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

KACES-1730-C001

2017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과공유회

일 시 : 2017. 11. 1. (수) 13:00~17:00


장 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KACES Hall 외
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 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목 차

1. 2017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과공유회 안내 ………… 5

2. [세션1] 연구단체 성과공유 및 토의 ………............................................................. 7


- 남정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김명진(SADI, 삼성디자인학교 교수)

3. [세션2] 연구단체 프로그램 체험1 : 무용 분야 …………................................... 33


- 이지은(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 손영민(팩토리 1+1+1 대표)

4. [세션2] 연구단체 프로그램 체험2 : 미술 분야 …………................................... 39


- 주: 김영준(SADI, 삼성디자인학교 교수)
- 부: 이영식(쏘잉 디자이너)

- 3 -
- 4 -
2017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과공유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에서는 문화예술교육자를 대상으로 자기
분야의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스스로의 교육철학을 세울 수 있는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약 4개월에 걸쳐 진행된 미술, 무용 분야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체험하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감사드리며,
깊어가는 가을날 2017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과공유회를 통해 뜻
깊은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KCP (우수 교육 프로그램 수료과정, KACES Certificate Program): 장르적 특성
을 심화시킨 전문적인 교수법을 체험하고 습득할 수 있도록 마련된 80차시 프로
그램
■ 일시 및 장소
- 일시: 2017. 11. 1.(수) 13:00~17:00
- 장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2층 KACES Hall 외

■ 프로그램 구성
구분 시간 내용 발제자 장소
등록 ㅇ등록
13:00~13:30
(30‘)
ㅇ 개회사 한국문화예술
개회 13:30~13:40
- 환영 인사 및 축사
교육진흥원
KACES

- 연구개요 및 발제자(연구단체) 소개
(10‘) Hall

[세션 1] 연구단체 성과공유 및 토의


발제 1. [무용] 창의적인 무용교육에 관하여, 성과 및 과제
ㅇ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자로서 창의적인 소양을 갖추기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 목적, 방법, 결과 등 공유
발제 - 무용의 매체인 몸에 관한 재인식을 위하여 몸학(SOMA)으
남정호( 한국
13:40~14:00
로의 불가피한 접근 예술종합학
(15‘-20‘)
교 교수) KACES
- 즉흥 춤을 통한 신체의 공간적, 시간적 여행과 모험
Hall

- 무용분야 문화예술교육자로서 지녀야 할 개념

- 5 -
구분 시간 내용 발제자 장소
발제 2. [미술] 미술의 상상과 확장, 성과 및 과제
ㅇ미술 교육의 변화와 방향을 바탕으로 미술 방법론을 집중적
으로 학습하는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 목적, 방
법, 결과 등 공유 김명진 (SADI
-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효과적인 통로로서 미술 교육 삼성디자인
14:00~14:20
(15‘-20’)
의 태도와 방법 모색 학교 교수)
- 지속가능하고 동등한 질의 미술교육 내용 보급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질의 14:20~14:40 ㅇ 질의 응답 분야별
응답 책임·공동연
(20‘)
구원
휴식 14:40~15:00
(20‘)
ㅇ 휴식 및 이동
[세션 2] 연구단체 프로그램 체험
체험 1. [무용] 몸으로 상상하기 - 타인과의 소통
ㅇ신체 접촉을 통한 타인과의 소통 및 창의적 움직임 경험 이지은(한국
- 나의 공간, 너의 공간, 우리의 공간을 재료로 공간에 대한 예술종합학 에이랩
탐색·이해를 거쳐 이인무를 체험 교 강사), 손 (A.Lab)
- 이인무의 경험부터 창작까지 발전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영민( 팩토리
1+1+1 대표)
춤의 즐거움을 경험
체험 15:00~17:00 체험 2. [미술] 미술의 상상과 확장 - 미술과 공간
(120‘)
ㅇ미술의 개념요소, 시각요소, 원리, 요인의 이해 및 입체적 주 : 김영준
인 오리가미 접기 구조실습 등 공간인식을 통한 창의적 (SADI 삼성 강의실
공간 창출 디자인학교
- 공간을 특별하게 인식하는 활동 소개
교수) R3~R5
부 : 이영식
- 주머니 속 공간에서 형태 인지하기 ( 쏘잉디자이
- 오리가미 접기, 핸드폰 지지대 제작 실습 너)
※ 당일 진행 상황에 따라 소요시간·내용 등이 다소 변동될 수 있음

- 6 -
[세션1] 연구단체 성과공유 및 토의

- 7 -
발제1. [무용] 창의적인 무용교육에
관하여, 성과 및 과제

- 남정호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 9 -
- 10 -
2017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KCP-무용] 몸으로 상상하기, 성과 공유 및 과제
-강의자: 남정호 책임연구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1.연구 목적 및 필요성

무용교육 본연의 창의성 회복에 중점을 둔 교육 프로그램의 제안으로서, 무용예술교육을 담당


하는 교사들의 자기회복(자존감), 전문성, 창의성 강화를 목적으로 함.

2.연구 성과

Ÿ 선발 : 교육 대상은 서류 심사를 거쳐 총 22인 선정.


Ÿ 수료 : 참가자 22인 전원 수료.
Ÿ 운영 : <기간> 2017. 8. 7 ~ 8. 19. 2주 (80시간) 용인 한라인재개발원(숙박형)

<교육 프로그램>
1) “일단 몸을 열자.”로 시작하여 무용 실기와 무용 이론 (댄스 페다고지, 커뮤니티 댄스)을
포함
2) 무용의 매체인 몸에 관한 재인식을 위하여 몸학[Somatics]을 무용 교육프로그램에 본격적
으로 등장시킴.
3) 즉흥 춤을 통한 신체의 공간적, 시간적 여행 가이드
4) 참가자들이 공연자와 관객으로 역할을 바꿔가며 참여할 수 있는 JAM(즉흥공연)을 특징으
로 하여 정기적인 몸 열기, 신체 훈련과 공간, 시간, 역할, 접촉 등을 통한 창의, 기교, 통
합 그리고 교육으로 연계하여 구성된 주제수업들과 JAM을 통한 체험의 소감/의견들을 나
누는 시간 구성.

Ÿ 성과 : 즉흥 춤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하여 현장연계적인 창의적 무용연수 프로그램 개발


: 수업 구조의 질적 향상을 위한 몸과 교육 그리고 사회를 재발견하는 이론 포함
: 창의력 개발을 위한 연구 결과로 즉흥 춤을 바탕으로 하는 수업 교본 발간

3.향후 연구 과제

Ÿ 무용 전문 강사들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심화연수 필요.


Ÿ 각 장르별 예술 강사들의 특성에 맞는 무용 연수 프로그램 개발.
Ÿ 무용 전문 강사뿐만이 아닌 타 장르의 예술 강사들에게도 다양하게 적용이 될 수 있는 연
수의 기회 마련.
Ÿ 연수 후 다양한 방식의 교육 교류 네트워크 형성 유도 및 관찰

- 11 -
- 12 -
- 13 -
- 14 -
발제2. [미술] 미술의 상상과 확장,
성과 및 과제

- 김명진
(SADI, 삼성디자인학교 교수)

- 15 -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세션2] 연구단체 프로그램 체험1:
무용 분야

“몸으로 상상하기 - 타인과의 소통”

- 이지은(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 손영민(팩토리 1+1+1 대표)

- 33 -
- 35 -
- 36 -
- 37 -
- 38 -
[세션2] 연구단체 프로그램 체험2:
미술 분야

“미술의 상상과 확장 - 미술과 공간”

- 주: 김영식(SADI, 삼성디자인학교 교수)


- 부: 이영식(쏘잉 디자이너)

- 39 -
KCP 미술과 공간

김영준(h:www.scul.co.kr)

1.차례
40분: 강의: 미술로써의 공간인식
80분: 실습: 오리가미접기,공간인지체험

2.강의목적
우주는 크게 두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형태(Form)과 공간(Space)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형태(입체)만 주로 인식하며 살고있다.
이번 미술과 공간 강의를 통해서 구조역학의 원리와 입체를 둘러싸고있는 공간을 인지하여
자연스럽게 유기적관계인 형태도 통찰하고 창의적인 공간을 인식하기 위함이다.

3.강의내용
미술로써의 개념요소,시각요소,미술원리,미술요인등을 통해서 사물과 공간을 객관적으로 분석
한다. 또한 작업에 대한 발표와 비평에서 의도이해와 의사전달을 명확하게 한다.
오리가미를 통해서 구조역학원리를 이해한다.

4.실습내용
class activity를 통한 본작업을 위한 이해확장
a. 공간을 특별하게 인식하는 activity 4종류소개 - 모두참여
b. 주머니속 공간에서 형태 인지하기
c. 공간안에서 구조를 접어봄으로써 volume = space 이해
d. 오리가미접기,핸드폰지지대

5.고려사항
공간을 어떻게 인지하고 지각하는지를 모두가 참여하는 class activity로 개발한다.
오감과 필요한 재료를 사용할수있다.
핸드폰지지대를 만들때는 가급적으로 volume화를 해야한다.

재료: 색종이 10장, a4용지5장, 풀,가위

6.기대효과
구조역학원리를 이해하여 볼륨적인것이 공간적이라는 사실을 이해하고, 더불어 형태를 둘러싸
고있는 공간을 좀더 인지하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 41 -
KCP 2017 미술과 공간
김영준

창의성 융합 소통 다양성 인성 자아실현 상상력 미술향유


공감 자존감 도전 사회관찰 교감 자발성 시각감수성 성취감
존중 배려 동기부여 기초능력 인지능력 심리적 호기심유발
질문유발 결과보단과정 몰입 자주 놀이 경험 발표
비평 실험 문제해결능력 토의 통합 상호작용 실패 인간
사물 예술 공간 미디어 오감 체험 개념 발상 통찰
경험 서비스 인식 지속가능 시스템 생태계 4차산업혁명

1.연구취지
미술교육은 왜 합니까?

답: 존---------------------------------------------- 사회인으로 성장
미술을 향유해서 다른분야로 가는데 창의적사고와 사회적 공감능력을 배양 하는데 방향성이
있다.

미술교육은 몇명의 유명한예술가로 키워내는게 아니라,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효과적인


통로로 교육의 태도와 방법이 모색 되어져야함에 있다.
어떻게 가르칠것인가도 중요하지만 개개인으로부터 장점과 잠재성을 어떻게 끌어낼것인가를
고민해야한다.

2.연구목적
space=volume=structure = form

우주는 크게 2parts로 나뉘어져 있다. form과 space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형태만 주로 보며 살고있다.
이번강의의 목적은 형태구조를 이해함과 더불어 공간을 특별하게 인식체험하는
class activity를 통해서 공간의 특성을 인식한다.
형태만 보고 만드는 수업뿐만 아니라 공간을 이해하여 형태와 유기적관계를 이해한다.

- 42 -
3.연구방법
a. 미술용어 재정립 : 개념요소,시각요소,미술원리,요인등을 통해서 작업을 객관적으로 분석
b. 작업에 대한 발표와 비평에서 의사전달을 명확하게 미술용어를 사용한다.
c. 팀프로젝을 통한 협업능력 증대
d. class activity를 통한 타인과 소통,공감능력 배양
e. 작업훈련에서 과정을 중시하여 결과중심 미술교육에서 탈피
f. 강의자중심교육에서 학습자중심으로의 다양성을 중시- 쌍방형 소통교육
g. 기술과 도제적인 반복교육에서 생각하고 발표하는 자기주도형 학습설계 구축
h. 학습자의 장점개발 및 동기유발 교육방법연구
i. 미술이 다른분야와의 연계성모색

4.연구문제점
일선교육현장에서는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가 존재한다. 그러나
a. 미술교육은 전략적이여야한다.
b.형식과 내용이 변화해야한다 - 인터렉션교육 - 교육방법론공유
c. 학생들이 티칭하게하라 : 좋아하는 예술가 발표해서 학생들끼리 토의하게하라
d. 교실상황과 학생수준파악해라
e. 학생들이 생각하게끔 질문하고 훈련해라.
f. 선택과목을 개설해서 학습자중심 교육과정으로 해라
g. 자기주도형 학습 - 학습목표, 학습내용방법, 평가를 선택
h. 교육을 배운데로 원래 그리던데로 따라하지말고 질문과 도전하게끔 유도
상상과 실천할수있게 외우고 반복교육보다는 실험를 통해 실패와 우연의 경우를 장점화
할수있게 과정의 교육을 한다.

- 43 -
- 44 -
- 45 -
2017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성과공유회

발 행 인 이 병 호
발 행 일 2017. 10
발 행 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www.arte.or.kr
주 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 11~12층
연 락 처 T:02-6209-1317 F:02-6455-5969
기획/제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
인 쇄 영일문화사

※본 자료의 무단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