지닌다. 그러므로 상담자에 의한 은유의 왜곡이나 상담자와 내담자와
의 감정적 유대에 관한 주의는 문학 텍스트에 있어서는 무의미해진다.36) 작가

낭만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 않


삶 life 내 삶은 척박한 황무지이다

자신의 자아
스스로 머리를 망치로 내려치다 자기 비판, 노력에 대한 자기파괴
self-self
자신의 타자 남편이 병약하고, 충동적이고, 무책
나는 길들여진 거친 사자이다
self-other 임한 것에 대한 아내의 불평
자신의 삶 직장에서의 업무량에 대한 압박감
나는 유사流砂 속으로 가라앉는다
self-life 점점 더 뒤처지는 것
35) Richard R. Kopp, 앞의 책, pp.18-19.

- 14 -
는 텍스트 내부의 은유를 통하여 자신의 실재를 무의식적으로 드러내기에 텍
스트에 나타나는 은유는 외부의 간섭에 의한 변형을 거치지 않은 온전한 텍스
트 내부의 은유이다. 그러므로 텍스트 내부의 은유가 변화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은 시적 주체의 치유 양상을 살피는 과정이 될 것이다.
코프가 주목하는 치유의 단서는 개인의 은유와 초기 기억Early
Recollections에 있다. 코프에게 있어 초기 기억은 유년 시절의 특정 사건에
대한 이미지로, 구어적 은유와 같이 삶의 상황이나 문제 등을 말하기 위한 은
유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초기 기억은 구어적 은유와 달리 일정 기준을
충족해야만 한다. 즉 이미지의 영역이 현재 삶에 있는 지시 대상의 상황, 즉
문제 상황으로 의미를 넘겨야 한다는 것이다.37) 그러므로 내담자가 묘사하는
문제나 사안에 관하여 강한 감정(혹은 증상)을 경험하고 있을 때 회상된 초기
기억은 그 문제 사안, 감정, 혹은 증상에 대한 은유가 되는 경우가 많다. 즉
초기 기억 은유는 내담자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초점 문제 혹은 상황을 나타
내며, 이를 변화시키도록 요구하는 것은 개인적 은유의 변형과 마찬가지로 문
제 또는 상황에 대한 은유적 구성과 추후에 일어날 내담자의 생각, 감정, 행
동, 상황에 대한 걱정이 변화할 자극의 가능성을 바꾸는 것이다.
초기 기억에 대하여서 프로이트는 초기 아동기 기억을 은폐된 것이라고 보
았으며, ‘기억된 것’은 주로 ‘잊어버린 것’에 대한 잠재적 지표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보았다. 프로이트의 구조적 갈등 모델, 억압 가설, 은폐 기억의 위장

36) 이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치료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코프는 자신의 이론에 대하여서
“은유 치유의 관점에서 내가 보여주려는 것은, 은유 치유가 선택한 개념들과 그 외의 어떤 다른 치유
상의 접근에의 개입을 발견하고 통합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은유 치유는 치유의 새로운
‘학파’가 아니다. 은유 치유의 이론은 현재의 심리 치유의 관점의 다른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
은유 치유는 심리 치유 이론을 포함한 모든 이론들은 그 자체가 실재의 은유적 구조임을 주장할 것이
다.” (Ricahrd R. Kopp, 앞의 책, pp.109-110.) 라고 이야기한다. 즉 자신의 은유 치유가 이전의 심
리 치유와 완전히 다른 방향이 아닌, 현재의 심리 치유에서의 다른 관점을 지닐 뿐이라는 것이다. 그
러므로 내담자/상담자(상담자) 사이의 관계 또한 이전의 심리 치료와 같은 궤를 지닌다. “분석 치료에
필요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오로지 그가 의사와 특별한 감정적 유대를 맺고 난 이후에나 가능합니다.
환자는 어떤 다른 사람, 그와는 전혀 무관한 다른 사람을 발견하게 되는 즉시 그는 말을 멈추고 맙니
다. 왜냐하면 이러한 이야기들은 환자의 정신생활에서 가장 내밀한 부분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가 사회적으로 독립적인 개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남들 앞에 감추어야만 하는 모든 것을 포함하
고 있고 나아가서는 통일적이고 조화로운 인격체로서 자기 자신에게서조차 고백하고 싶지 않은 내용
들과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임홍빈․홍혜경 역, 『정신분석 강의』, 열린책
들, 2003, 21쪽.
37) Richard R. Kopp, 앞의 책, p.39.

- 15 -
아래 억압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자유 연상법의 사용은 그러한 전제에서 비롯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아들러는 ‘무엇이 잊혀졌는가’에 의미를 두는 것과
는 대조적으로 ‘무엇이 기억되었는가’에 주된 논의점을 두었다. 코프는 아들러
의 논의를 바탕으로 ‘기억된’ 초기 기억을 찾고 이를 변형하는 데에 주력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코프의 초기 기억은 어디까지나 ‘현재의 문제 또는 상황을 은유하는’
과거의 기억에 한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므로 코프의 초기 기억은
심리학적으로 생후 1년 내지 1년 반부터 만 6세에 이르는 유년기 기억에 한
정되지 않고 현재의 상황을 지시하는 사적 기억38)을 초기 기억으로 받아들인
다. 이는 개인적 개념과 실재를 구축하는 은유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 결과로
보인다. 개인적 은유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문제를 은유하는 감정적 근원인 초
기 기억을 변형함으로써 현재의 문제적 상황을 극복하고 치유하려는 목적을
지니는 것이다.
초기 기억에 대한 논의를 문학 텍스트에 적용시킨다면 우선 문학 텍스트는
‘승화된 것’, 즉 ‘언어화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실제 임상 치
료에서와 달리 텍스트는 자유 연상법을 통하여 구성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코프가 은유의 본질에 주목함으로 인하여 오히려 작가의 의식 속에서 가공을
거친 은유로 이루어진 텍스트에 나타나는 유년 시절의 은유는 코프의 초기 기
억과 같은 궤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에 나타나는 ‘과거의 기
억’에 대한 은유는 ‘현재의 텍스트’와의 연관성을 통하여 선택된 것이기 때문
이다.
코프의 은유 치유 논의는 텍스트에 적용39)될 때 사후적 분석이 될 수밖에

38) 내담자가 어린 시절에 대한 아무런 기억도 떠올리지 못할 경우, 상담자는 10살이나 11살 정도 즈음
의 기억 또한 받아들인다. (Ricard R. Kopp, 앞의 책, p.42) 즉, 코프의 초기 기억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현재의 상황 및 문제, 병증의 은유로 작동하는’ 과거의 기억이라는 점이다.
39) 김화영은 정신분석이 문학 작품의 해석에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그 근거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
다. (1) 프로이트 자신의 경우 그의 이론 형성의 배경에서 문학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 (2)
프로이트가 예술의 기능 중 하나를 “아주 오랜 초년기에 문화적으로 포기할 수밖에 없었던 것들을 보
상해 주는 대가代價적 만족” 이라고 규정함으로써 실제로 정신분석학이 문학 작품의 어떤 국면에 대
하여 조명할 수 있는 부분을 시사했다는 점, (3) 인간적 현상들은 모두가 욕망이 표현되는 어떤 방식
에 지나지 않으며, 문학 텍스트 역시 인간적 텍스트의 일종이므로 정신분석학의 적용이 가능하고 볼
수 있다는 점, (4) 정신분석학의 대상이 되는 “꿈”은 의식으로 인도하는 왕도이며 이 때의 “꿈”은 단
순히 감각적 현상만이 아니라 “언어화된” 이야기로서 정신분석의 대상이 되는 점 등을 감안하여 인간
의 무의식적 개성이 상상을 통하여 언어적 질서를 갖춤으로써 창조된 문학작품이 정신분석의 대상으

- 16 -
없다. 실제 임상에서의 자유 연상법과는 달리 작가의 의식적 승화를 거친 텍
스트에 나타나는 은유를 대상으로 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유의 생성자와 변
형자가 동일하다는 것은 외부의 왜곡 가능성을 없앰으로써 은유 변화와 그로
인한 결과의 신뢰를 담보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또
한 “내담자의 은유적 상상력을 탐구하고 변화를 주며, 변화 이후 논리적 담화
가 지배하는 일상생활과 직설 의미의 바깥세상(현실)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
도하고 변화된 은유를 현실 문제에 적용하도록”40)한다는 은유 치유의 목적
또한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은유적 상상력에서 논리적 현실로 돌아옴으로써 실
제의 문제를 극복하고, 이를 통하여 은유 치유의 효용을 증명하는 단계가 텍
스트 내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텍스트는 언어로 이루어진 세계이므로, 언어의
변화는 곧 세계의 변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인식론적․존재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은유를 실제 치유의 방편으로 이끈 코프
의 은유 치유의 메커니즘을 통하여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와 그 변화를 분석
함으로써 시세계의 변화와 치유의 지점을 찾는 데에 있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할 때 텍스트 분석의 방편으로 짚고자 하는 것은
모롱의 비평적 접근 방식이다. 모롱의 심리 비평41)은 텍스트에 작가의 무의식
이 반영42)됨을 전제한다. 그의 분석 방법인 ‘텍스트 겹치기superposition’는

로 기능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김화영, 『프랑스 현대비평의 이해』, 민음사, 1984, 208-209쪽 참
고. 이와 같은 논의로 미루어볼 때, 정신분석 치유에 속하는 코프의 논의 또한 문학 텍스트에 있어 적
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 Richard R. Kopp, 앞의 책, pp.5-11.
41) 모롱이 제안하는 심리 비평의 방법은 네 단계의 조작을 지닌다. 첫째는 중첩, 혹은 포개기
superposition라 불리는 작업이다. 즉 같은 작가의 서로 다른 텍스트들을 포개어 놓음으로써 그들 사
이에 중첩되는 ‘고정관념적이며 무의식에서 산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연상의 망, 혹은 이미지 그룹’을
드러나게 하는 일이다. 여기서의 연상망은 단어나 이미지들 자체가 아니라 그들 사이의 관계의 체계로
서 각각의 텍스트들이 지니는 형식적, 논리적, 수사적 특수성을 초월하여 그 전체에 공유되어 있는 전
혀 뜻밖의 체계들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추출한 연상망이 어떤 방식으로 반복되
며 변화하는가를 추적하며, 테마분석을 꿈이나 꿈의 변용의 분석과 결부시킴으로써 작가 고유의 ‘개인
신화mythe personnel’가 결정되는 것이다. 분석의 세 번째 단계는 추출된 개인 신화에 대한 정신분석
적 ‘해석’의 단계이다. 개인 신화라는 무의식적 환경을 통하여 비평가는 i) 무의식적 개성의 현재 상태,
ii) 개인적인 과거에 따라 무의식적 개성이 현재 상황에 대하여 보이는 반응, iii) 인류의 역사에 따라
무의식적 개성이 현재 상황에 대하여 보이는 반응을 파악할 수 있으나 이 세 가지 양상들은 한데 뒤
섞여있으며 대립적인 관계가 아니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이상의 작업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작가의
생애 속에 드러난 전기적 사실과 대조해봄으로써 분석이 유효한가 아닌가에 대하여 ‘검증’하며, ‘포개
기’에 의하여 연상망을 추출해내는 첫 번째 작업으로부터 개인적 신화를 정신분석학적으로 해석하기에
이르기까지의 세 가지 조작에 있어서 분석자는 한 번도 텍스트에서 시선을 떼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순수한 작품의 정신 분석이라고 주장한다. 김화영, 앞의 책, 210쪽 참고.

- 17 -
정신분석적 치료의 기반이 되는 자유 연상법의 문학 텍스트에서의 적용 불가
능함을 인지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심리 비평에서는, 텍스트들의 겹치
기가 자유 연상법을 대신한다.”43) 텍스트 겹치기는 한 작가의 텍스트들을 겹
침으로써 반복되는 은유 이미지의 연상망을 만들어 무의식적인 이미지들의 집
합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나타나는 텍스트간의 상호반
향성을 모롱은 작가의 개인 신화라고 명명한다.44) 이는 작가의 작품 전체에
공통된 어떤 무의식적 구조라고 볼 수 있다. 모롱의 논의의 장점은 문학 텍스
트라는 것이 직물의 직조와 흡사한 것임을 보여 준 데에 있다. 각각의 형태는
다른 것들과의 관계에 의해서만 살아 있으며, 그것들은 작가의 무의식적 개성
이라는 항구적이고 특징적인 사실을 구성하기 위해 결합한다. 확고한 연산망
은 작가의 정신 구조에서 비롯된 내적 갈등의 영속성을 시사한다. 끈질긴 이
‘내부의 극적 상황’은 모롱이 개인적 신화라고 부르는 것을 이룬다. 시에서는,

42)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무의식은 억압이나 검열의 영향으로 인하여 그 자신을 상징이나 은유 속에 드
러낸다. (Bettleheim, 앞의 책, 38쪽.) 프로이트의 무의식 개념은 억압 이론과 검열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억압은 의식에서 불필요한 이드(본능)의 충동 또는 그것의 어떤 파생물로 에고(자아)
활동의 장애물이다. (brenner) 검열은 에고(자아)가 지시하는 방어적인 작업으로, 꿈꾸는 동안 활발하
다. 프로이트는 이 기능을 미디어 내에서 새로운 아이템을 검열하는 것으로 비유하여, 에고(자아)는 불
쾌하고 억압된 아이템이 의식 속에 출현하는 것을 막기 위해 꿈에 나타나는-변장한 형태로 변형시키
려 노력하는 과정의 메커니즘을 만들어낸다고 이론화하였다. 은유는 아마도 최초(일차)와 이차 사고
과정의 접점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이차 사고 과정은 보통 사고의 의식적인 유형으로, 우리가 주로
언어적이고 평소에 문법의 규칙과 논리를 따르는 것과 비슷하다. 반면, 최초(일차) 사고 과정은 주로
시각적이고 다른 감각의 느낌(인상)이다. 최초 사고 과정에서는 시간 감각이 없어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모두 그 속에 포함된다. 또한, “최초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암시(인유)와 비유는 자주, 대상
의 한 부분인 기억 또는 사고의 전체를 의미하거나 그 반대이다.” Richard R. Kopp, 앞의 책, 113p.)
43) Cabane's, Jean-Louis, 『문학 비평과 인문 과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62쪽 재인용. 이
는 정신분석적 치유 기법에 속하는 코프의 논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44) 모롱은 텍스트 비교와 텍스트 겹치기를 구별한다. “텍스트 겹치기의 목적은 연상망을, 강박 관념적인
그리고 아마도 무의식적인 이미지들의 집합을 드러내는 데에 있다. 그리하여 텍스트들은 상호 반향하
는 관계를 갖게 되는데, 이것은 모롱이 작가의 개인적 신화라고 명명함으로써 무의식적 개성의 표현으
로 간주하는 ‘공통 구조’를 드러내는 것으로 보인다. 텍스트 겹치기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 즉 개인적
신화, 그리고 각 작품 사이의 편차에 관한 연구는 작가의 생애와의 비교를 통해서 확인될 것이다.”
Cabane's, Jean-Louis, 앞의 책, 63쪽.
“텍스트 비교는 의식적이고 의도적인 내용에 관련한다. 그것은 고전적 비평 방식에 속한다. 반면에, 텍
스트 겹치기는 겹쳐진 각각의 텍스트의 의식적인 내용들을 뒤섞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방법은 각
텍스트의 내용을 다른 텍스트의 내용에 의해 약화시키는데, 이것은 끈질긴 되풀이를 드러내기보다는
(이것은 통계적인 방식으로 잘 해결할 수 있다.) 예기치 못한 혹은 다소간 무의식적인 관계들을 드러
내기 위한 것이다.” (샤를르 모롱, 『집녑적 메타포에서 개인적 신화로(Des metaphores obsedantes
aux mythes personnels)』, Corti, Paris, 1962, p.23), Cabane's, Jean-Louis, 앞의 책, 63쪽 재인
용.

- 18 -
시적 이미지들이 유도선의 기능을 하여 개인적 신화를 탐색케 한다. 중요한
것은 한 인물을 그 자체로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총체적 형태라는
건축물에서의 그의 상황을 탐구하는 것이다.45)
모롱이 개인적 신화의 역학을 이야기할 때,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창작에
대한 무의식적 충동뿐만이 아니라 작가의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관계 또한 포
함한다. 그러나 그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개인적 신화가 은밀하고 정적인
구조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전기적 사건들이 끊임없이
그 신화 속에 반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기적 사건에 종속되는 개
인적 신화의 발생학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 사건들의 반향이 갖는
복합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전기와 개인적 신화 사이에 기계적인 관
계를 세울 수는 없다.46) 다만 텍스트에서 반복되는 은유적 이미지들에 대하여
서는 이를 문학이 지니는 대리적 만족, 즉 승화된 대상으로서 만족시키는 욕
망의 흔적47)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모롱의 이러한 비평적 방식에 있다. 무엇보
다도 모롱이 주장하는 텍스트 겹치기는 정신분석학에서의 자유 연상법의 문학
적 적용 방식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일련의 반복되는 강박 관념적 메타포를
밝히고, 이를 통하여 구성된 은유 연상망과 은유 변화의 양상을 추적할 수 있
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은유의 반복 혹은 불변하는 양상은 양자 모두 의미적
통찰을 제공48)한다는 코프의 논의와 연결 지을 때 은유의 변화는 개인적 실
재의 변화와 무의식의 변화를 함의하며, 은유의 반복은 은유 연상망을 구축함
으로써 시적 주체의 욕망의 흔적을 추적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이러한 해석
의 관점은 텍스트를 겹치고 의미를 통시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의미가 처음부터
확정되지 않으며, 은유를 따라 시적 주체의 무의식을 유동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모롱의 심리 비평적 의미 탐구는 시적 주체49)가 지니는 ‘과정

45) Cabane's, Jean-Louis, 앞의 책, 65쪽.


46) Cabane's, Jean-Louis, 앞의 책, 66쪽.
47) 모롱은 이를 “주기적으로 만족을 채우려고 하는-그리고 초자아가 그 충족을 좌절시키는-어떤 욕망”
이라고 말한다. (샤를르 모롱, 앞의 책, 213쪽, Cabane's Jean-Louis, 앞의 책, 67쪽 재인용.)
48) “본래의 은유가 내담자가 상황에 대해 느끼는 바를 나타내기 때문에, 은유적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것
은 상황에 대한 은유적 의미를 바꾸게 된다. 만약 변화시킨 이미지가 원래의 이미지보다 나은 점이 거
의 혹은 전혀 없더라도, 이는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희망과 기대, 그리고 실망의 정도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Richard R. Kopp, 앞의 책, p. 9.
49) 은유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의미를 구축하는 것은 곧 과정 중의 주체를 전제하는 것이라고 할 수

- 19 -
중의 주체’로서의 미결정성을 함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고통 중의
시적 주체가 변화와 치유의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기반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은유가 지니는 언어적 본질, 즉 사회적 산물이자 자의적이
라는 양가적 특성은 텍스트가 지니는 역사적․개인적 요소를 반증한다. 그러므
로 은유의 특성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분석함은 이상 텍스트에 대한 보다 중층
적인 의미 도출을 가능케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은유의 기능과 가치를 바
탕으로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의 반복을 탐구하고 그 의미를 구성하며,
은유의 변화를 통하여 시적 주체의 변화 양상을 짚으려 한다.
즉 의사로서의 자아가 이끄는 은유의 변화는 탈로고스적 치유의 방향을 시
사하며, 이는 쓰기 은유의 반복을 통하여 구성되는 쓰기 은유의 연상망을 구
성하고 ‘쓰인 객체’에서 ‘다시 쓰는 주체’로 나아가는 은유의 변화를 통하여
이상 ‘문학’이 지니는 치유적 속성을 밝힐 것이다. 또한 기독교 담론 구조를
바탕으로 한 은유를 통하여 병의 원인인 근대-세계를 구체적으로 지목하고
이를 무력화하는 모습을 통하여 치유의 방편이 아이러니와 패러독스임을 증명
할 것이다. 이는 이상 문학이 지니는 탈로고스적 치유의 방향을 시사한다. 이
에 더하여, 세계 내 존재로서의 숙명적 고통의 은유가 타자로 확장되며 로고
스적 질서를 벗어난 존재를 받아들이는 것을 통하여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저항적 치유50)의 모습을 조명하고자 한다.

있다. 과정 중의 주체는 고정되지 않고 텍스트를 통하여 형성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는 ‘시적 주


체’의 담론과 이어진다.
‘말하는 주체’로서의 ‘시적 주체’가 전제하고 있는 맥락 가운데 하나는 화자와 마찬가지로 시 텍스트
를 발화로 보며, 시적 발화는 담론과 동의어로 취급된다. 시를 담론으로 간주하는 맥락에서 시는 시인
의 순수한 정서의 표출물도, 자율적이고 유기적으로 짜여진 언어적 구조물 또한 아니다. 언어 그 자체
가 사회적 산물이면서 자의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가 언어의 형태로 출현하는
순간 시는 특정한 독자에게 읽혀지고 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다. 다시 말해
각각의 낱말들이 어떻게 결합되어 어떠한 의미를 만들어내는가 하는 점은 바로 그 시 텍스트가 놓여
있는 담론 공간 내에서, 그리고 컨텍스트 내에서 다른 담론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가 하는 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다. 시 텍스트는 사회 형성체의 한 요소로서 자체의 물질성이라는 법칙을 따름과 동시
에 사회적 관계의 한 조건에 좌우된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말하는 주체’로서 시적 주체를 보는 경우에는 실제 시인과 텍스트 내의 ‘나’
사이의 동일성 여부는 따질 필요가 없는 질문이 된다. 본래 시인은 동일성을 지닌 안정된 존재가 아니
라 시를 생산하면서 존재를 구성해가는 ‘과정 중의 주체’이며, 텍스트 내의 ‘나’는 텍스트의 효과로서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상(像)이기 때문이다. 앤터니 이스톱, 박인기 역, 『시와 담론』, 지식산업
사, 1994, 45-56쪽 참고.
50) 이상 문학에서 나타나는 병과 고통의 원인이 이분법적 이성중심주의에 기반한 로고스라는 점과 이에
대한 저항이 은유를 통하여 나타남은 은유가 지니는 특성과도 연관된다. “은유란 정신적인 것을 감성

- 20 -
Ⅱ. ‘쓰는 주체 이상’과 자기치유

1. 저항의 기제로서의 쓰기

이상 텍스트의 은유51)는 장르와 텍스트를 넘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그 중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관점이 두드러지는 은유는 쓰기writing
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은유이다. 이상의 첫 번째 텍스트인 <12월 12일>에 제
시되는 두 개의 서문 중 한 서문52)에서부터 쓰기와 관련된 은유가 등장하는
데, 이는 쓰기에 대한 이상의 존재론적 고뇌이자 이상 텍스트 전체를 통괄하
는 에피그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의 지난날의 일을 말갛게 잊어 주어야 하겠다. …… 자살(自殺)은


몇 번이나 나를 찾아왔다. 그러나 나는 죽을 수 없었다. …… 그만큼 이
번에 나를 찾아온 자살은 나에게 있어 본질적(本質的)이요, 치명적(致命
的)이었기 때문이다.
나는 전연 실망 가운데 있다. 지금에 나의 이 무서운 생활이 노[繩]위
에 선 도승사(渡繩師)의 모양과 같이 나를 지지하고 있다.
모든 것이 다 하나도 무섭지 아니한 것이 없다. 그 가운데서도 이 <죽
을 수도 없는 실망>은 가장 큰 좌표에 있을 것이다.
나에게, 나의 일생에 다시없는 행운이 돌아올 수 있다 하면 내가 자살
할 수 있을 때도 있을 것이다. 그 순간까지는 나는 죽지 못하는 실망과

화시키고, 의미를 애매성에 빠뜨릴 뿐만 아니라 극단적으로는 비의미로 전락시킬 수 있는 언어다. 이


러한 평가의 배후는 철학 혹은 논리학의 본성을 구성하는 의미론적 일의성univocite'의 이념이다. 로고
스 혹은 윤리학은 말이 단일하고 고정된 의미를 지닐 때만 그것을 정상적 언어로 간주해왔다.” (김상
환, 「데리다와 은유」, 한국기호학회, 『은유와 환유』, 문학과지성사, 1999, 41쪽.) 이처럼 은유가
지니는 의미론적 다의성은 차연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전까지 은유를 비정상적 언어로 간주하고 이분법
적 질서를 강요하는 로고스에 균열을 가하는 힘을 지닌다.
51) 이어령은 이상의 은유 체계를 “떠도는 시니피앙”이라 말하며, 이를 19세기와 차별화되는 현대의 특
성이라 지적한다. 이상 문학을 이루는 것은 콩파레(비유되는 것)가 아니라 콩파랑(비유하는 것)이기에
이상 텍스트 연구에 있어 은유는 장식이 아니라 기능 그 자체가 된다는 것이다. 이어령, 「이상 연구
의 길 찾기-왜 기호론적 접근이어야 하는가」, 권영민 편저, 『이상문학연구 60년』, 문학사상사,
1998, 17-18쪽 참고.
52) 김윤식은 <12월 12일>에 제시되는 두 개의 서문을 <12월 12일>을 쓰게 된 작가의 처지를 밝힌 서
문과 <12월 12일>의 소설 구성에 대한 해명으로 이루어진 서문으로 나누는데, 본고에서 다루는 것은
전자이다. 김윤식, 앞의 책, 21-22쪽 참고.

- 21 -
살지 못하는 복수(復讐)-이 속에서 호흡을 계속 할 것이다.
나는 지금 희망한다. 그것은 살겠다는 희망도 죽겠다는 희망도 아무것
도 아니다. 다만 이 무서운 기록을 다 써서 마치기 전에는 나의 그 최후
에 내가 차지할 행운은 찾아와 주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다. 무서운 기록
이다.
펜은 나의 최후의 칼이다. 一九三○.四.二十六 於義州通工事場
(李 ○)」53)
(1930. 4. 26.)

1930년 4월 의주통 공사장에서 쓰인 서문은 이상이 지니는 글쓰기에 대한


자세를 가장 잘 보여주는 글이다. “나의 지난날의 일을 말갛게 잊어야 하겠
다”는 말로 시작되는 서문은 첫 장편 소설인 <12월 12일>이 지니는 전환적
속성을 드러내며, 서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살의 원인과 속성을 나타낸다.
의인화된 자살은 “나”의 의지에서 비롯된 “나”의 일부분이라기보다는 “몇
번이나 나를 찾아오는” 양상을 통하여 타자적 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시에 “본질적”이라는 서술은 자살이 지니는 양가적 속성을 함의하는
데, 이러한 자살의 속성은 “죽을 수도 없는 실망”과 이어진다. 그리고 이 “실
망”의 원인은 “무서운 생활”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노(줄) 위에 선 도승
사(줄타기꾼)”과 같은 생활이 “나를 지지하고 있다”는 서술은 실망의 원인을
시사한다. 줄 위에 선 줄타기꾼의 흔들림은 불안에 대한 은유이다. 중요한 것
은 이러한 불안이, “무서운 생활”이 “나”를 지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살아
감은 이러한 불안에 스스로를 맡김으로써 공포를 실감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
다. 이는 존재가 지니는 숙명적 공포, 온전한 주체성의 상실이라는 공포를 낳
는다.
“모든 것이 다 하나도 무섭지 아니한 것이 없다”는 말은 세계에 대한 공포
적인 시선에서 비롯된다. 이는 생과 세계에 대한 가장 강렬한 반항이자 선택
인 자살조차도 그들의 공포적인 힘으로 인하여 완전한 “나”의 의지로 행해지
지 않고, 미완의 죽음으로 전락하고 만다는 이상의 통찰과 좌절을 함의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불안과 공포의 세계 안에 존재하는 ‘나’에게 있어서 자살은
온전한 “나”의 의지라고 할 수 없는 자살, ‘타살적 자살’이 될 수밖에 없다.

53) 김윤식 엮음, 『소설 원본․주석 이상문학전집2』, 문학사상사, 1994, 68쪽.

- 22 -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죽을 수 없는 실망”은 모든 공포에 있어서 “가장 큰
좌표”로 나타나며, 그렇기에 “일생에 다시없는 행운”은 “내가 자살할 수 있을
때”, 즉 “내”가 (온전한 스스로의 의지로) ‘자살自殺’ 할 수 있을 때가 되는
것이다. 온전한 자신의 의지로 행할 수 있기 전까지의 “나”는 “(완전한 스스
로의 의지로) 죽지 못하는 실망”과 “(이러한 세계에서 순순히)살지 못하는 복
수”라는 양가감정 사이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저 “호흡”만을 계속할
것이라는 스스로의 판단인 것이다.
그러나 세계의 공포적인 힘과 좌절은 후반부에 이르러 어느 정도의 전환을
맞는 듯하다. “나는 지금 희망한다”라는 서술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이 희
망에 대하여 낙관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보다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살겠다는 희망도 죽겠다는 희망도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진술에서는 여전히
세계의 힘에 대한 공포가 전제되어 있다. “다만 이 무서운 기록을 다 써서 마
치기 전에는 나의 그 최후에 내가 차지할 행운은 찾아와 주지 말았으면 하는
것이다.”에서 나타나는 것은 “무서운 기록”을 마치기 전까지 “나의 그 최후에
내가 차지할 행운”이 오지 않기를 바라는 희망인 것이다. 여기서 “나의 그 최
후에 내가 차지할 행운”은 앞선 문맥상 죽음(자살)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죽
음이 진정한 의미의 행운, 자신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행운, 즉
죽음이 타살적 자살, 미완의 자살과 마찬가지로 나를 “찾아”오기 때문이다. 이
러한 죽음은 내게서 비롯된 죽음이라고 할 수 없다. 공포에 대한 기록, “무서
운 기록이다.”라는 문장이 바로 뒤에 붙음으로써 강조되는 것을 통하여서도
“행운”에 드리운 세계의 그림자를 포착할 수 있다. 결국 죽음은 세계에 대한
저항이 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무서운 기록” 이후에 나타나는 마지막 문장, “펜은 나의 최후의 칼
이다.”는 이러한 좌절에 대한 희망적 속성을 드러낸다. ‘나’가 무서워하는 기
록, 무서운 세상에 대한 기록, 결국 ‘무서운 기록’은 “나”를 “찾아”오는 미완
의 죽음을 지연시키는 힘을 지니며, 이는 “펜”을 통하여 쓰인다. 즉 이러한 억
압에 대항할 수 있는 기제는 “최후의 칼”인 “펜”이며, “기록”, 즉 ‘쓰기’는 자
살조차 타살로 바꾸어버리는 무서운 세상에 대한 저항적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서문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두 가지이다. 첫째는 온전한 주체성을 상
실케 하는 운명적인 세계와 삶의 억압은 생과 사를 뛰어넘는 공포의 대상이
된다는 것과, 둘째는 이러한 공포에 대항하는 수단이 펜과 기록, 즉 쓰기로 나

- 23 -
타난다는 것54)이다.
이와 더불어 주목해야 할 텍스트는 <병상이후>이다. 위 서문의 마지막 부분
에는 “於義州通工事場”이 적혀 있다. 이는 당해 텍스트가 의주통 공사장에서
쓰였음을 뜻한다. <12월 12일>의 서문과 6회 앞부분을 제외하고 “의주통공사
장에서”라는 문장이 나타나는 텍스트가 바로 <병상이후>이다. 《청색지》에
수록된 이 텍스트는 결핵을 진단받고 난 후 “그”55)가 겪는 고통과 병상 체험,
죽음 앞에서의 희망과 야욕 및 깨달음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그”는
신체적으로 극한의 고통을 겪은 후 친구에게서 인간의 순수한 고통을 기록한
편지를 받고 허위로 그를 대하는 자신에 대한 분노 섞인 슬픔을 느끼며, 이를
통하여 심화되는 신체와 정신의 고통을 글쓰기를 통하여 극복하는 모습을 보
인다. 이 때 글쓰기는 근대 의학의 힘을 무력화하며, “그”는 쓰기를 통하여 자
기치유를 이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앞선 <12월 12일>의 서문에 나타나
는 저항의 기제로서의 “펜”이 가리키는 지점을 시사한다.

(……)그는 醫師의얼골을 몇 번이나 치어다보았다. 「醫師도 人間이다


나하고 조곰도 다를것이없는!」 이렇게 속으로 아모리 부르지저보았으나
그는 醫師를 한낱偉大한魔法師나 豫言者처다보듯이 보지아니할수없었다.
(……)

醫師믿기를 하느님같이하는 그가 藥을 全然먹지안는 것은 그무슨 矛盾


인지알수없다. 한밤중에 다려들어오는藥을볼때 爲先그는 「먹기실타」를
느겼다. 그의 찝흐려진지 오래인兩眉間은 더한層이나 깊이깊은홈(溝)을
짖이안이하면아니되였다. 아모리 바라다보았으나 그누르꾸레한液體의한
탕긔가 묵고묵은그의重病(단지 지금의形勢만으로도 훌늉한重病患者의 資
格을갖이고있다)를 곳칠수있를까믿기는 여수믿기보다도 그에게는어려웠

54) 김윤식은 “펜은 나의 최후의 칼이다.”와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결핵에 주목하여 그의 인생을 차압
하려 드는 제도권적 마법권과 신분적 마법권에 맞설 수 있는 계기이자 내면을 형성하는 기제로 보았
다. 그러나 이상은 문학이 제도적 장치에 역조명되어 나타난 주체성(내면)이라는 원론적인 사실을 인
식하지 못했으며, 이것이 이상의 한계라고 보았다. 김윤식, 『이상연구』, 328-329쪽.
55) <병상이후>에 나타나는 진단의 은유(“의사 믿기를 하느님같이 하는 그”)는 이후 결핵과 관련된 시에
나타나는 은유의 반복(“반왜소형의신의안전에서”(<건축무한육면각체> 이십이년))으로 인하여 유의미한
연결점을 지니므로, <병상이후>의 “그”가 앓는 병을 결핵으로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 24 -
다.(……)

(……)그亂意識가운데서도 그는 搖가왔다. ―이것을 나는 根本的인줄만


았아. 그때에 나는果然 한때의慘Ⅴ한乞人이였다 그러나 오늘까지의 거즛
을버리고 참에서살아갈수있는 「人間」이되였다―나는 이렇게만믿었다
그러나 그것도 事實에있어서는 根本的은 아니였다. 感情으로만 살아나가
는 가엽슨한昆蟲의 內波紋에 지나지안었든것을 나는發見하였다. 나는또
한나로서도또나의周回의모―든것에게對하宏壯한무엇을 分明히創作(?)하였
는데 그것이무슨모양인지 무엇인지等은 도모지記憶할길이없는것은 當然
한 일이다.―(……)意識이自己로恢復되는 사히사히 그는 이오래간만에맛
보는 새힘에 졸니웠다 (보채워젔다) 나날이말너들어가는 그의體軀가 그
에게는 마치 鋼鐵로마든것으로만 決코 죽거나할것이아닌것으로만自信되
였다.

(……)그의 앞흔몸과함께 그의마음도 차즘차즘압하들어왔다. 그는더참


을수는없었라. 原稿紙틈에 낑기워있는 3030用紙를끄내여 한두자쓰기를
始作하였다. 「그렇다 나는 確實히 거즛에살아왔다.―그때에 나에게는 體
驗을 伴侶한 무서운 動搖가왔다 ―이것을 나는 根本的인줄만았아. 그때에
나는果然 한때의慘Ⅴ한乞人이였다 그러나 오늘까지의 거즛을버리고 참에
서살아갈수있는 「人間」이되였다―나는 이렇게만믿었다 그러나 그것도
事實에있어서는 根本的은 아니였다. 感情으로만 살아나가는 가엽슨한昆
蟲의 內波紋에 지나지안었든것을 나는發見하였다. 나는또 한나로서도또
나의周回의모―든것에게對면야서도, 차라리 여지껏以上의 거즛에서 살지
아니하면 아니되었다…云云」이러한文句를 늘어놓는동안에 그는 또한 몇
절의짧은詩를 쓴것도記憶할수도있었다. 펜이 無i히 조희우를滑走하는
동안에 그의 意識은 차츰차츰朦T하야드러갔다. 어느때 어느句節에서 무
슨말를쓰다가펜을떠러트리였는지 그의記憶에서는 全然알아내일길이없다.
그가 펜을든채로그대로意識을잃고말아버린것만은 事實이다.

- 25 -
醫師도단여가고 몇일後, 醫師에對한 그의 憤怒도식고 그의意識에 明朗
한時間이 次次로 많아젔을때 어느時間 그는벌서 아지못할(根據) 希望에
애태우는人間으로 낱아났다. 「내가 이러나기만하면…」그에것는 「단
테」의 神曲도 「다번치」의 「모나리자」도 아모것도 그의 마음대로 나
올것만같었다. 그러나 오즉 그의몸이 不健康한것이 한탓으로만녁여졌다.
그는 그友人의길다란편지를 다시끄내여들었을때 前날의 어둔구름을 大力
身하야無限히 굳세인 「동지」라는힘을 느겼다. 「××氏! 아모쪼록 光明
을 보시요!」그의눈은 이러한句節의쓰인곳에까지 다달았다. 그는 모르는
사이에 입밖에 이런 부르지즘을 내이기까지하였다. 「오냐 지금 나는 光
明을보고있다」고. (義州通工事場에서)

<病床以後> 부분56)
(1939. 5.)

<병상이후>의 마지막 부분에서 나타나는 “그”의 짧은 글은 이전까지 병과


허위로 가득한 삶을 영위하던 “그”에게 있어 일종의 고백록으로 보인다. “나
는 확실히 거짓에 살아왔다”로 시작하는 글은 곧 “그러나 오늘까지의 거짓을
버리고 참에서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이 되었다”로 이어진다. 그러나 그 또한
“사실에 있어서는 근본적”이지 않다는 진술이 뒤따른다. 거짓된 깨달음은 감
정적인 삶을 지닌 곤충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파문과 같다는 스스로의 판단이
그에 대한 평가로 나타난다.
결국 “그”가 고백하는 것은 그 자신으로서도, 그의 주회周回-둘러싼 것들에
대해서도, 결국 모든 것에 대하여서 “거짓에서 살지 아니하면 아니 되었”던
과거이다.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그” 자신과 생활, 과거가 모두 “근본
적으로” 사실이 아닌 거짓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거짓투성이의 삶에
서 단 하나의 진실이 남는데, 이는 “그가 펜을 든 채로 그대로 의식을 잃고
말아버린 것”으로, 그와 펜(쓰기) 사이의 진실한 관계만이 허위가 아니라는 것
을 의미한다.
참회와 같은 글쓰기 이후, “그”는 자신의 병을 진단한 의사에 대한 분노를
식히고 “알지 못하는 (근거) 희망에 애태우는 인간”으로 변모한다. “그”는 단

56)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4: 수필 외』, 뿔, 2009, 301-305쪽.

- 26 -
테나 다빈치와 같은 글과 회화의 천재들의 작품을 단숨에 쏟아낼 수 있는 그
릇을 지닌 인간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받으며, 오직 신체의 문제-불건강만이
“그”에게 있어 이러한 걸작들을 만드는 데에 방해가 되는 요소로 존재할 뿐이
다. “그”는 친구의 “한純한 인간의 悲痛”을 담은 다시 읽어보지만 전날의 고
통은 느껴지지 않는다. “그”는 글쓰기를 통하여 새로운 희망을 얻었기 때문이
다. “어둔 구름” 대신 느껴지는 것은 친구에 대한 동지애이다. 친구가 보내는
격려에 화답하듯 “그”는 “오냐. 지금 나는 광명을 보고 있다.”라는 희망의 극
을 표출한다.
<12월 12일>의 서문과 더불어 <병상이후>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관점이 보
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두 텍스트는 모두 “의주통공사장”에서 쓰인 것으로, 이
곳은 이상이 총독부 기사로서 근무한 곳이자 운명적으로 부여받은 이름인 “김
해경”에서 “이상”이라는 자신의 이름57)을 세상에 내보이기 위한 시작점이며
<12월 12일>과 <병상이후>의 산실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서문에서는
온전한 주체성을 허락하지 않는 운명적 억압에 대한 공포가, <병상이후>에서
는 결핵으로 인한 육체적인 고통과 인간으로서 지니는 비통이 적대자로 나타
나지만 두 텍스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이러한 적대자에 대한 저항
과 극복의 수단으로서의 쓰기이며, 이는 쓰기가 지니는 치유적 기능을 증명한
다. 이는 이상에게 있어 글쓰기가 단순한 유희의 수단이 아닌, 존재 및 인식론
적 관점에 바탕을 둔 유일한 치유의 수단이었다는 점을 뜻한다. 그러므로 “펜
은 나의 최후의 칼이다.”는 자신이 지니는 불화에 대한 저항적 치유의 수단인
쓰기의 기능을 시사하는 에피그램이다.
그렇다면 치유의 수단으로 작동하는 쓰기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은유 치유의 관점에서 볼 때 코프는 상담자가 은유 간섭을 통하
여 내담자의 은유를 변형함으로써 치유에 다다를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상

57) 이름이란 상징계가 부여하는 것으로, 이 이름을 거부하고 스스로 새 이름을 지은 것은 상징계에 대한
저항으로 읽을 수 있다. 김승희는 ‘김해경’을 상징계가 부여한 시니피앙으로 바라보며, ‘이상’은 그에
저항하는 상상계적인 것이라 지적한다. “그것은 김해경이라는, 상징계가 내어준 시니피앙으로서의 위
치성과 봉합을 거부하게 했고, 그런 반란과 부정성의 반항으로써 다의적이고 복합적인 시니피앙으로서
의 이상이라는 상상계를 세우게 했으며 상징계적 언어인 통사론을 전방위로 파괴하는 텍스트 생산의
기호계적 욕망으로 나아가게 했다. ‘인간이란 아버지의 이름 안에서 자신의 타자로서 살아가는 존재이
다’라는 보통 사람의 존재론을 이상은 절대로 수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자기낳기
(Self-engendering)로서 최고의 상상계인 李箱을 세운 것이다.” (김승희, 『이상 시 연구』, 보고사,
1998, 166-167쪽.)

- 27 -
의 경우 분열된 자아가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을 하며, 이는 ‘의사’로서의 자
아와 ‘환자’로서의 자아로 나누어진다.58) 먼저 대표적인 환자로서의 자아는
<오감도>시제15호에 나타나는 “거울속의나”를 두려워하는 “나”이다. 거울상
이라는 패러독스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자아, 로고스에 사로잡힌 자아는 두려
움에 떨고 앓는 자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의사로서의 자아는 <오감
도>시제4호에 나타나는 “책임의사 이상”59)이 대표적인데, 이 때 “책임의사
이상”의 진단은 경직된 수열에 운동성을 부여하는 이질적인 기호로서의 점과
거울상으로 인한 로고스적 세계가 지니는 힘의 무화로 나타난다. 이러한 탈로
고스적 전환은 “책임의사 이상”이 지니는 치유의 방편이라 할 수 있을 것이
다. 이는 <12월 12일>과 <병상이후>에서도 나타난다.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주체의 은유 변화는 ‘쓰기’가 지니는 치유적 기능과 ‘쓰기’가 치유를 이루는
과정을 통하여 ‘의사’로서의 자아가 지니는 치유의 방향을 시사한다.
이상의 첫 작품인 <12월 12일>의 경우 자신을 지탱하는 “무서운 생활”, 즉
세계에 대한 강한 공포와 그로 인한 자살충동이 주를 이룬다. 온전한 의지로
행할 수 없는 죽음에 대한 실망과 이러한 실망을 낳는 세상 안의 존재로서 살
수 없다는 것에서 비롯된 세상에 대한 복수는 삶과 죽음이라는 이분법적 선택
지로 제시되지만 “나”는 삶/죽음, 실망/복수라는 양자택일의 선택지를 거부한
다. 이는 “나”가 존재하는 억압적 로고스의 세계에 대한 저항이며, “죽지 못하
는 실망과 살지 못하는 복수” 사이, “살겠다는 희망도 죽겠다는 희망도 아닌”
제3의 틈을 만드는 “펜”-쓰기-의 힘인 것이다.
<병상이후>에서는 보다 뚜렷한 ‘의사’로서의 자아가 나타난다. “의사” 믿기
를 하느님같이 하는 “그”가 점차 “의사”에 대하여 의심하며, 약의 효능을 믿

58) 김승희는 시적 주체인 “나”와 “거울 속의 나”의 대립양상을 현실자아와 코기토로서의 순수자아로 나
누어 정립하였다. 이를 도표화하면 다음과 같다. (「접촉과 부재의 시학-李箱시에 나타난 거울의 구조
와 상징」,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1980, 69쪽.)
현실자아 순수자아
나 거울 속의 나
환자 李箱 책임의사 李箱
獚 박사
베드로(의사) 기독
알카보네 기독
59) 이에 대한 논의는 Ⅳ장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질 것이다.

- 28 -
지 않게 되는 모습이 나타난다. 그가 잠시 동안 생기를 되찾게 되는 순간은
마지막 부분에 나타나는 허위에 관한 글에 대한 착상이 떠오르는 때이다. 다
분히 고백적인 이 글은 “創作(?)”에 나타나는 물음표로 인하여 “그”의 글이
지니는 자기고백성을 증명한다. 그리고 그 글은 “그”에게 있어서 치유의 기제
로 작동한다. <병상이후>에 나타나는 것은 결핵으로 인한 고통이 자기고백적
‘쓰기’를 통하여 낫게 되었다는 부분이다. 이는 육체의 고통의 원인은 육체에
있다고 보는 근대 의료의 관점을 뒤엎는다. 즉 육체적 병의 원인이 정신적인
부분에 있을 수 있음을 제시하며, 그로 인한 병을 낫게 하는 힘은 의사가 아
니라 ‘쓰기’에 있다고 본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즉 <병상이후>는 “의사”를
무력화하는 힘이 ‘환자’에서 ‘의사’가 된 “그”에게 있으며, ‘의사’인 “그”가 지
니는 치유의 기능은 ‘쓰기’에 있음을 시사한다. “의사”는 근대 의사의 제유이
자 근대를 상징하므로, 그를 무력화시킴은 곧 근대를 무력화시키는 ‘쓰기’의
힘을 반증함과 동시에 의사로서의 “그”가 지니는 탈로고스적 치유의 방향을
뜻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의주통공사장”에서 쓰인 이상의 초기 텍스트 <12월 12일>과 <병상이
후>에서 나타나는 ‘쓰기’란 자기치유의 기능을 지니며, 이는 억압적 세계에 대
한 저항적 치유로서 양자택일의 질서에 균열을 가하고 제 3의 길을 열며 근대
적 질서를 무력화시키는 방향성을 지닌다. 즉 ‘환자’로서의 이상에서 ‘의사’로
서의 이상으로 이행하는 모습을 제시하며, 이는 곧 이상 텍스트를 통괄하는
은유 치유적 지점과 더불어 은유 치유의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2. 백지-연필-잉크의 은유 연상망

앞선 논의에서 볼 수 있듯 ‘쓰기’란 이상에게 있어 유일한 저힝이자 자기치


유의 수단으로 나타난다. 이는 쓰기에 대한 존재론적 관점을 바탕에 둔 까닭
이라 볼 수 있다. 이상 텍스트에 있어 쓰기 은유60)는 백지, 연필, 잉크라는 은

60) 쓰기와 언어의 은유와 관련하여 임명섭은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책과 독서의 은유를 통하여 이상
문학 전체의 소실점을 책의 은유에서 찾았다. 이는 시간 단위를 책으로 변용하여 표현하는(“나는 ‘택
시’ 속에서 이십세기라는 제목을 해석했다. <東京>”) 방식 등을 통하여 구체적인 사물과 현상, 추상적
인 현상을 책으로 은유하는 데에 주목한 것에서 비롯된다. 책을 세상으로, 독서를 삶으로 은유한 상상

- 29 -
유적 이미지의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쓰기의 은유 연상망61)62)를 생
성함으로써 삶과 억압, 그에 대한 극복의 자아라는 의미를 구체화한다. 이는
저항적 치유의 기제로 작동하는 ‘쓰기’에 대한 인식과 같은 궤를 지닌다. 먼저
백지의 은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들쥐(野鼠)와같은險峻한地球등성이를匍匐하는짓은大體누가始作하였는가를
̇ ̇ ̇ 를넘기는마음은平和로
瘦瘠하고矮小한ORGANE를愛撫하면서歷史冊비인페이지
운文弱이다. 그러는동안에도埋葬되어가는考古學은과연性慾을느끼게함은없는
바가가장無味하고神聖한微笑와더불어小規模하나마移動되어가는실(糸)과같은
童話가아니면아니되는것이아니면무엇이었는가.

<鳥瞰圖> LE URINE 부분63)


(1931. 8)

白紙위에한줄기鐵路가깔려있다. 이것은식어들어가는마음의圖解다. 나는每日


̇ ̇ ̇ ̇ 이라고. 또나는나의日用品을每日小包로發
虛僞를담은電報를發信한다. 명조도착
送하였다. 나의생활은이런災害地를닮은距離에漸漸낯익어갔다.

<距離>-女人이出奔한境遇- 전문64)

가장 먼저 “백지”가 나타나는 일문 시는 <조감도> 연작시 중 하나이다. <조

력을 푸코의 ‘도서관 현상’에 연결지어 이상 문학의 유추적 상상력으로 파악하였다. 이처럼 이상 문학


에 있어서 언어와 쓰기에 대한 문제는 줄곧 제시되어왔다. 임명섭, 「이상 문학에 나타난 책과 독서의
은유에 대한 연구」, 《순천향어문논집》, Vol.7 No.-[2001].
61) 박현수는 근대 수사학의 특성 중 치환의 수사학에 입각하여 이러한 은유를 문필 계열의 은유 체계로
보았다. 이는 이전의 우리 문학에서 거의 시도된 적이 없는 전혀 새로운 방법으로, 이러한 은유가 나
타나는 작품 중 <行路>와 <距離-女人이出奔한境遇>를 글쓰기에 대한 글쓰기, 즉 메타문학적인 작품이
라고 보았다. 그러므로 <行路>에 나타나는 좌절은 “현실 속에서의 글쓰기의 좌절”로 나타난다. 그는
이러한 문필 계열의 은유 체계를 르나르의 『전원수첩』과의 상호텍스트성에서 비롯된 것이라 본다.
박현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사학:이상문학연구』, 소명출판사, 2003, 156-164쪽.
62) ‘비유 체계’란 일련의 상관성을 지닌 비유적 어휘들의 정합적인 체계를 말하는 것으로, ‘의학(관련)
비유체계’는 줄여서 ‘의학 비유’로 표현할 수 있다. 레이코프와 존슨은 은유의 정합적 체계와 관련하여
‘시간은 돈’ 은유, ‘논쟁은 전쟁’ 은유 등으로 은유의 묶음을 정리하고 있다. 조지 레이코프․마크 존슨,
앞의 책, 박현수, 앞의 글 156쪽 재인용.
63)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1: 시』, 뿔, 2009, 233쪽.
64)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66쪽. 이 시는 일본어로 쓰인 이상의 유고시로, 1956년 임종국 편
집으로 『이상전집』을 통하여 소개되었다.

- 30 -
감도>에 나타나는 “페이지”(백지)는 역사책의 “비인 페이지”로, “수척하고왜
소한ORGANE65)를애무하면서” 넘기는 대상이다. 이는 “역사책비인페이지를넘
기는마음은평화로운문약”이라는 내용과 이어진다. “글에만 열중하여 정신적으
로나 신체적으로 나약한 상태”라는 뜻을 지닌 “문약66)”은 “역사책비인페이지
를넘기는” 행위의 결과이다. 즉 애무에도 불구하고 독서로 인하여 전연 흥분
되지 않는 상태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매장되어가는고고학”은 “과연성욕을느끼게함은없는바”로 나타
난다. 이 때 고고학 또한 역사책과 마찬가지로 성욕을 느끼게 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고고학이나 역사책이 성욕의 대상이 아니라기
보다는 ‘성욕을 느끼게 하지 못하는’, 즉 고고학과 역사책은 “문약”-“수척하고
왜소한ORGANE”의 원인67)이라는 것이다. 이는 지식과 이성의 은유인 고고학
과 역사책이 육체와 감성의 은유인 성욕과 성기를 억압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성과 육체는 서로 분리된다는 이분법적 질서에서 벗어나 이성이 육체에 영
향을 준다는 새로운 관계가 은유를 통하여 형성68)되는 것이다. 즉 역사책의
페이지는 시적 주체의 육체와 관계 맺는 대상임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거리>에 나타나는 백지는 “한줄기철로”를 더함으로써 “마음
의도해”로 구체화된다. 또한 백지는 매일 ‘나’의 허위를 발신하는 전보 용지69)
의 역할 또한 겸한다. 시적 주체는 여인이 자신에게서 떠나갔다는 사실과 그
로 인한 자신의 심정, 여인과 자신 사이의 거리의 요원함을 “철로”로 표현한

65) 프랑스어로 기관, 장치 등을 의미하나 속어로는 음경을 의미한다. 이 시에서는 “애무하는” 대상으로
서 음경으로 본다.
66) “문약”,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67) 시적 주체는 고고학의 이러한 속성이 가장 재미없는 것無味이라 말하며 소규모로나마 이동되어가는
실과 같은 동화가 아니면 아니되는 것이 아니면 무엇인가-즉 이처럼 재미 없는 고고학이란 실처럼 그
명맥을 겨우 유지하는 동화가 아니면 무엇이겠느냐며 설의說義하는데, 여기에서 고고학(과 역사)에 대
한 시적 주체의 부정적인 관점이 드러난다.
68) 이러한 관계는 다른 은유에서도 발견된다. <얼마 안 되는 변해(辨解)(혹은 일년이라는 제목) -몇 구
우舊友에게 보내는->에서는 “(……)그는 아득하였다. 그의 뇌수는 거의 생식기처럼 흥분하였다. 당장
이라도 폭렬爆裂할 것만 같은 동통疼痛이 그의 중축中軸을 엄습하였다. (……)”와 같이 이성의 은유인
뇌수가 감성이자 성욕의 은유인 “생식기처럼 흥분하였다”와 이어진다.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4: 수필 외』, 349쪽.)
69) 이어령은 “한줄기철로”를 통하여 백지를 원고용지의 은유로 보았으며(이상 저, 이어령 교주, 『이상
시전작집』, 갑인출판사, 1978, 152쪽.) 이승훈은 “전보를발신한다”에 주목하여 전보용지로 본다.(이승
훈, 『이상문학전집 1』, 문학사상사, 1989, 220쪽. 그러나 중요한 것은 백지가 어떠한 용지의 은유인
지 밝히는 것이 아니라, 그 은유가 어떤 의미를 함축하고 있느냐인 것이다. 원고용지 혹은 전보용지의
은유는 모두 ‘쓰기’와 연관되어 있으며, 시적 주체의 내면 풍경을 서술하거나 암시한다.

- 31 -
다. 백지 위의 “철로”는 “마음의도해” 뿐만 아니라 그 형태적 유사성으로 인
하여 재해지를 닮은 “거리”와 이어진다. 그러므로 이러한 거리와 “차차낯익어
가는” 생활이란 여인이 떠난 이후 느끼는 고통이 삶으로 이어짐을 시사한다.
백지 위의 “한줄기철로”는 “마음의도해”로서 시적 주체의 내면 풍경을 나타
내고, “명조도착”이라는 허위를 나타내는 기능 또한 지닌다. 이처럼 “백지”는
단순히 백지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그 위에 “철도” 혹은 “명조도착”이라는
전보의 내용이 ‘쓰여지는writing’ 것을 통하여 시적 주체의 내면을 표현한다는
점에 있어 쓰기의 은유 체계에 속하는 “백지”임을 함의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초기의 일문 시에서부터 백지는 단순히 필기구에 머무르지 않는다.
시적 주체의 육체뿐만이 아니라 내면과 관계를 맺는 시적 대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후 국문 시에 나타나는 백지 은유는 보다 확장되어 시적 주체의
‘삶’을 은유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오감도>와 <역단>을 통하여 보다 뚜
렷해진다.

罪를품고식은寢床에서잤다. 確實한내꿈에나는缺席하얏고義足을담은軍用長
靴가내꿈의 白紙를더럽혀노앗다.

<烏瞰圖> 詩第十五號 부분70)


(1934. 8. 8.)

그이는白紙우에다鉛筆로한사람의運命을흐릿하게草를잡아놓았다. 이렇게홀
홀한가. 돈과過去를거기다가놓아두고雜踏속으로몸을記入하야본다. 그러나거기
는他人과約束된握手가있을뿐, 多幸히空欄을입어보면長廣도맛지않고않드린다.
어떤뷘터전을찾어가서실컨잠잣고있어본다. 배가압하들어온다. 苦로운發音을다
생켜버린까닭이다. 奸邪한文書를때려주고또멱살을잡고끌고와보면그이도돈도
없어지고疲困한가멀건이앉어있다. 여기다座席을두어서는않된다고그사람은이
로位置를파헤처놋는다. 비켜스는惡食에虛妄과複讐를느낀다. 그이는앉은자리에
서그사람이平生을살아보는것을보고는살작날아나버렸다.

70)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1: 시』, 84쪽.

- 32 -
<易斷> 易斷 전문71)
(1936. 2.)

<오감도> 시제15호에서 ‘나’는 “죄를 품고” 잠드는데, 이 때 ‘나’의 꿈에 나


타나는 군용장화가 “내꿈의 백지를더럽”힌다는 내용은 군용장화가 화자의 무
의식의 공간(꿈)을 침탈하는 행위를 나타낸다. 또한 군용장화가 백지를 더럽힌
다는 것은 백지를 군화로 짓밟는 동작으로 연결되며, 이러한 동작의 이미지를
통하여 군용장화에 더럽혀진 백지의 은유는 억압의 이미지를 내포한다. 또한
“확실한내꿈에나는결석하”였다는 것은 꿈의 주인이 ‘나’임을 강조하며, “의족
을담은군용장화”는 <12월 12일>에 나타나는 백부의 속성인 절름발이72)와
“군용장화”라는 강력한 억압의 상징을 함의하는 은유이다.
뿐만 아니라 “~았다”라는 과거형 어미는 비극적 결말, 이미 더럽혀진 백지
를 바라보는 시적 주체의 시선을 나타낸다. 이는 “결석”하였기 때문에 “군용
장화”를 막을 수 없었던 이유와 더불어 ‘나’의 무력함을 나타내며, 이를 통하
여 ‘나’와 대조되는 군용장화의 강력함을 부각한다.
<오감도> 시제15호에서 나타나는 ‘더럽혀진 백지’의 은유적 이미지는 <역
단>에서 반복된다. “그이는백지우에다연필로한사람의운명을흐릿하게초를잡아
놓았다”라는 부분에서 흐릿하게 잡은 운명의 초는 시적 주체가 그린 것이 아
니라 타자에 의하여 만들어졌다는 맥락에서 “나”의 꿈의 백지 위에 찍힌 흐릿
한 발자국과 같은 이미지로 작동한다.
또한 초는 시적 주체에게 있어 “이렇게홀홀73)한가”라는 판단을 불러일으킨

71)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13쪽.


72) <12월 12일>의 주인공 X는 동생 T와 조카 업의 관계는 현실의 이상의 백부이자 양부, 친부, 이상
자신의 관계와 유사하다. 텍스트와 현실의 관계에 대한 조명은 <12월 12일>에서 업의 죽음이라는 거
대한 전환점 이후에 나타나는 괄호 안의 말(가련한 백부의 그를 입회시킨 다음 업은 골수에 사무친 복
수를 수행하였다. (이것은 과연 인세의 일이 아닐까? 작자의 한 상상의 유희에서만 나올 수 있는 것일
까?)”로 나타난다. 괄호 안의 말은 김승희의 지적처럼 “코러스나 코러스 리더의 입을 통해 관객들에게
직접 말을 함으로써 극 전체의 분열을 초래하는 시인의 말”인 파라바시스(「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성
의 파놉티콘”과 아이러니, 멜랑콜리」, 20쪽.)로, 작가의 직접적인 말로 읽을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볼 때, 절름발이 은유는 <12월 12일>에서 도로꼬 사고로 인하여 절름발이가 된 X(백부)의
제유라고 볼 수 있다. 절름발이 은유는 백부뿐만이 아니라 ‘나’로 나타나는 시적 주체에게서도 나타나
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논하도록 하겠다.
73) “홀홀하다”는 1. 조심성이 없고 행동이 매우 가볍다, 2. 별로 대수롭지 아니하다, 3. 문득 갑작스럽
다. 세 가지 의미를 지닌다. 이 시에서는 “한 사람”의 운명을 가볍게 생각하여 대수롭지 않게 잡은
“그이”의 초에 대한 시적 주체의 평가라고 봄이 타당할 것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33 -
다. “한사람의운명”인 “초”가 별로 대수롭지 아니하거나 매우 가볍다는 판단
은 초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드러낸다. 시적 주체는 “돈과과거를거기다가놓아
두고”, 즉 자신이 지닌 물질적 풍요(돈)와 과거라는 자신의 운명에서 벗어나
“잡답속으로”, 즉 사람들이 북적거리는 현실로 들어가는 시도를 행한다. 그러
나 그 곳에서도 “타인과약속된악수”가 있는 곳일 뿐, 시적 주체가 바라는 공
간이 아님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다행히공란을입어보면장광도맛지않고않드린
다”라는 진술이 이어지는 것이다. 이는 잡답, 현실 안에서 빈 공간에 몸을 기
입하였으나 자신에게 길이도 넓이도 맞지 않음을 다행으로 여기는 것이다.
“그이”가 잡아 놓은 운명에서도 “잡답” 안에서도 자신에게 맞는 것이 없음
을 깨달은 시적 주체는 “실컷잠자코있어”본다. 이는 운명과 세상에 대한 피로
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것도 하지 않음에도 불
구하고 “배가아파들어”오는데, 그 이유는 “고로운발음을다삼켜버린까닭”이다.
침묵을 지키고 언어를 놓음으로써 추구하려 했던 편안함은 없으며, 오히려 복
통이라는 고통이 유발되는 것이다. 이는 시적 주체와 언어 사이의 불가분적인
관계를 시사한다. 잡답 안에서도 좌절을 느낀 시적 주체는 “공란”이 있는 현
실의 은유인 “간사한문서”를 “때려주고또멱살을잡고끌고”오지만 “그이도돈도
없어지고피곤한과거가멀거니앉아있”을 뿐이다. “그사람”, 즉 “한사람”은 이러
한 운명에 끝끝내 맞서기 위한 방편으로 “이로위치를파헤쳐놓는다.” 피곤한
과거가 남은 자리에 앉을 자리, 쉬거나 주저앉을 자리를 없애 버리는 몸짓인
것이다. “그사람”의 처절한 몸부림으로 이루어진 평생을 보던 “그이”는 “살짝
달아나”버린다. 사람의 운명을 잡는 절대자적 존재인 “그이”가 달아나는 모습
은 그가 지닌 힘과 맞지 않게 무책임하고 치졸한 면모를 지님을 암시한다. 이
는 시적 주체가 지니는 “그이”에 대한 반감이 전제되어 있음을 나타내지만,
“그이”의 로고스에서 적극적으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잠자코”있
는 소극적인 자세를 보인다.
<오감도> 시제15호에서의 “군용장화”와 <역단>의 “그이”는 시적 주체에게
있어서 같은 억압의 대상74)으로 나타난다. 이는 시적 주체에게 있어서 스스로
백지 위에 초를 잡지 못하는 상황, 스스로의 삶을 설계할 수 없는 상황의 원

74) <오감도> 시제15호에서의 군용장화의 이미지를 상징계와 더불어 오는 부권표상의 은유로, <역단>의
“그이”를 큰타자 A로-<문벌>, <육친>, <오감도> 시제 14호에서의 ‘나-상징적 아버지(아버지의 이름)’
의 관계와 같다고 본 김승희의 논의가 있다. 김승희, 『이상 시 연구』, 보고사, 60, 130쪽 참고.

- 34 -
인이며 이 상황이 곧 시적 주체가 겪는 콤플렉스75)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주
체성의 상실과 운명적 억압은 <12월 12일>에 나타나는 ‘나’의 공포와 연결된
다. 그렇다면 <조감도> LE URINE에서 나타난 “성욕을느끼게함은없는”, 즉
리비도가 나타나지 않는 원인을 밝힐 수 있는데, “역사책비인페이지”와 “매장
되어가는고고학”은 “군용장화”와 “그이”와 같은 억압의 은유이자 역사책은 역
사라는 거대한 이데올로기의 집합체를 강자가 ‘적은’ 책으로, 시적 주체의 콤
플렉스를 건드리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삶이 백지의 은유로 나타나고 운명적 억압이 군용장화, 그이, 역사책 등으로
은유되며, 억압받는 삶이 시적 주체의 콤플렉스일 때, 이에 저항하는 시적 주
체는 어떻게 은유되어 나타나는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12월 12
일>의 서문과 <오감도>시제15호, <역단>에서 나타나는 운명적 억압에 대한
시적 주체의 자세를 미루어본다면, 누군가에 의해 ‘이미 초를 잡힌’ 백지 위에
서 시적 주체는 “그이”의 도구인 “연필”의 반대적 입장을 취한다고 봄이 타당
할 것이다.

담배 연기의 한 무더기 그 內室에서 나는 긋지 아니한 성냥을 몇개비고 부


러뜨렸다. 그 內室의 煙氣의 한무더기 點火되어 나만 남기고 잘도 타나보다
잉크는 축축하다 鉛筆로 아뭏게나 시커먼 面을 그리면 鉛粉은 종이 위에 흩
어진다

<喀血의 아침> 부분76)


(1933. 1. 20.)

<각혈의 아침>에서는 연필과 잉크가 동시에 나타난다. 잉크가 지닌 액체성


과 연필이 지닌 고체성은 단순한 나열만으로도 두 요소가 대비됨을 제시하고

75) “무의식 속의 여러 원형들의 이야기, 즉 개인신화가 작품을 통해 재구성되는 것이다. 원형


(archetypes)은, 모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이미 무의식 속에 만들어져 있다. 즉 원형은 집단 무의식
적으로 생성된 보편적인 것이다. 이미 형성되어 있는 어머니의 이미지는 현실의 어머니가 나타나서 함
께 행동하고 서로 관계를 맺음으로써 그 이미지가 발달해 간다. 그러나 개인차 종족 또는 집단차는 존
재한다. 그리고 심리학이 그러하듯이 원형들은 근본적으로 가족관계를 상정한다. 또 원형은 콤플렉스
의 핵이다. 마치 자석처럼 어떤 한 원형과 관계된 경험을 끌어 모아 콤플렉스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개인신화는 그의 콤플렉스적인 이야기를 얻어내는 행위이기도 하다.” 배현식, <Andromaque>에 나타
난 라신느의 개인신화, 동대논총, Vol.25 No.1, [1995], 195쪽.
76) 이상 저, 김주현 주해, 『정본 이상문학전집 1 : 시』, 소명출판사, 2005, 193쪽.

- 35 -
있는 것이다. “연필로 아뭏게나 시커먼 면을 그리면 연분은 종이 위에 흩어진
다”는 부분은 <역단>의 “그이”가 “연필로 초를 잡”는 행위와 이어진다. “이렇
게홀홀한가.” 조심성 없이 운명의 초를 잡는 행위는 “아뭏게나 시커먼 면을
그리는” 행위와 유사하며, “아뭏게나” 면을 그린 행위는 종이 위에 연분77)을
흩뜨림으로써 종이 위에 연필 자국을 남기는 결과를 낳는다. 아무리 옅고 흐
린 자국이라 하더라도 초를 잡힌 종이는 결코 이전의 백지로 돌아갈 수 없음
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처럼 억압의 은유로 나타나는 연필의 반대물이 잉크라
면 잉크가 텍스트 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 ̇ ̇ 78)가엎질러진角雪糖이三輪車에積荷된다.
검정잉크
名銜을짓밟는軍用長靴. 街衢를疾驅하는造花金蓮.

<建築無限六面角體> AU MAGASIN DE NOUVEAUTES 부분79)


(1932. 7.)

<건축무한육면각체> AU MAGASIN DE NOUVEAUTES는 잉크가 처음으


로 나타나는 시로, 백화점을 의미하는 부제(새로운 것들이 있는 가게에서)에서
도 볼 수 있듯 백화점의 모습과 내부의 물건들을 나열하듯 묘사하고 있다. 이
시에서는 “검정잉크가엎질러진각설탕”이 “삼륜차에적하된다”는 모습이 제시되
는데 이 때 각설탕은 “청렴한이국정조80)”를 지닌 대상이며, 각설탕을 싣는 삼
륜차 역시 마찬가지로 근대성을 담지하는 시어이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잉크
는 근대성의 상징들 안에서 어우러지는 표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국문 시로
넘어오면서부터 잉크는 ‘피’와 연결되면서 시적 주체를 은유하는 대상으로 점

77) 연분鉛粉은 사전적 의미로는 화장품을 의미하나, 종이 위에 연필로 면을 그렸다는 시적 정황과 연필


鉛筆과 연분鉛粉의 공통 단어(鉛)를 통한 언어유희라고 보는 편이 타당하므로 이 글에서는 연필 가루
로 본다.
78) 1956년에 발간된 임종국 편의 『이상전집』에서는 “파랑잉크”로 번역하였으나 원문이 “黑亻ソクの
溢”이라는 점을 들어 본고에서는 “검정잉크”로 바꾸었다.
79)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17쪽.
80) “(…)이러구려數字의COMINATION을忘却하였던若干小量의腦髓에는雪糖같이淸廉한異國情調를입술우
에꽃피워가지고있을지음(…)” <鳥瞰圖> LE URINE,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233쪽. 이 시에서
나타나는 설탕은 “청렴한이국정조”의 은유이며, 이러한 이국정조는 숫자의 조합을 망각하였던 약간의
뇌수를 가수면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 36 -
차 구체화된다.

나는거울업는室內에잇다. 거울속의나는역시外出中이다. 나는至今거울속의나


를무서워하며떨고잇다. 거울속의나는어디가서나를어떠케하랴는陰謀를하는中
일가.

내왼편가슴心臟의位置를防彈金屬으로掩蔽하고나는거울속의왼편가슴을견우
어拳銃을發射하얏다. 彈丸은그의왼편가슴을貫通하얏스나그의心臟은바른편에
잇다.

模型心臟에서붉은잉크가업즐러젓다. 내가遲刻한꿈에서나는極刑을바닷다. 내
꿈을支配하는者는내가아니다. 握手할수조차업는두사람을封鎖한巨大한罪가잇
다.

<烏瞰圖> 詩第十五號 부분81)


(1934. 8. 8.)

<오감도> 시제15호에서 시적 주체는 거울 속의 자신을 “무서워”하면서도


“자살을권유”함으로써 거울 속의 자신을 “해방”시키려 한다. 이는 억압 중에
있는 분열된 자아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죽음뿐이라는 극단
적인 상황을 시사한다. 이러한 극한 상황의 결과로 시적 주체는 거울 속의 자
신을 향해 “권총을발사”하지만 거울 안의 자신의 심장은 “바른편”에 있으므로
거울 속의 자신을 죽이는 일은 실패로 끝난다.
이 때 “모형심장에서붉은잉크가업즐러”지는데, 이는 거울 속의 자신의 심장
에서 흐르는 피의 은유이다. 또한 6연에서는 “내가지각한꿈에서나는극형을바

81)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84쪽.

- 37 -
닷다./내꿈을지배하는자는내가아니다./악수할수조차업는두사람을봉쇄한거대한
죄가잇다.”를 통하여 온전히 자신의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꿈에서조차 스스로
지배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앞선 2연에서의 “확
실한내꿈에나는결석하였고의족을담은 군용장화가내꿈의 백지를더럽혀놓았다.”
는 진술과 이어진다. “꿈의 백지를 더럽”히는 군용장화는 “내꿈을지배하는자”
로 이어지며, 시적 주체가 극형을 받은 이유는 거울 속의 나를 해방하려는 시
도에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내꿈의 백지를 더럽”히고 “두사람을봉쇄한” 군
용장화는 이상 자신이 존재하던 “경성 거리를 장악하고 있는 파시즘적”82) 권
력이다. 제국주의적 파시즘은 극단적인 이분법적 로고스를 바탕으로 하는 이
데올로기이며,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과 평준화를 강요하던 제국주의적 파
시즘에 있어 개인이란 통제해야만 하는 것이므로 개인의 무의식 또한 통제와
검열의 대상이 된다. 그러므로 더럽혀진 “내” 꿈의 백지란 이러한 세계 안에
서 살아가는 개인은 불가피하게 파시즘에 어느 정도 오염될 수밖에 없다는 사
실을 고발하는 것이며, “악수할수조차업는두사람”, 분열된 자아라는 개인의 세
계를 “봉쇄한거대한죄” 또한 이러한 파시즘적 질서에 대한 저항의 정신83)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거울 속의 자신을 해방하려는 시도는 실패로 끝났으나 그 행위를 통하여 알
수 있게 된 것은 거울 속의 나는 ‘붉은 잉크가 흐르는 모형심장을 지닌’ 존재
라는 사실이다. 이처럼 피를 잉크로 은유하는 양상은 거울 밖의 나, 즉 현실의
시적 주체에게서도 나타나며84), 이러한 은유의 연결고리는 잉크가 시적 주체
인 ‘나’를 이루는 부분이자 ‘나’의 제유임을 의미한다.

기침이난다. 空氣속에空氣를힘들여배앗하놋는다. 답답하게걸어가는길이내스

82) 신형철, 「이상 시에 나타난 시선의 정치학과 거울의 주체론」, 신범순 외, 『이상 문학 연구의 새로
운 지평』, 도서출판 역락, 2006, 288쪽.
83) “집단의 세계, 전체주의 체제만을 옹호하던 당대를 거스르는 행위 즉, 개인의 세계로 빠져드는 것은
반파시즘의 세계로 빠져드는 것이기도 하다.” 김효신, 「이상(李箱)의 시와 시대적 저항성」, 《한민족
어문학회》, Vol.61 No.- [2012], 357쪽.
84) 이는 “거울속의나”와 “나”의 동일한 행위에서도 나타난다. 1연에서 “거울없는실내”에 있는 “나”와 마
찬가지로 “거울속의나는역시외출중”이라고 서술하며, “나는지금거울속의나를무서워하며떨고있다.”라는
진술은 3연에서 “내가그때문에영어되어있드키그도나때문에영어되어떨고있다.”로 이어진다. “나”와 “거
울속의나”는 서로를 “거울밖”과 “거울속”에 가두는 원인이며, “내가자살하지아니하면그가자살할수없음
을” “나”에게 가르치는 “거울속의나”의 진술은 “나”와 “거울속의나”가 운명공동체라는 사실을 시사한
다.

- 38 -
토오리요기침해서찍는句讀을심심한空氣가주믈러서삭여버린다. 나는한章이나
걸어서鐵路를건너질를적에그때누가내經路를듸듸는이가있다. 압흔것이匕首에
버어지면서鐵路와열十字로어얼린다. 나는문어지느라고기침을떨어트린다. 우슴
소리가요란하게나드니自嘲하는表情우에毒한잉크가끼언친다. 기침은思念우에
그냥주저앉어서떠든다. 기가탁막힌다.

<易斷> 行路 전문85)
(1936. 2.)

이 시의 중심 소재는 기침이며, 이를 통하여 자신과 삶에 대한 관점이 연속


적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 문장 “답답하게걸어가는길
이내스토오리요기침해서찍는句讀을심심한空氣가주믈러서삭여버린다.” 에서는
“답답하게걸어가는길”을 “내스토오리”로 은유하며 “기침해서찍는句讀”에서는
기침으로 인한 각혈을 구두句讀로 은유하고 있다. 답답하게 걸어가는 길이
“내스토오리”이기에 길은 단순한 길이 아니라 삶이며, 삶은 스토리로 은유된
다. “나는한장章이나걸어서”에서는 길이의 단위인 장丈이 아닌 글의 단위인
장章을 씀으로써 동음이의에 의한 언어유희와 함께 앞선 삶의 은유-스토리-
를 뒷받침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어서 “鐵路를건너질를적에그때누가내經路를듸듸는이가있다. 압흔것이匕首
에버어지면서鐵路와열十字로어얼린다.” 누군가가 내가 지나는 길을 디디었다
는 진술 이후에 이어지는 내용은 ‘아픈 것이 비수에 베어지면서 (내가) 철로와
열십자(모양으)로 어얼린다(얽힌다).’이다. 이후 “나는문어지느라고기침을떨어
트린다.”는 문장을 미루어 보면 ‘누군가가 비수로 나를 베었고, 그로 인하여
나는 철로에 열십자로 무너지며 기침을 하게 되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즉 누
군가가 비수로 ‘나’를 그은 것이 기침의 원인이라는 것인데, 이는 기침으로 인
한 각혈을 ‘비수에 베어’ 피가 흐르는 것으로 은유한 것이다. 그렇다면 ‘나’의
기침의 원인은 “누군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첫 각혈이 1930년
여름이었고 그의 첫 작품인 <12월 12일>이 1930년 2월부터 연재되었다는
사실86)을 미루어 볼 때 이상의 창작의 역사는 결핵과 같은 역사를 지닌다. 즉

85)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16쪽.


86) “이상의 친구 문종혁의 증언에 따르면, 이상이 처음 각혈을 시작한 것은 1930년 여름이다. 그는 또
한 <病上以後>가 그 때에 쓰인 작품임을 진술하였는데, 이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이상에게 적어도 1930

- 39 -
시적 주체에게 있어서 기침은 곧 결핵을 은유하며, 결핵의 원인이 “누군가”라
면 그는 자신에게 결핵이라는 병을 내린 운명(적 존재)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다음 문장인 “우슴소리가요란하게나드니自嘲하는表情우에毒한잉크가끼언친
다. 기침은사념우에그냥주저앉어서떠든다. 기가탁막힌다.”에서 ‘표정(얼굴)위에
독한 잉크가 끼얹’힌다는 표현은 기침으로 인해 얼굴에 피가 번진다는 모습을
은유한 것이다. <오감도> 시제15호의 “거울속의나”와 같이 현실의 ‘나’ 또한
몸 안에 잉크를 지녔다는 진술이 반복된다. ‘기침이 사념 위에 주저앉아 떠든’
다는 것과 ‘기가 탁 막힌다’는 표현은 그만큼 결핵이 주는 고통이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육체적 질병과 고통은 앞에 나타난 “답답하게걸어가는
길”의 원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오감도> 시제15호와 <역단> 행로에서 나타나는 잉크의 은유가 저항 담론
을 지니는 이유는 <12월 12일>의 서문에 나타나는 에피그램을 반복하고 있
기 때문이다. <오감도> 시제15호에 나타나는 “군용장화”는 “내꿈”을 침탈하
는 존재이며, “거울속의나”를 “해방하려”는 “나”의 계획-거울을 향한 발사는
“내가지각한내꿈”에서 실제 꿈의 주인인 “나”가 “극형”을 받는 원인이다. “내
꿈을지배하는자는내가아니다.”에서는 “나”를 억압하는 “군용장화”의 존재가
암시되며, 마지막 문장인 “악수할수조차없는두사람을봉쇄한거대한죄가있다.”
는 “나를거울에서해방하려”는 “나”의 의지가 ‘죄’라면 그보다 더욱 큰 “거대한
죄”란 곧 거울이라는 면에 가로막혀 “악수할수조차없는두사람”, 즉 “나”와
“거울속의나”의 교류와 “해방”의 시도를 “극형”을 받을 ‘죄’라고 규정짓는
“군용장화”임을 시사한다. 즉 “군용장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드러나는 대
목이다. “나”는 “군용장화”가 허락하지 않은 해방을 위하여 “거울속의나”의
왼편 가슴에 “권총을발사”하는 ‘죄’를 지으며, 이 ‘죄’의 결과가 바로 “모형심
장”에서 엎질러진 “붉은잉크”이기 때문이다.
<역단> 행로에서 나타나는 것은 “나”의 삶에 대한 은유이다. 나의 삶은 “스
토오리”면서 “나”는 몸에 “잉크”를 지니고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이러한 삶
을 뒤에서 비수로 베면서 “나”를 쓰러뜨리는 “이”가 있다. 그로 인하여 내 기
침의 원인이 “누가” 비수로 벤 까닭이라고 구체화되며, 이로 인한 고통과 허

년에 각혈 등의 결핵 증세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실은 그의 유고인 <1931년(작품 제


1번)>을 통해서 확인이 된다.” 김주현, 「이상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12월 12일>, <종생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3, 1994, 155-156쪽.

- 40 -
탈함은 “기가탁막힌다”라는 진술로 나타난다. 즉 “나”의 기침과 고통은 나 자
신이 아닌 누군가의 의지로 인한 것이며, 그 결과인 각혈은 잉크로 은유됨으
로써 <오감도> 시제15호에서의 “거울속의나”와의 겹치는 은유로 인하여 “나”
의 은유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킨다는 점에서 잉크는 각 시에서 ‘저항하는 나’
의 은유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인다.
지금까지 텍스트 겹치기를 통하여 쓰기 은유 연상망이 삶은 백지, 자아는
잉크, 운명(적 억압)은 연필의 은유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백지
는 ‘성욕을 느끼게 하는 바가 없는’ 역사책의 비인 페이지에서 ‘나’의 마음의
도해를 그리는 바탕으로, ‘나’의 꿈-무의식을 담지하는 대상으로, 누군가-
‘나’-의 운명의 초를 잡는 곳으로 점차 그 의미를 뚜렷하게 드러낸다. 연필은
이러한 의미를 지닌 흰 종이에 흔적을 남기는 억압의 존재로 나타나며, 군용
장화 또한 흰 종이(삶) 위에 소유자인 ‘나’의 허락이나 동의 없이 종이를 더럽
혔다는 사실에 있어서 같은 궤에 존재한다.
‘나’의 삶의 은유로서의 백지87)와 ‘나’의 삶을 기정旣定한 억압의 은유인 연
필의 관계는-통상적인 백지와 연필의 관계에서 추측할 수 있듯-삶이 억압에
의하여 쓰여질 수밖에 없는 은유적 구조88)를 지닌다. 이는 시적 주체의 콤플
렉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콤플렉스의 은유, 즉 “쓰인 객체”
의 은유를 전환하는 새로운 은유가 등장하는데, 바로 시적 주체(피)의 제유이
자 문자성을 내포하는 잉크이다.
연필로 인하여 백지는 더 이상 본래의 백지로 돌아갈 수는 없지만 ‘나’는 이
러한 상황을 받아들인다. ‘누군가’가 벤 것-결핵이라는 운명적 질병-의 결과

87)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적 집합에 대한 해석으로 정열을 묵흔과 피, 인생길을 붓글씨의 흐름과
혈액의 전체 순환으로 본 김옥순의 논의가 있었으나, 이미 더럽혀진 백지(삶)를 받아들이고 잉크(자기
자신, 피)로 자국을 덮겠다는 의지를 보인다는 본고의 논의와 달리 김옥순은 이상은 은유의 언어를 통
해 지나온 인생을 ‘백지로 돌리고’ 창백한 기절 상태로 다시 태어나고 싶었다는 논의를 전개한다. 하지
만 본고에서는 ‘백지로 돌아’가고파하는 도피적인 희망이 아닌 현재의 더럽혀진 상태를 받아들이고 그
것을 덮음으로써 극복하려 한다는 논의를 취한다. 김옥순, 앞의 책, 128쪽.
88) 이러한 은유적 구조는 서로 다른 두 개(이상)의 두 개의 다른 것들을 연결하는 패턴을 밝힌다. 이 은
유 구조에서 나타나는 대응은 비선적 대응인데, 비선적 대응은, 칸트의 4항 유추인 “A와 B의 관계는
C와 D의 관계와 같다”에 의해 재현된다. 이 유추의 관계는 매우 유사하지 않는 것 사이에서, 두 개의
대상 사이의 닮음이 아니라 두 관계 사이의 닮음이다. 즉 “A와 B의 관계는 C와 D의 관계과 유사하
다.”는 것이다. 즉 이상의 텍스트에서는 “‘나’의 삶과 운명(적 억압)의 관계는 백지와 연필과 같다”로
볼 수 있다. 코프는 상담자가 내담자가 나누어져 상담자가 은유 이미저리를 탐색하고 그를 전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치유를 꾀한다고 보지만 본고는 분열된 시적 주체가 각각 내담자와 상담자의 역할을 한
다고 본다. Richard R. Kopp. 앞의 책, 98-99쪽 참고.

- 41 -
물인 피를 잉크로 은유함으로써 연필로 인해 더럽혀진 백지(삶)를 ‘다시 쓰는’
은유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다.
연필의 고체성은 “시커먼” 면을 만들거나 “흐리게 초를 잡”지만 잉크는 그
보다 더욱 농밀한 액체성을 지닌 은유물이며, 바람(풍화성風化性89))에 의해
연필은 고작 자국을 내며 흩날리지만 잉크는 오히려 바람에 의하여 마르고 연
필보다 더욱 짙게 백지를, 즉 삶을 자신의 의지로 표현할 수 있다는 은유를
생성한다.
이는 백지-연필로 구성된 은유적 구조가 백지-연필-잉크의 은유적 구조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은유적 이미지가 변화된다는 것은 상황에 대한
당사자의 은유적 의미가 바뀌었다는 것을 뜻한다. 즉 이상은 외부의 억압으로
인해 스스로 건설하지 못한 삶에 대한 비극적 의미에서 그 상황을 감내하고
나아가고자 하는 의미로 변화하는 치유를 보이는 것이다.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이상이 “쓰기”를 중심으로 은유의 이미지를 형성
하였을 때, 억압의 은유 또한 그 구조에 포함시켰다는 사실이다. 연필과 잉크
는 같은 “쓰기”-쓰는 도구의 패러다임에 존재한다. 즉 이상은 자신에게 이미
부여된 억압을 회피하거나 자기파괴로 나아가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아무
리 억압적인 세계라 하더라도 그 세계 안에 존재하는 자신을 수납함을 바탕에
두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은 오히려 그 억압의 구조(쓰기)를 통하여 ‘초를
잡힌 백지’를 받아들이고 ‘잉크’로 다시 “쓰려”는 역설적인 극복의 방향90)을
보이며, 이러한 은유 구조는 ‘쓰인 객체’에서 ‘쓰는 주체’로 나아가려는 의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은유의 변화를 메타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은유 백지-연필의 은유 연상망 백지-연필-잉크의 은유 연상망

자신 self 확실한 내 꿈에 결석하고 의족을 기정된 백지 위의 잉크

89) 풍화성은 그 의미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시간적 요소를 전제하므로, 이에 대조되는 잉크는 연필과 달
리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 또한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90) 김승희는 이상의 ‘쓰기’를 상징계적인 세계에 대한 이상의 유일한 봉합으로 본다. 인간은 상상계에서
상징계로 넘어오면서 언어의 지배 하에 놓이기 때문이다. 언어는 상징계의 또 다른 얼굴이다. “‘아버지
의 이름’이 자신에게 이름짓기를 통해 부여한 시니피앙(김해경)까지를 거부하면서 그는 자기 시대의
모든 상징적 질서와의 봉합(Suture)을 거부했다. 그에게 봉합이 있었다면 언어체계, 즉 타자들의 언술
체계를 받아들여 혁명적 실천과도 같은 텍스트적 실천을 하였다는 것뿐이었다.” 김승희, 앞의 책, 327
쪽.

- 42 -
담은 군용장화가 내 꿈의 백지를
더럽힘
삶 life 그이에게 초를 잡힌 백지 걷는 길이 나의 스토리
거울 속의 내 왼편 가슴을 향해
자신의 자아 거울 속의 나를 두려워하고 음모
총을 발사함으로써 그를 해방하려
self-self 를 꾸민다고 생각함
는 죄를 지음
타인과 약속된 악수가 있을 뿐 공
자신의 삶 내 꿈에서 극형을 받았으나 더 큰
란에 몸을 기입해도 장광이 맞지
self-life 죄가 있음을 언급함
않음

즉 백지-연필의 은유 구조에서는 자신의 삶을 운명적 억압에 의하여 초를


잡힌 백지로 바라봄으로써 연필이 지니는 강력함과 이미 더럽혀진 자신의 삶
에 대한 불화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것에 머무른다. 그러나 연필과 반대되는
대상인 잉크는 새로운 은유 구조를 생성한다. 잉크는 피와 시적 주체의 은유
이며, 백지 위에 초를 잡은 연필을 덮고 그 위에 자신의 이야기를 다시 ‘쓰는’
기능을 한다. 이는 더럽혀지지 않은 백지/더럽혀진 백지라는 강박적 이분법에
서 벗어나는 방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양자택일의 세계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제 3의 방편을 택하는 것이다.
또한 잉크는 거울 속의 자신과 거울 밖의 나를 매개하는 대상이다. 거울 속
의 분열된 자아 또한 거울 밖의 자신과 마찬가지로 잉크를 지니는 존재이기에
거울 속의 자신을 타자화하고 두려워하는 자아에서 그를 해방하려 함으로써
붉은 잉크의 존재를 알게 된 자아로의 은유 변화는 자신과 거울 속의 자신이
라는 패러독스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이분법적 로고스에서 다소 벗어난 양상이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억압적 로고스인 “그이”
의 초를 피해 맞지 않는 공란에 몸을 기입하는 소극적 저항에서 “극형”을 받
을 정도로 적극적인 저항으로 나아가는 시적 주체의 모습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꿈의 백지를 더럽히는 제국주의적 파시즘의 은유인 “군용장화”의 “거
대한 죄”를 고발하는 모습 또한 로고스적 세계에 대한 적극적인 저항의 의지
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43 -
3. ‘다시 쓰는 주체’로서의 이상

백지를 삶으로, 연필을 그 삶에 자국을 내는 억압으로, 잉크를 억압의 결과


이자 역설적으로 그 억압을 극복하고자 하는 ‘쓰는 주체’의 은유라는 것을 쓰
기의 은유 연상망을 통하여 밝혔다면, 이 장에서는 두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
유 변화를 바탕으로 “다시 쓰기”로 인하여 나타나는 은유 변화와 그 의의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상의 작품 중에서는 그 내용과 형식이 거의 유사한 텍스트들이 존재하는
데, 본고에서는 이를 자기패러디self parody의 관점에서 분석하려 한다.91) 자
기패러디는 패러디92)의 한 유형으로, 자신의 텍스트를 패러디의 대상으로 삼
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먼저 패러디가 지니는 원텍스트에 대한 양면성, 즉
존중과 비난이라는 속성을 바탕으로 자기패러디에 대해 언급하려 한다.
로즈는 텍스트 사이의 관계에 집중하여 메타픽션적 관점에서 패러디를 바라
보았는데, 자기패러디는 이러한 메타픽션적 패러디의 기능이 두드러지게 나타
나는 유형으로 보았다. 메타픽션에서의 자기 참조의 문제들은 다른 픽션들을
패러디함에 있어서 그 자체의 비판점을 시사하고 자기패러디의 형태로 메타픽
션적인 패러디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자기패러디는 패러디의 한 모델처럼 작
가의 이전 텍스트, 문체, 혹은 그의 논의를 재기능하는 데에 사용된다. 원텍스

91) “바흐친은 ‘모든 반복과 답습’을 패러디의 본질로 보고 있다. 반복(repetition)이란 선례와 선행을 뒤
따르는 행위이다. (……) 따라서 모방이 원전으로 회귀하려는 속성을 가진다면 패러디는 반대로 원전
으로부터 멀어지려는 성향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다른 예술적 모델에 대한
의식적 아이러니 혹은 냉소적 환기’(Encyclopedia of Contemporary Literature Theory, University
of Toronto Press)라는 정의는 패러디에 대한 합당한 이해인 것처럼 생각된다.” 한용환, 『소설학 사
전』, 문예출판사, 1999, 460-462쪽 참고.
92) 린다 허천은 패러디를 그것이 지닌 아이러닉한 초문맥성과 전도에 있어서 “차이를 가진 반복”으로
보았으며, 패러디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 원텍스트와 이를 패러디한 텍스트 사이의 비평적 거리가 암시
되며 이는 아이러니에 의해 표시된다고 보았다.(린다 허천, 김상구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55-56쪽 참고.) 즉 패러디는 차이를 내포하고 그것에 역점을 두는 반복이며, 비평적이고 아이
러닉한 거리를 지닌다는 것이다. 아이러니와 패러디의 최종적인 의미는 그들이 작동하는 두 개의 층위
-표면적 전경(패러디 텍스트)과 암시적 후경(원텍스트)-이들 의미의 층들이 포개져 있다는 사실을 인
식하는 데에 있으며(린다 허천, 앞의 책, 59쪽.), 패러디는 자신이 패러디하는 대상을 인정한 후 전복
시키는 합법적인 위반(린다 허천, 장성희 역,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과 전략』, 현대미학사, 1998,
168쪽.)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마가렛 로즈 또한 패러디를 원텍스트와 모방 텍스트 사이의 희극적
불일치의 효과를 모방과의 중요한 차이라고 보았다.(92) Magaret A Rose, Parody//meta-fiction: An
Analysis of Parody as a Critical Mirror to the Writing and Reception of Fiction, Croom Helm,
1979, p.25.) 즉 패러디가 지니는 양면성을 패러디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본 것이다.

- 44 -
트이자 풍자와 비난의 대상에 대한 패러디스트의 양면성은 자기패러디에서는
아이러니로 변형된다. 원텍스트에 대한 패러디스트의 양면적 태도인 경쟁과
비난이라는 태도는 자기패러디에서 분명해진다.93)
이러한 자기패러디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자기패러디 텍스트는 작가의 이전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관점과 논의를 재기능하므로 텍스트의 변화 양상을 나타
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이상은 시를 ‘다시again’ 씀으로써 이전의 의미
를 반복하는 듯 보이지만 ‘다시afresh’ 씀으로써 달라진 양상을 강조하고 오
히려 이전의 텍스트에서 멀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그렇다면 텍스트 사이에서
의 은유 변화를 포착하고 이 변화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지에 대하여 규
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94)95)
먼저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또다른 연작인 대낮-어떤ESQUISSE-96)는 자
기패러디의 방식을 통하여 새로운 면모를 보인다.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 이
시텍스트가 어떤 것에 대한 ESQUISSE, 즉 ‘초벌 그림(스케치)’이라면, 시의
시간적 배경과 겹치는 은유로 미루어보건대 <날개>의 마지막 장면과 매우 유
사하다는 점에서 ‘어떤 것’은 <날개>를 이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
로 이 두 텍스트를 비교하여 반복되는 은유를 발견하고, 그 변화 양상을 통하
여 의미를 도출하려 한다.

93) Magarey A Rose, 앞의 책, p.97 참고.


94) 일문 시 <건축무한육면각체> 연작과 국문 시 <오감도>의 유사성을 이유로 두 텍스트를 같은 텍스트
로 보는 논의가 주를 이루었으나, 동일한 반복조차 동일한 의미를 생성하지 않으며, 반복으로 인한 새
로운 의미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두 텍스트는 개별적인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
다 텍스트의 내용이 유사하다 할지라도 제목이 바뀌었다는 점과, 저자인 이상이 <조감도>를 조선중앙
일보에 연작할 때 2천 편이 넘는 작품 중에서 실을 시를 심히 고민하였다는 점(“웨 미첫다고들 그리
는지 대체 우리는 남보다 수十年식 떠러저도 마음놓고 지낼作定이냐. 모르는것은 내 재주도 모자랐겠
지만 게을러빠지게 놀고만 지내든일도 좀 뉘우처보아야 아니하느냐. 열아문개쯤 써보고서 詩만들줄 안
다고 잔뜩믿고 굴러다니는 패들과는 물건이 다르다. 二千點에서 三十點을 고르는데 땀을 흘렸다.
(……) 이상, (<烏瞰圖> 작가의 말>, 《朝光》, 1937. 6)으로 미루어 볼 때 두 텍스트 사이의 차이에
집중하여 논의함이 타당할 것이다.
95) 자기패러디의 면모를 뚜렷이 보이는 작품은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과 <오감도> 시제4호, <건
축무한육면각체> 이십이년과 <오감도>시제5호, <건축무한육면각체> 대낮-어느ESQUISSE-와 <날개>,
<咯血의 아침>과 <내과>-자가용복음--或은 엘리엘리라마싸박다니-, <회한의 장>과 <날개> 등이 있
다. 그러나 이 장에서는 ‘쓰는 주체’의 은유를 중심으로 <건축무한육면각체> 대낮-어느ESQUISSE-와
<날개>를 다룰 것이며, 나머지 작품은 필요에 따라 이후 장에서 분석하려 한다.
96) 박현수는 이 텍스트를 미완의 형식은 <미정고> 시리즈에 편입시킴으로써 미완의 의미를 강조하나,
<날개>와의 상호텍스트성과 이상의 글쓰기, ‘다시 쓰기’에 대한 태도를 살필 때 스케치(밑그림)의 의미
로 읽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박현수, 앞의 책, 141쪽 참조.

- 45 -
ELEVATER FOR AMERICA

̇ ̇ 과毛布.
세 마리의닭은蛇紋石의階段이다. 룸펜

̇ ̇ 이吐해내는新聞配達‘의무리. 都市計劃의暗示.
삘딩

̇ ̇ ̇.
둘째번의正午싸이렌

̇ ̇ 거품에씻기워가지고있는닭. 개아미집에모여서콩크리ㅡ트
비누 ̇ ̇ ̇ ̇ ̇ 를먹고있다.

男子를반나97)하는石頭.
男子는石頭를白丁을싫여하드키싫여한다.

얼룩고양이와같은꼴을하고사太陽群의틈사구니를쏘다니는詩人.
꼭끼요ㅡ.
瞬間 磁器와같은이다시또한個솟아올랐다.

<建築無限六面角體> 대낮-어느ESQUISSE- 전문98)

97) “반나하다, 휘잡아 나르다.” 이상 저, 권영민 주해, 앞의 책, 353쪽.


98)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50-351쪽.

- 46 -
(1932. 7.)

허리를굽혀서 나는 그저 금붕어나 디려다보고있었다 금붕어는 잘 참들겼


다. 작은놈은작은놈대로 큰놈은큰놈대로 다ㅡ싱싱하니 보기좋았다. 나려빛이
는 五月했ㅅ살에 금붕어들은 그릇바탕에 그림자를 나려트렸다. 지느레미는
하늘하늘 손수건을흔드는 흉내를내인다. 나는이지느레미수효를 헤여보기도
하면서 굽힌허리를 좀처럼펴지않았다. 등어리가 따뜻하다.
나는 또 회탁의거리를나려다보았다. 거기서는 피곤한 생활이 똑금붕어지느
레미처럼 흐늑흐늑 허비적거렸다눈에보이지안는 끈적끈적한줄에엉켜서 헤어
나지들을못한다 나는 피로와공복 때문에 믆어저드러가는뭄동이를끌고그회탁
의거리속으로섞겨들어가지앉는수도없다생각하였다.
(……)
우리들은 서로 오해하고있느니라. 설마아내가 아스피린대신에아달린의정량
을 나에게먹여왔을까? 나는 그것을 믿을수는 없다. 아내가 그럴대체 까닭이
없을것이다
그러면 나는 날밤을새면서 도적질을 계집질을 하였나? 정말이지 아니다.
우리부부는 숙명적으로 발이맞지않는 절늠발이인것이다. 내나 안해나 제거
동에로짘을부칠필요는없다. 변해할 필요도 없다. 사실은 사실대로 오해는 오
해대로 그저 끝없이 발을 절뚝거리면서 세상을 거러가면 되는것이다. 그렇지
않을까?
(……)
이때 뚜-하고 정오 사이렌이울었다. 사람들은 모도 네활개를펴고 닭처럼
푸드덕거리는것같고 온갖 유리와 강철과 대리석과지페와잉크가 부글부글 끓
고 수선을떨고 하는것같은 찰나, 그야말로 현란을 극한 정오다.
나는 불연듯이 겨드랑이가 가렵다. 아하그것은 내 인공의날개가돋았든자족
이다. 오늘은없는 이 날개, 머릿속에서는 희망과야심의 말소된페-지가 띡슈
내리넘어가듯번뜩였다.
나는것든걸음을멈추고 그리고 어디한번 이렇게 외처보고싶었다.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번만 더 날자ㅅ구나.
한번만 더 날아보자ㅅ구나.

<날개> 부분99)
(1936. 9.)

- 47 -
<날개>의 마지막 배경이 미쓰코시 백화점 옥상이었던 것과 같이 <건축무한
육면각체>의 배경 또한 어딘가의 높은 곳이다. 첫 연에 나타나는
“ELEVATER FOR AMERICA”를 통해 시적 주체는 도시의 풍경을 내려다보
고 있음을 읽을 수 있는데, 가장 먼저 보이는 대상은 “닭”이다. 2연에서 “사
문석의계단”이며 5연에서 “비누거품에씻기워가지고”서는 “개아미집에모여서
콩크리ㅡ트를 먹고있”는 닭의 모습은 본연의 모습과는 달리 굉장히 기형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렇다면 <날개>에 나타나는 닭은 어떠한가. “사람들은
모도 네활개를펴고 닭처럼 푸드덕거리는것 같고”라는 부분을 통하여 닭은 도
시생활자들을 은유하는 대상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살아 있는 닭이 돌계
단과 같아진 것과 비누거품으로 은유된 근대의 표상인 위생으로 씻기워져서
개미집에서 콘크리트를 먹고 있다는 서술은 “도시계획의암시”인 것으로 추측
할 수 있다. 그렇다면 4연에 나타나는 “둘째번의정오싸이렌”은 도시계획의 암
시를 청각적으로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눈다는 것, 그
리고 그것을 반으로 나누어 그 사실을 일깨우는 사이렌은 그 자체로 근대의
은유이다. 사이렌이 울린 후 닭들이 씻기워지고 콘크리트를 먹기 시작한다는
시적 흐름은 이를 뒷받침한다. 정오라는 공통의 시간적 배경은 “싸이렌”을 통
하여 나타남으로써 근대 도시라는 역사적․공간적 배경 또한 공유하고 있는 것
이다.
이러한 도시의 은유는 두 텍스트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두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도시란 “삘딩이토해내는신문배달부의무리”, 즉 “피곤한생활이 똑금
붕어지느레미처럼 흐늑흐늑 허비적거리”는 “회탁灰濁의거리”라고 할 수 있다.
신문, 흰 종이와 검은 글자가 섞인 회색의 색채 이미지는 회탁의 거리와 이어
지며, 앞서 도시생활자들이 닭으로 은유되었다는 사실을 미루어 보면 ‘새로운’
아침이 오는 것을 알리는 닭의 속성과 ‘새로운’ 소식을 알리는 신문배달부의
은유가 겹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닭은 이미 본래의 속성을 잃었고 모두가
새로운 소식에 사로잡힌 신문배달부이기 때문에 대낮이라는 시간적 배경은 오
히려 우울한 분위기를 배가한다. 이러한 이미지 이후에 나타나는 “도시계획의
암시”는 이러한 도시의 우울한 이미지와 피로가 누군가에 의한 결과라는 사실

99)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2: 단편소설』, 뿔, 2009, 281-283쪽.

- 48 -
을 시사한다.
“얼룩고양이와같은꼴을하고서태양군의틈사구니를쏘다니는시인.”에서 볼 수
있듯이, 생명의 근원으로 상징되는 태양이 무리를 이루어 거리에 넘치고 시인
은 마치 얼룩고양이처럼 그 안에 섞이지 못하고 사이를 쏘다닐 뿐이다. 이 때
닭의 울음소리와 함께 “다시또한번솟아오른” 태양은 거리를 채운 태양군의 일
부일 뿐, 새벽이 아닌 정오에 우는 닭의 울음소리는 더 이상 새로운 소식의
전령으로 작동하지 못한다. 뜨거운 온도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磁器와 같은
태양은 태양군의 뜨거운 열기로 인하여 태양이 ‘되어버린’ 또 하나의 도시생활
자의 모습으로 은유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처럼 <건축무한육면각체>와
<날개>는 도시를 내려다보며 도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의 은유를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날개>에서 변화하는 지점이 있다면 먼저 6연에 나타난 남자와 석
두의 관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남자를반나하는석두”, “남자는석두를백정
을싫여하드키싫여한다.”는 부분에서는 남자를 ‘휘잡는’ 석두와 그런 석두를
‘백정을 싫어하듯’ 싫어하는 남자의 관계가 은유적으로 나타난다. <날개>에서
유사한 관계를 찾는다면 “나”와 안해의 관계일 것이다. “나”는 아내의 명령대
로 행동하며 아내가 허락하는 한에서의 자유에 만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아내를 “백정을싫어하듯” 혐오하거나 원망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과
안해를 숙명적으로 발이 맞지 않는 “절름발이”로 은유하며, 절뚝거림에도 불
구하고 함께 걸어가고 싶다는 욕망을 내비친다. 남자와 석두로 구별된 은유에
서 나와 안해를 같은 절름발이라는 은유로 변화하는 것은 상대방을 낮추거나
몰이해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서로가 지닌 결여를 인지하고 받아들이겠다는
의지이다.
또한 <건축무한육면각체>에서는 태양군 사이에서 닭의 울음소리를 신호로
거리에 넘치는 태양군과 같은 태양이 “또한번” 솟아오르는 모습으로 끝이 났
지만 <날개>에서 날개가 돋는 것은 누군가의 신호에 의해서도 아니고 “불현
듯” 겨드랑이가 가려워지는 데에서 출발하며, 겨드랑이가 가려운 이유는 과거
에 이미 돋았던 “자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때의 ‘나’는 사이렌을 신호로
사람들이 “닭처럼” 활개를 펴고 푸드덕거리며, 유리와 강철과 지폐와 대리석
(사문석)과 같은 도시의 은유들이 부글부글 끓는 “혼란을 극한 정오”에서 떨
어진 존재이다. 이처럼 혼란스러운 도시와 거리를 두는, 불화하는 ‘나’이기에,

- 49 -
‘나’에게서 돋으려는 날개는 날 수 없는 닭의 날개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다.
‘나’는 겨드랑이가 간지럽다는 것을 느낀 직후 “머릿속에서는 희망과야심의
말소된페-지가 띡슈내리넘어가듯번뜩였다.”고 느낀다. 희망과 야심이 적혔던
“말소된 페ㅡ지”는 역시 말소“한” 것이 아닌 말소“된” 것으로서 타의에 의해
사라졌던 삶의 은유로서 반복되고 있다. 또한 “띡슈내리Dictionary 넘어가듯
번뜩”인다는 은유 또한 앞으로의 삶을 ‘쓰겠다’는 동사를 내포한 ‘쓰는 주체’
로서의 은유이다. 자신의 의지로 삶을 써갈 수 있기에 <날개>의 상승 이미지
는 <건축무한육면각체>에 나타나는 수많은 태양과 달리 유일한 상승의 이미
지이며 <건축무한육면각체>와는 다른 결말을 맞을 수 있는 것이다.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부제를 다시 한 번 주목해보자. 대낮-어떤
ESQUISSE-, <건축무한육면각체>는 <날개>의 ‘밑그림’이었다. <날개>가 의
미 있는 이유는 이상의 텍스트 중 치유 양상이 가장 뚜렷이 드러나기 때문도
있으나 무엇보다 <건축무한육면각체>를 <날개>로 ‘다시 씀’으로써 콤플렉스를
극복하려 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이상의 콤플렉스는 타의에 의하여 자신의 백
지(삶)위에 잡힌 ‘초(밑그림)’에서부터 비롯되었다. 그는 연필의 초를 극복하겠
다는 의지를 잉크로 은유하고 점차 콤플렉스로 인한 불화에서 벗어나는 방식
을 ‘쓰는’ 것으로 택하고 그것을 이어나감으로써 극복하며 스스로를 치유하려
는 양상을 보였다. 이 두 텍스트는 타의에 의해 초를 잡히지 않고 자의로 밑
그림을 그리려는 행위의 문자화이다. 이상은 두 텍스트를 가로지르며 은유를
바꾸는 작업을 통하여 “말소된 페ㅡ지”를 깨닫고 “날개가 돋았던 자족”을 기
억함으로써 마침내 “날개”를 얻게 되는 이야기를 달성한다. 이 두 텍스트는
쓰기 방식 자체로도 ‘쓰는 주체’의 은유적 구조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이 때 쓰기 방식에 더하여 “날개”라는 은유에 대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날개는 자유, 해방의 의미이자 날지 못하는 새인 닭들과는 다른 “나”만이 지
닌 유일한 상승의 은유이다. 그러나 이를 단순한 상승의 이미지만으로 읽어서
는 안 될 것이다. 이상의 다른 텍스트에 나타나는 “날개” 은유와의 겹치기를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도출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날개>에서 “나”는 불현듯 가려운 “겨드랑이”에서 “인공의날개”가 돋았던
자족을 깨닫는다. “오늘은 없는 이 날개”는 “인공의날개”이지만 “나”는 “희망
과야심의 말소된 페-지”가 머릿속에서 번뜩이는 것을 느끼고 마음 속으로 날

- 50 -
개의 부활을 외친다. 이 때 외치는 말은 “날개야 다시 돋아라.” 이며, 이 말이
뜻하는 바는 ‘새’ 날개가 아닌, 이전에 있었던 날개가 “다시” 돋기를 바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날개는 “나”의 희망과 야심의 부활과 함께 돋는 “날개”이
므로 “다시” 돋는 날개지만 이전과는 같지 않은 역설적인 “날개”인 것이다.
이는 이상에게 있어 해방의 은유인 “날개”란 초현실적이거나 환상적인 날개가
아닌 자신을 구성함과 동시에 억압하는 세계에서 비롯되는 날개로, 다분히 현
실적인 저항 의식에서 비롯된 날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쓰는 주체’
로서의 이상이 언어를 자신의 저항의 기제로 삼은 것에 바탕을 둔다. 그렇다
면 “날개” 은유가 무엇을 사상하는지에 대하여서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글자는 오수午睡처럼 겨드랑이 밑에 간지럽다.

<첫 번째 방랑> 부분100)

<첫 번째 방랑>에서 나타나는 이 대목은 “글자”를 낮잠에 비유하며, 이 글


자가 “겨드랑이 밑에 간지럽다”는 것을 서술한다. 즉 “글자”와 “날개”는 “겨
드랑이”라는 공통된 신체 부위에 위치하며, “간지럽다”라는 것을 통하여 움직
이는, 즉 살아 있는 존재로서의 은유로 확장된 것이다. 이는 <날개>의 결말
부분에서 주체가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날자. 날자. 한번만 더 날자ㅅ
구나”라고 날개에게 직접적으로 호명하는 부분과 연관된다. 또한 <날개>의 시
간적 배경이 정오正午라는 것과 <첫 번째 방랑>에서 글자를 오수午睡에 은유
함은 둘 사이의 유사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날개”는 “글자”
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인데, 날개에 대한 또 다른 은유는 이를 보다 구
체화한다.

왼팔이 오른팔을 오른팔이 왼팔을 자꾸만 가혹하게 구타한다. 날개가


부러져서 흔적이 시퍼렇다.

<공포의 기록(서장)> 부분101)

100)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4: 수필 외』, 398쪽. 이 글은 일본어로 쓰인 이상의 유고작으


로, 1976년 유정 역으로 《문학사상》을 통하여 소개되었다.
101)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446쪽.

- 51 -
(1935. 8. 2.)102)

바른팔이 왼팔을, 왼팔이 바른팔을 苛Ⅴ하게매질햇다. 날개가 부러지고


파라케 멍드른 痕迹이 남엇다.

<恐怖의 記N> 부분103)


(1937. 5. 13.)

1935년 쓰인 <공포의 기록(서장)>과 1937년 매일신보에 연재된 <공포의


기록> 에서는 자신의 팔을 가혹하게 매질하는 모습이 제시된다. 그리고 그 결
과로 나타나는 것은 “날개가 부러지고 파라케 멍드른 痕迹이 남”았다는 진술
이다. 즉 팔을 날개로 은유한 것인데, 이를 통하여 “날개”가 은유하는 것이
“팔”이라는 것과, 이를 스스로 구타하여 부러뜨렸다는 것-쓸모 없게 만들었다
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날개”란 “나”가 스스로 부러뜨린 “팔”이며, 이러한
“팔”은 “글자”와 겹친다는 것이다. “글자”와 “팔”은 ‘쓰기’의 체계 안에서 연
결점을 지닌다. 이러한 연상망 안에서 이들의 은유인 “날개”와 “손가락”의 관
계는 두드러진다.

새장 속에서 지저귀는 새 나는 콧속 털을 잡아 뽑는다


밤 소란한 정적 속에서 미래에 실린 기억이 종이처럼 뒤엎어진다
하마 나로선 내 몸을 볼 수 없다 푸른 하늘이 새장 속에 있는 것 같이
멀리서 가위가 손가락을 연신 연방 잘라간다

<喀血의 아침> 부분104)


(1933. 1. 20.)

<각혈의 아침>에서는 아이러닉한 이미지가 제시된다. 밤의 “소란한 정적”


속에서 “미래에 실린 기억”이 종이처럼 뒤엎어진다는 진술과 함께 이어지는
“푸른 하늘이 새장 속에 있는 것 같이”라는 부분은 새장 밖 세상의 상징인

102) 텍스트의 말미에 적혀 있다.


103)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270쪽.
104) 이상 저, 김주현 주해, 앞의 책, 193쪽.

- 52 -
“푸른 하늘”이 도리어 “새장 속”에 있다는 것을 지적하며, 이러한 역설적인
질서와 더불어 앞선 “새장 속에서 지저귀는 새”와 분리된 것처럼 보였던 “나”
또한 “새장 속”의 존재임을 지적한다. 즉 “새장 속의 새”와 “나”는 등가성을
지니며, 신체적 유사성으로 추론할 때 “나”의 “손가락”이 “가위”로 인하여 잘
려진다는 진술은 “새”의 경우에 있어서는 “날개”가 잘리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새장 밖도 마찬가지로 거대한 새장인 세상 속에서 “가위가 손가
락을 연신 연방 잘라”간다는 진술은 억압된 시적 주체의 상황과 쓰기의 가장
근본적인 도구인 “손가락”의 기능이 사라진다는 것을 반증한다. 손가락이 사
라진 뭉툭한 손은 쓰기의 기능을 상실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텍스트 겹치기를 통하여 “날개” 은유 연상망을 구체화할 수 있다.
즉 “날개”는 “겨드랑이”에서 “다시” 돋아나는 것으로, “팔”의 은유이다. 또한
“팔”은 “손가락”과 겹침으로써 “손가락”의 제유로, “손가락”은 “글자”로 인하
여 “쓰기”의 체계 안에서 쓰기의 도구로 확장된다. 즉 “날개”란 글쓰기를 가
능케 하는 신체의 은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오늘은 없는 이 날
개”란 억압적 세계에서 “나”가 “쓰기”를 포기한 결과105)일 것이며, “희망과야
심의 말소된페―지” 또한 이러한 결과이지만, 이 “말소된페―지”는 “번뜩”임을
통하여 부활한다. 이는 곧 “나”의 희망과 야심의 부활이자 이미 쓰인 삶의 ‘다
시 쓰기’에의 욕망의 부활을 말하는 것이다.
즉 <날개>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날개”란 “나”의 “팔”이자 “손가락”의 은
유이기에 “오늘은 없는 이 날개”란 세계에 대한 저항 의식을 말소한 채 글쓰
기를 포기했던 몽롱한 상태의 자신을 은유하는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
러나 희망과 야심을 기억함과 함께 “다시 돋”은 “날개”는 쓰기에 대한 욕망의
부활을 쓰는 신체인 “팔”과 “손가락”으로 은유로 나타나며, 이는 ‘다시 쓰는

105) <날개>에서 “나”의 계획이나 생각은 ‘상념’에 그칠 뿐, 실제적인 ‘쓰기’로는 진행되지 않는다. 이러
한 상념 또한 적극적인 단계까지 나아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세상에 대한 스스로움과 서먹서먹함이라
는 관점에서 비롯된다. 세계와의 불화는 <12월 12일>과 <병상 이후>이후로 반복되는 에피그램이다.
“(……) 그런때는 아모제목으로나 제목을 하나 골라서 연구하였다. 나는 내 좀 축축한이불속에서 참
여러가지 발명도하였고 논문도많이썼다. 시도많이지었다. 그러나 그 것들은 내가잠이드는 것과 동시에
내방에 담겨서철철넘치는 그 흐늑흐늑한공기에 다―비누처럼풀어저서 온데간데가없고 한잠자고 깨인
나는속이 무명헌겁이나메믈껍질로 띙띙찬 한덩어리벼개와도같은 한벌 神經 었을뿐이고뿐이고하였다.
(……) 나는 그러나 그런 이불속의 사색생활에서도 적극적인것을궁리하는법이없다. 내게는 그럴필요가
대체없었다. (……) 나는 가장게을는 동물처럼게을는것이 좋았다. 될수만 있으면 이 무의미한 인간의탈
을 버서버리고도시펐다. 나에게는 인간사회가 스스로웠다. 생활이스스로웠다. 모도가서먹서먹할뿐이었
다.” 이상, <날개>, 《朝光》, 1936.

- 53 -
주체’로서의 개인 신화를 구축한다.
“나”는 쓰기 의지의 부활을 통하여 억압적 세계인 ‘근대의 정오’를 극복하려
한다. 쓰기의 의지는 “날개”로 구체화되어 근대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상승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세계와의 불화를 쓰기-다시 쓰기를 통하여 극복하려는 모
습은 <12월 12일>과 <병상이후> 이후로 반복되는 ‘쓰는 주체’의 에피그램의
반복이다. 자신을 기정하는 체계를 극복의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쓰기’는 근본적으로 역설적인 저항이 되는데, 이는 이상
텍스트를 구성하는 아이러니와 패러독스의 의의를 시사한다.
이러한 은유의 변화를 메타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建築無限六面角體>
은유 <날개>
대낮-어느ESQUISSE-
인공의 날개가 돋았던 자족-겨드
자신 self ․
랑이가 가려움
타자(개인)
남자를 반나하는 석두 나와 같은 절름발이
other(one)
타자들(그룹) 빌딩이 토해내는 신문배달부의 피곤한 생활이 금붕어 지느러미처
other(group) 무리 럼 흐늑흐늑 허비적거림
삶 life 정오 사이렌, 도시계획의 암시 회탁의 거리
자신의 자아 날개야 다시 돋아라. 날자. 한번

self-self 만 더 날자꾸나.
자신의 타자 로직을 붙이지 않고 끝없이 절뚝
백정을 싫어하듯 싫어하는 석두
self-other 거리며 세상을 걸어가면 되는 것
자신의 삶 희망과 야심의 말소된 페이지가

self-life 사전 넘어가듯 번뜩임

<건축무한육면각체> 대낮-어떤ESQUISSE-에서는 뚜렷한 시적 주체의 모습


이 나타나지는 않으며, 도시의 모습을 관조하는 시선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날개>에서는 “나”의 모습이 뚜렷이 드러난다. <건축무한육면각체> 대낮-어
떤ESQUISSE-과 <날개>는 피곤한 근대 도시라는 동일한 세계를 지니고 있기
에 그 안에서 나타나는 자아에 대한 은유와 타자에 대한 은유의 변화는 더욱
부각된다. “백정”으로 나타나는 “남자”와 “석두”로 나타나는 “여자”는 <날개>
에서 “안해”와 “나”(남편)라는 사랑의 대상으로 구체화된다. 무엇보다 두 사람
의 관계가 이상적이고 완전한 합일이 아닌 절름발이로서의 합일이며, 이는 서

- 54 -
로가 지니는 같은 고통을 자각하고 차이를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로직”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맥락에서 “나”는 본래
지녔던 “자족”에서 “다시” 날개를 펼치려는 욕망의 주체로 거듭난다. 이는 억
압의 기제를 저항의 기제로 변환하는 이상의 ‘쓰기’의 특징이자 다시 쓰기에의
욕망이 나타나는 변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55 -
Ⅲ. 기독교적 은유와 탈로고스적 치유

1.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자가진단과 아이러니한 은유 전환

이상 문학은 ‘결핵의 문학’이라고 불릴 정도로 텍스트 안에서 결핵이 반복적


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결핵의 의미를 추적함은 곧 이상 문학이 지니는 의
미를 찾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결핵이 지니는 특징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종류의 불화를 발견할 수 있다.
먼저 결핵이라는 병은 자의로 피할 수 없는 숙명적 질병이며, 이는 이러한
병을 지니게 된 ‘운명’에 대한 불화를 유발한다. 더 나아가 결핵과 밀접한 관
련을 지닌 세계(근대)106)와 불화를 낳는다. 또한 병들지 않은 정신과 병든 몸
은 필연적으로 불화하기 마련107)인데, 병든 몸은 정신 또한 병들게 할 가능성
이 있기 때문이다. 즉 결핵이란 운명적 질병이자 자신을 신체적․정신적으로 억
압하는 운명의 은유108)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주목하고자 하는 텍스트는 <각혈의 아침>이다. <각
혈의 아침>은 결핵이 처음으로 나타나는 텍스트이자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치유의 속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이 장에서는 세계
에 대한 시적 주체의 자기인식과 결핵에 대한 자가진단을 통하여 불화의 은유
인 병의 원인을 짚고, 이를 통하여 치유의 방향을 살피려 한다.

사과는 깨끗하고 또 춥고 해서 사과를 먹으면 시려워진다


어째서 그렇게 냉랭한지 冊床 위에서 하루 終日 색깔을 變치 아니한

106) “19세기 서양에서 결핵은 산업화와 도시화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퍼져나갔던 법정 전염성
질병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1910년대부터 결핵에 대한 질병이 위험하게 인식되면서 점차로
근대화가 진행됨에 따라 급속하게 결핵환자가 증가해 갔다. 즉 결핵은 육체적 피로와 스트레스와의 관
련이 긴밀하게 논의될 수 있는 전염성 질병이었다.” 표정옥, 「은유와 상징의 결핵 담론에서 근대 문
학의 과학 담론으로의 변환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기호학연구》[Vol.44], 한국기호학회, 2015,
342쪽.
107) “「내가 이러나기만하면…」그에것는 「단테」의 神曲도 「다번치」의 「모나리자」도 아모것도 그
의 마음대로 나올것만같었다. 그러나 오즉 그의몸이 不健康한것이 한탓으로만녁여졌다.” 이상 , 《靑色
紙》, 1939. 5., 99쪽.
108) 이는 앞선 논의에서도 발견된다. <역단> 행로에서는 결핵으로 인한 각혈의 원인을 운명적 존재가
휘두른 비수로 인한 출혈로 은유함으로써 결핵이 지니는 숙명적 속성과 그에 대한 반발 심리를 보여
준다.

- 56 -
다. 차차로―둘이 다 시들어간다.

먼 사람이 그대로 커다랗다 아니 가까운사람이 그대로 자그마하다 아


니 어느쪽도 아니다 나는 그 어느 누구와도 알지 못하니 말이다 아니 그
들의 어느 하나도 나를 알지 못하니 말이다 아니 그 어느쪽도 아니다(레
일을 타면 電車는 어디라도 갈 수 있다)

담배 연기의 한 무더기 그 室內에서 나는 긋지 아니한 성냥을 몇 개비


고 부러뜨렸다 그 室內의 煙氣의 한무더기 點火되어 나만 남기고 잘도
타나보다 잉크는 축축하다 鉛筆로 아무렇게나 시커먼 面을 그리면 鉛粉
은 종이 위에 흩어진다

리코오드 고랑을 사람이 달린다 거꾸로 달리는 不幸한 사람은 나같기


도 하다 멀어지는 音樂소리를 바쁘게 듣고 있나보다
발을 덮는 女子구두가 가래를 밟는다 땅에서 貧困이 묻어온다 받아써
서 通念해야 할 暗號 쓸쓸한 초롱불과 郵遞筒 사람들이 壽命을 거느리고
멀어져가는 것이 보인다 그리고 나의 뱃속엔 通信이 잠겨 있다
새장 속에서 지저귀는 새 나는 콧속 털을 잡아뽑는다
밤 소란한 靜寂 속에서 未來에 실린 記憶이 종이처럼 뒤엎어진다
벌써 나는 내 몸을 볼 수 없다 푸른 하늘이 새장 속에 있는 것같이
멀리서 가위가 손가락을 연신 연방 잘라 간다
검고 가느다란 무게가 내 눈구멍에 넘쳐왔는데 나는 그림자와 서로 껴
안는 나의 몸뚱이를 똑똑히 볼 수 있었다
알맹이까지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는둥
피가 물들기 때문에 여윈다는 말을 듣고 먹지 않았던 일이며
나를 놀라게 한 것은 그 種子는 이제 심어도 나지 않는다고 단정케 하
는 사과 겉껍질의 빨간색 그것이다
空氣마저 얼어서 나를 못 通하게 한다 뜰을 鑄型처럼 한 장 한 장 떠
낼 수 있을 것 같다
나의 呼吸에 彈丸을 쏘아넣는 놈이 있다
病席에 나는 조심조심 조용히 누워 있노라니까 뜰에 바람이 불어서 무
엇인가 떼굴떼굴 굴려지고 있는 그런 낌새가 보였다
별이 흔들린다 나의 記憶의 순서가 흔들리듯
어릴 적 寫眞에서 스스로 病을 진단한다

- 57 -
<咯血의 아침> 부분109)
(1933. 1. 20.)

<각혈의 아침>의 앞부분은 대체로 역설적인 표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


한 표현이 나타내는 것은 시적 주체의 단상 및 자신을 둘러싼 근대적 세계의
표상들이다. 앞선 논의에서 나타나듯 연필과 잉크의 속성에 대한 시선과 땅에
서 올라오는 피곤을 “통념해야 할 암호”라 은유함은 “쓸쓸한 초롱불과 우체
통”으로 나타나는 근대적 배경에 대한 시적 주체의 관점을 시사한다. 이 때
“리코오드 고랑”을 “거꾸로 달리는 불행한 사람은 나같기도 하다”를 통하여
세계에 대한 암울한 시선과 함께 거꾸로 달리는, 즉 세계의 질서에 역행하는
자신의 모습110)과 거대한 질서에 역행함으로써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불행에
대해 이야기한다. 피로한 세상과 불행한 자신에 대한 시선 뒤에 따르는 것은
새장 속에 있는 푸른 하늘, 즉 새장 밖의 새장이라는 진술과 함께 새장 안의
새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모습이다. 손가락이 잘린 손은 더 이상 손으로서 기
능할 수 없는 상태이며, 이러한 비극적 상황은 분열된 자아를 바라보는 시선
과 함께 “공기마저 얼어서 나를 못 통하게 한다”는 부분에 이르러서는 생명에
게 있어 가장 근본적인 호흡마저도 자신을 얽매는 억압임을 암시한다.
이후 나타나는 “나의 호흡에 탄환을 쏘아넣는 놈이 있다”에서는 결핵에 대
한 본격적인 은유가 제시되기 시작한다. “병석에 조심조심 조용히 누워 있”다
는 부분에서는 시적 주체가 이미 병을 지닌 환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뜰에 바람이 불어서 무엇인가 떼굴떼굴 굴려지고 있는 그런 낌새”는 바람으
로 인하여 굴려질 수밖에 없는 “무엇”과 숙명적 질병을 앓는 시적 주체와의
유사성을 은연 중에 제시하고 있다. 시적 주체는 “별이 흔들린다 나의 기억의
순서가 흔들리듯/어릴 적 사진에서 스스로 병을 진단한다”라고 진술한다. 이
는 기억이 지니는 불확실함을 암시하는데, 다음 행에 이어지는 자가진단을 통
해 “어릴 적 사진”, 즉 유년 시절을 병의 원인으로 짚는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109) 이상 저, 김주현 주해, 앞의 책, 193쪽.


110) ‘거꾸로 돌아가는 레코드’는 마땅히 돌아가야 할 방향으로 돌지 않는 레코드의 모습을 바탕으로 한
일상적 삶에 대한 거부의 은유이다. 1960년 11월 김수영 역으로 《현대문학》에 소개된 이상의 일본
어 원고에는 이러한 은유가 제시되어 있다. “(……) 생활을 거절하는 의미에서 그는 축음기의 레코드
를 거꾸로 틀었다./악보가 거꾸로 연주되었다. (……)”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52쪽.)

- 58 -
병은 현재의 시적 주체가 앓고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유년 시절의 은유인
“어릴 적 사진”에서 병을 진단하기 때문이다.
“기억의 순서가 흔들”린다는 것, 즉 ‘실제’ 기억의 불확실성을 언급하고 곧
바로 “어릴 적 사진”을 병의 원인으로 상정한다는 것은 시적 주체가 지니는
병에 대한 관점을 역설적으로 명징하게 제시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유년
시절이 이상의 초기 기억으로 작동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어릴 적 사진”
이 현재의 문제 및 상황-결핵과 그로 인하여 고통을 겪는 상황-을 은유적으
로 나타내는 과거의 기억이기 때문이다.
“어릴 적 사진”이 병의 원인이라면 이상의 유년시절에 대하여 짚고 넘어가
야 할 것이다. 이상은 세 살부터 아들이 없는 백부댁에서 양자로 살았으며, 근
처에 사는 친부모와 자유롭게 왕래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 백모가
아들을 데리고 옴으로써 이상의 사정은 애매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친
부모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스물 넷까지 백부댁에서 살아야만 했다.111)
그러므로 “어릴 적 사진”은 친부모와 떨어져 강제로 백부와 살아야만 했던
사실을 가리키는 것이자 그러한 비정상적인 삶을 살도록 한 가부장적 질서로
보아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중인계층에 속한 백부는 구한말 기사였으며
이후 총독부 기사로도 근무112)하였는데, 이러한 백부 밑에서 이상이 보성고등
보통학교와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여 총독부 기사로 근무하였다는 사실은
이상의 유년 시절이란 가부장적 질서로 인한 강제적 삶을 가리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근대적 질서를 체화하는 시기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은 이러한 유년 시절을 “어릴 적 사진”으로 은유하고 이를 현재의 문제
상황인 결핵의 원인으로 연결짓는다. 백부 댁에서의 삶은 곧 근대적 교육과
근대적 세계로의 편입을 뜻하므로, 근대의 질병인 결핵과의 관계를 함의한다.
즉 “어릴 적 사진”을 통한 자가진단은 전통적 가부장 질서와 근대 세계를 병
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것이다. 즉 병의 원인은 자신의 삶을 조종하는 전
통적 질서와 근대의 질서이므로, 이상에게 있어 억압이란 어떠한 특정 시간대
의 논의나 특정 이념이 아닌 억압과 강제성을 함의하는 대타자적 로고스 그
자체인 것이다.
그러나 이 억압적 로고스는 분명 어느 정도 자신을 구성하고 동시에 자신이

111) 김윤식, 『이상문학 텍스트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393-394쪽 참고.


112) 김윤식, 『이상연구』, 48쪽 참고.

- 59 -
체화한 것으로, 이상과 자신을 억압하는 로고스는 억압이자 일부라는 아이러
닉한 상징계적 관계113)를 구축한다. 이는 앞서 언급했듯 자신을 억압하는 운
명적 힘과 이에 대한 주체의 저항을 다른 은유 체계에 기입하지 않고 쓰기의
연상망 안에 함께 포함함으로써 억압의 기제인 언어를 저항의 기제로 사용하
는 이상의 아이러닉한 ‘쓰기’의 바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시적 주체의 진단이 병의 원인을 “어릴 적 사진”, 즉 유교적 질서와
근대적 질서가 지니는 억압적 로고스로 상정하였으므로, 병의 원인인 억압적
로고스에서 벗어나는 것이 치유의 방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치유
의 방편은 시적 주체의 자가진단 이후에 나타나는 은유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가브리엘天使菌(내가 가장 不世出의 그리스도라 치고)이 殺菌劑는 마


침내 肺結核의 血痰이었다(고?)

肺속 뺑키칠한 十字架가 날이날마다 발돋움을 한다


肺속엔 料理師 天使가 있어서 때때로 소변을 본단 말이다
나에 대해 달력의 숫자는 차츰차츰 줄어든다

네온사인은 색소폰같이 야위었다


그리고 나의 靜脈은 휘파람같이 야위었다

하얀 天使가 나의肺에 가벼이 노크한다


黃昏 같은 肺속에서는 고요히 물이 끓고 있다

고무電線을 끌어다가 聖베드로가 盜聽을 한다


그리곤 세 번이나 天使를 보고 나는 모른다고 한다
그때 닭이 홰를 친다―어엇 끓는 물을 엎지르면 야단 야단―

봄이 와서 따스한 건 地球의 아궁이에 불을 지폈기 때문이다

113) 이는 김승희가 지적한 이상 텍스트의 ‘말하는 주체’와 같은 궤를 지닌다. “이상텍스트를 생산하는


말하는 주체는 이렇듯 ‘주체가 어떻게 구성되어지는가?’(How a subject is constituted?)를 인식하고
그 사회적 문화적 질서 위에 복종되어지는 주체성을 교란시키려고 한다. 상징계란 앞서 말했듯 나를
초월해서 있으면서 나를 선先결정하는 강력한 세계이기 때문이다.” 김승희, 앞의 책, 98쪽.

- 60 -
모두가 끓어오른다 아지랭이처럼
나만이 사금파리 모양 남는다
나무들조차 끓어서 푸른 거품을 자꾸 뿜어내고 있는데도

<咯血의 아침> 부분114)


(1933. 1. 20.)

<각혈의 아침>의 뒷부분에 나타나는 시적 정황은 병원에서 병을 진단하는


의사와 간호사, 그리고 환자인 “나”의 상황이다. 시적 주체는 결핵균을 “가브
리엘천사균”으로 은유한다. 죽음의 상징인 결핵균을 수태고지의 임무를 맡은
가브리엘 천사로 은유함으로써 죽음의 질서를 부수고 새로운 질서를 구축115)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다음 문장인 (내가 가장 불세출의 그리스도라 치고)
가 설명된다. 가브리엘 천사균, 결핵균으로 인하여 “나”는 “불세출의 그리스
도”임을 전달받은 것이다. 결핵균이 “가브리엘천사균”이 되었으므로, 결핵균을
없애는 살균제는 약이 아닌 “폐결핵의 혈담”으로 격하된다.
다음 연에 나타나는 “폐 속 뺑키칠한 십자가가 날이날마다 발돋움을 한다”
는 것은 폐결핵으로 인하여 굳어가는 폐를 엑스레이로 찍은 모습을 암시한다.
폐 속에서 느껴지는 뜨거운 고통은 “요리사 천사”의 “소변”으로 치환되며, 이
는 뒤에 나타나는 “황혼 같은 폐속에는 고요히 물이 끓고 있다”와 연결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고통은 “나에 대해 달력의 숫자는 차츰차츰 줄어든다”
를 통하여 “나”에게 다가오는 죽음과의 연결성을 시사한다.
네온사인-색소폰-정맥은 “야위었다”는 속성을 통하여 하나로 묶이게 되는
데, 네온사인과 색소폰이 모두 서구의 물건이라는 것을 미루어볼 때 “나”의
정맥과 등가성을 지님은 곧 “나”가 서구적 속성, 즉 근대인으로서의 속성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얀 천사”가 “나의폐에 가벼이 노크한다”는 모습과 “성베드로”가 “고무전
선을 끌어다가” “도청”을 한 후 “세 번이나 천사를 보곤 나는 모른다고 한다”

114) 이상 저, 김주현 주해, 앞의 책, 193쪽.


115) 김승희는 이를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아이러니로 본다. “‘폐병을 죽음의 기호’로 보는 당대의
세속적 담론을 조롱하며 기독교적 부활의 담론 안에서 영생 획득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아이러니의 유
쾌성을 코믹한 어조와 무드로 보여주고 있다.” 김승희, (「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성의 파놉티콘”과
아이러니, 멜랑콜리」, 25쪽.)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아이러니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동의하나, 본
고에서는 영생 획득이 아닌 인간으로서의 예수가 지닌 육체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 61 -
라고 이야기함은 두 층위로 해석될 수 있다. 첫 번째 층위는 의사로서 병에
대한 해결책을 모르겠다는 의미로 폐결핵의 심각성과 죽음에 대한 의사의 무
력함을 이야기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두 번째 층위는 “도청”한 내용을 모
르겠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층위와 관련하여서는 <각혈의 아침>의 앞부분을 주목해야 한다. 근
대적 거리에 대한 피로한 묘사 이후에 나타나는 “그리고 나의 뱃속엔 통신이
잠겨 있다”라는 대목이 등장한다. 이 때 “뱃속”이 가리키는 곳은 단순히 위가
아닌 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성베드로”가 도청을 하기 전 간호사의 은유
인 하얀 천사가 “나의폐”에 노크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베드로”가 도
청을 하는 곳은 바로 “가브리엘천사균”이 있는 폐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러나 “성베드로”의 도청은 실패로 끝난다. “가브리엘천사균”이 있는 “나”의
“뱃속”(폐)에 잠긴 “통신”의 내용이란 신이 “가브리엘천사균”을 통하여 보낸
것, 즉 “나”가 그리스도라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성서에서의 베드로는 예수가
메시아라는 사실을 세 번 부인한 한계를 지니는 인물이기에 의사인 “성베드
로” 또한 “가브리엘천사균”의 수태고지, “나”가 “그리스도”라는 사실을 알 수
없다.
즉 첫 번째 층위에서 볼 수 있는 의사로서의 “성베드로”가 병에 대한 해결
책을 모르겠다는 것, 다시 말해 결핵균을 죽음의 상징으로 보는 것은 두 번째
층위에서 나타나듯 이 결핵균이 “가브리엘천사균”이라는 사실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근대적 의사의 제유인 “성베드로”가 “불세출의 그리스도”인
시적 주체의 진단으로 인하여 무력해지는 것은 시적 주체가 지니는 근대에 대
한 저항적 시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닭”은 성경에 나타나
는 베드로의 한계를 나타내는 시적 대상116)으로서, 근대 의사인 “성베드로”가

116) “그래서 예수님이 그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정말 나를 위해 네 목숨을 버리겠느냐? 내가 분명히 너


에게 말하지만 닭 울기 전에 네가 세 번이나 나를 모른다고 말할 것이다.’”(요 13:28), “그러나 베드로
는 이렇게 말하였다. ‘여보시오, 나는 당신이 무슨 소리를 하는지 모르겠소.’ 베드로가 아직 말을 채
끝내기도 전에, 곧 닭이 울었다. 주님께서 돌아서서 베드로를 똑바로 보셨다. 베드로는, 주님께서 자기
에게 "오늘 닭이 울기 전에, 네가 세 번 나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 하신 그 말씀이 생각났다.”(누
22:60-61)에 나타나듯 “닭”은 베드로가 자신을 부인할 것이라는 예수의 예언에 나타나는 증표이다.
닭의 울음소리는 예수의 예언의 성취를 나타내는 동시에 베드로의 부인이 돌이킬 수 없다는 것임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예수의 전능함과 베드로의 한계를 나타낸다. 즉 성경에서와 마찬가지로 “닭”은 <각
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결핵 환자이자 그리스도인 “나”와 비교할 때 무력한 근대 의사인 “성베드로”
의 한계를 드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62 -
지니는 한계를 다시 한 번 강조한다.
이처럼 결핵균을 “가브리엘천사”로 은유함으로써 “나”는 결핵균이 지닌 죽
음의 이미지를 걷어내는 동시에 근대 의사인 “성베드로”를 무력화한다. 이는
서구적 의료의 기본틀, 즉 병을 대상화하고 악으로 규정함으로써 소거하려는
생각이 다분히 신학적이라는 사실117)에 비추어 본다면 근대 의학의 속성을
간파하고 이를 기독교적 은유로 무력화함은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아이러닉
한 저항의 기제118)를 시사한다.
“호흡에 탄환을 쏘아 넣”는 듯한 고통과 “병”, 즉 죽음이 “나”를 “그리스
도”로 만드는 “가브리엘천사균”이 될 수 있는 것은 시적 주체가 “스스로 병을
진단”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시적 주체의 진단을 통하여 죽음의 결핵균은
“나”를 “그리스도”로 만드는 천사로 변화한다. 이는 초기 기억인 “어릴 적 사
진”이 병의 원인으로 나타나나 이것이 “진단”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원인을
밝히고 이를 통하여 병을 치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을 것
이다. 즉 진단의 대상으로서의 초기 기억은 시적 주체가 지닌 치유 의지를 나
타내며, 이상 텍스트에서 치유는 은유를 기제로 한 아이러닉한 전환을 바탕으
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117) “손탁의 말처럼 병이 메타포로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아니라 거꾸로 병을 순수하게 병으로서 대
상화하는 근대 의학의 지식 제도에 사실은 문제가 있다. 그 점을 의문시하지 않는 한, 근대 의학이 발
전하면 사람들은 병에서, 따라서 병의 은유적 사용에서 해방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태에 이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생각이야말로 <건강이라는 환상>(르네 뒤보스)이다. 그 생각은 마치 병을 만들어내는
것은 악이며, 치료는 그 악을 제거하는 것이라는 식의 신학의 세속적인 형태일 따름이다. 과학적 의학
은 병을 따라다니는 이런저런 <의미>들을 소거시켰지만 그 자신도 더 질이 나쁜 <의미>에 지배당한
것이다. (……) 예를 들면, <병과 싸운다>는 것은 병이 마치 작용하는 주체로 존재하는 것처럼 간주하
는 말투이며, 과학도 그와 같은 <언어의 유혹>에 사로잡혀 있다. 니체에게는 그처럼 병원(病原)=주체
를 물상화하는 것은 병적인 것이었다. <병을 고친다>는 표현 역시 고치는 주체(의사)를 실체화한다.
서구적 의료에 존재하는 기본 틀은 전부 다 온통 신학적이다.” 가라타니 고진, 박유하 역, 『일본 근대
문학의 기원 4』, 도서출판 b, 2010, 153-154쪽.
118) “이상 문학이 보여주는 해체의 아이러니는 피식민지인의 새로운 재구성을 욕망하는 근대성의 기획
(청사진)에 대한 인식/부정, 근대성의 파놉티콘 아래서 살아야 하는 피식민지인의 자기분열과 공포/유
희, 20세기적인 것에 대한 매혹/회의를 동시에 보여준다. 또한 의학체계에 대한 불신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대적 치료/죽임, 각혈/수태고지, 질병/부활이라는 상반되는 것들의 모호한 공존을 드러내며 탈
중심화의 유희를 보여주면서 자유와 해방, 혹은 공포와 멜랑콜리의 텍스트를 생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의 시가 보여주는 구조적 아이러니와 어조와 태도로서의 멜랑콜리는 결극 근대성이라는 직선적 발
전과 전진의 서사에 대한 미적 대항 담론의 성격을 지닌 것이다.” 김승희, 앞의 글, 27쪽.

- 63 -
2. 파토스적 “그리스도”의 형성과 웃음을 통한 해방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은유는 대부분 기독교 담론에서 가져왔다는 것


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상 텍스트에서 기독교에 관련한 은유와 이미지는
자주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독교적 이미지 또는 장치가 트릭의 수준
에 머문다119)거나 몇 작품 외에는 표층적인 수준에서 맥락과 구조 없이 나타
나는 돌출적으로 등장할 뿐120)이라는 논의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이상 텍스
트에 나타나는 기독교적 이미지와 은유는 종교적인 믿음의 측면보다는 기독교
가 지니는 담론적인 차원과 구조적인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당시
서구와 근대의 정신적 기반으로 나타난 기독교는 본질적인 패러독스를 지니고
있으며, 이상은 이러한 패러독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저항적 시세계를 전개한
것이다.121)
예수 그리스도는 신이자 동시에 인간이기도 한 모순적인 존재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이상이 <각혈의 아침>에서 자신을 “그리스도”로 은유함은 기
독교가 지니는 로고스적인 존재인 성부의 요소를 어느 정도 지니되, 완전히
로고스적인 존재가 아니라 인간이기도 한 파토스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
이다. 신의 아들이자 신이지만 태어날 때부터 신에 의해 죽음이 기정된 존재
인 예수의 존재는 이상이 지니는 존재론적 고뇌와 유사성을 지닌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하여 <각혈의 아침> 이후에 나타나는 텍스트와 은유의 변화

119) “그렇지만 이것(그리스도와의 동일시)은 이상에 있어 한갓 트릭이 아닐 수 없다. 인자의 측면을 우


습게 여기고 버림으로써만 그리스도에의 길이 가능했는데, 그 때문에 그는 인자의 길을 버리는 일에
대해 하나의 철학을 낳을 수가 있었다. 그리스도가 되기 위해서는 인자의 길을 버리는 일이 아니면 안
되는 것이니까, 폐병을 자랑하고 그것에의 침균당함을 영광스럽게, 또는 합리화할 수 있었다.” 김윤식,
앞의 책, 114-115쪽.
120) “이상은 기독교적 세계관 자체를 문제 삼거나 기독교를 통해 실존의 문제를 고민하는 작품을 쓰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이상의 작품에 쓰인 기독(교)은 작품의 심층을 형성하는 사상으로 용해
될 수 없었으며, 맥락과 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여기저기에 다소 돌출적으로 등장한다. 다만 『內科』
『肉親』「二人……Ι……」과 같은 시작품 및 여타의 작품 부분에서 은유적 형태의 이미지를 구현한
다.” 신주철, 「이상 문학에서의 ‘신’과 기독(교)의 문제」, 《외국문학연구》, Vol.20. No.-, 2005,
154쪽.
121) 이상이 기독교에 관심을 지녔다는 사실은 시에 나타나는 기독교적 이미지나 은유뿐만이 아니라 수
필에서도 나타난다. <山村餘情>에서는 “그러나空氣는水晶처럼맑아서 별빗만으로라도 넉넉이 조와하는
「누가」福音도읽을수잇슬것같슴니다.”, “敎會가보고십헛슴니다 그래서 「에루살렘」 聖域을數萬里 떠
러져잇는 이마을의 農民들까지도 사랑하는神압헤서 悔改하고십헛습니다”를 통하여 기독교에 대한 관
심이 분명 존재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64 -
를 통하여 “그리스도”로서의 시적 주체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는지에 대하
여 살펴보려 한다.
<각혈의 아침>은 세 개의 다른 텍스트와 강한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닌다.
<내과>와 <골편에관한무제>, <가구의추위>가 그것이다. 먼저 <각혈의 아침>
의 자기패러디인 <내과>122)에서는 파토스적 존재로 이행하는 그리스도의 이
미지가 나타난다.

이鬚髥난天使는큐피드의祖父님이다
하이한천사 鬚髥이全然(?)나지아니하는天使하고흔히結婚하기도한다.

나의肋骨은2떠―즈(ㄴ). 그하나하나에노크하여본다. 그속에서는海綿에젖


은더운물이끓고있다. 하이한天使의펜네임은聖피―타―라고. 고무의電線
똑똑똑똑 열쇠구멍으로盜聽
버글버글
(發信)유다야사람의임금님주므시나요?
(返信)찌-따찌-따따찌-찌(1)-찌-따찌-따따찌-찌-(2)찌-따찌
-따따찌-찌(3)
흰뺑끼로칠한十字架에서내가漸漸키가커진다. 성피―타―君이나에게세번
式이나아알지못한다고그린다. 瞬間 닭이활개를친다……

<內科> -自家用福音-
-或은 엘리엘리 라마싸박다니- 전문123)

<내과>에서 나타나는 시적 정황은 <각혈의 아침>과 상당 부분 유사하다.


그러나 “나”와 “하얀 천사”인 간호부와 “성베드로”인 의사가 나타나는 <각혈

122) 김주현은 성경과의 상호텍스트적 관계에 놓인 두 작품 중 <內科>가 <喀血의 아침>보다 원 텍스트


인 성경에 보다 충실하다는 이유로 먼저 쓰였을 것이라 판단한다.(김주현, 「이상 시의 창작방법 연
구」, 《語文學》 69집, 2000, 199쪽.) 그러나 김승구는 이와는 반대의 주장을 편다. “「喀血의 아
침」은 조연현이 발견한 작품으로 임종국이 발견한 일문시 「內科」와 유사한 시상을 가진 작품이다.
따라서 이 두 작품은 ‘내적 상호텍스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內科」가 한층 극적
이고 구체적인 묘사를 구사하고 있으며, 시상의 전개구조가 단일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喀血
의 아침」을 일차 텍스트로 해서 「內科」가 씌어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김승구, 「이상 문학에 나
타난 욕망과 기호생성의 상관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2004, 95쪽.) 본고에서는 김승구의 논
의를 받아들이면서 이와 동시에 <喀血의 아침>(1933. 1. 20)보다 후에 씌어진 <街衢의추위>(1933.
2. 17) 또한 <喀血의 아침>을 원텍스트로 삼았다는 것과 <街衢의추위>에 나타나는 근대에 대한 부정
적 시선 및 그리스도로서의 자각이 두드러진다는 점이 <喀血의 아침>보다 <內科>에 명징하게 나타난
다는 점에 주목한다.
123)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1: 시』, 374쪽. 이 시는 일본어로 쓰인 이상의 유고시로, 1956
년 임종국 편집으로 『이상전집』을 통하여 소개되었다.

- 65 -
의 아침>과 달리 <내과>에서는 “나”와 “聖피―타―”와의 관계로 축소되며, “聖
피―타―”는 “하이한천사”의 역할 또한 겸한다. <내과>에서는 <각혈의 아침>
과 마찬가지로 “늑골”, 즉 폐에 “노크”하고 “고무전선”으로 “도청”을 하는
“聖피―타―”의 모습이 나타난다.
<내과>에서 반복되는 것은 “聖피―타―”의 무력함이다. “聖피―타―”가 도청
하는 통신의 내용이란 신의 말을 전하는 “가브리엘천사균”과 그에 응답하는
“나”의 말일 것이다. 발신의 내용인 “유다야사람의임금님주므시나요?”는 “나”
에게 발신된 것이므로 “나”가 그리스도임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인
데, “聖피―타―”는 발신의 내용은 엿들었으나 반신의 내용, 즉 “나”의 말은 이
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렇다면 “나”의 말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되
돌아볼 필요가 있다. “나”의 말은 결핵균을 “가브리엘천사균”이라고 말하는
시적 주체의 말이다. 죽음의 기호인 결핵균을 천사로 바꿈으로써 죽음의 공포
를 극복하는 은유의 말인 것이다. 그러나 근대 의사인 “聖피―타―”는 “나”가
행하는 은유(치유)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에게 있어 결핵균이란 결핵균일 뿐이
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聖피―타―”는 “세번式이나 아알지못한다고” 이야기하
며, 그 한계는 “닭이활개를”친다는 것을 통하여 다시 한 번 강조된다.
즉 <내과>에서는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폐 속의 “가브리엘천사균”으로
인한 “나”의 그리스도라는 정체성과 근대 의사인 “聖피―타―”군의 무력함을
통하여 근대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반복 및 강조되는 모습을 보인다. 여기서
두드러지는 것은 “나”가 지니는 “그리스도”로서의 정체성이 뚜렷해진다는 것
인데, 이는 “성피―타―君”이라는 대목에서 드러난다. <각혈의 아침>에서 단순
히 “성베드로”로 나타나던 의사는 <내과>에서 군君124)이라는 의존명사가 붙
는데, 이는 그리스도인 “나”와 의사인 “聖피―타―”와의 관계와 위계를 재정립
한다.
그렇다면 “나”가 지니는 “그리스도”로서의 정체성은 어떠한 방향으로 구체
화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스도가 신이자 인간이라는 중간적 존재
라면 텍스트 내에서 형상화되는 그리스도의 모습이란 그리스도와 상상적 동일
시를 꾀하는 시인의 관점을 보여줄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내과>의 부제에서
이상의 “그리스도”의 의미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124) 군君은 의존명사로 쓰일 때 “(성이나 이름 뒤에 쓰여) 친구나 아랫사람을 친근하게 부르거나 이르는
말.”의 의미를 지닌다. “군君”,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66 -
“자가용복음”이란 이 텍스트가 인류 전체를 향한 신의 복음이 아닌 시인 자
신을 위한 복음임을 말하며, 이는 그리스도가 큰 타자의 상징적 질서의 시니
피앙으로 존재함을 거부하는 것이다.125) 이는 성부의 대리자로 태어난 존
재126)에서 벗어나는 그리스도의 모습을 보여 준다. 성부는 십계명127)의 주인
이며, 이는 기독교 안에서 보편적인 법칙이자 준칙으로 작동하는 로고스이기
에 이러한 십계명의 주인인 성부는 로고스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로고스의 대리자에서 벗어나는 이상의 “그리스도”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
지에 대하여서는 두 번째 부제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부제는 “或은 엘리엘리 라마싸박다니”이다. “엘리엘리 라마싸박다
니”는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는 뜻으로 가
상칠언架上七言128) 중 네 번째 말이다. 이는 일곱 가지 말 중 유일하게 신적
체념과 죽음의 수납이 아닌 인간적 고뇌와 고통, 즉 파토스를 보이는 부분이
다. 이전까지 십자가에 매달린 채 배경화되었던 인간의 ‘육체’는 파토스적인

125) “텍스트 <내과>는 ‘자가용 복음’이라고 말하는 주체가 규정하고 있듯이 ‘성경이 인류에게 인류의 죄
를 구원하기 위해 보내진 타자의 복음’이라면 이 텍스트는 ‘시인 자신에게 자신의 멸망을 구원하기 위
해 보내진 자신의, 자신에 의한, 자신을 위한 복음’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스도가 타자의 복음, 특
히 큰 타자의 상징적 질서의 시니피앙으로 나타날 때 시인은 그것을 거부하려는 부정성을 보인다. 그
러나 성서를 ‘자가용 복음’으로 인식할 때 ‘그리스도-큰타자의 상징체계’라는 등식은 사라지며 ‘그리스
도의 삶과 나’ 사이의 동일시가 발생한다.” 김승희, 「이상 시 연구-말하는 주체와 기호성의 의미작용
을 중심으로-」, 191쪽.
126) 성경에 나타나는 복음은 ‘하나님의 복음’, ‘아버지의 복음’이며, 예수는 이러한 복음을 전파하기 위하
여 태어난 존재이다.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른 동네들에서도 하나님의 나라 복음을 전하여야 하
리니 나는 이 일을 위해 보내심을 받았노라 하시고”(누 4:43)를 통하여 성부의 복음 전파를 존재 이유
로 삼는 예수의 관점을 추측할 수 있다.
127) 십계명은 1. 야훼 이외의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 2. 우상을 섬기지 말라. 3. 하느님의 이름을 망령
되이 부르지 말라. 4. 안식일을 거룩히 지키라. 5. 너희 부모를 공경하라. 6. 살인하지 말라. 7. 간음하
지 말라. 8. 도둑질하지 말라. 9. 이웃에 대하여 거짓증언을 하지 말라. 10. 네 이웃의 재물을 탐내지
말라. 로 이루어져 있다. 열 계명 가운데 여덟 계명은 금지에 대한 계명이며, 나머지 두 계명 중 하나
인 부모를 공경하라는 내용은 효孝라는 유교적 계명과도 같은 궤를 지닌다. 효라는 계명에 관한 이상
의 콤플렉스는 <육친> 등에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128) 그리스도가 죽음 직전 십자가에서 고통 중에 한 일곱 가지 말이다. 1. "아버지 저들을 사하여 주옵
소서 자기들이 하는 것을 알지 못함이니이다"(눅 23:34). 2.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눅 23:43). 3.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 보라 네 어머니라"(요
19:26-27). 4.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마
27:46; 막 15:34). 5. "내가 목마르다"(요 19:28). 6. "다 이루었다"(요 19:30). 7.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눅 23:46). “가상칠언 [架上七言, the Seven Words]” 생명의말씀사, 『교
회용어사전』. 수록한 가상칠언의 순서는 십자가에 매달린 후부터 그리스도의 죽음까지의 시간적 순서
를 따르고 있다.

- 67 -
외침을 통하여 전경화되며, 이 지점이 바로 이상의 “그리스도”가 성경의 “그
리스도”와 차이를 지니는 부분이다. “엘리엘리 라마싸박다니”는 십자가에서의
일곱 말 중 가운데에 위치하며, 이는 신의 길과 인간의 길이라는 선택지 사이
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경에서는 그리스도가 이러한 외침 이후 다
시 성부의 로고스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이는 것129)과 대조적으로 <내과>의
“그리스도”, 즉 이상의 “그리스도”는 이와는 다른 방향을 선택한다.
<각혈의 아침>에서 나타나는 “肺속 뺑키칠한 十字架가 날이날마다 발돋움
을 한다”는 <내과>에 이르러 “흰뺑끼로칠한十字架에서내가漸漸키가커진다.”로
변화한다. 이 텍스트에서 “뺑끼칠한 십자가”가 의미하는 바는 두 가지이다. 첫
째는 기독교의 상징이자 성부의 대리자인 그리스도의 수난을 상징하는 것이
며, 둘째로는 “흰뺑끼”칠이라는 색채적 요소와 십자가가 지닌 형태적 유사성
을 통하여 엑스레이에 찍힌 흰 폐의 모습, 즉 결핵의 은유로 볼 수 있을 것이
다. 결핵이란 근대적 질병이자 운명적 질병이라는 맥락을 바탕으로 한다면 이
는 성부가 부여한 성자의 자격이 동반하는 십자가에서의 죽음의 운명과 같은
궤를 지닌다. 즉 십자가는 기독교 로고스의 상징인 것이다.
그렇다면 <각혈의 아침>에서 “날이날마다 발돋움을” 하는, 점점 거대해지는
십자가의 이미지가 <내과>에 이르러 “그리스도”인 “내가점점키가커진다”로
변화한다는 것은 대타자적 존재인 성부의 로고스에서 파토스적 그리스도, 인
간으로서의 그리스도로 이행하는 이상의 “그리스도”를 규명한다. 즉 이상은
십자가에 매달린 그리스도가 지니는 파토스에 주목하고 이를 탈로고스의 방편
으로 삼은 것이다.
십자가에 매달려 서서히 죽어가는 육체와 고통에 찬 부르짖음은 다분히 파
토스적이다. 이러한 격정은 절제에서 벗어난 상태로 동시에 무엇인가를 욕망
하며, 있어야 할 당위적 세계의 부재로 인하여 세계에 대한 적대감정을 지닌
다.130) 즉 파토스는 세계에 대한 물음을 함의하는 미래지향적인 양식131)이며,

129) 죽음 직전의 마지막 말, 가상칠언의 마지막 말이 “아버지 내 영혼을 아버지 손에 부탁하나이다.”(눅


23:46)라는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130) “파토스(phatos)는 불운․고뇌․격정 등 병적 상태라는 어원적 의미를 가진다. 마음의 병적 상태이기
때문에 때로 광기의 병리학적 용어로도 기술된다. 파토스는 격정이기 때문에 절제를 떠나 방황하는 마
음상태다. 격정과 적대감정으로서 파토스는 또한 무엇인가를 지향하는 갈망이다. 그래서 서정적인 것
과는 달리 파토스적인 것은 무엇을 욕구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이 욕구 자체는 실제로 ‘있음’과 ‘있어
야 함’의 분리에 대한 반응이다. ‘있어야 함’의 당위적 세계가 아직 지금 여기에 없으므로 격정․방황하
는 마음이 되고 세계에 대한 적대감정이 될 수밖에 없다.” 김준오, 『詩Q』(제4판), 삼지원, 2000, 51

- 68 -
이는 1장에서 제시된 에피그램-자신을 구성하는 동시에 억압하는 상징계적
세계에 대한 저항과 맞물린다.
이상의 “그리스도”가 파토스적 주체라면, 쾌락 속에서 고통의 감정을 수반
하는 파토스는 정신분석학적으로는 주이상스jouissance132)와 상통한다. 주이
상스는 상징계의 억압으로부터 발생하여 상징계 너머를 욕망한다. 경제 원칙
을 따르는 쾌락과는 달리133), 주이상스는 이를 넘으려는 욕망이기에 필연적으
로 죽음과 연결된다. 또한 주이상스는 고통스러운 쾌락이므로 주이상스적 주
체에게 있어 고통은 없애야 할 대상이 되지 않는다. <각혈의 아침>의 “나”에
게 결핵균이 “나”가 “그리스도”임을 알리는 “가브리엘천사균”으로 변화하는
모습은 이러한 양상을 제시한다. 이분법적 로고스로 이루어진 근대의 의사인
“성베드로”는 주이상스적 주체인 “나”의 병증 아닌 병증을 이해하지 못하고
무력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시적 주체인 “나”를 “그리스도”로 만드는 원인이
자 주이상스적 주체의 기반이 되는 결핵의 이율배반적인 신화는 주이상스가

쪽.
131) “이로써 우리는 미래를 향한 긴장되는 양식(stil)의 두 가지 가능성, 파토스적인 가능성과 문제에 의
한 가능성, 양자가 왜 그렇게 잘 결합되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였다. 파토스(pathos)는
문제와 다름없이 추진력을 지니고 있다. 전자는 원하며 후자는 묻는다. 그러나 의욕과 질문은 물론 기
질과 힘에 따라서 후자에서 많이 결정되거나, 전자에 더 많이 결정되거나 하면서 미래 지향적인 실존
속에 일치된다. 그리하여 하나의 문제의 질문은 너무나 추상적이 되도록 하여, 가장 정련된 예술만이
관중의 관심을 끌 수 있아고 할 때, 파토스(pathos)는 동정심을 일으켜 청중의 정신 아닌 마음속에서
의문이 떠오르게 한다. 고대 희랍 비극에서, 프랑스 고전주의 극에서 또 쉴러(Schiler)의 극세계에서
파토스(pathos)와 문제(problem)는 완연히 하나가 되어 있다.” E. Steiger, 이유영․오현일 역,『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1978, 242-243쪽.
132) 쾌락pleasure과 향락jouissance의 차이를 말해보면, 주이상스의 의미가 더욱 명료해질 수 있다. 프
로이트의 견해에 의하면 쾌락은 휴식과 이완의 방향으로 심리적 긴장이 감소되지만 주이상스는 긴장
의 유지나 고조에 있다. 주이상스는 직접 느껴지지 않지만 육체와 심리, 즉 주체 전체가 최대의 시련
을 겪을 때에 간접적으로 나타난다. 쾌락은 의식적이거나 전의식식적이고 항시 에너지가 느껴진다. 그
러나 주이상스는 무의식적인 모습을 띠며 결코 직접 느껴지지 않고, 참을 수 없는 긴장인 도취와 생소
함의 혼합물로서 경험할 때 쓰는 말이다. 주이상스는 한계 상황, 즉 파열 상황에서 경험하는 에너지의
상태인데, 그 때는 고비를 넘고 도전을 감수하며 예외적이고, 가끔은 고통스러운 발작과 대결한다. 쾌
락은 자아에 의해 지각되고 경험되는 감각이므로 눈 앞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왕래에 의존하며, 일시적
이다. 주이상스는 행동으로만 말하며, 이는 향락의 침묵이라 일컬어진다. 이는 일시적이지 않고 영원하
며, 시간을 초월하는 특징을 지닌다. 장 다비드 나지오 저, 임진수 역, 『자크 라캉의 이론에 대한 다
섯 편의 강의』, 교문사, 2000, 73-74쪽.
133) “쾌락의 경제 원칙은 상징계의 규범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사회적 규범을 넘어서지 않는 한에서,
육체와 정신이 모두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쾌락만을 향유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넘어서는 환희와 열
락의 기쁨은 현실의 상징계 안에서는 죽음의 경지와 깊이 관계 맺게 된다.” 서지형, 「뒤라스의 <롤
V. 스텡의 황홀>에 나타난 '히스테리'와 '희열'의 의미」,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7, 55쪽.

- 69 -
지닌 쾌락과 죽음의 양면성과 연결된다. 결핵은 죽음의 질병이지만 결핵은 다
행증多幸症 및 격렬한 성적 욕망을 불러일으킨다고도 여겨졌기 때문134)이다.
로고스적 이분법에 의하면 죽음은 고통이자 슬픔인 데 반하여 행복과 성性은
죽음과 반대되는 삶에 속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결핵의 신화는 이를 동시에
포함한다.135)
시적 주체인 “나”는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 체계 안에 존재하는
“성베드로”를 무력화하고, 성부의 대리인인 “그리스도”가 지니는 인간적이고
파토스적인 면모를 지니는 존재이다. 자신을 매단 채 “발돋움”을 하는 “十字
架”에서 매달린 채 “내가漸漸키(육체)가커진다”로 변화하는 은유를 통하여 기
독교의 로고스에 균열을 가하는 아이러닉한 저항의 방식은 이상의 쓰기 은유
와 같은 궤를 지니며, 쾌락 ‘원칙’을 넘으려는, 즉 상징계의 로고스를 뛰어넘
으려는 주이상스의 근원이 상징계에 있다는 역설적인 사실과도 유사하다.
이상의 “그리스도”가 주이상스적 주체가 될 수 있는 이유는 숭고한 신적 존
재가 아닌 육체를 지닌 인간으로서의 면모를 지니기 때문이다. 성부의 로고스
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죽어가는 육체에 집중하고 그 고통을 드러냄136)은
주이상스의 근원인 인간의 고통스러운 현실137)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을 것
이다. 즉 살아 있는 육체를 지닌 인간으로서의 그리스도는 주이상스적 주체로
나타나며 이는 “그리스도”로 나타나는 시적 주체가 상징계의 질서 너머에의
욕망, 즉 탈로고스적 욕망의 주체임을 반증한다.
이러한 은유의 변화를 메타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내과>
은유 <咯血의 아침> -自家用福音-
-或은 엘리엘리 라마싸박다니-

134) 수잔 손택, 이재원 역, 『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2002, 25쪽 참고.


135) <鳥瞰圖> LE URINE에 나타나는 애무와 성기ORGANE의 이미지 또한 쇠약한 몸을 뜻하는 “문약文
弱”과 함께 나타난다. 이 외에도 이상 텍스트 전반에 나타나는 에로티즘적인 이미지와 은유, 병든 몸
의 병기는 결핵이 지니는 죽음과 성의 병존이라는 신화를 나타낸다.
136) <咯血의 아침>과 <內科>에서 반복되는 것은 근대 의사인 “성베드로”의 무력함과 “나”의 고통의 은
유(“黃昏같은 肺속에서는 고요히 물이 끓고 있다”(<喀血>의 아침), “그(늑골)속에서는 海綿에젖은더운
물이끓고있다.”(<內科>))이다.
137) 이정호는 주이상스가 인간의 고통스러운 현실 경험에 기초하고, 하이데거가 지적하듯 인간이 죽음
을 향해 가고 있는 존재인 한 이러한 고통은 주이상스의 근원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정호, 『주
이상스의 텍스트 : 미국 문학 새로 읽기』, 동인, 2007, 7쪽 참고.

- 70 -
자신 self 내가 가장 불세출의 그리스도 유다야사람의임금님
타자(개인) 성베드로가 도청을 하고 나는 모 성피타군이 도청을 하고 모른다고
other(one) 른다고 한다 한다
자신의 자아 흰뺑끼로 칠한 십자가에서 내가

self-self 점점 키가 커진다
자신의 타자 폐 속 뺑끼칠한 십자가가 날이날

self-other 마다 발돋움을 한다

시적 주체는 앓는 ‘환자’에서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를 통하여 ‘의


사’로 이행한다. <각혈의 아침>과 <내과>는 모두 “그리스도”로서의 시적 주체
를 형상화한다. 또한 두 텍스트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근대 의사인 베드로와
그의 도청 실패는 탈근대적 의사이자 “그리스도”인 시적 주체의 아래에 존재
하는 근대 의료와 그 바탕인 신학적 로고스의 무력함을 나타내는 은유이다.
기독교 담론을 통하여 기독교의 로고스를 공격하는 아이러닉한 은유는 탈로고
스적 치유의 한 방편이다. 이상의 “그리스도”는 <각혈의 아침>에서 <내과>로
이행하면서 결핵으로 인하여 희게 변한 폐의 은유인 “날이날마다 발돋움을”
하는 “십자가”에 매달린 존재에서 십자가에 매달렸으나 십자가가 아닌 “내가
점점 키가 커”지는 것, 즉 성부의 로고스에서 파토스로 이행하는 존재로서의
“그리스도”, 탈로고스적 주체로의 이행을 보여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각혈의 아침>과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니는 텍
스트들을 살펴본다면 이 텍스트들에서도 마찬가지로 탈로고스적 주체의 욕망
이 반복적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다. <골편에관한무제>에서는 희극적 웃음을
통하여 로고스의 억압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신통하게도血紅으로染色되지아니하고하이한대로
뺑끼를칠한사과를톱으로쪼갠즉속살은하이한대로
하느님도亦是뺑끼칠을한細工品을좋아하시지―사과가아무리빨갛더라도
속살은亦是하이한대로. 하느님은이걸가지고人間을살작속이겠다고.
墨竹을寫眞撮影해서原板을햇볕에비쳐보구료―骨格과 같다(?)
頭蓋骨은石~같고 아니石~의陰畵가頭蓋骨같다(?)
여보오 산사람骨片을보신일있우? 手術室에서―그건죽은거야요 살아있
는骨片을보신일있우? 이빨! 어머나―이빨두그래骨片일까요. 그렇담손톱도

- 71 -
骨片이게요?
난人間만은植物이라고생각됩니다.

<骨片에관한無題> 전문138)

<골편에관한무제>에서는 사과와 골편이 중심 소재로 나타나는데, 이 때 사


과의 의미는 <각혈의 아침>에 제시되는 사과의 이미지와 함께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각혈의 아침>의 시적 주체는 “알맹이까지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는 욕망
을 내비치지만 누군가의 말로 인하여 그 욕망은 철회된다. 그 말은 “피가 물
들기 때문에 여윈다”는 것으로, “그 種子는 이제 심어도 나지 않는다고 단정
케 하는 사과 겉껍질의 빨간색”은 “알맹이까지 빨간 사과”의 종자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피가 물들기 때문에 여윈다”는 말은 통상적인 피의 색이 붉다
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나”의 피의 색은 붉지 않다는 사실을 함의하며, 시
적 주체인 “나”는 자신의 피가 물듦으로써 여위는 것보다 사과를 먹지 않는
쪽을 택한다. 그러므로 “알맹이까지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는둥”이라는 말은
시적 주체의 진정한 욕망이라기보다는 “이제 심어도 나지 않는다고 단정케 하
는” 종자에 대한 호기심에 그친다고 할 것이며, 이는 마지막에 붙은 “둥”139)
의 의미로 인하여 명확해진다.
이러한 사과의 의미는 <골편에관한무제>에서 보다 뚜렷해진다. <골편에관한
무제>에서 나타나는 “사과”는 색칠한 뼈의 은유로 작동하는데, 사과의 빨간색
은 “하느님”이 “뺑끼칠”을 한 것으로, “사과”는 “하느님”의 취향에 맞는 “뺑
끼칠한세공품”인 것이다. 이러한 “뺑끼칠”은 “인간을살작속이겠다”는 “하느
님”의 어쭙잖은 목적의 방편이다. 즉 “사과”의 색은 본래 흰 것이며, 사과의
이러한 속성은 “혈홍으로염색되지아니하고하이한대로”인 “골편(뼈)”와의 유사
성으로 인하여 “골편”의 은유로 작동한다.

138)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78쪽. 이 시는 일본어로 쓰인 이상의 유고시로, 1956년 임종국 편


집으로 『이상전집』을 통하여 소개되었다.
139) “둥”은 1. “무슨 일을 하는 듯도 하고 하지 않는 듯도 함을 나타내는 말.” 2. “이렇다거니 저렇다거
니 하며 말이 많음을 나타내는 말.”로, 이 시에서는 1의 의미에 가깝다. 1의 의미뿐만 아니라 2의 의
미 또한 한 가지로 명확하지 않고 이리저리 흔들리거나 정확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지니므로 “알맹이
까지 빨간 사과가 먹고 싶다는둥”은 시적 주체의 뚜렷한 욕망이라고 보기 힘들 것이다.

- 72 -
즉 두 텍스트에서 사과의 알맹이와 껍질이 지니는 각기 다른 색채에 대한
통찰을 바탕에 둔 은유가 반복되는 것이다. 그러나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사과는 “나”의 “피”와 대조를 이루는 이미지에 그치는 데 반하여 <골편에관
한무제>에서 사과의 의미는 보다 뚜렷해진다. 사과의 진정한 색과 신의 장난
스러운 “뺑끼칠”로 인한 색으로 나뉘어지며, 이러한 속성은 빨간 피에 잠긴
하얀 뼈라는 유사한 속성으로 확장된다. 그리고 뼈에 대한 시선은 식물로 옮
아간다. <골편에관한무제>에 나타나는 화자는 두 명인데, 한 명(A)은 시의 전
체적인 흐름을 이끌어가며 다른 한 명(B)은 그의 이야기에 반응을 하는 방식
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화자 A는 대나무가 지니는 마디의 형태와 인간의 뼈
마디의 형태적 유사성을 연결시키며, “두개골은석류같고 아니 석류의음화가두
개골같다(?)”를 통하여 석류와 인간의 두개골의 유사성을 이야기한다. 그러나
묵죽과 석류와 같은 식물과 “골편”과의 유사성은 식물이 지닌 근본적인 유사
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묵죽을사진촬영”을 한 후 “원판”을 햇빛에 비
춰봄으로써, 그리고 “석류의음화”, 즉 사진촬영을 하고 난 후에야 나타난다.
당시는 셀룰로이드 필름이 아닌 유리원판에 감광제를 발라 필름으로 이용140)
하였는데, 사진을 촬영한 후 만들어지는 유리원판은 촬영한 상象의 명암이 반
대로 나타나며, 색은 흰색과 검은색에 가까운 녹색으로 구분된다. 또한 음화陰
畵는 명암이 반대로 나타나는 사진을 뜻한다. 즉 이는 모두 엑스레이로 찍은
사진과 유사한 형태를 지니는 것들이다.
식물과 인간의 동일성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화자 A로 인하여 나타나는데,
다음 행에서부터 화자 A는 화자 B에게 질문을 던진다. “여보오 산사람골편을
보신일있수?”라는 질문에 등장하는 화자 B는 “수술실에서―”라고 대답하지만
화자 A는 “그건 죽은 거”라고 이야기하며 화자 B의 답이 틀렸음을 이야기한
다. 화자 B가 다시 “이빨!”이라고 답하자 화자 A는 “이빨! 어머나―이빨두그래
골편일까요. 그렇담손톱도골편이게요?”라 이야기하며 화자 B의 답이 틀렸음에
더하여 손톱에 대해 반문한다.141) 그리고 곧바로 “난인간만은식물이라고생각

140)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 사학과 교수 및 조선총독부 박물관장을 지낸 식민사학자인 후지타 료사쿠


가 1922년부터 1944년까지 만주와 조선의 유적지를 조사하며 수천 장의 유리원판 사진을 촬영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보아, 이 시가 쓰인 시기(<咯血의 아침>이 쓰인 1933년 이후와 이상이 죽은 1937년
사이)에도 유리원판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141) 김승희는 이 부분을 “삶 속에 있는 죽음을 가지고 공포스러워 하거나 끔찍스러운 혐오르 나타내는
대신 농담조의, 위트를 자랑하는 것 같은 재미를 느끼게 한다.”고 지적한다. 김승희, 앞의 글, 196쪽.

- 73 -
됩니다.”라고 선언을 하고 이야기를 끝내버린다. 이 때 화자 A의 선언의 논리
적인 근거는 앞서 화자 A가 제시한 행위-원판을 햇볕에 비추거나 음화를 뽑
는 것-를 통해 도출되는 묵죽과 석류의 상象에서 비롯된다. 이는 이러한 상象
이 엑스레이로 찍은 사람의 골편의 모습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그러
나 화자 A의 말은 논리적이라기보다는 우스꽝스러운 논리적 비약에 가깝다.
동물인 인간과 식물이 애초에 같을 수 없으며, 맨눈으로 보았을 때에는 분명
다른 모습을 엑스레이로 찍은 사진과 같기 때문에 식물과 인간이 같다는 논리
는 납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로 이 우스꽝스러움으로 인한 웃음에
이 시의 목적이 있다.
화자 A가 주장하는 식물과 인간의 공통점을 추출할 수 있는 기제가 엑스레
이라는 것에 주목하자. 엑스레이는 근대적 의료의 은유이자 폐결핵을 가려내
는 방편이며, 더 나아가 인간의 몸 속을 들여다보는 ‘신의 눈’이다. 근대 의료
의 기본틀이 신학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맥락과 연결지을 때, 화자 A는 신
의 눈으로 보는 인간의 모습을 통하여 식물과의 동일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화자 A는 자신이 주장하는 논리의 허점을 내보이는데, “묵죽을사진촬영해서
원판을햇볕에비쳐보구료―골격과같다(?)/두개골은석류와같고 아니석류의음화가
두개골같다(?)”라는 문장에 나타나는 물음표-(?)-는 자신의 주장에 대한 한계
를 문장부호를 통하여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마지막 주장, “난인간만은
식물이라고생각됩니다.”의 근거의 부실함을 표현함으로써 이 주장이 억지임을
시사한다.
화자 A의 억지 주장은 화자 B와의 문답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두
사람의 대화는 다분히 희극적이다. 화자 A가 자신의 억지 논리를 통하여 겨냥
하는 대상이 누구인지는 <골편에관한무제>의 앞부분에 제시되어 있다. 화자
A는 사과가 지닌 두 가지 색을 “하느님”의 “인간을살작속이겠다”는 장난스러
운 “뺑끼칠”에 대하여 자신의 장난을 “하느님”에게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전
지전능한 “하느님”은 고작 그 전능함으로 “인간을살작속이겠다”는 하찮은 장
난질을 하고 있으며, 화자 A는 이런 “하느님”의 로고스를 바탕으로 하는 근대
의료 기술인 엑스레이를 신봉하는 자신의 우스운 주장-엑스레이를 통하여 나
타나는 형상을 산 사람의 골편과 무리하게 연관짓는-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하느님”의 존엄과 권위를 떨어뜨리는 것이다.142)
<각혈의 아침>의 시적 주체는 “알맹이까지 빨간 사과”를 먹지 않는 소극적

- 74 -
거부의 자세에서 사과에 “뺑끼칠”을 하는 “하느님”의 장난에 맞서는 희극적
농담을 통하여 이에 대항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골편에관한무제>는
웃음을 유발함으로써 전능한 “하느님”에 대한 하나의 저항이 된다는 데에 의
의143)가 있으며, 이는 “하느님”과 엑스레이로 나타나는 근대적 로고스에 대한
탈주적 욕망을 함의144)한다. 이와 유사한 맥락을 지니는 시는 마찬가지로 <각
혈의 아침>과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니는 <가구의추위>이다.

네온사인은쌕스폰과같이瘦瘠하여있다.

파릿한靜脈을절단하니샛빨간動脈이었다.
-그것은파릿한動脈이었기 때문이다-
-아니! 샛빨간動脈이라도저렇게皮膚에埋沒되어있는限……

보라! 네온사인인들저렇게가만―히있는것같어보여도其實은不斷히네온가
스가흐르고있는게란다.
-肺病쟁이가쌕스폰을불었드니危險한檢溫計와같이
-其實은不斷히壽命이흐르고있는게란다

<街衢의추위>

142) “다른 사람을 우습게 만든다는 발견으로 희극적 쾌락을 예기치 않게 얻을 수 있는 통로가 열리며,
고도로 발달된 기술의 원천이 제공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뿐 아니라 자기 자신도 우습게 만들 수 있
다. 희극적으로 만드는 데 사용되는 수단으로는 희극적 상황에 빠뜨리기, 모방, 변장, 폭로, 캐리커처,
패러디, 분장 등이 있다. 이 기술들은 적대적, 공격적 목적에 종사하면서 등장한다. 우리는 어떤 사람
을 무시하기 위해서, 존엄과 권위에 대한 그의 요구를 박탈하기 위해서 그를 우습게 만들 수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임인주 역,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열린책들, 2003, 237쪽.
143) 프로이트는 이처럼 특별한 의도나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농담을 ‘경향성을 갖는 농담’으로 정의한
다. 경향성을 지닌 농담은 농담을 하는 사람, 적대적인 공격의 대상이 되는 사람, 쾌락의 생성이라는
농담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제삼자가 필요하다 말하는데, 농담을 하는 사람은 화자 A이며, 공격의 대상
이 되는 사람은 “하느님”이며, 제삼자는 텍스트 내에서는 화자 B 혹은 “하느님”-상징적 대타자의 억
압 아래에 있는 상징화된 독자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앞의 책, 117쪽, 129쪽.
또한 특히 농담이 경향적일 경우, 농담의 쾌락을 매개하여 관객은 이성의 억제로부터 해방된다. 그리
고 이 과정에서 그것(이성)이 무의미한 것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새로운 쾌락을 획득할 수 있다. 지그
문트 프로이트, 앞의 책, 176쪽.
144) 프로이트는 농담의 쾌락이 ‘억제 비용의 절약’에서 일어난다고 언급한다. 관객은 자신 안에 있는 억
압을 풍자를 관람하는 과정에서 힘들이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무의식을 억압으로부터 끌
어당겨야 할 정신적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게 되는데, 그 에너지가 웃음으로 변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
그문트 프로이트, 앞의 책, 200-226쪽 참고.

- 75 -
-一九三三, 二月十七日의室內의件- 전문145)

<가구의추위>의 첫 문장은 <각혈의 아침>의 문장과 유사하다. <각혈의 아


침>에서의 “네온사인은 색소폰같이 야위었다/그리고 나의 정맥은 휘파람같이
야위었다”는 <가구의추위>에서 다시 반복된다. 이 시에서도 분열된 화자의 모
습이 나타난다. 푸른 정맥을 절단하였더니 실은 빨간 동맥이었다는 진술에 대
한 서로 다른 두 개의 의견이 매달리는 것이 그것이다. 첫 번째 의견은 그것
이 실은 파릿한 동맥이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며, 이에 대한 반박이 뒤따른다.
그것은 본디 새빨간 동맥이라 하더라도 “저렇게피부에매몰되어있는한……” 새
파란 정맥이라 착각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음 연에 나타나는 것 또한 이와 같은 형식을 지닌다. 가만히 있는 것 같
아 보이는 네온사인 안에서는 “기실은부단히네온가스가흐르고있”음을 이야기
하며, 네온사인의 이러한 성질은 “폐병쟁이가쌕스폰을불었드니위험한검온계”
와 동일선상에 놓인다. “폐병쟁이”가 “쌕스폰”을 분다는 것은 폐에 무리가 가
는 행위이며, “위험한검온계”는 당시 체온계의 온도가 위험한 상태까지 올라
감을 이야기한다. 즉 폐병쟁이가 쌕스폰을 붊으로 인하여 위험해지는 몸의 상
태를 뜻하는 것이다. 폐병쟁이와의 관계로 인하여 쌕스폰은 위태로운 이미지
를 획득하며, 이는 맨 첫문장의 네온사인과 쌕스폰을 엮는 “수척함”을 설명한
다. 마지막 문장에서는 다시 네온사인이 “위험한검온계”같은 “폐병쟁이”의 몸
과 수명의 은유로 작동한다.
“파릿한동맥”과 “네온사인”의 공통점은 모두 “겉”에 나타나는 것과 “속”에
존재하는 것 사이의 차이이다. “피부”로 인하여 “새빨간정맥”은 “파릿한동맥”
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또한 “네온사인”은 “가만―히있는것같어보”이지만 “기
실은부단히네온가스가흐르고있는”것이며, 이는 “폐병쟁이”가 “위험한검온계
같”아 보임에도 “기실은부단히수명이흐르고있”다는 사실과 이어진다. 이는
<각혈의 아침>의 시적 주체인 “나”가 폐병을 앓는다는 사실과 더불어 <골편
에관한무제>에 나타나는 “하느님”의 장난, “이걸가지고인간을살작속이겠다”는
“뺑끼칠”과도 연관성을 지닌다. 그러나 “하느님”의 “뺑끼칠”로 인한 착각에도
불구하고 “기실” 새빨간 동맥이며, 부단히 수명이 흐르고 있음을 이야기함은

145)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81쪽. 이 시는 일본어로 쓰인 이상의 유고시로, 1956년 임종국 편


집으로 『이상전집』을 통하여 소개되었다.

- 76 -
“하느님”의 행위를 한낱 꺼풀로 보고 그 안에 있는 것을 진실한 것으로 봄으
로써 “하느님”의 장난을 간파하며, 이에 대한 저항의 정신을 시사한다.
<각혈의 아침>에서 제시된 “그리스도”의 이미지는 <내과>를 통하여 성부의
로고스에서 벗어나려는 파토스적 존재로 구체화된다. 인간으로서의 예수가 지
니는 파토스는 주이상스와 연결됨으로써 탈로고스적 욕망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러한 탈로고스적 욕망은 <골편에관한무제>에서 “인간을살작속이겠다”는
“하느님”의 “뺑끼칠”146)에 맞서 모방을 통한 희극적 웃음을 통하여 달성되며,
<가구의추위>에서는 겉과 알맹이의 차이를 지적하면서 “하느님”의 장난인
“뺑끼칠”, 즉 겉을 거짓으로 알맹이를 “기실其實”이라 말함으로써 “하느님”으
로 나타나는 로고스에 저항하는 모습147)을 보인다.

3. 육친을 향한 두 시선 : 二父一子의 패러독스

<각혈의 아침>에서 결핵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어릴 적 사진”으로, 이


는 가부장적 억압으로 인하여 친부모와 떨어져 살게 된 어린 시절과 이로 인
하여 체화하게 된 근대적 질서를 가리킨다. 유년 시절과 가족관계를 원인으로
상정하는 진단은 혈육 텍스트에 대한 논의 가치의 근거가 될 것인데, 이상의
경우 혈육을 대상으로 한 시는 시적 주체의 시선이 일정하지 않고, 기독교 담
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가 나타난다는 특징을 지닌다.

146) 신이 “인간을살작속이겠다”는 목적을 지니고 사과에 빨간색으로 “뺑끼칠”을 하는 모습은 신을 희화


화하려는 시인의 목적이 뚜렷이 나타나는 부분이다. 신이 지니는 전능함에 비하여 철없고 책임감 없는
모습은 그 자체만으로도 다분히 희극적이며, 신의 이러한 모습은 <내과>뿐만 아니라 “그이”로 나타나
는 <역단> 역단에서도 제시된다. (“그이는白紙우에다鉛筆로한사람의運命을흐릿하게草를잡아놓았다. 이
렇게홀홀한가.”, “그이는앉은자리에서그사람이平生을살아보는것을보고는살작날아나버렸다.”)
147) 이상은 결핵을 근대적 담론과 연결시키고,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병증인 결핵을 “가브리
엘천사균”으로 은유함으로써 자신을 로고스와 대결하는 “그리스도”로 은유한다. 이로 인하여 형성되는
주이상스적 주체는 로고스를 희화화하고 그 압박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는 탈로고스적 욕망을 충
족하려 한다. 역설적으로 결핵-“가브리엘천사균”이 주체가 “그리스도”로서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이 된
다. 이는 라캉이 이야기하는 병증의 의의와 연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해석할 수 없는 증상의
요소, 마르지 않는 주이상스의 핵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질문은 여전히 남는다. 바꿔 말하면,
병증을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라캉의 대답은 분석이 주체로 하여금 자신을 병증과 동일시하도
록 이끌 수 있다는 것, 즉 주체에게서 증상을 없애는 분석적 해소가 필요하기는커녕 병증이라는 병리
적 표지가 바로 그/그녀의 주이상스를 독특하게 조직하여 ‘주체로 하여금 살아갈 수 있게 함’을 깨닫
게 한다는 것이다.” 딜런 에번스, 「칸트주의 윤리학에서 신비 체험까지 -주이상스 탐구」, 대니 노부
스 엮음, 문심정연 역,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문학과지성사, 2013, 33-34쪽.

- 77 -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는 한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것은 바
로 그리스도인 예수가 신의 아들이지만 또한 인간의 아들이라는 점이다. 예수
는 신인 아버지와 인간인 아버지를 함께 두었는데, 이러한 아이러니는 실제
친부와 헤어져 백부의 양자로 들어간 이상의 생애와 유사한 지점을 지닌다.
이상이 스스로를 억압적 로고스에 저항하는 “그리스도”라 은유하였다면 그의
유년 시절을 차압한 백부는 성부인 “하느님”이 될 것이며, 친부는 성부와는
다른 인간으로서의 아버지일 것이다. 이는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혈육에 대한
양가감정을 설명하고 기독교 담론과의 연결점을 통하여 이상 문학을 중층적으
로 해석할 수 있는 방편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148)
즉 혈육이라는 하나의 이름 아래에 해석되던 모순감정이 두 아버지와 한 아
들이라는 상황과 이상의 “그리스도” 담론 안에서 설명된다는 것이다. 혈육에
관한 텍스트에서 양아버지인 백부에 대한 시선은 억압에 대한 저항적 시선으
로, 친아버지에 대한 시선은 회귀와 사랑의 시선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朝
光》에 발표한 <슬푼이야기>-어느두週日동안-에 제시된 친부모에 대한 언급
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진다.

상이 났나보다-나는 팔장을 끼고 오래동안 잊어버렸든 우두 자죽을 맨


저보았습니다. 우리 어머니도 우리아버지도 다 얽으섰읍니다. 그분들은
다마음이 착하십니다. 우리아버지는 손톱이 일곱밖에 없읍니다. 宮內”活
版所에 단이실적에 손까락셋을 두 번에 잘니우섰읍니다. 우리어머니는
生日도 일음도 몰으십니다. 맨처음부터 친정이없는 까닭입니다. 나는 外
家집있는 사람이 퍽부럽습니다. 그러나 우리아버지는 장모있는 사람을
부러워하지는 않으십니다. 나는 그분들게 돈을갖다 들인일도없고 엿을사
다 들인일도없고 또한번도 절을해본일도없음니다. 그분들이 내게 經濟靴
를 사주시면 나는 그것을신고 그분들이 몰으는 골목길로만 단여서 다해
뜨려버렸읍니다. 그분들이 月謝金을주시면 나는 그분들이 못알아보시는
글字만을 골나서 배웠습니다. 그랬것만 한번도 나를 사살하신일이 없읍

148) 이화경은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기독교를 반감의 대상으로 본다. 이는 시대적 근대화 담론의 물
적 체계의 표상으로서의 기독교와 <危篤> 肉親에 나타나는 부권적 이마주와 결합한 “크리스트”에 대
한 분석이다. 그러나 혈육에 대한 시선이 친부와 양부(백부) 두 가지로 나뉘며, 기독교는 근대의 표상
으로서 저항의 대상이지만 이상은 그 담론을 저항의 기제로 삼는 아이러니한 글쓰기를 보인다는 점에
서 기독교란 그저 반감의 대상이 아닌, 보다 중층적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화경, 「이상문학에
나타난 주체와 욕망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논문, 2000, 108-109쪽.

- 78 -
니다. 젓떨어저서 나갔다가 二十三年만에 돌아와보았드니 如前히 가난하
게들 사십디다. 어머니는 내다님과 허리띄를접어 주섰읍니다. 아버지는
내모자와 洋服저고리를 걸기爲한 목을 박으섰읍니다. 동생도 다자랐고
망내누이도 새악시꼴이 단단이 백였읍니다. 그렇것만 나는 돈을벌줄 몰
읍니다. 어떻게하면 돈을버나요 못법니다. 못법니다.

<슬푼이야기>-어느두週日동안- 부분149)

이는 백부가 사망한 후 친부의 집으로 돌아온 상황을 묘사한 부분이다. 친


부모는 모두 얽었으나 착한 성품을 지녔다고 묘사된다. 친부는 손가락이 셋이
나 없으며 친모는 외가도 이름도 없는 사람이다. 이들은 모두 “여전히 가난하
게들” 사는 사람들인데에 반하여 “나”는 부유한 백부댁에서 고등교육을 받아
“그분들이 몰으는 골목길”을 다니고 “그분들이 못알아보시는 글字만을 골나서
배운” 인물이다.
무엇보다 친부모의 얼굴이 천연두로 인하여 “얽”은 것에 반하여 “나”는 “우
두 자죽”을 지님으로써 친부모와 달리 얽지 않았음이 암시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우두가 대표적인 근대적 의료의 방편이자 일제의 가장 중요한 식민 의료
정책150)이었다는 사실에 비추어본다면 우두를 맞지 않아 얽은 친부모는 전근
대적 속성을 지닌 존재이며, 우두를 맞은 “나”는 친부모와 달리 근대를 주입
받고151) 체화한 존재임이 나타난다.
즉 23년만에 돌아온 아들을 맞아주는 친부모가 이상에게 육체와 사랑을 주
는 전근대적 존재라면 백부는 근대적 지식과 질서를 부여한 존재이다. 친부모
로 인하여 육체를 부여받았지만 총독부 기사로 근무했던 백부에게 길러져 백
부와 마찬가지로 총독부 기사가 되었던 이상-“나”는 두 아버지 사이의 존재
일 수밖에 없으며, 각각의 아버지가 지닌 차이로 인하여 각각의 아버지에 대

149)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4: 수필 외』, 287쪽. 이 글은 이상의 유고작으로, 1937년 6월


《조광》에서 소개되었다.
150) 박윤재, 「조선총독부의 우두정책과 두창의 지속」, 《醫史學》, 대한의사학회, Vol.21 No.3
[2012], 379쪽.
151) 이는 우두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과 접종비라는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실질적인 우두 강제 접종을
실패한 대한제국과는 달리 조선총독부는 실질적으로 우두 강제 접종을 시행했다는 사실(신동원, 『한
국근대보건의료사』, 한울아카데미, 1997, 212-218쪽 참고.)을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여전
히 가난하게들 사”는 친부모의 경제적 무력함과 억압의 은유로 나타나는 백부가 지닌 근대적 속성을
동시에 내포한다.

- 79 -
한 시선 또한 달라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152)
먼저 친부에 대한 시선이 나타나는 것은 <역단> 가정에서이다.

門을암만잡아단여도않열리는것은안에生活이모자라는까닭이다. 밤이사
나운꾸즈람으로나를졸른다. 나는우리집내門牌앞에서여간성가신게아니다.
나는밤속에들어가서제웅처럼작구만減해간다. 食口야封한窓戶어데라도한
구석터노아다고내가收入되여들어가야하지않나. 지붕에서리가나리고뾰족
한데는鍼처럼月光이무덨다. 우리집이알나보다그러고누가힘에겨운도장을
찍나보다. 壽命을헐어서典當잡히나보다. 나는그냥門고리에쇠사슬늘어지듯
매여달렷다. 門을열려고않열리는門을열려고.

<易斷> 家庭 전문153)
(1936. 2.)

이 시는 백부의 양자로 들어가야 하는 시적 주체가 느끼는 좌절감이 주를


이룬다. 어린 시적 주체는 들어가려고 문을 잡아당기지만 “안에생활이모자라
는까닭”으로 열리지 않는다. “나”는 열리지 않는 “우리집내문패앞”에서 성가
심을 느낀다. “나”는 집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밤속에들어가서제웅처럼작
구만減해간다.” 이 때 나타나는 ‘제웅’을 통하여 자신의 처지에 대한 시적 주
체의 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제웅은 짚으로 사람의 형상을 만든 것인데, 이는
액운을 대신 치르게 하는 액막이의 일종이다. 가족 중 액운이 들 사람이 있으
면 그를 위하여 대신 액을 맞게 하는 짚인형을 만들어 내다 버리는 것인데,
스스로를 “제웅”이라고 은유하는 것은 가족들에게서 버려진 자신의 모습에서
그 유사성을 포착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웅은 어디까지나 가족을 위한 액막이라는 점을 비추어 볼 때, 가
난한 생활보다 부유한 백부댁에서 지내는 것이 본인에게도 좋으리라는 판단-
즉 자신을 위한 친부의 판단이라는 생각 또한 깔려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
적 주체에게서 가족에 대한 원망이나 분노, 저항의 면모는 나타나지 않는다.

152) “그(이상)는 생부에게서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다가오는 상징적 억압을 전혀 느끼고 있지 않은 듯


하다. 오히려 생부와의 관계는 거울단계의 초기 a가 주는 상상계적 관계를 느끼고 있는 듯하다. 그의
생부는 A가 아니고 상상계적 아버지이다.” 김승희, 앞의 글, 111쪽.
153)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11쪽.

- 80 -
단지 “문”을 열어 “봉한창호어데라도한구석” 들어가고픈 바람만이 반복될 뿐
이다. “우리집이알나보다그러고누가힘에겨운도장을찍나보다.”라는 대목에서는
“생활이모자란” 집이 앓기 때문에 “힘에겨운도장을찍”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제시된다. 이는 적빈으로 인하여 자식을 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뜻한다. “도
장”을 통하여 체결되는 것은 “전당”에 관한 계약이다. “수명을헐어서전당잡”
힌 후에 “나”는 “문고리에쇠사슬늘어지듯매여달”리지만 문은 “않열리는門”이
기에 “나”는 “우리집”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전당”잡힌
“수명”은 곧 “나”의 수명임을 알 수 있다.
적빈으로 인하여 자식을 보내는 친부와 유교적 가부장제 질서 하에서 대를
잇는다는 명목으로 형의 아들을 데려오는 백부라는 두 가지의 입장이 이 시의
전반에 깔려 있으며, “우리집”의 “문”을 열려고 안간힘을 쓴다는 것을 바탕으
로 할 때, 이 시는 이상의 초기 기억이 나타나는 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선 <각혈의 아침>에서 “어릴 적 사진”을 “현재”의 진단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과 같이 세 살 때 백부댁에 입양되었던 사실이 “문” 앞에서 “매어달”리는
비참한 모습과 “도장”으로 인하여 “전당잡”힌 대상으로서의 “나”의 은유는 문
제적 상황으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은유는 이후의 시에서도 반복된다.

墳塚에게신白骨까지가내게血淸의原價償還을强請하고잇다. 天下에달이
밝아서나는오들오들떨면서到處에서들킨다. 당신의印鑑이이미失效된지오
랜줄은꿈에도생각하지안으시나요―하고나는으젓이대꾸를해야겟는데나는
이러케실은決算의函數를내몸에진인내圖章처럼쉽사리끌러버릴수가참업다.

<危篤> 門閥 전문154)
(1936. 10. 8.)

이 시에 나타나는 “분총에게신백골”은 자신을 키운 백부를 가리킨다. 죽어


백골이 된 백부가 “혈청의원가상환을강청”-“나”가 혈육이자 자손으로서 그
값을 ‘마땅히’ 갚아야 할 것임을 주장-하기에 “나”는 “오들오들떨면서도처에
서들킨다.” 이 시는 <역단> 가정과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닌 텍스트로, 둘은
같은 시간적 배경을 공유한다. 그러나 <역단> 가정에 나타는 달은 “우리집”의

154)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44쪽.

- 81 -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하는 대상으로 나타나는 데에 반하여 <역단> 문벌은
“백골”로부터 숨으려는 “나”를 발견케 하는 감시탑의 조명 역할을 한다. 또한
<역단> 가정의 “나”는 그저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욕망을 지닌 어린 존재
였다면 <위독> 문벌의 “나”는 성장한 “나”로, 죽은 백부인 “백골”이 요구하는
“혈청의원가상환”을 강청받는 존재이다. 이는 <역단> 가정에서 제시된 “전당
잡”힌 것이 <역단> 문벌에서의 “나”에게 속한 “결산의함수”로 나타나기 때문
이다. 덧붙여 <역단> 가정에서 “전당잡”기를 성사케 한 “도장”이 <역단> 문
벌에서 “내몸에진인내도장”으로 나타나며, 이것이 “결산의함수”의 은유로 제
시되고 “쉽사리끌러버릴수가참업”다는 특성을 지니는 것은 “나” 또한 “백골”
의 세계에 물들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이러한 “나”가 “도처”에서 들킬 수밖
에 없는 이유는 “천하에달이밝”기 때문이며, “나”가 존재하는 “천하”는 “백
골”의 천하, 그의 “강청”을 인정하는 세계-곧 유교 가부장의 질서가 작동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친부에 대한 그리움과 회귀의 욕망과는 달리 근대적 지식과 억압적
로고스, 성부로 나타나는 백부에 대한 시선은 시적 주체에게 있어서 줄곧 저
항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백부는 “아버지”로 나타남으로써 유교적 효와 가부
장제의 억압을 보다 명징하게 드러내는데, 특이할 점은 동양의 이데올로기에
서구적 이데올로기인 기독교의 담론 또한 연결된다는 것이다.

나의아버지가나의겨테서조을적에나는나의아버지가되고또나는나의아버
지의아버지가되고그런데도나의아버지는나의아버지대로나의아버지인지어
쩌자고나는작고나의아버지의아버지의아버지의……아버지가되니나는웨나
의아버지를껑충뛰어넘어야하는지나는웨드듸어나와나의아버지와나의아버
지의아버지와나의아버지의아버지의아버지노릇을한꺼번에하면서살아야하
는것이냐

<烏瞰圖> 詩第二號 전문155)


(1934. 7. 25.)

이 시는 띄어쓰기를 무시한 채 나와 아버지와 아버지의 아버지들의 관계를

155)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46쪽.

- 82 -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문장의 형태는 “나”와 “아버지”와의 끊을 수 없는 관
계를 도상적 은유156)로 나타내며, 띄어쓰기라는 규범을 무시하다는 측면에서
는 언어라는 상징계를 뛰어넘는 탈로고스적 주체의 욕망을 시사한다. <오감
도> 시제2호에서 나타나는 것은 “나”가 짊어진 “나와나의아버지와나의아버지
의아버지와나의아버지의아버지의아버지노릇”이라는 짐에 대한 “나”의 거부감
이다. 이 때 중간에 제시되는 “아버지의……아버지가되니”라는 부분에 주목해
야 할 것이다. 이는 “나”가 끝없이 올라가는 아버지 중 가장 최초의 아버지가
되며, 동시에 그 최초의 “아버지노릇”을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데157), 이처
럼 마지막 후손에게서 최초의 아버지로 거슬러 올라가며, 최후의 후손과 최초
의 조상이 동일해지는 형식은 누가복음에 나타나는 예수의 계보 형식을 패러
디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예수께서 가르치심을 시작하실 때에 삼십 세쯤 되시니라 사람들이 아


는 대로는 요셉의 아들이니 요셉의 위는 헬리요
그 위는 맛닷이요 그 위는 레위요 그 위는 멜기요 그 위는 얀나요 그
위는 요셉이요
그 위는 맛다디아요 그 위는 아모스요 그 위는 나훔이요 그 위는 에슬
리요 그 위는 낙개요

156) 레이코프와 터너는 문장 구조와 의미 구조 사이에 사상관계가 존재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하여 시의 구조가 더욱 중층적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문장 구조와 이미지 구조 사이의 사상은
‘형태는 운동이다’라는 은유에 바탕을 둔 이미지적 사상이다. 문장이나 절은 형태이며 위의 은유에 의
해 이들은 움직이는 것으로 이해된다. (……) 문장구조와 그 의미구조 혹은 이미지 사이에 이와 같은
사상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도상적’이라고 부른다. 의미구조가 언어형식의 구조에 의거되는 것이다. 그
래서 우리는 문장구조의 어느 측면을 더욱 고차원적인 구성체라는 관점을 갖는다. 형식과 의미 사이의
도식적인 이미지 대응이 가능한 것도 이 때문이다. (……) 도상성은 시의 은유적 구조를 더욱 중층적
이게 한다. 도상성은 언어의 구조로부터 이미지 구조로의 사상이며 전체적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사상
이다.” G. Lakoff, M. Turner, 앞의 책, 201-202쪽.
157) 이승훈은 이를 “‘나’와 ‘조상들’의 역할을 동시에 하며 살아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한탄”(이승훈, 앞
의 책, 21쪽.)으로 읽었으나, 말줄임표의 함의와 시가 지닌 누가복음의 형식적 유사성, 이상의 “그리스
도” 담론과 연결짓는다면 ‘나’와 수많은 ‘조상들’보다는 ‘나’와 (최초 혹은 한)‘아버지’와의 관계로 읽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이다. 1960년 11월 현대문학에 발표된 이상의 미발표 유고작을 살펴 보면 이러한
의미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한 마리의 뱀은 한 마리의 뱀의 꼬리와 같다. 또는 한 사람의 나는 한 사
람의 나의 부친(父親)과 같다.”(이상 저, 김수영 역, 《현대문학》, 1960. 11, 164쪽.) “한 마리의 뱀”
이 “한 마리의 뱀의 꼬리와 같다.”는 것은 뱀이 지닌 선의 형태에서 착안한 표현으로 보인다. 선은 수
없이 많은 점의 연속이므로, 선의 끝과 끝은 각각의 점이자 하나의 선인 것이다. 그러므로 “한 사람의
나는 한 사람의 나의 부친”, 즉 아버지와 아들의 계보(선)에 속한 “나”는 곧 “부친”이라는 것 또한 이
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 83 -
그 위는 마앗이요 그 위는 맛다디아요 그 위는 서머인이요 그 위는 요
섹이요 그 위는 요다요
그 위는 요아난이요 그 위는 레사요 그 위는 스룹바벨이요 그 위는 스
알디엘이요 그 위는 네리요
그 위는 멜기요 그 위는 앗디요 그 위는 고삼이요 그 위는 엘마담이요
그 위는 에르요
그 위는 예수요 그 위는 엘리에서요 그 위는 요림이요 그 위는 맛닷이
요 그 위는 레위요
그 위는 시므온이요 그 위는 유다요 그 위는 요셉이요 그 위는 요남이
요 그 위는 엘리아김이요
그 위는 멜레아요 그 위는 멘나요 그 위는 맛다다요 그 위는 나단이요
그 위는 다윗이요
그 위는 이새요 그 위는 오벳이요 그 위는 보아스요 그 위는 살몬이요
그 위는 나손이요
그 위는 아미나답이요 그 위는 아니요 그 위는 헤스론이요 그 위는 베
레스요 그 위는 유다요
그 위는 야곱이요 그 위는 이삭이요 그 위는 아브라함이요 그 위는 데
라요 그 위는 나홀이요
그 위는 스룩이요 그 위는 르우요 그 위는 벨렉이요 그 위는 헤버요
그 위는 살라요
그 위는 가이난이요 그 위는 아박삿이요 그 위는 셈이요 그 위는 노아
요 그 위는 레멕이요
그 위는 므두셀라요 그 위는 에녹이요 그 위는 야렛이요 그 위는 마할
랄렐이요 그 위는 가이난이요
그 위는 에노스요 그 위는 셋이요 그 위는 아담이요 그 위는 하나님이
시니라

누가복음 3:23-38

이상이 수필 <산촌여정>에서 언급한 “조와하는 「누가」福音”은 다윗과 아


브라함을 조상으로 삼아 윗대에서부터 예수까지 내려가는 마태복음과 달리 예
수에서 시작하여 하나님으로 올라감으로써 예수와 하나님의 연결점을 강조한
다. 예수에서 하나님으로 이어지는 누가복음의 계보는 이후 삼위일체라는 기

- 84 -
독교의 교의를 통하여 최초의 아버지와 현재의 예수가 동일한 존재라는 패러
독스를 창조한다. 이상은 이에 착안하여 “나”가 “아버지”가 되고 “아버지
의……아버지노릇”을 해야 하는 아이러니를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러므로 <오감도> 시제2호에 나타나는 “나”의 목소리는 이상의 목소리이
자 이상의 “그리스도”의 목소리이다. 그러므로 이는 “아버지”이자 유교 가부
장제의 상징인 백부를 향한 목소리이기도 하며, “하나님 아버지”로 불리는 성
부 “하나님”을 향한 목소리기도 하다. 또한 백부가 근대적 로고스의 화신으로
나타난다는 점과 근대의 바탕이 서구에 있으며, 서구의 정신적 기반은 기독교
라는 사실의 연쇄를 통하여 개인적 역사와 더불어 자신을 둘러싼 세계인 근대
세계에 대한 저항적 시선을 기독교의 구조와 패러독스를 이용하여 지적했다는
점은 이상 문학이 지니는 아이러니한 저항의 기제를 증명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동양 이데올로기와 서양 이데올로기가 혼재하는 모습은 다음
시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크리스트에Ⅴ似한襤樓한사나이가잇스니이이는그의終生과殞命까지도내
게떠맛기랴는사나운마음씨다. 내時時刻刻에늘어서서한時代나訥辯인트집
으로나를威脅한다. 恩愛―나의着實한經營이늘새파랏게질린다. 나는이육중
한크리스트의別身을暗殺하지안코는내門閥과내陰謀를약탕당할까참걱정이
다. 그러나내新鮮한逃亡이그끈적끈적한聽覺을벗어버릴수가업다.

<危篤> 肉親 전문158)
(1936. 10. 9.)

<위독> 육친159)에 나타나는 “사나이”는 “크리스트에혹사”한 사나이로, “그


의종생과운명까지도내게떠맛기랴는사나운마음씨”를 지닌 자이다. 모든 생과
죽음, 즉 자신의 전부를 “나”에게 맡기려는 사나이는 “내시시각에늘어서서한
시대나눌변인트집으로나를위협한다.” 잠시도 쉬지 않고 “늘어서”있다는 것은

158)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53쪽.


159) “육친”의 의미는 1. 부모, 형제, 처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2. 조부모, 부모, 형제 등과 같이 혈족 관
계가 있는 사람을 뜻한다. 즉 실제 친부모뿐만이 아니라 혈족 관계가 있는 이들을 가리키는 말이므로,
이를 좁은 의미의 친부가 아닌 양부이자 백부를 가리키는 말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육친肉親”, 국
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85 -
<오감도> 시제2호에 나타나는 아버지의아버지들-그리고 최초의 아버지의 이
미지를 상기시키며, “사나이”가 그의 모든 것을 “나”에게 떠맡기려는 것은
“아버지가되고”, “……아버지노릇을한꺼번에하면서살아야”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오감도> 시제2호의 “나”와 마찬가지로 <위독> 육친의 “나”
또한 “사나이”의 이러한 “떠맛”김에 대하여 거부감을 지니며, 이를 “사나운마
음씨”라는 표현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비난한다.
사나이가 “나”에게 모든 것을 “떠맛기랴는” 근거는 “한시대나눌변인트집”으
로, 이미 한 시대나 뒤떨어진 눌변이자 트집이며 사나이는 “나”를 이러한 트
집으로 “위협”하는 존재이다. 이 때 “크리스트에혹사”한 “사나이”의 “트집”은
“은애恩愛”160)로, 은혜와 사랑-즉 부모의 사랑을 일컫는다. 이는 유교적 효
사상의 근거로 볼 수 있을 것인데, “나”는 이를 “트집”으로 본다는 것에서
이에 대한 시적 주체의 부정적인 시선이 명확히 드러난다. 그러나 이 “트집”
의 힘은 강력한 것이어서 “나의착실한경영이늘새파랗게질”릴 수밖에-<위독>
문벌처럼 “오들오들떨”수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나”는 “사나이”의 압박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는 “내문벌과내음모를약탈당
할”수 있다는 생각에 “육중한크리스트의별신을암살”하지 아니할 수 없다는 생
각에 다다른다. “내문벌”은 “사나이”의 문벌이 아닌 “나”의 행로이며, “내음
모”는 “사나이”에게서 벗어나고자 하는 생각을 뜻한다. “사나이”가 “크리스트
에혹사한” 존재라고 한다면 이는 기독교 담론-삼위일체를 바탕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이 각각 존재하는 동시에 셋은 하나라는 기독
교의 근본적인 패러독스는 이 시를 해석하는 데에 중요한 기표로 작용한다.
이에 따르면 “크리스트에혹사”한 존재는 성부이며, “크리스트에혹사한” 사나
이가 “육중한크리스트의별신”이라는 부분이 성부라는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
다. 성부, ‘아버지 하느님’은 이상 텍스트에서 백부의 은유161)이자 억압과 로
고스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160) 이는 “크리스트에혹사한사나이”로 은유된다는 점에서 기독교에서 이야기하는 “서로 사랑하라.”라는


사랑의 계율과도 관련성을 지닌다. 김승희, 앞의 책, 389쪽 참고.
161) 김승구는 이 시에 나타나는 “사나이”를 실제 가족 관계 내에서 무능하면서도 이상에게 가족사적 의
무를 강요하는 “부친”의 표상으로 본다. (김승구, 앞의 글, 96쪽.) 이 때의 부친은 친부를 가리키는데,
“크리스트에혹사한사나이”라는 표현에 있어서 친부는 “크리스트”와의 접점이 희미하며, 무엇보다 “육
중한크리스트의별신”이라는 사나이에 대한 강력한 억압을 “육중함”으로 표현함과 시적 주체의 공포
어린 시선은 손가락 셋이 잘리운 “모두 착하신” 친부모에 대한 시선과는 거리가 있다고 보인다.

- 86 -
그러므로 마지막 문장인 “내신선한도망이그끈적끈적한청각을벗어버릴수가업
다”는 부분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사나이”가 “나”에게 “그의
종생과운명까지”를 “떠맛기”려 하며 제시하는 근거는 “한시대나눌변인트집”이
다. 그렇다면 이에 벗어나려는 “나”의 의지는 시대에 뒤떨어진 “눌변인트집”
이 아닌 “신선한도망”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나”는 “그끈적끈적
한청각을벗어버릴수가업”는데, 이는 “나”가 지니는 중간적 존재로서의 근본적
인 한계에서 비롯된다. 이상으로서의 “나”는 백부로부터 근대의 세례를 받은
존재이며, 그가 지니는 “도장”을 “내몸”에 지니고 있는 존재이다. 이상의 “그
리스도” 또한 성부의 로고스에서 벗어나려는 파토스적 존재이지만 근본적으로
“신”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벗어남’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함
의한다.
육친을 대상으로 삼은 텍스트에 나타나는 특징은 자신을 억압하는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고통을 전제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고통에 대한 시적 주체가 취
하는 자세는 점차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역단> 문벌에서는 자신을 차압한
힘과 자신에 대한 자각 없이 그저 돌아가고픈 슬픔에 잠긴 미성숙한 모습에서
<위독> 문벌에서는 “백골”에게 “으젓이대꾸”해야겠는데 차마 대답하지 못하
는 상태에 있으나 “도장” 또한 자신의 “몸”에 있음을 인지하는 모습을 보인
다. <오감도> 시제2호에서 “나”는 아버지의 아버지, 최초의 아버지의 로고스
를 떠맡아야 하는 거부감을 토로하고 성경의 형식을 패러디함으로써 아이러니
한 저항의 기제를 함의한다. <위독> 육친에 이르러서는 로고스에 대한 저항적
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육중한크리스트의별신을암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판단에까지 이르는 것이다.
예수에게 있어 신으로서의 아버지와 인간으로서의 아버지가 병존한다는 기
독교 담론과 파토스적 존재인 이상의 “그리스도”는 로고스적 억압의 존재인
백부이자 성부에의 시선과 육체와 사랑의 존재인 친부에의 시선이 혈육이라는
이름 아래 각기 다른 방향으로 나아감에 대한 근거로 작동한다. 또한 “아버
지”의 직접적인 제시와 이상의 자전적 요소를 시적 대상으로 삼음은 필연적으
로 효와 “문벌”이라는 유교적․가부장적 로고스에 대한 담론을 끌어들인다. 즉
기독교 담론과 유교 담론이 혼재하는 혈육 텍스트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이상이 대항하고자 하는 로고스는 특정 부분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자신을
억압하는 로고스 그 자체라는 점이다.

- 87 -
앞선 논의에서 밝혔듯 <각혈의 아침>에서 병의 원인으로 지목된 “어릴 적
사진”, 즉 유년 시절은 근대 세계로의 편입과 전통 가부장제 질서가 혼재된
이상의 어린 시절을 뜻한다. 그러므로 육친에 대한 텍스트는 두 가지 억압이
함께 나타나며, 이는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와 유교적 담론을 바탕
에 둔 은유를 통하여 형상화된다. “그리스도”가 지니는 본질적 한계-상징화된
존재이자 “백골”의 세계에 속하는-는 <역단> 문벌에서의 “백골”의 속성인
“도장”을 공유함으로써 나타나며,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억압적 세계에 좌절
하고 자각하며 저항하는 시적 주체의 양상은 탈로고스적 욕망의 구체화를 시
사한다.
이러한 은유의 변화를 메타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烏瞰圖>
은유 <易斷> 家庭 <危篤> 門閥 <危篤> 肉親
時第二號
백골에게서
집 밖으로 쫓 사나이를 암살하
자신 self 원가상환을 아버지와 같은 자
겨난 제웅 려는 자
강청받는 채무자
자신의 몫을 나
타자(개인) 혈청의 원가상환 크리스트에 혹사
․ 에게 미루는 아
other(one) 을 강청하는 백골 한 사나이
버지
타자들(그룹) 창호 한구석도
․ ․ ․
other(group) 터주지 않는 가족
내 문벌과 음모를
아버지 노릇을
약탈당할 위기에
해야 하는 삶
언제나 백골의 처함
삶 life 앓는 우리 집 아버지 노릇을
압박을 받음 나의 착실한 경영
해야 하는 삶에
이 늘 새파랗게
대한 불만
질림
결산의 함수가
자신의 자아
전당 잡히는 수명 내 몸의 도장과 ․ ․
self-self
같음
자신의 타자 인감이 실효된 나를 위협하는
전당 잡는 도장 ․
self-other 줄 모르는 백골 크리스트의 별신

<역단> 가정의 시적 주체는 어린 시적 주체로, 그저 “우리집”으로 들어가고


픈 욕망만을 지닌 주체이다. 이 때 나타나는 타자들은 친부모와 가족들이며,

- 88 -
적빈으로 인하여 들어갈 수 없음을 어렴풋이 암시하고 있다. 그러나 억압적
존재로서의 백부는 “도장”의 제유를 통하여 그 존재를 시사한다. <역단> 가정
의 시적 주체가 상황에 대한 깊은 판단에 대한 결여를 보이는 데 반하여 <위
독> 문벌의 시적 주체는 혈청의 원가상환을 강청하는 백골에 의하여 삶 자체
를 차압당할 위기에 처한 존재이자 자신을 전당잡히게 한 “도장”을 몸에 지니
는 존재이다. 이 시의 주체는 이미 상징화된 존재이자 상징적 아버지인 백부
와의 관계를 자각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교적 이데올로기는 기독
교 담론을 통하여 그것들이 지니는 로고스적 억압을 부각한다. 이는 <오감도>
시제2호에서 예수의 계보를 패러디함으로써 나타나며, 동시에 삼위일체라는
기독교 담론의 패러독스를 통하여 기독교 로고스의 허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백부로 나타나는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위독> 육친의 시적 주체는 “크
리스트에혹사한사나이”를 통하여 “그리스도”인 자신과 그의 관계를 인정하는
동시에 그를 암살할 결심을 하게 된다. 이는 비록 그것이 실제로 달성되지 못
하였다고 하더라도 로고스적 억압에 대한 시적 주체의 저항의 의지를 점차 구
체화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은유의 변화는 자신을 진단하지 못
하는 환자로서의 자아가 점차 자신을 진단하고 원인과 치유의 방향을 구축하
는 의사로서의 자아로 이행하는 모습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 89 -
Ⅳ. 진단과 치유의 확장

1. 세계 내 존재에의 “책임의사 이상”

<12월 12일>의 서문에서부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세계에 대한 공포


와 억압의 은유와 이에 저항하는 시적 주체의 모습이다. 억압적인 세계는 근
대, 기독교, 효, 유교로 나타나면서 병으로, 육중한 크리스트의 별신으로, 은애
와 백골로 은유되고 시적 주체는 그리스도 되기와 가브리엘 천사균으로, 암살
의 결심으로, 실효된 인감의 은유를 통하여 저항한다.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시적 주체의 억압은 특정한 이데올로기나 규범이 아닌 이분법적 로고스
의 억압 그 자체라는 것이다.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 자체를 고통의 원인으로
상정하였기 때문에 시적 주체의 고통은 숙명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것은 시적 주체가 고통의 원인을 세계에 두었다는 점이
다. 세계를 고통의 원인으로 상정함은 그로 인한 고통의 대상은 시적 주체 하
나뿐만이 아니라 억압적 세계 내 존재들로 확장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전제한
다. 이는 이상 텍스트가 개인의 고통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세계 내의 타자의
고통까지 포함하는 가능성을 지님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상이 이 고통을 어떻게 다루었는지에 대하여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고통의 은유인 결핵에 대한 자가진단이 나타나는 <각혈의 아침>에서
시적 주체는 결핵균을 “가브리엘천사균”으로 은유하고 자신을 “그리스도”로
은유함으로써 죽음의 은유를 뒤집는다. 이를 통하여 의사인 “성베드로”는 무
력해지며, 기독교 담론 안에서 “그리스도”가 지니는 기독교적 위계로 인하여
근대 의사인 “성베드로”는 “나”의 아래에 존재하게 된다. 근대 의학의 사상틀
의 바탕이 되는 신학적 담론을 통하여 근대 의학을 무너뜨리는 것이야말로 이
상 텍스트의 아이러니한 저항적 치유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스스
로”의 “진단”을 통하여 병의 원인을 세계로 밝히며, 진단의 결과에 따른 치유
는 은유를 통하여 진행된다.
즉 은유를 통하여 ‘환자’인 “나”는 근대 의사인 “성베드로”를 무력화하고
“진단”을 통하여 “성베드로”와는 다른 ‘의사’의 역할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러
한 의사에 대한 관점은 <BOITEUX․BOITEUSE>에서 나타난다.

- 90 -
̇ ̇ 를갖지아니하였다하여醫師일수없을것일까
메쓰

<BOITEUX․BOITEUSE> 부분162)
(1931. 6. 5.)163)

1931년 《조선과건축》에 연재된 이 시에서는 “메쓰를갖지아니”한 의사에


대한 물음이 제시되어 있다. “메쓰”란 외관 수술 시 사용하는 수술칼을 뜻한
다. 즉 외과의가 쓰는 수술칼을 이야기하는데, 외과는 몸 외부의 상처나 내장
기관의 정상적이지 않은 부분을 도려냄으로써 치유를 꾀하는 의술이라는 점에
주목할 때 비정상적인 부분을 원인으로 삼고 이를 제거함으로써 병을 낫게 한
다는 관점은 신학․형이상학적인 근대 의학의 관점164)을 내포한다. 즉 “메쓰를
갖지아니”한 의사에 대한 물음이란 근대 의학에 대한 의심이자 근대 의사와는
다른 “의사”의 가능성에 대한 물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은 이상의 텍스트에서 제시된다. <각혈의 아침>의
“나”는 스스로 치유를 행하는 의사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는 근대 의사
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데, 그것은 결핵균을 제거해야 할 ‘원인’으로 보지 않
는다는 것이다. “나”는 결핵균을 제거하지 않고 “가브리엘천사균”으로 은유함
으로써 결핵균이 지닌 죽음의 이미지를 걷어낸다. 그러므로 “나”는 “메쓰를갖
지아니”한 의사로, <BOITEUX․BOITEUSE>의 시적 주체가 제시하는 “메쓰를
갖지아니하였다하여의사일수없을것일까”라는 물음에 대한 답이다. <BOITEU
X․BOITEUSE>에 나타나는 질문이 수사적 질문-설의문이라는 것 또한 이미
“메쓰를갖지아니”한 의사의 존재에 대한 정당성을 기저에 깔고 있으며, <각혈
의 아침>에서 제시되는 시적 주체는 근대 의사가 아닌 새로운 “의사”에 대한
가능성을 증명하는 존재로 나타난다.
이처럼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의사”는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과

162)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212쪽.


163) 시의 말미에 날짜가 적혀 있다.
164) “원래 하나의 <원인>을 확정지으려는 사상이야말로 신학․형이상학적인 것이다. 뒤보스의 말처럼,
<인간과 미생물의 투쟁>이라는 이미지는 철저하게 신학적인 이미지이다. 그 이미지 속에서는 세균이
라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산재되어 있는 <악>인 것이다. 메이지 20년대에 결핵에 대한 학설이
보급되었을 때 그 학설이 내포하는 신학적 이데올로기 또한 함께 보급되었다.” 가라타니 고진, 앞의
책, 150-151쪽.

- 91 -
<오감도> 시제4호라는 자기패러디를 통하여 변화의 양상과 “메쓰를갖지아니”
한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구체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떤患者의容態에關한問題
1 2 3 4 5 6 7 8 9 0 ●
1 2 3 4 5 6 7 8 9 ● 0
1 2 3 4 5 6 7 8 ● 9 0
1 2 3 4 5 6 7 ● 8 9 0
1 2 3 4 5 6 ● 7 8 9 0
1 2 3 4 5 ● 6 7 8 9 0
1 2 3 4 ● 5 6 7 8 9 0
1 2 3 ● 4 5 6 7 8 9 0
1 2 ● 3 4 5 6 7 8 9 0
1 ● 2 3 4 5 6 7 8 9 0
● 1 2 3 4 5 6 7 8 9 0
診斷 0 : 1
26 ․ 10 ․ 1931
以上 責任醫師 李箱

<建築無限六面角體> 診斷 0:1 전문165)


(1932. 7.)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의 내용은 “어떤환자에대한용태에관한문제”로,


“진단 0:1”을 통하여 “어떤환자”의 용태에 대한 “책임의사 이상”의 진단이다.
1931년 10월 26일이라는 날짜와 “환자”라는 시어의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하
자면 1930년 첫 각혈 이후 환자로서의 자신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를 바탕으로 진단 내용인 숫자와 점의 관계에 대하여 짚
을 필요가 있다. 먼저 11번 반복되면서 진단 내용의 대부분을 이루는 수열은
“1234567890”으로 이 수열은 <건축무한육면각체> 선에관한각서 6에서도 나
타나는데, 이 때의 수열은 “질환”으로 나타난다.

165)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28쪽.

- 92 -
數字를代數的인것으로하는것에서數字를數字的인것으로하는것에서數字
를數字인것으로하는것에서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는것에(1234567890의疾
患의究明과詩的인情緖의棄却處)

<建築無限六面角體> 線에關한覺書 6 부분166)

이는 숫자를 대수적인 것에서 숫자적인 것으로, 그리고 숫자를 숫자 자체로


본다면 숫자의 질환을 밝힐 수 있으나 시적인 정서는 사라진다는 뜻167)으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에서는 이 수열에 점이라
는 이질적인 기호가 더해진다. 그러므로 이 시는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는것”
이라 볼 수 없다. 수열에 점을 기입하였다는 것은 “1234567890의病患의究
明”을 선택하지 않음으로서 “詩的인情緖의棄却處”를 막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숫자로 이루어진 로고스적 병환을 로고스적 관점으로 구명하
지 않겠다는 의지이자 시적인 정서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발현인 것이
다. 이상 자신의 병환과 연관짓는다면 결핵은 근대의 질병이므로 진단 내용의
수열은 이러한 로고스중심주의적인 세계를 뜻하며, 그 안에서 숫자와는 다른
존재인 점은 시적 주체의 형상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숫자를 숫자로 보지 않음으로써 숫자의 병환을 구명하지 않고 시적 정서를
지키겠다는 것은 다른 방식으로 숫자의 병환을 구명하려는 의지로 읽을 수 있
을 것이며, 이 때 그 방식은 자신의 수사한 것-즉 시적 정서를 통한 구명의
의지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점은 숫자가 아닌 기호이므로 수로 이루어진 세
계에 균열을 가하고 행마다 다른 위치를 점占하여 수열의 정지된 묶음에 운동
성을 부여한다. 오른쪽 상단에서 왼쪽 하단으로, 왼쪽 하단에서 오른쪽 상단으
로 시선은 멈추지 않고 움직인다. 1에서부터 0까지의 수를 빼거나 더하지 않
고, 즉 수열을 파괴하지 않고서도 그 사이를 횡단함으로써 경직된 숫자의 세
계, 로고스중심주의적인 세계관으로서의 상징계168)에 균열을 가하는 것이다.

166)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02쪽.


167) 이승훈은 “「數字」를 「代數的인 것」에서 「數字的인 것」으로, 다시 「數字」로, 다시 「數字」
로 생각하는 것이 숫자의 「疾患의 究明」과 「詩的인 情緖의 棄却處」가 된다는 말. 곧 「숫자」를
「숫자」 자체로 인식할 때 모든 숫자의 질환이 구명되며, 시적 정서는 버려진다는 뜻.”(이승훈, 앞의
책, 163쪽.)으로, 권영민은 “숫자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 자체를 문제 삼으면서 숫자를 숫자 자체로 인
식할 경우 숫자 안에 있는 문제성을 밝힐 수 있으나, 시적 정서 자체가 사라짐을 말함.”(권영민, 앞의
책, 305쪽.) 으로 해석한다.

- 93 -
점은 움직이면서 세계를 교란하되, 11×11의 세계 자체를 전복하지는 않는다.
그 구조에 속함을 인정하지만 그 구조에 포섭되지 않고 구조의 내부에서, 그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구조를 공격하는 방식은 상징계 내에 존재함을 인정하면
서도 벗어나려 하는 동시에 상징계를 공격하는 이상의 아이러니한 쓰기 방식
과 같은 궤를 지닌다. 즉 이 시는 숫자의 세계 안에서 로고스적 질병, 숫자의
“질환”-결핵-을 앓는 시적 주체를 점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경직된 세계에 균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즉 시적 정서를 바탕으로 질환을 다루는 “책임의사 이
상”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에 나타나는 의
사의 모습은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그리스도”로서의 의사를 거쳐 <오감
도> 시제4호에서 다시 나타난다.

169) (1934. 7. 28.)

<오감도> 시제4호에 나타나는 숫자와 점의 모습은 <건축무한육면각체> 진


단 0:1의 거울상이다. 진단 0:1의 본문을 거울에 비추었을 때 달라지는 것은
숫자의 모습이다. 0을 제외한 숫자들은 거울로 인하여 자신의 모습을 잃어버
리고 자신의 기능 또한 잃게 된다. 그러나 점의 모양과 기능은 달라지지 않는
다. 즉 오른쪽 하단에서 왼쪽 상단으로,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움직
이는 점의 운동, 숫자의 세계를 교란하는 점의 저항성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숫자의 세계는 결핵의 바탕이 되는 로고스중심주의적 세계이며, 그 세

168) “숫자들의 세계관이 최고의 지성이 만들어 놓은 로고스중심주의적 세계관으로서의 상징계라면(


……)” 김승희, 앞의 글, 61쪽.
169) 이상, <烏瞰圖> 詩第四號, 《朝鮮中央日報》, 1934. 7. 28.

- 94 -
계 안에서 끊임없는 역동성을 지니는 시적 주체의 모습은 거울상에서도 유지
된다.
즉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에서 <오감도> 시제4호로 넘어가며 로고스
적 상징계의 세계는 보다 힘을 잃으며, 이는 이 진단서의 작자가 “책임의사
이상”이라는 요소를 통하여 “책임의사”의 정체성이 뚜렷해짐을 보이는 것이
다. 이 시에서도 마찬가지로 11×11이라는 큰 틀은 바뀌지 않지만 거울을 통
하여 그 안의 숫자들은 힘을 잃는다. 또한 이 진단서 아래에 적힌 진단 0․1은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에서 변화한 모습이다. 0:1과 마찬가지로 0․1은
환자의 용태를 요약한 것170)이다. 0:1은 통합될 수 없는 두 항의 대립과 분열
을 보여준다.171) 그러므로 0이 죽음이고 1이 삶이라면 0과 1사이를 움직이는
점의 모습은 죽음과 삶 사이에서 위태롭게 움직이는 시적 주체의 모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오감도> 시제4호에 이르면 죽음(0)과 삶(1)은 0:1로
나타나는 대립과 분열의 관계에서 0․1의 관계로 전환된다. 이는 <건축무한육
면각체> 진단 0:1과 <오감도> 시제4호에 존재하는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
는 시적 주체의 모습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다. <각혈의 아침>과 <내과>에서
나타나는 시적 주체는 탈로고스적 주체-주이상스적 주체에게 죽음은 소거해
야 할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의 주체가 죽
음과 삶 사이를 위태롭게 달리는 모습이라면 <각혈의 아침>과 <내과>를 지나
친 <오감도> 시제4호의 주체는 뒤집힌 1(삶)의 형상을 통하여 삶과 죽음이라
는 이분법적 공포에서 다소 벗어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또한 <건축무한육
면각체> 진단 0:1에서는 “어떤患者의容態에關한問題”를 통하여 시의 내용-진
단서의 내용이 “어떤” 환자에 대한 내용으로 제한하는 데에 반하여 <오감도>
시제4호에서는 “어떤”이 삭제된 “患者의容態에關한問題”로 변화한다. 이는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의 “책임의사 이상”이 “진단”한 고통 받는 대상
이 “어떤” 환자, 특정한 누군가를 가리키는 것이었다면 <오감도> 시제4호의

170) “용태를 0:1로 요약한다.” 김승희, 「접촉과 부재의 시학-李箱시에 나타난 거울의 구조와 상징」,
58쪽.
171) “이것은 연산기호로 된 하나의 수학적 명제가 아니고 두 개의 항이 각기 자신의 영역을 주장하면서
끝끝내 개별적 존재로 남아있는 것을 말한다. 가령 0+1, 0-1이라든가 하는 수식에서는 계산이 끝나
면 각 항의 자기영역이 남아있지 않게 된다. 그러나 0:1이라고 했을 때는 영원히 자기영역을 상실하지
않는, 통합될 수 없는 두 항의 대립, 분열을 볼 수 있다.” 김승희, 「이상 시 연구-말하는 주체와 기호
성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61쪽.

- 95 -
“책임의사 이상”이 “진단”하는 고통받는 대상은 “환자”로 넓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병을 소거해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의사, 즉 근대적 시
각이 아닌 “시적 정서”를 통하여 치유의 가능성을 여는 시인이자 “책임의사”
인 “이상”이 형성됨을 보여주며, “진단”의 대상이 로고스중심주의 아래서 고
통받는 세계 내 존재, 타자에게까지 넓어짐을 시사한다.

2. “나”와 “안해”의 은유적 동일화

앞선 논의에서는 “시적 정서”를 통하여 치유를 꾀하는 “책임의사 이상”의


진단의 대상이 자기 자신에서 타자로 넓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렇다면 진단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타자란 주체와 같은 고통을 지닌 존재여
야 할 것이다. 이상 텍스트에서 시적 주체와 동일성을 획득하는 타자는 “안
해”이다. “나”의 사랑의 대상인 “안해”는 “나”와 고통의 은유를 공유함으로써
시적 주체와의 동일성을 시사한다. 먼저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탄환의 이
미지-“나의 呼吸에 彈丸을 쏘아넣는 놈이 있다”-와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
닌 <오감도> 시제9호를 살펴봄으로써 시적 주체인 “나”의 은유를 추출하려
한다.

每日가치列風이불드니드듸여내허리에큼직한손이와닷는다. 恍惚한指紋
골작이로내땀내가숨여드자마자 쏘아라. 쏘으리로다. 나는내消化器官에묵
직한銃身을늣기고내담으른입에맥근맥근한銃口를늣긴다. 그리드니나는銃
쏘으드키눈을감이며한방銃彈대신에나는참나의입으로무엇을내여배앗헛드
냐.

<烏瞰圖> 詩第九號 銃口 전문172)


(1934. 8. 3.)

<각혈의 아침>에 제시된 탄환의 이미지는 결핵과 연관된다. “호흡”에 “탄환


을 쏘아넣”는다는 것은 폐결핵으로 인한 고통을 은유하며, 이를 “쏘아넣는
놈”이 있다는 것은 결핵과 고통의 원인이 외부에 존재함을 일컫는다. 결핵이

172)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69쪽.

- 96 -
지니는 근대성과 연결짓는다면 이 “놈”은 근대 그 자체일 것이며, 자신을 둘
러싼 세계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대목 이후 구체화되는
결핵은 기독교적 은유를 통하여 의미의 전환을 이루며, 시적 주체는 탈로고스
적 주체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총과 탄환, 결핵의 은유 체계는 <오감도> 시제
9호 총구에서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매일가치열풍이불드니드듸여내허리에큼직한손이와닷는다.”는 매일 이어지
는 기침173) 끝에 각혈의 기침이 다가오고 있음을 암시한다. “드듸여내허리에
큼직한손이와닷는”다는 것은 결핵이 지니는 운명적 속성과 근대적 속성을 바
탕으로 대타자의 존재를 시사하며, “드듸여”를 통하여 그의 존재와 각혈을 예
기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 “황홀한지문골짜기”는 “큼직한손”의 지문일 것인
데, 이것이 “황홀”하다고 이야기함은 각혈을 목전에 둔 시적 주체가 느끼는
주이상스174)이다. “큼직한손”의 “황홀한지문골짜기”에 “내땀내가스며드자마
자” 들리는 목소리는 명백한 대타자의 목소리이다. “쏘아라.” 대타자의 명령으
로 인하여 “나”의 몸은 “큼직한손”이 쥔 총이 된다. 결핵이라는 불가피한 운
명에 묶인 “나”는 “큼직한손”의 의지대로 총탄을 발사하는 총으로 물화된다.
그러나 대타자의 명령 뒤에 “나”의 목소리가 뒤따른다. “쏘으리로다.” 이 말
은 대타자의 의지를 전복하고 발포 명령의 의지를 “나”에게로 되돌린다. 그러
므로 “나”는 “내소화기관”에 묵직한 총신을 느끼고 “내다물은입”에 매끈매끈
한 총구를 느낀다. “쏘아라.”라는 대타자의 명령으로 인하여 총이 된 “나”는
“쏘으리로다”라는 “나”의 의지로 인하여 총이 되는 것이다. “내”의 반복을 통
하여 소화기관과 입이 자신의 소유임을 강조함으로써 이것이 “큼직한손”의 의
지가 아닌 “나”의 의지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더니나는총쏘으드키눈을감
으며한방총탄대신에나는참나의입으로무엇을내어배앝었더냐.” 또한 이러한 맥
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나”의 계속되는 반복과 “참나의입”이라는 표현은 각
혈을 “큼직한손”의 의지가 아닌 “나”의 의지로 덧씌운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이다.

173) “대부분의 전집에서 ‘열풍(列風)’을 ‘열풍(熱風)’의 오식으로 보고 있지만 여기서는 원전을 그대로 따
른다. 이것은 이상 자신이 만들어낸 조어로 ‘거듭 이어지는 기침’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전집 1: 시』, 69쪽.
174) “인간은 죽음이 임박한 생명의 마지막 순간에 본능적 차원에서 고통과 희열이 동시에 존재하는 심
리상태인 주이상스를 체험하는 몸(주체)이 된다.” 조일제, 『D.H 로렌스 문학과 종교적 상상력』, 동
인, 2015, 114쪽.

- 97 -
즉 탄환이란 결핵의 은유이자 대타자에 의한 운명의 은유라 볼 수 있을 것
이다. 탄환은 “쏘아넣”어진 것이자 “나”가 입으로 뱉는 것이므로, “나”의 몸
안에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175)이다. 즉 “나”에게 속한 운명적 고통과 불
화의 은유인 탄환은 “안해”에게서도 나타난다.

○紙碑 一

안해는 아츰이면 外出한다 그날에 該當한 한男子를 소기려가는것이다


順序야 밧귀어도 하로에한男子以上은 待遇하지안는다고 안해는말한다 오
늘이야말로 정말도라오지안으려나보다하고 내가 完全히 絶望하고나면 化
粧은잇고 人相은없는얼골로 안해는 形容처럼 簡單히돌아온다 나는 물어
보면 안해는 모도率直히 이야기한다 나는 안해의日記에 萬一 안해가나를
소기려들었을때 함즉한速記를 男便된資格밖에서 敏捷하게代書한다

○紙碑 二

안해는 정말 鳥類엿든가보다 안해가 그러케 瘦瘠하고 거벼워젓는데도


나르지못한것은 그손까락에 낑기웟던 반지 때문이다 午後에는 늘 粉을바
를때壁한겹걸러서 나는 鳥籠을 느낀다 얼마안가서 없어질때까지 그 파르
스레한 주둥이로 한번도 쌀알을 쪼으려들지안앗다 또 가끔 미다지를열고
蒼空을 처다보면서도 고흔목소리로 지저귀려들지안앗다 안해는 날를줄과
죽을죽이나 알앗지 地上에 발자죽을 남기지안앗다 秘密한발을 늘보선신
ㅅ고 남에게 안보이다가 어느날 정말 안해는 업서젓다 그제야 처음房안
에 鳥糞내음새가 풍기고 날개퍼덕이든 傷處가 도배우에 은근하다 헤트러
진 깃부스러기를 쓸어모으면서 나는 世上에도 이상스러운것을어덧다 散
彈 아아안해는 鳥類이면서 염체 닷과같은쇠를삼켯드라그리고 주저안젓섯
드라 散彈은 녹슬엇고 솜털내음새도나고 千斤무게드라 아아

○紙碑 三

175)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내 뱃속엔 통신이 잠겨 있다”에서 “통신”이란 “가브리엘천사균”이 “나”
의 “그리스도”됨을 고지하기 위한 것으로, 운명에 의해 몸 속에 ‘넣어진’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탄환과 통신은 둘 다 근대를 의미하는 것이자 결핵의 은유이며, “나”의 몸 안에 넣어진 ‘이물질’이라는
점에서 같은 은유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98 -
이房에는 門牌가업다 개는이번에는 저쪽을向하야짓는다 嘲笑와같이 안
해의버서노흔 버선이 나같은空腹을表情하면서 곧걸어갈것갓다 나는이房
을 첩첩이다치고 出他한다 그제야 개는 이쪽을向하여 마즈막으로 슬프게
짓는다

<紙碑> -어디갓는지모르는안해- 전문176)


(1936. 1.)

시에 나타나는 “안해”는 “아츰이면 外出”하고 “남자를 소기러가는” 존재이


다. 이상 텍스트 내에서 금홍, 연심, 소녀 등으로 불리는 “안해”는 이상 텍스
트 내에서 사내를 속이는 창부이자 무능한 “나”를 거두는 존재이다. 실제 이
상과의 생활 중 몇 번을 가출했다 돌아왔으며, 그녀와의 관계는 이상 텍스트
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지비> -어디갓는지모르는안해-는 “안해”에 대한
주체의 관점과 그녀의 가출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1연에서 “안해”가 외
출한 뒤 그녀를 기다리며 “나”는 곧잘 절망에 빠진다. “오늘이야말로 정말도
라오지안려나보다”하고 절망하는 “나”에게 아내는 “화장은잇고 인상은없는얼
골”을 한 채 돌아온다. 시적 주체는 “나는 물어보면 안해는 모도率直히 이야
기한다”라고 말하지만 바로 이어지는 부분을 통하여 “안해”에 대한 “나”의 불
신을 엿볼 수 있다. “萬一안해가나를 소기려들었을때 함즉한 速記”, “안해”가
거짓말을 하였을 때 이러한 쪽으로 “나”에게 핑계를 댈 것임을 머릿속으로 구
상해보는 것이다. 이는 “男便된資格밖”에 있는 행위이다. 이는 일기의 주인이
아닌 “나”가 “안해의日記”를 “敏捷하게 代書”한다는 것을 통하여 “나”의 이중
성을 보여준다. “안해”에 대한 믿음-“안해는 모도率直히 이야기한다”-을 내세
우지만 실상은 믿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안해”에 대한 “나”의 이러한
불신은 2연에 다다라 전환을 맞는다.
2연은 안해가 떠난 후 안해의 방을 바라보며 느끼는 “나”의 심경이 주를 이
룬다. “안해는 정말 鳥類엿든가보다”는 “안해”가 지니는 “새”의 속성을 지시
한다. “午後에는 늘 粉을바를때 壁한겹걸러서 나는 鳥籠을 느낀다”는 진술은
오후에 외출하는 “안해”가 “분을바를때”, 즉 몸을 팔러 나가기 위한 준비를
할 때 “나”는 “壁한겹걸러서”, 즉 반대쪽 벽에서 아내의 외출 준비를 들으며

176)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02-103쪽.

- 99 -
“鳥籠을 느낀다”. “안해”가 돈을 벌기 위한 준비를 할 때, 근대 자본주의 안에
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려 할 때 “나”는 “안해”의 방을 “鳥籠”, 즉 새장으로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벌써 나는 내 몸을 볼 수
없다 푸른 하늘이 새장 속에 있는 것같이”를 통하여 “나”가 존재하는 “새장
밖” 세상의 은유인 “푸른 하늘” 또한 “새장 속에 있는 것같이”의 맥락에서 볼
때 “나”는 “새장 속”의 존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안해”의 방이
“鳥籠”이라고 할 때, “안해” 또한 “나”와 같이 “새장 속”의 존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새장”이 “가위”와 연결되며, 그것이
억압적 로고스의 은유라는 점을 미루어 볼 때 “안해”가 자신의 몸을 팔기 위
하여 “粉을 바를때” “鳥籠”을 느낀다는 부분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안해”가 날지 못하는 이유를 “반지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자신과의
상징적 부부관계가 “안해”로 하여금 날 수 없는 이유가 되었다는 것이다. 안
해는 “날를줄과 죽을줄이나 알앗지 地上에 발자죽을 남기지안”았으며, “쌀알
을 쪼으려들지”도 “지저귀려들지”도 않는 존재로 나타난다. “안해”가 사라진
뒤 “나”는 방 안에서 “조분내음새”와 “날개퍼덕이든 傷處”를 자각한다. 날기
위하여 안간힘을 쓰던 “안해”의 모습이 부재 이후에야 전경화되는 것이다.
“나”가 그 “깃부스러기” 사이에서 발견하는 것은 “散彈”이다. 산탄을 발견함
으로써 “나”는 “안해”에 대한 것을 깨닫게 된다. “아아안해는 鳥類이면서 염
체 닷과같은쇠를삼켯드라그리고 주저안젓섯드라 散彈은 녹슬엇고 솜털내음새
도 나고 千斤무게드라 아아”에서는 “아아”라는 영탄조가 앞뒤로 반복되면서
“나”의 깨달음이 지니는 크기와 시적 주체의 감정의 깊이를 보여준다. 2연의
초반에서 “안해”가 “나르지못한것은 그손까락에 낑기웟던 반지때문이다”는 추
측은 “散彈”으로 인하여 뒤집어진다. “안해”가 날지 못한 이유는 “반지”, 즉
자신과의 상징적인 부부관계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다. 안해는 “나르지못한것”
이 아니라 “닷과같은쇠”, “散彈”을 삼킴으로써 스스로 “주저안젓섯”던 것이
다. “散彈”이 녹슬었음은 “안해”가 삼킨 지 오래 되었다는 것을 뜻하며, “솜털
내음새”는 “새”인 “안해”의 속성을 가리킨다. “散彈”의 무게가 “千斤무게”라
는 것은 “안해”의 고통의 크기를 짐작케 한다.
이러한 “나”의 깨달음 이후 “나” 또한 “房”을 떠난다. “개”가 “이번에는”
저 쪽을 향하여 짖는다는 것은 전에는 이 쪽을 향하여 짖었다는 사실을 전제
한다. 개가 짖는 것을 아내에 대한 사람들의 험담이라고 본다면177) 이전에는

- 100 -
무능력한 “나”를 향해 짖었을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안해의버서노흔 버
선”이 “나같은空腹을表情하면서 곧걸어갈것갓다”는 것은 “안해”의 “秘密한
발”을 숨긴 “버선”은 “안해”의 비밀을 감싸는 도구이자 날 줄 아는 안해에게
는 필요하지 않은 물건인 것이다. 그러므로 “나”같은 공복을 표정하고 날지
않는 “나”와 같이 “걸어갈것”이라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안해”가 없는 방
을 닫고 나가자 개는 “그제야” 이 쪽을 향해서 짖지만, “나”에게 개가 짖는
소리란 말 그대로 의미 없는 타인의 입담인 것이다.
“안해”에 대한 “나”의 오해와 회한이 주된 정서로 흐르는 이 시에서 “나”는
“散彈”을 통하여 “나”와 “안해”의 공통점을 찾고 “안해”에 대한 “나”의 불신
을 후회한다. “나”에게 있어 탄환은 세계와의 불화, 결핵의 은유, 운명적 대타
자에 의하여 몸 안에 쏘아넣어진 것이었다면 “안해” 또한 그 방식은 조금 달
랐지만 “나”와 동일하게 “탄환”을 몸 안에 넣은 날개를 가진 존재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나”와 “안해”가 공유하는 고통의 은유를 시사한다. 이러한 은유의
양상은 <실낙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시된다.

少女

少女는 確實히 누구의 寫眞인가 보다. 언제든지 잠잫고있다.

少女는 때때로 腹痛이난다. 누가 鉛筆로 작난을한 까닭이다. 鉛筆은 有


毒하다. 그럴 때마다 少女는 彈丸을 삼킨사람처럼 蒼白하고는 한다.

少女는 또 때때로 咯血한다. 그것은 負傷한 나븨가와서 앉는까닭이다.


그 거미줄같은 나무가지는 나븨의 體重에도 견데지 못한다. 나무가지는
부러지고만다.

少女는 短艇가운데 있었다―群衆과 나븨를 避하야. 冷却된 水壓이―冷却


된 유리의 氣壓이 少女에게 視覺만을 남겨주었다. 그리고 許多한 讀書가
始作된다. 덮은 冊 속에 或은 書齋어떤틈에 곳잘한장의 「얇다란것」이
되어버려서는 숨ㅅ고한다. 내活字에少女의 살결내음새가 섞여있다. 내製
本에少女의 인두자죽이 남아있다. 이것만은 어떤强烈한 香水로도 헷갈니

177)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04쪽 참고.

- 101 -
게 하는수없을―

사람들은 그少女를 내妻라고해서 非難하였다. 듣기싫다. 거즛말이다.


정말이少女를 본 놈은 하나도없다.
그러나 少女는 누구든지의 妻가아니면 안된다. 내子宮가운데 少女는
무엇인지를 낳어 놓았으니―그러나 나는 아즉그것을 分娩하지는 않었다.
이런소름끼치는 智識을 내여버리지않고야―그렇다는것이―體內에 먹어들
어오는 鉛彈처럼 나를 腐蝕시켜 버리고야 말것이다.

나는 이少女를 火葬해버리고 그만두었다. 내鼻孔으로 조희탈 때 나는


그런 내음새가 어느때까지라도 低徊하면서 살아지려들지않았다.

<失樂園> 부분178)
(1939. 2.)

<실낙원> 소녀에 나타나는 “소녀”는 “안해”의 또 다른 이름이다. 여기에 제


시되는 “소녀”는 ‘쓰는 주체’로서 형성된 쓰기 은유의 연상망에 나타나는 은유
를 공통적으로 지닌다.
먼저 2행에 나타나는 모습, “때때로 腹痛이난다. 누가 鉛筆로 작난을한 까닭
이다.”는 <역단> 역단에 나타나는 “한사람”과 동일하다. “그이는白紙우에다鉛
筆로한사람의運命을흐릿하게草를잡아놓았다. 이렇게홀홀한가.”라는 <역단>의
구절이 이 시에서 반복된다. 한 사람의 운명을 가볍게 연필로 초를 잡은 운명
적 대타자의 모습은 “누가 鉛筆로 작난을한 까닭이다.”에서 동일하게 나타난
다. “때때로 腹痛이 난다”는 것은 <역단> 역단에서 나타나는 “어떤뷘터전을찾
어가서실컨잠잣고있어본다. 배가압하들어온다. 苦로운發音을다생켜버린까닭이
다.”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쓴 발음을 모두 삼켜버린 것은 운명의 초를 피하기
위한 방편이기 때문에 복통의 원인은 “그이”의 홀홀한 초라고 볼 수 있다. 그
러므로 “소녀”의 복통이 “누가 鉛筆로” 한 “작난”이라는 것은 <역단> 역단의
“한사람”과 같은 원인을 지님을 시사한다. “鉛筆은 有毒”하다는 것은 앞선 시
에 나타나는 “그이”의 도구가 “연필”이라는 것을 전제할 때 유의미하다. “그
럴때마다”, 즉 “누가 鉛筆로 작난을” 할 때마다 “少女는 彈丸을 삼킨사람처럼

178)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4: 수필 외』, 295-296쪽.

- 102 -
蒼白하고는 한다.”의 의미를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각혈의 아침>에서 “나
의 呼吸에 彈丸을 쏘아넣는 놈이 있다”가 이 부분에서 반복되는데, “彈丸을
삼킨사람처럼 蒼白”하다는 것은 결핵이 지니는 운명적 질병이라는 속성이 “彈
丸”을 통하여 반복되는 것이다. “少女”는 결핵을 앓는 나, 로고스적 세계에서
고통받는 나와 같은 은유를 공유하고 있다. 다음 행에서 “少女는 또 때때로
咯血한다.”는 이러한 논의를 뒷받침한다.
소녀의 각혈의 이유는 “負傷한 나븨가와서 앉는까닭”이다. 다친 나비의 이
미지는 <오감도> 시제10호 나비에서 나타난다. “찌저진壁紙에죽어가는나비를
본다. 그것은幽界에絡繹되는秘密한通話口다.” 찢어진 나비, 부상당한 나비는
저승과 연결되는 비밀스러운 통화구이므로, 죽음의 세계와 관련을 맺고 있는
대상이다. 그러나 “거미줄같은 나무가지”로 은유되는 소녀의 몸은 그것을 견
디지 못한다. 그러므로 “나무가지는 부러지고만다.”는 소녀의 약함을 강조하는
은유인 것이다.
소녀는 “나븨”-죽음과 군중을 피하여 작은 배 위로 도망친다. “冷却된 水壓
-冷却된 유리의 氣壓”이 소녀에게 “視覺만을 남겨주었다.”는 것은 소리가 없
는 ‘거울’을 의미한다. 거울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거울>에 나타나는데, “거
울속에는소리가업소/저럿케ㅅ가지조용한세상은참업슬것이오//거울속에도 내게
귀가잇소/내말을못아라듯는ㅅ닥한귀가두개나잇소”에서 시각중심주의의 세계로
나타나는 거울에 대한 시적 주체의 인식이 이 부분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거
울 이후 “許多한 讀書가 始作된다.” 소녀는 “덮은 冊 속에 或은 書齋어떤듬에
곳잘한장의 「얇다란것」이 되어서는 숨ㅅ고한다.” 덮은 책 혹은 서재의 틈에
한 장의 “얇다란 것”이란 종이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나”의 쓰기
은유 연상망에 나타나는 “나”의 삶의 은유와 동일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이
다. “나”의 쓰기 연상망은 다음 구절에서 나타남으로써 “나”와 “소녀”의 유사
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다. “내活字에 少女의 살결내음새가 섞
여있다. 내製本에少女의 인두자죽이 남아있다.”에서 “나”는 “活字”를 지닌 존
재이자 “製本” 또한 지닌다. 이는 책의 은유 체계를 통하여 “나”를 이루는 내
면적인 것(활자)에 “少女의 살결내음새”가 섞이고 나의 외면적인 것(제본)에
“少女의 인두자죽”이 남아있으며, “이것만은 어떤强烈한 香水로도 헷갈니게
하는수없”다는 표현은 “나”와 “少女”의 육체적․정신적으로 불가분한 관계를
강조한다. 이는 “나”와 “少女” 두 사람만이 공유하는 관계이다.

- 103 -
그러나 다음 행에서 나타나는 “사람들”은 “나”와 “少女”에 대하여 모르는
사람들이다. 사람들은 소녀를 “내妻라고해서 非難”한다. 이는 “안해”로서의 소
녀가 창부라는 사실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지비> -어디갓는지모르는안해-에
나타나는 “개”가 짖는 소리와 동일하다. 유교적 세계관에서 몸을 파는 “안해”
란 정조가 없는 안해이며, 이는 배척당하고 비난받기에 마땅한 존재이다. 그러
나 “나”는 “듣기싫다. 거즛말이다. 정말이少女를 본 놈은 하나도없다.”라고 이
야기한다. 이는 “少女”의 진정한 모습을 본 이는 “나” 외에는 없다는 것을 반
증한다. 이처럼 로고스적 세계 안의 존재들에게는 세계의 질서에 맞는지 아닌
지에 대한 관심이 있을 뿐이다. “妻”가 지녀야 하는 정조의 유무만이 그들에
게 중요한 것이다. “少女는 누구든지의 妻가아니면 안된다.”라는 부분은 “少
女”가 창부라는 사실을 시사한다. “내子宮가운데 少女는 무엇인지를 낳어놓
았”다는 부분은 남자인 “나”와 여자인 “少女”의 구분이 무화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나타난다. 다음 문장에서는 소녀가 낳아 놓은 것의 정체가 나타나는데,
이는 “智識”이다. “나”는 이를 빨리 분만하지 않으면 “體內에 먹어들어오는
鉛彈처럼 나를 腐蝕시켜 버리고야 말것”이라는 공포에 떤다. 이 때 “鉛彈”은
‘납으로 된 탄’이라는 의미와 ‘흑연으로 된 탄’이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지닌
다. “鉛彈”이 은유하는 것이 “智識”이라는 점과 이것이 “나”를 “腐食”시킨다
는 공포를 가져온다는 것과 ‘흑연으로 된 탄’과 연관짓는다면 “智識”은 연필로
초를 잡는 “그이”의 지식일 것이며, 그것이 몸을 부식케 하므로 어서 분만해
야겠다는 것은 근대에 대한 거부의 정신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행에서 “나는 이少女를 火葬해버리고그만두”어 버린다. “少女”를 화
장하자 “나”의 콧구멍으로 “조희탈 때 나는 그런 내음새”가 난다는 서술은
“少女”가 종이로 은유됨으로써 마지막까지 “나”와 같은 은유를 공유함을 나타
낸다. “나”는 “少女”를 화장함으로써 “그만두었다”라고 이야기하지만 종이 타
는 내음새가 “어느때까지라도 低徊하면서 살아지려들지않”는다. “少女”가 화
장된 후에도 종이 타는 내음새가 되어 “나”의 주위를 돌아다니며 사라지지 않
는 것은 “나”와 “少女”가 공유하는 고통의 은유가 존재하는 까닭이다. “少女”
가 죽는다 하더라도 “내活字”에 “少女”의 살결내음새가 섞이고 “내製本”에
“少女”의 인두자죽이 새겨져 있는 까닭인 것이다. 이처럼 “少女”-“안해”와
“나”가 고통의 은유를 공유하며, 고통의 원인이 세계에 있음은 로고스적 세계
가 지닌 억압의 힘을 반증한다.

- 104 -
“나”의 고통의 은유를 공유하는 타자인 “안해”가 지니는 또 하나의 특징은
“나”의 또다른 거울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먼저 거울상이 지니
는 의미를 짚어야 할 것이다. 이상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첫 번째 거울상은 자
기 자신의 거울상이다. 이는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 0:1과 <각혈의 아침>
두 시 이후 이상 텍스트에서 자기 자신 외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진단의 대상
이다. <거울>에서 시적 주체는 거울 밖의 자신과 거울 속의 자신을 별개의 존
재로 생각하며 거울 속의 자신을 진단하고픈 욕망을 지닌다.

거울속에는소리가업소
저럿케ㅅ가지조용한세상은참업슬것이오

거울속에도 내게 귀가잇소
내말을못아라듯는ㅅ닥한귀가두개나잇소

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오
내握手를바들줄몰으는―握手를몰으는왼손잡이오

거울ㅅ대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저보지를못하는구료만은
거울아니엿든들내가엇지거울속의나를맛나보기만이라도햇겟소

나는至今거울을안가젓소만거울속에는늘거울속의내가잇소
잘은모르지만외로된事業에골몰할ㅅ게요

- 105 -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反對요마는
ㅅ도ㅅ괘닮앗소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診察할수업스니퍽섭섭하오

<거울> 전문179)
(1933. 10.)

이 시는 거울 속의 세계가 지니는 특징으로 시작된다. 거울은 시각 외의 감


각은 존재하지 않는 세계이므로, “거울속에는소리가업”고, 거울 속의 나 또한
“내말을못아라듯는ㅅ닥한귀”가 있는 것이다. 거울에 비친 모습은 “나”의 반전
된 모습이기에 “거울속의나”는 “왼손잡이”이며, “나”와 달리 “외로된事業”에
골몰하는 “나”와는 다른 “나”, 분열된 자아이다. “소리가업”는 세상에 존재하
는 “거울속의나”는 “참나”와 “반대”임에도 “나”는 “거울속의나”와 “나”가 “ㅅ
도ㅅ괘닮앗소”라고 서술한다. 이와 이어지는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診察
할수업스니퍽섭섭하”다는 “나”의 말은 “참나”와 “거울속의나”의 공통점이 고
통 중의 주체라는 것, 병을 앓는 주체라는 사실을 함의한다. “나”는 이러한
“거울속의나”를 진찰하고픈 욕망을 지니며, “거울속의나”와 “나”는 청각과 촉
각의 결여에도 불구하고 병과 고통을 통하여 “닮음”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나”의 거울상은 <오감도> 시제15호에서도 나타나는데, 이 때의 “거울속의
나”는 “나”의 공포의 대상이자 “해방”시키고픈 존재로 나타난다. 두 시에서
나타나는 것은 거울에 비치는 상, 즉 거울에 비친 자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
다. 그러나 <명경>에 나타나는 두 번째 “나”의 거울상은 “나”가 아니라 타자
인 “안해”의 모습이라는 데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여기 한페―지 거울이있으니
잊은季節에서는
얹은머리가 瀑布처럼내리우고

울어도 젖지않고
맞대고 웃어도 휘지않고

179)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34쪽.

- 106 -
薔薇처럼 착착 접힌

디려다보아도 디려다 보아도
조용한世上이 맑기만하고
코로는 疲8한 香氣가 오지 않는다.

만적 만적하는대로 愁心이平行하는
부러 그렇는것같은 拒絶
右편으로 옴겨앉은 心腸일망정 고동이
없으란법 없으니

설마 그렇랴? 어디觸診……
하고 손이갈 때 指紋이指紋을 가로막으며
선뜩하는 遮斷뿐이다.

五月이면 하로 한번이고
열번이고 外出하고 싶어하드니
나갔든길에 안돌아오는수도있는법

거울이 책장같으면 한장 넘겨서


맞섰던 季節을 맞나련만
여기있는 한페―지
거울은 페―지의 그냥表紙―

<明鏡> 전문180)
(1936. 5.)

이 시에서는 시적 주체인 “나”와 “나”의 거울상인 “안해”가 제시된다. 시적


주체가 존재하는 공간적 배경은 거울 앞이다. 거울은 종이를 세는 단위인 “페
―지”로 나타나며, 거울 안에 있는 것은 “잊은 季節”이다. “나”와 “少女”의 공
통된 은유가 쓰기 은유 연상망에 있으며, 삶을 백지로 본다는 점을 짚는다면
거울 밖의 “나”와 거울에 비치는 “안해”라는 두 존재의 모순은 두 사람이 공

180)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129-130쪽.

- 107 -
유하는 은유를 통하여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나”와 “少女”가 공유한 삶
은 과거의 한 장면이 될 것이며, 이는 “잊은 季節”로 나타난다. 그 계절이 보
여주는 모습은 “얹은머리가 瀑布처럼내리우는” 모습이다. 이는 거울에 비친
모습이 자기 자신의 모습이 아니라 “안해”의 모습임을 나타낸다.
거울에 비춰지는 “안해”는 거울 밖의 시적 주체가 “울어도 젖지않고/맞대고
웃어도 휘지않”는 존재이다. 또한 “愁心이 平行”한다는 부분에서는 시적 주체
와 겹칠 수 없는 근심을 지니며, “부러 그렇는것같은 拒絶”을 내비친다. 또한
4연에서는 “열번이고 外出하고 싶어하드니/나갔든길에 안돌아오는수도있는법”
을 통하여 “안해”와의 합일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거울은 시적 주체
와 “안해”의 사이를 갈라놓는 대상이며, 시적 주체는 거울의 “遮斷”으로 인하
여 좌절한다. 앞에 있는 형상을 비추는 거울은 이 시에서는 시적 주체가 아닌
타자인 “안해”를 비추는 아이러니한 대상이다. “안해”의 내면을 볼 수 없음에
대한 슬픔은 “안해”의 모습만을 보여주는 거울을 “페―지의 그냥表紙―”로 은
유하는 부분에서 나타난다.
이 시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시적 주체의 거울상이 타자인 “안해”로 나타난
다는 것이다. “薔薇처럼 착착 접힌/귀”는 청각이 결여된 거울 안의 세계를 은
유한 것이며, “디려다보아도 디려다 보아도/조용한世上이 맑기만하고/코로는
疲8한 香氣가 오지 않는다.”에서는 후각 또한 존재하지 않는 세계, 시각만이
존재하는 거울의 세계를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指紋이指紋을 가로막으며/선
뜩하는遮斷”을 통하여서 <거울>에서보다 더욱 명징한 시각중심적인 거울의
세계를 이야기하는데, 이는 <거울>에서 나타나는 거울로 인한 차단이 보다 비
극적으로 나타나는 대목이자 거울상이 “나”의 모습이 아닌 “타자”의 모습이라
는 사실에 기반하였을 때에는 타자가 지니는 거리감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앞서 나타난 시적 주체와 “안해”와의 은유적 동일화와는 거리감을 지
닌다. 오히려 앞선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안해”는 분명한 타자임에도 시적 주
체와의 은유를 공유함으로써 시적 주체와의 동일화를 보였지만 <명경>에 나
타나는 “안해”는 시적 주체의 거울상임에도 불구하고 “얹은머리”가 지니는 여
성적 요소, “外出”에의 욕망이라는 “안해”로서의 욕망을 통하여 시적 주체와
는 다른 존재임을 피력한다. 거울 속의 “안해”는 “右편으로 옴겨앉은 心腸”을
지녔으며, 이는 “心腸은바른편에잇”는 오감도 시제15호의 “거울속의나”와 동

- 108 -
일하다. 그렇다면 이를 바탕으로 거울상에 대한 “나”의 관점에 대하여 짚을
필요가 있다.
<오감도>시제15호의 “나”는 “거울속의나”를 두려워한다. 이는 “거울속의
나”가 자신을 어떻게 하리라는 음모에 대한 공포이며, “나”가 모르는 “거울속
의나”의 음모는 시적 주체에게 불안과 공포181)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불안
과 공포는 “바른편에잇”는 심장을 지닌 “거울 속의 나”와 왼편에 심장을 지닌
“나”의 분명한 ‘다름’이 거울을 통하여 “거울속의나”와 거울 밖의 “나”가 같다
는 패러독스와 이러한 패러독스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나”에 의하여 촉발된
다. 즉 이항대립적인 로고스에 속해 있는 “나”에게 있어 패러독스인 거울상은
공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고 이것이 바로 이상의 고통일 것인데, 바로 이
패러독스가 “안해”에게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안해”는 고통의 은유를 공
유하는 “나”와 같은 존재이자 “나”의 또 다른 거울상이기에 “나”의 공포의 대
상인 패러독스적 존재이다.
“책임의사 이상”의 진단의 대상이 자기 자신에서 분열된 자아인 “거울속의
나”로, 나아가 타자인 “안해”에게까지 확장되었다는 것은 “어떤患者의容態에
關한問題”가 아닌 “患者의容態에關한問題”로 확장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안해”는 “나”와 다른 타자이지만 고통의 은유 안에서는 이를 공유하는 존재
로서 “診察”의 대상으로 포섭된다. 그러나 동시에 “안해”는 이러한 은유의 공
유에도 불구하고 “나”의 또 다른 거울상이라는 점에 있어서 로고스에 속한
“나”에게는 공포의 대상이라는 패러독스적 존재로 나타나는데, “안해”의 이러
한 모습은 다음 장에서 다룰 <지주회시>와 <날개>에서 제시된다.

3. 무지의 페르소나에서 패러독스적 질서의 성립으로

“책임의사 이상”으로 나타나는 시적 주체가 취하는 저항의 방식은 “詩的인


情緖”를 바탕으로 한 숫자의 질환의 구명이다. 이는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

181) “이러한 ‘부재의 주제’는 李箱의 시적 세계 안에서 세 가지 변이양상을 보인다. 첫째는 ‘불안과 공
포’가 있다. 이는 거울 앞에 내가 현전해 있지 않을 때 ‘거울 속의 나’ 역시 부재할 경우다. 거울로부
터의 나의 부재, 즉 자기외출이 문제가 된다. 둘째는 ‘광기’가 있다. 이는 거울 앞에 나는 현전해있지
않는데도 거울 속에는 내가 의연히 존재하여 나를 향해 ‘거울 속의 내’가 ‘외로된 사업에 골몰해있는’
경우다. 이때 시인은 ‘거울’이 고집스레 소유하고 있는 ‘꿈의 자아’, 즉 ‘본질적 자아’를 향해 광폭한 원
한을 느낀다.” 김승희, 앞의 책, 420쪽.

- 109 -
지 않음으로써, 즉 병의 원인인 로고스의 방식으로 로고스의 질병을 다루는
반로고스적 방식이 아니라 탈로고스적인 방식으로 로고스의 질병에서 벗어나
려는 방식이다. 이러한 관점이 형성되는 모습은 <지주회시>(1936. 6.)와 <날
개>(1936. 9.)를 통하여 나타난다. 두 텍스트에서는 공통적으로 “안해”가 나
타나며 “나”와 “안해”가 지니는 고통의 원인인 세계의 모습이 제시된다. 병의
원인인 세계와 환자(들), 그리고 이를 바라보는 주체인 “그”와 “나”로 인하여
억압적 세계와 그에 대한 저항적 치유의 관점이 구체화됨을 볼 수 있을 것이
다.

그날밤에그의아내가층게에서굴러떨어지고―공연히내일일을글탄말라고
어느눈치빨은어룬이 타일러놓섰다. 옳고말고다. 그는하로치씩만잔뜩산
(生)다. 이런복음에곱신히그는덩어리(속지말라)처럼 말(言)이없다. 잔뜩산
다. 아내에게무엇을물어보리오? 그러니까아내는대답할일이생기지않고따
라서부부는 식물처럼조용하다. 그래서그런지그는이귤궤짝만한방안에무슨
연줄로언제부터이렇게되었는지도모지기억에없다. 오늘다음에오늘이있는
것. 래일조금전에오늘이있는것. 이런것은영따지지않기로하고 그저 얼마든
지 오늘 오늘 오늘 오늘 허릴없이눈가린마차말의동강난視야다.(239)

먼저 <지주회시>182)에 제시되는 것은 “그날밤에그의아내가층게에서굴러떨


어”진 사건이다. 전무에게 양돼지라고 말한 탓에 계단에서 굴러떨어진 아내와
남편인 “그”에게 “어느눈치빨은어룬”은 “공연히내일일을글탄말라”고 이야기한
다. 사건을 덮으려는 “어룬”의 말씀을 성경 구절183)과 동일시함으로써 “어룬”
의 존재를 과장하고 동시에 기독교를 희화화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근대 세
계의 “어룬”과 기독교가 지니는 로고스에 대한 저항 심리로 읽을 수 있을 것
이다. “어룬의 말”-“복음”에 “그”는 “덩(벙)어리처럼 말이없”는데, “(속지말
라)”는 작가의 파라바시스를 통하여 “그”는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말

182)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2: 단편소설』, 239-257 참고. 인용한 부분은 쪽수로 대체한다.
183) 마태복음 6장 34절은 “그러므로 내일 일을 위하여 걱정하지 말라 내일 일은 내일이 염려할 것이요
한 날의 괴로움은 그 날로 족하니라”로 이루어져 있다. “내일일을글탄말라”는 여기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글탄하다”는 “속을 태우며 걱정하다”는 뜻이다. 이상 저, 김주현 주해, <鼅鼄會豕>, 『(정본)
이상문학전집 2: 소설』, 224쪽 참고.

- 110 -
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로고스적 억압을 마주하고
침묵을 지키는 것은 <역단> 역단에 나타나는 시적 주체와 동일한 모습184)을
보인다. 이러한 사건과 그 사건에 대한 “그”의 시선을 언급한 뒤 시간은 사건
이 일어난 날 오후로 옮아간다.
“하로치씩만잔뜩사”는 “그”에게 내일이나 미래의 계획 같은 것은 없다. 뿐
만 아니라 “눈가린마차말의동강난視야”처럼 그는 고정된 시야에 매몰된 존
재185)이다. “그”는 “그저한없이게을른것―사람노릇을하는채대체어디얼마나기
껏게을을수있나좀해보자―게을으자―그저한없이게을으자―시끄러워도그저몰은체
하고게을으기만하면다된다. 살고게을르고죽고―가로대사는것이라면떡먹기다.
오후네시. 다른시간은다어디갔나. 대수냐. 하루가한시간도없는것이라기로서니
무슨성화가생기나.”라고 생각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강박적으로 반복되는 “게
으르자”는 결심과 “사람노릇을하는채대체어디”까지 게으를 수 있는가에 대한
숙고 등으로 미루어 볼 때 그의 게으름은 천성적이라기보다는 의도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는 자신과 게으르자는 결심 이후에 아내에게로 시선을
돌린다. 그는 아내가 “꼭거미”라고 “믿는다.” 아내가 거미로 환생하면 거미는
총으로는 죽이지 않으니 발로 밟아 죽여야겠는데 또 신발을 신기는 귀찮다는
식의 단상이 이어진다. 아내를 은유하던 거미는 이제 아내와 “그”가 사는 방
의 은유가 된다.
한없이 게으른 “그”는 남편 노릇을 하지 않고 잠만 자는 인물이며, 아내는
부부 노릇을 하다가 일년 반 즈음 되던 시기에 훌쩍 떠났다가 돌아온 인물이
다. “그”도 아내도 ‘통상적인’ 부부 관계는 아닌 것이다. “어디서부터어디까지
가부부람”이라는 말에서는 세상에서 통용되는 부부의 개념과 그들의 부부관계
가 지니는 모호함이 드러난다.
“그”에게 있어 방 바깥의 세상은 너무나 답답하다. “저렇게바쁘게씨근거리

184) “어떤뷘터전을찾어가서실컨잠잣고있어본다. 배가압하들어온다. 苦로운發音을다생켜버린까닭이다.”


<易斷> 易斷 중.
185) 이는 <오감도> 시제1호 초반에 나타나는 “아해”의 모습과 유사하다. <오감도> 시제1호에 나타나는
아해들은 질서와 속력, 질주, 전진의 서사인 근대에 속하여 두려워하면서도 끊임없이 질주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오감도> 시제1호에서는 마지막 연에 이르러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하오)/13인의아
해는도로로질주하지아니하여도좋소”를 통해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오/(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
오)”라는 1연의 언술을 뒤집고 이분법적 이성중심주의의 근대를 탈주하는 데 반하여(김승희, 「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성의 파놉티콘”과 아이러니, 멜랑콜리」, 15-20쪽 참고.) <지주회시>의 주체는 눈
가리개를 한 말, “눈가린마차말의동강난시야”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 111 -
는 사람 묵어둔통 짐 구두 산양개 야단치는소리 안열린들창 모든 것이 견딜수
없이답답하다. 숨이매킨다.” 방 안은 게으름과 권태의 공간이지만 방 밖 세상
은 그 자체로 “그”에게 숨막히는 억압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그”는 밖으로
나가 친구인 “吳”를 만난다. “吳”는 “그”에게 사업상 돈을 빌려간 인물이다.
“吳”와 “그”는 서로 반대인 인물이다. “吳는완전히吳자신을활활열어제처놓은
모양”이며 “그가 吳앞에서나세상앞에서나그자신을첩첩이닫”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을첩첩이닫”는 다는 생각에서 나타나는 것은 나에 대한 거미의 은유이
다.

오냐 웨그러니 나는거미다. 연필처럼야외가는것―피가지나가지않는혈관


―생각하지않고도없어지지않는머리―칵매킨머리―코없는생각―거미거미속
에서 안나오는것―내다보지않는것―취하는것―정신없는것―房―버선처럼생
긴房이었다. 아내었다. 거미라는탓이었다.(242)

“나”에게 접근하는 거미의 은유는 야위는 것, 피가 지나가지 않는 혈관, 생


각이 없음에도 사라지지 않는 머리-이성-, 막힌 머리 등으로 나타나는 의미의
연쇄를 통하여 무기력하고 비참한 자신의 생활 전체를 거미로 은유한다. “그”
는 “吳”를 만나다 그에게 돈을 빌려주기 위하여 아내가 일하는 카페R회관의
주인에게 돈을 빌렸던 기억을 떠올린다. 그는 “아내를앞세우고이뚱뚱이보는데
타원형도장을찍”었으며, 주인이 유카타를 입고 내려다보던 “굴욕을오늘이라고
잊었을까.”라고 회상한다. 그 굴욕은 “골수에” 스밀만치 강렬한 것이었으나
“그”에게 있어서 그 굴욕을 되갚아줄 능력이 없음을 알기에 그는 “아무것도차
라리억울해하지말자”고 맹세한다. 굴욕감 때문에 뺨이 달아오르고 눈물이 맺
히면서 “그”는 다시 거미를 자신에게로 끌어들인다.

거미―분명히그자신이거미였다. 물뿌리처럼야외들어가는아내를빨아먹는
거미가 너 자신인것을깨달아라. 내가거미다. 비린내나는입이다.(243)

그러나 바로 다음 부분에서 거미는 아내와의 형태적 유사성을 통하여 다시


거미로 은유되며, 거미 은유를 통하여 “그”와 아내의 구분이 점점 흐려진다.

- 112 -
아니 아내는 그럼그에게서아무것도안빨아먹느냐. 보렴―이파랗게질린수
염자죽―쾽한눈―늘신하게만연되나마나하는형영없는營養을―보아라. 아내
가거미다. 거미아닐수있으랴. 거미와거미거미와거미냐. 서로빨아먹느냐.
어디로가나. 마조야외는까닭은무엇인가.(243-244)

즉 “나”는 아내를 빨아먹고 사는 자신을 거미로 은유하고 자신의 야윔에 의


문을 던짐으로써 아내 또한 그를 빨아먹었기에 자신이 야위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아내 또한 거미가 되며, 거미 두 마리를 품는 부부의 방은 “거미거미”
가 된다. 이 다음에 제시되는 거미로 변한 아내를 밟아 죽인다는 생각은 곧
자신을 밟아 죽이고픈 자기파괴의 욕망과 연결된다. “그”는 “생명에뚜껑을덮”
고 “사람과사람이사괴는버릇을닫았”고 “그자신을닫”은 존재이다. 온갖 벗과
관계와 희망과 욕(망)과 욕(설)을 닫고 오직 방 안에서만 “발광”하고 “핥”는
다. 그는 “밖에와있는세상”이 “암만기다려도” 나가지 않는다. 그저 창문 밖으
로 세월이 흘러감만을 바라볼 뿐이다. 세상에 대한 “그”의 태도는 앞서 나타
난 “그”의 “게으름”이 계획된 것임을 보여준다. 방과 아내와 자신이 거미일
수 밖에 없는 세상 속에서 그는 세상의 질서를 회피하기로 마음먹은 것이다.
게으름을 이유로 세상의 질서에서 한 발자국 물러난 그는 나태의 페르소나를
통하여 “차라리억울해하지말”기를 꾀하는 것이다.
“그”는 “吳”와 카페에 온 후 아내와 같은 일을 하는 수많은 아내들을 보며
아내가 말라가는 이유에 대하여 다시금 고백한다. “내 안해만은 왜 그렇게 야
위나. 무엇 때문에(네 죄)(네가 모르느냐)(알지)”는 아내와 달리 살찐 여급인
마유미를 보며 “그”가 느끼는 회한이다. 살찐 마유미와 “吳”를 보며 그들에게
는 마른 아내와 자신과는 다른 무엇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것은 야위지
못하도록 금지한 것, 즉 “힘”, “의지”, “그런강력한것”이다. 이는 “그”에게 없
는 것이자 “그”가 일하지 않는 이유, 즉 거미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이
는 “내―그런것만있다면 이노릇안하지―일하지―하여도 잘하지―”라는 진술을
통하여 나타난다. 그러나 이 진술 뒤에 이어지는 것, “그런강력한” 힘이 아닌
“그”의 힘의 형태가 서술된다.

내의지가작용하지안는온갖것아, 없어저라. 닫자. 첩첩이닫자. 그러나이


것도힘이아니면 무엇이랴―(250)

- 113 -
즉 마유미를 야위지 못하게 하는 “오”의 “힘”과 “의지”와는 다른 “힘”,
“그”의 “힘”이 나타나는 것이다. 모든 것을 “첩첩이닫”음으로써, 세상과 자신
을 격리하는 것 또한 힘이라는 “그”의 관점은 “그”의 게으름이 세상을 향한
자신의 “힘”의 작용이었음을 말한다. “그”는 세상과 단절됨으로써 세상이 주
는 억압에서 벗어나고 세상 속의 존재로서 겪는 굴욕을 잊어버리려 하는 것이
다.
“吳”와 술을 마신 뒤 귀가한 “그”는 아내가 자신에게 시비를 건 전무에게
양돼지라고 말한 탓에 계단에서 밀쳐졌다는 사실을 듣는다. 경찰서에 간 “그”
는 자신에게 돈을 빌려준 뚱뚱 주인과 “吳”의 설득과 위협에 전무를 고소하지
않고 그대로 돌아온다. 아내는 다음 날 위로금 차원으로 이십 원을 받아 오며,
“그”는 아내가 잠든 사이 이십 원을 가지고 나와 그것을 쓸 것을 계획한다.
쓸 계획을 세우며 “그”는 자신을, 집을, 아내를, 썩어가는 공기와 마유미와
“吳”를, 돈을 거미라 이야기한다. 그리고 마침내 “거미는나밖에없다.”고 고백
한다. “그”의 계획은 술을 마시거나 마유미에게 주거나 거절하면 전무에게처
럼 양돼지라고 말하고서는 “그냥날러가”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나어떻냐공돈
이아니냐”며 전무가 다시 안해를 계단에서 떨어뜨리면 “또이십원이다.” 그러
면 다시 술값과 팁으로, 응하지 않으면 다시 양돼지라고 말하고 이십 원을 또
버리려는 것이다. “아내야 또한번전무귀에다대이고 양돼지 그래라. 거더차거든
두말고층말게에서나려굴러라.”는 것은 양돼지라고 말함-굴러떨어짐-이십 원을
받음-헛되게 씀-다시 양돼지라고 말하는 무한 반복의 굴레를 욕망하는 것이
다.
“그”와 아내는 아내가 굴러떨어진 값으로 받은 20원으로 인하여 “먹어야산
다는 철측”, 인간의 본능인 “그장중한법률”마저도 “완전히 거역할수”있는 근
대 자본주의라는 세계 내의 존재들이다. 거미 같은 공기를 마시면서도 “지폐
내음새”는 “참그윽”하며, 아내의 양말에서 떨어지는 오십전의 소리는 “이세상
아무것에도 비길수없는가장숭엄한감각”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그”가 거부하
는 세상의 가치인 돈에 대한 떨쳐낼 수 없는 애착은 “그”가 자본주의 내의 존
재라는 사실을 더욱 부각한다. 그러나 “그”는 마지막 장면에서 돈을 “그냥날
러”버리는 무한의 반복을 욕망한다. 귀중한 돈을 의미 없이 날려버리는 것은
자본주의의 가치체계에 반하는 행동이다. 이 반복에서 돼지 같은 전무에게 돼

- 114 -
지라고 욕을 하는 것은 할 때마다 의미가 있으나 실없이 날리는 돈에는 의미
가 없다. “그”는 자본주의라는 세계를 구성하는 돈의 가치에 정면으로 반함으
로써 세계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그”가 방-“거미거미”에서 나가지 않음은 “그”가 선택한 세계
에 대한 저항의 방식이다. 아내를 여위지 않게 명령하는 “힘”이나 “의지”와는
다른 방식인 “그”의 “힘”은 세계와의 모든 연결점을 끊고 그저 나태하게 잠드
는 것이다. 단순히 억압적 세계가 요구하는 자세인 근면 성실함과는 정반대의
위치를 취함으로써 세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반反로고스적 행위이다. 이는
자신을 억압하는 세계, 이분법적 로고스의 질서와 다르지 않다. “數字를數字인
것으로하는” 방식이다. 자본주의의 요소인 돈을 버리고 병으로 취급되는 나태
함186)의 위치를 점함으로써 ‘게으른’ 자인 체 하는 것, ‘모르는’ 자인 체 하는
것,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가 바로 세계로 인한 자신의 병증을 치유하는 방
식187)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벽증적 탈주는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벗어나려는 바로 그
세계의 방식을 따르게 된다. 즉 <지주회시>에 나타나는 반로고스적 치유의 방
편은 아내를 계단에서 굴리는 결말만을 얻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는것”이 아닌 “詩的인 情緖”를 택하는 치유의 방편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지주회시>가 발표되고 3개월 후 발표된 <날개>188)에
서는 반로고스적 탈주에서 탈로고스적 탈주로 변화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186) “근대 의료체계에서 의사는 중세의 사제의 역할까지 떠맡게 되었다. -‘사목 권력의 탄생!’ 건강한
신체는 건강한 정신, 절제 있는 생활 속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일상의 세부와 내면의 깊은 곳까지
일일이 체크되어야 한다. 병리학이 도덕적 규율까지를 포괄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게으름과 성적 타
락이 병 중의 가장 말질로 규정되는 것이야말로 병리학과 사목 권력의 견고한 결합을 잘 보여준다.”
고미숙,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민족, 섹슈얼리티, 병리학』, 책세상, 2001, 157-158쪽.
187) 김승희는 이를 부재의 주제 중 하나인 ‘광기’로 이야기한다. “시인은 ‘아무에게도 들키지 않는’ 부재
자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세상(현실, 꿈)을 향해 고무지우개로 글자를 지워 가듯이 자신의 존재를 서서
히 무화시켜버리면서 능동적으로 부재에 다가간다. 이것은 그의 소설 <날개>나 <지주회시>에서 구체
적으로 드러나지만 시에서는 <自傷>, <회한의 장>에서 편린을 엿볼 수 있다. 李箱이 애용하는 ‘잠’이
나 ‘癡呆의 가면’은 이러한 자기부재를 돕는 장치가 된다. 의식적으로 존재로부터 자기를 소멸시켜 가
면서 이 소멸을 통해 삶으로부터의 완전한 자기소외에 도달할 수 있기를 시인은 기도한다. 이것은 일
종의 초원이지만 부정적 초월이다. 현존재는 자기 자신을 ‘마치 자체로서 있지 않는 것처럼’ 처신함으
로써, 세계를 ‘넘어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갈등 자체를 파기해 버리는 부정적 초월일 뿐이다.
오직 공허한 자유가 있을 뿐이다. 시인은 그것을 ‘완전히 비겁해지기에 성공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
기에서도 무지의 페르소나를 통한 반로고스적 탈주, 부정적 초월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김승희, 앞
의 책, 420쪽.
188)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앞의 책, 258-283쪽. 인용한 부분은 쪽수로 대체한다.

- 115 -
「剝製가되어버린天才」를 아시오? 나는 愉快하오. 이런때 戀愛까지가
愉快하오.(258)

<날개>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이 에피그램은 자기 자신에 대한 에피그램이


다. 박제가 되어 굳어버린 천재의 모습이 바로 <날개>에 나타나는 “나”의 모
습인 것이다. <지주회시>의 “그”처럼 <날개>의 “나” 또한 몸을 파는 아내의
기둥서방으로 나타난다. 아내와의 관계 외에도 두 인물의 공통점은 나태와 무
지의 페르소나를 쓰고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날개>의 “나”에게서 그 페르소
나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주회시>에서 “그”와 아내 외에도 “吳”나
“뚱뚱 주인”이나 “마유미”같은 인물들이 나타났다면 <날개>에 나타나는 뚜렷
한 인물상은 “나”와 아내뿐이다. 이는 “나는 내아내와 인사 하는외에 누구와
도인사하고싶지않”은 “나”로 인함이다. <지주회시>보다 더욱 좁아진 세계에서
“나”에게 있어 아내는 절대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나”는 그저 “특히 아름다
운 한딸기의 꽃”과 같은 아내에게 “매어달녀사는” “거북ㅅ살스러운 존재”인
것이다.
<날개>의 “나”가 지니는 무지의 페르소나는 <지주회시>에서보다 강력하다.
방을 거미로 은유하며 진저리치는 “그”와 달리 “나”에게 방은 안온하고 행복
한 세계로 나타난다.

나는 어데까지든지 내방이―집이아니다. 집은없다.―마음에 들었다. 방


안의 온기는 내체온을위하야 쾌적하였고 방안의 침침한정도가 또한 내안
력을위하야 쾌적하였다. 나는 내방이상의 서늘한방도 또 따뜻한방도 히
망하지는않었다. 이이상으로 밝거나 이이상으로 안윽한방을 원하지않았
다. 내방은 나하나를위하야 요만한정도를 꾸준히직히는것같아 늘 내방이
감사하였고 나는또이런 방을 위하야 이세상에 태어난것만같아서 즐거웠
다.
그러나 이것은 행복이라든가 불행이라든가 하는것을 게산하는것은 아
니었다. 말하자면 나는 내가행복되다고도 생각할필요가없었고 그렇다고
불행하다고도 생각할필요가없었다. 그냥그날그날을 그저 까닭없이 펀둥
펀둥 게을느고만있으면 만사는 그만이였든것이다. (262-263)

- 116 -
방에 대한 “나”의 만족감은 “나는또이런 방을 위하야 이세상에 태어난것만
같아서 즐거웠다.”에 이르러 절정에 이른다. 아내가 지정해준 방에 대하여 그
‘이상’도 ‘이하’도 원하지 않는다는 것에서는 아내에 대한 “나”의 완전한 복종
을 시사하며, 방에 대한 “나”의 술회는 어린아이와 같은 퇴행을 보이는 듯하
다. 그러나 행복이나 불행에 대한 불필요한 “나”의 과다한 의식은 오히려 이
러한 행복과 복종에 대하여 의심케 한다. 이는 아내의 방에 대한 서술에서 보
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아랫방은 그래도 해가든다. 아츰결에 책보만한해가들었다가 오후에 손


수건만해지면서 나가버린다. 해가영영 들지안는 우ㅅ방이 즉 내방인것은
말할것도없다. 이렇게 볓드는방이 안행해이오 볓안드는방이내방이오 하
고 아내와나 둘중에누가정했는지 나는 기억하지못한다. 그러나 나에게는
불평이없다.(263)

“그래도” 해가 든다는 서술은 윗방보다 아랫방이 낫다는 가치판단이 전제되


어 있다. 볕이 들지 않는 윗방이 “즉 내방인것은말할것도없다.”라는 것은 아랫
방보다 못한 윗방은 자신의 차지라는 것을 “나”가 알고 있음을 시사한다.
“나”는 마치 이러한 위장의 틈을 보이려는 듯 이 모든 진술 뒤에 변명처럼
“그러나 나에게는 불평이없다.”는 말로 급히 마무리를 짓는다. 햇빛조차 들지
않는 방에 비하여 “늘 화려”한 아내의 방에서부터 의복에 관한 상념을 늘어놓
는다. “못마다 화려한 아내의 치마와저고리”에 반하여 자신의 옷은 그렇지 않
다는 것이다.

아내는 내게는 옷을 주지않았다 입고있는콜텐양복한벌이 내자리옷이었


고통상복과나드리옷을 겸한것이었다. 그리고 하이넥크의쎄―타가 한조각
사철을총한 내 내의다 그것들은 하나같이다빛이검ㅅ다. 그것은 내 짐작
같아서는 즉 빨내를될수있는데까지 하지않아도보기싫지않도록 하기위한
것이아닌가한다. 나는 허리와 두가랭이 세군데 다―꼬무 밴드가끼워있는
부드러운 사루마다를입ㅅ고 그리고아모소리없이 잘 놀았다.(264-265)

이는 아내에 대한 불평에 가깝다. 단벌로 모든 것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과


옷을 자주 빨아 주지 않아도 되게끔 검은 빛의 옷뿐이라는 이야기에 자신은

- 117 -
간단한 반바지인 사루마다를 입고 “그리고아모소리없이 잘 놀았다.”는 것은
“나에게는 불평이없다.”와 같은 변명인 것이다. “나”는 아내가 준 방 안에 누
워 이불 속에서 “여러가지 발명도하”고 “논문도많이썼”고 “시도 많이지었”지
만 이는 모두 “나”가 “영잠이오지 않는적”에 잠들기 위하여 하는 생각에 불과
하므로 “나”가 잠이 들면 모두 “흐늑흐늑한공기에 다―비누처럼풀어저서 온데
간데가없”게 되는 것이다. “나”는 이불 안의 사색에서도 적극적인 것을 궁리
하지 않는다. “나”의 이러한 태도는 궁극적으로 “사회”와 “세상”과 격리되고
싶은 욕망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나는 가장게을는 동물처럼게을는것이 좋았다. 될수만 있으면 이 무의


미한 인간의탈을 버서버리고도싶었다.
나에게는 인간사회가 스스로웠다. 생활이스스로웠다. 모도가서먹서먹할
뿐이었다.(266)

세상에 대한 “스스로움”은 <지주회시>의 “그”와 동일하게 나타난다. “그”


또한 세상과 격리되기 위하여 방 안에 자신을 넣고 그 안에서 나오려들지를
않았다. 그럼에도 돈에 대한 욕망을 통하여 세상 속의 존재임을 은연중에 보
이던 “그”와는 달리 “나”는 아내의 방 안에서 “그”가 지니는 고통과 고뇌도
없이 살아간다. “그”는 자신을 아내에게 빌붙어 정기를 빨아먹는 거미로 은유
하면서 고통스러워하지만 “나”에게는 그러한 고통이 나타나지 않는다. “나”는
아내가 주는 돈조차 반짝인다는 것 외에 화폐로서의 가치를 알지 못하며, 아
내의 직업조차 알지 못한다. 내객들이 주고받는 농담을 들으면서도 “내아내의
직업이무었인가를 연구하기에착수하였으나 좁은시야와 부족한지식으로는 이것
을 알아내이기힘이든다. 나는 끝끝내 내아내의직업이 무엇인가를모르고 말야
나보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앞서 나타난 “아내에게 래객이있는날은 이
불속으로 암만 깊이들어가도 비오는날만큼 잠이 잘오지는안았다.”는 것과 상
충한다. 내객이 있는 날에는 제대로 잠들지 못한다는 것은 몸을 파는 아내의
남편으로서 느끼는 감정의 우회적 표현이기 때문이다. 이 또한 “나”가 지니는
무지의 페르소나의 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날 “나”는 아내가 준 은화를 챙겨서 아내가 외출한 사이에 밖으로 나
간다. 그 이유는 “그 쾌감이라는것의유무를 체험하고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 118 -
돈을 한 푼도 쓰지 못하고 들어온다. 이는 “벌서돈을쓰는 기능을 완전히 상실
한것같”은 까닭이다. 이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나”는 “돈을쓰는 기능”을
이전에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에는 상실한 것처럼 잊었기에 돈을 쓸 수 없었다
는 뜻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피로한 “나”는 내객이 있는 방을 가로질러 잠
이 들며, 아내에게 가지고 있던 돈을 모두 주어 버린다. 그 날 아내의 방에서
자게 된 “나”는 돈으로 할 수 있는 ‘사회적인’ 쓰임새가 아닌 아내와 나의 ‘개
인적인’ 쓰임새가 돈이 주는 “쾌락”인 줄 알고 기뻐한다. 이후 “나”가 감기에
걸린 후부터 “나”는 아내가 주는 약을 먹고 한 달여간 잠시 깼다가 다시 잠드
는 생활을 반복한다. 어느 날 깨어난 후 아달린갑을 발견한 “나”는 자신이 먹
을 것이 아스피린이 아닌 아달린이라는 추측을 시도한다. 이는 “나”는 아내가
“나를어떻게하려는음모”를 지녔으리라 생각하는 것으로, 공포의 거울상으로서
의 아내에 대한 “나”의 관점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그러나 “나”는 이러한 생
각도 “단오분이못가서” “그만 귀찮은생각이 벗적 들면서 심술이” 나는 바람에
아달린을 먹고 밖에서 일주야를 자다가 아내에게 쫓겨난 후 미쓰꼬시 백화점
옥상으로 올라가게 된다.

나는어디로어디로 디립ㅅ다 쏘단였는지 하나도 모른다. 다만 몇시간후에내


가 미쓰꼬시 옥상에있는것을깨달았을때는 거이 대낮이였다.
나는 거기 아모데나 주저앉어서 내 잘아온 스믈여섯해를 회고하야보았다.
몽롱한기억속에서는 이렇다는아모 제목도 불그러져나오지안았다.
나는 또 내자신에게물어보았다. 너는 인생에 무슨 욕심이있느냐고. 그러나
있다고도 없다고도, 그런 대답은 하기가싫었다. 나는 거이 나 자신의존재를
인식하기조차도어려웠다.(281)

“나”는 미쓰꼬씨 옥상에서 살아온 생을 회고해보지만 “이렇다는아모 제목도


불그러져나오지안”는다. “제목”이 떠오르지 않는다는 것은 자신의 삶을 쓰기
와 연관 짓는 ‘쓰는 주체’로서의 은유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나”는 스스
로에게 “무슨 욕심이있느냐”고 물어보지만 “그런 대답은 하기가싫었다.”고 대
답한다. 욕심이 있다는 것은 주체성이 있음을 전제하는 것인데 반하여 “나”는
아내에게 모든 것을 의탁하고픈 욕망 외에는 그런 “적극적인 것”은 궁리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아내의 질서에 복종하려는 “나”는 “거이 나 자신의존재

- 119 -
를 인식하기조차도어려”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나”는 금붕어를 바라보면서 “회탁의거리”를 내려다보며 도시생활자들이 피
곤한 생활을 주시하면서 피로와 공복으로 인하여 자신 또한 그 회탁의 거리
속으로 섞여들어가지 않는 수도 없다는 생각에 이른다. 그리고 발길이 어디를
향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는 순간 갑작스러운 깨달음으로 인하여 “나”의
전환이 일어난다.

나서서 나는 또 문득 생각하야보았다. 이발ㅅ길이 지금 어디로 향하야 가


는것인가를.........
그대 내눈앞에는 아내의목아지가 벼락처럼 나려떨어졌다. 아스피린과아달
린.
우리들은 서로 오해하고있느니라. 설마아내가 아스피린대신에아달린의정량
을 나에게먹여왔을까? 나는 그것을 믿을수는 없다. 아내가 그럴대체 까닭이
없을것이다
그러면 나는 날밤을새면서 도적질을 게집질을 하였나? 정말이지 아니다.
우리부부는 숙명적으로 발이맞지않는 절늠발이인것이다. 내나안해나 제거
동에로짘을부칠필요는없다. 변해할필요도없다. 사실은 사실대로 오해는 오해
대로 그저 끝없이 발을 절뚝거리면서 세상을 거러가면 되는것이다. 그렇지않
을까? -그러나 나는 이발길이 안해에게로 도라가야 옳은가 이것만은 분간하
기가 좀 어려웠다. 가야하나? 그럼어디로가나?(282)

“나”의 눈앞에 아내의 모가지가 떨어짐은 “나”가 아내에게서 벗어나게 됨을


은유한 것이다. “나”는 대大로고스인 억압적 세계에서 완전히 벗어나기 위하
여 아내의 세계 안으로 들어갔다. 그 안에서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를 통해
행복을 느끼는 것을 선택한 것이다. 자신이 지니는 로고스적 속성을 소거함으
로써 어린아이로 퇴행하는 체 하는 것이 그가 선택한 억압적 세계로 인한 병
증을 치유하는 방편, 반로고스적 방편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아내의 세계 또한
대로고스 안에 포함된 소小로고스라는 것은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는것”으로
하는 치유의 방편, 즉 병의 원인을 상정하고 그것을 소거하는 근대적 치유의
방편이 지니는 한계점을 시사한다. 또한 “나”는 갑작스러운 깨달음189)으로 인

189) <날개>에 나타나는 이러한 갑작스러운 깨달음은 귀납이나 추론을 통하여 명제를 추출하는 로고스적
깨달음과는 대조되는 방식의 깨달음이다.

- 120 -
하여 아내의 로고스에서 벗어나게 되었기에 “이발길이 안해에게로 도라가야
옳은가 이것만은 분간하기가 좀 어려웠다.”는 것은 ‘다시’ 아내의 로고스로 돌
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회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날개>의 결말 부분에 제시되는 깨달음은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를 지닌
주체라는 주요한 공통점을 지닌 <지주회시>와의 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날개>의 주체는 <지주회시>의 주체보다 더욱 나태하고 무지함에도 불
구하고 미쓰꼬시 옥상에서의 깨달음을 통하여 탈로고스적 탈주를 향할 수 있
으며, 이는 “안해”를 계단에서 영원히 굴리는 <지주회시>의 반로고스적 탈주
의 한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제가 된다.
그러나 <날개> 또한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에서 시작되는데, <회한의 장>
은 미쓰꼬시 옥상에서의 깨달음 이전의 주체, <지주회시>의 주체와 마찬가지
로 반로고스적 탈주를 시도하는 <날개>의 주체의 모습이 나타나는 시이자 자
기패러디 텍스트인 <날개>에 나타나는 깨달음과 탈로고스적 탈주의 의의를
더욱 명징하게 부각하는 텍스트이다.

가장 무력(無力)한 사내가 되기 위해 나는 얼금뱅이였다


세상에 한 여성조차 나를 돌아보지는 않는다
나의 나태(懶怠)는 안심(安心)하다

양팔을 자르고 나의 직무를 회피한다 더는 나에게 일을 하라는 자는


없다
내가 무서워하는 지배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역사(歷史)는 지겨운 짐이다


세상에 대한 사표 쓰기란 더욱 무거운 짐이다
나는 나의 글자들을 가둬버렸다
도서관에서 온 소환장을 이제 난 읽지 못한다

나는 이젠 세상에 맞지 않는 입성이다 봉분(封墳)보다도 나의 의무는


많지 않다
나에게 그 무엇을 이해해야 하는 고통은 깡그리 없어졌다

- 121 -
나는 아무것도 보지는 않는다
바로 그렇기에 나는 아무것에게도 또한 보이진 않을 게다
비로소 나는 완전히 비겁해지기에 성공한 셈이다

<悔恨의 章> 전문190)

<회한의 장>에서 나타나는 시적 주체의 모습은 <날개>의 주체와 유사한 모


습을 보인다. 이어령은 이 시를 <날개>의 “나”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방편이
라 지적191)한다. 인간관계과 노동, 지식으로부터의 의식적인 소외를 꾀하는
시적 주체는 일상적 삶을 부정함으로써 자유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1연에 나타나는 “가장 무력한 사내가 되기 위”하여 “얼금뱅이”가 되었다는
“나”의 진술은 <슬푼이야기>-어느두週日동안-192)와 연결되는 부분인데, 천연
두로 “얽”은 친부모의 속성을 언급함으로써 그들이 지니는 전근대적 속성을
은유한 것이다. 이는 본래 지니고 있던 “우두 자죽”으로 은유되는 근대적 속
성을 소거하려는 욕망의 결과이자 더 나아가 “얼금뱅이”가 됨으로써 자신이
속한 근대적 세계에서 퇴행하려는 욕망을 나타낸다. 그 욕망의 방편은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로, 이는 “나의 나태는 안심하다”라는 부분을 통하여 페르소
나의 효과가 “안심”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이는 <날개>의 초기 주체에
게서 나타나는 퇴행적 평온의 상태와 연결된다.
이러한 “나태”는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나는데, “양팔을 자르고 나의 직무를
회피한다 더는 나에게 일을 하라는 자는 없다/내가 무서워하는 지배는 어디서
도 찾아볼 수 없다”에서는 노동의 도구인 팔을 자름으로써 사회적 유용 노동
에 대한 거부 의지193)를 시사한다. 사회의 일원임을 증명하고 더불어 사회의

190)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4: 수필 외』, 392-393쪽. 이 시는 일본어로 쓰인 이상의 유고


시로, 《현대문학》에 일본어 원문이 수록되어 있다가 1976년 6월 유정 역으로 《문학사상》에 소개
되었다.
191) 이상 저, 이어령 교주, 앞의 책, 184-185쪽 각주 참고.
192) “나는 팔장을 끼고 오래동안 잊어버렸든 우두 자죽을 맨저보았습니다. 우리 어머니도 우리아버지도
다 얽으섰읍니다. 그분들은 다마음이 착하십니다. 우리아버지는 손톱이 일곱밖에 없읍니다. 宮內”活版
所에 단이실적에 손까락셋을 두 번에 잘니우섰읍니다. 우리어머니는 生日도 일음도 몰으십니다. 맨처
음부터 친정이없는 까닭입니다. (……) 젓떨어저서 나갔다가 二十三年만에 돌아와보았드니 如前히 가
난하게들 사십디다. (……)” <슬푼이야기>-어느두週日동안-에서의 주체는 근대 의료의 대표적 예이자
억압적 근대(일제)의 은유인 “우두 자죽”을 지니는 데에 반하여 <회한의 장>의 주체는 “우두 자죽”을
버리고 “손톱이 일곱밖에 없”고 “일음도 몰으”는 전근대적 존재인 친부모와의 동일시를 꾀한다.

- 122 -
일부가 되기를 강제하는 “일”이라는 “지배”에서 벗어나기를 욕망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시적 주체는 이러한 거대한 힘, “역사”에 지겹도록
짓눌려 왔음을 시사하며, “세상에 대한 사표 쓰기는 더욱 무거운 짐”을 통하
여 죽음 충동에 대한 번민을 암시한다. 더 나아가 시적 주체는 자신의 “글자
들을 가둬버”리고, “도서관에서 온 소환장”을 “읽지 못”하는 상태에 이른다.
글자 소거 이후에 시적 주체는 “이제” 죽은 자의 은유인 봉분보다도 의무가
많지 않으며, “이해해야 하는 고통”이 “깡그리 없어졌다”고 서술한다. 글자를
없애고 나서야 완전히 “세상에 맞지 않”는 존재가 되고 지배와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는 것은 이상이 지니는 ‘쓰는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부
분이다.194)
시적 주체는 또한 “나는 아무것도 보지는 않는다/바로 그렇기에 나는 아무
것에게도 또한 보이지 않을 게다”라고 서술한다. 팔을 자르고 직무를 회피하
고, 언어를 버림으로써 억압적 세계에서 벗어나려는 것과 동시에 세계에게서
보여지고 싶지 않은 욕망의 혼종 상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단의 논리는 스
스로 파괴되는데, 이는 마지막 행인 “비로소 나는 완전히 비겁해지기에 성공
한 셈이다”를 통하여 나타난다. 즉 시적 주체는 팔을 자르거나 글자를 가둠으
로써-나태로써 획득된 “안심”이 지니는 한계를 인지하고 있다는 것이다.195)

193) 신형철은 이러한 노동(사회적 재생산)에 대한 거부 의지를 가족적 거부-생식에 대한 거부 혹은 가


족 만들기에 대한 거부로 확장시킨다. 신형철, 앞의 책, 292쪽.
194) “나의 글자들을 가둬버”림으로써 “의무”에서 거의 벗어나고 “고통”을 “완전히” 없애는 <회한의 장>
의 시적 주체의 모습은 2장에 제시된 ‘쓰는 주체’로서의 이상과 연결된다. <날개>와 <첫 번째 방랑>,
<공포의 기록> 등에서 글자와 팔, 날개의 은유 연상망은 쓰기-언어의 은유 체계와 연결되는데, 이는
상징계의 대표적인 예시인 언어를 통하여 억압에서 벗어나려는 시적 주체의 저항을 나타낸다.
195) 이어령은 <회한의 장>에서 ‘일상적의 생의 거부’와 ‘부정을 통한 자유의 획득’에 주목하고 시적 주
체가 이것이 결국 자기기만임을 알고 있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신범순은 <회한의 장>을 <날개>의 주
제를 변주한 시로 전제하며 이어령의 견해를 반박한다. 그는 이상의 텍스트를 ‘영도의 인간’을 향하는
기호들의 흐름 속에 있는 것으로 보며, 사회 속에서 작동하는 권력적인 기호들을 끌어내리고 자신 혹
은 한 존재를 규정하는 근대 사회의 기표들로부터 탈주한다고 본다. 또한 <회한의 장>의 마지막 행
“비로소 나는 완전히 비겁해지기에 성공한 셈이다”를 이중적 의미로 해석함으로써 세상에 대한 조소
와 시적 주체의 은밀한 자부심, 새로운 삶에 대한 총체적 설계와 꿈이 아로새겨져 있다고 해석한다.
(신범순, 『이상 문학 연구: 불과 홍수의 달』, 지식과교양, 2013, 143-144쪽 참고.) 상징계적 억압,
억압적 세계인 근대 사회의 기표들로부터의 탈주 욕망이라는 신범순의 의견은 타당하나, 마지막 행이
시적 주체의 자부심 및 새로운 삶에 대한 설계와 꿈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팔”
과 “글자”를 소거함으로써 ‘쓰는 주체’임을 포기하고 “안심”을 획득하는 시적 주체의 모습은 “숫자를
숫자인것으로하는”, 즉 1과 0으로 이루어진 이분법적 로고스를 바탕으로 한 반로고스적 탈주의 결과
이며, 이러한 저항의 모습은 <지주회시> 및 <날개>의 초반에 나타나는 주체의 모습과 동일하다. <회
한의 장>의 시적 주체는 이러한 반로고스적 저항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자기기만이라 인지하며, 그

- 123 -
이처럼 발화 주체가 자신의 발화를 스스로 뒤집음으로써 앞선 발화의 진실 여
부를 의심케 하는 것, 반로고스적 탈주로 인한 삶196)에의 부정성을 시사하는
것은 <날개>의 주체가 자신의 삶에 대하여 보이는 강박적인 긍정이나 앞뒤가
맞지 않는 서술과 유사하다.197) 그러나 시적 주체가 시도한 방편, 즉 억압적
세계를 억압적 세계의 방식으로 거부하는 반로고스적 탈주의 한계는 제시되지
만 그 이후의 대안은 제시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는 <날개>에서 극복된다. 반로고스적 탈주의 진행은 미
쓰꼬시 백화점 옥상에서의 깨달음을 통하여 전환점을 맞으며, 탈로고스적 탈
주로 변화한다. 즉 <회한의 장>의 자기패러디 텍스트인 <날개>에서는 퇴행적
이고 자폐적인 반로고스적 탈주에 의한 치유, “숫자를숫자인것으로하”는 치유
에서 “시적인 정서”를 택하는 치유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았을 때 나려떨어지는 아내의 모가지 이후에 떠오르는
“아스피린과아달린.”은 깨달음 이후 “나”의 방향-치유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
정표 역할을 한다. “나”는 아내와 자신이 서로 오해하고 있음을 아내의 경우
와 나의 경우를 들어 스스로 납득한다. 그러나 다음 문장에서 이러한 이해는
곧 무너진다. “우리부부는 숙명적으로 발이맞지않는 절늠발이인 것이다. 내나
안해나 제거동에로짘을부칠필요는없다. 변해할필요도없다.”라는 것은 아스피린
과 아달린의 옳고 그름이라는 이분법적 판단 또한 무화함을 뜻한다. 부부가

의 한계적 저항은 <지주회시>의 출구 없는 반복이라는 한계로 나타난다. 즉 <회한의 장>의 시적 주체


는 상징계적 기표들을 단순히 거부하는 퇴행적 저항에 머무르고 있으며, 시적 주체는 그 저항의 한계
를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한계는 <회한의 장>의 자기패러디 텍스트인 <날개>에서 갑작스
러운 깨달음을 통해 탈로고스적 탈주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며, 이는 이상 문학이 지니는 치유의
지점을 나타낸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96) 삶에 대한 회한이라는 의미는 <역단> 행로와 연관 지어 해석할 수 있다. “답답하게걸어가는길이내
스토오리요기침해서찍는句讀을심심한空氣가주믈러서삭여버린다. 나는한章이나걸어서鐵路를건너질를적
에그때누가내經路를듸듸는이가있다.(……)” 2장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삶을 “스토오리”로 은유하고 거
리의 단위를 장丈이 아니라 장章으로 명시함은 언어유희뿐만 아니라 ‘쓰는 주체’로서의 은유 연상망을
환기한다. 즉 <회한悔恨의 장章>은 제목에서부터 자신의 삶을 시사하며, 이는 시 내부에서 글자를 소
거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나는 퇴행적인 삶에 대한 시적 주체의 한계에의 자각을 더욱 명징하게 제시
한다. 그러나 장章은 어디까지나 글의 한 부분이라는 의미를 생각한다면 시에 나타나는 반로고스적 저
항이 전체의 삶을 가리킨다기보다는 삶의 한 부분을 가리키며, 극복될 여지를 지니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회한의 장>에 나타나는 반로고스적 저항의 한계는 자기패러디 텍스트인 <날개>에서
극복된다.
197) <날개>의 주체는 퇴행적인 삶에 대하여 과도할 정도로 긍정하거나 과다한 인식의 서술, 의도적인
판단 기피를 의심케 하는 의식의 발화를 통하여 그 자신이 주장하는 퇴행적인 삶으로 인한 행복의 진
정성 유무에 대하여 의심케 한다.

- 124 -
맞지 않는다는 것을 그저 받아들일 뿐이라는 것이다. 서로의 행동에 논리를
붙여 설득하지 않아도 되고 변화할 필요도 없다. 규격화된 틀을 만들고 그것
에 맞추는 것이야말로 이분법적 로고스의 질서이기 때문이다. 사실은 사실대
로 오해는 오해대로, 즉 모자라거나 맞지 않는 존재는 그 존재대로 “그저 끝
없이 발을 절뚝거리면서 세상을 거러가면 되는것이다.”는 “나”의 방향이 제시
된다.
절름발이는 근대 사회에서 배제되었던 인간상 중 하나이다. 그러나 “나”는
“나”와 아내를 절름발이로 은유하고 또한 이 ‘맞지 않는 다리’를 변해하지 않
고 있는 그대로 긍정한다. 고치지 않아도 되는 절름발이의 은유는 존재 자체
로 이분법적 로고스의 세계에 균열을 가하며198), “나”가 거대한 로고스에서
도피하기 위하여 작은 로고스로 상정한 아내 또한 이 “세상”을 걸어가는 존재
이자 고통받는 세계 내 존재임을 확인케 한다. 이는 <지주회시>의 “그”가 겪
는 고통이 “그” 개인에게만 나타나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절름발이를 ‘고쳐야 할 것’으로 보지 않는 패러독스는 이후에 나타나는
‘쓰는 주체’로서의 “나”의 쓰기의 방향과도 일치한다. 이상에게 있어 치유의
방편이란 쓰기이며, 치유의 방향이란 아이러니와 패러독스로 나타나기 때문이
다.
이처럼 새로운 패러독스의 질서를 생성함으로써 로고스적 질서에 균열을 가
하는 절름발이의 은유에 대하여 조금 더 짚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부부와
절름발이의 은유는 시 <지비>에서 나타난다.

내키는커서다리는길고왼다리압흐고안해키는적어서다리는짧고바른다르
가압흐니내바른다리와안해왼다니와성한다리끼리한사람처럼걸어가면아아
이‘’는부축할수업는절름바리가되어버린다無事한世上이病院이고꼭治g

198) 이는 이상이 지니는 세계에 대한 저항적 정신과도 연결된다. “작가로서의 주체가 그 실천 행위에
좀 더 적극성을 띠게 되면 대응하거나 지향하는 바가 좀 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측면으로 발전한다.
그 대응 중 하나가 ‘가치 정립’이다. 하나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전복적 시각을 작인(作因)으로 하여 대
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다른 방향으로 전환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다른 이데올로기를
내세우는 것과 달리, 하나의 사회에서 주도적으로 부정하는 가치에 대한 옹호가 그것이다. 저항이 되
는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는 반대의 것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현재 사회의 주도적인 이데올로기가 부정
하는 대상에 대해 긍정함으로써 시대의 균열을 부각시키는 것이다.”(정우진, 「환유의 의도와 효과: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한국시학연구 43, 2015. 8., 116쪽.) 이상은 근대 사회에
서 배제된 존재인 절름발이를 전경화하고 나아가 이를 긍정함으로써 로고스적 이분법의 세계에 균열
을 가한다.

- 125 -
를기다리는無病이끗끗내잇다

<紙碑> 전문199)
(1935. 9. 15.)

“나”는 왼다리가 아픈 존재이며, “안해”는 바른다리가 아픈 존재이다. 그러


나 이 두 사람에게 “성한다리끼리”, “한사람처럼걸어가”라고 한다면200) 두 사
람은 “부축할수업는절름바리”가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201) 성하지 않은 것을
배제하는 이분법적 로고스는 절름발이에게 절뚝거릴 자유를 빼앗는다. 시적
주체는 이러한 세상을 진단하는데, 먼저 “無事한세상이病院”이라는 것은 이분
법적 로고스 안에서 “성한다리끼리” 걷는 것은 “無事”한 일이자 “부축할수업
는절름바리”가 되어 버리는 모습을 나타낸다. 성한 다리끼리 걷지만 길이가
맞지 않기에 부축조차 할 수 없는 절름발이에게는 병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꼭治g를기다리는無病이끗끗내잇다”는 것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짝이 맞지 않는 절름발이는 치료가 필요하지만 이분법적 세계에서 성한
다리의 결합은 “無病”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축할 수 없는 절름발이를 만들어 “無病”하고 “無事”하다고 생각
하는 “世上”은 “病院”일 수밖에 없다. 덧붙여 “나”의 왼다리가 아프고 “안해”
의 오른다리가 아프다는 것은 “나”의 또 다른 거울상이자 세계 내 존재로서
고통받는 “안해”를 나타내며, “나”의 아픈 왼다리는 소설 <12월 12일>(1930.
2.~12.)의 백부의 분신인 X가 지니는 속성202)이다. 그러므로 절름발이의 은

199)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1: 시』, 99쪽.


200) 이는 부부는 일심동체라는 전통적 관념으로도 볼 수 있다. 김승희, 앞의 책, 388쪽 참고.
201) 김승희는 이를 상징계와 기호계의 이질혼성적 모순으로 인한 필연적 분열로 본다. “‘나-큰키-왼다
리 아픔’ ‘안해-작은키-바른다리 아픔’이라는, 마치 거울에 비친 영상테인 듯이 전도된 외형을 가진 두
사람이 ‘한사람’처럼 걸어가려고 하는 것, 상징계와 기호계의 이질혼성적 모순성처럼 그 안에 분열을
간직할 수밖에 없다. 부부일심동체란 전통적 의식의 개념이고, 그 안에서 두 자아가 동일적이고 통합
체일 것을 가정하는 것인데, ‘나-거울 속의 나’에게도 분열과 자기소외가 있듯이 그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말하는 주체는 ‘무사한세상이병원이고꼭치료를기다리는無病이끝끝내있다’라는 역설로써 주체의
분열을 말한다. 역설 자체가 ‘상반되는 요소들의 결합’이라는 이질혼성적 모순성을 가진 기호계적 배치
이다. 그리고 큰키/작은키, 왼다리/오른다리, 길고/짧고 등의 대립적 요소들의 반복은 리듬적 구조를
지닌 기호계적 배치이다.” 김승희, 「이상 시 연구-말하는 주체와 기호성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207쪽.
202) “그는이러한진단을그의압흔다리에다내려도보앗다 그래바지아래를거더올니고압흔다리를내려보앗다
바른편다리와는엄청나게훌륭하게 ㅅ벼만남은ㅅ게만은외인편다리는바닥에서소사올나오는「풍토다른」

- 126 -
유는 근대라는 억압적 세계 안에 존재하는 이들의 공통적인 고통을 나타내는
은유203)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이 고통의 은유가 <날개>에서 “변해할필요”
가 없는 것으로 명명되는 것은 로고스적 질서에서 벗어나는 것이자 로고스적
질서에서 배제된 존재들의 귀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주회시>의 “그”와 <날개>의 “나”는 로고스적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를 취하고 세계에서 스스로를 격리한다. 그러나 그것
은 어디까지나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는것”, 즉 그들이 피하고자 하는 세계의
방식을 답습하고 반복함으로써 한계를 지니는 방편이다. “나”는 “그”보다 더
욱 견고한 페르소나를 통하여 퇴행에 가까운 해방을 추구하지만 이는 세계의
로고스를 피하기 위하여 아내의 로고스로 도피하는 것에 그친다. 로고스를 피
하여 다른 로고스로 들어감은 <날개>의 첫 부분에 나타나는 에피그램, 굳어버
린 천재를 되살리는 방편이라 할 수 없다. 경직된 로고스의 질서는 역동성을
지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방편은 “그”처럼 같은 억압적 세계에서
고통받는 “안해”의 고통을 포섭하지 못하는 진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미쓰꼬시 옥상에서 갑작스러운 깨달음을 통하여 아내의 로고스에서 벗
어나야 함을 깨닫고 아스피린과 아달린의 이분법적 판단을 그만둔다. “나”는
아내와 나라는 존재가 지니는 관계적, 존재적 결함을 변해하거나 변명하려 하
지 않고 그저 그대로 받아들인다. 이러한 탈로고스로의 이행은 고통스러운 모
순을 받아들임으로써 나타나는 치유의 양상이다. “변해할필요” 없는 절름발이
의 은유야말로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함으로써 상정한 원인을 소거하는 근대적
치유의 방식이 아닌, 결핵균을 “가브리엘천사균”으로 은유함으로써 치유를 꾀
하는 “詩的인情緖”를 지닌 “의사”로서의 이상의 치유의 방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그의 치유가 자기폐쇄적인 것이 아니라 타인 또한 포함하는 것이라

치위ㅅ대문인지 죽은사람의그것과갓치푸르럿다”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3: 장편소설』,


178쪽. 이처럼 “절름발이”의 은유는 1930년 장편소설 <12월 12일>에서부터 등장하며, 1935년 시
<지비>에서 1936년 단편소설 <날개>에 이르기까지 불구와 절망의 은유에서 이분법적 세계를 극복하
는 은유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203) 고통의 은유이자 시적 주체의 은유로 나타나는 ‘절름발이’는 이상의 미발표 일문 시에도 등장한다.
“목발의길이도歲月과더불어漸漸길어져갔다./신어보지도못한채山積해가는외짝구두의數爻를보면슬프게걸
어온距離가짐작되었다./終始제自身은地上의樹木의다음가는것이라고생각하였다” 임종국에 의해 1956년
『이상전집』에 소개된 이 작품은 제목부터 <척각隻脚>, 외다리를 뜻한다. 권영민은 이를 <12월 12
일>에 나타나는 이미지와 동일하다고 본다.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1: 시』, 363쪽.) 이
상의

- 127 -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은유의 변화를 메타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탈주 반로고스적 탈주 탈로고스적 탈주
은유 <鼅鼄會豕> <悔恨의 章> <날개>
가장 게으른 동물처럼 게으
르고픔
자신 self 나는 거미다 나는 얼금뱅이다
→인공의 날개가 돋았던 자
족이 가려움
타자(개인) 한 여성조차 나를 내가 복종하는 자
거미 같은 아내
other(one) 돌아보지 않음 →나와 같은 절름발이
타자들(그룹) 양돼지같은 마유미와 내가 무서워하는
모두가 서먹서먹함
other(group) 전무, 카페 주인 지배
모든 것이 견딜 수
없이 답답하고 숨
더욱 무거운 짐인
이 막힘
삶 life 세상에 대한 사표 회탁의 거리
눈을 가린 마차 말
쓰기
의 동강난 시야처
럼 하루치만 삶
아내가 준 방을 위하여 태
자신의 자아 완전히 비겁해지
아내를 빨아 먹는 거미 어난 듯함
self-self 기에 성공한 셈
→다시 한 번 날아보려 함
발이 맞지 않는 절름발이지
내가 보지 않고 나
자신의 타자 밟아 죽이고픈 거미 만 그저 함께 세상을 걸어
또한 보이지 않으리
self-other 마주 야윔 가면 되는 것
라는 아무(모든)것
“변해할필요없는” 절름발이
자신의 삶 희망과 야심의 말소된 페이
거미투성이인 삶 회한의 장
self-life 지가 사전 넘어가듯 번뜩임

<지주회시>와 <회한의 장>, <날개>의 화자들은 공통적으로 무지의 페르소


나를 취한다. 이는 부정적 초월이자 한계를 지니는 로고스적 세계에 대한 탈
주이다. 이러한 페르소나는 <지주회시>보다 <회한의 장>과 <날개>에서 더욱
극단적으로 나타나는데, <지주회시>에 나타나는 친구와 카페 여급 등과 같은
타자의 존재와 달리 <회한의 장>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타자는 “한 여성”

- 128 -
뿐이며, <날개>에서 “나”와 관계를 맺는 타자는 “아내”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주회시>와 <회한의 장>에서와 달리 <날개>에서 타자인 “안해”
는 결국 “나”를 야위게 하거나 혹은 외면하거나 억압하는 타자가 아닌 “나”와
같은 고통의 은유-절름발이-를 지니는 존재로 나타난다. 또한 <날개>의 “나”
가 ‘다시 쓰는 주체’로서, 아내가 제공한 “방”이라는 공간에서 미쓰꼬시 “옥
상”으로의 공간 변화와 깨달음을 통하여 비상을 욕망하는 것과 달리 <지주회
시>의 “그”는 자신에 대한 분노를 아내를 향한 거미 은유로 표출함으로써 영
원히 “계단에서 구르는” 것을 욕망한다. 또한 <회한의 장>의 “나”는 양팔을
자르고 직무를 회피함으로써 “완전히 비겁해지”는 길을 택하는데, 이러한 반
로고스적 도주는 “數字를數字인것으로하는” 로고스적 방식에 묶이게 된다는
자가당착에 빠지게 된다. 이는 곧 반로고스적 탈주의 한계를 제시하는데, 이는
<지주회시>에서의 영원히 계단에서 구르는 아내의 모습과 <회한의 장>의 마
지막 행과 제목을 통하여 형상화된다.
그러나 이와 달리 <날개>의 “나”는 대大로고스라는 세상에서 벗어나기 위
하여 택한 소小로고스인 아내에게서 벗어남으로써 탈로고스적 탈주를 시도한
다. 바로 근대 사회에서 ‘변해해야만 하는’ 절름발이를 “변해할필요”가 없는
절름발이로 은유하고, 아내 또한 이분법적 세계 안에서의 고통받는 존재라는
것을 인정하며 “로직”을 붙이지 않는 존재로 형상화하는 것이다. 절름발이가
배제된 존재의 은유에서 경직된 세계의 균열을 이끄는 존재로 변화하는 은유
의 양상은 기계적 로고스에서 벗어나 패러독스를 받아들임으로써 이루어지는
치유의 양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129 -
Ⅴ. 결론

이상 문학의 특징 중 하나는 특정한 은유가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반복적으


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텍스트에 나타나는 은유, 즉 개인의 은유는 그 자신의
무의식과 실재를 반영하며 이러한 은유의 반복은 주체가 지닌 욕망의 흔적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겹침으로써 구체화되는 은유 연
상망은 작가의 무의식적인 의미를 추출할 수 있는 기제로 작동한다.
이상 문학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은유는 이분법적 로고스의 은
유이다. 이는 시적 주체로 하여금 공포와 좌절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으로 나타
난다. 이러한 이유로 이전까지의 이상 문학에 대한 논의는 부정적 은유의 반
복과 이상의 비극적 일생에 집중하여 우울과 실패로 귀결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러한 억압적 은유에 저항하는 시적 주체의 은유가 존재
하며, 이러한 은유가 반복되고 변화함으로써 시적 주체의 개인적 실재의 변화
를 통한 치유의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고의 Ⅱ장에서는 ‘쓰는 주체’로서의 ‘이상’과 쓰기를 통한 자기치유의 가능
성을 제시한다. 쓰기 은유는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관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는 은유이며, 이는 이상의 첫 번째 텍스트인 <12월 12일>에서 제시된다. 의
인화된 자살로 나타나는 “나”의 죽음 충동의 원인은 “무서운 생활”로 인한 공
포인데, 이 공포는 억압적 세계 내 존재가 지니는 숙명적 공포, 온전한 주체성
의 상실이라는 공포이다. 불안과 공포의 세계 안에 존재하는 “나”에게 있어서
자살은 ‘타살적 자살’이 될 수밖에 없기에 “나”는 “죽을 수 없는 실망”을 느낀
다. 그러나 “나”의 좌절과 공포는 “최후의 칼”로 은유되는 “펜”의 등장으로
전환점을 맞는다. “펜은 나의 최후의 칼이다.”는 “펜”과 “기록”으로 나타나는
쓰기 은유를 바탕으로 한 “나”의 저항적 관점을 시사하며 이는 이상 문학을
통괄하는 에피그램이다.
이와 더불어 <병상이후>에서는 병으로 인하여 앓는 “그”의 병상 체험이 주
가 된다. 이 텍스트에서 글쓰기는 근대 의학의 힘을 무력화하고 “그”는 쓰기
를 통하여 자기치유를 이룩한다. 이는 ‘환자’로서의 주체가 쓰기를 통하여 ‘의
사’로 변화함을 뜻한다. <병상이후>는 <12월 12일>과 마찬가지로 “의주통공
사장”이 나타나는 텍스트인데, “의주통공사장”은 운명적으로 부여받은 이름인

- 130 -
“김해경”에서 “이상”이라는 자신의 이름을 내보이기 위하여 <12월 12일>과
<병상이후>의 산실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이상의 초기 텍스트인 <12월 12일>과 <병상이후>에서는 ‘쓰기’가 지니
는 자기치유의 기능을 언급하며, ‘쓰기’를 통한 치유는 곧 억압적 세계에 대한
저항적 치유이자 양자택일적 로고스에 균열을 가함으로써 근대적 질서를 무력
화하는 방향성을 지닌다. 이는 이상 문학을 통괄하는 은유 치유의 지점 및 방
향성을 제시한다.
이처럼 이상 문학에 있어서 유일한 저항이자 자기치유의 수단인 ‘쓰기’는 백
지, 연필, 잉크라는 은유적 이미지의 반복을 통하여 ‘쓰기 은유’의 연상망을
형성한다. 백지는 <조감도> LE URINE와 <거리>-여인이출분한경우-를 통하
여 시적 주체의 육체 및 내면과 연관된 시적 대상으로 작동하며, <오감도> 시
제15호와 <역단> 역단을 통하여 시적 주체의 삶의 은유로 구체화된다. 그러
나 삶은 기정旣定되거나 초草를 잡히거나 더럽혀진 백지로 나타나는데, 이것
이 바로 시적 주체가 지니는 콤플렉스이다. 그러나 자신의 의지로 그리지 못
하는 삶에 대한 콤플렉스는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기정하는 억압
의 은유인 연필과 반대되는 존재인 시적 주체의 은유, 잉크를 등장시킴으로써
변화하고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각혈의 아침>과 <오감도> 시제15호,
<역단> 행로에서 나타나는 주체의 은유인 잉크는 이전의 백지-연필이라는 은
유적 구조를 백지-연필-잉크로 변화시킴으로써 ‘쓰여진’ 객체에서 ‘다시 쓰는’
주체로의 변화를 이끈다. 이처럼 억압의 은유와 극복의 은유가 쓰기 은유 체
계 안에서 공존함은 이상의 역설적인 극복의 방향을 시사한다.
‘다시 쓰는’ 주체로서의 이상의 모습은 자기패러디 텍스트에서 가장 잘 드러
나는데, <건축무한육면각체>-어떤ESQUISSE-에서 <날개>로의 은유 변화 과
정이 한 예가 될 것이다. 가장 두드러지는 은유인 “날개”는 <첫 번째 방랑>과
<공포의 기록>,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팔과 날개의 은유를 통하여 “나”
의 “팔”이자 “손가락”의 은유, 즉 ‘쓰기’의 은유 체계에 속한 것임이 드러난
다. “나”는 “다시 돋”은 “날개”로 나타나는 쓰기 의지의 부활을 통하여 ‘근대
의 정오’를 극복하려 한다. 이처럼 쓰기-다시 쓰기를 통하여 세계와의 불화를
극복하려는 모습은 이상 문학에 나타나는 패러독스와 아이러니의 치유적 의의
를 시사한다.
본고의 Ⅲ장에서는 이상 텍스트 안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결핵이 지니는

- 131 -
세 가지 불화를 밝히고 불화의 은유인 결핵을 치유하기 위한 기독교적 은유를
추적함으로써 나타나는 은유 치유의 양상을 규명한다. 먼저 결핵은 숙명적 질
병으로, 이러한 병을 지니게 된 ‘운명’에 대한 불화를 유발한다. 또한 결핵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세계(근대)’와의 불화를, 병든 몸과 정신 사이의 불화를
유발한다. 이러한 결핵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텍스트는 <각혈의 아침>인데, 이
시에서 시적 주체는 병의 원인을 “어릴 적 사진”으로 은유되는 유년 시절로
상정한다. 이상의 유년 시절과 연관지을 때 병의 원인인 유년 시절은 가부장
적 질서로 인한 강제적 삶 및 근대적 질서를 체화하는 시기로 보아야 할 것이
다. 즉 이상의 불화이자 병과 고통의 원인은 억압과 강제성을 함의하는 대타
자적 로고스 그 자체임이 나타나는 것이다.
자가진단 이후 나타나는 치유의 방편은 기독교적 은유를 통하여 제시된다.
결핵균은 “가브리엘천사균”으로 은유됨으로써 죽음의 이미지를 걷어내고 시적
주체를 “그리스도”로 만든다. 이는 “성베드로”로 은유되는 근대 의사를 무력
화하며 병을 대상화하고 소거하려는 서구적 의료의 신학적 기본 틀에서 벗어
나는 탈로고스적 치유의 방편이다. <각혈의 아침>의 자기패러디 텍스트인
<내과>에서는 성부의 로고스에서 벗어나는 파토스적 “그리스도”를 제시함으
로써 은유의 변화를 시사한다. 이는 “날이날마다 발돋움”을 하는 십자가로 나
타나는 성부의 로고스가 “내가점점키가커”지는 것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통하
여서도 나타난다.
파토스적 주체인 이상의 “그리스도”는 정신분석학적으로는 주이상스의 주체
이다. 주이상스적 주체는 상징계 너머를 욕망하기에 상징계에 속한 “성베드
로”인 의사는 주이상스적 주체인 “나”의 병증 아닌 병증을 이해하지 못하고
무력한 모습을 보인다. 결핵균을 “가브리엘천사균”으로 은유함으로써 병을 병
이 아닌 것으로 변화하는 “그리스도”인 “나”는 기독교 담론에 있어서 사도인
“성베드로”보다 높은 존재이다. 이처럼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기독교의 로
고스를 공격하는 아이러닉한 은유는 탈로고스적 치유의 방편을 제시한다.
<각혈의 아침>과 내적 상호텍스트성을 지니는 텍스트들은 <내과>와 마찬가
지로 탈로고스적 주체의 욕망을 드러낸다. <골편에관한무제> <각혈의 아침>
에 나타나는 “하느님”의 “뺑끼칠”에 대하여 인간의 장난을 “하느님”에게 제시
한다. “하느님”의 로고스를 바탕으로 하는 근대 의료 기술인 엑스레이를 신봉
하는 우스운 주장을 펼침으로써 궁극적으로 “하느님”의 존엄과 권위를 떨어뜨

- 132 -
리는 것이다. <골편에관한무제>에 제시되는 희극적 농담과 더불어 <가구의추
위> 또한 “하느님”의 “뺑끼칠”을 간파함으로써 이에 저항하는 모습을 보인다.
기독교 담론을 바탕으로 한 은유 구조는 한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것
은 두 아버지를 지닌 그리스도 예수와 자신을 “그리스도”로 은유한 이상과의
연관점이다. 신으로서의 아버지와 인간으로서의 아버지를 지녔던 예수와 마찬
가지로 이상 또한 자신을 낳아준 친부와 자신을 기른 백부라는 두 아버지를
지녔다. 이러한 점은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혈육에 대한 양가감정을 설명하
고 혈육에 대한 텍스트를 중층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편으로 작동한다.
<슬푼이야기>-어느두주일동안-에서는 전근대적 질서를 지닌 가난한 친부와
근대적 질서를 체화한 화자가 대비되어 나타난다. 즉 친부와 백부에 대한 시
선은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역단> 가정에서는 가난한 삶과 가부장적 질서로
인하여 “도장”으로 “전당”잡히는 어린 시적 주체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은유는 <위독> 문벌에서 백부의 은유인 “백골”이 “혈청의원가상환”을 “강청”
하고 있으며, “나”는 이러한 “결산의함수”를 벗어버리려 하나 이를 “내몸에진
인내도장처럼쉽사리껄러버릴수가참업다”고 서술한다. 이는 이미 근대적 질서
를 체화한 시적 주체가 지니는 한계를 시사한다. 로고스적 억압자인 백부에
대한 시선은 <오감도> 시제2호에서 “아버지노릇”에 대한 시적 주체의 불만과
겹친다. 이 시는 성경의 누가복음을 패러디한 것으로, 이를 통하여 유교 가부
장제의 상징인 백부와 “하나님 아버지”로 불리는 성부 “하나님”을 향한 이중
적인 저항 의지를 표명한다. 이처럼 동양 이데올로기와 서양 이데올로기가 혼
재하면서 공통적인 저항의 대상으로 나타나는 것은 <위독> 육친에서도 나타
나는데, 자신의 “종생과운명까지도” 떠맡기려는 “크리스트에혹사한사나이”,
“육중한크리스트의별신”은 기독교의 삼위일체설에 의하여 성부이자 “하느님”
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독> 육친은 “내신선한도망이그끈적끈적한청각을벗어
버릴수가업다”로 끝나는데, 이는 “내몸에진인내도장”과 같이 근대의 세례를
받은 존재가 근본적으로는 자신을 이루는 일부인 로고스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는 점을 함의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러한 한계를 자각하면서도
시적 주체는 <역단> 가정, <위독> 문벌, <오감도> 시제2호, <위독> 육친에
이르면서 자신을 진단하지 못하는 환자로서의 자아에서 자신을 진단하고 원인
및 치유의 방향을 구축하는 의사로서의 자아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
이다.

- 133 -
본고의 Ⅳ장에서는 앞서 제시된 시적 주체의 저항적 은유 치유가 자신뿐만
이 아닌 타자에게까지 확장되는 양상을 살피며, 이는 “숫자를숫자인것으로하
는” 반로고스적 방편이 아닌 탈로고스적 방편인 “시적인정서”를 택하는 “책임
의사 이상”이 형성되는 양상을 밝힌다. <12월 12일>의 서문에서부터 반복적
으로 나타나는 시적 주체에의 억압은 이분법적 로고스의 억압 그 자체이다.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 자체를 고통의 원인으로 상정하였기에 숙명적인 시적
주체의 고통은, 바로 그 이유로 인하여 고통의 대상을 억압적 세계 내 존재들
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치유를 이끄는 자아, 의사로서의 자아에 대한 관점은 <BOITEUX․
BOITEUSE>에서 나타나는데, “메쓰를갖지아니하”는 의사에 대한 의문이 제
시된다. 근대 의학의 제유이자 외과 시술에 사용되는 “메쓰”는 병의 원인을
지목하고 소거함으로써 치유를 꾀하는, 다분히 로고스적인 치유 방편이다. 그
러나 <각혈의 아침>에 나타나는 시적 주체는 결핵균을 소거하는 것이 아니라
“가브리엘천사균”으로 은유함으로써 죽음의 은유에서 벗어난다. 이것이 바로
“메쓰를갖지아니”한 의사의 모습이자 <BOITEUX․BOITEUSE>의 답이다.
이처럼 이상 텍스트에 나타나는 “의사”는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0:1과
<오감도> 시제4호라는 자기패러디를 통하여 “메쓰를갖지아니”한 “의사”로서
의 정체성을 구체화한다. “1234567890”으로 이루어진 수열의 반복은 <건축
무한육면각체> 선에관한각서 6에서 “질환”으로 나타나며 로고스중심주의적인
세계관으로서의 상징계를 의미한다. “숫자를숫자인것으로하는것”은 수열로 나
타나는 질병을 구명하나 대신 “시적인정서”는 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0:1과 <오감도> 시제4호에서는 숫자가 아닌 ‘점’을
기입함으로써 수열을 파괴하지 않는 동시에 끊임없이 움직이며 로고스적 세계
를 교란한다. 구조에 속함을 인정하지만 그 구조에 포섭되지 않고 구조의 내
부에서, 그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구조를 공격하는 방식은 이상의 아이러니한
쓰기 방식과 같은 궤를 지닌다. <건축무한육면각체> 진단0:1은 <오감도> 시
제4호로 패러디되면서 보다 힘을 잃는 로고스적 세계와 더불어 “어떤환자의
용태에관한문제”에서 “환자의용태에관한문제”로, 즉 “진단”의 대상이 로고스
중심주의 아래에서 고통받는 세계 내 존재, 타자에게까지 넓어짐을 시사한다.
진단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타자란 주체와 같은 고통을 지닌 존재이며, 이는
이상 텍스트 내에서 “나”의 사랑의 대상인 “안해”로 나타난다. “안해”는 “나”

- 134 -
와 동일한 고통의 은유를 공유하는데, 이는 <오감도> 시제9호 총구와 <지
비>-어디갓는지모르는안해-에 나타나는 “탄환”을 몸에 지닌 존재로서의 고통
의 은유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실낙원>에 나타나는 “소녀”인 “안해”는 쓰
기 은유의 연상망에서 나타나는 은유를 공통적으로 지닌다. 또한 “안해”는
<거울>과 <명경>을 통하여 “나”의 또다른 거울상으로 나타난다. 즉 “안해”는
“나”와 다른 타자이지만 고통의 은유 안에서는 이를 공유하는 존재이자 “진
단”의 대상으로 포섭되는 동시에 “나”의 또다른 거울상이라는 점에 있어서
“나”의 공포의 대상이라는 패러독스적 존재로 나타난다.
“책임의사 이상”으로 나타나는 시적 주체가 취하는 저항의 방식은 “시적인
정서”를 바탕으로 한 숫자의 질환의 구명이다. 이는 반로고스가 아닌 탈로고
스의 방식을 통하여 질병에서 벗어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러한 관점은 크게
는 <지주회시>와 <날개>를 통하여 형성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두 텍스트의
주인공이자 화자는 나태와 무지의 페르소나를 지닌다는 점, 즉 반로고스적 방
식을 통하여 로고스적 억압에서 벗어나려 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지주회시>의 “그”는 “안해”를 계단에서 영원히 굴릴 수밖에 없는 데에 반하
여 <날개>의 “나”는 미쓰꼬시 옥상에서의 깨달음을 통하여 반로고스적 저항
의 방식에서 벗어나 탈로고스적 저항의 방식으로 선회한다. <날개>의 주체의
변화를 두드러지게 드러내는 것은 <날개>의 원텍스트인 <회한의 장>인데, ‘쓰
는 주체’로서의 자아와 더불어 퇴행을 통하여 로고스의 억압과 고통에서 벗어
나기를 꾀하는 것, 즉 반로고스적 탈주의 한계를 인지하고 있다.
<날개>에서 주요한 은유는 “절름발이”의 은유이다. 이분법적 이성중심주의
에서 배제되었던 “절름발이”는 <날개>에 이르러 “안해”와 “나”의 공통된 은
유이자 “안해” 또한 세계 내의 고통받는 존재로 포섭하는 은유로 작동한다.
더 나아가 “변해할필요도없”는 “절름발이”는 존재 자체로 이분법적 로고스의
세계에 균열을 가한다. 뿐만 아니라 <지비>에 나타나는 절름발이인 “나”와
“안해”의 은유는 “무병”하고 “무사”하다는 “세상”이 “병원”임을 지적하며,
“나”의 아픈 “왼다리”는 <12월 12일>에 나타나는 백부의 분신인 X가 지닌
속성이라는 사실은 절름발이의 은유가 근대라는 억압적 세계 안에 존재하는
이들의 공통적인 고통을 나타내는 은유라는 사실을 지적한다. 이 고통의 은유
가 <날개>에서 “변해할필요”가 없는 것으로 명명됨은 로고스적 질서에서 벗
어나는 것이자 로고스적 질서에서 배제된 존재들의 귀환이라고 할 수 있을 것

- 135 -
이다.
이상 문학은 1920년대의 퇴폐적이고 현실도피적인 낭만주의와는 다른 결을
지닌다. 그는 죽음을 통하여 해방될 수 있다는 허구를 믿지 않았다. 그는 오히
려 자신을 억압하는 세계와 언어를 수납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 한계와 숙명을
받아들임으로써 정갈한 초草 위를 덮는 ‘잉크-펜’으로, 파토스적 ‘그리스도’로,
이분법적 세계에 균열을 가하는 ‘절름발이’로 존재하려 하였다. 그러므로 이상
문학은 해체적이고 초현실적이되 비현실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어떠한 텍스트
보다 현실 가까이에 존재한다. 끊임없는 은유의 노정을 통하여 이분법적 로고
스의 세계에 저항하고 스스로를 진단하며 치유하려는 “시적인정서”를 지닌
“책임의사”로서의 이상 문학이 지닌 치유 양상에 주목하였다는 것이 이 연구의
의의가 될 것이다.

- 136 -
【 참고문헌 】

1. 기본 자료

이상 저, 김윤식 엮음, 『소설 원본․주석 이상문학전집2』, 문학사상사,


1994.
이상 저, 김주현 주해, 『정본 이상문학전집 1: 시』, 소명출판사, 2005.
____________________, 『정본 이상문학전집 2: 소설』, 소명출판사, 2005.
____________________, 『정본 이상문학전집 3: 수필․기타』, 소명출판사,
2005.
이상 저, 권영민 엮음, 『이상 전집 1: 시』, 뿔, 2009.
____________________, 『이상 전집 2: 단편소설』, 뿔, 2009.
____________________, 『이상 전집 3: 장편소설』, 뿔, 2009.
____________________, 『이상 전집 4: 수필 외』, 뿔, 2009.
이상 저, 이승훈 편, 『이상문학전집 1』, 문학사상사, 1989.
이상 저, 이어령 교주, 『이상시전작집』, 갑인출판사, 1978.

2. 국내 논저

(1) 단행본

고은, 『이상 평전』, 향연, 2003.


고미숙,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민족, 섹슈얼리티, 병리학』,
책세상, 2001.
김승희, 『이상 시 연구』, 보고사, 1998.
권영민 편저, 『이상문학연구 60년』, 문학사상사, 1998.
김옥순, 『이상 문학과 은유』, 채륜, 2009.
김윤식, 『이상 연구』, 문학사상사, 1987.
______, 『이상문학 텍스트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김주현, 『이상소설연구』, 소명출판사, 1999.
김준오, 『詩Q』(제4판), 삼지원, 2000.

- 137 -
김화영, 『프랑스 현대비평의 이해』, 민음사, 1984.
박현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수사학:이상문학연구』, 소명출판
사, 2003.
신동원, 『한국근대보건의료사』, 한울아카데미, 1997.
신범순 외, 『이상 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 도서출판 역락, 2006.
신범순, 『이상 문학 연구: 불과 홍수의 달』, 지식과교양, 2013.
이승훈, 『이상 시 연구』, 고려원, 1987.
이정호, 『주이상스의 텍스트 : 미국 문학 새로 읽기』, 동인, 2007.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조일제, 『D.H 로렌스 문학과 종교적 상상력』, 동인, 2015.
한국기호학회, 『은유와 환유』, 문학과지성사, 1999.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1999.

(2) 학술 논문 및 평론

김문집, 「‘날개’의 시학적 재비판」, 《문예가》 1, 1937. 2.


김승구, 「이상 문학에 나타난 욕망과 기호생성의 상관성 연구」. 서울대학
교 박사논문, 2004.
김승희, 「접촉과 부재의 시학-李箱시에 나타난 거울의 구조와 상징」, 서
강대학교 석사논문, 1980.
______, 「이상 시 연구-말하는 주체와 기호성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논문, 1991.
______, 「이상 시에 나타난 “근대성의 파놉티콘”과 아이러니, 멜랑콜리」,
비교한국학, Vol. 18 No. 2., 2010.
김열규, 「현대의 언어적 구제와 이상문학」, 《지성》, 1972. 2.
김옥순, 「은유 구조론-이상의 작품을 모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
문, 1989.
김주현, 「이상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12월 12일>, <종생기>를 중
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3, 1994.
______, 「이상 시의 내적 상호텍스트성」,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회,
1997.

- 138 -
______, 「이상 시의 창작방법 연구」, 《語文學》 69집, 2000.
김효신, 「이상(李箱)의 시와 시대적 저항성」, 《한민족어문학회》,
Vol.61 No.- [2012].
고현혜, 「이상문학의 ‘방법적 정신’으로서의 패러독스」, 《한국현대문학연
구》 제 19집, 2006.6.
______, 「이상문학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논문, 2008.
명형대,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공간구조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1991.
박윤재, 「조선총독부의 우두정책과 두창의 지속」, 《醫史學》, 대한의사
학회, Vol.21 No.3 [2012].
배현식, <Andromaque>에 나타난 라신느의 개인신화, 동대논총, Vol.25
No.1, [1995].
서지형, 「뒤라스의 <롤 V. 스텡의 황홀>에 나타난 '히스테리'와 '희열'의
의미」,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7.
신주철, 「이상 문학에서의 ‘신’과 기독(교)의 문제」, 《외국문학연구》,
Vol.20. No.-, 2005.
엄성원, 「이상 시의 비유적 특성과 탈식민적 저항의 가능성」, 국제어문학
회, 《국제어문》 36, 2006. 4.
오유미, 「이상문학의 외래적 요소 연구」, 《관악어문연구》 1, 서울대학
교 국어국문학과, 1976. 10.
윤성우, 「리쾨르의 문학론 : 언어와 실재에 대한 탐구」, 《한국하이데거
연구》 제 15집, 2007.
윤희억, 「영미시 은유 이론의 유형과 진화」, 《신영어영문학》 57,
2014. 8.
이어령, 「나르시스의 학살-이상의 시와 그 난해성」, 《신세계》, 1956.
10.
이유선, 「은유와 실재」, 《철학》제 79집, 2004. 5.
이화경, 「이상문학에 나타난 주체와 욕망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논문,
2000.
임명섭, 「이상 문학에 나타난 책과 독서의 은유에 대한 연구」, 《순천향
어문논집》, Vol.7 No.-[2001].

- 139 -
임종국, 「이상론」, 《고대문화》 1호, 1955. 12.
정귀영, 「이상문학의 초의식 심리학」, 《현대문학》, 1973. 7-9.
정덕준, 「한국 근대소설의 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84.
정우진, 「환유의 의도와 효과: 『질마재 신화』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한국시학연구 43, 2015. 8.
조연현, 「근대정신의 해체」, 《문예》, 1949. 11.
표정옥, 「은유와 상징의 결핵 담론에서 근대 문학의 과학 담론으로의 변
환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기호학연구》[Vol.44], 한국기호학회, 2015.
황석숭, 「아쿠타가와 문학과 이상의 소설」, 《상명여자대학교 논문집》
30, 1992.

3. 국외 논저

Aristoteles, 손명현 역, 『시학』, 박영문고, 1986.


Bettelheim, Bruno, Freud and man's soul, New York: Penguin, 1982.
Cabane's, Jean-Louis, 조광희 역, 『문학 비평과 인문 과학』,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1995.
Easthope, Antony, 박인기 역,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E. Steiger, 이유영․오현일 역,『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1978,
242-243쪽.
Freud, Sigmund, 임인주 역,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 열린책들, 2003.
_______________, 김인순 역, 『꿈의 해석』, 열린책들, 2003.
_______________, 임홍빈․홍혜경 역, 『정신분석 강의』, 열린책들, 2003.
Hawkes, Terence, 심명호 역, 『隱喩』, 서울대학교출판부, 1978.
Hutcheon, Linda, 김상구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________________, 장성희 역,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과 전략』, 현대미
학사, 1998.
Lakoff, George&Johnson, Mark , 노양진․나익주 역, 『삶으로서의 은
유』, 서광사, 1995.
Lakoff, George&Turner, Mark, 이기우․양병호 역, 『시와 인지』, 한국

- 140 -
문화사, 1996.
Magaret A Rose, Parody//meta-fiction: An Analysis of Parody as a
Critical Mirror to the Writing and Reception of Fiction, Croom Helm,
1979.
Nasio, Juan-David, 임진수 역, 『자크 라캉의 이론에 대한 다섯 편의 강
의』, 교문사, 2000.
Nobus, Dany, 문심정연 역,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문학과지성
사, 2013.
Richard R. Kopp, Metaphor Therapy: Using Client-Generated
Metaphors in Psychotherapy, BRUNNER/MAZEL, 1995.
Ricoeur, Paul, 김윤성․조현범 역, 『해석이론』, 서광사, 1996.
Sontag, Susan, 이재원 역, 『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2002.
Wheelwright, Philip Ellis, 김태옥 역, 『은유와 실재』, 문학과지성사,
1982.

가라타니 고진 柄谷行人, 박유하 역,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4』, 도서출


판 b, 2010.

- 14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