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상 담 학 연 구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9, Vol. 10, No. 3, 1487 1500-

의 분석심리학에서 Jung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과 그림자 통합 방법


조 정 자 이 종 연†
충북대학교

그림자는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성된 인간의 마음 중 무의식의 열등하고 미숙한 인격으로서 의식의
억압에 의해 이루어진 자아의 어두운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그림자는 자아의 다른 인격으로서 자 . ,

아의식을 지배하게 되면 파괴적일 수 있다 그러나 그림자를 자아의식에 통합하면 창조적인 힘을


.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 분석심리학적 이론에 기초하여 사람들이 그림자를 인


. Jung

식하는 태도를 네 유형으로 나누어 그림자를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그림자를 통합하는 ,

방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온전한 삶을 살도록
.

돕기 위한 방법에 관한 상담의 이론적․실제적 기초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주요어 : Jung의 분석심리학, 그림자, 무의식, 자아의식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이종연 충북대학교 교육학과


/ / (361-763)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Tel: 043-261-2652 / E-mail: jonglee@chungbuk.ac.kr

- 1487 -
상담학연구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진정으로 잘 살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자아의식의 한쪽 면 .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부영 그러나 ( , 2006b). 만 일방적으로 추구해서는 온전성에 도달할 수


의 분석심리학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나를
Jung 없기 때문이다 무의식의 그림자를 인식하고 통합
.

진정한 나 라고 보지 않는다 왜냐하면 내가 알


‘ ’ . ‘ 했을 때 생명 에너지가 흐르는 온전한 삶 즉 ,

고 있는 나 는 남들에게 보여지고 싶은 나 즉
’ ‘ ’, 의 분석심리학의 목표인 개성화를 이룰 수
Jung

페르조나로 긍정적이고 선한 면만 의식적으로 드 있다 .

러낸 나의 껍데기에 불과하고 부정적이고 악한 , 이처럼 그림자를 통합하는 것이 온전한 삶을


보여지고 싶지 않은 나 는 무의식 속에 숨겨지고
‘ ’ 위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림자를 인식하는 것 ,

억압되어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 . 의 중요성과 그림자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라서 사람들이 보통 자기 자신이라고 알고 있는 ‘ 의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심도 있게 다룬
Jung

나 는 나의 일부일 뿐으로 진정한 나 라고 할 수


’ ‘ ’ 연구는 거의 없다 이부영 은 그림자에 관해 . (2006a)

없다 . 전반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지만 그림자 인식과 ,

사람들에게는 심리적으로 자신의 밝은 면만 부 통합에 대해서는 미진하게 다루었다 . Sanford(2003)

각시키고 싶은 무의식적 욕구가 있기 때문에 자 는 그림자를 악의 다른 심리학적 개념으로 기독


신의 어두운 부분을 숨기거나 자기에게는 그런 교적 입장에서 설명하였고 김성민 도 악을 , (2001)

면이 없는 것처럼 가장하며 지내는 경향이 있다 그림자로 보면서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신화적 ,

이부영
( , 은 사람들이 용납하기
2006a). Jung(2004a) 종교적 측면에서 비교․설명하였고 이상철 , (2006)

어려워 의식적으로 거부 또는 억압한 이러한 어 도 그림자를 기독교 신학적 입장에 한정하여 살


두운 부분을 그림자라고 하였다 즉 그림자는 의 . 펴보았다 은 그림자에 접근하는 방
. Johnson(2007)

식과 무의식으로 구성된 인간의 마음 중 무의식 법에 대해 연구했으나 주로 투사와 역설의 측면


의 열등하고 미숙한 인격으로서 사회의 집단정신 에서 설명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에 의해 거부된 혹은 자신이 용납하기 어려운 부 그림자는 자아가 사용하는 억압이나 억제 회 ,

도덕한 성향이 억압되어 이루어진 자아의 어두운 피 거부 부정 동일시와 같은 다양한 기제에 의


, , ,

부분이다 이러한 그림자가 억압된 채로 있어 자


. 해 무의식 속에 형성된다 그리고 우리가 아무리 .

아의식을 지배하게 되면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그림자를 거부하고 회피한다고 해도 그림자는 없


사람까지도 해칠 수 있는 파괴적인 힘이 작동된 어지거나 사라지지 않고 어떤 형태로든지 간에
다 그러나 그림자는 본래부터 그렇게 부정적이고
. 항상 우리의 생활 속에서 투사라는 형태로 표출
열등하며 악한 것이 아니다 즉 그림자를 인식하 . 된다 자아가 이처럼 자신을 보호하고
(Jung, 1978).

고 적극적으로 살려서 자신의 것으로 통합하게 삶에 적응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들을 사용


되면 그 속의 창조적인 힘이 의식 세계를 지배하 하듯이 그림자도 결국은 자아가 삶에
(Freud, 1926) ,

여 심리학적인 의미의 성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 적응하기 위해 잠시 자신의 부끄럽고 부도덕한


그림자는 유치하고 부도덕하고 혐오스럽다고 해 , , 부분을 의식 뒤에 숨겨놓은 방어기제의 결과물들
서 버리거나 거부해야 할 존재가 아닌 것이다 그 . 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일상생활에서 개인 .

동안 소홀히 해온 잃어버린 자아의 나머지 반쪽 이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에 따라 개인이 그림


인 그림자를 통합하는 것은 우리가 온전한 삶을 자를 인식하는 유형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 .

- 1488 -
조정자․이종연 /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과 그림자 통합 방법

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와 관련된 문헌들 김성 ( 조적인 성향을 띨 수도 있다 따라서 자아의식을 .

민 , 이부영
2001; , 2006a; Johnson, 2007; Sanford, 조절하여 그림자의 창조적 성향을 살리기 위해서
을 바탕으로 그림자 인식 유형을 구분해보
2003) 는 자아의식의 수준에 따라 사람들이 그림자를
고 특히 그림자의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춰
, 인식하는 유형이 각각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탐색
그림자를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 할 필요가 있다 .

다 그리고 그림자를 인식하는 것의 궁극적인 목


. 은 인간의 정신 을 의식과
Jung(2004a) (psyche)

표는 그림자를 통합하는 것이므로 의 분석심 Jung 무의식 자아 와 그림자 , 외적 인격(ego) (shadow),

리학 이론에 입각하여 그림자를 통합하는 방법에 과 내적 인격


(persona) 등 수많은 대 (anima/animus)

대해서 탐색하고자 한다 . 극적 요소들로 구성된 전체로 보았다 그에 따르 .

다른 사람에게만 있다고 생각한 그림자가 내 면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전체성


, 을 (wholeness)

안에도 있다는 것을 아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자 이루려는 정신적인 성향을 갖고 있으며 사람들을


신의 삶을 좀 더 낮은 자세로 바라다 볼 수 있는 전체성으로 몰아가는 힘이 인간 정신의 대극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겸손과 여유 . 구조에서 나온다 이처럼 인간의 정신 에너지는 .

는 인간 이해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확장하여 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정신적인 두 극 사이의


상생활에서 원활한 대인 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 긴장으로 인해 생기기 때문에 대극 구조 사이의
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앞으로 상담의 실제
. 긴장이 없어지게 되면 정신적인 에너지의 흐름이
에서 그림자 인식과 통합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 막혀 인간은 삶의 균형과 조화를 잃게 된다 즉 .

을 제시함으로써 의 분석심리치료의 목표인Jung 사람들이 자신의 삶에서 대극적인 요소 가운데


개성화를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 더 편리하거나 좋은 기능만을 발달시키게 되면
적․실제적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 인간 정신의 본래적인 온전성이 파괴되어 정신적
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

그림자도 역시 인간 정신의 일방성 때문에 형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 성된 자아의 대극적 요소이다 인간은 정신적인 .

발달을 이루어감에 따라 스스로를 밝고 좋은 것


우리가 건강하고 온전한 삶을 살기 위해 자신 만을 추구하는 자아이상이나 페르조나와 동일시
의 그림자를 인식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업이다 . 하게 되어 이와 모순되는 자질을 거부하거나 억
그러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림자가 부도덕하 압하게 된다 이렇게 거부하거나 억압한 인격들은
.

고 음흉하다는 이유로 자신의 그림자를 억압하거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는 어두운 나 로서 아주 ‘ ’

나 거부한다 그림자의 특성 중에 원시적이고 혐


. , 없어지지 않고 어떤 형태로든지 간에 항상 우리
오스러운 면이 있긴 하지만 절대적으로 나쁜 것 의 생활 속에서 표출된다 이러한 개 (Jung, 1978).

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림자는 그 자체가 양면


. 인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는 그림자를 의식으로
성을 띠고 있어 긍정적이면서 창조적인 성질로도 표출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 자아의식 ‘ ’

변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그림자는 자아의 또 . 이다 이부영 이부영에 따르면 자아 또는


( , 2006a). ,

다른 인격이므로 자아의식이 그림자를 어떻게 대 나 는 의식의 중심에서 의식된 마음을 통솔하고


‘ ’

하느냐에 따라 파괴적인 성향을 띨 수도 혹은 창 , 무의식의 마음과도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특수한


- 1489 -
상담학연구

콤플렉스이고 자아의식 은 내가 아는 모든 것
, ‘ ’ , 김성민 은 사람들이 자신의 내면에 그림
(2001) ‘ ‘

내가 기억하는 모든 것 나의 생각 나의 지각 나 , , , 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할 때 그림자 무시 ,’ ‘ ’

의 느낌으로 알고 있는 모든 것이다 그리고 이러 . 의 태도를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여기서 자신의 .

한 자아의식은 나의 의식의 영역을 넓히기도 하 그림자를 알지 못한다는 사실은 무의식적인 요소


고 좁히기도 하며 무의식의 작용을 받아들이거나 와 관련이 깊다 그는 이어 그림자 억압 은 사람 . ‘ ’

거부하기도 한다 이는 개인무의식 속에 잠재하는 . 들이 내면의 그림자를 발견하여 질겁하고 그림 ‘

그림자를 인식하는 데 자아의식이 중요한 역할을 자를 억제하거나 억압하는 것 이라고 하여 그림 ’ ‘

함으로써 우리의 인격을 성숙시키고 정신의 전체 자 억압 이라는 태도 속에 억제와 억압의 방어기


성 실현에 기여함을 의미한다 . 제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무시와 억제 억압을 분 ,

자아의식에서 의식이란 깨어 있는 것 이다 이 ‘ ’ ( 명하게 구분하지 않고 있다 은 그림자 . Jung(2006a)

부영 자아가 맑게 깨어 있을 때 즉 자아
, 2006a). , 가 형성되는 기원을 망각이나 무시 억제 억압과 , ,

의식 수준이 높을 때 사람들은 자신의 무의식을 같은 의 방어기제로 설명하였다 그래서 본


Freud .

탐색하여 의식화함으로써 문제상황에 능동적으로 연구에서는 그림자와 관련된 문헌들 김성민 ( , 2001;

대처할 수 있다 즉 자아의식은 개인이 살아온 경


. 이부영 , 2006a;을기 Johnson, 2007; Sanford, 2003)

험의 집합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내용과 수 초로 김재은 외 가 개발한 한국형 방어기제 (1991)

준은 개인마다 다르게 된다 결국 자아의식의 수 . 를 참고하여 그림자 인식 유형을 표 과 그림 1 1

준에 따라 의식의 영역과 무의식의 영역을 통제 과 같이 분류하였다 .

하는 기능도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 제 유형인 그림자 동일시 는 김성민 이 분


1 ‘ ’ (2001)

의 분석심리학에서 개인이 그림자를 인식하


Jung 류한 유형과 같은 것으로 무의식적으로 그림자를
는 태도는 자아의식의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 억압하여 그림자에 사로잡히는 유형이다 따라서 .

는 것이고 이에 따라 개인무의식 속의 그림자 색


, 그림자 동일시 유형은 네 유형 중 자아의식 수준
깔의 농도도 달라지게 된다 김성민 또한 . (2001) 이 가장 낮고 개인무의식 속의 그림자는 가장 강
이러한 자아의식의 수준에 따라 사람들이 그림자 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 유형인 그림자 회 . 2 ‘

를 인식하는 태도도 달라진다고 보면서 그림자 , ‘ 피 는 김재은 외 가 개발한 한국형 방어기제


’ (1991)

무시 그림자 억압 그림자 동일시 로 구분하


’, ‘ ’, ‘ ’ 와 관련된 것이다 회피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 .

였다 . 는 회피가 김재은 외 의 연구에서 억제 방어 (1991)

표 1. 그림자 인식 유형별 자아의식 수준에 따른 개인무의식 정도와 그림자 인식 태도


그림자 인식 유형 수준 정도 그림자 인식 태도
자아의식 개인무의식
제 유형 1 매우 낮음 매우 강함 그림자 동일시 (identification)

제 유형 2 낮은 편임 강한 편임 그림자 회피 (evasion)

제 유형 3 높은 편임 약한 편임 그림자 억제 (suppression)

제 유형 4 매우 높음 매우 약함 그림자 수용 (acceptance)

- 1490 -
조정자․이종연 /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과 그림자 통합 방법

번째 단계가 되므로 그림자 인식의 마지막 유형


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그림자 수용 유형은 네
.

유형 중 가장 자아의식이 높아 개인무의식 속의
그림자에 지배당하거나 거부하지 않고 자기의 것
으로 수용하므로 개인무의식이 가장 약하게 작용
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그림자 동일시 그림자
. ,

회피 그림자 억제 유형은 그림자에 대한 미성숙


,

한 반응 유형이고 그림자 수용은 가장 성숙한 그


,

림자 반응 유형으로서 그림자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통합하는 유형이다 그 내용을 구체적 .

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제 유형은 자아를 그림자와 동일시하는 유형으


그림 1. 그림자 인식 유형
1

로 자아의식이 그림자를 지각하는 수준이 가장


낮은 최악의 유형이다 김성민 은 이러한 그
. (2001)

와 분명하게 구별되어 정의되었고 한국 사람들에 림자 인식의 태도에 대해서 내면에 있는 그림자 ,

게 많이 나타나는 기제로 제 유형을 설명하는 데 2 를 발견하고 그것과 싸우려고 하기보다는 그림자


더 적절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회피와 억제는 . 에 휩쓸리고 마는 태도라고 했다 은사 . Jung(1978)

모두 의식적인 반응 철수라는 점에서는 유사하지 람들이 자신의 인격에 있는 부정적이고 열등한


만 억제는 의식적인 결정이나 결단으로서 인내해
, 측면들과 부도덕한 요소들로 뭉쳐진 그림자를 받
야 한다는 의지가 강조되면서 합리적인 판단에 아들이지 못하고 그것에 사로잡히게 되면 그 안 ,

따라서 이루어지는 반응행동인 반면 회피는 의지 에 있는 정동적인 특성으로 인해 어둡


(emotional)

적인 행동이라기보다는 현실도피적인 소망의 결 고 잔인한 성향을 띠게 된다고 하였다 그림자를 .

과 갈등 상황을 직면하지 않겠다는 소극적이고


, 동일시하는 사람들은 대개 그림자를 이겨낼 수
수동적인 동기에 따른다는 점에서 크게 차이가 있는 자아의식이 극도로 약하기 때문에 그림자를
난다 박영숙
( 김재은 외, 즉 회피는
1990; , 1991). 무의식적으로 억압해 온 사람들이다 그림자와 맞 .

억제에 비해 덜 의지적인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닥뜨려 갈등하는 데서 오는 긴장을 이기지 못하


행동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림자 회피를 그림자 고 그림자의 유혹에 지는 사람들이다 의식은 완 .

억제보다 그림자 인식에서 더 낮은 단계로 구분 전히 개인무의식의 그림자에 사로잡혀 그림자의


하여 그림자 회피는 제 유형으로 그림자 억제는 2 , 지배력을 감당하지 못한다 그림자에 한번 사로잡 .

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그림자 회피 유


3 . 히면 그림자는 점점 더 커져서 나중에는 그림자
형은 그림자 억제 유형보다 자아의식이 낮은 편 로부터 헤어 나오지 못하게 된다 이런 사람들은 .

이므로 개인무의식 속의 그림자는 강하게 작용하 그림자의 힘이 너무 강해 자기도 모르게 부도덕


게 된다 제 유형인 그림자 수용은 김성민 의
. 4 (2001) 하면서도 혐오스러운 언행을 불쑥불쑥 하게 된다 .

연구에서는 그림자 인식 유형에 포함시키지 않았 그리고는 금새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게 되지만


지만 의 개성화 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할 첫
, Jung 뜻대로 조절하는 데 어려움을 갖는다 그림자 동 .

- 1491 -
상담학연구

일시가 집단무의식의 원형과 만나게 되면 걷잡을 했을 경우에는 상대에게 엄청난 증오심을 품을


수 없는 잔인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서슴없이 하 수 있다 .

면서도 점점 죄책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김성민 . 제 유형은 그림자를 억제하는 유형으로 자아의


3

은 악에 사로잡히는 경우는 사람들이 너무


(2001) 식이 그림자를 지각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 높다 .

준비 없이 악에 직면하거나 악을 너무 안이하게 그림자를 억제하는 사람들은 자신에게 그림자가


볼 때 또는 악에 단호하게 대처하지 못할 때 나
, 있다는 것을 알고는 있으나 아직은 그림자를 받
타난다고 보았다 그래서 . 은 이렇게 Neumann(1990) 아들일 만큼 자아의식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그
원시적인 단계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금욕과 훈련 것을 받아들일 용기가 없는 사람들이다 그런데 .

이 더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의 . Stevenson(2002) 그림자 억제와 앞에서 언급한 그림자 회피 간에


소설『지킬박사와 하이드』에서 하이드는 자신의 는 차이가 있다 그림자를 회피하는 사람들은 현
.

내면에 있는 그림자에 너무 준비 없이 안이하게 실도피적인 소극적인 동기에서 이루어지는 행동


대처했다가 결국 그림자에 사로잡히는 그림자 동 이기 때문에 현재 자신에게 그림자가 있다는 것
일시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 을 알지만 회피하면서 겉으로 드러날까 불안하고
제 유형은 그림자를 회피하는 유형으로 자아의
2 걱정하며 염려한다 반면에 그림자를 억제하는 사
.

식이 그림자를 지각하는 수준이 낮은 편이다 회 . 람들은 자신에게 그림자가 있다는 것을 의식하고


피 유형은 동일시 유형처럼 그림자에 완전히 사 는 있으나 아직 자아가 어두운 그림자를 받아들
로잡히지는 않지만 아직 그림자를 인식하려는 자 일 용기가 부족해서 없는 척 하는 것이다 즉
‘ ’ .

아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내면의 그림자를 발견 이 유형은 자신이 그림자가 있다는 것을 알고도 ‘

하게 되면 질겁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모른 척 하면서 겉으로 볼 때는 자신감 있어 보


도망을 가게 된다 김성민 은 이 유형에 속한


. (2001) 이고 덤덤하게 행동한다 .

사람들은 그의 인간적인 측면을 망각하고 집단적 제 유형은 그림자를 수용하는 유형으로 자아의
4

가치에 따라서만 살려고 하며 자기 속에 있는 의 식이 그림자를 지각하는 수준이 가장 높다 그림 .

심스러운 욕망이나 충동을 억누르고 사회적으로 자 수용은 그림자 소유 또는 그림


(Johnson, 2007),

좋다는 측면만 보이려고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 자 통합 김성민 ( 이라는 말로도


, 2001; Sanford, 2003)

그림자 회피의 기제를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체할 수 있다 그림자를 수용하는 사람들은 자


.

자신의 내면에 사회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어두 신의 그림자를 발견하고는 이것이 두렵다고 억압


운 면이 있다는 것을 알고 남이 알까 두려워서 하거나 회피 또는 억제하지 않고 용감하게 직면
억누르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자신의 그림자를 하여 자신의 인격의 일부로 받아들여 통합한다 .

잘 감지하지 못한다 그리고 주로 자아가 이상적. 이들은 자아의식이 매우 높은 용기 있는 사람들


으로 생각하는 가치나 사회적으로 중시하는 집단 이기 때문에 그림자에 의해 지배당하지 않고 오
적 가치인 페르조나에 사로잡혀 진정한 자신의 히려 그림자와 함께 살아가며 그림자를 긍정적이
모습을 잃어버린다 이들은 억제에 비해 행동이
. 고 창조적인 생명의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이런 .

덜 의지적이고 현실도피적이고 소극적이며 수동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그림자를 투사


적이기 때문에 자신의 그림자가 다른 사람들에게 하거나 그림자에 지배당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투사되어 자신의 그림자를 다른 사람에게서 발견 삶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훨씬 편안하고
- 1492 -
조정자․이종연 /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과 그림자 통합 방법

따뜻하며 활기가 넘친다 이 유형에 속한 사람들 그림자의 관계를 쌍둥이와 같고 아주 친한 친구


.

은 의 분석심리학의 목표인 개성화 과정에


Jung 와 같다고 말하였다 은 그림자가 인간 . Jung(2003)

첫 발을 내딛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의 의식적인 생활 속에서 구체화되는 것이 적으


.

자신의 그림자에 휩쓸려 버리면 악한이 될 수 면 적을수록 더욱 어두워지는데 이러한 열등 부


있다 또한 자신이 받아들이기 힘든 자신의 모습
. 분도 의식화되면 항상 교정될 수 있다고 하였다 .

을 발견하는 것은 처음에는 당황스럽고 두려울 그림자는 자아의 다른 인격이므로 자아의식만


수 있다 는 그림자와 동일시하거나
. 강하게 부각되면 그림자의 어둠은 더욱 짙어져
Sanford(2003)

그림자를 억제 억압 또는 회피하는 것은 모두 자
, 나도 모르는 순간 아무 때나 무의식 속에서 튀
신의 내면에서 생기는 긴장이나 죄의식을 도피하 어 나와 오히려 자아의 선한 동기가 그림자의
는 태도라고 비판하였다 반면 그림자를 인식하고 악마적 본성에 의해 파괴되어 버릴 수 있다 그
. .

통합하는 사람은 진정으로 용기 있는 사람이다 러므로 그림자는 결국 내가 거부해야 할 존재가 .

그림자를 인식하고 통합했을 때 우리에게는 전혀 아니라 나의 것으로 받아들여 돌보고 살려야 할


다른 에너지가 생성된다 그림자를 억압하거나 회 존재이다 . .

피하는 사람들은 시시때때로 다가오는 거대한 그 그런데 그림자를 자신의 일부로 통합하는 것은
림자에 대한 공포로 긴장과 두려움 속에 불안정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는 자아가 그 . Wilmer(1987)

한 감정 상태를 보이지만 그림자를 통합하는 사 림자를 만나 통합하기까지 네 단계의 과정을 거


람들은 자신의 감정을 잘 조절하고 통제할 수 있친다고 하였다 처음 사람들이 그림자의 정체를 .

다. 는 이때 우리는 겸손해질 수 있
Sanford(2003) 인식 했을 때 사람들은 자신 (recognizing the shadow) ,

고 유머 감각이 생기며 다른 사람을 덜 판단하


, 의 나약하고 사악한 면을 보고 그림자로부터 도
,

게 된다고 하였다 그래서 세상을 대하는 태도가 망 . 간다 그러나 그림자와 (running from the shadow) .

달라지고 우리 자신은 물론 다른 사람들의 잘못


, 용감하게 대면하고 새로운 각도로 그림자를 봄
이나 악에 대해서 좀 더 너그러운 태도를 보일 으로써 그림자의 긍정적인 면을 발견 (facing the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인생에서 자신의 어두운 . 한다 이때 그림 shadow and discovering the positive) .

그림자를 만나고 통합하는 작업은 불쾌하고 견디 자의 순수한 면을 받아들이고 친구로 삼음으로써


기 힘든 고통스러운 경험이지만 인간의 전체성 그림자를 전혀 새로운 형태로 전환시켜 비로소
실현을 위한 분석심리학의 개성화 과정에서
Jung 자신의 인격의 일부로 그림자를 통합한다 .

반드시 거쳐야 할 첫 번째 과제 수행으로 중요한 이러한 그림자 통합은 깨어있는 자아가 무의식
의미를 갖는다 . 의 내용들을 만나 통합하는 의 개성화 Jung(2004a)

과정에서 첫 번째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면서 가


장 쉬운 단계이다 그러나 실상 자신의 어두운 그
그림자 통합 방법
.

림자와의 첫 대면에서 그림자에게 성큼 다가가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일은 쉽지 않다 대개 .

그림자는 자아가 외부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 그림자를 처음 대면했을 때 사람들은 놀라 기겁


무시하거나 억압 회피 또는 억제한 어두운 측면 을 하고 도망가든지 아니면 없는 척 위장하든지
, , ,

의 심리 내용들이다 는 이러한 자아와 심한 경우에는 아예 자신의 그림자에 사로잡혀


. Jacobi(1993)

- 1493 -
상담학연구

오히려 그림자에 압도당한다 이러한 태도들은 앞 . 때 그림자는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형태에서 창조


,

에서 언급했듯이 사람들이 살아오면서 발달시킨 적이고 긍정적인 형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

자아의식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 Jung 은 하찮고 보잘 것 없는 돌이 귀중한


Jung(2006b)

은 정신적 내면세계를 인식해 들어가는 개


(2004b) 현자의 돌 로 변환되는 연금술의 과정으로 설명
‘ ’

성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는 대략 삼십 하였다 그러면 겉으로 보아 파괴적이고 위험하며


.

대 중반의 중년 이후부터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 부정적인 그림자를 어떻게 창조적으로 전환시킬


죽내 는 인생의 전반기의 개성화는 주로 외
(1991) 수 있는가 나의 분리된 그림자를 의식화하고 통
?

적 현실에의 적응을 위한 자아강화에 있다면 인 , 합하여 온전한 인격으로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생의 후반기의 개성화는 자기강화에 있다고 말하 해야 하는가 ?

였다 따라서 그림자를 통합하는 방법도 자아의식


. 그림자가 무의식 속에 있다고 해서 전혀 밖으
의 수준에 따라 자아강화 단계와 자기강화 단계 로 표출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무의식의 내용들 .

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자아강화 단계는 자 . 은 무심결에 튀어 나오는 실언 혹은 상대의 어떤


아가 그림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와 자신감 말이나 행동에 대해 나에게서 뜻밖의 걸리는 반
을 기르는 토대를 마련하는 단계라면 자기강화 , 응이 나타날 때 알 수 있다 단지 내가 왜 그랬는 .

단계는 깨어 있는 자아가 무의식의 그림자를 자 지 잘 모를 뿐이다 자기강화 단계에서 그림자를 .

신의 것으로 통합하는 진정한 의미의 의 개 Jung 나의 인격의 일부로 통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


성화가 시작되는 단계이다 . 법으로는 꿈 이해 투사 인식 역설적 행동의 수 , ,

본 연구에서 분류한 것과 같이 자신의 그림자 , 용 종교적 자세가 있는데 각 방법에 대해 살펴


, ,

에 대해 동일시나 회피 억제 등의 반응을 보이는


, 보면 다음과 같다 .

사람들은 인생의 전반기에 자아가 강하게 정립되 먼저 우리는 그림자가 표출되는 형태인 꿈을
,

지 않은 사람들이다 어떤 주변 환경에도 흔들리


. 이해해야 한다 에 의하면 꿈은 의식이 . Jung(2004a)

지 않을 만큼 강하게 정립된 자아가 있을 때 자 , 지나치게 어느 한쪽 방향만 추구할 때 무의식의


신의 무의식 속에 있는 어두운 그림자를 기꺼이 보상 기능이 정신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보내는
탐색할 수 있는 용기가 생겨 자기실현 즉 개성화 , 신호이다 꿈 속에서 그림자는 꿈꾼 사람과 같은
.

를 이룰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다 따라서 자신의 . 성 性 을 가진 이미지로 나타난다 따라서 꿈에 나


( ) .

그림자에 대해 동일시나 회피 억제 등의 반응을 , 타난 동성 同性 의 이미지가 가진 상징적인 의미


( )

보이는 사람들은 아무리 인생의 후반기라고 하더 를 해석해 보면 자신의 그림자를 인식할 수 있다 .

라도 먼저 자아를 충분히 강화하여 자아의식을 세계적인 꿈 분석가인 는 꿈 분석을 Taylor(2006)

발달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야 자아가 자신 . 위해서는 꿈을 지속적으로 기록할 것을 권유하였


의 그림자를 보고 도망가거나 거부 혹은 사로잡 고 특히 꿈 분석을 위해 개인 작업보다는 집단
,

히지 않고 그림자를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작업을 선호하였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내놓은 .

있는 용기와 자신감이 생기게 된다 . 꿈을 통해서 모든 집단원들은 자신의 생각을 투


자아강화를 통해 충분히 그림자를 인식할 준비 사할 수 있고 그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꿈꾼
가 마련되면 본격적으로 그림자를 자신의 일부로
, 자뿐만 아니라 집단원들 모두 치유가 일어날 수
받아들이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림자가 통합될 . 있기 때문이다 은 꿈을 기억하고 이해 . Jung(1997)

- 1494 -
조정자․이종연 /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과 그림자 통합 방법

하려고 노력할 때 혹은 우리가 무의식과의 생생, 게 자신의 그림자를 투사한 것이다 이 말은 자기 .

한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적극적 상상을 할 때 그림자를 다른 사람이나 다른 뭔가에 슬쩍 내려


비로소 자아와 자기의 대화가 시작된다고 하였다 . 놓아 자신이 져야 할 책임을 회피한다는 뜻이다
또한 꿈 작업을 할 때
Taylor 의 적극적 Jung(1997) (Johnson,그림자 투사는 자아를 왜곡시켜
2007).

상상 기법을 사용하였다 프로이드의 자유연상 . 사람들 사이의 진정한 소통을 방해하는 원인이
이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상
(free association) 된다 은 사람들이 자기 속에 있는 그림
. Jung(1978)

상함으로써 떠오르는 상들 이 현실적 경험 (images) 자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투


이나 외상과 관련이 있는가를 조사하는 작업이라 사시키기만 할 때 그들은 자기에게 주어진 환경
면 의 적극적 상상
, Jung 은 구체 (active imagination) 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고 그 환경으로부터 소
적인 이미지나 경험에 주목하면서 그와 관련된 외받게 된다고 하였다 다른 사람에게서 보이는 .

상들을 떠올림으로써 심리적인 문제에 보다 가깝 부정적인 측면들이 나의 그림자였다는 것을 인식


게 다가서는 것이다 그래서 은 적극적 상상 . Jung ‘ ’ 하고 그것을 거두어 통합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

이라는 용어를 눈을 뜬 상태에서 꿈을 꾸는 과


‘ 는 우리가 미워하는 누군가를 만날
Sanford(2003)

정 이라고 설명하였다 수동적으로 경험되는 꿈과


’ . 때에는 잠시 멈춰 서서 우리가 누군가를 미워하 ‘

달리 어떤 특별한 관점 분위기 그림이나 사건에 , , 는 것은 우리가 싫어하는 그 무언가가 우리 안에


집중하면서 그와 관련된 환상들의 고리가 자연스 있어서 다른 사람에게 투사되었기 때문이 아닐
럽게 발전되어 점차 하나의 드라마 성격을 갖추 까 라고 자문해 보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사실
?’ .

게 하는 것이 적극적 상상법이다 박종수 ( , 2007). 투사는 자아의 방어기제로써 자기도 모르게 일어


그러나 은 적극적 상상에 담겨 있는 위
Jung(1997) 나는 자동적 사고이므로 잠시 멈춰 서서 생각하 ,

험성에 대해서도 경고한다 왜냐하면 적극적 상상 . 는 의 인지행동치료 기법은 유


(stop-thinking) Sanford

은 무의식과의 대면이기 때문에 자아가 잘 발달 용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주 .

한 심리적으로 성숙한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의할 점은 사회정의를 위하여 진정으로 잘못된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자아가 강력한 무의
. 것 인권유린 부정부패를 규탄하는 마음까지 모
, ,

식의 힘에 사로잡힐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의 상 . 두 그림자의 투사현상으로 보면 안 된다는 것이


태에 따라 적극적 상상은 제한적으로 사용될 필 다 이는 인간이 악에 대하여 갖는 마음의 밑바닥
.

요가 있다 . 에서 솟구치는 거룩한 분노 로 개인적인 또는 집 ‘ ’

투사를 거둬들이는 작업도 그림자를 통합하는 단적인 그림자의 투사체험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또 하나의 방법이다 는 사람들이 자기 . Franz(2006) 이부영
( 거룩한 분노 는 개인적인 그림자
, 2006a). ‘ ’

의 그림자를 보려고 할 때 그는 자기 자신에게는 의 투사를 거두고 의식과 무의식 나와 자기가 하 ,

없지만 타인에게서는 명백히 발견된다고 생각되 나된 마음의 표현일 때 나오는 것이다 .

는 성질이나 충동을 인지하게 된다고 하였다 즉 . 그림자를 통합하는 또 하나의 다른 방법으로


우리가 싫어하는 우리 자신의 어두운 면을 다른 은 어떤 특성들을 일부러 의도적으로 표현하
Jung

사람들에게서 보았을 때 자신의 마음속에 강한 게 하는 방법 즉 역설 을 제안하였다 이


, ‘ ’(paradox) (

정동이 솟아오르면서 유난히 민감해진다면 그것 , 부영 예를 들어 근검절약하


, 2006a; Johnson, 2007).

은 자신의 그림자에 대한 반응으로 다른 사람에 고 정신적으로 고상한 생활을 원칙으로 삼고 살


- 1495 -
상담학연구

아온 부인이 어느 날 의식에서와는 달리 꿈속에 묶고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 (Jung, 2007). Jung

서 옷을 잘 차려입고 나타난 친구를 부러워하면 따르면 종교란 인간 정신의 특수한 자세이며 라


,

서 자기의 초라한 행색을 부끄럽게 여기는 꿈을 틴어의 렐리기오 의 본래의 개념에 맞추어
‘ (religio)’

꾼다 여기서 꿈에 나타난 친구는 꿈꾼 사람이 의


. 어떤 동적인 요소들에 대한 주의 깊은 고려와 관
식에서 배제한 그림자상이 된다 그래서 의 . Jung 조의 태도이다 그래서 종교는 우리가 서로 반대 .

분석 심리치료에서는 사치스럽고 물질적인 동창 편에 있어 고통을 가중시키는 모순에서 벗어나


생과 같은 욕구가 자기의 무의식에 존재한다는 반대되는 두 개념을 동시에 즐기면서 둘 다 동등
것을 아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욕구를 살려서 일 하게 존중할 수 있는 역설의 영역으로 나아가도
부러 화려하게 옷을 입고 허영심이 있는 것처럼 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Johnson, 2007). Palmer

행동하라고 요구하는데 이것이 바로 역설적 행 , ‘ 는 인간이 자기 자신보다 더 큰 그 무엇과


(2006)

동 이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서로 대립되는


’ . 연결되고자하는 추구를 영성이라고 볼 때 이 연 ‘

관점 즉 일하러 가야 하는데 가기가 싫다 어떤


, ‘ , 결되고자하는 추구 는 모든 위대한 종교의 핵심 ’

사람을 싫어하는데 잘 지내야 한다 는 등 지속적 ’ 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이것 아니면 저것이다 라 . ‘ ’

인 모순 속에 산다 은 모순은 메마르고 . Johnson 는 이분법적 사고는 갈등을 잉태하는 원인이 된


파괴적이지만 역설은 창조적이라고 그 차이를 설 다 따라서 주의 깊은 성실한 관조의 자세 즉 렐
. ,

명하면서 하나를 수용하면서 다른 것에 대가를


, 리기오 의 자세가 없이 역설을 행하게 되면
(religio)

지불하지 않는다면 역설이 모순으로 전락한다고 오히려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에 따르 . Jung(2004b)

하였다 우리가 이 대극적인 요소를 받아들여 그


. 면 종교 는 생의 전환기이면서 개성화가 시작되
, ‘ ’

사이에서 일어나는 충돌을 의식으로 온전하게 견 는 시점인 중년 이후의 삶을 위한 학교로 중요한


뎌낼 수 있을 때 역설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의 개성화 과정 중 자기 . Jung

이러한 의도적인 표현 즉 역설은 잘못하면 오히 , 강화 단계에서는 깨어 있는 자아와 렐리기오만이


려 그림자에 맹목적으로 사로잡힐 위험성을 내재 빛과 어둠 자아와 그림자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

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편으로는 그림자를 표현하. 않고 둘을 동시에 통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생성


면서 그 과정을 관찰하는 깨어 있는 자아가 있어 할 수 있는 것이다 .

서 그림자에 사로잡히지 않게 계속해서 감시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래서 은역
요약 및 결론
. Johnson

설을 받아들이는 능력은 정신적 강인함의 척도이


자 성숙의 확실한 표식이 된다고 하였다 .

우리가 역설적인 행동을 할 때 모순에 빠지지 우리는 흔히 그림자를 떼어 버려야 할 몹쓸 것


않기 위해 갖춰야 할 태도 중의 하나로 종교적인 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은 그림자를 우 . Jung(2003)

자세도 중요하다 종교 라는 단어는 다시 . (religion) ‘ 리의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함께 지내야 할


묶는다 결합하다 관계를 맺다 는 의미의 라틴
’ ‘ ’ ‘ ’ 동반자와 같은 존재로 본다 음과 양이 균형과 조 .

어 어근인 렐리기오 에서 나온 것으로 선 ‘ (religio)’ 화를 이뤄 생명 에너지가 창조되듯이 은 그 Jung

과 악 의식과 무의식 자아와 그림자 등 모든 것


, , 림자를 인간 정신의 대극으로서 살아 움직이고
을 이분법적으로 가르는 생각이나 자세를 하나로 변화하는 실체로 이해하였다 즉 무의식 속에 숨 .

- 1496 -
조정자․이종연 /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과 그림자 통합 방법

겨진 열등하고 원시적인 그림자를 우리의 의식으 대극적 요소의 결합으로 그 생명이 유지되고 창
로 통합하면 그림자가 살아 움직이는 창조적인 조되는 것이다 즉 그림자가 음흉하고 부도덕한 .

에너지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 면은 있지만 절대적으로 악한 것만은 아니다 중 .

본 연구는 그림자 인식이 왜 중요한지를 알아 요한 것은 우리가 그림자를 어떻게 다루고 그것


,

보고 그림자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


, 이 자아의식과 어떻게 만나느냐에 따라 그림자는
다 사람들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그림자에
. 긍정적이면서 창조적인 성질로 바뀔 수 있다는
대한 인식 유형을 살펴보면 사람들이 현실 세계 , 것이다 .

에서 자신의 그림자를 대하는 태도는 그 사람이 그림자는 의식에서 가장 가까운 영역인 개인적
살아온 경험의 집합체인 자아의식의 수준에 따라 무의식의 내용들이기 때문에 분석심리학의 Jung

다르게 나타난다 최악의 형태는 자아가 그림자에


. 개성화 과정에서 우리가 가장 인식하기 쉬운 부
사로잡혀 완전히 힘을 잃고 무의식의 그림자에 분에 속한다 그러나 실제로 자신의 그림자를 인
.

의해 지배당하는 동일시 유형이다 반면 그림자 . 식하는 작업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 .

수용은 의 개성화 과정의 첫 단계에 해당하


Jung 면 다른 사람을 통해서 자신의 그림자를 발견하
는 그림자 인식 반응으로 어두운 그림자를 억압 는 것은 대단히 당황스럽고 두려움을 주는 일이
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자신의 것으로 통합하는 기 때문이다 이부영 은 그림자를 인식하는
. (2006a)

최고 수준의 유형이 된다 이 유형에서 그림자는 . 작업은 일생일대의 과업으로 결코 편안한 마음으


무의식적인 어둠의 영역에서 의식적인 빛의 영역 로 쉽게 인식되는 것이 아니고 삶의 고통 을 통 ‘ ’

으로 나오게 되어 우리 인격의 한 부분으로 통합 해서 만날 수 있으며 그 고통 속에서 의식화의


된다 그리하여 의식의 빛은 그림자로 인해 더욱
. 기회를 갖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림자의 어 .

밝아지게 된다 결국 그림자 통합은 인간이 본래


. 둡고 칙칙한 면을 부정하면서 성실하고 어질고
부터 갖고 태어난 온전성을 회복하고 이 목 , Jung 착해지려고만 애쓰지 않고 우리 마음속에 그림자
표로 한 개성화를 실현하기 위한 시작점으로서 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통합하는 것이 중요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림자를 통합하기 위한 . 다 이로 인해 개인은 참된 도덕적 삶이 무엇인지
.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꿈 이해와 투사 인식 그 , 깨우침으로써 인격이 한층 더 성숙해질 수 있다 .

리고 역설적 행동 수용과 종교적 자세에 대해 탐 또한 온전한 인간으로서 자기의 진정한 모습을


색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 발견하고 깊은 이해를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는
깨어 있는 자아가 전제되어야 하며 특히 역설적 , 데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

인 행동을 할 때는 종교적인 태도가 필요하다는 본 연구의 결과가 상담에 시사하는 바는 두 가


것을 강조하였다 . 지다 하나는 본 연구의 결과가 신경증을 갖고 있
.

이제 그림자는 더 이상 우리가 거부하고 무시 거나 분열과 같은 정신병적 문제에 걸린 사람들


해야 할 존재가 아니다 우리가 당황하며 닫아버 . 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
린 판도라의 상자에 부정적인 요소만 있지 않고 이다 은 그림자가 형성되는 기원을 망
. Jung(2006a)

우리를 구원해 줄 희망이라는 메시지가 숨어 있 각이나 무시 억제나 억압과 같은 의 방어기


, Freud

었듯이 어두운 그림자의 뒷면에도 생명을 창조하


, 제로 설명하였다 이후 방어기제는 오늘날 . Freud

는 숨결인 프시케 가 들어 있다 모든 것은 (psyche) .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고 부적응 행동결과인 정신


- 1497 -
상담학연구

장애의 치료목표 설정과 치료유형 결정에 중요한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 .

요소로서 인정되고 있다 또한 (Bond, 1986). Jung 학논총, 22, 373-406.

의 분석심리학 이론에서 볼 때 신경증과


(2004a) 김재은 이근후 김정규 박영숙
, 이화방어기 , , (1991).

같은 증상들은 단순한 정신병리적인 질병이라기 제검사실시요강. 서울 하나의학사 : .

보다 무의식이 균형을 찾으려는 과정에서 자신의 박영숙 자아방어 진단 검사 표준화 예비연


(1990).

현재 상태를 알리기 위해 보내는 하나의 신호라 구 속담을 기초로 한 이화의대지, 13


: . (3), 233

고 해석할 수 있다 즉 몸 상태의 균형이 깨졌을 . -242.

때 병에 걸리듯이 마음의 부조화는 신경증을 유 박종수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이야기 심리치


(2007).

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


. 료. 서울 학지사 : .

이 사람들이 자신의 그림자 인식 유형을 알아보 이부영 그림자. 서울 한길사


(2006a). : .

고 각각의 유형에 따라 적절하게 자아의식 수준 이부영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2006b). : .

을 조절하여 자신의 그림자에 대처하여 조화를 이상철 악(惡) 이해에 대한 연구: C. G.


(2006).

이룬다면 사람들이 좀 더 건강하고 온전한 삶을


, Jung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석사학위논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른 하나는 본 . 문 협성대학교 , .

연구의 결과가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그림 이죽내 분석심리학에 있어서 상징의 의미


(1991). .

자를 사람들이 좀 더 쉽게 인식하고 통합하는 데 신경정신의학, 30 (5), 805-814.

활용할 수 있는 그림자 인식 유형 척도를 개발하 Bond, M. (1986). An empirical study of defensive

는 데 이론적․실제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라는 styles: The defense style questionnaire. In G. E.

점이다 그림자는 애초부터 자아의식에 의해 억압


. Vaillant(Ed.), Empirical studies of ego mechanisms of

되거나 거부되어 무의식에 잠재되어 있는 어두운 defense(Clinical insights). Washington D.C.:

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을 인식하고 통합하기 위한 American Psychiatry Press.

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자기성찰 그리고 용기가 , Franz, M. L. (2006). 인간과 상징 [The process of

필요하다 즉 그림자를 인식하고 통합하기 위한


. individuation. In C. G. Jung(Ed.), Man and his

작업에는 자신의 커다란 노력과 더불어 분석심리 symbols]. 이윤기 역 서울 열린 책들 원전은


( ). : (

학에 기초한 상담의 도움이 필요한데 본 연구의 , 1964 에 출판 ).

결과는 그림자 인식 유형 척도 개발에 이론적․ Freud, S. (1926). Inhibitions, symptoms and anxiety. New

실제적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개인적인 노 York: WW Norton & Company.

력과 상담 과정에 기초가 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Jacobi, J. (1993). C. G Jung 심리학 해설 [The

데 기여할 것이다 . 설영환 역 서울 홍


psychology of C. G. Jung]. ( ). :

신문화사 원전은 에 출판 ( 1964 ).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 있다:


참고문헌
Johnson, R. A. (2007).

융 심리학이 밝히는 내 안의 낯선 나 [Owning

your own shadow: Understanding the dark side of the

김성민 (2001). 악의 문제와 그 극복에 관한 고찰 : psyche]. ( 고혜경 역 서울 에코의 서재 원전은 ). : (

C. G. Jung 의 그림자 이론과 흥부전에 대한 1991 년에 출판 ).

- 1498 -
조정자․이종연 / Jung의 분석심리학에서 그림자 인식의 중요성과 그림자 통합 방법

Jung. C. G. (1978). Aion. New Jersey: Prinston Neumann, E. (1990). Depth psychology and a new ethic.

University Press. Boston: Shambhala.

Jung, C. G. (1997). Jung on active imagination: Key Palmer, P. J. (2006).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To know

readings selected and introduced by Joan Chodorow. 이종태 역 서울 한국기독


as we are known]. ( ). :

London: Routledge. 학생회출판부 원전은 년에 출판 ( 1983 ).

Jung, C. G (2003). 심리학과 종교 [Psychology and Sanford, J. 융학파 정신분석가가 본 악


A. (2003).

religion]. ( 이은봉 역 서울 창 원전은 ). : ( 1975 년 [Evil: The 심상영 역 shadow side of reality]. ( ).

에 출판 ). 강릉 심층목회연구원출판부 원전은 년에
: ( 1998

Jung, C. G. (2004a). 인격과 전이 ö [Pers nlichkeit und 출판 ).

ü 한국융연구원 융 저작 번
bertrangung]. ( C. G. Stevenson, R. L. (2002). The strange case of Dr. Jekyll

역위원회 역 서울 솔 원전은 년에 출 ). : ( 1946 and Mr. Hyde. New York: Dover Publications..

판 ). Taylor, J. (2006). 꿈으로 들어가 다시 살아나라


Jung, C. 인간과 문화
G. (2004b). [Mensch und kultur]. [Dream work: Techniques for discovering the creative

한국융연구원
(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C. G. ). power in dreams]. 고혜경 역 서울 성바오로
( ). :

서울 솔 원전은 년에 출판
: ( 1946 ). 원전은
( 1983 년에 출판 ).

Jung, C. 인간과 상징
G. (2006a). [Approaching the Wilmer, H. A. (1987). Practical Jung. Wilmette, IL:

unconscious. In C. G. Jung(Ed.), Man and his Chiron Publications.

이윤기 역 서울 열린책들 원전은


symbols]. ( ). : (

년에 출판
1964 ).

Jung, C.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G. (2006b).

ö 한국융연구
[Erl sungsvorstellungen in der alchemie]. (

원 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서울 솔
C. G. ). :

원전은 년에 출판
( 1985 ).

인간의 상과 신의 상
Jung, C. G. (2007). [Menschenbild

한국융연구원 융 저작 번
und gottesbild]. ( C. G.
원고 접수일
역위원회 역 서울 솔 원전은 년에 출
: 2009. 6. 15.

). : ( 1984 수정원고 접수일



: 2009. 8. 4.

). 게재 결정일 : 2009. 8. 16.

- 1499 -
상 담 학 연 구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9, Vol. 10, No. 3, 1487 1500 -

The Importance of Shadow Recognition and Methods

of Shadow Integration i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Jeong-Ja Cho Jongyeun Le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he shadow is the dark parts of ego formed by repression of consciousness as inferior and immature personality

of unconscious in human psyche. Since shadow is the other personality of ego, this shadow can be destructive or

creative dependent on how ego-consciousness deals with it. Based o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this study

categorized persons's attitude of shadow recognition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level of individual

unconscious and ego-consciousness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shadow recognition and explored methods of

shadow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sons could recover healthy life and live whole life

when they recognize and integrate their shad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could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guide for developing shadow recognition type scale which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true self.

Key words : shadow, ego-consciousness, individual unconscious, Jung

- 150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