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ppt 1

안녕하세요 1조 발표를 맡은 김시은입니다 저희 조의 발표 주제는 conventional sign입니


다.

ppt2

발표는 conventional sign의 정의, 인지과정을 살펴보고 찰스샌더스퍼스가 분류한 기호의


종류를 통해 conventional sign을 더 깊게 알아가는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Ppt3

언어학자 소쉬르는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가 conventional, 즉 관습적이며 서로 다른 기호


들의 관계를 기반으로 그 의미가 설정된다고 말합니다.

Ppt 4

그는 기호가 갖는 실질적인 표기나 소리와 기호가 나타내는 개념을 구분했는데 이 두 부


분이 각각 기표(significant)시니피앙과 기의(signifie)시니피에에 해당합니다. 앞에서 언급
했던 것처럼 인간이 사용하는 conventional sign의 기표와 기의의 관계는 임의적이며 관
습적입니다.

Ppt5

conventional sign의 처리과정에는 인식, 확인, 해석이 있습니다.

Ppt6

인식, perception 과정에서는 표지판을 보거나 말을 듣는 것처럼 감각기관을 통해 기호를


인식합니다.

Ppt7

확인, identification 과정에서는 관찰자가 기존의 경험과 인식한 기호를 연관시킵니다.

Ppt8

마지막으로 해석, interpretation 과정에서는 관찰된 맥락을 기반으로 기호에 의미를 부여


합니다. 이때의 의미는 관찰자의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에 개인적입니다.

Ppt9

언어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는 sign의 종류를 지시 대상과의 관계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누


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Ppt 10

Index는 지시대상과 인과성, 인접성을 갖는 sign를 의미합니다. 연기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어디서 불이 났나?라는 생각이 가장 빨리 드실텐데요. 여기서 연기가 index에
해당합니다. 발자국이나 연기, 같은 index는 발생원인과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인과관계
를 보여줍니다. 불과 연기는 닮지도 같지도 않지만 인과 관계를 가지며 우리는 그 인과
관계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연기가 의미하는 바를 알 수 있습니다.

Ppt 11

다음은 icon입니다. Icon은 지시대상과 형태적 유사성을 갖는 기호를 의미합니다. 형태적


유사성이 가장 큰 특징이기에 아무것도 닮지 않은 icon은 어떤 것도 지시할 수 있는 가
능성을 지닌 icon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icon의 예시로는 이모티콘이 있습니다. 우리가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만으로도 충분히 대화가 가능한 이유는 icon과 지시 대상의 관계가
그만큼 명확하고 단단하기 때문입니다. 웃는 얼굴의 이모티콘을 자의적으로 우는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듯이 Icon과 지시 대상의 관계는 쉽게 변하지 않습니다.

Ppt 12

마지막으로 symbol입니다. 대부분의 conventional sign이 여기에 해당하는데요. Symbol과


지시 대상의 관계는 자의적입니다. 전화기 손 모양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저희에게 익
숙한 전화기를 표현하는 손 모양은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편 형태이죠 하지만 스마
트폰을 주로 사용하는 시기에 태어난 아이들은 손을 둥글게 만들어 귀에 가져다 대는 것
으로 전화기를 표현한다고 합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사용하는 전화의 형태가 달라지
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처럼 symbol은 관습에 의존하는 기호이기 때
문에 같은 개념을 표현하더라도 쉽게 변할 수 있습니다.

Ppt13

언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제시된 것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른 symbol, 즉 단어가 같


은 개념을 나타내기도 하고 같은 단어가 다른 개념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Symbol의 의미
는 학습을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항상 공부해
야 합니다. 모국어의 symbol을 파악하기도 바쁜데 다른 나라의 언어까지 공부하는 우리
영문학과 학우들이 정말 대단합니다! 발표 마치겠습니다 파이팅!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