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제 4 상품시장과 경쟁

편 Principles of Economics
제7장 완전경쟁시장
7.1 시장의 형태와 관련된 특성

7.2 완전경쟁시장의 요건

7.3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와 공급곡선

7.4 장기균형

7.5 완전경쟁시장은 어떤 점에서 바람직한가?

Principles of Economics 2
7.1 시장의 형태와 관련된 특성

• 어떤 형태의 시장에서 거래되느냐에 따라 상품의 가격과 거래량이


각각 다른 방식에 의해 결정

• 시장의 형태
(1) 완전경쟁(perfect competition)
(2) 독점(monopoly)
(3) 과점(oligopoly)
(4) 독점경쟁(monopolistic competition)

Principles of Economics 3
시장형태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기준

•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각 시장형태의 특징 파악할 수 있음


(1) 판매자 수
- 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은 두 가지의 극단적 경우
- 과점시장은 소수의 판매자
- 독점경쟁시장은 판매자 수의 측면에서 완전경쟁시장과 유사
- 일반적으로 구매자의 숫자는 충분히 크다고 전제

(2) 개별 기업이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


- 완전경쟁시장의 경우에는 개별 기업이 가격에 영향을 끼칠 수 없음
- 다른 형태의 시장에서는 가능

Principles of Economics 4
시장형태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한 기준
(3) 상품의 동질성 여부
-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완전히 동질적이지만,
독점경쟁시장에서는 상품차별화(product differentiation)

(4) 진입장벽의 존재
- 완전경쟁시장이 되기 위해서는 진입장벽 없어야 함
- 진입장벽(entry barrier)은 자연발생적인 것도 있고 인위적인 것도 있음

(5) 비가격경쟁(non-price competition)의 존재


- 상품의 질, 서비스, 광고 등에 의한 경쟁
- 완전경쟁시장에서는 비가격경쟁이 흔하지 않으나, 독점경쟁시장에서는 매우 흔함

Principles of Economics 5
7.2 완전경쟁시장의 요건

• 완전경쟁이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
1. 많은 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있어, 모두가 가격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어야 함
(2) 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이 동질적이어야 함
(3) 자원의 완전한 이동성(mobility)이 보장되어야 함
- 진입(entry)과 이탈(exit)의 자유로움

(4)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경제주체가 완전한 정보 보유

• 네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기 어려움


- 현실에 존재하는 시장형태를 평가하는 잣대의 역할
Principles of Economics 6
7.3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와 공급곡선

• 기업의 이윤극대화
•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
-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수준에서 그은 수평선
- 수평선의 높이 = 가격 = 한계수입
- 따라서 그 수평선은 수요곡선이며 한계수입곡선
• 이윤극대화의 조건

- 이 조건은 시장의 형태와 상관없이 언제나 충족되어야 함


Principles of Economics 7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

Principles of Economics 8
가격이 너무 낮은 경우

•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이 너무 낮은 경우

• 고정비용 전체가 매몰비용임을 가정

• 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더 낮으면 생산을 중단하게 된다는 뜻

Principles of Economics 9
손실이 발생하는 두 가지 경우

(1)
-
-

(2)

-
- 판매수입으로는 가변비용도 충당할 수 없는 경우인데, 생산을 중단하면
손실을 고정비용으로 한정할 수 있음

Principles of Economics 1 0
손실이 발생하는 두 가지 경우

Principles of Economics 1 1
생산중단가격

• 생산중단가격(shutdown price)

• 가격이 어떤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아예 생산을 중단함으로써 손실을


이미 지출된 매몰비용에 국한시키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는데,
바로 그 기준이 되는 가격

• 생산중단점(shutdown point)

• 평균가변비용곡선의 최저점

Principles of Economics 1 2
고정비용이 회수가능한 경우

• 고정비용 전체가 매몰비용이라는 가정 완화

• 모든 고정비용이 매몰비용은 아님

- 생산을 함으로써 조금이라도 손실이 생길 것 같으면 서슴지 않고 생산 중단

- 생산중단점은 앞에서 본 경우보다 더 높아짐

Principles of Economics 1 3
기업과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단기공급곡선은 생산중단점보다 위쪽에 위치한
한계비용곡선과 일치

•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 개별기업 공급곡선의 수평방향으로의 합
• 생산량 증가시 투입요소가격 불변 가정

Principles of Economics 1 4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Principles of Economics 1 5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Principles of Economics 1 6
산업의 단기균형

•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

Principles of Economics 1 7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

Principles of Economics 1 8
7.4 장기균형

• 장기조정과정
• 장기조정(long-run adjustment)

- 시장 내 기업들이 양의 이윤을 얻는 경우
• 신규기업 진입 → 공급 증가 → 가격 하락
• 이윤이 0으로 떨어져 새로운 기업이 진입할 유인이 없어질 때 까지 조정

- 시장 내 기업들이 이윤을 얻지 못하는 경우


• 한계기업 이탈 → 공급 감소 → 가격 상승
Principles of Economics 1 9
장기균형

• 장기균형(long-run equilibrium)
• 시장 안의 모든 기업들이 0의 이윤만을 얻고 있어 더 이상의 진입이나
이탈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

• 장기균형 성립을 위한 조건
(1)
(2)
(3)

Principles of Economics 2 0
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

Principles of Economics 2 1
장기균형

• ‘0의 이윤’의 의미
• 경제적 이윤(economic profit)

• 정상이윤(normal profit)
- 투하된 자본에 대한 정상적인 수익은 기회비용의 일부로 포함
- 경제 전체에서 사용되는 자본의 평균적 수익률
• 경제적 이윤이 0 이라는 것은 정상이윤만을 얻는 상태 의미

• 따라서 회계상 이윤은 양(+)의 값 가짐

Principles of Economics 2 2
완전경쟁시장은 어떤 점에서 바람직한가?

• 자원의 효율적 배분
(1) 경쟁의 압력으로 인한 기업의 효율성 추구
(2)
(3)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에서 생산

• 완전경쟁시장의 한계
• 완전경쟁시장을 위한 조건 충족의 어려움
• 공평한 분배 측면에서의 한계
- 완전경쟁시장의 장점은 효율적 자원배분에만 국한

Principles of Economics 2 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