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7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

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UCI]I804:21028-200000342841

공학석사 학위논문

항만건설 작업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Harbor Construction Working Vessel

지도교수 이 상 갑

2020년 8월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박 상 훈
본 논문을 박상훈의 공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인준함.

위원장 부 승 환 (인)
위 원 최 민 주 (인)
위 원 이 상 갑 (인)

2020년 7월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목 차

목 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
표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ⅱ
그림 목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ⅵ
초 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ⅷ

1.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항만건설 작업선(항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기준 검토 ·


·
···
·
···
·
···
··
··
··
··
··
··
· 4

3. 항만건설 작업선(항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


·
···
·
···
·
···
·
···
·
··
··
··
··
··
··
··
··
··
··
··
··
·· 13
3.1 구조 안전성 평가 모델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3.2 경계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3.3 하중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3.3.1 항만건설 장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3.3.2 부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3.4 허용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9
3.5 구조 안전성 평가 결과 검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5.1 항만건설 장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3.5.2 부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4. 고찰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

Referenc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5

감사의 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 i -
표 목차

표 2.1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의 허용응력 ·


··
··
··
··
··
··
··
· 8
표 2.2 항만건설 장비의 허용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표 2.3 부선의 허용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표 3.1 부선의 제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표 3.2 항만건설 장비의 제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표 3.3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 안전성 평가 하중 조합 ·
··
··
··
··
··
··
··
··
··
··
··
··
··
··
··
··
··
·24
표 3.4 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하중 조합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표 3.5 항만건설 장비의 허용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3.6 부선의 허용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표 3.7 설계하중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의 최대 변형 ·
··
··
··
··
··
··
··
··
··
··
··
··
··
··
··
··
··
··
·31
표 3.8 설계하중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 최대 응력 ·
··
··
··
··
··
··
··
··
··
··
··
··
··
··
··
··
··
··
··
·34
표 3.9 설계하중에 의한 부선의 최대 변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3
표 3.10 설계하중에 의한 부선의 최대 응력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
표 3.11 항만건설장비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제안 ·
··
··
··
··
··
··
··
··
··
··
··
··
·51
표 3.12 부선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제안 ·
··
··
··
··
··
··
··
··
··
··
··
··
··
··
··
··
··
··
··
··
··
··
··
·52

- ii -
그림 목차

그림 1.1 항만건설 작업선 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그림 1.2 항만건설 작업선 종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그림 2.1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 제21조 ·
··
··
··
··
··
··
··
··
··
· 4
그림 2.2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 안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그림 2.3 강재의 허용응력 및 처짐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그림 2.4 직접강도 평가에 관한 지침 하중 및 하중조합 ·
··
··
··
··
··
··
··
··
··
··
··
··
··
··
··
· 6
그림 2.5 직접강도 평가에 관한 지침 경계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6
그림 2.6 고도계수 Ch(Korean Register, 2019) ·
·
···
··
··
··
··
··
··
··
··
··
··
··
··
··
··
··
··
··
··
··
··
··
··10
그림 2.7 형상계수 Cs(Korean Register, 2019)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그림 2.8 GL Noble Denton Motion Criteria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그림 3.1 D.C.M. Method Barge의 일반배치도 ·
·
···
··
··
··
··
··
··
··
··
··
··
··
··
··
··
··
··
··
··
··
··
··
··
··13
그림 3.2 부선의 일반배치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그림 3.3 항만건설 장비의 일반배치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그림 3.4 항만건설 작업선 유한요소 모델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그림 3.5 항만건설 장비 모델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그림 3.6 항타선의 리더 모델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그림 3.7 항타선의 백스테이 모델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그림 3.8 항타선의 주요부 상세 모델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
그림 3.9 항만건설 장비 격납상태 조건(횡경사 30°) ·
·
···
·
··
··
··
··
··
··
··
··
··
·
···
·
···
·
···
·
·20
그림 3.10 항만건설 장비 사용상태 조건(횡경사 5°, 트림 2°) ·
··
··
··
··
··
··
··
··
·21
그림 3.11 항만건설 장비 경계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3.12 부선의 경계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
그림 3.13 상부 도르래 부분의 하중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그림 3.14 평형수 적재 하중 및 정수압 적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그림 3.15 파랑 굽힘 모멘트 적용을 위한 RBE2 설정 ·
·
···
·
···
·
···
·
···
·
··
··
··
··
··
··
··
··
··
·27

- iii -
그림 3.16 항만건설 장비 변형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
/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그림 3.17 항만건설 장비 변형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
/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
··
··
··
··
··
··
··
··
··
··
··
··
··
··
··33
그림 3.18 항만건설 장비의 인장응력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
/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그림 3.19 항만건설 장비의 압축응력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
/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6
그림 3.20 항만건설 장비의 전단응력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
/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그림 3.21 항만건설 장비의 등가응력 응답(Cse 3) (격납상태/횡경사 30°
/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8
그림 3.22 항만건설 장비의 인장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
/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
··
··
··
··
··
··
··
··
··
··
··
··
··
··
··39
그림 3.23 항만건설 장비의 압축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
/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
··
··
··
··
··
··
··
··
··
··
··
··
··
··
··40
그림 3.24 항만건설 장비의 전단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
/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
··
··
··
··
··
··
··
··
··
··
··
··
··
··
··41
그림 3.25 항만건설 장비의 등가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
/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
··
··
··
··
··
··
··
··
··
··
··
··
··
··
··42
그림 3.26 부선의 변형 응답(Case 5) (격납상태/횡경사 30°
/풍하중+Y/횡동요+종동요/호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그림 3.27 부선의 변형 응답(Case 17) (사용상태/횡경사 5°
/선수 트림 2°/풍하중+Y/횡동요+상하동요/호깅) ·
··
··
··
··
··
··
··
··
··
··
··
··
·45
그림 3.28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전단응력 응답(Case 5)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호깅) ·
··
··
··
··
··
··
··
··47

- iv -
그림 3.29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등가응력 응답(Case 5)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호깅) ·
··
··
··
··
··
··
··
··48
그림 3.30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전단응력 응답(Case 17)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Y
/횡동요+상하동요/호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9
그림 3.31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등가응력 응답(Case 17)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Y
/횡동요+상하동요/호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v -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Harbor Construction Working Vessel

Park, Sang-Hoon

Department of Naval Architecture & Ocean System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Abstract

As the majority of harbor construction workships operated without ship


inspection, there was a high possibility of major accidents such as the
sinking of Seokjeongho in 2012, inspection of ships under the Ship Safety
Act was mandatory for all harbor construction working vessel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Harbor Act in 2016. In this study, the methods for the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for harbor construction equipment were
studied as well as the connecting parts of harb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ships, for the safe design conforming to the conditions of use of the
harbor construction working vessel which are not clearly stipulated. Unlike
regular barge in the Case of pile driving ship(Deep Cement Mixing Method
Barge; DCM Method Barge), which is a concrete laying working vessel that
strengthens the soft ground of the sea,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is
essential as the height of the leader, harbor construction equipment, is
high and the effects of wind or hull motions are significant. The method
of performing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was chosen by dividing harb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barge into two types of structures, and the

- vi -
structural safety was reviewed by applying the appropriate provisions to
each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suitable
for harbor construction working vessels was proposed.

KEY WORDS : Harbor Construction Working Vessel, Pile Driving Ship,


D.C.M. Method Barge,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Barge

- vii -
항만건설 작업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박 상 훈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초 록

대다수의 항만건설 작업선은 선박검사를 받지 않고 운항함에 따라 2012년


석정호 침몰사고와 같은 대형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실정으로, 2016년
항만법 개정을 통하여 모든 항만건설 작업선에 대해 선박안전법에 따른
선박검사를 의무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은
항만건설 작업선의 사용 여건에 부합하는 안전한 설계를 위하여 항만건설
장비뿐만 아니라 항만건설 장비와 선박의 연결 부위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바다의 연약지반을 다지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선(Deep Cement Mixing Method Barge; D.C.M. Method Barge)인
항타선의 경우 일반 부선과 달리 항만건설 장비인 리더의 높이가 높아서
바람이나 선체 운동에 따른 영향이 크게 작용하므로 구조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항만건설 장비와 부선을 두 종류의 구조물로 구분하여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선택하였고, 각각의 구조물에 적합한
규정을 준용하여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여 항만건설 작업선에 적합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KEY WORDS : 항만건설 작업선, 항타선, DCM 선박, 안전성 평가, 부선

- viii -
1. 서 론

우리나라 동·서·남해안에는 31개 무역항과 29개 연안항을 비롯해 크고 작


은 어항이 있으며, 각종 항만공사와 주변 연안에서 해상공사가 수시로 진행되
고 있고 해상공사 등에 크레인선, 준설선 등 다양한 항만건설 작업선들이 활동
하고 있다. 이러한 해상공사 중 해상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대형 인명피해
나 해양 유류오염 사고가 발생하는 등 항만건설 작업선에 대한 안전관리가 필
요하나 대다수의 항만건설 작업선은 선박검사를 받지 않고 운항함에 따라 그림
1.1에서와 같이 2012년 석정호 침몰사고와 같은 대형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
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항만건설 작업선에 관한 안전관리 기술기준을 마


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16년 항만법 개정을 통하여 모든 항만건설
작업선(기중기선, 준설선, 항타기선, 지반개량기선)에 대해 선박안전법에 따른
선박검사를 의무화하고, 세부적인 검사기준을 해양수산부 장관이 정하도록 함
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 2018년 4월 5일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
한 기준(해양수산부, 2018)을 제정 및 고시하였다.

그림 1.1 항만건설 작업선 사고

- 1 -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에 적용되는 항만건설 작업선의
정의는 항만건설 장비를 고정적으로 탑재하여 항만구역 내에서 항만건설 작업
을 수행하는 선박으로서 그림 1.2와 같이 기중기선, 준설선 및 항타선을 말한다
(해양수산부, 2018).

∙ 기중기선: 항만이나 각종 해양 구조물의 건설공사를 할 때 해상에서 중량


물을 설치하거나 운반하는 작업에 쓰이는 기중설비 또는 기중기를 갖춘 작
업선

∙ 준설선: 항만, 항로 등의 바닥에 있는 흙, 모래, 자갈, 돌 등을 파내는 장비


를 갖춘 작업선

∙ 항타선: 해상에서 기초 또는 잔교 등 구조용 말뚝을 수직 또는 비스듬히


박기 위하여 드롭, 디젤, 유압, 진동해머 등의 장비를 갖춘 작업선

(a) 기중기선

(b) 준설선 (c) 항타선


그림 1.2 항만건설 작업선 종류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2018)은 선박시설


및 다양한 설비와 관련한 기준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나, 구조 안전
성 평가와 관련한 기준의 경우 강재의 허용응력 및 처짐에 대한 기준만 제시하

- 2 -
고 있을 뿐, 구조해석을 통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과 구조해석을 위한 구체
적인 구조해석 모델링, 경계조건 적용 및 하중조건 적용 방법 등과 관련한 자
세한 지침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상갑, 2018; Lee, 2016). 본 연구에서는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은 항만건설 작업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을 확립
하기 위하여 항만건설 작업선의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고
항만건설 작업선에 적합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항만건설 작업선 중 그림 1.2(c)와 같이 바다의 연약지반을 다지는 콘크리트


타설 작업선(Deep Cement Mixing Method Barge; D.C.M. Method Barge)인 항타
선의 경우 일반 부선과 달리 항만건설 장비인 리더의 높이가 높아 바람이나 선
체 운동에 따른 영향이 크게 작용하므로 구조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므
로 본 연구의 구조 안전성 평가 모델로 선정하였다.

항타선(D.C.M. Method Barge)은 백스테이(Backstay) 및 리더(Leader)가 핀(pin)


형태로 부선과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써, 백스테이와 리더를 합하여 항만건설
장비로 칭하며, 항만건설 장비와 부선을 모두 통틀어 항만건설 작업선이라고
한다. 항만건설 작업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핀 형태로 연결된 항만건
설 장비와 부선을 두 종류의 구조물로 구분하고 분리하여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선택하였고, 항만건설 장비는 한국선급(KR) 규정 제9편 2장 4
절의 크레인(Korean Register, 2019) 규정에 정의된 설계하중과 허용응력을, 부
선은 KR 규정 제10편 소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Korean Register, 2019) 규
정에 정의된 설계하중과 허용응력을 준용하여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항타
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유한요소 범용 프로그램은 MSC.NASTRAN
(2012)을 이용하였고, 전⦁후처리 프로그램은 MSC.PATRAN(2012)을 이용하였다.

- 3 -
2. 항만건설 작업선(항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기준 검토

2018년 제정된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2018) 중, 구조 안전성 평가와 관련된 항목은 그림 2.1 ∼ 2.3과 같다.

그림 2.1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 제21조(해양수산부,


2018)

그림 2.2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 안정도(해양수산부, 2018)

- 4 -
그림 2.3 강재의 허용응력 및 처짐기준(해양수산부, 2018)

그림 2.1 ∼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 시설 등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2018)에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은 자세히 기술되어 있지 않
고 단순히 적용해야 할 하중의 계수와 허용응력만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급 규정에서는 구조 안전성 평가를 하는 경우 그림 2.4 및 2.5와 같이 구조
안전성 평가 시 고려되는 하중과 경계조건을 적용해야 할 위치와 방법을 명확
히 규정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지 않으면,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개개인의 경험과 주관에 의하여 하
중 적용 조건과 경계 조건, 하중 조합 등이 달라지므로 구조 안전성 평가에 대
한 신뢰성뿐만 아니라 항만건설 작업선의 안전성 또한 확보될 수 없다.

따라서 항만건설 작업선의 안전한 설계를 위하여 항타선의 사용과 관련하여


예상되는 하중, 작업환경 요건 및 선박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항만건설 장비와
부선을 두 종류의 구조물로 구분하고 분리하여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고,
항만건설 장비는 KR 규정 제9편 2장 4절의 크레인 편에 정의된 설계하중과 허
용응력을, 부선은 KR 규정 제10편 소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 규정에 정의된
설계하중과 허용응력을 준용하기로 하였다.

- 5 -
그림 2.4 직접강도 평가에 관한 지침 하중 및 하중조합(Korean Register, 2019)

그림 2.5 직접강도 평가에 관한 지침 경계조건(Korean Register, 2019)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해양수산부, 2018)에 의한 항타


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과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을 요약하여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 기본

○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

▶ 안전성 평가 방법(경계조건, 하중계산 식 등)에 대한 세부지침 없음

▶ 구조 안정도(별표 2)와 강재의 허용응력 및 처짐에 대한 기준(별표


3) 제시

○ 본 연구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 항만건설 장비와 선체 부분 분리하여 구조 안전성 검토

▶ 항만건설 장비는 KR 규정 제9편 2장 4절의 크레인 편에 정의된 설


계하중과 허용응력에 준하여 구조 안전성 검토

- 6 -
▶ 부선은 제10편 소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 규정에 정의된 설계하
중과 허용응력에 준하여 구조 안전성 검토

(2) 구조해석 모델링

○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

▶ 세부지침 없음

○ 본 연구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 2차원 판 요소를 사용하여 항만건설 장비의 형상을 상세히 모델링

▶ 상부 도르래(top sheave), 어깨걸이(hanger) 및 백스테이 연결부에


대한 상세 모델링을 통하여 응력집중 부위에 대한 상세평가 가능

(3) 경계조건

○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

▶ 세부지침 없음

○ 본 연구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 실제 구조물의 거동 메커니즘(pin 구조)을 반영한 해석 실시

(4) 하중조건

○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

▶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한 최소한의 4가지 기준(하중조합) 제시

▶ 하중적용에 관한 종류 및 계수(factor) 정의

▶ 풍하중 및 충격하중 등과 같은 하중 산정과 관련한 세부 계산식 없


○ 본 연구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 항만건설 장비는 KR 규정 제9편 2장 4절의 크레인 규정 준용

▶ 부선은 제10편 소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 준용

(5) 허용응력

○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

- 7 -
▶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의 허용응력은 표 2.1
적용

표 2.1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의 허용응력(해양수산부,


2018)
allowable stress allowable pressure
tension compression shear 0.89σy
0.67σy 0.87σy 0.58σy 0.94σy

○ 본 연구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 항만건설 장비와 부선의 허용응력은 각각 표 2.2 및 2.3 적용

표 2.2 항만건설 장비의 허용응력(Korean Register, 2019)

loading condition stress component

condition wind load tension compression shear combined

n/a 0.67σy 0.58σy 0.39σy 0.77σy


in service
application 0.77σy 0.67σy 0.45σy 0.89σy

in stowage application 0.87σy 0.76σy 0.50σy 1.00σy

표 2.3 부선의 허용응력(Korean Register, 2019)

stress component σallow.

combined 1.00σy

shear  σy


- 8 -
앞에서 비교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은 항
타선의 사용 여건을 고려하여 구조물에 적합한 규정을 준용하였기 때문에 항만
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보다 체계적인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하중조건의 계산과 적용 방법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
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하중 적용 방법을 자세히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 항만건설 장비 적용 하중 조건

○ 크레인의 안전사용하중

▶ 크레인에서는 안전사용하중(S.W.L.)이 정해지지만 항타선의 경우 정


해진 바가 없으므로, AUGER(자중)를 들어올리기 위한 힘×α(임의
의 안전계수) 값 적용

○ 추가의 충격하중

▶ KR 규정 제9편 2장 4절의 크레인 규정의 표 9.2.15의 추가의 충격하


중계수에 따라서, 0.10 적용

○ 크레인장치 및 크레인장치에 부착된 하역부속 장구의 자중

▶ 구조 안전성 평가 시, 모델링 수행을 통한 자중 반영

○ 하역장구의 자중

▶ 구조 안전성 평가 시, 모델링 수행을 통한 자중 반영

○ 하역블록의 마찰력

▶ 마찰력은 AUGER LIFTING 작용하중에 KR 규정 9편 2장 4절의 크레


인 규정의 부시 베어링 마찰력 값 0.05 적용

○ 수평방향의 힘

▶ 수평방향의 힘의 경우 주행하는 구조물이 아니므로 고려하지 않음

○ 바람하중

▶ KR 규정 제9편 2장 4절 크레인편에 정의된 아래의 바람하중 계산식


적용

F = 1/16 × V × A × Cs × Ch

- 9 -
V : 설계 풍속 16.0m/sec(사용상태), 25.8m/sec(격납상태)

A : 풍압을 받는 구조부의 투영 면적의 합(m2)

▶ 그림 2.6과 그림 2.7의 고도계수(Ch)및 형상계수(CS) 고려

○ 완충력

▶ 완충력의 경우 주행하는 구조물이 아니므로 고려하지 않음

○ 선체경사에 따른 하중

▶ 사용 상태일 경우 : 횡경사 5° 및 트림 2°를 동시에 고려

▶ 격납상태일 경우 : 횡경사 30° 고려

○ 선체 운동에 따른 하중

▶ 그림 2.8의 GL(Germanischer Lloyd) Noble Denton Motion Criteria


(2015)를 참고하여 운동하중 적용

그림 2.6 고도계수 Ch(Korean Register, 2019)

- 10 -
그림 2.7 형상계수 Cs(Korean Register, 2019)

- 11 -
그림 2.8 GL Noble Denton Motion Criteria(2015)

(2) 부선의 하중조건

○ 내부 하중

▶ 평형수 적재에 의한 하중

▶ 부선 및 장비의 자중

▶ 항만건설 장비에 의한 하중

○ 외부 하중

▶ 정수압

▶ 파랑 굽힘하중

- 12 -
3. 항만건설 작업선(항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에 따라 그림 3.1과 같은 항타


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항타선의 하부 구조물인 부선은 그림 3.2
와 같고, 백스테이와 리더가 포함되어 있는 항만건설 장비는 그림 3.3과 같으
며,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의 제원을 표 3.1 및 3.2에 각각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그림 3.1 항타선의 일반배치도

표 3.1 부선의 제원
L.O.A (m) L.B.P (m) B (m) D (m) D.L.W.L (m)

65.0 65.0 30.0 4.0 3.0

- 13 -
그림 3.2 부선의 일반배치도

표 3.2 항만건설 장비의 제원

ITEM H (m) B (m) L (m)

Leader 67.500 1.200 1.300

Back stay 46.641 24.400 19.500

- 14 -
그림 3.3 항만건설 장비의 일반배치도

3.1 구조 안전성 평가 모델링

항만건설 장비는 부선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항만건설 장비의


운용에 따라서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가 만나는 연결부를 통해서 부선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이 연결부는 핀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선형
정적문제로 풀기 위하여 항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는 그림 3.4(a) 부선과 그림
3.4(b) 항만건설 장비를 분리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항만건설 장비와 연결되는 부선의 연결부의 평가는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해


석을 통하여 연결부의 반력을 선체와 항만건설 장비가 연결되는 부분에 하중으
로 적용하여 선체와 연결부위의 국부 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 15 -
(a) 부선 (b) 항만건설 장비
그림 3.4 항만건설 작업선 유한요소 모델링

항만건설 장비는 그림 3.5(a)와 같이 강관(tubular) 구조와 ㄱ형강을 연결하여


트러스(truss)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구조해석 방법으로 구조 안
전성 평가하는 경우 그림 3.5(b)와 같이 1차원 보(beam) 요소로 모델링을 수행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리더의 상부 도르래 영역과 리더와 백스테이가
연결되는 어깨걸이 부분 등 응력 집중 부위에 대한 상세한 평가가 어렵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건설 장비 전체 모델을 그림 3.5(c)와 같이 2차원 판
(shell) 요소를 이용한 상세 모델링을 수행하여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림 3.6 ∼ 3.8은 기본 요소 크기는 600mm⨯600mm,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부
위는 상세 요소 크기 100mm⨯100mm를 적용한 항만건설 장비 모델링을 보여
주고 있다.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그림 3.9 및 3.10과 같이 KR 규


정에 따라 격납상태에서는 횡경사 30°의 상태를 적용하였고, 사용상태에서는
횡경사 5°와 선미 트림 2°를 동시에 적용하였다.

- 16 -
(a) 항만건설 장비 (b) 1차원 보 요소 모델링 (c) 2차원 판 요소 상세 모델링
그림 3.5 항만건설 장비 모델링

(a) 리더 (b) 리더 상세 모델링


그림 3.6 항타선의 리더 모델링

- 17 -
(a) 백스테이 (b) 입체도

(c) 정면도 (d) 측면도


그림 3.7 항타선의 백스테이 모델링

- 18 -
(a) 리더 주요 연결부

(b) 상부 도르래 모델링

(c) 어깨걸이 모델링


그림 3.8 항타선의 주요부 상세 모델링

- 19 -
(a) 측면도 (b) 정면도
그림 3.9 항만건설 장비 격납상태 조건(횡경사 30°)

측면도 정면도
(a) 선미 트림

- 20 -
측면도 정면도
(b) 선수 트림
그림 3.10 항만건설 장비 사용상태 조건(횡경사 5°, 트림 2°)

3.2 경계조건

항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는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를 분리하여 해석을 수행


하게 되므로, 다음과 같이 경계조건을 각각 적용하였다.

항만건설 장비에 대한 유한요소 구조해석을 위하여 그림 3.11과 같이 부선의


상부 갑판에 연결되는 리더의 하부 핀 고정 부분들을 MSC.NASTRAN에서 지원
되는 RBE2(Rigid Bar Element) 요소를 사용하여 힌지 핀과 고정된 상태로 연결
부분을 모델링하였다.

부선의 경계조건은 단순 지지로 구성하였고, 그림 3.12와 같이 부선 모델의


선미 하부 중심선 절점의 X, Y, Z 이동변위, 선미 상부 갑판 중심선 절점의 Y
이동변위 및 선수 하부 중심선 절점의 Y, Z 이동변위를 구속하였다.

- 21 -
(a) 입체도 (b) 측면도 (c) 정면도
그림 3.11 항만건설 장비 경계조건

(a) 입체도

(b) 측면도
그림 3.12 부선의 경계조건

- 22 -
3.3 하중조건

3.3.1 항만건설 장비
항타선의 항만건설 장비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하중조건은 KR 규
정 제9편 2장 4절의 크레인편에 정의된 설계하중을 참조하였으며 고려해야할
하중은 다음과 같다.

(1) 크레인의 안전사용하중

(2) 추가의 충격하중

(3) 크레인장치 및 크레인장치에 부착된 하역부속장구의 자중

(4) 하역장구의 자중

(5) 하역블록의 마찰력

(6) 바람 하중

(7) 선체경사에 따른 하중

(8) 선체운동에 따른 하중

항타선의 경우 주행 크레인과는 달리 선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의


힘과 완충력은 제외하였다. 크레인의 안전사용하중(Safety Working Load, SWL)
은 일반 크레인의 안전사용하중을 나타내므로 D.C.M. 장비의 권상 시 작용하는
하중 값인 85톤을 적용하였다. 추가의 충격하중과 하역장구 및 하역부속 장구
의 자중을 고려하였으며 와이어의 끝에 걸리는 하중을 계산함에 있어서 하역블
록의 마찰력 또한 고려하였다.

고려된 하중은 그림 3.13과 같이 해상 구조물(리더)의 최상부 도르래 부분에


작용하며, 유한요소 모델에 적용하였고, 바람 하중은 사용 상태에서는 16m/sec,
격납상태에서는 25.8m/sec를 적용하였다. 선체 경사에 따른 하중은 다음과 같이
고려하였다.

(1) 사용상태 : 횡경사 5°, 트림 2°

(2) 격납상태 : 횡경사 30°

- 23 -
선체 운동에 따른 하중은 GL Noble Denton, guidelines for marine
transportation(2018)에 따라 적용하였고,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선체 경사, 선체 운동 및 바람 방향에 따른 하중조합을 고려하여 표 3.3
과 같은 시나리오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림 3.13 상부 도르래 부분의 하중 적용

표 3.3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 안전성 평가 하중조합

Case condition roll pitch wind direction ship motion

Case 1 + X

Case 2 - X
in stowage 30° N/A roll+pitch
Case 3 + Y

Case 4 - Y

- 24 -
표 3.3 항만건설 장비의 구조 안전성 평가 하중 조합(계속)

Case condition roll pitch wind direction ship motion

Case 5 roll+heave
+ X
Case 6 pitch+heave

Case 7 roll+heave
- X
Case 8 pitch+heave

Case 9 roll+heave
+2° + Y
Case 10 pitch+heave

Case 11 roll+heave
- Y
Case 12 pitch+heave

Case 13 roll+heave
N/A
Case 14 pitch+heave
in service 5°
Case 15 roll+heave
+ X
Case 16 pitch+heave

Case 17 roll+heave
- X
Case 18 pitch+heave

Case 19 roll+heave
-2° + Y
Case 20 pitch+heave

Case 21 roll+heave
- Y
Case 22 pitch+heave

Case 23 roll+heave
N/A
Case 24 pitch+heave

- 25 -
3.3.2 부선
부선의 하중은 다음과 같이 내부 하중과 외부 하중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1) 내부 하중

(a) 평형수 적재에 의한 하중

(b) 부선 및 장비의 자중

(c) 항만건설 장비에 의한 하중

(2) 외부 하중

(a) 정수압

(b) 파랑 굽힘하중

부선의 평형수 적재 하중 및 정수압은 복원성 계산서를 참조하여 그림 3.14


와 같이 적용하였고, 파랑 굽힘 모멘트는 KR 규정 제10편 소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 규정에 정의된 설계하중과 허용응력을 준용하여 계산하였다. 사용상태
조건에서는 파랑 굽힘 모멘트의 50%, 격납상태 조건에서는 80%의 파랑 굽힘
모멘트를 적용하였다. 파랑 굽힘 모멘트 적용을 위하여 그림 3.15와 같이 부선
의 0.2L 및 0.8L 지점에서 RBE2를 이용하여 부선 부분에 적용하였다.

부선의 국부 강도 평가를 위한 하중조합은 작업조건, 선박경사, 선박운동, 풍


향, 파랑 굽힘 모멘트를 조합하여 표 3.4에 요약하였다.

(a) 입체도

- 26 -
(b) 측면도
그림 3.14 평형수 적재 하중 및 정수압 적용

(a) 입체도

(b) 측면도
그림 3.15 파랑 굽힘 모멘트 적용을 위한 RBE2 설정

- 27 -
표 3.4 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하중 조합
wave bending
Cases condition roll pitch wind direction ship motion
moment
Case 1 hogging
+ X
Case 2 sagging
Case 3 hogging
- X
Case 4 in sagging
30° n/a roll+pitch
Case 5 stowage hogging
+ Y
Case 6 sagging
Case 7 hogging
- Y
Case 8 sagging
Case 9 hogging
roll+heave
Case 10 sagging
+ X
Case 11 hogging
pitch+heave
Case 12 sagging
Case 13 hogging
roll+heave
Case 14 sagging
- X
Case 15 hogging
pitch+heave
Case 16 sagging
Case 17 hogging
roll+heave
Case 18 in sagging
5° +2° + Y
Case 19 service hogging
pitch+heave
Case 20 sagging
Case 21 hogging
roll+heave
Case 22 sagging
- Y
Case 23 hogging
pitch+heave
Case 24 sagging
Case 25 hogging
roll+heave
Case 26 sagging
n/a
Case 27 hogging
pitch+heave
Case 28 sagging

- 28 -
표 3.4 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하중 조합(계속)
wave bending
Cases condition roll pitch wind direction ship motion
moment
Case 29 hogging
roll+heave
Case 30 sagging
+ X
Case 31 hogging
pitch+heave
Case 32 sagging
Case 33 hogging
roll+heave
Case 34 sagging
- X
Case 35 hogging
pitch+heave
Case 36 sagging
Case 37 hogging
roll+heave
Case 38 in sagging
5° -2° + Y
Case 39 service hogging
pitch+heave
Case 40 sagging
Case 41 hogging
roll+heave
Case 42 sagging
- Y
Case 43 hogging
pitch+heave
Case 44 sagging
Case 45 hogging
roll+heave
Case 46 sagging
n/a
Case 47 hogging
pitch+heave
Case 48 sagging

3.4 허용응력

항타선를 구성하는 부재들 중 KR 규정 제9편 2장 4절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


에 대한 허용응력은 표 3.5와 같고, KR 규정 제3편 부록 3-2에 의한 부선에
대한 허용응력은 표 3.6과 같다.

- 29 -
표 3.5 항만건설 장비의 허용응력(Korean Register, 2019)

loading condition stress component

condition wind load tension compression shear combined

n/a 0.67σy 0.58σy 0.39σy 0.77σy


in service
application 0.77σy 0.67σy 0.45σy 0.89σy

in stowage application 0.87σy 0.76σy 0.50σy 1.00σy

σy : yield stress

표 3.6 부선의 허용응력(Korean Register, 2019)

stress component σallow.

combined 1.00σy

shear  σy


3.5 구조 안전성 평가 결과 검토

3.5.1 항만건설 장비
설계하중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의 최대변형 값 을 표 3.7에 요약하여 나타내
었고, 격납 상태의 최대 변형 응답 및 사용 상태에서의 최대 변형 응답이 발생
하는 Case 3과 Case 8의 응답을 그림 3.16 및 그림 3.17에 각각 나타내었다. 변
형 응답 결과로부터 안전성 평가 결과가 매우 합리적임을 알 수 있다.

- 30 -
표 3.7 설계하중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의 최대 변형
wind max. deformation
Cases condition roll pitch ship motion
direction (mm)
Case 1 + X 200
Case 2 - X 209
in stowage 30° N/A roll+pitch
Case 3 + Y 225
Case 4 - Y 183
Case 5 roll+heave 124
+ X
Case 6 pitch+heave 128
Case 7 roll+heave 132
- X
Case 8 pitch+heave 137
Case 9 roll+heave 133
+2° + Y
Case 10 pitch+heave 135
Case 11 roll+heave 123
- Y
Case 12 pitch+heave 131
Case 13 roll+heave 128
N/A
Case 14 pitch+heave 133
in service 5°
Case 15 roll+heave 111
+ X
Case 16 pitch+heave 113
Case 17 roll+heave 118
- X
Case 18 pitch+heave 122
Case 19 roll+heave 120
-2° + Y
Case 20 pitch+heave 120
Case 21 roll+heave 108
- Y
Case 22 pitch+heave 115
Case 23 roll+heave 114
N/A
Case 24 pitch+heave 117

- 31 -
(a) 입체도 (b) 측면도

(c) 정면도
그림 3.16 항만건설 장비 변형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32 -
(a) 입체도 (b) 측면도

(c) 정면도
그림 3.17 항만건설 장비 변형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33 -
설계하중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의 최대 인장, 압축, 전단 및 등가응력 응답
결과를 표 3.8에 요약하여 나타내었고, 24개의 하중조합 중 격납 상태의 최대
응답 및 사용 상태에서의 최대 응답이 발생하는 Case 3과 Case 8의 응력 응답
을 그림 3.18 ∼ 3.25에 각각 나타내었다. 항만건설 장비의 응력 응답 분포 및
최대 값으로부터 항만건설 장비는 모든 하중조건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충분
함을 알 수 있다.

표 3.8 설계하중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 최대 응력


stress components (MPa)
Cases max. allowable max. allowable max. allowable max. allowable judgement
tension tension compression compression shear shear combined combined
1 152 149 87 192 O.K
2 155 151 89 199 O.K
204 179 118 235
3 180 175 98 207 O.K
4 128 130 78 164 O.K
5 136 134 71 153 O.K
6 139 133 71 154 O.K
7 136 134 71 153 O.K
8 139 133 71 154 O.K
181 157 106 209
9 136 134 71 153 O.K
10 138 133 71 154 O.K
11 136 134 71 153 O.K
12 139 133 71 154 O.K
13 136 134 71 153 O.K
157 136 92 181
14 139 133 71 154 O.K
15 134 133 71 155 O.K
16 137 133 71 154 O.K
17 135 133 71 153 O.K
18 138 133 71 154 O.K
181 157 106 209
19 134 134 71 157 O.K
20 137 133 71 154 O.K
21 135 133 71 153 O.K
22 138 133 71 154 O.K
23 134 133 71 153 O.K
157 136 92 181
24 138 133 71 154 O.K

- 34 -
(a) 입체도

(b) 최대 인장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인장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18 항만건설 장비의 인장응력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35 -
(a) 입체도

(b) 최대 압축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압축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19 항만건설 장비의 압축응력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36 -
(a) 입체도

(b) 최대 전단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전단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20 항만건설 장비의 전단응력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37 -
(a) 입체도

(b) 최대 등가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등가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21 항만건설 장비의 등가응력 응답(Case 3)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

- 38 -
(a) 입체도

(b) 최대 인장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인장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22 항만건설 장비의 인장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39 -
(a) 입체도

(b) 최대 압축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압축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23 항만건설 장비의 압축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40 -
(a) 입체도

(b) 최대 전단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전단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24 항만건설 장비의 전단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41 -
(a) 입체도

(b) 최대 등가응력 발생 영역

(c) 최대 등가응력 발생 영역 확대 모습
그림 3.25 항만건설 장비의 등가응력 응답(Case 8)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 -X/종동요+상하동요)

- 42 -
3.5.2 부선
설계하중에 의한 부선의 최대 변형 값 을 표 3.9에 요약하여 나타내었고, 격
납 상태의 최대 변형 응답 및 사용상태에서의 최대 변형 응답이 발생하는 Case
5와 Case 17번의 응답을 그림 3.26 및 3.27에 각각 나타내었다. 변형 응답 결과
로부터 안전성 평가 결과가 매우 합리적임을 알 수 있다.

표 3.9 설계하중에 의한 부선의 최대 변형


max.
wind wave bending
Cases condition roll pitch ship motion deformation
direction moment
(mm)
Case 1 hogging 274
+ X
Case 2 sagging 228
Case 3 hogging 276
- X
Case 4 sagging 223
in stowage 30° n/a roll+pitch
Case 5 hogging 304
+ Y
Case 6 sagging 255
Case 7 hogging 245
- Y
Case 8 sagging 193
Case 9 hogging 151
roll+heave
Case 10 sagging 137
+ X
Case 11 hogging 105
pitch+heave
Case 12 sagging 90
Case 13 hogging 153
roll+heave
Case 14 sagging 134
- X
Case 15 hogging 108
pitch+heave
Case 16 sagging 87
Case 17 hogging 176
roll+heave
Case 18 sagging 159
in service 5° +2° + Y
Case 19 hogging 130
pitch+heave
Case 20 sagging 112
Case 21 hogging 128
roll+heave
Case 22 sagging 112
- Y
Case 23 hogging 83
pitch+heave
Case 24 sagging 66
Case 25 hogging 152
roll+heave
Case 26 sagging 135
n/a
Case 27 hogging 106
pitch+heave
Case 28 sagging 89

- 43 -
표 3.9 설계하중에 의한 부선의 최대 변형(계속)
max.
wind wave bending
Cases condition roll pitch ship motion deformation
direction moment
(mm)
Case 29 hogging 149
roll+heave
Case 30 sagging 139
+ X
Case 31 hogging 103
pitch+heave
Case 32 sagging 91
Case 33 hogging 152
roll+heave
Case 34 sagging 136
- X
Case 35 hogging 106
pitch+heave
Case 36 sagging 88
Case 37 hogging 174
roll+heave
Case 38 sagging 161
in service 5° -2° + Y
Case 39 hogging 128
pitch+heave
Case 40 sagging 112
Case 41 hogging 127
roll+heave
Case 42 sagging 114
- Y
Case 43 hogging 81
pitch+heave
Case 44 sagging 66
Case 45 hogging 150
roll+heave
Case 46 sagging 138
n/a
Case 47 hogging 105
pitch+heave
Case 48 sagging 89

그림 3.26 부선의 변형 응답(Case 5)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호깅)

- 44 -
그림 3.27 부선의 변형 응답(Case 17)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Y/횡동요+상하동요/호깅)

부선의 최대 전단 및 등가응력 응답 결과를 표 3.0에 요약하여 나타내었고,


격납 상태의 최대 응답 및 사용 상태에서의 최대 응답이 발생하는 Case 5와
Case 17의 응답을 그림 3.28 ∼ 3.31에 각각 나타내었다. 부선의 응력 응답분포
및 최댓값으로부터 항만건설 장비와 부선의 연결부는 모든 하중조건을 견딜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함을 알 수 있다.

표 3.10 설계하중에 의한 부선의 최대 응력


stress components (MPa)
Cases judgement
max. shear allowable shear max. combined allowable combined
1 104 200 O.K
2 102 204 O.K
3 113 218 O.K
4 111 221 O.K
5 118 230 O.K
6 117 233 O.K
136 235
7 96 184 O.K
8 94 187 O.K
9 78 160 O.K
10 77 158 O.K
11 84 177 O.K
12 83 177 O.K

- 45 -
표 3.10 설계하중에 의한 부선의 최대 응력(계속)
stress components (MPa)
Cases judgement
max. shear allowable shear max. combined allowable combined
13 87 183 O.K
14 86 182 O.K
15 93 202 O.K
16 93 202 O.K
17 84 177 O.K
18 83 174 O.K
19 90 193 O.K
20 90 193 O.K
21 80 166 O.K
22 80 166 O.K
23 87 188 O.K
24 86 189 O.K
25 82 171 O.K
26 82 170 O.K
27 89 189 O.K
28 88 189 O.K
29 74 150 O.K
30 73 147 O.K
31 81 136 168 235 O.K
32 80 169 O.K
33 83 172 O.K
34 82 172 O.K
35 90 193 O.K
36 89 192 O.K
37 80 167 O.K
38 80 163 O.K
39 87 184 O.K
40 87 184 O.K
41 77 156 O.K
42 76 156 O.K
43 83 180 O.K
44 83 182 O.K
45 78 161 O.K
46 78 160 O.K
47 85 180 O.K
48 85 181 O.K

- 46 -
(a) 입체도

(b)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확대모습

(c)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하부 보강부 확대모습


그림 3.28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전단응력 응답(Case 5)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호깅)

- 47 -
(a) 입체도

(b)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확대모습

(c)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하부 보강부 확대모습


그림 3.29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등가응력 응답(Case 5)
(격납상태/횡경사 30°/풍하중+Y/횡동요+종동요/호깅)

- 48 -
(a) 입체도

(b)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확대모습

(c)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하부 보강부 확대모습


그림 3.30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전단응력 응답(Case 17)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Y/횡동요+상하동요/호깅)

- 49 -
(a) 입체도t

(b)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확대모습

(c)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하부 보강부 확대모습


그림 3.31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의 등가응력 응답(Case 17)
(사용상태/횡경사 5°/선수 트림 2°/풍하중+Y/횡동요+상하동요/호깅)

- 50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에 따라 항타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항만건설장비와 부선의 거동 및 응력 응답을 검토한 결과
합리적인 응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만건설 작업선 중 항타선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은 항만건설장비와 부선을 분리하여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
하고, 표 3.11 및 3.12와 같은 평가방법으로 안전성을 검토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표 3.11 항만건설장비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제안


element
- 2d shell element
type
boundary
- fix or pin
condition
- safe working load
- additional impact loads
- self-weight
design
- friction of auger
loads
- wind loading
- loads due to ship inclination
harbor - loads due to ship motion
construction
equipment loading - in service condition
condition - in stowage condition

loading condition stress component

condition wind load tension compression shear combined

allowable n/a 0.67σy 0.58σy 0.39σy 0.77σy


stress in service
application 0.77σy 0.67σy 0.45σy 0.89σy
in stowage application 0.87σy 0.76σy 0.50σy 1.00σy

σy : yield stress

- 51 -
표 3.12 부선에 대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 제안
element
- 2d shell element
type
boundary
- simple support
condition
[external loads]
- static pressure
design - wave bending moment
loads [internal loads]
- ballast load
- loads due to harbor construction equipment
barge
loading - in service condition
condition - in stowage condition

loading condition stress component

in service combined shear


allowable
stress 
in stowage 1.00σy  σy

σy : yield stress

- 52 -
4. 고찰 및 결론

항만건설 작업선의 선박시설 등에 관한 기준은 선박시설 및 기타 설비와 관


련한 기준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나, 구조 안전성 평가와 관련한 기준의 경우
강재의 허용응력 및 처짐에 대한 기준만 제시하고 있을 뿐, 구조해석 모델링
방법, 경계 조건 적용 방법 및 하중 조건 적용 방법 등과 관련한 자세한 지침
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만건설 작업선의 안전한 설계를 위하여 항만건
설 작업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을 검토하였고, 항만건설 작업선의 유한요
소 해석을 수행하여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항만건설 작업선을 위한 구조 안전성 평가 규정이 없는 관계로, 핀 형태로


연결된 항만건설 장비와 부선을 두 종류의 구조물로 구분 및 분리하여 구조 안
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선택하였고, 항만건설 장비는 KR 규정 9편 2장 4
절의 크레인 규정에 정의된 설계하중과 허용응력을, 부선은 KR 규정 제10편 소
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 규정에 정의된 설계하중과 허용응력을 준용하여 구
조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된 구조 안전성 평가 방법을 이용한 구조해석을 위한 대상으로 항타선을


선정하였고, MSC.PATRAN과 MSC.NASTRA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항만건설 장
비에 관한 규정과 부선에 관한 규정에 의해 정의된 하중조건 및 조합을 고려하
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고려된 하중에 의한 항만건설 장비의 인장, 압축, 전단 및 등가응력은 규정에


서 정의하는 허용응력보다 낮게 발생됨으로 구조 강도상 안전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강관 구조와 ㄱ형강을 연결하여 트러스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항만건
설 장비를 2차원 판 요소를 이용한 상세 모델링을 수행하여 상부 도르래, 어깨
걸이 및 백스테이 연결부와 같은 응력집중부위에 대한 상세평가가 가능하였다.

KR 규정 제10편 소형강선의 선체구조 및 의장 규정을 준용하여 부선에 대

- 53 -
한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부선과 항만건설 장비 연결부위의 전단
및 등가응력이 규정에서 정의하는 허용응력보다 낮게 발생하여 구조 강도상 안
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항만건설 작업선의 구조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항타선을 항만건


설 장비와 부선으로 두 종류의 구조물로 구분하고 각각의 규정에 적합한 규정
을 준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 변형과 응력 응답이 합리적으로 도출되
었고 구조적으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되었기에, 본 연구에서 제
안한 항만건설장비와 부선을 분리하여 구조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은 항
만건설 작업선 중 항타선 구조 안전성 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54 -
References

이상갑, 2018. 60m Class Deep Cement Mixing Method Ship the Sun의 구조
안전성 검토 보고서,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안전기술.

해양수산부, 2018. 항만건설 작업선의 항만시설 등에 관한 기준, 해양수산부.

Germanischer Lloyd Noble Denton, 2015. guidelines for marine transportation.


GL, Germany.

Korean Register, 2019. Rules for the Classification of Steel Ships. KR, Korea.

Lee, S.G., 2016. 6 Strength Assessment of 63m Class Deep Cement Mixing
Method Ship,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Marine Safety Technology.

MSC.NASTRAN, 2012. Linear Static Analysis User's Guide MSC.Software


Corporation, Santa Ana, CA, USA.

MSC.PATRAN, 2012. Reference Manual, MSC.Software Corporation, Santa Ana,


CA, USA.

- 55 -
감사의 글

논문이 나오기까지 수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그분들의 도움이 없었


다면 논문이 나올 수 없었을 것이기에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제가 대학원을 처음 시작하였을 때부터 지금까지 한결같은 모습으로 부


족한 저를 항상 깊은 관심 속에서 이끌어주시고 언제나 연구에 대한 아낌없는
지도를 해주시는 지도 교수님이신 이상갑 교수님께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합니
다. 부족한 저를 위해 연구 방법뿐만 아니라 인생에 필요한 지혜 등 많은 것들
을 가르쳐주셨습니다. 실수가 있어도 넓은 마음으로 받아주시고 연구가로서의
길을 가르쳐주신 덕분에 제대로 된 즐거운 연구 활동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저는 무사히 이 논문을 작성할 수 있었고 석사 졸업을 할 수 있었던 것입
니다. 이에 정말 감사드리며 교수님의 학문에 대한 변함없는 열정은 저에게 인
생의 본보기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또한 본 논문을 위해 심사와 조언을 해주신 부승환 교수님과 최민주 교수님


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석사과정을 시작할 때부터 지금까지 저에게 많은 가르침을 연구실 사람


들에게서도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특히 이재석 박사님으로부터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막히는 부분을 같이 토론하며 해결
하는데 많은 조언을 받았습니다. 또한 연구실의 모든 분들에게도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며, 마지막으로 언제나 변함없이 지원해준 가족과 회사 직원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이렇게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저는 석사 졸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도움이 더욱 빛나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5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