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불교철학사 2. 2022.3.8.

수>

*인도철학의 흐름 속에서 불교철학의 위상

1. 인도철학의 전통적 2대 분파→ 베다(Veda 성전聖典)·이스와라(Īsvara, 자재신 또는 창


조신)·빠라로카(paraloka, 내세 혹은 영혼불멸)의 3가지 기준을 통해 유파(有派)와 무파(無
派)로 구분.
1) 유파(有派, sāstika darṡana) : 3가지를 절대 긍정. 유신론·전통적·정통적·보수적. 브
라마니즘, 6파철학(수론파數論派·승론파勝論派·유가파瑜伽派·성론파聲論派·정리학파正理論
派·베단타학파), 힌두이즘.
2) 무파(無派, nāstika darṡana) : 3가지를 부정 혹은 부분 긍정. 무신론·이단적·혁신적.
육사외도, 불교, 자이나교.

2. 인도철학의 시대 구분
<학자마다 4기, 6기로 구분. 여기서는 6기의 구분 방식 소개(원의범, 인도철학사상)>

1기 : 리그 베다(Ṛg-veda)의 종교 및 철학사상 : BCE 1,000년 이전 성립. 베다는 4종류


(리그 베다, 사마 베다, 아타르바 베다, 야쥬르 베다)가 있음. 그 중 리그 베다는 가장 오래
된 것으로, 자연 현상을 의인화한 뒤 그들에 대한 찬송과 기도를 기록.
2기 : 브라마니즘(Brahmanism)의 성립 : BCE 1,000년~BCE 800년. 베다의 주석서인
브라흐마나(Brahmaṇa)와 우파니샤드(Upaniṣad)의 종교와 철학. 범아일여(梵我一如) 사상.

cf. 베다의 구성 : 리그 베다의 사례


까우쉬따끼 아이따레야 아이따레야
리그 베다
브라흐마나 아란야까 우파니샤드
베다에 나온 제례 베다에 나온 상징성 신비적 사상의 결정체
본집(本集)으로 불림
내용 풀이 해석 베단타(베다의 마지막)
제례 행위 강조 --> 행위편(Karma kāņḑa) 초월적 지혜 강조 --> 지혜편(jňāna kāņḑa)

--> 4베다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파가 형성되어, 브라흐마나, 아란야까, 우파니샤드에도 다양한
종류의 문헌이 존재한다. 현존하는 우파니샤드는 모두 200개가 넘는다. 많은 인도 학자들은 이 가
운데 붓다(Buddha) 이전, 즉 기원전 6세기 이전에 씌어진 우파니샤드만을 따로 ‘초기 정통 우파니
샤드’ 혹은 ‘베다 전통의 우파니샤드’로 분류한다. 이는 순수한 사상적 가치를 담고 있기 때문이고,
이후 나온 우파니샤드에는 특정 종파나 특정 철학의 사상을 강하게 담고 있는 것이 많고 신화나
비술에 가까운 것이 많기 때문임.
--> 베다의 저자 : 전통적으로 베다는 사람이 쓴 글이 아니므로 ‘인간에 의해서 만들진 것’이 아
닌 것으로 간주. 베다의 말씀(만뜨라, mantra)은 천지창조 이전부터 존재. 이를 초월적 투시 능력
을 지닌 성자(聖者, ŗși)들이 명상을 통한 투시의 방법으로 인간의 언어로 기록.
--> 베다의 신성한 말의 영원성을 사색하는 학파 등장(미맘사 학파), 반면 말의 무상성을 주장하
는 학파 등장(불교)

3기 : 육사외도(六邪外道)와 초기불교(근본불교, 원시불교). BCE 600년~BCE 500년. 브라


마니즘에 반대하는 신흥사조.

- 1 -
cf. 육사외도 --> 붓다가 소개한 6종류의 바르지 않은 가르침
① 푸라나 카사파: 도덕부정론, 극단적 유물주의. 선악의 행위는 도덕결 결과를 초래하지 않음.
살인, 도둑질도 악행이 아님을 주장.
② 막칼리 고살라 : 숙명론. 윤회와 해탈은 우연한 것이며, 840만 대겁이 지난 뒤 저절로 해탈에
도달함. 엄격한 고행주의. ‘아지비카 교단’
③ 아지타 케사캄바린 : 4원소설(흙, 물, 불, 바람) 주장. 인간이 생전에 지은 종교적 도덕적 행위
는 아무런 가치가 없음. 유물론적 쾌락주의.
④ 파쿠다 캇차야나 : 7원소설(4원소설+괴로움, 즐거움, 생명) 주장. 7요소는 불변하므로, 사람을
죽이더라도 살인은 성립하지 않음. 후대 요소 실재론을 인정하는 철학사조에 영향.
⑤ 산자야 벨라리풋타 : 불가지론 혹은 회의론. 진리를 있는 그대로 인식하거나 서술 불가능.
⑥ 나간타 나타풋타 : 자이나교의 교조인 마하비라(Mahāvira). 사상적 측면에서는 상대주의, 실
천적 측면에서는 엄격한 고행주의 강조. 영혼과 비영혼의 이원론적 사상.

cf. 초기불교 : 인도 정통 철학의 유(有)를 강조하는 경향과 신흥 철학의 무(無)를 강조하는 경향


가운데서 중도(中道)를 설함. 유(有)와 무(無), 일(一)과 이(異), 고(苦)와 락(樂)의 중도적 파기(破棄).

4기 : 힌두이즘(Hinduism)의 시작. BCE 300년~BCE 200년. ->베다 전통, 민간 전통, 박


티(Bhakti, 신에 대한 헌신) 전통, 요가 전통, 카르마 개념에 기초한 도덕적 삶 등이 혼합.
5기 : 쿠사나(Kusāana) 제국 시대. AD.100년~200년. 힌두이즘에 자극받아 대승불교 등
장. 마누법전 완성
6기 : 중세의 여러 철학파 확립. 3~5세기. 6파철학의 형성. 대승불교의 용수, 무착, 세친

3. 초기불교(근본불교 혹은 원시불교) 자료

팔리어(Pali) 경전 한역(漢譯) 경전
율장律藏 : 비나야 삐따까(Vinaya-piṭaka) 사분율四分律, 오분율五分律 등
경장經藏 : 숫다 삐따까(Sutta-piṭka) 5부 한역 4종 아함경阿含經
①디가 니까야(Dīgha-nikāya, 장부長部) : 긴
①장아함경長阿含經(30경)
경전의 집성, 34경
②맛지마 니까야(Majjhima-nikāya, 중부中部) :
②중아함경中阿含經(222경)
중간 정도 길이의 경전을 집성, 152경
③상윳따 니까야(Saṃyutta-nikāya, 상응부相應
③잡아함경雜阿含經(1362경 정도)
部) : 짧은 경을 내용별로 집성, 2872경 정도
④앙굿따라 니까야(Aṅguttara-nikāya, 증지부
增支部) : 짧은 경을 법수法數에 따라 분류하여 ④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471경)
집성, 2198경
⑤굿다까 니까야(Khuddaka-nikāya, 소부小部):
이에 대응하는 한역 경전이 있음
위에 포함되지 않은 15경으로, 숫따니빠다(경집經
: 법구경法句經 등
集), 담바빠다(법구法句) 등

*팔리어 경전은 구전(口傳)되다가 후에 동남아시아 각국 언어로 전승. 20세기 초 팔리성


전협회(The Pali Text Society)에서 로마자본을 제작한 뒤, 표준 자료로 사용됨. 우리나라
는 2000년 이후 한글번역 출현
*한역 아함경은 1965년 이후 동국역경원에서 한글로 번역됨. 동국대학교의 ‘불교기록
문화유산아카이브(http://kabc.dongguk.edu)’에서 경전명칭으로 검색하여 열람 가능.

- 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