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제 5 편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Principles of Economics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Principles of Economics

제 14 장 소득분배의
현실
14.1 배경설명

14.2 기능별 소득분배와 계층별 소득분배

14.3 불평등도의 측정

14.4 빈곤의 문제

14.5 재분배정책
14.1 배경설명

A. Marshall : ‘ 냉철한 머리와 따듯한 가슴’

냉철한 머리는 효율성 , 따듯한 가슴은 공평성

효율성과 공평성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 필요

현실에서 공평성의 문제는 관심의 사각지대

공평성의 문제는 주관적 가치판단과 직결되기 때문에 객관적인 분석이 어려움


14.2 기능별 소득분배와 계층별 소득분배

두 가지 소득분배의 개념

기능별 소득분배 (functional distribution of income)


- 소득이 각 생산요소 사이에서 어떻게 나누어지는지의 관점에서 분배를 파악

계층별 소득분배 (size distribution of income)

- 소득이 가장 큰 사람으로부터 배열했을 때 각 소득계층에 돌아가는 소득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
십분위분배율

소득 10 분위 (income decile)
가장 가난한 10% 의 사람으로부터 가장 부유한 10% 의 사람까지
각기 10% 씩의 사람들로 구성된 소득계층

십분위분배율 (decile distributon ratio)


가장 못사는 40% 의 사람들이 차지하는 소득의 비율을 가장 잘사는
20% 의 사람들이 차지하는 소득의 비율로 나눈 값

그 값이 작을수록 더욱 불평등한 분배 의미
14.3 불평등도의 측정

분배의 공평성
복합적 개념 , 가치판단을 전제로 함

평등성이라 해도 역시 정확한 정의가 어려움


평등성은 모든 사람의 소득이 균등하게 분배되었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함축

불평등도지수 (inequality index)


균등성이 평등성을 의미한다는 전제
이 전제에 문제 있을 수 있음
로렌츠곡선

로렌츠곡선 (Lorenz curve)


가장 가난한 몇 퍼센트의 사람들이 전체 소득 중 몇 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점들을 이은 곡선

곡선의 모양
대각선에 가까울 수록 평등하게 분배

로렌츠곡선의 비교
두 곡선이 교차하지 않는 경우에만 가능
교차할 경우 지니계수를 사용해 평가 가능
한국의 로렌츠곡선
지니계수

지니계수 (Gini coefficient)

지니계수 =

완전히 평등한 경우 → 지니계수 = 0


극단적으로 불평등한 경우 → 지니계수 = 1
0 과 1 사이에서 값이 클수록 불평등한 분배상태

지니계수의 한계
얼마나 소득이 균등하게 분배 되었느냐라는 하나의 차원에서만 평가
로렌츠 곡선과 지니계수
@ 분배에서의 정의

‘ 무엇이 공평한 분배인가 ?’ 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을 찾기는 어려움


윤리학 → 분배에서의 정의 (distributive justice)
정의를 구성하는 요소
(1) 정당한 권리 (rights)
(2) 평등성 (equality)
(3) 공정성 (fairness)
(4) 받을만한 자격 (desert)
다양한 학파 : 자유론자 (libertarian), 평등주의자 , 공리주의자
Robert Nozick vs. John Rawls
14.4 빈곤의 문제

빈곤의 정의

빈곤 (poverty) : 인간다운 생활을 하기에 충분한 소득을 얻지 못하는 상황

- 빈곤에 대한 인식은 사회에 따라 달라짐

빈곤선 (poverty line)

- 빈곤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소득수준

- 최저생계비라고 부르기도 함
최저생계비 산출방식

(1) 라운트리 (Rowntree) 방식


- 최저한의 생활을 하기에 필요한 소득수준
-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소비의 절대적 수준이 과연 무엇일까 ?
- 사회적 생존의 개념은 한층 더 복잡

(2) 라이덴 (Leyden) 방식


-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의거해 빈곤선 산출
- 라운트리방식과는 대조적으로 주관적인 평가에 의존하는 방식
최저생계비 산출

(3) 평균소득이나 중위소득의 일정비율

- 상대적인 관점에서 빈곤선 결정


• 평균소득 (average income) 이나 중위소득 (median income) 의 일정비율

- 빈곤의 상대적 성격 반영 가능

- 상대적 박탈 (relative deprivation)


빈곤도의 측정

빈곤의 평가 기준
(1) 빈곤인구 비율 (head-count ratio)
- 빈곤한 사람의 수 / 전체 인구
- 빈곤한 사람을 모두 동일하게 취급한다는 문제
(2) 빈곤격차 (poverty gap)
- 빈곤한 사람들의 실제 소득이 빈곤선보다 얼마나 더 적은지 계산해 이를 모두 더한 것

빈곤지수 (poverty index)


체계적인 방법으로 빈곤의 복합성 반영
ex. 센지수 (Sen index)
14.5 재분배정책

재분배정책의 실례

(1) 누진세제
- 세금을 내고 난 후의 처분가능소득을 좀 더 균등하게 만들 수 있음
- 그러나 현실적으로 재분배효과는 아주 제한적

(2) 부의 소득세 (negative income tax) 제도


- 아주 가난한 사람의 경우에는 정부가 세금을 거두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조금을 지급
- 장점 : 보조를 받는 사람이 떳떳하게 수혜 가능
- 단점 : 과다한 비용 , 근본적 해결책이 아님
부의 소득세제
재분배정책의 실례

(3) 사회보험 (social insurance) 제도


국민연금 , 의료보험 , 고용보험 등 보험의 성격을 갖는 제도
보험의 성격이 강해 재분배효과가 작음

(4) 공공부조 (public assistance) 제도


정부가 가난한 사람들의 생계를 돕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프로그램
좁은 의미에서의 사회복지제도
비교적 큰 재분배효과
정부의 도움에 의존하는 태도 조장하는 문제점
재분배정책의 문제점

빈곤의 근본적 퇴치에 이르지 못함

경제 전반의 효율성 저하의 문제


효율성과 평등성 사이에는 최소한 단기에 서로 상충
사람들이 사회복지제도에 계속 의존하는 성향을 보임
ex. 복지병 (welfare disease)
‘ 실패해도 좋다는 유인’ (incentive to fail) 제공한다는 지적

일하고자 하는 의욕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 교육이나 훈련 또는


직장 경험을 통해 스스로의 힘으로 빈곤을 벗어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