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2

별책부록

개정 인코텀즈

2020
핵심 해설서
국내·국제거래조건의
사용에 관한 ICC 규칙
권영구 지음
차례

인코텀즈의 개정에 관해서 4

인코텀즈 2020 특징 6

각 규칙에 대한 설명 12

<모든 운송방식에 적용되는 규칙>

EXW Ex Works(공장 인도규칙) 12

FCA Free Carrier(운송인 인도규칙) 14

CPT Carriage Paid To(운송비지급 인도규칙) 18

CIP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보험료지급 인도규칙) 23

DAP Delivered at Place(도착지 인도규칙) 27

DPU Delivered at Place Unloaded(도착지양하 인도규칙) 31

DDP Delivered Duty Paid(관세지급 인도규칙) 34


<해상운송과 내수로(內水路) 운송에 적용되는 규칙>

FAS Free Alongside Ship(선측 인도규칙) 38

FOB Free On Board(본선 인도규칙) 42

CFR Cost and Freight(운임포함 인도규칙) 44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운임·보험료포함 인도규칙) 49

인코텀즈 활용 시 유의사항 52

참고문헌 52
인코텀즈의 개정에 관해서

2019년 9월 10일 ICC(국제상업회의소)는 국제무역거래의 기본적

인 거래조건을 10여 년만에 개정한 인코텀즈(INCOTERMS) 2020을

발표했다. 현행의 인코텀즈 2010의 개정판인 이 새로운 인코텀

즈 2020은 2020년 1월 1일부터 사용(발효)된다.

무역거래에서는 (1) 수출자와 수입자 간에 운임이나 보험료

등과 같은 비용의 부담 구분을 어떻게 할까? (2) 수출자와 수입

자 간에 물품의 위험부담을 어느 시점에서 이전할까라는 점에

대해서 정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것들에 대해서 정한 것을 무역조

건(Trade Terms)이라 한다. 무역조건은 무역거래상 불가결한 것으

로 국제적 상관습으로 발전되어 왔다.

개정된 새로운 인코텀즈 2020에서 먼저 가장 주목할 점은 전

4
체를 통해서 큰 변경사항이 없었다는 것이다. 내용에서 개정, 폐

지, 신설은 있었지만, 규칙 수는 <11개 규칙>으로 변화가 없다. 2

개의 클래스로 분류한 것도 같다. 모든 운송방식에 적용되는 규

칙이 7개, 해상운송과 내수로 운송에 적용되는 규칙이 4개이다.

인코텀즈는 1936년 국제상업회의소(ICC :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에 의해 제정된 이래 1953년, 1967년, 1976년, 1980년,

1990년, 2000년, 2010년에 각각 개정되었으며 이번의 인코텀즈

2020은 8번째 개정이다.

참고로 개정된 인코텀즈 2020이 2020년 1월 1일부터 발효된

다고 해도 기존의 인코텀즈 2010은 물론 그 이전의 인코텀즈들

도 무역실무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역실무에서

인코텀즈를 이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언제 개정된 몇 년도 판 인

코텀즈인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인코텀즈 2020 5
인코텀즈 2020 특징

DAT(터미널 인도규칙)를 폐지하고 DPU(도착지양하 인도규칙)

신설

인코텀즈 2020에서는 인코텀즈 2010에 있는 DAT(Delivered at

Terminal)를 폐지하고 새로운 DPU(Delivered at Place Unloaded, 도착지

양하 인도규칙)를 신설했다.

DPU는 수출자가 수입국의 지정목적지에 상품을 배송하여 양

하를 하는 데 따르는 모든 리스크를 부담하게 된다. 양하 리스크

도 부담하는 점에서 DAP와 다르다.

DAT는 목적지가 터미널이라는 곳으로 한정되어 있었지만

DPU는 터미널뿐만 아니라 어떤 장소이든지 목적지가 될 수 있

다. 따라서 수출자는 DPU로 계약하고자 할 경우에는 인도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물품의 양하가 가능한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6
CIF와 CIP의 부보범위의 차별화

인코텀즈 2010에서는 수출자가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CIF와

CIP는 모두 최소담보(ICC(C))로만 가입하면 되었으나 이번 개정

된 인코텀즈 2020에서는 CIF와 CIP의 부보범위를 달리하도록

개정하였다.

CIF는 변경 없이 그대로 최소담보(ICC(C))를 유지하게 하고, CIP

는 최대담보(ICC(A))로 가입하도록 개정하였다.

그런데 인코텀즈는 임의 규범이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당사자

들의 합의로 낮은 수준으로 보험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그동안

C규칙의 보험은 가장 좁은 범위의 위험을 담보하는 ICC(C)만을

부담했다. CIP는 해상운송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CIF와 달리 항

공·철도운송 등 복합운송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FCA, DAP, DPU, DDP에서 수출자 또는 수입자 자신의 운송

수단 허용

인코텀즈 2010에서는 수출자 또는 수입자가 운송을 위해서는

제3자 운송인에 의뢰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인코텀즈 2020에서는 ‘D로 시작하는 규칙들(D규칙)’에서 수출

자는 수입국의 지정목적지까지 운송을 별도의 운송계약 없이 수

인코텀즈 2020 7
출자 자신의 운송수단을 이용한 운송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FCA에서 수입자가 수출국 인도장소에서 물품을 수취해서 자신

이 정한 목적지까지 자신의 운송수단을 이용한 운송이 가능하

게 되었다.

FCA에서 선적선하증권 발행의무

수입자가 자신의 위험부담과 비용부담으로 운송인에게 선적

선하증권의 발행을 지시할 수 있고 수출자는 선적선하증권을 은

행을 통해서 제공할 의무가 있도록 규정을 신설하였다.

명칭 변경을 위한 설명문

인코텀즈 2010에서 개별규칙 첫머리에 있던 <사용지침(Guidance

Note)>을 인코텀즈 2020에서는 그 명칭을 <사용자를 위한 설명문

(Explanatory Notes for Users)>으로 변경하였다. 이 같은 설명문은 각

규칙이 어떤 경우에 사용되어야 하는지, 위험은 언제 이전하는

지, 비용분담은 어떠한지와 같은 인코텀즈 2020 개별규칙의 기

초를 설명하고 있다.

설명문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당해 거래에 적합한 인코텀즈 규

칙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찾도록 돕고, 인코텀즈 2020이 적용

8
되는 분쟁이나 계약에 관하여 결정을 내리거나 조언하는 사람

들에게 해석이 필요한 사항에 관하여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속매매 규칙의 확대

연속매매는 운송 중 전매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으로 인코텀

즈 2010에서는 해상운송 규칙인 FOB, CFR, CIF에서만 연속매매

가 인정되었다. 인코텀즈 2020에서는 이를 FCA, CPT, CIP, DAP,

DPU, DDP에 대해서도 연속매매가 인정되도록 확대하였다.

개별규칙 내 조항순서 변경

(중요도에 따라 순서를 변경하였으나 비용은 중요도에도 불구 아래쪽에 위치)

수출자와 수입자의 의무 10가지 내역 비교표

수출자/수입자 의무 인코텀즈 2010 인코텀즈 2020

A1/B1 수출자·수입자 일반의무 일반의무

A2/B2 허가, 승인, 보안 통관 및 기타 절차 인도/인도의 수령

A3/B3 운송&보험계약 위험이전

A4/B4 인도/인도의 수령 운송

A5/B5 위험이전 보험

A6/B6 비용분담 인도/운송서류

A7/B7 수출자·수입자 통지 수출/수입통관

인코텀즈 2020 9
A8/B8 서류배송/배송증명서 수령 점검/포장/하인표시

A9/B9 점검/포장/하인표시 비용분담

A10/B10 정보에 의한 협조와 관련 비용 통지

* 인코텀즈에서 인도의무가 가장 중요한 것이므로 그것을 위로(A2/B2) 올렸다. 그다음


으로 위험이전(A3/B3), 운송의무(A4/B4), 보험(A5/B5) 등의 순으로 순서를 변경했다.
* 운송 및 비용조항에 보안관련 의무 삽입
테러 등을 고려해서 보안관련 의무의 명시적 할당이 개별규칙의 A4와 A7에 추가되었다.
보안관련 해서 발생하는 비용도 비용조항인 A9/B9(비용분담)에 규정했다.
* 비용분담이 하단(A9/B9)으로 내려오게 된 것은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서류작업, 통관,
포장 등 각종 분담비용을 열거한 후 비용일람표를 제공한다는 목적으로 ICC가 밑으로
위치를 변경했다.

인코텀즈 2010과 개정 인코텀즈 2020의 비교표

인코텀즈 2010 인코텀즈 2020


<모든 운송방식에 적용되는 규칙>
EXW : Ex Works EXW : Ex Works
(공장 인도규칙) (공장 인도규칙)

FCA : Free Carrier FCA : Free Carrier


(운송인 인도규칙) (운송인 인도규칙)

CPT : Carriage Paid To CPT : Carriage Paid To


(운송비지급 인도규칙) (운송비지급 인도규칙)

CIP :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CIP :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보험료지급 인도규칙) (운송비·보험료지급 인도규칙)

DAT : Delivered at Terminal


폐지
(터미널 인도규칙)

DAP : Delivered at Place DAP : Delivered at Place


(도착지 인도규칙) (도착지 인도규칙)

10
DPU : Delivered at Place Unloaded
없음
(도착지양하 인도규칙)(신설)

DDP : Delivered Duty Paid DDP : Delivered Duty Paid


(관세지급 인도규칙) (관세지급 인도규칙)
<해상운송과 내수로(內水路) 운송에 적용되는 규칙>
FAS : Free Alongside Ship FAS : Free Alongside Ship
(선측 인도규칙) (선측 인도규칙)

FOB : Free On Board FOB : Free On Board


(본선 인도규칙) (본선 인도규칙)

CFR : Cost and Freight CFR : Cost and Freight


(운임포함 인도규칙) (운임포함 인도규칙)

CIF : Cost Insurance and Freight CIF :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보험료포함 인도규칙) (운임·보험료포함 인도규칙)

인코텀즈 2020 11
각 규칙에 대한 설명

EXW Ex Works(공장 인도규칙)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할 경우, 한국 국내의 지정장소(공장이나

창고)에서 화물을 수입자에게 인도하면 책임이 끝나는 규칙이다.

‘인수하러 온 차량에 실어줄 필요는 없다’라는 것이 원칙(인코텀

즈의 룰)이다. 다만 공장에 설치되어 있는 ‘리프트’나 ‘크레인’을 사

용하여 실을 정도의 그리 크지 않은 화물이라면 상차비용을 거

래금액(매매 시 계약한 금액)에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XW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적을 때는 EXW 뒤에 ‘화물을

인도하는 장소’를 기입한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상하이까지 물

품을 수출한다고 해도 울산 공장에서 화물을 인도한다고 하면

12
다음과 같이 적는다. EXW

EXW Ulsan Factory, Korea : USD 50,000.-, INCOTERMS 2020

항구의 정보, 여기서 말하는 부산이나 상하이는 적지 않는다.

•울산 공장에서 화물을 인도하고, 그때 매매금액이 USD

50,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만약 ABC MFG사의 울산 공장이라면,

‘EXW ABC MFG Ulsan Factory, Korea : USD 50,000.-,

INCOTERMS 2020’으로 한다.

EXW에서의 수출입 통관

재래선(화물선)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선, 항공운송, 복합운송에

도 사용할 수 있다.

EXW는 수출자는 수출통관을 하지 않음은 물론 수출통관 수

속에 관련한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다는 조건이다. 다만 수입자

인코텀즈 2020 13
가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고 의뢰하는 경우 물품의 수출통관 등

에 필요한 선적서류는 물론 수출승인이나 기타 공식 허가를 취

득할 때에 수출자는 적용 가능한 모든 협력을 해야 한다.

EXW는 보험도 수입자가 부담하는 등 11개의 규칙 중에서 수

출자에게 가장 유리한 규칙이다.

FCA Free Carrier(운송인 인도규칙)

재래선(在來船, 화물선)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선, 항공운송, 복합

운송에도 사용할 수 있는 규칙이다.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하는 경우 <한국 국내의 지정된 장소에

서 수입자가 지정한 운송인에게 화물을 인도하면 수출자의 책임

은 끝>이라는 규칙이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는 다음

과 같이 쓰여져 있다.

A sale under FCA can be concluded naming only the place of

delivery, either at the seller’s premises or elsewhere, without

14
specifying the precise point of delivery within that named place.

FCA
FCA에서의 매매는 그 지정된 장소 내에서 정확한 인도 지점을 명시

하지 않고 수출자의 구내 또는 그 밖의 다른 곳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인도장소로 지정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다음으로 계속해서 <장소를 지정하지 않으면 수입자가 불리

하게 된다>라는 설명을 하고 있다.

화물의 선적을 위한 운송수단의 지정, 배나 비행기의 운임, 보

험을 수출자는 부담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

FCA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적을 때는 FCA 뒤에 ‘화물을

인도하는 장소’를 명기한다. 그런데 그 장소를 구체적으로 지정

하도록 ICC에서 권장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천에서 상하이까지 화물을 컨테이너로 수출한다

고 할 경우, 반입되는 인천의 CY(Container Yard)나 CFS(Container

Freight Station)까지 명기하자는 것이 ICC의 권장사항이다.

자사 창고나 공장에서 컨테이너에 넣어 FCL(컨테이너 1개 다 채

인코텀즈 2020 15
운 것)을 인천의 CY경유로 수출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명기

한다.

FCA Incheon CY, Korea : USD 15,000.-, INCOTERMS 2020

화물을 운송하는 항구의 정보, 여기서 말하는 상하이는 적지

않는다.

•인천의 컨테이너 야드(CY)까지의 비용을 수출자가 부담, 그

때 매매금액이 USD 15,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참고로 FOB의 경우

는 ‘FOB Incheon Port, Korea : USD XXX, INCOTERMS 2020’

으로 명기하게 된다.

FCA에서 알아두면 좋은 점은 CY로 가야 하나, 아니면 CFS

로 가야 하나에 대해서 나중에 바뀔 수도 있을지 모를 경우에는

‘Incheon CY/CFS’라고 명기한다.

16
FCA에서의 수출입 통관

2020년판 ICC의 해설서 《Export/import clearance》에서는


FCA
FCA는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FCA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or for transit through third countries, to pay

any import duty or to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FCA는 해당되는 경우에 수출자가 수출을 위해 상품의 수출통관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출자는 물품의 수입을 위한 또는 제3국

을 통과하기 위한 통관을 하거나 화물의 수입통관 절차를 수행하거

나 수입관세를 지불할 의무가 없다.

FCA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FCA의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험은 수출자의 의무가 아

니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인코텀즈 2020 17
insurance. However, the seller must provide the buyer,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cost, with information in the possession

of the seller that the buyer needs for obtaining insurance.

수출자는 보험계약을 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수출자는 수입자의 요

청이 있으면 수입자의 위험부담이나 비용부담으로 수입자가 보험에

가입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이때 무보험 존(지역)이 나오지 않도록 수출자 측이 수입자를

지원하는 것도 FCA에서는 중요하다.

CPT Carriage Paid To(운송비지급 인도규칙)

CPT는 재래선(在來船)만이 아니고 컨테이너선, 항공운송, 복합

운송에 사용된다. ICC가 컨테이너선이나 비행기에 의한 운송 시

에는 CFR를 대신해서 CPT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규칙이

기도 하다.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하는 경우 <합의된 장소인 수입국의 지

18
정목적지에 인도하면 수출자의 책임은 끝나고 보험은 수출자 측

에서 들지 않는다>는 조건이다. 수출자의 위험부담은 수출국에

서 운송인에게 인도하는 시점에서 수입자에게 이전된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는 다음


CPT
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In CPT, two locations are important : the place or point at which

the goods are delivered (for the transfer of risk) and the place

or point agreed as the destination of the goods (as the point to

which the seller promises to contract for carriage).

CPT에서는 2개의 장소가 중요하다. 하나는 리스크가 이전되는 지점

으로 물품이 인도되는 장소이다. 다른 하나는 물품의 인도장소(목적

지)로 합의된 지점으로 수출자가 운송계약을 한 장소이다.

그다음 계속해서 장소를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지정하도록 설

명하고 있다.

인코텀즈 2020 19
CPT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CPT 뒤에 ‘화

물을 인도하는 장소’를 적는다. 그런데 그 장소를 구체적으로 지

정하도록 ICC는 권장한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상하이까지 화물을 컨테이너로 운송한다

면, 그 경우 반입되는 상하이의 컨테이너 야드(CY)나 CFS까지 명

기하도록 하는 것이 ICC의 권장사항이다. 자사의 창고나 공장으

로 컨테이너를 들여와 FCL을 부산의 CY경유 상하이까지 수출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CPT Shanghai CY, China : USD 8,000.-, INCOTERMS 2020

화물을 선적하는 항구의 정보, 여기서 말하는 부산은 명기하

지 않는다.

•수출자는 상하이 컨테이너 야드까지의 비용 등을 부담하고

보험은 부담하지 않음. 그때 매매금액이 USD 8,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20
CPT에서의 수출입 통관

2020년판 ICC의 해설서 《Export/import clearance》에서는

CPT는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CPT
CPT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or for transit through third countries, or to pay

any import duty or to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CPT에서는 해당되는 경우 수출자가 수출통관을 한다. 그러나 수

출자는 물품의 수입을 위한 또는 제3국을 통과하기 위한 통관을 하

거나 화물의 수입통관 절차를 수행하거나 수입관세를 지불할 의무

가 없다.

수출자는 수출통관은 하지만 수입국에서의 수입통관이나 수

입관세를 부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CPT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CPT의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수출자는 보험을 들지 않는

인코텀즈 2020 21
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insurance. However, the seller must provide the buyer,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cost, with information in the possession

of the seller that the buyer needs for obtaining insurance.

수출자는 보험계약을 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수입자가 자신의 위

험부담, 비용부담으로 하고 수출자에게 보험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요구할 때에는 수출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수입자에게 제

공해야 한다.

보험을 수출자가 부담하지 않는 것이 CPT 규칙의 특징이다.

무보험 존이 생기지 않도록 수출자 측에서 수입자를 지원하는

것도 CPT에서는 중요하다.

22
CIP Carriage and Insurance Paid To
(운송비·보험료지급 인도규칙)

CIP는 재래선(在來船)만이 아니고 컨테이너선, 항공운송, 복합

운송에 사용된다. ICC가 컨테이너선이나 비행기에 의한 운송 시

에는 CIF를 대신해서 CIP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규칙이 CIP

기도 하다.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하는 경우 <보험에 가입한 후에 합의된

장소인 수입국의 지정목적지에 인도하면 수출자의 책임은 끝난

다>라고 하는 규칙이다. 수출자의 위험부담은 수출국에서 운송

인에게 인도하는 시점에서 수입자에게 이전된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는 다음

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In CIP two locations are important : the place or point at which

the goods are delivered (for the transfer of risk) and the place

or point agreed as the destination of the goods (as the point to

which the seller promises to contract for carriage).

인코텀즈 2020 23
CIP에서는 2개의 장소가 중요하다. 하나는 리스크가 이전되는 지점

인 상품이 인도되는 장소이다. 다른 하나는 상품의 인도장소(목적

지)로 합의된 지점으로 수출자가 운송계약을 한 장소이다.

그다음 계속해서 장소를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지정하도록 설

명하고 있다.

CIP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CIP 뒤에 ‘화물

을 인도하는 장소’를 적는다. 그런데 그 장소를 구체적으로 지정

하도록 ICC는 권장한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상하이까지 화물을 컨테이너로 수출한다

면, 그 경우 수출자가 운임을 부담하는 상하이의 컨테이너 야드

(CY)나 CFS까지 명기하도록 하는 것이 ICC의 권장사항이다. 자

사의 창고나 공장으로 컨테이너를 들여와 FCL을 부산의 CY경유

상하이까지 수출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CIP Shanghai CY, China : USD 12,000.-, INCOTERMS 2020

24
화물을 선적하는 항구의 정보, 여기서 말하는 부산은 명기하

지 않는다.

•상하이 컨테이너 야드까지의 비용과 보험을 수출자가 부담,

그때까지의 매매금액이 USD 12,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CIF인 경우에는 일반 CIP

적으로 ‘CIF Shanghai Port, China : USD 12,000.-, INCOTERMS

2020’으로 적는다.

CIP에서의 수출입 통관

2020년판 ICC의 해설서 《Export/import clearance》에서는

CIP는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CIP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or for transit through third countries, or to pay

any import duty or to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CIP에서는 해당되는 경우 수출자가 수출통관을 한다. 그러나 수출

인코텀즈 2020 25
자는 물품의 수입을 위한 또는 제3국을 통과하기 위한 통관을 하

거나 화물의 수입통관 절차를 수행하거나 수입관세를 지불할 의무

가 없다.

수출자는 수출통관은 하지만 수입국에서의 수입통관이나 수

입관세를 부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CIP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CIP의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수출자는 보험에 가입해야 한

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The seller must also contract for insurance cover against the

buyer’s risk of loss of or damage to the goods from the point

of delivery to at least the point of destination. This may cause

difficulty where the destination country requires insurance

cover to the purchased locally: in this case the parties should

consider selling and buying under CPT.

수출자는 인도지점에서 적어도 해외의 목적지 장소까지 운송 중에

26
발생할 화물의 손상이나 분실 등 수입자의 위험을 커버하는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목적지 국가가 자국의 보험자에게 가입하도록 요구

하는 경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당사자들은

CPT에 의거한 매매를 고려해야 한다.

문제는 어떻게든 무보험 존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CIP에서는 중요하다는 것이다.


DAP

DAP Delivered at Place(도착지 인도규칙)

재래선(在來船)만이 아니고 컨테이너선, 항공운송, 복합운송에

사용된다. INCOTERMS 2010에 있었던 DAT가 폐지되었기 때문

에 실무상 DAT를 보완하는 것은 DAP와 INCOTERMS 2020에서

신설된 DPU가 된다.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할 경우, 수입국의 지정목적지에서 화물

을 수입자에게 인도하면 수출자의 비용부담, 위험부담이 끝나는

규칙이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

는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인코텀즈 2020 27
The seller bears all risks involved in bringing the goods to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or to the agreed point within that

place. In this incoterms(R) rule, therefore, delivery and arrival at

destination are the same.

수출자는 물품을 지정된 목적지 또는 그 장소 내의 합의된 지점까지

의 운송에 따르는 모든 위험을 부담한다. 따라서 이 DAP 규칙에서

목적지에 대한 인도와 도착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DAP에서는 수출자가 물품의 도착지에서 양하비용을 부담하

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DAP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DAP 뒤에 ‘화

물을 인도하는 장소’를 적는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싱가포르까

지 화물을 수출할 경우, 싱가포르 ABC Trading 사의 싱가포르

오피스에서 화물을 인도한다면 다음과 같이 적는다.

DAP ABC TRADING, Singapore Office : USD 3,000.-, INCOTERMS

28
2020

화물을 선적하는 항구의 정보, 여기서 말하는 부산은 명기하

지 않는다.

•싱가포르의 사무소에서 화물을 인도하고, 그때 매매금액이

USD 3,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DAP

DAP에서의 수출입 통관

DAP에서의 수출통관은 수출자 책임이지만 <수입통관은 수출

자의 책임이 아니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수입통관)

에 수반하는 관세 등 제비용도 수출자의 부담이 아니라고 되어

있다.

DAP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DAP의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험은 수출자의 책임이 아

니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인코텀즈 2020 29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insurance.

수출자는 수입자에 대하여 보험계약 체결의 의무를 지지 않는다.

이 부분은 DAP에 한정하지 않고 ‘D로 시작하는 규칙들’에서

착각이나 오해가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다. 위험부담이 <화물을

인도하기까지>라는 조건이기 때문에 수출자가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문제는 수입자도 수출자에 대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으며, 수출자가 요구할 경우 수출자가 보험계약에 필요한 정

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출자는 처음 가격제시 시에 이점을 고려해야 하며,

매매계약 시에는 반드시 보험가입에 대해 확인해야 한다. 만약

수입자가 보험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착지 인도까지 위험

을 부담하는 수출자가 보험에 가입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유의

해야 한다. 목적지가 수입국의 내지일 경우 목적지까지 커버하

는 보험인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DAP는 다른 D규칙들과 같이 CIF, CIP보다도 더 수입자에게

30
유리한 규칙이다.

DPU Delivered at Place Unloaded


(도착지양하 인도규칙)

DPU는 이번에 개정된 인코텀즈 2020에서 신설된 규칙이다.

재래선(在來船)만이 아니고 컨테이너선, 항공운송, 복합운송에 사

용된다.
DPU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할 경우, 수입국의 지정목적지에서 화물

을 수입자에게 인도하면 수출자의 비용부담, 위험부담은 끝난다.

그런데 지정목적지에서 화물 양하 시의 리스크는 물론 양하에

따르는 비용을 수출자의 부담에 포함되는 규칙이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는 다음

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The seller bears all risks involved in bringing the goods to

and unloading them at the named place of destination. In

this Incoterms(R) rules, therefore, the delivery and arrival at

인코텀즈 2020 31
destination are the same. DPU is the only Incoterms(R) rule that

requires the seller to unload goods at destination.

수출자는 지정목적지까지 화물의 운송과 목적지에서의 양하 시에

따르는 모든 위험을 부담한다. 따라서 이 DPU 규칙에서는 목적지에

서의 인도와 도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DPU는 수출자에게 양하의

책임을 요구하고 있는 유일한 인코텀즈의 규칙이다.

그다음은 계속해서 <그러므로 현지에서의 양하(Unload)를 수입

자에게 맡기려 한다면 DPU가 아닌 DAP를 이용하자>라고 설명

하고 있다.

DPU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DPU 뒤에 ‘화

물을 인도하는 장소’를 적는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상하이까지

화물을 수출할 경우, 상하이 ABC MFG 사의 상하이 Factory에

서 화물을 인도한다면 다음과 같이 적는다.

DPU ABC MFG, Shanghai Factory : USD 50,000.-, INCOTERMS

32
2020

화물을 선적하는 항구의 정보, 여기서 말하는 부산은 명기하

지 않는다.

•상하이의 공장에서 화물을 인도하고, 그때 매매금액이 USD

50,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DPU
DPU에서의 수출입 통관

DPU에서의 수출통관은 수출자 책임이지만 <수입통관은 수

출자의 책임이 아니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수입통

관)에 수반하는 관세 등 제비용도 수출자의 부담이 아니라고 되

어 있다.

DPU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DPU에서는 <보험은 수출자의 책임이 아니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이 부분은 DPU에 한정하지 않고 ‘D로 시작하는 규칙들’에서

인코텀즈 2020 33
착각이나 오해가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다. 위험부담이 <화물을

인도하기까지>라는 조건이기 때문에 수출자가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문제는 수입자도 수출자에 대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으며, 수출자가 요구할 경우 수출자가 보험계약에 필요한 정

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출자는 처음 가격제시 시에 이점을 고려해야 하며,

매매계약 시에는 반드시 보험가입에 대해 확인해야 한다. 만약

수입자가 보험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착지 인도까지 위험

을 부담하는 수출자가 보험에 가입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유의

해야 한다. 목적지가 수입국의 내지일 경우 목적지까지 커버하

는 보험인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DPU는 CIF, CIP는 물론 DAP보다도 더 수입자에게 유리한 규

칙이다.

DDP Delivered Duty Paid(관세지급 인도규칙)

수출자가 수입국에서의 수입통관은 물론 수입관세까지 지불

34
하고 수입국의 지정목적지에서 수입자에게 인도하는 규칙이다.

재래선(在來船)만이 아니고 컨테이너선, 항공운송, 복합운송에 사

용된다.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할 경우, 수출자는 수입국의 지정목적지

에서 화물을 수입자에게 인도만 하는 것이 아니고 관세, 부가가

치세 등과 같은 일체의 세금을 부담한다는 규칙이다. 또한 이 규

칙이 특별한 것은 수입국에서의 <수입통관도 수출자가 한다>는

점이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는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DDP, with delivery happening at destination and with the


DDP
seller being responsible for the payment of import duty and

applicable taxes is the incoterms(R) rule imposing on the seller

the maximum level of obligation of all eleven Intoberms(R) rules.

DDP는 수출자가 수입국 지정목적지까지의 운송비용을 부담하는 것

만이 아니고 수입국에서 발생하는 수입관세 및 모든 관련 세금을 부

담하는 규칙이다. DDP는 인코텀즈 11개의 규칙 중에서 최고 수준의

의무를 수출자에게 지우고 있는 규칙이다.

인코텀즈 2020 35
이 기재 다음에 계속하여 <DDP는 수출자가 수입국의 수입통

관까지도 부담하는 조건이므로 어떤 이유에서든 수입통관을 할

수 없으면 DAP, DPU로 수입자와 계약하자>라고 해설하고 있다.

DDP의 활용방법

다른 ‘D로 시작하는 규칙’과 같이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DDP 뒤에 ‘화물을 인도하는 장소’를 적는

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상하이까지 화물을 수출할 경우, 상하이

ABC Trading 사의 상하이 Warehouse에서 화물을 인도한다면

다음과 같이 적는다.

DDP ABC Trading, Shanghai Warehouse : USD 10,000.-,

INCOTERMS 2020

목적지에서 인도하는 규칙이므로 항구의 정보, 여기서 말하는

부산항, 상하이 항은 명기하지 않는다.

•상하이 Warehouse에서 화물을 인도하고, 그때 매매금액이

USD 10,000.-

36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DDP에서의 수출입 통관

DDP에서의 수입통관은 수출자가 한다. 이는 다른 D규칙의

DAP, DPU에는 없는 수출자에게 냉엄한 조건이다. DDP의 경우

수입하는 국가에 현지법인이 있거나 또는 수입자가 될 수 있는

대리점이 없으면 보통은 어렵다.

DDP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DDP의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험은 수출자의 책임이 아

니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DDP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insurance.

수출자는 수입자에 대하여 보험계약 체결의 의무를 지지 않는다.

이 부분은 DDP에 한정하지 않고 ‘D로 시작하는 규칙들’에서

착각이나 오해가 발생하기 쉬운 부분이다. 위험부담이 <화물을

인코텀즈 2020 37
인도하기까지>라는 조건이기 때문에 수출자가 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문제는 수입자도 수출자에 대하여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으며, 수출자가 요구할 경우 수출자가 보험계약에 필요한 정

보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출자는 처음 가격제시 시에 이점을 고려해야 하며,

매매계약 시에는 반드시 보험가입에 대해 확인해야 한다. 만약

수입자가 보험계약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착지 인도까지 위험

을 부담하는 수출자가 보험에 가입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유의

해야 한다. 목적지가 수입국의 내지일 경우 목적지까지 커버하

는 보험인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DDP는 11개의 규칙 중에서 수입자에게 가장 유리한 규칙이다.

FAS Free Alongside Ship(선측 인도규칙)

선박(화물선, 재래선) 전용이다. 대단히 오래된 것으로 ‘아주 특수

한’ 규칙이다. 컨테이너선이나 항공기의 운송에서 이용할 수 없

는 것은 물론 재래선(화물선)일지라도 다양한 조건이 갖춰지지 않

38
으면 사용 기회는 없다.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할 경우 <수입자가 준비한 본선 옆에 화

물을 운반해 두면 수출자의 책임은 끝난다>는 규칙이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는 다음과 같이 명

기되어 있다.

The parties are well advised to specify as clearly as possible

the loading point at the named port of shipment where the

goods are to be transferred from the quay or barge to the ship,

as the costs and risks to that point are for the account of the

seller and these costs and associated handling charges may

vary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the port.

FAS

양 당사자(수출자와 수입자)는 지정선적항에서 화물이 부두 또는 바

지선에서 선박으로 이동하는 선적장소를 가능한 한 명확히 하는 것

이 좋다. 그 장소까지의 비용이나 위험부담은 수출자가 부담한다. 이

러한 비용 및 하역비용(화물을 취급하는 비용)은 항구의 관례(상관

행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인코텀즈 2020 39
FOB보다 더 수입자에 부담이 큰 규칙으로 화물의 선적을 수

입자가 수배할 필요가 있다.

FAS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FAS 뒤에 ‘화

물을 인도하는 장소’를 적는다.

FAS는 선편을 수입자가 수배하므로 가능한 한 계약 시에 ‘선

적하는 장소’를 구체적으로 정해 두는 것이 수입자에 대한 배려

가 된다. 이렇게 하는 것은 수입자 측도 선박회사에 운임 견적을

의뢰하기 때문이다.

FAS OOO Pier, Busan Port, Korea : USD 50,000.-, INCOTERMS

2020

•부산항 OOO 부두의 재래선 버스(Berth)에 계류한 선박의 선

측까지를 수출자가 부담, 그때 매매금액이 USD 50,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40
FAS에서의 수출입 통관

2020년판 ICC 해설서 《Export/import clearance》에서 FAS는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Where applicable, the seller must carry out and pay for all

export clearance formalities required by the country of export

such as : Export Licence etc.

해당되는 경우에 수출자는 수출허가 등과 같은 수출국에 의해 요

구되는 모든 수출통관 절차를 수행하고 그에 관련한 비용을 부담

해야 한다.

그다음 <수입통관과 관련해서 수입자의 요구에 응해서 수입에 FAS

필요한 자료 등을 제공하는 등 협력해야 한다>는 기재도 있다.

FAS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FAS의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험은 수출자의 의무가 아니

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인코텀즈 2020 41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insurance. However, the seller must provide the buyer,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cost, with information in the possession

of the seller that the buyer needs for obtaining insurance.

수출자는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수출자는 위험부

담, 비용부담을 수입자가 지는 것으로 해서 수입자의 요청이 있을

때는 수입자가 보험계약에 필요한 수출자 소유의 관련정보를 수입

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무보험 존이 나오지 않도록 수출자 측에서 수입자를 지원하는

것도 FAS에 있어서는 중요하다.

FOB Free On Board(본선 인도규칙)

FOB는 현재 항공기나 컨테이너선을 이용할 때 실무상은 ‘FCA

와 동등’이라 하여 대체 이용되고 있다. Free On Board는 <본선

인도>라고 오랜 기간 번역되어온 용어이다.

42
수출통관을 포함한 <물품이 본선의 선상에 놓여졌을 때(on

board)>까지의 위험과 비용을 수출자가 부담하는 규칙이다.

수출자는 보험에 가입할 의무는 없다. 그러나 수출자는 위험부

담, 비용부담을 수입자가 지는 것으로 해서 수입자의 요청이 있

을 때는 수입자가 보험계약에 필요한 수출자 소유의 관련정보를

수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FOB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FOB 뒤에 선

적하는 ’항구명’을 적는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상하이까지 화물

을 운송할 경우 다음과 같이 적는다.

FOB Busan, Korea : USD 50,000.-, INCOTERMS 2020

FOB
도착항, 여기서 말하는 상하이는 적지 않는다. 이때 Busan은

Busan Port를 표시한다.

•부산항에서 선적까지의 (국내)운임은 ‘수출하는 측’이 부담한

다. 그때 매매금액이 USD 50,000.-이다.

인코텀즈 2020 43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FOB와 컨테이너선

FOB는 컨테이너선이 발명되기 전 화물선(재래선, 在來船)에 사용

하기 위해 고안된 규칙이다. 그러므로 CIF와 같이 <컨테이너선

운송에는 이용하지 말아 달라>고 ICC는 권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컨테이너 운송에 FOB를 이용하는 사례는 많

이 있다. FCA의 경우는 구체적인 장소(일반적으로는 컨테이너 터미널

명)를 명기해야 한다.

•FCA Busan CFS, Korea

이렇게 하면 중도에 비행기 운송이나 육상 운송이 들어와도

의미가 통한다.

CFR Cost and Freight(운임포함 인도규칙)

CFR은 비공식 약어 ‘C&F’와 같은 의미로 이용되고 있고 ‘CIF

44
의 보험 없음’ 판이다.

한국에서 화물을 수출할 경우 <수입국의 지정목적지 항에 인

도하면 수출자의 책임은 끝나고 보험은 수출자가 가입하지 않는

다>는 규칙이다. 위험부담은 FOB와 같이 <물품이 본선의 선상에

놓여졌을 때> 수입자에게 이전된다.

컨테이너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CFR을 권장하지 않는다.

ICC가 발행한 영어판 INCOTERMS 2020의 해설서에는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This rule is to be used only for sea or inland waterway transport.

Where more than one mode of transport is to be used, which

will commonly be the case where goods are handled over to

a carrier at a container terminal, the appropriate rule to use is

CPT rather than CFR.

이 규칙은 해상 또는 내수로 운송에만 사용되어야 한다. 복수의 운송


CFR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송업체로

물품이 인도되는 경우)에 적절한 사용 규칙은 CFR이 아닌 CPT이다.

인코텀즈 2020 45
역으로 말하면 재래선에 의한 운송이면 종래대로 CFR을 하

면 된다.

CFR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CFR 뒤에 ‘화물

을 인도하는 장소(수입항)’를 적는다. 예를 들면 ‘CFR HAMBURG,

GERMANY’라는 방식이다. 여기서 HAMBURG는 함부르크 항을

표시하고 있고, 함부르크 시가지나 공항을 표시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부산항에서 함부르크 항까지 재래선

(해상운송)으로 수출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기한다.

CFR HAMBURG, GERMANY : USD 80,000.-, INCOTERMS 2020

화물을 내는 측 항구의 정보, 여기서는 부산항은 명기되지 않

는다.

•함부르크 항까지의 비용을 수출자가 부담하고 보험은 수출

자가 부담하지 않음. 그때 매매금액이 USD 80,000.-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46
한편 처음 거래하는 상대로, 해상운송과 항공운송의 선택조차

계약 후에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면 다른 계약조항뿐만 아니라

가격을 기재하는 부분에서 명확히 쓰는 것도 하나의 안이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기재한다.

CFR Hamburg port, Germany : USD 80,000.-, INCOTERMS

2020 (Ocean-freight)

CFR에서의 수출입 통관

2020년판 ICC 해설서 《Export/import clearance》에서 CFR은

다음과 같이 명기되어 있다.

CFR requires the seller to clear the goods for export, where

applicable. However,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clear the

goods for import or for transit through third countries, or to pay

any import duty or to carry out any import customs formalities.


CFR

CFR은 해당되는 경우에 수출자가 수출통관을 해야 한다. 그러나 수

출자는 물품의 수입을 위한 또는 제3국을 통과하기 위한 통관을 하

인코텀즈 2020 47
거나 수입관세를 지불하거나 수입통관 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CFR에서의 보험, 그리고 위험부담

CFR의 해설에서는 다음과 같이 <수출자는 보험에 들지 않는

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The seller has no obligation to the buyer to make a contract of

insurance. However, the seller must provide the buyer, at the

buyer’s request, risk and cost, with information in the possession

of the seller that the buyer needs for obtaining insurance.

수출자는 보험계약을 체결할 의무가 없다. 그러나 수출자는 위험부

담, 비용부담은 수입자 측으로 해서 수입자가 요청이 있으면 수입

자가 보험 취득에 필요한 수출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수입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보험을 수입자가 부담하는 것이 CFR 규칙의 특징이다. 무보

험 존이 나오지 않도록 수출자 측에서 수입자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48
CIF Cost Insurance and Freight
(운임·보험료포함 인도규칙)

CIF는 수출자가 ‘FOB까지의 비용’에 더해서 해상보험과 지정

목적지 항까지의 운임을 부담한다는 규칙이다. 위험부담은 FOB

와 같이 <물품이 본선의 선상에 놓여졌을 때(on board)에 수출자

로부터 수입자에게 이전>된다.

수출통관은 수출자가 해야 한다. 그러나 수출자는 물품의 수입

을 위한 또는 제3국을 통과하기 위한 통관을 하거나 수입관세를

지불하거나 수입통관 절차를 수행할 의무가 없다.

CIF의 활용방법

계약서나 선적서류(인보이스 등)에 명기할 때에는 CIF 뒤에 목적

지 ‘항구명’을 적는다.

예를 들면 부산에서 상하이까지 화물을 운송하려면,

CIF Shanghai, China : USD 100,000.-, INCOTERMS 2020

CIF

라고 쓰는 방식이다.

인코텀즈 2020 49
선적항, 여기서는 부산항은 쓰지 않는다. 이때 상하이는 상하

이 항을 표시한다.

•상하이 항까지의 운임과 해상보험을 수출하는 측이 부담한

다. 그때 매매금액이 USD 100,000.-이다.

이러한 정보가 이 한 줄에 표시되어 있다.

CIF와 컨테이너선

CIF는 컨테이너선이 발명되기 전의 일반 화물선(재래선)에 사용

하기 위해 고안된 규칙이다. 그러므로 <컨테이너선 운송에는 사

용하지 말아 달라>고 ICC는 권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컨테이

너 수송에 CIF를 사용하는 사례는 많이 있는 것 같다.

CIP의 경우는 구체적인 장소(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의 이름)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명기하기 때문에 ICC는 권하고 있다.

•CIP Shanghai CFS, China

이렇게 하면 도중에 비행기 운송이나 육상 운송이 들어와도

의미가 통한다.

50
인코텀즈 2020에서 수출자의 위험부담 및 비용부담 분기점

공장, 지정장소 수출항 목적지항 지정목적지


구분 본선 운송
창고 (지정운송인) (부두) (수입항) (수입국)
<모든 운송방식에 적용되는 규칙>

EXW

FCA

CPT

CIP

DAP

DPU

DDP

<해상운송과 내수로 운송에 적용되는 규칙>

FAS

FOB

CFR

CIF

수출자의 비용부담 수출자의 위험부담

* C규칙은 위험부담 분기점과 비용부담 분기점이 다름에 유의한다.


* DAP는 목적지에서 양하 전까지 수출자가 위험부담을 진다.
* DPU는 목적지에서 양하에 따르는 위험부담까지 수출자가 진다.
* DDP는 수출자가 수입국의 수입통관은 물론 수입관세 등 제비용을 모두 부담해야 한다. CIF
목적지에서 양하 전까지 수출자가 위험부담을 한다.

인코텀즈 2020 51
인코텀즈 활용 시 유의사항

•ICC나 인코텀즈가 모든 것을 보증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

에 수출입 계약 시에는 현실을 보면서 잘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보험계약을 체결할 경우에는 지정목적지까지 무보험 존(지

역)이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박이나 항공기 등 운송수단의 최종 선정에 관해서, C규칙

과 D규칙에서는 수출자가 선정하고 F규칙에서는 수입자가

선정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인코텀즈 규칙 변용 시 유의점 : 인코텀즈 규칙을 조금 고쳐서

사용하는 것을 인코텀즈 2020 규칙은 금지하지 않지만 변경

에는 위험이 따른다. 만약 계약에서 비용부담을 변경할 경우

위험이전 지점까지도 변경하는 것인지 명백하게 해야 한다.

참고문헌 《인코텀즈 2020》 (한국어 공식번역본), 대한상공회의소, 2019. 9. 5.

5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