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기술기사

라오스 아시안하이웨이 라오스구간


(8번국도) 개량 타당성조사 및 기본
설계사업 설계사례

문훈기 송인철
㈜다산컨설턴트 전무 ㈜다산컨설턴트 부장
공학박사/기술사 (songic@dasan93.co.kr)
(moonhk@dasan93.co.kr)

1. 사업개요

본 과업은 아시안 하이웨이 라오스구간(8번국도) 개량 및 타당성 조사로서 KOICA에서 발주하였으며 다


산컨설턴트와 동성엔지니어링, 동일기술공사가 공동설계사로서 2016년10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수행하였
다. 과업내용은 태국~라오스~베트남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노선인 8번 국도(1980년대 준공)의 열악한 시
설상태를 개선함으로써 라오스 중부지역의 물동량 증가에 능동적인 대처와 인접국가(태국, 베트남)와의 연
계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서는 내륙국가(Land-locked country)에서 연결국가 (Land-linked country)로 변모
하여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사업노선은 라오스에서 11번째 규모(14,863㎢)인 중부지
역의 보리캄사이주(일부 캄우안주)에 위치하며, 풍부한 자연환경이 어우러져 있는 푸힌분, 남카딩, 나카이-
남튼 국립생물다양성 보호구역(National Bio-diverstiy Conservation Area, NBCA)이 사업노선 주변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2. 노선 현황

본 설계 구간은 2차로 선형개량 및 신설사업으로 기존도로를 최대한 활용하고 주변여건과 지형에 조화, 평

028
구분 내용

‌ 라오스 아시안하이웨이 라오스 구간(8번국도) 개량 타당성조사 및 기본설계사업 사업수행 용역



사업명 (Detailed Feasibility Study for Upgrading National Road No.8 on the Asian Highway
(AH15) Network in the Lao PDR)

발주처 ‌ 한국국제협력단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사업실시 기관 ‌ 공공사업교통부 (Ministry of Public Works and Transport, MPWT)


설계회사 ‌ (주)동성엔지니어링, ㈜동일기술공사, ㈜다산컨설턴트


위치 ‌ 라오스 중부 보리캄사이주(일부 캄무안주)의 8번 국도


연장 ‌ 총 연장(L)=123.968km, 2차로도로 개량

도로폭원 •
‌ 아세안하이웨이 Class Ⅱ 기준 적용 : B=9.0~16.0m(왕복 2차로)

업 교량 ‌ 확장 : 7개소 / 224.7m ‌ •신설 : 22개소 / 1,170m

규 터널 ‌ 2개소 / 2,719m(터널1 2,297m, 터널2 422m)


목표년도 •
‌ 도로 완공 후 20년(완공년도 2023년, 목표연도 2043년)

설계속도 •
‌ 40~60km/h

개선내용 •
‌ 도로확장,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 포장, 일부구간 선형개선 (터널신설, 교량신설 및 확장) 등

면 및 종단선형의 조화, 설계기준에 부합, 터널 및 교량계획, 지질 및 토질조사 자료분석, 주변관련계획 등을


기술적으로 종합분석 하였으며, 도로의 선형은 지형에 순응하며 토지이용 측면과 주행의 안전성, 쾌적성, 연
속성, 평면 및 종단선형의 조화를 고려하였으며 아울러 시공성, 유지관리, 경제성 등을 고려한 도로설계가 되
도록 하였다. 본 노선의 표준횡단은 아세안 하이웨이 Class Ⅱ기준 및 라오스 정부기관인 MPWT(Ministry of
Public Works and Transport,)와의 협의 결과를 반영하여 <표 1> 과같이 적용하였다.

그림 1. 사업노선

029
_Geotechnical Engineering
기술기사

표 1. 표준횡단 폭원

적용기준
구분 단위 표준 산악지 마을통과 락사오 터널 교량
구간 구간 구간 구간 구간 구간

차로수 차로 2방향 2차로 2방향 2차로 2방향 2차로 2방향 2차로 2방향 2차로 2방향 2차로

11.0 9.5 12.9


총폭원 m 12.0 (무한사면 발생 : 12.0 15.0 (중앙분리대 : (방호벽 :
9.0m) 0.5포함) 0.9포함)

차 도 m 2@3.5=7.0 2@3.5=7.0 2@3.5=7.0 2@3.5=7.0 2@3.5=7.0 2@3.5=7.0

길어깨 m 2.5 2.0(1.0)* 1.0 2.5 1.0 1.0

보 도 m - - 1.5 1.5 - 1.5

주) *산지부 대절토구간(무한사면 발생) 적용

3. 지형 및 지질

기존도로 주변은 퇴적암(셰일, 역암, 사암), 관입된 화성암과 변성작용을 받은 석회암이 분포되어 있으며,
급경사 및 풍화진행에 따른 낙석 및 붕괴 비탈면이 다수 확인되었다.

3.1 지형

국토의 70%가 산지로 되어 있고 산지, 고원, 평원의 세가지 지형적 특성이 뚜렷하다. 라오스에는 수많은 강
과 천이 있는데, 라오스의 가장 긴 강인 메콩강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며 그 길이는 1,898km에 달한다. 설
계지역은 동고서저의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점구간인 A구간 에서는 신생대 제 4기 충적층 및 석회
질의 석회암과 퇴적암이 간헐적으로 분포한다. B구간은 중생대 후기의 사암이 주를 이루며 분포하며, C구간

그림 2. 사업노선의 지질분포도

030
노출 암반 : 퇴적암 노출 암반 : 세일

강우에 의한 토사 유실 지반 지층 형태 : 토사 + 풍화암

그림 3. 지층조사 결과(비탈면 구간)

은 다시 석회질의 석회암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점구간인 D구간은 고생대 제 3기 화강암과 변성암
이 분포하며, 변성암의 암종은 천매암, 편암, 대리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화강암의 관입과정에서 변
성을 받았을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B구간 북측에 주향 NE방향으로 발달된 단층이 존재하나, 본 노선과 떨
어져 있는 상태이다.

3.2 현장답사에 의한 지층특성

기존 비탈면중 수목이 없거나, 흘러내려 비탈면 표면이 노출된 비탈면을 대상으로 개략적인 지층특성을 정
리하면 <그림3>과 같다. 전반적으로 급경사(1:0.25~1:0.5)를 이루고 있으며, 노출된 암반은 퇴적암 계통의
셰일, 역암, 이암, 사암등이 혼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3>과 같이 나타나듯이 비탈면이 암반형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표면부분이 흘러내리거나, 토사층이
흘러내리는 등 암반의 풍화정도에 따라 비탈면이 유실된 현황이 상이하다.
또한, 암반생성 이력에 따라 토사층이 깊게 형성된 지역과 토사층이 얇게 분포된 지역으로 구분되므로 조
사계획시 이를 감안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031
_Geotechnical Engineering
기술기사

4. 터널구간 현황 및 통과계획

산지통과구간의 경우 급경사구간 및 생태보존구간을 토공으로 계획 할 경우 선형이 불량하며 대깎기부 발


생이 예상되어 자연 환경 훼손 및 민원 발생을 최소화 하고자 터널로 계획하였다.

위치도

구분 터널 1 터널 2
터널연장(m) 2,297 422
평면선형 R=420 ~ ∞ R=700 ~ ∞
종단경사 -1.7% -2%
통행방식 양방향 2차로(대면교통)
환기방식 자연환기 우선적용, 제트팬 설치위치 철근 보강조치
갱문형식 시점부 : 아치면벽형 종점부 : 벨마우스 변형 시점부 : 벨마우스 변형 종점부 : 아치면벽형
시공방법 NATM 공법
기타 비상주차대 설치(700m 간격) -

또한, 지형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갱구부 계획과 교통량 등을 감안한 단면을 계획하였다.

구분 터널 1 터널 2

표준단면

편측 700m 간격의 비상주차대 계획 터널내 중앙분리대 여유폭 500mm 적용


특징
터널우측 탈출통로 마련으로 방재안정성 향상 통합유공관 적용으로 원활한 배수체계 확립

032
5. 비탈면구간 현황 및 보강계획

신규노선 및 도로확장으로 발생하는 쌓기 및 깎기 비탈면의 경사는 라오스기준과 한국설계기준을 비교


하고 사업구간의 기존 비탈면 경사적용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표준횡단경사를 결정하였다. 특히 본
설계의 대상이 되는 8번국도 주변의 기존 비탈면은 우수에 의한 세굴 및 풍화가 진행되어 토사 비탈면의 활
동파괴가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사업구간의 기존비탈면은 전반적으로 급경사를 이루고 있었으며 종점부
(STA.112K)는 토사층이 깊게 형성되어 있었다. 설계시에는 이를 감안하여 비탈면에 배수시설을 반영하였으
며 토사비탈면의 경우 조기에 비탈면 보호공을 설치하도록 계획하였다.

표 2. 사업구간 비탈면 경사 적용

구분 라오스 설계기준 한국 설계기준 라오스 적용사례 적용

흙쌓기 1:2.0 ~ 1:3.0 1:1.5 ~ 1:2.0 1:1.5 ~ 1:2.0 1:1.0 ~ 1:2.0

토사 1:0.7 ~ 1:2.0 1:0.8 ~ 1:1.5 1:1.0 1:1.0 ~ 1:1.5


흙깎기
암반 1:0.1 ~ 1:0.5 1:0.5 ~ 1:1.2 1:0.25 ~ 1:0.5 1:0.5 ~ 1:0.7

그림 4. 현장비탈면 조사결과

비탈면 보강계획은 각 구간별 주변현황(무한사면, 보호구역 등) 및 지층특성(토사, 암반), 경제성, 시공성을


감안하여 <표 3>과 같은 비탈면 보강계획을 수립하였다.

6. 맺음말

본 노선의 도로등급은 Asean Highway Class Ⅱ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산악구간의 자연훼손을 최소화 하기

033
_Geotechnical Engineering
기술기사

표 3. 비탈면 보강계획

구분 Soil Nailing 공법 Anchor 공법 비탈면 경사 조정

개요도

얕은 활동파괴가 예상되는 활동면이 깊은 토사 및 암반 환경보존지역 및 무한


적용
토사비탈면 비탈면 구간 비탈면 구간

위하여 기존도로 선형불량 구간 우회, 산지부 2개소 터널로 계획하여 기존도로 대비 연장 3.5km, 주행시간
약 20분을 단축할 수 있었다.
기존 교량 27개소 중 20개소(노후 교량 18개소 포함)는 신설, 7개소는 확장, 선형변경으로 인한 신설 2개
소를 계획하였으며 상습 침수구역은 종단계획을 상향 조정(14 Zone)하였다.
본 계획이 시공 되면 라오스 8번국도는 기존도로 대비 연장 5.1%(6.7km)감소, 통행시간 27.2%(약 56분)감
소, 평균통행속도 30.3%(11.6km/h)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태국에서 베트남으로 20피트 컨테이너의 해상
경로 이용시 약 15일 소요되는 것이 육로의 경우 약 3일이 소요되어 연간 279만US$의 통행시간 절감효과 발
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1. ‌라오스 아시안하이웨이 라오스 구간(8번국도) 개량 타당성조사 및 기본설계사업 사업수행(PC) 용역 설계보고서, 2018


2. Asian Highway Standards
3. Asean Highway Standards
4. Road Design Manual, Laos, 1996

[본 기사는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학회의 공식 입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03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