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개인화폐시스템 돈(-) vs 정치화폐시스템 돈(+)

(원시적) 개인화폐시스템 정치화폐시스템


부기적 개념 – 음(陰)의 엔트로피: 돈(-) 물질적 개념 – 엔트로피: 돈(+)

‘가치’

돈 (빚) 상호간 약탈
감사의 증표 (빚) 돈 (빚)

- 왜곡 ‘가치’ ‘가치’

원금 + 이자 (중앙)은행 원금 + 이자
수혜자 고정 채무자 고정 채무자
기부자 전도
발권자/ 채무자 독점 발권자/ 고정 채권자
부(富) 채권자
구매자 판매자

‘가치’
나도 누군가 나보다 더 필요로
나보다 더 필요로 하는 이를 비록 나에게 불필요한
하는 이를 위해 내가 가지고 거래 상대방의 절박함
위해 기꺼이 포기 (=나눔) 것이라 할지라도, 절실하게
있는 것을 기꺼이 포기 (=나눔) 혹은 약점 등을 이용하여
경쟁적 축장 필요로 하는 사람을 상대로
가능하면 최저가로 산다
최고가로 판다

배려(나눔)와 순환의 경제 상호간 약탈 경제

흐름 (Flow) 축장 (Hoard) – 병목 (Blockage)


현존, 자유 굴종, 예속
풍요 결핍
사랑, 행복 혐오, 불행

살림 죽임
화폐시스템의 진화, 우리는 지금 어디에? – Moneyless 개인화폐시스템 vs Cashless 정치화폐시스템
화폐시스템과 인간의 삶 – Moneyless 개인화폐시스템 vs Cashless 정치화폐시스템
Money Power 회복을 위한 초석으로써의 고객보상프로그램(마일리지)
– ‘마이크로 소유권’ 모델에 의한 수익 배분 시스템 (RSS: Revenue Share System)

‘마이크로 소유권 모델 (Fractional


Ownership)’에 의한 RSS 수익배분 (RSS)의 근거
• 소비행위로 발생하는 부가
정보에 대한 대가
판매자 마일리지 • 직간접적인 마케팅 홍보 대행
(변형 다단계)에 대한 대가
• 재구매(충성도)에 대한 보답
기존 VAN 마일리지 P2P Network

법정화폐 분산장부
(Fiat Currency) (Distributed Ledger)
컨버터

마일리지
+
RSS

전자지갑
구매자
Smart Contract
Money Power 회복을 위한 초석으로써의 고객보상프로그램(마일리지)
– ‘소비를 통해 화페(=돈)가 발행된다’는 의미

• 판매자는 자신 소유의 ‘가치(=상품)’를 포기한 대가로 구매자로부터 ‘화폐(=구매력)’를 얻게 됨.


• 이때,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마일리지 (혹은 포인트)는 판매자가 미래 시점에 조건이 충족될 경우 자신 소유의 ‘가치(=상품)’를
포기하겠다는 약속임. 즉, ‘구매력(=화폐)’을 구매자에게 제공해주겠다는 약속임.
• 그러나 이들의 구매력은 법정화폐라는 정치화폐의 구매력과는 달리 보편적 구매력의 지위를 얻지 못하고 제한적으로만 적용됨.
• 만약, 이 고객보상프로그램(Loyalty program)에 기초한 마일리지를 분산장부기반의 ‘마일리지 생성기’를 통해 보편적 구매력의 지위를
부여하게 될 경우, 정치화폐시스템에서 벗어난 개인화폐시스템으로의 복원을 위한 초석이 마련 될 수 있음.
Money Power 회복을 위한 빅뱅
– 게임 및 복권 등의 시장을 통한 양화(良貨)의 귀환

•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유형의 가치’를 공동체 내의 타인을 위해 나눌 때(=기꺼이 포기할 때) 피어 오르는 불사조(= 양화, 돈, 구매력)의
탄생이 가로막힌 현 ‘불임 체제’ 하에서,
• 게임, 도박, 복권, 보험 시장은 다른 시장들과는 달리, ‘나’ 뿐만이 아니라 ‘남’을 위해서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구매력(=화폐)’을
포기하는 ‘가려진 나눔’의 시장으로,
• 현 정치적 화폐 (=구매력) 자체를 ‘나’를 위해, 그러나 동시에 타인을 위해 다시 한 번 더 포기함으로써 업그레이드된 불사조의 귀환을
대규모로 영접할 수 있는 악화의 화장터이자 양화의 자궁임.
개인화폐시스템에서의 ‘교환’과 ‘투자’는 한 몸

– 교환
• 이미 존재하는 실질적 부(富)를 포기함으로써(=배려, 나눔), 타인(모두)의 ‘당장의 필요’를 충족
• 이때 발행/사용된 ‘돈(=구매력)’은 교환을 촉진시킴과 동시 확대 시킴

- - - -
회수 / 정산
발행
...
포기

+ + + +
흐름 (Flow) – 풍요 – 살림

– 투자
• 모두를 위한 ‘미래의 필요’, 즉 아직 존재하지 않은 ‘가상의 부(富)’를 인정하고, 그에 상응하는 실질적 부(富)를 포기함(=배려, 나눔)
• 이때 발생되는 ‘돈(=구매력)’은 교환을 촉진시킴과 동시 확대 시킴
• 무(無)에서 유(有)가 창조되는 연금술

- +
인정 포기

발행 - +
...

...
가상의 부(富) 부(富)
(Virtual Wealth) - + (Wealth)

회수 / 정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