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트라우마 치유공간에 관한 연구

-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공간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about Trauma Healing
- Focus on the Analysis of Historical Trauma Healing Space -

Author 원 연 Won, Youn / 정회원,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석사과정


강철희 Kang, Chul-Hee / 정회원,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부교수*
Abstract On this modern day, people are exposed to trauma such as terror, war, politics, religion and so on, and there
is an increase of effort and concern to cure the trauma. As in Korea, the country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due to political ideology, therefore there is an psychological injury trauma from Korean War. Precedenc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memorial space to heal the trauma and cherish the memory of
a recessed people. The trauma rehabilitation stage can be divided into three: safety, memory and sympathy,
and injury.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elements and memorial spaces that were carried from trauma,
sensible experience and healing characteristic of the period were drawn. The research analyzes characteristics
of the memorial space that can heal historical trauma, called Korean War, through sensible experience.
Therefore, it proposes an important direction to build sustainable memorial space where everyone can
sympathize.
Keywords 정신적 외상(트라우마), 치유, 기념관
Trauma, Healing, Memorial Hall

1. 서론 고통의 기억 등 치명적인 상처를 남겼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국내외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공간을 조
사·분석하여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고, 한국전쟁 이후 트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라우마가 있는 사람들에게 사회적으로 치유하고 많은 사
현대사회의 많은 사람은 정신적 외상인 다양한 트라우 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기초자료
마(trauma)에 노출되어 있다. 사회에서는 정치·종교적인 로써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유로 정신적 충격이 생겨나고, 가정에서는 아동학대로
인한 피해자가 발생하고, 국제적으로는 테러 때문에 정
신적 외상을 겪게 된다. 이처럼 다수의 사람이 각기 다 1.2.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트라우마의 개념 및 회복과 치유공간에 대
른 배경에서의 트라우마를 겪고 있으며 한국의 현대사에 한 개념을 고찰한 후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공간의 특성
서도 트라우마를 발견할 수 있다.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공간특성요소를 바탕으로 국
일제 강점기 이후 전쟁으로 인한 조국의 분단이다. 전 내외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치유하는 공간의 특성 분
쟁의 발발은 1950년 6월 25일 정치적 사상의 차이로 남 석을 토대로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회복을 돕는 기념공간
한과 북한의 한국전쟁이 진행되었으며, 그로부터 3년 뒤 을 구현하기위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에 1953년 7월 유엔군, 북한, 중국 사령관 사이에 휴전하 본 연구의 범위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한
였으며 휴전 후 군사 분계선1)이 설정되었다. 한국전쟁 공간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선행연구
이후 그 시대의 사람들의 삶에 폭력, 죽음, 분단, 이별, 에서 언급된 대표적 추모 및 기념관인 독립기념관(국내),
전쟁기념관(국내), 유대인뮤지엄(국외), 홀로코스트박물관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chulhikang@hanmail.net (국외)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8권 1호 통권39호 2016년 5월 45
2. 이론적 고찰 자와 정신학자 중에서 어 학자들은 이를 다 단계로, 떤 섯

어 학자들은 여 단계로 나누기도 하지만 개념상의


떤 덟

2.1. 트라우마 세 단계로 정의하는 일관성을 아 수 있다. 심리 정 찾 볼

(1) 트라우마의 개념 신의학에서 말하는 트라우마 회복의 단계에 관한 연구는


트라우마(trauma)는 본래 해부학 용어로서 육체적 ‘상 트라우마를 회복하고 치유를 위한 공간 자인 계 및 디 획

처’를 가리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였으며, 그것이 구현에 있어 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5) 매

심리학, 정신분석학 용어로 정착되면서 정신적 외상을 뜻 <표 2> 트라우마 회복의 단계
하는 용어가 되었다. 현재 인문사회과학에서는 전쟁이나 증후군 1단계 2단계 3단계
재앙, 사고와 같은 재난의 극단적 충격의 잠재의식 속에 히스테리아
억압되면서 지속적인 환각, 악몽 플래시백 등 형태로 돌 안정화, 증상중심치료 외상 기억의 탐색 성격 재통합 ,복귀
발적으로 재귀하는 증상을 말하고 있다.2) 역사적으로 트 전투외상
라우마는 누구나 마주칠 수 있었음에도 체계적인 연구나 신뢰, 스트레스, 관리
교육 외상의 재 체험 외상의 통합
관심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표 복합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1>3)과 같이 다양한 재난으로 인한 트라우마에 노출되면 안정 기억의 통합 자기의 발달, 추동의 통합
서 트라우마를 치유 및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과 관심이 다중 인격장애
급증하고 추모 및 기념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진단,안정화, 소통,협력 외상의 대사 완결, 통합, 완결 이후 대처
기술의 숙달
<표 1> 트라우마를 입히는 재난의 유형과 기념공간의 사례 외상성 장애
안전 기억과 애도 연결의 복구
재난의종류 재난의 원인 대표적 기념관 공간사례
Type of Cause of damage/ death Typical cases
disaster 2.2. 치유공간의 개념
자연재해 Natural Disasters 치유의 개념은 래 ‘치료하여 을 게 한다.’는 뜻 원 병 낫

기후성재해 태풍, 홍수, 호우, 폭풍,해일,


폭설, 가뭄, 황사 고베 지진 기념관 으로, 치료( ur )는 기 적, 과학적, 육체적, 근에 관
c ing 술 접

지진성재해 지진, 화신폭발 쓰나미 메모리얼 한 것이지만 치유( a )는 정서적, 인간적, 경 he ling 더욱 험

인위적 재해 Human Disasters 적인 면에 초점을 추고 있다.6) 일 적으로 치유 공간 맞 반

교통사고 (자동차,철도,항공, 선박) (


治癒 )이 용어는 노인요양시설이나
空間 란 등에서 병원

사고성 재해 산업사고화재
(갱도, 가스, 화학폭발) 체로노빌 기념관
시카고 화재 메모리얼 환자의 심신을 안정시 수 있는 적한 자연 공간의 도 킬 쾌

생화학 등(바이러스, 유독물질 등) 입 을 의 하거나7) 이나 를 다 심리 치료 공간,


미 빛 색채 룬

홀로코스트 박물관, 또 는 종교적인 명상과 상 사를 통한 치유를 하는 공간 담

계획성재해
전쟁 나가사키 원폭희생자를 위한 평
화 기념관, 유태인박물관 을 연상하게 한다.
태러, 폭동 오클라호마시티 메모리얼, 9.11 메 라서 역사적 트라우마를 치유할 수 있는 공간은 정

모리얼 서적이면서도 인간적인 면에 초점을 추어 트라우마를 맞

이러한 기념공간이 증가한다는 것은 트라우마를 회복 극복하고 방문하는 이들이 모두 공 하며 위안을 을 감 받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일 것이다. 수 있는 치유공간이라 할 수 있다.


(2) 트라우마의 회복
심리학에서 정리하는 트라우마의 회복은 대체로 <표 3.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공간의 특성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단계로 거쳐 정의되어 진다.
첫 번째는 안정화 단계이며, 두 번째는 외상의 기억과 3.1. 트라우마 치유공간의 시대적 특성
애도를 하는 단계, 세 번째는 외상과의 통합하는 단계이 트라우마 치유공간의 특성은 선행연구 자료에 근거하
다. 트라우마를 회복하는 과정에 관해 연구했던 심리학 여 <표 3> )과 같이 정리요 하였다.
8 약

1) 군사 분계선 남북 양쪽 2km의 대상지역(帶狀地域)은 비무장지대


(DMZ m tar )로 설정하여 이를 충지대로 으로써 5) ., .17
적대행위( )의 발생을 방지하는 지역. 6) u k Mar , Da t r u ta a D . 1 t
:de ili ized zone 완 함 Ibid p

2) ut a , rauma a , . a r , M ra , rk, 2000, .321


敵對行爲 G zows i y yligh ing fo s s n ble esign s ed

t , 2000, .1 40 7) 주, 최상 , 노인특성을 고 한 노인용양시설 치유환경 가에


R h L ys T : A Gene ligy The Univ of Chic go P ess eG w-Hill New yo p

3) 우지연, 회복력 있는 도시 트라우마를 다 는 공간다지인 연구, 서 관한 연구, 한국 내 자인 학회 학 발표대회 문 제 11 1


L d London pp 8- 송효 헌 려 평

대 박사 문, 2013, .14 2009.5, .204


루 실 디 술 논 집 권 호

4) ., .17 재인용. ) 우지연, . t., .46 66


울 논 p p

Ibid p 8 op ci pp -

4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8권 1호 통권39호 2016년 5월


<표 3>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공간의 시대별 특성 며 배경의 장소에서는 인물이 있기에 기념관의 분 에서 류

년도 특성 는 우선 위는 다.13)
순 없

특성 전시형태 전시내용 여기서 트라우마 치유공간은 특정‘인물’중심을 다 는 루

1980 위로의 디자인과 메모리얼


년후 대중의 참여 유도
대중과 소통하는 치유의벽
“머무는 장소” 곳이 아 며 사 중심과 장소 중심으로 공간을 계 한다.
니 건 획

네러티브적 접근 방문객의 이야기를 들려주듯


공간을 구성 3.3. 소결
1990 오감의 사용한 전시매체 오감을
포와
통한 희생자들의 공
슬픔을 체험 에서 도출한 트라우마를 치유는 공간 특성은 시대별

년후 감성체험 치유 로 위로의 자인과 성체 , 적 체 , 다양한 로


인터렉티브 디스플레이어 참여 공간전시 글을 통한
관람객의 느낌을 디 감 험 건축 험 프

시대의 기억을 느끼게 도와 그 을 통한 치유로 4가지로 구분 되었고 시대적 특성


흔적의 보존 주는 전시 등은 사례 문을 기 으로 간 하게 요 정리 하였다.
논 준 략 약

2000 건축구조를 통한 공간 체험 사진과


피한
자료를 나열전시 탈
공간디자인콘텐츠
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트라우마는 회

년초 건축체험치유 빛으로 예술체험을 가장 극 복의 3단계의 단어로 기억, 안정, 애도로 정리 하였고 감


빛을 통한 공간체험 대화 시켜주는 요소 성체 은 시대별 특성의 전시형태와 치유는 개념의 정리

2002 다양한 프로그램 국가차원의 프로젝트 2001년 미국의 테러이후 역


사적 재난을 다룬 형태 에서는 나 는 단어 정서, 명상, 자연으로 요 하였다.
오 약

년 의 치유 민간 프로젝트의 활성화 이 연관된 단어들은 <그 1>과 같이 연관성을 정리


하였다.
3.2. 기념관의 분류와 구성요소
기념관( , m m r a a )9)은 현재 특화박물관으
紀念館 e o i l h ll

로서 기념관을 로 정의하고 있지 다. 단지 사전적


따 않

의 로 ‘어 뜻 은 일이나 한 인물 등을 래도
미 떤 깊 훌륭 오 록

잊지 아 하고 마음에 간 하기 위하여 세 물로서


니 직 운 건

여러 가지 자료나 유 을 진 하여 다.10)’ 라고만 명시


품 열 둔

되어있다. 이 의 에서 수 있 이 기념관에 물 을
미 알 듯 품 <그림 1> 트라우마 치유의 공간 특성의 연관성
진 한다는 점이 박물관11)과 유사하나 사 이나 인물을
열 건
위 그 으로 정리된 특성의 연관성을 트라우마 치유공
기념한다는 부분에서 박물관과 구별된다. 림

간의 특성의 단어로 정하여 국내외 4 을 선정하여 분석


트라우마 치유공간의 적용되는 기념관은 어 한 내용 떠
을 하고자 한다.

을 중심으로 전시를 하였는지 비 한 군 리 범주화하여 슷 끼

<표 4>12)와 같이 분 하였다. 류

4.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공간의 특성


<표 4> 기념관의 분류
구분 전시내용 대상 4.1. 국내외 사례 분석
사건중심 특정‘사건’을 중심으로 전시 독립기념관
인물중심 특정‘인물’을 중심으로 전시 안중근의사
기념관 <표 5> 국내 치유공간의 특성 분석 [ 적용공간: ●]
장소중심 특정‘장소’를 중심으로 하며, 그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그 장소와 관련 있는 인물을 함께 전시 전쟁기념관 구분 내 용
테마중심 종합 박물관으로써 하나의 ‘테마’를 중심으로 통
사적 역사속의 관련 사건 및 인물을 전시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이미지
기념관은 사 , 인물, 장소, 테마 가지로 구분하여
건 네
독립 위치 충남 천안시
분 하고 있다. 여기서 테마는 사 , 인물, 장소를 모두
류 건
기념관
포함하고 있으며 사 의 중심에는 배경의 장소가 들어가

(국-1) 배경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국권을 빼앗긴 세월(100년)을 이긴 민족의
정신이 살아 있음을 생생하게 재현한 공간
트라우마 감성체험 치유 기념관의 분류
공간 ME ● NA ● EM FI ●
9) 기념관의 한자표기 중 단 ‘기 ’이라는 뜻을 지 는 일본에 특성 CA FS ME ● IT ●
서 주로 사용하는 표기이며 우리나리에서는 ‘기억’을 내 하는 뜻
순히 록 닌 記

MO IN NA PL
의 의 를 지 ‘ ’를 사용한다.

10) (국립국어 표 국어 대사전)


미 닌 紀

11) 박물관 및 관 진 제2장 국립박물관과 국립 관 <제10조


원 준

개정 200 .2.29.>
미술 흥법 미술

12) 안경 , 역사적 사 의 주제기념관에 있어서 전시공간 기 화에 관


8

한 연구, 대 학사 문, 2014, . 13) ., .6


숙 건 호

홍익 논 p8 Ibid p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8권 1호 통권39호 2016년 5월 47


구분 내 용 5. 결론

이미지 본 연구는 트라우마를 치유공간을 분석 과 내용을 정 결

리하면 아래 내용과 같다.


전쟁 위치 서울시 용산구 / 1995년 개관
기념관 대외항쟁사와 민족의 자주독립을 지켜온 국난 극복사등 전쟁에
트라우마의 다 는 재난의 인 전쟁이며, 트라우마의
루 원

(국-2) 배경 관한 자료를 수집/보존하고 교훈을 통하여 평화통일을 이룩함을 회복의 단계는 안전, 기억과 애도, 외상의 통합을 심리학
목적으로 함.
트라우마 감성체험 치유 기념관의 분류 적인 회복의 3단계로 정의하며, 트라우마의 공간적 특성
공간 ME ● NA ● EM ● FI ● 에서는 회복단계와 연계 시 수 있다. 을 사용한 킬 오감
특성 CA
MO
FS
IN
ME ● IT ●
NA PL ● 전시계 중 어두 을 이용하여 관람자의 애도를 돕
획 운 빛

※ 기억-MA,안정-CA,애도-MO,네러티브-NA,오감-FS,인터렉티브-IN,정서-EM,명상-ME, 거나 은 으로 상 의 치유를 돕는 공간으로 구성할


밝 빛 흔
자연-NA,인물-FI,사건-IT,장소-PL 수 있다. 트라우마의 치유공간에서는 정서, 명상, 자연과
<표 6> 해외 치유공간의 특성 분석 [ 적용공간: ●] 공간, , 등 이용한 심리적 치료공간들이 치유공간
빛 색채

구분 내 용 의 계 하는 요소가 요로 하고 있다.
획 필

본 연구는 전쟁이라는 트라우마를 성체 으로 치유 감 험

이미지 할수 있는 공간의 분석하여 모두가 공 할 수 있는 공간 감

을 제안하고자 한다.
유대 인 위치 독일 베를린
뮤지엄 유대인의 문화와 역사를 홍보하기 위한 교육적 목적을 가진 박
(해-1) 배경 물관 이며 외부 정원에 독립된 대학살 탑과 망명과 이주의 정원 참고문헌
이 내부와 직접결되어 있는 유기적 관계로 구성
트라우마 감성체험 치유 기념관의 분류
1. 우지연, 회복력 있는 도시 트라우마를 다 는 공간다지인 연구,
서 대 박사 문, 2013

공간 ME ● NA ● EM ● FI 2. 안경 , 역사적 사 의 주제기념관에 있어서 전시공간 기 화


울 논

특성 CA ● FS ● ME ● IT ● 에 관한 연구, 대 학사 문, 2014
숙 건 호

MO ● IN ● NA ● PL ●
3. 주, 최상 , 노인특성을 고 한 노인용양시설 치유환경 가
홍익 논

에 관한 연구, 한국 내 자인 학회 학 발표대회 문 제
송효 헌 려 평

11 1 , 2009.5
실 디 술 논 집

이미지
4. 국립국어 표 국어 대사전
권 호

5. 박물관 및 관 진 제2장 국립박물관과 국립 관 <제


원 준

홀로 위치 위싱턴 DC
10조 개정 200 .2.29.>
미술 흥법 미술

코스 트
박물관 배경 나치에 의해 희생된 유대인을 위한 기념관
8

(해-2) 총 900여점의 나치학살 관련 사진과 자료, 70여편의 비디오 자료


및 목격자들의 증언을 상영하는 4개 영사관으로 구성
트라우마 감성체험 치유 기념관의 분류
공간 ME ● NA ● EM ● FI
특성 CA FS ● ME ● IT ●
MO ● IN ● NA PL ●
※ 기억-MA,안정-CA,애도-MO,네러티브-NA,오감-FS,인터렉티브-IN,정서-EM,명상-ME,
자연-NA,인물-FI,사건-IT,장소-PL

4.2. 대상사례의 특성분석

<표 7> 사례종합 분석표


특성 트라우마 감성체험 치유 기념관 분류
구분 ME CA MO NA FS IN EM ME NA FI IT PL
국-1 ● × × ● × × × ● × ● ● ×
국-2 ● × × ● × × ● ● × ● ● ●
해-1 ● ● ● ● ● ● ● ● ● × ● ●
해-2 ● × ● ● ● ● ● ● × × ● ●
트라우마의 공간특성의 사례를 <표 7>로 비교 분석표
를 만들었으며, 여기서 국내사례에서는 트라우마 기억, -

감성체 러 , 치유 명상으로 관 하여 공간특성들


험-네 티브 - 련

이 관찰되며 해외사례에서는 각 공간특성을 2가지 이상


다 고 있다는 것을 분석표로 수 있다.
루 볼

4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8권 1호 통권39호 2016년 5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