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8

[NCS-학습모듈의 위치]

대분류 건설

중분류 토목

소분류 토목설계·감리

세분류

도로설계 능력단위 학습모듈명

공항설계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철도설계 사업계획 수립

터널설계 철도설계 현황조사 철도설계 현황조사

교량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철도설계 노선설계

항만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철도설계 시설물 설계
상하수도설계 철도설계시스템 인터페이스

하천(댐)설계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철도설계계산서 작성

지반설계 철도설계도면 작성 철도설계도면 작성

단지설계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시방서 작성

철도설계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철도설계사업비 작성

토목건설사업관리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보고서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철도설계인·허가 서류 작성
차 례

학습모듈의 개요 1

학습 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및 업무범위 명기하기

1-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작성 3

1-2. 업무범위 작성 19

• 교수・학습 방법 26

• 평가 27

학습 2. 품질기준 제시하기

2-1. 주요자재의 취급 및 시공방법 작성 30

2-2. 품질기준 작성 36

• 교수・학습 방법 45

• 평가 46

학습 3. 공종별 시공방법 명기하기

3-1. 시공계획서 작성 48

3-2. 공종별 시공방법 작성 56

• 교수・학습 방법 62

• 평가 63
학습 4. 신기술・신공법의 공사시방서 작성하기

4-1. 신기술 적용검토서 작성 65

4-2. 신기술・신공법 공사시방서 작성 71

• 교수・학습 방법 87

• 평가 88

참고 자료 91

부 록 92
철도설계 시방서 작성 학습모듈의 개요

학습모듈의 목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


서·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작성하되,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설계
도면에 구체적으로 표시할 수 없는 내용과 공사 수행을 위한 시공방법, 자재의 성능·규격 및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품질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작성할 수 있다.

선수학습

철도설계현황조사(1402011002_14v2), 철도설계시설물 설계(1402011004_14v2), 철도설계도면 작성


(1402011007_14v2)

학습모듈의 내용체계

NCS 능력단위 요소
학습 학습 내용
코드번호 요소 명칭

1. 공종별 시공의 1-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작성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일반사항 및 1402011008_14v2.1
및 업무범위 명기하기
업무범위 명기하기 1-2. 업무범위 작성

2-1. 주요자재의 취급 및
2. 품질기준 제시하기 시공방법 작성 1402011008_14v2.2 품질기준 제시하기
2-2. 품질기준 작성

3. 공종별 시공방법 3-1. 시공계획서 작성


1402011008_14v2.3 공종별 시공방법 명기하기
명기하기 3-2. 공종별 시공방법 작성

4. 신기술·신공법의 4-1. 신기술 적용검토서 작성


신기술·신공법의
공사시방서 4-2. 신기술·신공법 1402011008_14v2.4
공사시방서 작성하기
작성하기 공사시방서 작성

핵심 용어

표준 및 전문시방서, 계약문서, 시공계획서, 품질관리기준, 설계도서 우선순위, 신기술·신공법.

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및 업무범위 명기하기
학습 1
(LM1402011008_14v2.1)
학습 2 품질기준 제시하기(LM1402011008_14v2.2)
학습 3 공종별 시공방법 명기하기(LM1402011008_14v2.3)
학습 4 신기술·신공법의 공사시방서 작성하기(LM1402011008_14v2.4)

1-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작성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와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기본으로 작성하고, 작성절차에 따


라 시공의 일반사항 및 업무범위를 명기할 수 있다.
•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발주처 및 설계자의 설계의도가 반영되도록 시설물별 공사의
학습 목표 특성과 제반여건을 반영하여 작성할 수 있다.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와 전문시방서를 검토하여 각 공종별 시공절차, 시험방법,
허용범위, 자재 및 재료 품질, 기타 공사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해석에 이견이 없도
록 명료하게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시공의 일반사항

1. 법령 및 규칙의 준수
계약상대자는 공사와 관계되는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조례, 시방서, 설계기준, 지침, 편
람 등을 항상 숙지하고 준수하여야 하며, 설계도서의 내용이 관련법규의 규정과 상호 상
이할 경우(건설공사 중에 관련법규가 변경되고, 변경된 규정에 따라서 변경시공할 경우를
포함)는 상위규정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야 한다. 단,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
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의 적용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

2. 계약문서 및 설계변경

(1) 계약문서

(가) 공사이행에 관하여 계약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서면화된 계약문서


는 계약서, 설계서, 공사입찰유의서, 공사계약 일반조건, 공사계약 특수조건 및
입찰내역서로 구성되며 상호 보완의 효력을 갖는다.

3
(나) 전문 및 공사시방서에 명기된 내용 이외에 정밀시공 및 품질확보를 위하여 필
요한 사항은 발주처과 협의하여 작성한다.

(2) 설계변경

(가) 작업의 추가, 삭제 및 변경


발주처는 공사진행 중 현장여건에 따라 공사의 세부사항 변경, 물량의 증가 또는
감소 등을 조절하는 권리를 갖는다. 계약상대자는 이와 같은 물량의 증가, 감소 등
의 변경사유로 그 계약을 무효화하거나 보증을 해지할 수 없으며 원계약서와 동일
조건으로 변경한 공사를 완료하여야 한다.

(나) 현장조건의 차이 및 물량변동에 따른 변경


1) 계약상대자는 계약체결 후 공사 착수 전에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을 때는 그 내용을 발주처에 서면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 설계서의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누락, 오류 또는 상호 모순되는 점이 있을 때
- 지형 및 지질, 용수 발생 등 공사현장의 상태가 설계서와 다를 때
- 기타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계약금액의 조정이 필요한 때
2) 발주처는 계약상대자의 보고가 있을 때는 1)항의 상태를 즉시 조사하여 계약
상대자의 보고가 정당하고, 이로 인하여 계약금액과 계약기간을 조정할 필요
가 있다고 인정될 때에는 계약상대자와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
자 발생 시 이에 따른 책임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구조변경 등 안전과
관련 있는 설계변경을 할 때에는 당초 설계자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3 공공에 대한 책임 및 의무

(1) 인허가 및 협의조정

(가) 계약상대자는 공사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아래 사항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하여


야 한다.
- 공사시공과 관련된 각종 인·허가 사항
- 특허권의 사용
- 위생, 보건 및 안전의 준수
- 철도와 관련된 공사
- 수로와 관련된 공사
- 폭발물의 사용
- 재산의 보호와 복구의무
- 산림, 공원 및 공공용지의 보호
- 손해배상청구에 대한 책임
- 발굴물의 처리 및 문화재의 보호

4
- 채권양도의 금지 등
- 사후 환경영향평가 대상공사는 환경평가계획서 준수

(나) 계약상대자는 자신이나 그의 고용인이 상기의 규약을 위반함으로써 민원이나


책임문제가 야기되었을 경우에는 일체의 책임을 져야 한다.

(2) 연기 요청일수
계약상대자는 계약기간(공사기한) 연장을 발주처에 요청할 수 있다. 그 일수는 공정계
획 변경에 의한 연기사유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지연된 일수를 초과할 수 없으며, 발주
처와 협의하여 정한다.

4. 공사계약 외의 분쟁

(1) 계약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관한 분쟁은 계약당사자 간 쌍방의 협의에


의하여 해결한다.

(2) 단, 합의가 성립되지 아니한 때에는 당사자가 관계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설치된
조정위원회 등의 조정 또는 중재법에 의한 중재기관의 중재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5. 하도급

(1) 하도급인의 선정
계약상대자가 공사 일부를 하도급하는 경우에는 관련법의 규정에 따라 공사를 시행하
기에 적합한 기술 및 능력을 가진 자를 하도급인으로 선정한다.

(2) 하도급인에의 주지
계약상대자 또는 현장대리인은 발주처 또는 감독자의 지시, 승인, 협의로 결정된 사항
및 안전의 확보에 관련한 사항에 대하여 하도급인에게 철저히 주지시켜야 한다.

(3) 하도급 시행계획서

(가) 계약상대자는 하도급을 시행하기 전에 시행계획서를 발주처에 제출하여야 한다.

(나) 하도급 시행계획서에는 다음 사항을 포함시켜야 한다.


- 하도급 예정업종
- 하도급 계약예정일
- 하도급 계약금액

6. 지중 발굴물 등

(1) 공사현장에서 계약상대자 또는 그의 고용인이 발견한 모든 가치 있는 화석, 금전,


보물, 기타 지질학 및 고고학상의 유물 또는 물품은 발주처의 위촉에 의하여 발견
한 것으로 간주하여 물품의 값을 지불하지 않으며, 발주처가 당해 매장물의 발견자
로서 권리를 보유하고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처리한다.

5
(2) 계약상대자 또는 그의 고용인은 발견한 물품이나 유품을 감독자에게 통보하여 그의
지시에 따라야 하며, 이를 취급할 때에는 파손이 없도록 적절한 예방조치를 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공사 중 문화재 보호에 주의하고, 공사 중 문화재를 발견하였을 때에


는 즉시 감독자에게 보고하고 그 지시에 따라야 한다.

(4) 문화재 조사를 위하여 공사가 지연되었을 때에는 발굴에 필요한 공사기간 연장을
인정하며, 계약상대자는 발굴에 따른 진입로 개설 및 수목 제거 등에 협조하여야
한다.

7. 관련 규준 등의 비치
계약상대자는 공사를 원활하고 신속히 추진하고 적정한 품질관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현장
사무실 또는 현장시험실에 관련 규준 등을 상시 비치하여야 한다.

6
수행 내용 /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철도전문시방서, 토목공사표준시방서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Ÿ 프로그램(문서 작성용 S/W, 도면 작성용 CAD S/W)

안전·유의 사항

Ÿ 계약문서의 종류와 효력에 대한 내용을 숙지한다.

Ÿ 현장설계변경 발생에 대한 보고 및 문서작업에 대한 내용을 확인한다.

수행 순서

Ÿ 공종별 시공에 따른 관리흐름은 다음과 같다.

품질 및 안전, 환경조직

시공 착수전 시공관리계획

- 단위공종별 시공 계획 수립 필요시 개선 공법 검토 및 반영 - 공종관리 - 하도급 관리

- 현장확인 및 설계 도서 검토 - 자재관리 - 환경관리

- 품질검사기준에 따라 검사시행

-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현장관리 수행

[그림 1-1] 공종별 시공관리 흐름

 공사계획 수립 및 시공을 관리한다.

1. 공사계획을 수립한다.

(1) 시공계획서 제출

(가) 계약상대자는 시방서에 의거한 시공계획서를 작성·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7
받아야 한다.

(나) 시공계획서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공사의 진도에 맞추어 분할할 수도 있다.

(다) 시공계획서가 변경될 때에는 변경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야 한다.

(2) 현장 확인 및 설계도서의 검토
계약상대자는 공사착공과 동시에 설계도서의 내용과 현장을 확인하고 이상 유무를 즉
시 발주처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특히 주요 구조물(교량)의 공법, 구조해석, 철근
배근 및 수량, 기초 근입심도 등을 검토하여 설계상의 누락, 오류, 구조적 안전성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3개월 이내에 발주처에 보고한다.

(3) 개선제안공법의 사용

(가) 개선제안공법은 국내·외에서 새로이 개발되었거나 개량된 기술, 공법, 기자재


등을 포함한 기술적인 개선제안사항으로 계약상대자가 이를 사용함으로써 발주
처의 설계와 동등 이상의 기능과 효과로 공사비의 절감, 시공기간의 단축 등의
효과가 있는 공법으로 계약상대자가 개선제안내용을 서면 신청한 경우에 적용
한다.

(나) 개선제안내용을 신청하고자 할 때에는 다음의 자료를 첨부하여 신청한다.


1) 전체공사 개요, 당초 공법과 개선제안내용을 비교한 장·단점
2) 개선제안내용 사용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검토서, 세부시공계획, 세부공정계
획, 품질관리계획, 안전관리계획, 자재사용계획
3) 당초 공법과 개선제안내용의 세부 공사비내역 비교
4)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으로 인한 공사의 유지관리 및 운영비용 등에 미치는 영
향의 예측
5) 기타 개선제안내용의 사용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자료 등

2. 시공을 관리한다.

(1) 공정관리

(가) 계약상대자는 예정공정표를 작성하여 감독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나) 계약상대자는 시방서에 의거한 공사일지를 감독자에게 정기적으로 제출하여야


하며, 감독자는 예정공정과 실시공정을 확인하여 공사의 부진 여부를 검토하여
야한다.

(다) 감독자는 현장여건, 기상조건, 지장물 이설 등에 따른 관계기관과의 협의사항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는지를 계약상대자와 상호 협의하여 검토·확인한다.

(라) 필요시 감독자는 현장대리인을 포함한 관계직원 합동으로 진행 작업에 대한 실


적을 분석, 평가하여 공사추진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 잘못 시공된 부분의

8
지적 및 재시공 등의 지시와 재발방지대책, 공정진도의 평가, 기타 공사추진
상 필요한 내용의 협의를 위한 공사추진회의를 실시하고 그 회의록을 작성·유
지하여야 한다.

(마) 감독자는 설계변경 등으로 인한 물동량의 증감, 공법의 변경, 공사 중의 재해,


천재지변 등 불가항력에 의한 공사 중지, 지급자재 공급지연, 공사용지 제공의
지연, 문화재 발굴 및 조사 등의 현장실정 또는 계약상대자의 사정 등으로 인
하여 공사진척이 부진할 경우 계약상대자로 하여금 공정계획을 재검토하여 변
경계획을 수립토록 한다.

(바) 감독자는 계약상대자로부터 공정계획(변경)을 제출받아 검토하고 승인하여야


한다.

(사) 감독자는 변경공정계획에 따른 변경예정준공일이 당초 계약준공일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계약준공일을 초과할 경우에는 변경공정계획과 함께
공사기한 연기요청서를 발주처에 제출하여야 한다.

(2) 현장요원 관리

(가)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의 현장대리인을 지정하여 발주처에 통지하여야 하며,


현장대리인은 공사현장에 상주하며 계약문서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공사에
관한 모든 사항을 처리한다.

(나) 계약상대자는 계약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에 필요한 기술과 경험을 가진 근로자


를 채용하여야 하며, 근로자의 행위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진다.

(다) 계약상대자는 현장 근로자에 대하여 감독자가 계약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상 적


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하여 이의 교체를 요구한 때에는 즉시 교체하여야 하
며, 감독자의 승인 없이는 교체된 근로자를 계약공사의 시공 또는 관리를 위하
여 다시 채용할 수 없다.

(3) 하도급 관리

(가) 계약상대자는 계약된 공사의 일부를 제3자에게 하도급하고자 할 때에는 발주처


의 서면승인을 받아야 한다. 다만, 관련법에 하여 전문공사를 당해 전문공사업
자에게 하도급하는 경우에는 발주처에 통지한다.

(나) 하도급한 경우에도 계약상의 계약상대자의 책임과 의무가 면제되지는 아니하


며, 계약상대자는 하수급인 및 하수급인의 대리인, 하수급인이 채용한 근로자
의 행위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진다.

(다) 계약상대자로부터 하도급계약에 대한 승인신청 또는 통지를 받은 때 감독자는


하도급 관련서류를 검토하고 하도급률이 82% 미만인 경우에는 하도급의 적정
성 여부에 대하여 심사하여, 공사가 적정한 이행이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고

9
인정되는 때에는 계약상대자에게 하도급 계약내용의 변경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계약상대자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3. 공무행정 관련 서류를 작성한다.

(1) 공사예정공정표

(가) 공사예정공정표는 PERT/CPM 등에 의한 공정계획서로 작성 제출하여야 한다.

(나) 공사예정공정표에는 다음 사항이 명시되거나 첨부되어야 한다.


1)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착수시점, 완료시점
2) 공종별 및 공종 내 주요 공정단계별 선·후·동시 시행 등의 연관관계
3) 주공정선(critical path) 또는 주 공정 공사의 목록
4) 주요 제출물의 제출 일정계획: 공종별 공사 시공계획서, 시공 상세도 및 견본

(2) 시공계획서

(가) 시공계획서 제출
계약상대자는 시공계획서를 작성·제출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에 착공한다.

(나) 시공계획서 포함내용


계약 상대자는 시공계획서에 아래 사항을 포함시켜 작성한다.
1) 현장조직도
2) 공사세부공정
3) 주요공종의 시공절차
4) 시공일정
5) 주요장비 동원계획
6) 주요자재 및 인력투입계획
7) 주요설비 사양 및 반입계획
8) 품질관리대책
9) 안전 및 환경대책
10) 지장물 처리계획과 교통처리대책

(3) 시공상세도면의 작성

(가) 제출 및 확인
계약상대자는 공사여건과 계약문서의 조건 및 설계도서와의 적합성 여부를 확인하
고 공사 수행상의 잘못 또는 부분공사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상세도면을
작성하여 제출하고,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후 공사에 착수하여야 한다. 감독자의
확인을 받은 시공 상세도면은 관련법규와 지침에 따라 발주처에 제출한다.

(나) 작성방법
1) 시공상세도면은 설계도서의 요구사항을 종합하여 작성하고, 부위별 재료명과

10
시공 또는 설치 및 마감상태를 명확히 표기하여야 하며, 정확한 치수 및 축척
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 설계도서대로 시공하기 위해 조정하여야 할 조건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명시하여야 한다.
2) 공사의 진행단계별로 시공상세도면을 작성한다.

 자재관리계획을 수립한다.

1. 공급원과 품질요건을 확인한다.

(1) 계약상대자가 공급하는 모든 공사용 자재는 계약 및 시방의 품질조건에 적합하여야


한다.

(2) 계약상대자는 어떤 경우이든 자재를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공급원 승인신청서류를


감독자에게 제출하여 공급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한다.

(3) 원자재가 수입물품인 경우에는 원산지 증명증빙자료를 제출한다.

(4) 이미 승인받은 공사용 자재의 공급원이 생산 중지되었을 경우에는 계약상대자는 감


독자가 승인한 다른 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다.

(5) 계약상대자는 자재공급원 승인 요청 시 2개 이상의 공급원을 제출하여 승인받고,


공급원이 제품의 생산 중지 등 부득이한 경우에도 다른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
록 한다.

2. 공사용 자재를 선정한다.

(1) 공사용 자재를 선정할 때에는 시방서와 설계도서에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는 품목


의 경우 그 품질기준에 적합한 신품(가설시설물용 자재는 제외한다.)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설계도서에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품목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에 따라 적합한 자재를 우선 사용하여야 한다.

(가)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 품(이하 "KS 표시 품"이라 한다.)

(나) 관련법에 의한 품질검사전문기관(건축, 토목, 기계설비, 조경의 경우) 또는 품질검


사전문기관(전기설비, 통신설비의 경우)에서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
격에 따라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KS 표시 품과 동등한 성능이 있다고 확인된 것

(다) 전기설비, 통신설비에 사용하는 자재로서 적합한 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전기


용품 기술기준”에 의한 형식 승인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라) 관련기준에 적합한 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감독자의 승인을 받아 품질 및 성능


이 우수한 제품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사용제한

(1) 품질시험·검사시험 결과 불합격률이 높다고 인정되는 생산업체의 자재에 대하여


발주처는 계약상대자에게 사용제한을 지시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라야

11
한다.

(2) 공사목적물에 쓰이는 모든 자재는 공사에 사용하기 전에 감독자의 검사·시험을 거


쳐야 한다. 감독자의 승인 없이 검사·시험하지 않은 자재 및 제품을 사용하여 공
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이를 제거하여야 한다.

(3) 계약상대자는 공사에 사용할 자재(지급자재 제외)에 대하여 설계서와의 적합성을


확인한 후 감독자에게 승인을 받아 사용하여야 한다.

(4) 계약상대자는 하자 발생시 등을 고려하여 교체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규격의 자재


를 사용하여야 한다.

4. 사급자재를 수급한다.

(1) 자재수급계획서
해당 공사의 공정계획에 맞추어 사급자재 수급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2) 반입시기

(가) 모든 자재는 사용예정일 7일 전까지 현장에 반입한다. 다만, 선정시험이 필요한


자재는 선정시험에 필요한 소요기간을 추가로 감안하여 반입한다.

(나) 자재파동이 예상되는 자재는 공사에 지장이 없도록 사전에 구매하여 비축한다.

(다) 품질보증대상 건설자재·부재 등


계약상대자는 아래의 건설자재·부재에 대하여는 국·공립시험기관, 품질검사전문
기관이 작성한 시험성적서 등 품질보증에 관한 자료를 제출하거나 품질시험 또는
검사 등에 의한 확인을 받아야 한다.
-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 아스팔트 콘크리트
- 바다 모래
- 철근
- H형강
- 부순 돌
- 당해 건설공사의 계약에 품질보증의 이행이 명시되어 있는 자재

5. 지급자재를 관리한다.

(1) 지급자재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장소에서 계약상대자에게 인도되거나 공급되며, 계


약상대자에게 인도된 후의 지급자재에 대한 관리책임은 계약상대자에게 있다.

(2) 지급자재의 공급이 지체되어 공사가 지연될 우려가 있을 때 계약상대자는 발주처의


서면승인을 얻어 계약상대자가 보유한 자재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발주처는 계약상대자에 의해 대체 사용한 자재를 현품으로 반환하거나 또는 대체

12
사용 당시의 가격에 의하여 그 대가를 준공금 지급 시까지 계약상대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3) 계약상대자는 감독자와 협의하여 지급자재의 수량, 품질, 규격, 인도시기, 인도 장


소를 변경·요청할 수 있다.

(4) 잔량 및 부족수량
지급자재 중 공사에 사용하고 남은 잔량은 발주처가 지정하는 장소에 계약상대자의
부담으로 수송하여 전환하고, 부족수량이 있을 경우에는 발주처에 설계변경을 요청한
다. 다만, 부족수량은 파손 및 분실된 것을 제외한 절대 부족량에 한한다.

(5) 전환된 자재의 수령


계약상대자는 다른 곳에서 전환된 지급자재에 대하여 품질상의 특별한 하자가 없는
한 이를 수령하여야 한다.

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고 품질검사기준에 따라 적합하게 수행한다.

1.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한다.

(1) 계획수립 및 제출

(가) 계약상대자는 건설공사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건설진흥법 시행령 제89조의 2(별


표9)에 따라 품질시험계획을 작성하여 발주처에 제출하여야 한다.

(나) 발주처는 계약상대자가 제출한 품질시험계획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보완하여


야 할 사항이 있는 경우 계약상대자에게 이를 보완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계약상대자는 이에 따른다.

(2) 계획수립 대상공사의 범위

(가)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건설공사


- 전면책임 감리대상인 건설공사로서 총공사비가 500억 원 이상인 건설공사(관급
자재비를 포함하되 토지 등의 취득 사용에 따른 보상비를 제외한 금액을 말
한다.)
- 다중이용 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연면적이 3만㎡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 건설공사의 계약에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는 건설공사

(나) “(가)”항 외의 건설공사로서 아래에 해당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는 국토부령


이 정하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총공사비 5억 원 이상인 토목공사
- 연면적 660㎡ 이상인 건축물의 건축공사
- 총공사비 2억원 이상인 전문공사

13
(다) 아래에 해당하는 공사는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다만 설계
도서에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을 수립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
외로 한다.
- 조경식재공사
- 가설물설치공사
- 철거공사

(3) 계획의 내용
품질관리계획은 KSA 9001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계획이행 확인

(가)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에 따라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를


이행하여야 하며, 발주처 직원은 시공 및 사용재료에 대한 품질관리업무의 적
정성 확인을 연 1회 이상 한다. 이 경우 계약상대자는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에
입회하여야 한다.

(나) 발주처는 품질관리 적정성 확인결과 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계


약상대자에게 이의 시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시정을 요구받은 계약상대자는
지체없이 이를 시정한 후 그 결과를 발주처에 통보한다.

(5) 품질관리비 산출 및 사용기준

(가) 계약상대자는 건설진흥법 시행규칙 제53조 별표6에 따라 산출하며, 공사금액에


계상한 품질 관리비는 당해 목적에만 사용한다.

(나) 발주처는 품질관리비의 사용에 대하여 지도·감독할 수 있다.

2. 품질시험·검사를 시행한다.

(1) 품질시험기준

(가) 계약상대자는 시공목적물 및 건설공사용 자재의 규격 및 품질 등이 설계도서에


명시한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한다.

(나) 품질시험 및 시험의 종별, 시험 종목, 시험방법 및 시험빈도 등 품질시험기준은


국토교통부 고시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따른다.

(다) 다음에 해당되는 자재에 대하여는 품질시험 또는 검사를 실시하지 않을 수 있다.


1) 품질검사전문기관의 시험성적서가 있는 자재
2)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품
3) 관계법령에 의하여 품질검사를 받았거나 품질을 인증받은 자재

(라) 구조물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험 종목에 대하여는 감독자 입회하에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시행한다.

14
(마) 설계변경 등에 따라 품질시험기준에 명시되지 않은 자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별
도의 시험을 추가로 시행하여 변경설계도서에 규정된 품질성능을 확인한다.

(바) 국내에 관련 기준이나 품질검사전문기관이 없는 외산 기자재는 감독자의 승인


을 받아 국제규격을 이용한 품질을 확인한 후 사용한다.

(2) 시험장소

(가) 품질관리기준에 따라 계획한 품질시험은 현장에서 품질시험을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나) 현장시험실에서 시행할 수 없는 자재의 품질시험은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


여 품질시험을 한다.

(다) 현장시험실 또는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시험하는 것이 부적합한 자재는


제조공장에서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이때에는 감독자가 입회하
여 직접 확인한다.

(3) 결과기록

(가)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검사대장 및 품목별시험·검사작업일지에 품질시험 및


검사의 결과를 기재하여 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나)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 또는 검사를 완료한 때에는 시험성과표를 작성하고, 당


해 건설공사에 대한 기성 검사원, 준공계 제출 시 발주처에 이를 제출한다.

(4) 불합격 자재의 장외반출

(가) 계약상대자는 품질시험 및 검사결과가 설계도서의 기준에 부적합한 경우에는


시험작업일지에 그 내용을 기재한 후 즉시 감독자에 보고하고, 불합격된 자재
는 지체없이 장외로 반출한다.

(나) 계약상대자는 불합격되어 장외 반출된 자재에 대하여는 불합격 내용을 기록보


관한다.

3. 현장시험실을 확보한다.

(1) 인력·장비기준
품질시험·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계약상대자는 관련법에 따라 시험 및 검사 장비,
시험실 확보, 품질관리자를 배치하여야 한다. 다만,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지 않을 때에는 발주처의 별도 지시에 따른다.

(2) 비치서류
현장시험실에는 아래 서류를 비치하고 기록·유지하여야 한다.

- 품질관리계획 또는 품질시험계획

- 품질시험·검사 대장

15
- 시험 성과표

- 지급자재 검수부

- 품질검사 전문시험기관 의뢰시험대장

- 불합격자재조치표

- 구조물 부위별 관리대장

- 시험기기 검·교정대장

- 구조물 균열 관리대장

- 품질시험검사 성과 총괄표

- 품질시험검사 실적보고서

- 상시검측 관리대장

4. 품질시험·검사 의뢰한다.

(1)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시험 및 검사를 의뢰하는 시료는 감독자 입회하에 계약상대자


가 채취하고, 시험의뢰서 및 시료봉인 부위에 시료채취 입회자 전원이 인감을 날인
한다.

(2) 품질검사전문기관에 시험을 의뢰할 경우에는 감독자가 계약상대자와 동행한다.

(3) 현장여건 및 시료의 변질 가능성 등을 감안하여 시료채취 후 15일 이내에 시험을


의뢰한다.

5. 시공허용오차를 확인한다.

(1) 시공오차 측정

(가) 계약상대자는 해당 공사의 공사 목적물이 품질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나) 계약상대자는 공사 진행 단계마다 부위별 측정방법에 따라 실시하고 시공확인


을 감독자에게 의뢰한다.

(2) 시공허용오차기준
부위별 시공 허용오차는 시방서 기준에 따른다.

(3) 공사 진행

(가) 시공오차 측정결과가 시공허용오차 기준을 벗어나는 부위는 반드시 계약상대자


부담으로 재시공 또는 보완 후 후속공사를 진행하여야 한다.

(나) 허용오차 기준은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범위를 규정한 것이므로


시방서 해당 허용오차기준보다 설계도서에 명시된 기준이 더 강화되어 있을 경
우 계약상대자는 설계도서에 명시된 기준에 적합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16
(다) 시공 상태가 허용오차범위 내일지라도 외관상 또는 구조적·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때는 이를 시정한다.

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한다.

1.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한다.
계약상대자는 공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점검 안전관리조직 등 건설공사의 안전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계약상대자가 고용하
고 있는 안전점검요원은 안전관리계획에 따라 성실하게 그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1) 대상공사

(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상 1종 및 2종 시설물


상세내용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별표 1을 참고한다.
1) 1종 시설물
- 교량: 특수교량(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최대경간장 50m 이상인 교량) 연장
500m 이상의 교량
- 터널: 연장 1,000m 이상의 터널, 3차로 이상의 터널
- 지하차도: 복개구간의 연장이 500m 이상인 지하차도
- 복개구조물: 폭 12m 이상으로서 연장 500m 이상인 복개구조물
2) 2종 시설물
- 교량: 연장 100m 이상의 교량으로서 1종 시설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교량
- 터널
∙ 1종 시설물에 해당되지 않는 터널로서 고속국도, 일반국도, 특별시도, 광역
시도의 터널
∙ 1종 시설물에 해당되지 않는 터널로서 연장 300m 이상의 지방도, 시도, 군
도, 구도의 터널
- 지하차도: 복개구간의 연장이 100m 이상의 지하차도로서 1종 시설물에 해당
하지 아니하는 지하차도
- 복개구조물: 폭 6m 이상이고 연장 100m 이상인 복개구조물로서 1종 시설물
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복개구조물
- 옹벽: 지면으로부터 노출된 높이가 5m 이상으로서 연장 100m 이상의 옹벽
- 사면: 연직높이 30m 이상(옹벽이 있는 경우 옹벽상단으로 부터의 높이)을 포
함한 절토부로서 단일 수평연장 100m 이상인 절토사면

2. 안전관리계획서를 작성한다.

(1) 공사개요
위치도, 공사개요, 전체공정표, 설계도서, 인허가 승인기관 등

17
(2) 안전관리조직
시공안전, 공사장 주변 안전에 대한 점검 확인 등을 위한 조직

(3) 공정별 안전점검계획


자체안전점검, 정기안전점검 시기, 안전점검표 등

(4) 공사장 주변 안전관리계획


공사장 주변 방호, 안전시설물의 보호

(5) 통행안전시설 및 교통소통계획


교통소통, 교통안전시설, 교통사고 예방 등

(6) 안전관리비 집행계획


계상액, 산정내역, 사용 계획 등

(7) 안전교육계획
교육의 종류, 내용 및 교육관리

(8) 비상시 긴급조치계획


비상연락망, 비상동원조직, 정보전달체제, 응급조치, 복구 등

3. 안전점검계획을 수립한다.

(1) 계약상대자는 아래의 구분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가) 공사기간 동안 매일 자체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나)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는 시기와 횟수에 따라 정기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다) 정기안전점검결과 건설공사의 물리적·기능적 결함 등이 발견되어 보수·보강


의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라) 관렵법의 규정에 해당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는 당해 건설공사를 준공하기 직


전에 정기안전점검 수준 이상의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마) 관련법의 규정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를 시행하는 도중 그 공사의 중단으로 1년


이상 방치된 시설물이 있는 경우 그 공사를 재개하기 전에 그 시설물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2) 정기안전점검과 정밀안전점검은 아래에 해당하는 기관이 실시하도록 한다.

(가)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9조의 규정에 의하여 등록한 안전진단전문기관

(나) 한국시설안전공단

18
1-2. 업무범위 작성

• 공사계약관련 법규 및 지침을 통하여 발주처와 수급인 사이의 책임범위를 제시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설계내용을 검토하여 적용범위, 용어의 정의, 설계도서의 적용순위, 법규우선준수사
항, 설계도서검토책무, 공사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에 관한 상
세한 사항과 공사 전반에 관한 주의사항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발주처 및 설계자, 시공자의 기본임무 확인

1. 발주처의 기본임무
건설공사의 계획, 설계발주, 건설사업관리, 시공, 사후평가 전반을 총괄하고 아래와 같은
사항에 대해 지원, 협력하여야 한다.
(1) 설계 및 건설사업관리, 시공에 필요한 설계도면, 문서, 참고자료와 계약문서에 명기한
자재, 장비, 비품, 설비의 제공
(2) 건설공사 시행에 따른 업무연락, 문제점 파악, 민원해결 및 의사결정
(3) 건설공사 시행에 필요한 용지 및 지장물 보상과 국가, 지방자치단체, 그 밖에 공공기
관과의 협의 및 허가, 인가 등에 필요한 사항의 조치 또는 협력
(4) 시공자의 공사일정 검토 및 조정, 공정, 공사비 성과분석 등 적정성 확인
(5) 설계의 경제성 검토(설계 VE), 설계기준 및 시공성 검토 등 시공 적정성 확인
(6)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보고한 설계변경, 준공기한 연기요청, 그 밖에 현장실정보고 등
방침 요구사항에 대하여 결정하여 통보
(7) 특수공법 등 주요공종에 대해 외부전문가의 자문 또는 건설사업관리가 필요하다고 인
정되는 경우에는 별도 조치
(8) 그 밖에 시공 관련한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와 계약으로 정한 사항 등 건설사업용역감독

2. 설계자의 기본업무
(1) 설계자는 관련법령, 설계기준, 설계도서 작성기준 및 용역계약문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설계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여야 하며, 발주처나 건설사업관리자로부터 필요한
조치에 대한 지시를 받을 때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지시에 따라야 한다.
(2) 설계자는 발주처와의 용역계약문서에 정하는 바에 따라 발주처 및 건설사업관리기술
자의 업무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19
3. 시공자의 기본업무
(1) 관련법령 및 공사계약문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현장작업, 시공방법에 대하여 품질과
안전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지고,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하여 시공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완성하여야 하며 발주처 또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로부터 재시공, 공사중지
명령, 그 밖에 필요한 조치에 대한 지시를 받을 때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지시에
따라야 한다.
(2) 시공자는 발주처와 공사계약문서에 정하는 바에 따라 발주처의 현장관리 또는 건설사
업관리기술자의 업무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 설계도서 검토 및 우선순위

1. 설계검토의 개요
건설공사의 품질확보를 위해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확인하는 과정은 중요한 업무이다.
따라서 설계도서에서 누락, 설계기준과의 불일치, 오류, 시공성 결여나 시공과정에서의 기
술적인 문제발생은 공정 및 품질, 원가관리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
서 설계도서의 이해 및 검토는 발주처의 설계지침과 설계기준, 각종 설계조건에 대한 충
분한 사전지식을 보유하고, 설계도서의 모든 내용을 확인하여야 한다.

2. 설계도서 검토

(1) 설계도서를 제출받은 건설관리사업자와 시공사는 해당 건설공사를 시공하기 전에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발주처에 보고하여야 한다.

(2) 설계도서의 검토결과를 보고받은 발주처는 필요시 설계도서를 작성한 설계용역업자


에게 시정·보완 등의 필요한 조치를 요구하여야 한다.

(3) 설계자는 설계도서를 작성할 때 구조물(가설구조물을 포함)에 대한 구조검토를 하


여야 하며, 그 설계도서의 작성에 참여한 건설기술자의 업무수행내용을 국토교통부
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기술하여야 한다. 설계도서의 일부를 변경할 경우도 동일
한 절차로 시행하여야 한다.

(4) 설계도서 검토 시 해석이 불분명할 경우 설계도서, 발주자, 건설사업관리자, 관련법


령해석의 지시 등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분쟁 방지를
위한 설계도서의 우선순위는 다음 표와 같다.

20
3. 설계도서 적용의 우선순위(계약으로 적용의 우선순위를 정하지 않는 경우)
<표 1-1> 설계도서의 적용의 우선순위
순위 설계도서 내용
1 공사시방서
2 설계도면
3 전문시방서
4 표준시방서
5 산출내역서
6 승인된 상세시공도면
7 관련법령의 유권해석
8 건설사업관리자의 지시
출처: 국토해양부. 건축물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국토해양부 고시 2012-553호)

21
수행 내용 / 설계도서 검토하기

재료·자료

Ÿ 공사계약서, 설계도, 공사시방서, 구조계산서, 설계예산서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및 주변기기(프린터, 스캐너 등), 프로그램(문서 작성용 S/W, 도면 작성용 CAD S/W 등)

안전·유의 사항

Ÿ 개정 법령, 최근의 설계기준 등을 확인하여 비교하고 적용 여부를 검토한다.

수행 순서

Ÿ 설계도서의 검토 및 진행흐름은 다음과 같다.

- 설계도면 및 시방서
설계도서목록 - 구조계산서 및 각종계산서
확 인 - 계약내역 및 수량산출서
- 사업계획 승인 조건

- 적용 설계기준 및 시방 일치여부
- 적용공법 및 시공성 확인
- 시공시 예상문제점 확인
- 계산서와 관련도면의 일치여부
설계도서 검토
- 설계조건과 시공현장 조건 일치여부
- 각분야별 업무 협의 결과 적합성
- 관련도면의 시공 적합성
- 시공 필요내용의 오류 여부 확인

- 단계별 검토과정에서 발생한 시공상


검토의견협의
의 예상문제점, 부적합 내용, 설계
및 의견작성
오류 등의 검토내용을 작성

- 현장조건에 적합한 공법 및 효율적


이고 경제적인 신공법 등 현장 적용
발주처 보고
성 반영
및 설계변경
- 내역 및 수량 오류 내용 금액산정
실정보고

[그림 1-2] 설계도서 검토 및 진행 흐름

22
 검토할 관련도서의 목록을 작성하고 유무를 확인한다.

1. 설계도면 및 시방서가 있는가?

2. 구조계산서 및 각종 계산서가 있는가?

3. 계약내역서 및 산출근거가 있는가?

4. 공사계약서가 있는가?

5. 사업계획 승인조건 등이 있는가?

 각종 계산서와 관련 도면 등의 적정성을 확인한다.

1. 계산서와 관련 도면의 변경사항 표기, 작성 일자, 책임기술자 서명 여부

2. 계산서와 도면의 판독 가능 여부

3. 계산서와 도면의 일치성 여부

4. 사용된 정보의 정확성과 일관성이 있는지 여부

5. 각 분야별 업무협의 결과 등을 반영하여 수정한 내용이 분야 기술자에게 모두 통보가


되고, 설계에 반영이 되었는지 여부

6. 상세 도면이 시공에 반영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는지 여부

7. 구조물에 과도한 응력집중의 방지, 내구성 확보, 균열 제어 방안의 반영 등

 설계도서를 검토한다.

1. 일반사항

(1) 사업승인 조건과 설계도면과의 일치 여부

(2) 시방서가 발주처의 설계지침 및 요구사항, 설계기준에 일치하는가 여부

(3) 공사설계서의 상호 간 모순되는 내용 확인 및 관련 계산서 등 확인

(4) 현장 여건과의 부합 여부

(5) 발주기관 결정을 필요로 하는 항목 선정

(6) 설계도서와 같이 시공가능 여부

(7) 시공에 필요한 내용이 설계도서에 누락되거나 오류 여부

(8) 시공 시 예상문제점 찾아보기

(9) 산출내역서상의 수량과 도면 수량과의 일치 여부

(10) 사용재료와 제작기간의 적정성

(11) 도면상의 치수, 메모, 축적, 방위 표기 및 사용 기호에 대한 정확성, 일관성 확인

23
(12) 적용공법 및 시공자의 능력 확인

(13) 필요한 상세 도면의 누락 여부

2. 기본설계 성과품 검토하기

(1) 기본 설계도서와 공정표를 참조하여 공사기간 내에 실행 가능한 공법 여부 검토

(2) 공종별 적용 공법의 시공성과 효율성

(3) 공사비 대비 적용 공법의 적정성 여부

(4) 현장조건 대비 적용 공법의 적정성 여부

(5) 적용된 공법과 타 공종과의 간섭관계 여부

(6) 사용 자재의 취득, 가용성에 대한 검토

(7) 적용 공법의 사용 장비 및 인력 동원 가능성 검토

(8) 주문 제작 자재의 조달기간 검토

3. 실시설계 성과품 검토하기

(1) 실시설계보고서, 지반조사보고서, 구조계산서, 기타 현장조사 보고서 등을 확인하여


기본조사자료의 정확성과, 조사자료 적용의 적정성 검토

(2) 적용된 설계기준 또는 설계시방의 일치 여부 검토

(3) 구조계산 시 적용된 계산내용의 적정성 여부 검토

(4) 하중계산의 적합성 여부 검토

(5) 선정 재료의 적합성 여부 검토

(6) 공종별 채택 시방 내용과 현장조건의 일치 여부 검토

(7) 적용 공법 및 사용재료의 시방규격 적합성 여부 검토

(8) 현장조건 대비 설계시방 및 시공여건 일치 여부 검토

4. 설계 오류 및 누락 내용 검토하기

(1) 설계보고서에 수록된 설계기준 적용 문제점 여부 검토

(2) 설계도서 내용이 현장조건과 상이한 부분 확인

(3) 설계도면, 시방서, 내역서, 수량산출서, 일위대가 등의 상호 불일치사항 검토 확인

 검토의견서를 작성한다.
단계별 검토 과정에 발생한 시공상의 예상문제점과 설계기준의 부적합, 설계오류, 특이사
항 등을 현장상황에 적합하게 구성하여 검토의견서로 작성한다. 설계도서 검토서에는 문
서번호 또는 도면번호, 검토 구분, 검토자 설계 및 시공의 확인 등 검토내용 등을 포함하
게 하며, 발주자의 최종 결론을 기재할 수 있도록 한다.

24
 현장여건을 확인하여 시공의 적합 여부를 확인한다.
시공성은 현장시공을 중심으로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설계도서, 계약문서 등의 상호
간 모순되는 사항과 시공과정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여 구조계산 오류 및 누락 여부, 시공
의 용이성과 시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검토하고, 필요시 현장에
적합한 개선대책을 제시하여야 한다.

1. 공사 착수단계의 시공성 검토
착수단계 시공성 검토에서는 현장조건과 시공방법의 적정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
한 시공이 실제 가능한지의 여부, 시공 시 예상되는 문제점, 공정 및 주변 공구와의 연관
성을 상호 검토하고, 장비투입시기, 자재 기준의 적합 여부, 해당 시공방법보다 효율적이
고 경제적인 신공법의 적용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내역이나 수량 오류 발생에
대한 금액 산정이 필요하고, 향후 하도급 발주 등에도 반영하여야 한다.

[그림 1-3] 건설공사 진행 주요 공정

2. 시공방법 개선에 따른 설계도서의 검토


시공성 검토에 따라 현장여건에 적합하고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사업비 절감 등을 위한
설계변경이 필요한 경우 설계도와 시방내용을 확인하며, 일위대가 작성 시 사용된 장비의 적
정성 등을 판단하고, 품적용 또한 실적단가 또는 표준품셈의 적용 여부 등에 대한 전반적 내
용을 검토하여, 설계보다 개선되거나 변경적용의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최근의 설계기준변경사항과 기존 시설물 조사 누락 여부, 측량 성과의 적정성, 타 계
획 또는 주변 공구계획과의 중복 등의 관련 여부도 상세하게 검토한다.
시공법 선정의 적정성에서는 신공법, 신기술 도입 및 특정 업체의 견적가격 등의 특성을
비교해 보고, 유사공법에 대한 설계와 시공 사례를 확인하여 합리적이고 현장적용성이 우
수한 공법의 선정에 대해 검토할 수 있다.
이때 개정된 지침, 감사 지적 사례 등에 대한 검토가 수행되어야 한다.

수행 tip

• 단계별 설계도서를 검토한 후 예상문제점을 작성하


고, 시공계획에 반영한다.
• 시방서, 산출내역서에 사용된 설계기준의 적합성 여
부를 판단하고 결과를 기록한다.

25
학습1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표준 및 전문시방서 및 관련 법규와 지침을 소개하고 시공의 일반사항과 업무범위에 필요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공사관리계획과 자재관리계획 수립, 시공 상세도면 작성 시 반영한 자재 선정 등을 연관하여


설명한다.

• 공사와 관계되는 법률, 시행령 등의 내용을 숙지하고, 설계도서의 내용이 관련 법규와 상이할
경우 해석상의 우선순위와 대처방안을 설명한다.

• 설계도서 검토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점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설계도서 검토항목 등에


관련 내용을 설명한다.

• 현장에서 사용되는 품질시험기준과 실시, 기록관리 등의 절차를 설명하고, 공종별 허용오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 필요시 공종별로 적합한 현장견학 등을 실시하여 실제 설계도서의 확인 및 현장변경 등에 대한


설계변경 실정보고내용을 확인하도록 한다.

학습 방법

• 국내시방서와 관련 법규와 지침을 찾아보고, 시공의 일반사항과 업무범위가 어떻게 반영되었는


지 비교해본다.

• 공사와 관계되는 법률, 시행령 등의 관련 법규를 찾아보고, 관련 법규의 차이 발생 시에 대한


대처방안을 확인토록 한다.

• 공사관리계획과 자재관리총괄표 등의 양식을 확인하고, 시공상세도를 작성하여 현장 적용성을


확인토록 한다.

• 설계도서 검토항목을 설명하고, 중점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설계도서의 내용과 항목에 대하여


숙지토록 한다.

• 현장적용 품질기준에 대하여 찾아보고, 공종별 허용오차에 대한 수치를 확인토록 한다.

26
학습1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준거 및 평가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와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기본


으로 작성하고, 작성절차에 따라 시공의 일반사항 및 업
무범위를 명기할 수 있다.

-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발주처 및 설계자의 설계의도가


공종별 시공의 반영되도록 시설물별 공사의 특성과 제반여건을 반영하
일반사항 작성 여 작성할 수 있다.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와 전문시방서를 검토하여 각


공종별 시공절차, 시험방법, 허용범위, 자재 및 재료 품
질, 기타공사 공사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해석에 이견이
없도록 명료하게 작성할 수 있다.

- 공사계약 관련 법규 및 지침을 통하여 발주처와 수급인


사이의 책임범위를 제시할 수 있다.

- 설계내용을 검토하여 적용범위, 용어의 정의, 설계도서


업무범위 작성
의 적용순서, 법규 우선 준수사항, 설계도서 검토 책무,
공사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에 관
한 상세한 사항을 작성하고, 공사 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내용을 작성할 수 있다.

27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표준 및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시공의 일반적


인 설명 여부

공종별 시공의 - 현장적용 가능한 공사관리계획 및 자재관리계획의 수립


일반사항 작성 방법 설명 여부

- 공사와 관련한 시공절차,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품질관리가 필요한 자재 및 재료 선정에 대한 설명 여부

- 공사계약 관련 법규 및 지침을 설명하고, 발주처와 수급


인 사이의 책임범위를 설명 여부
업무범위 작성
- 설계도서 검토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현장에서 사용되
는 품질시험기준에 대한 설명 여부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표준 및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시공의 일반적


인 설명 여부

공종별 시공의 - 현장적용 가능한 공사관리계획 및 자재관리계획의 수립


일반사항 작성 방법 설명 여부

- 공사와 관련한 시공절차,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품질관리가 필요한 자재 및 재료 선정에 대한 설명 여부

- 공사계약 관련 법규 및 지침을 설명하고, 발주처와 수급


인 사이의 책임범위 설명 여부
업무범위 작성
- 설계도서 검토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현장에서 사용되
는 품질시험기준에 대한 설명 여부

28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토목공사표준일반시방서와 전문시방서의 내용의 차이


에 대한 개념 정립
- 현장설계변경추진 절차의 숙지 여부

- 현장반입자재의 적정성과 사급자재와 지급자재의 차


공종별 시공의
이 숙지 여부
일반사항 작성

- 각 단위공종별 시공계획서 작성 방안 숙지 여부
- 품질관리 계획과 품질검사기준의 숙지여부

- 발주처와 설계자, 시공자의 기본업무와 책임 범위의


정확한 구분 여부

업무범위 작성
- 설계도서 검토 필요성과 우선수위에 대한 이해
- 현장 품질관리 계획 작성 내용 숙지 여부

피드백

1. 구두발표
- 현장 여건에 따라 공사시행에 필요한 사항 등을 설명하고 공사관리계획과 자재관리계
획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현장 품질관리기준과 법규에 대해 설명하고, 설계도서 우선순위를 설명해 준다.
2. 서술형 시험
- 현장적용 공사관리계획 및 자재관리계획 등의 내용에 대해 평가 사유와 지적사항에 대
해 설명해 준다.
- 교육내용과 시험내용을 피드백하여 보충해야 할 교육내용을 계획한다.
3.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스스로 학습이 되었는지 확인하게 도와준다.
- 품질관리계획이 관련 법규와 지침, 절차서에 따라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29
학습 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및 업무범위 명기하기(LM1402011008_14v2.1)

품질기준 제시하기
학습 2
(LM1402011008_14v2.2)
학습 3 공종별 시공방법 명기하기(LM1402011008_14v2.3)
학습 4 신기술·신공법의 전문시방서 작성하기(LM1402011008_14v2.4)

2-1. 주요자재의 취급 및 시공방법 작성

학습 목표 • 공사에 사용될 자재를 조사하여 주요자재의 취급, 시공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자재의 품질시험 및 검사
-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주요자재는 건설공사 품질시험지침에 의거하여 반입자재에 대한 시
험 및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건설기술진흥법 제89 및 91조).
- 각 공종별 품질시험 및 검사를 실시하고 품질시험, 대장에 품질시험 및 검사의 결과를 기
재하고, 감독자(건설사업관리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 품질시험 및 검사 실시 항목은 건설공사 품질시험지침에 적합하도록 시험수량 및 횟수를
결정하여야 한다.
- 구조물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험종목의 품질시험을 실시할 때에는 발주처가
입회 등의 과정을 거쳐 확인하여야 한다.

 품질시험 및 검사기준(건설기술진흥법시행령 제91조 제2항)

1. 한국산업규격(KS규격)

2. 건설공사 설계기준, 건설공사 표준시방서 및 철도전문시방서 등의 해당 품질기준

3. 건설공사 품질관리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358, 2013.6.25) 활용

30
수행 내용 / 주요 자재의 취급 및 시공방법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국토교통부 고시 건설공사 품질관리지침

Ÿ 건설기술진흥법 및 시행령, 시행규칙

Ÿ 설계도서(도면, 내역서, 시방서 등)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프린터, 복사기 등

Ÿ 주요시험기구 리스트

안전·유의 사항

Ÿ 건설공사 품질관리지침의 품질기준항목에 적합하게 품질관리계획이 수립되었는가를 사전에


확인한다.

Ÿ 품질관리계획과 관련된 교육이수 등 적정성을 확인한다.

수행 순서

 주요자재의 적용 품질관리기준 및 항목을 확인한다.

1. 철도노반 토공의 상하부 노반의 다짐도 품질기준의 차이를 확인한다.


<표 2-1> 상하부 노반의 다짐도 품질기준
자갈·콘크리트 궤도
시험항목 시험방법
상부 노반 하부 노반
Ev280MN/m2 Ev260MN/m2
반복평판재하 DIN 18 134
Ev2/Evl<2.3 Ev2/Evl<2.7
KS F 2312의 최대건조밀도의 95% 최대건조밀도의 90%
다짐
D방법 이상 이상
Ev1: 1차 변형계수, Ev2: 2차 변형계수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 『제4장 흙구조물』’p.4-12

31
2. 구조용 강재의 품질기준을 확인하고 강재 두께별 항복응력의 차이를 확인한다.
<표 2-2>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기계적 성질
인장시험
항복점 또는 내력(N/mm2)
종류의
강재의 두께(mm) 인장강도
기호 연신율(%)
16 초과 40 초과 (N/mm2)
16 이하 100 이상
40 이하 10 이하
SS400 245 이상 235 이상 215 이상 205 이상 400~510 17~23 이상
SM400 245 이상 235 이상 215 이상 205 이상 400~510 18~24 이상
SM490 325 이상 315 이상 295 이상 295 이상 490~610 17~23 이상
SM490Y 365 이상 355 이상 335 이상 325 이상 490~610 15~21 이상
SM520 365 이상 355 이상 335 이상 325 이상 520~640 15~21 이상
SM570 460 이상 450 이상 430 이상 420 이상 570~720 19~20 이상
연신율은 강재의 두께 및 형태에 따라 적용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 『제9장 강교 및 강합성교』’p.9-6

3. 철근(이형봉강)의 종류 및 기호를 확인하고, 기호별 인장 및 항복응력 기준을 숙지한다.


<표 2-3>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의 기계적 성질
인장시험 굽힘성
종 류 항복점 인장강도 인장 연신율 굽힘
안쪽 반지름
(MPa) (MPa) 시험편 (%) 각도

300 440 2호 16 이상 D16 이하: 공칭지름의 1.5배


SD300 180°
이상 이상 3호 18 이상 D16을 넘는 것: 공칭지름의 2배

2호 18 이상 D16 이하: 공칭지름의 1.5배


350 490
SD350 180° D16 이상 D41 이하: 공칭지름의 2배
이상 이상 3호 20 이상
D51: 공칭지름의 2.5배

400 560 2호 16 이상
SD400 180° 공칭지름의 2.5배
이상 이상 3호 18 이상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 『제9장 강교 및 강합성교』’p.9-10

32
4. 콘크리트의 기준강도에 따른 개략적인 골재수치와 각종 구조물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강
도범위를 확인하고 숙지한다.
<표 2-4> 설계기준강도 및 종별 적용구조물
설계기준 골재최대 적용구조물
종 류
강도(MPa) 치수(mm) (일반적인 기준)

70 19 Seg Beam
고강도
45 13 FCM교 세그먼트
(PSC)
40 20 Ex Girder, PSC 박스거더 및 슬래브, Preflex 하부 플랜지

고강도 40 25 고강도 교각
30 교량 노출바닥판
25
일 27 주형교량 슬래브, PSC빔교 바닥판
반 24 30 교량하부구조(교대, 우물통 본체)

24 25 수중 콘크리트 호칭강도: 30MPa

리 25 절성토부 도수로, V·L·U형 측구
21
트 40 중력식 옹벽, 매스콘크리트
15 40 레벨링 콘크리트, 속채움콘크리트(우물통기초)
골재치수는 사용 장비, 현장여건에 따라 변경가능
출처: 한국도로공사 연구개발실-2294 (2010. 7. 8) 『시멘트 콘크리트 설계기준 배합비 개정(안)』, 한국도로공사

5. PS 강봉의 기계적 성질을 숙지하고, 규격별 항복점과 인장강도의 범위를 확인한다.


<표 2-5> PS강봉의 기계적 성질
인장시험
릴렉세이션값
종류 기호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
(MPa) (MPa) (%)
원형봉강 SBPR
2호 800 이상 1,050 이상 5 이상 1.5 이하
A종 785/1030
SBPR
1호 950 이상 1,100 이상 5 이상 1.5 이하
원형봉강 930/1080
B종 SBPR
2호 950 이상 1,200 이상 5 이상 1.5 이하
930/1180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 『제10장 콘크리트교』’p.10-16

33
 공종별 시공방안을 계획하고, 현장여건의 적합 여부를 확인한다.

1. 토공사 시공계획 수립하기

(1) 공사착공 전 사전조사를 시행하고, 깎기 및 쌓기 공법과 다지기 등의 장비투입계획,


공정표 검토(현장조건에 적합하고 공사기간 내에 경제적이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토공사 시공계획서를 작성)

(2) 토공사 시공계획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가) 깎기 및 쌓기, 구간별 지형 및 지반조건, 용수, 지장물 및 주변환경조건

(나) 구간별 토공사 표준단면, 비탈면 기울기, 비탈면 보호계획 및 품질관리

(다) 흙운반계획 및 다지기 등의 공사장비 종류, 시험기구, 시험종류, 시험횟수 등

(라) 안전관리, 환경관리 및 수해방지대책

(마) 지장물 현황 및 처리계획, 나무베기와 뿌리 제거, 표토처리방법 등

2. 콘크리트 타설 및 시험계획 수립하기


콘크리트 작업 시작 전 최소한 7일 이전에 운반, 타설 등에 관하여 아래 사항에 포함한
시공계획서를 작성한다.

(1) 타설할 콘크리트량에 적합한 운반·타설방법 등의 설비 및 인원배치

(2) 운반로, 운반경로

(3) 콘크리트 타설구획, 타설순서

(4) 시공이음의 위치, 시공이음의 처치방법

(5) 진동기의 찔러넣기 간격, 깊이 및 한 장소당 진동시간

(6) 양생방법 및 기간 선정

(7) 유해한 진동 및 충격 방지대책 수립

(8)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운반계획 수립 및 송장관리


콘크리트를 현장에 운반할 때마다 매차량 단위로 반드시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납품서
를 확인한다.
배치(Batch) 전산기록을 수시로 점검하도록 하고, 배합설계, 콘크리트에 함유된 염화물
함유량 등의 기초가 되는 배합보고서를 확인한다.

(9) 압축강도 시험성과표 작성 및 유지


압축강도시험을 실시한 후 즉시 압축강도시험 성과표를 작성하고, 결과를 기록·유지
한다.

34
3. 철근시공계획 수립하기

(1)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따라 철근의 상세가공도를 작성하고, 목록에는 각 철근의


무게, 치수별 총 무게 및 전체 철근의 총 무게를 명시하고, 설치작업계획서를 작성
한다.

(2) 철근에 대한 설명, 상세, 치수, 배근, 조립 및 위치를 명시하고, 철근의 개수 및 치


수, 겹이음, 가공 및 설치에 필요한 사항을 명시한다.

(3) 용접공과 압접공에 대해서는 자격증명서를 확인한다.

(4) 철근의 운반, 보관, 취급은 같은 치수와 길이의 것을 묶음으로 운반하여야 하며, 직
접 땅에 닿지 않도록 적절한 보관시설에 저장하거나 덮어 습기, 먼지, 기름 등으로
콘크리트와 부착이 저해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4. 강재(강교)의 시공계획 수립하기


강재는 일반적으로 강교 제작 등의 특별한 경우에 사용되는것 일반적이다. 강재시공계획
에는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1) 공사예정공정표

(2) 강재 구입 및 조달

(3) 제작 및 제작관리(강교제작도(용접 및 허용오차 등), 구조계산서 확인 후 실시)

(4) 가조립

(5) 도장계획(공장도장 및 현장도장)

(6) 수송계획

(7) 조립 및 가설계획
교량가설지점의 지형 및 지리적 조건과 교량형식, 사용장비계획,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세밀하게 작성한다.

(8) 상부 슬래브공 타설계획

(9) 품질관리계획(시험 및 검사계획)

(10) 장비 및 인력의 현장 동원 및 철수를 위한 계획을 반영한다.

35
2-2. 품질기준 작성

• 공사의 특성에 따라 품질기준 성능을 조사하여 공종별 특징을 제시할 수 있다.


• 공사에 사용할 자재의 성능, 규격, 시험 및 검사에 관한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는
학습 목표 품목은 그 품질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품질보증계획서 또는 품질시험계획서에 따라 품질시험검사를 실시하여 건설공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필요 지식 /

 자재 품질기준
건설공사의 자재품질기준은 설계도상에 명시되어 있는 품질 및 규격을 충족하는 적합한
자재 선정을 실시하고, 사용자재에 대한 검사 및 시험결과에 따라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1. 사용자재
공사에 사용하는 자재는 설계도서상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자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해당
설계도서에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자재는 아래에 따라 적합하게 선정하여 사용
한다.

(1)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 표시품(이하 “KS 표시품”이라 한다.)

(2) 건설기술진흥법에 의한 품질검사전문기관, 공인시험기관에서 한국산업규격에 따라


품질시험을 실시하여 KS 표시품과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다고 확인한 것

(3) KS 규격표시품이나 공인시험기관의 합격자재가 없을 경우에는 품질 및 성능이 우


수한 시중제품을 사용한다.

2. 자재검사 및 확인
반입된 자재는 아래의 사항에 대한 검사 및 확인을 시행하고, 그 결과 문제점이나 이의가
있을 경우에는 그 내용을 건설사업관리자 또는 공사감독자에게 보고하여야 하며, 품질확
인평가표를 작성하여 발주처에 제출한다.

(1) 품질, 규격, 성능 및 수량 등

(2) 설계도서와의 적격 여부

(3) 시험성과표 또는 품질검사확인서

36
 건설공사 품질관리 및 시험기준
건설공사의 품질관리기준은 발주처의 목적물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품질관리활동을 말하며, 시방서 및 도면, 설계서에 명기되어 있는 품질과 규격을 만족하고,
작업공종별로 검사 및 시험을 실시하여 자재와 시공상태에 대한 품질을 충족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또한 품질시험기준은 건설공사 품질관리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303호)의 건설공사의
종류별, 공종별 시험종목·방법 및 빈도에 따라 시행하고, 건설공사 품질시험기준에 명시
되지 아니한 공종이나 자재에 대해서는 시방서 등 설계도서에 제시된 시험종목·방법 및
빈도에 따른다. 발주처가 공사의 종류·규모 및 중요성, 현지실정 등을 감안하여 특히 필
요하다고 인정하면 시험빈도를 조정할 수 있다.

단계 수행 내용

설계도서의 자재 기준 확인
계획 품질관리계획서 및 공종별 시험계획서 작성
건설사업관리자 제출 → 발주처 승인

공사중 품질관리계획서 내용 실행
실행
각종 자재 품질시험계획서 실행


품질관리시험계획과 실행을 비교평가
검토 시험이나 품질에 이상이 있을 경우 배제 및 재시험 조치
그 내용을 기록 보존

품질시험에 대한 기록을 작성 및 유지
조치
매월 말 품질시험 성과 총괄표에 기록

[그림 2-1] 품질관리절차

37
수행 내용 / 품질기준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건설공사 품질관리지침, 철도설계기준(2015, 국토교통부), 도로교 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해


설, 2015), (사)한국교량 및 구조공학회)

Ÿ 공사시방서

Ÿ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 철도전문시방서

Ÿ 공사계약조건 및 특수조건

Ÿ 공사계약문서

기기(장비·공구)

Ÿ 화이트보드, 컴퓨터, 빔프로젝트, 프린터, 복사기

Ÿ 반입재료 시험기구, 측량기구 등

유의 사항

Ÿ 공정단계별 품질관리 매뉴얼에 따른 지침을 숙지한다.

Ÿ 관련 시료채취 시 혼합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Ÿ 건설기술진흥법상의 품질관리기준 및 관련 법규를 확인한다.

38
수행 순서 /

 주요자재의 품질시험기준을 확인한다.


- 건설공사 품질관리에 대한 관련 법규를 확인하여 품질계획 수립에 반영한다.
- 건설공사 각 공종별 품질관리의 해당 항목별 시험방법과 시험빈도 등을 확인한다.

1. 토공사 시험기준을 숙지한다.


<표 2-6> 토공사 시험기준
시험빈도
시험종목 시험방법 비 고
하부 노반 상부 노반
다짐 KS F 2312 ∙ 토질변화 시마다 ∙ 토질변화 시마다
급속
∙ 포설 후 다짐 전 ∙ 포설 후 다짐 전
함수비 KSF 2306 함수량
2,000세제곱미터마다 1,000세제곱미터마다
측정방법
∙ 2,000세제곱미터마다(광활한 ∙ 1,000세제곱미터마다(광활
현장밀도 KS F 2311 지역의 성토작업 시) 한 지역의 성토작업 시)
∙ 층별 450미터마다 ∙ 층별 400미터마다
∙ 2층포설 후 200미터마다
∙ 3층포설 후 150미터마다
∙ 1,000세제곱미터마다(폭이
평판재하 KS F 2310 ∙ 2,000세제곱미터마다(폭이 넓은
넓은 광활한 지역의 성토
광활한 지역의 성토작업 시)
작업 시)
※ 1. 상부노반과 하부노반에 대한 시험 빈도 차이를 확인한다.
2. 상부노반이 상대적으로 주요 부분에 해당되므로 시험실시 횟수와 관리가 철저함을 숙지한다.
출처: 국토교통부(2015) ‘건설공사 품질관리업무지침’별표2

2. 철근콘크리트공사의 시험방법과 시험빈도 등의 시험기준을 숙지한다.

(1) 골재에 대한 시험기준과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레미콘의 송장관리와 시험횟수,


기준 등을 숙지한다.
(2)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레미콘과 철근(일반적인 사용의 철근)의 시험빈도와 시험종목을
확인한다.

39
<표 2-7> 콘크리트 및 철근 시험기준
종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절대 건조 밀도 및 흡수율 KS F 2503, 2504
입도, 조립률 KS F 2502,2526
∙ 골재원마다
0.08밀리미터 체 통과량 KS F 2511
∙ 1,000세제곱미터
잔골재의 유기불순물 KS F 2510
마다
점토 덩어리 KS F 2512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마모율 KS F 2508
골재 KS F 2545 또는 ∙ 골재원마다
(KS F 2526) 알칼리골재반응 시험
KS F 2546 ∙ 6개월 1회 이상
석탄 및 갈탄 함유량 KS F 2513 ∙ 골재원마다
안정성 KS F 2507 ∙ 1년 1회 이상

∙ 공급회사별 바다모래인
염화물 함유량 KS F 2515
∙ 1일 3회 이상 경우
잔골재의 표면수량 KS F 2509 ∙ 1일 1회 이상
슬럼프 KS F 2402
공기량 KS F 2421
∙ 배합이 다를
때마다
∙ 콘크리트 1일
굳지 타설량이
아니한 150세제곱미터
콘크리트 미만인 경우:
(레미콘 염화물 함유량 KS F 4009 1일 타설량마다
포함) ∙ 콘크리트 1일
타설량이
150세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150세제곱미터
마다
화학성분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철근콘크리 ∙ 제조회사별
인장강도
트용 봉강 KS D 3504 ∙ 제품규격별
연신율
(KS D 3504) 50톤마다
굽힘성
겉모양, 치수, 무게
출처: 국토교통부(2015) ‘건설공사 품질관리업무지침’별표2

40
3. 철강구조물 공사의 종류 및 시험방법, 시험빈도 등의 시험기준을 숙지한다.

<표 2-8> 구조용 강재시험기준


종별 시험종목 시험방법 시험빈도
KS D 3051
KS D 3052
치수, 무게, 겉모양
KS D 3500
일반 KS D 3502
구조용 화학성분 ∙ 제조회사별
압연강재 ∙ 제품규격별 50톤마다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KS D 3503)
인장강도 KS D 3503
연신율
굽힘성
KS D 3051
KS D 3052
겉모양, 치수, 무게
KS D 3500
KS D 3502
용접
화학성분
구조용 ∙ 제조회사별
압연강재 탄소당량 또는 용접균열 감수성 ∙ 제품규격별 50톤마다
(KS D 3515)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KS D 3515
인장강도
연신율
샤르피 흡수에너지
겉모양, 모양, 치수, 무게 KS D 3500
화학성분

교량구조용 탄소당량 또는 용접균열 감수성


∙ 제조회사별
압연강재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
KS D 3868 ∙ 제품규격별 50톤마다
(KSD 3868) 인장강도
연신율
샤르피 흡수에너지
출처: 국토교통부(2015) ‘건설공사 품질관리업무지침’별표2

41
 공사단계별 품질관리절차 업무를 파악한다.

1. 공사단계별 품질관리업무 작성하기

(1) 계획단계
-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도서 확인
- 품질 관련 문서의 작성 및 분류, 승인 배포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
- 품질담당자 선임 및 교육계획 수립
- 품질관리항목 작성

(2) 준비단계
- 설계도서 검토 및 오류사항 확인
- 자재 품질기준 적정성 확인 및 선정
- 검사 및 시험계획서, 검측서 등 품질 관련 문서 준비

(3) 실행단계(현장품질관리)
- 자재·장비 등 반입제품의 품질기준 검토
- 시방서 및 관련 규정을 만족하는 품질요건을 검사와 시험을 통해 확인
- 시방서 및 발주처의 요구사항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 부적합관리보고서 작성

(4) 완료 단계
- 시공 중 작성된 품질 관련 기록 정리
- 부적합관리보고서를 정리 및 품질향상방안 작성

2. 품질시험 관리절차를 숙지한다.


품질관리의 주요 업무인 시험은 품질시험 관리절차에 따라 진행하며, 시험결과 부적합 공종에
대하여는 재시험 또는 재시공을 실시하고, 부적합 자재는 반출하여 재반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림 2-2] 품질시험관리절차

42
 품질관리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1. 검사/시험 계획 시 작성해야 할 사항 파악하기

(1) 건설공사 정보
발주자 요구사항의 결정 및 충족 여부

(2) 현장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

(가) 현장 품질방침 수립 여부

(나) 현장 품질목표 설정, 추진계획의 수립 및 실행 여부

(다) 품질관리계획 실행과 관련하여 전 직원의 참여를 위한 동기 부여 여부

(3) 책임과 권한

(가) 조직편성 및 적정인원 배치 여부

(나) 각 조직인원의 업무분장 실시 여부

(4) 문서관리

(가) 품질관리계획을 운영하는 방식의 적절성

(나) 품질 관련 문서와 자료의 비치 및 관리상태

(5) 기록관리
품질기록의 보관 및 관리상태

(6) 자원관리

(가) 품질관리(검사, 시험 등) 업무수행자의 적격 인력 배치 여부

(나) 품질관리에 필요한 자원(시설, 장비, 인력 등)의 적정 확보 및 유지 여부

(7) 건설공사 수행 준비
설계도서, 법규 및 KS 규격 등의 시공 전 검토 여부

(8) 가자재 구매관리


자자재 수급계획의 수립, 검증, 식별, 보관, 재고관리 및 주기적인 점검 실시 여부

(9) 공사관리

(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종의 파악, 관리계획의 수립 및 이행 여부

(나) 안전관리 및 환경관리 여부

(다) 시공상세도, 준공도의 관리 여부

(10) 중점품질관리
중점품질관리 대상의 관리 여부

43
(11)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품질관리계획운영과 관련하여 취해진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의 적절성

(12) 자체 품질 점검
품질관리계획의 적합성, 효과성, 이행성 등에 대한 자체 품질점검의 실시 및 필요한
조치의 실행 여부

(13) 공사준공 및 인계
공사준공 및 인계관리의 적절성 여부

44
학습2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주요자재에 대한 품질시험 및 검사에 대한 지침을 소개하고 필요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 주요 활동과 절차에 대해 기 작성된 품질관리계획서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지도한다.

• 현장품질관리조직 및 활동에 대한 설명은 실제 조직표를 가지고 조직의 구성, 인원의 업무분장,


관리자 선정과 역할 등에 대하여 학생들이 이해되도록 설명한다.

• 주요자재에 대한 품질관리 시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점품질관리 대상, 불합격 시 시정조치


등에 관련 내용을 설명한다.

• 현장에서 사용하는 시험장비와 점검 및 보관상태 등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품질관리


교육실시에 대해서도 이해되도록 설명한다.

• 필요시 실제시공현장에 대한 견학을 실시하여 현장품질관리조직 및 현장품질관리상황을 확인토


록 계획한다.

학습 방법

• 주요자재에 대한 시방기준과 관련 법규와 지침을 찾아보고, 품질관리계획에 어떻게 반영되었는


지 비교해본다.

• 수집된 품질관리계획서 사례에 대하여 관련 주요활동에 대해 찾아본다.

• 현장품질관리 조직표를 작성해보고, 조직 구성원의 역할에 대해서도 수집된 자료를 통해


숙지한다.

• 실무에서 작성된 품질관리기준과 시험방법을 숙지하고, 불량 자재와 불합격 경우에서의 시정조


치사항 등을 숙지토록 한다.

• 현장사용 시험장비와 검정유효기간 등을 확인하는 방법을 숙지한다.

45
학습2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준거 및 평가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주요자재의 취급 - 공사에 사용될 자재를 조사하여 주요자재의 취급, 시공


및 시공방법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 공사의 특성에 따라 품질기준 성능을 조사하여 공종별


특징을 제시할 수 있다.

- 공사에 사용할 자재의 성능, 규격, 시험 및 검사에 관한


품질기준 작성 품질기준이 명시되어 있는 품목은 그 품질기준에 적합
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품질보증계획서 또는 품질시험계획서에 따라 품질시험검


사를 실시하여 건설공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주요자재의 취급 - 공사 사용자재 품질시험 및 검사기준에 대한 설명여


및 시공방법 부

- 콘크리트 타설 시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점검 항목(운


반, 타설순서, 진동기, 양생 등) 설명 여부

- 콘크리트 및 강재 등의 설계기준 강도의 의미와 품질


품질기준 작성
확인과 설계적용 방법 설명

- 사용자재의 품질기준에 적합여부 확인 방법에 대한


설명(KS 표시품, 자재 검사 및 확인 등)

46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주요자재의 취급 - 공사 사용자재 품질시험 및 검사기준에 대한 설명여
및 시공방법 부
- 콘크리트 타설 시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점검 항목(운
반, 타설순서, 진동기, 양생 등) 설명 여부

- 콘크리트 및 강재 등의 설계기준 강도의 의미와 품질


품질기준 작성
확인과 설계적용 방법 설명

- 사용자재의 품질기준에 적합여부 확인 방법에 대한


설명(KS 표시품, 자재 검사 및 확인 등)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주요자재의 취급 -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의 품질시험 내용을 현장
및 시공방법 적용 방안 설명 여부
- 콘크리트 타설 계획의 주요 관리 항목에 대한 확인(운
반방법, 타설순서, 진동다짐방법, 양생, 온도관리 등)

- 콘크리트 및 강재의 설계기준 강도와 설계 적용기준


품질기준 작성
강도의 적용의 적정성 확인

- 사용자재의 품질기준이 KS 표시품의 경우와 그 이외


자재에 대한 자재검토 방법과 적용 여부

피드백

1. 구두발표
- 실제 품질관리계획서를 이용하여 품질관리체계에 대해 설명해 준다.
- 현장 품질관리기준과 법규에 대해 설명해 준다.
2. 서술형 시험
- 자재의 취급 및 시공방법에 대한 설명과 품질기준 선정에 대한 내용에 대해 평가 사유
와 지적사항에 대해 설명해 준다.
- 교육내용과 시험내용을 피드백하여 보충해야 할 교육내용을 계획한다.
3.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평가 항목을 제시하고 스스로 학습이 되었는지 확인하게 도와준다.
- 품질관리계획이 절차서에 따라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47
학습 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및 업무범위 명기하기(LM1402011008_14v2.1)
학습 2 품질기준 제시하기(LM1402011008_14v2.2)

공종별 시공방법 명기하기


학습 3
(LM1402011008_14v2.3)
학습 4 신기술·신공법의 전문시방서 작성하기(LM1402011008_14v2.4)

3-1. 시공계획서 작성

학습 목표 • 공사의 목적에 따라 각 공종별 시공특성을 파악하여 시공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설계도서 검토
설계도서를 검토하는 목적은 시공 전 발주처로부터 제공받은 설계도서 간에 서로 상이한
경우, 구조물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현장여건상 공법 적용이 불가할 경우 등을
검토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설계도서상의 오류를 보완하여 시공이 원활하게 진행
되도록 하며, 각종 예상되는 민원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1. 시공 전 설계도서 검토절차
발주처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는 검토기간 일정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 보고한다.

설계도서 검토 검토결과
도 면 발주처 제출 Yes
시 방 서 시 공
(시공사, 건설사업
내 역 서
수량산출서 관리자 검토)
No

검토 결과 반영
설계도서 - 설계기준 적합성 검토
수정 및 보완 - 구조물 안정성 확보 검토
- 사업비 증감 적정성 검토

[그림 3-1] 설계도서 검토절차

48
2. 설계도서의 주요검토내용

(1) 전체 공사 및 각 공종별 개요, 규모, 범위

(2) 공종별 공사와 타 공종과의 연계성

(3) 전체 공사 및 각 공종별 특수사항 검토

(4) 설계도서 적합성 및 상호 일치성

(가) 실시설계보고서의 구조물 공법 선정 사유, 토질조사보고서 내용의 적정성

(나) 구조계산서 작성 시 설계기준 적합 여부 및 각 공종계산서의 설계기준 확보

(다) 수량 산출서, 예산 내역서의 산출 근거

(라) 실시 설계 도면
1) 구조물 치수 및 상세, 구조물 기초 안정성
2) 공사용 도로계획 및 현장 연결 방법
3) 가시설 및 토공 등 시공공법의 적합성
4) 지장물 처리방법 및 시공방법

(5)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 검토

 품질관리기준
품질관리기준은 공사에 사용할 재료 및 자재에 대하여 시방규정에 의한 각종 품질시험결
과를 반영하여 설계기준에 적합한 자재 품질을 확보함으로써 하자 발생을 예방하고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1. 품질관리의 기본방향

(1) 품질관리 문서화: 품질관리계획서 작성, 기록양식의 표준화

(2) 자재구매 품질관리: 구매계통의 합리화, 한국공업규격 준수 검증

(3) 제작공장 품질관리: 공장제작 도면전산화, 자재시험, 공정관리, 공사시방서 검증

(4) 시공 중 품질관리: 현장품질관리 조직 운영, 적정 가설장비 반입, 계측관리

(5) 품질관리 교육실시: 각 공종별 작업자의 품질관리교육 실시 내용

2. 품질관리의 주요내용

(1) 품질향상을 위한 표준 및 전문시방서 규정에 따라 품질관리시험 계획 및 실시

(2) 자재에 대한 전반적인 외관검사 및 품질시험 실시

(3) 설계도서, 공사 시방서에 따른 정확한 제작 및 시공

(4) 자재시험 결과 품질이 미흡한 자재에 대한 조치와 시공할 때 품질확인 실시

49
3. 단계별 품질관리
구조물의 자재구매에서부터 구조물의 완성과 현장의 가설까지 아래와 같은 품질관리기준
체계를 통해 관리한다.
<표 3-1> 품질관리기준 체계

1단계 2단계 3단계


(착수 시) (시공 계획서 작성 시) (공사중)

- 공사 시방서 - 설계도서 검토 - 시공문제점 검토


- 현장조건 적합성 검 - 시공지침과 설계기
- 품질 매뉴얼(발주처) → 토 → 준 일치
- 품질절차서 관리, 기
- 관련규정 및 지침 - 자재, 장비기준 검토

50
수행 내용 / 시공계획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철도전문시방서,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2015.6). 국토교통부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Ÿ 프로그램(문서 작성용 S/W, 도면 작성용 CAD S/W)

안전·유의 사항

Ÿ 전체 시공항목 현황을 파악하고, 공기에 적합하도록 현장조직을 구성하여 인력 및 장비투입계획


을 수립한다.

Ÿ 관련 품질관리기준 및 절차서, 안전관리기준을 검토하여 적용한다.

수행 순서

 시공계획서 포함 항목을 확인한다.


시공계획서는 공사의 목적에 따라 공종별 시공특성 및 품질관리기준을 반영하여 작성한다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제91조 관련(2015.6)).

1. 현장조직도
공사 및 안전: 품질, 환경을 포함한 필요 인력을 파악하고, 현장투입인원을 예측하여 작성
한다.
특정공법 적용으로 전문업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업체의 인력을 포함하여 작성한다.

시공 책임자
직 위 성 명

공 사 담 당 품질담당 공 무 담 당
직 위 성 명 직 위 성 명 직 위 성 명

연락처: 전화번호, 책임자 연락처


[그림 3-2] 현장조직도

51
2. 공사세부공정
공사규모 및 공종별 작업량에 따른 적정 작업공기산출을 실시하고, 주요공정에 따른 작업
순서를 결정한다.
<표 3-2> 공사규모 예
옹벽높이: 0~15.0m, 4단 / 옹벽면적: A=529.88m2
구 분
단위 수 량 비 고
공 종
P.C 기초블록 설치(직접기초) m 36
P.C 기초블록 설치(파일기초) m 153.00
2 *SoilNail : L=4.0m(87공)
P.C PANEL 설치 m 529.88
*RockBolt: L=7.0m(35공)
85
천공 및 Earth Bolt 설치 공
168
출처: 제2영동 고속도로 건설공사, PEM옹벽 시공계획, 2016.5

3. 주요공정의 시공절차
각 공정의 시공계획과 작업순서, 시공방법 및 품질확보, 안정성 확보 등의 내용을 수록한다.

출처: 제2영동 고속도로 건설공사, PEM옹벽 시공계획, 2016. 5.


[그림 3-3] 시공절차 및 작업순서

4. 시공일정
전체일정 중 작업에 필요한 일정을 산출하고, 해당 공종의 합산일정이 전체공기에 적합토
록 계획을 수립한다.

5. 주요 장비 동원계획
작업공정에 따라 투입장비 산출 및 투입계획, 투입장비 이동로 및 작업반경 확보방안을
계획한다.

52
<표 3-3> 장비동원계획 예
장 비 명 작 업 내 용 수 량 비 고
PC Panel 및 PC 기초 블록 설치,
굴삭기 1
뒤채움, 자재운반
크롤러 드릴 천공 1
Grouting 장비 Grouting 1
Earthbolt 인장기 Earthbolt 인장 1
다짐기 뒤채움 다짐작업 1
PC Panel 및 PC 기초블록 설치,
카고크레인 1
자재운반
출처: 제2영동 고속도로 건설공사, PEM옹벽 시공계획, 2016. 5.

6. 주요 자재 및 인력투입계획
작업공정에 따라 투입인원 산출 및 투입계획, 수요자재량 파악 및 자재수급, 보관계획 수
립, 반입자재 요구성능 검토를 실시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표 3-4> 주요자재 및 인력투입계획 예
명칭 및 공종 업무내용 인원수 비고
작업반장 책임업무의 지시 수행 1
굴삭기 기사 굴삭기 운전 1
크롤러 드릴 기사 크롤러 드릴 운전 1
철근공 Earthbolt, 억지말뚝 조립 및 삽입 4
PC 기초블록 설치공 PC 기초블록 설치 4
PC PANEL 설치공 PC PANEL 운반 및 설치 4
Grouting 공 Grouting 4
G.S.B. Nut 공 G.S.B. Nut 정착 및 인장 2
특별인부 및 보통인부 필요시
공사담당직원 현장관리 및 업무 협조 2
출처: 제2영동 고속도로 건설공사, PEM옹벽 시공계획, 2016. 5.

7. 주요 설비 사양 및 반입계획
공종특성에 필요한 설비 및 장비사용 및 공정계획에 따라 현장 내 반입계획을 수립한다.

8. 품질관리대책
품질관리기준 작성 및 품질보증계획 수립 및 기록유지, 품질관리교육계획 수립 및 절차서를
작성한다.

53
※참고자료: 품질 방침 예시
1) 본 사업의 품질방침은 회사 품질방침의 실현을 기본원칙으로 한다.
2) 발주자와 원도급자의 요구와 기대에 부합하도록 한다.
3) 신뢰성과 경제성이 있는 시공을 한다.
4) 고객 만족을 실현하는 준공품을 납기 내 인도한다.
5)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처: 제2영동 고속도로 건설공사, PEM옹벽 시공계획, 2016. 5.

9. 안전 및 환경대책 등
공사와 관련한 안전관리 및 안전장비 구매계획을 수립한다.
환경 관련 법규분석 및 환경관리계획을 수립하여 반영한다.
환경오염발생예측 및 대책방안을 수립한다.
<표 3-5> 환경관리요소 작성 예
공 종 환 경 관 리 요 소 대 책
- 크롤러 드릴 장비 이용으로 폐유 발생 - 폐유 처리
천 공
- 비산먼지 및 소음 발생 - 분진막 설치
- Earthbolt 조립 시 고재 발생 - 폐자재 처리
Earthbolt 삽입
- 스페이서, 연결너트, 방수재 등 고재 발생
- 그라우트 믹싱 시 시멘트 포장쓰레기 - 일반 쓰레기 처리
그라우팅
- 잔여 시멘트 밀크 발생 - 폐기물 처리
- 잔여 버림 기초 콘크리트 발생 - 폐기물 처리
기초블록 및
- 크레인 및 백호 장비 이용으로 폐유 발생 - 폐유 처리
Panel 설치
- 뒤채움재에 쓰레기 섞임 - 현장 미관 관리
Earthbolt 인장 - Earthbolt 단부 Cutting으로 고재 발생 - 폐자재 처리
및 마감 - Earthbolt 단부 처리 시 잔여 코킹재 발생 - 폐기물 처리
출처: 제2영동 고속도로 건설공사, PEM옹벽 시공계획, 2016. 5.

10. 지장물 처리계획과 교통처리대책


공사장 내의 지장물 처리계획 및 상세시공도면을 작성한다.
공사장 주변의 교통소통대책, 교통안전시설물, 사고예방대책 등 교통처리대책을 수록한다.

 품질보증계획을 작성한다.

1. 발주처에 제공한 공사시방서 및 설계도서 검토

(1) 설계도서 검토를 실시하고 현장조건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2) 공사시방서에 수록된 품질시험 기준정리 및 시험계획서를 작성한다.

(3) 발주처의 품질기준을 확인하고 관련시험을 계획한다.

(4) 품질담당자는 품질 관련 규정을 정리하고 담당자에게 제공한다.

(5) 승인된 공사 품질관리지침서를 배부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54
2. 시공 및 품질관리계획 수립

(1) 시공계획서, 품질관리방침, 시험계획서를 작성하고 내용을 확인한다.

(2) 공종별, 구간별 품질관리 및 품질 개선 요소 세부계획을 수립한다.

(3) 공사계약 관련 법규 및 지침을 통하여 발주처와 수급인 사이의 품질관리의 책임범


위를 제시하고, 협력업체 근로자에 대하여 품질향상 기본방침을 숙지토록 한다.

(4) 공사기간의 온도, 강우량, 풍향, 풍속 등 기후점검계획을 수립한다.

(5) 품질 향상을 위한 신기술 적용과 개선 공법 도입을 검토한다.

(6) 반입 자재 검사 및 시험을 통한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한다.

(7) 필요시 전문가의 특별점검을 실시하여 품질 저하를 예방토록 계획에 반영한다.

3. 공사 중 품질계획

(1) 시공문제점을 사전에 검토하고, 검사기준 및 계획서를 현장 및 공장 제품의 품질활


동을 하는 담당자에게 제공한다.

(2) 구조물의 품질 확보를 위한 제작방법, 순서, 주요사항에 대한 요령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공법 비교, 안전성, 기타 주요 사항에 대한 요령서를 제공한다.

(3) 필요한 자재 반입부터 완성품 제작까지 품질시험 및 검사사항을 기록하고, 품질 시


험 및 검사기록은 발주처가 요구할 경우 제출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수행 tip

• 단계별, 항목별 시공과정의 점검순서도를 작성해본다.


• 시공계획서 작성기준에 따라 시공계획서를 작성해
본다.

55
3-2. 공종별 시공방법 작성

• 각 공종별 적용범위, 적용기준에 따라 공사종류 공종별로 시공 시에 요구되는 제안


사항을 파악하여 명기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설계도서에 반영된 내용에 따라 시공일반사항에 대한 시공방법을 명기할 수 있다.
• 주요 공종별 시공절차에 의해 적용방법, 허용오차, 사용자재, 사용장비, 소요인원에
대한 상세한 규정을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설계도서의 종류
설계도서란 시방서, 도면, 내역서, 수량산출서를 의미하고 이에 따라 자재 및 재료의 사용
기준, 계약조건, 공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1. 시방서

(1)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
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처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

(2)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
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

(3)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
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
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
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

2. 도면
시공할 공사의 형태와 범위를 표시하고, 공사 목적물을 구체적으로 작성한 것으로 이 도
면에 따라 공종별 시공상세계획도면의 승인을 거쳐 시공을 완료하면 목표하는 구조물이
된다.

56
3. 수량산출서
각 공종에 대한 목적물을 구성하는 품목 또는 비목과 규격, 수량, 단위가 표시된 수량을
기재한 서류를 구성된다.

4. 내역서
내역서에는 각 공종에 따른 규격과 수량, 단위, 단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하고, 각
공종에서 발생하는 노무비, 재료비, 경비로 구성된 직접공사비와 간접공사비, 이윤, 관리
비 등으로 구성된다.

57
수행 내용 / 공종별 시공방법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도로공사표준시방서(2009), 철도전문시방서, 철도설계기준, 도로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Ÿ 설계도서(도면, 시방서, 내역서, 물량산출서 등), 건설공사 관련 법규, 정부 표준품셈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Ÿ 프로그램(문서 작성용 S/W, 도면 작성용 CAD S/W 등)

유의 사항

Ÿ 해당 공사시방서의 기준은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를 근거로 작성되어 있음에 유의하여 시방서


의 기준을 검토한다.

Ÿ 개정법령, 지침, 설계기준, 감사지적 사례 등을 반영한다.

수행 순서

 토공사에 대한 품질관리기준을 검토한다.

1. 쌓기재료 품질기준을 확인한다.


<표 3-6> 흙쌓기 재료기준
자갈궤도 콘크리트궤도
구 분
상부노반 하부노반 상부노반 하부노반
최대입경 100mm 이하 30mm 이하 100mm 이하 300mm 이하
수정 CBR 10 이상 2.5 이상 10 이상 2.5 이상
5mm체(4번체) 통과율 25~100% - 25~100% 25~100%
0.08mm체(200번체) 통과율 0~25% - 0~25% 0~25%
소성지수 10 이하 - 10 이하 10 이하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 『제4장 흙구조물』’p.4-9

58
쌓기형상은 아래와 같으며 상부노반와 하부노반으로 구분하며 상부노반두께는 고속철도
3.0m, 일반철도 1.5m로 하고 강화노반두께는 200mm~400mm(열차속도에 따라 정함)로 한다.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 『제4장 흙구조물』’p.4-9


[그림 3-4] 쌓기 형상

① 다짐도의 품질기준 확인과 시공방법 검토(1회당 다짐높이 및 재료 확인)


② 표토 제거의 적용범위 및 제거 토사의 처리방법 검토(반출, 위탁, 매립 등)

2. 깎기부는 형성 비탈면의 안정성을 확보토록 하고, 상부노반 및 하부노반이 설계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① 깎기비탈면의 기울기, 소단계획 검토(안정성과 배수성 고려하여 설계반영)
② 중요 깎기비탈면에 대하여는 건기 및 우기, 내진등급을 고려한 비탈면 안정해석 수행
필요
<표 3-7> 깎기비탈면 적용 안전율 기준
구 분 안전율기준 내 용
건 기 F.S > 1.5 ∙ 지하수가 없는 것으로 해석
F.S > 1.2 ∙ 토사: 지표면 포화 F.S=1.2 적용
장 우 기 또는 ∙ 암반: 인장균열 내 지하수 1/2 적용
기 F.S > 1.3 ∙ 강우의 침투를 고려한 안정해석을 실시할 경우 F.S=1.3 적용
지진 시 F.S > 1.1 ∙ 지진관성력은 파괴토체의 중심에 수평방향으로 작용
단 기 F.S > 1.1 ∙ 1년 미만의 단기적 비탈면의 안정성(시공 중 포함)
비탈면 상부 파괴범위 내에 1, 2종 시설물의 기초가 있는 경우: 별도 검토
출처: 국토교통부(2015) ‘철도설계기준 『제4장 흙구조물』’p.4-11

 구조물 기초 터파기, 되메우기 및 뒤채움에 대한 품질기준을 확인한다.


교량, 암거, 배수관, 옹벽 및 기타 구조물의 기초를 시공하는 데 필요한 터파기와 구조물
이 완성된 후 터파기 자리의 되메우기 및 뒤채움 공사에 적용한다.

(1) 되메우기용 및 뒤채움용 재료의 품질기준에 대한 검토

(2) 지층 구성 상태와 지하수에 대한 검토

(3) 기초 터파기 작업계획에 대한 검토

59
(4) 암반 및 토사의 직접기초, 말뚝기초에 대한 검토

(5) 물막이 및 물푸기에 대한 검토

(6) 되메우기와 뒤채움에 대한 검토

 토공의 마무리 기준을 검토한다.


선형, 경사, 횡단면에 따라 균일한 형상이 되도록 토공부를 다듬고 정리하는 마무리공사에
적용한다.

(1) 열차의 주행안정성 확보를 위해 적당한 탄성을 가지고 궤도의 지지검토

(2) 토공의 열차하중의 분산, 노반의 차수성, 배수성 확보 검토

(3) 비탈면 면 고르기에 대한 검토

(4) 완성면 보호에 대한 검토

(5) 시공 마무리면의 E.L을 도면 표기내용과 검토

 구교 및 배수시설의 설계내용을 검토한다.


구교(경간 5.0m 미만) 및 배수시설에 대한 설계기준으로 거더 및 슬래브와 기둥이 일체로
강결된 철도 구교에 적용한다.

(1) 구교의 형식에 대한 검토(박스형, 문형라멘, 아치형 등)

(2) 사용목적과 현장조건, 소요단면의 크기, 기초상태, 시공성,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3) 구교의 위치는 본선과 직각이 되도록 검토(부득이한 경우 사각설치 및 토피 1.5m


이하 낮은 경우는 좌우 진동 방지턱 설치 고려)

(4) 배수시설계획은 하천유역의 종합적 분석과 홍수 등의 재해방지를 감안하여 검토

(5) 배수설계 시 수공구조물의 강우빈도 결정(대체적으로 20년 이상이나 하천의 중요도


에 따라 결정)

 흙막이 구조물의 설계기준을 확인한다.


옹벽 및 흙막이벽 등의 설계에 대한 기준으로 현장실정에 맞도록 설계 및 시공에 적용한다.

(1) 지층 구성조건과 지하수 조건 검토

(2) 지형에 대한 검토(하상저하 및 세굴 등)

(3) 흙막이 구조물의 안정검토

(4) 사용재료에 대한 허용응력 검토(기간에 따른 할증계수, 재사용 여부 등)하고 보강이


필요한 경우 부재규격 및 간격 등을 재검토한다.

(5) 시공성 및 민원발생 가능성, 굴착 시 인접지반의 영향 검토

60
(6) 근접시공 시 인접지반에 대한 영향 검토

 교량공의 설계기준을 확인한다.


철도건설 및 선형개량에 따라 철도선로상에 건설하는 경간 150m 이하의 교량에 적용한다.

(1) 교량에 구조는 기능별 표준열차 하중에 대하여 주행안정성을 확보토록 검토

(2) 가설위치와 형식 선정 적정성 검토

(3) 교차조건 관계 검토(경간분할, 교각위치, 형상 등 관계기관과 협의)

(4) 건축한계 및 공간 검토(철도계획기준 참조)

(5) 운행조건 및 하중의 특성 검토(충격계수, 속도, 시동 및 제동 하중)

(6) 사용성과 내구성 설계

(7) 내진설계 검토(내진등급과 설계지진 수준, 지반분류 등)

(8) 기초형식의 적정성 검토(깊은기초, 얕은기초 등)

수행 tip

• 각 공종(토공, 구조물 등)에 대한 시공내용을 파악하


고, 철도 전문시방서의 품질기준을 확인한다.
• 현장시공여건과 설계도면의 적합 여부를 확인한다.

61
학습3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설계도서의 종류(시방서, 도면, 내역, 수량산출서 등)를 설명하고 공종별 시공특성 및 관리기준
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시공계획서에 수록되어야 할 항목을 설명하고 특히 설계도서 검토를 실시하여 시공 전 예상되는


시공문제점 등을 사전에 파악토록 지도한다.

• 공사에 사용되는 재료 및 자재의 시험 및 관리기준, 실시시기, 방법, 횟수 등에 대해 시방서


지침 등의 내용을 들어 설명한다.

• 필요한 단계별 관리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세부적인 품질 체크리스트 항목을 작성토록 하여


품질관리의 실무적인 사항들이 숙지되도록 지도한다.

• 시방서에 수록된 공종별 품질관리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불합격품에 대한 처리와 작업자들의


품질교육방법에 대해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 실무에서 사용 중인 시공계획서 및 점검표를 실습자료로 활용하여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필요시 현장견학을 실시하여 시공계획서상에서 현장시공 문제점 등에 대한 대처방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학습 방법

• 기작성된 사례를 찾아보고 각 공종별 시방내용과 관리기준에 대해 확인한다.

• 수집된 관련 서적과 시방서를 통해 재료 및 자재의 시험을 위한 시료채취 시기, 방법, 횟수


등에 대해 알아본다.

• 시공계획서상에서 공사관리를 위한 현장조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고 필요한 조직표를


계획해 본다.

• 품질관리 절차 및 단계별 관리기준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숙지하고, 세부적인 품질 체크리스트


항목도 분석하여 각 공종별 구조물의 품질관리가 가능하도록 계획해 본다.

• 시방서 내용을 분석하고, 공종별 시공방법에 대해 숙지한다.

• 다양한 실무사례를 수집하여 실습자료로 활용하도록 학습한다.

62
학습3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준거 및 평가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한다.

• 평가자는 다음 사항을 평가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공사의 목적에 따라 각 공종별 시공특성을 파악하여 시


시공계획서 작성
공계획서를 작성할 수 있다.

- 각 공종별 적용범위, 시공 시 요구되는 제안사항을 명기


할 수 있다.

공정별 시공방법
- 설계도서 내용에 따라 시공방법을 명기할 수 있다.
작성

- 주요공종별 시공절차에 의해 허용오차, 사용자재, 장비,


인원에 대한 상세규정을 작성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구두 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시공전 설계도서 검토 절차에 대한 내용 숙지여부


시공계획서 작성
- 단위공종별 시공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항목 설명

- 시공 시 요구되는 공종별 제안사항을 현장여건에 적합


토록 설명했는지 여부

공정별 시공방법 - 설계도서 내용 검토에 따른 현장에 적합한 시공방법의


작성 설명 여부

- 주요공종별 시공절차에 의해 허용오차, 사용자재, 장비,


인원에 대하여 현장여건과 연관있게 설명했는지 여부

63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시공전 설계도서 검토 절차에 대한 내용 숙지여부


시공계획서 작성
- 단위공종별 시공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항목 설명

- 시공시 요구되는 공종별 제안사항을 현장여건에 적합


토록 설명 여부
공정별 시공방법
- 설계도서 내용에 따라 시공법 작성능력 확인
작성
- 주요공종별 시공절차에 의해 허용오차, 사용자재, 장비,
인원에 대한 작성능력 확인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시공전 설계도서 검토를 실시한 결과에 따라 각 공종


별 시공특성을 반영한 시공계획서 작성 능력 확인
시공계획서 작성

- 단위공종별 시공계획서에 포함되는 항목확인

- 실시설계 도서와 관련 시공법의 현장 적합성에 대한


검토 실시여부 확인
공정별 시공방법
작성
- 주요공종별 시공절차에 의해 허용오차, 사용자재, 장비,
인원에 대한 작성능력 확인

피드백

1. 구두발표
- 사례조사 및 발표를 실시하여 피평가자의 이해도를 측정하고 미숙할 경우 추가 발표를
실시하여 학습효과 확인
2. 서술형 시험
- 공사의 목적에 적합한 시공계획서의 작성과 현장여건에 따라 각 공종별 필요 항목과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항목을 설명하는지 평가한다.
- 시공계획서 설명과 공종별 시공방안에 대한 평가사유와 지적사항에 대해 설명해 준다.
- 교육내용과 시험내용을 피드백하여 보충해야 할 교육내용을 계획한다.
3.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스스로 학습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 각 공종에 적합한 시공계획이 항목에 따라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한다.

64
학습 1 공종별 시공의 일반사항 및 업무범위 명기하기(LM1402011008_14v2.1)
학습 2 품질기준 제시하기(LM1402011008_14v2.2)
학습 3 공종별 시공방법 명기하기(LM1402011008_14v2.3)
신기술·신공법의 공사시방서 작성하기
학습 4
(LM1402011008_14v2.4)

4-1. 신기술 적용검토서 작성

• 건설신기술·신공법 적용 매뉴얼에 의해 신규성, 진보성, 현장적용성을 조사하여 신


학습 목표
기술 적용 검토서를 작성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신기술 제도 개요

1. 대상
국내에서 최초로 개발한 건설기술 또는 외국에서 도입하여 개량한 것으로 국내에서 신규
성, 진보성 및 현장적용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건설기술에 대하여 이를 개발한 자의 요청
이 있는 경우 당해 기술의 보급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기술을 대상으로 한다.

2. 심사기준

(1) 지정심사기준

(가) 신규성: 최초로 개발된 기술이거나 개량된 기술로서 기존 기술과 차별성, 개량


정도, 독창성과 자립성 등이 인정되는 기술

(나) 진보성: 기존의 기술과 비교하여 품질향상, 공사기간 단축, 첨단기술성 등이 인


정되는 기술

(다) 경제성: 기존의 기술과 비교하여 설계·시공 공사비, 유지관리비 등 비용 절감


효과가 인정되는 기술

(2) 보호기간 연장심사 기준

(가) 품질검증: 신기술이 적용된 주요현장에 대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지정 시 제시된


신기술의 성능 및 효과가 검증된 기술

(나) 활용실적: 지정·고시 후 연장신청일 전까지 신기술의 범위에 해당되는 활용실

65
적이 있는 기술

(다) 기술의 우수성: 국내외 동종 기술과 비교하여 품질 및 경제성, 시장성, 안정성,


기술개량 정도 등이 인정되는 기술

(라) 기 타: 지정·고시 후 연장신청일 전까지의 사후평가 결과, 국가 및 지방자치단


체 공식(주관, 주최, 후원) 전시회 참여실적 등이 우수한 기술

3. 보호기간
신기술 최초 지정 시 5년의 보호기간이 주여지며, 보호기간 만료 150일 전까지 연장신청 시
연장심사를 하여 종합평가점수 및 등급을 산정하고 7년 범위 내에서 1회 연장가능하다.

4. 심사절차

(1) 지정심사 절차
신청서 접수(요건 검토) → 관보 공고(이해관계인 의견청취) 및 관계기관 의견조회 → 1
차심사 → 현장실사(품질검사) → 2차심사 → 지정·고시 및 지정증서 교부 → 사후관리(자
료보관 및 활용)

(2) 보호기간 연장심사 절차


신청서 접수(요건 검토) → 관보 공고(이해관계인 의견청취) 및 관계기관 의견조회 → 현
장실사(품질검사) → 2차심사 → 연장·고시 및 지정증서 재교부 → 사후관리(자료보관 및
활용)

5. 신기술업무 처리기관 및 역할
<표 4-1> 신기술업무 처리기관 및 역할
국토교통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건설신기술협회
신기술 관련 법규 제정 및
신기술신청 접수, 반려 신기술활용실적의 접수 및 관리
개정
신기술 업무제도 개선 신기술 심사
신기술지정(보호기간 연장)
신기술 의견조회
신청 관보공고
신기술 지정, 고시 신기술심사위원회 구성, 운영
신기술 지정증서 교부 신기술 등록, 관리

66
6. 신기술 검색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건설신기술정보마당」(http://ct.kaia.re.kr)에서 신
기술의 지정번호, 개발사, 신기술 내용, 보호기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매년 건설신기술
요약자료집을 공개하므로 다운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건설신기술정보마당(https://ct.kaia.re.kr/ntecsite/mainList.do?cmd=newMain)


[그림 4-1] 2015 건설 신기술 소개 요약 자료집(2015. 2)

 기술사용료 및 인증마크

1. 기술사용료 청구
- 국토교통부장관은 보호기간을 정하여 기술개발자(법인 포함)가 신기술에 대한 기술사용
료를 받을 수 있게 하거나 그밖의 방법으로 보호할 수 있다(법 제14조 제2항).
- 국토교통부장관은 기술사용료 책정의 기준이 되는「건설신기술 기술사용료 적용기준」
을 마련하여 시행한다(국토부훈령 제463호).

67
2. 기술사용협약 체결

(1) 발주기관은 건설공사에 있어 신기술 등을 설계에 포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찰공


고 전에 기술보유자와 기술사용협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기술사용협약의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기획재정부 계약예규 2200. 104-27. 2012.7.9).

(가) 수요기관과 기술보유자 간에 기술사용조건(기술사용요율 또는 하도급조건 등)

(나) 기술보유자가 기술사용료(공사원가계산 반영)를 지급받고 계약상대자(시공사)의


계약이행에 필요한 기술적 노하우를 제공하는 방법

(다) 기술보유자가 보유한 특별한 장비 등을 사용하여야만 시공 및 품질확보가 가능


한 경우 신기술 부분의 공사를 직접 시공하는 방법

(라) 다만, 기술사용협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분리발주 또는 다른 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음

(2) 발주기관의 계약담당자는 등 협약내용을 입찰공고에 명시하여야 하며, 낙찰자 결정


후 낙찰자에게 그 사본을 제공하여 낙찰자가 기술보유자로부터 기술사용협약을 원
활히 이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기술보유자가 하도급을 통해 시공에 참여하는 경우 원가계산 시 반영된 기술사용료


는 설계반영을 통해 감액한다.

3. 신기술 인증표시(마크)

(1) 신기술 인증을 받은 자는 신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제품이나 포장, 용기 및 홍보물


등에 아래의 인증표시 사용이 가능하다.

(2) 신기술의 인증표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증기술의 명칭과 인증유효기간을 표시하


여야 한다(신기술통합인증요령 제7조).

출처: 건설신기술 매뉴얼(2014. 3)


[그림 4-2] 신기술 인증표시

68
수행 내용 / 신기술 적용절차 숙지하기

재료·자료

Ÿ 설계보고서, 설계도, 건설신기술요약 자료집, 건설신기술 매뉴얼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인터넷 가능), 프린터

안전·유의 사항

Ÿ 설계도서를 숙지하여 반영된 신기술을 파악한다.

Ÿ 공사시방에 신기술 작용내용을 확인한다.

수행 순서

 신기술 적용 검토서를 작성한다.

1. 대상공사와 관련된 신기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2. 설계단계에서 신기술 적용검토서를 작성한다.


신기술 적용검토서는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여 작성되어야 하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
우 해당 신기술을 이미 적용한 현장을 실사하여 결정한다. 신기술 적용검토서의 양식은
<표 4-2>을 참조하여 작성한다.

(1) 공사특성
- 해당 공사에 필요하고 적합한 기술인지 판단
- 경제성과 무관하게 필히 신기술을 적용해야 하는 기술인지 판단

(2) 경제성
- 실시설계와 동등 이상의 기능효과를 가진 기술, 공법, 기자재를 사용함으로써 기능
발휘가 현저하게 증가하거나 또는 친환경성 여부 판단
- 공사비가 기존 설계와 대등한지 판단하고 유지관리비 평가

(3) 시공성
- 시험성적 평가 및 자체 시험시공 여부 판단
- 시공기간의 단축 여부 비교

(4) 현장 적용 시 예상되는 민원 등 문제 발생 가능성

(5) 신기술 보호(특허) 조건의 명기

(6) 적용되는 제반 법률적 제재의 명기

69
(7) 개략시공계획
- 시공 공종명 및 수량
- 자재 소요량 및 소요시기별 공급계획(공급일정 및 공급량)
<표 4-2> 신기술 적용 검토서“예시”
신기술 적용 검토서
공사명
신기술 적용 가능 공종
신기술 명칭
검토내용 신기술공법 타공법 1. 타공법 2.
시공성
활용성
경제성
안전성
유지관리
환경친화성
파급효과
적용 여부 가 □ 부 □
신기술 적용 여부에 관한 사유
기타사항
적성일자 작성자 직급성명
1. 검토내용은 신기술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음
2. 검토내용에 대한 배점기준은 신기술에 따라 별도 조정할 수 있음
3. 경제성: 초기비용과 유지관리비용에 대해 직접비용, 간접비용, 기타 비용이 포함된 비
용의 경제성을 검토함

 신기술 적용 검토서의 첨부사항을 작성한다.

1. 설계단계에 적용된 신기술에 대해서는 설계도서에 건설신기술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와 신기술 개발자 인적사항을 명시한다.

2. 산출내역서 작성 시 신기술 적용분야에 대해 기술개발자의 견적서를 첨부하고 설계에


반영된 신기술의 품에 대해서는 기술개발자가 제출한 견적서를 검토하여 적정한 품이
반영될 수 있도록 작성한다.

3. 필요한 경우 건설신기술의 시험시공을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4. 건설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경우는 회계예규에 따라 기술개발자에게 기술사용료를 지


불할 수 있으며 구체적 계산방법은 「건설신기술 기술사용료 적용기준」(국토부훈령 제
463호)을 참조한다.

5. 채택된 신기술에 대해서는 상세도면 및 설명서를 작성하여야 하며 이때 시공순서, 설명


도면, 공사시방서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70
4-2. 신기술·신공법 공사시방서 작성

• 공사에 적용된 신기술·신공법의 품질기준, 사용될 자재의 성능기준을 조사하여 작


성할 수 있다.
• 각종 자료를 조사하여 관련 시공기준 규격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특징을 기술
할 수 있다.
학습 목표
• 공사의 특성과 현장여건을 검토하여 공사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품질기준과
사용될 자재의 성능기준을 작성할 수 있다.
• 특수공법 적용에 따라 공사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현장 품질관리기준을 작성
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공사시방서의 목적 및 역할

1. 목적
과거에는 공사 계약문서의 일부로 사용되었던 특별시방서가 형식적으로 작성되어 왔고,
또 특별시방서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 여러 표준시방서 및 지침들을 적용하도
록 규정함으로 말미암아 클레임의 요인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의 개정을 통해 국내 시방서의
위계를 표준시방서, 전문시방서, 공사시방서로 정하였다.
이는 설계도서 작성 시 이전에 특별시방서 와 여러 표준시방서, 시공지침 등을 함께 적용
하도록 하던 것을 공사시방서만을 공사에 적용하되, 표준시방서등에서 필요한 내용을 발
췌하여 공사시방서에서 해당공사의 특성에 맞게 편집, 수정하여 작성하므로서 발주처 및
설계용역업자 등 관련 기술자의 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건설분쟁 등의 요인을 사전에 예
방하기 위함이다.

2. 공사시방서의 역할

(1) 공사시방서는 계약문서에 포함되는 설계도서의 하나로서, 계약적 구속력을 가지며,


공사의 질적 요구조건을 규정하는 문서이다.

(2) 공사에 필요한 시공방법, 시공품질, 허용오차 등 기술적 사항을 규정한다.

(3) 발주자와 수급인 사이의 책임 범위와 한계를 명시한다.

(4) 공사감독자 및 수급인에게는 시공을 위한 사전준비, 시공 중의 점검, 시공완료 후의


점검을 위한 지침서로 사용할 수 있다.

71
 공사시방서의 작성 일반사항

1. 시방서의 종류

(1)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
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처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

(2)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
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

(3)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
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
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
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

2. 공사시방서 주요포함사항

(1) 표준시방서와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작성한다.

(2) 기술적 요건을 규정하는 사항으로서 설계도면에 표시(시설물 위치, 형태, 치수, 구
조상세 등)한 내용 외에 시공과정에서 사용되는 기자재, 허용오차, 시공방법, 시공
상태 및 이행절차 등을 포함한다.

(3)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어려운 공사의 범위, 정도, 규모, 배치 등을 보완하는 사항을
포함한다.

(4) 해석상 도면에 표시한 것만으로 불충분한 부분에 대해 보완할 내용을 포함한다.

(5)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할 경우, 표준시방서 등의 내용 중 개별공사의 특


성에 맞게 정하여야 할 사항(품질 및 성능, 기타 공사수행에 필요한 사항)을 포함한다.

(6) 현행 표준시방서에서 공사(특별, 특기)시방서에 위임한 사항을 포함한다.

(7) 표준시방서의 기준만으로 해당 공사에 요구되는 계약목적물의 성능이 충족되지 않


거나 표준시방서의 기준이 해당 공사에 요구되는 성능보다 불필요하게 과도할 경우
에는 표준시방서의 내용을 추가 변경하는 사항을 포함한다.

(8) 표준시방서 등에서 제시된 다수의 재료, 시공방법 중 해당 공사에 적용되는 사항만
을 선택하여 기술한다. 다수의 재료 또는 시공방법을 제시하여 수급인으로 하여금
재료 및 시공방법을 선택하여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수의 재료 또는 시공방법
을 제시할 수 있다.

72
(9) 각 시설물별 표준시방서(예: 토목공사 표준일반시방서,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콘크
리트 표준시방서 등)의 기술기준 중 서로 상이한 내용(예: 콘크리트의 품질요건 등)
은 공사의 특성, 지역여건에 따라 선택 적용한다.

(10) 행정상의 요구사항 및 조건, 가설물에 대한 규정, 의사전달방법, 품질보증, 공사계


약범위 등과 같은 시방일반조건을 포함한다.

(11) 수급인이 건설공사의 진행단계별로 작성할 시공상세도면의 목록 등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다.

(12) 해당 기준에 적합한 시험검사에 관한 사항을 포함한다.(샘플링 방법 등 검사를 위한


기준 포함)

(13) 시공목적물의 허용오차(공법상 정밀도와 마무리의 정밀도)를 포함한다.

(14) 발주처가 특별히 필요하여 요구하는 사항을 포함한다.

(15) 필요시 관련 기관의 요구사항을 포함시킨다.

3. 공사시방서 작성방법
공사시방서는 다음 중 한 가지 방법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1)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하는 경우

(가) 자체 전문시방서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발주처의 경우에 해당된다.

(나) 표준시방서의 내용 중 필요한 부분을 발췌·편집·수정·보완한 형태로서 시설


물별 공사의 특성과 지역여건에 따라 적정하게 해당 공사마다 편집하여 작성한다.

(2) 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하는 경우


자체 전문시방서를 보유하고 있는 발주처의 경우에 해당된다.

73
수행 내용 / 공사시방서 작성하기

재료·자료

Ÿ 설계보고서, 설계도, 공사비내역서, 표준 및 전문시방서

기기(장비·공구)

Ÿ 컴퓨터, 프린터

안전·유의 사항

Ÿ 표준시방서 → 전문시방서 → 공사시방서로 분류되는 국내 시방서의 위계를 이해한다.

Ÿ 공사시방서의 개념을 이해하고 작성방법을 숙지한다.

수행 순서

 공사시방서 기술방법 및 유의사항을 숙지한다.

1. 공사시방서 기술방법

(1) 도면에 표시하기 불편한 내용을 기술하고, 치수는 가능한 도면에 표시한다.

(2) 사용할 자재의 성능, 규격, 시험 및 검증에 관하여 기술한다.

(3) 디자인 또는 외형적인 면보다는 성능에 의하여 작성한다. 제품 또는 시공품의 요구


성능만 만족되면 제품의 종류 및 시공방법은 수급인이 선택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성능시방(성능 검사방법 포함)을 제시한다.

(4) 설계도면으로 성능을 만족시키려 하기보다 공사시방서가 성능을 만족하도록 작성하


며, 성능시방으로 작성할 경우 도면이나 공법·자재시방에서 지나친 간섭을 절제하
도록 작성한다.

(5) 설계도면과 일치되게 작성하며, 설계도면과 일치된 용어를 사용한다.

(6) 설계도면에 표시된 내용과 중복되지 않게 작성한다.

(7) 설계도면과 공사의 수준이 맞게 작성한다.

(8) 특정 상표나 상호, 특허, 디자인 또는 형태, 특정 원산지, 생산자 또는 공급자를 표


기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수행요건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이 없고, 입찰준비문서에 또는 이와 동등한 것과 같은 표기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
지 않아도 된다.

(9) 표준규격 인용 시에는, 국제입찰 대상 공사가 아닌 경우, 국내 KS 규격을 우선 인


용하고, 해당 KS가 없거나 있더라도 강화된 기준이 외국 규격에 있어서 이것을 인

74
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국규격(규격명)을 인용한다.

(10) 국제입찰 대상 공사인 경우, 국제표준이 있는 경우에는 국제표준을 기준으로 하고,


국제표준이 없는 경우에는 국내의 기술법령 공인 표준 또는 건축규정을 기준으로
한다.

(11) 외국규격 인용 시에는 내용이 서로 상충되지 않도록 작성한다. 또한 외국규격을


인용할 경우에는 성능시방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성능시방서 형태로
기술하여 국산화를 유도한다.

(12) 건축물의 기계/전기/정보통신 설비공사의 경우 사전에 건축분야의 설계도면을 검


토한 후 이 설계도면에 근거해서 공사시방서를 작성한다.

(13) 설계기준을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설계기준은 설계도면에 반영하여야 할 사항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사시방서에 설
계기준을 포함할 경우, 공사시방서와 설계도면의 내용이 상이해질 수 있음)

(14) 설계도면에 꼭 표기하도록 인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이 사실을 명기한다.

2. 시방서 작성 시 일반적 유의사항

(1) 문장은 간결하게 하고 불필요한 낱말이나 구절은 피한다.

(2) 긍정문으로 알기 쉽게 기술한다.

(3) 정확한 문법으로 기재한다.

(4) 예측적이기 보다는 직설적으로 기술한다.

(5) 이해하기 쉽고 혼동을 야기시키지 않도록 쉼표 반점(,)을 사용한다.

(6) 필요한 모든 사항을 기재하되, 반복하지 않는다.

(7) 내용은 정확하고 통일된 용어를 사용한다.

(8) 불가능한 사항은 기재하지 않는다.

(9) 상치되는 공법과 결과를 모두 기재하지 않는다.

(10) 모순된 항목은 기재하지 않는다.

(11) 수급인과 발주의 책임한계가 명확하도록 작성한다.

(12) KS와 같은 표준규격의 참고사항을 기술할 때에는 먼저 규격내용을 숙지한 후 인


용한다.

(13) 상투적인 표현을 반복사용하거나 틀에 박힌 문구는 피한다.

3. 시방서 용어 적용순서

(1) 관련법규 또는 법률용어사전에 정의되었거나 법규 내용 중에 사용된 용어

(2) 한국산업규격에서 정의된 용어

75
(3) 각 전문분야별「기술용어사전」에서 정의된 용어

(4) 한글맞춤법(교육부), 외래어맞춤법(교육부) 또는 기본외래어용어집(국립국어연구원),


국어대사전

4. 시방서의 문장 작성법

(1) 주어와 목적어와 술어가 일치해야 한다.

(2) 목적어가 빠진 문구는 사용을 삼간다.

(3) 문장은 가능한 간결하면서도 의사전달이 명확하게 되도록 서술형 또는 명령형으로


쓴다.

(4)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쉽고 평이한 문장이 되도록


한다.

(5) 두 가지 이상의 뜻으로 해석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6) 한글의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한문, 영어, 기타 언어의 표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 )
를 사용하여 용어의 바로 옆에 표기한다.

5. 용어표현방법
<표 4-3> 용어표현방법
항목 유의사항
「원칙적으로」, 「충분한」, 「관련○○」, 「○○등」등 애매
(1) 애매한 표현 배제
한 표현은 최대한 배제한다.
실시 판단시기를 명확히 기술한다.
(2) 시기의 명확화
「미리」, 「사전에」 → 「공사착수 전에」
정량적인 수치기준은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3) 규격 기준치의 명확화
「작업에 적합한 크기」 → 「30cm 이하」
「---해야 한다」 또는 「---한다」라고 기술한다.
(4) 문장의 명확화
(「--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표현은 지양한다.)

6. 참조규격 표현방법

(1) 표현방법
<표 4-4> 참조규격 표현방법
항목 표현방법 비고
KS D 3503 일반구조용 → 규격 + 규격번호
① 1. 일반사항(참조규격 항목)에서 기술 시
압연강재 + 규격명
② 2. 재료, 3. 시공 항목에서 기술 시 KS D 3503 → 규격 + 규격번호

(2) 참조규격 인용방법은 국내규격, 그 다음 외국규격 순으로 명기하되 발행기관의 알


파벳순으로 기술하며, 발행기관별로 소속된 규격들은 알파벳 번호순으로 기술한다.

76
(3) 규격인용 시 인용되는 규격의 정확한 제목과 규격번호를 명기하여야 하며 이미 폐
지되었거나 존재하지 않는 규격을 인용하여서는 안 된다.

7. 약어 사용 원칙
시방서 작성에 있어서 가능한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약어를 사용
하여 작성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약어를 작성하도록 한다.

(1) 기준(규준) 및 규격은 그 단체 및 기관 그리고 제조회사에서 제정해 놓은 것으로


한다.

(2) 약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가) KS 규격에 규정된 약어

(나) 건설업계에서 제정된 협약

(다) 사전 등에 수록되어 있는 약어

(3) 기술용어의 약어는 도면과 공정표에서 자주 반복되어 건설업계에 널리 인식되어 있


는 일반적인 명칭을 사용한다.

(4) 약어는 원래 단어의 특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문자 및 수로 구성한다.

8. 단위규정
KS 규격에서 규정한 SI 단위계를 사용한다.

9. 문장부호
시방서의 기술에 있어서 문자에 사용되는 부호와 기호는 다음의 규정에 의하여 표기한다.

(1) 문장의 끝은 마침표 온점(.)을 사용한다.

(2) 하나의 어구가 띄어 쓰여 있을 때에는 쉼표 반점(,)을 사용한다.

(3)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성을 나타낼 때에는 가운뎃점(·)을 쓴다.

(4) 이음표는 물결표(∼)를 쓰고, 줄표(—)나 붙임표(- )는 사용하지 않는다.

(5) 느낌표(!)나 물음표(?)는 사용하지 않는다.

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공사시방서를 작성한다.

1. 작성방법
- 표준시방서의 내용 중 필요한 부분을 발췌, 편집, 수정 및 보완한 형태로서 시설물별 공
사의 특징과 지역여건에 따라 적정하게 해당 공사마다 편집하여 사용한다.
- 총칙의 내용은 대부분 계약 또는 비기술적인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총칙’을 제외하고
나머지 기술적인 세부내용인 절에 대한 시방서 작성방법을 다룬다.

77
2. 절의 크기
시방서의 기술(記述) 내용은 다음과 같이 대분류, 중분류 또는 소분류 중 공사의 규모에
맞게 적정한 단계에서 기술한다.
<표 4-5> 분류방법에 따른 절의 표기
대분류에서 기술한 경우 중분류에서 기술한 경우 소분류에서 기술한 경우
제4장 토공사 제4장 토공사 제4장 토공사
1. 일반사항 4-6 비탈면보호공 4-6 비탈면보호공
기술 2. 재료 1. 일반사항 4-6-2 격자블록공
방법 3. 시공 2. 재료 1. 일반사항
3. 시공 2. 재료
3. 시공
소규모 공사에 편리(시방 대규모 공사에 편리
특징 을 자세히 기술할 필요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시방을 자세히 기술할
없을 경우) 필요가 있을 경우)
출처: 건설교통부(1999.11). 『공사시방서 작성요령』. 건설교통부.

3. 절(SECTION) 내용구성방법
절 내용은 1. 일반사항, 2. 재료, 3. 시공 등의 항목으로 구성한다. 각 구성항목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부록: p.92, 제8장 방수공사 작성예시 참조)

(1) “1. 일반사항”


총칙에서 기술된 사항 외에 각 절(section)에서 특별히 기술되어야 할 사항만을 기술
한다.

(가) 적용범위
1) 요약: 해당 절(section)의 공사시행에 요구되는 시방내용을 빨리 파악할 수 있
도록 짧은 문장으로 구성하여 기술한다.
2) 주요내용: 해당 절(section) 안에 서술되어 있는 주요내용을 열거한다.

(나) 관련시방절(section)
해당 절(section)과 관계되는 작업 내용을 다룬 다른 절에 대해 주위를 환기시키고,
시방내용 파악이 용이하도록 기술한다.

(다) 참조규격
이 항목에는 시방서 본문에서 인용되는 국·내외기준(KS, ASTM, ANSI, ASME 등)을
기술하는 항목으로서, 시방서 본문에 인용되는 기준들은 반드시 본 참조규격 항목
에 기술되어야 하며, 반대로 본 항목에서 기술되는 기준들은 반드시 시방서 본문에
도 인용되어야 한다. 참조규격을 제시하는 목적은 필요시 공사시방서 뒤에 첨부하
여 참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78
(라) 지급자재
해당 절(section)에서는 발주자 지급으로 공급되는 자재의 종류에 관해서만 언급하
고, 재료의 특성은 2. 재료 , 설치 및 시공은 3. 시공에서 기술한다.

(마) 용어의 정의
계약조건에 설명되지 않고, 표준규정에 통상 포함하지 않는 특별한 용어 등에 대하
여 기술한다.

(바) 시스템 설명
완벽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성능이나 설계상의 요구조건 및 치수상이 아닌 기
능상의 내용을 설명하고, 구성요소와 작동상의 특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시스
템과 서로 상충되는 경우에 한하여 기술한다.

(사) 시스템 허용오차


설치되는 시스템의 성능이나 기능의 허용오차를 기술한다.

(아) 제출물
공사 이전이나 공사 중 또는 공사 후에 수급자가 제출하여야 하는 관련자료에 대
한 사항으로 제출물의 종류, 제출시기, 제출부수 등 행정적 요구사항을 기술한다.
총칙 의 공무행정 및 제출물 절의 요구조건과 연계시켜 작성한다. 제출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시공상세도면: 수급인이 건설공사의 진행단계별로 작성하여 시공 전에 공사감
독자의 검토 확인을 받아야 하는 시공상세도면의 목록을 명시한다.
① 시공상세도면 책임: 시공상세도면 작성자의 책임한계를 명기한다.
② 시공상세도면 요구사항: 수급인이 작성하는 시공상세도면의 기준을 명기한다.
2) 제품자료(Product Data): 제작자의 제품자료와 설치지침서 등의 요구사항을 명
기한다.
3) 시공계획서
시방서가 요구하는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수급인이 제시하는 시공계획서,
작업절차서(working procedure) 요구사항을 명기한다.
4) 견본(Sample): 제출견본의 크기, 수량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기한다.
5) 품질보증서
① 제조업자나 제조사의 제품이나 장비의 품질보증서(품질보증 연수 포함)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기술한다.
② 해당 자재와 공법으로 계약도서와 일치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내용의 수급인 서약서에 대한 요구사항을 기술한다.

79
6) 확인서(Certificate)
표준시험 단위를 초과하여 규격과 허용오차가 변하게 되는 경우, 제품이나 설비
시스템의 품질이나 성능 확인서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기한다.
7) 품질인증서류
KS 표시허가증 사본, 품질시스템(ISO 9000 시리즈) 사본, 시험성적서(품질시험
대행기관)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명기한다.

(자) 공사기록서류
공사시행에 대한 모든 사항을 매일 빠짐없이 기록하여 비치할 수 있는 서류내용을
기술한다.

(차) 품질보증
1) 자격: 공사수행과 관련하여 수급자에 고용되어 일을 완성해 나가는 설계자, 제
조업자, 조립업자, 용접공, 설치업자, 납품업자 등의 자격, 시공실적 등 요구사
항을 규정한다.
2) 현장견본: 작업 전 사용자재의 적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견본품이 필요한
경우에 기술한다.
3) 시험시공: 실제 공사를 시행하기 전 일정한 면적에 공사를 시행하여 재료의
적정성 여부, 시공기계의 적정 사용 여부와 유효한 시공방법 등을 확인하고,
시공방법 등을 현장여건에 맞게 수립하도록 작업내용을 기술한다.
4) 공사전 협의: 공사를 시작하기 전 건설사업관리자, 수급인의 회의를 통하여 작
업계획, 순서 및 방법 등의 협의가 필요한 경우에 기술한다.

(카) 운반, 보관, 취급


공사에 필요한 자재나 장비의 공급원에서 운반 및 보관, 취급에 관한 규정이나 주
의사항을 기술한다.

(타) 환경 요구사항
공사현장이나 공사시행 조건에 관한 사항으로 인위적 사항과 자연적 조건을 기술
한다.

(파) 현장수량 검측
공사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 또는 조립이 되었는지 수량이나 완성도를 검측하여야
하는 사항을 기술한다.

(하) 작업의 연속성


다른 절(section)에 연관되게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기술한다.

(기) 공정계획
다른 시방에 포함된 연관작업 간에 특별히 선행되어야 하거나 일반적인 작업순서
에 대하여 기술한다.

80
(니) 타공정과의 협력작업
작업의 복잡성과 다른 공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타 공정 간의 문제점을 사전
에 파악하여 협력하도록 기술한다.

(디) 유지관리장비 및 자재
설치된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수급인이 제공해야 하는 장비 및 자재에 대하
여 기술한다. 하자보수용 자재는 유행(FASHION)자재(마감자재 등)와 같이 시장수명
이 짧은 자재는 수급인이 공사 중에 구매하여 보수/관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자보수용 재료에 대한 요구사항을 기술한다.(자재의 물량은 퍼센트, set 혹은 kit
등으로 표시)

(리) 여유자재(SPARE PARTS)


자재의 구매처, 거래자 연락처, 금액, 정규적인 소모량에 대한 정보의 제공 등 여유
자재에 대한 요구사항을 기술한다.

(2) “2. 재료”

(가) 재료
공사에 투입되는 재료의 특성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나) 구성품
어떤 시스템, 생산부품 또는 장비의 종류에 사용되는 주요부품이나 구성품에 관하
여 기술한다.

(다) 장비
해당 절(section)의 시공에 소요되는 장비의 특성, 기능, 성능, 가동방법, 기타 특별
한 요구 조건을 기술한다.

(라) 부속재료
주요부품이나 자재에 부속되는 품목 또는 그것을 조립하고 설치하는 데 필요한 부
속재료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조하여 설치하는 품목은
기술하지 아니한다.

(마) 배합
현장에서 혼합하여 시공하여야 하는 형태의 자재종류와 양 또는 비율에 관한 시방
내용으로 그들의 배합비나 혼합방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바) 조립
현장이나 공장에서 생산, 가공, 조립되는 과정에서 특별히 요구되는 내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사) 마감
해당 절(section)의 시공에 소요되는 자재 등의 생산, 마감단계에서 요구되는 내용

81
을 기술한다.

(아) 조립허용오차
자재조립시 요구되는 품질허용오차에 관하여 기술하고, 해당 자재나 시스템의 품질
허용치와 기능의 오차에 관하여 기술한다.

(자) 자재품질관리
해당 자재나 생산제품이 현장에 반입되기 전 생산공장에서 시험이나 검사를 하여야
하는 내용을 기술하고, 현장반입 후 검사하여야 하는 방법에 대하여도 기술한다.

(3) “3. 시공”

(가) 시공조건 확인
1) 협의, 조정해야 할 사항을 기술한다.
2) 현장여건 파악: 현장에서 공사를 시행하거나 설비를 설치하는 데 필요한 여건
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필요한 요구사항을 기술한다.
3) 설계도서 검토: 공사시행 전 설계도서를 검토하여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도록
필요한 요구사항을 기술한다.

(나) 작업준비
현장에서 공사를 시행하거나 설비를 설치하기 전에 선행하여 수행되어야 하는 준비
작업에 대하여 기술한다.

(다) 시공기준
1) 공통사항: 해당 절(section)의 시공을 위하여 공통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기준을
기술한다.
2) 주요 내용별 시공: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함에 있어 특별히 요구되는 시공기준
과 주의점 등을 상세히 기술한다.

(라) 공사간 간섭
공종 간의 작업순서로 인한 시공상 문제점 등을 기술한다.

(마) 시공허용오차
설계도면이나 시방서에 명시된 규격이나 설치 또는 기능이나 품질에 관하여 허용
될 수 있는 적정오차에 관하여 기술한다.

(바) 보수 및 재시공
조립이나 시공된 구조물의 파손 및 하자 등으로 인한 보수 또는 재시공에 관하여 기술한다.

(사) 현장품질관리
현장에서 해당 절(section)의 시공 중 요구되는 품질이 확보되도록 수급인이 지켜야
할 품질관리내용을 기술한다.

82
(아) 제조업자의 현장지원
제품이나 장비의 제조업자가 공사, 설치, 동작과 관련하여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 이를 위한 교육, 효력, 시공지원, 시범 등 제반사항에 대해 기술한다.

(자) 현장 뒷정리
작업이나 설치공사가 완료된 부분에 대하여 시설물 등의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
는 데 필요한 뒷정리에 대하여 기술한다.

(차) 시운전
완료된 시설과 장비 또는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기능과 품질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내용을 기술한다.

(카) 완성품 관리
공사나 설치가 완료되어 발주처로부터 준공을 인정받을 때까지 수급인이 시설물을
보호하여야 하는 의무사항에 대하여 기술한다.

4. 절(section) 내 항목별 번호부여방법


아래 내용과 같이 1., 1.1, 1.1.1, ⑴, ①, 가., ㈎, ㉮ 순으로 부여한다.

※참고자료: 절(section) 내 항목별 번호부여 방법


4-6 비탈면보호공
1. 일반사항
1.1
1.1.1

① (생략 가능)
가.

㉮ (생략 가능)
2. 재료
3. 시공

출처: 건설교통부(1999.11). 『공사시방서 작성요령』. 건설교통부.

 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공사시방서를 작성한다.

1. 작성방법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삭제, 수정 및 보완하여 시설물별 공사의 특성과 지역여건에 맞게
해당 공사마다 편집해서 작성하여야 한다.

83
2. 목차구성
다음과 같이 전문시방서의 공종분류체계와 같은 체계로 작성한다.
<표 4-6> 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한 공사시방서 목차구성의 예
전문시방서(예) 공사시방서(예) 비 교

제4장 토공사 및 조경공사


내용 수정
4-1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제4장 토공사 및 조경공사
4-2 기존 구조물철거공 4-1 벌개제근 및 표토제거 내용 수정
4-3 흙깎기 및 터파기 4-2 기존 구조물철거공 내용 수정
4-4 흙쌓기 및 되메우기 4-3 흙깎기 및 터파기 내용 수정
4-5 지하연속벽 4-4 흙쌓기 및 되메우기
항목 삭제
4-6 지반앵커
항목 삭제
4-7 비탈면보호공 4-5 비탈면보호공 내용 수정
출처: 건설교통부(1999.11). 『공사시방서 작성요령』. 건설교통부.

3. 작성 시 유의사항

(1) 공사시방서 작성순서

(가) 일반적인 목차 작성순서


1) 관련 시공기준 및 규격에 대한 검토목록을 작성한다.
2) 수급인의 책임한계를 결정한다.
3) 필요한 자재 또는 공사에 관한 사항의 수록위치를 결정한다.
4) 신기술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결정한다.

(나) 세부의 일반적인 작성순서


1) 공사 조건에 가장 적합한 기본작성방법을 설정한다.
2) 각종 관련 자료 및 참고자료를 준비한다.
3) 공사계약일반/특수조건과 공사 특수사항을 파악, 정리한다.
4) 주요 자료, 제품의 치수 및 크기 등을 도면을 통해 설정한다.
5) 전문시방서의 목차를 통해 공사에 필요한 절을 파악한 다음, 공사시방서의 목
차를 편집한다.
6) 특수공법에 대한 시방이나 제조업자의 시방이 필요한 절은 먼저 작성하여 미리
준비할 수 있게 한다.
7) 전문시방서에서 필요한 절을 절 단위로 발췌, 편집한다.
8) 각 공정의 상호 관련 사항을 검토하기 위해 절 단위로 작성 또는 편집한 공사
시방서의 목차를 관련 책임자에게 배포한다.
9) 모든 결정사항 및 도면작성이 끝나면 세부 편집에 착수한다.
10) 공사에 필요한 절을 신설하고, 각 절에 필요한 추가사항을 작성하며, 편집한

84
절을 검토한다.
11) 작성 또는 편집한 공사시방서의 최종검토가 끝나면 발주처에 제출하여 승인을
받은 다음 시방서를 제본하여 발간한다.

(다) 일반적인 항목편집 순서


1) 절에 수록된 작업단위에 대한 공사조건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2) 시방서 작성의 첫 번째 단계로서 “2. 재료” 항목을 편집한다. 때로는 “3.
시공”항목을 편집할 때까지 부차적인 자재 및 제작방법을 보류해 둘 필요가
있다.
3) 시방서 작성의 두 번째 단계는 각 절의 “3. 시공” 항목을 편집하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 즉, 원자재를 현장에서 제작하는 경우는 “3. 시공” 항목을 편
집한 후 “2. 재료” 항목으로 되돌아가서 검토하거나 편집을 완료한다.
4) “1. 일반사항” 항목의 편집은 “2. 재료” 항목이 작성되면 효과적으로 작성
할 수 있다. “1. 일반사항” 항목 편집 시 작성된 사항은 다시 “2. 재료”
항목에서 이미 작성된 사항을 개정하는 데 필요하다.

(2) 공사시방서 작성 시 일반적 유의사항

(가) 완전한 계약문서가 되도록 자재, 시스템, 입찰절차, 공사비, 공사여건을 고려하
여 전문시방서의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거나, 공사조건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
완한다.

(나) “제1장 총칙” 작성 시 기타 기술시방 장의 각 절의 내용과 관련되는 제1장의


규정을 삭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제1장 총칙”은 중요한 일반규정이
명시되어 있고, 계약일반/ 특별조건 및 기타계약문서와 기술시방 사이의 징검
다리 역할을 한다.)

(다) 발주처의 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작성을 시작하되, 필요시 표준시방서와


기타 참고자료를 이용한다.

(라) 전문시방서 작성자와 협의하여 작성한다.

(마) 총칙 및 자재/ 특수공법 시방서의 작성자를 선정한다.

(바) 설계 완료 후 주요 재료 및 시스템과 치수를 결정한다.

(사) 각 공사 담당자 회의를 거쳐 필요한 절을 선정하고, 수록내용 요약서를 작성한다.

(아) 추가조사나 연구가 필요한 시방서의 절을 선정한다.

(자) 참고문헌(KS, 제작업자시방서 등)에서 필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자료를 준비한다.

(차) 기본 결정과 도면 작성이 완료되었을 때 편집에 착수한다.

(카) 당해 공사에 필요한 신규 절과 그 절의 주요 시방내용을 작성하고, 분류번호와


명칭을 협의한다.

85
(타) 편집한 절을 최종 검토한다.

(3) 기타 유의사항

(가) 표준시방서 등을 적용하게 하는 적용기준을 기술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본


공사시방서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표준시방서, ○○표준
시방서, ...... 등을 적용한다.” 라고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인용할 사항이 있으
면 공종별로 인용하되, KS 외에 표준시방서 등의 인용 시에는 해당 조항을 당
해 공사에 맞게 발췌, 수정, 보완하여 풀어서 기술한다.

(나) 전문시방서의 자재 및 시공에 대한 사항은 다음과 같은 원칙들에 의하여 작성


한다.
1) 물리적·외관적 성능에 대한 여러 가지 수준에 의한 작성
2) 각기 다른 자재, 공종에 대한 비슷한 수준에 의한 작성
(“1)”은 품질수준의 차이가 없으면 시방서 작성자가 공사조건에 적합한 사항
을 선택하고 그외의 사항은 삭제하는 것이고, “2)”는 공사조건에 적합하게 선
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분쟁이나 품질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선정에 신중
을 기하여야 한다.)

(다) 당해 공사조건에 적합하게 전문시방서에서 불필요한 내용의 삭제와 필요한 내


용의 추가가 반드시 필요하다.(불필요하거나 적용할 수 없는 내용을 수록하는
것은 공사기간 중 도급업자가 시방서를 무시하는 요인이 되고, 입찰자가 공사
비에 불필요한 비용을 추가시키는 원인이 되어, 이로 인하여 본래의 공사범위
가 모호해진다.)

(라) 전문시방서의 내용은 넓은 범위의 자재 및 공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실제로 필


요한 내용보다 상세하게 작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가운데 임의사항(시방기준
을 채워 넣도록 되어 있는 경우)과 선택사항(시방기준)을 최선의 방식으로 조합
하여 작성하여야 한다.

(마) 전문시방서에 수록된 내용을 수정하거나 필요한 사항을 추가할 경우, 그 분량


이 적을 경우에는 수정하거나 추가한 위치에 적당한 표시를 하여 확인이 가능
하게 한다.

(바) 분량이 많을 경우에는 적당한 항목 등에 표시를 하여 확인이 용이하게 한다.

(사) 기타 참고사항
1) 해당 공사에 필요치 않은 본문이 포함되거나 편집상의 잘못이 없도록 필요시공
사명(또는 공사 프로젝트 번호)를 페이지마다 기록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2) 기타 필요한 자료, 양식 등은 각 절의 마지막 부분에 수록한다.

86
학습4 교수·학습 방법

교수 방법

• 신기술·신공법에 관련된 법규에 대해 설명하고 신기술의 지정절차 및 유관기관의 업무 등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신기술을 검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신기술 사용 시 기술협약체결 및 사용료 산정방법을


지도한다.

• 설계단계에서 신기술 적용 시 신기술 적용검토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기존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해당 신기술 적용 시 첨부되어야 하는 부속서류의 종류를 알기 쉽게 지도한다.

• 국내 시방서 작성의 변천사를 설명하고 현행 법규에서 제시하고 있는 시방서의 위계를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공사시방서의 역할과 작성 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여 공사시방서에 대한 기본이해


가 가능하도록 지도한다.

• 공사시방서 두 가지 작성법에 대해 설명하고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신기술 공사시방서를


입수하여 시방서 작성 시 기술방법 및 유의사항에 대해 예를들어 지도한다.

학습 방법

• 신기술지정 관련사례를 조사해보고 설계 시 필요한 신기술에 대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에서


운영하는 「건설신기술 정보마당」에서 검색해 알아본다.

• 신기술 적용검토서의 사례를 수집하여 작성해본다.

• 신기술 관련된 기술협약과 기술사용료 등에 대한 관련 법규를 확인한다.

• 발주기관별로 작성된 표준시방서와 전문시방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본다.

• 공사시방서가 표준시방서나 전문시방서를 기준으로 현장여건 및 해당 공사에 적정하게 작성될


수 있도록 한 개 공종을 선정해 작성해 본다.

87
학습4 평 가

평가 준거

• 평가자는 학습자가 수행준거 및 평가항목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는지를


평가한다.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건설신기술·신공법의 적용 매뉴얼에 의해 신규성, 진


신기술 적용
보성·현장 적용성을 조사하여 신기술 적용 검토서를
검토서 작성
작성할 수 있다.

- 각종 자료를 조사하여 관련 시공기준 규격에 적용될 신


기술·신공법의 특징을 기술할 수 있다.

신기술·신공법의 - 공사의 특성과사례조사, 현장여건을 검토하여 공사에


공사시방서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품질기준과 사용될 자재의 성
작성하기 능기준을 조사하여 작성할 수 있다.

- 특수공법 적용에 따라 공사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현장품질관리 기준을 작성할 수 있다.

평가 방법

• 구두발표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 건설신기술·신공법 적용 매뉴얼에 대한 설명과 신규


신기술 적용
성, 진보성, 현장적용성의 내용을 신기술 적용 항목에
검토서 작성
대해 설명

- 관련 시공기준 규격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특징의


설명 여부

신기술·신공법의 - 신기술 적용 검토서의 주요항목(시공성, 활용성, 경제


공사시방서 성, 안정성, 유지관리 등)에 대한 설명과 설계에 반영
작성하기 될 성능기준에 대한 설명 여부

- 공사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현장 품질관리기준을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

88
• 서술형 시험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신기술 적용 -건설신기술․신공법 제도와 심사기준 항목에 대한 설명


검토서 작성 및 심사절차에 대한 설명 여부

-관련 시공기준 규격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특징의


설명 여부

신기술·신공법의 -신기술 적용 검토서의 주요항목(시공성, 활용성, 경제


공사시방서 성, 안정성, 유지관리 등)에 대한 설명과 설계에 반영
작성하기 될 성능기준에 대한 설명 여부

-공사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현장 품질관리 기준을


설명할 수 있는가 확인

•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성취수준
학습 내용 평가 항목
상 중 하

신기술 적용 -건설신기술․신공법 제도와 심사기준항목에 대한 설명


검토서 작성 및 심사절차에 대한 능력 확인

-각종 자료를 조사하여 관련 시공기준 규격에 적용될 신


기술․신공법의 특징을 기술 능력 확인

신기술·신공법의 -신기술 적용 검토서의 주요항목(시공성, 활용성, 경제


공사시방서 성, 안정성, 유지관리 등)에 대한 설명과 설계에 반영
작성하기 될 성능기준에 대한 설명 여부

-특수공법 적용에 따라 공사에 적용될 신기술․신공법의


현장 품질관리 기준을 작성 능력 확인

89
피드백

1. 구두발표
- 사례조사 및 발표를 실시하여 피평가자의 이해도를 측정하고 미숙할 경우 추가 발표를
실시하여 학습효과 확인
2. 서술형 시험
- 신기술 적용검토서 및 공사시방서 작성 시 현장여건에 따라 필요한 항목과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사항을 설명해 준다.
- 제출한 서술내용에 대해 평가사유와 지적 사항에 대해 설명해 준다.
- 교육내용과 시험내용을 피드백하여 보충해야 할 교육내용을 계획한다.
3. 피평가자 체크리스트
-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스스로 학습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 각 공종에 적합한 공사 시방서가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 확인한다.

90
∙ (사)한국도로교통협회(2009). 『도로공사 표준시방서』. (사)한국도로교통협회

∙ (사)한국지반공학회(2015.3).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해설』. (사)한국지반공학회

∙ 건설기술진흥법 제14조, 제44조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31조, 제32조, 제33조, 제34조, 제35조, 제65조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7조, 제8조, 제9조, 제10조, 제11조, 제40조

∙ 국방부(2009.10.1). 『국방, 군사 시설기준 신기술·우수제품 적용지침』. 국방부

∙ 국토교통부(1997.11). 『공사시방서 작성요령』.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1999.11). 『공사시방서 작성요령』.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2014.2). 『건설신기술 매뉴얼』.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2015). 『건설공사 품질관리업무지침(2015년 6월 30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74호)』

∙ 국토교통부(2015.6).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사업관리방식 검토기준 및 업무수행지침』

∙ 국토교통부(2015.12). 『철도설계기준』.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806호 『신기술의 평가기준 및 평가절차 등에 관한 규정』.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 훈령 제 463호(2014.12.10). 『건설신기술 기술사용료 적용 등에 관한 기준』. 국토교통부

∙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8.1). 『건설신기술 적용을 위한 매뉴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한국도로공사(2012). 『고속도로공사 전문시방서(2012)』. 한국도로공사

∙ 한국철도시설공단(2013.12). 『철도설계기준』. 한국철도시설공단

∙ 한국철도시설공단(2014). 『철도전문시방서』. 한국철도시설공단

91
방수공사 시방서 작성 예시

92
93
NCS 학습모듈 개발진
(대표집필자) (집필진) (검토진)
오순택(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응록(송원대학교)* 권오규((주)동성엔지니어링)
김종석((주)이산)* 김재철(철도기술연구원)
박근태(극동엔지니어링) 성덕룡(대원대학교)
배을호(케이블텍(주)) 이용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한철(서현기술단) 장원섭((주)건화)
이기승((주)케이알티씨)
이동준(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영민((주)유신)
이종태(도화엔지니어링)
이현주((주)유신)*

(공동개발기관) (연구기관)
김석화(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옥준필(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미아(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박종성(한국직업능력개발원)
우성훈(한국플랜트건설연구원) 이민욱(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구본정(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여성훈(한국직업능력개발원)
*표시는 해당 NCS 개발진임

※ 이 학 습 모 듈 은 자 격 기 본 법 시 행 령 (제 8조 국 가 직 무 능 력 표 준 의 활 용 )에 의 거 하 여 개 발 하 였 으 며 ,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통합포털사이트(http://www.ncs.go.kr)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9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