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장덕고등학교 2학년 독서 학습지

학습 키워드 글을 이해하고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2학년 반 번 이름

*102쪽 ‘최저 소득 보장제와 기본 소득제’를 읽고 다음 물음에


*100쪽 ‘조선 시대 초상화’을 읽고 아래 조각의 의미에 대해
답하시오.
답하시오.
1. 다음 밑줄 그은 단어의 뜻을 쓰시오.
1. 최저 소득 보장제가 있는 나라이다. 질문에 답하시오.

① 좌안(왼쪽 얼굴) 칠분면 →7/10 <보기>

② 우안(오른쪽 얼굴) 팔분면→8/10 가구 ㉮ ㉯ ㉰ ㉱ ㉲


총소득 30 100 110 120 300
③ 시대의 추이→흐름 순소득 100 100 88 100 250
* 단위:만원
④ 욕심이 없는 은일의 태도→숨음(주로 속세의 권력에 욕심
* 최저 생계비를 면세점인 100만 원까지 보장해 줌.
을 가지지 않는 태도를 말함)
* 총소득이 면세점을 넘는 경우 균등 세율을 적용함.

2. 다음 초상화의 특징에 맞는 단어를 찾아 동그라미 하시오.


① ㉮가구가 국가로부터 지원받은 금액은 (70)만원이며, 일을 하
지 않은 가능성이 (낮겠군/높겠군).
② ㉯가구는 세금을 (0)원 냈군.
③ ㉰와 ㉱ 일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군. (O/X)
④ ㉲가구는 최저 생계비를 보장받지 못하고, 세금을 내는 가구
에 해당되겠군. (O/X)
⑤ ㉮,㉯,㉰,㉱가구의 경제 활동 주체가 실업을 했다 하더라도
기본 소득제가 실시되어 월 100만원을 받을 수 있다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일자리를 구할 가능성이 높겠군. (O/X)→알 수 없
음.

2. 최저 소득 보장제의 일부 단점이 보완된 것이 기본 소득제이


다. (O/X)
① 어진이군. 별도의 배경이 없는 이유는 대상 인물에게 초점
3. 지니 계수에 대한 설명을 통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을 맞추기 위한 의도겠군. 안면은 (평면적인/입체적인) 묘사
기법을 사용해서인지 실체감이 강하게 느껴지지는 않아. 지니 계수란 소득 분배의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데, 지니
계수가 높을수록 소득 불균등 정도가 심한 것이다. 즉, 0에
가까울수록 균등하고, 1에 가까울수록 빈부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 : 로렌츠 곡선과 완벽한 평등선 사이


② (관복/야복)을 입은 모습을 통해 욕심이 없는 은일의 태 B : 삼각형 전체면적
도를 보이고, 옷의 주름 선의 음영이 분명한 (평면적인/입체 →뉴스에서 다음과 같은 소식을 들었다. “기본 소득제를 도입한
적인) 묘사 기법을 사용해서 실체감이 강하게 느껴져. 그리고 경우, 현행보다 크게는 34%이상 지니계수가 낮아졌다.” 이 말은
(얼굴/의복)을 강조하기 위해 손을 노출시키지 않은 것 같아. 기본 소득제가 소득 재분배에 효과가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보고 있으면, 경건한 마음을 가지게 되어 신기해. (O/X)

- 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