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한국색채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012, Vol.26, No.3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김정원 *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박사과정

음식과 식기의 색채 조화는 음식을 맛있게 보이게 하고 식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음식을
식기에 담을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그 음식의 맛을 잘 표출할 수 있는 색채의 식기를 선택하는 것
이다. 따라서 음식과 식기의 배색을 통해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색의 기본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음식과 식기의 배색 스타일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식의 맛을 시각적으로 가장 잘 느낄 수 있게 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음식과 식기의 색채”에 초
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각각의 고유한 맛을 가지고 있는 음식들이 어떤 색채의 식기
위에 놓였을 때 가장 먹음직스럽고 그 맛을 잘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
조사를 통하여 선정된 5가지 맛 별 대표 음식을 음식의 색과 색채 배색 조화에 근거를 두어 선정
한 5가지 색의 그릇에 담아 그 맛을 가장 잘 표현하는 식기의 색채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5가지
맛에 따른 식기 색채의 이상방향 도출을 통하여, 어떤 색채의 그릇에 음식을 담았을 때 그 음식의
맛이 시각적으로 가장 잘 표현되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담백한 맛 두부>의 경우에는 유사배
색인 연두색 식기와의 어울림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단맛 케이크>의 경우에는 유사
배색인 빨간색 식기와의 어울림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보였다. <매운맛 낙지볶음>의 경우에는
흰색 식기가 낙지볶음의 붉은색을 선명하게 부각시켜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신선한 맛 샐
러드>의 경우에는 한가지의 결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노란색 식기와 흰색 식기가 모두
좋게 평가 되었다. 그리고 <시원한 맛 냉면>의 경우에는 흰색 식기가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외식업체에서 식기를 선정하거나 음식 사진을 연출할 때, 음식의 시각적
인 맛과 그 맛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식기의 색채 선정 및 스타일링 작업에 기초가 되는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음식의 맛, 시각적 맛, 음식 색채, 식기 색채

†교신저자_김정원 e-mail: jwstyle212@naver.com

www.dbpia.co.kr
108 -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6권 3호

1. 서 론 과 조화를 이루어 음식을 맛있어 보이게 하고 식


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음식을 그릇
빨간 사과는 같은 난색인 주황색이나 분홍색의 에 담을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그 음식의 맛을 잘
접시보다는 보색의 흐린 청록색 접시에 담았을 때 표출할 수 있는 색채의 식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빨간색이 더욱 강조되어 맛있게 보이며(이수철, 한 식기의 색에 따라 그 음식이 맛있어 보일 수도 있
귀자, 김시찬, 한정아, 김자애, 2007) 노란색 달걀 고 맛없어 보일 수도 있으며(노무라 준이치, 2005)
말이는 흰색이나 파스텔톤의 그릇에 담기 보다는 음식의 고유한 맛을 더 강하게 느끼게 할 수도 있
파란색이 중심이 된 그릇에 올려놓는 것이 더 산 고 반대로 덜 느끼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뜻해 보인다(서프라이즈정보, 2006). 이러한 사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각각의 고유한 맛을
은 음식과 음식이 놓이는 그릇의 색채 사이에도 가지고 있는 음식들이 어떤 색채의 식기 위에 놓
색채의 배색 조화가 존재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 였을 때 가장 먹음직스럽고 맛있어 보이는지를 알
주고 있다. 그릇의 색채에 따라 주인공 격인 음식 아보고자 하며,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식기 색채
이 돋보일 수도, 밋밋해 보일 수도, 맛있어 보일 수 의 이상적인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도, 맛없어 보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릇의 색채 음식의 시각적인 맛을 최대한 표현할 수 있는 식
는 그 그릇에 담긴 음식의 시각적인 맛에 아주 큰 기의 색채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좀 더 맛있는 음식을 먹고자 하는 것에서 벗어 2. 이론적 배경
나 시각적으로도 멋스럽게 즐기고 싶은 추세에 따
라 등장한 개념(일본 푸드코디네이터협회, 2002)인 2.1. 미각과 색채
‘푸드 스타일링’은 영상 매체 속에서 음식이 맛있
어 보이도록 음식을 만들어서 어울리는 접시에 담 식품의 맛은 단지 혀에서 느끼는 미각뿐 아니라
고 사진을 연출하는 작업을 말한다. 즉, 영상 이미 후각, 시각, 청각, 촉각에서 느낀 여러 가지 인상과
지 속에서 음식의 맛을 보지 않고도 눈으로 그 맛 개인의 경험이나 기호가 복합적으로 적용된다. 그
을 느낄 수 있도록 ‘미각을 시각화’하는 작업이며 중 맛 연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은 눈으
음식의 맛을 시각적으로 표현해내는 것이다. 로 보여지는 시각이다. 시각으로 인해 전달되는 색
요리책이나 광고 속 음식 사진에서 사람들은 채의 감각에 의해 우리는 다른 영역의 감각인 맛
음식의 이미지를 보고 먹고 싶은 욕구를 느끼거나 이나 냄새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식품을 선택할
요리를 해보고 싶은 생각을 갖는다. 이미지 속에서 때 영양이나 안전성이 확보되어도 실제의 맛의 좋
음식의 모양과 색채, 접시의 형태와 색채의 조화 음과 형, 색, 크기 등의 외관이 잘 갖추어져 있지
등을 기준으로 이를 평가하고 판단한다. 사람들의 않으면 그 가치는 줄어든다. 그 중에서도 외관 특
미각과 욕구를 자극시켰다면 사람들은 그 광고나 성의 하나인 색은 신선함과 맛 판단의 기준이 되
요리책의 조리법을 관심 있게 볼 것이다. 결국 사 는 요인이다(변현조, 2004).
람들의 미각을 자극하는 시각적인 음식 이미지는 사람은 음식의 색에 거의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
음식의 모양과 색, 조명, 그릇의 세팅 등이 조화를 키며, 그에 따라 식욕이 증진되기도 하고 감퇴되기
이루었을 때 창출되는 것이다(백승국, 2002). 미각 도 한다. 이는 음식 색 자체가 지닌 특성과 연상
의 시각화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용으로 인하여, 생리적으로 식욕을 상승시키거
바로 음식의 외형이며 음식의 크기, 모양, 색채에 나 정서적으로 감정의 변화를 유도할 뿐 아니라
식기의 색채와 형태, 크기가 조화를 이루어 음식의 특정 식품의 색과 맛에 대한 과거 경험을 바탕으
시각적인 맛을 최대화시키는 주요 요소가 된다. 로 맛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파버비렌, 1993). 따
본 연구에서는 음식의 맛을 시각적으로 가장 잘 라서 맛을 나타내는 색을 정확히 파악하여 표현한
느낄 수 있게 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음식과 식기 다면 식품산업이나 외식산업에서 상품을 개발할
의 색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 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음식이 담겨 나오는 그릇의 색과 모양은 음식

www.dbpia.co.kr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 109

2.2. 음식과 식기의 색채 조화 주황, 검정과 흰색 같은 보색 관계를 말한다. 노란


색 음식에 보라색 그릇이나 보라색 음식에 노란색
우리가 먹는 음식은 한 가지 색으로만 이루어진 그릇은 같은 보색 조화이다. 참치회의 붉은색에 대
것도 있지만 여러 가지 색의 식재료가 혼합된 음 나무 잎, 파슬리, 해조 등의 녹색으로 장식하는 것
식도 많다. 더욱이 아름답고 먹음직스러운 음식에 도 그 예가 될 수 있다. 유사색 조화는 두 색의 조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되는 추세에서 어떻게 식재 합으로 한 색에 또 다른 한 색의 색상이 서로 유사
료들의 색을 조화롭게 선택하여 조리하는가는 굉 한 색의 조합이다. 소나무 그림이 있는 갈색 그릇
장히 중요한 문제이다. 에 계란찜의 노란색은 유사색 조화의 일례이다. 동
식품색의 조화를 위해서는 색채 간의 배색 기호 색계 조화는 동일한 색상의 농담이 다른 두 색의
를 파악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박모라(1994)의 조합을 말한다. 옅은 베이지색 그릇에 베이지색 음
연구를 보면, 식품색에서 적색의 배색기호로 가장 식을 담는 것은 동색계의 농담으로 요리를 강조하
좋은 색은 녹색이고 주황색은 노란색, 갈색은 흰 고 더욱 맛있게 보이려는 것이다. 단색 조화는 유
색, 노란색은 황록색, 황록색은 녹색, 녹색은 적색, 채색 한 색과 무채색 한 색의 조합을 말한다. 유채
파란색은 흰색, 자주색은 핑크색, 핑크색은 자주색, 색은 색감이 있는 녹색이나 빨강 등의 한 색과 무
검정색은 흰색, 흰색은 검정색인 것으로 나타났다. 채색의 검정, 회색, 흰색 중 한 색을 조합시킨 것이
이 연구에서 녹색과 가장 조화로운 색이 빨간색인 다. 무채색은 유채색 요리를 선명하게 보이게 하고
것은 자연 상태에서의 식물이 빨간색과 녹색의 조 채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
화가 많아 친숙하기 때문이라고 보았으며 흰색과 지이다(노무라 준이치, 2005).
검정색, 자주색과 핑크색의 배색 기호가 상호 조화
를 이루는 것은 무채색은 무채색끼리, 유채색은 유 3. 연구 방법
채색끼리 조화롭다는 배색 조화의 원리에 의해 영
향을 받은 것으로 보았다. 3.1. 조사 방법
식품색의 조화와 아울러 음식과 식기의 색채 조
화 또한 중요하다. 고범석(2001)은 그의 연구에서 본 연구는 각각의 다른 색채의 그릇에 담긴 같
접시 색채와 그것에 가장 어울릴 수 있는 주재료 은 음식의 사진을 보면서 문항에 응답하는 점에서
의 색상, 주재료와 가장 잘 어울릴 수 있는 드레싱 실험조사의 성격을 띤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의 색상을 찾아낼 수 있다고 하였다. 즉, 돋보이는 위하여 1차, 2차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도가 아주 높은 노란색 계열에 해당하는 접시에 1차 예비조사에서는 조사에 사용할 ‘한국인이
는 전체적인 톤이 검은 색채의 전채요리가 가장 선호하는 맛 5가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국어사전
시각적인 효율이 높아 식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에 포함된 표준어를 참고하여 미각에 관련된 125
흰색 계통의 접시에는 녹색 계통에 해당하는 식재 개의 미각 용어를 뽑아낸 후, 비슷한 뜻을 지닌 어
료나 빨간색에 해당하는 식재료, 검정색에 해당하 휘들을 분류, 정리하여 20개의 대표 미각 용어를
는 식재료를 사용했을 때 가장 시각적인 효과가 추출하였다. 예비조사의 표본은 서울과 경기 지역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흰색 계통의 주재 에 거주하는 20-40대 남, 여 90명을 대상으로 하였
료에 어울리는 드레싱의 색상에 녹색이나 빨강, 검 다. 그들에게 추출된 미각용어 20개를 제시하고 그
정 색상의 드레싱이 함께 했을 때 역시 시각적 효 중에서 가장 선호하는 맛을 5가지씩 선정하도록
과를 극대화하여 식욕 촉진의 동기부여를 할 수 하여 그 결과를 취합하였다. 그 결과 가장 선호하
있다고 했다. 는 상위 5가지 맛으로 ‘담백하다’, ‘달다’, ‘맵다’, ‘신
이렇듯 색채의 배색 조화는 요리와 그릇의 색채 선하다’, ‘시원하다’가 선정되었다.
배색 조화에도 적용되어 요리와 그릇이 어떤 조화 2차 예비조사에서는 1차 예비조사를 통하여 얻
를 이루는지에 따라 음식이 맛있게도 맛없게도 보 어진 5가지 맛을 각각 대표할 수 있는 음식을 뽑
이게 된다. 도록 하여 음식별로 가장 많이 응답된 음식을 대
보색 조화는 빨강과 녹색, 노랑과 보라, 파랑과

www.dbpia.co.kr
110 -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6권 3호

표 음식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로 ‘담백하다’를 B는 음식 색과 동일색상의 배색을 이루는 식기,


대표하는 음식은 ‘두부’, ‘달다’를 대표하는 음식은 C는 음식 색과 보색색상의 배색을 이루는 식기, D
‘케이크’, ‘맵다’를 대표하는 음식은 ‘낙지볶음’, ‘신 는 음식 색과 유사색상의 배색을 이루는 식기, D
선하다’를 대표하는 음식은 ‘샐러드’, ‘시원하다’를 는 음식 색과 중차색상의 배색을 이루는 식기로
대표하는 음식은 ‘냉면’이 선정되었다. 여기서 ‘시 선정하였다. 색상환은 PCCS의 24색상환을 기준으
원하다’라는 미각용어는 낮은 온도에 의한 시원한 로 하였다.
맛과 음식의 국물 맛이 텁텁하지 않다라는 의미의
시원한 맛으로 주로 사용되는데, 시원한 맛을 대표 3.2. 조사 대상 및 설문지 내용
하는 음식을 묻는 질문에는 이 두 가지를 만족시
키는 냉면이 선정되었다. 본조사의 표본으로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
본조사에서는 1차와 2차 예비조사 결과 선정된 하는 20-40대 남, 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5가지 맛과 그 맛을 대표하는 5가지 음식을 각기 총 30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응답은 자기기
다른 5가지 색채의 그릇에 똑같이 담은 사진을 제 입법으로 설문에 응답하도록 진행하였다. 조사 기
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5가지의 맛 별로 간은 2008년 9월 18일부터 9월 24일까지 7일에 걸
각기 다른 5가지 색채의 식기에 음식을 담아 A, B, 쳐 이루어졌고 300명의 응답자 중 응답이 불성실
C, D, E로 명명했는데, 5가지 식기의 색채를 선정 한 13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287개의 자료를 연
한 기준은 음식의 색과의 색채 배색 조화에 근거 구에 이용하였다.
를 두었다. 여기서 음식의 색채는 한가지로 이루어 본 연구의 설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지지 않으므로 음식의 색채는 보조색보다 큰 면적 첫 번째는 조사 대상의 일반적인 사항을 알기 위
을 가진 주조색(면적의 60%이상)을 중심으로 배 한 6가지 문항이며, 두 번째는 5가지 맛별로 각기
색이 되는 식기의 색채를 선정하였다. 다른 5가지 색채의 식기 위에 놓인 음식 중에서
A는 가장 기본이 되는 흰색 식기로 정하였는데 음식의 맛을 가장 잘 표현하는 정도를 4가지 측면
흰색 식기는 음식의 색깔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 맛이 느껴지는 정도, 맛있어 보이는 정도, 음식
주변의 식품색을 변화시키지 않는 효과가 다른 색 색과 그릇 색이 조화로운 정도, 음식이 돋보이는
들보다 좋기 때문이다 (茂木信太郞, 1993).
표 1> 5가지 맛별 식기 색채의 배색
<

A B C D E

담백한 맛
-두부

단맛
-케이크
매운 맛
-낙지
볶음
신선한 맛
-샐러드

시원한 맛
-냉면

www.dbpia.co.kr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 111

정도 - 에서 등간척도에 따라 체크하는 문항이다. 4.2. 5가지 맛별 식기 색채의 분석


세 번째는 두 번째와 마찬가지로 5가지 맛별로 각
기 다른 5가지 색채의 식기에 놓인 음식에 대한 5가지 맛별 A, D, C, D, E 5가지 색채의 식기에
선호도를 기입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담겨진 음식에 대하여 맛과 시각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음식의 맛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3.3. 분석 방법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음식의 맛이 돋보이도록
표현하고, 맛있어 보이게 하며, 음식과 식기의 색
수집된 데이터는 SPSS 15.0(Ver.)을 이용하여 이 조화를 이루면서 음식이 돋보이도록 하는 것이
분석하였다. 다. 따라서 4가지 항목 - 음식 맛 표현, 맛있어 보
첫째, 예비조사에서 한국인이 선호하는 5가지 임, 색채의 조화로움, 음식의 돋보임-을 세부 항목
맛과 각 맛을 대표하는 음식을 선정하고, 조사대상 으로 설정하여 각 항목에 대하여 5가지 색채의 식
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및 다중응 기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답분석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5가지 유형 식기별 차이분석은 일
둘째, 5가지 맛별 음식의 시각적인 맛에 영향을 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적용하여
미치는 식기 색채의 차이를 파악하고 5가지 색채 분석하였으며, 차이가 유의한 경우 Scheffe의 사후
의 식기별 선호도 평균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검증을 통해 파악하였다.
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
우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4.2.1. 담백한 맛 - 두부
셋째, 5가지 색채 식기의 지각도 작성을 위해 요
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포지셔닝 수준 및 이 먼저 담백한 맛을 대표하는 두부와 식기와의
상방향을 파악하였다.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 두부의 5가지 색채 식기별 평가 차이분석
4. 실증 분석 결과
<
담백 맛있음 조화 돋보임
M SD M SD M SD M SD
3.41b 2.87c 2.84c 2.21d
4.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A 1.14 1.20 1.19 1.26
B 3.70a 1.28 3.37a 1.09 3.17b 1.35 2.59c 1.22
C 2.54
d 1.02 2.58
d 1.02 2.86
c 1.09 3.44
b 1.27
c 1.02 a 0.98 a 1.10 b 1.01
조사 대상자들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은 <표 2>
D 3.09 3.35 3.43 3.44
E 2.39d 1.05 3.08b 1.24 2.86c 1.14 3.78a 1.37

와 같다. F-value
p
73.648
0.000***
25.781
0.000***
14.010
0.000***
81.523
0.000***
< 표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p<0.05 ** p<0.01 *** p<0.001
변수 구분 빈도(명) 비율(%)
성별 남성 93 32.4
분석 결과, 담백한 맛, 맛있어 보이는 정도, 조화,
여성
결혼 미혼
194
228
67.6
79.4 돋보임 등 4가지 평가차원에서 모두 식기 색채에
기혼 59 20.6 따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연령 20-29세 182 63.4
Scheffe의 사후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30-39세
40-49세
97
8
33.8
2.7 먼저 <표 3>에서 M(평균)을 보면, 담백한 맛의
학력 고졸 36 12.5 정도에서는 B식기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맛
2년제대졸/재학
4년제대졸/재학
124 43.2
있어 보이는 정도는 B와 D색채 식기가 가장 높은
대학원이상
75
52
26.1
18.1 평가를 받은 군이었고, 음식 색과 그릇 색의 조화
직업 사무/기술직 회사원 66 23.0 는 D식기가 가장 높았으며 음식이 돋보이는 정도
전문직 55 19.1
는 E식기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학생
서비스업
151
8
52.6
2.8 전체적으로 볼 때, 담백한 맛인 두부와 어울리는
기타 7 2.4 식기는 B와 D식기가 좋은 평가를 받았고, 반면 A

www.dbpia.co.kr
112 -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6권 3호

식기와 C식기가 가장 낮은 평가를 보였다. 돋보임 등 4가지 평가차원에서 모두 식기 색채에


따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Scheffe
4.2.2. 단맛 - 케이크 의 사후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매운 맛에 대한 평가에서는 B식기의 평가
단맛을 대표하는 케이크와 식기와의 평가 결과 가 가장 높았으며, 맛있어 보이는 정도는 A와 B식
는 <표 4>와 같다. 기가 가장 높은 평가를 보였고, 음식 색과 그릇 색
분석 결과, 단맛, 맛있어 보이는 정도, 조화, 돋 이 조화로운 정도는 A식기와 B식기가 가장 좋았
보임 등 4가지 평가차원에서 모두 식기 색채에 따 고, 음식이 돋보이는 정도는 A식기가 가장 높은
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Scheffe의 평가를 받았다.
사후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볼 때, A식기와 B식기가 3개 항목에
서 높은 평가를 받아 매운 맛 낙지볶음에 어울리
< 표 4> 케이크의 5가지 색채 식기별 평가 차이분석 는 식기로 평가 받은 반면, C식기와 E식기가 상대
단맛 맛있음 조화 돋보임 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M SD M SD M SD M SD
A 2.61d 1.17 2.64c 1.20 2.90c 1.08 3.27ab 1.20
B
C
3.11c 1.07 3.27b 1.06 3.03c 1.29
2.55d 1.12 2.51c 1.05 2.55d 1.03
2.63c
3.10b
1.21
1.18
4.2.4. 신선한 맛 - 샐러드
D 3.54b 1.17 3.66a 1.17 3.28b 1.15 3.45a 1.15
E 3.86
a 1.14 3.62a 1.07 3.55a 1.13 3.29
ab 0.98
신선한 맛을 대표하는 샐러드와 식기와의 평가
F-value
p
72.546
0.000***
67.437
0.000***
31.715
0.000***
21.587
0.000***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0.05 ** p<0.01 *** p<0.001
<표 6> 샐러드의 5가지 색채 식기별 평가 차이분석
먼저 단맛의 경우 E식기의 단맛정도가 가장 신선 맛있음 조화 돋보임
높았으며, 맛있어 보이는 정도는 D식기와 E식기가 M SD M SD M SD M SD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식 색과 그릇 색이 조화로 A 3.42


b
1.09 3.45
a
1.06 3.39
b
1.03 3.56
b
1.14

운 정도는 E식기가 가장 높았으며 음식이 돋보이 B


C
3.72a 1.23 3.48a 1.26 3.19c 1.28
3.32
b
1.08 3.54
a
1.11 3.17
c
1.09
2.64c 1.28
3.74
a
1.25
는 정도는 D식기가 가장 높은 평가를 보였다. D 3.31 b
1.17 3.37a
1.05 3.60a 1.03 3.77a 0.93

전체적으로 단맛을 대표하는 케이크와 식기와 E 2.83


c
1.28 2.74
b
1.09 2.79
d
1.14 2.74
c
1.11

의 평가는 E식기와 D식기의 평가가 좋았고, C식 F-value


p
21.126
0.000***
25.165
0.000***
20.368
0.000***
66.696
0.000***
기가 3개 항목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좋지 않았다. * p<0.05 ** p<0.01 *** p<0.001

4.2.3. 매운맛 - 낚지볶음 분석 결과, 신선한 맛, 맛있어 보이는 정도, 조화,


돋보임 등 4가지 평가차원에서 모두 식기 색채에
매운맛을 대표하는 낙지볶음과 식기와의 평가 따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Scheffe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 사후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신선한 맛에 대한 평가에서는 B식기가 가
표 5> 낙지볶음의 5가지 색채 식기별 평가 차이분석 장 높은 평가를 보였으며, 맛있어 보이는 정도는
A, B, C, D 모두 높은 평가를 보였다. 음식 색과
<
매운 맛있음 조화 돋보임
M SD M SD M SD M SD 그릇 색이 조화로운 정도는 D식기가 가장 좋았고,
음식이 돋보이는 정도는 C식기와 D식기가 가장
b a a a
A 3.49 1.08 3.74 1.20 3.41 1.04 3.91 1.14
4.26a 3.86a 1.12 3.38a 2.68c
높은 평가를 받았다.
B 1.12 1.19 1.35
C 2.84d 0.96 2.97 bc
1.04 2.80c 1.03 3.18b 1.16
D 3.01c
2.80d
1.04 3.03b
2.82c
1.06 3.06b
0.95 3.06b
1.07 2.71c 0.99
3.16b 1.07
전체적으로 볼 때, 신선한 맛을 대표하는 샐러드
와 어울리는 식기에 대한 평가에서 D식기의 평가
E 0.93 1.11
F-value 100.946 56.969 15.925 53.784
p 0.000*** 0.000*** 0.000*** 0.000***
가 전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E식기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 p<0.05 ** p<0.01 *** p<0.001

분석 결과, 매운 맛, 맛있어 보이는 정도, 조화,

www.dbpia.co.kr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 113

4.2.5. 시원한맛 - 냉면 대한 선호도 순위를 파악한 결과 , 담백한 맛의 두


부의 경우 B식기가 1순위 응답자 44.3%로 가장 많
시원한 맛을 대표하는 냉면과 식기와의 평가 결 았다. 2순위는 A식기, 3순위는 D식기, 4순위는 C
과는 <표7>과 같다. 식기, 5순위는 E식기로 파악되었다.
분석 결과, 시원한 맛, 맛있어 보이는 정도, 조화, 단맛의 케이크의 경우 1순위로 D식기가 34.1%
돋보임 등 4가지 평가차원에서 모두 식기 색채에 로 가장 높았다. 2순위는 E식기, 3순위는 B식기, 4
따라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Scheffe 순위는 A식기, 5순위는 C식기로 파악되었다.
의 사후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매운 맛의 낙지볶음의 1순위는 A식기가 36.7%
표 7> 냉면의 5가지 색채 식기별 평가 차이분석
로 가장 높았고, 2순위는 B식기, 3순위는 C식기
<
시원 맛있음 조화 돋보임 및 D식기가 유사하게 높았으며, 4순위는 E식기, 5
M SD M SD M SD M SD 순위는 C식기로 파악되었다.
A 3.59
a
1.15 3.60
a
1.14 3.53
a
1.03 3.47
a
1.18
신선한 맛의 샐러드의 경우 1순위는 A식기가
30.4%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 2순위는 D
b b b d
B 2.59 1.32 3.15 1.29 3.26 1.15 2.66 1.30
a
C 3.47 1.12 2.93c 1.07 2.73d 1.08 3.01c 1.17
D 2.70b 0.99 3.02bc 1.04 3.02c 0.97 3.18bc 1.15 식기, 3순위는 A식기, B식기, C식기가 유사하게
E
F-value
3.59a 1.21 3.44a
52.760 17.266
1.25 3.03c
22.815
1.11 3.28ab 1.15
18.765 나타났다. 4순위는 C식기, 5순위는 E식기로 파악
p 0.000*** 0.000*** 0.000*** 0.000*** 되었다.
* p<0.05 ** p<0.01 *** p<0.001
시원한 맛 냉면의 1순위는 A식기가 34.6%로 가
먼저 시원한 맛에 대한 평가에서는 A식기, C식 장 높았으며, 2순위는 D식기와 E식기가 유사하였
기, E식기가 가장 높은 평가를 보인 반면, B식기와 다. 3순위는 C식기, 4순위는 D순위, 5순위는 B식
D식기의 평가가 가장 낮았다. 기로 나타났다.
다음 맛있어 보이는 정도는 A식기와 E식기가
가장 좋았고, C식기가 가장 낮은 평가를 보였다. 4.4. 맛에 따른 식기별 포지셔닝(positioning)
음식 색과 그릇 색이 조화로운 정도는 A식기가 과 이상방향(ideal vector) 분석
가장 좋았고, C식기가 가장 낮은 평가를 보였다.
음식이 돋보이는 정도는 A식기가 가장 높은 반 각 맛별 음식에 적합한 식기 색채의 이상적인
면, B식기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방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5가지 유형의 식기에 대
전체적으로 볼 때, 시원한 맛을 대표하는 냉면과 하여 포지셔닝 지각도를 작성하였다.
어울리는 식기에 대한 평가에서 A식기의 평가가 먼저 <표 8>과 같이 요인분석을 통해 4가지 평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B식기와 C 가척도 - 맛표현, 맛있음, 조화로움, 돋보임 - 를 2
식기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개의 요인으로 구성한 후, 이를 각각 x축, y축으
로 해서 각 식기가 위치한 지점을 파악하였다. 아
4.3. 5가지 맛별 식기 색채의 선호도 분석 울러 추출된 2개 요인에서 요인점수를 독립변수
로, 순위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함으
5가지 맛 별 A, B, C, D, E 5가지 식기 색채에 로써 표준화계수( β)를 도출하였는데, 이 표준화계
표 8> 각 맛별 식기 색채 평가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

두부 케이크 낙지볶음 샐러드 냉면


요인1 요인2 요인1 요인2 요인1 요인2 요인1 요인2 요인1 요인2
(맛요인) (시각요인) (맛요인) (시각요인) (맛요인) (시각요인) (맛요인) (시각요인) (맛요인) (시각요인)
맛표현 0.918 0.908 0.931 0.909 0.886
맛있음 0.755 0.893 0.789 0.828 0.749
조화 0.635 0.704 0.749 0.718 0.945
돋보임 0.942 0.964 0.914 0.917 0.756
eigen-value 1.745 1.469 2.143 1.248 1.650 1.575 1.744 1.520 2.002 1.244
설명력 43.635 36.719 53.580 31.192 41.261 39.372 43.609 38.009 50.055 31.093
누적설명력 43.635 80.354 53.580 84.772 41.261 80.633 43.609 81.618 50.055 81.149

www.dbpia.co.kr
114 -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6권 3호

수( β)가 바로 이상방향(ideal vector)을 의미한다 향은 좌표상(0.511, 0.013)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박흥수, 하영원, 우정, 2005). 두부의 식기 순위평가에는 맛요인과 시각요인 중
먼저 각 맛별 식기 색채 평가에 대한 4가지 항목 맛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p<0.05). 이
을 요인분석을 통해 2가지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결과의 의미는 두부의 식기 평가는 조화로움이나
그 결과는 <표 8>와 같다. 두부의 돋보임(시각요인)보다는 담백한 맛이나 맛
분석 결과, 두부, 케이크, 낙지볶음, 샐러드, 냉면 있어 보이는 정도(맛요인)를 높일 경우 선호순위
모두 4개의 평가항목이 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 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부와 식기
다. 각 음식의 맛을 표현한 정도와 맛있어 보이는 와의 어울림을 고려할 때는 담백한 맛과 맛있어
정도가 하나의 요인으로, 음색 색과 그릇 색이 조 보이는 정도 등 맛요인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필요
화로운 정도, 음식이 돋보이는 정도의 2개 항목이 가 있다.
또 다른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맛표현과 맛있 이러한 결과를 지각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음을 ‘맛요인’으로 명명하고, 조화로운 정도와 음
식이 돋보이는 정도를 ‘시각요인’으로 명명하였다.
4.4.1. 담백한 맛 - 두부
먼저 담백한 맛 두부의 5개 식기별 지각도 및 이
상방향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9> 담백한 맛 두부
각 식기별 요인점수를 이용한 지각좌표
-
맛요인 시각요인
A(기본흰색) 0.254 -0.644
B(동색배색-크림색) 0.566 -0.363 그림 1> 두부의 5가지 식기유형별 포지셔닝 및 이상방향
C(보색배색-파란색)
<
-0.503 0.204
D(유사배색-연두색)
E(중차배색-빨간색)
0.151 0.319
도표에서 보듯이 이상방향과 가장 근접한 식기
-0.469 0.484
는 D로 나타났다. 그러나 D역시 맛요인보다 시각
위의 각 요인점수는 각 식기가 맛요인( x축), 시 요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C식기와 E식기는 시각
각요인( y축)에 위치하는 좌표를 의미한다. 요인은 긍정적이나 맛요인이 부족하며, 반면 A와
다음 두부에 대해서 2개 요인이 선호 순위에 미 B식기는 맛요인은 긍정적이나 시각요인이 부정적
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의 으로 파악되었다.
목적은 설명력과 영향정도보다는 표준화계수를 통
해 이상방향(ideal vector)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4.4.2. 단맛 - 케이크
<표 10> 담백한 맛 두부
개 요인과 순위와의 관계 및 이상방향 분석 케이크에 대해서 2개 요인이 선호순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귀분석하여 표준화계수를 통해
- 2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p 이상방향(ideal vector)을 도출하였다.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3.002 .032 93.188 .000 <표 11> 단맛 케이크
두부_맛요인 .723 .032 .511 22.445 .000*** - 각 식기별 요인점수를 이용한 지각좌표
두부_시각요인 .018 .032 .013 .554 .580
F= p= 맛요인 시각요인
R2=0.261 A(기본흰색) -0.470 0.220
B(동색배색-크림색)
252.037 0.000***
0.156 0.434
C(보색배색-파란색)
* p<0.05 ** p<0.01 *** p<0.001
-0.571 0.032
D(유사배색-빨간색)
분석 결과, <표 10>를 보면 맛요인과 시각요인
0.340 0.156
E(중차배색-분홍색) 0.545 0.026
의 표준화계수는 각각 0.511과 0.013으로서 이상방

www.dbpia.co.kr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 115

분석 결과 <표 12>와 같이, 맛요인과 시각요인의 표 <표 13> 매운맛 낙지볶음


각 식기별 요인점수를 이용한 지각좌표
준화계수는 각각 0.510과 0.165로서 이상방향은 좌표상 -

맛요인 시각요인
(0.510, 0.165)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케이크의 식기 순 A(기본흰색)
위평가에는 맛요인과 시각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
0.130 0.531
B(동색배색-빨간색) 0.930 -0.393
C(보색배색-초록색)
치고 있다(p<0.05). 그러나 맛요인의 표준화계수가 크다 D(유사배색-주황색)
-0.407 -0.012

는 것은 케이크의 식기 평가는 조화로움이나 케이크의


-0.164 -0.220
E(중차배색-노란색) -0.488 0.094

돋보임(시각요인)보다는 단맛이나 맛있어 보이는 정도


<표 14> 매운맛 낙지볶음
(맛요인)가더사람들의선호도에영향을준다는것이다. 개 요인과 순위와의 관계 및 이상방향 분석
- 2

<표 12> 단맛 케이크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개 요인과 순위와의 관계 및 이상방향 분석
- 2
B 표준오차 베타
p

비표준화계수 표준화 계수 t p
(상수) 2.999 .032 93.452 .000
낙지_맛요인 .603 .032 .427 18.825 .000***
B 표준오차 베타 낙지_시각요인 .409 .032 .289 12.753 .000***
(상수) 3.001 .032 94.970 .000 F= p=
케이크_맛요인 .721 .032 .510 22.837 .000*** R2=0.266
258.558 0.000***
케이크_시각요인 .233 .032 .165 7.385 .000***
F= p= * p<0.05 ** p<0.01 *** p<0.001
R2=0.287

분석 결과 <표 14>와 같이, 맛요인과 시각요인의


287.999 0.000***
* p<0.05 ** p<0.01 *** p<0.001
표준화계수는 각각 0.427과 0.289로서 이상방향은 좌
표상(0.427, 0.289)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낙지볶음
의 식기 순위평가에는 맛요인과 시각요인 모두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p<0.05). 그러나 맛요인의 표
준화계수가 크다는 것은 낙지볶음의 식기 평가는 조
화로움이나 낙지볶음의 돋보임(시각요인)보다는 매
운맛이나 맛있어 보이는 정도(맛요인)가 더 사람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그림 2> 케이크의 5가지 식기유형별 포지셔닝 및


이상방향
<그림 2>에서 보듯이 이상방향과 가장 근접한
식기는 D이며, 다음 E로 나타났다. 반면 A와 C는
시각요인은 긍정적이나 맛요인은 다소 떨어지며,
반대로 B식기는 맛요인은 긍정적이나 시각요인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림 3> 낙지볶음의 5가지 식기유형별 포지셔닝 및
이상방향
4.4.3. 매운맛 - 낙지볶음
<그림 3>에서 보듯이 낙지볶음의 경우, 이상방
낙지볶음에 대해서 2개 요인이 선호순위에 미치 향인 1사분면에 위치한 식기는 없었다. 현재 5가지
는 영향에 대해서 회귀분석하여 표준화계수를 통 식기 모두 낙지볶음의 이상방향에서 다소 거리가
해 이상방향(ideal vector)을 도출하였다. 있으나 그나마 A식기가 다소 근접하다로 볼 수 있

www.dbpia.co.kr
116 -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6권 3호

다. A와 E는 맛요인이 낮고, B식기는 시각요인이, 방향에서는 다소 거리가 있다. C와 D는 맛요인이,


그리고 C와 D식기는 맛요인, 시각요인 모두 낮게 B식기는 시각요인이 낮으며, E식기는 모두 낮게
나타났다. 나타났다.
4.4.4. 신선한 맛 - 샐러드
샐러드에 대해서 2개 요인이 선호순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귀분석하여 표준화계수를 통해
이상방향(ideal vector)을 도출하였다.
<표 15> 신선한 맛 샐러드
각 식기별 요인점수를 이용한 지각좌표
-

맛요인 시각요인
A(기본흰색) 0.043 0.206
B(동색배색-초록색) 0.486 -0.560
C(보색배색-빨간색) -0.023 0.254
D(유사배색-노란색) -0.118 0.467
E(중차배색-파란색) -0.388 -0.368 < 그림 4> 샐러드의 5가지 식기유형별 포지셔닝 및
이상방향
분석 결과 <표 16>과 같이, 맛요인과 시각요
인의 표준화계수는 각각 0.405와 0.344로서 이상방 4.4.5. 시원한 맛 - 냉면
향은 좌표상(0.405, 0.344)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샐러드의 식기 순위평가에는 맛요인과 시각요인 냉면에 대해서 2개 요인이 선호순위에 미치는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p<0.05). 그러나 영향에 대해서 회귀분석하여 표준화계수를 통해
맛요인의 표준화계수가 크다는 것은 샐러드의 식 이상방향(ideal vector)을 도출하였다.
기 평가는 조화로움이나 샐러드의 돋보임(시각요 분석 결과, <표 18>을 보면 맛요인과 시각요인
인)보다는 신선한 맛이나 맛있어 보이는 정도(맛 의 표준화계수는 각각 0.417과 0.334로서 이상방향
요인)가 더 사람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 은 좌표상(0.417, 0.334)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냉
이다. 그러나 다른 음식에 비해서 두 영향정도(좌 면의 식기 순위평가에는 맛요인과 시각요인 모두
표)가 유사하여 샐러드는 맛요인과 시각요인의 중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p<0.05).
요도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표 17> 시원한 맛 냉면
각 식기별 요인점수를 이용한 지각좌표
-
<표 16> 신선한 맛 샐러드 맛요인 시각요인
- 2개 요인과 순위와의 관계 및 이상방향 분석 A(기본흰색) 0.265 0.308
B(동색배색-갈색)
비표준화계수 표준화
-0.544 0.362
C(보색배색-파란색)
계수 t p
D(유사배색-노란색)
0.175 -0.495

B 표준오차 베타 E(중차배색-초록색)
-0.244 0.025

(상수)
0.348 -0.200
2.998 .032 94.467 .000
샐러드_맛요인 .573 .032 .405 18.056 .000***
샐러드_시각요인 .487 .032 .344 15.327 .000*** <표 18> 시원한 맛 냉면 - 2개 요인과 순위와의 관계 및
F= p= 이상방향 분석
비표준화계수 표준화
R2=0.282
280.836 0.000***
* p<0.05 ** p<0.01 *** p<0.001 계수 t p
B 표준오차 베타
(상수)
이러한 결과를 지각도로 정리하면 <그림 4>와 3.002 .032 94.836 .000
냉면_맛요인 .590 .032 .417 18.648 .000***
같다. 냉면_시각요인 .472 .032 .334 14.920 .000***
<그림 4>에서 보듯이 A식기만이 맛요인과 시 R2=0.286
F= p=

각요인 모두 긍정적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상 285.498 0.000***


* p<0.05 ** p<0.01 *** p<0.001

www.dbpia.co.kr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 117

그러나 맛요인의 표준화계수가 크다는 것은 냉 담백한 맛 두부의 평가결과, 두부 색과 동색인


면의 식기 평가는 조화로움이나 냉면의 돋보임(시 크림색 식기와 유사색인 연두색의 식기가 가장 좋
각요인)보다는 시원한 맛이나 맛있어 보이는 정도 은 평가를 받았으며, 흰색 식기와 보색인 파란색
(맛요인)가 더 사람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식기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지각도를 통한 평가
것이다. 그러나 다른 음식에 비해서 두 영향정도 결과, 유사색인 연두색 식기가 이상방향과 가장 근
(좌표)가 유사하여 냉면은 맛요인과 시각요인의 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담
중요도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백한 맛의 두부인 경우 유사배색인 연두색 식기와
지각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의 어울림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단맛 케이크의 평가결과, 케이크의 색과 유사색
인 빨간색 식기, 중차색인 분홍색 식기가 가장 좋
게 평가 받은 반면, 보색인 파란색 식기는 안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결국 담백한 맛에 이어 단맛에서도
파란색 접시는 음식의 맛을 극대화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지각도를 통한 평가 결과, 역시 유사색
인 빨간색 식기와 중차색인 분홍색 식기가 이상방
향과 근접하였고, 그 중 유사색인 빨간색 식기가
가장 근접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단 맛의 케이
크의 경우 유사배색인 빨간색 식기와의 어울림을
가장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매운 맛 낙지볶음의 평가 결과, 흰색 식기가 낙
지볶음의 붉은색을 선명하게 부각시켜 좋은 평가
<그림 5> 냉면의 5가지 식기유형별 포지셔닝 및 이상방향 를 받았으며 동색 배색인 붉은색 식기 또한 매운
맛을 강조시키는 역할을 하여 좋게 평가받았다. 반
그림에서 보듯이 A식기가 이상방향과 가장 근 면 보색의 연두색 식기와 중차색인 노란색 식기는
접하였다. B와 D식기는 맛요인이, C와 E식기는 매운맛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내어 낮은 평가를 받
시각요인이 낮게 나타났다. 았다. 지각도를 통한 평가 결과, 현재 5가지 색 중
에서 이상점에 근접한 것은 없으나, 그 중에도 기
5. 결론 및 제언 본흰색 식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근접하였다. 따라
서 매운맛 낙지볶음의 경우 흰색 식기와 가장 잘
본 연구는 5가지 맛 별 대표 음식을 5가지 색의 어울린다고 볼 수 있다.
그릇에 담아 그 맛을 가장 잘 표현하는 그릇의 색 신선한 맛 샐러드의 평가 결과, 샐러드의 색인
채를 선정하기 위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평가를 초록색과 유사색인 노란색이 전체적으로 좋은 평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4가지 항목 (맛표 가를 받은 반면, 중차색인 파란색 접시는 눈에 띄
현, 맛있어 보이는 정도, 음식과 식기 색채의 조화 게 안좋은 평가를 받았다. 지각도를 통한 평가 결
로움, 음식이 돋보이는 정도) 중 각 항목에서 높은 과, 기본 흰색 식기가 가장 근접하기는 하였으나,
평가를 보이는 식기를 선정하고, 이러한 4가지 차 각 문항별 평가에서는 유사배색인 노란색이 가장
원을 맛요인(맛표현/맛있음)과 시각요인(조화/돋 긍정적으로 나타나 앞의 평가와 일치하지 않았다.
보임) 즉, 2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여 이 요인이 선 이러한 점은 샐러드에 어울리는 색채의 식기가 명
호순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함으로써 이 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방향과 가장 근접한 식기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 시원한 맛 냉면의 평가 결과, 흰색 식기가 가
해서 앞의 평가와 뒤의 지각도 평가에서 일치하는 장 압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냉면과 같은
경우 그 식기의 색채가 그 맛을 가장 잘 표현하는 동색인 갈색과 보색인 파란색 식기는 안 좋게 평
식기의 색채로 선정하였다. 가되었다. 파란색 식기는 시원한 느낌은 있었으나

www.dbpia.co.kr
118 -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6권 3호

<표 19> 각 맛별 최종 결과
담백한 맛 단맛 매운맛 신선한 맛 시원한 맛
각 맛별
식기색채
분석결과

이상방향

최종결과

맛이나 조화로움에서는 모두 낮게 평가되어 냉면 <게재신청날짜: 2012.07.10 게재확정날짜: 2012.08.20>


의 그릇으로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지각도
를 통한 평가 결과 역시, 기본 흰색 식기가 이상방 참고문헌
향과 가장 근접하였다. 따라서 시원한 맛은 흰색
식기와 어울림의 정도가 가장 좋다고 평가할 수 고범석(2001).
있다. Ÿ
. 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경희
위와 같이, 식기의 색채에 따라 그 식기에 담겨 대학교 경영대학원. 서울. p.42.
있는 음식의 고유한 맛이 시각적으로 잘 느껴질 노무라 준이치(2005). . 서울: 국제.
수도 있고, 반대로 덜 느껴질 수도 있음을 알 수 Ÿ
pp.133-134.
있었다. 또한, 5가지 맛별 식기 색채의 분석을 통 박흥수, 하영원, 우정(2005). .서
하여 음식의 고유한 맛을 강조하고 싶을 때와 맛 Ÿ
울: 박영사. pp.240-248.
있어 보이게 하고 싶을 때, 식기의 색과 음식의 색 박모라(1994).
이 조화로운 가운데 돋보이게 하고자 할 때, 각각 Ÿ
. 미출판 박사학
적합한 식기의 색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위논문.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사항들을 실제 외식업체 변현조(2004).
나 음식사진의 촬영 현장에서 푸드스타일링에 활 Ÿ
. 미출판 석사학위논문.
용하여 연출한다면 좀 더 설득력 있고 효과적인 국민대학교 대학원. 서울. p.12.
식기 색채 스타일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백승국(2002). 서울: 소
본 연구에서는 자료조사를 통해 분류, 정리된 20 Ÿ
명출판사. p.106.
.

가지의 미각 용어 가운데 상위 5가지의 미각 용어 서프라이즈정보(2006). .서


만 대상으로 실험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Ÿ
울:비채. p.152.
세상에는 수많은 다양한 맛과 다양한 색채의 음식 이수철, 한귀자, 김시찬, 한정아, 김자애(2007).
이 존재하므로 본 연구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Ÿ
서울: 정문각. p.119.
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더 다양한 색채 배색을 다 .

일본 푸드코디네이터협회(2002). Food Coordination.


루지 못한 점을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Ÿ
서울: 평단사. pp.281-290.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음식의 맛과 식기의 색채에 파버비렌(1993). . 서울: 동국출판사.
관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음식의 맛을 시각 Ÿ
pp.213-214.
적으로 먹음직스럽게 연출하는 푸드 스타일링 분 茂木信太郞(1993). .第
야와 더 나아가 외식 산업의 발전에 활용될 수 있 Ÿ
一書林. pp.68-74.
기를 바란다.

www.dbpia.co.kr
음식의 시각적 맛과 식기 색채에 관한 연구 - 119

Study on Visualization of the Taste and Colors of Tableware

Jung Won Kim*


*The Ph.D. Course of Department of Food Service & Culinary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The harmony of colors between food and tableware plays a role to look food delicious and
stimulate the appetite. One of the important point when presenting a food on tableware is the
selection of tableware that can best express the taste of the food it present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best effect by way of color arrangement of food and tableware, basic
understanding on colors and color-arrangement styling of food/tableware based on objective
information are essentially required. This study focused on the “colors of food and tableware”
among the various elements that enhance the visual appreciation of food tas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lor combination of tableware and foods so that the tableware
with food can express the unique taste of food while making the food look tasty and delicious.
Five representative foods each with unique taste and tableware with unique colors were
selected by preliminary survey. The col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udy which explored
best harmony between the food color and tableware color. Then the tableware colors, which
best express the food taste, were analyzed. In addition, ideal views of tableware colors
dependent on five different food tastes were studied and drawn. These views visually express
the food taste in the best way possible when the foods are presented in tableware with
relevant color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lor of tableware that represented the tastes of
food for 5 flavors, in the case of tofu with simple flavor, the harmony with yellowish green of
similar coloration showed most desirable arrangement, and in the case of cake with sweet
flavor, the harmony with the red plate of similar coloration looked most positive. In the case
of panbroiled octopus with spicy flavor, the white plate was evaluated best since it
emphasized red color of panbroiled octopus. For salad with fresh flavor, one result was not
definitely showed and the yellow plate and the white plate both evaluated good. For
naengmyeon (cold noodle) with cool taste, the white bowl was most desir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the selection of tableware by restaurants and in the production of
best foodstyling.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providing with objective information which
can become valuable data in the styling work and color selection of tableware to maximize the
taste and visual appreciation of foods.

Key-words: Taste of Food, Visualization of Taste, Color of Food, Color of Tableware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