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1

Ministry Project Proposal


프로젝트 제안서

Kingdom Share Platform


하시공/KairoSpace

“If we have no peace, it is because we have forgotten that we belong to each other.”
― Mother Teresa
2

“평안이 없다면, 그것은 바로 우리가 서로 속해있다는 사실을 잊었기 때문이다!”


(마더테레사)

주여,
저를 평화의 도구로 써 주소서.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상처가 있는 곳에 용서를
의심이 있는 곳에 믿음을 분열이 있는 곳에 통합을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어둠이 있는 곳에 광명을
슬픔이 있는 곳에 기쁨을 심게 하소서
오 거룩하신 주님,
위로받기보다는 위로하며 이해받기보다는 이해하며
사랑받기 보다는 사랑하게 하소서
우리는 줌으로써 받고 용서함으로 용서받으며
죽음으로써 영원한 생명을 얻기 때문입니다.

- 성 프란체스코(1182~1226)

A. 제안서 요약 (Executive Summary)

1. 하시공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세워진 “쉐어링플랫폼” (Sharing Platform)입니다.


2. 하시공은 사람들의 다양한 필요들 (Various Needs)이 시기적절하게 (Timely) 채워지도록 기회의
공간 (Space of chance)을 제공합니다.
3. 하시공은 사람들이 꿈을 이루도록 창조적 (Creatively)이고 전략적 (Strategically)으로 도와줍니다.
4. 하시공의 궁극적인 목적은 글로벌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미래의 리더들을 세우는
일입니다.
5. 하시공은 온라인플랫폼으로 시작하여 오프라인플랫폼도 계획합니다.
6. 하시공의

B.하시공의 소개 (Introduction to Hasigong)

- 하시공은 하나님이 하시고자 하는 일에 동참합니다.


- 하시공은 하나님과 세상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의 평화의 중보자입니다.
- 하시공은 우는 자들과 함께 웃고 웃는 자들과 함께 웃습니다.
- 하시공은 세상의 약자들의 억눌림과 갇힘을 자유케합니다!
- 하시공은 당신의 향한 하나님의 꿈을 이룰 때까지 같이 합니다!
- 하시공은 아름다운 비전을 지닌 리더들을 응원하고 살리는 일을 합니다!

1. 하시공의 설립배경

1) 몇 몇의 하나님의 사람들이 한 공간에 모여 이 시대에 나타난 일들 앞에서 자신을 살피며


세상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3
2)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리더들의 어두운 열매를 향한 하나님의 마음에 반응하며 시작되었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건강한 리더의 부재로 인하여 애통하게 되었다.
3) 인공지능 융합과 같은 다가올 미래의 다양한 도전 앞에 선 세대를 이끌 전인적으로 건강하고
하나님의 신에 감동된 강력한 차세대 리더를 일으킬 필요에 대한 동일한 마음이 부어졌다.
4) 특별히, 그 날 이 세상에서 힘을 잃어 좌절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나누었고
사회적인 지지기반이 없으나 아름다운 꿈을 가진 자들을 지지하고 응원하려는 일에 마음을
같이 합하였다.

사업제안서 내용

1. 사업의 개요
2. 상품이나 서비스
3. 비즈니스 모델
4. 차별화전략
5. 마케
6. 예산

2. 하시공의 미션 (Mission Statement)

“하시공/Kairospace 은 이 세상을 향한 주님의 꿈과 비전을 지닌 자들이 하나님의 은사와 부르심에


합하도록 돕고 최상의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무장시키며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그들의 사명을
성취하기 위한 필요가 하나님의 적확한 때에 채워지도록 창조적인 나눔이 일어나는 전략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Hasigong/Kairospace exists to help those who have God’s dreams and visions for the
world to align with God’s given gifts and His call, equip to demonstrate the utmost
leadership, and provide a strategic space where God timely works in people’s lives to
creatively share everything with those in need for their missions for the sake of God’s
kingdom.”

3. 하시공의 비젼 (Vision Statement)

“거룩한 영향력을 지닌 선교적 리더들이 세상을 감동시킨다!”

“The missional leaders moves the world with a divine influence!”

미션과 비전의 주요단어 해설

1) 하나님의 은사와 부르심: “하나님의 은사와 부르심에는 후회하심이 없느니라” (로마서 11:29)
이스라엘을 향한 주님의 구원의 선물과 그 도구로 사용하신 것을 후회함이 없듯이 하나님의
사람들을 향한 구원의 은혜와 사명의 부르심 또한 마찬가지이다. 하나님의 은사와 부르심에
합한다는 뜻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주님의 뜻 앞에 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최상의 리더십: 리더의 역량을 극대화하여 최대의 리더십 효과를 추구하는 것이다. 리더의 기술적
요소는 물론이거니와 리더의 내면적인 건강을 살피는 것도 포함한다.
3) 하나님의 적확한 때: 하나님과의 관계성에서 일어나는 수직적인 개념의 결정적인 시간(헬라어,
Kairos)를 의미한다. 우연히 보이는 것이나 하나님의 목적을 위하여 영원과 시간이 만나는 때를
말한다.
4
4) 창조적인 나눔: 나눔은 여러가지 형태를 띠겠으나 창조적이라 함은 그 나눔의 내용과 방식이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한다.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하여 혁신적으로 공유됨을
뜻한다.
5) 전략적인 공간: 공간이 전략적이라는 말은 그 공간에서 많은 전략적인 일들이 파생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전략이라는 것은 군사학적 용어로서 “장군의 기술” (The art of the general, 헬라어로
“stratago”)을 의미하며 작은 싸움들에 집중하기 보다는 전체의 승리를 고려한 계획을 말한다.
6) 거룩한 영향력: 거룩하다는 말은 “깨끗하고 정결하여 구별되고 일반적이지 않아 신성시 여겨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거룩한 영향력이란 이 세상의 상식을 넘어선 구별된 영향력을 의미한다.
7) 선교적 리더: 선교적이라는 말은 “보냄을 받았다”는 뜻이다. 리더는 어두운 세상에 빛으로,
절망스러운 세상에 소망을 전하기 위하여 하나님께로부터 보냄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8) 감동시키다: 감동이라는 말은 “무언가를 느끼어 마음이 움직이다”라는 뜻이다. 감동은 사람들의
마음과 삶을 움직인다. 마치 누룩처럼 그 감동은 계속 전달되어 세상이 아름다워진다 (Pay it
forward!).

4. 핵심가치 (Core Values)

긍휼
연결
성숙
나눔
돌봄

진정성 (Authenticity)
연결 (Connection)
용기 (Courage)
창조 (Creativity)
공감 (Empathy)
용서 (Forgiveness)

1) 은사와 부르심 (Gifts and Call): 하나님의 은사와 부르심에 따라 계획한다.


2) 창조적 사역 (Creative Ministry): 하나님의 창조의 정신으로 전략적 사역을 찾는다.
3) 공동체 의식 (Sense of Community): 우리는 혼자가 아니고 더불어 산다.
4) 순종적 나눔 (Submissive Share): 주님의 뜻을 따라 삶의 필요들을 서로 나눈다.
5) 부흥과 회복 (Revival & Restoration): 그리스도의 충만한 은혜가 다스리게 한다.
6) 리더십 케어 (Leadership Care): 건강한 리더십을 추구하기 위해 항상 돌본다.
7) 전략적 동역 (Strategic Collaboration): 하나님의 나라를 위해 전략적으로 연결한다.
8) 글로컬 관점 (Glocal Perspective): 로컬에서 가능한 것은 열방에서도 할 수 있다.

C.하시공의 사역의 필요 및 문제점들 (Needs & Problems)

1. 현존하는 문제들 (Existing Problems)

1) 사회적인 이슈들
 자본주의의 시장경제체제의 불가피한 질 낮은 환경 가운데 처한 평번한 시민들에 대한 방관
 복지의 사각지대에서 실제적인 삶의 위기를 맞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의 무관심
 코로나사태와 같은 긴급 재난상황에서의 사회적 약자가 받는 불이익 (삶을 영위하는 방식이
기본조건에서 미달되므로 )
2) 지도력의 붕괴
5
3) 교회의 지속적인 위기 (목회의 생명력 감소, 목회자의 타락, 젊은이의 부재 및 세상 속에서의
성도들의 소금과 빛의 능력의 상실)
4) 인공지능시대의 새로운 사역 모델의 요구 (새 술을 새 부대에)
5) 급변하는 사회적인 이슈에 대응하는 사역의 요구 (저출산과 고령화, 1 인가구의 증가등)
6) 전인적으로 안정감있는 하나님의 리더들의 부재
7) 각종 자연재해의 출몰과 종말론적 위기 상황의 도전

2. 사역의 영역 (Ministry Spheres/Mountains): 7 개의 문화/영향력의 영역 (John Enlow’s 정복 방법론)

영역 영역 속 원수 영역 속 통치자 기본 사명
(Spheres) (Enemy in Sphere) (Ruler in Sphere) (Basic Mission)
여부스족속 가족을 우선순위로
가정의 영역 “왜곡”
(Jebusites) 하는 사회시스템에
(The Sphere of Family) (Perversion)
“거절” (Rejection) 영향을 끼친다
경제의 영역
(The Sphere of 가나안족속
부를 발견하여
Economics) (Cannonites) “욕심”
하나님의 목적대로
과학 (Science) “돈을 사랑함” (Greed)
사용하도록 옮긴다
기술 (Technology) (Love of Money)
사업 (Business)
기르가스족속
정부의 영역 “교만과 조종” 정치의 자리에
(Girgashites)
(The Sphere of (Pride & 겸손한 섬기는
“타락”
Government) Manipulation) 종들로 채운다
(Corruption)
브리스족속
종교의 영역 “거짓숭배” 거룩한 삶의 예배를
(Perizzites)
(The Sphere of Religion) (False Worship) 세운다
“우상” (Idolatry)
아모리족속
하나님을 경외하게
교육의 영역 (Amorites) “거짓들”
하는 커리큘럼을
(The Sphee of Education) “인본주의” (Lies)
창조한다
(Humanism)
매체의 영역 헷족속 (Hittites) 공중에 하나님의
“파괴자”
(The Sphere of Media) “나쁜 소식” 좋은 소식으로
(Destroyer)
컴뮤니케이션 (Commuication) (Bad News) 채운다
축제/누림의 영역
(The Sphere of 더욱 창의적인
히위족속 (Hivites)
Celebration) “유혹” 예술을 통해
“타협”
예술 (Arts) (Seduction) 하나님의 좋은
(Compromise)
연예(Entertainment) 소식을 전한다
스포츠 (Sports)

D. 하시공의 사역의 내용들 (Contents of Hasigong Ministry)

1. 사역 관심 대상 (Ministry Objects)


 꿈을 지닌 미래의 리더들이나 꿈을 실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현재의 리더들
 힘겨운 삶의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나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6
- 사회적 취약계층 (한국기준, 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령 제 2 조)은 사회로부터 거절되거나 고립된
사람들로서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가리킨다. 특히 이들 가운데서 미래를 향한 건전한
꿈과 비전을 지녔거나 사회를 이롭게 할 리더십의 잠재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하시공의 우선적인
수혜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저소득자, 고령자, 장애인, 성매매피해자, 청년 – 경력단절여성 중
고용촉진장려금 지급대상자, 북한이탈주민, 가정폭력피해자, 한부모가족지원법에 의한 보호대상자,
결혼이민자, 갱생보호대상자, 범죄구조피해자, 기타 (1 년 이상 장기실직자, 수형자 -출소 후 6 개월이
지나지 않은 자, 소년원생 – 퇴원 후 6 개월이 지나지 않은 자, 보호관찰청소년, 노숙인, 약물과 알코올
및 도박 중독자, 선천성 희귀난치병 치료자, 여성실업자 중 가족 부양책임이 있는 자, 난민, 조손가정,
외국인근로자, 금융채무불이행자 및 저신용자, 학교폭력 피해자, 학교 밖 청소년, 중증질환자).

전체적인 사역의 대상은 각 사회의 문화적 영역에서 리더십을 발휘할 사람들에게 촛점을 맞춘다.
하나님이 허락한 꿈과 비전이 있으나 지지와 후원이 필요한 모든 자들이 하시공의 사역의 대상이
된다. 그런 차원에서 성경적 개념의 “낮은 자와 가난한 자” 즉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일차적인 대상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약자 (고아, 과부, 나그네, 이방인) 즉 삶의 지지
기반이 약하여 꿈이 좌절된 삶의 환경에 노출된 이들 또한 우리의 깊은 관심의 대상이 된다.

1) 미래 목회자 (Prospective pastor)


2) 창업기획자 (Start-up Launcher)
3) 선교사 지망자 (Future Missionary)
4) NGO/NPO 지도자 (NGO/NPO Leaders)
5) 하나님 나라를 꿈꾸는 어린이리더, 청소년리더, 청년리더
6) 새로운 사역을 모색하는 기존교회나 단체의 리더들
7) 선교지의 리더들

2. 사역의 촛점 (Focus of Ministry)

1) 잠재가능성을 보유한 지도자들에 대한 선택과 집중 (리더의 중요성 강조)


2) 전인적으로 건강한 기독교 지도자 훈련 (특히, 정서적인 리더십 세움)
3) 창조적인 선교적 사역모델 기획 (리더의 창조적 은사의 활용하여 NGO, NPO, 선교사역단체 및
혁신적 모델들을 개발)
4) 다양한 소그룹사역공동체의 개발 (교회의 공동체성 회복)
5) 전략적인 지지후원 네트워크 개발 (하나님의 나라의 관점)

3. 사역의 단계와 절차 (Steps and Procedure of Ministry Management)

누가 보아도 신뢰할만한 리더, 매력적인 리더, 같이 하며 따르고 싶은 리더로 세워지도록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과하게 한다. 자신의 자아상에 대한 왜곡으로 인하여 일그러진 자신감, 헛된 야망, 혹은
불필요한 자괴감등으로 인하여 자신의 소유된 꿈과 비전이 건강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 옳지 않은 꿈과 비전이 하나님의 부르심과 은사의 차원에서 일부 수정이 필요할 수
있어서 적절한 단계를 통하여 주어진 사명에 적합한 리더의 자질을 회복시키고자 한다. 하시공
플팻폼의 지원자들은 다음의 공통의 과정을 통과하게 되는데 플랫폼에 최종적인 포트폴리오
(Portfolio)가 게재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지원자의 수준과 상태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1) 모집단계 (Recruiting Stage): 지원자의 기본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a. 지원경로
• 당사자가 웹서치를 통해서 지원한 경우
• 어떤 개인의 소개를 통해 지원한 경우
• 어떤 온라인광고를 통해서 알게 되어 지원한 경우
•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접하여 지원한 경우
• 어떤 단체 (신학교, 선교단체, 기업 등)가 추천하거나 리퍼하여 지원한 경우
7
b. 구비해야 하는 내용
• 기본적인 개인의 신상 (이름,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혈액형, 결혼여부, 목사안수여부,
교육적 배경, 직업경력 등)
• 개인의 히스토리 (지난 삶에 대한 스토리)
• 개인의 꿈과 비전 (미래를 향한 자신의 미션)
• 신앙이나 신학적인 배경 (영적 훈련과정에 대한 소개)
• 추천인들의 추천 (멘토, 동료, 친구, 가족 등)
• 기본적인 성격유형 테스트
• 선별단계를 위한 인터뷰 일정 확인 (미리 공지하여 셋업)

2) 선별단계 (Screening Stage): 지원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첫 번 째 만남


a. 초기 인터뷰 전 단계
• 지원자와 정한 날짜에 만남
• 인터뷰어는 하시공의 정해진 코어스텝
• 인터뷰어는 지원단계에서 제출한 자료를 충분히 숙지하고 중요한 질문들을 준비하여 지원자를
맞이한다.
• 사용된 질문들 중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묻게 될 질문들은 자료를 모아 매뉴얼화 하는 작업을 해 둔다.
b. 초기 인터뷰 당일
• 인터뷰는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서 진행되되 중심질문들이 던져진 이후에는 인터뷰어들이 즉흥적
질문들도 가능하다.
• 인터뷰의 골자는 지원자의 삶의 전체를 조망하여 그가 가진 꿈과 비전이 건강한 것인지, 제대로
준비가 되어 있는지, 부족한 영역은 무엇인지를 살피는 것으로 한다. 그 중에서도 그 미션을
수행하기에 전인적 건강을 갖추고 있는지를 알고자 한다 (영적, 정신/정서적, 육체적 건강 테스트)
c. 초기 인터뷰 후속조치
• 인터뷰 후에 인터뷰에 인터뷰어로 참여했던 스텝들의 회의를 기획한다.
• 회의는 지원자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을 중심으로 피드백 정보교환 후에는 하나님의 생각과 뜻을 묻는
기도의 시간을 갖는다.
• 하나님의 계시적인 뜻을 따라 지혜로운 후속조치를 논의한다.
• 지원자와의 2 차 면접을 구상하고 계획한다.

3) 상담단계 (Consulting Stage): 지원자에 대한 깊은 점검의 단계 (보정을 위한 조치)


a. 기초검사단계
• 정해진 상담가와의 만남을 주선한다. 지원자에 따라서 상담가가 달리 결정될 수도 있다.
• 지원자는 정해진 검사과정을 통과한다 (정서지능테스트, 성격유형테스트, 적성테스트 등)
• 검사가 마쳐진 후, 상담가와의 2 차 면담을 통하여 검사결과를 숙지한다.
• 상담가의 의견과 지원자의 상담과정을 통하여 지속적인 상담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담가는
하시공의 스텝들과 의논한다.
b. 제 2 차 인터뷰 단계
• 검사결과의 내용을 가지고 하시공 코어스텝은 상담가와 대동하여 제 2 차 심층인터뷰를 진행한다.
• 이 과정의 촛점은 지원자가 원래 가지고 있던 꿈과 비전의 당위성과 그에 대한 적절한 준비상태를
묻고자 하는 것이다.
c. 제 2 차 인터뷰 후속조치
• 제 2 차 심층인터뷰는 지원자가 놓치고 있는 삶의 사각지대를 보게 하여 새로운 삶에 대한 관점을
갖도록 돕는다.
• 하시공이 제공하는 기초훈련과정에 대한 소개를 한다. 이 훈련은 지원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될 수 있으나 기본적인 리더의 소양을 갖추도록 돕는 과정을 마련한다.

4) 조정단계 (Aligning Stage): 지원자의 결핍된 부분이나 수정되어야 할 영역을 보정하는 단계


a. 하시공 내 과정
• 리더기본소양 과정 (일정프로그램 운영): 자아정체성 (나는 누구인가?), 기독교적인 세게관, 하나님에
대한 이해(하나님의 나라와 아버지 하나님), 세상에 대한 이해, 악한 권세에 대한 이해, 제자로서의
삶, 말씀에 대한 깊은 이해, 영적전쟁, 중보기도, 은사과 부르심, 사명과 창조성, 공동체에 대한 이해
등.
8
• 위의 과정은 하시공 스텝의 철저한 관리하 (지속적인 점검)에 진행한다.
b. 하시공 외 과정
• 공동체생활은 필수적으로 통과해야 한다. 하시공과 연결되어 있는 소공동체와의 연계를 통해서
통과하도록 인도한다.
• 다른 기독교 단체들과 더불어 협력한다 (위탁교육, 가령 YWAM DTS, 복음학교, 선교사훈련 등). 이
경우에는 이 후에 그들이 하시공의 다음 단계의 도움을 입기 위하여 그들이 그 과정을 통과하며
자신의 삶을 계속 추적하여 기록하는 Journaling 을 하도록 가이드한다.
• 이 소정의 과정이 마친 후에는 그들이 적성에 적합한 영역의 멘토나 코치와 연결하여 준다. 그들의
도움으로 구체적인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작업을 갖도록 한다.
c. 개인적인 케어과정
• 개인적인 경건생활이 체질화되도록 도와야 한다.
• 이것에 대한 자료와 정보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차별화할 수 있으나 기본적인 틀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자칫 율법적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5) 정보공유단계 (Informing Stage): 지원자의 포트폴리오 (Portfolio) 제작과정


a. 포트폴리오
• 포트폴리오는 지원자의 특성과 미션의 특이함을 따라 창조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 포트폴리오는 지원자의 삶의 모든 것이 녹여져 있어야 한다.
• 포트폴리오는 재미와 감동이 있어야 하고 결국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강력한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 포트폴리오는 개성과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 포트폴리오의 분량은 길다고 좋은 것은 아니다. 그 길이는 지원자의 목적에 따라서 현명하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b. 포트폴리오의 구성
• 개인의 삶의 여정을 묘사하는 글을 기록하되 앞으로 펼치고 싶은 꿈과의 연관성 안에서 구성해보도록
한다.
•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사역에 대한 비전과 미션선언문, 핵심가치와 그 꿈에 이르기 위해 설정한
장단기 목표와 그 단계들을 나눈다.
• 그 꿈을 이루어 가는데 막히는 장애나 걸림돌에 대한 것들을 나눈다. 개인적인 영역에서나 환경적인
면등 다각도의 어려움들을 토로하는 내용을 기록한다.
• 그 꿈을 이루어가기 위하여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필요사항들의 리스트들을 구성하여 본다. 이
필요사항의 꿈과 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필요들은 또한 즉각적인 필요, 순차적인 필요,
지속적인 필요사항들로 나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기획제작물 (지원자와의 인터뷰, Vlog 등)을 하시공미디어팀과 더불어 제작할 수 있다.
• 지원자의 꿈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이들의 응원의 글들이나 영상물을 게재한다.
• 지원자를 후원하는 후원자들의 추천의 글들 (지원자의 신뢰성을 확보)

6) 수집단계 (Collecting Stage): 지원자의 꿈과 비전을 이루기 위한 필요를 모으는 단계


a. 인적자원 (Human Resources)
• 동역자 (사역적 동역, 자원봉사자, 풀타임, 파트타임)
• 중보기도자 (기도의 자리)
• 브릿지 (동역자들을 연결시켜 줌)
b. 물적자원 (Physical Resources)
• 재정적인 후원 (지속적 후원, 일시적 후원 – 헌물)
• 재정적인 투자 (사업적인 투자 – 돌려 받음)
• 장소의 후원 (필요한 장소를 제공)
• 물품의 후원 (사역에 필요한 물건들을 나눔)
c. 정보자원 (Informative Resources)
• 사역에 필요한 어떤 종류의 정보를 나누어 줌

7) 실행단계 (Implementing Collecting Stage): 지원자가 킹덤후원자들과 함께 사역 계획


a. 투자현황 실시간 점검 및 피드백
• 어떤 형태로 수집현황을 업데이트 할 것인가?
9
• 여전히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어떤 대책을 마련할 것인가?
• 넘치는 부분에 대하여 어떻게 조정할 것인가?
b. 실행계획 수립
• 지원자는 멘토나 코치와의 긴밀한 논의 하에 주어진 자원을 활용하여 어떻게 사역을 진행할 것인지
논의한다.
c. 연합기획
• 지원자는 하시공과 더불어 실행계획 등을 최종 논의한다.
• 사역런칭을 위한 감사의 예배를 기획한다 (동역자들과 후원자들을 초대).

E.하시공의 그룹 소개 (Groups of Hasigong Ministry)

1. 하시공 이사회 그룹 (Board of Trustees, BTG)

이사회 그룹은 하시공에 대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사역을 철저히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그 사역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는 책임적인 자리이다.

1) 하시공의 미션과 관련된 활동에 대한 신용보증의 책임, 조직의 임무달성과 이해관계, 정책의 형성 및
윤리적 책임, 그리고 조직의 정관을 실행한다.
2) 재정관련한 기획을 수립하고 예산을 설정하며 장단기 계획을 수립하기도 한다.
3) 하시공의 업무수행 평가, 조직에 대한 이해 대변, 모금활동, 조직 권익등을 옹호하는 역할을 한다.
4) 이사장을 비롯한 상임이사들, 이사, 감사로 구성한다.
5) 비영리사단법인을 설립하기 위하여 2 인이상의 설립자가 필요하다. 2 인 이상의 설립발기인은 정관을
만들어 기명날인하고 구성원을 확정하는등의 일을 한다. 사업목적이 동일한 사람들이 모여야 한다.
그 후에 법인의 명칭을 정하고 동일명칭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http://easylaw.go.kr/CSP/CnpClsMain.laf?
popMenu=ov&csmSeq=83&ccfNo=2&cciNo=1&cnpClsNo=1
6) 비영리사단법인이 수익사업을 하여야 하는 경우 https://easylaw.go.kr/CSP/CnpClsMainBtr.laf?
popMenu=ov&csmSeq=83&ccfNo=5&cciNo=3&cnpClsNo=2#

2. 하시공 서번트그룹 (Core Servant Group, CSG)

1) 대표: 하시공을 공적으로 대표, 비전을 수립 제시하고 시즌에 맞는 사역을 창조


2) 고문목사: 영적인 분별을 통한 조언과 지원
3) 사무총장: 전반적인 사역의 행정적 운영
4) 기획 및 전략실: 사역의 기획 및 전략 수립
5) 홍보 및 마케팅 팀: 사역의 외부와의 연계점 마련
6) 대외협력팀: 기존의 단체와 신생단체와의 끊임없는 컴뮤니케이션
7) 토털멤버케어팀: 하시공의 수혜자들의 지속적인 관리체계 마련
8) 중보기도팀: 하나님의 나라의 원칙을 따라 수행하도록 영적지원

3. 하시공 지지자 그룹 (Trainers & Counselors Group, TCG)

1) 멘토: 해당 분야의 전문가 그룹 (실제적인 준비 뿐 아니라 인생 전반에 대한 모델이 되어주는 사람)


2) 코치: 동기부여의 전문가 그룹 (사역 파트너그룹 – 지지자, 지원자)
3) 상담가: 내적치유전문가 그룹 (자아정체성 확립 및 위기관리 지원그룹)

4. 하시공의 트레이너 그룹 (Research & Development Group, RDG)

1) 신학자 및 학자그룹: 리더십과 선교적 사역에 대한 구체적 이론을 제시하고 공적으로 발표하는 일을
한다.
2) 훈련자: 어떤 분야의 전문가로서 리더의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주는 지원자
10
5. 하시공의 협력단체 그룹 (Strategic Partner Group, SPG)

1) 가족
2) 교회 및 기독교 공동체
3) 선교단체 및 기독교 민간단체
4) 기독교기업
5) 개인 기독교인

재정의 출처
1. 기부를 받는 것
2. 후원을 받는 것
3. 수익사업을 하는 것

주변에 빨리 알려서 후원을 받고 싶다.

사업계획
1.

하시공서번트그룹

대표 (President): 남동현
ㅡ 하시공의 영적 아비의 역할
ㅡ 하시공의 대외 업무 및 공적권위를 대표하는 일 (Signature Authority)
ㅡ 하시공의 비전과 목표 수립
ㅡ 하시공의 전략기획 과정에 참여하고 실행 감독
ㅡ 하시공의 자금확보를 위한 대외적인 모금활동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 정일
ㅡ 하시공 내부의 전반 업무 관리 감독 (인사, 법률 등)
ㅡ 하시공의 전체 스텝과 멤버 관리 감독
ㅡ 하시공의 행정과 회계관리 감독
ㅡ 하시공의 자금 실행 감독
ㅡ 하시공의 정책과 전략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 및 책임 감독
ㅡ 하시공의 대내외적인 정보 공유 (뉴스레터, 미디어, 소셜미디어, 웹사이트)

고문 (Advisor): 이경숙
ㅡ 하시공의 영적 어미 역할
ㅡ 하시공의 영적인 조언과 중보
ㅡ 내부 회원들의 업무및 갈등 조율 및 해결
ㅡ 대표의 역할을 전체적으로 뒷바침

전략기획실 (Strategic Planning Office): 정/전향진 (Director), 부/장수진(Assistant Director)


11
ㅡ 하시공의 비전에 따른 전반적인 계획수립과 전략적인 기획업무
ㅡ 하시공의 장단기 계획 수립(주별, 월별, 분기별, 연간)
ㅡ 하시공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기획
ㅡ 하시공의 각종 프로그램과 서비스영역 결정 및 개발, 실행 계획 수립
ㅡ 하시공의 성공적인 미션 수행을 위한 제반 조건들을 전략기획 (사역대상, 하시공의 시설확보,
브랜딩과 마케팅, 자원개발, 자금활용기획)
ㅡ 하시공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기획
ㅡ 하시공의 구체적인 액션플랜 수립
ㅡ 하시공의 사역 점검 및 관리
ㅡ 사무총장와의 긴밀한 공조 및 사업 보고

행정실 (Administrative Office): 장희정 (Director)


ㅡ 하시공의 모든 서류업무와 행정 담당 (모든 사무용품구비)
ㅡ 대표, 사무총장, 그외 부서의 모든 업무에 따른 행정사항을 기록및 배포
ㅡ 각 회의 내용정리및 기록내용 공유
ㅡ 행정에 따른 내부재정관리
ㅡ 하시공의 급여및 행사비용등을 집행
ㅡ 정기적인 재정보고 및 사무비용 책정
ㅡ 파일시스템 구축 및 비밀문서 관리
ㅡ 하시공 사역에 대한 전반적인 질문에 대응
ㅡ 하시공 사무실 정책 업데이트
ㅡ 하시공의 캘린더 업데이트 (일정 및 약속)
ㅡ 모든 네트워크 컴뮤니케이션 지속적인 관리 (대내외적 이메일, 전화 등)
ㅡ 모든 통계자료 작성 및 보고
ㅡ 하시공의 각종 이벤트 스케쥴링과 알림

홍보실 (Public Relations Office): 김선정 (Director)


ㅡ PR 이벤트 캠페인 기획 및 미디어와 관련한 전략수립 (연예인 마케팅, 방송언론 마케팅, 드라마,
영화, 마케팅등 아이디어 개발 제공)
ㅡ 소셜미디어 (Youtube, Tweeter, Instagram, Band, Blog, Websites 당근마켓등)를 통해 하시공을
외부에 알리는 전반적인 홍보 업무
ㅡ 판촉홍보물 제작 및 베포 계획 수립 (브로셔, 비디오, 소셜미디어에 게재할 컨텐츠 제작)
하시공을 외부에 알리는 모든 제반 사항을 통해 후원이 이루어지도록 함
ㅡ 파트너, 스폰서, 광고의 기회를 확보
ㅡ 미디어의 트렌드 연구 및 리서치
ㅡ PR 상황 정기적인 보고 PR 에 관련한 이슈관리

대외협력실 (External Cooperation Office): 김수현 (Director)


ㅡ 다양한 포텐셜 리더발굴 리서치 (고아원, 교회, 학교, 단체 등)
ㅡ 후원을 위한 제반업무: 월정액, 후원요청제안서 통한 후원요청, 기부금 문화정착에 따른 정보공유
ㅡ 기부자들, 후원자들과의 지속적인 관리 및 대화
ㅡ 국내외 기관을 데이터화하고 그에 따른 인재 발굴및 필요사항 점검
ㅡ 하시공 사역 수혜자들에 관련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ㅡ 로컬기관, 국제기관에 하시공 사역에 대한 정보를 공유
ㅡ 대외 협력을 위한 워크샵, 세미나, 컨퍼런스 혹은 기타 공공이벤트의 결과 보급

서번트들의 의견들

이경숙목사님 굉장히 이상적이다. 남목사님의 실제에 경험을 바탕을해왔기에 너무 이상적이다


하나님의 때에 준비된자를 사업가로서 만나게 하셨다. 숨겨논 자들이다 조직이 없다. 그분들이
제안한것은 아직 오케이가 안되고있다. 우리들의 코어들의 기름부음이 있어야한다. 리더에대한
하나님이 주신것들 화나님과 영적 육적인것이 다 된사람도 있다. 없는 사람이다 그것을 흘려 보내자
하나님께 서 둘을 연결 해준다 그게 네트웍이다 사업을 하는 사람들 많다 리더들의 부재가 있다.
필드에서 선생인데우리가 해준다해도 안되는것이다 코어 그룹이 먼저 리더로 세워져야 한다 우리가
12
리더세우는것이 중요하지만 이것이 개혁하고 싶은 하나님의 개혁이 주신것일 수도 있다 우리
하시공도 리더가 되야한다. 우리가 먼저 만들어져야한다.하나님의권능으로 우리가 먼저
바뀌어야한다.

장수진 간사님 생명주는 교회 목사님도 그렇게 하셨다. 내가 다 못하네.. 선택과 집중밖에 없다.라는
것을 할게 하셨다. 좀더 구체적이여야한다
전향진 시간이 많이 걸린다. 중요한 일인데 확 와닿지 않고 시간이 걸린다. 우리가 보여줄때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남목사님 의 미션펀드는물질이다. 분야가 너무 많다.
사람을 세우는게 너무 길어서 기반적인것을 먼저 세워보자고 한것임
2 년반안에 무엇인가 힘든 일이 있을것이다
돈만 주면 안된다.
사업가들이 지나와서 토대가 되는것이다. 놓치고 잇는것들을 자꾸 깨워갔다 급하지 않다. 마지막
새대 당신 준비 안되면 하나님이 돈을 안주신다. 진짜 그릇이 만들어져야한다. 만날자들을
만나게하신다. 숨은 의도가 있으신다. 사업가들을 케어 해야 한다. 하나님의 숨은 의도를 알아야
한다. 부르심에 집중해라. 작은것들을 먼저 해라 먼저 이야기하고 취하는게 아니라 잠잠히 주님이
하시는것을 기다려라. 하시공(리더세우는것) 두나미스(중보기도) 시엠시(사업) 각자 각자 연합해서
해야한다. 펜션을 하시공에서 요리하게 하신다고 말씀하심. 하시공의 목적 비젼이 바로 세워야한다.
현재 상황에 맞는것 지금 할수있는 사역 구제 꿈나무를 키우는것 사회 리더를 키우는 일도 먼저 해도
된다. 목적은 목적이고 사역은 사역이다.
18 세이상 고아의 아이들을 리더로 세운다. 가정을 꾸리기가 힘들다. 악순환을 보니 이사람들을 케어
해주는것은 간단하다.
씨엠씨는 물건들을 가지고와서 재창조를 하시는 단체들이다.
우리하시공은 연합이다.
사업가들이 쏟아질텐데 1 년반동안 24 시간동안 기도했다. 하시공으로 흘려 보내고 싶다고
느낄수있도록 만들어야한다.
계획을 먼저 세우고 경비도 계획세운다. 하나님 거룩한 사업입니다. 후원자에게 제안서를
제출해야한다. 고아 일경우 그렇다. 행정적 뒷바침을 하는 사람일 수있다 우리가 섬길만한 사람이
되아야한다. 서번트이지만 역량이 있어야한다. 직접적인 행정만 하면 된다. 진행중에 있다. 지금은
개념만 있다.
엑션플랜 처음에 이미지 메이킹을 할수 있는지 이것을 구축해야한다
우리들의 역할을 알게한다.
웹사이트는 온라인에 플렛폼을 만들어야한다.
하시공의 이벤트 18 세 이상 고아들을 모아서 20 명 선착순 모은다 2 박 3 일
아이들을 상담하고 레크레이션도 한다.
하시공 제안서 사업의 하나
결국 리더를 세우는것이다 결국 약자 들을 대상으로 하고 싶다. 하나님의 시간과 공간에 18 세 이상
고아들을 먼저 후원하게 된다. 돈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돈으로 생각 하면 서글퍼진다 주님의 일을
하게 하는데 헌신하는데 주님 책임 져 주세요 라고 기도 해라 하나님이 공급 하신다.
하나님의 계획을 기억하신다. 민감하고 기도하면서 하시공을 통해서 하나님이 하실 일을 봐야한다.
각자 기도하고 만날자를 만나게 하신다. 하시공의 뼈대에 대해서 인식할수 있게 된다. 각자 숙지
해야한다. 하나님께서 나를 통해서 무엇을 하실지 민감하게 느껴야한다.
각자 임무수행에 대해서 알면 하나님께 그 임무를 갖고 나아가야 한다 하나님이 생각을 갖도록
할때까지 기도하고 하나님께 씨름을 해야한다. 하나님의 음성을 각자 들어야한다. 하나님은
일하시는데 우리가 준비가 안되있다. 원초적인것 부터 흔들신다. 걸음마의 수준으로 하나님을
만나야한다.

업무분담
대표 남동현 아버지 역할 공적대표 비젼 목표 실행 모금활동 등등
고문 이경숙 목사님 어머니 역할 영적인 중보 내부 회원들의 업무 갈등해소. 문제 해결
후원 활동 등등
사무총장 정일 하시공내부 행정 전략 관리 감독 전체 스템 관리 감독 자금 실행 감독 등등
밴드 참조
13

정일 집사님의 브리핑
어떤 목사님과 장로님께 하시공에대한 설명할 시간이 있었다. 하시공을 하게된 그날 밤에
남목사님의 사역 비전을 듣고 아바홈 리더세우는것에대해 듣고 좋앗던것들을 플렛폼을
만들었던 이야기를 해드렸다. 그랬는데 굉장히 중요한일인데 임팩트를 주기는 쉽지 않다고
느꼈다 광고에대한 생각을 했다. 만원에 기부를 할수있더록 만들어내게 하는 광고를
떠올렸다. 하지만 하시공은 그런 임팩트가 없ㄷ 어떻하지 라는 마음이 들었다. 나중에는
홍보를 하든 기부금 받을 수있는 일을 하기에 너무 어렵겠다는 생각을 했다. 새만금의
개간된땅을 7000만평의 준다고 함. 땅에 지원되는 사업비으 70프로 나라에서
지원해준다고함 좋은 생각이 있으면 해보라고 햇다. 세가지 섬싱아마존 리커버리 헤버른*
* 등 3가지를 했었다 스마트팜에대한 생각도 있었다. 환기회사 버섯재배하는데 환풍기도
달았다. 김목사님이 말하실때 하시공의 일이 사실은 명확이 하시공 사업영역이 크게는
리더를 세우는 일 (아바홈) 하시공이 여러가지 일들을 막연하게 많은 일들을 하겠다
생각만했다. 리더를 세우는 일, 신학생,교회 컨설팅,개척도움, 프로세스가 많이 있다.
신학교도 세우고, 교육사업안에 아바홈은 선교 단체 그룹홈 멘토 멘티 그안에 리더를
세우고 신앙 배우는것 구제 사업, 다른 엔지오와 차별이 없다. 식량 집 기존하는 단체와
구별이 없다. 두나미스선교 등등 여러곳에 갈때 긴급구호물자들이 이안에 다있다. 땅이
있으면 스마트 팜으로 만들어 기부하는 회원들에게 돌려 드릴수있는 것이 될수도 있다.
마지막때에 표받기전에 그런 시대가 오기전에 숨은 차원으로 식량 창고로 사용할수도
있다. 식량이 남으면 비상식량이되면 선교지나 유통도 할수 있는 생각했다. 사업영역을
넓혀보자. 남목사님도 공감은 하지만 다른 단체와 구별이 안될수 있다. 7대 영역 에서
리더가 될수 있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자 했다

전향진
세만금따이 오든 안오든 땅을 구입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기반과 사람이 같이 가야된다고
생각한다. 마지막때를 준비를 해야한다. 정관을 사단법인의 정관을 따왔다. 목적과 사업만
정확하면 된다. 미션 펀드 가 실제로 있다. 하시공은 돈과 물질 사람 모든것을 홍보할수
있다.
후원이 벌써 이루어지고 있다. 후원에 대한 마인드는 많이 열려 있다. 법인이 세워지려면
자본 주소 등등 필요한다. 기부금영수증도 끈을수 없는 상황이다. 정립과 정리를 해야
된다. 홍보도 해야된다. 찌라시 소개할만한 피피티 한페지 정도 브러셔등을 만들어야 된다.
다른 지오등의 브로셔도 봐야 된다. 할수 있는대로 찾아서 일을 해보자. 하시공에 대해서
이야기 할수 있는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하시공 리더 세우는것 하나님의 공간과 시간에
있는것 그것으로 뭐할것인가 등등 정말 나는 누구인가 이런 것들이 보여 줘야한다.
하시공의 목적 색깔을 숙지하고 세워진 영역에서 무엇을 할것인가 알고 기도하고 정보
교환할수 있는것이다. 모든 정보를 갖기 전에 우리가 돈이 얼마 있는데 처럼 하나님의 뜻을
알고 싶다.
이렇게 해 나가려는거 하려고 하는 목적과 하나님의 관점을 알고 갑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