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미친국어

‘국어는 이렇게’
5강 독서(비문학)
5강 독서

미친국어 기초 커리 : 국어는 이렇게 5강 독서(비문학)

★오늘 배울 행동
수업 가이드

1. 1문단 = 최중요 문단
독서에서는 기출 한 지문으로 시작해봅시다.
-> 꼭 이해하고 넘어가기
2. 문단별 무게 중심 인지하기
독서에서야말로 행동 영역의 정수를 느낄 수 있습니다.
문학은 에초에 문제 풀이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작가가 만든
예술의 영역을 차용한 것이지만
독서는 출제자가 직접 지문까지 제작하는 영역이기에 약속한 대로 읽고
움직이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국어는 이렇게’ 독서 파트에서는 계속해서 강조하는 행동인


‘1문단은 최중요 문단’ & ‘문단별 무게 중심’을 인지하고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공부한다면, 국어 공부를 시작할 때 매우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수업 지문을 복습용으로 한 번씩 더 배치해놨으니


한 번 더 스스로 풀어보세요. (수업에서 배운 대로)

★독서(비문학) 행동 순서

1. 문단 체크
2. 문제 스캔
3. 타겟팅 체크
4. 어휘 문제 풀이
5. 지문 독해
6. 문단별 소거
7. 마지막에 <보기> 3점

- 2 -
미친국어 국어는 이렇게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24.6월 1.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화제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 있다.

공포 소구는 그 메시지에 담긴 권고를 따르지 않을 때의 해로운 결과를 ② 화제에 대한 연구들을 선행 연구와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다.
③ 화제에 대한 연구들을 분류하는 기준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있다.
강조하여 수용자를 설득하는 것으로, 1950년대 초부터 설득 전략 연구자
④ 화제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한 후 남겨진 연구 과제를 제시 하고 있다.
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초기 연구를 대표하는 재니스는 기존 연구에서 ⑤ 화제에 대한 연구들이 봉착했던 난관과 그 극복 과정을 소개 하고 있
다루어지지 않았던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에 주목하였다. 그는 수용자에게 다.

공포 소구를세 가지 수준으로 달리 제시하는 실험을 한 결과, 중간 수준의


공포 소구가 가장 큰 설득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공포 소구 연구를 진척시킨 레벤달은 재니스의 연구가 인간의 감정적
측면에만 ㉠치우쳤다고 비판하며, 공포 소구의 효과는 수용자의 감정적 2. 윗글을 읽은 학생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재니스는 공포 소구의 효과를 연구하는 실험에서 공포 소구의 수준을
반응만이 아니라 인지적 반응과도 관련된다고 하였다. 그는 감정적 반응을
달리하며 수용자의 변화를 살펴보았겠군.
‘공포 통제 반응’, 인지적 반응을 ‘위험 통제 반응’이라 ㉡불렀다. 그리고
② 레벤달은 재니스의 연구 결과에 대하여 수용자의 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후자가 작동하면 수용 자들은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게 되지만, 전자가 반응을 모두 고려하여 살펴보았겠군.
작동하면 공포 소구로 인한 두려움의 감정을 통제하기 위해 오히려 공포 ③ 레벤달은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가 나타나려면 공포 통제 반응보다 위
험 통제 반응이 작동해야 한다고 보았겠군.
소구에 담긴 위험을 무시하려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하였다.
④ 위티는 수용자가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느끼지 않아야 공포 소구의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한 위티는 우선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를
권고를 따르게 된다고 보았겠군.
좌우하는 두 요인으로 ‘위협’과 ‘효능감’을 설정하였다. 수용자가 공포 ⑤ 위티는 공포 소구의 위협 수준이 그 공포 소구의 효능감 수준에 따라
소구에 담긴 위험을 자신이 ㉢겪을 수 있는 것이고 그 위험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겠군.

크다고 느끼면, 그 공포 소구는 위협의 수준이 높다. 그리고 공포 소구에


담긴 권고를 이행하면 자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자신에게 그 권고를
이행할 능력이 있다고 느끼면, 효능감의 수준이 높다. 한 동호회에서
회원들 에게 ‘모임에 꼭 참석해 주세요. 불참 시 회원 자격이 사라집니다.’ 3. 윗글을 참고할 때, <보기>의 실험에 대해 추론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라는 안내문을 ㉣보냈다고 하자. 회원 자격이 사라진다는 것은 그 동호회
< 보 기 >
활동에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의 위협이 된다.
한 모임에서 공포 소구 실험을 진행한 결과, 수용자들의 반응은 위티의
그리고 그가 동호회 모임에 참석하는 일이 어렵지 않다고 느낄 때, 안내문 결론과 부합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위협의 수준(높음 / 낮음), 효능감의
의 권고는 그에게 높은 수준의 효능감을 주게 된다. 수준(높음 / 낮음)의 조합을 달리 하여 피실험자들을 네 집단으로 나누었

위티는 이 두 요인을 레벤달이 말한 두 가지 통제 반응과 관련지어 다. 집단 1과 집단 2는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었고, 집단 3은 위험


통제 반응, 집단 4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모두 높을 때에
는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고, 위협의 수준은 높지만 효능감의 수준이 ① 집단 1은 위협의 수준이 낮았을 것이다.
낮을 때에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한다. 그러나 위협의 수준이 낮으면, ② 집단 3은 효능감의 수준이 높았을 것이다.
③ 집단 4는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서로 달랐을 것이다.
수용자는 그 위협이 자신에게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느껴 효능감
④ 집단 2와 집단 4는 위협의 수준이 서로 달랐을 것이다.
의 수준에 관계없이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게 된다. 이렇게 정리된
⑤ 집단 3과 집단 4는 효능감의 수준이 서로 같았을 것이다.
결론은 그간의 공포 소구 이론을 통합한 결과라는 점에서 후속 연구의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

4. 문맥상 ㉠~㉤과 바꾸어 쓰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 편향(偏向)되었다고
② ㉡ : 명명(命名)하였다
③ ㉢ : 경험(經驗)할
④ ㉣ : 발송(發送)했다고
⑤ ㉤ : 기여(寄與)하지

- 3 -
5강 독서

- 4 -
미친국어 국어는 이렇게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24.6월 (복습용) 1. 윗글의 내용 전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화제에 대한 연구들이 시작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 있다.

공포 소구는 그 메시지에 담긴 권고를 따르지 않을 때의 해로운 결과를 ② 화제에 대한 연구들을 선행 연구와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다.
③ 화제에 대한 연구들을 분류하는 기준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있다.
강조하여 수용자를 설득하는 것으로, 1950년대 초부터 설득 전략 연구자
④ 화제에 대한 연구들을 소개한 후 남겨진 연구 과제를 제시 하고 있다.
들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초기 연구를 대표하는 재니스는 기존 연구에서 ⑤ 화제에 대한 연구들이 봉착했던 난관과 그 극복 과정을 소개 하고 있
다루어지지 않았던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에 주목하였다. 그는 수용자에게 다.

공포 소구를세 가지 수준으로 달리 제시하는 실험을 한 결과, 중간 수준의


공포 소구가 가장 큰 설득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공포 소구 연구를 진척시킨 레벤달은 재니스의 연구가 인간의 감정적
측면에만 ㉠치우쳤다고 비판하며, 공포 소구의 효과는 수용자의 감정적 2. 윗글을 읽은 학생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재니스는 공포 소구의 효과를 연구하는 실험에서 공포 소구의 수준을
반응만이 아니라 인지적 반응과도 관련된다고 하였다. 그는 감정적 반응을
달리하며 수용자의 변화를 살펴보았겠군.
‘공포 통제 반응’, 인지적 반응을 ‘위험 통제 반응’이라 ㉡불렀다. 그리고
② 레벤달은 재니스의 연구 결과에 대하여 수용자의 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후자가 작동하면 수용 자들은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게 되지만, 전자가 반응을 모두 고려하여 살펴보았겠군.
작동하면 공포 소구로 인한 두려움의 감정을 통제하기 위해 오히려 공포 ③ 레벤달은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가 나타나려면 공포 통제 반응보다 위
험 통제 반응이 작동해야 한다고 보았겠군.
소구에 담긴 위험을 무시하려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하였다.
④ 위티는 수용자가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느끼지 않아야 공포 소구의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한 위티는 우선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를
권고를 따르게 된다고 보았겠군.
좌우하는 두 요인으로 ‘위협’과 ‘효능감’을 설정하였다. 수용자가 공포 ⑤ 위티는 공포 소구의 위협 수준이 그 공포 소구의 효능감 수준에 따라
소구에 담긴 위험을 자신이 ㉢겪을 수 있는 것이고 그 위험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보았겠군.

크다고 느끼면, 그 공포 소구는 위협의 수준이 높다. 그리고 공포 소구에


담긴 권고를 이행하면 자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자신에게 그 권고를
이행할 능력이 있다고 느끼면, 효능감의 수준이 높다. 한 동호회에서
회원들 에게 ‘모임에 꼭 참석해 주세요. 불참 시 회원 자격이 사라집니다.’ 3. 윗글을 참고할 때, <보기>의 실험에 대해 추론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라는 안내문을 ㉣보냈다고 하자. 회원 자격이 사라진다는 것은 그 동호회
< 보 기 >
활동에 강한 애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는 높은 수준의 위협이 된다.
한 모임에서 공포 소구 실험을 진행한 결과, 수용자들의 반응은 위티의
그리고 그가 동호회 모임에 참석하는 일이 어렵지 않다고 느낄 때, 안내문 결론과 부합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위협의 수준(높음 / 낮음), 효능감의
의 권고는 그에게 높은 수준의 효능감을 주게 된다. 수준(높음 / 낮음)의 조합을 달리 하여 피실험자들을 네 집단으로 나누었

위티는 이 두 요인을 레벤달이 말한 두 가지 통제 반응과 관련지어 다. 집단 1과 집단 2는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었고, 집단 3은 위험


통제 반응, 집단 4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모두 높을 때에
는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고, 위협의 수준은 높지만 효능감의 수준이 ① 집단 1은 위협의 수준이 낮았을 것이다.
낮을 때에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한다. 그러나 위협의 수준이 낮으면, ② 집단 3은 효능감의 수준이 높았을 것이다.
③ 집단 4는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서로 달랐을 것이다.
수용자는 그 위협이 자신에게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느껴 효능감
④ 집단 2와 집단 4는 위협의 수준이 서로 달랐을 것이다.
의 수준에 관계없이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게 된다. 이렇게 정리된
⑤ 집단 3과 집단 4는 효능감의 수준이 서로 같았을 것이다.
결론은 그간의 공포 소구 이론을 통합한 결과라는 점에서 후속 연구의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

4. 문맥상 ㉠~㉤과 바꾸어 쓰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 편향(偏向)되었다고
② ㉡ : 명명(命名)하였다
③ ㉢ : 경험(經驗)할
④ ㉣ : 발송(發送)했다고
⑤ ㉤ : 기여(寄與)하지

- 5 -
5강 독서

- 6 -
미친국어 국어는 이렇게

2024학년도 6월 공포소구 지문 정답과 해설 위협의 수준이 낮았음을 알 수 있다.


② <보기>의 집단 3은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였으므로 위협과 효능감의
1. 정답 ② 수준이 모두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공포 소구에 대한 재니스와 레벤달, 그리고 위티의 연구를 설 ③ <보기>의 집단 4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하였으므로 위협의 수준은 높
명하고 있다. 재니스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공포 소구의 설득 지만 효능감의 수준이 낮았음을 알 수 있다.
효과에 주목하였고, 레벤달은 재니스의 연구가 인간의 감정적 측면에만 치 ④ <보기>의 집단 2는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었으므로 위협의 수준이
우쳤다고 비판하였 으며, 위티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 낮았고, 집단 4는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하였으므로 위협의 수준이 높았음
출하였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이 글에서 화제, 즉 공포 소구에 대한 연구들 을 알 수 있다.
을 선행 연구와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답이 아닌 이유들]
4. 정답 ⑤
① 이 글에서는 재니스, 레벤달, 위티의 공포 소구에 대한 연구 내용을 제
단어 사용의 적절성 파악정답해설 : ‘기여(寄與)하다’는 ‘도움이 되도록 이바
시하고 있지만, 이 연구들이 시작된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 있지 않다.
지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영 향을 주다’에서의 ‘주다’는 ‘도움’이 되게
③ 이 글에서는 공포 소구 연구의 진척을 재니스, 레벤달, 위티의 연구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기여하다’는 ㉤과 바꾸어 쓰기
바탕으로 설명하고 있을 뿐, 공포 소구 연구들을 분류하는 기준의 문제점을
에 적절하지 않다.
검토하고 있지 않다.
[정답이 아닌 이유들]
④ 이글에서는 위티의 결론이 그간의 공포 소구 이론을 통합한 결과라는 점
① ‘편향(偏向)되다’는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다.’라는 뜻으로 ㉠과 바꾸어
에서 후속 연구의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는 의의를 제시하며 글을 마무리
쓰기에 적절하다.
하고 있다. 따라서 공포 소구에 대해 남겨진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② ‘명명(命名)하다’는 ‘사람, 사물, 사건 따위의 대상에 이름을 지어 붙이
설명은 적절하지 않다.
다.’라는 뜻으로 ㉡과 바꾸어 쓰기에 적절하다.
⑤ 이 글에 서는 공포 소구에 대한 연구들이 봉착했던 난관과 그 극복 과정
③ ‘경험(經驗)하다’는 ‘자신이 실제로 해 보거나 겪어 보다.’라는 뜻으로 ㉢
을 소개하고 있지 않다.
과 바꾸어 쓰기에 적절하다.
④ ‘발송 (發送)하다’는 ‘물건, 편지, 서류 따위를 우편이나 운송 수단을 이
2. 정답 ④ 용하여 보내다.’라는 뜻으로 ㉣과 바꾸어 쓰기에 적절하다.
2문단에 따르면 레벤달은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면 수용자가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게 된다고 하였고, 4문단에 따르면 위티는 위협과 효능감의 수
준이 모두 높을 때 이러한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3
문단에 따르면 위티는 위협의 수준이 높으려면 수용자가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이 자신이 겪을 수 있는 것이고 그 정도가 크다고 느껴야 한다고 하였
다. 이를 통해 위티는 수용자가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느끼지 않으면 위
협의 수준이 낮게 되고, 그러면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지 않아 수용자가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지 않게 된다고 보았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정답이 아닌 이유들]
① 1문단에 따르면 재니스는 수용자에게 공포 소구를 세 가지 수준으로 달
리 제시하는 실험을 통해 중간 수준의 공포 소구가 가장 큰 설득 효과를 보
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재니스가 공포 소구의 수준을 달리하며
수용자의 변화를 살펴보았음을 알 수 있다.
② 2문단에 따르면 레벤달은 공포 소구의 효과가 수용자의 감정적 반응만이
아니라 인지적 반응과도 관련된다고 보고 재니스의 연구가 감정적 측면에만
치우쳤다고 비판하였다. 이를 통해 레벤달이 재니스의 연구 결과에 대하여
수용자의 감정적 반응과 인지적 반응을 모두 고려하여 살펴보았음을 알 수
있다.
③ 2문단에서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면 수용자들이 공포 소구의 권고를
따르게 되지 만,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하면 오히려 두려움의 감정을 통제
하기 위해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무시하려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고 하였
다. 이를 통해 레벤달이 공포 소구의 설득 효과가 나타나려면 위험 통제 반
응이 작동해야 한다고 보았음을 알 수 있다.
⑤ 3문단에서 수용자가 공포 소구에 담긴 위험을 어떻게 느끼느냐에 따라
위협의 수준이 달라지고, 수용자가 공포 소구에 담긴 권고를 어떻게 느끼느
냐에 따라 효능감의 수준이 달라진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위티가 위협과
효능감이라는 두 요인의 수준을 서로 연관하여 설명한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3. 정답 ⑤
<보기>의 집단 3은 위험 통제 반응이 작동하였고, 집단 4는 공포 통제 반응
이 작동하였다. 4문단을 통해 위협과 효능감의 수준이 모두 높으면 위험 통
제 반응이 작동하고, 위협의 수준은 높지만 효능감의 수준이 낮으면 공포
통제 반응이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단 3은 효능감의 수준이 높고,
집단 4는 효능감의 수준이 낮았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정답이 아닌 이유들]
① <보기>의 집단 1은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었다. 4문단에서 위협의
수준이 낮으면 공포 소구에 대한 반응이 없게 된다고 하였으므로, 집단 1은

- 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