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

인상주의와 현대미술의 탄생

Claude Monet, Impression: Sunrise, 1872


3 / 46
인상주의 (Impressionism)의 특징

대상의 고유색(관념의 색)을 부정, 빛에 의한 인상색을 추구.


형태보다 색채를 중시, 회화의 순수성 모색.
평범한 일상적 현실과 자연풍경을 묘사 ; 근대화된 일상을 긍정.
관념적 재현에서 과학적 재현으로 변화된 미술.
색이라는 조형요소를 중시함으로써 이후 추상미술의 토대를
마련.
그러나 지나친 객관주의로 형식(형태)와 개성(내면표현)이
결여되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함.
이후 신인상주의가 형태를 복원, 후기인상주의가 개성과 내면
표현을 강조함으로써 인상주의의 한계를 극복.
Claude Monet, Rouen Cathedral,
Full Sunlight, 1894

4 / 46
인상주의(Impressionism)의 등장 배경

사회 · 경제적 측면
프랑스 혁명 이후 자유주의 사상이 대두되면서 개인의 개성,
주관을 강조.
산업혁명 이후 경제구조가 근대화되면서 종교나 왕권을 위한
그림이 아닌 순수 감상 목적의 미술이 주목.
과학 발달적 측면
카메라의 발명으로 미술이 재현을 포기하면서 추상화되기 시작.
광학, 색채학의 발달로 빛을 분석하여 표현에 적용.
튜브물감의 발명으로 야외 제작이 가능하게 됨.
Louis Jacques-Mande Daguerre,
미술사적 측면 Boulevard du Temple in Paris, 1838

컨스터블과 터너의 낭만적 풍경화의 영향으로 야외의 빛과 대기를 표현.


우키요에의 영향으로 평면적 묘사, 원색의 색채, 과감한 구도 표현이 가능해짐.
5 / 46
Joseph Nicéphore Niépce Louis Jacques-Mande Daguerre,
View from the Window at Le Gras, 1826 Boulevard du Temple in Paris, 1838

6 / 46
Hippolyte Jouvin, The Pont Neuf, Paris, ca. 1860~65 Claude Monet, Boulevard des Capucines, 1873
7 / 46
8 / 46 Edouard Manet, Portrait of Emile Zola, 1868
우키요에(Ukiyo-e , 浮世絵)

일본의 무로마치 시대부터 에도시대 말기(14~19세기)에 서민


생활을 기조로 제작된 회화의 한 양식을 의미.
우키요에의 ‘우키요’는 덧없는 세상, 즉 속세를 뜻하는 말로 미인,
기녀, 광대 등 당대 풍속을 중심 제재로 함.
주로 목판화 형식으로 제작, 전국시대를 지나 평화가 정착되면
서 신흥세력인 무사, 신흥부자, 상인, 일반 대중 등의 사회 풍속
이나 인간 묘사 등을 주제로 한 우키요에가 성행.
이와 같은 우키요에는 만국박람회를 통해 유럽에 널리 알려졌으
며, 우키요에의 새로운 표현방식은 당대 유럽인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줌.

Kitagawa Utamaro, Head and


Shoulders 2 Women, Edo period
9 / 46
The Japanese Embassy at the 1862 International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of 1862 – Japanese Court,
Exhibition, from The Illustrated London News, from The Illustrated London News, 20 September, 1862
24 May, 1862
10 / 46
Katsushika Hokusai, The Great Wave off Kanagawa, William Turner, Slave Ship, 1840
19 Century, Edo period

11 / 46
자포니즘(Japonism)

19세기 중반이후 20세기 초까지 서양 미술 전반에 나타난 일본 미술


의 영향과 일본적인 취향 및 일본풍을 즐기고 선호하는 현상.
1860년대 일본이 서양에 문호를 개방하면서 유럽에는 일본 미술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 일본 미술품의 장식적인 요소를 차용하는 수준
에서 점차 그 양식과 기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표현하는 양상으로
까지 발전.
마네, 모네, 반 고흐, 고갱, 휘슬러 등 많은 유럽 미술가들이 자신들의
작품 소재로 일본의 전통의상이나 일본풍의 기물을 즐겨 사용.
일본 미술, 특히 우키요에의 영향으로 19세기 말의 유럽 회화는 주제
를 중심이 아닌 화면 가장자리로 옮기고, 위에서 조감하는 구도를 사용
하였으며, 중경을 없애고 원경과 근경만으로 공간을 처리하거나 평평
한 색면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등 새로운 기법을 도입.

12 / 46 Claude Monet, La japonaise, 1876


Monet, Women in the Garden,
255 x 205 cm, 1866

13 / 46 Claude Monet, La Grenouillère, 1869


Claude Monet, Arrival of the Normandy Train, Claude Monet,The Bridge of Europe,
Gare Saint-Lazare, 1877 Saint-Lazare Station, 1877
14 / 46
Claude Monet, 1894
1. The Portal of Rouen Cathedral in Morning Light
2. Rouen Cathedral, Full Sunlight
15 / 46 3. Rouen Cathedral, Harmony in Blue and Gold
Claude Monet standing in front of three sections of Claude Monet, The Japanese Bridge at Giverny, 1922
separate water lily murals in his studio at Giverny. c.1923.

16 / 46
Gustave Caillebotte, Paris Street, Rainy Day, 1877 Gustave Caillebotte, The Bridge of Europe, 1876

17 / 46
Claude Monet, La Grenouillère, 1869 Auguste Renoir, La Grenouillère, 1869

18 / 46
Auguste Renoir, Le Moulin de la Galette, 1876 Auguste Renoir, Luncheon of the Boating Party, 1881

19 / 46
Edgar Degas, The Rehearsal of the Ballet on Stage, 1874

20 / 46
Edgar Degas, The Orchestra of the Opera, 1870
Ando Hiroshige, Plum Park in Kimeido, 1857 Edgar Degas, The Orchestra of the Opera, 1870
21 / 46
22 / 46
Edgar Degas, Little Dancer of 14 Years, 1881 Edgar Degas, In a Café (L'Absinthe), 1875
Art should be independent of all clap-
trap - should stand alone, and appeal to
the artistic sense of eye or ear, without
confounding this with emotions entirely
foreign to it, as devotion, pity, love,
patriotism and the like. All these have
no kind of concern with it; and that is
why I insist on calling my works
'arrangements' and 'harmonies.’
- James McNeill Whistler

James McNeill Whistler, Portrait of the Artist's Mother


: Arrangement in Grey and Black No.1, 1871
23 / 46
James McNeill Whistler, Night in Black
24 / 46 and Gold: The falling Rocket, 1875
신인상주의(Neo-Impressionism)의 특징

19세기 말 프랑스에서 쇠라와 시냑 등을 중심으로


행해진 점묘주의 이론이자 운동.
인상주의의 기법을 과학적으로 더욱 발전시키는 동
시에 인상주의의 경험적 사실주의에 반발하여 고전
주의적 정신의 부활을 꾀함.
색채학과 광학의 발달을 바탕으로 인상주의의 색채
이론을 과학적으로 체계화; 논리적이고 분석적.
감산혼합(팔레트에서의 혼색)을 피하고 원색 점묘
에 의한 병치혼합을 시도; 점묘주의, 혹은 분할주의
라 불리기도 함. Georges Seurat, The Seine and la
Grande Jatte – Springtime 1888
인상주의에서 결여된 형태를 복원.

25 / 46
26 / 46 Georges Seurat, A Sunday on La Grande Jatte, 207.6 × 308 cm 1884~86
Study for “A Sunday on La Grande Jatte”, 1884

27 / 46
28 / 46 Georges Seurat, A Sunday on La Grande Jatte, 207.6 × 308 cm 1884~86
Edgar Degas, The Orchestra
of the Opera, 1870

29 / 46 Georges Seurat, Chahut, 1889~90


Paul Signac, Against the Enamel of a Background Henri Matisse,
Rhythmic with Beats and Angles, Tones, and Tints, Luxury, Calm and Pleasure, 1904
Portrait of M. Félix Fénéon in 1890, 1890
30 / 46
후기인상주의(Post-Impressionism)의 특징
일반적으로 1880년대 이후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이루어
진 다양한 미술활동을 후기인상주의라 지칭.
영국의 미술평론가 로저 프라이가 1910년에 고갱, 세잔,
반 고흐와 같은 인상주의 이후 세대들의 전시회를 ‘마네와
후기인상주의’라고 명명한데서 창안.
후기인상주의란 하나의 그룹을 이룬 화가들이 아니라 각기
다른 성향과 주장을 가진 19세기 말의 현대 화가들을 통
칭하는 용어.
이들 후기인상주의 작가들은 모두 다른 표현 특징을 전제
로 인상주의의 지나친 객관성에서 벗어나 작가의 개성과
내면 표현에 집중,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현대미술의 진정
Vincent Van Gogh, Still Life: Vase
한 출발을 이룸. with Twelve Sunflowers, 1888

31 / 46
32 / 46
Paul Cezanne, The Hanged Man's House, 1873 Paul Cezanne, Self-portrait, 1879
To paint is not to copy the object
slavishly, it is to grasp a harmony
among many relationships.
- Paul Cezanne

33 / 46 Paul Cezanne, Basket of Apples, 1890~94


Paul Cezanne, Mont Sainte-Victoire Paul Cezanne, Mont Sainte-Victoire, 1904~05
with Large Pine, 1885~87

34 / 46
35 / 46 Paul Cezanne, Bathers, 1898~1905
36 / 46 Vincent Van Gogh, Self-Portrait, 1889
37 / 46 Vincent Van Gogh, The Potato Eaters,1885
Vincent Van Gogh, Flowering Plum Tree, 1887

Vincent Van Gogh,


38 / 46 Portrait of Pere Tanguy, 1887
Vincent Van Gogh, The Night Cafe, 1888 Vincent Van Gogh, Bedroom at Arles, 1888

39 / 46
40 / 46 Vincent Van Gogh, The Starry Night, 1889
Vincent Van Gogh, Wheat fields, 1890
41 / 46
Paul Gauguin, Vision after the Sermon, 1888 Edgar Degas, Musicians de Orchestra, 1871
42 / 46
종합주의 (Synthetisme)의 특징
종합주의란 고갱을 중심으로 외형의 세계를 재현
하기보다는 상상과 실제의 경험이 종합된, 보이지
않고 감추어진 세계의 의미를 표현했던 유파.
‘종합’은 인상주의의 색채 분할과 그 기법의 해체적,
분석적인 경향에 대한 대항으로서의 종합을 의미.
고갱은 빛의 효과를 탐구하는 데 전념한 인상주의
의 방식이 지극히 피상적이며, 사상이나 지적 사고
를 소홀히 여긴다는 한계를 지적.
그는 인상주의가 해체한 색채의 단편들을 강한 윤곽
선으로 두른 넓은 면으로 종합.
Paul Gauguin, Vision after the Sermon, 1888
작가의 주체성에 기반을 둔 형태와 색채를 회복하고
궁극적으로는 주관과 객관의 종합을 목표로 함.

43 / 46
Paul Gauguin, Self-Portrait Paul Gauguin, The Yellow Christ, 1889
44 / 46 with Halo and Snake, 1889
Paul Gauguin, Ia Orana Maria Paul Gauguin, The Spirit of the Dead Keep Watch, 1892
45 / 46 (Ave Maria), 1891
Paul Gauguin, Where Do We Come From? What Are We? Where Are We Going?, 1897

46 / 46

You might also like