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 5주 학습활동 >

1. 어떤 방식으로 문법 교육을 받았는지, 본인의 경험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자.


[외국어 교육과 모국어 교육의 문법 경험을 함께 떠올려볼 것]
(1) 연역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교육을 받은 경험에 대해 생각해 보자.
1) 언제 연역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교육을 받았는지 떠올려 보자.
초중고 때 몇 가지 예를 보여주며 문법을 가르치고 그것에 맞게 활용해 보아라 식으로 배웠음

2) 연역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교육을 받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장점: 배워야 할 문법이 어떤 식으로 활용되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음
단점: 어느 정도의 수준, 숙달도가 낮을 경우 학습자에게 부담이 됨

(2) 귀납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교육을 받은 경험에 대해 생각해 보자.


1) 언제 귀납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교육을 받았는지 떠올려 보자.
초중고 때 여러 예시를 보여주고 ‘그래서 이건 규칙 활용이다, 이건 불규칙 활용이다’를 배웠음

2) 귀납적 접근 방식으로 문법 교육을 받을 때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장점: 스스로 분류를 하니 학습 효과가 오래감
단점: 교사의 노력이 많이 필요함

2. PPP 모형에 관해 생각해 보자.


(1) PPP 모형의 절차와 특성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PPP 모형의 절차는 제시(presentation), 연습(practice), 생성(production) 순으로 진행되며
특징으로는 규칙 제시와 연습 위주이며, 수업 내용과 속도 조절이 가능해 교사들이 선호한다는 것이 있다.

(2) PPP 모형의 장단점이 무엇이며, 어떤 상황에 적용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자.
장점: 정확성을 기르기 좋고, 교사 중심으로 적용하기 쉬움
단점: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지하기 어렵고, 유창성이 떨어질 수 있음

(3) 문법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해서, PPP 모형을 통해 어떻게 교육할지 생각해 보자.


‘-(으)ㄹ 때’
도입: 간단한 예시를 통해 문법을 노출한다 (언제 병원에 가요? 아플 때 가요)
제시: 어떤 의미, 방식으로 사용되는지 설명
(‘때’라는 명사를 동사나 형용사가 수식할 경우, 시제 상관없이 ‘-(으)ㄹ 때’와 같이 관형사형 어미로 연결)
연습: 그림 등을 제시하며 단순한 문장 연결을 통해 ‘때’나 ‘적’ 등의 앞에서는 대게 관형사형 어미 ‘-(으)
ㄹ’이 올 수 있다는 것을 무의식중에 알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연습을 시킴
활용: 예문을 제시하고 자신의 습관이나 버릇 등에 대해 이야기하는 활동을 진행
마무리: 학습한 내용을 잘 기억할 수 있도록 다시 한 번 인식시켜준다

3. TTT 모형에 관해 생각해 보자.


(1) TTT 모형의 절차와 특성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TTT 모형의 절차는 과제1(task1), 교수(teach), 과제2(task2) 순으로 진행되며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목표 언어 노출을 통해 문법 능력 발달이 가능하고, 과제가 학습의 출발점이라는 특
징이 있다.

(2) TTT 모형의 장단점이 무엇이며, 어떤 상황에 적용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자.
장점: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문법에 접근, 사용한 문법에 대해 설명을 하고 다시 사용하니 학습 동기가
강해짐
단점: 학습자들이 찾아낸 문법의 특성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음
수의적이고 형태가 간단한 문법을 가르칠 때 적용하면 좋을 듯하다

(3) 문법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해서, TTT 모형을 통해 어떻게 교육할지 생각해 보자.


[e-class에 제시한 ‘TTT 모형을 활용한 추측 표현 교육 연구’ p.267~270 참조]
도입: 학습자들에게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다양한 추측 표현을 사용해 목표 문법들을 노출시킴

과제1: 2~3분 정도의 짧은 동영상을 시청하게 하고, 추측, 토론, 발표시킴

교육: 과제 수행 후 교사는 긍정적 피드백을 한 후, 다양한 추측 표현이 있고, 학습자들의 과제 수행에서


사용한 추측 표현들의 올바른 사용 방법을 예로 들어 칭찬하고, 오류를 보인 사례를 들어 피드백 해 줌.
입력홍수와 같은 방식으로 목표 문법이 포함 된 텍스트를 많이 제공하고 학습자 스스로 목표 문법에 주목
도록 한다

과제2: 과제2는 크게 두 가지 과제로 과제1의 것을 다시 한번 해보고,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과제를 부여

마무리: 다양한 추측 표현을 적절하게 써야 하는 이유에 대해 다시 한 번 주지시키고 학습자들에게 간단한


질문을 해 추측 표현 학습 상황을 점검,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수업 마무리

4. 형태 초점 접근법에 관해 생각해 보자.


(1) 형태 초점 접근법이 왜 필요한지 생각해 보자.
의미와 기능 수행에 중점을 두면서도 학습자들이 문법 형태에 주목하고 문법을 배우는 데도 관심을 가져야
하기 때문

(2) 형태 초점 교수 기법 중 문법 수업에서 경험해 본 것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모국어 교육과 외국어 교육의 문법 경험을 함께 떠올려 볼 것]
초중고 시절 영어 수업에서 발표할 때 선생님이 고쳐 말하기로 알려줌
‘그게 아니라 이거다’

(3) 형태 초점 기법 중 문법 수업에서 적용하기에 효과적인 것 하나를 선택해서, 이것을 수업 상황에서 어


떻게 사용할지 생각해 보자.
고의적 오류 유도하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