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 미술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evel of Tension in Architectural Material Expression

-Focused on the Seoul Museum of Art-


* **
김 소 희 윤 도 근
Kim, So-hee Yoon, Do-Keun
……………………………………………………………………………………………………………………………
abstract
Architectural material consists of structure and su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actile sensations and visual sensations in the evaluat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face
roughness/hardness and the level of tension. The test showed that the evaluation of appearance was explained by <rough>,
<smooth>, <hard>, <soft>, and <tension>. We can understand how to express the material in design throughout the level of
tension by texture.
……………………………………………………………………………………………………………………………
키워드 : 질감, 시각, 촉각, 건축 재료, 긴장도
Keywords : Texture, tactile sensations, visual sensations, building materials, the level of tension
……………………………………………………………………………………………………………………………

1. 서 론 그 구성요소의 복잡함에 의해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따라서 본 연구자는 건축 구성에서 공간, 형태와 함께
건축물의 사용자로서 인간은 일반적으로 그 건축물의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여 온 건축 재료의 사용을 재료 성
형태와 공간을 우선적으로 지각하고 경험한다고 알려져 분에 대한 물리적 방법이 아닌 긴장도라는 새로운 방법
있으며 건축가들은 이러한 건축 형태와 공간에 대한 연 을 도입하여 건축 마감 재료의 물성 표현이 건축 디자인
구를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로서 인간의 입장을 에 어떻게 적용되고 또 건축가와 사용자의 건축 마감 재
엄밀히 관찰해 볼 때, 그 건축물의 형태와 공간이 주는 료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정도를 앞으로의 연구에서
영향 못지않게 건축 마감 재료를 통한 직접적 인지와 경 구체적으로 찾아내고자 한다.
험에 의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러한 건축 재료에 대한 재 본 연구는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재질감을 긴장도라
료 의장적 접근은 개인의 감성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고 는 수치를 적용하여 정량화하여 그 타당성을 밝히는데
표현된다. 주된 의의가 있다. 특히, 비전문가를 중심으로 사용자의
또한, 건축 공간에 대한 요구는 기능성이나 작업성의 입장에서 제한된 공간 속에서 건축 마감 재료의 지각을
향상에서부터 쾌적하기 위한 공조 및 조명 등 설비적 추 통한 수치와 건축 마감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구 그리고 개인의 기호나 미적 감각의 심리적 만족을 도 상관관계를 찾아 새로운 관점으로서 재료에 대한 의장적
모하는 단계에로 변해오고 있다. 이에 다양한 연구가 진 접근을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행되고 있지만, 실제의 설계 계획에 있어서는 경험이나
육감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아 과학적인 근거의 확립이 1.2 연구의 대상과 방법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 재료를 구조와 마감으로 나누어
이러한 심리적 만족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을 특히 건축 마감 재료에 대한 사용자의 지각을 긴장도라
건축 마감재의 재질감이나 색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색 는 개념을 도입하여 정의하고 건축물 내 외부에 사용된
에 대해서는 객관적 지표나 측정방법의 탐구로 얘기되는 마감 재료의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의 정도를 구체적인
기초적 연구부터 응용면에 이르기까지 연구가 행해지고
있지만 건축 재료의 재질감이나 텍스츄어1)에 관해서는 는 물질 표면의 성질’로 정의할 수 있으며 물질의 표면적인 속성
을 가리킨다. 이것에 대해 재질감이라는 것은 사람의 심리 반응
* 정회원,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박사수료 의 하나로 광의로는 texture 비롯하여 색 온도 등 여러 가지 것
* 정회원,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 공학박사 으로 보터 얻어질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협의로
1) 여기에서 texture 라는 것은 ‘재질, 표면구조 등에 의해 생기 주로 texture에서 얻어질 수 있는 재질감으로 정의한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139


김소희․윤도근

예를 통해 분석하여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물리적 이미지로써, 재료는 표피, 색깔, 질감 등, 주제의
건축 마감 재료를 연구 대상으로 한 경우, 실제 그것이 즉각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료타르Jean Francois
사용되는 곳을 상정할 필요가 있다고 고려된다. 따라서 Lyotard는 “재료, 그것은 제시될 메시지인, 매개물이다.”
최근에 지어진 서울 시립미술관의 마감 재료 사용에 대 라 하고 재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 사용자의 인식 정도를 비전문가 집단이지만 건축에 A. C. 안토니아데스는 구조 체계나 기능적 조합에 영향
관심이 많다고 생각되는 학부 2년생을 대상으로 직접 공 을 미치는 재료와 건축의 미시세계와 내 외부 공간의 질
간에서 마감 재료를 체험하고 이에 따른 설문 조사를 중 감, 마감, 디테일 처리 등에 영향을 미치는 재료로 분류하
심으로 분석하였다. 시각 만에 의한 평가로부터 석출된 고 이는 건축에 관한 전반적인 문제를 논함에 있어 중요
질감인자에 본래 지각된 촉각의 항목이 포함되어 있는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첫 번째 범주에
것에서부터 검토할 필요가 있으므로 시각으로 지각했을 속하는 재료는 건물의 전반적인 특성과 구조적 조직, 비
때와 촉각적으로 직접 만져 봤을 때의 두 가지 경우로 례, 효율적인 성질, 건물의 무게감 등에 영향을 미치며,
나누어 설문하고 각각의 긴장도를 설명하였다.2) 두 번째 범주에 속하는 재료는 전체 비용효과를 추정하
향후 논문에서는 재료에 대한 기억적 경험적 인지를 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첫 번째 범주에 속하는 재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각의 건축 마감 재료 료의 선택은 기본적인 실무경험과 특정한 건물 유형에
가 주는 긴장도 및 디자인 표현에 대해 연구하겠다. 관한 기초적 연구, 구조 관련 고문의 충고에 의해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재료 사용상의 미시적 측면으
2. 구조/마감으로 본 건축 재료 로 재료의 전반적인 질감, 내적 외적 시각적 미세함과 함
께 적절한 시간대에 느낄 수 있는 건물의 시각적 성질
2.1 일반적 고찰 및 기후조건과의 관계에
인간의 활동을 위한 건축물은 구조체를 통하여 공간형 도 영향을 미침으로 재료
성의 기초를 마련하며, 벽과 지붕, 바닥의 설정을 통해 환 선택시 많은 고려가 요구
경과의 분리가 이루어져 외부와 내부의 구분을 만들어낸 된다.3)
다. 구조체의 범위를 조금 더 확장시켜 본다면, 자연계에 건축사를 통해서 마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힘-중력, 풍력 등-과 건축물이 인간 의 개념이 정확히 언제부
의 목적에 부합하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그림 1. 스네푸르Snefru, 터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지지체들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들은 자체로 피라미드Pyramid, 3왕기, 없다. 하지만 주목할 만한
서 정체성을 지닌 건축물로 존재하기도 하며, -구조체 자 BC2000년경, 다슈르Dahshur, 역사적 건축물로서, 이집
체가 여러 가지 장식적인 형태를 가지는 것들도 많이 있 계단식이 아니라 단순한 삼각형의 트의 피라미드에서 우리
면을 갖도록 표면을 마감하였다.
었으며, 그리스의 여러 신전건축들이 그 예로 들 수 있 는 그 개념의 적용을 생
다.- 스스로의 모습은 피막 뒤에 감추어진 채로 존재하기 각해 볼 수 있다. 피라미드의 구조는 일정한 크기의 석재
도 한다. 인간의 문명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초기의 건축 로 된 입방체를 사각뿔 모양으로 쌓아 만든 구조물이다.
물들은 기술적인 이유에서 전자에 해당하는 것들이 많이 전체적인 형태에서는 사각뿔의 모양을 만들 수 있었지만,
있었다. 그 모서리와 면은 계단모양을 이루고 있다. 우리가 현재
그러나 구조체가 본래의 기능 이외에 부가적인 기능을 보는 모양이다. 그러나 좀더 유심히 관찰해 보면, 피라미
수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인간은 건축물에 대해 드의 정점에서 하부를 덮고 있었던 것들은 이미 소실되
그 이상의 여러 가지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인간과 건축 고 없어졌지만, 그 전체를 덮고 있었으리라고 유추되는
물과의 관계에서 건축물이 그들의 행위나 감성을 만족시 물질을 발견할 수 있다. 피라미드의 상징성이 강한 형태
켜 줄 수 있어야 하는데 건축물의 형태와 재료는 위의 적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건축가는 계단 형상으로 이루
두 가지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이며, 인간의 어진 피라미드보다는 보다 순수한 기하학적 형태를 추구
역사가 시작된 이래 끊임없이 변화되어오고 있으며 앞으 했을 것이며 구조체로 사용된 입방체모양의 돌들은 이를
로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충족시켜 줄 수 없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요소 중 재료, 그 중에서 위에서 말한 재료의 두 가지 목적성을 구조체의 관점
도 인간과 직접 감각적 접촉은 갖는 재료들이 연구의 대 에서 역으로 생각해 보면 마감의 발생은 환경에 대한 지
상이며 흔히 사용되는 건축용어로 우리는 이것을 마감이 속성이나 인간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구조체의 불
라고 부르기도 한다. 완전성 및 불만족성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2.2 이론적 고찰 2.3 재료의 지각, 인지 체계


마감 재료는 인간의 감각인 시각, 청각 촉각과 직접적
으로 대응하므로 재료의 색채, 질감, 물리적 특성 등은 매
2) 질감이 중시되는 피복 분야에서는 일찍부터 시각에 의한 평
가와 촉각에 의한 평가의 대비가 연구되어져, 촉각에 대한 감각
이 시각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다. 3) A.C.Antoniades, 건축시학, 김경준 역, 도서출판 국제, 1994

14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우 중요한 요소들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서 우리는 시각과 촉각인 경우가 많다. 소리를 듣거나 자의로 판단
재료의 보편적인 의미를 알아볼 수 있다. 마감 재료는 1 하거나 하는 경우도 많지만 시각과 촉각에 의한 정보가
차적으로 인간의 지각체계를 통해 나타나며 2차적으로 대부분 차지한다. 시각에 의한 경우에는, 표면 형상이나
인간의 경험을 포함한 인지체계를 통해 나타난다 하겠다. 반사지향 특성 등의 텍스츄어가 주된 자극이 되고 거기
이 경우 재료의 의미는 인간의 복잡한 사유체계를 거쳐 에 조명 조건이나 관찰자의 시력, 관찰 방향이나 관찰 거
서 형성되므로 은유적 의미와 표현이 중요시된다. 리의 영향을 받으면서 감각을 지각한다.
마감이 주는 감흥은 개개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억 시각기관은 눈에 의한 것인데 비해 촉각기간은 전신에
이나 경험 등의 인지체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뿐만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통상 마감재의 질감을 촉각에 의
아니라, 여러 각각의 문화적 공동체 사이에서도 서로 다 해 지각할 때 사용하는 것은 발바닥과 손바닥의 피부이
른 상징체계를 형성하기도 한다. 인간은 지구상에 널리 며, 발바닥에서의 정보는 걷기 쉽다는 평가점수에서 상당
분포되어 있지만 인간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축 히 중요하지만 심리적 쾌적성을 평가하는 경우, 일반적으
재료들은 그만큼 공평하게 분포되어 있지 못하다. 결국 로 손바닥이나 손가락을 사용한다. 인간은 손바닥이나 손
인간은 자신이 속한 환경 속에서 최선의 것을 찾기 마련 가락 피부에 있는 각 수용기에서 따뜻함이나 요철, 부드
이고 이렇게 발견되어 역사적으로 사용되어온 재료들은 러움 등의 정보를 얻고 그것을 종합해서 질감을 지각한
나름대로의 토착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토착적 재료들 다.
은 이후 교통 및 운송수단의 발달로 이국적 재료들의 사
표1. 인간 감각에 의한 건축마감재료 분류
용이 보다 용이해 지면서 사회적인 가치평가에서 이국적
재료들과 대립적 경쟁관계에 놓이게 된다. 위 치 바닥 벽 천장

역사적으로 서구식 근대의 물결이 전 세계를 뒤덮기


시각계 마감재료
시작하면서, 이러한 이국적 재료들과 더불어 서구식의 건 감 각
축행위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이를 국제주 촉각계 마감재료
의적 양식이라 하는데, 당시의 국제주의는 논리적이며,
이성적인 부분이 강하였다. 물밀듯이 밀려오는 서구의 신
문물 속에서 우리가 가진 것들은 전근대라는 이름으로 표에서와 같이 인간이 감각하는 정도에 따라 마감 재
이들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으로 저급하게 평가되었고 이 료를 구분해 보면 시각계 마감 재료와 촉각계 마감 재료
러한 상황은 양상을 달리하여 현대에도 진행 중이다. 과 로 나눌 수 있는데 이들은 시각, 촉각이 동시에 재질감에
학과 기술력이 높게 평가되면서, 건축 재료에 있어서도 서 작용하며 특히 그 사용 위치에 따라 지각되는 정도의
보다 첨단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도의 정제기술과 가공 차이를 보인다. 움직이거나 생활할 때 인간의 시선은 아
과정으로 만들어진 재료들이 이전의 서구의 이국적 재료 래를 향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정면이나 약간 아래를 주
들이 가지던 사회적인 위치를 차지해가고 있다. 시함으로 바닥에서는 시각적 효과를 노린 마감 재료의
마감 재료의 표현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각 문화권 표현보다는 신발을 통해 느껴지는 촉각적 효과에 중점을
마다 많은 차이를 가지고 나타나며 우리가 건축 재료를 두고 벽은 시선과 손, 몸의 접촉을 고려하여 두 가지 모
시각적으로 볼 때 느끼는 것은 그 재료에 대한 시각적인 두에 많은 고려를 하며 천장은 촉각보다는 시각적으로
지각과 함께 학습된 경험이 함께 인지되어 나타난다고 그 효용성을 찾는다. 이것은 인간이 공간 안에서 마감 재
할 수 있다. 료를 어떠한 감각을 위주로 받아 들이냐에 따라 좌우된
다.
3. 인간 감각의 관점에서 본 마감재료
3.2 긴장
3.1 감각계 재료 긴장(緊張,tension)이란 생리학에서 근육의 긴장도를 나
분명히 인간의 신체와 건축은 공통적으로 오랜 역사를 타내는 술어이며, 이것은 골격근육이 신체 안에 있을 때
가지고 있다. 인간이 질감4)을 지각할 때 사용하는 것은 는 언제나 일정한 단축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의 신체가 항상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개개의 근육이 따로따로 긴장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라
4) 질감이란 물체가 촉감의 경험으로 얻어진 느낌을 시각을 통
하여 그 물체의 재질에서 오는 표면의 시각적인 특성을 인식하
고 한다. 심리학에서 긴장은 감정, 감각, 또는 행동의 동
는 것이다. 질감에는 구조적 재질을 알 수 있는 촉각적 질감과 인이 되는 심적 힘을 표현하는 개념을 말한다. 사물을 주
외적으로 나타나는 표면을 알 수 있는 시각적 질감으로 분류한
다. 예를 들면 금속은 금속대로의 느낌이 있고 차갑고 무겁고 견 와 같은 느낌을 가질수 있는 재료를 조화시켜야 할 것이다. 재질
고하며 단단하다. 그러나 동은 값어치로는 은이나 금을 따를 수 감은 촉각 경험과 시각 경험을 결합하여 시각을 통하여 유쾌와
없지만 구리빛에서 오는 느낌은 자연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불쾌의 심리적 반응이 나타난다. 심리적인 질감의 반응작용은 거
없는 독특한 질감을 가지고 있고 이와같은 질감은 음식, 의복, 친 물체에 광택이 있는 것과 없는 것, 부드러운 물체에 광택이
상업, 공업 디자인에 두루두루 사용된다. 실내디자인에서 무겁고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장중하고 운치있는 재료를 사용했다면 주변의 모든 재료도 그 -윤평섭 저, 환경미학, 문운당, 1999, p95 참조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141


김소희․윤도근

의 깊게 관찰한다든지 어떤 일을 기대하고 있을 때와 같 는 것이다.


은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때 수반되는 심적 긴장 상태는 재료가 주는 질감 즉 재질감이라고 하는 것은 여러 가
단순한 긴장 감각 이상의 감정적 성질을 내포한다고 할 지 감각(촉각, 시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이것은 형
수 있다. 태나 공간의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각적인
K. 레빈5)은 ‘긴장’을 심리학의 이론상의 필요에 의해 건축 마감 재료에 대한 인간의 지각과 인지의 정도를 정
구성된 과학개념으로 다루었다. 레빈은 개인에게 성립되 량화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재질
는 심리학적 세계는 환경과 주체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감에 의한 긴장도’라는 가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재
인간(주체)에게는 심적 활동을 일으키는 각종 체계영역이 질감에 의한 긴장도가 아주 낮은 상태는 매우 편안한 감
존재한다고 하였다. 그 주체에 어떤 욕구-환경적 변화에 정 상태로 분트의 방향성에서 ‘이완’에 해당한다고 할 수
대한 적응도 이에 해당된다.-가 생겼을 때는 그 욕구에 있겠다.
대응하는 영역체계에 긴장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는 앞서 기술하였듯이 1차적으로
사람에게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동인이 되는 것은 이 체 그 재료가 가지는 물리적 속성을 감각적으로 지각하거나
계 영역 속에 존재하는 ‘긴장’이며, 그것은 심리학적으로 인지의 과정을 통해 결정된다. 주로 촉각과 시각 혹은 촉
인정되는 “심적 힘”의 일종이라 하겠다. 그리고 이 긴장 각 시각의 변용에 의해 생성된다. 이것은 좀더 복잡한 사
이 내포하는 역학적 특성을 언급하면서 그것은 다른 영 고과정을 거쳐 사회적으로 인식되어진 재료에 의해 그
역체계의 긴장상태와 같은 것이 되도록 변화하는 근본성 수위를 달리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어떤 재료가 사회적으
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고 긴장체계6)를 행동이론의 기 로 획득한 물성에 의해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 경제적 희
본 개념으로 보았다. 소 가치에 의하거나 유행, 문화적 지역적 차이에 의해서
독일의 심리학자 W. 분트7)는 긴장을 생리학적인 긴장 인 것이다.
감각과는 다른 것으로 단순한 감정표시의 한 측면으로
보았다. 그리고 그는 감정의 3 방향설을 주창하고 쾌-불 3.3 재질감의 척도와 긴장도
쾌, 흥분-침정, 긴장-이완이라는 변화의 3방향이 있다고 재질감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실행되고 있고
설명하였다. 대부분 시각에서부터의 접근이다. 일본에서는 주로 텍스
분트가 감정의 3 방향성 이론에서 언급한 긴장-이완의 츄어의 시각에 관한 연구에서 보이는 요소의 구성요소
축에 대한 정량화된 분석을 통하여 레빈이 언급한 환경 및 소재감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조
과 주체와의 체계 영역 속에서 긴장을 고찰해 보면, 인간 건하에서 시각적 거침을 입경으로 환산하는 식을 얻고
은 외부사물을 지각하여 판단하거나 그것의 영향으로 행 있거나 건축 재료의 텍스츄어의 시각 연구로서 인간의
동에 변화를 가져올 때, 사물의 형태, 공간, 재질, 색채 등 발달에 의한 텍스츄어의 인지과정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의 중립적인 요소들을 종합하여 주어진 감각을 통하거나 시각적 특성이나 거침의 정도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덧
그 동안의 기억, 학습, 경험 등을 통해 주관적인 결정을 붙여 건축마감재의 온냉 감촉의 정량화를 목적으로 하고
내리게 된다 즉 긴장이 이러한 수위를 결정하게 되는 재료에 닿을 때 손바닥 온도 변화 속도와 온냉 감촉의
것이다.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8)
긴장의 상태는 일종의 흥분된 상황이라고도 할 수 있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건축 재료 자체의 재질감에
는데, 이는 긍정적 개념에서는 즐거움과 호기심으로 인한 대한 정량화에 지나지 않고 있어 건축 공간에서 인간이
긴장이라 볼 수 있고 부정적 시각에서는 불쾌하고 어색 마감 재료를 어떻게 지각하고 인지하는가에 대한 고려가
한 상황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완의 상태 역시 우울 결여되어 있다. 나아가 건축디자인에 있어 적절한 마감
하고 침체된 상황과 안락하고 편안한 충분히 쉴 수 있는 재료의 선정을 위한 기초적 준비 단계로서 재료의 재질
경우를 의미한다 하겠다. 그러므로, 긴장도라고 하는 것 감에 대한 인간의 긴장도의 정도와의 연결이 필요하다
은 편안하고 불편하고 좋고 나쁘고의 개념으로 파악하는 하겠다. 예를 들어 공간의 긴장도를 높여주어야 할 경우,
것이 아니라 적절한 때에 적절한 긴장도를 가지도록 하

5) Levin. Kurt (1890-1947) 독일의 심리학자


6) 레빈의 토폴로지 심리학(Topologie 心理學) 표현에 따르면 인
격의 중심영역(中心領域)은 여러 하위영역(下位領域)으로 분화되
어 있는데, 그 각 영역은 잠재적인 힘, 즉 긴장을 내포하고 있으
면서도 균형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어떤 욕구가 생기거나 무엇
을 의도한다는 것은 어떤 하위영역의 긴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하위영역의 긴장이 높아지면 중심영역에는 불균형
이 생기고, 전체적으로 균형을 회복하려고 하는 경향 또는 힘이
생긴다. 그러나 행동함으로써 목적에 도달하고 욕구가 충족되면 그림 2 재질감의 척도
다시 균형상태가 회복된다고 한다.
-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 참조 www.encyber.com 8) 이시카와 시카요, 실내분위기 평가에 미치는 색채, 조명, 소재
7) Wundt. Wilhelm (1832-1920) 독일의 심리학자, 철학자 의 복합효과, 일본건축학회학술강연집, 1997. 9

142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재질감을 통한 긴장도도 높여줌으로써 그 효과가 배가하 조사를 통하여 단순한 물


고 반면, 이완되고 편안한 느낌을 주어야 하는 공간일 경 성으로 파악되었던 건축
우 상대적으로 긴장도가 낮은 마감 재료를 적용하는 등 마감 재료의 디자인적 역
의 방법을 간구할 수 있다 하겠다. 할을 긴장도라는 기준을
또한 기타무라 시게고는 촉각에서의 접근으로서는 건 도입하여 각각의 재료에
축 마감재의 감각적 평가에 관해서 온냉감(溫冷感), 경연 대한 설문을 통하여 분석
감(硬軟感), 조활감(粗滑感), 건습감(乾濕感)의 정량화를 하고자 한다. 특히, 공간
시도하고 종합적 평가법을 제안하고 있는데.9) 이를 바탕 내부의 벽, 바닥, 천장, 그림 3. 삼우설계, 서울시립미슬
으로 본 연구에서는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 분석을 위한 계단 등에 어떠한 재료가 관, 서울, 2002
척도(texture image scale)로서 그림 2 에서와 같이 경연 사용되고 그러한 것들 의
감(딱딱하다Hard-부드럽다Soft), 조활감(거칠다Rough-매 장적, 기능적 효과와 시각적으로 촉각적으로 받아들여지
끄럽다Smooth)을 선정하였다. 는 건축 재료 인식의 차이점을 앞서 언급한 조활감(거칠
재료에 대해 인간이 지각하는 것은 크게 표피에서 느 다-매끄럽다), 경연감(딱딱하다-부드럽다)의 형용사 비교
껴지는 감각과 내부 재질에 의해 느껴지는 감각으로 나 에 의해 조사하고자 한다. 건축적 경험이 초보단계라고
누어 생각할 수 있다. 표피 감촉에 의한 즉 재료의 외부 인정되어지는 건축학과 학부 2학년생 32명을 대상으로
특성에서 오는 이미지는 조활감, 건습감, 온냉감 등이 있 사전 충분한 설명을 제시하여 긴장도에 대한 개념을 이
는데 건습감(건조하다Dry-습하다Wet)은 수분이 온냉감 해시키고 직접 현장에서 3시간 이상의 시간을 두고 진행
(따뜻하다Warm-차갑다Cool)은 시각과 촉각을 통한 재질 하였다.
감 외에 색채가 개입되는 복합적인 인자이므로 다음 연 건축 마감 재료에 따른 재질감을 통한 긴장도를 그 주
구 진행 단계의 척도 인자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 된 잣대라 설정하고 가장 편안하고 자연적인 어머니의
지 않도록 하겠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재료의 물리적 특성 품과 같은 인간의 피부를 “0점”으로 하여 그 전후 상태를
을 구별해서 분석한다기 보다는 인간이 재료를 지각, 인 파악한다. 조활감과 경연감은 각각 거칠다, 매끄럽다와 ,
지하는 정도를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건축물에서 딱딱하다, 부드럽다의 반대되는 이미지로 구성되어 있어
인간이 직접 부딪히고 만나는 건축 마감 재료를 이상에 설문 조사 시 아래의 표와 같이 반대되는 각각의 요소를
서 설명한 조활감과 경연감을 통해 그 정도를 분석하고 ”-5점, -4점, -3점, -2점, -1점, 1점, 2점, 3점, 4점, 5점“로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를 추출하여 서로의 연관성을 찾아 조사하여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점수치와 평균치를 그
정량화하였다.10) 절대값으로 환산하였다. 거칠다고 하여도 어느 정도의 거
지금까지의 지각 심리학에 관한 연구는 게슈탈트 심리 침은 오히려 인간을 이완시키고 부드럽더라도 지나치게
학을 비롯하여 주로 형태에 치우치는 연구가 많았다. 그 부드러움은 인간에게 강한 긴장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
러나 본 연구에서는 형태보다는 재료 자체가 가지는 재 러한 상황을 수치를 통해 반영하고, 인지심리학에서의 긴
질감을 사물 대면시 감정적 반응의 기초가 되는 긴장의 장과 이완 즉 마이너스와 플러스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개념을 적용하여 조활감과 경연감이라는 인자를 통해 긴 또한 피부의 재질감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각각 다섯 단
장도를 추출하였다. 계로 나눈 것은 정확한 점수치 보다는 0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많이 거친가 매끄러운가에 대한 정도를 측정하고
4. 서울 시립 미술관 마감 재료 분석 자 함이다. 피부의 느낌에서 멀어질수록 즉 절대치의 값
이 커질수록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는 증가하고 그러한
4.1. 대상 선정 요인 및 설문 조사 내용
표 2. 마감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 설문 분석틀
추상적으로 이론적으로만 받아들였던 건축 마감 재료
사용을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체험하고 그러한 재료들이 재질감 척도 거칠다(딱딱하다) 피부 매끄럽다(부드럽다)
건물 내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어떻게 지각되는지에 관한
긴장도 -5 -4 -3 -2 -1 0 1 2 3 4 5

9) 기타무라 시게고, 질감 평가척도 추출 및 단순한 텍스츄어를 재료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우리는 경직감과 호기심, 긴장
이용한 질감의 정량적 검토, 일본건축학회 계획계 논문집, 제511 감 등을 느낀다고 할 수 있겠다.
호, 1998.9
또한 설문 대상자가 건축에 입문하는 초보 학생임을
10) 건축 마감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측정 시 사용자
의 입장과 설계자의 입장, 즉 비전문가와 전문가의 입장으로 나
고려해 사전 지식 없이 실험 대상 재료를 먼저 시각으로
누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전문가는 직접적 지각보다는 오 지각하고 그 긴장도를 표시하고 잠시 후 손으로 만져 보
래된 경험과 기억에 의해 재료를 인식하므로 일반적 재료에 대 면서 촉각적인 경험을 하도록 유도하여 한 가지 재료에
한 조사로 향후 분석하겠다. 비전문가는 직접적으로 그 재료를 대한 시각적, 촉각적 결과를 따로 유추하여 비교하도록
지각함으로써 추출 인자의 값을 얻을 수 있고 보다 객관적인 사 하였다.-전문가들은 이미 건축 마감 재료에 대해 많은 지
용자적 입장에서의 결과치를 형성함으로 본 연구에서 긴장도에 식이 학습되어 있어 이러한 시각과 촉각의 구분을 통한
대한 기초적 조사와 타당성 부여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143


김소희․윤도근

설문 조사가 힘이 들 것으로 생각되며 다음 설문 조사는


이러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이미 인지된 건축 재료 마 표 4. 서울 시립 미술관의 석재 표현

감에 대한 긴장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덧붙여 재질감


척도 각각에 의한 긴장도 값의 평균치를 통한 긴장도와
전체적으로 느껴지는 긴장도에 대한 비교를 위해 설문
대상자에게 실험재료 각각에 대한 전체적인 감각으로서
의 긴장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설문 조사의 대상 건물인 서울 시립 미술관은
2002년 5월에 새로이 개관하여 재료 마감적 손상이 적고
다양한 재료의 현대적 사용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에 위치한 지하1층, 지상3층 규모의 공공
문화 건물로 주요 외장재는 타일, 화강석, 복층유리, 라임 외벽, 석회석,
로비벽, 석회석,
스톤을 사용하였다. 서울시립미술관은 그림3에서 보여주 밝은 파스텔 톤으로 회백색의
외장재와 같고 고가이다.
산듯한 느낌이 난다.
듯이 1920년대의 복고풍 건물인 옛 대법원 건물의 전면
부를 보존하여 건축되었다. 건물의 파사드는 한국근대 건
축물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고려해 보존, 복원하고 건물의
후면과 측면부분은 신축함으로써 19세기와 20세기가 한
벽체를 공유하며 같은 공간 안에 존재하게 하고 있다.
다음 표는 서울 시립 미술관에서 실험의 대상이 된 재
료들로서 크게 목재, 석재, 유리, 콘크리트, 페인트로 나누
고 각각의 종류에 따라 추가 선정하여 9개의 실험 재료
를 선정하였다. 각각의 실험 재료에 대한 표현 설명은 설 외벽, 화강석,
로비바닥, 석회석,
문 조사 시 설문 대상자가 실험 재료를 통해 개인적 느 건물이 웅장하고 권위있게
광택이 나고 황색이다
보인다.
낌을 적는 문항이 있었는데, 그 해당란을 참고하여 본 연
구자가 요약, 서술하였다.
또한 서울 시립 미술관 곳곳에 동일한 재료가 다르게 표 5 서울 시립 미술관의 유리 표현
사용되기도 하고 또 같은 공간에 다른 재료를 사용하기
도 하였는데 본 설문에서는 기초적으로 비전문가로 하여
금 건축 마감 재료를 정확하게 인식하게 하고 지각된 재
료에 의한 수치를 우선적으로 찾아내는데 초점을 맞추었
다. 물론 동일한 재료가 서로 다르게 인지되는 경우를 분
석해 내는 것이 더욱 흥미로운 관점일수도 있으나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를 찾아내고 그
것을 시발점으로 마감 재료가 다른 공간에 다르게 사용
된 사례를 향후의 논고에서 고찰하겠다.
표 3. 서울 시립 미술관의 목재 표현 투명유리, 내부벽, 전면창,
투명유리, 외벽, 커튼월,
개방감과 일조감, 현대적인
계단실
분위기를 연출한다.

옥상바닥 나무벽돌, 2층 전시실


나무 자체의 친밀감과 바닥에 벽돌을 세워 박아
자연스러움을 주며 사람들의 편안한 보행감과 부드러움, 반투명유리, 특별전시실벽, 반투명유리, 3층 특별전시실,
모임의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환하게 느껴진다. 신비롭다 상징감 드러낸다.

14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재, 유리, 콘크리트가 그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가 높은 것


표 6 서울 시립 미술관의 콘크리트, 페인트 표현
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근대 이후 성행하는 새로운 재료
인 유리와 콘크리트의 인공성과 기술성을 결부시켜 생각
할 수 있고 특히 석재는 그 편차가 조금 나타나기는 하
나 과거부터 현재까지 권위 있는 건물에 주로 사용된 역
사적 배경에 의한 결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거칠고
매끄러운 조활감과 다소 다른 방향의 딱딱하고 부드러운
경연감에서 거의 비슷한 결과를 도출하였음을 알 수 있
다.
콘크리트, 1층 전시실바닥, 페인트, 내부벽,
또한 시각과 촉각을 나누어 설문하였는데 그 결과 같
모르타르 마감, 거친 마감으로 석고보드 위 유성페인트,
기획전시실의 이동성을 높였다 흰색으로 일상적이다. 은 재질의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차이가 있
음을 알 수 있다. 목재의 경우 전시실 바닥에 사용한 나
무벽돌은 조활감의 척도에서 최대 점수치가 2점 이상 나
타났고 평균치도 1점의 차이를 보였는데 본 연구의 분석
4-2. 설문 조사 분석
틀이 5단계로 분류되었으므로 약 20%의 차이를 보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명변수는 조활감과 경연감으로
것이라 하겠다. 경연감에서는 외벽의 투명 유리에 대한
재질감에 따른 긴장도의 최다득점을 차지한 점수치와
최대 점수치에서는 2점의 차이가 났으나 평균치에서는
평균치는 아래 표와 같다.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유리의 경우는 그
표 7 재료별 조활감에 따른 긴장도 분석 표 8 재료별 경연감에 따른 긴장도 분석

시각 촉각 시각 촉각
조 활 감 경 연 감
거칠다 매끄럽다 거칠다 매끄럽다 딱딱하다 부드럽다 딱딱하다 부드럽다
최대치 -3 -2 최대치 -2 -3
옥상바닥 옥상바닥
평균치 -2.40 3.09 -2.44 2.19 평균치 -2.34 2.50 -3.08 3.67
목 재 목 재
전시실 최대치 -4 -2 전시실 최대치 -1 -2
바닥 평균치 -2.80 1.50 -1.94 2.5 바닥 평균치 -2.16 1.67 -2.40 2.00
로비벽 최대치 3 2 로비벽 최대치 -3 -4
석회석 평균치 -1.88 3.00 -1.78 2.94 석회석 평균치 -3.51 2.63 -3.56 3.00
로비바닥 최대치 4 5 로비바닥 최대치 -5 -4
석 재 석 재
석회석 평균치 -2 3.19 -2.08 3.44 석회석 평균치 -3.72 2.16 -3.80 4.00
외벽 최대치 -5 -5 외벽 최대치 -5 -5
화강석 평균치 -3.30 1.5 -4.54 2.00 화강석 평균치 -4.26 -4.45
외벽 최대치 5 5 외벽 최대치 -3 5
투명 평균치 4.37 -1.00 4.23 투명 평균치 -3.40 4.60 -3.82
유 리 유 리
내벽 최대치 3 4 내벽 최대치 -3 4
반투명 평균치 -1.33 3.13 -2.00 4.16 반투명 평균치 -2.92 3.00 -3.24 3.71
전시실 최대치 -2 -3 전시실 최대치 -3 -4
콘크리트 콘크리트
바닥 평균치 -2.79 1.25 -2.55 2.375 바닥 평균치 -3.42 4.5 -4.31 3.00
유성페인 최대치 -1 -1 유성페인 최대치 -2 -2
전시실벽 전시실벽
트 평균치 -1.60 2.23 -1.74 2.33 트 평균치 -2.41 2.80 -2.24 2.00

점수치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현대


전체적으로 조활감과 경연감을 함께 살펴보았을 때, 목재
의 대표적 재료로서 경험 인지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와 페인트는 그 긴장도가 절대치 2.5 이하로 인간의 피부
하나하나 실험 재료 대상들을 살펴보면, 목재는 일반적
와 유사한 즉 인간의 피부가 그다지 거부하지 않는 일반
으로 가장 자연에 가깝고 오랜 역사를 가진 매우 동양적
적인 긴장도가 낮은 편안한 상태의 재질감으로 나타났다.
인 재료로서 우리에게 어색하지 않으며 편안하여 전체적
목재는 그 자연적 소재로 인한 이미지로 이해되어지고
으로 낮은 긴장도를 보이며, 설문시 행하여진 긴장도조사
페인트 벽은 우리가 어디서나 특히 꾸미지 않고 편안한
에서도 1.86과 2.08의 낮은 수치를 보인다.
공간에서 접할 수 있는, 경험상의 눈에 익숙한 재료이기
석재는 석회석과 화강석으로 나누어 설문하였는데 바
때문에 인간이 그 재질감에서 갖는 긴장도가 낮은 것으
닥에 사용된 석회석은 그 광택이 매우 뛰어난 촉각계 재
로 설명할 수 있겠다.
료로서 미술관 진입부로서 로비에 긴장감을 증폭시켜 방
반면, 재질감에 따른 두 가지 척도 모두 공통적으로 석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145


김소희․윤도근

문자에게 기대감을 제공한다. 부여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이렇듯 건축 마감 재료가 주


외벽에 사용된 화강석은 그 위 는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에 따라 건축 공간에 다양한 변
엄을 드러내고 가장 높은 치수 화를 줄 수 있으며, 건축 마감 재료 선정 시 이러한 긴장
의 긴장감을 가지며 화강석을 도의 차용은 의미있는 일임을 본 논문에서 분석된 조활
거칠게 처리한 부분은 러스티 감과 경연감을 통한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를 정량화 한
케이션이라고도 불리어지며 표 결과를 토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가정된다.
면의 텍스츄어의 변화를 통해 다른 각도에서 좀더 다양한 방법으로의 재질감에 의한
그림 4. 외벽하부기단,
그 긴장도를 증폭시키고 건물 긴장도의 적용을 시도해 보아야 할 것이며, 건축 마감 재
화강석 거친 마감,
에 성격을 부여한다. 또한 설문 서울시립미술관
료를 긴장도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은 그동안
긴장도는 2.91, 3.04, 3.92의 높 간과 되었던 건축 재료를 인간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새
은 수치를 보인다. 로운 접근이라 할 것이다.
유리 역시 3.05, 2.93의 높은 긴장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투명 유리보다는 반투명 유리에 부드러움을 느끼며 투명
유리로 인한 날카로운 긴장감을 상쇄시킨다. 반투명한 유
리가 투명유리보다 좀더 편안하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콘크리트는 매우 거친 재료이면서도 우리에게 익숙하
게 다가온 재료로서 그 긴장도가 높은 편이기는 하나 다 1. 기타무라 시게고, 내장재의 텍스츄어가 시환경에 미치는 영
소 안정적이다. 특히 주지할 사실은 시각적으로 이미 학 향, 일본건축학회학술강연집, 1994. 9
2. 이시카와 시카요, 실내분위기 평가에 미치는 색채, 조명, 소
습적으로 인지한 거친 정도보다 그 촉각적 거친 정도가
재의 복합효과, 일본건축학회학술강연집, 1997. 9.
약하다는 사실이다. 설문 긴장도는 2.82로 재질감에 따른
3. 기타무라 시게고, 질감 평가척도 추출 및 단순한 텍스츄어를
분석치와 거의 같은 값을 보인다. 이용한 질감의 정량적 검토, 일본건축학회 계획계 논문집,
내부 벽면에 주로 사용하는 석고보드 위 페인트칠은 제511호, 1998.9
설문 긴장도가 2.02로 역시 낮은 수치를 보인다. 4. 안토니C.안토니아데스, 건축시학-창조성과 디자인 이론, 김경
따라서 전체적으로 분석에 의해 나타난 긴장도의 평균 준 역, 도서출판 국제, 1994
치와 설문에 의해 추출된 긴장도의 수치가 거의 일치하 5. 로즈메리 킬머, 인테리어 디자인, 김혜원 외 옮김, 창조사
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임연웅 편저, 디자인 재료학, 미진사, 1988
7. 윤평섭 저, 환경미학, 문운당, 1999
8. Xavier Gonzalez, Materials I II, a+t, 1999, 14, 15
9. Dominique Perrault, Matter & Materials, a+t, Materials,
5. 결 론 1999, 14.
10. http://seoulmoa.seoul.go.kr/design/index_1_4.html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어디에서나 접할 수 있는 건축 11. 두산 세계 대백과 사전 www.encyber.com
재료를 인간 중심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인간의 감각을 (接受 : 2002. 7. 3)
중시하여 건축물 내 외부에서 가장 쉽게 파악되어지는
건축 마감 재료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심리적
만족의 중요한 요소가 되는 건축 마감 재료를 시각과 촉
각적 감각으로 나누어서 정의해 보고 또 그 재질감의 척
도로서 조활감과 경연감의 수치를 각각 11단계로 나누어
수치화하였다.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를 6단계로
나누어 정량화 하였다.
이상은 비전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의한 결
과치이며, 조활감과 경연감의 절대 수치가 서로 상당히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고 긴장도가 높은 재료와 낮은 재
료에 대한 대략적인 견해가 일치했다. 또한 조활감과 경
연감에 의한 긴장도 수치와 직접 설문을 통한 긴장도 수
치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 재질감에 의한 인자로서 조
활감과 경연감의 적용 가능성을 밝혔다.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가 낮은 마감 재료는 그것이 구
성하고 있는 공간을 좀더 편안하게 만들고 상주 시간을
길게 하는 등 여러 기능적인 역할을 가지고 또 재료가
주는 재질감에 의한 긴장도가 높은 경우는 인간의 호기
심을 자극하고 공간에 대한 경계감과 함께 강한 인상을

14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8권10호(통권168호) 2002년 10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