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주제 면마스크를 세척할 때 가장 효과적인 온도와 세제

학교명 성명

B반 지도교사

Ⅰ. 탐구 동기
코로나 확진자 수가 점점 줄어들어 실외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되었다. 이제 굳이 KF94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을 것 같아서 숨쉬기가
더 편한 면 마스크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보았다. 면마스크는 숨을 쉬기에
편한 반면 오염이 되었을 경우 세탁해서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오
염된 면마스크 세척 방법은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궁금해서 검색해 보았는데 다양한
세척 방법이 존재했다. 이 중에서 어떤 방법(온도, 세제)이 가장 효율적으로 면마스크를
세척할 수 있을 것인지 궁금해져서 탐구해보게 되었다.

Ⅱ. 탐구 주제
면마스크를 세척할 때 가장 효과적인 온도와 세제

Ⅲ. 선행 연구

제목 연구자 연구 내용
테크 세제와 퍼실 세제를 활용한 오염 세척
-세탁기 표준코스, 냉수, 수돗물을 사용하여 실온
에서 진행, 세탁시간, 헹굼시간, 총 세탁시간을 여
세탁기, 세제 및 오염
박서경 러 번 측정 후 평균치로 비교
종류에 따른 세탁성
-세탁성능의 평가는 분광광도계를 이용
-퍼실세제의 세탁성이 더 좋음, 헹굼성은 세탁기에
따라 다름
인공오염포의 세탁조건 -모든 종류의 오염포에서 섬유 구성성분, 오염원의 종
최인려,
에 따른 세척효율에 관 류와 세제 농도의 감량 정도와 상관없이 세척온도가
김태미
한 연구 20℃에서 40℃로 증가할 때 세척성이 모두 증가
-드럼세탁기에서 오염포는 세척온도가 높아질 때
시판 세제를 사용하여
정혜원, 세척성이 증가
세척 조건에 따른 인공
김미경 -임펠러식 세탁기의 세척성은 드럼세탁기에 비해
오염포의 세척성
낮음
Ⅳ. 탐구 과정

활동 날짜 활동 내용
4/9 창산계획서 주제 선정
5/21~7/15 창산계획서 작성
7/19 창산계획서 수정을 위한 줌 회의
7/27 창산계획서 수정을 위한 2차 회의
8/7 창산계획서 수정을 위한 3차 회의
8/10~8/15 실험 수행 및 결과 분석
8/19 결과보고서 작성
8/20~8/29 결과 PPT 제작 및 발표 연습
9/3 창의산출물 발표

Ⅴ. 탐구 방법
1. 세제의 종류와 물의 온도에 따른 면마스크의 오염도 비교

변인

통제변인 케첩의 양, 물의 양, 마스크의 종류, 세제의 양, 세척 시간, 세척 세기

조작변인 세제의 종류, 물의 온도

종속변인 세척 후 오염도

2. 준비물
빨랫비누, 주방세제, 세탁세제, 손 소독제, 케첩, 면마스크, 물, 컵

3. 방법
1) 실험1
① 4개의 마스크에 컵에 계량을 해서 20ml씩 케첩을 묻힌다.
② 각 마스크에 각각 빨랫비누, 주방세제, 세탁세제, 손 소독제를 20ml씩 묻힌다. 주
방세제와 세탁세제는 희석하지 않고 빨랫비누는 비누를 크게 자르고 물에 넣어서
사용하였다.
③ 각 마스크를 30℃의 물에 30초 동안 불린다.
④ 1분 동안 같은 세기로 마스크를 문지르고 헹군다.
⑤ 마스크에 남아있는 케첩의 색을 비교하여 면마스크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2) 실험2
① 물의 온도를 45 ̊c로 하여 위의 실험을 반복한다.

3) 실험3
① 물의 온도를 60 ̊c로 하여 위의 실험을 반복하고 세 가지의 실험을 가지고 마스크
의 오염도를 비교한다.

마스크 4개에 똑같은 양의 실험 전 마스크를 그릇에 준비한 것에서 세제들을


케찹을 묻혔다 담고 세제를 준비했다 부었다.

Ⅵ. 탐구 결과
1. 케첩의 오염도를 비교할수 있는 표(오염도 숫자가 작을수록 세탁이 잘 안된 것)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2. 실험 결과
(1) 결과 정리

온도
30℃ 45℃ 60℃
세제종류

손 소독제

주방 세제
세탁 세제

빨랫비누

온도
30℃ 45℃ 60℃ 평균
세제종류
손 소독제 8 5 6 6.33

주방 세제 9 8 6 7.67

세탁 세제 9 9 10 9.33

빨랫비누 7 3 4 4.67

평균 8.25 6.25 6.50

(2) 온도에 따른 세척 후 오염도 비교(오염도 숫자가 작을수록 세탁이 잘 안된 것)

-1차(30℃)가 세척이 가장 잘 되었고 다음 실험 3차(60℃), 실험 2차(45℃) 순이었다.


-세척이 잘 된 정도: 30℃ → 60℃ → 45℃
(3) 세제의 종류에 따른 세척 후 오염도 비교(오염도 숫자가 작을수록 세탁이 잘 안된 것)

-세탁 세제가 가장 세탁이 잘되었고 주방세제, 손 소독제, 빨랫비누 순서대로 잘 세탁


이 되었다.
-세탁이 잘 된 정도: 세탁 세제 → 주방세제 → 손 소독제 → 빨랫비누

6. 결과정리
세제의 종류에 따라 세척 정도를 비교해보면 세탁세제가 가장 세탁이 잘되었고 그 다
음으로 주방 세제, 손 소독제, 빨랫비누 순서이다. 우리가 생각한 손 소독제보다 세탁
세제가 더 잘 세탁할 것이라는 예상이 맞았다. 물의 온도에 따라 비교해 보면 실험 1
차(30℃)가 가장 잘되었고 그 다음은 실험 3차(60℃), 실험 2차(45℃) 순이다. 우리가 생
각한 물의 온도가 올라갈수록 세척이 잘될 것이라는 예측이 반만 맞았다.

Ⅶ. 결론

1. 세탁 세제가 마스크를 빠는데 가장 효율이 좋다.


2. 빨랫비누가 마스크를 빠는데 가장 효율이 좋지 않다.
3. 물온도는 30℃ → 60℃ → 45℃ 순서로 세탁이 잘 된다.

Ⅷ. 제언
보통 케찹 등의 조미료가 옷에 묻었을 때 주방세제로 세탁을 하면 깨끗하게 제거된다
고 하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 케찹을 제거하는데에 주방세제보다 세탁세제가 더 효율
이 좋음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처음에 물온도는 60℃에서 가장 잘 세탁이 될 것이라 생각했는데, 세탁세제
또는 묻은 음식의 종류에 따라 세탁이 잘 되는 온도가 따로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
게 되었다.
기회가 된다면 조미료의 종류를 다양하게 하여 세제의 종류와 온도에 따른 세척정도
를 비교해보고 싶다.

Ⅸ. 참고문헌

-최인려, 김태미, 인공오염포의 세탁조건에 따른 세척효율에 관한 연구- 세제농도와 용


수온도를 중심으로(2014), 성신여자대학교, 부천대학교

-박서경, 세탁기, 세제 및 오구 종류에 따른 세탁성(석사학위논문)(2012), 한양대학교대학원

-정혜원, 김미경, 시판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 조건에 따른 인공오염포의 세척성(2007),


인하대학교 의류 디자인 학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