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 보고서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3

한국 사회 속 어린이 혐오의 역사적 관점에서의 원인과 교육적 차원에서의 해결 방법

주제:오늘날 한국 사회에 존재하는 어린이 혐오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성을 존중하는


교육환경을 조성해야한다.

1. 서론
⇒어린이들은 어린이들만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음.
:특수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추가하기
⇒어린이들의 특수성은 성장 과정에 필수적임
⇒하지만 오늘날 한국 사회에 만연하는 ‘노키즈 존’은 어린이들의 특수성에 대해서 한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
:근거=‘노키존’ 식당 혹은 카페로 전화하는 이유가 대부분 성인들이 편하게 식사할 수 있기
위함(노키즈존 운영 실태와 향후 과제)
⇒ 이러한 배제 또한 차별/혐오라고 할 수 있음.
:유엔아동권리위원회와 한국 국가인권위원회에서도 아동의 출입을 제안하는 노키즈존을
차별로 간주하고 있음(을 명시해서 강조하기)
⇒ 사실 어린이들의 특수성을 거부하고 억압하는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유교적 사상으로 인해 과거
교육현장부터시작됨. 따라서 본 고에서는 현재 사회적 층위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드러나고
어린이에 대한 혐오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과거 교육 현장에서 어린이들 스스로 자신의 특수성을
어떻게 거부당하고 억압했는지 고찰한 후 그 해결방안을 찾아볼 것.

2. 본론
(시대 구분을 좀 더 명확한 기준으로 구분하기)

2.1 조선시대(?)
주장:
⇒’인성론’/’충효사상’등을 밑바탕의 교유관으로 하고있는 유교는 유능한 관리 양성, 사대부 양성이
목적이었음. 따라서 당시 교육 현장에서는 아이들은 ‘선비’가 되기를 강요받으며 자신의 특수성을
통해 성장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러한 부분을 억누르도록 학습받음
근거:
⇒ 주자의 ‘대학 ’일부: 하늘이 사람을 내릴 떄 인의 예지의 성품을 부여하지 않음이 없건마는~~”
⇒ 유교의 전통적 아동관이 드러나는 다른 발췌문 더 찾아보기

2.2 근대

2.3 현재
주장
⇒ 위와 같은 역사가 반복된 결과 오늘날 한국의 성인은 그들이 어렸을 때 자신들의 특수성을
거부받은 것처럼, 어린이들을 똑같이 대하고 있음
⇒ 노키존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 적기
⇒이에 대해서 어린이들은 어떻게 느끼는지도 찾아보기

3. 해결방안
어린이들에 대한 거부와 혐오는 한국의 전통적인 교육관으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이 아이들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시스템으로
바뀌어야함.어린이들의 특수성/정체성을 스스로 수용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두
교육현장을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고려해봄

3.1 발도르프학교

3.2 썸머힐 학교

4. 결론 및 제언
5. 참고문헌
-김정수 ( Kim¸ Jeong-soo ). "아동의 기본권 보장에 대한 헌법적 과제 ― ‘노 키즈 존(no kids
zone)’ 관련 정당성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논총 37.4 (2020): 27-57.
-김아름. (2026). 노키즈존 운영 실태와 향후 과제. 육아정책포, 19–35. https://repo.kicc
e.re.kr/handle/2019.oak/5523
-한국의 전통적 아동관과 근대기 아동의 발견. (2022). 초록우산어린이재단, 117, 14–4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