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75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4.2.3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 ··
··
··
··
··
··
··
··
··
··
··
··
··
··
··
··
··
··65
제1장 요약문 ·
··
··
··
··
··
··
··
··
··
··
··
··
··
··
··
··
··
··
··
··
··
··
··1
4.2.4 물리탐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1.1 사업의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4.2.5 인근시추 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
··
··
··
··
··70
1.2 지반 및 지질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1 4.2.6 구지형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72
1.3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
··
··
··
··
··
··
··
··
··
··
··
··
··
··
··
··
··
··1 4.3 설계지반정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1.4 지반안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4.3.1 설계지반정수 산정 개요 · ·
··
··
··
··
··
··
··
··
··
··
··
··
··
··
··
··
·75
1.5 지하안전확보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1 4.3.2 문헌조사 및 경험식에 의한 설계정수 · ···
··
··
··
··
··
·76
4.3.3 설계사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1.6 종합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4.3.4 설계지반정수 산정 · ··
··
··
··
··
···
··
··
··
··
··
··
··
··
··
··
··
··
··
··
·78
1.7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
··
··
··
··
··
··
··
··
··
··
··
··
··
··
··
··
·1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


··
··
··
·79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
··
··
··
··
··
··
··
··
··
··
··
··
··
··
··
·3
5.1 지하수 수리특성 분석 · ·
···
··
··
··
··
··
··
··
··
···
··
··
··
··
··
··
··
··79
2.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
··
···
··
··
··
··
··
··
··
··
···
··
··
··
··
··
··
··
···3
5.1.1 기존자료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79
2.1.1 사업의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3
5.1.2 현장 지하수 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85
2.1.2 사업의 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3
5.1.3 설계지하수위 ···
··
··
··
··
··
··
··
··
··
··
··
··
··
··
··
··
··
··
··
··
··
··
··
··
·88
2.2 사업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5.2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 · ·
···
··
··
··
··
··
··
··
··
···
··
··
··
··
··
··
··
··92
2.2.1 사업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5.2.1 평가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
2.2.2 구조물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7
5.2.2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3
2.2.3 굴착계획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10
5.3 침투해석에 의한 지하수 흐름 분석 · ··
··
···
··
··
··
··
··116
2.2.4 최대 굴착깊이 산정 · ·
··
··
··
··
··
··
··
··
··
··
··
··
··
··
··
··
··
··
··
··17
5.3.1 평가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6
2.3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근거 · ··
··
···
··
··
··
··
···
··
··
··
··
··
·19
5.3.2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3
2.3.1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기준 · ··
··
··
··
··
··
··
··
··
··
··
··
··
··19
2.3.2 지하안전영향평가 제출 일자 · ··
··
··
··
··
··
··
··
··
··
··
··
··
··21
2.3.3 지하안전영향평가 추진 경위 · ··
··
··
··
··
··
··
··
··
··
··
··
··
··29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
··
··
··
··
··
··
··
··
··
··
··
··
··
·131
6.1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 ··
··
··
··
··
··
··
···
··
··
··
··
··131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
··
··
··
··
··
··
··
··
··
··
··
··
··
··
·31 6.1.1 평가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1
6.1.2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2
3.1 평가대상 지역 설정 · ···
··
··
··
··
··
···
··
··
··
··
··
···
··
··
··
··
··
··
·31
6.2 경험식에 의한 지반안전성 · ··
··
··
··
···
··
··
··
··
··
··
··
··
··
··147
3.1.1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평가를 위한
6.2.1 평가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7
대상지역 설정 ·
··
··
··
··
··
··
··
··
··
··
··
··
··
··
··
··
··31
6.2.2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9
3.1.2 지반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 · ·
··
··
··
··
··35
6.3 탄·소성보 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 ··
··
··
···
··
··
··150
3.2 평가대상 시설물 · ·
··
··
··
··
···
··
··
··
··
··
··
··
··
···
··
··
··
··
··
··
··
··
·44
6.3.1 평가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0
3.2.1 일반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6.3.2 평가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3
3.2.2 구조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45
3.2.3 지하매설물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50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
··
··
··
··
··
··
··
··
·169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
··
··
··
··
··
··
··
··
··
··
··
··
·53 7.1 계측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9
7.1.1 계측기 설치계획 · ··
··
··
··
··
··
··
··
··
··
··
··
··
··
··
··
··
··
··
··
··
··169
4.1 조사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7.1.2 사고 및 계측관리기준 초과시 대응방안 · ·
··
··
··
··175
4.1.1 지반조사 위치 선정 · ··
··
··
··
··
··
··
··
··
··
··
··
··
··
··
··
··
··
··
··
·53
4.1.2 현장조사 및 시험 · ·
··
··
··
··
··
··
··
··
··
··
··
··
··
··
··
··
··
··
··
··
··
·56
7.2 지반침하 취약구간 보강 및 차수방안 · ···
··
··
··
··
··
·179
4.1.3 물리탐사 및 검층 · ·
··
··
··
··
··
··
··
··
··
··
··
··
··
··
··
··
··
··
··
··
··
·58 7.2.1 지반침하 취약구간 선정 · ··
··
··
··
··
··
··
··
··
··
··
··
··
··
··
··179
7.2.2 보강 및 차수방안 · ··
··
··
··
··
··
··
··
··
··
··
··
··
··
··
··
··
··
··
··
··181
4.2 조사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7.2.3 추가 보강계획(필요시) · ·
··
··
··
··
··
··
··
··
··
··
··
··
··
··
··
··
··182
4.2.1 문헌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4.2.2 시추조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7.3 현장 안전관리 방안 · ·
··
··
··
···
··
··
··
··
··
··
··
···
··
··
··
··
··
··
·183
7.3.1 공사장 지하수 및 토사 유출 관리 방안 · ·
··
··
··
··183

- i -
목 차

7.3.2 공동 보강 및 관리 방안 ·
··
··
··
··
··
··
··
··
··
··
··
··
··
··
··
··184
7.3.3 시공 중 추가 지반조사 계획(필요시) · ··
··
··
··
···
··185
7.3.4 중점 현장 안전관리 방안 ·
··
··
··
··
··
··
··
··
··
··
··
··
··
··
··186

제8장 종합평가 및 결론 ·
··
··
··
··
··
··
··
··
··
··
··
··
·191
8.1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 · ·
··
··
··
··
··
··
··
··
···
··
··
··
··
··
··
··
··191
8.1.1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 ··
··
··
··
··
··
··
··
···
··
··
··
··
··
·191
8.1.2 지반안전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192
8.2 종합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3

제9장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
··
··
··
··
··195
9.1 조사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5
9.2 조사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6
9.3 조사 시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7

제10장 부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9

제11장 참고자료 ·
··
··
··
··
··
··
··
··
··
··
··
··
··
··
··
··
··
··
··
··
··
··
··
·201

- ii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목 차 작성방법

1. 요약문

1.1 사업의 내용 ∙ 사업계획을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기존자료 조사, 현장 조사 등 대상사업의 지반 및 지질 현황을


1.2 지반 및 지질현황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관측망을 통한 지하수 조사, 광역 지하수 흐름 분석 등 지하수
1.3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변화에 의한 영향을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전성 영향분석, 주변시설물의 안전성 분
1.4 지반안전성
석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1.5 지하안전확보방안 ∙ 계측계획, 보강 및 차수공법에 대하여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1.6 종합결론 ∙ 지하안전영향평가에 대한 분석 및 평가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조사내용 및 조시시기에 대하여 간략히


1.7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요약하여 작성

2. 대상사업의 개요

2.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대상사업의 실시 배경 및 해당사업의 입지조건과 건축물의 규모


2.2.1 사업의 배경
를 정량적으로 수록

2.2.2 사업의 목적 ∙ 대상사업의 목적을 수록

2.2 사업 현황

∙ 승인 요청 시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현황을 정량적


2.2.1 사업 개요
으로 수록
∙ 건축 연면적 등이 포함된 구조물 개요를 정량적으로 수록하며,
2.2.2 구조물 개요
현황도 및 조감도 등을 수록
∙ 굴착공법에 대한 선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
2.2.3 굴착계획 현황 ∙ 터널 굴착공법, 단면 및 표준지보패턴에 대한 선정 결과의 적정
성을 검토하여 수록
∙ 현황측량도와 굴착계획 평면도를 고려하여 굴착깊이를 산정하고
2.2.4 최대 굴착깊이 산정
최대굴착깊이 산정 근거를 수록

2.3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근거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에 따른 대상사업의 실시


2.3.1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기준
기준 여부를 확인하여 수록

2.3.2 지하안전영향평가 제출 일자 ∙ 사업 종류에 따른 협의요청시기에 대한 법적 근거를 수록

2.3.3 지하안전영향평가 추진 경위 ∙ 실시기간 및 범위와 각 공종별 추진 경위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목 차 작성방법

3. 대상지역의 설정

3.1 평가대상 지역 설정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평가를 위한 ∙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을 위한 영향범위 산정 결과를 수록


3.1.1
대상지역 설정 ∙ 침투해석을 위한 검토범위 산정 결과를 수록

∙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대상지


3.1.2 지반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
역 설정 근거 수록

3.2 평가대상 시설물

∙ 대상사업 구간 주변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위성지도에 구조물


3.2.1 일반현황
등을 표기하여 수록

∙ 현장조사 및 위성지도를 통해 검토범위 내 인접건물, 지하구조물


3.2.2 구조물 현황
및 인접도로 등을 수록

∙ 지하매설물 현황자료를 통해 검토범위 내 지하매설물의 종류,


3.2.3 지하매설물 현황
위치 및 심도 등을 수록

4. 지반 및 지질 현황

4.1 조사현황

4.1.1 지반조사 위치 선정 ∙ 시추 및 현장시험 위치 수록

4.1.2 현장조사 및 시험 ∙ 현장시험 항목, 수량 및 시험 방법 수록

4.1.3 물리탐사 및 검층 ∙ 물리탐사 및 검층 방법 수록

4.2 조사결과

∙ 지형도 및 지질도 등 문헌자료를 이용한 지형 및 지질 특성 분석


4.2.1 문헌조사
결과 수록

4.2.2 시추조사 ∙ 주상도, 지층단면도 및 지층분포 특성 등 시추조사 결과 수록

4.2.3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수록

4.2.4 물리탐사 ∙ 물리탐사 결과 및 지하공동 조사결과를 수록

∙ 인근 시추자료를 통해 대상지역 및 인근 지층특성을 비교·분석


4.2.5 인근시추 자료 분석
하여 수록

∙ 구지도 및 과거위성지도 등을 이용한 대상지역의 구지형 분석


4.2.6 구지형 분석
결과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목 차 작성방법

4.3 설계지반정수

∙ 설계지반정수 산정절차, 지층별 착안사항 및 지층별 N치 등을


4.3.1 설계지반정수 산정 개요
수록

∙ 문헌조사를 통해 산정된 설계지반정수 수록


4.3.2 문헌조사 및 경험식에 의한 설계정수
∙ 경험식에 의해 산정된 설계지반정수 수록

4.3.3 설계사례 ∙ 대상사업과 인접한 사업의 적용 설계지반정수 수록

∙ 문헌조사, 경험식, 설계사례 및 현장시험 결과 등을 종합 검토하


4.3.4 설계지반정수 산정
여 설계지반정수를 산정하고 산정사유를 수록

5.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5.1 지하수 수리특성 분석

∙ 국가지하수정보체계,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등 기존자


5.1.1 기존자료 분석
료를 활용하여 지하수위 변동량, 강우량 등을 수록

∙ 지반조사를 통해 확인된 대상지역의 지하수위 분포 등 지하수


5.1.2 현장 지하수 조사
현황에 대하여 수록

∙ 연간지하수위 변동량 및 지하수위 상승고 등을 종합 검토하여


5.1.3 설계지하수위
대상사업의 설계지하수위를 산정하여 수록

5.2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

5.2.1 평가방법 ∙ 광역지하수 흐름분석에 대한 목적, 방법 및 조건 등을 수록

5.2.2 평가결과 ∙ 정류해석 결과 및 굴착에 따른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 결과 수록

5.3 침투해석에 의한 지하수 흐름 분석

5.3.1 평가방법 ∙ 침투해석시 적용한 해석위치, 입력변수 등 해석개요를 수록

∙ 굴착 단계별 지하수위 저하량, 누적수위 변화량 및 유출수량


5.3.2 평가결과
등 침투해석 결과 수록

6 지반안전성 검토

6.1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6.1.1 평가방법 ∙ 평가조건 및 검토방법 등 평가개요 수록

∙ 흙막이 가시설,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등 수치해석 결과


6.1.2 평가결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목 차 작성방법

6.2 경험식에 의한 지반안전성

∙ Mana & Clough의 방법, O’Rourke의 방법 및 Peck의 경험적


6.2.1 평가방법
방법 등 평가방법 수록함

6.2.2 평가결과 ∙ 경험식에 의한 지반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6.3 탄·소성보 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6.3.1 평가방법 ∙ 평가조건 및 검토방법 등 평가개요 수록

6.3.2 평가결과 ∙ 벽체변위 및 부재 구조검토 등 구조검토 결과 수록

7.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7.1 계측계획

∙ 계측기 설치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계측빈도 및 계측관리기


7.1.1 계측기 설치계획
준 수록

∙ 관리기준치 초과시 대응방안 및 지반함몰 등 사고시 대응 방안


7.1.2 사고 및 계측관리기준 초과시 대응방안
수록

7.2 지반침하 취약구간 보강 및 차수방안

∙ 지반조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검토결과를


7.2.1 지반침하 취약구간 선정
바탕으로 지반침하 취약구간을 선정하여 수록

7.2.2 보강 및 차수방안 ∙ 지반침하 취약구간의 보강 및 차수 방안 수록

7.2.3 추가 보강계획(필요시) ∙ 지반침하 취약구간 추가 보강 필요시 보강계획 수록

7.3 현장 안전관리 방안

7.3.1 공사장 지하수 및 토사 유출 관리 방안 ∙ 지하수 및 토사 유출 관리방안을 수록

7.3.2 공동 보강 및 관리 방안 ∙ 공동 보강 및 관리방안을 수록

∙ 기존건물 등으로 지반조사 미수행 구간에 대해 착공전 추가 지반


7.3.3 시공 중 추가 지반조사 계획(필요시)
조사가 필요한 경우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평가서에 수록

7.3.4 중점 현장 안전관리 방안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중점적인 현장 안전관리 방안을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목 차 작성방법

8. 종합평가 및 결론

8.1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

8.1.1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에 대하여 평가결과를 정량적으로 수록

8.1.2 지반안전성 ∙ 지반안전성에 대하여 평가결과를 정량적으로 수록

8.2 종합결론 ∙ 대상사업에 대한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수록

9.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9.1 조사 개요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의 조사 개요를 수록

9.2 조사 내용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조사내용을 수록

∙ 지하안전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주요시기를 바탕으로


9.3 조사 시기
조사시기를 선정하여 수록

10. 부록

∙ 지하안전영향평가를 대행한 전문기관을 기재하고 등록증 수록


∙ 평가에 참여한 자의 인적사항을 평가항목별 및 참여내용별로
1. 참여인원 인적사항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기재하고 전문교육 이수확인을 위하여 수
료증 수록

∙ 시추주상도, 투수시험, 지하물리탐사, 지하수 조사 시험 등 현장


2. 지반조사자료
조사 결과 수록

3. 용어해설 ∙ 지하안전영향평가서에 사용한 용어에 대하여 해설 수록

4. 수치해석 검토자료 ∙ 지하수영향 및 지반안전성 해석 DATA를 수록

5. 참고문헌 ∙ 인용하였거나 참고한 문헌 수록

6 계약서 ∙ 지하안전영향평가서 계약서 수록

7. 설계도서 ∙ 설계도면 및 구조계산서 수록(책임기술자 도장 날인)

∙ 보완요구사항에 대한 조치결과 및 자문위원 조치결과 확인사항


8. 보완요구사항 조치결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목 차 작성방법

1. 요약문

1.1 사업의 내용 ∙ 사업계획을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기존자료 조사, 현장 조사 등 대상사업의 지반 및 지질 현황을


1.2 지반 및 지질현황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관측망을 통한 지하수 조사, 광역 지하수 흐름 분석 등 지하수
1.3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변화에 의한 영향을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전성 영향분석, 주변시설물의 안전성 분
1.4 지반안전성
석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1.5 지하안전확보방안 ∙ 계측계획, 보강 및 차수공법에 대하여 간략히 요약하여 작성

∙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에 대한 분석 및 평가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


1.6 결론
여 작성

2. 대상사업의 개요

2.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 대상사업의 실시 배경 및 해당사업의 입지조건과 건축물의 규모


2.2.1 사업의 배경
를 정량적으로 수록

2.2.2 사업의 목적 ∙ 대상사업의 목적을 수록

2.2 사업 현황

∙ 승인 요청 시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현황을 정량적


2.2.1 사업 개요
으로 수록
∙ 건축 연면적 등이 포함된 구조물 개요를 정량적으로 수록하며,
2.2.2 구조물 개요
현황도 및 조감도 등을 수록

2.2.3 굴착계획 현황 ∙ 굴착공법에 대한 선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

∙ 현황측량도와 굴착계획 평면도를 고려하여 굴착깊이를 산정하고


2.2.4 최대 굴착깊이 산정
최대굴착깊이 산정 근거를 수록

2.3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근거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에 따른 대상사업의 실시


2.3.1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기준
기준 여부를 확인하고 수록

2.3.2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제출 일자 ∙ 사업 종류에 따른 협의요청시기에 대한 법적 근거를 수록

2.3.3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추진 경위 ∙ 실시기간 및 범위와 각 공종별 추진 경위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목 차 작성방법

3. 대상지역의 설정

3.1 평가대상 지역 설정

∙ 이론적 및 경험적 추정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대상지


3.1.1 지반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
역 설정 근거 수록

3.2 평가대상 시설물

∙ 대상사업 구간 주변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위성지도에 구조물


3.2.1 일반현황
등을 표기하여 수록

∙ 현장조사 및 위성지도를 통해 검토범위 내 인접건물, 지하구조물


3.2.2 구조물 현황
및 인접도로 등을 수록

∙ 지하매설물 현황자료를 통해 검토범위 내 지하매설물의 종류,


3.2.3 지하매설물 현황
위치 및 심도 등을 수록

4. 지반 및 지질 현황

4.1 조사현황

4.1.1 지반조사 위치 선정 ∙ 시추 및 현장시험 위치 수록

4.1.2 현장조사 및 시험 ∙ 현장시험 항목, 수량 및 시험 방법 수록

4.2 조사결과

∙ 지형도 및 지질도 등 문헌자료를 이용한 지형 및 지질 특성 분석


4.2.1 문헌조사
결과 수록

4.2.2 시추조사 ∙ 주상도, 지층단면도 및 지층분포 특성 등 시추조사 결과 수록

4.2.3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수록

∙ 인근 시추자료를 통해 대상지역 및 인근 지층특성을 비교·분석


4.2.4 인근시추 자료 분석
하여 수록

∙ 구지도 및 과거위성지도 등을 이용한 대상지역의 구지형 분석


4.2.5 구지형 분석
결과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목 차 작성방법

4.3 설계지반정수

∙ 설계지반정수 산정절차, 지층별 착안사항 및 지층별 N치 등을


4.3.1 설계지반정수 산정 개요
수록

∙ 문헌조사를 통해 산정된 설계지반정수 수록


4.3.2 문헌조사 및 경험식에 의한 설계정수
∙ 경험식에 의해 산정된 설계지반정수 수록

4.3.3 설계사례 ∙ 대상사업과 인접한 사업의 적용 설계지반정수 수록

∙ 문헌조사, 경험식, 설계사례 및 현장시험 결과 등을 종합 검토하


4.3.4 설계지반정수 산정
여 설계지반정수를 산정하고 산정사유를 수록

5.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5.1 지하수 수리특성 분석

∙ 국가지하수정보체계,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등 기존자


5.1.1 기존자료 분석
료를 활용하여 지하수위 변동량, 강우량 등을 수록

∙ 지반조사를 통해 확인된 대상지역의 지하수위 분포 등 지하수


5.1.2 현장 지하수 조사
현황에 대하여 수록

∙ 연간지하수위 변동량 및 지하수위 상승고 등을 종합 검토하여


5.1.3 설계지하수위
대상사업의 설계지하수위를 산정하여 수록

5.2 침투해석에 의한 지하수 흐름 분석

5.2.1 평가방법 ∙ 침투해석시 적용한 해석위치, 입력변수 등 해석개요를 수록

∙ 굴착 단계별 지하수위 저하량, 누적수위 변화량 및 유출수량


5.2.2 평가결과
등 침투해석 결과 수록

6 지반안전성 검토

6.1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6.1.1 평가방법 ∙ 평가조건 및 검토방법 등 평가개요 수록

∙ 흙막이 가시설,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등 수치해석 결과


6.1.2 평가결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목 차 작성방법

6.2 경험식에 의한 지반안전성

∙ Mana & Clough의 방법, O’Rourke의 방법 및 Peck의 경험적


6.2.1 평가방법
방법 등 평가방법 수록함

6.2.2 평가결과 ∙ 경험식에 의한 지반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6.3 탄·소성보 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6.3.1 평가방법 ∙ 평가조건 및 검토방법 등 평가개요 수록

6.3.2 평가결과 ∙ 벽체변위 및 부재 구조검토 등 구조검토 결과 수록

7.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7.1 계측계획

∙ 계측기 설치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계측빈도 및 계측관리기


7.1.1 계측기 설치계획
준 수록

∙ 관리기준치 초과시 대응방안 및 지반함몰 등 사고시 대응 방안


7.1.2 사고 및 계측관리기준 초과시 대응방안
수록

7.2 지반침하 취약구간 보강 및 차수방안

∙ 지반조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검토결과를


7.2.1 지반침하 취약구간 선정
바탕으로 지반침하 취약구간을 선정하여 수록

7.2.2 보강 및 차수방안 ∙ 지반침하 취약구간의 보강 및 차수 방안 수록

7.2.3 추가 보강계획(필요시) ∙ 지반침하 취약구간 추가 보강 필요시 보강계획 수록

7.3 현장 안전관리 방안

7.3.1 공사장 지하수 및 토사 유출 관리 방안 ∙ 지하수 및 토사 유출 관리방안을 수록

7.3.2 공동 보강 및 관리 방안 ∙ 공동 보강 및 관리방안을 수록

∙ 기존건물 등으로 지반조사 미수행 구간에 대해 착공전 추가 지반


7.3.3 시공 중 추가 지반조사 계획(필요시)
조사가 필요한 경우 조사계획을 수립하여 평가서에 수록

7.3.4 중점 현장 안전관리 방안 ∙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중점적인 현장 안전관리 방안을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목 차 작성방법

8. 종합평가 및 결론

8.1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

8.1.1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에 대하여 평가결과를 정량적으로 수록

8.1.2 지반안전성 ∙ 지반안전성에 대하여 평가결과를 정량적으로 수록

∙ 대상사업에 대한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8.2 결론
수록

9. 부록

∙ 지하안전영향평가를 대행한 전문기관을 기재하고 등록증 수록


∙ 평가에 참여한 자의 인적사항을 평가항목별 및 참여내용별로
1. 참여인원 인적사항
세분하여 구체적으로 기재하고 전문교육 이수확인을 위하여 수
료증 수록

∙ 시추주상도, 투수시험, 지하물리탐사, 지하수 조사 시험 등 현장


2. 지반조사자료
조사 결과 수록

3. 용어해설 ∙ 지하안전영향평가서에 사용한 용어에 대하여 해설 수록

4. 수치해석 검토자료 ∙ 지하수영향 및 지반안전성 해석 DATA를 수록

5. 참고문헌 ∙ 인용하였거나 참고한 문헌 수록

6 계약서 ∙ 지하안전영향평가서 계약서 수록

7. 설계도서 ∙ 설계도면 및 구조계산서 수록(책임기술자 도장 날인)

∙ 보완요구사항에 대한 조치결과 및 자문위원 조치결과 확인사항


8. 보완요구사항 조치결과
수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방법
제 1 장 요약문

1.1 사업의 내용
1.2 지반 및 지질 현황
1.3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1.4 지반안전성
1.5 지하안전확보방안
1.6 종합결론
1.7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제 1 장 요약문
1.1 사업의 내용
∙ 사업계획을 쉽게 알 수 있도록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 사업내용(건축개요, 구조물계획, 가시설 설계현황)을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 평가 대상지역 설정결과와 평가대상 시설물 현황을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1.2 지반 및 지질 현황
∙ 기존자료 조사, 현장조사 등(시추조사, 투수시험, 물리탐사 등) 지하안전영향평가를 통해 파악한 지반 및 지질
현황을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1.3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 관측망을 통한 지하수 조사,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 등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을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1.4 지반안전성
∙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전성 영향분석 검토 및 주변 시설물의 안전성 검토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1.5 지하안전확보방안
∙ 계측기 설치계획의 적정성 검토 결과와 지반침하취약구간 보강 및 차수방안을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1.6 종합결론
∙ 대상사업의 지하안전영향평가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1.7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의 조사내용 및 조사시기를 간략히 요약하여 수록

- 1 -
제1장 요약문

- 2 -
제 2 장 대상사업의 개요

2.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2 사업 현황
2.3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근거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2.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1.1 사업의 배경

작성방향 ∙ 지하안전영향평가(또는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실시 배경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대상사업 지역의 전반적인 특징을 기술하고 지하철, 지하차도, 근린생활시설 등 영향요인을 수록함
대상사업의 실시 배경을 기술하고 해당사업의 입지조건을 수록함

본 사업의 특징은 각종 지상 및 지하 시설물이 근접해 있으며 특히 O호선 OO역이 OOm, OO지하차도가


예 OOm, OO아파트가 OOm 이격되어 있음

시 본 사업은 OO시(또는 OO도) OO구 OO동 OO번지 일대에 지하 O층, 지상 O층 규모의「OO사업 신축공

사」건설을 위한 지하안전영향평가(또는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수행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2.1.2 사업의 목적

작성방향 ∙ 대상사업의 목적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대상사업의 목적을 건축 및 토목사업을 대상으로 기술함


또한, 지하안전영향평가(또는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수행할 때 주안점을 두고 있는 부분을 수록함

본 사업인「OO사업 신축공사」는 대중교통 접근성이 우수한 교통의 요충지이며, OO백화점 등 다수의

편의시설 및 근린생활시설이 위치해 있으므로 장래에 거주시설 확보 및 대상지역 상권조성의 활성화를


예 목적으로 함

시 본 사업에 대한 지하안전영향평가(또는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는 관련 법령을 고려하여 지반조건을 반

영한 지하수 영향에 대한 평가, 지반안전성 등을 검토할 때 굴착으로 인한 운영중인 토목시설물, 주변건


물, 지하매설물 등의 안전성 확보를 판단하기 위한 부분에 주안점을 두고 평가를 수행함

- 3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2.2 사업 현황
2.2.1 사업 개요

∙ 건축 사업 및 토목 사업의 승인신청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작성방향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굴착공사 주요 수록 내용
- 사업명
- 위 치
- 대지면적
- 건축면적
- 지역/용도
- 용 도
- 지하개발사업자
- 승인기관
- 예정 공사기간(굴착공사 기간)
- 사업비
- 건축규모
- 최대굴착깊이
- 과업구간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는 현황자료

터널공사 주요 수록 내용
- 사업명
- 위 치
- 사업범위
- 굴착면적
- 지역/용도
- 지하개발사업자
- 승인기관
- 사업기간(굴착공사 기간)
- 사 업 비
- 운영범위
- 노선도 등 과업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현황자료

- 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사 업 명 : OO시 OO구 OO동 신축공사


위 치 :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원
대지면적 : OO.Om2(굴착면적 : OO.Om2)
건축면적 : OO.Om2
지역/지구 : 제O종 일반주거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용 도 : 근린생활시설, 주거시설
지하개발사업자 : OOOO
승인기관 : OO시 OO구
공사기간 : 2020.00.00~2022.00.00(굴착공사기간 : 2020.00.00~2020.00.00)
사 업 비 : 000,000,000원
건축규모 : 지상 O층, 지하 O층
최대굴착깊이 : OOm

과업구간 위치

- 5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사 업 명 : O호선 철도건설 사업
위 치 : OO도 OO시 일원 ~ OO시 OO동 일원
사업범위
- 연 장 : 본선 OO.OOkm, 입출고선 : OO.OOkm
(OO 및 OO터널 본선 OO.Okm, OO터널 #O, #O 평가 대상제외)
- 구조물 : 정거장 O개소(OO, OO, OO, OO, OO)
환기구 OO개소, 차량기지 O개소
굴착면적 : OOO,OOOm2
시 행 자 : OO주식회사
승인기관 : 국토교통부
사업기간 : 2017년 ~ 2023년
사 업 비 : 총 0000억원(보상비 및 건설사업관리비 제외)

노선도

- 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2.2 구조물 개요

작성방향 ∙ 구조물 개요를 정량적으로 기술하여 신설되는 구조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굴착공사 주요 수록 내용

구 분 내 용
사업명 •
대지위치 •
지역위치 •
주요용도 •
대지면적 •
굴착면적 •
건축면적 •
조경면적 •
지 하 •
연면적 지 상 •
합 계 •
건폐율 •
용적률 •
규 모 •
최고높이 •
구 조 •

- 신규 구조물 확인이 가능한 조감도 등 수록

터널공사 주요 수록 내용
- 총연장, 구조물별 연장 등 수록

구 분 사업노선 비고

단 선 -

연장 복 선 -

계 -

본선구간 환기구/작업구 -

정거장 -

대피터널 -

구난선 -

- 7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OO신축공사에 대한 건축 개요는 다음과 같음

구 분 내 용
사업명 • 서울시 OO구 OO동 OO 신축공사

대지위치 • 서울특별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지역위치 • 제3종 일반주거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주요용도 • 근린생활시설, 운동시설

대지면적 • 000.00m2

굴착면적 • 000.00m2

건축면적 • 000.00m2

조경면적 • 000.00m2

지 하 • 000.00m2

연면적 지 상 • 000.00m2

합 계 • 000.00m2

건폐율 • 00.00%

용적률 • 00.00%

규 모 • 지하 0층, 지상 0층

최고높이 • 00.00m

구 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조 감 도

- 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구조물 현황

구 분 사업노선 비고

단 선 00km000.00 -
연장 복 선 00km000.00 -
계 00km000.00 -
본선구간 환기구/작업구 00개소 / 0개소 -
정거장 0개소 -
대피터널 0개소(환기구 0개소) -
구난선 0개소 -

정거장 현황

터널 승강장 개착 대합실
구조물 현황 비 고
규 모 형 식 층수 규 모 층수

00정거장 L=000m, W=00.0m 상대식 0층 L= 00.0m, W=00.0m 0층 00지구

00정거장 L=000m, W=00.0m 상대식 0층 L= 00.0m, W=00.0m 0층 00지구

예 00정거장 L=000m, W=00.0m 상대식 0층 L= 00.0m, W=00.0m 0층 00지구

시 00정거장 L=000m, W=00.0m 상대식 0층 L= 00.0m, W=00.0m 0층 00지구

00정거장 L=000m, W=00.0m 상대식 0층 L= 00.0m, W=00.0m 0층 00지구

본선 현황

구조물 현황 연 장 구조물 현황 연 장
NATM (복선) 00,000.0m NATM (확폭A) 000.0m

GRIPPER TBM (복선) 00,000.0m NATM (확폭B) 000.0m


NATM (확폭C) 000.0m
터널 SHIELD TBM (단선) 00,000.0m 터널
NATM (확폭D) 000.0m
계 00,000.0m NATM (확폭E) 000.0m
합 계 00,000.0m 계 000.0m

본선환기구 현황

환기방식 위치 개소 환기방식 위치 개소

입출고선 0 본선 -

급기 본선 00 배 기 정거장 통합환기구 00

대피터널 0 - -

- 9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2.2.3 굴착계획 현황

∙ 흙막이 공법에 대한 선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함


작성방향
∙ 터널 굴착공법(NATM, TBM 등), 단면 및 표준지보패턴에 대한 선정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건축규모에 따른 굴착평면 현황, 지층분포 특성 및 지하수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흙막이 공법을 선정하
며, 선정시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야 함
흙막이 공법 선정시 지반특성, 평면 현황 및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정하며, 선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함
- 지형에 대한 검토
- 시공환경에 관한 조사
- 공정에 관한 검토
- 토질에 관한 조사
- 지하 매설물 및 주변 구조물에 관한 조사 등
흙막이 벽체공법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으며, 굴착깊이, 지반조건, 지하수위 및 인접건물 현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정하여야 하며, 선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함
- 엄지말뚝(H-pile) + 토류판(또는 콘크리트) 공법
- 강널말뚝(STEEL SHEET PILE) 공법
- C.I.P(Cast In-place Pile) 공법
- S.C.W(Soil Cement Wall) 공법
- PHC pile 공법
- 지하연속벽 공법 등
흙막이 지지공법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으며, 굴착깊이, 굴착규모(평면계획) 및 인접건물 현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정하여야 하며, 선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함
- 비탈면 개착(Open Cut)공법
- 자립식 개착공법
- 버팀보(STRUT) 공법
-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
- 레이커(Raker) 공법
- 슬래브지지 공법 등
차수공법은 지반조건 및 지하수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정하며, 지하수 특성에 따라, 지반보강효과가
높고, 용탈 등이 적은 공법을 선정하여야 하며, 선정 결과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수록함
- 약액주입 공법
- 고압분사(Jet grouting)주입 공법
대상사업에 선정된 흙막이 벽체, 지지공법 및 차수공법의 선정과정을 비교표로 작성하여 상세히 기술하고 평면
및 단면을 수록하여 확인 가능하도록 함

- 1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OO신축공사의 지반조건 및 지하수위 특성은 다음과 같음

규 모 지하층 지상층

지하 0~0층: 00시설
지상 0층 지상 0층: 00장, 00시설
지하 0~0층: 주차장, 00실, 00실
/ 지하 0층 지상 0~0층: 00시설
지하 0층: 주차장, 00실

- 11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OO신축공사의 지반조건 및 지하수위 특성은 다음과 같음

지층분포 특성 지하수위 특성 기타 특성

◦현 지표면으로부터 매립층, 퇴적 ◦G.L(-) 19.6~20.3m범위로 매립층 ◦매립층은 최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층, 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의 및 풍화토층에 지하수위가 형성되 지층으로 현 지표면으로부터
순으로 지층이 분포함 어 있는 것으로 확인됨 1.0~3.5m내외에서 지층이 분포함

BH-1 ~ BH-2

BH-3 ~ BH-4

- 1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① 흙막이 벽체 공법 비교
C.I.P S.C.W 지하연속벽
구 분 H파일+토류판
(Cast-in-Place Pile) (Soil Cement Wall) (Diaphragm Wall)

개요도

◦H형강 삽입 ◦현장타설 말뚝 ◦계획심도까지 주입재 ◦특수장비로 안정액을


공 법 ◦굴착하며 흙막이판(목 ◦시추기로 천공 투입, 벽체형성 및 H 주입하며 트렌치 굴착
개 요 재 or 강재 등) 설치 ◦H형강 및 철근 삽입 형강 삽입으로 흙막이 ◦철근망 삽입 후 콘크
후 콘크리트 타설 벽 형성 리트 타설
재 질 H형강, 토류판 철근콘크리트 말뚝 Soil Cement 벽 철근콘크리트
◦공사비 저렴 ◦벽체강성 좋음 ◦별도차수 불필요 ◦벽체강성 우수
◦소음・진동 영향 적음 ◦불규칙한 형상에 적응 ◦토사유실이 적음 ◦완전차수 가능 
장 점 ◦자재재사용 가능 성 좋음 ◦공기가 짧음 ◦건물벽체로 사용가능
◦인접구조물 영향 적음 ◦대심도 굴착가능
◦장비 소규모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 ◦CIP간 연결성 및 수직 ◦자갈 및 암반 구간 시 ◦공사비 고가
차수 필요 도 문제로 차수공법 공 곤란 ◦장비규모 큼
◦벽체변형이 큼  필요 ◦H형강 사장
단 점
◦토류판 배면과 지반사 ◦암반구간 시공성 저하 ◦벽체로 이용불가
이에 여굴 발생에 따
른 지반침하 우려
예 ◦벽체 강성 보통임 ◦벽체강성 우수 ◦연속벽체로서 차수 및 ◦벽체강성 가장 우수함
◦토사구간에 적용할 경 ◦주열식 벽체로 토사 토류벽의 2중 역할을 ◦차수 효과가 우수하여
시 안전성 우 토류판 설치시 토 구간 굴착공사시 배면 충분히 할 수 있음 투수성이 높은 지반에
사유출 가능성 존재함 토사 유입을 효과적으 유리함
로 차단
◦지하수위가 있는 지반 ◦공과 공사이의 연결부에 ◦각 공 10cm 중첩하여 ◦차수 효과 우수함
조건에서는 별도의 차 누수현상 발생 가능성이 시공하므로 차수의 효
차수성
수 Grouting 이 실시 있어 누수 방지용 보조 과가 우수함
되어야 함 Grout를 시행
◦원하는 위치에 H-Pile ◦원하는 위치에 설계 ◦원하는 위치에 대형 ◦Guide Wall이 설치되
을 설치할 수 있으나, 심도의 구조체를 형성 Auger 에 의해 계획심 므로 원하는 위치에
정밀성 투수성이 큰 지반에 시킬 수 있음 도에 흙막이벽체를 정 설계심도의 구조체를
적용성 낮음 확하게 형성시킬 수 정확하게 형성
있음
적 용 ◎
◦본 현장의 주변인근 지역의 설계사례(OO동 765-9번지 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 OO동 690-10
근린생활시설 및 도시형생활주택 신축공사, Y8405 OO동 사옥 신축공사, C.I.P공법)검토 결과 흙
막이 벽체는 강성이 크고 차수성이 확보된 공법들을 적용
◦지하연속벽 적용시 공사비가 큰폭으로 증가하며, 대규모 장비 투입(회전반경 및 인구밀집지역 고
려)으로 인하여 도심지에 위치에 있는 대상사업부지에서는 적용이 과한 것으로 판단됨
적용사유
◦인접 도로 및 주변 구조물의 침하에 대한 영향이 적으며 벽체강성이 우수한 C.I.P공법을 적용함
◦CIP시공은 풍화암 상단 –1.0m까지 시공하고 풍화암 및 연암에서는 H-Pile+토류판(T=100mm)로
설계되어 CIP 단부 노출 시 토사 등의 유실로 인한 변위가 유발될 수 있으므로 CIP 수직도관리
및 신속한 토류판 설치로 토사 및 지하수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철저한 현장관리를 수행하
여야 함

- 13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② 차수그라우팅 공법 비교
L.W 공법 S.G.R 공법 J.S.P 공법 E.G.M 공법
구 분 (Labiles Waterglass (Space Grouting (Jumbo Special (Eco-friendly Grouting
method) Rocket) Pattern) Method)
◦천공 후 지중에 주입 ◦천공 후 지중에 2관 ◦천공 후 지중에 주입 ◦지반천공 및 지중에
관으로 Manjet Tube 주입관 설치 특수 첨 관 설치 주입 시 주입 이중관 주입Rod를 설
설치 주입은 Seal 주입 단장치에 의한 균일한 관의 회전인발 흙과 치한 후, 특수한 주입
과 Double Packer(1.5 주입 및 저압주입 급 주입재의 강제치환으 선단장치(교반기)를 이
공법개요 Shot)에 의한 L.W주입 결, 완결제외 복합 주 로 개량체 형성 용하여 대상지반 중에
입 설치 기존 S.G.R공법과 같
은 방법으로 저압에
의해 연속으로 주입하
는 저압 침투주입공법
규산소다, 시멘트, 규산소다, 시멘트 시멘트 혼화재, Soil EF-A, 물
주재료
벤토나이트

적용토질 사질토 및 일반토사 모든지층 N<30의 점토사질 지반 모든지층

차수효과 보통 보통 지층에 따라 양호, 보통 우수

◦지반 침투성이 양호 ◦저압주입으로 지반 교◦연약 지반의 지반보강 ◦용탈율 2%이내이며 품


◦주입장비, 주입재료가 란 및 인접구조물에 미 효과 양호 질관리 향상
타공법에 비해 저렴 치는 영향이 적음 ◦균질의 고강도 차수벽 ◦분말도가 높아 침투
◦일정범위를 균일하게 ◦Gel-Time을 자유로이 형성 효과 탁월
예 장점
보강할수 있음 조정 가능 ◦장기적 공사에 적용시 ◦지하수에 의한 희석
◦주입후 주입효과가 불 ◦차수성 양호 외력에 의한 충격 및 환경에도 겔타임 유지

량한 위치에서 재주입 ◦장비가 소규모로 이동 진동에 저항력 큼 ◦배합용수 수온에 영향
용이 용이 받지 않음
◦차수 보강 영역이 좁음 ◦지층 및 공사목적에◦그라우팅공법 중에서는 ◦최근 개발되어 시공
◦겔 타임 조절 곤란 따라 주입재의 선택에 비교적 고가임 실적이 적으나, 시공실
◦지반 보강효과는 기대 유의 ◦조밀한 자갈층 및 풍 적이 증가하는 추세
하기 어려움 ◦장기용출로 인한 환경 화암층에서 시공이 곤 (2018년 6건, 2019년
단점
◦실트, 모래, 사력층에 오염발생이 우려됨 란 16건)에 있음
재료 손실 ◦초고압 분사로 지반의
융기에 따라 인접지반
에 영향

적용 ◎

◦시추조사결과 지하수위는 E.L(+) 0.3~1.1m(G.L(-) 19.6~20.3m)에 분포하며 주변 인접건물과 사


업부지의 이격거리가 근접하여 위치함
◦과업부지 지층의 주요 구성성분은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 실트질 모래, 점토섞인 실트질 모래 등
으로 구성되어 있음
적용사유 ◦L.W공법은 지반보강효과가 없으며, 재료손실의 가능성이 크므로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지에 위치
한 해당사업에는 적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J.S.P공법은 N<30의 점토사질 지반에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해당사업에는 적용이 불가능함
◦따라서, 모든 지층에 적용 가능하고 저압주입으로 지반교란 및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
며 차수성이 우수한 E.G.M공법 적용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1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대상지역의 흙막이 공법은 다음과 같음


구 분 가시설 단면계획

A-A
단면

◦최대 굴착심도가 G.L(-)34.99m로 계획되어 있으며,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순으로 지층
이 분포함
◦흙막이벽체는 C.I.P공법 및 H-PILE+토류판공법, 차수공법은 E.G.M공법을 적용함
◦지지형식으로는 버팀보(Strut) 공법으로 계획함

- 15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주요내용 터널

구조물 현황에 따른 터널 굴착공법, 터널단면 및 지보패턴 등 굴착계획의 선정과정 및 선정결과를 수록함


구조물 현황을 본선(터널, 개착), 수직구, 정거장 등으로 구분하여 연장, 위치, 개소 현황을 수록함
터널 굴착공법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으며, 지반조건 및 인접구조물 현황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법을 선정하며,
선정결과를 수록함

NATM 공법(New Austrian Tunnelling Method)


발 파
NMT 공법(Norwegian Method of Tunnelling)
굴착방법
Gripper TBM(Tunnel Boring Machine)공법
기계굴착
Shield TBM 공법

터널 단면에 따라 복선터널, 단선터널 등의 표준단면 및 단면 적용현황을 수록함


NATM 공법 적용시 RMR 및 Q-system 등에 의해 결정된 표준지보패턴을 수록함
- 굴진장 및 굴착공법
- 숏트리트, 록볼트
- 강지보재
- 보조공법
- 콘크리트라이닝 등
터널보조공법은 다음과 같으며, 각 지보패턴에 적용된 보조공법의 적용현황을 수록함

Fore Poling(강관형, 철근형)

천단부 안정 Pipe Roof

강관다단 Grouting, FRP다단 Grouting

Core를 형성시키는 방법:자립이 약한 막장에 핵을 남기는 방법

보조공법 터널 Face Shotcrete:막장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여 막장면의 이완과 확산을

막장면 안정 억제하여 붕괴 방지

분 류 터널 Face Rock Bolt:막장면에 수직 록볼트를 설치하여 자립성을 증대 시킴

약액주입 등에 의한 지반개량:터널주변에 약액 등을 주입, 지반을 개량하여 막장


을 안정시키는 공법

약액주입공법 : 터널천단 상부에 차수층을 형성 지하수 유입 차단


차수공법
우레탄 주입공법:파쇄대가 심하고 누수가 많은 구간에 약액을 지반내부에 주입하
여 지하수 유입 차단

굴착공법 선정시 발파굴착, 기계굴착 및 파쇄굴착공법의 계획을 수록함

- 1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2.4 최대 굴착깊이 산정

∙ 최대 굴착깊이에 따라 지하안전영향평가 또는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여부를 판단하고, 현황측


작성방향
량도 및 굴착계획을 바탕으로 최대굴착깊이 산정 근거를 제시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제13조에 따라 굴착깊이 10m 이상 20m 미만인 굴착공사를 수반하는


경우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20m 이상인 굴착공사를 수반하는 경우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으로 분류되며,
공사 지역 내 굴착깊이가 다른 경우에는 최대굴착깊이에 따라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적용대상이 결정됨
최대굴착깊이는 공사 지역내 최대 굴착깊이를 의미하며, 이때 집수정, 엘리베이터 피트 및 정화조 등의 굴착부분은
굴착깊이 산정에서 제외됨
최대 굴착깊이 산정시 현 지반고 확인이 가능하도록 현황 측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위치별 굴착단면을
비교·검토하여 최대 굴착깊이를 산정하며, 이때 기존건물의 지하층이 존재할 경우에는 기존 구조물 기초저면부를
지반고로 적용하여 최대 굴착깊이를 산정함
현황 측량도와 굴착계획 평면도를 고려하여 굴착깊이 단면을 산정하며 검토결과를 기술하되 최대 굴착깊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평·단면도를 함께 수록함
최대 굴착깊이 산정 예는 다음과 같음

택지조성지역 및 나대지 상태 엘리베이터 피트 또는 정화조가 있는 경우

대상사업이 경사지에 위치할 경우 기존 구조물이 존재하며, 철거와 굴착을 동시에 할 경우

- 17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현황 측량도 및 굴착계획 평면은 다음과 같음

OO역 OO역

시 A-A 단면 B-B 단면

- 1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3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근거
2.3.1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기준

∙ 최대굴착깊이에 따라 지하안전영향평가(또는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의 실시 대상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작성방향
평가서에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실시 기준은「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제14조 동법 시행령 제13조에 의거하며,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실시 기준은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제23조 동법 시행령 23조에 따라 시행함
지하안전영향평가 및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의 실시대상은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제14조에 따르며,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지하 굴착을 수반하는 사업을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임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4조에 따른 사업은 다음과 같음
1. 도시의 개발사업
2.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의 조상서업
3. 에너지 개발사업
4. 항만의 건설사업
5. 도로의 건설사업
6. 수자원의 개발사업
7. 철도(도시철도를 포함한다)의 건설사업
8. 공항의 건설사업
9. 하천의 이용 및 개발 사업
10. 관광단지의 개발사업
11. 특정지역의 개발사업
12. 체육시설의 설치사업
13. 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사업
14. 국방·군사시설의 설치사업
15. 토석·모래·자갈 등의 채취사업
16. 지하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의 설치사업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시행령 제13조에 따라 굴착깊이가 20m이상인 굴착공사를 수반하는 사업 또는 터널 공사를
수반하는 사업을 의미함. 또한, 제14조 제1항 제16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이란 「건축법」제2조
제1항 제2호의 건축물을 말함.
지하안전영향평가 및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실시 기준은 다음과 같음

구 분 실시 기준
∙ 법령 제14조에 따른 사업 중 굴착깊이가 20m 이상이거나, 터널공사(산악터널 및 수저터널은
지하안전영향평가
제외)를 수반하는 사업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 법령 제14조에 따른 사업 중 굴착깊이가 10m 이상, 20m 미만인 사업

- 19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대상사업은 지상 0층, 지하 0층의 구조물로 건축물에 해당하는 시설물이며, 굴착심도는 00.0m로 「지하안전관
리에 관한 특별법」제1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조 제1항에 따라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 사업임

구 분 내 용 비 고

제14조(지하안전영향평가의 실시 등)
지하안전관리에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관한 특별법 이상의 지하 굴착공사를 수반하는 사업을 하려는 지하개발사업자는 지하
안전영향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제13조(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의 규모 등)
① 법 제14조 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이상
의 지하굴착공사를 수반하는 사업“이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말한다. 최대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1. 굴착깊이(공사 지역 내 굴착깊이가 다른 경우에는 최대 굴착깊이를 말 굴착심도
시행령 한다. 이하 같다)가 2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를 수반하는 사업 00.0m
② 법 제14조 제1항 제16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이란 「건축
법」 제2조 제1항 제2호의 건축물을 말한다.

제2조(정의)
2. “건축물”이란 토지에 정착하는 공작물 중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 있는
건축법
것과 이에 딸린 시설물, 지하나 고가의 공작물에 설치하는 사무소·공연
장·점포·차고·창고·창고, 그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 2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3.2 지하안전영향평가 제출 일자

작성방향 ∙ 지하안전영향평가서(또는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서)의 협의 요청시기에 대한 법적 근거를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영향평가 및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종류, 범위 및 협의 요청시기는 다음과 같음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별표1)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가.「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5호에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12조제1항에 따른 실
따른 혁신도시개발사업 시계획의 승인 전
나.「공공주택 특별법」 제2조제3호가목 및
「공공주택 특별법」 제17조에 따른 공공주택
나목에 따른 공공주택지구조성사업 및 공동
지구계획 승인 전
주택건설사업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학교시설사업을 시
행하는 경우: 「학교시설사업 촉진법」 제4조
제4항에 따른 시행계획의 협의 전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가 학교시설사
다.「교육기본법」 제9조에 따른 학교의 설치
업을 시행하는 경우: 「학교시설사업 촉진법」
공사사업
제4조제1항에 따른 시행계획의 승인 전
3)「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학교를 설치하는 경우: 같은 법 제88조제2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인가 전
라.「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8조
조제10호에 따른 도시ㆍ군계획시설사업 제2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인가 전
마.「농어촌정비법」 제2조제10호에 따른 생 「농어촌정비법」 제59조제2항 및 제3항에 따
활환경정비사업 른 승인 전
바.「도시개발법」 제2조제1항제2호에 따른 「도시개발법」 제17조제2항에 따른 실시계획
1. 도시의 개발사업 도시개발사업 의 인가 전
1) 사업시행자가 지방자치단체인 경우: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8조제4항 본문에 따
사.「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조제2호 른 사업시행인가의 고시 전
에 따른 정비사업 2) 사업시행자가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인 경우: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8조제1항 본
문에 따른 사업시행의 인가 전
아.「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9
제2조제2호 또는 제9호에 따른 물류터미널 조제1항 또는 제28조제1항에 따른 인가 또는
개발사업 또는 물류단지개발사업 승인 전
자.「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22조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28조에 따
에 따른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조성 른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계획의 승인
사업 전
차.「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2조제5호에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38조제1항에 따
따른 여객자동차터미널 설치공사사업 른 공사시행의 인가 전
카.「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13
2조제2호에 따른 역세권개발사업 조제1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타.「유통산업발전법」 제2조제16호에 따른 「유통산업발전법」 제29조제1항에 따른 공동
공동집배송센터 조성사업 집배송센터의 지정 전
파.「주택법」 제15조 본문에 따른 주택건설
「주택법」 제15조에 따른 사업계획의 승인 전
사업 또는 대지조성사업

- 21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하.「택지개발촉진법」 제2조제4호에 따른 「택지개발촉진법」 제9조제1항에 따른 택지


택지개발사업 개발사업 실시계획의 승인 전

1) 시ㆍ도지사가 설치하는 경우: 「하수도법」


제11조제2항에 따른 고시 전
거.「하수도법」 제2조제9호ㆍ제10호ㆍ제1
2)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이 설치하는 경우: 「하
1호 또는 제13호에 따른 공공하수처리시설
1. 도시의 개발사업 수도법」 제11조제3항에 따른 인가 또는 같은
ㆍ하수저류시설ㆍ분뇨처리시설 설치사업
조 제4항 본문에 따른 변경인가 전
또는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설치공사. 다만, 개
3)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아닌 자가 공공하수도
인하수처리시설의 설치공사가 제16호에 따
를 설치하는 경우: 「하수도법」 제16조제1
른 건축물 설치사업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
항에 따른 허가 전
외한다.
4) 개인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하수
도법」 제34조제2항에 따른 신고 전

가.「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 제2 「산업기술단지 지원에 관한 특례법」 제4조에


조제1호에 따른 산업기술단지의 조성사업 따른 사업시행자로 지정을 받고 산업기술단지
를 조성하기 위한 설계를 완료하기 전

나.「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2조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 제17조, 제1


제9호 또는 제11호에 따른 산업단지개발사 8조, 제18조의2 및 제19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업 또는 산업단지 재생사업 승인 전

다.「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
률」 제2조제1호에 따른 공장을 설립하는 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업. 다만, 가목ㆍ나목 및 라목부터 바목까지 제13조제1항에 따른 공장설립의 승인 전 또는
의 규정에 따른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 같은 조 제2항에 따라 공장설립등의 승인을 받
에 해당하여 지하안전영향평가 협의를 한 공 은 것으로 보는 승인, 계약 또는 허가ㆍ인가ㆍ
장용지 또는 산업용지에 공장을 설립하는 경 면허 등을 받기 전
우는 제외한다.
2. 산업입지 및
산업단지의 조성사업
라.「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27
2조제1호에 따른 연구개발특구의 조성사업 조제1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마.「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
률」 제2조제1호에 따른 자유무역지역을 지
정하는 경우로서 같은 법 제5조제1호에 따른
산업단지, 공항 및 배후지, 물류터미널, 물류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률」
단지, 항만 및 배후지 조성사업. 다만, 자유무
제4조제1항에 따른 자유무역지역의 지정 전
역지역 지정 전 산업단지, 공항 및 배후지,
물류터미널, 물류단지, 항만 및 배후지에 대
하여 지하안전영향평가 협의를 한 경우는 제
외한다.

바.「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31조제1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31조제1항에


항에 따른 단지조성사업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 2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도시가스사업법」 제11조에 따른 시설공사


가.「도시가스사업법」 제2조제5호에 따른
계획의 승인 전 또는 같은 법 제18조의3에 따
가스공급시설의 설치 및 정비사업
른 가스공급시설 공사계획의 공고 전

나.「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제5조,


제9조 및 제10조에 따른 석유정제업, 석유수
출입업 및 석유판매업의 시설 중 저장시설,
「위험물안전관리법」 제6조제1항에 따른 위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제
험물시설의 설치허가 전
17조에 따른 액화석유가스 수출입업의 시설
중 저장시설 또는 「한국석유공사법」 제10
조제1항제3호에 따른 석유비축시설의 설치

다.「송유관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에 따 「송유관 안전관리법」 제3조제1항에 따른 인


른 송유관 설치공사 가 전

라.「전기사업법」 제2조제16호 및 제16호


「전기사업법」 제61조 또는 제62조에 따른
의2에 따른 전기설비의 설치사업 또는 전선
공사계획의 인가 또는 신고 전
3. 에너지 개발사업 로 설치사업

마.「전기통신사업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전기통신사업법」 제6조에 따른 기간통신사


전기통신설비의 설치 또는 정비 사업 업의 허가 전

바.「전원개발촉진법」 제2조제2호가목에 따 「전원개발촉진법」 제5조제1항에 따른 실시


른 전원설비를 설치ㆍ개량하는 사업 계획의 승인 전

「집단에너지사업법」 제6조에 따른 열 생산시


사.「집단에너지사업법」 제2조제6호에 따른
설의 신설 등의 허가 전 또는 같은 법 제22조에
공급시설의 설치 및 정비사업
따른 공사계획의 승인 전

「한국가스공사법」 제16조의2에 따른 실시계


아.「한국가스공사법」 제16조의2제1항 본 획의 승인 전. 다만, 「한국가스공사법 시행
문에 따른 가스사업 령」 제14조의3제1항제4호의 가스사업의 경
우에는 인ㆍ허가등 전

- 23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가.「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
「마리나항만의 조성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률」 제2조제2호에 따른 마리나항만시설 개
제13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발사업

나.「신항만건설 촉진법」 제2조제2호에 따


른 신항만건설사업. 다만, 「신항만건설 촉진 「신항만건설 촉진법」 제8조제1항에 따른 실
법」 제2조제2호마목 공유수면의 매립사업 시계획의 승인 전
은 제외한다.

1) 지정권자가 시행하는 경우: 「어촌ㆍ어항


법」 제19조제1항에 따른 개발계획의 확정 전
2) 지정권자가 아닌 자가 시행하는 경우: 「어
다.「어촌ㆍ어항법」 제2조제5호 에 따른 어 촌ㆍ어항법」 제23조제2항에 따른 시행허가
항시설 건설사업 또는 같은 조 제6호에 따른 전
4. 항만의 어항개발사업 3) 지정권자가 아닌 국가기관의 장 또는 지방자
건설사업 치단체의 장이 시행하는 경우: 「어촌ㆍ어항
법」 제23조제3항에 따른 지정권자와의 협의

1) 관리청이 시행하는 경우: 「항만법」 제9조


제6항에 따른 항만공사의 고시 전
2) 「항만공사법」에 따른 항만공사가 시행하
라.「항만법」 제2조제5호에 따른 항만시설 는 경우: 같은 법 제22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건설사업 승인 전
3) 관리청이 아닌 자가 시행하는 경우: 「항만
법」 제9조제2항에 따른 항만공사 시행허가

마.「항만법」 제2조제8호에 따른 항만재개


「항만법」 제60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발사업

1) 「도로법」 제2조제5호에 따른 도로관리청


이 시행하는 경우: 같은 법 제25조에 따른 도
로구역의 결정 전
2) 「도로법」 제2조제5호에 따른 도로관리청
「도로법」 제2조제1호 및 「국토의 계획 및
이 아닌 자가 시행하는 경우: 같은 법 제36조
5. 도로의 건설사업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13호에 따른 도
에 따른 공사 시행의 허가 전
로의 건설사업
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1호에 따른 도시ㆍ군계획사업으로 건설하
는 경우: 같은 법 제88조제2항에 따른 실시계
획의 인가 전

- 2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가.「농어촌정비법」 제2조제6호에 따른 농 「농어촌정비법」 제9조에 따른 농업생산기반


업생산기반시설 설치사업 정비사업 시행계획의 수립 전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


나.「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
8조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수립
률」 제2조제1호에 따른 댐 설치사업
또는 승인 전

「수도법」 제17조 또는 제49조에 따른 일반수


6. 수자원의 개발사업 다.「수도법」 제3조제18호에 따른 수도사업
도사업 또는 공업용수도사업의 인가 전

1) 「하천법」 제8조에 따른 하천관리청이 시행


하는 경우: 같은 법 제27조에 따른 하천공사시
라.「하천법」 제2조제3호에 따른 하천시설 행계획의 수립 전
설치사업 2) 「하천법」 제8조에 따른 하천관리청이 아닌
자가 시행하는 경우: 같은 법 제30조제1항에
따른 허가 전

가.「궤도운송법」 제2조제7호에 따른 궤도 「궤도운송법」 제4조에 따른 궤도사업의 허가


사업(같은 조 제9호에 따른 전용궤도를 포함 전 또는 같은 법 제5조에 따른 전용궤도의 승인
한다) 전

나.「도시철도법」 제2조제2호 및 제3호에 「도시철도법」 제7조에 따른 사업계획의 승인


7. 철도 따른 도시철도 및 도시철도시설의 건설사업 전
(도시철도를 포함한다)
의 건설사업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1호에 따른 도시ㆍ군계획사업으로 시행하
다.「철도건설법」 제2조제7호 또는 「국토
는 경우: 같은 법 제88조제2항에 따른 실시계
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6호
획의 인가 전
에 따른 철도건설사업
2) 그 밖의 사업으로 시행하는 경우: 「철도건설
법」 제9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공항시설법」 제2조제9호에 따른 공항개발 「공항시설법」 제7조제6항 본문에 따른 실시


8. 공항의 건설사업
사업 계획의 고시 전

1) 「하천법」 제2조제4호에 따른 하천관리청


이 시행하는 경우: 같은 법 제27조에 따른 하천
공사시행계획의 수립 전
2) 「하천법」 제2조제4호에 따른 하천관리청
이 아닌 자가 시행하는 경우: 다음의 구분에
9. 하천의 이용 및 개발사업 「하천법」 제2조제5호에 따른 하천공사 사업 따른 시기
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시행하는 경우:
「하천법」 제6조에 따른 협의 또는 승인 전
나) 국가 또는 지방지치단체가 아닌 자가 시행
하는 경우: 「하천법」 제30조제2항에 따른
관계기관의 장과의 협의 전

- 25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관광진흥법」 제4조제1항에 따른 관광사업의
등록 전(관광숙박업은 같은 법 제15조제1항에
가.「관광진흥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관광
따른 사업계획의 승인 전) 또는 같은 법 제5조
사업
제1항, 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관광사업의 허
가 또는 신고 전
나.「관광진흥법」 제2조제6호 및 제7호에 「관광진흥법」 제54조제1항에 따른 조성계획
따른 관광지 및 관광단지의 조성사업 의 승인 전
다.「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8조제
조제11호가목에 따른 도시ㆍ군계획시설사
2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인가 전
업 중 유원지의 설치사업
10. 관광단지의 개발사업
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의2에 따른 공원관리청이 시행하는 경우: 같은
라.「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 법 제19조제1항에 따른 도시공원의 설치 전
조제4호에 따른 공원시설의 설치사업 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의2에 따른 공원관리청이 아닌 자가 시행하는
경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8조제2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인가 전

마.「온천법」 제10조의2제4항에 따른 온천 「온천법」 제10조제1항에 따른 온천개발계획


원보호지구에서의 온천개발사업 의 승인 전
가.「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특별
별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경제자유구역의
법」 제9조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개발사업
나.「기업도시개발 특별법」 제2조제3호에 「기업도시개발 특별법」 제12조에 따른 실시
따른 기업도시개발사업 계획의 승인 전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ㆍ공주지역
다.「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ㆍ공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제21
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
조제1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또는 같은
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행정중심복합도시
법 제53조제1항에 따른 주변지역지원사업의
의 건설사업
계획 수립 전
라.「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국방ㆍ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제4조에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4호에 따른 따른 계획의 승인 전
11. 특정 지역의 개발사업 주한미군시설사업
마.「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9호에 따른 등에 관한 특별법」 제23조에 따른 개발계획의
국제화계획지구의 개발사업 승인 전

1)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


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16조제1호부터 제3
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자가 시행하는 경우: 같
바.「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은 법 제17조제7항에 따른 사업계획의 확정 전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16조에 따른 평
2)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
택시개발사업
원 등에 관한 특별법」 제16조제4호에 따른 자
가 시행하는 경우: 같은 법 제17조제1항에 따
른 개발사업의 시행승인 전

- 2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사.「지역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 「지역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3조제1
제3호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아.「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
3호에 따른 친수구역조성사업(같은 법 제26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 제13조제1항
조에 따른 친수구역조성사업에 직접 관련되 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11. 특정 지역의 개발사업 는 사업을 포함한다)
자. 제1호부터 제10호까지 및 제12호부터 제
16호까지에 해당하는 지하안전영향평가 대
「지역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3조제1
상사업의 범위에 해당하는 사업 중 「지역
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승인 전
개발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되는
사업
가.「경륜ㆍ경정법」 제2조제1호ㆍ제2호에
「경륜ㆍ경정법」 제5조제1항에 따른 허가 전
따른 경륜 또는 경정 시설의 설치사업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하는 경우:
「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1조제1항에 따른
나.「청소년활동 진흥법」 제10조제1호에 따 수련시설의 설치 전
른 청소년수련시설의 설치사업 2) 개인ㆍ법인 또는 단체가 설치하는 경우: 「청
소년활동 진흥법」 제11조제3항에 따른 허가

12. 체육 시설의 설치사업 「청소년활동 진흥법」 제48조제1항 및 제2항
다.「청소년활동 진흥법」 제47조제1항에 따
에 따른 청소년수련지구조성계획의 수립 또는
른 청소년수련지구의 조성사업
승인 전
1)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제1
라.「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2조에 따른 사업계획의 승인 전
제2조제1호에 따른 체육시설의 설치사업 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8조
제2항에 따른 실시계획의 인가 전
마.「한국마사회법」 제4조에 따른 경마장의 「한국마사회법」 제4조에 따른 경마장 설치허
설치사업 가 전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12
가.「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조, 제24조, 제27조 또는 제28조에 따른 처리
제2조제8호 또는 제9호에 따른 처리시설 또 시설의 설치 전, 공공처리시설의 설치승인 전,
는 공공처리시설의 설치사업 가축분뇨의 재활용 신고 전 또는 가축분뇨처리
업의 허가 전
1)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으려는 자가 폐기
물처리시설을 설치하려는 경우: 「폐기물관리
법」 제25조제2항에 따른 폐기물 처리사업계
획서의 적합 통보 전. 다만, 「폐기물관리법」
13. 폐기물 처리시설의 제25조제17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설치사업 자의 경우에는 같은 조 제3항에 따른 허가 전
2)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으려는 자 외의 자
나.「폐기물관리법」 제2조제8호에 따른 폐
가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려는 경우: 다음의
기물처리시설의 설치사업
구분에 따른 시기
가) 「폐기물관리법」 제29조제2항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승인 전 또는 설치신고

나)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11조의3제2항에 따
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의 승인 전

- 27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구 분 대상사업의 종류 및 범위 협의 요청시기

「국방ㆍ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제6조


14. 국방ㆍ군사시설의 「국방ㆍ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 제2조
에 따른 국방ㆍ군사시설사업 실시계획의 승인
설치사업 제2호에 따른 국방ㆍ군사시설사업

가.「골재채취법」 제22조에 따라 지하에서 「골재채취법」 제22조제1항에 따른 골재채취
골재를 채취하는 사업 의 허가 전
1) 상수원보호구역에서 시행하는 경우: 「수도
15. 토석ㆍ모래ㆍ자갈 법」 제7조제4항에 따른 행위허가 전
나.「하천법」 제2조제2호에 따른 하천구역
등의 채취사업 2) 골재를 채취하는 경우: 「골재채취법」 제2
또는 같은 법 제12조에 따른 홍수관리구역에
2조에 따른 골재채취의 허가 전
서 토석ㆍ모래ㆍ자갈을 채취하는 사업
3) 그 밖의 경우: 「하천법」 제33조제1항에
따른 하천점용허가 전
「건축법」 제2조제1항제2호에 따른 건축물
16. 기타 「건축법」 제11조제1항에 따른 건축허가 전
설치사업

※ 비고
1. 하나의 사업이 둘 이상의 대상사업에 해당하는 경우 협의 요청시기는 가장 먼저 승인 등을 받는 대상사업의 협의
요청시기로 한다.
2. 위 표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은 지하안전영향평가가 대상사업에서 제외한다.
가. 국방부장관이 군사상 고도의 기밀보호가 필요하거나 군사작전의 긴급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한 사업
나. 국가정보원장이 국가안보를 위하여 고도의 기밀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한 사업
다. 굴착 지역이 「산지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지 또는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
가목 및 나목에 따른 바다 및 바닷가인 사업
라. 굴착 지역의 경계에서 굴착깊이의 4배 이내의 거리에 제2조 각 호의 시설물이 존재하지 않는 사업
마. 그 밖에 보안상의 비밀유지가 필요한 지하개발사업에 대하여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한 사업

지하안전영향평가서의 협의요청 시기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제 15조 및 동법 시행령[별표1]에


의거하여 건축허가 전에 실시함

구 분 내 용 비 고

예 제 15조(지하안전영향평가서의 작성 및 협의 요청 등)
① 승인 등을 받아야 하는 지하개발사업자가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에

지하안전관리에 대한 승인 등을 요청할 때에는 지하안전영향평가에 관한 평가서(이하 16. 기타
관한 특별법 “지하안전영향평가서”라 한다) 및 사업계획서 등 필요한 자료를 첨부 건축물
하여 승인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하고, 승인기관의 장은 승인 등을
하기 전에 국토부장관에게 협의를 요청하여야 한다.

- 2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3.3 지하안전영향평가 추진 경위

∙ 지하안전영향평가(또는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기간 및 범위를 기술하되 각 공종별 추진경위를


작성방향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기간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범위
지하안전영향평가 세부 추진 경위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기간 : 2000.00.00 ~ 2000.00.00

지하안전영향평가 실시 범위

- 지반조사, 지하수 조사, 지하매설물 조사

- 상기 제공된 자료를 토대로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지반안전성 평가 등 정량적인 지하안전영

향평가를 수행함

지하안전영향평가 세부 추진 경위

- 지반조사 및 설계현황 분석 : 2000.00.00 ~ 2000.00.00

- 대상지역 분석 : 2000.00.00 ~ 2000.00.00

- 건물 및 지하매설물 현황 분석 : 2000.00.00 ~ 2000.00.00

-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 2000.00.00 ~ 2000.00.00



- 지반안전성 평가 : 2000.00.00 ~ 2000.00.00

- 지하안전 확보방안 : 2000.00.00 ~ 2000.00.00

- 종합평가 및 결론 : 2000.00.00 ~ 2000.00.00

-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제출 : 2000.00.00

- 29 -
제2장 대상사업의 개요

- 30 -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1 평가대상 지역 설정
3.2 평가대상 시설물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제 3 장 대상지역의 설정
3.1 평가대상 지역 설정
3.1.1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 ▷소규모 제외◁

∙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를 위한 대상지역의 설정시 광역지하수 흐름분석 검토범위와 침투해석 검토범
작성방향
위를 구분하여 기술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사업구간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량적으로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을 위한 검토범위 산정


광역지하수흐름 분석에 있어서 지하수 분수계 설정은 지하수 유동해석결과에 영향을 크게 끼칠 수 있으므로
지형 및 주변 하천의 분포현황을 반영하여 적절한 규모의 지하수 유동영역 설정 내용을 수록함
사업부지 현황 분석 : 위성지도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사업부지의 지표고도
및 지하수 영향 검토를 위해 인접한 하천, 능선, 산계, 인공 지하구조물 등을 분석함

사업부지 주변 현황 분석

주요 산계, 하천 및 지하수 흐름 방향 분석 :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사업부지의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DEM(수치표고모델) 분석을 통한 지형 분석 및 지하수 흐름 방향을
분석함

DEM 분석을 통한 지형고도 분석 지형고도를 이용한 지하수 흐름방향 분석

- 31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주요내용 굴착 터널

광역지하수 흐름 평가를 위한 검토범위 산정 : 산계와 인근 수계 등 뚜렷한 지질학적 경계를 고려하여 지하수흐름


분석의 검토범위로 산정함

광역지하수 흐름 영역 설정

인위적인 개발을 통해 조성된 도심지 및 택지조성지구 등 지질학적 경계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기존 지반데이터


베이스 자료에 나타난 시추지하수위 자료를 참조하여 광역지하수 검토 범위(경계조건)을 산정할 수 있음

(나) 침투해석을 위한 검토범위 선정


침투해석에 있어서 지하수 변화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은 대상구간에 포함되는 인접건물 및 지하매설물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고, 검토범위 산정결과에서 도출한 수치이상을 적용함
침투해석을 통한 검토범위 검토결과 2.0H(H:굴착깊이) 미만으로 산정되는 경우 보수적인 평가를 위해 검토범위
산정결과와 동일하게 2.0H(H:굴착깊이)이상으로 적용함

- 3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가)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을 위한 검토범위 산정

사업부지 주변 산계와 하천 분포 현황은 다음과 같음


- 주요 산계 : 동쪽으로 약 3.5km의 거리에 OO봉(270m)이 위치하고 있음
- 주요 하천 : 서쪽으로 약 700m거리에 위치한 OO천은 과업지역의 북쪽으로 500m거리에 있는 OO천
에 합류하며, OO천은 사업부지와 동쪽으로 약 1.2km 이격하여 있는 OO천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유입되고 있음
사업부지가 위치한 경기도 OO시 OO구 일원은 OO역 인근으로 건축 구조물과 지하철 등이 다수 분포하고 있음

사업부지 주변 현황 분석

시 ∙ 지형도 및 위성지도를 통한 사업구간의 현황과 산계, 수계 및 인접한 지하철 등 지하시설물 현황을 분석함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DEM(수치표고모델)분석결과 사업구간은 북, 남, 서쪽의 고도가 높고 동쪽이 낮게


형성되어 있어 광역적 지하수의 흐름은 동쪽 방향으로 이동 할 것으로 판단됨

DEM 분석을 통한 지형고도 분석

- 33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지형분석결과 지하수 흐름은 북, 남, 서쪽의 산계에서 발생되어 사업구간이 있는 곳을 지나 동쪽방향의


탄천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됨

지형고도를 이용한 지하수 흐름방향 분석

따라서, 광역 지하수흐름 평가를 위한 검토범위 선정시 인근 주요 시설물의 영향(지하철 00선, 000선,


00선 등)과 00천, 00천 등 뚜렷한 지질학적 경계를 구성하는 현장 주변 반경 약 3.0~4.0km를 지하수
검토범위로 선정함

광역지하수 흐름 영역 설정

(나) 침투 해석을 위한 검토범위 산정


침투류 해석을 이용한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상세 평가는 대상구간에 포함되는 인접건물 및 지하매설
물을 포함할 수 있도록 굴착에 의한 지반 검토범위 이상으로 설정함

- 3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3.1.2 지반안전성 검토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

∙ 지반안전성 검토를 위한 대상지역의 설정은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을 구분하
작성방향
여 기술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가)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 방법


지반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 방법은 Peck(1969)의
곡선방법, Caspe(1966)의 방법, Clough 등(1990)의 방법이 있음
대상사업 지반조건에 따라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을 통해 굴착에 따른 검토범위를 추정함

① Peck(1969)의 곡선
Peck(1969)의 곡선방법은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흙막이 가시설 벽체 인접지반에 대해 현장 계측결과로부터
지반 조건별 굴착심도에 따른 거리비로 침하량 분포를 제시함
Peck의 곡선은 다음과 같이 지반조건별로 Ⅰ~Ⅲ지역으로 구분
- Ⅰ 지역 : 모래와 연약 또는 견고한 점토
- Ⅱ 지역 : 매우 연약 내지 연약한 점토
- Ⅲ 지역 : 굴착 바닥면 아래 상당 깊이까지 매우 연약 내지 연약한 점토층 존재

흙막이벽 배면 지반침하 예측(Peck,1969)

굴착에 따른 지반 검토범위 선정방법은 다음과 같음


- 해당사업의 지반조건을 확인하여 Ⅰ, Ⅱ, Ⅲ 지역으로 구분
- Ⅰ지역 : 굴착면으로 부터의 거리/최대 굴착고 = 2.0, 검토범위 = 최대굴착고 × 2.0
- Ⅱ지역 : 굴착면으로 부터의 거리/최대 굴착고 = 4.0, 검토범위 = 최대굴착고 × 4.0

- 35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주요내용 굴착

② Caspe(1966)의 방법
Caspe(1966)의 방법은 강널말뚝의 변위와 포아송비를 사용하여 벽체배면의 지반침하량 분포범위를 제안함
굴착에 따른 지반 검토범위 선정방법 벽체배면에서의 거리별 침하량
- 횡방향 벽체 변위를 계산
- 횡방향 벽체 변위를 합하여 변위 체적 Vs 구함
- 굴착심도 Hw 계산
- 굴착영향거리 Ht = Hp + Hw 계산
- 침하영향거리 D 계산, D = Ht·tan(45°-/2)
- 탄·소성보해석 결과를 참조하여 검토범위 산정

③ Clough 등(1990)의 방법
Clough 등(1990)의 방법은 지반굴착에 따라 흙막이벽체 배면에서 거리별 침하량을 지반조건별 현장 계측결과
및 유한 요소해석을 활용하여 제시함
Clough 등에서 제시한 지반조건은 다음과 같이 구분함
- 모래지반, 연약내지 중간정도의 점토지반, 굳은 점토지반

토질조건에 따른 거리별 침하량(After Clough et al., 1990)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은 다층 복합지반 조건 및 흙막이 벽체 공법 등 실제 현장조건과 다소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인접건물, 지하매설물 등의 노후화 정도를 감안할 때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므로 대상지역의 설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함(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을 활용한 산정결과와 비교하여 안전측으로 적용함)

- 3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나)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은 국내지반이 복합지반인 특성을 감안하여 굴착에 따른 검토범위를 산정하며, 과업구간
현황(지반조건이 가장 취약한 구간, 최대 굴착심도 구간, 주요 인접 구조물 위치 구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취약한 단면에 대해 2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반영함
검토범위 산정을 위한 해석방법은 지하수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응력해석을 원칙으로 적용함
- 굴착에 의한 영향과 지하수 저하에 따른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침투-응력 연계해석을 적용할 경우 초기 지하수위
조건으로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지반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검토범위가 과다하게 산정됨
해석 모델링은 지반조건에 따른 검토범위 산정이 목적인 해석으로 인접 구조물 현황은 미고려 함
- 강성체인 인접구조물을 반영할 경우 구조물의 영향으로 침하발생이 과소하게 산정되거나, 구조물로 인해 침하경
향 분석에 제약이 발생하므로 구조물 현황은 모델링에 포함하지 않음

대표단면 수치해석 모델링 및 결과

수치해석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시 지표면 변위의 수렴여부를 판단하고, 수렴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 침하
허용기준인 25mm(도로, 인접구조물)의 10%인 2.5mm 침하지점까지를 검토범위로 산정함
수치해석을 이용한 검토범위 산정방법
① 지표면 침하곡선 작도
② 침하곡선 수렴범위 산정(수렴범위는 경계부 결과의 10% 이내로 산정)
③ 침하곡선 미수렴시, 침하량 허용기준(25mm의 10%인 2.5mm)에 따른 검토범위 산정

① 지표면 침하곡선 ② 침하곡선 수렴범위 산정 ③ 침하량 허용기준에 따른 산정

- 37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가)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 방법


① Peck(1969)의 곡선방법
Peck의 곡선은 다음과 같이 지반조건별로 Ⅰ~Ⅲ지역으로 구분함
- Ⅰ 지역 : 모래와 연약 또는 견고한 점토
- Ⅱ 지역 : 매우 연약 내지 연약한 점토
- Ⅲ 지역 : 굴착 바닥면 아래 상당 깊이까지 매우 연약 내지 연약한 점토층 존재
사업구간의 지반조건 산정결과 : Ⅰ 지역
굴착면으로 부터의 거리 / 최대 굴착고 : 2.0(지역조건Ⅰ)
사업구간의 최대 굴착심도를 고려한 지반 검토범위(굴착 영향거리)는 다음과 같이 산정됨
- 지반 검토범위(굴착 영향거리) : 00.00m × 2.0 = 00.00m

② Clough 등(1990)의 방법
Clough 등에서 제시한 지반조건은 다음과 같이 구분함
- 모래지반
- 연약내지 중간정도의 점토지반
- 굳은 점토지반
사업구간의 특성을 고려한 지반조건 가정 : 모래지반
흙막이 벽체로부터의 거리 / 굴착깊이 : 2.0(모래지반)
사업구간의 최대 굴착심도를 고려한 지반 검토범위(굴착 영향거리)는 다음과 같이 산정됨
- 지반 검토범위(굴착 영향거리) : 00.00m × 2.0 = 00.00m

- 3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
① 해석개요 및 방법
사업구간 중 지반조건이 가장 불리하고 최대 굴착심도 구간을 대표단면으로 해석을 수행함
인접구조물을 적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할 경우 인접구조물 하중으로 인해 침하발생 경향 분석이 어려우므
로 인접구조물은 모델링에서 제외함

대표단면 현황 수치해석 결과

② 해석결과
굴착 배면의 지표침하량을 검토하여 침하량이 허용기준(25mm)의 10%에 해당하는 2.5mm까지의 거리를
대상지역으로 설정함

지표침하 발생 결과 영향거리 산정 방법

∙ 굴착배면에 대한 위치별 지표침하량 결과를 도식화하

여 그래프가 수렴하는 경향을 확인 한 후 수렴범위를
검토범위로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임
∙ 만약 그래프의 수렴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인접한 구조
물 및 도로의 허용기준인 25mm의 10%인 2.5mm가
발생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검토범위로 산정함

(다) 검토범위 설정
지하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이론식 및 경험적 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굴착에 의한 지반 검토범위 산정
이론식 및 경험적 방법에 의한 지반 검토범위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음
- Peck(1969) 및 Clough 등(1990)의 방법에 의한 검토결과 : 00.00m
대표단면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 검토범위 산정 결과는 다음과 같음
- 가시설 배면 지반 검토범위(변위 수렴거리) : 00.00m
이론식 및 경험적 방법과 수치해석 방법 중 큰 값을 지반안전성 평가 범위로 선정
지반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상지역 설정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Peck(1969)의 방법 Clough 등(1990)의 방법 수치해석 적 용

00.00m 00.00m 00.00m 00.00m

- 39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주요내용 터널

(가)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 방법


일반적으로 터널 굴착에 의한 지표면의 거동은 3차원적인 형태로 발생되며, 터널 막장의 위치와 굴진거리를
고려한 3차원적인 예측식을 적용함

터널 굴착에 따른 지반거동 유형

Peck(1969)은 모래지반 및 점토지반 등 다양한 지반에서 시공된 터널 계측자료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터널 굴진방
향과 직교하는 횡단면에서의 지표침하는 정규확률분포의 형태를 보인다는 전제하에 지표침하형상 곡선식을 제안
하였으며, 그 후 Attewell과 Farmer(1974), O’Reilly와 New(1982) 등 많은 연구자들이 현장 계측결과와 비교하
여 식의 타당성을 확인하였음
Attewell과 Woodman(1982)는 터널 굴착으로 발생되는 3차원 지표침하를 예측하기 위해 현장계측자료를 근거로
지표침하경향이 터널굴진방향과 직교한 축에 대해서는 가우스 정규분포곡선을 따른다는 가정하에 터널 굴진방향
과 평행한 축의 침하분포 경향이 누적정규분포곡선을 따른다고 가정하고 이론식을 제안함
터널 굴착에 의한 횡·종단면상의 지표침하 예측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변곡점(i)과 지반손실률(Vi)에 대한
값을 합리적으로 결정하여 적용함

- 4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터널

① Peck(1969) 등 각 연구자별 검토범위 검토결과


이론식 및 경험적 방법에 의한 터널 굴착에 따른 검토범위는 횡단면 지표 침하곡선에서 변곡점(i)까지 거리의
2.5배로(2.5i) 산정할 수 있으며, 각 연구자별 제안식을 적용하여 산정한 결과 검토범위는 1.0 ~ 1.75D로 검토함
검토범위 산정시 터널직경은 10m, 토피는 20m로 가정하여 산정함

제안자 제안식 검토범위(2.5i, 터널 중심에서부터 거리)

Peck(1969) ㆍ i = 0.2(D + z) = 6m(0.6D) 1.5D

ㆍ i = 0.28z – 0.1(sand)
O’Reilly와 New(1982) 1.5D
= 5.5m(0.6D)
 
․      = 8.7m(0.9D)
Clough와 Schmidt(1981)   2.25D
n = 0.8

② Attewell(1986)
Attewell(1986)의 제안에 따르면 굴착영향거리는 45°+(Φ/2)하며, 적용성 검토결과 도심지 터널(대심도)를 고려
할 경우 실제보다 과다산정 되고, 암반출현심도가 빠른 국내 지반특성과 부합하지 않으므로 Attewell(1986)의
이론식은 배제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됨

개 요 도

검토범위
토피고 내부마찰각
(터널 중심에서부터 거리)
20m 32°(풍화암) 32.0m(3.2D) + 0.5D = 3.7D

40m 34°(연암) 59.3m(5.9D) + 0.5D = 6.4D

60m 40°(경암) 71.5m(7.1D) + 0.5D = 7.6D

- 41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주요내용 터널

(나)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은 국내지반이 복합지반인 특성을 감안하여 굴착에 따른 검토범위를 산정하며, 과업구간
현황(지반조건이 가장 취약한 구간, 지보패턴, 주요 인접 구조물 위치 구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취약한
단면에 대해 2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반영함

① 해석방법
검토범위 산정을 위한 해석방법은 지하수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 응력해석을 원칙으로 적용함
- 굴착에 의한 영향과 지하수 저하에 따른 영향을 함께 고려하는 침투-응력 연계해석을 적용할 경우 초기 지하수위
조건으로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지반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검토범위가 과다하게 산정됨
해석 모델링은 지반조건에 따른 검토범위 산정이 목적인 해석으로 인접 구조물 현황은 미고려 함
- 강성체인 인접구조물을 반영할 경우 구조물의 영향으로 침하발생이 과소하게 산정되거나, 구조물로 인해 침하경
향 분석에 제약이 발생하므로 구조물 현황은 모델링에 포함하지 않음

구분 침하발생 경향 검토범위

CASE 1 :
응력해석,
인접구조물 미반영

ㆍ검토범위 : 58m(5.8D)

CASE 2 :
응력해석,
인접구조물 반영

ㆍ검토범위 : 구조물 하중에 의해 침하발생 경향이 불명확함

CASE 3 :
침투-응력해석,
인접구조물 미반영

ㆍ검토범위 : 지하수 저하영향으로 침하량 과다 산정

CASE 4 :
침투-응력해석,
인접구조물 반영

ㆍ검토범위 : 지하수 저하영향으로 침하량 과다 산정

- 4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터널

② 토피고 및 지반조건에 따른 검토범위 산정


연암층 상부는 풍화토에서 풍화암층의 지반조건을 반영하기 지반정수를 변수로 4가지 CASE에 대해 대심도 도심지
터널을 고려하여 20m단위로 80m까지 토피고를 변수로 총 16가지 CASE에 대해 수치해석을 수행함
최대침하량의 5% 발생위치(2.5i)는 19.72 ~ 21.44m(1.1 ~ 1.3D)로 유사하게 분석되었으며, 이때 발생하는
침하량은 0.2 ~ 1.16mm로 지표침하 허용기준인 25mm의 10%인 2.5mm 이내인 것으로 검토됨
토피고 및 지반조건을 변수로 수치해석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결과 검토범위는 터널 외벽에서 1.1 ~ 1.3D로
산정되었으며, 안전측으로 1.5D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터널구간 검토범위는 터널 중심에서부터 2.0D로 선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됨

개 요 도

③ 검토범위 산정 방안
굴착에 의한 검토범위는 이론식 및 경험적 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이 있으나 이론식 및 경험적 방법은
국외 현장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제안한 식으로 국내 지반특성과는 다른 지반조건에서 연구된 결과임
이론식 및 경험적 방법에 의한 터널 굴착에 따른 검토범위는 횡단면 지표 침하곡선에서 변곡점(i)까지 거리의
2.5배로(2.5i) 산정할 수 있으며, 각 연구자별 제안식을 적용하여 산정한 결과 검토범위는 1.0 ~ 1.75D로 검토됨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검토범위를 검토한 결과 각 조건별 검토범위는 1.1 ~ 1.3D로 산정됨
따라서 이론식 및 경험적에 의한 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터널 굴착에 의한
검토범위는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여 터널 외측에서 1.5D(터널 중심에서 2.0D)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됨

- 43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3.2 평가대상 시설물


3.2.1 일반 현황

∙ 굴착에 의한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대상사업 구간 주변 시설물(인접건물, 인접도로, 지하구조물, 지하매설


작성방향
물 등)에 대해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현장조사 및 위성지도 분석을 통해 대상사업구간 주변 시설물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대상사업 주변 시설물을


위성지도에 표기하여 수록함
굴착구간의 현황 분석을 위해 현 시점에 대한 현장사진을 수록하여 기존건물의 유/무 및 현 사업구간의 현장조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

사업구간의 인근에 위치한 평가대상 시설물에 대한 현황은 다음과 같음

굴착구간 인접건물 지하매설물 인접도로 지하구조물


OO빌딩, OO아파트, 상수관, 하수관, 통신관,
가시설 OO지하철
OO백화점 등 전력관, 도시가스관, OO로, OO로
벽체 (OO역사)
총 24개소 지역난방관

사업구간의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시설물은 인접건물 및 지하구조물, 지하매설물, 인접도로 등 굴착에 의


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시설물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대상 지역 인근의 시설물 현황은 다
음과 같음

- 4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3.2.2 구조물 현황

∙ 현장조사 및 위성지도 분석을 통해 대상사업구간 주변 구조물 중 검토범위 내 위치하여 굴착으로 인해


작성방향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구조물의 현황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검토 대상지역 내에 위치하는 인접건물, 지하구조물, 지하매설물, 인접도로 등 굴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구조물을 선정함(필요시 사업구간 인접 장래 개발계획 수록)

(가) 건축물 설정
인접구조물의 조사는 반드시 현장조사를 수행하여 건물의 층수(지상, 지하), 높이, 구조형식 및 이격거리 등을
상세히 조사하여 평가서에 기술하되 현장사진을 함께 수록하여 현황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함
검토범위 내 신축공사 현장이 위치할 경우 굴착공사 시기, 굴착깊이 및 굴착공법을 명기하고, 공사시기가 대상사업
과 겹칠 경우 이를 명시하여 동시굴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준공된 지 30년 이상이 지난 노후화 구조물은 외관조사를 수행하여 지반안전성 검토 및 지반침하취약구간 선정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
이격거리(m)
층수 건물높이
구 분 건물명 구조 연면적 준공일자 굴착 대지
(지상/지하) (m)
경계 경계

(나) 시설물 상태평가 등급 확인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1,2종 시설물 및 3종 시설물을 조사하기 위해 시설물통합정
보관리시스템(www.fms.or.kr)을 활용하여 각 시설물별 안전 등급을 확인하여 수록함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으로 안전 등급 확인이 불가한 시설물에 대해서는 연도변조사(내·외부 균열조사, 준공
년도 확인 등)를 통해 현재 상태에 대하여 확인하여 수록함

층수 시설물 시설물 최근 종별/


구 분 시설물명 구조 연면적
(지상/지하) 구분 종류 점검진단일 등급

(다) 인접도로 설정
인접도로는 차로 및 폭에 대한 조사, 도로에 발생되어 있는 균열, 꺼짐 등을 상세히 조사하여 평가서에 수록함
도로에 대한 현황조사 결과를 기술하되 현장사진을 함께 수록하여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함

구분 도로명 주 소 차로수 특 징

NO.1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왕복 6차로 조사 완료


OO로
NO.2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왕복 6차로 조사 완료

- 45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대상지역내 인접한 구조물의 조사범위 및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음


이격거리(m)
층수 건물높이
구 분 건물명 구조 연면적 준공일자 굴착 대지
(지상/지하) (m)
경계 경계

BD1 OO상가 0/0 0.00 철근콘크리트구조 00,000.00m2 0000/00/00 0.00 0.00

BD2 OO상가 0/0 0.00 철근콘크리트구조 00,000.00m2 0000/00/00 0.00 0.00

BD3 OO상가 0/0 0.00 철근콘크리트구조 00,000.00m2 0000/00/00 0.00 0.00

BD4 OO아파트 0/0 0.00 철근콘크리트구조 00,000.00m2 0000/00/00 0.00 0.00

BD5 OO신축공사현장 0/0 0.00 철근콘크리트구조 00,000.00m2 0000/00/00 0.00 0.00

- 4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사업구간에 분포하는 각종 구조물 및 인접도로에 대한 조사결과 현장사진은 다음과 같음

구 분 건물명 구조 층수(지상/지하)

BD1 OO빌딩 철근콘크리트구조 O층/O층

구 분 건물명 구조 층수(지상/지하)
BD2 OO빌딩 철근콘크리트구조 O층/O층

- 47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대상지역내 제1,2종 시설물 및 상


태평가 등급을 확인함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상의 제1, 2, 3종 시설물은 OO역 1개소


이며, 등급은 B등급으로 조사됨

층수 시설물 시설물 최근 종별/


구 분 시설물명 구조 연면적
(지상/지하) 구분 종류 점검진단일 등급
철근 0종/
1 OO역사 0/0 건축물 철도역시설 00,000.00m2 2000. 00. 00
콘트리트구조 0등급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에 미등록되어 있으나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한 3


종 시설물 범위에 해당하는 시설물은 다음과 같이 O개소로 검토됨

층수 건물높이 최소
구 분 건물명 구조 준공일자 연면적 종별
(지상/지하) (m) 이격거리

OO아파트 철근
BD11 00/0 00.00 00,000.00m2 2000/00/00 00.00m 0종
101동 콘크리트구조

OO아파트 철근
BD12 00/0 00.00 00,000.00m2 2000/00/00 00.00m 0종
102동 콘크리트구조

- 4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사업구간과 인접한 도로의 현황 및 상태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음

구분 도로명 주 소 차로수 현재 상태

NO.1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왕복 6차로 양호

OO로

NO.2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왕복 6차로 양호

NO.3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왕복 8차로 양호

OO로

NO.4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왕복 8차로 ASP 균열

NO.5 OO사거리 OO시 OO구 OO동 OO번지 일대 왕복 6~8차로 양호

- 49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3.2.3 지하매설물 현황

∙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관계기관별 자료 조회 및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지하매설물 중 검토범위 내


작성방향
위치하여 굴착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있는 지하매설물을 선정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검토범위 내에 위치하는 지하매설물의 종류, 위치 및 심도 등 지하매설물 현황자료를 조사함


지하매설물정보는 관련기관별 자료 조회,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현장조사 등을 통해 입수하여야 하며, 지하매설
물 조사시 제출한 공문 및 자료를 부록에 수록함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를 통한 지하공간통합지도는‘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을 통해 신청 가능함
지하매설물에 대한 CCTV조사는 택지개발지구 등 불필요한 구간을 제외하고 착공 전 지하개발사업자 및 지하매설물
관리자 주관으로 확인토록 하며, 준공시 제출되는 CCTV 조사자료와 착공 전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여야 함

착공 전 검토범위 내 변경 및 신설된 지하매설물에 대하여 조사하여야하며, 조사결과 기존조사현황과 상


이한 지하매설물에 대하여 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여야함
착공 전 사업주 및 시공사(현장대리인) 주관으로 지하매설관로 내부조사(하수관로 등)를 수행하여야하며,
조사결과 공동발생 혹은 지반침하 우려가 있을 경우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하여 조사결과 발견된 이상
징후(공동발생, 지반침하가 우려될 경우 등)에 대해서는 착공 전 보수공사 또는 관거정비 등의 방법으로
지반침하의 발생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한 후 굴착공사를 수행하여야함
사업구간에 분포하는 각종 지하매설물에 대한 조사결과 분포현황은 다음과 같음

상수관, 하수관

- 5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사업구간에 분포하는 각종 지하매설물에 대한 조사결과 분포현황은 다음과 같음(계속)

전력관, 통신관


도시가스관, 지역난방관

- 51 -
제3장 대상지역의 설정

각종 지하매설물에 대한 규격, 설치심도 및 최소 이격거리 등에 대한 현황은 다음과 같음

구 분 규 격 설치심도 최소 이격거리 관련기관 준공년도

상수관 ∅100~800 G.L(-) 1.0~2.2m 4.55m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2008

하수관(합류식) ∅300~1,200 G.L(-) 0.4~3.6m 1.44m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2008


통신관 ∅100 G.L(-) 0.6~1.0m 1.15m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2015

전력관 ∅175 G.L(-) 0.7~1.7m 13.17m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2017

도시가스관 ∅100~400 G.L(-) 0.8~1.8m 22.40m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2018

지역난방관 ∅200~800 G.L(-) 1.5~2.6m 45.64m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2018

- 52 -
제 4 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1 조사현황
4.2 조사결과
4.3 설계지반정수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제 4 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1 조사현황
4.1.1 지반조사 위치 선정

∙ 지하개발사업자가 제공하거나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에서 수행한 시추조사 위치 및 수량이 관련기준


작성방향
및 참고자료,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선정되었는지 확인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시추조사 간격은 30~50m 이하를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가감은 가능 하나 시추 간격이 50m
이상일 경우에는 대상사업의 특성 및 지반조건 등을 고려한 당위성을 언급하여야 함
시추조사 수량은 대상사업 당 3공 이상을 원칙으로 함
지층변화가 심하거나 기반암의 출현 깊이가 위치별로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 시추조사 간격 감소 및 수량
증가가 필요함
철거되지 않은 기존 건축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과업구간과 가능한 근접위치에서 시추조사를 수행하며, 물리탐사
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층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착공전 추가 지반조사 계획 수립 필요)

지반조사 위치 선정 공종별 최소 수량 및 간격

구 분 시추 간격

건 축 구조물 규모에 따라 30~50m 간격

개착박스 개소당 1공

도심지 100m 간격 주요 구조물


터널
(개착) 수직구, 정거장, 집수정 환기구 등은 개소당 1공

기존 건축물이 존재할 경우 시공중 추가 시추 계획

- 53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가. 시추조사 위치 선정
대상사업의 시추조사 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획함

예 ◦대상사업 구간의 지반조사 수행 위치는 구조물 및 토공계획을 고려하여 수립하였고 현장 지반조건 파악을

시 위한 시추조사 위치는 상기와 같이 계획함

◦이 중 굴착이 이루어지는 부지 내에 총 0공의 시추조사를 수행하였음


◦시추공경은 NX를 적용하였으며, 공벽붕괴가 없는 견고한 지층까지 케이싱을 삽입하는 케이싱방식을 채택하

여 시추조사의 신뢰도를 확보하였음

조 사 위 치 표 고 굴착심도
구 분 비 고
X 좌표 Y 좌표 (E.L(+), m) (G.L(-), m)

현장투수시험 및 수압시험
하향식 탄성파 탐사
BH-1 000,000.0 000,000.0 00.0 00.0
양수시험, 지하수 유향유속시험,
순간충격시험

BH-2 000,000.0 000,000.0 00.0 00.0 현장투수시험 및 수압시험

현장투수시험 및 수압시험
BH-3 000,000.0 000,000.0 00.0 00.0
공내전단시험, 공내재하시험

BH-4 000,000.0 000,000.0 00.0 00.0 현장투수시험 및 수압시험

- 5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터널

시추조사 간격은 100m 이하를 원칙으로 하되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가감은 가능 하나 시추 간격이 100m 이상일
경우에는 대상사업의 특성 및 지반조건 등을 고려한 당위성을 언급하여야 함
지층변화가 심하거나 기반암의 출현 깊이가 위치별로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 시추조사 간격 감소 및 수량
증가가 필요함
주요구조물(수직구, 정거장, 환기구 등)은 개소당 1개소 이상 수행을 원칙으로 함
시추심도는 계획고 하 3.0m 이상 수행하며 이때, 기반암이 확인 안 된 경우 계획고 하 0.5B(B=굴착계획 폭),
주요구조물에는 기반암 3.0m 이상 수행함

시추조사 수행 예

대상사업의 시추조사 위치는 다음과 같이 계획함

구분 단위 완료 추가 계

00구간 공 000 00 000

00구간 공 00 - 00

- 55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1.2 현장조사 및 시험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별표2] [별표6]에 따른 지반조사 항목의 수행여부를 확인하고


작성방향
현장조사 및 시험항목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별표2] [별표6]에 따른 현장조사, 시험 항목 및 탐사항목은 다음과 같음

소규모
지하안전
구 분 조사내용 및 시험시 주의사항 지하안전 최소수량
영향평가
영향평가
현장 지층확인 및 시료채취, 암반분류 선정
시추조사 ○ ○ 3공
조사 기반암 또는 굴착저면 깊이 이상 수행
시추공별
표준관입시험 N치로부터 지반의 강도 및 변형특성 파악 ○ ○
풍화암까지 1m간격
공내지하수위 지하수위 분포현황을 파악 3공
○ ○
측정 지하수위는 안정기까지(24hr, 48hr, 72hr) 측정 (시추조사와 동일)
지반(토사)의 투수계수 산정
현장투수시험 ○ ○ 지층별 1회
지반의 투수성을 대표하는 구간에서 최소 1회 수행
지반(암반)의 투수계수 산정
현장수압시험 ○ ○ 지층별 1회
지반의 투수성을 대표하는 구간에서 최소 1회 수행
현장 지반 강도정수 산정
공내전단시험 ○ ○ 지층별 1회
시험 지반의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지층별로 수행
지반 변형계수 산정
공내재하시험 ○ ○ 지층별 1회
지반의 특성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지층별로 수행

양수시험 지하수 유동변화 및 유입량 예측 ○ - 1회

지하수유향
지하수의 유동방향과 유동속도 측정 ○ - 1회
·유속시험

순간충격시험 저류계수, 투수량계수, 비산출량 등 파악 ○ - 1회

GPR 검토범위
도로 하부 공동 및 지하매설물 위치파악 ○ -
(지표레이더탐사) 내 모든 도로
지하
전기비저항 분포를 파악하여 지질구조대, 연약
물리 전기비저항탐사 ○ - 굴착 배면 측선
대, 파쇄대의 위치 및 규모를 파악
탐사
탄성파탐사 인위적인 탄성파를 이용하여 지층분포 파악 ○ - 굴착 배면 측선

현장조사 및 시험의 조사방법을 수록하며, 특히 공내전단 및 공내재하시험 등 시험방법이 다양한 경우 적용된


방법을 상세히 수록함
물리탐사는 대상사업 및 지반특성에 따라 지하물리탐사 조사항목을 선택적으로 시행

- 5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지반 및 지질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내용을 다음과 같음

조 사 항 목 조 사 목 적 수량

지형 및 지질도폭 ◦둔전 도폭(1:5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현장조사
시추조사 ◦지층별 분포 및 구조물 기초 지지층 파악 0공

표준관입시험 ◦ 시료채취 및 N값을 이용한 지반의 특성 추정 00회

현장투수시험 ◦토사층 투수계수 파악 0회

현장수압시험 ◦기반암 투수계수/Lugeon치 파악 0회

공내전단시험 ◦풍화대층의 강도특성 파악 0회

공내재하시험 ◦풍화대층의 변형특성(탄성계수 및 변형계수) 파악 0회


시 현장시험 다운홀시험
◦지층별 내진특성 파악 0개소
(물리탐사) (하향식탄성파탐사)

GPR 3D탐사 ◦도로 하부 공동 및 지하매설물 위치파악 0식

양수 및 회복시험 0회

◦지하수위 및 유동의 변화 예측
순간충격시험 0회
◦지하수의 흐름 예측

지하수유향∙유속 0회

지하수위측정 ◦조사지역 지하수위 분포 파악 0회

토질시험 ◦각 지층의 특성을 파악하여 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 0회


실내시험
암석시험 ◦대표적인 시료를 선별하여 암석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 0회

- 57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1.3 물리탐사 및 검층 ▷소규모 제외◁

∙ 지하물리탐사 등 지하안전영향평가 수행을 위한 필수조사항목이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고 물리탐사 및


작성방향
물리검층 방법에 대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물리탐사 및 검층의 수행여부를 확인하고 조사 방법에 대하여 수록함


도심지 굴착 및 터널 공사 현장의 지하안전영향평가시 수행되는 GPR탐사 장비 및 방법을 수록함
- 차량용 3D-GPR 탐사 장비 국내사용 현황

사용주파수 투과깊이 해상도


장비 방식 특성
(MHz) (도로) (cm)
중심주파수 사용(대역폭 좁음), 해상도
Stream
Impulse 200/600 3m/1.5m 25/8 보통, 중복탐사 필요
(이탈리아)
운행속도 10km/h~30km/h

중심주파수 사용(대역폭 좁음), 해상도


MIRA
Impulse 400/1,300 2m/1m 15/4 보통, 중복탐사 필요
(스웨덴)
운행속도 10km/h~30km/h

중심주파수 사용(대역폭 좁음), 해상도


Road 3D
Impulse 400 2m 15 낮음, 중복탐사 필요
(한국)
운행속도 10km/h~30km/h
광대역폭 사용
NM GPR
100~4,000 빠른 속도에서도 안정된 데이터 취득 및 높
(오스트레일 Coded - Signal 2~3m 1.7
(상시 광대역 주파수 사용) 은 해상도 유지
리아)
고속운행 100㎞/h까지 가능
200~3,000
3D-Radar Step 가장 높은 해상도 투과 깊이 깊음
(제한적이지 않고 항상 2~3m 1.7
(노르웨이) Frequency 운행속도 32km/h~85km/h
광대역 주파수 사용)

- 핸디형 2D-GPR 탐사 장비 국내사용 현황

중심주파수 최대 탐사심도 깊이 해상도


안테나 채널수 모델명
(Mhz) (m) (m)

DXG 1820 20 200~3000 10 From 0.02 3D-Radar

AB-400 1 400 5 0.15 OKO-2

AB-250 1 250 8 0.25 OKO-2

AB-150/400 2 150/400 12 / 5 0.35 / 0.15 OKO-3

GPR 탐사시 검토범위내 모든 도로를 대상으로 수행하며, 도로 특성을 감안하여 3D SCAN이 가능한 차량용
GRP 장비를 이용한 GPR탐사를 수행함

- 5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1) GPR탐사
기 매설된 지장물의 현황을 확인 및 결층 발생상태(위치 및 심도) 등을 파악하여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
에 대비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여 지하 천부 지층내의 지장물 및 이설물 분포 여부 확인

조사 원리 및 방법
◦고주파의 전자파신호를 공중에 방사시킨 후 목표물의 탐지 및 위치를 파악하는 레이다 탐사법을 지하에 적용
시킴
◦수십 MHz 내지 수 GHz의 고주파수 전자기파 펄스를 지하로 방사시킨 후, 지층경계면, 매설관로 등에서 반사
또는 회절되어 돌아오는 전자기파를 측정
◦거리-시간 단면도상에 칼라 혹은 음영도로 나타내어 지하구조 파악
◦지하 불균질대에서 반사된 전자기파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지반내 이상대의 존재여부 및 위치를 영상화
◦지하매질의 전자기파 속도 측정하고, 속도를 이용 시간을 심도로 변환, 거리-심도 영상 작성
◦반사파는 포물선 형태로 나타나며, 전자기파의 거동은 매질의 유전율과 전기전도도에 좌우함
◦GPR 영상획득을 위한 자료의 처리
- 직접파 분석(Direct Wave Analysis) - 이득보정(Gain Recovery)
- 상관필터링(Matched Filtering) - 미디안 필터링(Median filtering)
- NMO보정(Normal Moveout Correction) - 주파수 대역 필터링(Bandpass Filtering)
- 트레이스 내삽(Trace Interpolation) - 구조보정(Migration)

- 역필터링(Deconvolution)
시 핸드형 단채널 Impulse GPR의 반사신호

단채널 GPR의 반사 신호 다채널 GPR의 반사 신호

- 59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2) 전기비저항탐사
전기비저항탐사는 지표면에 접지시킨 한쌍의 전류적극을 통하여 땅속으로 전류를 흘려보내 지면에 접지
한 한쌍의 전위적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지하매질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파악하여 지질구조대, 연
약대, 파쇄대의 위치 및 규모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2개의 측선에 대해 실시한다.

전기비저항 탐사기 모식도 전기비저항탐사(쌍극자배열) 모식도


전기비저항 탐사에서는 이러한 지하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알아내서 지하구조를 규명되며, 암석시료에 전류 를

흘려보내고 시료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차를 측정하여 계산
지표면에서 측정한 전위차를 이용하여 지하매질의 전기적인 이상대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겉보기 비저항을
얻을 수 있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지하에 일정한 전류를 흘려보낸 후, 전위차를 측정하여 겉보기 비저항을 구하고
이를 해석하여 지하의 지질구조, 파쇄대나 균열대, 지하수 등의 분포를 파악하는 탐사방법

전기비저항탐사의 탐사장비 및 탐사 모식도는 다음과 같다.

전기비저항탐사 모식도 탐사장비

- 6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4.2 조사결과
4.2.1 문헌조사

∙ 위성지도를 통해 과업구간 산계 및 수계 등 지형적인 특성을 분석하며, 지질정보시스템 등을 통한 지질


작성방향
계통 분석결과를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위성지도를 통해 산계 및 수계 등 지형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과업구간의 공간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수록함

포털사이트 위성지도

대상지역의 지질 및 지질계통에 대한 분석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과업구


간 지질 계통을 분석하여 수록함
지질특성을 분석하여 지하수 및 지반안전성 검토시 유의사항 및 암종경계부 등의 분석결과를 수록함

한국지질지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mgeo.kigam.re.kr)

- 61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지형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지형 윤회상 장년기 말기에 속하는 지형으로 지질구조 및 암석분포의 차이에 의해 약간의 유형 차이


가 있음

- 한강이북 북서부에 위치한 00산(△000m), 00산(△000m)일대는 기반암(서울화강암)이 저반으로 형성

되어 있으며, 한강이남 대상부지 우측에 존재하는 00산(△000m)은 00산맥의 일부로서 호상흑운모편

마암이 저반을 이루고 있음

- 과업부지 북측에는 한강본류가 존재하며, 남측에는 00천이 동측으로 유하하다 00천2교부근에서 탄천

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유입되는 특성을 보임

시 지질 및 지질 계통도

◦대상사업 구간의 지질은 한국지질도 둔전도폭(1:50,000, 한국지질자원연구원)설명서를 이용.


◦본 지역에 광범위한 분포를 보이고 있는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는 경기변성암복합체에 해당하는 암류들로서,
대부분을 점하는 호상흑운모편마암과 이에 소규모로 협재하는 세립질흑운모편마암으로 구성
◦주구성광물은 사장석, 석영, 미사장석, 흑운모, 각섬석, 석류석, 남정석, 규선석, 흑연, 백운모 등과 불투명 광
물 - 사장석과 석영은 큰 입자들을 이루고 편리방향으로 신장되었고 흑운모나 백운모는 압연되어 부분적으
로 입상 변정조직을 이룸
◦제4기 충적층 : 본 층은 산록 말단부와 하천변 지대에서 나타나며, 제4기 이전 암층을 부정합으로 피복, 구
성암은 호박돌, 자갈, 모래, 점토 등으로 미고결 상태임

- 6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4.2.2 시추조사

작성방향 ∙ 시추조사 결과는 지층총괄표, 시추주상도, 지층분석결과, 지층단면도, 지층분포 특성 등을 평가서에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시추조사 결과를 근거로 지층 특성을 분석하여 수록함


- 지층심도, 층후, 토층 및 토질 분류
- 지층단면, N치 및 지하수위
- 지층별 분포특성

대상사업 굴착구간 내의 시추조사 위치는 다음과 같음

구 분 지반고 E.L(+),m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심도 (m)


BH-1 20.7 3.5 0.8 9.7 5.0 11.0 30.0
BH-2 20.5 1.0 2.0 12.0 4.0 16.0 35.0
BH-3 20.6 3.5 - 10.5 11.5 9.5 35.0
BH-4 20.6 1.5 3.5 11.0 6.0 13.0 35.0


(1) 시추공별 지층분석
시 조사지역에 대한 지반의 지층 구성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추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시추조사에 의
한 지층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심도 층두께 TCR RQD
공 번 토층 및 토질 분류 N치
(m) (m) (%) (%)
0.0~3.5 3.5 매립층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SM) 1/30~2/30 - -
3.5~4.3 0.8 퇴적층 실트질모래(SM) 5/30 - -
4.3~6.3 2.0 풍화토 점토섞인 실트질모래(SC-SM) 7/30~11/30 - -
BH-1
6.3~14.0 7.7 풍화토 실트섞인 모래 50/30~50/15 - -
14.0~19.0 5.0 풍화암 굴진시 실트질 모래로 분해 50/10~50/3 - -
19.0~30.0 11.0 연암 호상흑운모편마암 - 16~50 0~7
0.0~1.0 1.0 매립층 자갈섞인 실트질 모래(SM) - - -
1.0~3.0 2.0 퇴적층 실트질모래(SM) 2/30~3/30 - -
3.0~4.5 1.5 풍화토 점토섞인 실트질모래(SC-SM) 2/30~3/30 - -
BH-2
4.5~15.0 10.5 풍화토 실트섞인 모래 6/30~50/11 - -
15.0~19.0 4.0 풍화암 굴진시 실트질 모래로 분해 50/6~50/4 - -
19.0~35.0 16.0 연암 호상흑운모편마암 - 31~99 0~65

- 63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2) 지층 단면도 및 분포특성

지층단면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BH-1 ~ BH-2


지층별 분포특성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음

구 분 지층분포 특성
◦부지조성을 위해 인위적으로 매립한 본 층은 최상부층으로1.0~3.5m정도의 두께로 분포
◦색깔은 암갈색이며, 호박돌 및 소량의 자갈 섞인 실트질모래로 부지조성을 위해 매립한 상태임
매립층 ◦표준관입시험시 N값은 시추공에서 1회/30cm~4회/30cm로 매우느슨한 상태의 상대밀도를 보임
◦BH-2, 4위치는 1.0~1.5m 두께로 얇게 분포하나, BH-1과 BH-3 위치는 3.5m로 비교적
두껍게 분포하는 특성을 보임

◦풍화토 상부에 위치하는 퇴적층은 실트질모래로 나타남


◦실트질 모래는 BH-1, 2, 3, 4 위치에서 0.8~3.5m두께로 분포하여 전 위치에 분포하는 것
퇴적층 으로 나타남. 색깔은 암갈색이며, 표준관입저항 값은 2회/30cm~5회/30cm로 매우느슨내지
느슨한 상대밀도를 보임
◦지질도 분석에서 과업위치의 남측에 위치한 양재천의 영향을 받아 퇴적된 충적층으로 판단됨

◦과업부지 전 시추공에서 나타나며, 1.5~11.0m두께로 분포


◦BH-1, 2, 3 시추공에서 풍화토의 상부에 존재하는 상부풍화토는 점토섞인 실트질 모래로
비교적 풍화가 많이 진행되어 점토성분이 존재하는 지층으로 퇴적층 하부 1.3~2.0m 두께
로 분포, 색깔은 담황색이며, 표준관입시험시 N값은 2회/30cm~11회/30cm로 매우느슨 내
풍화토 지 보통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임
◦풍화토의 하부에 존재하는 하부풍화토는 7.7~11.0m 두께로 풍화로 인한 점토화 진행은 나
타나지 않아 실트질 모래의 토성을 보임, 색깔은 담갈색이고 모암인 화강암이 풍화되어 모
암의 조직이 잔존한 상태임
◦표준관입시험시 N값은 6회/30cm~50회/9cm로 느슨 내지 매우조밀한 상대밀도를 보임

- 6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4.2.3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작성방향 ∙ 표준관입시험 등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요약 정리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표준관입시험, 공내지하수위 측정결과, 현장투수시험, 현장수압시험, 공내전단시험, 공내재하시험 및 실내 토질시


험 등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를 수록함
- 공재지하수위 측정시 24hr, 48hr, 72hr 측정결과를 수록하며, EL과 GL을 같이 표기함

(3) 표준관입시험

표준관입시험은 한국표준산업규격(KS F 2307)에 규정된 방법에 의거하여 실시함

심 도(m) / 표준관입저항치, N (회/cm)


공 번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1/30 2/30 2/30 5/30 7/30 11/30 50/30 50/26 50/21 50/18 50/18 50/17 50/15
BH-1
50/10 50/6 50/4 50/3 - - - - - - - - -
2/30 3/30 2/30 3/30 6/30 7/30 37/30 50/29 50/21 50/20 50/19 50/17 50/14
BH-2
50/11 50/6 50/5 50/5 50/4 - - - - - - - -
3/30 3/30 3/30 5/30 9/30 13/30 50/30 50/17 50/9 50/7 50/12 50/16 50/12
BH-3
50/10 50/5 50/5 50/4 50/4 50/5 50/5 50/4 50/4 50/4 50/3 50/3 -
4/30 2/30 2/30 3/30 8/30 25/30 50/29 50/29 50/25 50/18 50/15 50/9 50/17
BH-4
50/24 50/21 50/10 50/6 50/4 50/4 50/3 50/3 - - - - -
매립층 퇴적층(실트질모래)

풍화토(N<30) 풍화토(N≥30)

- 65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2.4 물리탐사 ▷소규모 제외◁

작성방향 ∙ 지반특성에 따라 수행된 물리탐사 결과를 요약 정리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GPR탐사는 도로하부의 지하매설물 및 공동조사 결과를 수록함


전기비저항탐사는 저비저항 이상대 및 지질 연약대 분석결과를 수록함

(1) GPR 탐사

과업부지 주변에 분포하는 지장물과 공동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GPR 3D탐사를 수행

탐사범위는 검토범위를 고려하여 수행

탐사범위내 L-2~L-4 측선은 분당선 지하철역사 및 터널 노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L-4의 탐사연장을

다소 길게 하여 탐사, 기타 탐사측선은 지하철 정거장 지하구조물 위치 및 교통혼잡상황, 탐사 중 안전

사고 발생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

측선명 사용주파수 탐사범위(m) 비 고


L-1 500 MHz 29m×2m
L-2 500 MHz 38m×2m
L-3 500 MHz 26m×2m 최대굴착심도(H)의
L-4 500 MHz 56m×2m 2.0H범위를 탐사범위로 선정

L-5 500 MHz 44m×2m


L-6 500 MHz 29m×2m

예 계 - 220×2m -

시 탐사 측선도
산봉냉면


역 삼 2 동) 동양빌딩

래미안상가
L-4

복약국
어린이집 롯데

L-6

백림빌딩

대농마트
103동 롯데백화점
호세약국
L-1
L-3

Terahills
IPARK아파트 한티역분당선2번출
101동
L-2

102동

한티역분당선1번출입구

한티
새뜰근린공원
103동
영진빌라 혜성빌라
102동
그린빌라
역삼레전드힐스 한티역분당선8번출입구
한티역분당선4번출입구
101동 102동
롯데캐

L-5
세창빌라

한티역분당선7번출입구

한티역분당선5번출입구
준빌라
동 종합카센타

- 6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탐사위치

탐사결과

◦평탄한 노면과 포장층의 분포에 의해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반사파가 우세하게 나타남
◦굴곡진 형태 혹은 불규칙적으로 단속적인 형태의 반사파가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는 지표요철이나 포장층 및
매립층 내에 혼재되어 있는 자갈, 암편 등의 지층 구성물질이나 지중에 분포하는 기타 반사체(시공관련 자재,
시설물)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
◦포물선 형태의 반사파가 관찰되는데 이러한 반사파가 각 단면에서 연결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장물의
예 분포가 예상되며, 지장물도와 현장조사를 종합분석하여 추정한 지장물 분포현황은 아래 표와 같음
◦포물선 형태의 반사신호가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지장물도상 지장물 현황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시 탐사단면상에 ‘지장물’로 표기
◦공동이나 연약대 등 지하안전에 영향을 미칠만한 지질이상대는 뚜렷이 관찰되지 아니함
3차원 분석결과 심도별 수평단면(Time Slice)

3차원 심도별 수평단면(Time Slice) 해석결과


◦3차원 Time Slice 수평단면 분석결과 국부적인 지층상태 변화, 일부 노후된 도로면, 맨홀이나 빗물받이 등과 같은
주변 시설물 및 자재설비 등에 의한 대체로 단순한 차원의 반사강도 변화양상이 주를 이루고 있음
◦탐사단면상 박스로 표기한 영역은 매우 강한 반사강도가 집중되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반사계수의 증가를
야기할만한 지층상태 변화가 반영된 현상으로 상대적인 공극률 증가나 함수율 증가에 의해 국부적으로 느슨
한 지층상태를 보이는 영역으로 판단
◦공동이나 연약대 등 지하안전에 영향을 미칠만한 지질이상대는 뚜렷이 관찰되지 아니함
추정위치
구 분 관종
거리 심도
지장물 8.3 1.3
L-1-1 지장물 11.2 1.3
통신관 28.0 1.3

- 67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가. 공동조사 개요

사업부지 주변에 대해 지구물리탐사방법 중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탐사


를 실시하여 도로하부 공동(空洞)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지하안전영향평가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함
4.1.2 조사결과 GPR탐사결과로는 탐사장비, 1채널 등으로 인하여 단순히 지하매설물의 위치 및 깊이만
을 파악할 수 있을뿐 정확한 공동의 규모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신뢰도가 떨어짐
따라서, 정확한 공동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채널 GPR장비(3D-Radar)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음
기 기 명 세
구 분 수 량 비 고
기기명 모델명 규 격
탐사장비 다채널 GPR 3D-Radar 200Mhz~3000Mhz 1 제조사 3D-Radar
컴 퓨 터 - Notebook, Desktop 1
자료처리
S/W Examiner 3.2.0 자료처리 및 해석 S/W 1 Chemring
전산장비 Auto CAD 자료처리 S/W 1 Auto Desk
Plotter

나. 공동조사서

탐사 결과 위 치 규 모
순 번 NO. 1 주소 00구 00동 000 토피(m) 0.00
도 로 명 고잔0길 위도 00°00.00000′ 연장 종단 0.00
도로방향 동향 경도 000°00.00000′ (m) 횡단 0.00
탐사일시 2000.00.00 차로 일방통행 두께(m) -

위치도 노면 영상

탐사 평면

종∙횡
단면도

◦서울시 등급분류기준 적용시 일반복구 등급에 해당됨


분석 결과 ◦착공전 1회, 굴착완료 후 1회, 지하층골조 완공시 1회 총 3회 GPR 탐사장비를 활용하여 주기적으
로 공동을 관찰해야함

- 6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 전기비저항탐서

과업부지 미시추구간의 지질 연약대 파악을 위한 전기비저항탐사 결과는 다음과 같음

전기비저항 탐사결과

탐사결과 요약

Line-1 측선의 경우 55m 지점 부근에서 저비저항 이상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Line-2 측선의 90m 지점과
Line-3 측선 120m 지점과 연장성을 보이고 있을 것으로 판단됨
Line-4 측선의 경우 100m 지점 부근에서 저비저항 이상대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파쇄대가 발달하고 있거나
또는 도심지 인근 인도부의 지장물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없음
Line-4 측선의 50m 지점 부근 천부에서 저비저항 이상대가 분포하고 있으며, 이는 지하철역 인근 주차시설로
인한 영향이거나, 국부적으로 연약구간이 존재할 수 있음
Line-1, Line-2 측선의 125m 이후구간 천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저비저항 이상대는 주변 지장물에 의한 영향일
것으로 추정됨

- 69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2.5 인근시추 자료 분석

∙ 대상지역의 인근시추 자료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인근시추 자료 및 분석결


작성방향
과를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국토지반정보 통합DB 및 서울시 지반정보통합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과업구간 인근 시추자료를 확인하여 지반조


건, 특히 기반암 및 지하수위 출현심도를 분석하여 수록함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www.geoinfo.or.kr)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는 전국토의 건설현장에서 생산되는 시추보링 성과를 DB화하여 통합관리하고


있으며, 지반 시추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사업구간에 대해 국토지반정보 통합DB에서 제공하는 시추정보를 분석함

주변지역 지반조사 위치

- 7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005 신도곡 재건축 아파트 지반조사


BH-2 BH-5

영동아파트 1단지 재건축 신축공사


NB-5 NB-9

검토결과
◦인근시추공 분석결과 지표로부터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의 순서로 분포하고 있음
◦지하수위는 GL.(-) 6.5~13.6m(E.L(+) 8.8~13.6m)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됨
◦매립층은 1.59~14.80m정도의 두께로 분포하며 지층 상태는 실트섞인 모래, 소량의 자갈 및 실트섞인 모
래로 구성되어 있음
◦매립층의 상대밀도는 느슨 ~ 매우조밀한상태를 나타냄
◦지층분포는 과업구간 시추조사와 유사하며, 지하수위는 E.L기준으로 과업구간보다 높게 분포하는 것을 확인함
◦과업부지와 매우 인접하여 위치에 있는 분당선 한티역로 인하여 지하수가 한티역사 내부 유입되어 과업구
간의 지하수위가 인근시추공 지하수위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됨
◦사업부지 인근 지반조건 분석을 위해 인근시추공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반 조건은 사업구간과 유사
한 경향을 보이나 시추공의 거리가 멀어 사업구간 지반조건을 유추할 수 없어 사업부지 시추결과를 바탕으
로 지반조건을 분석함

- 71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2.6 구지형 분석

∙ 대상지역의 구지형 분석은 국토지리정보원 및 포털사이트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구지형 분석결과를


작성방향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국토지리정보원 및 포털사이트 위성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대상사업 부지의 과거 지형 및 개발현황을 분석하여


수록함

국토지리정보원(map.ngii.go.kr)

포털사이트(www.daum.net)

- 7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국토지리정보원 구지도를 통하여 과업구간 지형변화를 분석함

1963년 1974년

1986년 1996년


2007년 -

검토결과
◦구지도 분석결과 과업구간은 1963년대에는 논이 있었으며 1974년부터 도시화로 인하여 도로와 해당부지를
포함한 인접한 부지에 구조물이 신설되었음
◦또한, 금회 시추조사 결과 매립층 하부에 퇴적층(구성성분: 실트질 모래, 점토섞인 실트질 모래 등)이 분포
해 있으며, 인근시추공 검토결과(매립층 하부에 퇴적점토층 존재) 과거에 논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구지도 분석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됨
◦1970년대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부지정지 작업을 수행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하천이나 매립으로 형성된 지형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어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
으로 지반조건을 분석함

- 73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시간 흐름에 따른 위성지도 분석을 통해 과업구간 현황변화를 분석함


위성사진은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08년부터 현재까지 제공되는 사진을 통하
여 분석함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3년 2015년

2016년 2018년

검토결과
◦해당 대상사업부지는 2008~2018년(최근)까지 나대지 상태로 존치되어 있었으며, 현장조사결과 또한 마찬
가지로 나대지 상태로 존재하고 있음
◦사업부지는 소하천이나 매립으로 형성된 지형조건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하안전영향평가시 사업부
지에 대한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조건을 분석함

- 7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4.3 설계지반정수
4.3.1 설계지반정수 산정 개요

작성방향 ∙ 설계지반정수 산정절차, 지층별 착안사항, 토사층의 지층별 적용 N치 설정 등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현장조사 및 시험결과와 더불어 해석 지반의 지반특성 분석을 고려한 설계지반정수의 적절한 산정은 해석 결과의
신뢰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지반정수는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 결과, 기존경험식 및 참고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여 합리적으로
적용함
지층분석 및 지층별 지층별
조사결과 정리 설계구간 선정
토층 분류 시험결과분석 설계지반정수산정
◦현장조사 ➡◦시험항목에 따른 ➡◦지층 및 구조물 ➡◦지층별 물리특성 ➡◦지층별 평가방법
◦현장시험 분류방법 검토 특성분석 ◦현장 및 실내시험 선정
◦실내시험 ◦지층 종단 평가 분석 ◦설계지반정수 산정

지반을 구성하는 각 지층별 설계지반정수는 대상지반의 형성이력과 토질 또는 암석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평가방법으로 수행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따라 보다 안전측 검토를 위한 평가(배수조건에 따른 평가)가 수행될 수 있으며, 조사 결과의
양적ㆍ질적 특성에 따라 그에 적합한 평가방법을 달리 적용

구 분 주요특성 착안사항 적용지층


◦물리적 특성
◦지반보강 여부 검토 ◦매립층, 퇴적층,
토사 ◦강도 및 변형 특성
◦하중재하시 탄성변형량 검토, 기초변위 검토 풍화토, 풍화암
◦수리 특성
◦강도 및 변형 특성
◦암반지지층에 대한 기초안전성 및 지내력검토 ◦연암
기반암 ◦수리 특성
◦기초변위 검토
◦내진 특성

토질정수 산정시 표준관입시험을 통해 조사된 N치를 분석하여 각 지층의 대표N치를 산정하여 수록함

토질정수는 표준관입시험을 통해 조사된 N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결정하며, 측정된 N값을 모두를 적용하
여 대표적인 지반정수를 산정할 수 없어 각 지층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 N치를 산정하여 적용함
대표 N값
구 분 N값 분포 상대밀도 / 연경도 비 고
(평균값 적용)

매립층 실트질 모래 1/30 ~ 4/30 3/30 매우느슨한 상태 -

시 매우느슨 내지 느슨한
퇴적층 실트질 모래 2/30 ~ 5/30 3/30 통일분류상 SM
상태
매우느슨 내지
풍화토 N<30 3/30 ~ 25/30 10/30 통일분류상 SM
보통조밀한 상태
N값 50이상은 50으로
풍화토 N≥30 37/30 ~ 50이상 50/30 매우조밀한 상태
평균값 선정시 사용

- 75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3.2 문헌조사 및 경험식에 의한 설계정수

∙ 문헌조사는 제시되어 있는 많은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토질정수 산정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문헌조사,


작성방향
경험식 및 설계사례 등을 종합 분석하여 토질정수를 산정이 필요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문헌조사에 수록된 설계정수 및 경험식에 의한 설계정수 산정자료를 평가서에 수록함

가. 단위중량(  )

1) Bowles(1977)
수정된 N값과 사질토의 상대밀도, 단위중량과의 관계

Description Very Loose Loose Medium Dense Very Dense

Relative density, Dr 0 ~ 0.15 0.15 ~ 0.35 0.35 ~ 0.65 0.65 ~ 0.85 0.85 ~ 1.00

Corrected standard
0 ~ 4 4 ~ 10 10 ~ 30 30 ~ 50 50 이상
penetration test no. N'
Approximate range of
1.2 ~ 1.8 1.6 ~ 2.0 1.9 ~ 2.3 1.9 ~ 2.5 2.3 ~ 2.7
moist unit weight (tf/㎥)

수정되지 않은 N값과 점성토의 일축압축강도, 컨시스턴시, 포화단위중량과의 관계

Description Very Soft Soft Medium Stiff Very Stiff Hard



qu (tf/㎥) 0 ~ 2.4 2.4 ~ 4.9 4.9 ~ 9.8 9.8 ~ 19.6 19.6 ~ 39.2 39.2 이상
시 N, Standard penetration
0 ~ 2 2 ~ 4 4 ~ 8 8 ~ 16 16 ~ 32 32 이상
resistance

Saturated unit weight (tf/㎥) 1.8 ~ 2.1 1.8 ~ 2.1 1.9 ~ 2.3 2.1 ~ 2.5 2.1 ~ 2.5 2.1 ~ 2.5

흙의 종류에 따른 단위중량

단위중량(tf/㎥ )
흙의 종류 흙의 상태 간극률(%) 간극비
건조 전체 포화
느슨 38~42 0.61~0.72 1.4~1.7 1.8~2.0 1.9~2.1
모래질 자갈
촘촘 18~25 0.22~0.33 1.9~2.1 2.0~2.3 2.1~2.4

느슨 40~45 0.67~0.82 1.3~1.5 1.6~1.9 1.8~1.9


거친모래, 중간모래
촘촘 25~32 0.33~0.47 1.7~1.8 1.8~2.1 2.0~2.1

느슨 45~48 0.82~0.82 1.4~1.5 1.5~1.9 1.8~1.9


균등한 가는모래
촘촘 33~36 0.49~0.56 1.7~1.8 1.8~2.1 2.0~2.1

- 7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4.3.3 설계사례

작성방향 ∙ 설계지반정수 산정시 대상지역 인근의 기존 설계사례를 분석하여 평가서에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기존 설계사료 분석시 지반정수 뿐만 아니라 적용된 지층 특성의 분석 결과를 같이 수록하여 대상지역 설계지반정수
산정시 주변 지반특성이 고려된 지반정수가 산정되도록 함
설계사례의 평면위치를 표시하여 대상사업과의 위치적 관계를 표기함

단위중량(kN/㎥)

퇴적층 풍화토 풍화토


적용사례 매립층 풍화암 연 암 경암
점토 모래 자갈 (N<30) (N≥30)

000공구 17.0 - - - 18.0 19.0 21.0 24.0 25.0


00지하철 000공구 18.0 - 18.1 19.0 - 20.0 21.0 23.8 25.0
0호선 000공구 18.0 - - - 19.5 20.0 21.0 23.5 25.0
000공구 18.0 18.0 ~ 19.0 - 19.0 20.0 24.0 25.0
00지하철 000공구 18.0 - 18.0 20.0 19.0 20.0 20.0 25.0 26.0
0호선 000공구 18.0 17.0 18.0 - 18.0 19.0 21.0 24.0 26.0

00선 0공구 17.5 17.0 18.5 19.0 - 19.0 21.0 24.0 25.0
0공구 0공구 17.5 - 17.5 19.0 18.0 19.5 20.5 23.0 25.0

00선 0공구 18.0 18.5 18.0 19.0 - 19.0 21.0 23.0 25.0
0공구 0공구 18.0 - 18.0 19.0 - 19.5 21.0 23.0 24.0
00~00 0공구 18.0 17.5 18.0 - 19.0 19.5 20.0 23.0 24.0
예 00~00 0공구 18.0 17.0 18.0 19.0 19.0 19.5 20.0 23.0 26.0


내부마찰각(°)
퇴적층 풍화토 풍화토
적용사례 매립층 풍화암 연 암 경암
점토 모래 자갈 (N<30) (N≥30)
000공구 30 - - - 30 32 34 33 40
00지하철 000공구 28 - 30 38 - 32 33 34 38
0호선 000공구 28 - - - 28 30 33 35 40
000공구 29 30 ~ 31 - 33 35 36 38
00지하철 000공구 28 - 30 34 31 32 33 35 38
0호선 000공구 28 0 30 - 30 32 35 38 45

00선 0공구 27 - 29 30 - 31 33 34 37
0공구 0공구 27 - 27.5 30.0 28 29 32 34 40

00선 0공구 27 0 29 33 - 30 33 35 38
0공구 0공구 27 - 28 35 - 30 33 35 38
00~00 0공구 30 0 29.0 - 29.5 30 31 35 40
00~00 0공구 25 5.0 27.0 32 30.0 31 32 35 40

- 77 -
제4장 지반 및 지질 현황

4.3.4 설계지반정수 산정

∙ 문헌조사, 경험식 및 기존 설계사례를 참고하여 지층별 설계지반정수를 산정하고 산정사유에 대하여


작성방향
기술하되 지반정수 산정의 당위성을 지반공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설계지반정수는 문헌조사, 경험식 및 설계사례를 참고하여 산정하되 대상지역에서 수행된 현장 시험값을 우선적으
로 적용하며, 지반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보수적으로 산정함
굴착현장의 경우 대상지역이 규모가 크지 않으나, 터널현장의 경우 그 연장이 길고 지질현황에 따라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지질현황에 따른 구간을 선정하여 구간별 지반정수를 산정함

2) 지층별 내부마찰각의 선정
토 층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연 암 경 암
적용 N치 8 6 46 - - -
Dunham 29.8 28.5 43.5 - - -
Ohsaki 27.6 26.0 45.3 - - -
N치 이용
Meyerhof 34.5 34.0 44.0 - - -
Peck 29.4 28.8 40.8 - - -
도로교 26.0 25.0 41.0 - - -
Bowles 27.0~32.0 27.0~32.0 35.0~40.0 - - -
Hunt - 29.0~32.0 32.0~35.0 - - -
도로공사 - 25.0~30.0 25.0~30.0 30.0 33.0 40.0
R.S.E 28.0~40.0 28.0~40.0 32.0~46.0 32.0~46.0 35.0~45.0 35.0~45.0
Peck-Meyerhof 28.5~35.0 28.5~35.0 36.0~45.0 - - -
서울지하철 설계기준 - - 20.0~45.0 20.0~45.0 25.0~50.0 35.0~50.0
서울시 지반조사 편람 - - 25.0~30.0 30.0~35.0 30.0~40.0 35.0~45.0
기존 설계 적용사례 27.0~30.0 27.5~31.0 28.0~33.0 29.0~35.0 32.0~38.0 33.0~45.0
예 공내전단시험 - - 33.0 - - -
선 정 값 (deg) 26.0 25.0 33.0 33.0 33.0 35.0
시 ◦매립층의 내부마찰각은 대표 N치는 8/30으로 매우느슨~보통조밀한 나타내며
경험식을 이용한 선정결과 27.6~34.5°이며, 기존 설계사례 범위는 27.0~30.0°
이므로 안전측 설계를 위하여 경험식 및 인근의 설계 적용사례의 최소값보다
작은 값인 26.0°를 적용함
◦퇴적층의 내부마찰각은 대표 N치는 6/30으로 매우느슨~보통조밀한 나타내며
경험식을 이용한 선정결과 26.0~34.0°이며, 기존 설계사례 범위는 27.5~31.0°
이므로 안전측 설계를 위하여 경험식 및 인근의 설계 적용사례의 최소값보다
작은 값인 25.0°를 적용함
선 정 사 유
◦풍화토의 내부마찰각은 현장시험 값이 33.0°이므로 기존설계 적용사례 값의 범
위 안에 포함되며 현장시험 값인 33.0°를 적용함
◦풍화암의 내부마찰각은 문헌자료 조사결과 20.0~46.0°로 편차가 크게 제시되어 있
으므로 기존설계 적용사례 평균값인 33.0°를 적용함
◦연암의 내부마찰각은 기존설계 적용사례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도로공
사값인 33.0°를 적용함
◦경암의 내부마찰각은 기존설계 적용사례 범위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서울지
하철 설계기준 및 서울시 지반조사 편람 최소값인 35.0°를 적용함

- 78 -
제 5 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5.1 지하수 수리특성 분석


5.2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
5.3 침투해석에 의한 지하수 흐름 분석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제 5 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5.1 지하수 수리특성 분석
5.1.1 기존자료 분석

∙ 국가지하수정보체계,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등 기존 자료를 활용하여 지하수 변동량, 강우량


작성방향
등 지하수 수리특성을 분석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조사개요
국가지하수정보체계,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등 기존자료 조사개요에 대하여 수록함
- 기존자료는 국가지하수정보센터에서 지하수 이용, 조사, 관측 자료 등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제공하는 자료인
지하수정보체계와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에서 하천의 수위변동과 강수량 정보 등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제공하는 자료인 수자원정보체계 등을 이용하여 조사함

(나) 지하수정보체계
지하수정보체계(www.gims.go.kr)에서 제공하는 자료는 다음과 같으며, 지하수정보체계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지하수특성을 분석하여 수록함

구 분 제공 자료 비 고

지하수관측연보 관측소명, 수위, 수온, 전기전도도 (1998 ~ 2018년도 자료)

지하수
정보
지하수 개발 이용 현황 및 특성, 지하수 수질 현황
지하수조사연보
(1995 ~ 2018년도 자료)

지하수시설의 위치정보 개발이용관정(허가공, 신고공), 관측망(국가지하수관측망)

지하수 관측소명, 주소, 관련기관,기간별 현황조회


국가지하수관측망 상세정보
시설정보 및 그래프 제공(수위, 심도 등)

관측소명, 주소, 관련기관,기간별 현황조회


보조지하수관측망 상세정보
및 그래프 제공(수위, 심도 등)

- 79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주요내용 굴착 터널

관측망을 활용한 지하수위 변동량은 인근 국가관측망 1개소, 보조관측망 3개소의 1년 이상의 변동량을 분석하며,
이때, 보조관측망의 경우 계측 미실시, 계측오류 및 양수 등 인위적인 요인에 따라 신뢰할 수 없는 관측자료가
다수 있으므로 평가자의 판단하에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적용하여야함.

국가관측공 위치

대상지역의 지하수 변동량은 산정시 국가관측망은 환경부와 수자원공사에서 매년 발간하는 지하수관측연보를


활용하여 관측망의 변동량을 확인하여야 함

지하수 관측연보(2019) 지하수위 변동량

- 8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다) 수자원정보체계
수자원정보체계를 이용하여 조사한 사업구간에 대한 하천의 수위변동과 강수량 정보 등을 수록함
- 수자원정보체계는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에서 하천의 수위변동과 강수량 정보 등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제공하는 자료로써 대상사업 구간과 인접한 구간의 수위변화량과 강수량 정보 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함

구 분 제공 자료 비 고

강수량 자료 관측소명, 주소, 관할 기관


강수량
(제원, 시자료, 일자료, 월자료) (강수량 현황)

실시간 수위자료 관측소명, 주소, 관할 기관


기상자료
(제원, 시자료, 일자료) (기온, 풍속, 상대습도 등)

실시간 수위자료 관측소명, 주소, 관할 기관


하천 수위자료
(제원, 시자료, 일자료) (관측일, 평균수위)

관측소명, 주소, 관할 기관
하천 유량자료 실시간 유량자료
(일유량 현황)

관측공 수위, 온도, 전기전도도 관측소명, 주소, 관할 기관

특히, 강수량 및 기상자료 이외에 대상지역에 대한 침수실적을 확인하여 홍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침수실적이
다수인 구간은 강우에 대한 별도의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침수실적조사

- 81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관측 연보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음
- 대상사업 구간 인근 국가관측소 1개소(0000) 및 보조관측망 3개소를 지하수위 최대 변동폭을 산정함

관측공 위치

예 국가 관측망 보조관측망


구분 0000 0000 0000 0000

암반층 충적층 암반층 충적층 암반층 충적층 암반층 충적층

연평균 16.41 - 6.00 - 5.13 - 5.87 -

연최고 16.94 - 6.76 - 8.10 - 5.97 -


수위
2019년
(E.L)
연최저 16.31 - 5.08 - 4.73 - 5.69 -

변동폭 0.63 - 1.68 - 3.37 - 0.28 -

연간 지하수 변동폭 조사결과


- 국가관측망인 0000 지하수위 변동폭은 0.63~ 1.67m로 검토됨
- 보조관측망 3개소의 변동량은 0.30~3.37m로 관측됨
- 안전측 검토를 위하여 설계지하수위 산정시 최대 지하수위 변동폭인 3.37m 반영함

- 8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대상사업 구간 주변의 지표수의 수위변동과 강수량 확인을 위해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


공하는 수자원정보체계를 활용함

대상사업 구간 인근 하천수위 관측망


하천수위 측정일 하천수위 수위변동폭
순번 관측소
최초측정일 최종측정일 경과일 최소(EL. m) 최대(EL. m) (m)
1 서울 00대교 2018.11.01 2019.11.07 372 2.73 4.27 1.54

대상사업 구간과 가장 인접한 서울 00대교 관측소 지점의 수위변화 분석결과 1년간 일평균수위 최대값
은 EL.+4.27m, 최소값은 EL.+2.72m, 평균값은 EL.+3.07m로 분석됨

최근 1년간(서울 00대교 관측소) 일평균 수위변화

- 83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연강수량 현황 자료(서울 기상관측소) 조사결과, 10년 동안의 연평균 강수량은
1,380.7 mm로 조사됨
서울 기상관측소의 연도별 총강수량 현황은 다음과 같음

총 강수량
연 도 그래프
(mm)
2009 1,564.0

2010 2,043.5

2011 2,039.3

2012 1,646.3

2013 1,403.9

2014 808.9

2015 792.1

2016 991.7

2017 1,233.2
최저강수량 최고강수량 평균강수량
792.1 2,043.5 1,380.7
2018 1,284.1 (mm/year) (mm/year) (mm/year)
예 월 최대 강우량은 서울 기상관측소에서 제공하는 월강우량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2009년부터 2018년까

시 지의 월별 강수량 조사결과 월 최대 강수량은 1,131.0 mm로 조사됨

서울 기상관측소의 월강수량 현황은 다음과 같음

월 별
연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2009 5.7 36.9 63.9 66.5 109.0 132.0 659.4 285.3 64.5 66.9 52.4 21.5

2010 29.3 55.3 82.5 62.8 124.0 127.6 239.2 598.7 671.5 25.6 10.9 16.1

2011 8.9 29.1 14.6 110.1 53.4 404.5 1131.0 166.8 25.6 32.0 56.2 7.1

2012 6.7 0.8 47.4 157 8.2 91.9 448.9 464.9 212.0 99.3 67.8 41.4

2013 22.1 74.1 27.3 71.7 132.0 28.3 676.2 148.6 138.5 13.5 46.9 24.7

2014 13.0 16.2 7.2 31.0 63.0 98.1 207.9 172.8 88.1 52.2 41.5 17.9

2015 11.3 22.7 9.6 80.5 28.9 99.0 226.0 72.9 26.0 81.5 104.6 29.1

2016 1.0 47.6 40.5 76.8 160.5 54.4 358.2 67.1 33.0 74.8 16.7 61.1

2017 14.9 11.1 7.9 61.6 16.1 66.6 621.0 297.0 35.0 26.5 40.7 34.8

2018 8.5 29.6 49.5 130.3 222.0 171.5 185.6 202.6 68.5 120.5 79.1 16.4

- 8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5.1.2 현장 지하수 조사

작성방향 ∙ 지반조사를 통해 확인된 대상지역 지하수위 분포, 지층별 투수특성 등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지하수위 분포
사업구간의 현 지하수위 분포 현황에 대해 기술하되 사업구간의 지하수위를 확인하기 위해 시추조사시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의 시추공 지하수위를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수록함
- 시추공 지하수위는 공내에 잔존하게 되는 작업용수의 영향을 고려하여 시추작업 완료 후 안정된 지하수위를 측정함
측정된 72시간 후의 시추공 지하수위를 초기지하수위로 선정하며, 지하수위는 GL과 EL을 동시에 수록함

(나) 지하수시험
현장투수(투수, 수압시험)시험, 지하수 유향·유속시험, 순간충격시험 및 양수시험 등 지하수 관련 시험 결과를
수록하여 지하수 특성을 수록함(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 지하수 유향·유속시험, 순간충격시험 및 양수시험 제외)

(가) 지하수위 분포
사업구간의 지하수위를 확인하기 위해 공내의 작업용수를 제거한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의 지하
수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음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지반고
공 번 분포지층 (2020.04.21) (2020.04.21) (2020.04.23)
E.L(+), m
E.L(+), m G.L(-), m E.L(+), m G.L(-), m E.L(+), m G.L(-), m
BH-1 연암 20.7 1.7 19.0 1.2 19.5 1.1 19.6
BH-2 연암 20.5 1.8 18.7 0.9 19.6 0.7 19.8
BH-3 풍화암 20.6 1.4 19.2 0.5 20.1 0.6 20.0
BH-4 풍화암 20.6 1.1 19.5 0.3 20.3 0.3 20.3
(나) 지하수 시험

예 현장투수시험
- 대상지역 토사층의 투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공을 이용한 현장투수시험을 실시함

구 분 심 도(m) 지 층 토질상태 투수계수(cm/sec)
2.0 ~ 3.0 매립층(SM) 실트질 모래 2.4 × 10-3
BH-1
8.0 ~ 9.0 풍화토 실트질 모래 1.2 × 10-4
2.0 ~ 3.0 퇴적층(SM) 실트질 모래 2.1 × 10-3
BH-2
7.0 ~ 8.0 풍화토 실트질 모래 9.3 × 10-5
8.0 ~ 9.0 풍화토 실트질 모래 1.7 × 10-4
BH-3
15.0 ~ 18.0 풍화암 풍화암 2.5 × 10-5
3.0 ~ 4.0 퇴적층(SM) 실트질 모래 1.0 × 10-3
BH-4
8.0 ~ 11.0 풍화암 풍화암 5.1 × 10-5
◦매립층 구간에서 투수계수는 2.4×10-3cm/sec의 값을 나타냄
◦퇴적층 구간에서 투수계수는 1.0×10-3~2.1×10-3cm/sec의 값을 나타냄
◦풍화토 구간에서 투수계수는 9.3×10-5~10.7×10-4cm/sec의 값을 나타냄
◦풍화암 구간에서 투수계수는 2.5×10-5~5.1×10-5m/sec의 값을 나타냄

- 85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현장수압시험
- 대상지역 암반층의 투수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추공을 이용한 현장수압시험을 실시함

심 도 Lugeon 투수계수 지하수위


공번 지 층 Flow Type
(m) Value (cm/sec) (GL.-m)

Laminar
BH-1 25.0 ~ 28.0 연암 1.201 1.39×10-5 19.6
Flow

Laminar
BH-2 26.0 ~ 27.5 연암 1.482 1.44×10-5 19.8
Flow

Laminar
BH-3 27.0 ~ 28.0 연암 2.771 2.40×10-5 20.0
Flow

Laminar
BH-4 28.0 ~ 30.0 연암 4.315 4.53×10-5 20.3
Flow

◦연암 구간에서 투수계수는 1.39E-05~4.53E-05cm/sec 의 값을 나타냄

지하수 유향·유속시험
예 - 지하수 유향ㆍ유속시험은 암반 내 수리특성의 공간적 유동 방향성 및 투수계수 측정을 위해 수행함

시 구 분 측정심도(G.L (-)m) 지층 유 향(MN°) 유 속(cm/sec)

21.0 연암 096 7.33E-5


BH-1
27.0 연암 082 6.10E-5

심도 19.0m(연암) 심도 24.0m(연암)

◦지하수 유향∙유속측정 결과 지하수의 유향은 82°~96°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나타남


◦유속은 연암에서 6.10x10-5 ~ 7.33x10-5cm/sec으로 나타남

- 8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순간충격시험
- 순간충격시험은 순간적인 수위변화를 일으켜 원상태로 회복을 위한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를 측정하여
수리상수 값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함

초기수위 대수층 수 리 상 수
구 분 심 도(m)
(m) 두께(m) 분석방법 K(cm/sec) T(cm2/sec)

Bouwer-Rice 6.693×10-5 0.06961

BH-1 30.0 19.6 10.4 Hvorslev 9.433×10-5 0.09810

평 균 8.063×10-5 0.08386

◦투수계수는 6.693x10-5 ~ 9.433x10-5cm/sec 범위로 나타남


◦투수량계수(T)의 범위는 0.06961 ~ 0.09810cm2/sec로 나타남

양수시험 결과
- 양수시험(pumping tests)은 일정기간 동안 양수를 통해 대수층에서의 수두변화를 관측하여 지하수 산출
능력을 결정하고 수리상수(투수량계수 T, 수리전도도 K, 저류계수 S) 값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함

구 분 공 경(mm) 심 도(m) 자연수위(m) 대수층두께(m)
시 BH-1 76 30.0 19.6 10.4

분석방법 re S(보정전) S(보정치) K(㎝/sec) T(㎠/sec)

Cooper & Jacob 0.220 0.1720 5.232×10-3 6.563×10-5 0.06826


양수시험
Theis 0.225 0.1795 5.497×10-3 6.777×10-5 0.07048

회복시험 Theis Recovery - - - 6.314×10-5 0.06567

기하평균 0.223 0.1758 5.365×10-3 6.551×10-5 0.06814

Cooper & Jacob(보정 후) Theis(보정 후) Recovery

◦대수성시험 분석결과 BH-1의 투수계수(K)는 6.314x10-5~6.777x10-5cm/sec의 범위를 보이며 평균 6.551x10-5


cm/sec를 나타냄

- 87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5.1.3 설계지하수위

∙ 대상지역의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고 및 인근 관측망의 수위 변화량 등을 종합 검토하여 대상사업의


작성방향
설계지하수위를 산정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고 산정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고 산정방법에 대해 수록함
지하수위 상승고는 강우조건 국가기상종합정보(기상청)를 활용하여 과업지역 최근 50년간 최대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이후 30이상의 실측 강우량을 강우강도로 적용함
예) 서울 기상관측소 강우량 분석결과 1998년 8월 8일에 332.8mm/day로 이 시기를 기점으로 1개월 동안의 강우량을
적용하여 상승고를 산정함
1998
구 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 3.2 31.8 1.0 23.1 19.3 2.8 2.3
2 76.7 14.2 83.0 11.5 12.0
3 1.3 15.6 0.4 46.3
4 0.8 0.5 211.4
5 0.3 19.1 10.5 79.3 76.7
6 0.8 122.9
7 0.2 45.5 1.3 0.9
8 2.3 0.7 1.1 36.5 332.8 0.5
9 8.0 12.7 0.6
10 37.3 69.4
11 2.3 3.1 9.2 38.2 31.5 2.7
12 0.6 4.8 0.2 27.4 11.3 0.2 13.4 10.0
13 6.5 2.9 13.6 2.5
14 10.1 7.5 108.9 11.7
15 1.9 71.3 2.6
16 20.4 0.5 2.5 4.7
17 0.4 0.5 0.3 5.2
18 0.3 3.2 0.2
19 2.6 38.7 6.7 13.2 0.4 1.6
20 2.5 2.4 6.0
21 0.4 21.9 30.0 1.6
22 26.5 0.9
23 0.5 33.9 0.4 1.4
24 6.8 2.5 2.2 0.8
25 0.1 0.4 85.7
26 0.2 3.1 3.6 30.5 1.0
27 5.3 0.3 29.0 0.4 3.4
28 0.1
29 9.4
30 46.1 46.5 0.5
31 30.4

- 8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강우조건 지표면 상태에 따라 침투되는 조건을 반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침투율을 적용함

지표면 상태 침투율(%) 지표면 상태 침투율(%)


포장면(도로) 10.0 도시지역 30.0
가파른 산지 및 법면 20.0 잡지 40.0
완만한 산지 30.0 평작지(경작지) 50.0
논 20.0 수림 70.0

침투해석시 각 지층의 함수특성곡선(SWCC)은 지층의 특성 반영이 가능한 방법(Data Point Function, Fredlund-
Xing Function, Van Genuchten Function, Add-In Function 등)을 선택하여 입력하며, 입력된 함수특성곡선을
평가서에 수록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
침투해석 해석 기간은 지하수위 상승이 수렴하여 최대값을 확인할 수 있는 기간까지 수행하여 지하수위 상승고를 선정함

지하수위 상승경향 분석

침투해석을 통한 지하수위 상승고 산정시 해석위치는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현황, 지반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반안전성 검토단면과 탄소성해석 검토단면과 동일하게 선정함
해석시 적용된 입력값은 표로 작성하여 수록하며, 프로그램 입력결과 확인을 위해 화면을 캡쳐하여 수록함

(나) 설계지하수위 산정
지반안전성 검토시(유한요소해석, 탄소성해석 등) 적용하는 설계지하수위 산정결과에 대해 수록함
설계지하수위는 강우시 각 단면별 지하수위 상승고(침투해석 수행)와 지하수정보체계를 통해 분석한 관측공의
연간 지하수위 변동량을 비교하여 보수적인 값을 적용함
- 초기지하수위는 관측된 72시간 시추공 지하수위를 적용하나 각 시추공별 지반고와 관측결과가 상이하므로 굴착면
적이 작은 소규모 사업의 경우 각 단면별 보수적인 값을 통일하여 적용하는 것이 안전측이나 대규모 사업 및
선형적인 토목사업(터널 등)의 경우 각 단면별로 설계지하수위를 차별화하여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임
- 대상사업이 하천 또는 바다와 인접하여 위치할 경우 하천 홍수위 및 바다 만조위를 고려하여 설계지하수위를
산정함

- 89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가)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고 산정


강우에 따른 지하수위 상승고를 산정하기 위해 각 대표단면에 대하여 침투해석을 수행함
- 각 단면별 해석위치와 해석단면은 아래와 같음

해석위치

시 단면별 모델링은 다음과 같음

A-A 단면

단면별 강우강도를 적용한 침투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음

A-A 단면

- 9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강우시 지하수위 상승고 산정결과는 아래와 같음

A-A 단면

각 단면별 지하수위 상승고 산정결과는 다음과 같음

지하수위 상승고(m)
구 분 비 고
좌측 우측

A-A 단면 1.01 1.03

B-B 단면 2.37 1.61

C-C 단면 2.24 1.61


시 (나) 설계지하수 산정
설계지하수위 산정결과는 다음과 같음

단면 A-A 단면 B-B 단면 C-C


구 분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지반고(E.L(+), m) 19.70 20.68 20.13 20.87 19.85 20.97

E.L(+), m 0.30 0.60 0.60 1.10 0.70 1.10


관측
지하수위
G.L(-), m 19.40 20.08 19.53 19.77 19.15 19.87

침투해석 상승고(m) 1.01 1.03 2.37 1.61 2.24 1.61

관측공 상승고(m) 2.86

적용 상승고(m) 2.86

E.L(+), m 3.16 3.46 3.46 3.96 3.56 3.96


설계
지하수위 산정
G.L(-), m 16.54 17.22 16.67 16.91 16.29 17.01

- 91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5.2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 ▷소규모 제외◁

5.2.1 평가방법

작성방향 ∙ 광역지하수 흐름분석에 대한 목적, 방법 및 조건 등을 기술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평가개요
광역지하수 흐름분석에 대한 목적 및 방법 등 개요를 수록함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에 적용된 프로그램의 개요, 구성모델, 특징 및 주요기능에 대하여 수록함

(나) 평가조건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시 적용한 조건들에 대해 기술하고 입력창을 복사하여 수록함
① 투수특성값 : 흐름특성인자는 지층별 투수계수가 있으며, 각 지층별 현장투수시험 및 암반수압시험의 결과 값을
반영하여 결정함
② 저류특성값 : 대수층 분류 중 자유면대수층(unconfined aquifer)의 경우, S(저류계수)는 Sy(비산출율)와 같으므로
풍화대 대수층에 대한 저류계수(Sy)와 비저류계수(Ss)는 문헌값으로 적용하되, 양수시험으로부터
구한 S(보정 후)를 현장특성에 맞게 반영함
③ 함양률 :
- 수리지질학적 인자인 지하수 함양은 함양율과 함양량이 있으며, 이는 강우에 의해 물이 포화대에 흡수 또는
침투되어 지하수위 및 지하수량을 증가시키는 비율과 양을 나타냄(지표침투율은 강우시 지표 상태에 따라
지반으로 흡수되는 비율을 뜻함)
- 지하수 함양률의 경우 문헌조사를 통해 10~15%를 적용하나 도심지의 경우 도로 및 구조물에 의해 포장된
경우가 많아 2~5%정도 되므로 함양률 값을 적용함

(다) 해석모델링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을 위한 해석모델링 영역, 격자 설정 및 경계조건, 대수층 구성 및 적용 투수계수에 대해
수록함
- 해석모델링 영역은 3장 대상지역의 설정시 선정된 산계와 인근 수계 등 뚜렷한 지질학적 경계를 구성하는
반경을 지하수 검토범위로 선정하여 모델링을 수행함
- 격자 설정 및 경계조건은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시 적용한 내용을 기술함
- 대수층 구성 및 적용 투수계수는 모델 구성에서 대수층 설정시 굴착이 진행되는 구간의 수직적 대수층을
모두 고려하기 어려우므로, 합리적인 광역 지하수 흐름분석을 위해 적용한 대수층과 투수계수 입력조건에
대해 기술함
- 지질학적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 기존 지반 데이터 베이스 자료에 나타난 시추지하사위 자료를 참조하여
광역지하수 검토범위(경계조건)을 수립할 수 있음

∙ 설계지하수위가 굴착저면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검토를 생략할 수 있음

- 9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터널

터널공사의 경우 산계 수계를 포함한 영역을 구역으로 구분하여 해석을 수행하며, 정거장 등 대규모 굴착공사가
병행되는 구간은 추가적인 모델링을 수행함

대상지역 현황 분석

1-1구간 1-3구간

- 93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가) 평가개요
가. 평가개요 및 목적

대상사업 구간의 굴착공사에 의한 주변 지하수 흐름 및 지하수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광역 지하수흐름 분석을 수행함
공사기간에 따른 지하수흐름의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굴착 전 조건에서의 현재상태의 지하수 흐름과 분포에
대한 정류해석(steady-state simulation)과 굴착에 따른 지하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부정류해석(transient
simulation)으로 나누어 수행
본 예비평가에서는 강남구 역삼동 000-00 & 00 신축공사와 관련하여 지하 개착공사로 인한 시추공 및
인근 지하수위 변동, 지하수위 강하로 인한 지하수계의 변화 예측 및 평가를 목적으로 함
또한, 지하 개착으로 인한 유출 지하수량을 예측하고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검토범위를 파악하여 굴착에
따른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을 분석함

나. 해석적용 프로그램

(1) 프로그램 개요

Visual Modflow는 3차원 지하수 유동 및 오염 물질의 이송 모델


링을 위하여 지하수 유동에 대한 지배방정식과 유한차분법을 결

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임
시 Waterloo Hydrogeologic Inc. 회사의 프로그램으로 미국지질조사
국(USGS)에서 개발한 Modflow를 해석 엔진으로 사용함

(2) 프로그램 특징
개념화한 객체, 수치그리드, 입출력 데이터 등을 2D/3D 화면에 동시 표시 가능
지하수 모델 구축 시 개념모델링 방법과 표준 수치 모델링 방법 선택 가능

(3) 해석 주요기능
정류상태(Steady-state condition) 및 부정류상태(Transient condition) 흐름해석
지하수 유동 및 수위 변화 양상 확인
지하수계에 미치는 영향 검토 및 지하수 유출량 산정

- 9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검토조건
가. 투수특성

지하수유동분석은 기본 가정이 포화대에서의 흐름을 해석하는 것으로서 지하수위 상부의 불포화대층은


해석상 의미가 없는 지층으로 지하수위가 위치한 지층인 상부층(매립층, 퇴적층, 풍화토층), 중간층(풍화
암층), 하부층(연암층)을 기준으로 크게 3개의 대수층으로 구분함
대상지에 대한 광역지하수 흐름분석에 있어서 합리적인 지하수위 분포를 모사하기 위해 일부 풍화암층
(Zone 2)와 연암층(Zone 3)을 설정하여 해석을 수행함

구 분 현장투수시험(cm/s) 양수시험(cm/s) 수압시험(cm/s) 모델링 입력값(cm/s)


매립층, 퇴적층, 1.00×10-5
풍화토층 ~2.40×10-3 - - 5.81×10-4
(ZONE 1) (평균: 8.16×10-4)
2.50×10-5
풍화암층
~5.10×10-5 - - 1.04×10-5
(ZONE 2)
(평균: 3.80×10-5)
6.31×10-5 1.39×10-5
연암층
- ~6.78×10-5 ~4.53×10-5 1.85×10-6
(ZONE 3)
(평균: 6.55×10-5) (평균: 2.44×10-5)

나. 저류특성값
대수층 분류 중 자유면대수층(unconfined aquifer)의 경우, S(저류계수)는 Sy(비산출율)와 같으므로 풍화대
대수층에 대한 저류계수(Sy)와 비저류계수(Ss)는 문헌값으로 적용함

Material Ss[m-1] 비 고
Plastic clay 2.03×10-3~ 2.56×10-3

Stiff clay 2.56×10-3~ 1.28×10-3

Medium hard clay 1.28×10-3~ 9.19×10-4

Loose sand 1.02×10-3~ 4.92×10-4 풍화대층

Dense sand 2.03×10-4~ 1.28×10-4

Dense sandy gravel 1.02×10-4~ 4.92×10-5

Rock, fissured, jointed 6.89×10-5~ 3.28×10-6 연암층

Rock, sound Less than 3.28×10-6

- 95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지하수 저류특성 인자 산정결과는 다음과 같음

구 분 비저류계수 비산출율 비 고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층 1.0×10-5 0.20 문헌값

풍화암층 5.0×10-6 0.18 문헌값

연암층 1.0×10-6 0.15 문헌값


다. 함양률
수리지질학적 인자인 지하수 함양은 함양율과 함양량이 있으며, 이는 강우에 의해 물이 포화대에 흡수
또는 침투되어 지하수위 및 지하수량을 증가시키는 비율과 양을 나타냄
일반적인 산지 및 초지는 수자원공사에서 제시하는 지하수 기초조사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함양량을 구
할 수 있으나 도심지에 대한 함양율은 체계적으로 조사된 자료가 없으므로 문헌값을 참조함(Kim et al.,
2000)
기본 함양률은 문상기 외(2002)의 요인분석법으로 산정한 서울 한강 유역의 지하수 함양률인 약 10%로 적용
하고 이후 대수층의 투수계수(수리전도도)와 마찬가지로 보정을 위한 인자로 활용하여 보정을 수행함
보정인자로 활용된 지하수 함양률은 대상지 및 인근의 대도시화의 영향으로 지하수 함양량이 급격히 줄
어들 것으로 예상되므로 평균 강수량의 약 6%(82.8 mm/year)를 지하수 함양량으로 적용함
대상지 및 주변 환경은 장기간에 걸친 대도시화로 인해 수리지질학적으로 배수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하천 등이 매몰되어 있으므로 지하수 함양률 및 배수 경계 설정에 있어 어려움이 있음
대상지인 00구 00동 000-00 & 00은 건물, 도로, 시멘트를 이용한 하수도 등 대도시화로 인해 강우에
의한 지하수 함양이 매우 제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광역지하수 유동모의를 위한
보정인자로 적극 활용하여 모델링 보정을 수행함

- 9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구 분 함양율(%)

Mountains (산지) 15.0

Rural (전원지역) 6.1

Houses (주택) 2.9

Schools (학교) 3.8

Roads (도로) 0.2

Inderstrial area (산업지역) 2.3

Rail (기차) 3.1

Others (기타) 0.35

일반적으로 자연과학 연구 또는 국가 R&D 과제를 위한 기온 및 강수량 자료는 최근 10년 자료의 평균을 활


용함
예 과제특성에 따라 20년 평균, 10년 평균, 5년 평균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자료를 활용하는 당사자

시 의 판단에 의해 결정됨. 10년 평균 자료 활용은 본 공사를 위해 충분한 자료로 판단함

구분 지하수 함양량(mm/year) 비고

2009년~2018년 평균(mm/yr) 1,380.7 mm/year 10년 평균

적용함양량 (mm/yr) 82.8 mm/year 10년 평균강수량의 6%

- 97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다) 해석모델링
1) 해석영역 선정

본 지하수 유동 모의에서는 국립지리정보원으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수치지형도(1:5000)에 포함되어 있는


지형 좌표와 고도(elevation)를 이용하여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을 수행함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과업대상지의 수치지형도 상 지표고도(E.L(+) 20.00m)를
활용하였으며 또한 굴착심도는 해발고도(EL.)를 기준으로 하여 계획된 최저 굴착심도 G.L(-) 32.81m
(E.L(-) -12.81m)를 최종 굴착 깊이로 설정함
결과적으로 지하수위와 굴착심도를 해발고도(EL.)로 설정하여 모의에 활용하였기 때문에 지하수 포화대
(유동계)의 깊이는 차이가 없으므로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에는 차이가 없음
대상지역 지하수계는 강수량 변화, 부지 정리, 개발, 대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감소 등에 의한 자연
적인 변화요인과 함께 지하수 이용 및 상수도 누수, 각종 구조물 등에 의한 인위적인 변화요인에 의해 지
하수계 교란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정밀한 예측이 어렵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도심지역의 지하수 모델링은 이러한 복잡한 요인을 전부 고려하기보다 지하수 흐름 방향 및 유량
계산에 초점을 두어 간략한 개념모델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이며 모의영역은 조사지역을 포함
하면서 유역의 경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하수환경을 적절히 모의할 수 있도록 구성함

사업구간

- 9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 격자 설정 및 경계조건

본 지하수 유동 모의에서는 신축공사에 따른 지하층 개착 공사로 인하여 일대 지하수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개착 공사 구간이 포함되도록 광역 영역을 설정함
해석 영역은 2,800 m×1,900 m로 설정하였으며 지하수 유동 모의를 위한 격자망은 10×10m 크기로 적용함
가로 및 세로 각각 280셀 및 190셀의 개수를 설정하여 모의하였으며 굴착 중 지하수위 변화로 인한 지
하수계 변화에 대한 상세검토를 위해 사업부지 및 주변지역의 지형 및 수두경계조건을 반영함
또한 격자망 세밀화(refined cells)를 통해 굴착 깊이 및 굴착일정을 상세히 반영하였으며 신축공사가 계
획된 대상지에서의 격자망의 크기는 1.25 m×1.25 m의 크기로 설정함

해석영역 격자망 구성

사업지역의 남서쪽 방향의 00근린공원 및 이어진 낮은 구릉지 형태의 산계 그리고 북쪽은 낮은 산계를
지하수 분수령으로 고려함
지하수 분수령으로서 능선 경계를 무흐름 경계(no-flow boundary)를 설정함
대상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는 분당선과 지하철 3호선 구간은 지하수가 배수되는 공간으로 작용을 하므
로, 지하철 구간에 대해 배수경계(drain boundary)로 설정함

- 99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분당선 및 지하철 3호선으로 유입될 수 있는 지하수량은 Conductance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


하여 지하수 영향을 분석함
1개 셀 내의 conductance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함
폭   × 길이   × 수리전도도  
 
높이  
대상지와 인접해 위치하고 있는 분당선과 지하철 3호선은 지하수의 배수경계인 Drain boundary로 설정
하여 모의를 수행
대상지와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분당선(한티역)은 지하수의 배수경계인 Drain boundary로 설정하여
모의를 진행하였으며 2017년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분당선(도곡역-한티역-선릉역)으로 유
입되는 유출수는 하루 약 144 m3/day(도곡역-한티역-선릉역의 지하수 유출량의 약 50%)로 이를 광역
지하수 유동 모의에 적용하여 모의를 수행함
대상지를 기준으로 모의영역 동쪽에 위치한 지하철 3호선 대치역과 학여울역 또한 지하수의 배수경계인
Drain boundary로 설정하여 모의를 진행하였으며 3호선 대치역과 학여울역으로 유입되는 지하수 유출
수의 계산은 하루 약 754 m3/day(대치역-학여울역의 지하수 유출량의 약 50%)로 이를 광역지하수 유
동 모의를 통해 계산함
분당선의 경우, 철로의 심도는 EL., -12.35 m로 설정하였으며 지하철 3호선의 경우에는 EL., -9.58 m
로 설정하여 광역지하수 유동모의를 진행함
분당선(모의영역 내) 철로로 유입되는 지하수 유출수와 지하철 3호선(모의영역내) 철로를 통한 지하수
예 유입을 광역지하수 유동 모의에 적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지하철과 관련된 기초 자료는 아래와 같음

시 역사 심도(G.L) 역사 심도(E.L) 모델링 적용


구분 지하수 유출량
(철로 바닥기준) (철로 바닥기준) (conductance)
00선 -12.35 m 약 144 m3/day 0.25 m2/day
-33.60 m
(모의영역내) (지표고도 약 +21.25 m) (서울교통공사) (모의영역 995 m 적용)
지하철 0호선 -9.85 m 약 754 m3/day 0.55 m2/day
-24.85 m
(모의영역내) (지표고도 약 +15.00 m로 일정함) (서울교통공사) (모의영역 955 m 적용)

배수경계
(00선)

배수경계
(지하철
0호선)

※ 출처: 서울교통공사-지하철 유출지하수 발생 및 이용현황(‘17년 상반기)


서울교통공사-지하역사심도 현황(‘18년 하반기)

- 10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광역 지하수 유동 모의 경계조건

- 101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3) 대수층 구성 및 수리상수 설정

대상 지역의 지층 구성 상태는 지표로부터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층, 풍화암층, 연암층의 순으로 분포하
고 있으며, 지하수위는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층에 걸쳐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됨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을 위한 지층은 모델 구성에서 대수층 설정시 굴착이 진행되는 구간의 수직적 대
수층을 모두 고려하기 어려우므로, 합리적인 지하수 유동 모의를 위해 사업지역과 지하층 굴착이 진행되
는 고도를 고려하여 3개의 층으로 나누어 진행
상부층은 굴착이 계획된 층으로서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층으로 구성하였으며 중간층은 풍화암층 그리
고 하부층은 연암층으로 구분
수직 수리전도도와 수평 수리전도도의 비율(Kz/Kh)은 일반적으로 0.1~0.5의 비율을 보임(Todd, 1980).
본 지하수 유동해석에서의 수리전도도 비율은 0.1로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함
수리전도도(cm/sec)
구 분 층 구성 지질특성
Kx = Ky Kz
ZONE 1 상부층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층 5.81×10-4 5.81×10-5

ZONE 2 중간층 풍화암층 1.04×10-5 1.04×10-6

ZONE 3 하부층 연암층 1.85×10-6 1.85×10-7

지하수 유동 모의 대수층 구성 및 수리상수 설정 영역

- 10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5.2.2 평가결과

작성방향 ∙ 정류해석 결과 및 굴착에 따른 광역지하수 흐름 분석 결과를 기술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정류해석
굴착 전 현재상태의 초기 지하수흐름을 확인하기 위해 정류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록함
지하수 유동 모의 시, 일반적으로 현장 내의 모든 복잡한 정보를 반영하기는 어려우므로 현장상황을 단순화하고
또한 초기 지하수위 분포를 정의하기 위해 보정작업을 수행함
지하수 유동 모델링에서 수리전도도, 함양율 및 경계조건은 지하수 유동모델의 결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현장조사결과와 문헌자료를 참고하여 수리전도도를 입력한 후, 함양률과 수리전도도를 변화시켜가면서
정류모사를 반복적으로 수행
현장 지하수위의 모델보정(calibration)은 현장내 측정한 관측정의 지하수위 외에도 현장주변의 광역지하수 흐름의
경향을 정밀하게 반영하기 위하여 지반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시추조사 지하수위자료나 현장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기시공된 현장의 지반조사 자료의 지하수위를 참조하여 모델 보정에 반영함
최종적으로 현장측정 지하수위와 모델링을 통해 계산된 지하수위의 오차범위가 10%이내를 이룰 때 지하수 유동모의
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함

(나) 부정류해석
사업구간 굴착시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확인하고 주변영향을 예측하기 위한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록함
굴착공사 시, 사업부지는 지하수가 배수되는 공간으로 작용을 하므로, 사업부지에 대해 배수경계(drain boundary)
로 설정하고 배수경계조건은 굴착 깊이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함
흙막이벽체는 배수경계 가장 자리를 따라 벽체경계(wall boundary)로 설정하고 굴착 깊이까지 모델링함
부정류 해석 시, 굴착 단계에서 차수공법의 적용 유무에 따른 지하수 유동 변화를 예측하여 굴착 공사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함
굴착공사 시나리오는 단계별 시공을 모사하며, 굴착심도를 G.L과 E.L로 표기함
부정류 해석을 통해 다음의 내용을 분석 평가함
- 현장에 인접한 지반의 지하수위 변화
- 최종 굴착한 벽체와 바닥 지반의 간극수압 변화
- 굴착현장으로의 지하수 유출량 변화
- 현장굴착으로 인한 지하수위저하와 지하수 유출로 인한 주변 주요 구조물의 지하수 관정과 양수시설의 영향

(다) 평가결과 분석
정류해석결과와 부정류해석결과를 요약 및 정리하여 결과를 수록함

- 103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가) 정류해석
1) 해석 개요

본 모의영역의 지하수 함양률은 사업지역에서 가까운 서울 기상관측소에서 관측된 2009년부터 2018년


까지의 최근 10년 평균 강수량인 1380.7 mm/yr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지 주변의 대도시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어 10년 평균강수량의 6%인 82.8 mm/yr를 입력하여
적용함

구분 지하수 함양량(mm/year) 비고

2009년~2018년 평균(mm/yr) 1,380.7 mm/year 10년 평균

적용함양량 (mm/yr) 82.8 mm/year 10년 평균강수량의 6%

광역지하수 정류흐름 분석시, 초기 수리전도도는 현장에서 측정된 수리전도도를 적용하여 초기 정류 모의를 수


행함
이후, 현장에서 측정된 지하수위와 모의를 통해 계산된 지하수위를 일치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리전도
도와 지하수 함양률을 변경시켜가며 현장측정 지하수위와 계산된 지하수위를 일치시켜가는 모의를 반복
적으로 수행함
최종적으로 현장측정 지하수위와 모델링을 통해 계산된 지하수위의 오차범위가 10%이내를 이룰 때 지하수
유동모의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함. 이때의 수리전도도를 과업지역의 최종 수리전도도로 판단함
예 이와 함께 비저류계수 등은 일반적으로 지하수 정류모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문헌값을 이용하

시 여 적용함
모형보정을 위해 대상지 인근 조사 시추공 4개소와 국토지반정보 포털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존
시추 조사공 10개에서 측정된 지하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보정을 수행하였으며, 모형보정 후 조사지
역의 전체적인 물수지균형을 분석하여 모델의 적정성을 평가함

지하수위 (EL. m)
시추공 지하수 심도 (GL. m)
(격자설정에 따른 지표고도 이용)
BH-1 19.60 1.10
BH-2 19.80 0.70
BH-3 20.00 0.60
BH-4 20.30 0.30
NX-1 41.00 4.61
NX-2 8.10 9.50
NX-3 9.60 10.40
NX-4 9.30 10.90
NX-5 15.50 5.10
NX-6 7.50 21.97
NX-7 9.21 1.97
NX-8 0.80 4.89
NX-9 14.00 5.69
NX-10 12.30 5.60

- 10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 해석결과

현장 측정수위와 모의결과 계산된 수위 값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는 0.967이며, 평균 제곱


근 오차(Root Mean Squared)는 1.509 m, 정규화 평균제곱근 오차(Normalized RMS)는 6.962%로 분
석됨
검토결과, 해석영역의 총유입량은 954.39 m3/day이고, 유입된 지하수는 Drain boundary로 설정한 지하철
과 양재천 및 탄천으로 유출되며 총유출량은 953.02 m3/day로 모의됨
전체적으로 볼 때, Normalized RMS 값이 상대적으로 크고 계산된 수위가 관측수위와 완벽히 일치되고
있지는 않지만 이는 지하수 유동 모델의 설정 과정에서 현장의 다양하고 복잡한 정보를 단순화되어 반
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임
전체 물수지 차이와 Root Mean Squared 값(1.509 m)을 고려해볼 때 설정된 모델이 공사 지역 주변의
대상 지하수계를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됨

모형보정 결과

• Standard error of the estimate: 0.435m


• Root mean squared : 1.509 m

• Normalized RMS : 6.962%


• Correlation coefficient : 0.967
• 전체영역 수위 분포 : EL. 2 m~18 m

예 • Total-IN : 954.39 m3/day


• Total-OUT : 953.02 m3/day

정류해석 결과, 전반적인 지하수 흐름은 대상지로부터 남서쪽방향에 위치한 00근린공원 및 이어진 능선
그리고 북쪽에 위치한 구릉지로부터 시작하여 모의 영역 동쪽 방향의 양재천과 탄천으로 지하수 흐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검토됨
지하수 유동의 흐름 방향은 일부 영역에서 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부분 남서쪽에 위치한
도곡근린공원 그리고 이어진 능선으로부터 분당선, 지하철 3호선, 양재천 및 탄천 방향으로 지하수 흐
름이 형성되는 것으로 검토됨
전반적인 검토결과, 대상 사업구간의 지하수계를 비교적 합리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판단되며 구체적인
지하수위 분포와 지하수 흐름 방향은 다음과 같음

지하수위 분포 지하수 흐름방향

- 105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나) 부정류해석
1) 해석 개요

대상사업 구간에 대한 굴착시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주변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부정류 해석을 수행함
사업구간은 지하수위 하부로 굴착될 예정이며, 굴착 공사 시 부지안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량을 최소화하
기 위해 흙막이벽체(C.I.P. 공법) 및 차수그라우팅을 계획함
굴착공사 시, 사업부지는 지하수가 배수되는 공간으로 작용을 하므로, 사업부지에 대해 배수경계(drain
boundary)로 설정하고 배수경계조건은 굴착 깊이에 따라 변화하도록 설정함
흙막이벽체는 배수경계 가장 자리를 따라 벽체경계(wall boundary)로 설정하고 굴착 깊이까지 모델링함
부정류 해석 시, 굴착 단계에서 흙막이공법의 적용 유무에 따른 지하수 유동 변화를 예측하여 굴착 공
사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하도록 함
차수그라우팅의 투수계수는 차수그라우팅 미적용, 1×10-5 cm/sec으로 가정하여 지하수 유출량 등을
비교함

사업구간의 흙막이 벽체구간 경계조건

굴착공사 시나리오
- 굴착은 총 8단계로 진행되며, 단계별 굴착 심도는 4.0m, 시공기간은 120일로 가정함
- 마지막 8단계의 경우, 굴착심도인 GL. -32.81m(EL. -12.81m)를 맞추기 위해 굴착심도를 4.81m 로 설
정하여 해석을 수행함

- 10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굴착심도(m)
굴착 단계 굴착기간 (일) 비고
GL. EL.
0 0 0.00 20.00 굴착전
1 15 4.00 16.00
2 30 8.00 12.00
3 45 12.00 8.00
4 60 16.00 4.00
5 75 20.00 0.00
6 90 24.00 -4.00
7 105 28.00 -8.00
8 120 32.81 -12.81 최종 굴착 완료 단계

2) 결과분석

가)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경향 검토
시공단계별 해석결과, 지하수위는 단계적으로 강하하며 지하수 영향반경도 지속적으로 증가함
굴착공사 완료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부지내로 배수되는 지하수와 사업부지 주변으로 유입되는 지하수
가 평형을 이루는 것으로 검토됨
따라서, 지하수위의 강하 경향은 점차 완만해져 안정된 상태의 수위를 유지함
예 지하수 유동해석 결과, 지하수 흐름 및 지하수 흐름경향은 다음과 같음

시 0단계 : 굴착전 GL. 0.00 1단계 : 굴착 GL. -4.00 m

2단계 : 굴착 GL. -8.00 m 3단계 : 굴착 GL. -12.00 m

- 107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4단계 : 굴착 GL. -16.00 m 5단계 : 굴착 GL. -20.00 m

6단계 : 굴착 GL. -24.00 m 7단계 : 굴착 GL. -28.00 m

8단계 : 굴착 GL. -32.81 m -

- 10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0단계 : 굴착 GL. -0.00 m 1단계 : 굴착 GL. -4.00 m

2단계 : 굴착 GL. -8.00 m 3단계 : 굴착 GL. -12.00 m

시 4단계 : 굴착 GL. -16.00 m 5단계 : 굴착 GL. -20.00 m

6단계 : 굴착 GL. -24.00 m 7단계 : 굴착 GL. -28.00 m

- 109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8단계 : 굴착 GL. -32.81 m -

예 차수공법 미적용

차수공법 적용(1×10-5 cm/sec)

- 11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검토범위 검토

사업부지 주변 시추공에 대해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모사함


사업부지 내 시추공에서의 지하수위는 굴착 단계별로 강하하여 굴착 완료 후 점차 안정화 되는 것으로 검토됨
검토범위 산정에서는 최종 심도까지 굴착완료 후, 사업부지내 배수경계(Drain boundary)를 종료하여 사업
구간 내 유입수를 차단한 것으로 설정함
굴착을 위해 적용된 차수공법 미적용시, 적용시의 투수계수 1×10-5 cm/sec 조건별 분석결과
- 차수공법 미적용시 : 굴착완료 단계에서 최대 지하수위 저하량 6.68 m로 검토됨
- 차수공법 적용시(1×10-5 cm/sec) : 굴착완료 단계에서 최대 지하수위 저하량 1.36 m로 검토됨
시간경과에 따라 사업부지 내 전반적인 지하수위는 굴착에 의한 영향에서 서서히 안정화되는 것으로 검토됨

흙막이공법 미적용 흙막이공법 적용(1×10-5 cm/sec)


차수그라우팅 적용
굴착단계 차수그라우팅 미적용
(1×10-5 cm/sec)
0단계 0.00 0.00
1단계 0.00 0.00
2단계 0.00 0.00
3단계 0.00 0.00
4단계 0.00 0.00
5단계 1.02 0.50
6단계 3.57 0.86
7단계 5.79 1.16
8단계 6.68 1.36
완료 후 1년 0.83 0.94
완료 후 2년 0.69 0.93
완료 후 3년 0.44 0.93

굴착공사로 인하여 지하수위 강하량 1.0 m 이상 예측되는 지하수 검토범위를 산정


굴착 완료시와 굴착완료 1년 후, 2년 후, 3년 후에 대해 사업부지 주변으로 발생되는 수두강하 구간을
사업부지 각 방향별 검토함
굴착공사에 따른 사업부지 주변에 대한 지하수위 변화 검토범위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음

- 111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흙막이공법 미적용시 지하수위 강하 검토범위는 다음과 같음

굴착 완료 굴착 완료 후 1년경과

굴착 완료 후 2년경과 굴착 완료 후 3년경과


흙막이공법 투수계수 1×10-5 cm/sec 적용시 지하수위 강하 검토범위는 다음과 같음

굴착 완료 굴착 완료 후 1년경과

굴착 완료 후 2년경과 굴착 완료 후 3년경과

- 11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강하 검토범위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음

흙막이 벽체 개착공사 수두강하 1 m 이상 검토범위


공법 투수계수 기간 동쪽 서쪽 남쪽 북쪽
굴착완료 37 47 46 42
1년후 - - - -
미적용 -
2년후 - - - -
3년후 - - - -
굴착완료 7 - 5 4
-5 1년후 - - - -
1×10
적 용
cm/sec 2년후 - - - -
3년후 - - - -

흙막이공법 투수계수 1×10-5 cm/sec 적용시 지하수위 강하 검토범위는 다음과 같음

굴착 완료 굴착 완료 후 1년경과


굴착 완료 후 2년경과 굴착 완료 후 3년경과

다) 굴착구간 지하수 유출량 검토

사업부지의 굴착면적은 약 474.17 m2로 굴착공사 시 부지내 유입되는 단위면적당 지하수 유출량은 굴
착 단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
굴착공사 중 단위면적당 최대 지하수 유출량은 흙막이공법 미적용시 최대 0.38m3/m2・day, 흙막이공법
적용시 1×10-5 cm/sec, 0.081m3/m2・day로 검토됨
굴착완료 후(1년~3년 경과) 흙막이공법 미적용시 0.03569~0.03579 m3/m2·day, 흙막이공법 적용시
투수계수 0.02995~0.02998 m3/m2·day로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됨
굴착공사 중 유출되는 총 지하수는 흙막이공법 미적용시 최대 179.59 m3/day, 흙막이공법 적용시 투수계
수 1×10-5 cm/sec 38.41 m3/day 굴착공사 완료 후에는 16.78~16.84m3/day로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됨

- 113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굴착에 따른 단위면적당 최대 지하수 유출량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음

단위면적당 최대 지하수 유출량(m3/m2・day)


차수공법
차수공법 굴착공사 완료
투수계수 굴착공사 중
1년후 2년후 3년후

미적용 - 0.37875 0.03569 0.03578 0.03579

적 용 1×10-5 cm/sec 0.08101 0.02995 0.02997 0.02998

굴착에 따른 총 지하수 유출량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음

총 지하수 유출량(m3/day)
차수공법
차수공법 굴착공사 완료
투수계수 굴착공사 중
1년후 2년후 3년후

미적용 - 179.59 16.92 16.97 16.97

적 용 1×10-5 cm/sec 38.41 14.20 14.21 14.22

굴착에 따른 단위면적당 최대 지하수 유출량은 다음과 같음


예 차수공법 미적용 투수계수 1×10-5 cm/sec

굴착에 따른 총 지하수 유출량은 다음과 같음

차수공법 미적용 투수계수 1×10-5 cm/sec

- 11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다) 평가결과 분석
초기 지하수 흐름 특성(정류해석)
- 광역 지하수 유동(정류해석)은 남서쪽 방향의 도곡근린공원과 이어진 산계(능선) 그리고 북쪽의 구릉지
로부터 모의 영역과 인접한 분당선, 하류방향의 지하철 3호선, 양재천 및 탄천 방향으로 흐름이 형성됨
- 전체 모의영역 내 지하수위는 EL. 기준 약 2 m에서 18 m 범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대
상 부지 주변 지하수위(해발고도 기준)는 약 0.3 m~1.1 m에 위치하는 것으로 검토됨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 특성(부정류해석)
- 굴착에 따른 지하수 영향평가를 위해 차수공법 미적용, 차수공법 1×10-5 cm/sec의 조건별로 시간

경과에 따른 사업부지 수위 저하에 대한 검토 수행

- 공사 완료 후 사업부지내 전반적인 수위는 굴착에 의한 영향에서 차츰 안정화되는 것으로 검토됨
- 굴착공사 중, 최대 유출량은 차수공법 미적용시 0.37875 m3/m2·day로 나타났으며 차수공법의 투수
계수가 1×10-5 cm/sec일 경우 0.08101 m3/m2·day의 유출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토됨
- 검토 결과, 흙막이공법의 투수계수는 1×10-5 cm/sec 이하일 때 유출수의 양이 수렴되는 것으로 검토됨
사업구간의 흙막이공법은 C.I.P공법과 E.G.M 차수그라우팅으로 계획됨에 따라 시공시 1×10-5 cm/sec
이하의 투수성을 확보할 것으로 판단됨
차수공법의 투수계수가 1×10-5 cm/sec 이하일 때 지하수위 저하량은 1.36 m로 검토되었으며 1.0m의
수위강하 검토범위는 굴착완료 후 수렴되어 사업부지 인근에 대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됨

- 115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5.3 침투해석에 의한 지하수 흐름 분석


5.3.1 평가방법

작성방향 ∙ 침투해석시 적용한 해석위치, 입력변수 등 해석개요에 대하여 기술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평가개요 및 해석적용 프로그램


침투해석에 대한 평가개요(강우조건, 공사기간, 유출량 산정 등) 및 해석에 적용된 해석프로그램의 개요, 특징
및 해석 주요기능 등을 수록함

(나) 평가조건
평가 위치 선정 : 침투해석 수행을 위한 대표단면의 위치는 시추위치, 지반조건, 지하수위 조건 및 굴착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하며, 지반안전성 검토단면과 동일하게 선정함
침하량 산정 방법 : 탄성침하량을 산정하는 이론식 및 경험식 중 적용한 공식을 수록하며, 참고문헌을 부록에
수록함
해석 입력 물성치 : 입력변수를 수록하며, 침투해석 수행시 적용한 입력변수는 화면을 복사하여 수록함
단계별 공사기간 산정 : 시공단계별 굴착량에 따른 굴착기간을 산정하여 적용함

(가) 평가개요 및 해석적용 프로그램


(1) 평가개요
굴착계획을 반영한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영향평가를 위해 침투류 해석을 수행함
강우조건 및 공사기간을 고려한 시간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량을 산정하고 유효응력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즉시침
하량(탄성침하량)을 산정하는 방법(E. Dulacska, 1963)을 적용하여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침하량을 산정함
각 단면별 침투해석결과에 윤변 길이를 반영하여 측면 및 바닥면의 유출량을 산정하여 지하수 유출수의
처리를 위한 배수펌프용량 설계시 반영함

(2) 해석적용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요
시 - SEEP/W는 유한요소해석법으로써 지반 및 암반 등의 다공성 요소에서의 간극수압의 소산 및 이동에
대한 모델링 작업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임
- Darcy의 법칙과 연속방정식을 전제로 한 지배방정식을 이용하여 지반내 침투거동을 분석하며 포화 또
는 불포화 흐름을 모두 고려할 수 있음
프로그램 특징
- 정상상태(Steady-state condition) 및 비정상상태(Transient condition) 흐름해석
- 침윤선 및 유선망(Flow-Net) 작성, 침투유량, 수압, 수두 및 동수경사 계산
해석 주요기능
- 최대 유출량, 압력수두 및 유선의 표현

- 11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평가조건
(1) 평가위치

침투해석 수행을 위한 대표단면의 위치는 시추위치, 지반조건, 지하수위 조건 및 굴착계획 등을 종합적

으로 고려하여 선정함

A-A단면은 대상사업부지 최대굴착심도구간으로 우측에 BD15(00빌라), BD14(0000)이 위치해 있고 좌

측에 BD20(00000), 00로 및 00역이 위치해 있으므로 인접건물, 인접도로, 지하매설물 및 지하구조물의


안전성 검토를 위하여 대표단면으로 선정함

B-B단면은 우측에 BD1(00상가), BD2(00상가) BD22(00상가)과 00로 및 00역이 위치해 있고 좌측에

BD4(0000), BD5(0000), BD6(00빌딩), BD7(00빌딩) 이 인접해 있으므로 인접건물 및 지하매설물의 안


전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단면으로 산정함

C-C단면은 우측에 BD3(00000), BD15(00빌라) 좌측에 BD20(00000) 과 00로 및 00역이 위치해 있으므

로 인접건물, 인접도로, 지하매설물 및 분당선의 안전성 검토를 위하여 대표단면으로 선정함

대표단면 위치 현황

- 117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2) 침하량 산정방법

각 해석단면에 대한 침투해석을 수행하여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량을 검토하고 지하수 저하에 따른

침하량을 산정함

침하량 산정식은 유효응력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탄성침하량을 산정하는 방법(E. Dulacska, 1992)을 적

용하였으며, 적용식은 아래와 같음

z z
q′ q′h h 
Se   
dz   

Es
dz    
Es Es

여기서, q′  gw h   n  ≒ gw h  h kNm  

Es : 변형계수, h : 지하수위 저하고

(3) 해석 물성 입력치

입력물성치는 다음과 같음

단위중량 변형계수 투수계수


구 분 포아송비 모델타입
예 (kN/m3) (MPa) (cm/sec)

매립층 17.0 8.0 0.35 2.40×10-3 Van-Genuchten



퇴적층 17.0 8.0 0.35 1.50×10-3 Van-Genuchten

풍화토(N<30) 18.0 10.0 0.35 1.20×10-4 Van-Genuchten

풍화토(N≥30) 18.0 30.0 0.30 1.20×10-4 Van-Genuchten

풍화암 20.0 200.0 0.30 3.80×10-5 Van-Genuchten

연암 25.0 300.0 0.25 2.40×10-5 Van-Genuchten

차수그라우팅 - - - 1.00x10-5 Van-Genuchten

Van-Genuchten 함수특성곡선 맞춤변수는 다음과 같음

구 분 αvG nvG mvG Sat.WC Res.WC

매립층 22.94 2.19 1.12×10-4 0.3889 0.0389

퇴적층 25.00 1.86 1.12×10-4 0.3842 0.0422

풍화토(N<30) 78.13 1.45 9.00×10-5 0.4009 0.0610

풍화토(N≥30) 78.13 1.45 4.00×10-5 0.4009 0.0610

풍화암 508.23 1.67 6.00×10-6 0.1695 0.06641

연암 508.23 1.67 5.00×10-6 0.1695 0.06641

- 11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함수특성곡선은 다음과 같음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N<30)

- 119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함수특성곡선는 다음과 같음(계속)

풍화토(N≥30)

풍화암 연암

프로그램 입력결과는 다음과 같음

차수그라우팅

- 12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프로그램 입력결과는 다음과 같음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N<30)

시 풍화토(N≥30)

풍화암

연암

- 121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4) 시공단계별 공사기간 산정

가. 1일 굴착작업량

사업부지 지층조건은 매립층, 퇴적층, 풍화토, 풍화암, 연암 및 보통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층조

건별 1일 굴착작업량은 다음과 같음

구 분 1일 작업량(m3, 덤프트럭 1대 및 백호 1대 기준) 비 고

매립층

퇴적층 600 토사

풍화토

풍화암 400

연 암 200

보통암 150

단계별 굴착깊이 및 굴착면적은 가시설 도면(굴착계획 평면도, 굴착계획 단면도 및 굴착 및 해체 순

서도를 참고하였음

구 분 굴착깊이(m) 굴착면적(m2) 총굴착량(m3)



1단굴착 1.68 474.17 796.61
시 2단굴착 2.20 474.17 1,043.17

3단굴착 2.20 474.17 1,043.17

4단굴착 2.20 474.17 1,043.17

5단굴착 2.20 474.17 1,043.17

6단굴착 2.20 474.17 1,043.17

7단굴착 2.20 474.17 1,043.17

8단굴착 2.20 474.17 1,043.17

9단굴착 2.10 474.17 995.76

10단굴착 2.10 474.17 995.76

11단굴착 2.10 474.17 995.76

12단굴착 2.10 474.17 995.76

13단굴착 2.10 474.17 995.76

14단굴착 2.20 474.17 1,043.17

15단굴착 2.20 474.17 1,043.17

16단굴착 3.01 474.17 1,427.25

- 12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5.3.2 평가결과

∙ 침투해석을 통해 확인된 지하수위 저하량 및 유출수량 등을 기술하고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여
작성방향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단계별 지하수 흐름분석 결과


대표단면 현황 및 설계지하수위를 단면에 표시하여 수록함
침투해석시 각 지층의 함수특성곡선(SWCC)은 지층의 특성 반영이 가능한 방법(Data Point Function, Fredlund-
Xing Function, Van Genuchten Function, Add-In Function 등)을 선택하여 입력하며, 입력된 함수특성곡선을
평가서에 수록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
해석시 적용된 입력값은 표로 작성하여 수록하며, 프로그램 입력결과 확인을 위해 화면을 캡쳐하여 수록함
과업구간 위치별 사업 전·후 지하수위 및 지하수위 저하량을 수록하며, 누적지하수위 변화량을 검토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보강방안을 제시함
지하수위 변화량은 단계별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량으로 단계별 저하량이 1m를 초과할 경우 일별 해석을
수행하여 최대 1일 수위변화량을 확인함
단계별 해석에 따른 굴착시 지하수 유출수량 및 탄성침하량 산정결과를 수록함

(나) 유출량 산정
굴착에 따른 유출량 산정은 침투해석을 통해 산정된 단위유출량과 윤변길이를 고려하며, 이때 적용구간은 대표단면
위치와 간격을 고려함
가시설 벽체와 굴착바닥면으로 유출되는 지하수의 총 유출량을 산정하여 공사중 지하수 유출량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

유출량 산정시 대표단면 적용 방법

(다) 평가결과 분석
대표단면별 지하수위 저하량과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탄성침하량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수록함

- 123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가) 단계별 지하수 흐름분석 결과


1) A-A 단면
설계 지하수위 : 풍화암 E.L(+) 3.16~3.96m(G.L(-) 16.54~17.22m)에 위치
주요 지장물과의 이격거리 : BD20 35.65m, BD15 27.60m, BD14 49.00m
평가결과 : 최대 지하수위 저하량 4.58m,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최대 탄성침하량 0.63mm

해석단면


해석결과

지하수위 저하량 산정결과는 다음과 같음

지하수위 저하량(m) 탄성침하량(mm)


변형계수
해석위치 지층조건
(MPa) 지층별 합계 지층별 합계

좌측 풍화암 200.0 4.21 4.21 0.53 0.53

우측 풍화암 200.0 4.58 4.58 0.63 0.63

- 12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지하수위 저하량 산정결과는 다음과 같음

초기단계(설계지하수위 적용) 1단계 굴착

2단계 굴착 3단계 굴착

4단계 굴착 5단계 굴착

6단계 굴착 7단계 굴착

8단계 굴착 9단계 굴착

- 125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지하수위 저하량 산정결과는 다음과 같음(계속)

10단계 굴착 11단계 굴착

12단계 굴착 13단계 굴착

14단계 굴착 15단계 굴착

16단계 굴착 -

- 12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저하량 및 유출량 산정결과(A-A단면 좌측)는 다음과 같음

지하수위(m) 지하수위 저하량(m)


유출량 폭 유출량
굴착 단계
(m3/day/m) (m) (m3/day)
EL.(+) GL.(-) 단계별 누적

설계시 3.16 16.54 0.00 0.00 - - -

1단계 3.16 16.54 0.00 0.00 0.00 10.85 0.00

2단계 3.16 16.54 0.00 0.00 0.00 10.85 0.00

3단계 3.16 16.54 0.00 0.00 0.00 10.85 0.00

4단계 3.16 16.54 0.00 0.00 0.00 10.85 0.00

5단계 3.16 16.54 0.00 0.00 0.00 10.85 0.00

6단계 3.16 16.54 0.00 0.00 0.00 10.85 0.00


7단계 3.16 16.54 0.00 0.00 0.00 10.85 0.00

8단계 2.65 17.05 0.51 0.51 4.02×10-3 10.85 0.04

9단계 2.28 17.42 0.37 0.88 4.02×10-3 10.85 0.04

10단계 1.95 17.75 0.33 1.21 3.16×10-2 10.85 0.34

11단계 1.53 18.17 0.42 1.63 5.43×10-2 10.85 0.59

12단계 1.11 18.59 0.42 2.05 4.49×10-2 10.85 0.49

13단계 0.57 19.13 0.54 2.59 6.71×10-2 10.85 0.73

14단계 -0.06 19.76 0.63 3.22 8.23×10-2 10.85 0.89

15단계 -0.54 20.24 0.48 3.70 9.94×10-2 10.85 1.08

16단계 -1.05 20.75 0.51 4.21 1.14×10-1 10.85 1.24

- 127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굴착단계별 지하수위 저하량 및 유출량 산정결과(A-A단면 우측)는 다음과 같음

지하수위(m) 지하수위 저하량(m) 유출량 폭 유출량


굴착 단계
EL.(+) GL.(-) 단계별 누적 (m3/day/m) (m) (m3/day)

설계시 3.46 17.22 0.00 0.00 - - -

1단계 3.46 17.22 0.00 0.00 0.00 10.45 0.00

2단계 3.46 17.22 0.00 0.00 0.00 10.45 0.00

3단계 3.46 17.22 0.00 0.00 0.00 10.45 0.00

4단계 3.46 17.22 0.00 0.00 0.00 10.45 0.00

5단계 3.46 17.22 0.00 0.00 0.00 10.45 0.00

6단계 3.46 17.22 0.00 0.00 0.00 10.45 0.00

7단계 3.46 17.22 0.00 0.00 0.00 10.45 0.00

8단계 2.79 17.89 0.67 0.67 5.38×10-3 10.45 0.06

9단계 2.02 18.66 0.77 1.44 1.33×10-2 10.45 0.14

예 10단계 1.44 19.24 0.58 2.02 3.09×10-2 10.45 0.32

11단계 0.84 19.84 0.60 2.62 4.35×10-2 10.45 0.45


12단계 0.36 20.32 0.48 3.10 7.50×10-2 10.45 0.78

13단계 -0.04 20.72 0.40 3.50 7.38×10-2 10.45 0.77

14단계 -0.37 21.05 0.33 3.83 9.07×10-2 10.45 0.95

15단계 -0.79 21.47 0.42 4.25 1.02×10-1 10.45 1.07

16단계 -1.12 21.80 0.33 4.58 1.38×10-1 10.45 1.44

지하수위 저하량 및 유출량 산정결과 그래프는 다음과 같음

지하수위 저하량(m) 유출량(m3/day)

- 12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유출량 산정
흙막이 벽체의 유출량은 대표단면별 침투해석결과에 각 단면의 윤변의 길이를 반영하여 산정하였으며,

굴착면 바닥의 유출량은 A-A, C-C단면의 침투해석결과를 통해 산정함

유출량 적용 현황

A-A 단면 B-B 단면 C-C 단면


굴착단계 총유출량
좌측 우측 바닥 좌측 우측 좌측 우측 바닥

1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3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4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5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6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7단계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8단계 0.04 0.06 0.42 0.03 0.02 0.01 0.04 0.41 1.03

9단계 0.04 0.14 0.63 0.18 0.35 0.13 0.22 0.68 2.37

10단계 0.34 0.32 0.82 0.55 0.42 0.40 0.25 1.16 4.26

11단계 0.59 0.45 0.88 0.65 0.69 0.51 0.41 1.38 5.56

12단계 0.49 0.78 0.96 1.21 0.60 0.69 0.69 1.82 7.24

13단계 0.73 0.77 1.10 1.22 1.15 0.89 0.62 2.17 8.65

14단계 0.89 0.95 1.25 1.61 1.70 1.07 0.93 2.19 10.59

15단계 1.08 1.07 1.40 1.41 1.80 1.27 1.14 2.58 11.75

16단계 1.24 1.44 1.50 1.98 2.06 1.48 1.34 2.55 13.59

- 129 -
제5장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다) 평가결과 분석
설계 지하수위의 분포 특성

- 대상사업 대표구간의 설계지하수위는 E.L(+) 3.16~3.96m(G.L(-)16.29~17.22m)에 위치함

침투해석 결과 지하수위 저하량 발생 특성

- A-A 단면 : 지하수위 저하량은 좌측 4.21m, 우측 4.58m 발생함

- B-B 단면 : 지하수위 저하량은 좌측 4.59m, 우측 4.17m 발생함

- C-C 단면 : 지하수위 저하량은 좌측 4.13m, 우측 4.16m 발생함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즉시침하량(탄성침하량) 발생 특성

- A-A 단면 : 좌측에서 0.53mm, 우측에서 0.63mm로 검토됨

- B-B 단면 : 좌측에서 0.63mm, 우측에서 0.23mm로 검토됨

- C-C 단면 : 좌측에서 0.24mm, 우측에서 0.25mm로 검토됨

해석결과

- 130 -
제 6 장 지반안전성 검토

6.1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6.2 경험식에 의한 지반안전성
6.3 탄·소성보 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제 6 장 지반안전성 검토
6.1 수치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6.1.1 평가방법

작성방향 ∙ 수치해석 평가개요, 평가조건 및 검토방법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가) 평가개요
안전성 검토 개요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수록함
- 최대굴착심도
- 굴착공법
- 흙막이 벽체 및 지지공법
- 차수그라우팅 공법
- 인접건물 및 구조물
- 지하매설물 등
수치해석에 적용된 프로그램의 개요, 구성모델, 특징 및 주요기능에 대하여 수록함

(나) 평가조건
① 대표단면 선정 : 대표단면은 다음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단면 중 가장 취약하고 보수적인 조건의 단면을 선정하여
선정 사유 및 당위성을 수록함
- 최대굴착깊이
- 인접구조물 상태 및 이격거리
- 지반조건 등
② 해석영역 : 경계조건의 구속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굴착면 좌우로 3H(H : 최대굴착심도), 하부 2H이상을 해석영역에
포함하여 검토를 수행하며, 또한, 3H 범위 내에 구조물이 존재할 경우 해당 구조물의 규모를 모델링에
포함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함

해석모델링

- 131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주요내용 굴착

③ 해석방법
지반안전성 평가를 위한 수치해석 방법은 다음 항목을 고려하여 수행함
- 흙막이벽과 지지구조의 해석은 벽체종류, 지지구조, 지반조건 및 근접시공 여부 등을 고려함
- 흙막이벽과 지지구조의 해석은 벽을 보로 취급하는 관용적인 방법과 흙-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벽과 지반을
동시에 고려하여 해석하는 방법이 있으며 수행자는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히 부합되게 적용함
- 지지구조를 가지는 흙막이벽 형식에 대해서는 굴착진행과 지보의 해체에 따라 변화하는 토압에 대하여 단계별로
해석하며, 해석방법은 탄·소성보 연속보해석법과 유한요소법 및 유한차분법 등이 있음
- 굴착이 끝나고 버팀보 구조가 완료된 후의 벽체해석에는 경험적인 토압을 적용하며 단순보해석, 연속보해석
및 탄성지반 연속보 해석법 등을 적용함. 이때 수압, 토층분포 등의 현장조건과 지반조건을 고려함
해석은 굴착과 굴착에 따른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을 동시에 반영이 가능한 방법으로 수행함
대표단면에 대해 안전측 해석방법인 2차원 해석을 기본으로 수행하며, 평면계획상 우각부 등 구조적 취약구간에
인접하여 구조물이 위치할 경우는 3차원 해석을 수행하고 3차원 해석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음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주요시설물(C등급 이하) 및 노후구조물(구조적 균열)이 검토범위
내에 존재
- 흙막이 벽체 및 지지공법 변화구간 발생
- 코너스트러트와 띠장의 각도가 30°미만일 경우
- 띠장이 폐합되지 않을 경우
- 2차원 해석결과 부재력이 허용응력의 95%를 초과할 경우
- 검토범위 내에 동시굴착 현장이 존재하는 경우

코너스트러트와 띠장의 각도가 30°미만인 현장 흙막이 지지공법 변화구간 발생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반영하고 굴착단계를 모사하여 단계별 해석을 수행함


지하수위는 설계지하수위 산정시 결정된 지하수위를 초기조건으로 해석을 수행하며, 입력된 물성치 확인을 위하여
입력창으로 캡쳐해서 첨부함

- 13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④ 검토기준
흙막이 가시설 및 인접구조물의 안전성 검토시 흙막이벽의 수평변위, 인접구조물과 지하매설물 및 도로에 대한 변위,
침하 등의 허용기준은 다음에 제시된 기준을 적용함
인접구조물 등 해당시설물의 관리기준과 상이할 경우 해당시설물의 관기기준과 비교하여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함

흙막이벽 수평변위

구 분 벽체종류 허용기준

강성 흙막이벽 t≥60 ㎝인 콘크리트 연속벽 0.002 H

보통 흙막이벽 t≒40 ㎝ 정도인 콘크리트 연속벽 0.0025 H

연성 흙막이벽 H-Pile과 흙막이판을 설치하는 흙막이벽 0.003 H

※ H = 최종 굴착깊이, t = 환산면적

인접구조물

구 분 허용기준 비 고

최대침하량 25mm

부등침하량 -

각변위 2.00×10-3(1/500)

수평변형률 1/2,000

지하매설물

구 분 허용기준 비 고

최대침하량 25mm

부등침하량 -

각변위 2.00×10-3(1/500)

인접도로

구 분 허용기준 비 고

최대침하량 25mm

- 133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주요내용 굴착

⑤ 설계하중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외력에는 토압, 수압, 장비하중 등의 하중과 검토범위 내에 있는 인접건물 하중과 인접도로
를 통행하는 교통하중 등이 있으며, 지반안전성 검토시 하중을 적용하여 안전성 검토를 수행함

고정하중(재료의 표준 단위중량, kN/m3)

재 료 단위중량 재 료 단위중량

강, 주강, 단강 78.50 목재 8.00

주철 72.50 역청재 11.00

철근콘크리트 25.0 아스팔트포장 23.00

무근콘크리트 23.0 자갈, 쇄석 19.00

시멘트모르타르 21.50

활하중(교통하중) : 자동차 활하중은 표준트럭하중(DB하중) 또는 차로하중(DL하중), 보도 등의 등분포하중 및


궤도의 차량하중을 적용하며, 이때 현장여건 및 장비하중 등을 고려하여 안전측으로 1등교 교량의 DL기준인
12.7kN/m2을 적용함

활하중(건축물하중) : 인접건축물에 대한 하중은 구조종별 구분없이 층별 하중을 계산하여 적용하되, 유한요소해석


시 건축물 모델링의 단위중량은 14.0~30.0kN/m3을 적용하며, 하중은 기초저면에 재하하여 안전측으로 적용함

용도 하중(kN/m3) 하중재하 모식도

최상층 16.0

일반층 14.0

1층 15.0

지하층 30.0 ∙ 지상 6층, 지하 3층 구조물 :


(16×1)+(14×4)+(15×1)+(30×3)=177kN/m2

- 13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⑥ 비탈면 안전성 검토
비탈공법이 적용된 경우 깎기비탈면에 대한 안전성 검토를 수행하여야 함
깎기비탈면의 안정해석은 깎기비탈면에서 발생 가능한 파괴형태와 메커니즘에 적합한 해석방법을 선정하여 수행
토사비탈면 안정해석은 한계평형해석에 근거한 안전율에 의해 판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중요도가 큰 비탈면에
대해서는 유한요소법 및 유한차분법 등의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안정성을 판단함
암반비탈면 안정해석은 불연속면의 경사와 방향성, 불연속면의 특성으로부터 평사투영해석을 실시하여 파괴가능성
과 파괴유형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파괴가능성을 가진 비탈면에 대하여 불연속면의 특성과 지하수조건을
고려한 한계평형해석으로 안정해석을 실시한다. 전체적인 암질과 불연속면 방향성을 고려한 SMR분류법을 이용하
여 예비적인 안정검토를 수행할 수 있으며, 불연속면에 의해 구분되는 암반비탈면의 변형특성 등 상세한 거동을
확인하고자 할 때는 개별요소법에 의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
깎기비탈면 안정해석시 적용하는 기준 안전율은 다음과 같음

구 분 기준안전율 참 조

건기 FS>1.5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연암 및 경암 등으로 구성된 암반비탈면의 경우, 인장균열 내 지하수 포화 높이나


활동면을 따라 지하수로 포화된 비탈면 높이의 ½심도까지 지하수를 위치시키고
해석을 수행하며 이 경우 FS=1.2를 적용
∙토층 및 풍화암으로 구성된 비탈면의 안정해석은 지하수위를 결정하여 해석하는
방법 또는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방법 사용 가능
FS>1.2
∙지하수위를 결정하여 해석하는 경우에는 현장 지반조사 결과, 지형조건 및 배수조
장기 우기 또는
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하수위를 결정하고 안정해석을 수행하며, 지하수
FS>1.3
위를 결정한 근거를 명확히 기술 (FS=1.2적용)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안정해석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현장 지반조사 결과, 지형조
건, 배수조건과 설계계획빈도에 따른 해당지역의 강우강도, 강우지속시간 등을
고려하여 안정해석을 실시하며, 해석시 적용한 설계정수와 해석방법을 명확히
기술 (FS=1.3적용)

∙지진관성력은 파괴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시킴


지진시 FS>1.1
∙지하수위는 실제측정 또는 평상시의 지하수위 적용

∙1년 미만의 단기적인 비탈면의 안정성(시공중 포함)


단기 FS>1.1
∙지하수위는 실제 측정 또는 평상시의 지하수위 적용

※ 비탈면 상부 파괴범위 내에 1,2종 시설물의 기초가 있는 경우 : 별도검토

- 135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주요내용 터널

(가) 평가개요
안전성 검토 개요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수록함
- 표준지보패턴
- 굴착공법
- 차수그라우팅 공법
- 인접건물 및 구조물
- 지하매설물 등
수치해석에 적용된 프로그램의 개요, 구성모델, 특징 및 주요기능에 대하여 수록함

(나) 평가조건
① 대표단면 선정 : 대표단면은 다음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단면 중 가장 취약하고 보수적인 조건의 단면을 선정하여
선정 사유 및 당위성을 수록함
- 표준지보패턴
- 인접구조물 상태 및 이격거리
- 지반조건 등
② 해석영역 : 경계조건의 구속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굴착면 좌우로 3D(D : 터널 굴착 폭), 하부 2D이상을 해석영역에
포함하여 검토를 수행하며, 또한, 3D 범위 내에 구조물이 존재할 경우 해당 구조물의 규모를 모델링에
포함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함

해석모델링

- 13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터널

③ 해석방법
해석은 굴착과 굴착에 따른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을 동시에 반영이 가능한 방법으로 수행함
대표단면에 대해 안전측 해석방법인 2차원 해석을 기본으로 수행하며, 정거장 터널 및 수직구 등 3차원 적인
거동하는 하는 경우 3차원 해석을 수행함. 3차원 해석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음
- 기존 터널 교차구간
- 정거장 터널구간
- 갱구부
- 수직구
- 기타조건
예) 정거장터널 해석

전체모델링 터널모델링

표준지보패턴을 반영하고 굴착단계를 모사하여 단계별 해석을 수행함


지하수위는 설계지하수위 산정시 결정된 지하수위를 초기조건으로 해석을 수행하며, 입력된 물성치 확인을 위하여
입력창으로 캡쳐해서 첨부함

④ 검토기준
터널 및 인접구조물의 안전성 검토시 터널 천단, 내공변위, 지보재응력 인접구조물과 지하매설물 및 도로에 대한 변위,
침하 등의 허용기준은 다음에 제시된 기준을 적용함(인접구조물에 대한 기준은 굴착에서 제시된 기준을 준용함)

구분 허용기준 비고

천단변위(mm) -
변위
내공변위(mm) -

숏크리트 응력(MPa) 0.4fck 지보재에 따라 적용


지보재 응력
록볼트 축력(MPa) 0.5fy×As 지보재에 따라 적용

- 137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가) 평가개요
① 안전성 검토개요
지반안전성 평가는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표단면에 대한 2차원 해석을 수행하고 흙막이
가시설 계획의 적정성 및 인접 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함
- 최대굴착심도 : 00.00m
- 굴착공법 : 순타공법
- 흙막이 벽체 공법 : C.I.P (∅500, C.T.C 500) + 숏크리트(T=100mm)
- 흙막이 벽체 지지공법 : 버팀보(STRUT)공법
- 차수그라우팅 공법 : S.G.R공법 (∅500, C.T.C 500)
- 인접건물 : OO 빌딩 등 10개소
- 인접구조물 : OO 지하차도 등
- 지하매설물 : 상수관, 우수관, 오수관, 통신관, 전력관, 도시가스관

② 해석적용 프로그램
프로그램 개요
- MIDAS GTS NX는 MIDAS IT 社에서 개발한 지반공학 전용 유한요소해석 범용해석 프로그램으로
재료모델 및 응력-변형 구성모델은 시공단계해석을 적용하는데 최적의 해석환경을 제공하고, 해석에

필요한 다양한 해석법이 내장되어 있음

- 또한, 복잡한 비선형 거동을 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재료) 모형과 탄·소성보 상태에서 평형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수렴 (convergence)을 돕는 알고리즘 보유
프로그램 특징
- 지반 자체를 정확하게 모델링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대부분의 지반공학 문제는 지반과 구조
물의 상호거동을 해석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MIDAS GTS NX는 지반의 굴착 또는 성토,
근접시공, 지반-구조물의 상호거동 등 복잡한 지반구조물을 해석할 수 있도록 한 범용프로그램 임
해석 주요기능
- 시공단계 해석 (시공단계별로 추가되는 요소와 제거되는 요소를 마우스로 클릭하여 지정)
- Hardening Soil Model로 대부분의 지반변형 특성을 상당히 정확히 구현
- Soft Soil Creep Model (Cam-clay + Creep Model)
- Mohr-Coulomb Model, Jointed Rock Model
- 인터페이스 고려 (lining-지반요소 사이 인터페이스 고려가능)

- 13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평가조건
① 대표단면 선정
A-A 단면은 BDO건물 및 OO길와 인접해 있으므로 인접건물 및 도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
단면으로 선정함
B-B 단면 최대굴착심도(굴착심도: OOm)구간으로 BDO건물, OO길, OO도로 및 OO대로와 인접해
있으므로 인접건물, 도로 및 지하매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단면으로 선정함
C-C 단면 사업부지 지반조사결과 토사층심도가 가장 깊게 분포하고 있으며, BDO건물, BDO건물,
OO길, OO도로 및 OO대로와 인접해 있으므로 인접건물, 도로 및 지하매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
여 대표단면으로 선정함
D-D 단면 BDO건물, BDO건물, BDO건물, BDO건물 및 OO길과 인접해 있으므로 인접건물, 도로 및
지하매설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단면으로 선정함
A-A단면, D-D단면은 안전측 해석을 위하여 사보강재 중 가장 긴 단면을 해석단면으로 선정하였음

대표단면 위치 현황

- 139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② 해석영역

대표단면 현황

가시설 높이(m)
가시설 벽체 인접구조물 인접도로
예 좌측 우측

시 29.50 29.50 C.I.P BD1, BD4 OO2길, OO로

해석모델링

- 14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③ 해석방법
기 설계된 흙막이 가시설 공법을 반영하고 실제 시공단계를 고려하여 해석을 수행함
2차원 침투해석 수행 과정에서 강우영향으로 인해 상승된 지하수위를 초기조건으로 굴착단계별 지하
수위 변화를 반영한 응력-침투 연계해석을 수행함
입력물성치

E γ C Φ 투수계수
구분 ν
(MPa) (kN/m3) (kPa) (〬) (cm/sec)
매립층 15.0 0.33 17.0 0.0 25.0 2.70×10-3
퇴적층(점토) 5.0 0.40 17.0 15.0 0.0 1.00×10-6
퇴적층(모래) 30.0 0.40 18.0 0.0 35.0 2.70×10-4
풍화토 50.0 0.35 19.0 5.0 30.0 5.20×10-5
풍화암 100.0 0.30 20.0 50.0 33.0 2.20×10-5
연암 200.0 0.26 23.0 100.0 35.0 1.30×10-6
매립층

퇴적층(점토)


퇴적층(자갈)

풍화토

풍화암

연암

◦차수그라우팅의 효과는 1.0×10-5cm/sec의 투수계수를 적용하며 나머지 파라미터는 각


차수그라우팅
지층별 물성치를 적용

- 141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6.1.2 평가결과

작성방향 ∙ 흙막이,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등에 대하여 안전성을 확인하고 검토결과를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단면별 지하안전성 분석


수치해석 결과는 해석에 적용한 시공단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시공단계별 결과를 수록함
해석결과는 지반의 안전성 부분과 주변 시설물의 안전성 부분으로 구분하여 수록함
흙막이 부재의 안전성은 각 부재에 대한 구조계산을 수행하여 기술하되 인접건물 및 지하매설물의 노후화, 지반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여 허용치 대비 90~95% 근접할 경우 계측기 추가설치, 95%를 초과하여 근접할 경우
계측기 추가설치와 함께 추가적인 보강대책을 수립하여 수록함(계측기 추가설치 및 추가 보강대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는 책임가술자의 공학적 판단근거를 상세히 수록하여야 함)
인접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검토는 6.1.1 평가방법에서 제시한 검토기준에 따라 검토를 수행함
해석성과물은 지반변위 및 부재응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각각의 시공단계별 결과를 수록함

(나) 해석결과 분석
대표단면별 수치해석 결과를 요약하여 기술하되 허용치에 부합여부만을 수록하지 말고 각각의 단면별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지반공학적 측면에서 시공시 주의사항 등을 상세히 수록함
대상구간 검토범위 내에 철도, 지하철 등이 존재하는 경우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궤도 안전성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므로 궤도틀림에 대한 안전성 평가 결과를 수록함

① 시공단계

1단 굴착 3. 3단 굴착 + 2단 Strut 설치


5. 5단 굴착 + 4단 Strut 설치 7. 7단 굴착 + 6단 Strut 설치

- 14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② 해석결과
Ⓐ 가시설 벽체 수평변위

C.I.P
구분
굴착 심도 발생 변위량 허용 변위량 안전성
비고
(m) (mm) (mm) 평가

1단계 1.20 1.58 O.K


A-A 단면
2단계 3.40 1.47 35.6 O.K
(좌측)
3단계 5.60 1.56 O.K

Ⓑ 가시설 응력 검토

STRUT
구분 발생치 발생치
휨응력 (MPa) 압축응력 (MPa)
/허용치 /허용치

1단 7.93 < 163.20, O.K 0.25 41.39 < 167.15, O.K 0.05

2단 18.68 < 163.20, O.K 0.24 38.49 < 167.15, O.K 0.11

3단 36.38 < 163.20, O.K 0.33 53.24 < 167.15, O.K 0.22

띠장 검토

구분
발생치 발생치
시 휨응력 (MPa) 전단응력 (MPa)
/허용치 /허용치

좌측 10.62 < 183.36, O.K 0.06 1.65 < 120.00, O.K 0.01
1단
우측 11.31 < 183.36, O.K 0.06 1.76 < 120.00, O.K 0.01
좌측 26.64 < 183.36, O.K 0.15 4.14 < 120.00, O.K 0.03
2단
우측 24.11 < 183.36, O.K 0.13 3.75 < 120.00, O.K 0.03
좌측 51.88 < 183.36, O.K 0.28 8.07 < 120.00, O.K 0.07
3단
우측 48.67 < 183.36, O.K 0.27 7.57 < 120.00, O.K 0.06

측면말뚝 검토
구분 발생치 발생치
휨응력 (MPa) 전단응력 (MPa)
/허용치 /허용치
좌측 85.34 < 200.23, O.K 0.43 57.12 < 120.00, O.K 0.48
우측 143.55 < 200.23, O.K 0.72 78.33 < 120.00, O.K 0.65

C.I.P 검토

구분 콘크리트 허용 압축응력 발생치 철근 허용 인장응력 발생치 콘크리트 허용 전단응력 발생치


(MPa) /허용치 (MPa) /허용치 (MPa) /허용치

좌측 11.79 < 18.00, O.K 0.66 210.46 < 240.00, O.K 0.88 0.55 < 0.82, O.K 0.67

우측 9.23 < 18.00, O.K 0.51 164.68 < 240.00, O.K 0.69 0.54 < 0.82, O.K 0.66

- 143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 인접건물 및 구조물

연직변위(mm) 부등침하량
구분 각변위
좌측 우측 (mm)

1단계 0.01 -0.03 0.04 1/1,834,728 < 1/500, O.K

A-A 단면 BD20 2단계 0.00 -0.07 0.07 1/1,191,047 < 1/500, O.K

3단계 0.00 -0.06 0.05 1/1,522,233 < 1/500, O.K

Ⓓ 지하매설물

구분 침하량(mm) 구분 침하량(mm)

1단계 0.02 < 25.00, O.K 1단계 0.02 < 25.00, O.K

A-A 단면 상수관1 2단계 0.00 < 25.00, O.K 가스관 2단계 0.00 < 25.00, O.K

3단계 0.00 < 25.00, O.K 3단계 0.00 < 25.00, O.K

Ⓔ 인접도로

구분 최대침하량(mm)

1단계 0.08 < 25.0, O.K

A-A 단면 OO로 2단계 0.06 < 25.0, O.K

3단계 0.02 < 25.0, O.K

- 14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③ 해석성과물

1. 지반 수평방향 변위 2. 지반 연직방향 변위

3. 지반 합변위 4. 가시설 벽체 수평방향 변위

5. 지반 최대 주응력도 6. 지반 최소 주응력도

- 145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나) 평가결과 분석

구분 고저틀림(mm) 방향틀림(mm)

1단계 0.041 < 5.0mm, O.K 0.052 < 5.0mm, O.K

2단계 0.027 < 5.0mm, O.K 0.101 < 5.0mm, O.K

3단계 0.031 < 5.0mm, O.K 0.096 < 5.0mm, O.K

4단계 0.007 < 5.0mm, O.K 0.062 < 5.0mm, O.K

좌측선로 5단계 0.045 < 5.0mm, O.K 0.035 < 5.0mm, O.K

6단계 0.057 < 5.0mm, O.K 0.186 < 5.0mm, O.K


7단계 0.030 < 5.0mm, O.K 0.421 < 5.0mm, O.K

8단계 0.049 < 5.0mm, O.K 0.898 < 5.0mm, O.K

9단계 0.104 < 5.0mm, O.K 1.361 < 5.0mm, O.K

2차원 안전성 검토결과 가시설 횡방향 변위, 인접구조물의 각변위 및 인접도로 침하 발생량은 8~10
단계 굴착 이후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모두 허용치 이내로 흙막이 굴착공사에 대한 안전성
을 확보한 것으로 검토됨
8단계 굴착 이후는 지하수위 이하 굴착 구간으로 굴착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량이 증가하여 흙막이
배면의 침하 경향이 증가하므로 본 단계 시공시 주의가 필요하며 계측계획을 철저히 수립해야 할 것
으로 판단됨
인접 구조물 및 지하매설물에 대한 굴착에 따른 침하 안전성 검토결과 모두 허용치 이내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수치해석은 정밀시공을 전제로 실시하는 것으로 시공
중 정밀시공을 통한 배면지반의 침하변형 방지가 필요함

- 14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6.2 경험식에 의한 지반안전성


6.2.1 평가방법

작성방향 ∙ Mana & Clough의 방법, O’Rourke의 방법 및 Peck의 경험적 방법 등의 평가방법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경험식 및 이론식에 의한 검토는 굴착깊이와 이격거리만을 고려하고 지반조건, 가시설 벽체 특성 및 시설물 조건이
고려되지 않아 검토결과의 신뢰성이 결여되고 국내 실정에 부합하지 않으나「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지
하안전관리 업무지침」에 명시된 평가항목이므로 평가서에 수록하되 참고자료로만 활용함
대상사업의 검토범위 내의 인접건물에 대해 경험식 및 이론식을 이용한 침하량 발생경향을 분석함
침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Mana & Clough의 방법, O’Rourke의 방법 및 Peck의 경험적 방법을 적용하여
침하량을 산정하며, 침하량 산정시에는 굴착깊이와 배면 이격거리만을 고려하여 검토를 수행함

(가) Mana & Clough의 방법


모래지반, 중간 및 연약한 점토지반, 굳은 점토지반에 굴착을 시행했을 경우 흙막이벽체의 배면에서의 거리별
침하량을 현장계측결과 및 유한요소법으로 구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도표화하여 제안함
H는 굴착깊이, D는 흙막이벽체로부터의 거리이며,  은 최대침하량이고,  은 거리별 침하량임

Mana & Clough의 방법에 의한 침하량 산정

(a) 모래지반 (b) 연약내지 중간정도의 점토지반 (c) 굳은 점토지반

토류벽체로서 엄지말뚝과 널말뚝 및 지하연속벽체에 버팀대나 앵커의 지지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음


다만 굳은 점토지반일 때는 어떤 조건에서 히빙(Heaving)이 일어날 수 있으나 흙막이벽체가 안전하고 정밀하게
시공이 된다면 안전측임
중간정도 및 연약한 점토층에서 거리별 침하량은 사다리꼴로서 0≤d/H≤0.75인 경우 최대침하가 일어나며 0.75
≤d/H≤2.0인 경우는 직선적으로 감소한다고 함
굳은점토와 잔류토 및 모래지반의 경우 최대침하량(LM )에 대하여 종래 굴착깊이(H)의 (0.5~1.0)%H라고 추정해
왔으나, Clough 등은 최대침하량은 대부분 0.3%H이내라고 하였으며 평균적으로 0.15%H가 된다고 제안함
점토층에서의 벽체의 최대변위(LM )와 최대침하량( )의 추정은 저면에서의 히빙(Heaving)에 대한 안전율과

가설구조체의 강성에 관련된 것이지만 실용적인 면에서는 배면지반의 최대침하량( )은 압밀효과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벽체의 변위와 같다고 보고 배면침하량을 계산할 수 있음

- 147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주요내용 굴착 터널

(나) O’Rourke의 방법
중간~조밀한 모래지반과 단단한 점토가 끼어 있는 모래지반에서 시공정도가 중간~양호한 정도일 때, 현장 측정결
과로부터 굴착에 따른 인접지반의 최대 침하량은 흙막이벽 부근에서 굴착깊이의 약 0.3%, 최대 침하영향거리는
흙막이벽으로부터 굴착깊이의 2.0배라고 제안함
침하곡선은 모든 굴착단계에서 곡선의 기울기가 흙막이벽 쪽으로 갈수록 급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며, 이
방법은 굴착깊이만으로 굴착지반의 침하량을 간단하게 구할 수 있음

O’Rourke의 침하도표

(다) PECK의 경험적 방법


현장에서 시공되고 있는 벽체 인접지반의 침하에 대해 경험적인 접근방법을 제시함

다양한 지반에서의 굴착시 배면지반의 침하분포

Zone Ⅰ : 사질토 및 연약한 점성토의 경우


Zone Ⅱ : ① 연약하거나 매우 연약한 점성토의 경우
- 굴착저면 아래로 한정된 깊이까지 점성토층이 존재하는 경우
- 굴착저면 아래로 매우 깊은 깊이까지 점성토층이 존재하며    인 경우

② 취약한 시공조건에 의한 침하
Zone Ⅲ : 굴착저면 아래로 매우 깊은 깊이까지 연약 또는 매우 연약한 점성토층이 존재하며    인 경우

여기서,    ,  : 저면 융기에 대한 임계 안정계수


- 14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6.2.2 평가결과

작성방향 ∙ 경험식에 의해 산정된 침하량과 수치 해석결과를 비교·검토하여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이론식 및 경험식에 의한 침하량을 평가하기 위해 Mana & Clough의 방법, O’Rourke의 방법 및 Peck의
경험적 방법을 적용하여 침하량을 산정하며, 수치 해석결과를 비교·검토하여야 수록함
이론식 및 경험식에 의한 침하량 산정결과를 요약 정리하여 구간별 예측 침하량을 수록함

Mana & Clough의 방법 O’ Rourke의 방법 Peck의 경험적 방법 2차원 해석결과

구 분
최대 부등 최대 부등 최대 부등 최대 부등
침하 침하 각변위 침하 침하 각변위 침하 침하 각변위 침하 침하 각변위
(mm) (mm) (mm) (mm) (mm) (mm) (mm) (mm)


A-A
BD4 10.53 10.53 0.00075 12.06 12.06 0.00086 3.16 3.16 0.00023 5.45 2.24 0.00005
좌측

A-A
BD1 41.42 39.39 0.00075 68.71 68.25 0.0013 26.02 25.32 0.00048 4.48 3.04 0.00006
우측

B-B
BD4 11.22 11.22 0.00075 12.64 12.64 0.0008 3.38 3.38 0.00023 7.68 2.51 0.00006
좌측

- 149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6.3 탄·소성보 해석에 의한 지반안전성


6.3.1 평가방법

작성방향 ∙ 해석조건, 해석방법 등 해석 개요에 대하여 기술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평가개요
탄·소성보해석시 해석적용 프로그램, 굴착공법, 하중조건 및 허용응력 증가계수 등에 대하여 수록하며, 탄·소성
보해석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선행 검토된 수치해석(유한요소해석 등)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세히 수록함
탄·소성보해석은 가설흙막이 설계기준(KDS 21 30 00 : 2020)을 준용하여 적용하며, 관련기준 개정시 개정된
최신 기준을 반영하여 검토를 수행함
지하안전영향평가 협의단계에서의 복공계획은 시공계획 및 주출입구 위치계획 등이 적절하게 고려되지 못하므로
현실적인 검토가 불가하여 지하안전영향평가에서는 제외하고 착공전 안전관리계획서, 인허가 절차 등을 위한
관련 도서를 통해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평가서에 제시함
(나) 평가조건
해석에 적용된 조건(지반정수, 지하수위 조건 등)을 수록하여 탄·소성보 해석의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

(가) 평가개요
(1) 가시설 구조물 공법 및 해석 개요
해석프로그램 : SUNEX Ver w6.01
굴착공법 : C.I.P로 구성된 가시설 구조물을 STRUT으로 지지
하중조건
- 고정하중 : 재료의 단위중량 적용
- 활하중 : 차도는 자동차 하중 DB-24 적용(12.7kN/m2 )
- 건물하중 : 지상 1층 16.0kN/m2, 지상 일반층 13.0kN/m2, 지하층 33.0kN/m2
허용응력의 증가계수
예 - 가설구조물의 경우(신강재, 시공기간 2년미만) : 1.5
- 재료의 장기사용 경우(구강재) : 0.9

사용강재

구 분 규격 비 고
C.I.P ∅500 Fck=30MPa
H-300×300×10x15(SS400)
STRUT
H-350×350×12x19(SS400)
H-300×300×10x15(SS400)
사보강 STRUT
H-350×350×12x19(SS400)
H-300×300×10x15(SS400)
띠장
H-350×350×12x19(SS400)
측면말뚝 H-300×300×10x15(SS400)
중간말뚝 H-300×300×10x15(SS400)
숏크리트 50~100mm

- 15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2) 강재 허용응력
KDS 21 30 00 : 2020 (MPa)

종류 SS275, SM275, SHP275(W) SM355, SHP355W 비고

축방향인장
240 315
(순단면)

l l
 ≦  일 경우  ≦  일 경우
 
240 315

l l
 <  ≦  일 경우  <  ≦  일 경우
 
축방향압축 l l l(㎝):유효좌굴장
(총단면)
     
   
     
   (㎝):단면2차반경

l l
 >  일 경우  >  일 경우
 
     



 + 
l
   
 + 
l
 
    

인장연
시 240 315
(순단면)

휨 l l
 ≦     ≦   
 

력 l:플랜지의 고정점
압축연
l l
간 거리
(총단면)  <  ≦   <  ≦ 
   :압축플랜지 폭
l

     
  

     
 
전단응력
135 180
(총단면)

지압응력 360 465 강관과 강판

공장 모재의 100% 모재의 100%


용접
강도
현장 모재의 90% 모재의 90%

주) 1) 엄지말뚝으로 H형강을 사용할 경우에는 KD F 4603(SHP)의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참조. KCS 21 30 00)
2) 그 외 강재의 허용응력기준은 강교설계기준(허용응력설계법)을 참조한다(KDS 24 14 30, 2019)

- 151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나) 평가조건

설계지하수위

굴착깊이 초기지하수위
구 분 비 고
(m) (GL(-), m)

A-A 단면 좌측 32.51 3.28 단계별 지하수위 저하 반영

A-A 단면 우측 34.99 3.33 단계별 지하수위 저하 반영

B-B 단면 좌측 32.94 2.43 단계별 지하수위 저하 반영

B-B 단면 우측 33.68 3.45 단계별 지하수위 저하 반영

적용지반정수

단위중량 마찰각 점착력 수평지반 반력계수
구 분
(kN/m3) (°) (kPa) (kN/m3)

매립층 17.0 29.0 0.0 10,000

퇴적층 17.0 29.0 0.0 10,000

풍화토
18.0 30.0 3.0 17,000
(N<30)

풍화토
18.0 33.0 20.0 30,000
(N≥30)

풍화암 20.0 33.0 30.0 35,000

연암 25.0 35.0 40.0 50,000

- 15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6.3.2 평가결과

작성방향 ∙ 단면별 부재검토 결과를 요약 정리하여 검토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단면별 구조검토


단면별 구조검토시 각 단면의 위치를 알 수 있는 평면과 각 단면의 형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단면도를 수록함
지보재 검토결과는 부재별로 요약 정리하며, 이때 발생응력 대비 허용응력을 비교하여 발생응력/허용응력비가
90~95% 근접할 경우 계측기 추가설치, 95%를 초과하여 근접할 경우 계측기 추가설치와 함께 추가적인 보강대
책을 수립하여 수록함(계측기 추가설치 및 추가 보강대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는 책임가술자의 공학적 판단근거
를 상세히 수록하여야 함)

구조검토 단면 위치

- 153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대표단면 현황

단면 A-A 좌측

시 단면 A-A 좌측 지보재(STRUT)

발생응력
부 재 위 치(m) 구분 발생응력(MPa) 허용응력(MPa)
/허용응력
압축응력 16.544 137.233 0.12
Strut-1
0.44 인장응력 19.663 121.148 0.16
H-300X300X10X15
전단응력 5.556 108.000 0.05

압축응력 16.544 137.233 0.12


Strut-2
3.94 인장응력 35.846 121.148 0.30
H-300X300X10X15
전단응력 5.556 108.000 0.05

압축응력 16.544 137.233 0.12


Strut-3
6.44 인장응력 41.457 121.148 0.34
H-300X300X10X15
전단응력 5.556 108.000 0.05

압축응력 16.544 137.233 0.12


Strut-4
8.44 인장응력 51.857 121.148 0.43
H-300X300X10X15
전단응력 5.556 108.000 0.05

- 15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나) 굴착저면 안전검토


굴착저면 안전은 최소 근입깊이의 확보여부와 히빙 및 파이핑의 발생가능성에 대하여 검토를 수행함
굴착저면 또는 흙막이 벽체가 근입된 지층이 풍화암 이상의 단단한 지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히빙과
보일링에 대한 검토를 생략할 수 있음
벽체의 근입깊이는 안전성 검토시 안전율은 1.2 이상이 되어야 하며 히빙이나 파이핑에 대하여도 안전한 깊이로
설치하여야 함

조 건 안전율 비고

근입깊이 1.2 수동 및 주동토압에 의한 모멘트 비

가설
1.5
(단기) 사질토 대상
보일링
굴착저부의 영구 단기는 굴착시점을 기준으로 2년 미만임
2.0
안전 (장기)

히빙 1.5 점성토

① 히빙 검토
히빙 검토는 하중 지반 지지력식(Terzaghi-Peck의 방법, Bjerrum & Eide의 방법, Tschebotarioff의 방법)에 의한
방법과 모멘트 평형(일본 건축학회 수정식)에 의한 방법 중 최소한 각 한 가지 이상 검토하여 안전율이 적은 것을
채택하여 안전성을 평가함
㉮ Terzaghi-Peck식
활동면의 형상을 아래 그림에 표시한 것과 같이 가정하면 c1,d1면에 작용하는 하중 Pr은 다음 식과 같다.


       

단단한 지반이 깊은 경우 단단한 지반이 얕은 경우

- 155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주요내용 굴착 터널

Terzaghi에 따르면 점성토지반의 극한지지력은   가 되므로 안전율은 다음과 같다

단단한 지반이 깊은 경우(  ≥ 


) 단단한 지반이 깊은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Fs : 안전율 H : 굴착깊이(m)
qd : 점성토지반의 극한지지력(kN/m2) q : 과재하중(kN/m2)
Pr : c1d1면에 작용하는 하중(kN/m2) B : 굴착폭(m)
c : 점착력(kN/m2) D : 굴착 저면에서부터 단단한 지반까지의 거리(m)
3
rt : 흙의 단위중량(kN/m )

㉯ Bjerrum & O.Eide의 방법


Bjerrum, O.Eide는 Terzaghi and Skempton의 공식과 히빙에 의해 파괴된 현장의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히빙에
대하여 다음 식을 제안하였다.

    ≥ 
  

여기서,   :지반의 비배수전단강도 (t/m2)   :Skempton의 지지력 계

Bjerrum & O.Eide의 방법 개요도 지지력계수 선정용 도표

㉰ Tschebotarioff의 방법

D ≤ B의 경우 D > B의 경우

- 15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D≤B의 경우

L ≤ D의 경우 D < L ≤ 2D의 경우 2D < L의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 B의 경우

L ≤ 2B의 경우 L > 2B의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본 건축학회 수정식
모멘트 균형에 관한 검토방법으로 최하단 버팀대 위치에 따른 팔길이를 이용한 방법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Fs : 히빙에 대한 안전율
Mr : 지반의 전단저항모멘트(kN/m)
Md : 활동모멘트(kN/m)
Su : 굴착저면보다 아래쪽 흙의 비배수 전단강도(kN/m2)
q : 상재하중(kN/m2)
α : 최하단 버팀보 중심에서 굴착저면까지의 간격과 활동원호의 반경에서 정해지는 각도(rad), 단 α < π/2
H : 굴착깊이(m)

일본 건축학회 수정식 개요도

- 157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주요내용 굴착 터널

② 파이핑(보일링) 검토방법
굴착깊이가 얕거나 수위차가 작은 경우(3.0m 미만)의 보일링 검토는 유선망 해석 방식을 수행하거나 Terzaghi
간편식 또는 한계동수구배를 고려한 방법을 비교 검토하여 두 방식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함
굴착깊이가 깊거나 다층지반을 굴착하는 경우는 투수계수에 따라 침투수압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침투해석을
활용한 검토를 수행함
유성망 해석은 침투해석과 같은 개념이나 설계기준에 명시된 내용을 준용하여 유선망해석 방식을 수행함

㉮ 한계유속에 의한 파이핑 발생 가능성 검토


기초지반내의 침투류 유속이 어느 한계 이상이 되면 파이핑이 발생함
흙입자의 입경에 대한 각각의 한계유속은 다음 표와 같으며 어느 입경에 대해 한계유속 이하이면 파이핑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함
입경
5.0 3.0 1.0 0.8 0.5 0.3 0.1 0.08 0.05 0.03
(mm)
한계 유속
22.86 17.71 10.22 9.14 7.23 5.60 3.23 2.89 2.29 1.77
(cm/s)

㉯ Terzaghi 간편식 검토방법


보일링을 일으키려 하는 힘은 아래 그림에서 과잉간극수압 U이며, 저항하는 힘은 흙의 중량 W임
안전율 Fs = W/U이며, Terzaghi에 의하면 보일링이 일어나는 폭은 D2/2임

W = γ′d22 / 2, U = γwhad2/ 2
여기서, Fs : 보일링에 대한 안전율(2.0 이상)
d2 : 굴착저면에서의 흙막이벽 근입깊이
γw : 물의 단위중량(kN/m3)
γ′: 모래의 수중단위중량(kN/m3)
ha : 보일링의 평균 과잉수두=(△h)

Terzaghi 간편식 검토방법

- 15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 한계동수구배를 고려하는 검토방법


보일링이 발생되는 조건은 흙의 유효응력이 없어진 상태이므로 이때의 동수구배보다 작은 동수구배를 유지하면
보일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원리를 이용함
한계동수구배에 의한 방법은 아래와 같이 계산함

′    
  
 
 

여기서, Fs : 보일링에 대한 안전율(2.0 이상)


   ′
ic : 한계동수구배, ic=   
 

D1 : 배면측 지표면과 배면측 수위의 깊은 곳에서 굴착저면까지의 거리(m)


D2 : 흙막이 벽의 근입깊이(m)
Gs : 토립자의 비중
e : 간극비
γw : 물의 단위중량(kN/m3)
hw : 수위차이(m)
γ′: 모래의 수중단위중량(kN/m3)

(a) 지하수위가 원지반보다 낮은 경우 (b) 지하수위가 원지반보다 높은 경우

- 159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① 히빙(Heaving) 발생가능성 검토

모멘트 평형에 의한 방법과 지지력식에 의한 방법 중 최소 한가지 이상 검토 한 후 안전율을 비교 검토

㉮ 모멘트평형방법에 의한 검토(일본 건축학회 수정식)

- 16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② 파이핑(piping) 및 보일링(Boiling) 발생가능성 검토

파이핑에 대한 검토는 유선망에 의해 해석하는 것이 정확하나 번잡하므로, Terzaghi 간편식과 한계


동수구배를 고려한 방법으로 검토하는 것이 일반적임.
수위조건과 근입깊이만 고려한 Terzaghi 간편식과 한계도수구배를 고려한 방법 검토결과 허용 안전
율 이하인 경우 지반조건을 고려한 유선망해석(침투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만족하는 근입깊이를 적용
하여야 함
㉮ 한계유속을 활용한 파이핑 발생 가능성 검토

기초지반내의 침투류 유속이 어느 한계 이상이 되면 파이핑이 발생함

흙입자의 입경에 대한 각각의 한계유속은 다음 표와 같으며 어느 입경에 대해 한계유속 이하이면 파


이핑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함

입경
5.0 3.0 1.0 0.8 0.5 0.3 0.1 0.08 0.05 0.03
(mm)

한계유속
22.86 17.71 10.22 9.14 7.23 5.60 3.23 2.89 2.29 1.77
(cm/s)

당 현장의 현장 투수시험 결과 투수계수는 2.18×10-4~1.04×10-2로 확인되었으며, 입경에 의한 한



계유속보다 작은 값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파이핑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됨
또한, 사업구간은 주변건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토사 유출방지를 위해 JSP 차수공법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파이핑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됨

공 번 심도(m) 지 층 투수계수(cm/sec)

1.0~2.0 매립층 4.52×10-4

PW-1 5.0~6.0 풍화토 4.67×10-4

15.0~16.0 풍화암 3.90×10-4

1.0~2.0 매립층 5.18×10-4

PW-2 7.0~8.0 풍화토 4.14×10-4

15.0~16.0 풍화암 3.74×10-4

- 161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 유선망에 의한 방법

유선망 해석과 침투해석은 같은 개념으로 침투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간편식을 이용하여 굴착저면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나, 설계기준에 명시된 내용을 준용하여 유선망 해석을 수
행함

- 16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 한계동수경사 방법(침투해석 미실시 조건)

- 163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 Terzaghi에 의한 방법(침투해석 미실시 조건)

- 16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 침투해석 방법을 활용한 검토

검 토 단 면

전수두 분포도

∙ 평균손실수두(전수두 차이) = (29.50+27.15)/2-26.55=1.78m

동수경사 분포도

∙ 굴착면 최대 동수경사(i) = 0.05

- 165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한계동수경사 방법

- 16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Terzaghi에 의한 방법

- 167 -
제6장 지반안전성 검토

- 168 -
제 7 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7.1 계측계획
7.2 지반침하취약구간 보강 및 차수방안
7.3 현장 안전관리 방안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제 7 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7.1 계측계획
7.1.1 계측기 설치계획

∙ 관련기준 및 설계사례 등을 분석하여 적용된 계측기 설치계획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계측빈도 및 계측관리
작성방향
기준 적용근거와 결과를 기술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가) 계측기 위치계획


계측기 설치를 위한 위치계획은 지중경사계, 지표침하계, 응력계/하중계 및 지하수위계는 근접구간 설치를 지향하며,
설치간격을 50m 이내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현장여건에 따라 설치 불가)는 당위성을 수록함
계측기 설치위치는 지반안전성 검토 단면에 설치하여 시공중 예측치와 비교 검토가 가능하도록 함
굴착공사의 경우 건물 경사계 및 균열계의 설치는 흙막이 벽체로부터1.2H(H:최대굴착깊이)까지를 표준으로 하며,
대상지역의 검토범위 내에 주요구조물(1,2종 시설물) 및 30년 이상 노후 건물이 존재할 경우 추가 설치하도록 제시함
계측기 설치 계획은 현장 여건 및 인접 구조물의 중요도, 사고이력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함
터널공사의 경우 건물 경사계 및 균열계 설치는 터널중심으로부터 1.0D(D:터널직경)까지를 표준으로 하며, 대상지역의 검토범
위(터널중심으로부터 2.0D) 내에 주요구조물(1,2종 시설물) 및 30년 이상 노후 건물이 존재할 경우 추가 설치하도록 제시함
- 천단침하와 내공변위 설치간격은 20m 간격을 표준으로, 갱구부 50m 구간과 토피가 터널직경의 2배 이하인
구간은 10m 간격을 표준으로 하되 지반조건이 불량한 구간이나 변화가 심한 구간에 대하여는 계측간격을
표준간격보다 좁혀야 하며, 지반조건이 양호하고 구간 내에서 지반 변화가 적을 때에는 사전검토 결과를 토대로
계측간격을 표준보다 넓히거나 계측을 생략할 수 있음
계측기 설치 항목 및 위치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설치계획 평면도 및 단면도를 수록함

(나) 계측빈도
계측빈도는 공사현장의 계측관리 업무를 현실적으로 고려하여 2회/주를 표준으로 하고 지하수위계는 1회/일 이상을
적용하되 나대지 및 배면이 산악지 등 지하수 변화의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간은 2회/주를 적용함
㉮ 굴착공사

계측항목 설치시기 측정시기 굴착시 지하골조 완공 후 이상징후 발생시


그라우팅 완료후 4일
지중경사계 굴착전 1회/일 (3일간) 2회/주 1회/주 (1개월까지) 수시
설치후 1일 경과후
지표침하계/지하매설물침하계 굴착전
1회/일 (3일간)
2회/주 1회/주 (1개월까지) 수시
설치후 1일 경과후
건물경사계/건물균열계 굴착전 3회/일 (1일간) 2회/주 1회/주 (1개월까지) 수시
지보 거치 후 설치 후
변형률계(응력계) 3회/일 (1일간)
2회/주 - 수시
jacking 이전
지보 거치 후 설치 후
버팀보 하중계 3회/일 (1일간)
2회/주 - 수시
jacking 이전
어스앵커 E/A 인장시
어스앵커 하중계 2회/주 - 수시
인장시 1회/일 (3일간)
설치 후 1회/일 이상
지하수위계 굴착전 1회/주 (1개월까지) 수시
1회/일 (1일간) 2회/주
그라우팅 완료후 4일
지중침하계/수평경사계 굴착전 1회/일 (3일간) 2회/주 1회/주 (1개월까지) 수시

- 169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주요내용 굴착 터널

㉯ 터널공사

측정빈도
0~15일 15~30일 30일~
계측항목 -20일 설치시점 초기치측정
(0~7일) (8~14일) (15일~)
(-3D)
(0~2D) (2D~3D) (3D이상)
막장관찰 - 매발파 단면마다 - -

일상 내공변위 - 1~2회/일 1회/2일 1회/주 막장후방 1m 이내 설치직후


계측 천단침하 - 1~2회/일 1회/2일 1회/주 막장후방 1m 이내 설치직후
터널 상반높이(h)+토피(H)이상,
지표침하 1회/일 1회/일 1회/2일 1회/주 설치직후
터널 굴진거리 3D 이상 중 큰값
숏크리트 타설 1일
숏크리트응력 - 1회/일 1회/2일 1회/주 숏크리트 타설 이전
경과후
정밀 그라우팅
지중변위 - 1회/일 1회/2일 1회/주 1차 숏크리트 타설 직후
계측 양생직후
그라우팅
락볼트축력 - 1회/일 1회/2일 1회/주 1차 숏크리트 타설 직후
양생직후
터널 상반높이(h)+토피(H)이상, 그라우팅
지중경사 1회/일 1회/일 1회/2일 1회/주
터널 굴진거리 3D 이상 중 큰값 양생직후
터널 상반높이(h)+토피(H)이상, 그라우팅
지중침하 1회/일 1회/일 1회/2일 1회/주
터널 굴진거리 3D 이상 중 큰값 양생직후
강지보 설치 후 12시간 이내 숏크리트 타설
강지보응력 - 1~2회/일 1회/2일 1회/주
기타 (강지보 설치전 고정지그 설치) 1일 경과후
계측 터널 상반높이(h)+토피(H)이상, 지하수위
지하수위 1회/일 1회/일 1회/2일 2회/주
터널 굴진거리 3D 이상 중 큰값 설치 1주일 후
터널 상반높이(h)+토피(H)이상,
건물경사 1회/일 1회/일 1회/2일 1회/주 설치 직후
터널 굴진거리 3D 이상 중 큰값
터널 상반높이(h)+토피(H)이상,
건물균열 1회/일 1회/일 1회/2일 1회/주 설치 직후
터널 굴진거리 3D 이상 중 큰값

(다) 계측관리기준
계측관리 기준은 정량적으로 설정되어 현장 적용에 적합하게 설정하며, 3차관리기준(허용치)를 중심으로 1차,
2차 관리기준을 설정함
㉮ 지중경사계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비고


0.002~0.003H
최대변위 3차관리기준× 0.6 3차관리기준× 0.8
(H= 최종굴착깊이)

일간변위량 σ = 2mm (7일간) σ = 4mm (7일간) σ = 10mm (7일간)

㉯ 지하수위계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비고


누적 수위변화량
4.0(3차관리기준 ×0.5) 1차 관리기준 + 자연변동량 8.0m
(MH)
일 수위변화량(ΔH) ΔH = 0.5H ΔH = 0.75m △H = 1.0m

- 17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주요내용 굴착 터널

㉰ 지표침하계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비고


최대변위 15mm 20mm 25mm(허용치)

㉱ 응력계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비고


최대변위 3차 관리기준 × 0.6 3차 관리기준 × 0.8 허용치

㉲ 균열계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비고


최대변위 0.2mm 0.38mm 0.5mm

㉳ 건물경사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비고


각변위 1/1,000 1/850 1/500

㉴ 발파진동

유적, 문화재, 재래주택 주택, 상업용 철골콘크리트


구 분 가축류등
컴퓨터시설물 (조적식,목재) 아파트(R.C조) 건축물 건물 및 공장
발파진동 0.1cm/s 0.2cm/s 0.3cm/s 0.5cm/s 1.0cm/s 5.0cm/s

㉵ 천단 및 내공변위
천단침하(mm) 내공변위(mm)
구 분 단선 복선 단선 복선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풍화암 15 20 25 30 40 50 15 20 25 30 40 50
연 암 15 16 20 18 24 30 15 16 20 18 24 30
경 암 6 8 10 6 8 10 6 8 10 6 8 10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변위 속도가 5mm/일 이상 ∙변위 속도가 막장부 근처에서 10mm/일 ∙변위가 가속
변위속도
이상이고 후방에서 5mm/일 이상
∙숏크리트에 부분적으로 균열이 ∙숏크리트에 전체적으로 균열이 발생한다. ∙균열이나 지하수침투가 레벨 2의
상 태 발생한다. ∙지하수가 침투한다. 경우를 초과한다.
∙지하수가 침투한다.

㉶ 록볼트 축력 및 숏크리트 응력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비고


록볼트 축력(kN) 3차 관리기준 × 0.6 3차 관리기준 × 0.8 허용치
숏크리트 응력(MPa) 3차 관리기준 × 0.6 3차 관리기준 × 0.8 허용치

본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기준은 최소 기준으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계측관리 기준은 현장 여건(지반조건, 적용공법,
시공방법 등) 및 인접 구조물의 중요도, 과거의 유사한 시공실적 등을 참조하여 정하여야 함.

- 171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가) 계측기 위치계획(굴착공사)

계측계획 평면현황

A-A 단면

- 17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계측기 위치계획(터널공사)

계측계획도

일상계측 정밀계측

- 173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다. 계측관리 기준 선정

지중수평변위, 지표침하 등에 대한 계측관리 기준은 다음과 같음

구 분 1차 관리기준(안전) 2차 관리기준(주의) 3차 관리기준(위험)

토사 σ = 2mm (7일간) σ = 4mm (7일간) σ = 10mm (7일간)


일간
변위량
지중 암반 σ = 1mm (1일간) δ ≤ 2㎜ (1일간) σ = 4mm (1일간)
경사계

0.002~0.003H
최대변위량 3차관리기준× 0.6 3차관리기준× 0.8
(H= 최대굴착깊이)

일 수위변화량(ΔH) ΔH = 0.5H ΔH = 0.75m △H = 1.0m


지하
수위계 누적 수위변화량 4.0 1차 관리기준 +
8.0m
(MH) (3차관리기준 ×0.5) 자연변동량

지표침하계 최대변위량 3차 관리기준 × 0.6 3차 관리기준 × 0.8 25mm(허용치)

응력계 최대변위량 3차 관리기준 × 0.6 3차 관리기준 × 0.8 허용치


균열계 최대변위량 0.2 0.38 0.5

건물경사계 각변위 1/1,000 1/850 1/500

연암조건,
천단침하계 18mm 24mm 30mm
복선터널단면

연암조건,
내공변위계 18mm 24mm 30mm
복선터널단면

막장부 근처
천단침하 및
- 5mm이상/일 10mm/일 이상, 변위의 가속
내공변위 속도
후방 5mm/일 이상

록볼트 축력 53.0 70.9


D25-SD350 88.7(허용응력)
(kN) (3차관리기준× 0.6) (3차관리기준× 0.8)

숏크리트응력 5.0 6.7


일반 8.4(허용응력)
(MPa) (3차관리기준× 0.6) (3차관리기준× 0.8)

진동에 대한 관리치는 다음과 같이 적용함

유적,문화재, 재래주택 주택, 상업용 철골콘크리트


구 분 가축류등
컴퓨터시설물 (조적식,목재) 아파트(R.C조) 건축물 건물 및 공장

허용치 0.1cm/s 0.2cm/s 0.3cm/s 0.5cm/s 1.0cm/s 5.0cm/s

- 17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7.1.2 사고 및 계측관리기준 초과시 대응방안

작성방향 ∙ 계측관리기준치 초과시 대응방안 및 지반함몰 사고 등 사고시 대응방안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공사현장의 이상 징후 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공사현장 및 인접구조물, 지하매설물의 사고 예방을


위하여 계측관리기준 초과시 대응방안을 수록함
평상시, 1차 관리기준 초과시, 2차 관리기준 초과시, 3차 관리기준 초과시에 대하여 승인기관, 지하개발사업자
등의 업무 및 대응체계를 수록함
본 매뉴얼에서 제시하는 대응방안은 기본적인 내용으로 시공사 및 승인기관에 맞춰 적용하여야 함

구분 평상시(안전)


대응
시 방안

- 175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구분 1차 관리기준치(주의)

대응
방안

구 분 조치요령

∙ 측정기기 점검 및 재측정(센서, 케이블 점검) → 필요시 추가설치


계측회사 ∙ 주변 지반 및 시설물 일체 점검(육안점검)
∙ 책임기술자 현장정밀조사 → 원인조사 →보고서 작성

∙ 시설물 점검, 지반 정밀 관찰
조치 시공사
∙ 본사 기술진 현장조사 및 시설물 이상 유무 확인 →의견서 작성
요령

∙ 시설물 점검, 지반 정밀관찰, 작업주의 지시


감리단 ∙ 비상주 감리원 현장정밀조사 → 설계도서 검토 → 원인분석 → 필요시 보완공법 검토
∙ 이상징후 발견 시 : 지원업무수행자 즉시 보고

지하개발
∙ 현장 상황 조사
사업자

- 17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구분 2차 관리기준치(특별관리)

대응
방안

구 분 조치요령

∙ 측정기 추가설치, 측정빈도 증가(매 시간마다 측정), 주변지반 및 시설물점검


계측회사 ∙ 책임기술자 현장정밀조사 → 관리기준치 검토 → 원인분석 → 계측체제 강화 → 보고서작성
∙ 상황전파 → 현장소장, 감리단장, 발주처
∙ 시설물 점검, 지반 정밀관찰
∙ 변위진행 상황 기록
∙ 계측체제 강화 및 공사중단 여부검토
시공사
조치 ∙ 본사 기술진 현장조사 및 시설물 이상유무 확인
요령 ∙ 필요시 외부전문기관 용역시행
∙ 보완공법 시공방안작성 보완방법 보고
∙ 시설물 점검, 지반 정밀관찰, 변위진행 상황확인
∙ 비상주감리원 현장정밀조사 → 계측등 원인분석 → 보완공법 제시
감리단 ∙ 현장상황 점검, 계측체제 강화
∙ 공사 중단여부 검토, 필요시 응급보강 지시
∙ 보완공법 결정 및 시행계획 보고
지하개발 ∙ 현장상황 조사
사업자 ∙ 보완공법 검토 승인

- 177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구분 3차 관리기준치(위험)

대응
방안

구 분 조치요령
∙ 측정기 추가설치 및 측정빈도 증가 대책 수립
∙ 주변지반 및 시설물 일체 점검
계측회사
∙ 책임기술자 현장정밀조사 → 관리기준치 검토 → 원인분석 → 계측체제 강화 → 보고서작성
∙ 상황전파 → 현장소장, 감리단장, 발주처
∙ 공사중지(안전시공 대책 수립시까지)
∙ 시공방법의 변경
∙ 지반조사 및 응급보강 조치
시공사 ∙ 외부기관 안전진단(점검) 실시
조치 ∙ 지하매설물 재조사 실시
요령 ∙ 대체공법 강구 재설계추진계획 등 시행방안 보고
∙ 계측시스템 개선
∙ 공사중지 및 현장점검
∙ 비상주감리원 보강공사 실시결과 검토, 대책공법 및 재설계
감리단 ∙ 검토, 원인분석
-재설계 추가계획 및 대체공법 시행계획 검토
-대체공법 및 재설계추진계획 시행방안 승인요청
∙ 현장상황 조사 → PM 보고
지하개발 ∙ 대체공법 검토
사업자 ∙ 계측기 시스템 변경 승인
∙ 재설계 보강공법 검토 승인

- 17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7.2 지반침하 취약구간 보강 및 차수방안


7.2.1 지반침하 취약구간 선정

작성방향 ∙ 지반조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검토결과 등을 바탕으로 지반침하 취약구간을 선정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반침하 취약구간 선정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선정하며, 지반침하구간에 대한 관리방안을 수록함
- 사업구간 중 최대 굴착깊이 구간
- 지반조사 결과 지반조건이 가장 불리한 구간
- 인접 구조물과 근접한 구간
- 중요도가 높은 매설물이 근접한 구간
- 지하수 저하량이 크며 이에 따른 침하량이 높게 평가된 구간
- 지반안전성 평가시 지반변형이 높게 평가된 구간
- 공동의심구간(지하안전영향평가)

BD1, BD4 및 OO역 인접구간은 사업부지와 인접구조물간 이격거리가 0.30~1.18m로 가까우며, 지반조
사결과 토사층 심도가 가장 깊은 구간임
OO역 및 OO로(25m도로)는 평소 보행자 및 차량통행이 많으며, 도로 하부에 다수의 지하매설물이 존재
하는 구간으로 굴착 중 토사 유실에 의한 지반침하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지반침하 취약구간으로 선정함
BD3 인접구간은 사업부지와 인접구조물간 이격거리가 이격거리가 0.30~1.18m로 가까우며, 지반조사결
과 초기지하수위가 가장 높은 구간임
2차원 안전성 검토결과 가시설 횡방향 변위, 지하매설물 및 인접구조물 침하발생량은 8~10단계 굴착
이후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8단계 굴착 이후는 지하수위 이하 굴착 구간으로 굴착에 따
른 지하수위 저하량이 증가하여 시공 시 주의해야할 것으로 판단됨
GPR-3D 탐사결과 느슨한 지반으로 나타나는 구간은 굴착공사 진행시 공동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으
예 므로 집중관리가 필요하므로 지반침하 취약구간으로 선정하였음

시 지반침하 취약구간 선정

- 179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터널공사에서 지반침하 취약구간은 단층파쇄대 통과구간, 풍화대 통과구간, 하천하부 통과구간, 기존구조
물 인접통과구간을 선정함

단층파쇄대 통과구간 풍화대 통과구간

하천하부 통과구간 기존구조물 인접통과구간

- 180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7.2.2 보강 및 차수방안

작성방향 ∙ 지반침하 취약구간의 보강 및 차수 방안 및 시공시 주의사항 등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수 유출 및 토립자의 유실에 의한 인접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지반침하 취약구간으로 선정한 곳의
가시설 계획 및 차수계획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수치해석 결과를 통해 안전성의 확보여부를 수록함
시공시 대책방안, 차수그라우팅 시험시공 계획, 착공전 CCTV 매설관로 조사계획 및 시공중 GPR탐사 계획 등
지하안전을 위해 수립된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시공중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함

차수그라우팅은 착공전 시험시공을 통해 적정 차수성 확보 여부 및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시 적


용된 투수계수 확인을 하여야 함
차수그라우팅 시험시공은 주입공 250개당 1회를 기준으로 하며, 당 현장 차수그라우팅은 약 180개공으
로 시험시공은 총 1회 시행하며, 시험시공 위치는 아래 그림에 표시된 위치 또는 책임 감리원(감독원)이
지정하는 장소에 시행하되 원칙적으로는 계획 주입공의 일부를 이용하여야 함

2중관 Rod 공법으로 혼합방식이 적용되는 E.G.M 에서는 2.0 Shot 방식을 기본으로 하며 초기 급결 및
완결 주입에서는 A, B액을 교대로 주입하여 1:1 비율로 주입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지층상태에 따라
서 주입재의 혼합비율을 조정하여 주입함
2
그라우팅은 저압주입 방식으로 10 kgf/cm 이하를 요구하며 주입량 12 ℓ/min∼20 ℓ/min를 기준으로함
-5
또한, 그라우팅 시공 후 투수계수의 기대치는 K=1.0×10 cm/sec이하임
시험시공시 시험 항목, 주입효과 판정 및 E.G.M 그라우팅의 자세한 사항은 [신축공사 가시설 도면] 특기
시방서 4~5(C-006~007) 및 [가설흙막이 설계보고서] Ⅱ.흙막이 시방서 7.그라우팅공에 자세히 수록하
여 현장시공자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음

- 181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7.2.3 추가 보강계획(필요시)

작성방향 ∙ 지하안전영향평가 수행결과 대상사업에 대한 추가 보강이 필요할 경우 기술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분석결과 지하안전확보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가적인


보강 및 차수공법을 제시함
- 지보공법의 보강
- 차수그라우팅 공법
- 계측기 추가 설치 등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분석결과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현장여건 등


에 따라 안전성 저하가 우려되는 구간에 대하여 보강계획을 제안함
대상사업구간 차수그라우팅 적용으로 지하수 저하에 의한 영향 변화 분석결과 누적 수위 변화량은 0m
로 허용기준 이내로 안전성을 확보하나, 대상사업부지는 지하수위가 높고 유속이 빠르며, 하천과 인접
(약 10m)하여 위치하므로 지하수에 따른 용탈이 적은 공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함

차수그라우팅 적용계획

- 182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7.3 현장 안전관리 방안
7.3.1 공사장 지하수 및 토사 유출 관리 방안

작성방향 ∙ 시공중 지하수 및 토사유출로 인한 배면지반의 침하 예방을 위해 지하수 및 토사 유출 관리방안을 수록함

유출지하수 발생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힘들므로, 유출수량 및 지하수위 강하가 당초 예측치를 초


과하는 경우 다음의 경우에 따라 관리하여야함
공사중 유출지하수량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관계전문가 합동점검실시 후 대책 강구(흙막이벽체
및 차수공법 시공상태, 계측관리사항, 기타 위험요인 및 안전확보 방안 등)하여야함
또한, 공사 완료 후 발생되는 유출지하수량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합동점검실시 후 대책 강구 및 주
변지역 안전관리 강화 조치(주변 도로 GPR 탐사, 하수관 CCTV 촬영 및 분석)를 취해야함

가. 공사장 토사유출량 측정방법


공사장에서 토사유출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이론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고, 공사장 별로 특성에 맞
는 방법을 선택하여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음
공사장에서 파이핑, 히빙과 같은 지하수 유출지점을 파악할 수 경우에는 이러한 지점에서 지하수를
매일 채취하여 토사량을 모니터링하여야 하며,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음
- 침강시험 : 일정한 양의 유출수를 채취하고, 매스실린더 또는 일정한 용기에 유출수를 넣고, 일정
한 시간동안 토사를 침강시키고, 침강된 토사의 두께를 측정하여 용기단면적을 곱해서
전체 토사량을 산정함
- 탁도측정 : 무게를 잰 유리여과기에 일정량의 시료를 여과시킨 다음 함량으로 건조하여 무게를

예 달아 여과하기 전과 여과한 뒤의 유리여과기 무게의 차이를 산출하여 부유물질의 양


을 구하는 방법으로 토사량이 매우 적을 때 사용함
시 - 탁도측정(탁도측정기 사용) :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탁도측정기는 nephelometer로서, 액
체에 빛을 쪼여 그 빛의 산란을 이용하여 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토사량이 적을 때
사용함
- 배수용 sump 또는 pit : 공사장 유출지하수를 차집하여 침강되는 토사량 두께 측정(신뢰성 있는
자료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성적으로만 활용)

나. 공사장 토사유출량 관리방법


도로함몰 등 지반침하의 원인으로 지하수 이용과다 보다는 대부분 지하 굴착공사에 따른 유출지하수
발생과 이에 수반된 토사유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따라서 지하 굴착공사시 지하수 유출로 인한 주변지역으로부터 토립자의 유출을 방지해야하며, 토사
유출량 관리방법은 다음과 같음
- 공사시 일별 토사유출량 변화 모니터링 실시 : 공사중 이상구간(취약구간) 파악을 위한 정성적 자
료로 사용
- 승인기관 또는 발주청에서 요청시 공사관계자는 토사유출량 자료를 제출하여야 함
- 토사유출량 변화 모니터링 이상상황 발생시 : 차수 및 방수 등 선조치 후 정밀조사 실시
※ 이상상황 : 유출토사량이 이전 측정치에 비해 비이상적으로 급증하는 경우(이전의 측정치
에 비하여 약 50%이상 증가하였을 경우)

- 183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7.3.2 공동 보강 및 관리 방안
∙ 대상사업 검토범위 내 도로 하부에 공동이 발견될 경우 공동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분류기준을 수립하고
작성방향
분류기준에 따라 관리할 수 있도록 공동 보강 및 관리방안을 수록함

시공중 사업부지와 인접한 도로 하부에 공동이 발견될 경우 서울시 동공관리등급분류 및 복구기준에 따


라 발견된 공동을 처리해야 함
복구 및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음

등급 분류기준 복구기준

ㆍAC포장 두께 10cm 이내인 동공 중 동공 두께 20cm 이


긴급 ㆍ탐사중 동공상태 확인 즉시 복
내인 동공
복구 구(6시간 이내)
ㆍ포장 균열 깊이가 50% 이상 진행된 모든 동공

ㆍAC 포장 두께 10~20cm 이내인 동공 중 동공 두께


우선 10~30cm 이내인 동공
ㆍ신속한 조치계획 수립 및 복구
복구 ㆍ동공 좁은 폭 150cm 이상인 모든 동공
ㆍ포장 균열 깊이가 10~50% 진행된 모든 동공

일반
ㆍ긴급/우선/관찰 등급을 제외한 모든 동공 ㆍ우기철 이전까지 복구
복구

시 ㆍAC포장 두께 30cm 이상인 동공 또는 동공 두께 40cm ㆍ지속 관찰 후 반복탐사 시작년


관찰
이상인 동공 중에서 동공 폭 80cm 미만인 동공 도 우기철 이전까지 복구

- 184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7.3.3 시공 중 추가 지반조사 계획(필요시)


∙ 현장 여건상 추가 지반조사가 필요한 경우 추가 지반조사 수행 위치 및 시험항목을 수록하여 착공전
작성방향
추가 지반조사를 수행하고 조사 결과를 반영하도록 평가서에 수록함

현장 여건상(기존구조물) 시추가 수행하지 못한 남측구간에 대하여 시추 2공(BH-6,7)을 착공전 수행하


여야 하며, 추가 시추 위치는 현장여건에 변경 가능함
남측구간에 대한 추가 시추조사 위치(계획) 및 수량은 다음과 같음

구 분 수량 검 토 사 항 비 고

시추조사 2공 ◦지층분포 현황 파악 NX(Φ 76mm)


시추조사 양수정 - ◦SPT측정 및 지하수위 측정 대구경(Φ 150mm)
합계 2공 ◦시료 채취 및 각종 원위치 시험 실시 -
표준관입시험 2공 ◦흙의 상대밀도 및 연경도 파악, 시료채취 1.0m 간격
지하수유향유속시험 - ◦지하수의 유동방향과 유동속도 측정 -
현장
양수시험 ◦대수층 수리특성 규명, 수리모델링
조사 - -
/순간충격시험 입력자료
하향식탄성파탐사 - ◦원지반의 동적 물성값 산출 내진설계
현장투수/수압시험 1/0회 ◦지층의 투수계수 측정 토사층 및 기반암
공내재하시험 1회 ◦풍화암 및 기반암의 변형계수 파악 풍화암 및 연암
공내전단시험 1회 ◦풍화대의 강도정수 파악 풍화토 및 풍화암
실내 토질시험 1회 ◦토층의 물리적 특성 파악 -
시험 암석시험 1회 ◦암반분류, 강도특성 파악 기반암

추가 지반조사 결과 안전성 검토시 적용한 값과 상이할 경우 이를 반영하여 재검토를 수행하여야 함

- 185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7.3.4 중점 현장 안전관리 방안

작성방향 ∙ 현장 특성에 따라 근접시공, 지하철 인접, 철거 및 복공 등에 대한 시공중 안전관리 방안에 대하여 수록함

굴착공사 중 부득이한 사유로 일정기간 공사를 중지할 경우 공사중지 기간과 중지시점의 현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조치방안을 수립하여야 함

구 분 조 치 방 안

ㆍ사업부지의 굴착구간은 풍화토(암)층이 두껍게 분포하고 있으므로 굴착공사 중단시에는


우수로 인한 굴착부의 노출지반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현장내 배수시설(배수로, 집수정,
폄핑시설 등)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법면구간의 경우는 비닐덮개 등을 설치하여
우수 침투에 최대한 억제하여야함
ㆍ공사현장 출입통제를 위한 안전펜스 등의 설치 및 정비
ㆍ공사중단 흙막이 가시설 및 건축물 등의 구조물 탈락, 붕괴 방지
공사중지시
ㆍ주기적인 계측관리로 안전성 확인
ㆍ안전조치
- 노출된 암반구간의 숏크리트 타설 완료
- 미 설치된 Rock Bolt 설치 완료
- Rock Bolt 및 주요부재 연결부 볼팅조임 확인
- 장기간 공사중지를 대비해 배수로 점검 및 보수
ㆍ흙막이 가시설 구조물의 설치기간이 2년 이상일 경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안전
예 점검 또는 안전진단을 실시하여 흙막이벽의 상태를 파악하여야 하며, 잔여공사기간을
고려하여 안전성이 확보되는 대책을 수립하여야 함

ㆍ굴착공사 수행전 검토범위 내 건축물 및 시설물 등에 대한 상태ㆍ현황 등에 대한 조사
수행
ㆍ1년 이상 중단 후 공사 재개시에는 건설기술 진흥법 시행령([시행 2018. 6. 30] [대통령
령 제28555호, 2017. 12. 29, 일부개정]) 및 건설공사 안전관리 업무수행 지침(국토교통
부 고시 제2016-718호)에 따라 안전점점 실시 후 공사를 재개하여야함
ㆍ공사 시점으로부터 공사 중지 기간이 2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기설치된 흙막이재료
의 허용응력 할증계수를 1.0으로 하여 구조계산을 재수행하여 안전성 확보 여부에 문
공사재개시
제 없는지를 전문가에게 의뢰 하여야함
ㆍ공사 중지 기간을 고려한 가설 자재의 상태를 확인하고 기간 경과에 따른 재료의 부식
상태, 연결부의 풀림여부 등을 점검하여야함
ㆍ안전성 검토
- Rock bolt 인발시험을 통한 주면마찰력 확인
- 배수로 점검 및 파손부위 보수
- 숏크리트 탈락부 재타설
- 계측결과 분석에 의한 구간별 Rock Bolt 보강 검토
- Rock Bolt 및 주요부재 연결부 볼팅조임 확인
- 상기 사항을 반영한 전반적인 안전진단 실시

- 186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나. C.I.P 수직도 관리방안

① 수직도 관리방안
수직도 관리를 위해 천공장비는 경사계가 내장된 장비를 사용하고 케이싱과 H-pile 접합은 수평을 유지
한 작업대를 설치하고 이음부가 직선이 되도록 용접해야 함
리더거치(케이싱)시 운전석의 경사계를 보면서 조정설치하고 케이싱을 세운 다음에는 수평자로 수직도를
측정해야 함
천공 중에는 운전석의 계기판을 보면서 조정하고, 수시로 수평자로 수직여부를 확인하며 수직도를 조정
해야 함

단계 수직도 관리대상 측정장비 측정빈도 측정방법

ㆍ수평을 유지한 작업대 설치


케이싱 접합 측량기 제작시
ㆍ이음부 직선이 되도록 용접
자재
ㆍ수평을 유지한 작업대 설치
H-pile 접합 측량기 제작시
ㆍ이음부 직선이 되도록 용접

운전석 계기판 설치시 ㆍ계기를 보면서 조정설치


리더거치
시공전
(케이싱거치) ㆍ케이싱주직으로 세움
측량기 수평자 설치시
ㆍ수평자로 수직여부 확인

운전석 계기판 설치시 ㆍ계기를 보면서 조정설치

시공중 케이싱
ㆍ케이싱 수직으로 세움
측량기 수평자 설치시
ㆍ수평자로 수직여부 확인

② 수직도 측정방법

천공 후 수직도 측정방법 수평자를 이용한 수직도 측정

- 187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다. 기존건물 철거계획

① 철거계획
구조물 철거 평면 및 순서는 다음과 같음

상부구조물은 비교적 진동이 적고 소음인 압쇄철거로 주변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으로 계획


예 철거와 가시설 시공이 별도로 분리된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철거로 인한 지반성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① 0.6LC 장비 양중 철거 D+10

② 300LC 장비 지상철거 D+10

③ 300LC 장비 지하 철거 D+7

- 188 -
지하안전영향평가 매뉴얼

② 기존건물 철거시 안전대책

철거공사 위험요소별 안전대책

위험요소 안전대책

ㆍ철거공사 시 붕괴 및 낙하 ㆍ사전 작업계획에 의한 철거 프로세스 준수(적정장비사용)


- 구조물 철거 시 붕괴 ㆍ철거 폐기물 과적방지, 폐기물 반출계획 수립/당일 반출
- 철거 작업 시 낙하물 발생 ㆍ연약부위 사전보강, 낙하물방지 시설 설치, 관리자 상주

ㆍ기계실 등 공사시 추락/질식 ㆍ기계실 등 층고가 높은 작업구간 작업발판 설치


- 고소 작업 시 추락 ㆍ배관 철거작업 시 고소 화기 작업 지양, 절삭공구 사용
- 밀폐공간 작업 시 질식 ㆍ산소농도 측정 및 본설 급/배기 활용, 이동식 휀 설치

ㆍ정전/누구사고 발생
ㆍ철거 전 라인 식별 TAG 부착/확인
- 기존 라인 철거 시 정전사고
ㆍ각 층별 수방 기구함, 비치로 비상 시 신속한 대처
- 배관 철거 시 누수사고

작업 공종별 안전관리 방안

공 종 세부내용 안전관리방안

예 ㆍ조명장치 및 방향지시등 작동 점검 ㆍ작업투입전 조명장치, 경보장치, 방향지시등 등의


ㆍ버캣 연결핀 고정상태 점검 작동 유․무 확인 후 작업 진행

장 비 ㆍ유압장치 작동유․무 점검 ㆍ버캣연결핀 고정확인 띠 설치하여 육안 식별 관리
ㆍ장비 후진 시 경보음 작동 유․무 ㆍ유압 누유 유․무 확인 후 작업 진행
ㆍ장비 1대 당 신호수 1명 배치 후 작업 진행

ㆍ부재 중량 및 Crane 양중능력관리 ㆍ장비 제원표, 부재별 예상중량표 현장 비치/관리


ㆍ부재 인양용 Wire점검 ㆍ중량 및 사용 Wire Table Sheet 작업장 비치
양 중
ㆍCrane Outrigger 하부지반 안전성확인 ㆍ지내력Test 또는 침하/전도 방지용 복공판 설치관리
ㆍ부재 인양용 샤클/와이어로프 점검 ㆍ샤클/와아이로프 정기점검 및 승인현황 관리

ㆍ외부벽체철거 시 낙하물 발생 여부 ㆍ외부 낙하물 방지망 설치, 先고정 등 조치 추진


ㆍ철거 잔재물의 바닥 개구부 투하 여부 ㆍ각층 개구부 출입차단 및 중량물 개구부 투하금지
철 거
ㆍ전선 및 통신선 철거 시 절연, 단통 여부 ㆍ전선 및 통신선 관리 각 해당기관에 확인 후 작업
실시

ㆍ외부비계 설치/해체/사용 중 안전관리 ㆍ비계상부 작업자 안전벨트 착용/비계 벽 이음관리


ㆍ장비(덤프 등) 이동 동선 관리 ㆍ장비/인원 동선 분리 및 신호수 배치관리
기 타
ㆍ내부 철 구조물 절단 시 화재예방 ㆍ화기작업구역 소화기 배치 및 화기감시활동 추진
ㆍ가스배관 철거 시 잔존가스 폭발위험 관리 ㆍ가스배관 잔존가스 확인 후 철거 진행

- 189 -
제7장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 190 -
제 8 장 종합평가 및 결론

8.1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
8.2 종합결론
지하안전영향평가서 매뉴얼

제 8 장 종합평가 및 결론
8.1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
8.1.1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작성방향 ∙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평가 결과는 각종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정량적으로 요약하여 수록함

(나) 대상지역 침투해석 결과

대상사업의 굴착계획을 반영한 침투류해석으로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평가를 수행함


지반조건 및 굴착계획을 고려하여 대표단면을 선정하고 지하수위 저하 및 즉시침하량(탄성침하량)을
산정하여 안전성을 확인함
설계 지하수위의 분포 특성
- 대상사업 대표구간의 설계지하수위는 E.L(+) 3.16~3.96m(G.L(-)16.29~17.22m)에 위치함
침투해석 결과 지하수위 저하량 발생 특성

A-A 단면 B-B 단면 C-C 단면


구 분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지하수위 저하량(m) 4.21 4.58 4.59 4.17 4.13 4.16
즉시침하량(mm) 0.53 0.63 0.63 0.23 0.24 0.25
지하수 저하에 따른 침하량 검토결과 최대 침하량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나 지하수 저하에 따른 침하
량만으로는 전체 굴착에 따른 영향을 모두 반영하였다고 보기 어려움

따라서, 분석된 지하수위 저하량은 지반안전성 평가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고 침투-연계해석을 통한
시 종합분석이 필요함

- 191 -
제8장 종합평가 및 결론

8.1.2 지반안전성

작성방향 ∙ 지반안전성 평가 결과는 각종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정량적으로 요약하여 수록함

(가) 2차원 지반안전성 검토

흙막이 벽체 수평변위 검토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음

벽체 변위 검토
구 분 굴착 심도 발생 변위량 허용 변위량
안전성평가
(m) (mm) (mm)
좌측 32.51 8.68 81.28 O.K
A-A
단면
우측 34.99 16.92 87.48 O.K

좌측 32.94 7.70 82.35 O.K


B-B
단면
우측 33.68 9.89 84.20 O.K

좌측 32.55 8.93 81.38 O.K


C-C
단면
우측 33.78 16.28 84.45 O.K

흙막이 벽체 수평변위 검토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음

예 구 분 침하량(mm) 구 분 침하량(mm)

시 상수관1 5.42 < 25.00, O.K 가스관 5.48 < 25.00, O.K
A-A 단면
전력관 5.42 < 25.00, O.K 상수관2 5.32 < 25.00, O.K

B-B 단면 상수관1 10.32 < 25.00, O.K 하수관1 10.16 < 25.00, O.K

C-C 단면 하수관 2.69 < 25.00, O.K 통신관2 3.15 < 25.00, O.K

인접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검토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음


연직변위(mm) 부등침하량
구분 각변위
좌측 우측 (mm)
BD20 -6.79 -10.96 4.17 1/ 18,880 < 1/500, O.K

A-A 단면 BD15 -13.02 -11.94 1.08 1/ 9,799 < 1/500, O.K

BD14 -10.83 -9.57 1.26 1/ 13,395 < 1/500, O.K

B-B 단면 BD22 -9.11 -6.64 2.47 1/ 11,551 < 1/500, O.K

C-C 단면 BD20 -11.35 -6.52 4.84 1/ 16,272 < 1/500, O.K

- 192 -
지하안전영향평가서 매뉴얼

8.2 종합결론
∙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여 요약 기술하되 대상사업의 지반조
건 및 현황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시공시 주의사항 등을 수록함
작성방향 ∙지하안전영향평가는 지반조사 결과와 설계시 제공된 내용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이므로 시공시 실제
지반조건의 변화(지반의 불확실성) 및 현장의 설계변경 등으로 인해 기 수행된 평가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수록함

본 대상사업의 시행으로 인하여 주변지역에 미치는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지반 및 지질

현황 특성을 사전에 분석하고 시추조사와 다양한 실내 및 현장시험을 통해 지반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평가 신뢰성을 확보함
또한, 대상사업 구간의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지하매설물의 존재여부, 위치 및 심도 등에 대해 관계기

관에서 제공된 자료를 바탕으로 면밀히 분석하였음

사업지역의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분석 결과 지하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지반침하는 미미할 것


으로 예측되어 안전성 확보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됨

계획된 굴착공법에 대해 2차원 침투-응력 연계해석을 수행하여 지반안전성 평가를 수행하한 결과

가시설벽체,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의 변위는 모두 허용치 이내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판

단됨

2차원 해석결과 인접구조물 및 가시설의 안전성은 확인되나, 수치해석은 정밀시공에 의한 지수성이



확보되어야 배면지반의 침하변형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시공계획 및 정밀시공을 통하여 지

하안전을 확보하여야 함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평가결과 대상사업 구간 굴착에 따른 주변 지반의 안전성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가적인 보강계획은 불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나, 수치해석은

정밀시공을 전제로 실시하며 사업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시공관리 및 계측을 통하여 발생 가능한 시공

리스크를 최소화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됨

종합적인 지하안전영향평가 결과 현재 계획된 굴착공법으로 주변지반과 인접건물 및 지하매설물의 안

전성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시공 중 지반 불확실성으로 인한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

기 위해 철저한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정밀한 시공을 통한 안전한 현장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본 지하안전영향평가서는 기 수행된 지반조사, 관계기관에서 제공된 자료, 원 설계자의 설계도서를

토대로 수행한 것이며, 시공 중 현장에서 확인된 지반조건 및 제공된 각종 도서의 내용이 실제의 현

장조건과 다를 경우 지하안전영향평가서에서 제시된 결과와 달라질 수 있음

- 193 -
제8장 종합평가 및 결론

- 194 -
제 9 장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9.1 조사 개요
9.2 조사 내용
9.3 조사 시기
지하안전영향평가서 매뉴얼

제 9 장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9.1 조사 개요
∙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제20조에 따라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을 착공한 후에 그 사업이 지하
작성방향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하도록 함을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기준을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관리 업무지침」제14조에 따라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수행 시기를 수록함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 사업자는 대상사업을 착공한 후부터 시공 완료 전까지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지하안전영향조사서에 조사시기를 명기하여야 한다.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다음 표와 같이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업무를 구분할 수 있으며, 지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0조(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에는 지하개발사업자(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
을 하려는 사업자)는 해당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사업을 착공한 후에 그 사업이 지하안전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하고, 그 결과 지하안전을 위하여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음
또한 지하안전관리 업무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8-342호) 제14조(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에는
사업자는 대상사업을 착공한 후부터 시공 완료 전까지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지하
안전영향평가서에 조사 시기를 명기하도록 명시되어 있음
따라서 지하개발사업자는 지하안전영향평가에서 명기(제시)한 시기에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를 수행하여야 함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는 굴착공사 완료 후 인접구조물에 대하여 지하안전영향평가의 결과를 재평가하고,
공사중 계측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활용하여야 함

소규모
구 분 지하안전영향평가 사후 지하안전영향조사 지반침하 위험도평가
지하안전영향평가

터널, 20m이상 10m이상 터널, 20m이상 지하시설물 및
대상
터파기 공사 터파기 공사 터파기 공사 주변지반
사업계획의 인가 또는 사업계획의 인가 또는 지하안전영향평가에서 지반침하 우려가
시기
승인전 승인전 적시한 시기 있는 때

실시자 지하개발사업자 지하개발사업자 지하개발사업자 지하시설물관리자

평가자 전문기관 전문기관 전문기관 전문기관

지형 및 지질, 지형 및 지질, 공사의 적정성, 지형 및 지질,


평가항목
지하수 변화 등 지하수 변화 등 지반 안전성 등 공동조사

협의 또는 국토부장관 및 국토부장관 및
국토부장관 시장∙군수∙구청장
제출기관 승인기관의 장 승인기관의 장

평가결과 지하안전확보 및 중점관리대상지정 및


사업계획의 보정 사업계획의 보정
활용 재평가 해제

- 195 -
제9장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9.2 조사 내용
∙ 실시설계자료와 지하안전영향평가서를 기초로「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제 21조 제2항에
작성방향
따라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는 조사 항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록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별표4에 따른 조사방법을 명기하며, 과업특성상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시 필요한


조사내용을 추가함

조사항목 조사방법

가. 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1. 지반 및 지질 현황
나. 지하물리탐사(지표레이더탐사,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탐사 등)
가. 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2.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나. 지하수 관측망 자료, 주변 계측 자료 등 분석
가.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지하안전확보방안 적정성 분석
3. 지하안전확보방안의 이행 여부
나. 지하안전확보방안 이행 여부 검토
가. 지중경사계, 지표침하계, 하중센서, 균열측정기 등을 통한 계측
4. 지반안전성
나. 계측자료 분석을 통한 지반안전성 및 주변 시설물 영향 분석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의 조사내용은 표 다음과 같으며, 조사항목 및 방법은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


법 시행령」 제21조 제2항 및 「지하안전관리 업무지침」 별표5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서 작성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시함

조사항목 조사방법

가. 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1. 지반 및 지질현황
나. 지하물리탐사(지표레이더탐사,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탐사 등)

가. 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예 2.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나. 지하수 관측망 자료, 주변 계측 자료 등 분석


3. 지하안전확보방안의 가.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지하안전확보방안 적정성 분석
이행 여부 나. 지하안전확보방안 이행 여부 검토

가. 지중경사계, 지표침하계, 하중센서, 균열측정기 등을 통한 계측


4. 지반안전성
나. 계측자료 분석을 통한 지반안전성 및 주변 시설물 영향 분석

가. 착공시부터 준공시까지 지하안전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여부 확인


5. 기타 나. 지하안전영향평가 제출도서 대비 시공시 변경사항에 대한
적정성 검토

비고 : 지하물리탐사란 지하의 상태나 변화를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 196 -
지하안전영향평가서 매뉴얼

9.3 조사 시기
작성방향 ∙ 굴착공사기간을 포함한 전체 공정계획을 바탕으로 지하안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는 주요시기를 선정함

주요내용 굴착 터널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는 굴착시부터 지하골조공사완료시까지 조사를 수행함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서의 제출 시기는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의 시행(2020.07.01.)에 따라
시행 이전과 이후 제출시기를 구분함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 이전(2020년 7월 1일)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행 사업

구 분 제출시기
사후지하안전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가 끝난 날부터 60일 이내에 전자문서의 형태로 국토교통부장관 및
영향조사 승인기관의 장에게 제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 이후(2020년 7월 1일)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행 사업

구 분 제출시기
매달 말일을 기준으로 • 그 다음 달 10일까지 지난달의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내용, 다만, 사후지하안전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가
실시중인 경우 영향조사의 실시기간이 30일 이내인 경우는 제외한다.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가 • 종료일부터 15일 이내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서와 지하안전을 위하여 조치가 필


종료된 경우 요한 사실 및 조치내용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서는 월간(최초보고서, 월간보고서, 최종보고서)으로 시기마다 제출하며, 착공시 지하안전영


향평가서 및 협의내용 반영여부를 포함하여 최초보고서를 제출하고, 매월 시공현황 및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월간보
고서를 제출하며, 지하공사 완료 후 전체 조사된 내용을 포함하여 최종보고서를 제출함

구 분 최초보고서 월간보고서 최종보고서


1. 요약문 ○

2. 대상사업의 개요 ○ ○ ○

3. 대상지역의 설정 ○ ○

4. 지반 및 지질현황 ○ ○

5. 지하수 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 ○ ○

6. 지반안전성 검토 ○ ○ ○
7. 지하안전확보방안 적정성
○ ○
및 이행여부 검토
8. 종합평가 및 결론 ○ ○ ○

9. 부록 (계측보고서, ○
공사진행 확인자료)

- 197 -
제9장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OO시 OO구 OO동 신축공사은 2020년 02월 초에 착공(예정)하여 2021년 06월말에 준공(예정)하는 것
으로 공정계획을 수립함

굴착에 따라 인접 구조물 및 매설물 등에 미치는 영향은 굴착공사 시점부터 지하골조가 완료 시까지로


판단되므로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시기를 2020년 02월 초 ~ 2020년 10월 말까지 선정함

조사시기 선정사유
∙ 굴착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지하층이 완료되는 기간까지 협의사항
2020년 02월 초(착공) ~
이행여부 확인, 계측결과와 예측값을 상시 비교·분석하여 지하안
2020년 10월 말(지하골조완료)
전을 확보하기 위함

- 198 -
제 10 장 부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매뉴얼

제 10 장 부 록
주요내용 굴착 터널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에 참고자료 등을 부록에 첨부함

구 분 작성내용

∙ 지하안전영향평가를 대행한 전문기관을 기재하고 등록증 수록


1. 참여인원 인적사항 ∙ 평가에 참여한 자의 인적사항을 평가항목별 및 참여내용별로 세분하여 구체적으
로 기재하고 전문교육 이수확인을 위하여 수료증 수록

2. 지반조사 자료 ∙ 시추주상도, 투수시험, 지하물리탐사, 지하수 조사 시험 등 현장 조사 결과 수록

3. 용어해설 ∙ 지하안전영향평가서에 사용한 용어에 대하여 해설 수록

4. 수치해석 검토자료 ∙ 지하수영향 및 지반안전성 해석 DATA를 수록

5. 참고문헌 ∙ 인용하였거나 참고한 문헌 수록

6. 계약서 ∙ 지하안전영향평가서 계약서 수록

7. 설계도서 ∙ 설계도면 및 구조계산서 수록(책임기술자 도장 날인)

8. 보완요구사항 조치결과 ∙ 보완요구사항에 대한 조치결과 및 자문위원 조치결과 확인사항 수록

- 199 -
제10장부 록

- 200 -
제 11 장 참고자료

- 요약표
- 지하안전영향평가 체크리스트
-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체크리스트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요약표

□ 총 괄
사업명 OO역 청년주택 신축공사

위 치 서울특별시 송파구 OO동 00번지 외 1필지

지하개발사업자 - 평가대행기관 -
사업개요
승인기관 서울특별시 송파구청 공사개요 지상21층/지하6층

굴착깊이 25.0~29.2m 굴착면적 1,961.75m2


사업기간 사업비
32개월/11개월 1,300억원 / 00억원
(전체/지하) (전체/굴착공사)
⦁평가대행기관 전문기관 등록증 O
평가대행기관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교육 수료증
O
책임/참여기술자 전원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계약서 O
(소규모)
지하안전 ⦁하도급 진행시 지하개발사업자의 동의여부 등 관련자료 O
영향평가계약
⦁분리계약 이행여부 O

지반조사 ⦁현장 및 실내시험 결과 성적성에 책임 기관의 직인 날인 O


⦁평면도(현황측량자료 포함) O
⦁단면도 O
⦁전개도 O
⦁상세도 O
⦁지하매설물도 O
설계도면
⦁시공순서도 O
⦁굴착계획 평면도(암반) O
⦁계측계획 평면도(수량, 빈도, 관리기준 포함) O

흙막이 설계 ⦁계측계획 단면도 O


도서 ⦁배수계획도 O
⦁A-A(좌) O
⦁A-A(우) O
⦁B-B(좌) O
구조계산서
⦁B-B(우) O
⦁C-C(좌) O
⦁C-C(우) O
⦁도면 및 구조계산서에 책임기술자 날인 O
⦁지반조사 및 시험성적서 책임기술자 날인 O
⦁하수관로 CCTV조사 계획 수립 O
기타
⦁E.L, G.L 병기여부 O
□ 대상사업 및 대상지역

벽 체 토사구간 : C.I.P 530, 암반구간 : ACTPILE-336x250x6/15 + 숏크리트


지지공법 SLAB지지공법
흙막이 계획
차수그라우팅 S.G.R 600, C.T.C 530mm 시험시공 O
소규모진동제어발파,
암반굴착공법 시험발파
정밀진동제어발파, 미진동굴착
이론식 및 경험식 수치해석
적 용
검토범위
Peck Clough 산정기준 영향범위
산정
58.42m 58.42m 0.30mm 44.37m 60.00m

도로 현황 ⦁동남로0길, OO로, OO대로, OO대로22길

지하철 현황 ⦁8호선(문정역사)
건축물 ⦁OO아파트, OO빌딩, OO빌딩 등 34개소

인접구조물 지하구조물 ⦁근린공원 주차장, 하수BOX


현황 1, 2종 시설물 ⦁OO역사
기타구조물 ⦁OO아파트 등 3종 시설물 6개소
구 분 규격 설치심도 최소이격거리 관련기관

상수관 80~800 0.6~2.3m 0.18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하수관 300~1,200 0.6~1.9m 0.27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지하매설물
전력관 100~175 0.1~0.9m 25.02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현황
통신관 50~100 0.6~1.2m 1.25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가스관 50~300 0.7~1.6m 4.22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지역난방관 225~710 1.1~1.4m 33.49 지하정보 활용지원센터
공사기간 안전성
인접 공사명 현재공정 이격거리 비 고
(지하/지상) 검토 반영
공사현장
현황 -
□ 지반 및 지질현황
지층현황 NH-1 NH-2 NH-3 NH-4
매립층 0.0~4.5 0.0~4.3 0.0~1.3 0.0~4.5
퇴적층(점토) 4.5~13.8 4.3~12.3 1.3~5.4 4.5~8.5
퇴적층(모래) - 12.3~13.8 5.4~10.8 8.5~11.3
퇴적층(자갈) 13.8~14.5 - - -
시추조사
풍화토 14.5~15.0 13.8~15.0 - 11.3~14.0
풍화암 15.0~19.6 15.0~20.5 10.8~16.3 14.0~18.0
연암 19.6~27.0 20.5 16.3 18.0
경암 27.0 - - -
⦁ 매립층 1.3~4.5m / 퇴적층4.0~9.3m(점토) / 퇴적층(모래) 1.5~5.4m / 퇴적층(자갈) 0.7m
풍화토 0.5~2.7m / 풍화암 4.0~5.5m / 연암 4.5~7.4m / 경암 3.0m (굴착저면)
24시간(2020.00.00) 48시간(2020.00.00) 72시간(2020.00.00)
구 분
G.L(-)m E.L(+)m G.L(-)m E.L(+)m G.L(-)m E.L(+)m

공내 NH-1 13.20 8.60 13.40 8.40 13.50 8.30


지하수위 NH-2 11.20 9.50 11.60 9.10 11.80 8.90
NH-3 9.70 7.90 9.90 7.70 10.00 7.60
NH-4 9.40 8.50 9.60 8.30 9.80 8.10
현장투수/수압시험 공내전단시험 공내재하시험
4회/2회 2회 2회
양수시험 지하수 유향·유속시험 순간충격시험
현장시험
1회 1회 -
GPR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탐사
1식 - 1개소
2D ⦁3D-Radar
탐사장비
3D ⦁OKO 3 Georadar
지하 2D ⦁의심공동 없음
탐사결과
공동탐사 3D ⦁의심공동 1개소
2D ⦁
조사계획
3D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시 추적관찰
단위중량 내부마찰각 점착력 c 변형계수 지반반력계수 투수계수 포아송비
구분
(KN/㎥) ø (kPa) (MPa) (KN/㎥) (cm/s) ν
매립층 17.0 23.0 0.0 9.0 15,230 1.21×10-3 0.35
-5
퇴적층(점토) 17.0 15.0 20.0 5.0 12,130 2.89×10 0.39
-4
퇴적층(모래) 18.0 25.0 5.0 15.0 25,530 6.27×10 0.35
설계
퇴적층(자갈) 20.0 31.0 0.0 40.0 21,300 8.27×10-3 0.34
지반정수
-4
풍화토 19.0 28.0 20.0 30.0 33,830 2.60×10 0.32
풍화암 21.0 31.0 28.0 100.0 40,000 7.83×10-5 0.30
-5
연 암 23.0 34.0 100.0 200.0 60,000 5.29×10 0.27
경 암 24.0 40.0 200.0 300.0 100,000 3.85×10-5 0.25
-5
그라우팅 - - - - - 1.00×10 -
□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단면 A-A 단면 B-B 단면 C-C
구 분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좌측 우측
지반고(E.L.(+)m) 17.60 19.20 20.50 17.90 20.50 17.60
관측 E.L(+)m 7.60 8.10 8.90 8.10 8.30 7.60
지하수위 G.L(-)m 10.00 11.10 11.60 9.80 12.20 10.00
침투해석 상승고(m) 2.89 3.87 4.06 3.96 2.07 2.12
국가
성남OO 2.86
설계지하수위 관측망
산정 OO병원 0.98
보조
OO아파트 1.41
관측망
OO공원 2.84
인접하천 홍수위 - - - - - -
인접바다 만조위 - - - - -
적용 상승고(m) 5.36 4.86 4.06 4.86 4.66 5.36
설계 E.L(+)m 12.96
지하수위 G.L(-)m 4.64 6.24 7.54 4.94 7.54 4.64
광역지하수 지하수위 저하량 ⦁1.65~2.87m
흐름 분석 유출량 ⦁최대 142.46㎥/day
A-A 단면(좌측)
굴착
굴착깊이 지하수위 지하수위 저하량(m)
단계
GL.(-).m EL(+).m GL.(-).m 단계별 누적
초기 0.00 12.96 4.64 0.00 0.00
1단계 2.70 12.90 4.70 0.06 0.06
2단계 6.10 12.31 5.29 0.59 0.65
3단계 9.75 12.09 5.51 0.22 0.87
4단계 13.05 11.96 5.64 0.23 1.00
5단계 16.35 11.77 5.83 0.19 1.19
6단계 19.45 11.61 5.99 0.16 1.35
7단계 25.01 11.41 6.19 0.20 1.55
8단계 25.01 11.31 6.29 0.10 1.65
침투해석 9단계 - - - - -
A-A 단면(우측)
굴착
굴착깊이 지하수위 지하수위 저하량(m)
단계
GL.(-).m EL(+).m GL.(-).m 단계별 누적
초기 0.00 12.96 6.24 0.00 0.00
1단계 2.80 12.95 6.25 0.01 0.01
2단계 7.70 12.61 6.59 0.34 0.35
3단계 11.31 12.34 6.86 0.27 0.62
4단계 14.65 12.22 6.98 0.12 0.74
5단계 17.95 11.90 7.30 0.32 1.06
6단계 21.05 11.27 7.93 0.63 1.69
7단계 23.80 10.81 8.39 0.46 2.15
8단계 27.91 10.43 8.77 0.38 2.53
9단계 - - - - -
B-B 단면(좌측)
굴착
굴착깊이 지하수위 지하수위 저하량(m)
단계
GL.(-).m EL(+).m GL.(-).m 단계별 누적
초기 0.00 12.96 7.54 0.00 0.00
1단계 1.20 12.95 7.55 0.01 0.01
2단계 3.96 12.95 7.55 0.00 0.01
3단계 9.00 12.42 8.08 0.53 0.54
4단계 12.65 12.32 8.18 0.10 0.64
5단계 15.95 12.18 8.32 0.14 0.78
6단계 19.25 11.78 8.72 0.40 1.18
7단계 22.35 11.56 8.94 0.22 1.40
8단계 25.10 10.91 9.59 0.65 2.05
9단계 29.21 10.09 10.41 0.82 2.87
B-B 단면(우측)
굴착
굴착깊이 지하수위 지하수위 저하량(m)
단계
GL.(-).m EL(+).m GL.(-).m 단계별 누적
초기 0.00 12.96 4.94 0.00 0.00
1단계 0.85 12.95 4.95 0.01 0.01
2단계 3.15 12.95 4.95 0.00 0.01
3단계 6.40 12.54 5.36 0.41 0.42
4단계 10.05 12.28 5.62 0.26 0.68
5단계 13.35 12.14 5.76 0.14 0.82
6단계 16.65 11.68 6.22 0.46 1.28
7단계 19.75 11.36 6.54 0.32 1.60
8단계 22.50 10.50 7.40 0.86 2.46
9단계 26.61 10.22 7.68 0.28 2.74
침투해석 C-C 단면(좌측)
굴착
굴착깊이 지하수위 지하수위 저하량(m)
단계
GL.(-).m EL(+).m GL.(-).m 단계별 누적
초기 0.00 12.96 7.54 0.00 0.00
1단계 1.20 12.96 7.54 0.00 0.00
2단계 3.60 12.95 7.55 0.01 0.01
3단계 6.00 12.92 7.58 0.03 0.04
4단계 9.46 12.77 7.73 0.15 0.19
5단계 12.65 12.50 8.00 0.27 0.46
6단계 15.95 12.03 8.47 0.47 0.93
7단계 19.25 11.36 9.14 0.67 1.60
8단계 22.35 10.71 9.79 0.65 2.25
9단계 25.61 10.28 10.22 0.43 2.68
C-C 단면(우측)
굴착
굴착깊이 지하수위 지하수위 저하량(m)
단계
GL.(-).m EL(+).m GL.(-).m 단계별 누적
초기 0.00 12.96 4.64 0.00 0.00
1단계 0.00 12.96 4.64 0.00 0.00
2단계 2.10 12.91 4.69 0.05 0.05
3단계 2.10 12.89 4.71 0.02 0.07
4단계 6.10 11.98 5.62 0.91 0.98
5단계 9.75 11.45 6.15 0.53 1.51
6단계 13.05 11.01 6.59 0.44 1.95
7단계 16.35 10.83 6.77 0.18 2.13
8단계 19.45 10.70 6.90 0.13 2.26
9단계 23.71 10.55 7.05 0.15 2.41
단면 A-A 단면 B-B 단면 C-C
굴착 총유출량
단계 (m3/day)
좌측 우측 좌측 우측 바닥 좌측 우측 바닥

1단계 - - 0.00 0.00 0.02 0.00 - 0.00 0.02

2단계 0.00 0.00 0.00 0.00 0.05 0.00 0.00 1.90 1.95

3단계 0.13 0.05 0.20 0.01 20.74 0.00 0.00 1.57 21.93

총유출량 4단계 2.31 0.03 0.04 1.70 1.71 0.26 0.14 5.64 11.77

5단계 3.01 1.96 0.53 2.02 17.52 1.36 2.13 32.02 59.91

6단계 6.17 4.27 4.80 6.60 14.38 10.61 0.11 33.87 80.29

7단계 6.72 8.87 7.13 8.10 16.09 22.92 12.38 33.87 115.49

8단계 11.02 8.69 6.67 10.75 15.65 22.14 13.43 38.37 126.15

9단계 10.26 12.70 10.26 13.33 11.61 29.62 19.12 35.99 142.46
□ 지반안전성
굴착깊이 허용수평변위(mm) 발생변위
구 분 안전성
(m) (0.0025H) (mm)

A-A 좌측 25.01 62.53 19.12 O.K


단면 우측 27.91 69.78 53.28 O.K
흙막이 벽체
안전성 B-B 좌측 29.21 73.03 35.37 O.K
단면 우측 26.61 66.53 30.45 O.K

C-C 좌측 25.61 64.03 30.54 O.K


단면 우측 23.71 59.28 25.67 O.K
허용기준
구분 발생변위 안전성
(목표기준)

궤간틀림 2.00mm 0.00mm O.K

지하철
선로 수평틀림 5.00mm 0.07mm O.K

면틀림 5.00mm 0.141mm O.K

줄틀림 5.00mm 0.157mm O.K

구분 허용기준 발생변위 안전성

유한요소
상수관 25.00mm 2.34mm O.K
해석

하수관 25.00mm 2.67mm O.K

지하매설물 우수관 25.00mm 1.28mm O.K

통신관 25.00mm 0.95mm O.K

가스관 25.00mm 0.75mm O.K

지역난방관 25.00mm 1.35mm O.K

구분 허용기준 발생변위 안전성

송파대로 25.00mm 7.22mm O.K

도로 문정로 25.00mm 8.90mm O.K

송파대로22길 25.00mm 8.81mm O.K

동남로2길 25.00mm 7.82mm O.K


구조물
구분 허용기준 발생변위 안전성
(건물)

BD1 각변위 1/500 1/14,383 O.K

BD5 각변위 1/500 1/9,947 O.K

BD6 각변위 1/500 1/6,856 O.K

BD7 각변위 1/500 1/5,862 O.K

BD8 각변위 1/500 1/6,922 O.K

BD9 각변위 1/500 1/10,746 O.K

BD10 각변위 1/500 1/102,621 O.K

BD15 각변위 1/500 1/13,340 O.K

BD16 각변위 1/500 1/11,414 O.K

BD17 각변위 1/500 1/14,388 O.K

BD18 각변위 1/500 1/20,992 O.K


유한요소
해석
BD19 각변위 1/500 1/5,708 O.K

BD20 각변위 1/500 1/5,647 O.K

BD21 각변위 1/500 1/8,030 O.K

BD22 각변위 1/500 1/12,980 O.K

BD23 각변위 1/500 1/14,641 O.K

BD24 각변위 1/500 1/19,776 O.K

BD25 각변위 1/500 1/11,885 O.K

BD26 각변위 1/500 1/14,975 O.K

BD27 각변위 1/500 1/12,686 O.K

BD28 각변위 1/500 1/21,856 O.K

BD29 각변위 1/500 1/28,714 O.K

문정역 각변위 1/500 1/43,720 O.K


굴착깊이 허용변위(mm) 발생변위
흙막이 검토결과
(m) (0.0025H) (mm)
벽체
변위 25.01 62.53 25.40 O.K

발생응력
구 분 허용응력 발생응력
/허용응력비

압축응력 11.23 24.00 0.47

C.I.P 인장응력 125.01 270.00 0.46

전단응력 0.79 1.33 0.59


A-A 휨응력 165.61 315.00 0.53
단면 측면말뚝
좌측 부재검토 전단응력 61.17 180.00 0.34
(ACT PILE)
합성응력 0.53 1.00 0.53

휨응력 2.63 12.60 0.21


숏크리트
전단응력 0.32 0.55 0.58

활동 전도 지지
레이커
키커블럭
- - -

근입깊이 9.84 1.20 O.K

탄소성·보 굴착저면 히빙/보일링 풍화암 이상 근입 - -


해석 굴착깊이 허용변위(mm) 발생변위
흙막이 검토결과
(m) (0.0025H) (mm)
벽체
변위 27.91 69.78 37.80 O.K

발생응력
구 분 허용응력 발생응력
/허용응력비

압축응력 15.62 24.00 0.65

C.I.P 인장응력 173.95 270.00 0.64

전단응력 1.00 1.33 0.79


A-A 휨응력 227.84 315.00 0.72
단면 측면말뚝
부재검토 전단응력 94.64 180.00 0.53
우측 (ACT PILE)
합성응력 0.73 1.00 0.73

휨응력 3.11 12.60 0.25


숏크리트
전단응력 0.38 0.55 0.69

레이커 활동 전도 지지
키커블럭
- - -

근입깊이 10.19 1.20 O.K

굴착저면 히빙/보일링 풍화암 이상 근입 - -


굴착깊이 허용변위(mm) 발생변위
흙막이 검토결과
(m) (0.0025H) (mm)
벽체
변위 29.21 73.03 36.90 O.K

발생응력
구 분 허용응력 발생응력
/허용응력비

압축응력 15.96 24.00 0.67

C.I.P 인장응력 177.77 270.00 0.66

전단응력 0.94 1.33 0.71


B-B 휨응력 202.68 315.00 0.64
단면 측면말뚝
좌측 부재검토 전단응력 83.89 180.00 0.47
(ACT PILE)
합성응력 0.65 1.00 0.65

휨응력 3.07 12.6 0.24


숏크리트
전단응력 0.38 0.55 0.69

활동 전도 지지
레이커
키커블럭
- - -

근입깊이 9.52 1.20 O.K

탄소성·보 굴착저면 히빙/보일링 풍화암 이상 근입 - -


해석 굴착깊이 허용변위(mm) 발생변위
흙막이 검토결과
(m) (0.0025H) (mm)
벽체
변위 26.61 66.53 31.30 O.K

발생응력
구 분 허용응력 발생응력
/허용응력비

압축응력 13.53 24.00 0.56

C.I.P 인장응력 150.62 270.00 0.56

전단응력 1.06 1.33 0.80


B-B 휨응력 208.97 315.00 0.66
단면 측면말뚝
부재검토 전단응력 89.51 180.00 0.50
우측 (ACT PILE)
합성응력 0.67 1.00 0.67

휨응력 2.96 12.6 0.23


숏크리트
전단응력 0.36 0.55 0.65

레이커 활동 전도 지지
키커블럭
- - -

근입깊이 11.54 1.20 O.K

굴착저면 히빙/보일링 풍화암 이상 근입 - -


굴착깊이 허용변위(mm) 발생변위
흙막이 검토결과
(m) (0.0025H) (mm)
벽체
변위 25.61 64.03 25.10 O.K

발생응력
구 분 허용응력 발생응력
/허용응력비

압축응력 17.24 24.00 0.72

C.I.P 인장응력 191.97 270.00 0.71

전단응력 0.91 1.33 0.68


C-C 휨응력 175.93 315.00 0.56
단면 측면말뚝
좌측 부재검토 전단응력 64.88 180.00 0.36
(ACT PILE)
합성응력 0.56 1.00 0.56

휨응력 2.91 12.6 0.23


숏크리트
전단응력 0.36 0.55 0.65

활동 전도 지지
레이커
키커블럭
- - -

근입깊이 54.35 1.20 O.K

탄소성·보 굴착저면 히빙/보일링 풍화암 이상 근입 - -


해석 굴착깊이 허용변위(mm) 발생변위
흙막이 검토결과
(m) (0.0025H) (mm)
벽체
변위 23.71 59.28 21.00 O.K

발생응력
구 분 허용응력 발생응력
/허용응력비

압축응력 9.96 24.00 0.42

C.I.P 인장응력 110.90 270.00 0.41

전단응력 0.75 1.329 0.56


C-C 휨응력 160.88 315.00 0.51
단면 측면말뚝
부재검토 전단응력 61.75 180.00 0.34
우측 (ACT PILE)
합성응력 0.51 1.00 0.51

휨응력 2.65 12.6 0.21


숏크리트
전단응력 0.33 0.55 0.60

레이커 활동 전도 지지
키커블럭
- - -

근입깊이 14.50 1.20 O.K

굴착저면 히빙/보일링 풍화암 이상 근입 - -


□ 지하안전확보방안

계측빈도
구분 설치수량 설치시기
설치후 굴착중 굴착후 되메우기

지중경사계 7개소 굴착공사 이전 1회/일(3일간) 2회/주 1회/주

1~2회/일, 1~2회/일,
지하수위계 7개소 굴착공사 이전 1회/일(1일간)
공사중지 공사중지

7개소
지표침하계 굴착공사 이전 1회/일(3일간) 2회/주 1회/주
(21개)

부재거치 이전
변형률계 70개소 3회/일(1일간) 2회/주 1회/주
또는 Jacking 이전
계측기
설치계획
건물경사계 36개소 굴착공사 이전 3회/일(1일간) 2회/주 1회/주

균열측정계
36개소 굴착공사 이전 3회/일(1일간) 2회/주 1회/주
(인접구조물)

균열측정계
2개소 굴착공사 이전 3회/일(1일간) 자동화계측 자동화계측
(문정역사)

진동소음계
2개소 굴착공사 이전 3회/일(1일간) 자동화계측 자동화계측
(문정역사)

EL. BEAM
2개소 굴착공사 이전 3회/일(1일간) 자동화계측 자동화계측
(문정역사)
계측관리기준
구 분
1차 관리기준 2차 관리기준 3차 관리기준
주간변화량 2mm 4mm 10mm
A-A(좌) 15.93mm 이하 15.93mm 23.90mm
A-A(우) 44.40mm 이하 44.40mm 66.60mm
지중
누적 B-B(좌) 29.48mm 이하 29.48mm 44.21mm
경사계
변화량 B-B(우) 25.38mm 이하 25.38mm 38.06mm
C-C(좌) 25.45mm 이하 25.45mm 38.18mm
C-C(우) 21.39mm 이하 21.39mm 32.09mm
일수위 변화량 0.50m 0.75m 1.00m
A-A(좌) 1.65m 3.08m 4.51m
A-A(우) 2.53m 3.96m 5.39m
지하 누적 B-B(좌) 2.87m 4.30m 5.73m
수위계 수위
변화량 B-B(우) 2.74m 4.17m 5.60m
C-C(좌) 2.68m 4.11m 5.54m
C-C(우) 2.41m 3.84m 5.27m
A-A(좌) 18.39mm 22.99mm 25mm
계측
관리기준 A-A(우) 19.62mm 24.53mm 25mm
B-B(좌) 16.89mm 21.11mm 25mm
지표침하계
B-B(우) 10.10mm 12.63mm 25mm
C-C(좌) 14.02mm 17.53mm 25mm
C-C(우) 14.73mm 18.41mm 25mm
건물경사계 1/1,000 1/850 1/500
건물균열계 0.20mm 0.38mm 0.50mm

가축류등 0.1cm/s

유적, 문화재,
0.2cm/s
컴퓨터시설물

재래주택
0.3cm/s
(조적식, 목재)
진동계
주택,
0.5cm/s
아파트(RC조)

상업용 건축물 1.0cm/s

철골콘크리트
5.0cm/s
건물 및 공장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전체공사기간 2020년 10월 ~ 2023년 05월 (32개월)


/굴착 공사기간 / 2020년 10월 ~ 2021년 10월 (13개월)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기간 ⦁굴착공사~지하골조 완공시

⦁굴착공사 착수 다음달 10일까지 제출(단, 실시기간이 10일 이내인 경우


최초조사서
는 그 다음달에 제출)

조사서
월간조사서 ⦁매월 10일 까지 지날달의 조사내용을 제출
제출 시기

⦁지하골조 완료된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조사서와 지하안전을 위하여


최종조사서
조치가필요한 사실 및 조치 내용
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Check list

1. 지하안전영향평가 사업의 개요

협의기관 검토기관
담당자 담당자

사업명

위 치

지하개발사업자 평가대행기관

굴착심도 굴착면적

사업기간(전체/지하) 사업비(전체/지하)

2. 협의요건 충족여부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자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등록 O.X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행정처분 O.X

▪책임기술자 및 참여기술자 지하안전 전문교육 이수 O.X

▪책임기술자 보수교육(21시간) 이수 O.X

◎지하안전영향평가 관련 근거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안전영향평가 계약의 적정성(지하개발사업자와 계약 및 분리계약 여부) O.X

▪현황측량 및 굴착계획을 통한 최대굴착깊이 산정의 적정성 O.X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에 따른 대상사업의 실시 기준에 따른 제출 여부 O.X

▪사업종류에 따른 협의요청시기의 적정성 O.X


3. 평가항목의 적정성

◎지반조사 평가항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시추조사 수행여부 O.X

▪투수시험(현장투수시험, 암반수압시험) O.X

▪지하물리탐사(지표레이터탐사,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 탐사 등) 수행 여부 O.X

▪지하수 조사시험(양수시험, 순간충격시험 등) 수행 여부 O.X

◎안전성 검토 평가 항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정보통합체계를 통한 정보분석 O.X

▪광역지하수 흐름분석 O.X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전성 영향분석 O.X

▪주변 시설물의 안전성 분석 O.X

◎현장조사 평가항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인접구조물에 대한 현장조사(1,2,3 종 시설물 조사 포함) O.X

▪대상지역 내 지하매설물 조사 O.X

▪도로 현황 및 상태조사 O.X

▪지하철 및 철도 등 시설물 조사 O.X

4. 평가서 작성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별표2, 3에 따른 작성의 적정성 O.X

▪부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 인적사항 O.X

▪부록, 지반 및 지하수 조사자료 O.X

▪부록, 용어해석 O.X

▪부록, 수치해석 검토자료 O.X

▪부록, 평가서 작성 인용문헌 및 참고자료 O.X


5. 세부 항목별 검토

◎ 대상사업의 개요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2-1 ▪대상사업의 배경,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기술의 적정성

2-2 ▪사업승인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현황 수록의 적정성

2-3 ▪건축단면도 또는 조감도의 수록여부

2-4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공법선정 및 공법의 적정성 검토 여부

2-5 ▪굴착 계획의 평면, 단면 및 공법 현황 수록 여부

2-6 ▪현황측량도 및 굴착계획 평면도를 고려한 최대 굴착깊이 산정의 적정성

검토

의견

◎ 대상지역의 설정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3-1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2 ▪수치해석 방법, 검토범위 산정의 적정성

3-3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 수치해석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4 ▪시특법 상 1,2,3 종 시설물 조사 및 점검 등급 조사결과 수록 여부

3-5 ▪검토범위내 시설물 조사 결과(현장사진, 이격거리, 준공연도 등 수록)

3-6 ▪검토범위 내 인접도로 현황조사 결과(현장사진, 침하, 균열여부 등 수록)

3-7 ▪검토범위 내 지하매설물 조사 결과(종류, 위치, 심도 등 수록)

3-8 ▪검토범위 내 굴착현장 조사 결과(이격거리, 굴착공법, 굴착시기 등)

검토

의견
◎ 지반 및 지질현황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4-1 ▪시추조사(NX규격) 수량 및 간격의 적정성


-기존 건물 위치시 조사계획 수립 여부)
4-2 ▪현장시험의 항목 및 수량(대상사업의 종류, 규모 고려)의 적정성

4-3 ▪지형도 및 항공사진 등을 이용한 산계 및 수계 분석 결과의 적정성

4-4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층별 특성 분석 및 기반암 출현심도 분석

4-5 ▪공내 지하수위 조사(24, 48, 72시간)의 적정성

▪물리탐사시 위치 및 수량의 적정성


4-6 - 검토 구간내 도로 수행여부
- 탐사장비의 적정성(GPR탐사의 경우) 3D GPR 탐사 수행
4-7 ▪공동발견시 공동의 위치, 조치 방안 등의 수록 여부

▪대상지역 인근 지반조사 자료 분석을 통하여 대상지역 지반조사 결과와 비교분석 수


4-8

▪과거 지형이력을 확인을 통하여 대상지역의 하천 또는 수로 등 지형학적 특성을 분
4-9
석 여부

4-10 ▪설계지반 정수 산정을 위해 대표 N치를 선정 여부

4-11 ▪지층별 문헌조사 결과의 수록 여부

4-12 ▪경험식을 이용한 지반정수 산정 여부

4-13 ▪대상지역 인근 지반정수 사례를 분석 여부

▪문헌조사, 경험식, 현장시험값 및 설계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종합적이며, 합리적으로


4-14
지반물성을 산정 여부

검토

의견

◎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기존 관측망 자료, 인접하천 홍수위, 인접 바다의 만조위 등를 활용하여 지하수 특성


5-1
및 연간변동량 산정여부
▪연간변동량은 인접한 국가관측망 1개소 및 보조관측망 3개소를 활용하며, 이때, 보조관
5-2
측망의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근거의 수록 여부

5-3 ▪기존자료를 활용한 하천 수위변동량과 강수량 정보 등의 수록 여부

5-4 ▪현장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지하수 분포, 유동 등의 특성 분석 결과 수록 여



5-5 ▪대상지역 최근 50년간 최대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을 중심으로 30일 이상의 실측 강우량
을 강우강도로 적용하여 지하수위 상승고의 확인 여부
▪지하수위 상승고 해석시 적용된 입력변수의 수록 및 30일 이상의 지하수위 상승경향 분
5-6
석 결과 수록 여부
▪관측공에 따른 연간 변동량과 침투해석에 의한 상승고의 비교 검토를 통한 설계지하수
5-7
위 산정의 적정성

5-8 ▪광역 지하수 흐름 분석 모델링의 적정성(산계 및 수계를 포함한 영역 설정, 도심지 및 택


지조성 등으로 산계 수계의 경계가 모호하여 적용이 어려운 경우 제외)
5-9 ▪광역 지하수 흐름 분석 입력변수 설정의 적정성

5-10 ▪정류해석 결과의 모형 보정결과 및 관측공 지하수의 수렴 여부

5-11 ▪굴착단계가 적용된 부정류 해석 결과의 적정성(지하수위 저하량, 유출량 등)에 대한 분


석결과 수록 여부
5-12 ▪침투해석 평가 위치, 입력물성치 및 단계별 공사기간 산정 근거 수록 여부

5-13 ▪단계별 해석을 통해 지하수위 저하량, 누적수위 변화량 및 유출량 결과 수록 및 분석

5-14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영향 분석 결과 수록 여부

검토

의견

◎ 지반안전성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6-1 ▪수치해석 평가위치, 입력물성치 및 인접구조물 하중 적용 근거 수록 여부

6-2 ▪해석영역의 적정성(좌우 3H, 하부 2H 이상)

6-3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의 모델링 포함 여부

6-4 ▪평가기준 설정의 적정성

6-5 ▪굴착공사에 따른 흙막이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6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등 안전성 확인 결과 수록 여부

6-7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지반안전성 검토결과 수록 여부

6-8 ▪경험식에 의한 인접구조물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9 ▪탄소성보해석에 의한 부재력 검토결과, 굴착저면의 안정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10 ▪해석결과 요약 결과 수록 여부

6-11 ▪굴착저면 안정 확인 결과 수록 여부(풍화암 이상 근입시 생략)

6-12 ▪3차원 해석 조건에 부합시 3차원 해석 수행 여부


검토

의견

◎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7-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7-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7-3 ▪계측기의 계측 빈도 및 설치시기의 적정성

7-4 ▪계측기별 관리기준 3단계 구분 설정 여부

▪관리기준 초과시 단계별, 주체별(계측업체, 시공업체, 감리업체, 지하개발사업자 등) 대


7-5
응방안(조치요령)을 수립
▪지반조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침하 취
7-6
약구간 선정 여부

7-7 ▪지반 침하취약구간의 보강 및 차수방안, 시공시 주의사항의 수록 여부

7-8 ▪착공전 지하매설물 CCTV 조사 계획 수립 여부

7-9 ▪암반층이 분포할 경우, 암반굴착에 따른 진동기준 및 시험시공 계획 수립 여부

7-10 ▪위험공종 및 시공시 현장 안전관리 방안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 종합평가 및 결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8-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8-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9-1 ▪굴착예정공정을 바탕으로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선정의 적정성

9-2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항목의 적정성

검토

의견

◎ 부록

구분 검토항목

10-1 ▪지반, 지하수 조사 성과물

10-2 ▪용어해설

10-3 ▪가시설 설계도면

10-4 ▪수치해석 원본파일

10-5 ▪참고문헌

검토

의견
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Check list(검토기관)

1. 지하안전영향평가 사업의 개요

협의기관 검토기관
담당자 담당자

사업명

위 치

지하개발사업자 평가대행기관

굴착심도 굴착면적

사업기간(전체/지하) 사업비(전체/지하)

2. 대상사업의 개요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2-1 ▪대상사업의 배경,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기술의 적정성

2-2 ▪사업승인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현황 수록의 적정성

2-3 ▪건축단면도 또는 조감도의 수록여부

2-4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공법선정 및 공법의 적정성 검토 여부

2-5 ▪굴착 계획의 평면, 단면 및 공법 현황 수록 여부

2-6 ▪현황측량도 및 굴착계획 평면도를 고려한 최대 굴착깊이 산정의 적정성

검토

의견

3.대상지역의 설정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3-1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2 ▪수치해석 방법, 검토범위 산정의 적정성

3-3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 수치해석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4 ▪시특법 상 1,2,3 종 시설물 조사 및 점검 등급 조사결과 수록 여부


3-5 ▪검토범위내 시설물 조사 결과(현장사진, 이격거리, 준공연도 등 수록)

3-6 ▪검토범위 내 인접도로 현황조사 결과(현장사진, 침하, 균열여부 등 수록)

3-7 ▪검토범위 내 지하매설물 조사 결과(종류, 위치, 심도 등 수록)

3-8 ▪검토범위 내 굴착현장 조사 결과(이격거리, 굴착공법, 굴착시기 등)

검토

의견

4. 지반 및 지질현황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시추조사(NX규격) 수량 및 간격의 적정성


4-1
-기존 건물 위치시 조사계획 수립 여부)

4-2 ▪현장시험의 항목 및 수량(대상사업의 종류, 규모 고려)의 적정성

4-3 ▪지형도 및 항공사진 등을 이용한 산계 및 수계 분석 결과의 적정성

4-4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층별 특성 분석 및 기반암 출현심도 분석

4-5 ▪공내 지하수위 조사(24, 48, 72시간)의 적정성

▪물리탐사시 위치 및 수량의 적정성


4-6 - 검토 구간내 도로 수행여부
- 탐사장비의 적정성(GPR탐사의 경우) 3D GPR 탐사 수행
4-7 ▪공동발견시 공동의 위치, 조치 방안 등의 수록 여부

▪대상지역 인근 지반조사 자료 분석을 통하여 대상지역 지반조사 결과와 비교분석 수


4-8

▪과거 지형이력을 확인을 통하여 대상지역의 하천 또는 수로 등 지형학적 특성을 분
4-9
석 여부

4-10 ▪설계지반 정수 산정을 위해 대표 N치를 선정 여부

4-11 ▪지층별 문헌조사 결과의 수록 여부

4-12 ▪경험식을 이용한 지반정수 산정 여부

4-13 ▪대상지역 인근 지반정수 사례를 분석 여부

▪문헌조사, 경험식, 현장시험값 및 설계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종합적이며, 합리적으로


4-14
지반물성을 산정 여부

검토

의견
5.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기존 관측망 자료, 인접하천 홍수위, 인접 바다의 만조위 등를 활용하여 지하수 특성


5-1
및 연간변동량 산정여부
▪연간변동량은 인접한 국가관측망 1개소 및 보조관측망 3개소를 활용하며, 이때, 보조관
5-2
측망의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근거의 수록 여부

5-3 ▪기존자료를 활용한 하천 수위변동량과 강수량 정보 등의 수록 여부

▪현장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지하수 분포, 유동 등의 특성 분석 결과 수록 여


5-4

▪대상지역 최근 50년간 최대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을 중심으로 30일 이상의 실측 강우량
5-5
을 강우강도로 적용하여 지하수위 상승고의 확인 여부
▪지하수위 상승고 해석시 적용된 입력변수의 수록 및 30일 이상의 지하수위 상승경향 분
5-6
석 결과 수록 여부
▪관측공에 따른 연간 변동량과 침투해석에 의한 상승고의 비교 검토를 통한 설계지하수
5-7
위 산정의 적정성
▪광역 지하수 흐름 분석 모델링의 적정성(산계 및 수계를 포함한 영역 설정, 도심지 및 택
5-8
지조성 등으로 산계 수계의 경계가 모호하여 적용이 어려운 경우 제외)

5-9 ▪광역 지하수 흐름 분석 입력변수 설정의 적정성

5-10 ▪정류해석 결과의 모형 보정결과 및 관측공 지하수의 수렴 여부

▪굴착단계가 적용된 부정류 해석 결과의 적정성(지하수위 저하량, 유출량 등)에 대한 분


5-11
석결과 수록 여부

5-12 ▪침투해석 평가 위치, 입력물성치 및 단계별 공사기간 산정 근거 수록 여부

5-13 ▪단계별 해석을 통해 지하수위 저하량, 누적수위 변화량 및 유출량 결과 수록 및 분석

5-14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영향 분석 결과 수록 여부

검토

의견

6. 지반안전성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6-1 ▪수치해석 평가위치, 입력물성치 및 인접구조물 하중 적용 근거 수록 여부

6-2 ▪해석영역의 적정성(좌우 3H, 하부 2H 이상)

6-3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의 모델링 포함 여부


6-4 ▪평가기준 설정의 적정성

6-5 ▪굴착공사에 따른 흙막이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6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등 안전성 확인 결과 수록 여부

6-7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지반안전성 검토결과 수록 여부

6-8 ▪경험식에 의한 인접구조물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9 ▪탄소성보해석에 의한 부재력 검토결과, 굴착저면의 안정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10 ▪해석결과 요약 결과 수록 여부

6-11 ▪굴착저면 안정 확인 결과 수록 여부(풍화암 이상 근입시 생략)

6-12 ▪3차원 해석 조건에 부합시 3차원 해석 수행 여부

검토

의견

7.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7-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7-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7-3 ▪계측기의 계측 빈도 및 설치시기의 적정성

7-4 ▪계측기별 관리기준 3단계 구분 설정 여부

▪관리기준 초과시 단계별, 주체별(계측업체, 시공업체, 감리업체, 지하개발사업자 등) 대


7-5
응방안(조치요령)을 수립
▪지반조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침하 취
7-6
약구간 선정 여부

7-7 ▪지반 침하취약구간의 보강 및 차수방안, 시공시 주의사항의 수록 여부

7-8 ▪착공전 지하매설물 CCTV 조사 계획 수립 여부

7-9 ▪암반층이 분포할 경우, 암반굴착에 따른 진동기준 및 시험시공 계획 수립 여부

7-10 ▪위험공종 및 시공시 현장 안전관리 방안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8. 종합평가 및 결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8-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8-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9.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9-1 ▪굴착예정공정을 바탕으로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시기 선정의 적정성

9-2 ▪사후지하안전영향조사 항목의 적정성

검토

의견

10. 부록

구분 검토항목

10-1 ▪지반, 지하수 조사 성과물

10-2 ▪용어해설

10-3 ▪가시설 설계도면

10-4 ▪수치해석 원본파일

10-5 ▪참고문헌

검토

의견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Check list

1.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사업의 개요

협의기관 검토기관
담당자 담당자

사업명

위 치

지하개발사업자 평가대행기관

굴착심도 굴착면적

사업기간(전체/지하) 사업비(전체/지하)

2. 협의요건 충족여부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자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등록 O.X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행정처분 O.X

▪책임기술자 및 참여기술자 지하안전 전문교육 이수 O.X

▪책임기술자 보수교육(21시간) 이수 O.X

◎지하안전영향평가 관련 근거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안전영향평가 계약의 적정성(지하개발사업자와 계약 및 분리계약 여부) O.X

▪현황측량 및 굴착계획을 통한 최대굴착깊이 산정의 적정성 O.X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및 시행령에 따른 대상사업의 실시 기준에 따른 제출 여부 O.X

▪사업종류에 따른 협의요청시기의 적정성 O.X


3. 평가항목의 적정성

◎지반조사 평가항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시추조사 수행여부 O.X

▪투수시험(현장투수시험, 암반수압시험) O.X

◎안전성 검토 평가 항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정보통합체계를 통한 정보분석 O.X

▪광역지하수 흐름분석 O.X

▪굴착공사에 따른 지반안전성 영향분석 O.X

▪주변 시설물의 안전성 분석 O.X

◎현장조사 평가항목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인접구조물에 대한 현장조사(1,2,3 종 시설물 조사 포함) O.X

▪대상지역 내 지하매설물 조사 O.X

▪도로 현황 및 상태조사 O.X

▪지하철 및 철도 등 시설물 조사 O.X

4. 평가서 작성의 적정성

검토항목 검토결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별표2, 3에 따른 작성의 적정성 O.X

▪부록, 지하안전영향평가서 작성에 참여한 사람 인적사항 O.X

▪부록, 지반 및 지하수 조사자료 O.X

▪부록, 용어해석 O.X

▪부록, 수치해석 검토자료 O.X

▪부록, 평가서 작성 인용문헌 및 참고자료 O.X


5. 세부 항목별 검토

◎ 대상지역의 설정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3-1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2 ▪수치해석 방법, 검토범위 산정의 적정성

3-3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 수치해석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4 ▪시특법 상 1,2,3 종 시설물 조사 및 점검 등급 조사결과 수록 여부

3-5 ▪검토범위내 시설물 조사 결과(현장사진, 이격거리, 준공연도 등 수록)

3-6 ▪검토범위 내 인접도로 현황조사 결과(현장사진, 침하, 균열여부 등 수록)

3-7 ▪검토범위 내 지하매설물 조사 결과(종류, 위치, 심도 등 수록)

3-8 ▪검토범위 내 굴착현장 조사 결과(이격거리, 굴착공법, 굴착시기 등)

검토

의견

◎ 지반 및 지질현황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시추조사(NX규격) 수량 및 간격의 적정성


4-1
-기존 건물 위치시 조사계획 수립 여부)
4-2 ▪현장시험의 항목 및 수량(대상사업의 종류, 규모 고려)의 적정성

4-3 ▪지형도 및 항공사진 등을 이용한 산계 및 수계 분석 결과의 적정성

4-4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층별 특성 분석 및 기반암 출현심도 분석

4-5 ▪공내 지하수위 조사(24, 48, 72시간)의 적정성

▪대상지역 인근 지반조사 자료 분석을 통하여 대상지역 지반조사 결과와 비교분석 수


4-6

▪과거 지형이력을 확인을 통하여 대상지역의 하천 또는 수로 등 지형학적 특성을 분
4-7
석 여부
4-8 ▪설계지반 정수 산정을 위해 대표 N치를 선정 여부

4-9 ▪지층별 문헌조사 결과의 수록 여부

4-10 ▪경험식을 이용한 지반정수 산정 여부

4-11 ▪대상지역 인근 지반정수 사례를 분석 여부

▪문헌조사, 경험식, 현장시험값 및 설계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종합적이며, 합리적으로


4-12
지반물성을 산정 여부
검토

의견

◎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기존 관측망 자료, 인접하천 홍수위, 인접 바다의 만조위 등를 활용하여 지하수 특성


5-1
및 연간변동량 산정여부
▪연간변동량은 인접한 국가관측망 1개소 및 보조관측망 3개소를 활용하며, 이때, 보조관
5-2
측망의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근거의 수록 여부

5-3 ▪기존자료를 활용한 하천 수위변동량과 강수량 정보 등의 수록 여부

▪현장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지하수 분포, 유동 등의 특성 분석 결과 수록 여


5-4

▪대상지역 최근 50년간 최대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을 중심으로 30일 이상의 실측 강우량
5-5
을 강우강도로 적용하여 지하수위 상승고의 확인 여부
▪지하수위 상승고 해석시 적용된 입력변수의 수록 및 30일 이상의 지하수위 상승경향 분
5-6
석 결과 수록 여부
▪관측공에 따른 연간 변동량과 침투해석에 의한 상승고의 비교 검토를 통한 설계지하수
5-7
위 산정의 적정성

5-8 ▪침투해석 평가 위치, 입력물성치 및 단계별 공사기간 산정 근거 수록 여부

5-9 ▪단계별 해석을 통해 지하수위 저하량, 누적수위 변화량 및 유출량 결과 수록 및 분석

5-10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영향 분석 결과 수록 여부

검토

의견

◎ 지반안전성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6-1 ▪수치해석 평가위치, 입력물성치 및 인접구조물 하중 적용 근거 수록 여부

6-2 ▪해석영역의 적정성(좌우 3H, 하부 2H 이상)

6-3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의 모델링 포함 여부

6-4 ▪평가기준 설정의 적정성

6-5 ▪굴착공사에 따른 흙막이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6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등 안전성 확인 결과 수록 여부

6-7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지반안전성 검토결과 수록 여부


6-8 ▪경험식에 의한 인접구조물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9 ▪탄소성보해석에 의한 부재력 검토결과, 굴착저면의 안정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10 ▪해석결과 요약 결과 수록 여부

6-11 ▪굴착저면 안정 확인 결과 수록 여부(풍화암 이상 근입시 생략)

6-12 ▪3차원 해석 조건에 부합시 3차원 해석 수행 여부

검토

의견

◎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7-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7-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7-3 ▪계측기의 계측 빈도 및 설치시기의 적정성

7-4 ▪계측기별 관리기준 3단계 구분 설정 여부

▪관리기준 초과시 단계별, 주체별(계측업체, 시공업체, 감리업체, 지하개발사업자 등) 대


7-5
응방안(조치요령)을 수립
▪지반조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침하 취
7-6
약구간 선정 여부

7-7 ▪지반 침하취약구간의 보강 및 차수방안, 시공시 주의사항의 수록 여부

7-8 ▪착공전 지하매설물 CCTV 조사 계획 수립 여부

7-9 ▪암반층이 분포할 경우, 암반굴착에 따른 진동기준 및 시험시공 계획 수립 여부

7-10 ▪위험공종 및 시공시 현장 안전관리 방안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 종합평가 및 결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8-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8-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 부록

구분 검토항목

9-1 ▪지반, 지하수 조사 성과물

9-2 ▪용어해설

9-3 ▪가시설 설계도면

9-4 ▪수치해석 원본파일

9-5 ▪참고문헌

검토

의견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검토 Check list(검토기관)

1. 소규모지하안전영향평가 사업의 개요

협의기관 검토기관
담당자 담당자

사업명

위 치

지하개발사업자 평가대행기관

굴착심도 굴착면적

사업기간(전체/지하) 사업비(전체/지하)

2. 대상사업의 개요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2-1 ▪대상사업의 배경,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기술의 적정성

2-2 ▪사업승인 자료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현황 수록의 적정성

2-3 ▪건축단면도 또는 조감도의 수록여부

2-4 ▪대상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공법선정 및 공법의 적정성 검토 여부

2-5 ▪굴착 계획의 평면, 단면 및 공법 현황 수록 여부

2-6 ▪현황측량도 및 굴착계획 평면도를 고려한 최대 굴착깊이 산정의 적정성

검토

의견

3.대상지역의 설정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3-1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2 ▪수치해석 방법, 검토범위 산정의 적정성

3-3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방법, 수치해석에 의한 검토범위 산정

3-4 ▪시특법 상 1,2,3 종 시설물 조사 및 점검 등급 조사결과 수록 여부


3-5 ▪검토범위내 시설물 조사 결과(현장사진, 이격거리, 준공연도 등 수록)

3-6 ▪검토범위 내 인접도로 현황조사 결과(현장사진, 침하, 균열여부 등 수록)

3-7 ▪검토범위 내 지하매설물 조사 결과(종류, 위치, 심도 등 수록)

3-8 ▪검토범위 내 굴착현장 조사 결과(이격거리, 굴착공법, 굴착시기 등)

검토

의견

4. 지반 및 지질현황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시추조사(NX규격) 수량 및 간격의 적정성


4-1
-기존 건물 위치시 조사계획 수립 여부)

4-2 ▪현장시험의 항목 및 수량(대상사업의 종류, 규모 고려)의 적정성

4-3 ▪지형도 및 항공사진 등을 이용한 산계 및 수계 분석 결과의 적정성

4-4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층별 특성 분석 및 기반암 출현심도 분석

4-5 ▪공내 지하수위 조사(24, 48, 72시간)의 적정성

▪대상지역 인근 지반조사 자료 분석을 통하여 대상지역 지반조사 결과와 비교분석 수


4-6

▪과거 지형이력을 확인을 통하여 대상지역의 하천 또는 수로 등 지형학적 특성을 분
4-7
석 여부

4-8 ▪설계지반 정수 산정을 위해 대표 N치를 선정 여부

4-9 ▪지층별 문헌조사 결과의 수록 여부

4-10 ▪경험식을 이용한 지반정수 산정 여부

4-11 ▪대상지역 인근 지반정수 사례를 분석 여부

▪문헌조사, 경험식, 현장시험값 및 설계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종합적이며, 합리적으로


4-12
지반물성을 산정 여부

검토

의견
5.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기존 관측망 자료, 인접하천 홍수위, 인접 바다의 만조위 등를 활용하여 지하수 특성


5-1
및 연간변동량 산정여부
▪연간변동량은 인접한 국가관측망 1개소 및 보조관측망 3개소를 활용하며, 이때, 보조관
5-2
측망의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근거의 수록 여부

5-3 ▪기존자료를 활용한 하천 수위변동량과 강수량 정보 등의 수록 여부

▪현장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지하수 분포, 유동 등의 특성 분석 결과 수록 여


5-4

▪대상지역 최근 50년간 최대강우량이 발생한 시점을 중심으로 30일 이상의 실측 강우량
5-5
을 강우강도로 적용하여 지하수위 상승고의 확인 여부
▪지하수위 상승고 해석시 적용된 입력변수의 수록 및 30일 이상의 지하수위 상승경향 분
5-6
석 결과 수록 여부
▪관측공에 따른 연간 변동량과 침투해석에 의한 상승고의 비교 검토를 통한 설계지하수
5-7
위 산정의 적정성

5-8 ▪침투해석 평가 위치, 입력물성치 및 단계별 공사기간 산정 근거 수록 여부

5-9 ▪단계별 해석을 통해 지하수위 저하량, 누적수위 변화량 및 유출량 결과 수록 및 분석

5-10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영향 분석 결과 수록 여부

검토

의견

6. 지반안전성 검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6-1 ▪수치해석 평가위치, 입력물성치 및 인접구조물 하중 적용 근거 수록 여부

6-2 ▪해석영역의 적정성(좌우 3H, 하부 2H 이상)

6-3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의 모델링 포함 여부

6-4 ▪평가기준 설정의 적정성

6-5 ▪굴착공사에 따른 흙막이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6 ▪인접구조물 및 지하매설물 등 안전성 확인 결과 수록 여부

6-7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사업의 지반안전성 검토결과 수록 여부

6-8 ▪경험식에 의한 인접구조물 안전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9 ▪탄소성보해석에 의한 부재력 검토결과, 굴착저면의 안정성 검토 결과 수록 여부


6-10 ▪해석결과 요약 결과 수록 여부

6-11 ▪굴착저면 안정 확인 결과 수록 여부(풍화암 이상 근입시 생략)

6-12 ▪3차원 해석 조건에 부합시 3차원 해석 수행 여부

검토

의견

7. 지하안전확보방안 수립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7-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7-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7-3 ▪계측기의 계측 빈도 및 설치시기의 적정성

7-4 ▪계측기별 관리기준 3단계 구분 설정 여부

▪관리기준 초과시 단계별, 주체별(계측업체, 시공업체, 감리업체, 지하개발사업자 등) 대


7-5
응방안(조치요령)을 수립
▪지반조건, 지하수변화에 의한 영향 및 지반안전성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침하 취
7-6
약구간 선정 여부

7-7 ▪지반 침하취약구간의 보강 및 차수방안, 시공시 주의사항의 수록 여부

7-8 ▪착공전 지하매설물 CCTV 조사 계획 수립 여부

7-9 ▪암반층이 분포할 경우, 암반굴착에 따른 진동기준 및 시험시공 계획 수립 여부

7-10 ▪위험공종 및 시공시 현장 안전관리 방안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8. 종합평가 및 결론

구분 검토항목 검토결과

8-1 ▪계측기의 설치항목 및 평면 위치의 적정성(설치간격 및 대표단면 설치여부)

8-2 ▪평면 및 단면 위치 수록 여부

검토

의견

9. 부록

구분 검토항목

9-1 ▪지반, 지하수 조사 성과물

9-2 ▪용어해설

9-3 ▪가시설 설계도면

9-4 ▪수치해석 원본파일

9-5 ▪참고문헌

검토

의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