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대기고 오픈랩 탐구실험 보고서

DNA 추출 실험
세제 - 소금 용액량과 DNA 추출량의 양의 상관관계 확인 실험

탐구활동 부문 - 생명과학 ( 유전학 )

참가자 : 채지윤 (10926), 강군호 (10401), 한지혁 (10927)


탐구 요약
논문 조사를 통해 DNA 추출 실험에서 소금에 세제를 넣고 물을 부은 소금 - 세제액이 사용되고 , 세제는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함으로써 세포막의 주성분인 인지질을 녹이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았다 .
그리고 소금의 경우 알콜을 넣어뒀을 때 DNA 가 잘 뭉치게 도와주며 무색인
DNA 가 나트륨 이온과 결합하여 흰색을 띄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
DNA 가 추출되고 뭉치는 데 소금과 세제가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는데 , 이러한 소금과 세제의
양이 많을수록 추출되는 DNA 의 양도 많아질 것 ( 양의 상관관계 ) 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
소금 , 세제의 양과 DNA 양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실제로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 실험을
계획했다 .
안전 수칙
1. 실험복을 반드시 착용한다 .
2. 실험장갑을 반드시 착용한다 .
3. 유리 기구 ( 비커 , 유리 막대 ) 가 깨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탐구 동기
교과학습 서포터즈 시간에 과학 과목과 관련하여 심화 탐구를 하기로 했다 . 과학 분야 중
생명과학 분야에서 심화 탐구를 하기로 했는데 , 지난 1 학기 때 배운 과학 시간 때 배운
유전 물질인 DNA 가 떠올랐다 .
그래서 생명과학 과목의 유전 이론을 주제로 심화 탐구를 하기로 결정했다 .
교과학습 서포터즈 활동에서 생명과학 심화 탐구에 오픈랩 탐구실험이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오픈랩
탐구실험에서 탐구 주제인 DNA 와 관련 실험을 수행하기로 계획했는데 , 세제와 소금이
DNA 추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세제의 양과 DNA 추출 양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 실험을 계획했다 .
실험 전 가설
소금 - 세제 용액의 양이 많을수록 추출되는 DNA 의 양도 많을 것이다 .
준비물
1. 막자사발 7.200ml 비커
2. 고운 체망 8. 거름종이
3. 소금 9. 유리막대
4. 전자저울 10. 나무젓가락
5. 증류수 11. 세제
6.99.9% 에탄올 12. 바나나
실험 방법
독립변인 : 세제 , 소금 농도
종속변인 :DNA 물질 추출량
통제변인 : 실험에 쓰일 바나나의 양 , 바나나와 소금 - 계면활성제 용액 혼합 시간 ,
에탄올 사용량 , 에탄올의 온도
1. 증류수 150ml 에 소금 1g, 계면활성제 3ml 을 넣은 용액 (A), 증류수 150ml 에 소금 2g,
계면활성제 7ml 을 넣은 용액 (B), 증류수 150ml 에 소금 4g, 계면활성제 15ml(C) 을 넣은 용액을
만든다 .
이때 넣은 소금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잘 섞어 소금 - 계면활성제액을 만든다 .
2. 바나나 약 50g 을 막자사발에 넣고 가위로 잘게 자른 후 막자로 아주 곱게 간다 .
3. 실험 전에 바로 만든 소금 - 계면활성제액 100ml 를 막자사발에 약 10 분 동안
힘차게 섞으면서 갈아준다 .
4. 고운 체망을 이용하여 용액을 걸러 찌꺼기를 제거한다 .( 브로콜리 DNA 추출액 )
5. 브로콜리 추출액을 적당량 비커에 담은 후 , 유리막대를 비커 벽에 대고
차가운 에탄올 ( 추출액 부피의 2 배 ) 이 유리막대를 타고 내려가게 하면서 조심스럽게 비커에 붓는다 .
6. 흰색의 가는 선 모양의 물질이 생기면 먼저 돋보기로 관찰한 후 나무젓가락으로
여러 번 휘감아 올린다 .
7. 휘감아 올린 DNA 물질을 거름종이 위에 올린 후 전자저울로 질량을 측정해
DNA 물질 질량 ((DNA 물질 + 거름종이 질량 )-( 거름종이 질량 )) 을 측정한다 .
A:5.7g 추출 B:6.9g 추출 C: 추출 불가
( 너무 작음 )
실험 결과 및 고찰
소금 - 세제 용액을 더 많이 넣은 B 가 A 보다 DNA 가 1.2g 더 추출되었다 .
그러나 질량 측정 과정에서 정확성이 낮고
C 에서는 DNA 가 너무 작아 건질 수가 없었다기 때문에 이 실험만으로는
상관관계를 파악히기 어렵다고 생각해
소금 - 세제 용액의 양과 DNA 추출량의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른 실험 사례들이 더 필요할 것이라 생각했고 ,
C 와 같이 DNA 가 너무 작아 추출되지 않은 경우를 보고 DNA 를 뭉치는 방법을
알면 더 쉽게 DNA 를 추출해 질량 측정이 더 정확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
느낀점
채지윤 : 이 실험을 주도하는 팀장이 되어 큰 부담이 들었다 . 실험이 뜻대로 진행되지 않아
( 내가 비커를 깨거나 DNA 추출이 어렵거나 등등 ) 힘들기도 했지만
그래도 내가 좋아하는 생명과학 실험을 하면서 재미도 있었고
실험이 교과학습 서포터즈 활동에도 도움이 될 것 같아 유익했다 . 그리고 팀원들이 실험을
잘 해 주어서 정말 고맙게 느껴지기도 했다 .
느낀점
한지혁 : 수업시간에 배웠었던 DNA 를 직접 추출하면서 눈으로 확인하니 재미있었다 .
에탄올을 조심히 부을 때 유리막대에 대고 흘려보내니까 용액층과 DNA 층이 쉽게 분리되어
손쉽게 DNA 추출이 가능했다 . 비록 결과는 미흡했지만 A 와 B 의 세제와 소금의 양 차이로
인해 추출된 DNA 의 양에 차이가 나는 점이 신기했다 . DNA 추출과정에서 DNA 만 추출된 것이
아닌 용액까지 측정되어 측정결과가 정확허지 않아 아쉬웠다 . C 는 용액층과 DNA 층이 제대로
분리되어지지 않아서 나무젓가락으로 건져 올리는 것이 불가능했다 . 만약 다시 실험하게 된다면
거름종이를 이용해 DNA 를 추출해야 할 것 같다 . 이번 실험을 통해 DNA 에 대한 심화된
내용을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게 되어 좋았다 .
느낀점
강군호 : 바나나를 세제 안에 넣었을 때 바나나의 색이랑
용액의 색이랑 비슷해서 구별하기가 어려웠고
내가 에탄올을 용액에 넣을 때 실수해서 살살 넣어야 하는데 세게 넣어서 4 번이 잘 안 나온 것
같다고 생각했다 . 그리고 실험을 할 때 실험 내용에 대해서
더 자세히 파악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그리고 우리가 실험도구 하나를 깨서
실험을 할 때 도구 사용의 유의해야할 점을 잘 확인해야겠다고 생각하고 , 실험도구 준비를 잘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
참고문헌
논문 ) 박기석 , 정극일 , 전상학 (2007), “ 식물로부터 유전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
현장과학교육 11 월호 , p81~91
인터넷 ) 구글 ,“ 브로콜리 dna 추출 실험” , https://m.blog.naver.com/fishsun33/221391693743,
(2012.11.11.)
구글 ,” 브로콜리 dna 추출 실험” , https://m.blog.naver.com/jhs2hn/221715248797(2019.11.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