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1

碩士學位論文

초월수  와 에 관한 연구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數 學 敎 育 專 攻

李 閏 珍

2007年 月 日
碩士學位論文

초월수  와 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cendental
numbers  and 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數 學 敎 育 專 攻

李 閏 珍

2007年 月 日
碩士學位論文

초월수  와 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cendental
numbers  and 

指 導 敎 授 장 규 환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07年 月 日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數 學 敎 育 專 攻
李 閏 珍
이 論文을 碩士學位 論文으로 認准함

2007年 月 日

主 審 印

副 審 印

副 審 印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목 차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방향과 한계 ‥‥‥‥‥‥‥‥‥‥‥‥‥‥‥‥‥‥‥‥‥ 3

Ⅱ. 본 론 ‥‥‥‥‥‥‥‥‥‥‥‥‥‥‥‥‥‥‥‥‥‥‥‥ 4
1. 대수적 수와 초월적 수 ‥‥‥‥‥‥‥‥‥‥‥‥‥‥‥‥‥‥‥ 4
1) 유리수와 무리수의 발견 ‥‥‥‥‥‥‥‥‥‥‥‥‥‥‥‥‥‥ 4
2) 대수적 수와 초월적 수의 발견 ‥‥‥‥‥‥‥‥‥‥‥‥‥‥‥‥ 5

2. 초월수의 농도 ‥‥‥‥‥‥‥‥‥‥‥‥‥‥‥‥‥‥‥‥‥‥‥ 8
1) 가부번(denumerable)과 농도(Cardinality) ‥‥‥‥‥‥‥‥‥‥ 8
2) 대수적 수와 초월적 수의 농도 ‥‥‥‥‥‥‥‥‥‥‥‥‥‥‥ 12

3. 초월수  ‥‥‥‥‥‥‥‥‥‥‥‥‥‥‥‥‥‥‥‥‥‥‥‥‥ 17
1) 의 정의 ‥‥‥‥‥‥‥‥‥‥‥‥‥‥‥‥‥‥‥‥‥‥‥‥‥ 17
2) 는 무리수이다 ‥‥‥‥‥‥‥‥‥‥‥‥‥‥‥‥‥‥‥‥‥‥ 20
3) 는 초월수이다 ‥‥‥‥‥‥‥‥‥‥‥‥‥‥‥‥‥‥‥‥‥‥ 21

4. 초월수  ‥‥‥‥‥‥‥‥‥‥‥‥‥‥‥‥‥‥‥‥‥‥‥‥‥ 24
1) 의 정의와 발달 ‥‥‥‥‥‥‥‥‥‥‥‥‥‥‥‥‥‥‥‥‥‥ 24
2)  는 무리수이다 ‥‥‥‥‥‥‥‥‥‥‥‥‥‥‥‥‥‥‥‥‥‥ 25
3) 는 초월수이다 ‥‥‥‥‥‥‥‥‥‥‥‥‥‥‥‥‥‥‥‥‥‥ 32

Ⅲ. 결 론 ‥‥‥‥‥‥‥‥‥‥‥‥‥‥‥‥‥‥‥‥‥‥‥‥ 33

참고 문헌 ‥‥‥‥‥‥‥‥‥‥‥‥‥‥‥‥‥‥‥‥‥‥‥‥‥‥‥ 34
영문 초록 ‥‥‥‥‥‥‥‥‥‥‥‥‥‥‥‥‥‥‥‥‥‥‥‥‥‥‥ 35
국문 초록 ‥‥‥‥‥‥‥‥‥‥‥‥‥‥‥‥‥‥‥‥‥‥‥‥‥‥‥ 36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변하는 사회와 과학기술의 발달은 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변화를 가져왔


다. 7번째 교육과정의 개정은 변화된 사회의 필요와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특히 수학교육에서는 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
는 다양한 능력을 갖추는 것에 중점을 두고 개정되었다. 학교 수학교육이
단편적인 지식이나 기능의 습득 수준에 머물고 있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사
교육에 의존하는 현실을 바꾸기 위하여 수학교육은 학습 내용의 적정화, 단
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방법
에도 불구하고 학습자의 내적인 동기, 흥미나 관심 없이 이루어지는 수학교
육은 종래의 수학교육과 차별화된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수학은 학문의 성격상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의 이해가 필요하다. 그
리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물의 현상에 대한 수학적인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학습자가 개념, 원리, 법칙의 이해를 통해 사물에 대한 해석
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수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내용이더라도 학습자에
게 다양한 방법으로 지식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결국 학습자에게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수학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학습지도가 필요하다.
수학교육의 목적은 수학적 사고를 하기 위한 것이다. 수학적 사고는 논리
적으로 추론하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문제 해결에
서 합리적인 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현상에 대하여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하나의 문제에 대하여 여러 측면에서 해석을 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수학을 하는데 있어 ‘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반드시 필요하다. 중학
교 수학에서는 ‘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먼저 ‘수’를 분류한다. 중

- 6 -
학교 수학과정에서는 ‘수’를 유리수와 무리수, 유한소수와 무한소수로 구분
하고 있다. 또한 두 가지 분류 사이의 관계로 유한소수와 순환하는 무한소
수는 유리수로 표현할 수 있고,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는 무리수로 표현
할 수 있다고 지도하고 있다. 이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수’를 분류하는 방
법으로 위의 두 가지 분류만을 알고 있고 이렇게 분류된 ‘수’에 대한 이해
를 바탕으로 수학적 해석을 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왜 ‘수’
를 유리수와 무리수, 유한소수와 무한소수로 분류하는지 잘 알지 못하고 있
으며, 또한 수학에서 ‘수’를 배울 때 자연수, 정수, 유리수, 무리수, 실수 순
서로 배우는 이유도 잘 모르고 있다. 수학을 함에 있어 기본적인 이해가 필
요한 ‘수’를 배우는 것임에도 학교에서는 이것을 분류하고 사용함에 있어
수의 연산에 관한 계산을 더 중요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도록 다양한
수업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추상적인 수학을 좀 더 눈으로 보여주려는 시
도를 한다거나 역사적 배경 등 수학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전하는 방
법들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수’에 관해서도 좀 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면 그러한 방법을 통하여 학생들의 관심도 높이고 ‘수’에 대한 이해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도
울 수 있고 나아가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수학에 대한 흥
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최근에는 역사 발생적 원리에 근거하여 수학사를 도입하는 수학교육방법
을 많이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수’ 자체만을 다룬 책은 그 내용이 어려워
많은 수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등 쉽게 찾아 볼 수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에서 사용하는 몇 개의 수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학
습자가 ‘수’에 대한 이해를 좀 더 쉽게 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7 -
2. 연구의 방향과 한계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수를 유리수와 무리수로 분류하여 정의하


고 그에 속하는 수를 찾고 또한 그러한 수가 많음을 배운다. 본 연구에서는
‘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방법으로 수를 분류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대수적 수”와 “초월수”를 택했다. 이 분류를 택한 것은 이 분류를 통해 좀
더 이해가 쉬워질 것이라고 기대되는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와 를 생각할 수 있다.

와 는 중학교, 고등학교 수학에서 무리수로 분류한다. 그 뒤 와 


는 수학을 함에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에게 이것은
‘수’로 정확하게 이해되지 못하고 마치 기호나 공식처럼 사용되고 있다. 따
라서 와 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여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해 왔던 수에
대한 조금 더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본 연구가 수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먼저 수의 발견과정을 조금 살펴볼 것이다. 유리수와 무리수로의 발견을 비
롯하여 대수적 수와 초월수의 발견, 그리고 초월수 와 의 발견에 대해
서도 살펴볼 것이다.
대수적 수와 초월수에 속하는 수들을 모두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대수적 수와 초월수를 모두 찾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대수적 수와 초월수
로 정의되는 수의 농도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또한 본론에서는 와 가 초월수임을 증명할 것인데 와 가 초월수
임을 증명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이
수들이 초월수임을 처음으로 증명한 Hermite와 Lindemann의 방법을 참고
로 할 것이다. 어떠한 수가 초월수임을 증명하는 것은 대수적 수임을 증명
하는 것보다 어렵다. 반면, 대수적 수는 정의에 의하여 쉽게 확인할 수 있
으므로 대수적 수를 정의할 때 몇 가지 예를 살펴보고 어떤 수가 대수적
수인지에 대한 증명은 따로 하지 않을 것이다.

- 8 -
Ⅱ. 본 론

1. 대수적 수와 초월수

1) 유리수와 무리수의 발견

인류는 그 역사의 시작과 함께 ‘수’를 다루어야만 했다. 고대인들에게 ‘수’


는 자신의 소유물을 셀 때 필요하였다. 그러다 점차 땅의 넓이, 마을 간의
거리 등의 측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개 이러한 측정의 결과는 정수 배가
되지 않았는데 측정의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분수가 필요해졌다.
분수는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사람들도 알고 있었으며 그들은 분수를 기록
하고 계산하는 독창적인 방법도 고안했다. 그러나 분수를 수학적 체계와 철
학적 체계에서 중요한 위치로 끌어올린 사람은 피타고라스의 가르침에 영
향을 받은 그리스 사람들이었다. 피타고라스학파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을 분
수, 즉 유리수를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한 예로 피타고라스학
파는 음악의 화음에서 진동하는 현의 길이와 생성되는 소리의 높이 사이의
정수들의 비를 발견했다고 한다.
유리수는 조밀하다는 성질을 가지는데 여기서 무리수가 발견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무리수가 발견되기 이전의 사람들은 수직선 위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수가 있어서 수직선은 유리수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유리수
가 조밀함에도 불구하고 수직선에는 유리수에 대응하지 않은 점으로 이루
어진 구멍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구멍의 발견은 피타고
라스 혹은 피타고라스학파의 업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무리수의 발견은 변의
길이가  인 단위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와 관계가 있다. 이 대각선의
길이를 찾기 위해 를 대각선의 길이라고 놓으면 정사각형의 변의 길이가
 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사용하면    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
는  의 제곱근으로  로 나타내어진다. 피타고라스학파는  가 어떤 분

- 9 -
수와 같다고 가정했고, 그 수를 찾으려고 했다. 그러나  는 분수와 같을
수 없다는 사실이 발견되어 이 사실을 통해 ‘무리수’가 존재한다는 것이 밝
혀졌다.
무리수들의 집합과 유리수들의 집합을 합하면 ‘실수’들로 이루어진 집합을
얻는다. 실수는 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수로 소수의 형태에 대해서는 중학
교 수학에서 유한소수, 순환하는 무한소수,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를 가르
치고 있다. 실수가 유리수와 무리수로 이루어져 있다는 발견은 17세기까지
계속 유지되어왔다.

2) 대수적 수와 초월수의 발견

1850년경 새로운 종류의 수가 발견되었다. 초등 대수학에서 접하는 대부


분의 수는 간단한 방정식의 해로 생각할 수 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계
수가 정수인 다항 방정식의 해이다. 예를 들면, 수   ,  ,  는 각각 다

항 방정식      ,      ,      의 해이다.(수     도 방정
식      을 만족하므로 이러한 종류의 수지만 여기서는 실수만을 이
야기 하겠다.) 이처럼 정수가 계수인 다항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즉 다항방
정식의 해가 되는 실수를 ‘대수적(algebraic)'이라고 한다.
모든 유리수  는 방정식      을 만족하므로 대수적이다. 따라서 대

수적이 아닌 수는 무리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무리수라고 반드시 대수
적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없다.  는 무리수지만 이것을 해로 가지는 다항
방정식      이 존재하므로  는 대수적이다. 즉 무리수도 대수적일
수 있다. 그러면 무리수이면서 대수적이지 않은 수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19세기 초에 이르러 수학자들은 대수적이지 않은 무리수가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실제로 그러한 수를 발견하지는 못했다.
1840년 프랑스의 수학자 리우빌(Joseph Liouville, 1890~1882)은 대수적
이지 않은 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그는 자신의 증명에 따라
대수적이지 않은 수의 예를 만들었는데, 그 예의 하나로 ‘리우빌의 수’라고

- 10 -
불리는 다음과 같은 수가 있다.
        ⋯
   
이 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 ⋯ 이다. 이 수
는 유리수가 아니다. 또 다른 예로  ⋯ 이 있는데, 이
수 또한 유리수가 아니며 대수적이지 않은 수이다. 이렇게 대수적이 아닌
실수를 ‘초월수’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단지 이러한 수가 대수적 수의 영역
을 초월한다(넘어선다)는 점을 나타낸다.
기하학의 일상적인 문제인 한 변의 길이가  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
로부터 발견된 무리수와 대조적으로 최초의 초월수는 그러한 수가 존재한
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창조되었다. 이런 점에서 초월수는 ‘인
공적인’ 수이다.
초월수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후에 사람들은 와  에 관심을 가지
게 되었다. 이 두 수가 무리수라는 사실은 한 세기 훨씬 전부터 알려져 있
었다. 1737년 오일러가 와   이 무리수임을 증명했고 스위스-독일의 수
학자 람베르트는 1768년  가 무리수임을 증명했다. 또한 람베르트는  이
외에 유리수 에 대해 함수  와 의 값이 유리수가 될 수 없음을 보였
다. 람베르트는 와  가 초월수라고 생각했지만 이를 증명하지는 못했다.
리우빌이 는 계수가 정수인 이차 방정식의 해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증
명했지만 이것은 가 초월수라는 사실에 대한 증명은 아니었다. 1873년 프
랑스의 수학자 에르미트(Charles Hermite, 1822-1901)는 가 초월수라는
것을 증명했다. 이것은 30쪽이 넘는 연구 논문으로 발표되었는데 그 논문
에서 에르미트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증명을 제시했으며 그 증명의 결과
로 와   에 대한 유리수의 근사값을 찾아냈다.
가 초월수임에 대한 에르미트의 증명 후 9년 뒤 1882년 독일의 수학자
린데만(Carl Louis Ferdinand Lindemann, 1852-1939)이 에르미트의 증
명 방법을 모방하여 가 초월수임을 증명했다.
그 뒤 1900년 파리에서 열린 제 2차 국제 수학자 대회에서 당시 최고의
수학자의 한 사람인 힐베르트(David Hilbert, 1862-1943)는 미해결 문제

- 11 -
23개를 수학계에 도전 과제로 제시했다. 그 중 “ 도 아니고  도 아닌 임의
의 대수적 수 와 무리수인 임의의 대수적 수  에 대해서  는 항상 초월
수다”라는 가설을 증명하거나 반증하는 문제를 제시했다. 이 문제의 특별한
예로 수   와 을 들었는데 1929년 러시아의 수학자 겔폰트(Alexandr

Osipovich Gelfond, 1906-1968)가 이 초월수임을 증명했고, 1년 뒤 



도 초월수임을 증명했다. 1934년에는  에 관한 힐베르트의 일반적인
가설도 증명하였다.
어떤 수가 초월수임을 밝히는 증명은 쉽지 않으며 아직까지도 초월수인지
밝혀지지 않은 수들도 있다.  ,  ,  는 아직도 초월수인지 모른다.
초월수의 발견 이후 독일의 수학자 칸토어(Georg Cantor, 1845-1918)는
유리수보다 무리수가 더 많이 존재하고, 대수적 수보다 초월수가 더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음 장에서는 초월수 와  에 대하여 더 자세히 알아볼 것이다. 이 두
수를 각각 정의하고 발달과정과 실제 초월수가 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
다.

- 12 -
2. 초월수의 농도

칸토어는 초월수가 대수적인 수보다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이 사실을


확인해보겠다. 초월수집합의 농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먼저 가부번집합과 농
도를 정의하고 실수와 대수적인 수 집합의 농도를 구할 것이다.

1) 가부번(denumerable)과 농도(cardinality)

정의 2.1 두 집합  ,  에 대하여 일대일 대응    →  가 존재할 때 


와  는 대등하다고 말하고 이것을  ∼  로 나타낸다.

정의 2.2 집합  에 대하여  ∼ 일 때  를 가부번집합1)이라고 한다. 그


리고 유한집합이거나 가부번집합을 모두 가산집합2)이라고 한다.

집합  가 가부번집합일 때 일대일 대응   →  가 존재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놓아 집합  를    ⋯ 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


서 첨자로 쓰인 숫자들은 원소의 순서를 정하는데 사용하자. 그러면 가부번
집합      ⋯에서는 모든 원소들을 일일이 셀 수 없을지라도

 과 같은 과정을 감안한다면 집합  와 자연수집합 사이에는 일대일 대


응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정의 2.3 유한집합  의 원소의 ‘개수’를 유한기수3)(finite cardinal


number)라 하고 무한집합  의 원소의 ‘개수’를 초한기수(transfinite

1) 가부번집합을 “번호 붙일 수 있는 집합”이라고도 한다.


2) 가산집합을 “셀 수 있는 집합”이라고도 한다.
3) 기수(cardinal number 또는 cardinality)는 “농도” 또는 “집합의 크기”라고도 한다.

- 13 -
cardinal number) 간단히 초한수(transfinite number)라 부른다. 집합  에
대한 기수의 표기는     또는  로 나타낸다.

만약 집합  와  가 대등하면  와  는 같은 농도를 가진다고 한다.

정의 2.4 집합  와  에 대하여  가  의 부분집합 중 하나와 대등하지만


 는  의 어느 부분집합과도 대등하지 않을 때 “ 의 농도는  의 농도보
다 작다” 또는 “ 의 농도는  의 농도보다 크다”라고 말하고 이것을 기호
         로 나타낸다.

정의 2.4를 이용하면 다음 집합들의 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 , ∅, ∅ ∅, ∅ ∅ ∅ ∅, ⋯

위의 집합들은 각각 농도가     ⋯ 이므로         ⋯ .

실수들의 집합을 이라 하고 농도를 구하여보자. 은 개단위구간   과


대등하므로 의 농도는 개단위구간   의 농도와 같다. 다음의 증명에서
이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조정리 2.5 개단위구간   ∼ .

증명. 함수  와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함수  와  가 일대일 대응임을 확인하자.

① 함수  는 일대일 대응이다.

- 14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이면      이다. 그리고
 
 
 ∊ ,     인  ∊      이 존재한다. 따라서 함수  는 일대일
 
대응이다.

② 함수  는 일대일 대응이다.
  이므로
  ∊   에 대하여      이면   
   
  
   이다. 그리고  ∊      ,     인  ∊   이 존재한다.
 
따라서 함수  는 일대일 대응이다.

①과 ②에 의해서 합성함수  ∘     → 은 일대일 대응이므로


  → . ■

정리 2.6 실수의 개단위구간   은 무한집합으로서 가부번집합이 아니


다.

증명. 먼저 각각의  ,      을   ⋯와 같은 꼴의 소수로 전개한


다. 여기서 각  ∊ 에 대하여   ∊    ⋯ 이다. 이 때 유한소수
로 전개된 수는 무한소수 한 가지로 나타내기 위하여 유한소수의 마지막
숫자에서  을 줄이고 숫자  를 적도록 한다. 예를 들어  는  ⋯ 이

아니라  ⋯ 로 나타내자. 그리고  과  은 구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 ⋯ 와  ⋯ 는 생각하지 않는다.
개단위구간   에 속하는 두 수를  ,  라 하고  와  의 소수 전개를

   ⋯,       ⋯

라 했을 때,
   ↔ 모든  ≥  에 대하여     .

- 15 -
이제 개단위구간   이 가부번집합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일대일 대응    ∼   이 존재하므로   의 모든 원소를
다음과 같이 나열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각 에 대하여  ∊    ⋯ 이다.


이제 위에서 나열한   중 어느 것과도 같지 않은 하나의 수
 ∊   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자. 모든  ∊에 대하여  ≠  ,
 ≠   로 택하여     ⋯를 만들자. 그러면  ∊   이고
 ≠   이므로  ≠   ,  ≠   이므로  ≠   이다. 마찬가지의 방법
으로 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 ∉    .
가정에서      이므로  ∉   이고, 이것은  ∊   에 모순
이므로   은 가부번집합이 아니다. ■

따름정리 2.7 실수들의 집합 은 무한집합으로서 가부번집합이 아니다.

증명. 보조정리 2.5에서   ∼ 임을 증명했다.   은 무한집합으로서


가부번집합이 아니므로   과 대등한 도 가부번집합이 아니다. ■

 ∼ 이므로 은 가부번집합이다. 가부번집합의 농도를  4), 실수들의


집합 의 농도를  5)로 나타내자. 즉       ,      .

4) 는 히브리어 자모의 첫째 글자로  은 aleph-null(알레프 널)로 읽는다.

- 16 -
정리 2.8 자연수들의 집합 과 실수들의 집합 에 대하여        .

증명. 집합 은 집합 의 부분집합이므로 집합 은 집합 의 부분집합 


과 대등하다. 그러나 따름정리 2.7에서 무한집합 은 가부번집합이 아니므
로 집합 은 집합 의 어느 부분집합과도 대등하지 않다. 따라서 정의 2.4
에 의해        . ■

지금까지 정리를 종합하여 집합의 농도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6)인 집합  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농도를 가


지는 집합  가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 와  보
다 더 큰 농도를 가지는 집합이 존재한다.7)

2) 대수적 수와 초월수의 농도

실수들의 집합 은 대수적 수 집합과 초월수 집합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앞에서 정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 방정식의 해를 대수적 수, 정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 방정식이 존재하지 않는 수를 초월수라고 정의했다. 유
리수는 대수적인 수가 분명하고 무리수 중에는 대수적 수가 되지 않는 초
월수도 있으므로 은 대수적 수의 집합과 초월수 집합을 부분집합으로 가
진다. 초월수 집합의 농도는 실수 집합과 대수적 수 집합의 농도로 추론할
수 있다. 의 농도는 앞에서 이미 알아보았으므로 이번에는 대수적 수 집

5) Georg Cantor가 각각 가부번집합과 실수들의 집합의 농도를 나타내는데 처음 사용하였다.

6) 1880년경 칸토어가 제기한 “집합 의 비가부번인 무한부분집합으로서 그 농도가 의 농도보다


작은 것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문제로 그러한 집합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은 연속체 가
설로 알려져 있다. [You-Feng Lin ․ Shwu-Yeng T. Lin, 「집합론」, 경문사, 2005, p279 참고]
7) Cantor의 정리: 임의의 집합  에 대하여          .[You-Feng Lin ․ Shwu-Yeng T.
Lin, 「집합론」, 경문사, 2005, 정리2(p251)증명 참고]

- 17 -
합의 농도를 알아보겠다.
보조정리 2.9 가부번집합의 부분집합은 유한이거나 가부번집합이다.

증명.         ⋯을 임의의 가부번집합이라고 하자. 그리고  를


 의 부분집합이라고 하고 집합  를 다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보자.

①   ∅ 이면,  는 유한이다.

②  ≠ ∅ 이면,  ∊  인 최소 양의 정수를  이라고 하고   ∊  ,


    인 최소 양의 정수를  라고 하자. 같은 방법을 반복하면
          ⋯이 된다. 만약 정수들의 집합      ⋯이 유
  

계이면  는 유한이다. 집합       ⋯이 유계가 아니면  는 가부


번이다. ■

보조정리 2.10 자연수들의 집합 에 대하여 ×은 가부번집합이다.

증명. 함수   ×  → 을 각   ∊× 에 대하여      로 정의


하자.   ≠   이면    ≠    이므로  는 일대일 함수이다.
따라서 × ∼   ×  이고 집합  ×  은 가산집합이다. 따라서 × 
은 가산집합이므로 × 은 가부번집합이다. ■


보조정리 2.11      ⋯에 대하여  가 유한집합일 때,   는 가산


집합이다.

증명. 각 에 대하여  가 가산집합이므로 다음과 같이 원소에 번호를 붙


여 나열 할 수 있다.
         ⋯

- 18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함수   ×  →   는 위로의 함수이므로
 

∞ ∞
 ×     은 가산집합 × 의 부분집합과 대등하다. 따라서   는
   

가산집합이다. ■

정리 2.12 정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식의 집합은 가부번집합이다.

증명. 정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식   를 다음과 같다고 하자.

         ⋯   ,     ⋯   은 정수,   ≠  

각각의 양의 정수들의 쌍   ∊× 에 대하여  을 차 다항식


 에서     ⋯   이 되는 집합이라고 하자. 그러면,

  ∪     ∊× .

한편,    ≤      ∞ 이므로 유한이다. 따라서  은 가산집

합이다. 그리고 보조정리 2.11에 의해   ∪      ∊× 은 가


산집합이다. 그러나  는 유한집합이 아니므로 가부번집합이다. ■

정리 2.13 대수적 수 집합  는 가부번집합이다.

증명. 정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식들의 집합을  라고 하면, 정리 2.12에 의


해  가 가부번집합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19 -

그리고    ∊       라고 하면     이다. 한편, 각 에


대하여    ≤      ∞ 이므로  는 유한집합이고 보조정리



2.10에 의해     은 가산집합이다. 그런데 자연수는 대수적 수이므로


 ⊆  이고  는 무한집합이다. 따라서  는 가부번집합이다. ■

대수적 수 집합  는 가부번집합이므로 과 대등하다. 따라서 대수적 수


집합의 농도는 의 농도와 같다. 즉        .

보조정리 2.14 짝수의 집합을 , 홀수의 집합을 라 하면, ∼ , ∼ 
이다.

증명.      ∊,        ∊라고 하자.


함수   → ,      ∊이라고 하면 함수  는 일대일대응이다.
그리고 함수   → ,        ∊이라고 하면 함수  는 일대
일대응이다. 따라서 ∼ , ∼ 이다. ■

보조정리 2.15 임의의 가부번집합   에 대하여 ∪ 도 가부번집합이다.

증명. 다음의 두 경우로 나누어 증명하자.

① ∩  ∅ 이면,  ∼ , ∼ 이므로  ∼ 이고,  ∼, ∼ 이


므로 ∼ 이다. 따라서 ∪ ∼ 이다. 그리고  ∪   이므로
∪ ∼ 이다. 그러므로 ∪는 가부번집합이다. ■

② ∩ ≠ ∅ 일 때,      라고 하면 ∪  ∪ ∩  ∅ 이


다. 집합  ⊆  는 유한집합 또는 가부번집합이다. 그리고 집합  가 유한
집합이면 ∪ 는 가부번집합이다. 한편  가 가부번집합이면 ①에 따라서

- 20 -
∪ , 즉 ∪ 도 가부번집합이다.
따라서 임의의 가부번집합의 합집합은 가부번집합이다. ■
따름정리 2.16 초월수의 집합  는 가부번집합이 아니다.

증명. 실수 집합 은 대수적 수의 집합  와 초월수 집합  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  ∪ .
정리 2.13에서 집합  가 가부번집합이 됨을 보였다. 그리고 집합  가 가
부번집합이면 보조정리 2.15에 의하여 도 가부번집합이다. 그러나 은 가
부번집합이 아니다. 따라서  는 가부번집합이 아니다. 그러므로  는 가부
번집합이 아니다. ■

- 21 -
3. 초월수 

1) 의 정의

의 역사는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반면에 의 역사는 겨우 400년


정도 되었다. 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은데, 16세기에 시작된 것으로 보인
 
다. 당시 복리 이자에 관한 공식8)에 등장하는 식      은  이 증가함에
   
따라 약 2.71828인 어떤 극한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 는  → ∞일 때  lim      이라는 극한 과정으로
 →∞     
정의된 최초의 수가 되었다.
 
오일러는 지수함수   lim      으로 정의했는데, 이 식에   을
 →∞   
 
대입하면 lim              ⋯ 을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사용한
 →∞ 
    
 
의 정의가 성립하려면 lim      이 존재해야 한다. 이것이 존재하는지
  →∞  
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정리를 증명하자.

 
정리 3.1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lim      은 수렴한다.
  →∞  

증명. 먼저 다음 수열  은  의 값이 한없이 커짐에 따라 어떤 극한값에


수렴함을 보이자. 여기서

8) 원금  , 연이율  , 1년에  번 복리로 계산하는 은행에서 년 뒤의 원리합계  는 다음과 같이 계


 
산된다.         . 이 식에서       이라고 하면         을 얻는다.
     

- 22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식은 항이 늘어날 때마다 합 또한 증가한다. 따라서 모든  에 대하


여      이 성립한다. 즉 수열   은 단조 증가한다.
그리고  이상의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위의 식(*)의 우변의 둘째 항부터는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고 이

등비수열의 합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이 된다. 즉       .

이제, 수열         을 생각해보자. 수열  은 이항정리를 이용하


    
면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의 각 항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
즉   ≤  이다. 따라서 수열  은 위로 유계가 된다. 그리고  을
   로 바꾸면 합이 증가하므로, 수열  은 단조 증가한다.
수열  과  은 위로 유계이고 단조 증가 수열이므로  → ∞ 일 때 어떤
값으로 수렴한다. 그 극한값을 각각  와  라고 하자.
이제    임을 보이자. 모든  에 대하여   ≤  이므로  ≤  이다.
 ≤  임을 보이기 위해 먼저 을  보다 작은 정수라고 하자. 그리고 수
열  의 처음   개의 항을  이라고 하자.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    이다. 그리고  에서 은


     
고정시킨 채로  의 값을 한없이 증가시키면,      ,      , ⋯
   
     은 1에 접근하므로
    은          ⋯   에 접
    

근한다. 그리고  에서  의 값을 한없이 증가시키면  에 접근한다. 그러


므로   ≤  이고  은  에 접근하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 
즉, lim      은 수렴한다. ■

 →∞ 
 

위에서 사용한 를 정의하는 방법 이외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를 표현


 
할 수 있으나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 lim      으로 정의하고 있다.
→∞   

오일러는 와  를 연분수로 표현했으며  의 지수 를 허수 식 로 대


체하여      을 얻었다. 그리고    와  를 이용하여 삼각함
수 와  를 표현했다. 이러한 발견은      이라는 공식을 얻게
되고 이 공식은 후에 가 초월수임을 증명하는데 사용된다.
초월수가 존재한다는 것이 발견된 뒤에는 가 초월수인지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고등학교 수학에서 이 수가 유리수가 아님을 배우는데 여기서
는 이 수가 무리수임을 증명해보고 초월수가 되는지도 확인해 보겠다.

- 24 -
2) 는 무리수이다.

대수적 수와 초월수의 역사에서 대수적 수가 아닌 실수는 무리수임을 보


였다. 이제 실수 가 무리수임을 보이자.

정리 3.2 는 무리수이다.

증명. 를 유리수라고 가정하고    라고 하자. 여기서   는 서로소인

정수이다. 정리 3.1의 증명과정에서      임을 보였으므로 는 정수


가 될 수 없다. 즉 는 정수가 아닌 유리수이고  ≥  이다.
이제 의 또 다른 표현을 사용하자. 무한급수를 이용하면,

  
   
 
 ⋯  
 ⋯ ⑴

으로 나타낼 수 있는데 이 식의 양변에  ≥  인   ⋅⋅ ⋯ ⋅ 을 곱


하면 식⑴의 좌변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⑵

그리고 식⑴의 우변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⑶

를 유리수라고 가정했고  은 정수들의 곱이므로 식⑵를 계산하면 정수


가 된다. 그리고 식⑶에서

    ⋅ ⋯  ⋯          ⑷

- 25 -
은 정수들의 곱과 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수이다. 그러나 그 뒤의 항
들은 분모가  이상이므로 정수가 아니다. 다시 말하면,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⑸
   

       인 무한등비수열이고 합은
그리고

          ⋯ 은 공비가 
    
   
    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식⑶은
   

 .
    ⋅ ⋯  ⋯      
 ⋯   정수   

그러므로 식⑴의 양변에  을 곱하면 좌변⑵는 정수이고 우변⑶은 정수가


아니다. 이것은 가 유리수라는 것에 모순이 된다. 따라서 는 무리수이
다. ■

3) 는 초월수이다.

다음 정리에서는 실수 가 초월수임을 보인다. 증명은 가 대수적 수라고


가정하고 함수를 만든 뒤 모순이 됨을 보일 것이다.

정리 3.3 는 초월수이다.

증명. 정수를 계수로 가지는 다항식    ⋯        의 한 근을

 라고 하자. 여기서   ≠  이고  ≠  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함수 


를 정의하자.

   
            ⋯    9)
  

- 26 -
이 때,  는 임의의 소수이다. 또한
          ⋯        

라고 정의하자. 만약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리고 다음을 계산해보자.

            


  ⑴


위의 식⑴에서   와   는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⑵


식⑵에 를 곱하여 적분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⑶

그리고 식⑶에 다시  를 곱하고     ⋯  에 대하여 합을 구하면,

9) 이 함수는 Hermite가 가 초월수임을 증명하기 위해 제시했다.

- 27 -
   

   




       .



 
 ⑷


위의 식⑷에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시 말하면, 식⑴에  를 곱하여 적분한 뒤 다시  ≤  ≤  에 대하여


합을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⑸

위의 식⑸에서      ⋯  일 때 인수    은 번 미분하면  이


아닌 상수  이 생긴다.  은    로 약분할 수 있고 약분하면 가 남
는다. 그러나        ⋯   이므로 소수 을 보다 큰 수
로 선택하면      에서는 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     을 제외한 와 에 대하여   은 정수이고 로 나누어진다.
그러므로 식⑸ 우변은  이 아닌 정수이다. 그러나  를 이용하면 식⑸
의 좌변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편       이라 하면,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28 -
    
이다. 따라서 lim    이므로 좌변은  이 되어 모순이다. ■
 →∞   

4. 초월수 

지금까지 가 무리수이며 초월수임을 증명했다. 이장에서는 원주율 의


역사를 간단히 살펴보고, 와  이 무리수임을 증명하며 가 초월수임을
보인다.

1) 의 정의와 발달

는 원둘레의 길이와 지름의 비를 나타낸다. 원의 둘레와 지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성립한다.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어떤 원이든지 그 비가 항상
일정하다. 이 비는 상수로 그 값은  ⋯ 이다. 이 값은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로 무리수이고 이 상수는 18세기에 이르러서야 로 표기되기 시
작했다.
고대 바빌로니아와 이집트의 문헌에 보면 당시 사람들이 이 수의 존재와
의미를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들은 이미 의 근사값도 구했

다.    ,   은 고대 문헌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상수로 당시 사람들이


 
원둘레의 길이와 지름의 비의 상수로 사용했던 수들이다.
수학은 메소포타미아에서 제일 먼저 크게 발달했는데 이는 메소포타미아
가 제일 먼저 사회가 형성되었던 지역이기 때문일 것이다. 의 근사값도
이집트보다 메소포타미아에서 더 정확하게 구했다.
바빌로니아의 서판에는 정육각형의 둘레와 외접원 둘레의 비가 새겨져 있
다. 바빌로니아인들은 60진법을 사용하였는데 그 비를 현대표기로 나타내
면    이 된다. 이 값은  로 현대의 의 값보다  정도 작은
 
값이다. 또한 바빌로니아인들은 정육각형 둘레가 정육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 29 -
반지름에 정확히 여섯 배가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고 이 때문에 원을
 도로 분할했다. 정육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외접원의
둘레를  라고 하면 정육각형의 둘레는  이 된다. 여기에 원의 둘레의 길
이와 지름의 비를 로 정의하면        이 되어     로
   
구했음을 알 수 있다.
고대인들은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 또한 알고 있었다. 적분을 배워야 알
수 있는 이 공식을 적분학이 나타나기 이전의 사람들이 어떻게 알았을지
의문이 생긴다.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이 어떻게 발견되었는지는 문헌에
나타나 있지 않다. 원의 넓이를 분할하여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재배열하여
얻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
그 뒤 이 수는 유클리드의 원적문제, 즉 주어진 원과 넓이가 같은 정사각
형을 작도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에 대한 연구는 주로 더 정확한 수치에
관한 것으로 아르키메데스가 사용했던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으로부터 다른
방법-무한 곱의 형식, 급수로 의 근사값을 구하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그
중 스위스의 수학자 오일러는 에 관한 많은 공식을 발견했으며 가 유리
수 계수를 가지는 유한 차수의 대수방정식의 근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
문을 했다. 이 질문은 가 무리수이며 후에는 초월수라는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초월수의 존재는 리우빌이 증명했는데 이것은 유클리드의 원적문제를 해
결하는 열쇠가 되었다. 즉, 유클리드가 제시한 원적문제는 가 초월수이면
작도가 불가능해진다. 린데만이 가 초월수임을 증명함으로서 원과 넓이가
같은 정사각형을 작도할 수 없음이 증명되었다.

2) 는 무리수이다.

리우빌이 초월수의 존재 사실을 증명하기 훨씬 이전에, 가 무리수임을


증명한 수학자는 스위스의 람베르트(Johann Heinrich Lambert)와 르장드
르(Marie Legendre, 1752-1833)이다. 람베르트는 1767년에 증명했고, 르

- 30 -
장드르는 람베르트가 사용했던 연분수에 대한 보조정리를 더 엄밀하게 증
명했다. 람베르트는 논문「원적문제와 원의 길이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을 위
한 예비지식」에서 몇몇 연분수를 조사하여 “가 유리수이면 는 무리
수이거나  이다.”를 증명하였다. 이 정리를 이용하면 에서    라고

하면,     이고  ≠  이므로  는 무리수이다. 그런데  이 유리수이


   

므로 는 무리수이다. 다음 정리에서는 람베르트의 정리를 이용하지 않고


가 무리수임을 증명한다.

정리 4.1 는 무리수이다.


증명. 먼저   
 
라고 놓으면,


    



    .


  에  을 곱하면

     
 

이고   를 부분적분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⑴

- 31 -
식⑴의 우변을 다시 적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⑵

이다. 그리고 식⑵의 두 번째 적분만 다시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⑶

이제     를 구해보자. 먼저  과 은 각각 정수를 계수로 가지는

 에 관한 다항식이고,   ,      이라고 하자. 수학적 귀납


법을 이용하면,

- 32 -
ⅰ)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일 때, ⋅              .

ⅱ)      ,   일 때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ⅲ)   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 -
여기서  와    은 각각  에 관한 차,    차 다항식이고, 와
   은  에 관한    차,    차 다항식이다. 따라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에 대하여

          . ⑷

식⑷에서  과  은 정수 계수를 가지는  에 관한 다항식이고,


  ,       이다.
이제    라고 놓으면   ,     이므로 식⑷는

     
          ⑸
    

그리고  를 유리수,    ,   ∊라고 가정하고 식⑸의 양변에    를


대입하여    을 곱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⑹
   
  
  
이제    이라고 하면     과    이 모두 정수이므로 식⑹
   

의 우변은 정수이다. 반면에 식⑹의 좌변에서    과  은 정수이고 


  
은     에 의해 유계되어 있으므로 →∞ 일 때 → 이다. 그러므

  
로 적당한 에 대하여    이다. 그러나 이 적분은 연속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
이므로 0보다 크다. 따라서  ≠  이고, 이것은 가 유리수라는 것에 모순
이다. 그러므로 는 무리수이다. ■
르장드르는 1794년 「기하학원론」에서 가 무리수임을 더 엄밀하게 증
명하였고 가 어떤 유리수의 제곱근이 될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불식시키기
위해  이 무리수라는 증명을 제시했다.

정리 4.2  은 무리수이다.

증명.     ,   ∊  라고 가정하자. 그리고 와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

자.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0과 1에서의 미분 값에 대하여 살펴보자. 함수 는    번 미분하면


인수 와    가 남아있으므로

 ≤≤  일 때      ,        .

그리고 을 번 미분하면 는 의 차 다항식이 된다. 따라서    ,


  은 정수이다. 마찬가지로 을    번 미분하면 는 의    차 다
항식이 되어       ,    은 정수이다. 그러므로

 ≤  ≤  일 때,       정수,       정수

이다. 또한 의 미분 값을 이용하면    와    은 정수임을 알 수 있다.


이제 다음을 계산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
           

이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런데        이 되므로

                   .

가정하기를     라 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⑴

위의 식⑴의 양변을  로 나누고 다시 적분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⑵

  와   은 정수이므로        은 정수이다. 그리고 가정에


의해       이므로 식⑵는 다시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⑶

식⑶의 좌변의 적분을 계산하면  이 아닌 정수이다. 그러나 우변은 →∞

일 때     → 이다. 따라서  은 유리수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그러


- 36 -
므로  은 무리수이다. ■

3)  는 초월수이다.

1873년 Hermite는 실수 가 초월수임을 증명했다. 그는    ⋯∊ ,

     ⋯ 는 모두는 0이 아닌 유리수인 방정식      ⋯   은


성립되지 않음을 추론하였다. 린데만은 Hermite의 정리를 지수    ⋯ 와
계수    ⋯ 가 실수뿐만 아니라 대수적 수인 경우까지 확장하였다. 린데
만의 정리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정리 4.3    ⋯  가 서로 다른 실수 또는 복소수의 대수적인 수이고


  ⋯  이 적어도 하나가 0이 아닌 실수 또는 복소수의 대수적인 수일
때 유한개의 합      ⋯  는 결코 0이 될 수 없다.

보조정리 4.4 실수  ,   ≠  이 대수적이면,  ,  ±  ,  도 대수적이



다.

증명. [현대대수학, 경문사, 정리 6.1.18의 증명 참고]

정리 4.5 는 초월수이다.

증명. 오일러의 정리      은      ⋯  에서     


인 대수적 수이고  와 나머지 계수,  는 모두 0인 대수적 수로 유한개의
합이 0이 되는 식이다. 따라서 가 대수적 수가 아니므로 위의 식이 성립
하지 않는다고 추론할 수 있다. 즉 오일러의 정리가 성립한다고 볼 수 있
다. 는      인 정수 계수를 가지는 방정식의 근이므로 대수적 수다.
만약 가 대수적 수이면 보조정리 4.4에 의하여 는 대수적 수가 된다.

- 37 -
그런데 는 대수적 수가 아니므로  는 초월수가 된다. ■

Ⅲ. 결 론

실수  와 는 수학에서 중요한 수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수를 처음 배우는


중∙고등학교 수학과정에서는 이 수들에 대한 공식과 문제 풀이를 주로 다루
어 학생들은 이것이 수라고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마치 문자처럼 이 수
들을 사용하고 있다.
 는 우리가 잘 아는 것처럼 원주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어떻게 원주율이
구해졌는지, 처음부터 그 기호를 사용했었는지 등에 관한 것들은 잘 알지
못한다. 또한  는 고등학교에서 자연로그의 밑으로 처음 사용한 뒤로는 많
은 수학의 분야에서 중요한 수지만 그 수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
해서는 잘 모르고 있다. 수학의 여러 방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기에 자연
스럽게 쓰고는 있지만 수 자체에 대한 지식은 많지 않다.
따라서 이 두 수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면 이 수들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와  가 초월수라는 발견에 더 의미를 두고 초월수가 어떻게 발견되었는
지, 그리고 초월수의 발견 이전에는 어떤 연구들을 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초월수의 대표적인 예로  와  가 초월수이고 무리수임을 증명했다.
 는  보다 훨씬 더 오래전부터 연구 되었던 기록이 있다. 그러나 초월수
라는 성질은  가  보다 먼저 증명되었으므로 본론에서도  를  보다 먼저
정의하고 그 성질을 살펴보았다. 특히  가  초월수와 무리수임을 증명하
였는데, 증명과정이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울
수도 있다. 본 논문이  와  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38 -
참 고 문 헌

강민정(2005), 원주율  의 수학사적 고찰과 학교 수학에서의 의의, 석사학


위논문, 영남대학교
강정은(2006), 초월수  와 지수․로그 함수의 탐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

이상태(2005), 초월수에 대하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김광환(1996), 《해석학 입문》, 서울: 청문각
김응태․박승안(2003), 《현대대수학》, 서울: 경문사
최창선(2006), 《집합론 입문》, 서울: 경문사
현종익(2005), 《교사를 위한 수학사》, 서울: 교우사
David Blatner(2003), 《파이의 즐거움》, 역: 한영덕, 서울: 경문사
Eli Maor(2005), 《오일러가 사랑한 수 》, 역: 허민, 서울: 경문사
Petr Beckmann(2002), 《파이의 역사》, 역: 박영훈, 서울: 경문사
Sanderson Smith(2002), 《수학사 가볍게 읽기》, 역: 황선욱, 서울: 한승
Seymour Lipschutz(1965), GENERAL TOPOLOGY, singapore,
McGraw-Hill
You-Feng Lin․Shwu-yeng T. Lin(2006), 《집합론》, 역: 이흥천, 서울:
경문사
Steve Mayer(2006), The Transcendence of , 강의록

- 39 -
Abstract

A study on transcendental numbers  and 

Lee, Yun-Jin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Chang, Gyu-Wh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eachers teaching for


providing various knowledge of  and  to mathematics teachers.
we study transcendental numbers. In section 1; we deals with the
mathematical history of rational number, irrational number, algebraic
number and transcendental.
The opposite concept of a transcendental number is an algebraic
number. Any number  is called algebraic if it is a root of a
polynomial with integer coefficients.
In section 2; we establish the existence of transcendental numbers.
we will show that transcendental is undenumerable. then, we will
prove transcendental of  , with reference to proved by Hermite. And
we prove of transcendental of  , with reference to proved by
Lindemann.

- 40 -
국문초록

초월수 와 에 관한 연구

이 윤 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지도교수 장 규 환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사들에게 와  에 대한 다양한 지식을 제공함


으로써 교수방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초월수에 대하여 연구할 것인데 1장에서는 유리수, 무리수, 대수적 수와
초월수에 대한 수학 역사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초월수의 반대 개념은 대수적 수이다. 어떤 수 가 정수 계수를 가지는
다항방정식의 해이면 대수적 수라고 한다.
2장에서는 초월수가 존재하고 그 수의 농도가 가부번이 아님을 보일 것이
다. 그리고 3장과 4장에서는 Hermite와 Lindemann의 증명을 참고로 하여
와  가 초월수임을 증명할 것이다.

- 4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