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항공화물운송장과 운임

이상근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
1.항공화물운송장의 정의
1)개념:AWB(Air Waybill)
-항공화물운송을 위한 기본적인 서류
(해상운송의 B/L,항공여객운송의 항공권)
-MAWB(항공회사 발행)
-HAWB(대리점 또는 혼재업자)

2)표준화
-IATA에서 양식과 발행방식을 세부적으로 규정
-운임,운송조건,취급방식,사고처리,기타면에서 될 수 있는 한 표준화.통일화를 도
모->언어,법률,제도,노선,국적 등 상이한 수개의 항공사에 의해 출발지에서 도
착지까지 신속 원활하게 수송되도록 보장되고 있다.

3)기능
(1)운송계약서:원본1(발행항공사용), 원본3(송화인용)
(2)접수영수증(화물수취증):원본3
(3)운임계약서(요금계산서)
(4)세관신고서:수출입신고서로 사용되고,통관자료로 사용
CIF가격중의 운임,보험료의 증빙자료로 수입신고서에 첨부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
(5)보험계약증서(보험가입증명서):AWB상에 보험금액과 보험가액을 기재
한 화주보험을 부보한 경우(원본3)
(6)화물운송지침서:운송인은 AWB에 기재된대로 화물의 운송,취급,인도에
관한 지침서로 활용
(7)기타 사무정리용 서류:발행회사,제2운송회사,각후속 운송회사,대리점
에서의 운임정산,회계용자료 등 사무정리용 서류로서 사용(부본5,6,7,8)
(부본9는 대리점용 정리자료)

4)AWB의 성질
항공화물운송장(AWB) 선하증권(B/L)
-단순화물수취증 -유가증권
-비유통성(non-negotiable) -유통성(negotiable)
-기명식 -지시식(무기명식)
-수취식(창고수취후 발행) -선적식(본선 적후 발행)
-송화인이 작성함이 원칙 -운송인이 작성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3
5)AWB(Air Waybill)의 구성
번호 색 용도 기능
원본1 녹색 발행항공 -운송계약체결 증거서류
사용 -운임,요금 등의 회계처리용
원본2 적색 수하인용 -화물과 함께 목적지에 보내져 수하인에게 인도됨
원본3 청색 송화인용 -접수영수증
-운송계약서
부본4 황색 인도항공 -화물인도증명서
회사용 -운송계약이행 증거서류
부본5 백색 도착지 공 -도착지 공항의 세관관계업무에 사용됨
항용
부본6 백색 운송 운송에 참가한 2,3번째항공사가 운임 정산을 위해
부본7 참가 항공 사용
사용
부본8
부본9 백색 발행대리 발행대리점 보관용
점용
부본10 백색 예비용 필요에 따라 사용
부본11
부본12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4
2.IATA AWB 이면약관
1)AWB(Air Waybill) 이면약관
-IATA는 항공운송의 조건(운임, 운송규칙)을 협정하고 항공운송장의 양식 및 발행
방법 등을 정하고 있다.
- IATA가 제정한 운송계약 약관은 바르샤바조약의 범위 내에서 제정된 것으로
이중 운송인의 책임과 관련된 조항을 AWB 이면약관에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
다.

(1)약관전문 주의서에 의한 전제(운송인의 책임제한에 관한 공시)


-화물의 발송지국가 이외의 구간에 최종 목적지 또는 기항지를 가지는 운송에 대해
서는 바르샤바조약이 적용된다
-조약은 운송인의 책임을 손해화물 1kg당 250금프랑(약 USD20)으로 제한하고 송
화인이 보다 높은 가액을 신고하거나 또는 필요로하는 추가요금을 지급한 경우
에는 신고가액을 한도로 한다는 취지를 규정
(2)운송책임(2 2.1)
-이 약관에 의한 운송이 조약에 규정된 국제운송일 때는 바르샤바조약이 설정한 책
임규정이 적용된다.
(3)규정 적용(2 2.2)
-이 약관에 의한 운송에 있어서 준수할 규정은 .1관계법(조약을 수용한 국내법) 및
정부의 명령 규정 등 .2 본 운송장의 약관 .3 각 운송인의 Tariff ,규정, 운송조건
및 시간표 등의 적용을 받는다.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5
(4)비 바르샤바(3)
-바르샤바조약이 적용되지 않는 운송의 경우도 운송인의 책임은 운송화물
1kg에 대하여 USD20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한다. 다만 송하인이 높
은 가격을 신고하거나 추가요금을 지급하였을 때는 예외로 한다.
-즉, 조약체약국에서 발송되어 비체약국에 도착하는 화물과 같은 비 바르
샤바 운송화물에 대해서도 IATA 가맹국의 항공회사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에 대해서는 이 약관이 적용된다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5)보상(5)
-송화인이 종가요금을 지불한 경우는 “Declared Value for Carrier”란에
기재된 가액의 범위 내에서 실제 입은 손해액에 한하여 보상한다
(6)무게에 의한 보상(6)
-화물의 일부가 멸실,손상,지연되었을 경우 항공사의 책임한도는 Weight
로 결정되는데 당해 포장단위의 무게만으로 결정된다.
(7)송화인의 지불 보증(10)
-정당하게 책정된 모든 운송관련 비용에 대해 송하인은 지불을 보증해야
한다.
-화물이 인도되지 않았을 경우, 비록 운임이 지불되지 않았더라도 동화물
에 대한 손실은 보상되어 진다.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6
(8)Claim (12)
제기사유
-12.1.1 화물손상,일부멸실은 발견즉시, 늦어도 화물인수후 14일 이내
-12.1.2 화물의 기타 손상은, 화물인수후 14일 이내
-12.1.3 지연의 경우, 화물이 수화인에게 인도된 뒤 21일 이내
-12.1.4 인도불능은 AWB 발행일로 부터 120일 이내에
-제기 당사자(12.2): AWB발행인, 최초운송인,최후운송인,손해발생구간의
운송인 중 누구에게든지 서면으로 제기할 수 있다.
-소멸(12.3):도착일,도착예정일,운행중단일 로 부터 2년 경과시까지 크레
임이 제기되지않으면 손해배상청구권은 소멸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7
3.AWB 작성
1)일반원칙
(1)문자와 숫자는 라틴문자(영어,불어,스페인어)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
다른 문자는 영어를 병기해야 함
(2)대리점에서 작성시 화주신고서(Shipper’s Letter of Instruction),신용장
(L/C), 상업송장(C/I) 등 다른 선적서류와 일치하도록 작성해야 한다
(3)작성된 AWB의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때는 원본과 사본 전체에 대
해서 수정 또는 추가하여야 한다.
(4)작성시 Block Letter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고, 어떤 경우든 원본과 부
본 전체가 명확히 작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8
2) AWB 작성요령
(1)항공사 코드

아메리칸 항공 AA 에어카나다 AC 에어프랑스 AF


안셋호주항공 AN 알리탈리아항공 AZ 영국항공 BA
중국국제항공 CA 중국북방항공 CJ 케나디안에어라인 CP
케세이패시픽항공 CX 중국남방항공 CZ 델타항공 DL
가루다항공 GA 우즈벡항공 HY 사할린항공 HZ
재팬에어시스템 JD 일본항공 JL 대한항공
KE
네덜란드항공 KL 독일항공 LH 말레이시아항공 MH
중국동방항공 MU 전일본공수 NH 노스웨스트항공 NW
에어뉴질랜드항공NZ 싱가폴항공 SQ 러시아항공 SU
스위스항공 SR 타이항공 TG 유나이티드항공 UA
베트남항공 VN 바스피브라질항공 VP 블라디보스톡항공XF
크라스노야르크항공7B 러시아극동항공 H8 아시아나 OZ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9
(2)도시명(공항명) 코드(1)

(1)일본
동경 NRT 오사카 KIX 나고야 NGO
후쿠오카 FUK 아오모리 AOJ 히로시마 HIJ
후쿠시마 FKS 가고시마 KOJ 고마쯔 KMQ
마쓰야마 MYJ 니이가타 KIJ 오이타 OIT
오카야마 OKJ 삿포로 SPK 센다이 SDJ
다카마쓰 TAK 도야마 TOY

(2)중국
북경 BJS 장춘 CGQ 대련 DLC
광쩌우 CAN 하얼빈 HRB 청도 TAO
상해 SHA 천진 TSN 연대 YNT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0
도시명(공항명) 코드(2)

(3)동남아
홍콩 HKG 방콕 BKK 싱가폴 SIN
타이페이 TPE 마닐라 MNL 푸켓 HKT
뉴델리 DEL 호치민 SGN 자카르타 CGK
코타키나바루 BKI 쿠알라룸푸르 KUL 뭄바이 BOM
울란바토르 ULN

(4)미주
로스엔젤레스 LAX 뉴욕 JFK 뉴어크 EWR
샌프란시스코 SFO 시카고 ORD 시애틀 SEA
호놀룰루 HNL 엥커리지 ANC 아틀랜타 ATL
보스턴 BOS 댈러스 DFW 덴버 DEN
라스베가스 LAS 올랜도 ORL 필라델피아 PHL
워싱턴 IAD 상파울로 GRU 토론토 YYZ
밴쿠버 YVR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1
도시명(공항명) 코드(3)
(5)대양주
오클랜드 AKL 브리스베인 BNE 크라이스처치 CHC
괌 GUM 사이판 SPN 시드니 SYD

(6)유럽
암스텔담 AMS 프랑프푸르트 FRA 런던 LHR
파리 CDG 로마 FCO 쥬리히 ZRH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2
(12)통화코드
USD 미국 JPY 일본 EUR 유럽연합

GBP 영국 CAD 캐나다 CHF 스위스

HKD 홍콩 CNY 중국 THB 태국

IDR 인도네시아 SEK 스웨덴 AUD 호주

DKK 덴마크 NOK 노르웨이 SAR 사우디

KWD 쿠웨이트 BHD 바레인 AED U.A.E

SGD 싱가포르 MYR 말레이지아 NZD 뉴질랜드

TWD 대만 PHP 필리핀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3
(13)Charges Codes
AWB Data가 전송되는 경우 기재
-CC : All Charge Collect
-PP : All Charge Prepaid by Cash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4
(22D) Rate Class: 적용되는 화물의 요율

Code Code Rate Class


M GCR 최저요금(Minimum Charge)
N 기본 요율(Normal Rate)
Q 중량할인 요율(Quantity Over 45kg Rate)
C SCR 특정품목할인요율(Specific Commodity
Rate)
R CCR(Class Class Rate 할인 (Reduction)
S Rate) Class Rate 할증 (Surcharge)
U BUC ULD 기본요금 또는 요율(Pivot Weight
(Bulk Charge)
E Unitization ULD Over Pivot 요율
Charges)
X ULD Information
Y ULD 할인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5
(23)Other Charges

Code 내용 Code 내용
AC Animal Container PK Packaging
AS Assembly Services Fee PU Pick-Up
AW Air Waybill Fee RA Dangerous Goods Fee
CD Clearance and Handling SO Storage- Origin
-Destination
CH Clearance and Handling SR Storage- Destination
-Origin
DB Disbursement Fee TR Transit
DF Distribution Service Fee TX Taxes
FC Charges Collect Fee UN ULD Handling
GT Government Tax IN Insurance Premium
LA Live Animals HR Human Remain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6
II.국제항공화물 운임
1.IATA의 운임제도
1)운임, 운송조건, 기타 항공운송업무의 운영에 필요한 중요사항을
결정->관련국가의 승인을 조건으로 실시
-가장 중요한 기능은 운임을 항공사 사이에서 조정하여 협정을
체결하고 IATA 가맹 항공사를 구속하는 것(운임통제)
-Cargo Traffic Coordinating Conference(운임조정회의)에서
운임조정
-90년대 이후 경쟁시대 돌입으로 통제력 약화(->Open Rate)
2) IATA의 Traffic Conference Areas
TC Area 지역구분
TC1 북남미 대륙, 인근도서
TC2 유럽, 아프리카, 중동
TC3 아시아, 태평양, 인근도서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7
3) 운임결정의 일반원칙
1)요율, 요금 및 그와 관련된 규정의 적용은 AWB 발행당일에 유효한 것을
적용
2)항공화물의 요율은 공항에서 공항까지의 운송만을 위하여 것
(이적, 통관,집하, 인도,보관 등의 서비스는 별도로 요금 계산)
3)항공화물의 요율은 출발지 국가의 현지통화로 설정
(예외적으로 다수의 국가에서 현지통화 대신 USD로 설정)
4)별도의 규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요율과 요금은 가장 낮
은 것으로 적용
5)운임은 출발지에서의 Chargeable Weight에 kg/lb당 적용요율을 곱하여
산출한다.
6)모든 화물 요율은 kg당 요율로 설정되어 있다.
(단, 미국 출발 화물 요율은 lb당 및 kg당으로 설정)
7)운임 및 종가요금(Valuation Charge)은 함께 선불이거나,착불이어야 한
다.
8)화물의 실제운송경로는 운임산출시 근거로 한 경로와 반드시 일치할 필
요는 없다.
9)IATA에서 결의한 각 구간별 요율은 해당정부의 승인을 얻은 후 유효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8
4)국제항공운임의 결정절차

1단계 IATA 운임조정회의


(Tariff Coordinating Conference)
2단계 지역별회의
(TC1, TC2, TC3 지구 내, 각 지구 상호간)
3단계 IATA 운임의 결정
(전원 일치제 운영)
4단계 관계국 정부의 인가

5단계 발효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19
2. CASS(Cargo Accounts Settlement System)

(1)의의
항공사와 대리점간에 매표대금(운임) 정산을 일정한 자격을 갖춘
Settlement Office를 통해 일괄처리 함으로써 정산업무를 신속화,
표준화를 기하기 위해 IATA와 IATA 항공사가 공동 개발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p125 그림참조)

(2)구성원과 역할
1)항공사:CASS운영비용 분담, 정산소에 Billing 생산을 위한 자료제출
2)대리점:CASS 정산소로 부터 Billing된 Invoice 수령 및 IATA 규정에 따
라 허용된 신용공여기간내 일괄 송금
3)정산소: Billing 생산,배포 및 대리점으로부터 대금수납 및 항공사 이체
4)사무국:당사자간 업무조정 및 담보관리, Neutral AWB 관리

(3)운임정산절차: p126그림참조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0
3.항공화물요율
1)운송요금의 구성
-요율(Rate)
항공운송의 대가로서 징수하는 운임을 중량 당 또는 단위용기 당 금액
으로 나타낸 것( 노선별로 Tariff에 정해져 있다)
-요금(Charge)
운송에 관련된 부수적인 업무에 관한 대가와 설비의 사용에 대한 대가
(ULD 사용료, 위험물취급수수료, 착지불수수료,Trucking Charge등
-기타수수료
운송장작성수수료, 화물취급수수료, Pick-up Service Charge, Terminal
Handling Charge 등

2)요율의 종류
가)일반화물요율(General Cargo Rates)
-모든 운송요금 산정시 기본
-품목분류화물(Class Rate:CR) 및 특정품목할인요율(Specific
Commodity Rate:SCR)의 적용을 받지않는 모든 화물에 적용
(1)최저운임(M)
-한건의 화물운송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운임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1
(2)기본요율(N)
-45kg 미만의 화물에 적용되는 요율로서 모든 일반화물 요율의 기준
(3)중량단계별 할인요율(Q)
-중량이 높아짐에 따라 kg당 요율은 낮아지도록 설정
(4)높은 중량단계에서의 낮은 운임적용
-높은 중량단계에서 낮은 요율을 적용하여 운임이 낮아지는 경우 그대로
이 운임을 적용하는 방법

*Chargeable Weight (운임산출중량): 1)과 2)중 높은 쪽을 적용


1)실제중량(Actual Gross Weight)에 의한 방법
0.001kg - 0.5 kg 미만 -> 0.5kg 으로 절상
0.501kg – 1.0 kg 미만 -> 1.0kg 으로 절상
0.001lb – 1.0 lb 미만 -> 1.0lb 로 절상

2)용적(부피) 중량에 의한 방법 (6,000cucm = 1.0kg)


(최대가로) X (최대세로) X (최대높이) / 6,000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2
나)특정화물 할인 요율(Specific Commodity Rates)

-특정구간에 특정품목이 반복적으로 운송되는 품목들에 대해 일반품목


보다 요율을 낮춤으로써 항공운송 이용을 확대,촉진시키는데 있다.
-항공화물 판매상 중요한 비중차지(육상,해상화물과 경쟁성 감안해 결정)

(1)SCR 적용방법
1단계: 해당 구간 SCR 설정여부 확인
2단계: SCR이 설정된 경우 품목 확인
3단계: 운송품목이 SCR 설정품목에 해당되는지 확인
4단계: 해당되는 경우 최저중량 확인 및 용율 설정
5단계: 높은 중량단계에서 낮은 요율 적용 가능
6단계: AWB 작성시 Rate Class란에 “C” 기입

*p131-132예제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3
(2)IATA의 품목분류 체계
(TACT Rate Section 2)

Item No. Descriptions


0001-0999 생선, 육류, 채소 및 과일
1000-1999 생동물, 동.식물성 제품
2000-2999 직물,섬유류 및 섬유제품
3000-3999 금속 및 금속제품- 기계,자동차, 전기제품 제외
4000-4999 기계류, 자동차 등과 전기제품
5000-5999 비금속 광물 및 제품
6000-6999 화학제품 및 관련제품
7000-7999 종이, 갈대, 고무,나무 및 나무제품
8000-8999 과학기재, 전문도구, 정밀기계 및 관련 소모품
9000-9999 기타 품목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4
다)품목분류요율 (Commodity Classification Rate, Class Rate)
-CCR은 몇가지 특정 품목에만 적용
(특정지역간, 특정지역내에서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1)적용 품목
(가) 신문, 잡지,정기간행물,책, 카다로그, 점자책 등 ( R )
(나) 비동반 수화물 ( R )
(다) 생동물 (S)
(라) 귀중화물 (S)
(마) 시체, 유골 (S)
(바) 자동차 (S)

(2)적용 방법
(가)해당구간에 SCR 적용 불가시 Class Rate 적용여부 검토
(나)Class Rate 계산(= 구간공시요율X 적용백분율)
(다)AWB 상의 Rate Class란에 “S” 또는 “R” 기재
(라)예외규정 검토
(마)운임계산(= 운임적용중량 X Class Rate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5
(3)신문,잡지, 정기간행물, 카다로그, 맹인용점자 및 Talking Book
(가) 요율적용: 5kg 이상의 화물에 대한 요율
p135 참조
(나) 적용불가 품목:칼렌다, 가격표, 포스터등
(다)일반 최저운임적용
(라)GCR 을 적용한 운임이 더 적은 경우 는 GCR 적용

(4)비동반 수화물
(가)적용품목
개인의류 및 개인용품(들고 다닐 수 있는 악기, 타자기, 운동기구 포함
(나)제외품목
기계류, 기계부품, 화폐, 유가증권, 보석류, 시계, 도금된 식기류, 도금
도자기, 모피, 필름, 카메라, Tickets, 서류, 주류, 향수, 가구, 상품견본
(다)특별요율 설정
골프, 스키장비, 윈드서빙 기구는 특별한 초과 수하물 요율 설정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6
(라) 적용 조건
-여객이 소지한 항공권상의 여정과 같은 구간을 운송할 것
-여객 출발일 이전에 항공사에 수하물이 인도 될 것
-필요한 서류를 항공사와 세관에 제출
-집하,인도 및 세관에 추가되는 요금은 여객 책임
-통관은 여객이나 대리점이 수행
-AWB상에 여객 항공권 번호와 비행편 등을 기재
-수하물 운송 항공편은 항공사가 결정

(5)귀중화물(Valuable Cargo)
(가) 정의
- 운송신고가격이 USD1,000.00/kg 이상
- 금, 백금
- 화폐, 유가증권, 주식, 여행자 수표, 우표, 인지, 신용카드
-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오팔, 진주
- 보석장신구
- 금, 은, 백금으로 만든 보석이나 시계
-금 또는 백금으로 만든 물품(도금된 물품 제외)
(나)요율적용: 200% of the Normal GCR
(다)최저운임: 200%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7
(6)유해(Human Remains)
(7)생동물(Live Animals)
(8)단위탑재용기운임(Bulk Unitization Charges)

라)종가요금(Valuation Charges )
(1)의의: 화물에 운송인의 책임한도액(USD20.00/kg)을 확대해 주기위해
화주가 화물의 가격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불하는 종가운임
(2)계산방법: 초과분의 0.5% 종가요금 부과

바)기타요금
(1)입체지불수수료(Disbursement Fee)
-입체지불금 종류:Trucking Charge, Pick-up Charge, Handling
Charge, Documentation Charge, Insurance Premium, Dangerous
Goods Fee
-제한: 운송장상 운임을 초과하지 못함
-수수료: 10%( 최저 15,000KRW, USD20.00)
(2)위험물취급수수료 (Dangerous Goods Handling Fee)
-항공사가 위험물 접수시 포장상태, 관련서류, 관계국 규정 등의 검사에
대한 수수료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8
(3)착지불수수료( Charge Collect Fee)
-징수목적:Risk 방지 ,환차손 억제,착지불 운송의 억제
-금지품목:p147
-요금:2%
-최종 운송항공사의 몫

(4)기타수수료
-운송장 작성수수료(AWB Preparation Fee)
-화물취급수수료(Handling Charge):서류발급,도착통지,파트너 통신비용
-Pick-up Service Charge
-Terminal Handling Charge: LFC 상태로 항공사에 인도함에 따라 발생하
는 포장, Labelling, BUC 작업비용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29
국가물류비
연도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국가 52,766 56,514 56,161 62,180 66,456 67,456


물류비
(10억원) 63,754 69,590 74,170 78,892 85,147 87,523

GDP기 12.6 12.5 12.6 12.9 12.8 12.4


준(%)
15.2 15.4 16.5 16.3 16.3 16.1

아래쪽은 국제화물수송비 포함

일본9.59%(97년),미국 9.5%(01년)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30
구성요소별 증감율 비교
구분 총계 수송비 재고 포장비 하역비 물류 일반
유지비 정보비 관리비
2000 66,695 42,792 13,754 1,739 1,144 3,591 3,677
(64.2) (20.6) (2.6) (1.7) (5.4) (5.5)
2001 67,456 44,941 12,339 1,848 1.139 3,529 3,659
(66.6) (18.3) (2.7) (1.7) (5.2) (5.4)
증감률 1.1 5.0 -10.3 6.3 -0.4 -1.7 -0.5

재고유지비 감소는 재고감소, 차임금평균이자율(10.5%->9.5%)하락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31
부문별 수송비 비중

구분 계(%) 도로 철도 수상 항공 기타

한국 66.6 63.5 1.0 1.1 0.1 0.9

일본 64.8 57.9 0.4 5.9 0.1 0.5

미국 58.2 50.9 3.9 2.9 2.5 1.6

복합운송실무 항공화물운송장 3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